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2280A - 기계학습 기반 모바일 광고 효과 증진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기계학습 기반 모바일 광고 효과 증진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2280A
KR20210022280A KR1020190101532A KR20190101532A KR20210022280A KR 20210022280 A KR20210022280 A KR 20210022280A KR 1020190101532 A KR1020190101532 A KR 1020190101532A KR 20190101532 A KR20190101532 A KR 20190101532A KR 20210022280 A KR20210022280 A KR 20210022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dvertisement
user
bidd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현서
오덕순
조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몰로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몰로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몰로코
Priority to KR1020190101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2280A/ko
Publication of KR20210022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22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정보 없이 사용자 성향에 맞는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입찰 대상 단말기로부터 비식별화 단말기 코드 및 입찰 대상 단말기에서 광고가 표시될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하는 복수의 공급측 플랫폼, 광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광고 정보를 대상으로 기계학습을 수행하여, 광고의 효과를 예측하고, 광고주로부터 광고 정보 및 광고 정보에 관한 입찰 가격을 결정하여 입찰참가 정보를 생성하는 복수의 수요측 플랫폼, 복수의 공급측 플랫폼으로부터 비식별화 단말기 코드 및 입찰 대상 단말기에서 광고가 표시될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한 입찰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복수의 수요측 플랫폼에 전송하고, 복수의 수요측 플랫폼으로부터 입찰 참가 정보를 수신하여 경매를 통해 입찰 참가 정보 중 하나에 대응되는 수요측 플랫폼을 입찰 대상 단말기에 광고를 게재할 수요측 플랫폼으로 선정하는 광고 경매 플랫폼을 포함하는 모바일 광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계학습 기반 모바일 광고 효과 증진 시스템 및 그 방법 {A system for improving performance of mobile advertising by machine-learning}
본 발명은 기계학습 기반 모바일 광고 효과 증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정보 없이 사용자 성향에 맞는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에 대한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결합에 의해 탄생된 무선인터넷의 등장으로 모바일 광고는 주목을 받고 있다. 사용자 단말기에 광고를 제공하는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광고주는 보다 더 많은 광고 비용을 지불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합한 광고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85065호, "실시간 광고 경매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실시간 광고 경매 서비스를 이용한 네이티브 광고 제공 방법 및 장치"는 모바일 서비스 환경에서 실시간 경매 서비스를 이용하여 광고주가 원하는 광고 매체에서 요구하는 알맞은 형태로 광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 개인정보 보호가 이슈가 되면서, 광고 경매를 위해서 제공되는 정보가 비식별화된 단말 식별자 정보 등으로 제한되어 광고를 표시할 단말기의 사용자 성향 등을 확인할 수 없어, 종래기술에서는 사용자 성향을 고려하지 않고 입찰에 참가하고 있어, 광고 효과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모바일 광고를 제공함에 있어 비식별화된 정보만을 이용하여서도 사용자의 성향 정보를 판단하여 사용자 성향에 맞는 광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85065호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성향에 맞는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광고 시스템은 입찰 대상 단말기로부터 입찰 대상 단말기로부터 비식별화 단말기 코드 및 입찰 대상 단말기에서 광고가 표시될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하는 복수의 공급측 플랫폼, 광고주로부터 광고 정보 및 광고 정보에 관한 입찰 가격을 결정하여 입찰참가 정보를 생성하는 복수의 수요측 플랫폼, 상기 복수의 공급측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비식별화 단말기 코드 및 입찰 대상 단말기에서 광고가 표시될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한 입찰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수요측 플랫폼에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수요측 플랫폼으로부터 입찰 참가 정보를 수신하여 경매를 통해 상기 입찰 참가 정보 중 하나에 대응되는 수요측 플랫폼을 상기 입찰 대상 단말기에 광고를 게재할 수요측 플랫폼으로 선정하는 광고 경매 플랫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성향에 맞는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광고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광고 시스템을 통한 광고 효과 증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광고 시스템에서 시간 누적에 따른 광고효과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구체적인 수치는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에 의하여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광고 제공을 위한 입찰참가 시스템은 중앙처리장치(CPU) 및 메모리(Memory, 기억장치)를 구비하고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하여 다른 단말기와 연결 가능한 서버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중앙처리장치 및 메모리 등의 구성에 의해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더 탐색 시스템은 물리적으로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복수의 장치에 분산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어,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물리적인 장치의 구성에 의하여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광고는 잠재적인 소비자에게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구입 방법을 알리기 위해 이루어지는 활동으로 최근에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그 어플리케이션의 광고가 표시될 공간이 제공되고 그 공간에 광고를 입찰하여 제공하는 형태로 광고를 제공하고 있다. 광고주가 광고할 수 있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입찰 대상 단말기라고 한다면, 사용자가 입찰 대상 단말기를 통해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에는 광고가 표시될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입찰 대상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광고가 표시될 공간이 단말기에 표시되면 공급측 플랫폼(230)은 광고가 표시될 입찰 대상 단말기의 위한 비식별화 코드와 입찰 대상 단말기에서 광고가 표시될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하고 광고 경매 플랫폼(220)에 입찰 대상 단말기가 있다는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광고 경매 플랫폼(220)은 공급측 플랫폼(230)에서 수신한 정보를 수요측 플랫폼(210)에 송신할 수 있으며, 수요측 플랫폼(210)은 광고 경매 플랫폼(220)에서 수신한 정보와 광고주로부터 수신한 광고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성향을 계산하여 광고 정보에 관한 입찰 가격을 결정하여 입찰 참가 정보를 광고 경매시스템에 송신할 수 있다. 광고 경매시스템은 수요측 플랫폼(210)으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입찰 참가 정보를 대상으로 경매를 실시하여 경매에서 낙찰된 광고를 공급측 플랫폼(230)에 송신하고, 공급측 플랫폼(230)은 수신한 낙찰된 광고를 입찰 대상 단말기에 제공하면 입찰 대상 단말기를 통해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에는 광고가 표시될 공간에 광고가 표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광고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광고 시스템은 공급측 플랫폼(230), 수요측 플랫폼(210), 광고 경매 플랫폼(22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물리적으로 동일한 컴퓨터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일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 2개 이상으로 분리된 컴퓨터 시스템이 서로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형태일 수 있는데, 동일한 기능을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형태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공급측 플랫폼(230)은 입찰 대상 단말기로부터 비식별화 단말기 코드 및 입찰 대상 단말기에서 광고가 표시될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한다.
공급측 플랫폼(230)은 입찰 대상 단말기로부터 비식별화 단말기 코드 및 입찰 대상 단말기에서 광고가 표시될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광고 경매 플랫폼(220)에 송신할 수 있다.
수요측 플랫폼(210)은 광고주로부터 광고 정보 및 광고 정보에 관한 입찰 가격을 결정하여 입찰참가 정보를 생성한다.
수요측 플랫폼(210)은 입찰 참가 시스템으로써 광고 정보 및 광고 정보에 관한 입찰 가격을 결정하여 입찰참가 정보를 생성한다.
광고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광고 경매 플랫폼(220)을 통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광고에 관한 광고 정보를 저장한다.
광고 경매 플랫폼(220)은 복수의 입찰 참가 정보를 수신하여 복수의 입찰 참가 정보 중 하나를 입찰 대상 단말기에 제공하기 위해 경매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광고에 관한 광고 정보는 광고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며, 광고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될 광고 콘텐츠, 광고 경매 플랫폼(220)에서 입찰할 수 있는 입찰 가격이 포함될 수 있다.
입찰요청 수신부는 광고 경매 플랫폼(220)으로부터 입찰 대상 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한 비식별화 단말 코드 및 입찰 대상 단말기에서 광고가 표시될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한 입찰요청 정보를 수신한다.
입찰 대상 단말기는 사용자 사용하는 모바일 단말기 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는 광고 표시 공간이 제공된다. 광고 표시 공간에 광고를 표시할 사용자 단말기는 입찰 대상 단말기 일 수 있다. 입찰 대상 단말기는 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한 비식별화 단말 코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비식별화 단말 코드는 입찰 대상 단말기에 대한 정보는 포함하지 않고 단지 광고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해 제공된 코드 일 수 있다. 광고가 표시될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사용자가 실행한 어플리케이션의 이름, 분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찰요청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에 광고 표시 공간이 구비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광고 표시 공간이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노출되는 시점에 광고가 제공되기 위해서 실행될 수 있다. 입찰요청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광고 표시 공간이 노출되는 시점에 제공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입찰요청 정보는 입찰 대상 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한 비식별화 단말 코드 및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입찰요청은 또한, 입찰할 단말기에 관한 단말기 정보, 단말기가 가입된 통신사에 관한 통신사 정보, 입찰시의 지역에 관한 지역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입찰 요청 수신부에서 수신한 입찰요청 정보에 포함된 비식별화 단말 코드 및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한다.
사용자의 단말기를 식별할 수 있는 비식별화 단말 코드에 사용자가 실행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대응시켜 사용자 단말기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D-01이라는 비식별화 단말 코드가 부여된 사용자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 A가 실행되면 사용자 단말기 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AD-01-어플리케이션 A'가 저장될 수 있고, 이후에 AD-01 사용자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 B가 실행되면 사용자 단말기 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AD-01-어플리케이션 B'가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식별화 단말 코드 AD-01가 부여된 사용자 단말기에는 어플리케이션 A와 어플리케이션 B가 실행되었다는 정보인 과거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입찰요청 수신부에서 입찰요청을 수신한 시간에 대한 정보를 비식별화 단말 코드 및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응시켜 저장한다.
사용자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는 광고 표시 공간이 존재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기에 광고 표시 공간이 노출되면 입찰요청 수신부에 입찰이 요청되고 입찰요청을 수신한 시간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에서 광고 표시 공간을 포함한 어플리케이션 A를 실행시키고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광고 표시 공간이 노출되는 시점에 사용자는 입찰을 요청하고, 입찰요청 수신부는 입찰요청 정보를 수신한다. 입찰요청이 수신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의 비식별화 단말 코드 및 어플리케이션 A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입찰참가 정보 생성부는 사용자 단말기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비식별화 단말 코드에 대응되는 과거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과거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기초로 광고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광고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하고, 광고 정보에 관한 입찰 가격을 결정하여, 입찰참가 정보를 생성한다.
사용자 단말기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의 비식별화 단말 코드에 대응되는 과거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확인하여 과거에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어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식별화 단말 코드 AD-01를 가진 사용자 단말기는 과거에 게임 어플리케이션인 어플리케이션 A와 어플리케이션 B를 실행한 이력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 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한 입찰요청에 포함되는 입찰할 단말기에 관한 단말기 정보, 단말기가 가입된 통신사에 관한 통신사 정보, 입찰시의 지역에 관한 지역정보 등을 상기 비식별화 단말 코드에 대응시켜 저장함으로써, 단말기에 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한 과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기초로 광고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광고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광고 정보에 관한 입찰 가격을 결정할 수 있다.
입찰 참가 정보는 광고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된 광고주가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광고 정보와 선택된 광고 정보에 관한 입찰 가격에 대한 정보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식별화 단말 코드 AD-01를 가진 사용자 단말기는 과거에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이력이 있다는 정보를 기초로 광고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게임관련 광고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입찰참가 정보 생성부는 게임관련 광고 정보에 관한 입찰 가격 1000원으로 결정하여 입찰참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입찰참가 정보 생성부는 성향 분석 로직을 이용하여, 확인된 과거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기초로 비식별화 단말 코드에 대응되는 사용자 성향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자 성향 정보를 기초로 광고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한다.
성향 분석 로직은 사용자의 성향을 분석하기 위한 논리적인 이론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과거에 실행했던 과거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성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들 들면, 비식별과 단말코드 AD-01을 가진 사용자 단말기는 과거에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이력이 있다는 과거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성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과거에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했다는 사용자의 성향 정보를 기초로 광고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복수의 게임 관련 광고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입찰참가 정보 생성부는 확인된 과거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기초로 비식별화 단말 코드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포트폴리오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어플리케이션 포트폴리오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성향 정보를 생성한다.
입찰참가 정보 생성부는 어플리케이션 포트폴리오 정보는 과거에 사용자가 실행 또는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기초로 그룹화 하여 어플리케이션 포트폴리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포트폴리오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성향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성향정보로 광고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식별화 단말 코드 AD-01를 가진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된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비율 50%, 쇼핑몰 어플리케이션 비율 20%, 여행 어플리케이션의 비율 10% 등의 비율을 계산하여 어플리케이션 포트폴리오 정보를 생성한다. 그 중 비율이 가장 높은 게임 관련 어플리케이션은 퍼즐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비율이 50%, 전쟁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비율 20%로 보다 세부적인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을 기초로 사용자가 게임을 선호하는 성향이 있다는 사용자 성향 정보 또는 퍼즐 게임을 선호한다는 사용자 성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퍼즐 게임을 선호한다는 사용자 성향 정보를 기초로 광고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퍼즐 관련 게임 어플리케이션 광고를 선택할 수 있다.
입찰참가 정보 생성부는 사용자 단말기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비식별화 단말 코드에 대응되는 과거의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입찰요청을 수신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과거의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입찰요청 수신한 시간을 기초로 사용자 성향 정보를 생성한다.
과거에 사용자가 실행한 어플리케이션 정보와 입찰요청을 수신한 시간을 기초로 사용자 성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입찰요청을 수신한 시간과 과거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활동 시간 및 사용자가 주로 광고에 노출될 수 있는 시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사용자의 성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식별화 단말 코드 AD-02를 가진 사용자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과거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쇼핑몰 어플리케이션, 메이크업 어플리케이션, 구두 쇼핑몰 어플리케이션을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입찰요청을 수신한 시간은 대부분 평일 AM 7:30에서 AM 8:30분 사이와 PM 6:10에서 PM 7:10 사이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과거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통해서 패션에 관심이 많다는 사용자 성향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입찰요청을 수신한 시간을 기초로 통근시간이 한시간 정도 소요되는 직장인이라는 사용자 성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두개의 사용자 성향 정보를 기초로 비식별화 단말 코드 AD-02를 가진 사용자 단말기는 패션에 관심이 많은 직장인이라는 사용자 성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입찰참가 정보 생성부는 사용자 단말기 정보 데이터베이스(230)를 조회하여 비식별화 단말 코드에 대응하는 입찰할 단말기에 관한 단말기 정보, 단말기가 가입된 통신사에 관한 통신사 정보, 입찰시의 지역에 관한 지역정보 등을 확인하고, 이를 기초로 입찰참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입찰참가 정보 송신부는 입찰참가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입찰참가 정보를 광고 경매 플랫폼(220)으로 송신한다.
입찰참가 정보 송신부는 입찰참가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입찰참 정보를 광고 경매 플랫폼(220)에 송신하면 입찰참가 정보로 광고 경매 플랫폼(220)에 참가할 수 있다. 광고 경매 플랫폼(220)은 송신한 입찰참가 정보에 대한 낙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광고 효과 정보 저장부는 광고 경매 플랫폼(220)으로부터 송신한 입찰참가 정보에 대한 낙찰 여부를 수신하고, 낙찰된 입찰참가 정보에 포함된 광고 정보에 대응되는 광고주로부터 광고 정보가 표시된 단말기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비식별화 단말 코드에 대응시켜 저장한다.
낙찰 여부는 입찰 참가 송신부에서 송신한 입찰참가 정보에 대한 입찰이 낙찰되었는지 여부일 수 있으며, 광고 효과 정보 저장부는 광고 경매 플랫폼(220)으로부터 수신한 낙찰 여부가 포함된 정보 중에서 낙찰된 입찰참가 정보와 광고 정보를 대응하고 그 대응된 정보와 비식별화 단말 코드를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입찰참가 정보 송신부에서 송신한 입찰참가 정보가 낙찰되었다면 사용자 단말기는 광고주가 제공한 광고 콘텐츠를 포함한 광고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광고를 제공받은 사용자는 그 광고를 클릭하거나 제공받은 광고를 통해 물건을 구매하는 등의 행위를 할 수 있으며, 광고 클릭, 광고를 통한 구매, 광고를 통한 어플리케이션 설치 등이 실행되면 광고의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광고의 효과가 발생하게 되면 광고주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광고주는 광고 효과가 발생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의 연령, 직업, 관심사 등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광고주가 제공한 광고를 설치 또는 이용할 때 제공한 정보일 수 있다.
광고 효과 정보 저장부는 낙찰된 입찰참가 정보와 대응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해당 광고 정보의 광고주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으며, 광고주로부터 수신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비식별화 단말 정보와 대응하여 저장할 수 있다.
광고 효과 정보 저장부는 광고 경매 플랫폼(220)으로부터 송신한 입찰참가 정보에 대한 낙찰 여부를 수신하고, 낙찰된 입찰참가 정보에 포함된 광고 정보에 대응되는 광고주로부터 광고의 효과 정보를 수신하여 비식별화 단말 코드에 대응시켜 저장한다.
낙찰 여부는 입찰 참가 송신부에서 송신한 입찰참가 정보에 대한 입찰이 낙찰되었는지 여부일 수 있으며, 광고 효과 정보 저장부는 광고 경매 플랫폼(220)으로부터 수신한 낙찰 여부가 포함된 정보 중에서 낙찰된 입찰참가 정보와 광고 정보를 대응하고 그 대응된 정보와 비식별화 단말 코드를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입찰참가 정보 송신부에서 송신한 입찰참가 정보가 낙찰되었다면 사용자 단말기는 광고주가 제공한 광고 콘텐츠를 포함한 광고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광고를 제공받은 사용자는 그 광고를 클릭하거나 제공받은 광고를 통해 물건을 구매하는 등의 행위를 할 수 있으며, 광고 클릭, 광고를 통한 구매, 광고를 통한 어플리케이션 설치 등이 실행되면 광고의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광고의 효과가 발생하게 되면 광고주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광고주는 광고 효과가 발생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광고 효과 저장부는 광고 경매 플랫폼(220)에서 낙찰된 입찰참가 정보를 기준으로 입찰참가 정보에 포함된 광고 정보에 대응되는 광고주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광고 효과 저장부는 비식별화 단말 코드에 대응 광고 효과가 높은지 낮은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비식별화 단말 코드별로 광고 정보에 대한 광고 효과 또는 광고 성공률을 비율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식별화 단말 코드 AD-03를 가진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되는 입찰 참가 정보 중 낙찰된 입찰 참가 정보는 광고 A, 광고 B, 광고 C, 광고 D이며, 광고 A, 광고 B, 광고 C, 광고 D의 광고주로부터 비식별화 단말 코드 AD-03의 광고가 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수신받을 수 있다. 광고주로부터 수신받은 결과와 비식별화 단말 코드를 대응시켜 저장한 결과 비식별화 단말 코드 AD-03의 광고 효과는 광고 A는 높음, 광고 B와 광고 C는 낮음, 광고 D는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용자별 광고별 광고 효과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광고 효과 저장부는 광고 경매 플랫폼(220)에서 낙찰된 입찰참가 정보를 기준으로 입찰참가 정보에 포함된 광고 정보에 대응되는 광고주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각각 광고 정보에 대하여 구체적인 광고 효과를 저장할 수 있다. 클릭 여부, 설치 여부, 설치 후에 구매로 이어졌는지 여부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식별화 단말코드가 사용자 7의 경우 광고 경매 플랫폼(220)에서 낙찰된 광고가 광고 A, 광고 B, 광고 C, 광고 D, 광고 E, 광고 F라고 한다면 각각의 광고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광고 주로부터 광고 효과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7에 대하여 광고 A는 클릭만 하였으며, 광고 B와 광고 F는 설치, 광고 C와 광고 E는 클릭도 하지 않았으며, 광고 D는 구매까지 이어졌는 광고 효과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7과 대응하여 저장할 수 있다.
광고 효과 정보 저장부는 광고 경매 플랫폼(220)으로부터 송신한 입찰참가 정보에 대한 낙찰 여부를 수신하고, 낙찰된 입찰참가 정보에 포함된 광고 정보에 대응되는 광고주로부터 광고의 효과 정보를 수신하여 비식별화 단말 코드에 대응시켜 저장한다.
광고 효과 정보 저장부는 광고 경매 플랫폼(220)으로부터 입찰 참가 정보에 대한 낙찰 여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입찰 참가 정보에 포함된 광고 정보를 제공하는 광고주로부터 광고 효과를 수신할 수 있다. 광고 경매 플랫폼(220)으로부 수신한 낙찰 여부와 광고주로부터 수신한 광고 효과를 기반으로 비식별화 코드별 광고별 광고 효과 또는 광고 성공률을 확인할 수 있다.
입찰참가 정보 생성부는 광고 효과 저장부에서 비식별화 단말 코드에 대응되는 광고 효과 정보를 확인하여 광고 정보에 대한 입찰 가격을 결정한다.
광고 효과 저장부는 비식별화 단말 코드에 대응되는 광고 효과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입찰참가 정보 생성부는 광고 효과 정보별로 광고 정보에 대한 입찰 가격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고 효과가 높은 비식별과 단말 코드의 경우 높은 입찰 가격이 결정될 수 있으며, 광고 효과가 낮은 비식별화 단말 코드의 경우 낮은 입찰 가격이 결정될 수 있다.
성향 분석 로직 조정부는 광고 효과 정보 저장부에서 각 비식별화 단말 코드별로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여, 성향 분석 로직을 조정한다.
성향 분석 로직 조정부는 광고 효과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각 비식별화 단말 코드별로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광고주가 제공한 사용자에 관한 정보와 입찰참가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한 사용자 성향 정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광고주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에 관한 정보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식별화 단말 코드 AD-04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많이 이용하는 사용자 성향이라고 성향 분석 로직을 이용하여 사용자 성향 정보가 생성되었지만, 광고 효과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비식별화 단말 코드 AD-04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는 쇼핑몰을 많이 이용한다는 정보가 확인된다면 성향 분석 로직 조정부는 비식별화 단말 코드 AD-04는 쇼핑몰을 많이 이용하는 사용자 성향 정보로 조정할 수 있다.
성향 분석 로직 조정부는 광고 효과 정보 저장부에서 각 비식별화 단말 코드별로 광고의 효과 정보 확인하여, 성향 분석 로직을 조정한다.
성향 분석 로직 조정부는 광고 효과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각 비식별화 단말 코드별로 광고의 효과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된 정보가 적절하지 않을 경우 성향 분석 로직을 조정할 수 있다. 적절하지 않을 경우라고 판단되는 경우 광고의 효과가 낮은 경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식별화 단말 코드 AD-03를 가진 사용자 단말기별 광고 정보별 광고의 효과는 광고 A는 높음, 광고 B와 광고 C는 낮음, 광고 D는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광고 효과가 낮은 광고 정보인 광고 B와 광고 C에 해당하는 광고는 비식별화 단말 코드 AD-03와는 성향이 맞지 않은 정보로 판단될 수 있다. 성향 분석 로직 조정부는 광고 B와 광고 C를 제공하기 위해 적용되었던 사용자 성향 정보를 조정할 수 있다.
성향 분석 로직 조정부는 광고 효과 정보 저장보에 저장된 각 비식별화 단말 코드별로 광고의 효과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각각의 광고주로부터 제공된 광고 효과를 종합하여 하나의 비식별화 단말 코드의 광고 효과율을 계산하여 성향 분석 로직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식별화 단말 코드 AD-04의 경우 낙찰받은 광고 정보 6개 중 클릭이 이루어지지 않은 광고가 4개, 클릭이 이루어진 광고는 1개, 설치까지만 이루어진 광고가 1개라고 한다면 비식별화 단말 코드 AD-04에 제공된 6개의 광고 중 구매로 이어진 광고는 하나도 없기 때문에 성향 분석 로직 조정부에서 광고 효과가 낮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성향 분석 로직을 조정할 수 있다.
광고 경매 플랫폼(220)은 복수의 공급측 플랫폼(230)으로부터 비식별화 단말기 코드 및 입찰 대상 단말기에서 광고가 표시될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한 입찰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복수의 수요측 플랫폼(210)에 전송하고, 복수의 수요측 플랫폼(210)으로부터 입찰 참가 정보를 수신하여 경매를 통해 입찰 참가 정보 중 하나에 대응되는 수요측 플랫폼(210)을 입찰 대상 단말기에 광고를 게재할 수요측 플랫폼(210)으로 선정한다.
광고 경매 플랫폼(220)은 복수의 공급측 플랫폼(230)으로부터 비식별화 단말기 코드 및 입찰 대상 단말기에서 광고가 표시될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한 입찰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복수의 수요측 플랫폼(210)에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수요측 플랫폼(210)은 광고 경매 플랫폼(220)에 광고주로부터 수신한 입찰 참가 정보를 수신하여 경매를 통해 입찰 대상 단말기에 제공할 광고가 선정될 수 있다. 선정된 광고 정보는 수요측 플랫폼(210)으로 전송하여 수요측 플랫폼(210)은 입찰 대상 단말기에 광고가 게시될 수 있도록 광고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광고 시스템을 통한 광고 효과 증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광고 시스템은 머신러닝을 통해 설치(Install) 전환 예측 정확도를 높이고, 전환 확률이 높은 유저들에게 광고를 노출시키며, 그에 대한 노출 및 클릭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보하고, 트래커를 통해 Install 및 In-app event 데이터를 확인하여 예측모델을 강화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광고 시스템에서 시간 누적에 따른 광고효과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출/클릭 데이터와 설치 데이터 등을 통해 예측모델을 강화함으로써,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데이터가 누적되고 모델이 진화하여 앱 내 이벤트에 대한 최적화가 진행되므로, 광고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210: 수요측 플랫폼
220: 광고 경매 플랫폼
230: 공급측 플랫폼

Claims (1)

  1. 입찰 대상 단말기로부터 비식별화 단말기 코드 및 입찰 대상 단말기에서 광고가 표시될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하는 복수의 공급측 플랫폼;
    광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광고 정보를 대상으로 기계학습을 수행하여, 광고의 효과를 예측하고, 광고주로부터 광고 정보 및 광고 정보에 관한 입찰 가격을 결정하여 입찰참가 정보를 생성하는 복수의 수요측 플랫폼;
    상기 복수의 공급측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비식별화 단말기 코드 및 입찰 대상 단말기에서 광고가 표시될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한 입찰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수요측 플랫폼에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수요측 플랫폼으로부터 입찰 참가 정보를 수신하여 경매를 통해 상기 입찰 참가 정보 중 하나에 대응되는 수요측 플랫폼을 상기 입찰 대상 단말기에 광고를 게재할 수요측 플랫폼으로 선정하는 광고 경매 플랫폼;
    을 포함하는 모바일 광고 시스템.
KR1020190101532A 2019-08-20 2019-08-20 기계학습 기반 모바일 광고 효과 증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222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532A KR20210022280A (ko) 2019-08-20 2019-08-20 기계학습 기반 모바일 광고 효과 증진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532A KR20210022280A (ko) 2019-08-20 2019-08-20 기계학습 기반 모바일 광고 효과 증진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280A true KR20210022280A (ko) 2021-03-03

Family

ID=75151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532A KR20210022280A (ko) 2019-08-20 2019-08-20 기계학습 기반 모바일 광고 효과 증진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228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5065A (ko) 2012-12-27 2014-07-07 전명수 에너지 변환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5065A (ko) 2012-12-27 2014-07-07 전명수 에너지 변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2306B2 (en) Software application testing
US2012025392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ortfolio and Demand Bucket Management Across Multiple Advertising Exchanges
US1165741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segments of online users from correlated datasets
US20110313857A1 (en) User centric real-time advertisement bidding
US20100042485A1 (en) Advertisement delivery system
US20150332331A1 (en) Intelligent ad auction and sla compliance techniques
US20160104207A1 (en) Advertising campaign conversion systems and methods
CN112036952A (zh) 用于基于离线、在线及信用相关数据的目标因特网营销的系统及方法
JP2008529190A (ja) 広告管理方法、シャドウキャンペーンシステム及び広告管理システム
US20160092933A1 (en) Advertisement opportunity bidding
US20160350815A1 (en) Representing entities relationships in online advertising
US20150066644A1 (en) Automated targeting of information to an application user based on retargeting and utilizing email marketing
US2013029007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sertion of content into an email over imap
US20160350800A1 (en) Detecting coalition fraud in online advertising
US10115125B2 (en) Determining traffic quality using event-based traffic scoring
US20090259540A1 (en) System for partitioning and pruning of advertisements
US20100094712A1 (en) Internal advertising space allocation
CN108921613A (zh) 广告竞价方法、系统以及广告投放方法、系统
CN111951054A (zh) 一种智能广告营销投放方法
US20150051964A1 (en) Providing offers for local discounted goods and services
EP1312054A1 (en) Online contracting for marketing
JP2018129048A (ja) ターゲット選定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ターゲットに対する広告コンテンツ提供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並びにターゲットに対するコンテンツ提供方法
US20140344049A1 (en) System and Methods for Using a Revenue Value Index to Score Impressions for Users for Advertisement Placement
KR20210022280A (ko) 기계학습 기반 모바일 광고 효과 증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55017B1 (ko) 사용자 단말기 광고 제공을 위한 입찰참가 시스템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