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1868A -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1868A
KR20210021868A KR1020190101377A KR20190101377A KR20210021868A KR 20210021868 A KR20210021868 A KR 20210021868A KR 1020190101377 A KR1020190101377 A KR 1020190101377A KR 20190101377 A KR20190101377 A KR 20190101377A KR 20210021868 A KR20210021868 A KR 20210021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ular communication
communication
quality
electronic device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원석
김준석
이상호
이장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1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1868A/ko
Priority to PCT/KR2020/006803 priority patent/WO2021033876A1/en
Priority to US16/946,349 priority patent/US11477680B2/en
Publication of KR20210021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18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controlling a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history or models of usage information, e.g. activity schedule or time of d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dependent on the time of the day, e.g. according to expected transmission activ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전자 장치는 제 1 노드와 제 1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및 제 2 노드와 제 2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노드로부터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요청 신호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가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을 측정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제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로 전송하고,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상기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를 조절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밖에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ELECTRONIC DEVICE FOR ADJUSTING PERIOD OF QUALITY MEASUREMENT OF CELLULAR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의 품질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및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등의 다양한 전자 장치들이 보급되면서, 다양한 전자 장치들이 통신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도 고려되고 있다.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4세대 통신과 5세대 통신을 모두 지원하는 통신 방식(EN-DC)의 경우, 4세대 통신을 지원하는 기지국을 마스터 노드로 이용하고, 5세대 통신을 지원하는 기지국을 세컨더리 노드로 이용할 수 있다.
5세대 통신이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은 4세대 통신이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에 추가하여 4세대 통신이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보다 높은 대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5세대 통신은 상대적으로 높은 직진성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작은 커버리지를 구현할 수 있다.
EN-DC 환경에서, 마스터 노드는 전자 장치와 4세대 통신이 연결된 상태에서, 5세대 통신을 연결하기 위해 품질 측정 요청 신호를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품질 측정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5세대 통신에 대한 품질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5세대 통신의 신호의 감도가 낮은 지역에 존재하는 경우, 마스터 노드에 품질 측정 결과를 전송하지 않고, 5세대 통신의 품질을 측정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통신의 품질을 반복적으로 측정하면서 전자 장치는 전력을 불필요하게 소모할 수 있다. 5세대 통신의 품질을 측정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소모되는 전력은 5세대 통신의 품질과 관계없이 5세대 통신이 연결된 상태에서 소모되는 전력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 1 노드와 제 1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및 제 2 노드와 제 2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노드로부터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요청 신호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가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을 측정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제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로 전송하고,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상기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를 조절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와 제 1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노드로부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가, 제 2 노드와 제 2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로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가,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상기 제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로부터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가, 상기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를 조절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과 관련된 특성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 품질의 측정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이 낮은 환경에서, 제 2 셀룰러 통신 품질 측정 주기를 증가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소모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C-DRX(connected mode discontinuous reception) 모드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한 데이터의 전송 또는 수신을 수행하는 동안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C-DRX 모드에서, 제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으로 인한 슬립 구간에 진입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불필요한 소모 전력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레거시 네트워크 통신 및 5G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 는 일 실시예들에 따른 레거시(Legacy) 통신 및/또는 5G 통신의 네트워크(100)의 프로토콜 스택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도 4b 및 4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레거시(Legacy) 통신 및/또는 5G 통신의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이 낮은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조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C-DRX 모드 상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을 제어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9b, 9c, 도 9d 및 도 9e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에 따른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에 따른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 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은,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 이외에 추가적으로 다른 부품(예: RFI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부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레거시 네트워크 통신 및 5G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200)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제 1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RFIC)(222), 제 2 RFIC(224), 제 3 RFIC(226), 제 4 RFIC(228), 제 1 radio frequency front end(RFFE)(232), 제 2 RFFE(234), 제 1 안테나 모듈(242), 제 2 안테나 모듈(244), 및 안테나(248)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및 메모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99)는 제 1 네트워크(292)와 제2 네트워크(29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도1에 기재된 부품들 중 적어도 하나의 부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네트워크(199)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제 1 RFIC(222), 제 2 RFIC(224), 제 4 RFIC(228), 제 1 RFFE(232), 및 제 2 RFFE(234)는 무선 통신 모듈(192)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4 RFIC(228)는 생략되거나, 제 3 RFIC(226)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 1 네트워크(292)와의 무선 통신에 사용될 대역의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레거시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네트워크는 2세대(2G), 3G, 4G, 또는 long term evolution(LTE)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레거시 네트워크일 수 있다.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제 2 네트워크(294)와의 무선 통신에 사용될 대역 중 지정된 대역(예: 약 6GHz ~ 약 60GHz)에 대응하는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5G 네크워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네트워크(294)는 3GPP에서 정의하는 5G 네트워크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제 2 네트워크(294)와의 무선 통신에 사용될 대역 중 다른 지정된 대역(예: 약 6GHz 이하)에 대응하는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5G 네크워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와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단일(single) 칩 또는 단일 패키지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프로세서(120), 보조 프로세서(123), 또는 통신 모듈(190)과 단일 칩 또는 단일 패키지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RFIC(222)는, 송신 시에,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에 의해 생성된 기저대역(baseband) 신호를 제 1 네트워크(292)(예: 레거시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약 700MHz 내지 약 3GHz의 라디오 주파수(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는, RF 신호가 안테나(예: 제 1 안테나 모듈(242))를 통해 제 1 네트워크(292)(예: 레거시 네트워크)로부터 획득되고, RFFE(예: 제 1 RFFE(232))를 통해 전처리(preprocess)될 수 있다. 제 1 RFIC(222)는 전처리된 RF 신호를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 2 RFIC(224)는, 송신 시에,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에 의해 생성된 기저대역 신호를 제 2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Sub6 대역(예: 약 6GHz 이하)의 RF 신호(이하, 5G Sub6 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는, 5G Sub6 RF 신호가 안테나(예: 제 2 안테나 모듈(244))를 통해 제 2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로부터 획득되고, RFFE(예: 제 2 RFFE(234))를 통해 전처리될 수 있다. 제 2 RFIC(224)는 전처리된 5G Sub6 RF 신호를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중 대응하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 3 RFIC(226)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에 의해 생성된 기저대역 신호를 제 2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에서 사용될 5G Above6 대역(예: 약 6GHz ~ 약 60GHz)의 RF 신호(이하, 5G Above6 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는, 5G Above6 RF 신호가 안테나(예: 안테나(248))를 통해 제 2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로부터 획득되고 제 3 RFFE(236)를 통해 전처리될 수 있다. 제 3 RFIC(226)는 전처리된 5G Above6 RF 신호를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3 RFFE(236)는 제 3 RFIC(226)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3 RFIC(226)와 별개로 또는 적어도 그 일부로서, 제 4 RFIC(22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4 RFIC(228)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에 의해 생성된 기저대역 신호를 중간(intermediate) 주파수 대역(예: 약 9GHz ~ 약 11GHz)의 RF 신호(이하, IF 신호)로 변환한 뒤, 상기 IF 신호를 제 3 RFIC(226)로 전달할 수 있다. 제 3 RFIC(226)는 IF 신호를 5G Above6 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 5G Above6 RF 신호가 안테나(예: 안테나(248))를 통해 제 2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고 제 3 RFIC(226)에 의해 IF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제 4 RFIC(228)는 IF 신호를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가 처리할 수 있도록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시예에 따르면, 제 1 RFIC(222)와 제 2 RFIC(224)는 단일 칩 또는 단일 패키지의 적어도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1 RFFE(232)와 제 2 RFFE(234)는 단일 칩 또는 단일 패키지의 적어도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시예에 따르면, 제 1 안테나 모듈(242) 또는 제 2 안테나 모듈(244)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모듈은 생략되거나 다른 안테나 모듈과 결합되어 대응하는 복수의 대역들의 RF 신호들을 처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3 RFIC(226)와 안테나(248)는 동일한 서브스트레이트에 배치되어 제 3 안테나 모듈(246)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192) 또는 프로세서(120)가 제 1 서브스트레이트(예: main PCB)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서브스트레이트와 별도의 제 2 서브스트레이트(예: sub PCB)의 일부 영역(예: 하면)에 제 3 RFIC(226)가, 다른 일부 영역(예: 상면)에 안테나(248)가 배치되어, 제 3 안테나 모듈(246)이 형성될 수 있다. 제 3 RFIC(226)와 안테나(248)를 동일한 서브스트레이트에 배치함으로써 그 사이의 전송 선로의 길이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예를 들면, 5G 네트워크 통신에 사용되는 고주파 대역(예: 약 6GHz ~ 약 60GHz)의 신호가 전송 선로에 의해 손실(예: 감쇄)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자 장치(101)는 제 2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와의 통신의 품질 또는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시예에 따르면, 안테나(248)는 빔포밍에 사용될 수 있는 복수개의 안테나 엘레멘트들을 포함하는 안테나 어레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3 RFIC(226)는, 예를 들면, 제 3 RFFE(236)의 일부로서, 복수개의 안테나 엘레멘트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위상 변환기(phase shifter)(238)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시에, 복수개의 위상 변환기(238)들 각각은 대응하는 안테나 엘레멘트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5G 네트워크의 베이스 스테이션)로 송신될 5G Above6 RF 신호의 위상을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 복수개의 위상 변환기(238)들 각각은 대응하는 안테나 엘레멘트를 통해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된 5G Above6 RF 신호의 위상을 동일한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것은 전자 장치(101)와 상기 외부 간의 빔포밍을 통한 송신 또는 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제 2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는 제 1 네트워크(292)(예: 레거시 네트워크)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거나(예: Stand-Alone (SA)), 연결되어 운영될 수 있다(예: Non-Stand Alone (NSA)). 예를 들면, 5G 네트워크에는 액세스 네트워크(예: 5G radio access network(RAN) 또는 next generation RAN(NG RAN))만 있고, 코어 네트워크(예: next generation core(NGC))는 없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전자 장치(101)는 5G 네트워크의 액세스 네트워크에 액세스한 후, 레거시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예: evolved packed core(EPC))의 제어 하에 외부 네트워크(예: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다. 레거시 네트워크와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정보(예: LTE 프로토콜 정보) 또는 5G 네트워크와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정보(예: New Radio(NR) 프로토콜 정보)는 메모리(230)에 저장되어, 다른 부품(예: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도 3 는 일 실시예들에 따른 레거시(Legacy) 통신 및/또는 5G 통신의 네트워크(100)의 프로토콜 스택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100)는, 전자 장치(101), 레거시 네트워크(392), 5G 네트워크(394) 및 서버(server)(10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인터넷 프로토콜(312), 제 1 통신 프로토콜 스택(314) 및 제 2 통신 프로토콜 스택(3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레거시 네트워크(392) 및/또는 5G 네트워크(394)를 통하여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인터넷 프로토콜(312)(예를 들어, TCP, UDP, IP)을 이용하여 서버(108)와 연관된 인터넷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넷 프로토콜(312)은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에 포함된 메인 프로세서(예: 도 1의 메인 프로세서(121))에서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 1 통신 프로토콜 스택(314)을 이용하여 레거시 네트워크(392)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 2 통신 프로토콜 스택(316)을 이용하여 5G 네트워크(394)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제 1 통신 프로토콜 스택(314) 및 제 2 통신 프로토콜 스택(316)은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세서(예: 도 1의 무선 통신 모듈(192))에서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서버(108)는 인터넷 프로토콜(322)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8)는 레거시 네트워크(392) 및/또는 5G 네트워크(394)를 통하여 전자 장치(101)와 인터넷 프로토콜(322)과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8)는 레거시 네트워크(392) 또는 5G 네트워크(394) 외부에 존재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서버(108)는 Legacy 네트워크 또는 5G 네트워크(394)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위치하는 에지 컴퓨팅 서버(또는, MEC(Mobile edge computing)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거시 네트워크(392)는 LTE 기지국(340) 및 EPC(342)를 포함할 수 있다. LTE 기지국(340)은 LTE 통신 프로토콜 스택(344)을 포함할 수 있다. EPC(342)는 레거시 NAS 프로토콜(346)을 포함할 수 있다. 레거시 네트워크(392)는 LTE 통신 프로토콜 스택(344) 및 레거시 NAS 프로토콜(346)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와 LTE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5G 네트워크(394)는 NR 기지국(350) 및 5GC(352)를 포함할 수 있다. NR 기지국(350)은 NR 통신 프로토콜 스택(354)을 포함할 수 있다. 5GC(352)는 5G NAS 프로토콜(356)을 포함할 수 있다. 5G 네트워크(394)는 NR 통신 프로토콜 스택(354) 및 5G NAS 프로토콜(356)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와 NR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통신 프로토콜 스택(314), 제 2 통신 프로토콜 스택(316), LTE 통신 프로토콜 스택(344) 및 NR 통신 프로토콜 스택(354)은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어 평면 프로토콜 및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메시지는, 예를 들어, 보안 제어, 베어러(bearer)설정, 인증, 등록 또는 이동성 관리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는 예를 들어, 제어 메시지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평면 프로토콜 및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은 PHY(physical), MAC(medium access control), RLC(radio link control) 또는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레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PHY 레이어는 예를 들어, 상위 계층(예를 들어, MAC 레이어)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하여 무선 채널로 전송하고,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상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 2 통신 프로토콜 스택(316) 및 NR 통신 프로토콜 스택(354)에 포함된 PHY 레이어는 빔 포밍(beam forming)과 관련된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MAC 레이어는 예를 들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무선 채널에 논리적/물리적으로 매핑하고, 오류 정정을 위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를 수행할 수 있다. RLC 레이어는 예를 들어, 데이터를 접합(concatenation), 분할(segmentation), 또는 재조립(reassembly)하고, 데이터의 순서 확인, 재정렬, 또는 중복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PDCP 레이어는 예를 들어, 제어 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의 암호화 (Ciphering) 및 데이터 무결성 (Data Integrity)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통신 프로토콜 스택(316) 및 NR 통신 프로토콜 스택(354)은 SDAP(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SDAP은 예를 들어, 사용자 데이터의 QoS(Quality of Service)에 기반한 무선 베어러할당을 관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평면 프로토콜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레이어 및 NAS(Non-Access Stratum)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RRC 레이어는 예를 들어, 무선 베어러 설정, 페이징(paging), 또는 이동성 관리와 관련된 제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NAS는 예를 들어, 인증, 등록, 이동성 관리와 관련된 제어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다.
도 4A 내지 4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레거시(Legacy) 통신 및/또는 5G 통신의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4A 내지 도 4 C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A 내지 100C)은, 레거시 네트워크 및 5G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거시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와 무선 접속을 지원하는 3GPP 표준의 4G 또는 LTE 기지국(450)(예를 들어, eNB(eNodeB)) 및 4G 통신을 관리하는 EPC(evolved packet core)(4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5G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와 무선 접속을 지원하는 New Radio (NR) 기지국(450)(예를 들어, gNB(gNodeB)) 및 전자 장치(101)의 5G 통신을 관리하는 5GC(452)(5th generation core)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은 레거시 통신 및/또는 5G 통신을 통해 제어 메시지 (control message) 및 사용자 데이터(user data)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 메시지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보안 제어(security control), 베어러 설정(bearer setup), 인증(authentication), 등록(registration), 또는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와 코어 네트워크(430)(예를 들어, EPC(442))간에 송수신되는 제어 메시지를 제외한 사용자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레거시(legacy) 네트워크의 적어도 일부(예: LTE 기지국(440), EPC(442))를 이용하여 5G 네트워크의 적어도 일부(예: NR 기지국(450), 5GC(452))와 제어 메시지 또는 사용자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환경(100A)은 LTE 기지국(440) 및 NR 기지국(450)으로의 무선 통신 듀얼 커넥티비티(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 dual connectivity, MR-DC)를 제공하고, EPC(442) 또는 5GC(452) 중 하나의 코어 네트워크(430)를 통해 전자 장치(101)와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MR-DC 환경에서, LTE 기지국(440) 또는 NR 기지국(450) 중 하나의 기지국은 MN(master node)(410)으로 작동하고 다른 하나는 SN(secondary node)(420)로 동작할 수 있다. MN(410)은 코어 네트워크(430)에 연결되어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MN(410)과 SN(420)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무선 자원(예를 들어, 통신 채널) 관리와 관련된 메시지를 서로 송수신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MN(410)은 LTE 기지국(450), SN(420)은 NR 기지국(450), 코어 네트워크(430)는 EPC(442)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기지국(440) 및 EPC(442)를 통해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LTE 기지국(450)과 NR 기지국(450)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도 4 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5G 네트워크는 제어 메시지 및 사용자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와 독립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레거시 네트워크 및 5G 네트워크는 각각 독립적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와 EPC(442)는 LTE 기지국(450)을 통해 제어 메시지 및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와 5GC(452)는 NR 기지국(450)을 통해 제어 메시지 및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EPC(442) 또는 5GC(452) 중 적어도 하나에 등록(registration)되어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EPC(442) 또는 5GC(452)는 연동(interworking)하여 전자 장치(101)의 통신을 관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이동 정보가 EPC(442) 및 5GC(452)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수신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이 낮은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해 제 1 노드(예: 도 4a의 마스터 노드(410))와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제 1 셀룰러 통신은 전자 장치(101)가 지원 가능한 다양한 셀룰러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셀룰러 통신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정의된 4세대 이동 통신 방식(예: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LTE-A pro(LTE Advanced pro)) 또는 5세대 이동 통신 방식(예: 5G)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예를 들어, 도 2의 제 1 셀룰러 네트워크 상의 통신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제 1 노드(410)는 제 1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기지국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 2 셀룰러 통신을 통해 제 2 노드(예: 도 4b의 세컨더리 노드(420))와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제 2 셀룰러 통신은 전자 장치(101)가 지원 가능한 다양한 셀룰러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으로, 예를 들어, 도 2의 제 2 셀룰러 네트워크(294) 상의 통신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셀룰러 통신은 3GPP에서 정의된 4세대 이동 통신 방식(예: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LTE-A pro(LTE Advanced pro)) 또는 5세대 이동 통신 방식(예: 5G)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일 수 있다. 제 2 노드(420)는 제 2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기지국을 의미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제 1 셀룰러 통신은 4세대 이동 통신 방식이고 제 2 셀룰러 통신은 5세대 이동 통신 방식인 EN-DC(E-UTRA-NR Dual Connectivity) 환경을 주로 예시하지만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 1 셀룰러 통신이 5세대 이동 통신 방식이고 제 2 셀룰러 통신은 4세대 이동 통신 방식인 NE-DC(NR - E-UTRA Dual Connectivity) 환경 및 제 1 셀룰러 통신 및 제 2 셀룰러 통신 방식이 모두 5세대 이동 통신 방식이되,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환경에서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EN-DC(E-UTRA - NR Dual Connectivity)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101)는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해 제 1 노드(410)와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 2 셀룰러 통신을 통해 제 2 노드(42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제 1 노드(410)로부터 제 2 셀룰러 통신의 연결을 위한 다양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노드(4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연결을 위해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또는, 초과)임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1 노드(410)로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을 보고할 수 있다. 제 1 노드(4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을 수신하고, 제 2 셀룰러 통신을 통한 제 2 노드(420) 및 전자 장치(101) 사이의 연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또는, 미만)임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1 노드(410)로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을 보고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셀룰러 통신이 지원하는 주파수가 제 2 셀룰러 통신이 지원하는 주파수보다 낮을 수 있다.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셀룰러 통신은 높은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직진성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작은 커버리지를 구현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 1 노드(410)의 커버리지(511)는 제 2 노드(420)의 커버리지(521)보다 넓을 수 있다. 도 5b는 제 1 노드(410) 및 제 2 노드(420)가 하나의 기지국(530)로 구현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5b를 참조하면, 제 1 셀룰러 통신의 커버리지(533)가 제 2 셀룰러 통신의 커버리지(531)보다 넓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노드(410) 또는 기지국(530)은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해 연결된 전자 장치(101)로 제 2 셀룰러 통신의 연결을 위한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 1 노드(410) 또는 기지국(530)으로부터 제 2 셀룰러 통신의 연결을 위한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가 제 1 셀룰러 통신의 커버리지 내에 있지만,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이 낮은 영역(예: 도 5a의 513, 도 5b의 532)에 존재하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또는, 미만)임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1 노드(410) 또는 기지국(530)으로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 결과를 보고하지 않고,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을 측정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가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을 측정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경우, 제 2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프로세서(예: 도 2의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가 자주 웨이크-업(wake up)될 수 있고, 제 1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프로세서(예: 도 2의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C-DRX (connected-mode discontinuous reception)모드 상에서 슬립 구간으로 진입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전자 장치(101)의 소모 전력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및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의 동작으로 인해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을 측정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소모되는 전력은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과 관계없이 제 2 셀룰러 통신이 연결된 상태에서 소모되는 전력보다 클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 장치(101)가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의 주기를 조절하는 방식 또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을 수행하는 시점을 조절하는 방식을 통해 상기에 기재된 현상을 해결하는 실시예들에 대해서 서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500)는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예: 도 2의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610) 및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예: 도 2의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6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제 1 노드(예: 도 4a의 마스터 노드(410))와 제 1 셀룰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제 1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면서, 제 1 노드(410)와 제어 메시지 및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제 1 셀룰러 통신은 전자 장치(101)가 지원 가능한 다양한 셀룰러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셀룰러 통신은 4세대 이동 통신 방식(예: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LTE-A pro(LTE Advanced pro)) 또는 5세대 이동 통신 방식(예: 5G)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예를 들어, 도 2의 제 1 셀룰러 네트워크 상의 통신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제 1 노드(410)는 제 1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기지국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20)는 제 2 노드(예: 도 4a의 세컨더리 노드(420))와 제 2 셀룰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20)는 제 2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면서, 제 2 노드(420)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제 2 셀룰러 통신은 전자 장치(101)가 지원 가능한 다양한 셀룰러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으로, 예를 들어, 도 2의 제 2 셀룰러 네트워크(294) 상의 통신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셀룰러 통신은 4세대 이동 통신 방식(예: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LTE-A pro(LTE Advanced pro)) 또는 5세대 이동 통신 방식(예: 5G)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일 수 있다. 제 2 노드(420)는 제 2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기지국을 의미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와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20)는 단일(single) 칩 또는 단일 패키지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제 1 RRM(radio resource manager)(611) 및 제 1 컨트롤러(6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RRM(611)은 제 1 셀룰러 통신 또는 제 2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자원(radio resource)의 관리(예: 무선 접속 제어(radio access control), 통신 채널 할당(channel allocation), 전력 제어, 핸드오프 관리, 패킷 스캐쥴링, 제 1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 또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를 수행할 수 있다. 제 1 RRM(611)은 제 1 커뮤 니케이션 프로세서(610) 상에서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 적으로 구현된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RRM(611)은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해 연결된 제 1 노드(410)가 전송한 제 1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제 1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 동작(현재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이용한 품질 측정 동작(intra) 또는 현재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과 인접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 대한 품질 측정 동작(inter-freq))에 대한 스케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셀룰러 통신의 품질은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해 제 1 노드(410)에서 송신하는 신호(예를 들어,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LTE CRS, NR SS/PBCH block에 포함된 SSS, NR SS/PBCH block에 포함된 PBCH의 DMRS, LTE CSI-RS, NR CSI-RS 중 적어도 하나)의 세기와 관련된 정보(예: RSRP(received signal received power) 또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RRM(611)은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해 연결된 제 1 노드(410)가 전송한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 동작(예: inter-rat 측정)에 대한 스케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은 제 2 셀룰러 통신을 통해 제 2 노드(410)에서 송신하는 신호(예를 들어,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LTE CRS, NR SS/PBCH block에 포함된 SSS, NR SS/PBCH block에 포함된 PBCH의 DMRS, LTE CSI-RS, NR CSI-RS 중 적어도 하나)의 세기와 관련된 정보(예: RSRP(received signal received power) 또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RRM(611)은 제 1 셀룰러 통신 또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 동작에 대한 스케쥴링을 수행하고, 품질 측정 동작에 대한 스케쥴 데이터를 제 1 컨트롤러(613)로 전송할 수 있다. 스케쥴 데이터는 제 1 셀룰러 통신 또는 제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주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컨트롤러(613)는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 상에서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 적으로 구현된 구성 요소로써, 제 1 셀룰러 통신의 PHY 레이어 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 1 컨트롤러(613)는 제 1 RRM(611)가 전송한 스케쥴 데이터를 수신하고, 스케쥴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 1 셀룰러 통신 또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컨트롤러(613)는 제 1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을 수행하고, 제 1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제 1 RRM(611)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컨트롤러(613)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을 위해,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요청 신호를 제 2 컨트롤러(621)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컨트롤러(621)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20) 상에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 적으로 구현된 구성 요소로써, 제 2 셀룰러 통신의 PHY 레이어(또는, L1 레이어) 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컨트롤러(621)는 제 1 컨트롤러(613)가 전송한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요청 신호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설정된 측정 주기마다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은 제 2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제 2 노드(420)가 전송하는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컨트롤러(621)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제 1 컨트롤러(613)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컨트롤러(613)는 제 1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 또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제 1 RRM(611)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RRM(611)은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확인하고,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이 임계 값 이상(또는,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 1 RRM(611)은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이 임계 값 이상(또는, 초과)임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제 1 노드(4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 1 RRM(611)은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이 임계 값 미만(또는, 이하)임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제 1 노드(410)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RRM(611)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설정된 측정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 1 RRM(611)는 조절된 측정 주기를 포함하는 스케쥴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스케쥴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 2 컨트롤러(621)를 제어함으로써,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주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RRM(611)은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가 미리 설정된 값 보다 작음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주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증가된 측정 주기는 하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증가된 측정 주기의 최대 측정 주기는 표준에서 허용된 가장 긴 시간 일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값은 전자 장치(101)가 제 1 노드(410)로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이용되는 임계값과 관련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값은 임계 값에서 특정 크기의 갭(guard gap, hysteresis)을 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갭의 크기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에 따라서 가변 가능한 값일 수 있으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에 관계없이 불변하는 값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RRM(611)은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와 미리 설정된 값의 차이 값에 기반하여 측정 주기의 변화량을 결정할 수 있다. 제 1 RRM(611)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와 미리 설정된 값의 차이가 증가할수록 미리 설정된 주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증가된 측정 주기는 하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증가된 측정 주기의 최대 측정 주기는 표준에서 허용된 가장 긴 시간 일 수 있다. 제 1 RRM(611)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와 미리 설정된 값의 차이가 감소할수록 미리 설정된 주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RRM(611)은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의 변화율에 기반하여 측정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의 변화율은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지시하는 값의 변화율(예: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지시하는 값의 시간 도메인에서의 1차 미분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RRM(611)은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의 변화율이 0임(예: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이 유지됨)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측정 주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 1 RRM(611)은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결과의 변화율이 0인 상태의 유지 시간이 증가할수록 측정 주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증가된 측정 주기는 하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증가된 측정 주기의 최대 측정 주기는 표준에서 허용된 가장 긴 시간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RRM(611)은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의 변화율이 양수(positive number)임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측정 주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RRM(611)은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의 변화율이 음수(negative number)임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측정 주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RRM(611)은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의 변화율의 절대 값의 크기에 기반하여 측정 주기의 변화율을 결정할 수 있다. 제 1 RRM(611)은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의 변화율의 절대 값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측정 주기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RRM(611)은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의 변화 가속도에 기반하여 측정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의 변화 가속도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지시하는 값의 2차 변화율(예: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지시하는 값의 시간 도메인에서의 2차 미분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가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의 변화 가속도를 고려하여 측정 주기를 조절함으로써, 전자 장치(101)의 이동 상태를 고려하여 측정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증가된 측정 주기는 하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증가된 측정 주기의 최대 측정 주기는 표준에서 허용된 가장 긴 시간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가 제 2 노드(420)의 커버리지 내부로 진입하거나, 커버리지 외부로 나가는 경우, 전자 장치(101)의 속도에 기반한 측정 주기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셀룰러 통신 품질의 측정 주기는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조절될 수 있다. 제 1 RRM(611)는 제 1 셀룰러 통신의 품질과 관련된 특성에 기반하여 최소 측정 주기에서 최대 측정 주기 사이에서 제 1 셀룰러 통신 품질의 측정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최대 측정 주기는 표준에서 허용된 가장 긴 시간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셀룰러 통신 품질의 측정 주기는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조절될 수 있다. 제 1 RRM(611)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과 관련된 특성에 기반하여 최소 측정 주기에서 최대 측정 주기 사이에서 제 2 셀룰러 통신 품질의 측정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최대 측정 주기는 표준에서 허용된 가장 긴 시간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RRM(611)은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주기가 최대 측정 주기인 상태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됨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2 셀룰러 통신 품질의 측정을 중단할 수 있다. 제 1 RRM(611)은 제 2 셀룰러 통신 품질의 측정을 중단한 상태에서 전자 장치(101)가 이동함을 감지함에 대응하여, 제 2 셀룰러 통신 품질의 측정을 다시 시작할 수 있다. 제 1 RRM(611)은 제 2 셀룰러 통신 품질의 측정을 최대 측정 주기마다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RRM(611)이 전자 장치(101)의 이동을 감지하는 방식은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RRM(611)은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와 동작적으로 연결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의 메인 프로세서(121) 또는 보조 프로세서(123) 중 하나)가 전송하는 전자 장치(101)의 이동을 지시하는 정보(예: 도 1의 센서 모듈(176)이 전자 장치(101)의 움직임을 감지함을 지시하는 정보, 프로세서(120)가 판단한 지오펜스 상의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를 수신하고,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을 다시 시작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 1 RRM(611)은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20)가 전송하는 정보(예: 제 1 셀룰러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인접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세기에 기반한 전자 장치(101)의 움직임을 감지함을 지시하는 정보, PHY 레이어 상에서 판단 가능한 도플러 효과에 기반한 전자 장치(101)의 움직임을 감지함을 지시하는 정보 또는 제 1 셀룰러 통신의 셀 정보) 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을 다시 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RRM(611)은 제 2 셀룰러 통신 품질과 관련된 특성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 품질의 측정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 2 셀룰러 통신 품질의 측정 주기를 조절함으로써, 제 2 셀룰러 통신 품질이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에서 전자 장치(101)의 소모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2 셀룰러 통신 품질의 반복적인 측정 동작에 의한 전자 장치(101)의 소모 전력 증가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제 2 셀룰러 통신 품질의 측정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시점을 조절하는 실시예에 대해서 서술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제 1 셀룰러 통신을 이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전자 장치(101)의 소모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C-DRX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21)는 제 2 셀룰러 통신을 이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전자 장치(101)의 소모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C-DRX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 상에 구현된 제 1 컨트롤러(613)는 제 1 RRM(611)가 생성한 스케쥴 리스트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 요청 신호를 제 2 커뮤니케이션(620) 상에 구현된 제 2 컨트롤러(621)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컨트롤러(613)는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한 데이터의 전송 또는 수신을 수행하는 동안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 1 컨트롤러(613)는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한 데이터의 전송 또는 수신이 수행되지 않는 동안(예: C-DRX 모드에 정의된 on-duration 또는 sleep duration)에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 요청 신호를 제 2 컨트롤러(621)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컨트롤러(613)는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한 데이터의 전송 또는 수신이 수행되지 않는 동안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 요청 신호의 전송 동작을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 요청 신호의 전송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제 1 컨트롤러(613)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 요청 신호의 전송 시점을 조절함으로써,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가 C-DRX 모드가 지원하는 슬립 구간으로 진입할 수 없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고,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반복적인 측정에 의한 전자 장치(101)의 소모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컨트롤러(613)는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한 데이터의 전송 또는 수신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을 요청하는 신호를 제 2 컨트롤러(621)에 전송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시간은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 주기의 최대 값 또는 상기 C-DRX 모드의 동작 주기 중 어느 하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조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 셀룰러 통신의 품질과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에 따른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조건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또는, 도 6의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예: 도 6의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20))가 측정한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을 확인할 수 있다.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이 임계 값(721) 이상(또는, 초과)임(711)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을 제 1 노드(4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이 임계 값(721) 미만(또는, 이하)임(713 또는 715)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을 제 1 노드(410)로 전송하지 않고,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이 임계 값(721) 이상(711)임을 확인할 때까지 미리 설정된 측정 주기마다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을 측정하도록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미리 설정된 측정 주기마다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을 요청하는 신호를 제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20)로 전송하는 방식을 통해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2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이 임계 값(721)이하이고, 미리 설정된 값(723) 이상(713)임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주기를 조절하지 않고, 미리 설정된 측정 주기(예: 제 2 셀룰러 통신 품질의 측정 주기의 최소 값)마다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전자 장치(101)의 소모 전력 감소를 위해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이 미리 설정된 값(723) 이하(715)임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 주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값(723)은 전자 장치(101)가 제 1 노드(410)로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이용되는 임계값(721)과 관련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값(723)은 임계 값(721)에서 특정 크기의 갭(gap)을 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갭의 크기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에 따라서 가변 가능한 값일 수 있으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에 관계없이 불변하는 값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특성(예: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결과와 미리 설정된 값(723)의 차이 값,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결과의 변화율 또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결과의 2차 변화율)에 기반하여 측정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제 1 셀룰러 통신의 품질과 관계 없이,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과 관련된 특성에 기반하여 측정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C-DRX 모드 상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을 제어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가 C-DRX 모드 상에서 동작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제 1 셀룰러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의 전송 또는 수신이 완료된 후(811), C-DRX 모드가 지원하는 슬립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타이머(DRX inactivity timer) 및/또는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한 데이터의 전송 또는 수신에 이용되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를 해제하기 위한 타이머(RRC inactivity timer)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타이머가 작동하는 동안 데이터의 전송 또는 수신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타이머들이 다시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813).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C-DRX 모드가 지원하는 슬립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타이머(DRX inactivity timer)가 미리 설정한 시간이 지남을 확인함에 대응하여(815), 슬립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슬립 모드는 전자 장치(101)가 온-지속 구간(on duration period, 821)에만 제1 노드(410)와의 접속을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슬립 구간(DRX sleep, 823)에는 제 1 노드(4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않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슬립 모드에 진입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데이터의 송/수신이 없음을 확인함에 대응하여(817), 제 1 노드(4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않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슬립 구간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노드(410) 는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한 데이터의 전송 또는 수신에 이용되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를 해제하기 위한 타이머(RRC inactivity timer)가 미리 설정한 시간이 지남을 확인함에 대응하여(819), 제 1 셀룰러 통신의 무선 자원을 해제하도록 전자 장치(101)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 1 노드(410)가 전송하는 제 1 셀룰러 통신의 연결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 1 셀룰러 통신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자원을 해제하는 경우, 전자 장치(101)의 RRC 상태는 RRC Connected 상태에서 RRC Idle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자원을 해제하는 경우, 전자 장치(101)의 RRC 상태는 RRC Connected 상태에서 RRC Inactive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예: 도 6의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슬립 모드에서 온-지속 구간(821) 상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을 요청하는 신호를 제 1 노드(4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20)가 측정한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 결과를 수신하기 이전까지 슬립 구간(823)으로 진입하지 못하고, 온-지속 구간(821)에 존재할 수 있다.
도 8b는 비교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있다. 비교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온-지속 구간(821)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을 요청하는 신호를 제 1 노드(41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을 요청하는 신호를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20)가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수신할 때까지 슬립 구간(823)으로 진입하지 못하고, 계속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825).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제 1 셀룰러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의 전송 또는 수신이 없는 상태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에 의해 슬립 모드로 진입할 수 없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온-지속 구간(821)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을 요청하는 신호를 제 1 노드(41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을 요청하는 신호를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20)로 전송하지 않고, 슬립 구간(823)으로 진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슬립 구간(823) 이후,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한 데이터의 전송 또는 수신을 수행하는 동안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 요청 신호를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온-지속 구간(821)동안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 요청 신호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 요청 신호를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20)로 전송하지 않고, 슬립 구간(823)으로 진입할 수 있다.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슬립 구간(823) 이후,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한 데이터의 전송 또는 수신을 수행하는 동안(831)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 요청 신호를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2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한 데이터의 전송 또는 수신이 수행되지 않는 동안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 요청 신호의 전송 동작을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 요청 신호의 전송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 요청 신호의 전송 시점을 조절함으로써,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가 C-DRX 모드가 지원하는 슬립 구간으로 진입할 수 없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고,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반복적인 측정에 의한 전자 장치(101)의 소모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9a, 9b, 9c 및 도 9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에 따른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6의 전자 장치(101))가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데 이용하는 함수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예: 도 6의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와 관련된 값(예: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결과와 미리 설정된 값의 차이 값,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결과의 변화율 또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결과의 2차 변화율)에 따라 측정 주기가 매핑된 함수(915)를 이용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함수(915)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결과와 미리 설정된 값(예: 도 7의 미리 설정된 값(723))의 차이 값이 감소할수록(예: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이 증가하는 상황),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주기가 최소 측정 주기(911)에 가까워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함수(915)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결과와 미리 설정된 값의 차이 값이 증가할수록,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주기가 최대 측정 주기(913)에 가까워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9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가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결과와 미리 설정된 값의 차이 값의 변화에 따른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미리 설정된 측정 주기(예; 최소 측정 주기(911))에 따라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와 미리 설정된 값(예: 도 7의 미리 설정된 값(723))의 차이 값의 변화가 없음(예: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이 유지됨)(921)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주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와 미리 설정된 값의 차이 값이 증가함(예: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이 낮아짐)(923)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주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결과와 미리 설정된 값(723)의 차이 값이 계속 증가함에 대응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주기를 최대 측정 주기(913)로 조절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와 미리 설정된 값(723)의 차이 값의 변화율이 증가할수록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주기의 변화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9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가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결과와 미리 설정된 값의 차이 값의 변화에 따른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와 미리 설정된 값(예: 도 7의 미리 설정된 값(723))의 차이 값이 증가함(예: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이 낮아짐)(931)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주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결과와 미리 설정된 값(723)의 차이 값이 계속 증가함에 대응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주기를 최대 측정 주기(913)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주기를 최대 측정 주기(913)로 유지한 상태(예: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이 제 2 셀룰러 통신을 연결이 어려운 품질인 상태가 유지되는 상황) (933)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와 미리 설정된 값(723)의 차이 값이 감소함(935)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주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결과와 미리 설정된 값(723)의 차이 값이 계속 감소함에 대응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주기를 최소 측정 주기(911)로 조절할 수 있다.
도 9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가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결과와 미리 설정된 값의 차이 값의 변화에 따른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d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결과와 미리 설정된 값(예: 도 7의 미리 설정된 값(723))의 차이 값이 속하는 구간에 대응하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주기에 따라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결과와 미리 설정된 값(723)의 차이 값이 갭(예: 도 7의 갭(713))과 제 1 차이 값(944) 사이에 포함됨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주기를 제 1 측정 주기(941)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결과와 미리 설정된 값(723)의 차이 값이 제 1 차이 값(944)과 제 2 차이 값(945) 사이에 포함됨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주기를 제 2 측정 주기(942)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결과와 미리 설정된 값(723)의 차이 값이 제 2 차이 값(945)과 제 3 차이 값(946) 사이에 포함됨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주기를 제 3 측정 주기(943)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결과와 미리 설정된 값(723)의 차이 값이 제 3 차이 값(946) 이상임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주기를 최대 측정 주기(913)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최소 측정 주기(911), 제 1 측정 주기(941), 제 2 측정 주기(942), 제 3 측정 주기(943) 및 최대 측정 주기(913) 사이의 간격을 다양한 방식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에 따라 동일한 변화율로 측정 주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측정 주기들 간 간격을 동일한 간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이 낮아질수록 측정 주기를 더 크게 증가시키기 위해 측정 주기들 간 간격을 등비수열의 규칙을 갖는 간격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갭(713), 제 1 차이 값(944), 제 2 차이 값(945) 및 제 3 차이 값(946) 사이의 간격을 다양한 방식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에 따라 동일한 변화율로 측정 주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차이 값들 간 간격을 동일한 간격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9e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가 제 2 셀룰러 통신 품질의 측정을 중단 및 다시 시작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주기가 최대 측정 주기인 상태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됨(예: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이 제 2 셀룰러 통신을 연결이 어려운 품질인 상태가 유지되는 상황)(951)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2 셀룰러 통신 품질의 측정을 중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의 움직임을 감지함(952)에 대응하여, 제 2 셀룰러 통신 품질의 측정을 다시 수행(953)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 2 셀룰러 통신 품질의 측정을 최대 측정 주기마다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주기가 최대 측정 주기인 상태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됨(예: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이 제 2 셀룰러 통신을 연결이 어려운 품질인 상태가 유지되는 상황)(953)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2 셀룰러 통신 품질의 측정을 중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의 움직임을 감지함(954)에 대응하여, 제 2 셀룰러 통신 품질의 측정을 다시 수행(955)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 2 셀룰러 통신 품질의 측정을 최대 측정 주기로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와 미리 설정된 값의 차이 값이 감소함(예: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이 증가함)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주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결과와 미리 설정된 값의 차이 값이 계속 감소함에 대응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주기를 최소 측정 주기(911)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서칭 동작의 주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칭 동작은 주어진 주파수 대역에서 셀룰러 통신의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주어진 주파수 대역에서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기지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또는 주어진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기지국의 정보 중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Physical Cell ID, PCI)를 확인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주어진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는 제 1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가 받은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가 상기 수신한 주파수 대역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20)로 전달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101)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을 이용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에 대한 서칭 동작의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및 미리 설정된 값(예: 도 7의 미리 설정된 값(723))의 차이 값에 기반하여 서칭 동작의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및 미리 설정된 값(723)의 차이값이 증가할수록 서칭 동작의 수행 주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예 따른 전자 장치는 제 1 노드와 제 1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및 제 2 노드와 제 2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노드로부터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요청 신호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가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을 측정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제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로 전송하고,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상기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를 조절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지시하는 값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음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를 증가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지시하는 값과 미리 설정된 값의 차이 값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의 변화 값을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지시하는 값의 변화율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를 조절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지시하는 값의 변화가 없음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를 증가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지시하는 값의 변화의 크기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의 변화량을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지시하는 값의 변화 가속도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를 조절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제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가 최대 값을 유지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경과함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을 중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을 감지함에 대응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를 상기 최대 값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C-DRX(connected-mode discontinuous reception) 모드의 온-지속 구간(on-duration period) 동안, 상기 요청 신호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요청 신호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한 데이터의 전송 또는 수신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한 데이터의 전송 또는 수신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 주기의 최대 값 또는 상기 C-DRX 모드의 동작 주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는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신호의 세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에 따른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동작(10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001에서, 전자 장치(예: 도 6의 전자 장치(101))의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예: 도 6의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와 제 1 노드(예: 도 4a의 마스터 노드(410))는 제 1 셀룰러 통신의 연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와 제 1 노드(410)는 제 1 셀룰러 통신에 대한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노드(410)는 MR-DC를 지원하는 기지국임을 시스템 정보(예: System Information 1(SIB1), System Information 2(SIB2))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 및 제 1 노드(410)는 RRC 연결을 수행하면서, 무선 베어러 설정, 페이징 또는 이동성 관리와 관련된 제어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 및 제 1 노드(410)는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인증 절차는 전자 장치(101)가 제 1 셀룰러 통신 또는 제 2 셀룰러 통신을 제공하는 사업자의 서버에 제 1 셀룰러 통신 또는 제 2 셀룰러 통신을 이용할 수 있는 전자 장치(101)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003에서, 제 1 노드(410)는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로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노드(410)는 RRC 연결에 대한 재구성을 수행하면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연결을 위한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 요청 이벤트(B1 event) 설정을 포함하는 신호를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005에서,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을 요청하는 신호를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2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007에서,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2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009에서,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2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 결과를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011에서,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이 임계 값 이하(또는, 미만)함에 대응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결과를 제 1 노드(410)에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임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과 관련된 특성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013에서,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조절된 측정 주기에 따라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을 요청하는 신호를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2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015에서,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2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017에서,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2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 결과를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이 임계 값 이상(또는, 초과)함에 대응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결과를 제 1 노드(41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장 1011에서,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20)으로부터 조절된 측정 주기를 기반으로 측정한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정보를 받는 경우 제 1 노드(4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 1 노드(4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와 제 2 노드(420) 사이의 제 2 셀룰러 통신을 통한 연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이 임계 값 이하(또는, 미만)함에 대응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결과를 제 1 노드(410)에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임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과 관련된 특성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1100)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110에서,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또는, 도 6의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을 요청하는 신호를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해 제 1 노드(예: 도 4a의 마스터 노드(4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셀룰러 통신은 전자 장치(101)가 지원 가능한 다양한 셀룰러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셀룰러 통신은 3GPP에서 정의된 4세대 이동 통신 방식(예: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LTE-A pro(LTE Advanced pro))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예를 들어, 도 2의 제 1 셀룰러 네트워크 상의 통신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제 1 노드(410)는 제 1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기지국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셀룰러 통신은 전자 장치(101)가 지원 가능한 다양한 셀룰러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으로, 예를 들어, 도 2의 제 2 셀룰러 네트워크(294) 상의 통신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셀룰러 통신은 3GPP에서 정의된 5세대 이동 통신 방식(예: 5G)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일 수 있다. 제 2 노드(420)는 제 2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기지국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120에서, 전자 장치(101)(또는,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을 요청하는 신호를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예: 도 6의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2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20)는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가 전송한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요청 신호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측정 주기마다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은 제 2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제 2 노드(420)가 전송하는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2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130에서,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확인하고,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이 임계 값 이상(또는,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이 임계 값 이상(또는, 초과)임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제 1 노드(4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이 임계 값 미만(또는, 이하)임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제 1 노드(410)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140에서, 전자 장치(101)(또는,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가 미리 설정된 값 보다 작음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주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값은 전자 장치(101)가 제 1 노드(410)로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이용되는 임계값과 관련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값은 임계 값에서 특정 크기의 갭(gap)을 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갭의 크기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에 따라서 가변 가능한 값일 수 있으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에 관계없이 불변하는 값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와 미리 설정된 값의 차이 값에 기반하여 측정 주기의 변화량을 결정할 수 있다.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와 미리 설정된 값의 차이가 증가할수록 미리 설정된 주기의 변화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와 미리 설정된 값의 차이가 감소할수록 미리 설정된 주기의 변화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의 변화율에 기반하여 측정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의 변화율은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지시하는 값의 변화율(예: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지시하는 값의 시간 도메인에서의 1차 미분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의 변화 가속도에 기반하여 측정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의 변화 가속도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지시하는 값의 2차 변화율(예: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지시하는 값의 시간 도메인에서의 2차 미분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가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의 변화 가속도를 고려하여 측정 주기를 조절함으로써, 전자 장치(101)의 이동 상태를 고려하여 측정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가 제 2 노드(420)의 커버리지 내부로 진입하거나, 커버리지 외부로 나가는 경우, 전자 장치(101)의 속도에 기반한 측정 주기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와 제 1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노드로부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가, 제 2 노드와 제 2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로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가,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상기 제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로부터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가, 상기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를 조절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를 조절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가,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지시하는 값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음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를 증가시키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를 조절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가,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지시하는 값의 변화율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를 조절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를 조절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가,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지시하는 값의 변화가 없음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를 증가시키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를 조절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가,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지시하는 값의 변화의 크기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의 변화량을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가, C-DRX (connected-mode discontinuous reception) 모드의 온-지속 구간(on-duration period) 동안, 상기 요청 신호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가, 상기 요청 신호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한 데이터의 전송 또는 수신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한 데이터의 전송 또는 수신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 1 노드와 제 1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및
    제 2 노드와 제 2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노드로부터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요청 신호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가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을 측정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제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로 전송하고,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상기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를 조절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지시하는 값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음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를 증가시키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지시하는 값과 미리 설정된 값의 차이 값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의 변화 값을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지시하는 값의 변화율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를 조절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지시하는 값의 변화가 없음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를 증가시키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지시하는 값의 변화의 크기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의 변화량을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지시하는 값의 변화 가속도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를 조절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가 최대 값을 유지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경과함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을 중지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을 감지함에 대응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를 상기 최대 값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C-DRX(connected-mode discontinuous reception) 모드의 온-지속 구간(on-duration period) 동안, 상기 요청 신호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요청 신호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한 데이터의 전송 또는 수신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한 데이터의 전송 또는 수신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 주기의 최대 값 또는 상기 C-DRX 모드의 동작 주기인 전자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는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신호의 세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4.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와 제 1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노드로부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가, 제 2 노드와 제 2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로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가,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상기 제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로부터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가, 상기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를 조절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를 조절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가,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지시하는 값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음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를 증가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를 조절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가,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지시하는 값의 변화율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를 조절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를 조절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가,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지시하는 값의 변화가 없음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를 증가시키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를 조절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가,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 결과를 지시하는 값의 변화의 크기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의 변화량을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가, C-DRX (connected-mode discontinuous reception) 모드의 온-지속 구간(on-duration period) 동안, 상기 요청 신호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가, 상기 요청 신호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한 데이터의 전송 또는 수신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한 데이터의 전송 또는 수신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품질의 측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90101377A 2019-08-19 2019-08-19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1002186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377A KR20210021868A (ko) 2019-08-19 2019-08-19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PCT/KR2020/006803 WO2021033876A1 (en) 2019-08-19 2020-05-26 Electronic device and cellular communication quality measurement interval adjustment method thereof
US16/946,349 US11477680B2 (en) 2019-08-19 2020-06-17 Electronic device and cellular communication quality measurement interval adjustment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377A KR20210021868A (ko) 2019-08-19 2019-08-19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1868A true KR20210021868A (ko) 2021-03-02

Family

ID=74646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377A KR20210021868A (ko) 2019-08-19 2019-08-19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77680B2 (ko)
KR (1) KR20210021868A (ko)
WO (1) WO2021033876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385B1 (ko) * 2009-06-09 2016-07-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의 신호 측정 장치 및 방법
US20130229931A1 (en) 2012-03-02 2013-09-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s of managing terminal performed in base station and terminal
US9198098B2 (en) 2012-11-27 2015-11-24 Qualcomm Incorporated Inter radio access technology (IRAT) measurement to improve user equipment (UE) battery performance
JP6074519B2 (ja) * 2013-01-13 2017-02-01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測定頻度の低減を通じた電力消費の低減
CN104185201B (zh) * 2013-05-21 2019-06-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邻区测量周期的自适应调整方法及装置
KR20150088716A (ko) 2014-01-24 2015-08-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rm 측정 방법 및 장치, 그리고 rrm 측정을 위한 신호를 시그널링하는 방법 및 장치
US9961580B2 (en) * 2015-06-26 2018-05-01 Intel IP Corporation Mobile terminal devices and methods of performing radio measurements
KR20170022933A (ko) * 2015-08-21 201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 내 단말의 통신 방법 및 장치
EP3520479B1 (en) 2016-09-30 2021-02-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 for measurement and measurement reporting in a wireless network
US10764776B2 (en) * 2017-11-10 2020-09-01 Qualcomm Incorporated Measurement gap enhancements for BL/CE U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33876A1 (en) 2021-02-25
US20210058808A1 (en) 2021-02-25
US11477680B2 (en) 202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6101B2 (en) Method for receiving reference signal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AU2022200411B2 (en) Electronic device for reporting communication quality measurement resul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CN111801967B (zh) 使用多个用户识别模块的电子装置及其提供通信服务的方法
US11457491B2 (en) Electronic device to support dual connectivity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0008614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US11310685B2 (en) Electronic device to support dual connectivity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00117847A (ko) 통신의 품질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20220240139A1 (en)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handov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1337275B2 (e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dual-connectivity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230040041A1 (en)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radio-frequency signal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11601998B2 (e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dual-connectivity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1206586B2 (en) Electronic device to support dual connectivity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210306889A1 (en) Electronic device for measuring communication signal from outsid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210021868A (ko)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10060069A (ko) 듀얼 커넥티비티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304178B2 (en) Electronic device for receiving paging messag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240121689A1 (en)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handov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220394633A1 (en)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random access procedur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EP4185067A1 (e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multiple communication scheme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230284304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multiple subscriber identity module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220240078A1 (en) Electronic device multiple si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30048833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통신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
CN117882488A (zh) 用于基于电子设备的状态切换蜂窝连接或蜂窝连接的操作模式的电子设备以及操作电子设备的方法
KR20220125081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통신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
KR20210121545A (ko) 이중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