KR20210022351A - 전송 신호의 성능을 유지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전송 신호의 성능을 유지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2351A
KR20210022351A KR1020190101756A KR20190101756A KR20210022351A KR 20210022351 A KR20210022351 A KR 20210022351A KR 1020190101756 A KR1020190101756 A KR 1020190101756A KR 20190101756 A KR20190101756 A KR 20190101756A KR 20210022351 A KR20210022351 A KR 20210022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tate
uplink signal
processo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용준
조남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1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2351A/ko
Priority to PCT/KR2020/010846 priority patent/WO2021034030A1/ko
Publication of KR20210022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2351A/ko
Priority to US17/673,102 priority patent/US2022017376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03F1/0216Continuous control
    • H03F1/0222Continuous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input signal
    • H03F1/0227Continuous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input signal using suppl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 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03F3/19High 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 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03F3/19High 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195High 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integra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4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 H03F3/245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1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calibration
    • H04B17/12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calibration of transmit antennas, e.g. of the amplitude or ph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54Adjacent channel leakage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102A non-specified detector of a signal envelope being used in an amplifying circu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204A hybrid coupler being used at the output of an amplifier circu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294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low noise amplifier [LNA]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5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radio frequency amplif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 H04B2001/0416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having gain or transmission power control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트랜시버, 상기 트랜시버에 연결되는 전력 증폭기, 상기 전력 증폭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변조기, 상기 전력 증폭기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및 상기 트랜시버, 상기 전력 증폭기, 및 상기 전원 변조기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업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1 상태인지 확인하고, 상기 트랜시버로 수신되는 다운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전원변조기로부터 상기 전력 증폭기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에 제1 오프셋 값을 추가하도록 상기 전원 변조기를 제어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실시 예들이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송 신호의 성능을 유지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MAINTAINING PERFORMANCE OF TRANSMISSION SIGNAL}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송 신호의 성능을 유지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안테나를 사용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는 안테나를 통해, 다른 전자 장치(예: 기지국, 네트워크 및/또는 타 단말기)와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할 때, 증폭 모듈(예: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PA)), 또는 저 잡음 증폭기(low power amplifier(LNA)))을 사용하여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RF(radio frequency)신호(예: Tx신호)의 송신 시, 전자 장치의 트랜시버(transceiver)는 Tx 신호를 전력 증폭기(PA)로 전송하여 상기 Tx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다. 상기 증폭된 Tx 신호는 안테나를 통해 다른 전자 장치로 송신될 수 있다. RF신호(예: Rx신호)의 수신 시, Rx신호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될 수 있고, 저 잡음 증폭기(LNA)를 통해 증폭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트랜시버는 상기 증폭된 Rx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외부의 다른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을 할 수 있고,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의 송신단에는 전력 증폭기(PA)가 포함될 수 있고, 무선 통신 회로의 수신단에는 저 잡음 증폭기(LNA)가 포함될 수 있다. 안테나를 통해 RF 신호가 송신될 때, 상기 RF 신호는 안테나의 주변에 위치한 오브젝트(예: 사물 및 다른 안테나)에 의해 반사될 수 있고, 반사파가 전력 증폭기의 출력 포트로 입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RF 신호를 송신함에 있어서, 상기 반사파로 인해 RF신호에 대한 선형성(linearity)이 열화될 수 있고, RF 신호의 신호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RF신호(예: Tx 신호)의 신호 품질이 저하되었음을 확인하고, 전력 증폭기로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RF신호의 신호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트랜시버, 상기 트랜시버에 연결되는 전력 증폭기, 상기 전력 증폭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변조기, 상기 전력 증폭기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및 상기 트랜시버, 상기 전력 증폭기, 및 상기 전원 변조기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업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1 상태인지 확인하고, 상기 트랜시버로 수신되는 다운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1 상태인지 확인하고, 상기 업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1 상태이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전원변조기로부터 상기 전력 증폭기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에 제1 오프셋 값을 추가하도록 상기 전원 변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트랜시버, 상기 트랜시버에 연결되는 전력 증폭기, 상기 전력 증폭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변조기, 상기 전력 증폭기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상기 전력 증폭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사이에 배치되는 튜너, 및 상기 트랜시버, 상기 전력 증폭기, 상기 전원 변조기, 및 상기 튜너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업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1 상태인지 확인하고, 상기 트랜시버로 수신되는 다운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1 상태인지 확인하고, 상기 업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1 상태이고 다운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튜너를 사용하여 상기 업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2 상태로 조정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조정이 가능한 경우 상기 업링크 신호의 상태를 상기 제2 상태로 조정하도록 상기 튜너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업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 1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트랜시버로 수신되는 다운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 1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업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 1 상태이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상태가 상기 제 1 상태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전원 변조기로부터 전력 증폭기에 인가되는 전력의 전압값에 제 1 오프셋 값을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력 증폭기(PA)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을 조절하여, RF신호의 신호 품질이 유지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운링크(downlink, DL) 신호(Rx 신호)에 대한 신호 품질이 양호한 상태에서, 업링크(uplink, UL) 신호(Tx신호)에 대한 BLER(block error rate) 또는 ACLR(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을 기반으로 업링크 신호(Tx 신호)의 신호 품질이 저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업링크 신호(Tx 신호)의 신호 품질이 저하되었음을 확인하고, 전원 변조기로부터 전력 증폭기(PA)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을 조정함으로써, 업링크 신호(Tx 신호)의 신호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레거시 네트워크 통신 및 5G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 전자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 전자 장치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원 변조기와 튜너를 이용하여 RF 신호를 효율적으로 송 수신하기위한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을 조절하는 동작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uplink, UL) 신호(Tx 신호)의 신호 품질을 유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신호(Tx 신호)에 대한 BLER(block error rate)을 기반으로 업링크 신호(Tx 신호)의 신호 품질을 유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신호(Tx 신호)에 대한 ACLR(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을 기반으로 업링크 신호(Tx 신호)의 신호 품질을 유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레거시 네트워크 통신 및 5G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200)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제 1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RFIC)(222), 제 2 RFIC(224), 제 3 RFIC(226), 제 4 RFIC(228), 제 1 radio frequency front end(RFFE)(232), 제 2 RFFE(234), 제 1 안테나 모듈(242), 제 2 안테나 모듈(244), 및/또는 안테나(248)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및 메모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네트워크(199)(예: 도 1의 제 2 네트워크(199))는 제 1 셀룰러 네트워크(292)(예: 레거시 네트워크) 및/또는 제2 셀룰러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도1에 기재된 부품들 중 적어도 하나의 부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 2 네트워크(199)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제 1 RFIC(222), 제 2 RFIC(224), 제 4 RFIC(228), 제 1 RFFE(232), 및/또는 제 2 RFFE(234)는 무선 통신 모듈(192)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4 RFIC(228)는 생략되거나, 제 3 RFIC(226)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 1 셀룰러 네트워크(292)와의 무선 통신에 사용될 대역의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레거시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셀룰러 네트워크는 2세대(2G), 3G, 4G, 또는 long term evolution(LTE)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레거시 네트워크일 수 있다.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제 2 셀룰러 네트워크(294)와의 무선 통신에 사용될 대역 중 지정된 대역(예: 약 6GHz ~ 약 60GHz)에 대응하는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5G 네크워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셀룰러 네트워크(294)는 3GPP에서 정의하는 5G 네트워크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제 2 셀룰러 네트워크(294)와의 무선 통신에 사용될 대역 중 다른 지정된 대역(예: 약 6GHz 이하)에 대응하는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5G 네크워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와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단일(single) 칩 또는 단일 패키지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프로세서(120), 보조 프로세서(123), 또는 통신 모듈(190)과 단일 칩 또는 단일 패키지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RFIC(222)는, 송신 시에,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에 의해 생성된 기저대역(baseband) 신호를 제 1 셀룰러 네트워크(292)(예: 레거시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약 700MHz 내지 약 3GHz의 라디오 주파수(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는, RF 신호가 안테나(예: 제 1 안테나 모듈(242))를 통해 제 1 셀룰러 네트워크(292)(예: 레거시 네트워크)로부터 획득되고, RFFE(예: 제 1 RFFE(232))를 통해 전처리(preprocess)될 수 있다. 제 1 RFIC(222)는 전처리된 RF 신호를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 2 RFIC(224)는, 송신 시에,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에 의해 생성된 기저대역 신호를 제 2 셀룰러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Sub6 대역(예: 약 6GHz 이하)의 RF 신호(이하, 5G Sub6 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는, 5G Sub6 RF 신호가 안테나(예: 제 2 안테나 모듈(244))를 통해 제 2 셀룰러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로부터 획득되고, RFFE(예: 제 2 RFFE(234))를 통해 전처리될 수 있다. 제 2 RFIC(224)는 전처리된 5G Sub6 RF 신호를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중 대응하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 3 RFIC(226)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에 의해 생성된 기저대역 신호를 제 2 셀룰러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에서 사용될 5G Above6 대역(예: 약 6GHz ~ 약 60GHz)의 RF 신호(이하, 5G Above6 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는, 5G Above6 RF 신호가 안테나(예: 안테나(248))를 통해 제 2 셀룰러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로부터 획득되고 제 3 RFFE(236)를 통해 전처리될 수 있다. 제 3 RFIC(226)는 전처리된 5G Above6 RF 신호를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3 RFFE(236)는 제 3 RFIC(226)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RFIC(226)와 별개로 또는 적어도 그 일부로서, 제 4 RFIC(22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4 RFIC(228)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에 의해 생성된 기저대역 신호를 중간(intermediate) 주파수 대역(예: 약 9GHz ~ 약 11GHz)의 RF 신호(이하, IF 신호)로 변환한 뒤, 상기 IF 신호를 제 3 RFIC(226)로 전달할 수 있다. 제 3 RFIC(226)는 IF 신호를 5G Above6 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 5G Above6 RF 신호가 안테나(예: 안테나(248))를 통해 제 2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고 제 3 RFIC(226)에 의해 IF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제 4 RFIC(228)는 IF 신호를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가 처리할 수 있도록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RFIC(222)와 제 2 RFIC(224)는 단일 칩 또는 단일 패키지의 적어도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RFFE(232)와 제 2 RFFE(234)는 단일 칩 또는 단일 패키지의 적어도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안테나 모듈(242) 또는 제 2 안테나 모듈(244)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모듈은 생략되거나 다른 안테나 모듈과 결합되어 대응하는 복수의 대역들의 RF 신호들을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RFIC(226)와 안테나(248)는 동일한 서브스트레이트에 배치되어 제 3 안테나 모듈(246)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192) 또는 프로세서(120)가 제 1 서브스트레이트(예: main PCB)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서브스트레이트와 별도의 제 2 서브스트레이트(예: sub PCB)의 일부 영역(예: 하면)에 제 3 RFIC(226)가, 다른 일부 영역(예: 상면)에 안테나(248)가 배치되어, 제 3 안테나 모듈(246)이 형성될 수 있다. 제 3 RFIC(226)와 안테나(248)를 동일한 서브스트레이트에 배치함으로써 그 사이의 전송 선로의 길이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예를 들면, 5G 네트워크 통신에 사용되는 고주파 대역(예: 약 6GHz ~ 약 60GHz)의 신호가 전송 선로에 의해 손실(예: 감쇄)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자 장치(101)는 제 2 셀룰러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와의 통신의 품질 또는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248)는 빔포밍에 사용될 수 있는 복수개의 안테나 엘레멘트들을 포함하는 안테나 어레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3 RFIC(226)는, 예를 들면, 제 3 RFFE(236)의 일부로서, 복수개의 안테나 엘레멘트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위상 변환기(phase shifter)(238)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시에, 복수개의 위상 변환기(238)들 각각은 대응하는 안테나 엘레멘트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5G 네트워크의 베이스 스테이션)로 송신될 5G Above6 RF 신호의 위상을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 복수개의 위상 변환기(238)들 각각은 대응하는 안테나 엘레멘트를 통해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된 5G Above6 RF 신호의 위상을 동일한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것은 전자 장치(101)와 상기 외부 간의 빔포밍을 통한 송신 또는 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제 2 셀룰러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는 제 1 셀룰러 네트워크(292)(예: 레거시 네트워크)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거나(예: Stand-Alone (SA)), 연결되어 운영될 수 있다(예: Non-Stand Alone (NSA)). 예를 들면, 5G 네트워크에는 액세스 네트워크(예: 5G radio access network(RAN) 또는 next generation RAN(NG RAN))만 있고, 코어 네트워크(예: next generation core(NGC))는 없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전자 장치(101)는 5G 네트워크의 액세스 네트워크에 액세스한 후, 레거시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예: evolved packed core(EPC))의 제어 하에 외부 네트워크(예: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다. 레거시 네트워크와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정보(예: LTE 프로토콜 정보) 또는 5G 네트워크와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정보(예: New Radio(NR) 프로토콜 정보)는 메모리(230)에 저장되어, 다른 부품(예: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 전자 장치(300)의 전면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3a의 전자 장치(300)의 후면의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의 전자 장치(300)는 도 1의 전자 장치(101)와 적어도 일부 유사하거나, 전자 장치의 다른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제 1 면(또는 전면)(310A), 제 2 면(또는 후면)(310B), 및 제 1 면(310A) 및 제 2 면(310B)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310C)을 포함하는 하우징(3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하우징(310)은, 도 1의 제 1 면(310A), 제 2 면(310B) 및 측면(310C)들 중 일부를 형성하는 구조를 지칭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면(310A)은 적어도 일부분이 실질적으로 투명한 전면 플레이트(302)(예: 다양한 코팅 레이어들을 포함하는 글라스 플레이트, 또는 폴리머 플레이트)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 2 면(310B)은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후면 플레이트(311)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 플레이트(311)는, 예를 들어, 코팅 또는 착색된 유리, 세라믹, 폴리머, 금속(예: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마그네슘), 및/또는 상기 물질들 중 적어도 둘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310C)은, 전면 플레이트(302) 및 후면 플레이트(311)와 결합하며, 금속 및/또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측면 베젤 구조 (또는 "측면 부재")(318)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후면 플레이트(311) 및 측면 베젤 구조(318)는 일체로 형성되고 동일한 물질(예: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302)는, 상기 제 1 면(310A)으로부터 상기 후면 플레이트 쪽으로 휘어져 심리스하게(seamless) 연장된 제 1 영역(310D)을,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긴 엣지(long edge) 양단에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도 3b 참조)에서, 상기 후면 플레이트(311)는, 상기 제 2 면(310B)으로부터 상기 전면 플레이트 쪽으로 휘어져 심리스하게 연장된 제 2 영역(310E)을 긴 엣지 양단에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302) 또는 후면 플레이트(311)가 상기 제 1 영역(310D) 또는 제 2 영역(310E) 중 하나 만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면 플레이트(302)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지 않고, 제 2 면(310B)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편평한 평면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측면에서 볼 때, 측면 베젤 구조(318)는, 상기와 같은 제 1 영역(310D) 또는 제 2 영역(310E)이 포함되지 않는 측면 쪽에서는 제 1 두께(또는 폭)을 가지고, 상기 제 1 영역 또는 제 2 영역을 포함한 측면 쪽에서는 상기 제 1 두께보다 얇은 제 2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디스플레이(301), 입력 장치(303), 음향 출력 장치(307, 314), 센서 모듈(304, 319), 카메라 모듈(305, 312, 313), 키 입력 장치(317-1, 317-2, 317-3), 인디케이터(미도시 됨), 및/또는 커넥터(308, 309)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자 장치(300)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키 입력 장치(317-1, 317-2, 317-3), 또는 인디케이터)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01)는, 예를 들어, 전면 플레이트(302)의 상당 부분을 통하여 노출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면(310A), 및 상기 측면(310C)의 제 1 영역(310D)을 형성하는 전면 플레이트(302)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301)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301)는, 터치 감지 회로, 터치의 세기(압력)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 및/또는 자기장 방식의 스타일러스 펜을 검출하는 디지타이저와 결합되거나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서 모듈(304, 319)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키 입력 장치(317-1, 317-2, 317-3)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영역(310D), 및/또는 상기 제 2 영역(310E)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 장치(303)는, 마이크(303)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입력 장치(303)는 소리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마이크(303)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307, 314)는 스피커들(307, 314)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들(307, 314)은, 외부 스피커(307) 및 통화용 리시버(314)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마이크(303), 스피커들(307, 314) 및 커넥터들(308, 309)은 전자 장치(300)의 상기 공간에 배치되고, 하우징(31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홀을 통하여 외부 환경에 노출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하우징(310)에 형성된 홀은 마이크(303) 및 스피커들(307, 314)을 위하여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음향 출력 장치(307, 314)는 하우징(310)에 형성된 홀이 배제된 채, 동작되는 스피커(예: 피에조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304, 319)은, 전자 장치(300)의 내부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304, 319)은, 예를 들어, 하우징(310)의 제 1 면(310A)에 배치된 제 1 센서 모듈(304)(예: 근접 센서) 및/또는 제 2 센서 모듈(미도시)(예: 지문 센서), 및/또는 상기 하우징(310)의 제 2 면(310B)에 배치된 제 3 센서 모듈(319)(예: HRM 센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문 센서는 하우징(310)의 제 1 면(310A)에 배치될 수 있다. 지문 센서(예: 초음파 방식 또는 광학식 지문 센서)는 제 1 면(310A) 중 디스플레이(301)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 모듈, 예를 들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및/또는 조도 센서(304)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305, 312, 313)은, 전자 장치(300)의 제 1 면(310A)에 배치된 제 1 카메라 장치(305), 및 제 2 면(310B)에 배치된 제 2 카메라 장치(312), 및/또는 플래시(3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들(305, 312)은, 하나 또는 복수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 및/또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래시(313)는,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 또는 제논 램프(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2개 이상의 렌즈들 (광각 및 망원 렌즈) 및 이미지 센서들이 상기 전자 장치(300)의 한 면에 배치될 수 있다.
키 입력 장치(317-1, 317-2, 317-3)는, 하우징(310)의 측면(310C)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300)는 상기 언급된 키 입력 장치(317-1, 317-2, 317-3)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포함되지 않은 키 입력 장치(317-1, 317-2, 317-3)는 디스플레이(301) 상에 소프트 키 등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키 입력 장치(317-1, 317-2, 317-3)는 디스플레이(301)에 포함된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는, 예를 들어, 하우징(310)의 제 1 면(310A)에 배치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300)의 상태 정보를 광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발광 소자는,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305)의 동작과 연동되는 광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는, 예를 들어, LED, IR LED 및 제논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홀(308, 309)은, 외부 전자 장치와 전력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예를 들어, USB 커넥터 또는 IF 모듈(interface connector port 모듈)를 수용할 수 있는 제 1 커넥터 홀(308), 및/또는 외부 전자 장치와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제 2 커넥터 홀(또는 이어폰 잭)(309)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들(305, 312) 중 일부 카메라 모듈(305), 센서 모듈(304, 319)들 중 일부 센서 모듈(304) 또는 인디케이터는 디스플레이(101)를 통해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카메라 모듈(305), 센서 모듈(304) 또는 인디케이터는 전자 장치(300)의 내부 공간에서, 디스플레이(301)의, 전면 플레이트(302)까지 천공된 오프닝을 통해 외부 환경과 접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일부 센서 모듈(304)은 전자 장치의 내부 공간에서 전면 플레이트(302)를 통해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고 그 기능을 수행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301)의, 센서 모듈과 대면하는 영역은 천공된 오프닝이 불필요할 수도 있다.
도 3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3a의 전자 장치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300)는, 측면 부재(310)(예: 측면 베젤 구조), 제 1 지지부재(3111)(예: 브라켓), 전면 플레이트(302), 디스플레이(301)(예: 디스플레이 장치), 인쇄 회로 기판(340), 배터리(350), 제 2 지지부재(360)(예: 리어 케이스), 안테나(370), 및/또는 후면 플레이트(38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300)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제 1 지지부재(3111), 또는 제 2 지지부재(360))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3a 또는 도 3b의 전자 장치(3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제 1 지지부재(3111)는, 전자 장치(300) 내부에 배치되어 측면 베젤 구조(310)와 연결될 수 있거나, 측면 베젤 구조(3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지지부재(3111)는, 예를 들어, 금속 재질 및/또는 비금속 (예: 폴리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지지부재(3111)는, 일면에 디스플레이(301)가 결합되고 타면에 인쇄 회로 기판(340)이 결합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340)에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또는 인터페이스가 장착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 또는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및/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300)를 외부 전자 장치와 전기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USB 커넥터, SD 카드/MMC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350)는 전자 장치(3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또는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350)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340)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350)는 전자 장치(300) 내부에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전자 장치(300)와 탈부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안테나(370)는, 후면 플레이트(380)와 배터리(3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370)는,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안테나, 무선 충전 안테나, 및/또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370)는, 예를 들어, 외부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하거나, 충전에 필요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측면 베젤 구조(310) 및/또는 상기 제 1 지지부재(3111)의 일부 또는 그 조합에 의하여 안테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RF 신호의 신호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400)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또는 도 3a 및 3b에 도시된 전자 장치(300)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400)는 프로세서(410)(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무선 통신 회로(420)(예: 도 1의 통신 모듈(190)), 전원 변조기(supply modulator)(430), 커플러(coupler)(440), 튜너(tuner)(450), 메모리(460)(예: 도 1의 메모리(130)) 및/또는 안테나(4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자 장치(4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 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 무선 통신 회로(420), 전원 변조기(430), 커플러(440), 튜너(450), 및/또는 메모리(460))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메인 프로세서(예: 도 1의 메인 프로세서(121))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예: 도 1의 보조 프로세서(12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회로(420)는 트랜시버(transceiver)(421) 및 프런트 엔드 모듈(FEM, front end module)(42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런트 엔드 모듈(422)은 전력 증폭기(PA, power amplifier)(423), 및/또는 저 잡음 증폭기(LNA, low power amplifier)(42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프런트 엔드 모듈(422)을 기반으로 FDD(frequency division duplexing) 방식 및 TDD(time division duplexing)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트랜시버(421)는 프로세서(4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RF 신호(예: 송신(Tx)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트랜시버(421)는 상기 변환된 RF 신호를 전력 증폭기(PA)(423)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변환된 RF 신호(Tx 신호)는 전력 증폭기(423)를 통해, 증폭될 수 있고, 상기 증폭된 RF 신호(Tx 신호)는 안테나(470)를 통해 다른 전자 장치로 송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안테나(470)를 통해 RF 신호(예: 수신(Rx)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수신된 RF 신호(Rx 신호)는 저 잡음 증폭기로 입력될 수 있다. 상기 RF 신호(Rx 신호)는 저 잡음 증폭기(425)를 통해, 증폭될 수 있고, 상기 증폭된 RF 신호(Rx 신호)는 트랜시버(421)로 송신될 수 있다. 트랜시버(421)는 상기 증폭된 RF 신호(Rx 신호)를 해독 가능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프로세서(410)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증폭기(423)는 트랜시버(421)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예: Tx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다. 전력 증폭기(423)는 전원 변조기(430)로부터 전력(431)을 공급받을 수 있고, 상기 공급된 전력(431)의 전압값을 기반으로 RF 신호(예: Tx 신호)의 증폭률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증폭된 RF 신호(예: Tx 신호)는 안테나(470)로 입력될 수 있고, 상기 안테나(470)를 통해 외부 기지국으로 송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저 잡음 증폭기(425)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예: Rx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0)는 안테나(470)를 통해 RF 신호(예: Rx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수신된 RF 신호(예: Rx 신호)는 저 잡음 증폭기(425)로 입력될 수 있다. 저 잡음 증폭기(425)는 상기 수신된 RF 신호(예: Rx 신호)의 잡음을 최소화하면서, 증폭시킬 수 있고, 상기 증폭된 RF 신호를 트랜시버(421)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 잡음 증폭기(425)는 drain 전압(Vdd)(424)을 공급 받을 수 있고, 상기 RF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증폭기(423)는 전원 변조기(430)를 통해 collector 전압(431)(예: Vcc, voltage of common collector)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잡음 증폭기(425)는 drain 전압(424)(예: Vdd, voltage of drain)을 공급받을 수 있고, drain 전압(424)은 정전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증폭기(423)의 증폭률은 전원 변조기(43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431)(예: collector 전압)의 전압값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변조기(43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431)의 전압값은 RF 신호(예: Tx 신호)의 피크(peak)값을 초과하며, 상기 피크값에 근접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증폭기(423) 및 저 잡음 증폭기(425)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Average power tracking(APT) 기술 및/또는 Envelope tracking(ET)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APT 기술 및/또는 ET 기술은 증폭기에 의해 누설되는 전류를 줄이기 위해 증폭기로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을 결정하는 기술이다. APT 기술 및/또는 ET 기술은 RF 신호의 전압과 상기 증폭기로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과의 마진(margin)을 줄일 수 있다. APT 기술은 RF 신호의 피크(peak) 전압을 기반으로, 상기 피크 전압에 근접한 특정 전압값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특정 전압값을 일정하게 증폭기에 공급할 수 있다. APT 기술은 RF 신호의 최대 피크 값을 기반으로 증폭기에 공급할 전력의 특정 전압값이 결정될 수 있다. ET 기술은 RF 신호의 피크 전압의 변화에 대응하여, 증폭기에 공급할 전력의 전압값이 계속하여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변조기(430)는 프로세서(410)의 제어 하에, 전력 증폭기(423) 또는 저 잡음 증폭기(425)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력 증폭기(423) 또는 저 잡음 증폭기(425)는 상기 공급된 전력을 기반으로 RF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다. 상기 RF 신호의 증폭률은 전원 변조기(43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431)의 전압값(예: Vcc)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RF 신호의 피크값을 기반으로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되는 전력(431)의 전압값(Vcc)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메모리(460)에 저장된 오프셋 테이블(461)을 기반으로,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되는 전력(431)의 전압값(Vcc)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RF 신호(Tx 신호)에 대한 신호 품질이 저하되었음을 감지하면, 프로세서(410)는 전원 변조기(43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어하여,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할 전력(431)의 전압값을 설정된 크기(예: 제 1 오프셋 값)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할 전력(431)의 전압값을 조정하여, RF 신호(예: Tx 신호, 송신 신호, 또는 업링크 신호)에 대한 신호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10)는 신호 품질이 저하되기 전에 대응하는 RF 신호에 대한 신호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플러(440)는 무선 통신 회로(420)와 안테나(47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커플러(44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커플러(440)를 통해 RF 신호(예: Tx 신호)의 ACLR(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10)는 무선 통신 회로(420)에서 안테나(470)로 전송되는 RF 신호(Tx 신호)에서, 파형은 그대로이되, 상기 RF 신호(Tx 신호)의 전력보다 작은 전력을 갖는 커플링 신호(coupling signal)를 추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상기 추출된 커플링 신호를 기반으로 RF 신호(Tx 신호)에 대한 ACLR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튜너(450)는 무선 통신 회로(420)와 안테나(47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튜너(450)는 임피던스(impedence) 튜너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450)는 안테나 매칭용 튜너일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튜너(450)를 사용하여 RF 신호에 대한 신호 품질을 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튜너(450)를 사용하여 RF 신호에 대한 선형적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450)는 안테나(470)와 무선 통신 회로(420) 간의 전기적인 길이(electrical length)(예: capacitance, inductance, resistance)를 조절할 수 있다. 튜너(450)는 안테나(470)와 무선 통신 회로(420) 간의 임피던스 차이에 기반한 반사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RF 신호(예: Tx 신호)에 대한 신호 품질이 저하되는 경우 프로세서(41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튜너(450)를 제어하여, 상기 RF 신호(예: Tx 신호)의 신호 품질 저하를 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튜너(450)는 전자 장치(400)의 구성 요소에서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460)는 RF 신호에 대한 BLER(block error rate) 및/또는 RF 신호에 대한 ACLR(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BLER는 RF 신호(예: Tx 신호)에 대한 선형성을 나타내는 수치이며, BLER가 약 5%를 초과하면, 상기 RF 신호에 대한 선형성이 저하되었음(예: RF 신호에 대한 신호 품질이 저하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460)는 오프셋 테이블(offset table)(461)을 포함하고, 상기 오프셋 테이블(461)을 기반으로 BLER/ACLR 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RF 신호(예: Tx 신호)에 대한 BLER 또는 ACLR 중 하나의 값을 확인하고, 오프셋 테이블(461)을 기반으로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되는 전력(431)의 전압값(예: Vcc)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전원 변조기(430)를 제어하여, 상기 전원 변조기(430)로부터 전력 증폭기(423)에 상기 결정된 전력(431)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470)는 RF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안테나(470)를 이용하여 RF 신호(예: Tx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할 수 있고, 안테나(470)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RF 신호(예: Rx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470)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을 조절하는 동작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a의 제 1 그래프(510) 및 제 2 그래프(520)는 APT(average power tracking) 기술에 기반하여, 전력 증폭기(예: 도 4의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Vcc)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APT 기술에 한정되지 않으며, ET(envelope tracking) 기술에 기반하여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Vcc)이 결정될 수 있다.
도 5a의 제 1 그래프(510)는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Vcc)이 일정한 크기로 공급되는 그래프이다. 프로세서(예: 도 4의 프로세서(410)는 전원 변조기(예: 도 4의 전원 변조기(430))를 제어하여 전력 증폭기(423)로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Vcc)(511)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RF 신호(예: Tx 신호)의 최대 피크(peak)값(예: 피크 전압값, peak1)(501)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최대 피크값(501)을 기반으로 전력 증폭기(423)로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Vcc)(511)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증폭기(423)로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Vcc)(511)은 RF 신호의 최대 피크값(501)을 초과하면서 상기 최대 피크값(501)에 근접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상기 최대 피크값(501)을 기반으로 전압값(Vcc)(511)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증폭기로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이 RF 신호의 최대 피크값보다 낮은 경우 RF 신호의 선형성이 열화될 수 있다. 예컨대, RF 신호에 대한 신호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증폭기로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과 RF 신호의 최대 피크값 간의 마진(margin)(예: 전압값(Vcc)(511)과 최대 피크값(501)과 차이)이 큰 경우 누설되는 전류량이 늘어날 수 있다. 이로 인해, RF 신호에 대한 전력 사용의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RF 신호의 최대 피크값을 초과하면서, RF 신호의 최대 피크값에 대한 마진을 줄여서 전력 증폭기로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RF 신호의 최대 피크값에 대한 마진을 줄여서, 누설되는 전류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a의 제 2 그래프(520)는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Vcc)이 일정한 크기(a)만큼 증가하여 공급되는 그래프이다. 프로세서(410)는 전원 변조기(430)를 제어하여 전력 증폭기(423)로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Vcc+a)(522)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10)는 제1 전압값(Vcc)(511)이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되는 상태에서 RF 신호를 외부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RF 신호는 주변에 위치한 오브젝트(예: 다른 안테나)에 의해 반사될 수 있고, RF 신호의 적어도 일부는 반사파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성된 반사파는 전력 증폭기(423)의 출력 단자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RF 신호의 최대 피크값이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 신호의 피크값이 제1 피크값(peak1)(501)에서 제2 피크값(peak2)(502)으로 증가할 수 있다. RF 신호의 피크값이 전력 증폭기(423)로 공급되는 전력의 제1 전압값(Vcc)(521)을 초과하게 되면, RF 신호에 대한 선형성이 열화될 수 있고, RF 신호에 대한 신호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RF 신호에 대한 신호 품질을 확인하고, 상기 RF 신호에 대한 신호 품질이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전원 변조기(430)로부터 전력 증폭기(423)로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을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RF 신호는 업링크 신호(예: Tx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예: Rx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RF 신호에 대한 지정된 조건은 다운링크 신호에 대한 신호 품질이 유지되는 상황에서 업링크 신호에 대한 신호 품질이 저하되는 조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링크 신호가 외부 장치로 송신될 때, 업링크 신호의 적어도 일부는 주변에 위치한 오브젝트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업링크 신호에 대한 반사파가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링크 신호는 상기 반사파에 의해 피크값(예: 제2 피크값(pesk2)(502))이 증가할 수 있고, 상기 피크값의 증가로 인해 업링크 신호에 대한 신호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상기 지정된 조건(예: 다운링크 신호의 신호품질은 유지되고, 업링크 신호의 신호품질은 저하되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업링크 신호와 관련하여 전력 증폭기(423)로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을 제1 전압값(Vcc)(511)에서 제2 전압값(Vcc+a)(522)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링크 신호에 대한 피크값이 제1 피크값(peak1)(501)에서 제2 피크값(pesk2)(502)으로 증가할 때, 프로세서(410)는 전력 증폭기(423)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1 전압값(Vcc)(511)에서 제2 전압값(Vcc+a)(522)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피크값에 대한 증가폭(a)만큼 전력 증폭기(423)로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이 제1 전압값(Vcc)(511)에서 제2 전압값(Vcc+a)(522)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5a의 제 2 그래프(520)에 도시된 T1-T2 구간(time)에 대응하여,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프로세서(410)는 전력 증폭기(423)로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을 제1 전압값(Vcc)(511)에서 제2 전압값(Vcc+a)(522)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10)는 전력 증폭기(423)에 제1 전압값(Vcc)(511)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제1 전압값(Vcc)(511)을 제2 전압값(Vcc+a)(522)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b의 제 1 그래프(550) 및 제 2 그래프(560)는 ET(envelope tracking) 기술에 기반하여,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Vcc)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b의 제1 그래프(550)는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이 변경되는 그래프이다. 프로세서(410)는 RF 신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피크값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피크값에 대응하여 전력 증폭기(423)로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Vcc)(561)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10)는 RF 신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피크값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피크값을 기반으로 전력 증폭기(423)로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Vcc)(561)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RF 신호(예: Tx 신호)의 전압값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전압값을 기반으로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561)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증폭기(423)로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Vcc)(561)은 RF 신호의 전압값을 초과하면서 상기 전압값에 근접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상기 RF 신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피크값을 기반으로 상기 전력 증폭기(423)로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Vcc)(561)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RF 신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피크값에 대한 마진을 줄여서, 누설되는 전류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b의 제 2 그래프(520)는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Vcc)이 설정된 조건에 따라 변경되는 그래프이다. 프로세서(410)는 전원 변조기(430)를 제어하여 전력 증폭기(423)로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Vcc+a)(572)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10)는 ET 기술에 기반하여, 전원 변조기(423)로부터 전력 증폭기(423)로 제1 전압값(Vcc)(561)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RF 신호를 외부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RF 신호는 주변에 위치한 오브젝트(예: 다른 안테나)에 의해 반사될 수 있고, RF 신호의 적어도 일부는 반사파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성된 반사파는 전력 증폭기(423)의 출력 단자로 유입될 수 있으며, RF 신호의 전압값이 제1 피크값에서 제2 피크값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RF 신호의 전압값이 전력 증폭기(423)로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을 초과하게 되면, RF 신호에 대한 선형성이 열화될 수 있고, RF 신호에 대한 신호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RF 신호에 대한 신호 품질을 확인하고, 상기 RF 신호에 대한 신호 품질이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전원 변조기(430)로부터 전력 증폭기(423)로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을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RF 신호는 업링크 신호(예: Tx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예: Rx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RF 신호에 대한 지정된 조건은 다운링크 신호에 대한 신호 품질이 유지되는 상황에서 업링크 신호에 대한 신호 품질이 저하되는 상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링크 신호가 외부 장치로 송신될 때, 업링크 신호의 적어도 일부는 주변에 위치한 오브젝트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업링크 신호에 대한 반사파가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링크 신호는 상기 반사파에 의해 피크값이 증가할 수 있고, 상기 피크값의 증가로 인해 업링크 신호에 대한 신호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상기 지정된 조건(예: 다운링크 신호의 신호품질은 유지되고, 업링크 신호의 신호품질은 저하되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업링크 신호와 관련하여 전력 증폭기(423)로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을 제1 전압값(Vcc)(561)에서 제2 전압값(Vcc+a)(572)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링크 신호에 대한 피크값이 제1 피크값에서 제2 피크값으로 증가할 때, 프로세서(410)는 전력 증폭기(423)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1 전압값(Vcc)(561)에서 제2 전압값(Vcc+a)(572)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제1 피크값과 제2 피크값의 차이값(a) 만큼 전력 증폭기(423)로 공급되는 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5b의 제 2 그래프(560)에 도시된 T1-T2 구간(time)에 대응하여,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프로세서(410)는 전력 증폭기(423)로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을 제1 전압값(Vcc)(561)에서 제2 전압값(Vcc+a)(572)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10)는 전력 증폭기(423)에 제1 전압값(Vcc)(561)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제1 전압값(Vcc)(561)을 제2 전압값(Vcc+a)(572)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uplink, UL) 신호(Tx 신호)의 신호 품질을 유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동작 601에서, 전자 장치(예: 도 4의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예: 도 4의 프로세서(410))는 업링크 신호(예: Tx 신호, 송신 신호)의 신호 품질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업링크 신호(예: Tx 신호)에 대한 BLER 또는 ACLR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BLER 또는 ACLR을 기반으로 업링크 신호(예: Tx 신호)에 대한 신호 품질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품질을 나타내는 측정 데이터는 BLER 및 ACLR에 한정되지 않는다.
동작 603에서, 프로세서(410)는 다운링크(downlink, DL) 신호(예: Rx 신호, 수신 신호)에 대한 신호 품질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10)는 다운링크 신호(예: Rx 신호)에 대한 선형성을 감지할 수 있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에 대한 선형성을 기반으로 신호 품질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운링크 신호에 대한 선형성이 열화되지 않았다면, 프로세서(410)는 상기 다운링크 신호(예: Rx 신호)에 대한 수신 상태가 양호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무선 통신 상태가 중전계 또는 강전계 상태에서 업링크 신호(예: Tx 신호) 또는 다운링크 신호(예: Rx 신호)에 대한 신호 품질이 양호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동작 601 내지 동작 60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410)는 업링크 신호(Tx 신호)에 대한 신호 품질 및 다운링크 신호(Rx 신호)에 대한 신호 품질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의 수신 상태가 양호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601 및 동작 603의 동작 순서는 한정되지 않으며,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동작 605에서, 프로세서(410)는 업링크 신호(예: Tx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예: Rx 신호)의 신호 품질이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정된 조건은 다운링크 신호(예: Rx 신호)에 대한 통신 상태는 양호하고, 업링크 신호(예: Tx 신호)에 대한 통신 상태는 저하되는 조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업링크 신호(예: Tx 신호)에 대한 신호 품질(예: BLER, ACLR)을 확인하고, 업링크 신호(예: Tx 신호)의 통신 상태가 저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링크 신호(예: Tx 신호)의 BLER이 약 5%를 초과한다면, 업링크 신호(예: Tx 신호)의 신호 품질이 저하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업링크 신호의 통신 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경우 제1 상태일 수 있고, 상기 업링크 신호의 통신 상태가 양호한 경우 제2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다운링크 신호(예: Rx 신호)의 선형성을 확인하고, 다운링크 신호(예: Rx 신호)의 통신 상태가 양호함을 확인할 수 있다. 다운링크 신호의 통신 상태가 양호한 경우 제1 상태일 수 있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통신 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경우 제2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정된 조건은 업링크 신호가 제1 상태(예: 업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이 저하)이며, 다운링크 신호가 제1 상태(예: 다운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이 양호)에 해당하는 조건일 수 있다.
동작 607에서, 프로세서(410)는 전원 변조기(예: 도 4의 전원 변조기(430))로부터 전력 증폭기(예: 도 4의 전력 증폭기(PA)(423))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Vcc)을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업링크 신호(예: Tx 신호)의 신호 품질이 저하되지 않도록 전력 증폭기(PA)(423)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메모리(예: 도 4의 메모리(460))에 저장된 오프셋 테이블(예: 도 4의 offset table(461))을 기반으로 상기 전력의 전압값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1 오프셋 값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오프셋 값은 업링크 신호의 BLER 및 ACLR 값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오프셋 값은 오프셋 테이블(461)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전력 증폭기(PA)(423)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을 상기 확인된 제1 오프셋 값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전원 변조기(430)를 제어하여, 전력 증폭기(423)로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을 상기 제1 오프셋 값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신호(Tx 신호)에 대한 BLER(block error rate)을 기반으로 업링크 신호(Tx 신호)의 신호 품질을 유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동작 701 내지 동작 705에서 업링크(uplink) 신호(예: 제1 신호, Tx 신호)에 대한 신호 품질을 확인할 수 있고, 동작 707에서 다운링크(downlink) 신호(예: 제2 신호, Rx 신호)에 대한 신호 품질을 확인할 수 있다.
동작 701에서, 전자 장치(예: 도 4의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예: 도 4의 프로세서(410))는 안테나(예: 도 4의 안테나(470))를 통해 업링크 신호(예: Tx 신호)를 다른 전자 장치(예: 기지국)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0)와 다른 전자 장치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트랜시버(예: 도 4의 트랜시버(421))를 제어하여 업링크 신호(예: 제1 신호, Tx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트랜시버(421)는 전력 증폭기(예: 도 4의 전력 증폭기(4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전원 변조기(예: 도 4의 전원 변조기(430))를 제어하여 전력 증폭기(423)에 전력(Vcc)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링크 신호(예: 제1 신호, Tx 신호)는 상기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된 전력(Vcc)을 기반으로, 상기 전력 증폭기(423)를 통해 증폭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상기 증폭된 업링크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할 수 있다.
동작 703에서, 프로세서(410)는 상기 송신된 업링크 신호에 대한 ACK(acknowledge) 신호 또는 NACK(negative acknowledge)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CK 신호 또는 NACK 신호는 상기 업링크 신호(Tx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ACK 신호는 상기 업링크 신호(Tx 신호)가 기지국에 정상적으로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일 수 있다. NACK 신호는 상기 업링크 신호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지국에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아, 재신호를 요청하는 신호일 수 있다.
동작 705에서, 프로세서(410)는 상기 수신된 ACK 신호 또는 NACK 신호를 기반으로 업링크 신호에 대한 BLER(block error rate)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은 업링크 신호에 대한 BLER을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측정된 BLER을 ACK 신호 또는 NACK 신호에 포함시켜 전자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상기 수신된 ACK 신호 또는 NACK 신호를 기반으로 업링크 신호에 대한 BLER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ACK 신호 또는 NACK 신호를 기반으로 업링크 신호에 대한 BLER을 계산할 수 있다. BLER은 전송된 전체의 블록 중 에러가 발생한 블록의 비율을 나타내는 수치값일 수 있다. BLER은 % 값일 수 있고, BLER이 크다는 것은 업링크 신호(예: 제2 신호, Tx 신호)의 신호 품질이 저하되었다는 의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이 저하되었다는 것은 전력 증폭기(423)의 선형성이 열화되었다는 의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업링크 신호에 대한 BLER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BLER이 약 5%를 초과하는 경우 업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이 저하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성능이 저하되었음을 판단하는 BLER의 값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업링크 신호가 기지국에 송신될 때, 업링크 신호는 주변에 위치한 오브젝트(예: 안테나, 사물, 및/또는 도전성 부재)에 의해 반사될 수 있고, 반사파가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성된 반사파는 전자 장치(400)의 전력 증폭기(423)에 유입될 수 있고, 업링크 신호에 대한 peak 전압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파에 의해 업링크 신호에 대한 peak 전압이 증가할 수 있고, 상기 peak 전압이 전력 증폭기(423)로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Vcc)을 초과할 수 있다. 업링크 신호에 대한 peak 전압이 전압값(Vcc)를 초과하게 되면, 업링크 신호에 대한 선형성이 열화될 수 있다. 업링크 신호에 대한 선형성이 열화된다는 것은 무선 통신의 성능이 저하된다는 것이고, 업링크 신호에 대한 신호 품질이 저하된다는 것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업링크 신호에 대한 BLER을 확인할 수 있고, 상기 확인된 BLER을 기반으로 업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이 저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707에서,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다운링크(downlink) 신호(예: 제2 신호, Rx 신호)에 대한 수신 상태가 양호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다운링크 신호(예: 제2 신호, Rx 신호)에 대한 수신 상태가 양호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다운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이 저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10)는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통해 전계 상황을 확인할 수 있고, 전계가 좋은 상황이라면 상기 업링크의 선형성이 열화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운링크 신호가 좋고 업링크 품질만 열화되었다면, 프로세서(410)는 업링크 신호가 주변 상황에 의해 신호가 열화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동작 709에서, 프로세서(410)는 업링크 신호(예: 제1 신호, Tx 신호) 및다운링크 신호(예: 제2 신호, Rx 신호)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다운링크 신호를 통해 전계 상황(예: 약전계, 또는 강전계)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정된 조건은 무선 통신 상태가 약전계가 아닌 상태(예: 전계가 좋은 상태)에서, 상기 업링크 신호(예: Tx 신호)에 대한 BLER이 약 5%를 초과하는 조건일 수 있다. 업링크 신호에 대한 BLER이 약 5%를 초과한다는 것은 업링크 신호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의 신호 품질이 저하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정된 조건은 다운링크 신호(예: 제2 신호, Rx 신호)의 신호 품질은 유지되는 상태이고, 업링크 신호(예: 제1 신호, Tx 신호)의 신호 품질은 저하되는 상태에서 BLER이 약 5%를 초과하는 조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정된 조건은 전계가 좋은 상태에서 다운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은 저하되지 않고, 업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만 저하된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정된 조건은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와 같은 채널 환경 인자를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측정된 채널 환경 인자를 기반으로, 현재의 무선 통신 상태를 약전계, 중전계, 및/또는 강전계 중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RSSI는 무선 통신에 의해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나타내는 지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10)는 RSSI가 약 -40이상이면, 현재의 무선 통신 상태가 강전계임을 확인할 수 있고, RSSI가 약 -90미만이면, 현재의 무선 통신 상태가 약전계임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전계는 기지국 근처에서의 무선 통신 상태일 수 있고, RF 신호의 세기가 강한 상태일 수 있다. 약전계는 지하실에서의 무선 통신 상태일 수 있고, RF 신호의 세기가 약한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정된 조건은 강전계 또는 중전계임을 전제로 하는 조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강전계 또는 중전계의 무선 통신 상태에서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709에서,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동작 711에서, 프로세서(410)는 상기 확인된 BLER이 튜너(예: 도 4의 튜너(450))를 사용하여 해소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튜너(450)는 무선 통신 회로(예: 도 4의 무선 통신 회로(420))의 출력 포트와 안테나(예: 도 4의 안테나(47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BLER이 튜너(450)에 의해 해소 가능하다는 것은 튜너(450)를 사용하여 업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을 좋게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업링크 신호에 대한 BLER이 약 5%를 초과할 때, 튜너(450)를 사용하여 업링크 신호에 대한 BLER을 약 5% 미만으로 내릴 수 있다면, 동작 711에서 튜너(450)를 사용하여 업링크 신호에 대한 BLER이 해소 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구성 요소에서 튜너(450)가 제외될 수 있고, 상기 튜너(450)가 제외된 경우 동작 711 및 동작 715는 생략될 수 있다.
동작 711에서, 업링크 신호에 대한 BLER이 튜너를 사용하여 해소될 수 없다면, 동작 713에서 프로세서(410)는 상기 확인된 BLER을 기반으로 전원 변조기(430)로부터 전력 증폭기(예: 도 4의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Vcc)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LER이 클수록 업링크 신호에 대한 선형성이 더 열화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고, 상기 전원 변조기(430)로부터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되는 전력의 증가폭은 커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BLER이 크다는 것은 상기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보다 업링크 신호에 대한 peak 전압이 더 크다는 것이고, 업링크 신호에 대한 선형성이 열화 되었다는 의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업링크 신호에 대한 peak 전압의 상승폭(a)을 기반으로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10)는 업링크 신호의 peak 전압이 제 1 피크값인 경우 상기 제 1 피크값에 대응하여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되는 전력의 제 1 전압값(Vcc)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peak 전압에 따른 제 1 전압값(Vcc)은 미리 설정된 값으로, 메모리(예: 도 4의 메모리(460))의 오프셋 테이블(예: 도 4의 오프셋 테이블(461))에 저장된 값일 수 있다. 업링크 신호의 peak 전압이 제 1 피크값에서 제 2 피크값으로 증가하면, 프로세서(410)는 상기 제 2 피크값에 대응하여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되는 전력의 제 2 전압값(Vcc+a)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전압값(Vcc+a)은 상기 제 1 전압값(Vcc)에 상기 peak 전압의 증가분(예: 제 2 전압값 - 제 1 전압값)(a)만큼 증가한 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peak 전압의 증가분(a)은 메모리(460)의 오프셋 테이블(461)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상기 오프셋 테이블(461)을 기반으로 BLER에 대응하는 peak 전압의 증가분(a)을 로딩할 수 있다. 일 시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제 1 전압값(Vcc) 및 제 2 전압값(Vcc+a)을 기반으로 peak 전압의 증가분(a)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은 업링크 신호에 대한 peak 전압을 초과하면서, 상기 peak 전압에 근접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상기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되는 전압이 상기 peak 전압에 근접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업링크 신호에 대한 BLER 값 및 전원 변조기(430)로부터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을 기반으로 오프셋 테이블(예: 도 4의 오프셋 테이블(offset table)(461))이 설정될 수 있다. 오프셋 테이블(461)은 전자 장치(400)의 메모리(예: 도 4의 메모리(460))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업링크 신호에 대한 BLER 값을 확인하면, 상기 메모리(460)에 저장된 오프셋 테이블(461)을 기반으로 전원 변조기(430)로부터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프셋 테이블(461)은 BLER 값에 대응하여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할 전력의 전압값이 설정된 데이터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전원 변조기(430)로부터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을 설정된 크기만큼 증가시키면서 상기 전력의 전압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10)는 설정된 크기만큼 증가된 전압값을 기반으로 업링크 신호에 대한 BLER을 재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재 확인된 BLER이 지정된 조건(예: 약 5% 미만의 BLER)을 만족할 때까지 설정된 크기만큼 전압값을 재차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재 확인된 BLER이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시점에서의 전압값을 갖는 전력을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할 수 있다.
동작 711에서 BLER이 튜너(450)를 사용하여 해소될 수 있다면, 동작 715에서 프로세서(410)는 튜너(450)를 사용하여 업링크 신호에 대한 BLER을 해소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튜너(450)를 사용하여 업링크 신호에 대한 선형성을 좋게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LER이 약 5%를 초과할 때, 튜너(450)를 사용하여 BLER을 약 5% 미만으로 줄일 수 있다면, 프로세서(410)는 튜너(450)를 사용하여 BLER이 약 5% 미만으로 줄어들도록 업링크 신호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동작 713에서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을 증가시키거나, 동작 715에서 튜너(450)를 사용함으로써, 업링크 신호에 대한 BLER을 해소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업링크 신호에 대한 신호 품질이 저하되었음을 감지하고, 전원 변조기(430)를 제어하여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을 증가시키거나, 튜너(450)를 사용함으로써, 업링크 신호에 대한 신호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신호에 대한 ACLR(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을 기반으로 업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을 유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작 801 내지 동작 803에서 업링크(uplink) 신호(예: 제1 신호, Tx 신호)에 대한 신호 품질을 확인할 수 있고, 동작 805에서 다운링크(downlink) 신호(예: 제2 신호, Rx 신호)에 대한 신호 품질을 확인할 수 있다.
동작 801에서, 전자 장치(예: 도 4의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예: 도 4의 프로세서(410))는 안테나(예: 도 4의 안테나(470))를 통해 업링크 신호(예: Tx 신호)를 다른 전자 장치(예: 기지국)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0)와 다른 전자 장치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트랜시버(예: 도 4의 트랜시버(421))를 제어하여 업링크 신호(예: 제1 신호, Tx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트랜시버(421)는 전력 증폭기(예: 도 4의 전력 증폭기(4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전원 변조기(예: 도 4의 전원 변조기(430))를 제어하여 전력 증폭기(423)에 전력(Vcc)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링크 신호(예: 제1 신호, Tx 신호)는 상기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된 전력(Vcc)을 기반으로, 상기 전력 증폭기(423)를 통해 증폭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상기 증폭된 업링크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할 수 있다.
동작 803에서, 프로세서(410)는 커플러(예: 도 4의 커플러(440))를 통해, 업링크 신호(예: 제1 신호, Tx 신호)에 대한 ACLR(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 인접 채널 누설 비)을 측정할 수 있다. ACLR은 업링크 신호에 대한 선형성을 나타내는 척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ACLR은 업링크 신호에 대한 선형적 특성을 나타내는 수치이며, ACLR로 한정되지 않는다. 선형적 특성을 나타내는 값은 ACLR 및/또는 EVM(error vector magnitude)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링크 신호는 트랜시버(421)로부터 송신되어 전력 증폭기(423)에 의해 증폭될 수 있고, 커플러(440)를 통해 안테나(470)로 전달되어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증폭기(423)는 커플러(4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전력 증폭기(423)에 의해 증폭된 업링크 신호는 커플러(440)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커플러(440)를 통해, 상기 전력 증폭기(423)에 의해 증폭된 업링크 신호에 대한 ACLR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업링크 신호에 대한 ACLR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상기 측정된 ACLR을 기반으로 업링크 신호에 대한 선형성이 열화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링크 신호에 대한 선형성이 열화되었다는 것은 업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예: 무선 통신의 성능)이 저하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동작 805에서,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다운링크 신호(예: 제2 신호, Rx 신호)에 대한 수신 상태가 양호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다운링크 신호(예: 제2 신호, Rx 신호에 대한 수신 상태가 양호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다운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이 저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10)는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통해 전계 상황을 확인할 수 있고, 전계가 좋은 상황이라면 상기 업링크의 선형성이 열화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운링크 신호가 좋고 업링크 품질만 열화되었다면, 프로세서(410)는 업링크 신호가 주변 상황에 의해 신호가 열화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동작 807에서, 프로세서(410)는 업링크 신호(예: 제1 신호, Tx 신호) 및다운링크 신호(예: 제2 신호, Rx 신호)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정된 조건은 무선 통신 상태가 약전계가 아닌 상태에서, 상기 업링크 신호에 대한 ACLR이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조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상기 측정된 ACLR이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측정된 ACLR이 상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은 업링크 신호에 대한 선형성이 열화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고, 업링크 신호에 대한 신호 품질이 저하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정된 조건은 다운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은 유지되는 상태이고, 업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은 저하되는 상태에서 ACLR이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조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정된 조건은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RSSI와 같은 채널 환경 인자를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측정된 채널 환경 인자를 기반으로, 현재의 무선 통신 상태를 약전계, 중전계, 또는 강전계 중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정된 조건은 강전계 또는 중전계임을 전제로 하는 조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강전계 또는 중전계의 무선 통신 상태에서 업링크 신호에 대한 ACLR이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807에서,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동작 809에서, 프로세서(410)는 무선 통신의 성능 저하가 튜너(450)를 사용하여 해소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튜너(450)는 무선 통신 회로(예: 도 4의 무선 통신 회로(420))의 출력 포트와 안테나(예: 도 4의 안테나(47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의 성능 저하가 튜너(450)에 의해 해소 가능하다는 것은 튜너(450)를 사용하여 업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을 좋게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업링크 신호에 대한 ACLR을 설정된 임계값 미만으로 조정 가능하다면, 동작 809에서 튜너(450)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의 성능 저하가 해소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구성 요소에서 튜너(450)가 제외될 수 있고, 상기 튜너(450)가 제외된 경우 동작 809 및 동작 813는 생략될 수 있다.
동작 809에서, 무선 통신의 성능 저하가 튜너에 의해 해소될 수 없다면, 동작 811에서 프로세서(410)는 상기 확인된 ACLR을 기반으로 전원 변조기(430)로부터 전력 증폭기(예: 도 4의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Vcc)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CLR이 클수록 업링크 신호에 대한 선형성이 더 열화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고, 상기 전원 변조기(430)로부터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되는 전력의 증가폭은 커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ACLR이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한다는 것은 상기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보다 업링크 신호에 대한 peak 전압이 더 크다는 것이고, 업링크 신호에 대한 선형성이 열화 되었다는 의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업링크 신호에 대한 peak 전압의 상승폭을 기반으로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은 업링크 신호에 대한 peak 전압을 초과하면서, 상기 peak 전압에 근접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상기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되는 전압이 상기 peak 전압에 근접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업링크 신호에 대한 ACLR 값 및 전원 변조기(430)로부터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을 기반으로 오프셋 테이블(예: 도 4의 오프셋 테이블(offset table)(461))이 설정될 수 있고, 오프셋 테이블(461)은 전자 장치(400)의 메모리(예: 도 4의 메모리(460))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업링크 신호에 대한 ACLR 값을 확인하면, 상기 메모리(460)에 저장된 오프셋 테이블(461)을 기반으로 전원 변조기(430)로부터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전원 변조기(430)로부터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을 설정된 크기만큼 증가시키면서 상기 전력의 전압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10)는 설정된 크기만큼 증가된 전압값을 기반으로 업링크 신호에 대한 ACLR을 재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재 확인된 ACLR이 지정된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설정된 크기만큼 전압값을 재차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재측정된 재 확인된 ACLR이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시점에서의 전압값을 갖는 전력을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할 수 있다.
동작 809에서, 무선 통신의 성능 저하가 튜너(450)에 의해 해소 가능하다면, 동작 813에서, 프로세서(410)는 튜너(450)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의 성능 저하를 해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CLR이 특정 임계값을 초과할 때, 튜너(450)를 사용하여 ACLR을 상기 특정 임계값 미만으로 줄일 수 있다면, 프로세서(410)는 튜너(450)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의 성능 저하를 해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동작 811에서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을 증가시키거나, 동작 813에서 튜너(450)를 사용함으로써, 무선 통신의 성능 저하를 해소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무선 통신의 성능이 저하되었음을 감지하고, 전원 변조기(430)를 제어하여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을 증가시키거나, 튜너(450)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무선 통신의 성능 저하를 해소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와 무선 통신을 하는 기지국은 상기 전자 장치(400)로부터 전송된 업링크 신호에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예: ACK 신호, NACK 신호)를 전자 장치(4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 신호는 전자 장치(400)와 기지국 간의 무선 통신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신호는 전자 장치(400)와 기지국 간에 무선 통신 성능이 저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기지국으로부터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피드백 신호를 기반으로 전력 증폭기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4의 전자 장치(400))는, 트랜시버(예: 도 4의 트랜시버(421)), 상기 트랜시버(421)에 연결되는 전력 증폭기(예: 도 4의 전력 증폭기(423)), 상기 전력 증폭기(423)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변조기(예: 도 4의 전원 변조기(430)), 상기 전력 증폭기(423)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예: 도 4의 안테나(470)), 및 상기 트랜시버(421), 상기 전력 증폭기(423), 및 상기 전원 변조기(430)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도 4의 프로세서(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4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470)를 통해 송신되는 업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1 상태인지 확인하고, 상기 트랜시버(421)로 수신되는 다운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1 상태인지 확인하고, 상기 업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1 상태이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전원 변조기(430)로부터 상기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에 제1 오프셋 값을 추가하도록 상기 전원 변조기(4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업링크 신호가 제1 상태인 것은 상기 업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이 저하된 상태이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가 제 1 상태인 것은 다운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이 양호한 상태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410)는 상기 업링크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응답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 품질과 관련된 BLER(block error rate)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BLER이 특정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BLER이 상기 특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업링크 신호가 상기 제 1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업링크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는 ACK(acknowledge) 신호 또는 NACK(negative acknowledge)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410)는 무선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와 같은 채널 환경 인자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채널 환경 인자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 통신 상태가 강전계 또는 중전계 중 하나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강전계 또는 상기 중전계인 상태에서 상기 업링크 신호의 상태 및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400)는 상기 전력 증폭기(423)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470) 사이에 배치되는 커플러(coupler)(예: 도 4의 커플러(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410)는 상기 커플러(440)를 통해 상기 업링크 신호에 대한 선형적 특성(ACLR(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 및/또는EVM(error vector magnitude))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업링크 신호에 대한 선형적 특성을 기반으로 상기 업링크 신호가 상기 제 1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410)는 상기 확인된 업링크 신호에 대한 선형적 특성이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선형적 특성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업링크 신호가 상기 제1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410)는 상기 확인된 선형적 특성이 상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원 변조기(430)로부터 상기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에 상기 제 1 오프셋 값을 추가하도록 상기 전원 변조기(4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400)는 상기 업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과 관련된 BLER 및 선형적 특성을 기반으로 형성된 오프셋 테이블(offset table)(예: 도 4의 오프셋 테이블(461))을 저장하는 메모리(예: 도 4의 메모리(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410)는 상기 업링크 신호가 상기 제 1 상태인 경우 상기 오프셋 테이블(461)을 기반으로 상기 제 1 오프셋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력 증폭기로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은 상기 업링크 신호의 피크값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410)는 상기 전원 변조기(430)로부터 상기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을 지속적으로 증가시키고, 상기 업링크 신호의 상태가 상기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이 결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업링크 신호가 제 2 상태인 것은 상기 업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이 양호한 상태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400)는, 트랜시버(421), 상기 트랜시버(421)에 연결되는 전력 증폭기(423), 상기 전력 증폭기(423)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변조기(430), 상기 전력 증폭기(423)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470), 상기 전력 증폭기(423)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470) 사이에 배치되는 튜너(450), 및 상기 트랜시버(421), 상기 전력 증폭기(423), 상기 전원 변조기(430), 및 상기 튜너(450)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4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470)를 통해 송신하는 업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1 상태인지 확인하고, 상기 트랜시버(421)로 수신되는 다운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1 상태인지 확인하고, 상기 업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1 상태이고 다운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튜너(450)를 사용하여 상기 업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2 상태로 조정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조정이 가능한 경우 상기 업링크 신호의 상태를 상기 제2 상태로 조정하도록 상기 튜너(45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업링크 신호가 제1 상태인 것은 상기 업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이 저하된 상태이고, 상기 업링크 신호가 제2 상태인 것은 상기 업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이 양호한 상태이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가 제 1 상태인 것은 다운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이 양호한 상태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전자 장치(400)의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470)를 통해 송신하는 업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 1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400)의 트랜시버(421)로 수신되는 다운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 1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업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 1 상태이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상태가 상기 제 1 상태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400)의 전원 변조기(430)로부터 전력 증폭기(423)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에 제 1 오프셋 값을 추가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업링크 신호가 제1 상태인 것은 상기 업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이 저하된 상태이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가 제 1 상태인 것은 다운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이 양호한 상태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업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 1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업링크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동작, 상기 응답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 품질과 관련된 BLER(block error rate)을 확인하는 동작, 상기 확인된 BLER이 특정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된 BLER이 상기 특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업링크 신호가 상기 제 1 상태임을 확인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업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 1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커플러(440)를 통해 상기 업링크 신호에 대한 선형적 특성(ACLR(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 및/또는 EVM(error vector magnitude))을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된 업링크 신호에 대한 선형적 특성을 기반으로 상기 업링크 신호가 상기 제 1 상태임을 확인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무선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와 같은 채널 환경 인자를 측정하는 동작, 및 상기 측정된 채널 환경 인자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 통신 상태가 강전계 또는 중전계 중 하나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업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1 상태이고 다운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1 상태인 경우, 튜너(450)를 사용하여 상기 업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2 상태로 조정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조정이 가능한 경우 상기 업링크 신호의 상태를 상기 제2 상태로 조정하도록 상기 튜너(450)를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400 : 전자 장치 410 : 프로세서
420 : 무선 통신 회로 421 : 트랜시버
422 : 프런트 엔드 모듈(FEM) 423 : 전력 증폭기(PA)
424 : drain 전압 425 : 저 잡음 증폭기(LNA)
430 : 전원 변조기 440 : 커플러
450 : 튜너 460 : 메모리
461 : offset table 470 : 안테나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트랜시버(transceiver);
    상기 트랜시버에 연결되는 전력 증폭기(PA, power amplifier);
    상기 전력 증폭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변조기(supply modulator);
    상기 전력 증폭기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및
    상기 트랜시버, 상기 전력 증폭기, 및 상기 전원 변조기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업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1 상태인지 확인하고,
    상기 트랜시버로 수신되는 다운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1 상태인지 확인하고,
    상기 업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1 상태이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전원 변조기로부터 상기 전력 증폭기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에 제1 오프셋 값을 추가하도록 상기 전원 변조기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신호가 제1 상태인 것은 상기 업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이 저하된 상태이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가 제 1 상태인 것은 다운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이 양호한 상태인 것을 의미하는 전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업링크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응답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 품질과 관련된 BLER(block error rate)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BLER이 특정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BLER이 상기 특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업링크 신호가 상기 제 1 상태임을 확인하는 전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는 ACK(acknowledge) 신호 또는 NACK(negative acknowledge)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무선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와 같은 채널 환경 인자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채널 환경 인자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 통신 상태가 강전계 또는 중전계 중 하나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강전계 또는 상기 중전계인 상태에서 상기 업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 1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증폭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사이에 배치되는 커플러(coupl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커플러를 통해 상기 업링크 신호에 대한 선형적 특성(ACLR(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 및/또는EVM(error vector magnitude))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업링크 신호에 대한 선형적 특성을 기반으로 상기 업링크 신호가 상기 제 1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확인된 업링크 신호에 대한 선형적 특성이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선형적 특성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업링크 신호가 상기 제1 상태임을 확인하는 전자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확인된 선형적 특성이 상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원 변조기로부터 상기 전력 증폭기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에 상기 제 1 오프셋 값을 추가하도록 상기 전원 변조기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과 관련된 BLER 및 선형적 특성을 기반으로 형성된 오프셋 테이블(offset table)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업링크 신호가 상기 제 1 상태인 경우 상기 오프셋 테이블을 기반으로 상기 제 1 오프셋 값을 결정하는 전자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증폭기로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은 상기 업링크 신호의 피크값을 기반으로 결정되는 전자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원 변조기로부터 상기 전력 증폭기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을 지속적으로 증가시키고,
    상기 업링크 신호의 상태가 상기 제 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전력 증폭기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이 결정되는 전자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신호가 제 2 상태인 것은 상기 업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이 양호한 상태인 것을 의미하는 전자 장치.
  13. 전자 장치에 있어서,
    트랜시버(transceiver);
    상기 트랜시버에 연결되는 전력 증폭기(PA, power amplifier);
    상기 전력 증폭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변조기(supply modulator);
    상기 전력 증폭기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상기 전력 증폭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사이에 배치되는 튜너; 및
    상기 트랜시버, 상기 전력 증폭기, 상기 전원 변조기, 및 상기 튜너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업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1 상태인지 확인하고,
    상기 트랜시버로 수신되는 다운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1 상태인지 확인하고,
    상기 업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1 상태이고 다운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튜너를 사용하여 상기 업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2 상태로 조정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조정이 가능한 경우 상기 업링크 신호의 상태를 상기 제2 상태로 조정하도록 상기 튜너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신호가 제1 상태인 것은 상기 업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이 저하된 상태이고, 상기 업링크 신호가 제2 상태인 것은 상기 업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이 양호한 상태이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가 제 1 상태인 것은 다운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이 양호한 상태인 것을 의미하는 전자 장치.
  15. 방법에 있어서,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업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 1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트랜시버로 수신되는 다운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 1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업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 1 상태이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상태가 상기 제 1 상태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전원 변조기로부터 전력 증폭기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에 제 1 오프셋 값을 추가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신호가 제1 상태인 것은 상기 업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이 저하된 상태이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가 제 1 상태인 것은 다운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이 양호한 상태인 것을 의미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 1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업링크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동작;
    상기 응답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 품질과 관련된 BLER(block error rate)을 확인하는 동작;
    상기 확인된 BLER이 특정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된 BLER이 상기 특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업링크 신호가 상기 제 1 상태임을 확인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 1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커플러를 통해 상기 업링크 신호에 대한 선형적 특성(ACLR(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 및/또는 EVM(error vector magnitude))을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된 업링크 신호에 대한 선형적 특성을 기반으로 상기 업링크 신호가 상기 제 1 상태임을 확인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무선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와 같은 채널 환경 인자를 측정하는 동작; 및
    상기 측정된 채널 환경 인자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 통신 상태가 강전계 또는 중전계 중 하나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1 상태이고 다운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1 상태인 경우, 튜너를 사용하여 상기 업링크 신호의 상태가 제2 상태로 조정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조정이 가능한 경우 상기 업링크 신호의 상태를 상기 제2 상태로 조정하도록 상기 튜너를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90101756A 2019-08-20 2019-08-20 전송 신호의 성능을 유지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2021002235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756A KR20210022351A (ko) 2019-08-20 2019-08-20 전송 신호의 성능을 유지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PCT/KR2020/010846 WO2021034030A1 (ko) 2019-08-20 2020-08-14 전송 신호의 성능을 유지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US17/673,102 US20220173762A1 (en) 2019-08-20 2022-02-16 Method for maintaining performance of transmission signal, an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756A KR20210022351A (ko) 2019-08-20 2019-08-20 전송 신호의 성능을 유지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351A true KR20210022351A (ko) 2021-03-03

Family

ID=74660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756A KR20210022351A (ko) 2019-08-20 2019-08-20 전송 신호의 성능을 유지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173762A1 (ko)
KR (1) KR20210022351A (ko)
WO (1) WO20210340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3963A1 (en) * 2022-02-11 2023-08-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figuration of transmitter circuitry
CN114650073B (zh) * 2022-04-15 2023-05-16 成都信息工程大学 一种射频接收机的线性化校正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16667B2 (en) * 2007-06-29 2011-03-29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for detecting RF link imbalan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9420395B1 (en) * 2009-11-20 2016-08-16 Qorvo Us, Inc. UE antenna tuner control via node-B inner power control loop
US8554259B2 (en) * 2009-12-14 2013-10-08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to improve the robustness of a wireless communication link
TWI562658B (en) * 2012-10-10 2016-12-11 Apple Inc Triggering cell transition in an uplink power limited condition
KR20170012128A (ko) * 2015-07-24 201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송파 집적 방식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34030A1 (ko) 2021-02-25
US20220173762A1 (en)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1822B1 (ko) 커넥터와 전기적 경로 사이의 연결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183747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module
KR20210034994A (ko) 안테나 모듈의 다이렉터를 이용한 그립 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US11223375B2 (en) Electronic device and antenna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KR102556360B1 (ko) 제어 정보 에 기반하여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02619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5G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US11191032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tenna and power backoff control method for the electronic device
US20220085517A1 (en) Electronic device for identifying performance of communication circuit based on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via antenna
US20220173762A1 (en) Method for maintaining performance of transmission signal, an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same
US20220102869A1 (en)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KR102622026B1 (ko) 안테나 임피던스를 매칭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39787B1 (ko) 안테나의 위상을 스윕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20190061347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통신 장치 캘리브레이션 방법
KR20220023160A (ko)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전력 백 오프 제어 방법
KR102598697B1 (ko) 외부 물체의 위치 및 접촉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102464946B1 (ko) 안테나에 대한 반사계수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10017157A (ko) 다중 연결 환경에서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전자 장치
KR20190091605A (ko) 안테나의 위상을 스윕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102581844B1 (ko) 안테나에 의하여 측정되는 값을 보상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KR102604474B1 (ko)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17235A (ko) 통신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00093938A (ko) 안테나의 임피던스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10033842A (ko)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US20230239018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tenna
KR20240006403A (ko)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