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1704A - Blasting nozzle device - Google Patents

Blasting nozz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1704A
KR20210021704A KR1020190100944A KR20190100944A KR20210021704A KR 20210021704 A KR20210021704 A KR 20210021704A KR 1020190100944 A KR1020190100944 A KR 1020190100944A KR 20190100944 A KR20190100944 A KR 20190100944A KR 20210021704 A KR20210021704 A KR 20210021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rasive
nozzle device
fastening member
blasting nozzle
bl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09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건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0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1704A/en
Publication of KR20210021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170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5/00Devices or accessories for generating abrasive blasts
    • B24C5/02Blast guns, e.g. for generating high velocity abrasive fluid jets for cutting materials
    • B24C5/04Nozzl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A blasting nozzle device is disclosed. The blasting nozzle device comprises: a fastening member of a hollow structure connected to an abrasive supply hose of a blasting device; and two abrasive discharge units formed to have a hollow structure to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one end part side of the fastening member to be connected to the fastening memb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a worker to rapidly perform blasting work at a comfortable posture.

Description

블라스팅 노즐 장치{Blasting nozzle device}Blasting nozzle device

본 발명은 블라스팅 노즐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asting nozzle device.

선박, 건축물의 제작을 위해서는 많은 용접 작업이 이루어지고, 용접 이후 용접 부위의 표면을 처리하는 작업이 시행되고 있다. In order to manufacture ships and buildings, a lot of welding work is performed, and after welding, the work of treating the surface of the welded area is being carried out.

일 예로, 철로 만들어지는 선박은 내구 수명을 증진시키기 위해 도장 작업이 이루어지며, 도장 이전에 표면을 깨끗하게 하는 전처리 작업이 실시된다. For example, a ship made of iron is painted in order to improve its durability, and a pretreatment work is performed to clean the surface before painting.

이러한 전처리 작업은 선박을 건조하는 과정에서 여러 차례 실시되며, 대조립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블록 전체에 대한 블라스팅 작업은 매우 중요하다. 블라스팅 작업은 압축 공기에 철 연마재를 섞어 매우 빠른 속도로 분사하여 철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이다. This pretreatment work is carried out several times in the process of building the ship, and the blasting work for the entire block performed in the control step is very important. Blasting is an operation that removes foreign substances from the iron surface by mixing iron abrasives with compressed air and spraying them at a very high speed.

보호구를 갖춘 작업자가 분사 노즐이 달린 호스를 블록 안으로 가지고 들어가 블라스팅 작업하게 되는데, 어둡고 분진이 많이 발생하여 시야 확보가 어려울 뿐 아니라, 복잡한 블록의 형태로 인해 자세를 잡는 것도 매우 힘든 작업이다. A worker equipped with a protective gear takes a hose with a spray nozzle into the block and performs blasting.It is not only difficult to secure visibility because it is dark and dusty, but it is also very difficult to establish a posture due to the complex shape of the block.

중, 대형 선박 1척을 건조하는 경우, 250 내지 400개의 선체 블록들이 만들어지며, 선체 블록 내부에는 용접 셀이 수백 개 정도 존재하여 1척의 선박을 건조하기 위해 무수히 많은 수직 교차부들이 용접되어야 한다. In the case of building one medium and large ship, 250 to 400 hull blocks are made, and hundreds of welding cells exist inside the hull block, so numerous vertical intersections must be welded to build one ship.

일반적으로 대형 선박의 안쪽 내벽 등에는 도 1에 예시된 형상의 블록 조립체가 조립 설치된다.In general, a block assembly of the shape illustrated in FIG. 1 is assembled and installed on an inner wall of a large ship.

도 1을 참조하면, 블록 조립체는 다수개의 티바(T-BAR)(100)가 일정 간격으로 용접된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120)와, 다수개의 지지 브래킷(130)이 용접된 수직 지지대(140)가 서로 수직으로 용접 결합되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block assembly includes a base plate 120 to which a plurality of T-bars 100 are weld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vertical support to which a plurality of support brackets 130 are welded ( 140) is formed by welding vertically to each other.

티바(100)는 플랜지(100a)의 중심부를 따라 웨브(100b)가 직각 방향으로 부착되어 단면이 T 모양의 긴 막대기처럼 형성된다. 선박의 뼈대라고 할 수 있는 티바(100)는 각각의 블록 조립체에서 강성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대로서 블록의 하부면과 상부면 등의 다양한 위치에 용접 결합된다.T-bar 100 has a web 100b attached in a right angle direction along the center of the flange 100a, so that the cross section is formed like a T-shaped long stick. The t-bar 100, which can be called the skeleton of a ship, is a support for maintaining rigidity in each block assembly, and is welded to various positions such as a lower surfac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block.

그러나, 티바(100)를 형성하는 플랜지(100a)와 웨브(100b)의 용접 형상에서, 티바(100)의 용접선은 보이지 않는 이면부에 해당된다. However, in the welding shape of the flange 100a and the web 100b forming the t-bar 100, the weld line of the t-bar 100 corresponds to the invisible back surface.

따라서, 이면부에 해당하는 티바(100)의 용접선 부위에 블라스팅 작업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블록의 하부면에 용접 결합된 티바(100)의 경우에는 그 아래쪽에 엎드리거나 누워서 작업할 수 밖에 없고, 또한 블록의 상부면에 용접 결합된 티바(100)의 경우에는 작업대를 받치고 올라서거나 팔을 높이 들어 작업할 수 밖에 없다.Therefore, in order to perform the blasting operation on the welding line portion of the t-bar 100 corresponding to the rear part, the operator has to work while lying on or lying on the lower side of the t-bar 100 wel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lock.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t-bar 100 wel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there is no choice but to work by supporting the worktable and raising the arm.

그러나, 이러한 작업 자세는 작업자의 블라스팅 작업을 곤란하게 만들뿐 아니라,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하여 작업자의 건강을 해할 우려가 있다.However, such a working posture not only makes the blasting work of the worker difficult, but also causes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there is a concern that the worker's health is harmed.

한국특허공개 제10-2013-0131981호(블라스팅 노즐 장치)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31981 (blasting nozzle device)

본 발명은 이면부에 해당하는 티바의 용접선 부위에 대한 블라스팅 작업을 작업자가 편안한 자세에서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블라스팅 노즐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asting nozzle device that enables an operator to quickly perform a blasting operation on a welding line portion of a t-bar corresponding to a rear surface portion in a comfortable position.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bjects other tha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블라스팅 장치의 연마제 공급 호스에 연결되는 중공 구조의 체결 부재; 및 중공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 부재와 연통하도록 상기 체결 부재의 일 단부측에 각각 연결되는 2개의 연마제 배출부를 포함하는 블라스팅 노즐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llow structure fastening member connected to an abrasive supply hose of a blasting device; And two abrasive discharging portions formed in a hollow structure and connected to one end side of the fastening member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fastening member.

지팡이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2개의 연마제 배출부 각각은 지팡이의 손잡이 형상 부분이 서로 마주보는 형상이 되도록 상기 체결 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Each of the two abrasive discharging portions formed in a wand shape may be connected to the fastening member so that the handle-shaped portions of the wand face each other.

중공 구조의 상기 블라스팅 노즐 장치는 철 재질로 형성된 표면층과, 상기 표면층에 접촉되는 초경 합금 재질의 접촉 내층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blasting nozzle device having a hollow structure may be formed to have a surface layer formed of an iron material and a contact inner layer of a cemented carbide material in contact with the surface layer.

블라스팅 노즐 장치는, 휠; 및 상기 휠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2개의 연마제 배출부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평면 휠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블라스팅 작업될 티바가 상기 체결 부재와 상기 손잡이 형상 부분의 사이에 위치될 때, 상기 휠이 블라스팅 작업될 티바의 플랜지에서 가장 먼 웨브의 평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지지부는 상대적으로 상기 체결 부재에 근접된 위치에서 상기 2개의 연마제 배출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The blasting nozzle device includes: a wheel; And a flat wheel unit including a support portion coupled to the wheel so as to be rotatable and supported by the two abrasive discharge portions. Here, when the t-bar to be blasted is positioned between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handle-shaped part, the support part is relatively close to the fastening member so that the wheel contacts the plane of the web farthest from the flange of the t-bar to be blasted. It can be supported by the two abrasive discharging portions in the positioned position.

상기 2개의 연마제 배출부 각각에는 대응되는 연마제 배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조정되거나 미리 지정된 고정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휠을 포함하는 사면 휠 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휠은 블라스팅 작업될 티바의 웨브 모서리에 접촉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Each of the two abrasive discharging units may be provided with a slope wheel unit including a wheel that is positioned along a length direction of the corresponding abrasive discharging unit or is fastened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fixed position. Here, the wheel may be positioned to contact the web edge of the t-bar to be blasted.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면부에 해당하는 티바의 용접선 부위에 대한 블라스팅 작업을 작업자가 편안한 자세에서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allowing a worker to quickly perform a blasting operation on a welding line portion of a t-bar corresponding to a back surface portion in a comfortable posture.

도 1은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블록 조립체의 요부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노즐 장치와 블라스팅 장치의 결합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노즐 장치의 동작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노즐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노즐 장치의 동작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노즐 장치의 동작 상태도.
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block assembly of a ship or offshore struct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mbination of a blasting nozzle device and a bla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blasting nozz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lasting nozz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a blasting nozz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blasting nozz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은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다소 과장하여 도시된 것으로서, 첨부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 요소의 크기로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or related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somewhat exagger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understanding, and it is natural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ize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노즐 장치와 블라스팅 장치의 결합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노즐 장치의 동작 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노즐의 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 각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블라스팅 노즐 장치의 동작 상태도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mbination of a blasting nozzle device and a bla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the blasting nozz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lasting nozzle according to. 5 and 6 are each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blasting nozzle apparatus according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노즐 장치(250)는 연마제 공급 호스(225)에 의해 블라스팅 장치(200)에 연결된다. Referring to FIG. 2, the blasting nozzle device 2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blasting device 200 by an abrasive supply hose 225.

블라스팅 장치(200)는 연마재 저장 탱크(210), 압축 공기 공급부(220) 및 컨트롤러(230)를 포함한다. The blasting apparatus 200 includes an abrasive storage tank 210, a compressed air supply unit 220 and a controller 230.

연마제 저장 탱크(210)에는 연마제가 저장되고, 압축 공기 공급부(220)는 연마제 저장 탱크(210)에 저장된 연마제를 압축 공기와 함께 연마제 공급 호스(225)를 통해 블라스팅 노즐 장치(250) 측으로 고압 분사하기 위해 압축 공기를 공급한다. 컨트롤러(230)는 연마제 저장 탱크(210)에서 연마제가 유출되는 것을 단속하는 밸브(215)와 압축 공기 공급부(220)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abrasive is stored in the abrasive storage tank 210, and the compressed air supply unit 220 sprays the abrasive stored in the abrasive storage tank 210 together with compressed air to the blasting nozzle device 250 side through the abrasive supply hose 225 To supply compressed air. The controller 23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valve 215 and the compressed air supply unit 220 to control the outflow of the abrasive from the abrasive storage tank 210.

연마제 공급 호스(225)를 통해 블라스팅 노즐 장치(250)로 공급되는 연마제는 중공 구조인 블라스팅 노즐 장치(250)의 내부에 형성된 연마제 배출 공간을 통해 외부로 고압 분사되어 용접선 부위 등 티바(100)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The abrasive supplied to the blasting nozzle device 250 through the abrasive supply hose 225 is sprayed with high pressure to the outside through the abrasive discharge space formed inside the blasting nozzle device 250 having a hollow structure, Remove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surface.

중공 구조로 형성되는 블라스팅 노즐 장치(250)는 연마제 공급 호스(225)에 체결되는 체결 부재(254)와, 체결 부재(254)의 일 단부측에 각각 고정된 2개의 연마제 배출부를 포함한다. 2개의 연마제 배출부 각각은 지팡이 형상으로 형성되고, 지팡이의 손잡이 형상 부분이 서로 마주보는 형상(대칭 형상)으로 체결 부재(254)의 일 단부측에 고정된다. The blasting nozzle device 250 formed in a hollow structure includes a fastening member 254 fastened to the abrasive supply hose 225 and two abrasive discharging parts each fixed to one end side of the fastening member 254. Each of the two abrasive discharge portions is formed in a wand shape, and the handle-shaped portions of the wand are fixed to one end side of the fastening member 254 in a shape (symmetrical shape) facing each other.

연마제 배출부는 체결 부재(254)의 일 단부측에 연마제 배출 공간이 연통하도록 고정된 제1 배출 부재(251), 제1 배출 부재(251)로부터 미리 지정된 각도만큼 꺽인 형상으로 제1 배출 부재(251)의 타 단부측에 연마제 배출 공간이 연통하도록 고정된 제2 배출 부재(252), 제2 배출 부재(252)로부터 미리 지정된 각도만큼 꺽인 형상으로 제2 배출 부재(252)의 타 단부측에 연마제 배출 공간이 연통하도록 고정되고 단부가 개방된 제3 배출 부재(25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3 배출 부재(251, 252, 253)는 서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지팡이 형상을 형성한다. 이때, 제1 배출 부재(251)와 제3 배출 부재(253)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미리 지정된 각도 차이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abrasive discharging part is a first discharging member 251 fixed to one end side of the fastening member 254 so that the abrasive discharging space communicates, and a first discharging member 251 in a shape bent by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first discharging member 251. ) To the other end side of the second discharging member 252 in a shape bent by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second discharging member 252 and the second discharging member 252 fixed to communicate with the abrasive discharging space. The discharge space may include a third discharge member 253 fix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open ends, and the first to third discharge members 251, 252, and 25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cane shape as a whole. In this case, the first discharge member 251 and the third discharge member 253 may b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or may be dispos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difference.

또한 제3 배출 부재(253)는 제1 배출 부재(251)와 내경이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제3 배출 부재(253)가 제1 배출 부재(251)에 비해 내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경우, 제3 배출 부재(253)는 단부 측으로 갈수록 점차 내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third discharge member 253 may have the same inner diameter as the first discharge member 251 or may be formed to be relatively small. When the third discharge member 253 has an inner diameter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discharge member 251, the third discharge member 253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end side.

도 2에는 제1 내지 제3 배출 부재(251, 252, 253)에 의해 연마제 배출부가 형성되는 경우가 예시되었으나, 지팡이 형상을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배출 부재의 수는 이외에도 다양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2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abrasive discharge part is formed by the first to third discharge members 251, 252, 253, but it is natural that the number of discharge members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wand shape may be various other than that. .

중공 구조로 형성된 블라스팅 노즐 장치(250)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표면층(410)은 철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표면층에 접촉하는 접촉 내층(420)은 초경 합금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블라스팅 노즐 장치(250)의 재질이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또한 블라스팅 노즐 장치(250)의 단면 형상은 원형, 사각형 형상 등으로 다양할 수 있다. In the blasting nozzle device 250 formed in a hollow structure, as illustrated in FIG. 4, the surface layer 410 may be formed of an iron material, and the contact inner layer 420 in contact with the surface layer may be formed of a cemented carbide material. Of course, it is natural that the material of the blasting nozzle device 250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blasting nozzle device 250 may be varied in a circular shape or a square shape.

도 3에는 블라스팅 노즐 장치(250)의 동작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blasting nozzle device 250.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블라스팅 노즐 장치(250)는 이면부에 해당하는 티바(100)의 용접선 부위에 블라스팅 작업을 실시하기 위해 티바(100)를 구성하는 웨브(100b)의 양측 모서리에 제1 배출 부재(251)의 표면을 접촉시키면, 제3 배출 부재(253)의 단부에서 고압 분사되는 연마제가 용접선 부위에 도달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3, the blasting nozzle device 250 is made at both corners of the web 100b constituting the tee bar 100 in order to perform a blasting operation on the welding line of the tee bar 100 corresponding to the back surface 1 When the surface of the discharge member 251 is contacted, the abrasive sprayed at high pressure from the end of the third discharge member 253 may be formed in a shape such that it reaches the welding line.

즉, 블라스팅 장치(200)에서 공급되는 연마제는 중공 구조인 블라스팅 노즐 장치(250), 즉 체결 부재(254), 제1 내지 제3 배출 부재(253)의 배출 공간을 통해 티바(100)의 표면에 미리 지정된 분사력(①)으로 고압 분사된다. That is, the abrasive supplied from the blasting device 200 is a blasting nozzle device 250 having a hollow structure, that is, the surface of the T-bar 100 through the discharge space of the fastening member 254 and the first to third discharge members 253 It is sprayed at high pressure with the spraying force (①) specified in advance.

이때, 연마제가 연마제 배출부의 배출 공간을 지나는 과정에서 연마제 배출부의 형상에 따른 반력(②)이 발생되고, 블라스팅 노즐 장치(250)는 각 연마체 배출부에 발생되는 반력(②)들의 합력의 방향(즉, 티바(100)쪽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밀착력(③)이 발생된다. 만일 제1 배출 부재(251)와 제3 배출 부재(253)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경우라면, 분사력(①)의 반대 방향으로 반력(②)이 발생될 것이다.At this time, a reaction force (②)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abrasive discharge part is generated while the abrasive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space of the abrasive discharge part, and the blasting nozzle device 250 is the direction of the resultant force of the reaction forces (②) generated in each abrasive discharge part. (In other words, the adhesion force (③) is generated in the direction approaching the t-bar (100). If the first discharge member 251 and the third discharge member 253 ar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a reaction force (②) will be gener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injection force (①).

연마제를 고압 분사할 때 발생되는 밀착력(③)은 블라스팅 노즐 장치(250)의 제1 배출 부재(251)가 티바(100)의 웨브(110b)의 모서리에 보다 효과적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The adhesion force (③) generated when the abrasive is sprayed at high pressure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the first discharge member 251 of the blasting nozzle device 250 to more effectively adhere to the edge of the web 110b of the t-bar 100.

특히, 블록의 상부면에 용접 부착된 티바(100)에 대한 작업시(즉, 위보기 작업시), 작업자가 블라스팅 노즐 장치(250)을 들고 있는 작업 상태는 다소 힘을 요구하는 작업이지만, 작업 중에 분사되는 압축 공기의 힘(즉, 전술한 반력(②))으로 블라스팅 노즐 장치(250)가 티바(100)에 밀착되므로 작업자가 블라스팅 노즐 장치(250)를 드는 힘이 경감될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working on the t-bar 100 wel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that is, when working on the top), the working state in which the operator is holding the blasting nozzle device 250 is a work that requires some force Since the blasting nozzle device 25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bar 100 by the force of the compressed air injected therein (that is, the aforementioned reaction force (②)), the force that the operator lifts the blasting nozzle device 250 may be reduced.

또한, 작업자가 블라스팅 노즐 장치(250)를 이용하여 티바(100)의 용접선 부위에 대한 전처리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도 5 및 도 6에 각각 예시된 바와 같이 블라스팅 노즐 장치(250)는 평면 휠 유닛(500) 및/또는 사면 휠 유닛(60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pretreatment of the welding line portion of the t-bar 100 by the operator using the blasting nozzle device 250, the blasting nozzle device 250 is a flat wheel as illustrated in FIGS. 5 and 6, respectively. A unit 500 and/or a slope wheel unit 600 may be further provided.

도 5를 참조하면, 블라스팅 노즐 장치(250)은 평면 휠 유닛(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평면 휠 유닛(500)은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휠(510)과, 서로 대향하는 제1 배출 부재(251)에 의해 각각 지지되고 휠(510)이 회전 동작되도록 결합하는 지지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blasting nozzle device 250 may further include a flat wheel unit 500. The flat wheel unit 500 includes a wheel 510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a support part 520 that is supported by a first discharge member 251 facing each other and coupled to rotate the wheel 510. can do.

작업자는 휠(510)이 티바(100)의 웨브(100b) 평면에 접촉하도록 블라스팅 노즐 장치(250)를 이동시킴으로써 작업 위치를 쉽고 정확하게 맞출 수 있을 뿐 아니라, 휠(510)의 회전 동작에 의해 티바(100)의 웨브(100b)의 길이 방향으로 블라스팅 노즐 장치(250)를 이동시킬 때 필요한 힘을 경감시키는 장점이 있다. The operator can easily and accurately adjust the working position by moving the blasting nozzle device 250 so that the wheel 510 contacts the plane of the web 100b of the tee bar 100, as well as the rotating operation of the wheel 510. There is an advantage of reducing the force required when moving the blasting nozzle device 25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eb 100b of (100).

또한, 블라스팅 노즐 장치(250)는 제1 배출 부재(25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미리 지정된 위치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된 사면 휠 유닛(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면 휠 유닛(600)은 예를 들어 원뿔대 형상, 원통 형상, 모래시계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lasting nozzle device 250 may further include a slope wheel unit 600 fixed to be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discharge member 251 or rotatabl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slope wheel unit 600 may be formed in, for example, a truncated cone shape, a cylindrical shape, an hourglass shape, or the like.

사면 휠 유닛(600)은 제1 배출 부재(251)와 티바(100)의 웨브(100b)의 모서리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웨브(100b)의 길이 방향으로 블라스팅 노즐 장치(250)를 이동시킬 때 발생되는 마찰력을 사면 휠 유닛(600)의 회전 동작으로 분산시킴으로써 블라스팅 노즐 장치(25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웨브(100b)의 길이 방향으로 블라스팅 노즐 장치(250)를 이동시킬 때 필요한 힘을 경감시키는 장점도 있다.The slope wheel unit 600 moves the blasting nozzle device 25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eb 100b so that the first discharge member 251 and the edge of the web 100b of the t-bar 100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damage to the blasting nozzle device 250 by dispersing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during the rotation by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wheel unit 600 on the slope.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reducing the force required when moving the blasting nozzle device 25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eb 100b.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variously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And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can be changed.

100 : 티바 100a : 플랜지
100b : 웨브 120 : 베이스 플레이트
130 : 지지 브래킷 140: 수직 지지대
200 : 블라스팅 장치 210 : 연마제 저장 탱크
215 : 밸브 220 : 압축 공기 공급부
225 : 연마제 공급 호스 230 : 컨트롤러
250 : 블라스팅 노즐 장치 251, 252, 253 : 배출 부재
254 : 체결 부재 410 : 표면층
420 : 접촉 내층 500 : 평면 휠 유닛
510 : 휠 520 : 지지부
600 : 사면 휠 유닛
100: tiva 100a: flange
100b: web 120: base plate
130: support bracket 140: vertical support
200: blasting device 210: abrasive storage tank
215: valve 220: compressed air supply
225: abrasive supply hose 230: controller
250: blasting nozzle device 251, 252, 253: discharge member
254: fastening member 410: surface layer
420: contact inner layer 500: flat wheel unit
510: wheel 520: support
600: slope wheel unit

Claims (5)

블라스팅 장치의 연마제 공급 호스에 연결되는 중공 구조의 체결 부재; 및
중공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 부재와 연통하도록 상기 체결 부재의 일 단부측에 각각 연결되는 2개의 연마제 배출부를 포함하는 블라스팅 노즐 장치.
A hollow structure fastening member connected to the abrasive supply hose of the blasting device; And
A blasting nozzle device comprising two abrasive discharge units formed in a hollow structure and connected to one end side of the fastening member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fasten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지팡이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2개의 연마제 배출부 각각은 지팡이의 손잡이 형상 부분이 서로 마주보는 형상이 되도록 상기 체결 부재에 연결되는, 블라스팅 노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two abrasive discharging portions formed in a wand shape is connected to the fastening member so that the handle-shaped portions of the wand face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중공 구조의 상기 블라스팅 노즐 장치는 철 재질로 형성된 표면층과, 상기 표면층에 접촉되는 초경 합금 재질의 접촉 내층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블라스팅 노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lasting nozzle device having a hollow structure is formed to have a surface layer formed of an iron material and a contact inner layer of a cemented carbide material in contact with the surface layer.
제2항에 있어서,
휠; 및
상기 휠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2개의 연마제 배출부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평면 휠 유닛을 더 포함하되,
블라스팅 작업될 티바가 상기 체결 부재와 상기 손잡이 형상 부분의 사이에 위치될 때, 상기 휠이 블라스팅 작업될 티바의 플랜지에서 가장 먼 웨브의 평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지지부는 상대적으로 상기 체결 부재에 근접된 위치에서 상기 2개의 연마제 배출부에 의해 지지되는, 블라스팅 노즐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el; And
The wheel is coupled to be rotatable and further comprises a flat wheel unit including a support portion supported by the two abrasive discharge portions,
When the t-bar to be blasted is positioned between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handle-shaped portion, the support portion is relatively close to the fastening member so that the wheel contacts the plane of the web farthest from the flange of the t-bar to be blasted. In the blasting nozzle device supported by the two abrasive discharge uni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연마제 배출부 각각에는 대응되는 연마제 배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조정되거나 미리 지정된 고정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휠을 포함하는 사면 휠 유닛이 구비되되,
상기 휠은 블라스팅 작업될 티바의 웨브 모서리에 접촉되도록 위치되는, 블라스팅 노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two abrasive discharging units is provided with a slope wheel unit including a wheel that is position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rresponding abrasive discharging unit or is fastened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fixed position,
The blasting nozzle arrangement, wherein the wheel is positioned to contact the web edge of the tiva to be blasted.
KR1020190100944A 2019-08-19 2019-08-19 Blasting nozzle device KR2021002170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944A KR20210021704A (en) 2019-08-19 2019-08-19 Blasting nozz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944A KR20210021704A (en) 2019-08-19 2019-08-19 Blasting nozzl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1704A true KR20210021704A (en) 2021-03-02

Family

ID=75169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0944A KR20210021704A (en) 2019-08-19 2019-08-19 Blasting nozz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1704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1981A (en) 2012-05-25 2013-12-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Blasting nozzle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1981A (en) 2012-05-25 2013-12-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Blasting nozzle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52664A (en) Pipeline system processor
KR850000335B1 (en) Dock device
US4027433A (en) Sand blasting apparatus
US20090235961A1 (en) High-Pressure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Scale from a Tank
JPH0451381B2 (en)
JPH06226156A (en) Automatic coating device
US20020179123A1 (en) Fluidized cleaning and sca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2836013A (en) Sand blasting apparatus
KR20210021704A (en) Blasting nozzle device
CN102872996A (en) Pre-coating device and pre-coating method
JP5721090B1 (en) Rotating nozzle head for frame scaffold cleaning
JP6052683B2 (en) Stripe coat painting tool and painting equipment equipped with the same
CN106807575B (en) Multifunctional wall-climbing paint spraying robot
JP2984596B2 (en) Surface maintenance equipment for heat exchange panels
CN206917669U (en) A kind of split type shotcrete robot
JP306256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craping and cleaning coating skeleton layer of ship outer panel
JP5485029B2 (en) Spraying system
KR102582214B1 (en) Crawler robot
US6408785B1 (en) Device for wetting flexible mat-shaped carrier materials
CN216459539U (en) Steel sheet processingequipment that sprays paint
JPH044845Y2 (en)
CN219400691U (en) Steel construction paint spraying apparatus
CN217450697U (en) Spraying device for road and bridge
USRE30289E (en) Sand blasting apparatus
KR100954178B1 (en) The spray nozzle van and the cut system which processes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