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0792A -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0792A
KR20210020792A KR1020200097266A KR20200097266A KR20210020792A KR 20210020792 A KR20210020792 A KR 20210020792A KR 1020200097266 A KR1020200097266 A KR 1020200097266A KR 20200097266 A KR20200097266 A KR 20200097266A KR 20210020792 A KR20210020792 A KR 20210020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display area
information
area
pix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대희
김보성
박준훈
육지홍
한성우
최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Priority to CN202010819879.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2397007A/zh
Priority to US16/993,909 priority patent/US11295661B2/en
Publication of KR20210020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7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2Powering on the client, e.g. bootstrap loading using setup parameters being stored locally or received from the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04N5/2257
    • H04N5/2324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화소들이 구비되고, 제1 표시 영역 및 광학 모듈과 중첩되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복수의 화소들 각각에 대한 표시 영역 정보 및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 사이의 경계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계 영역에 구비된 화소들에 대한 경계 정보를 생성하고, 광학 모듈의 동작이 확인되면, 표시 영역 정보 및 경계 정보를 기초로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정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에 보정된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CONTROLL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또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디스플레이 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카메라 모듈, 센서 모듈 등의 전자 모듈이 내장 또는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에 카메라 모듈, 센서 모듈 등의 전자 모듈을 내장 또는 설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카메라를 안착시키기 위하여 카메라 홀을 형성하고, 카메라 홀에 카메라를 배치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 내에 카메라 홀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카메라 홀이 형성된 영역에는 영상이 표시되지 않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이 단절되고 사용자에게 인지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베젤 영역에 카메라 홀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베젤 영역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카메라와 중첩되는 영역에서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와 중첩되는 영역에 구비된 화소에 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와 중첩되는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을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 동작시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생된 광으로 인한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화소들이 구비되고, 제1 표시 영역 및 광학 모듈과 중첩되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복수의 화소들 각각에 대한 표시 영역 정보 및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 사이의 경계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계 영역에 구비된 화소들에 대한 경계 정보를 생성하고, 광학 모듈의 동작이 확인되면, 표시 영역 정보 및 경계 정보를 기초로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정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에 보정된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컨트롤러는 제1 표시 영역 보다 해상도가 작은 제2 표시 영역의 형상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화소들 각각에 대한 표시 영역 정보를 생성하는 표시 영역 정보 생성부, 제2 표시 영역의 형상 정보를 기초로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 사이의 경계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계 영역에 구비된 화소들에 대한 경계 정보를 생성하는 경계 정보 생성부, 광학 모듈의 동작여부를 확인하는 광학 동작 확인부, 광학 모듈의 동작이 확인되면, 표시 영역 정보 및 경계 정보를 기초로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정하는 영상 처리부, 및 디스플레이 패널에 보정된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와 중첩되는 영역에서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넓은 영상 표시면을 제공하고, 카메라가 배치되는 영역에서 영상이 단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모리에 카메라와 중첩되는 영역의 형상 정보를 저장하고, 형상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화소들 각각에 대한 표시 영역 정보 및 경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카메라의 크기, 배치 등이 변경되더라도 메모리에 저장된 카메라와 중첩되는 영역의 형상 정보만 변경하면 되므로, 카메라와 중첩되는 영역의 형상 변경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시작점의 위치 정보, 카메라와 중첩되는 영역의 수직 길이 정보, 라인 별 방향 정보 및 폭 정보만으로도 카메라와 중첩되는 영역의 경계를 쉽게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메모리에 저장되는 정보의 양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적은 용량의 메모리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한 연산을 통해서 카메라와 중첩되는 영역의 경계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표시 영역과 카메라와 중첩되는 표시 영역을 구분하여 제어하기 위한 연산 처리에 부하가 작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 동작시 카메라와 중첩되는 영역에 구비된 화소에 블랙 영상 데이터를 인가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생된 광이 카메라 촬영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 동작시 일반적인 표시 영역과 카메라가 중첩되는 영역의 경계에서 휘도가 점진적으로 감소하거나 증가하도록 조절함으로써, 영역들 간에 휘도 차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휘도 차이가 큰 표시 영역들 사이에서 색감 번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적인 표시 영역과 카메라가 중첩되는 영역 사이에서 계단 형상의 경계가 인지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영역에 구비된 화소들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4는 메모리 및 컨트롤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a는 제2 표시 영역이 U자 형상일 때 시작점, 제2 표시 영역의 수직 길이 및 방향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는 제2 표시 영역이 원 형상일 때 시작점, 제2 표시 영역의 수직 길이 및 방향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좌측 경계 정보 및 우측 경계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U자 형상을 가진 제2 표시 영역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2 표시 영역의 형상 정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경계 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복수의 화소들 각각에 대한 표시 영역 정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경계 영역 및 복수의 화소들 각각에 대한 경계 정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커널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4의 영상 처리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복수의 제1 경계 영역 및 복수의 제2 경계 영역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영상 처리부에 의하여 영상이 보정되는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는 복수의 제1 경계 영역 및 복수의 제2 경계 영역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영상 처리부에 의하여 영상이 보정되는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핵심 구성과 관련이 없는 경우 및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공지된 구성과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은 서로 간의 관계가 수직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인 관계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구성이 기능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보다 넓은 방향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 항목, 제2 항목 또는 제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영역에 구비된 화소들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광학 모듈(120), 패널 구동부(130), 광학 구동부(140), 컨트롤러(150) 및 메모리(16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며, 컬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액정 표시 패널, 플라즈마 표시 패널, 퀀텀닷 발광 표시 패널 또는 전기 영동 표시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화소들이 형성되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DA) 및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비표시 영역(ND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에는 표시 영역(DA) 내의 복수의 신호 배선들에 각종 신호를 공급하는 패널 구동부(130) 및 패널 구동부(130)와 상기 복수의 신호 배선들을 연결하는 링크부(미도시) 등이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복수의 화소들이 배치되어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 영역(D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 영역(DA1) 및 제2 표시 영역(DA2)을 포함한다.
제1 표시 영역(DA1)은 광학 모듈(120)이 배치되는 영역(CA)과 중첩되지 않으며, 광학 모듈(120)의 동작 여부와 상관없이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제1 표시 영역(DA1)은 넓은 면적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DA1)은 적어도 둘 이상의 제1 서브 화소(SP1)들을 포함하는 제1 화소(P1)가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화소(P1)들은 발광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화소(P1)에 포함된 적어도 둘 이상의 제1 서브 화소(SP1)들은 발광 소자가 구비되어 소정의 색 광을 방출하는 발광 서브 화소일 수 있다. 제1 화소(P1)는 적색 광을 방출하는 적색 서브 화소, 녹색 광을 방출하는 녹색 서브 화소 및 청색 광을 방출하는 청색 서브 화소 중 적어도 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소(P1)는 적색 서브 화소 및 녹색 서브 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인접한 제1 화소(P1)는 청색 서브 화소 및 녹색 서브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화소(P1)는 적색 서브 화소, 녹색 서브 화소 및 청색 서브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은 광학 모듈(120)이 배치되는 영역(CA)과 중첩되며, 광학 모듈(120)의 동작 여부에 따라 표시되는 영상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표시 영역(DA2)은 광학 모듈(120)이 동작하지 않으면, 제1 표시 영역(DA1)과 함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반면, 제2 표시 영역(DA2)은 광학 모듈(120)이 동작하면, 영상을 표시하지 않거나 블랙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표시 영역(DA1)에는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은 광학 모듈(120)을 고려하여 크기, 위치 및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은 광학 모듈(120)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표시 영역(DA2)은 내부에 광학 모듈(120)이 배치되는 영역(CA)이 포함되는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표시 영역(DA2)은 적어도 둘 이상의 제2 서브 화소(SP2)들을 포함하는 제2 화소(P2)가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은 제1 표시 영역(DA1)과 달리 복수의 제2 화소(P2)가 발광 화소 및 비발광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화소는 발광 소자가 구비되어 광을 방출하는 영역이고, 비발광 화소는 발광 소자가 구비되지 않고 외부광이 투과되는 영역일 수 있다. 즉, 제2 표시 영역(DA2)에는 제1 표시 영역(DA1)과 달리 발광 소자가 구비되지 않고 외부광이 투과되는 영역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화소(P2)들 중 발광 화소에 포함된 적어도 둘 이상의 제2 서브 화소(SP2)들은 발광 소자가 구비되어 소정의 색 광을 방출하는 발광 서브 화소일 수 있다. 제2 화소(P2)들 중 발광 화소는 적색 광을 방출하는 적색 서브 화소, 녹색 광을 방출하는 녹색 서브 화소 및 청색 광을 방출하는 청색 서브 화소 중 적어도 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화소(P2)들 중 발광 화소는 적색 서브 화소 및 녹색 서브 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인접한 제2 화소(P2)들 중 발광 화소는 청색 서브 화소 및 녹색 서브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화소(P2)들 중 발광 화소는 적색 서브 화소, 녹색 서브 화소 및 청색 서브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화소(P2)들 중 비발광 화소에 포함된 적어도 둘 이상의 제2 서브 화소(SP2)들은 발광 소자가 구비되지 않고 외부광이 투과되는 비발광 서브 화소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2 표시 영역(DA2)은 단위 화소 영역(UPA)에 구비된 발광 서브 화소의 개수가 제1 표시 영역(DA1) 보다 작을 수 있다. 예컨대, 제2 표시 영역(DA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화소 영역(UPA)에 4개의 발광 서브 화소가 구비되는 반면, 제1 표시 영역(DA1)은 단위 화소 영역(UPA)에 16개의 발광 서브 화소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의 광 투과도는 단위 화소 영역(UPA)에 구비되는 발광 서브 화소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단위 화소 영역(UPA)에 구비되는 발광 서브 화소의 개수가 커지면, 제2 표시 영역(DA2)의 휘도 및 해상도는 높아지나, 제2 표시 영역(DA2)의 광 투과도는 작아질 수 있다. 한편, 단위 화소 영역(UPA)에 구비되는 발광 서브 화소의 개수가 작아지면, 제2 표시 영역(DA2)의 휘도 및 해상도는 작아지나, 제2 표시 영역(DA2)의 광 투과도는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제2 표시 영역(DA2)의 휘도, 해상도 및 광 투과도를 고려하여 발광 서브 화소의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표시 영역(DA1) 및 제2 표시 영역(DA2)은 투과도 및 해상도가 상이할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DA1)은 제1 투과도를 가질 수 있으며, 제2 표시 영역(DA2)은 제1 투과도 보다 높은 제2 투과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표시 영역(DA1)은 제1 해상도를 가질 수 있으며, 제2 표시 영역(DA2)은 제1 해상도 보다 작은 제2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광학 모듈(12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 모듈(12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표시 영역(DA), 특히, 제2 표시 영역(DA2)에 중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광학 모듈(12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통해 입력되는 외부광을 이용하는 모든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광학 모듈(120)은 카메라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광학 모듈(120)은 조도 센서, 지문 센서 등일 수도 있다.
패널 구동부(130)는 컨트롤러(15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패널 구동부(130)는 게이트 구동부 및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게이트 구동부는 컨트롤러(150)로부터 입력된 게이트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게이트 라인들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신호들을 생성한다. 게이트 구동부는 생성된 게이트 신호들을 게이트 라인들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포함된 화소들(P1, P2) 각각의 서브 화소들(SP1, SP2)에 공급한다.
데이터 구동부는 컨트롤러(150)로부터 데이터 제어 신호 및 영상 데이터 신호를 입력 받는다. 데이터 구동부는 컨트롤러(15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디지털 형태의 영상 데이터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영상 데이터 신호로 변환한다. 데이터 구동부는 변환된 영상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라인들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포함된 화소들(P1, P2) 각각의 서브 화소들(SP1, SP2)에 공급한다.
광학 구동부(140)는 컨트롤러(15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광학 모듈(120)의 구동을 제어한다.
메모리(160)는 제2 표시 영역(DA2)의 형상 정보를 저장한다. 제2 표시 영역(DA2)의 형상 정보는 시작점의 위치 정보,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수직 길이 정보,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경계를 나타내는 라인 별 방향 정보 및 폭 정보를 포함한다.
컨트롤러(15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제2 표시 영역(DA2)의 형상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1 표시 영역(DA1) 및 제2 표시 영역(DA2)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정한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50)는 제2 표시 영역(DA2)의 형상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화소들 각각에 대한 표시 영역 정보 및 경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복수의 화소들 각각에 대한 표시 영역 정보 및 경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정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보정된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메모리(160) 및 컨트롤러(15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메모리 및 컨트롤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a는 제2 표시 영역이 U자 형상일 때 시작점, 제2 표시 영역의 수직 길이 및 방향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b는 제2 표시 영역이 원 형상일 때 시작점, 제2 표시 영역의 수직 길이 및 방향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좌측 경계 정보 및 우측 경계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U자 형상을 가진 제2 표시 영역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2 표시 영역의 형상 정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경계 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복수의 서브 화소들 각각에 대한 표시 영역 정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경계 영역 및 복수의 화소들 각각에 대한 경계 정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커널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2을 참조하면, 메모리(160)는 제2 표시 영역(DA2)의 형상 정보를 저장하고, 컨트롤러(15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제2 표시 영역(DA2)의 형상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1 표시 영역(DA1) 및 제2 표시 영역(DA2)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정한다.
제2 표시 영역(DA2)의 형상 정보는 시작점의 위치 정보, 제2 표시 영역(DA2)의 수직 길이 정보, 제2 표시 영역(DA2)의 중심축(C)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경계에 관한 좌측 경계 정보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DA2)의 중심축(C)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경계에 관한 우측 경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시작점의 위치 정보는 제2 표시 영역(DA2)의 경계의 어느 지점에서의 X축, Y축 좌표값을 포함할 수 있다. 시작점은 제2 표시 영역(DA2)의 형상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표시 영역(DA2)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이 U자 형상을 가지는 경우, 시작점은 복수개일 수 있다. 시작점은 중심축(C)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1 시작점(S1) 및 중심축(C)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2 시작점(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시작점(S1)의 위치 정보는 제1 시작점(S1)의 X축의 값(notch_s1x) 및 제1 시작점(S1)의 Y축의 값(notch_sy)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시작점(S2)의 위치 정보는 제2 시작점(S2)의 X축의 값(notch_s2x) 및 제2 시작점(S2)의 Y축의 값(notch_sy)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시작점(S1)과 제2 시작점(S2)은 Y축의 값이 동일하고, X축의 값이 상이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 시작점(S1)과 제2 시작점(S2)은 Y축의 값 및 X축의 값이 모두 상이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제2 표시 영역(DA2)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이 원 형상을 가지는 경우, 시작점은 한개일 수 있다. 시작점은 중심축(C)에 위치하는 제3 시작점(S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시작점(S3)의 위치 정보는 제3 시작점(S3)의 X축의 값(circle_sx) 및 제3 시작점(S3)의 Y축의 값(circle_sy)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의 수직 길이 정보는 제2 표시 영역(DA2)의 형상의 수직 길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의 형상의 길이는 제2 표시 영역(DA2)의 경계를 이루는 복수의 점들의 좌표값들에서 가장 작은 Y축의 값과 가장 큰 Y축의 값의 차이에 상응할 수 있다. 이때, 시작점의 Y축의 값이 가장 작은 Y축의 값 또는 가장 큰 Y축의 값일 수 있다.
일 예로, 제2 표시 영역(DA2)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 형상을 가지는 경우, 제2 표시 영역(DA2)의 수직 길이 정보는 제2 표시 영역(DA2)의 경계를 이루는 복수의 점들 각각과 제1 시작점(S1) 간의 수직 길이 중 가장 큰 값(notch_hei)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표시 영역(DA2)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 형상을 가지는 경우, 제2 표시 영역(DA2)의 수직 길이 정보는 제2 표시 영역(DA2)의 경계를 이루는 복수의 점들 각각과 제3 시작점(S3) 간의 수직 길이 중 가장 큰 값(circle_hei)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경계 정보는 제2 표시 영역(DA2)의 중심축(C)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경계에 관한 정보로서, 시작점으로부터 수직 길이 내에 배치된 복수의 라인들 각각에 대한 방향 정보 및 폭 정보를 포함한다.
좌측 경계 정보는 시작점이 위치하는 제1 라인부터 제n 라인 각각에 대한 방향 정보 및 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n은 제2 표시 영역(DA2)의 수직 길이에 상응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표시 영역(DA2)의 수직 길이가 20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좌측 경계 정보는 시작점이 위치하는 제1 라인부터 제20 라인까지, 20개의 라인들 각각에 대한 방향 정보 및 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경계 정보에 포함된 방향 정보는 제2 표시 영역(DA2)의 중심축(C)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경계가 제1 라인에서 제n 라인까지 이동하면서 이동하는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좌측 경계 정보에 포함된 방향 정보는 이전 라인에 구비된 좌측 경계가 해당 라인에 구비된 좌측 경계 보다 중심축(C)과의 거리가 같거나 작으면 제1 방향값을 가질 수 있다. 즉, 좌측 경계 정보에 포함된 방향 정보는 좌측 경계가 중심축(C)과 평행하거나 멀어지면 제1 방향값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좌측 경계 정보에 포함된 방향 정보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경계가 중심축(C)과 평행하면 제1 방향값, 0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좌측 경계 정보에 포함된 방향 정보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경계가 중심축(C)으로부터 멀어지면 제1 방향값, 0을 가질 수 있다.
좌측 경계 정보에 포함된 방향 정보는 이전 라인에 구비된 좌측 경계가 해당 라인에 구비된 좌측 경계 보다 중심축(C)과의 거리가 크면 제2 방향값을 가질 수 있다. 즉, 좌측 경계 정보에 포함된 방향 정보는 좌측 경계가 중심축(C)에 가까워지면 제2 방향값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좌측 경계 정보에 포함된 방향 정보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경계가 중심축(C)에 가까워지면 제2 방향값, 1을 가질 수 있다.
좌측 경계 정보에 포함된 폭 정보는 제1 라인에서 제n 라인 각각에서의 좌측 경계의 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폭은 해당 라인에 구비된 경계 화소 또는 경계 서브 화소의 개수에 상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폭이 해당 라인에 구비된 경계 화소의 개수에 상응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좌측 경계 정보에 포함된 폭 정보는 제1 라인에서 제n 라인 각각에서의 좌측 경계의 폭을 순차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우측 경계 정보는 제2 표시 영역(DA2)의 중심축(C)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경계에 관한 정보로서, 시작점으로부터 수직 길이 내에 배치된 복수의 라인들 각각에 대한 방향 정보 및 폭 정보를 포함한다.
우측 경계 정보는 시작점이 위치하는 제1 라인부터 제n 라인 각각에 대한 방향 정보 및 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n은 제2 표시 영역(DA2)의 수직 길이에 상응할 수 있다.
우측 경계 정보에 포함된 방향 정보는 제2 표시 영역(DA2)의 중심축(C)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경계가 제1 라인에서 제n 라인까지 이동하면서 이동하는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측 경계 정보에 포함된 방향 정보는 이전 라인에 구비된 우측 경계가 해당 라인에 구비된 우측 경계 보다 중심축(C)과의 거리가 같거나 작으면 제1 방향값을 가질 수 있다. 즉, 우측 경계 정보에 포함된 방향 정보는 우측 경계가 중심축(C)과 평행하거나 멀어지면 제1 방향값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우측 경계 정보에 포함된 방향 정보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경계가 중심축(C)과 평행하면 제1 방향값, 0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우측 경계 정보에 포함된 방향 정보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경계가 중심축(C)으로부터 멀어지면 제1 방향값, 0을 가질 수 있다.
우측 경계 정보에 포함된 방향 정보는 이전 라인에 구비된 우측 경계가 해당 라인에 구비된 우측 경계 보다 중심축(C)과의 거리가 크면 제2 방향값을 가질 수 있다. 즉, 우측 경계 정보에 포함된 방향 정보는 우측 경계가 중심축(C)에 가까워지면 제2 방향값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우측 경계 정보에 포함된 방향 정보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경계가 중심축(C)에 가까워지면 제2 방향값, 1을 가질 수 있다.
우측 경계 정보에 포함된 폭 정보는 제1 라인에서 제n 라인 각각에서의 우측 경계의 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폭은 해당 라인에 구비된 경계 화소 또는 경계 서브 화소의 개수에 상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폭이 해당 라인에 구비된 경계 화소의 개수에 상응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우측 경계 정보에 포함된 폭 정보는 제1 라인에서 제n 라인 각각에서의 우측 경계의 폭을 순차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서는 제1 방향값이 0이고, 제2 방향값이 1인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방향값이 1이고, 제2 방향값이 0일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좌측 경계 정보 및 우측 경계 정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예로, 6개의 라인들 각각에 대한 좌측 경계 정보 및 우측 경계 정보는 8bytes에 저장될 수 있다.
연속하는 3개의 라인들 각각에 대한 방향 정보가 1byte에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8bytes 중 1byte에는 제1 라인에서 좌측경계의 방향 정보(line1 ld), 제1 라인에서 우측경계의 방향 정보(line1 rd), 제2 라인에서 좌측경계의 방향 정보(line2 ld), 제2 라인에서 우측경계의 방향 정보(line2 rd), 제3 라인에서 좌측경계의 방향 정보(line3 ld) 및 제3 라인에서 우측경계의 방향 정보(line3 rd)가 각각 1bit로 순차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연속하는 3개의 라인들 각각에 대한 폭 정보가 3byte에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8bytes 중 3byte에는 제1 라인에서 좌측경계의 폭 정보, 제1 라인에서 우측경계의 폭 정보, 제2 라인에서 좌측경계의 폭 정보, 제2 라인에서 우측경계의 폭 정보, 제3 라인에서 좌측경계의 폭 정보 및 제3 라인에서 우측경계의 폭 정보가 각각 4bits로 순차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전에 저장된 라인들 다음 3개의 라인들 각각에 대한 방향 정보가 1byte에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8bytes 중 1byte에는 제4 라인에서 좌측경계의 방향 정보(line4 ld), 제4 라인에서 우측경계의 방향 정보(line4 rd), 제5 라인에서 좌측경계의 방향 정보(line5 ld), 제5 라인에서 우측경계의 방향 정보(line5 rd), 제6 라인에서 좌측경계의 방향 정보(line6 ld) 및 제6 라인에서 우측경계의 방향 정보(line6 rd)가 각각 1bit로 저장될 수 있다.
이전에 저장된 라인들 다음 3개의 라인들 각각에 대한 폭 정보가 3byte에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8bytes 중 3byte에는 제4 라인에서 좌측경계의 폭 정보, 제4 라인에서 우측경계의 폭 정보, 제5 라인에서 좌측경계의 폭 정보, 제5 라인에서 우측경계의 폭 정보, 제6 라인에서 좌측경계의 폭 정보 및 제6 라인에서 우측경계의 폭 정보가 각각 4bits로 저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예를 들어 좌측 경계 정보 및 우측 경계 정보를 설명하도록 한다.
제2 표시 영역(DA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시작점은 중심축(C)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1 시작점(S1) 및 중심축(C)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2 시작점(S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제2 표시 영역(DA2)의 형상 정보는 시작점(S1, S2)이 위치하는 제1 라인부터 제n 라인 각각에 대한 방향 정보 및 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시작점(S1, S2)이 위치하는 제1 라인(line1)에서 좌측경계의 방향 정보는 좌측경계가 중심축(C)에 가까워지므로, 제2 방향값, 예컨대, 1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라인(line1)에서 우측경계의 방향 정보는 우측경계가 중심축(C)에 가까워지므로, 제2 방향값, 예컨대, 1을 가질 수 있다.
제1 라인(line1)에서 좌측경계의 폭 정보는 제1 라인(line1)의 최좌측 경계 화소와 다음에 배치된 제2 라인(line2)의 최좌측 경계 화소 간의 수평 이격 거리를 나타낼 수 있다. 제1 라인(line1)의 최좌측 경계 화소와 제2 라인(line2)의 최좌측 경계 화소가 화소 6개만큼의 수평 이격 거리를 가지므로, 제1 라인(line1)에서 좌측경계의 폭 정보는 6일 수 있다.
제1 라인(line1)에서 우측경계의 폭 정보는 제1 라인(line1)의 최우측 경계 화소와 다음에 배치된 제2 라인(line2)의 최우측 경계 화소 간의 수평 이격 거리를 나타낼 수 있다. 제1 라인(line1)의 최우측 경계 화소와 제2 라인(line2)의 최우측 경계 화소가 화소 5개만큼의 수평 이격 거리를 가지므로, 제1 라인(line1)에서 우측경계의 폭 정보는 5일 수 있다.
제1 라인(line1)에 대한 폭 정보 및 방향 정보를 통해, 제2 라인(line2)의 최좌측 경계 화소가 제2 라인(line2)에서 제1 라인(line1)의 최좌측 경계 화소로부터 중심축(C)을 향하여 화소 6개만큼 이동된 위치에 배치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제2 라인(line2)의 최우측 경계 화소가 제2 라인(line2)에서 제1 라인(line1)의 최우측 경계 화소로부터 중심축(C)을 향하여 화소 5개만큼 이동된 위치에 배치됨을 알 수 있다.
제2 라인(line2)에서 좌측경계의 방향 정보는 좌측경계가 중심축(C)에 가까워지므로, 제2 방향값, 예컨대, 1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라인(line2)에서 우측경계의 방향 정보는 우측경계가 중심축(C)에 가까워지므로, 제2 방향값, 예컨대, 1을 가질 수 있다.
제2 라인(line2)에서 좌측경계의 폭 정보는 제2 라인(line2)의 최좌측 경계 화소와 다음에 배치된 제3 라인(line3)의 최좌측 경계 화소 간의 수평 이격 거리를 나타낼 수 있다. 제2 라인(line2)의 최좌측 경계 화소와 제3 라인(line3)의 최좌측 경계 화소가 화소 4개만큼의 수평 이격 거리를 가지므로, 제2 라인(line2)에서 좌측경계의 폭 정보는 4일 수 있다.
제2 라인(line2)에서 우측경계의 폭 정보는 제2 라인(line2)의 최우측 경계 화소와 다음에 배치된 제3 라인(line3)의 최우측 경계 화소 간의 수평 이격 거리를 나타낼 수 있다. 제2 라인(line2)의 최우측 경계 화소와 제3 라인(line3)의 최우측 경계 화소가 화소 3개만큼의 수평 이격 거리를 가지므로, 제2 라인(line2)에서 좌측경계의 폭 정보는 3일 수 있다.
제2 라인(line2)에 대한 폭 정보 및 방향 정보를 통해, 제3 라인(line3)의 최좌측 경계 화소가 제3 라인(line3)에서 제2 라인(line2)의 최좌측 경계 화소로부터 중심축(C)을 향하여 화소 4개만큼 이동된 위치에 배치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제3 라인(line3)의 최우측 경계 화소가 제3 라인(line3)에서 제2 라인(line2)의 최우측 경계 화소로부터 중심축(C)을 향하여 화소 3개만큼 이동된 위치에 배치됨을 알 수 있다.
제3 라인(line3) 내지 제6 라인(line6)들 각각에 대한 방향 정보 및 폭 정보는 상술한 방향 정보 및 폭 정보와 동일한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해당 라인에서의 경계가 이전 라인에서의 경계와 중심축(C)까지의 거리가 동일하면, 폭 정보는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6 라인(line6)에서의 최좌측 경계 화소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라인(line5)에서의 최좌측 경계 화소와 중심축(C)까지의 거리가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6 라인(line6)에서 좌측경계의 폭 정보는 제5 라인(line5)의 최좌측 경계 화소와 제6 라인(line6)의 최좌측 경계 화소 간의 수평 이격 거리가 0이므로,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메모리(160)에 제1 라인에서 제n 라인까지 방향 정보 및 폭 정보를 라인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라인에서 제n 라인 각각에서의 방향 정보 및 폭 정보가 라인 순서로 순차적으로 저장되어 있으므로, 시작점의 위치 정보, 제2 표시 영역의 수직 길이 정보, 라인 별 방향 정보 및 폭 정보만으로도 제2 표시 영역의 경계를 쉽게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메모리(160)에 저장되는 정보의 양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적은 용량의 메모리(160)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단순한 연산을 통해서 제2 표시 영역(DA2)의 경계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을 구분하여 제어하기 위한 연산 처리에 부하가 작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제2 표시 영역(DA2)의 형상 정보만 변경하면 되므로, 제2 표시 영역(DA2)의 형상 변경이 용이하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컨트롤러(15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제2 표시 영역(DA2)의 형상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 영역 정보 및 경계 정보를 생성한다. 컨트롤러(150)는 표시 영역 정보 및 경계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1 표시 영역(DA1) 및 제2 표시 영역(DA2)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정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보정된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컨트롤러(150)는 라인 카운트부(310), 경계 화소 추출부(330), 표시 영역 정보 생성부(340), 경계 정보 생성부(350), 영상 처리부(360) 및 제어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인 카운트부(310)는 복수의 화소(P)들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첫번째 라인에서부터 하나씩 라인 값을 카운트하고, 카운트한 라인 값을 경계 화소 추출부(330)에 제공할 수 있다. 라인 카운트부(31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시작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카운트한 라인 값이 시작점이 배치된 제1 라인에 해당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라인 카운트부(310)는 카운트한 라인 값이 시작점이 배치된 제1 라인에 해당하면, 경계 화소 추출부(330)이 메모리(160)에 저장된 제2 표시 영역(DA2)의 형상 정보를 읽어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경계 화소 추출부(33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시작점의 위치 정보, 라인 별 방향 정보 및 폭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라인에서 최좌측 경계 화소 및 최우측 경계 화소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해당 라인은 라인 카운트부(310)가 제공한 라인 값에 상응하는 라인일 수 있다. 상기 최좌측 경계 화소는 제2 표시 영역(DA2)에 구비된 제2 화소(P2)들 중 해당 라인에서 가장 좌측에 배치된 화소일 수 있다. 상기 최우측 경계 화소는 제2 표시 영역(DA2)에 구비된 제2 화소(P2)들 중 해당 라인에서 가장 우측에 배치된 화소일 수 있다.
경계 화소 추출부(330)는 시작점이 배치된 제1 라인에서부터 제n 라인까지 각각의 최좌측 경계 화소 및 최우측 경계 화소를 라인 순서대로 추출할 수 있다. 경계 화소 추출부(330)는 이전 라인의 최좌측 경계 화소 및 최우측 경계 화소, 이전 라인에 대한 방향 정보, 이전 라인에 대한 폭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라인에서의 최좌측 경계 화소 및 최우측 경계 화소를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계 화소 추출부(330)는 라인 카운트부(310)으로부터 시작점이 위치하는 제1 라인에 대응되는 라인 값이 입력될 수 있다. 경계 화소 추출부(330)는 시작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라인에서의 최좌측 경계 화소(BP1) 및 최우측 경계 화소(BP2)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제2 표시 영역(DA2)이 U자 형상을 가지는 경우, 제1 시작점(S1)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화소가 최좌측 경계 화소(BP1)가 되고, 제2 시작점(S2)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화소가 최우측 경계 화소(BP2)가 될 수 있다. 한편, 제2 표시 영역(DA2)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달리 원 형상을 가지는 경우, 시작점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화소가 최좌측 경계 화소(BP1) 및 최우측 경계 화소(BP2)가 될 수 있다.
경계 화소 추출부(330)는 라인 카운트부(310)으로부터 제1 라인 다음에 배치된 제2 라인에 대응되는 라인 값이 입력될 수 있다. 경계 화소 추출부(330)는 제1 라인의 최좌측 경계 화소(BP1) 및 최우측 경계 화소(BP2), 제1 라인에 대한 방향 정보, 제1 라인에 대한 폭 정보를 이용하여 제2 라인에서의 최좌측 경계 화소(BP3) 및 최우측 경계 화소(BP4)를 추출할 수 있다.
제1 라인의 좌측 경계의 방향 정보가 제1 방향값을 가지는 경우, 제2 라인에서의 최좌측 경계 화소(BP3)는 제2 라인에서 제1 라인의 최좌측 경계 화소(BP1)으로부터 중심축(C)과 반대 방향으로 제1 라인의 좌측 경계의 폭 정보에 상응하는 개수만큼 이동된 위치에 배치된 화소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라인에서의 최좌측 경계 화소(BP3)의 Y축 값은 제1 라인의 최좌측 경계 화소(BP1)의 Y축 값 보다 1이 큰 값을 가지며, 제2 라인에서의 최좌측 경계 화소(BP3)의 X축 값은 제1 라인의 최좌측 경계 화소(BP1)의 X축 값에서 제1 라인의 좌측 경계의 폭 정보에 상응하는 값을 감산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제1 라인의 좌측 경계의 방향 정보가 제2 방향값을 가지는 경우, 제2 라인에서의 최좌측 경계 화소(BP3)는 제2 라인에서 제1 라인의 최좌측 경계 화소(BP1)으로부터 중심축(C)을 향하여 제1 라인의 좌측 경계의 폭 정보에 상응하는 개수만큼 이동된 위치에 배치된 화소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라인에서의 최좌측 경계 화소(BP3)의 Y축 값은 제1 라인의 최좌측 경계 화소(BP1)의 Y축 값 보다 1이 큰 값을 가지며, 제2 라인에서의 최좌측 경계 화소(BP3)의 X축 값은 제1 라인의 최좌측 경계 화소(BP1)의 X축 값에서 제1 라인의 좌측 경계의 폭 정보에 상응하는 값을 합산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라인의 우측 경계의 방향 정보가 제1 방향값을 가지는 경우, 제2 라인에서의 최우측 경계 화소(BP4)는 제2 라인에서 제1 라인의 최우측 경계 화소(BP2)으로부터 중심축(C)과 반대 방향으로 제1 라인의 우측 경계의 폭 정보에 상응하는 개수만큼 이동된 위치에 배치된 화소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라인에서의 최우측 경계 화소(BP4)의 Y축 값은 제1 라인의 최우측 경계 화소(BP2)의 Y축 값 보다 1이 큰 값을 가지며, 제2 라인에서의 최우측 경계 화소(BP4)의 X축 값은 제1 라인의 최우측 경계 화소(BP2)의 X축 값에서 제1 라인의 우측 경계의 폭 정보에 상응하는 값을 합산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제1 라인의 우측 경계의 방향 정보가 제2 방향값을 가지는 경우, 제2 라인에서의 최우측 경계 화소(BP4)는 제2 라인에서 제1 라인의 최우측 경계 화소(BP2)으로부터 중심축(C)을 향하여 제1 라인의 우측 경계의 폭 정보에 상응하는 개수만큼 이동된 위치에 배치된 화소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라인에서의 최우측 경계 화소(BP4)의 Y축 값은 제1 라인의 최우측 경계 화소(BP2)의 Y축 값 보다 1이 큰 값을 가지며, 제2 라인에서의 최우측 경계 화소(BP4)의 X축 값은 제1 라인의 최우측 경계 화소(BP2)의 X축 값에서 제1 라인의 우측 경계의 폭 정보에 상응하는 값을 감산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경계 화소 추출부(330)는 제1 라인부터 제n 라인까지 각각에서의 최좌측 경계 화소 및 최우측 경계 화소를 추출할 수 있다.
표시 영역 정보 생성부(340)는 라인 별 최좌측 경계 화소 및 최우측 경계 화소를 이용하여 복수의 화소들(P) 각각에 대한 표시 영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표시 영역 정보 생성부(340)는 해당 라인에 구비된 화소들 중 최좌측 경계 화소, 최우측 경계 화소, 최좌측 경계 화소와 최우측 경계 화소 사이에 구비된 화소들을 제2 표시 영역(DA2)에 구비된 제2 화소(P2)로 결정할 수 있다. 표시 영역 정보 생성부(340)는 해당 라인에 구비된 화소들 중 최좌측 경계 화소, 최우측 경계 화소, 최좌측 경계 화소와 최우측 경계 화소 사이에 구비된 화소들을 제외한 나머지 화소들을 제1 표시 영역(DA1)에 구비된 제1 화소(P1)로 결정할 수 있다.
표시 영역 정보 생성부(340)는 제1 화소(P1)에 포함된 제1 서브 화소(SP1)에 대한 표시 영역 정보를 제1 표시 영역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표시 영역값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0일 수 있다.
표시 영역 정보 생성부(340)는 제2 화소(P2)에 포함된 제2 서브 화소(SP2)에 대한 표시 영역 정보를 제2 표시 영역값 또는 제3 표시 영역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표시 영역 정보 생성부(340)는 제2 표시 영역(DA2)에 구비된 제2 화소(P2)를 발광 화소와 비발광 화소를 구분하여 표시 영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표시 영역 정보 생성부(340)는 제2 화소(P2)가 발광 화소이면, 발광 화소의 제2 서브 화소(SP2)에 대한 표시 영역 정보를 제2 표시 영역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표시 영역값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일 수 있다.
한편, 표시 영역 정보 생성부(340)는 제2 화소(P2)가 비발광 화소이면, 비발광 화소의 제2 서브 화소(SP2)에 대한 표시 영역 정보를 제3 표시 영역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3 표시 영역값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일 수 있다.
도 10에서는 제2 표시 영역(DA2)이 화소 단위로 발광 화소 및 비발광 화소로 구분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2 표시 영역(DA2)은 서브 화소 단위로 발광 서브 화소 및 비발광 서브 화소로 구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제2 화소(P2)에 포함된 복수의 제2 서브 화소(SP2)들은 모두 발광 서브 화소일 수 있고, 모두 비발광 서브 화소일 수 있다. 또는, 하나의 제2 화소(P2)에 포함된 복수의 제2 서브 화소(SP2)들 중 일부는 발광 서브 화소이고, 나머지는 비발광 서브 화소일 수도 있다.
경계 정보 생성부(350)는 라인 별 최좌측 경계 화소 및 최우측 경계 화소를 이용하여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 사이의 경계(B)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계 영역(BA)에 구비된 화소들에 대한 경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경계 영역(BA)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 영역(DA1)에 복수의 제1 경계 영역(BA1)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경계 영역(BA1)은 제1 표시 영역(DA1)에서 경계(B)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1 경계 영역(BA1-1), 제1 표시 영역(DA1)에서 제1-1 경계 영역(BA1-1)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2 경계 영역(BA1-2), 제1 표시 영역(DA1)에서 제1-2 경계 영역(BA1-2)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3 경계 영역(BA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2 경계 영역(BA1-2)은 경계(B)와의 거리가 제1-1 경계 영역(BA1-1) 보다 클 수 있으며, 제1-3 경계 영역(BA1-3)은 경계(B)와의 거리가 제1-2 경계 영역(BA1-2) 보다 클 수 있다.
도 11에서는 제1 표시 영역(DA1)에 3개의 경계 영역(BA1-1, BA1-2, BA1-3)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 표시 영역(DA1)은 2개의 경계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의 경계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제1 표시 영역(DA1)은 4개 이상의 경계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경계 영역(BA)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표시 영역(DA2)에 복수의 제2 경계 영역(BA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경계 영역(BA)은 제2 표시 영역(DA2)에서 경계(B)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1 경계 영역(BA2-1), 제2 표시 영역(DA2)에서 제2-1 경계 영역(BA2-1)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2 경계 영역(BA2-2), 제2 표시 영역(DA2)에서 제2-2 경계 영역(BA2-2)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3 경계 영역(BA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2 경계 영역(BA2-2)은 경계(B)와의 거리가 제2-1 경계 영역(BA2-1) 보다 클 수 있으며, 제2-3 경계 영역(BA2-3)은 경계(B)와의 거리가 제2-2 경계 영역(BA2-2) 보다 클 수 있다.
도 11에서는 제2 표시 영역(DA2)에 3개의 경계 영역(BA2-1, BA2-2, BA2-3)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2 표시 영역(DA2)은 2개의 경계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의 경계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제2 표시 영역(DA2)은 4개 이상의 경계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경계 정보 생성부(350)는 m(상기 m은 2보다 큰 자연수)개의 행 및 m개의 열로 이루어진 커널을 이용하여 경계 영역(BA)에 구비된 화소들에 대한 경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커널(K)이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7개의 행 및 7개의 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커널(K)의 크기는 변경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경계 정보 생성부(350)는 복수의 화소들(P) 각각을 커널(K)의 중심에 배치할 수 있다. 경계 정보 생성부(350)는 커널(K) 내에 경계 화소가 배치된 위치를 기초로 커널(K)의 중심에 배치된 화소(CP)에 대한 경계값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경계 화소는 제2 표시 영역(DA2)에서 제1 표시 영역(DA1)과 인접하게 배치된 화소로서, 라인 별 최좌측 경계 화소 및 최우측 경계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경계 화소는 제1 라인 및 제n 라인 각각에 대하여 최좌측 경계 화소 및 최우측 경계 화소의 사이에 구비된 화소들도 포함할 수 있다.
경계 정보 생성부(350)는 커널(K)의 중심 영역에 화소(CP)를 배치하고, 커널(K) 내에 경계 화소가 배치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커널(K)이 7개의 행 및 7개의 열로 이루어지는 경우, 커널(K)은 중심 영역(0, 0), 중심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중심 영역을 둘러싸는 8개의 제1 영역(-1, -1), (0, -1), (1, -1), (1, 0), (1, 1), (0, 1), (-1, 1), (-1, 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커널(K)은 제1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1 영역을 둘러싸는 16개의 제2 영역 (-2, -2), (-1, -2), (0, -2), (1, -2), (2, -2), (2, -1), (2, 0), (2, 1), (2, 2), (1, 2), (0, 2), (-1, 2), (-2, 2), (-2, 1), (-2, 0), (-2, -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커널(K)은 제2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 영역을 둘러싸는 24개의 제3 영역 (-3, -3), (-2, -3), (-1, -3), (0, -3), (1, -3), (2, -3), (2, -3), (3, -3), (3, -2), (3, -1), (3, 0), (3, 1), (3, 2), (3, 3), (2, 3), (1, 3), (0, 3), (-1, 3), (-2, 3), (-3, 3), (-3, 2), (-3, 1), (-3, 0), (-3, -1), (-3, -2)을 포함할 수 있다.
경계 정보 생성부(350)는 커널(K)의 중심 영역에 배치된 화소(CP)가 제1 표시 영역(DA1)에 배치된 제1 화소(P1)인지 제2 표시 영역(DA2)에 배치된 제2 화소(P2)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경계 정보 생성부(350)는 커널(K)의 중심 영역에 배치된 화소(CP)가 제1 화소(P1)이고, 커널(K)의 24개의 제3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경계 화소가 배치되면 커널(K)의 중심에 배치된 화소(CP)에 대하여 제1 경계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경계값은 1일 수 있다.
경계 정보 생성부(350)는 제1-3 경계 영역(BA1-3)에 구비된 제1 화소들(P1)에 대한 경계 정보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제1 경계값, 예컨대, 1로 설정될 수 있다.
경계 정보 생성부(350)는 커널(K)의 중심 영역에 배치된 화소(CP)가 제1 화소(P1)이고, 커널(K)의 16개의 제2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경계 화소가 배치되면 커널(K)의 중심에 배치된 화소(CP)에 대하여 제2 경계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경계값은 2일 수 있다.
경계 정보 생성부(350)는 제1-2 경계 영역(BA1-2)에 구비된 제1 화소들(P1)에 대한 경계 정보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제2 경계값, 예컨대, 2로 설정될 수 있다.
경계 정보 생성부(350)는 커널(K)의 중심 영역에 배치된 화소(CP)가 제1 화소(P1)이고, 커널(K)의 8개의 제1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경계 화소가 배치되면 커널(K)의 중심에 배치된 화소(CP)에 대하여 제3 경계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3 경계값은 3일 수 있다.
경계 정보 생성부(350)는 제1-1 경계 영역(BA1-1)에 구비된 제1 화소들(P1)에 대한 경계 정보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제3 경계값, 예컨대, 3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경계 정보 생성부(350)는 커널(K)의 중심 영역에 배치된 화소(CP)가 제2 화소(P2)이고 커널(K)의 8개의 제1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경계 화소가 배치되면, 커널(K)의 중심에 배치된 화소(CP)에 대하여 제4 경계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4 경계값은 4일 수 있다.
경계 정보 생성부(350)는 제2-1 경계 영역(BA2-1)에 구비된 제2 화소들(P2)에 대한 경계 정보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제4 경계값, 예컨대, 4로 설정될 수 있다.
경계 정보 생성부(350)는 커널(K)의 중심 영역에 배치된 화소(CP)가 제2 화소(P2)이고 커널(K)의 16개의 제2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경계 화소가 배치되면 커널(K)의 중심에 배치된 화소(CP)에 대하여 제5 경계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5 경계값은 5일 수 있다.
경계 정보 생성부(350)는 제2-2 경계 영역(BA2-2)에 구비된 제2 화소들(P2)에 대한 경계 정보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제5 경계값, 예컨대, 5로 설정될 수 있다.
경계 정보 생성부(350)는 커널(K)의 중심 영역에 배치된 화소(CP)가 제2 화소(P2)이고 커널(K)의 24개의 제3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경계 화소가 배치되면 커널(K)의 중심에 배치된 화소(CP)에 대하여 제6 경계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6 경계값은 6일 수 있다.
경계 정보 생성부(350)는 제2-3 경계 영역(BA2-3)에 구비된 제2 화소들(P2)에 대한 경계 정보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제6 경계값, 예컨대, 6으로 설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경계 영역(BA)에 구비된 화소들(P)은 경계 화소로부터 멀어질수록 경계값이 커지거나 작아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경계 영역(BA)에 구비된 화소들(P) 중 제1 표시 영역(DA1)에 구비된 제1 화소(P1)들은 경계 화소로부터 멀어질수록 경계값이 작아질 수 있다. 경계 영역(BA)에 구비된 화소들(P) 중 제2 표시 영역(DA2)에 구비된 제2 화소(P2)들은 경계 화소로부터 멀어질수록 경계값이 커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경계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구비된 제1 화소(P1)들 및 제2 화소(P2)들은 제7 경계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7 경계값은 0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60)는 표시 영역 정보 생성부(340)에 의하여 생성된 표시 영역 정보 및 경계 정보 생성부(350)에 의하여 생성된 경계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정한다. 영상 처리부(360)는 경계 영역(BA)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정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보정된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 내지 도 17를 참조하여, 영상 처리부(36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도 4의 영상 처리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4는 복수의 제1 경계 영역 및 복수의 제2 경계 영역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5는 영상 처리부에 의하여 영상이 보정되는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는 복수의 제1 경계 영역 및 복수의 제2 경계 영역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7은 영상 처리부에 의하여 영상이 보정되는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영상 처리부(360)는 영상 수신부(361), 영역 결정부(362), 영상 보정부(363) 및 광학 동작 확인부(364)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수신부(361)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 받는다. 이때, 입력된 영상 데이터는 제1 표시 영역(DA1) 및 제2 표시 영역(DA2)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동작 확인부(364)는 광학 모듈(120)의 동작 여부를 확인한다. 광학 동작 확인부(364)는 광학 모듈(120)의 동작이 확인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표시되는 영상이 보정될 수 있도록 광학 동작 정보를 영역 결정부(362)에 제공할 수 있다.
영역 결정부(362)는 광학 동작 확인부(364)에 의하여 광학 모듈(120)의 동작이 확인되면, 각 영역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도 14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 영역(DA1)과 광학 모듈(120)과 중첩되는 제2 표시 영역(DA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 사이의 경계(B)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계 영역(BA)을 포함할 수 있다.
경계 영역(BA)은 제1 표시 영역(DA1)에서 경계(B)와 인접하게 배치된 제1 경계 영역(BA1) 및 제2 표시 영역(DA2)에서 경계(B)와 인접하게 배치된 제2 경계 영역(B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계 영역(BA1)은 도 14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 경계 영역(BA1)은 제1 표시 영역(DA1)에서 경계(B)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1 경계 영역(BA1-1), 제1 표시 영역(DA1)에서 제1-1 경계 영역(BA1-1)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2 경계 영역(BA1-2), 제1 표시 영역(DA1)에서 제1-2 경계 영역(BA1-2)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3 경계 영역(BA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경계 영역(BA2)은 도 14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일 수 있다. 일 예로, 제2 경계 영역(BA2)은 제2 표시 영역(DA2)에서 경계(B)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1 경계 영역(BA2-1), 제2 표시 영역(DA2)에서 제2-1 경계 영역(BA2-1)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2 경계 영역(BA2-2), 제2 표시 영역(DA2)에서 제2-2 경계 영역(BA2-2)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3 경계 영역(BA2-3)을 포함할 수 있다.
영역 결정부(362)는 제1 영역 결정부(3621) 및 제2 영역 결정부(36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 결정부(3621)는 광학 동작 확인부(364)에 의하여 광학 모듈(120)의 동작이 확인되면,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서 제2 표시 영역(DA2)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 결정부(3621)는 표시 영역 정보 생성부(340)에 의하여 생성된 표시 영역 정보를 기초로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서 제2 표시 영역(DA2)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영역 결정부(3621)는 표시 영역 정보가 제2 표시 영역(DA2)에 대응되는 값을 가지는 화소(P)들에 대한 여상 데이터를 제2 표시 영역(DA2)에 대한 영상 데이터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영역 결정부(3621)는 표시 영역 정보가 제2 표시 영역값 또는 제3 표시 영역값을 가지는 화소(P)들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제2 표시 영역(DA2)에 대한 영상 데이터로 결정할 수 있다.
제2 영역 결정부(3622)는 광학 동작 확인부(364)에 의하여 광학 모듈(120)의 동작이 확인되면,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서 제1 경계 영역(BA1)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영역 결정부(3622)는 경계 정보 생성부(350)에 의하여 생성된 경계 정보를 기초로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서 제1 경계 영역(BA1)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영역 결정부(3622)는 경계 정보가 제1 경계 영역(BA1)에 대응되는 값을 가지는 화소(P)들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제1 경계 영역(BA1)에 대한 영상 데이터로 결정할 수 있다.
제2 영역 결정부(3622)는 복수의 제1 경계 영역들(BA1-1, BA1-2, BA1-3) 각각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영역 결정부(3622)는 경계 정보가 제1-1 경계 영역(BA1-1)에 대응되는 값을 가지는 제1 화소(P1)들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제1-1 경계 영역(BA1-1)에 대한 영상 데이터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영역 결정부(3622)는 경계 정보가 제3 경계값을 가지는 제1 화소(P1)들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제1-1 경계 영역(BA1-1)에 대한 영상 데이터로 결정할 수 있다.
제2 영역 결정부(3622)는 경계 정보가 제1-2 경계 영역(BA1-2)에 대응되는 값을 가지는 제1 화소(P1)들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제1-2 경계 영역(BA1-2)에 대한 영상 데이터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영역 결정부(3622)는 경계 정보가 제2 경계값을 가지는 제1 화소(P1)들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제1-2 경계 영역(BA1-2)에 대한 영상 데이터로 결정할 수 있다.
제2 영역 결정부(3622)는 경계 정보가 제1-3 경계 영역(BA1-3)에 대응되는 값을 가지는 제1 화소(P1)들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제1-3 경계 영역(BA1-3)에 대한 영상 데이터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영역 결정부(3622)는 경계 정보가 제1 경계값을 가지는 제1 화소(P1)들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제1-3 경계 영역(BA1-3)에 대한 영상 데이터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영역 결정부(362)는 제1 표시 영역(DA1)에서 제1 경계 영역(BA1)을 제외한 영역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영역 결정부(362)는 표시 영역 정보가 제1 표시 영역(DA1)에 대응되는 값을 가지고 경계 정보가 0인 제1 화소(P1)들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제1 표시 영역(DA1)에서 제1 경계 영역(BA1)을 제외한 영역에 대한 영상 데이터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보정부(363)는 광학 동작 확인부(364)에 의하여 광학 모듈(120)의 동작이 확인되면,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보정한다. 이를 위하여, 영상 보정부(363)는 블랙 영상 처리부(3631) 및 휘도 조절부(3632)를 포함할 수 있다.
블랙 영상 처리부(3631)는 광학 동작 확인부(364)에 의하여 광학 모듈(120)의 동작이 확인되면, 제1 영역 결정부(3621)에 의하여 결정된 제2 표시 영역(DA2)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블랙 영상 데이터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블랙 영상 데이터는 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10)는 광학 모듈(120)이 동작하면, 광학 모듈(120)과 중첩되는 제2 표시 영역(DA2)에 구비된 제2 화소(P2)에 블랙 영상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광학 모듈(120) 동작시 디스플레이 패널(110)에서 발생된 광으로 인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휘도 조절부(3632)는 광학 동작 확인부(364)에 의하여 광학 모듈(120)의 동작이 확인되면, 제2 영역 결정부(3622)에 의하여 결정된 제1 경계 영역(BA1)에 대한 영상 데이터의 휘도를 조절한다.
휘도 조절부(3632)는 제1 경계 영역(BA1)에 대한 영상 데이터의 휘도가 제1 표시 영역(DA1)에서 제1 경계 영역(BA1)을 제외한 영역에 대한 영상 데이터의 휘도 및 제2 표시 영역(DA2)에 대한 블랙 영상 데이터의 휘도의 사이 값을 가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휘도 조절부(3632)는 제1 표시 영역(DA1)에서 제1 경계 영역(BA1)을 제외한 영역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제1 휘도를 가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휘도 조절부(3632)는 제2 표시 영역(DA2)에 대한 블랙 영상 데이터가 제1 휘도와 다른 제2 휘도를 가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휘도는 제1 휘도 보다 작은 블랙 휘도를 가질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이 블랙 휘도를 가지면,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 간에 휘도 차이가 크므로,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의 경계(B)가 명확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이때,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의 경계(B)는 제1 화소(P1)와 제2 화소(P2)의 경계로 이루어지므로, 곡선이 아닌 계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표시되는 영상에서 계단 형상의 경계(B)가 사용자에게 인지될 수 있고, 사용자가 거부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 간에 큰 휘도 차이로,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의 경계(B)에서 색감 번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의 경계(B)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제1 경계 영역(BA1)에서 휘도를 조절함으로써,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의 경계(B)에서 계단 형상이 인지되는 것을 최소화시키고, 색감 번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휘도 조절부(3632)는 제1 경계 영역(BA1)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제1 휘도 및 제2 휘도 사이의 값인 제3 휘도를 가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제3 휘도는 제1 휘도 보다 작고 제2 휘도 보다 클 수 있다.
한편, 제1 경계 영역(BA1)이 복수개인 경우, 휘도 조절부(3632)는 복수의 제1 경계 영역(BA1-1, BA1-2, BA1-3)들 각각에 대한 영상 데이터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다. 휘도 조절부(3632)는 도 15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경계 영역(BA1-1, BA1-2, BA1-3)들 각각에 대한 영상 데이터의 휘도가 제2 표시 영역(DA2)에 가까워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휘도가 블랙 휘도인 경우, 휘도 조절부(3632)는 복수의 제1 경계 영역(BA1-1, BA1-2, BA1-3)들 각각에 대한 영상 데이터의 휘도가 제2 표시 영역(DA2)에 가까워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제1 경계 영역(BA1-1, BA1-2, BA1-3) 각각에서 휘도가 점진적으로 감소하거나 증가하도록 조절함으로써, 영역들 간에 휘도 차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휘도 차이가 큰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 사이에서 계단 형상의 경계(B)가 인지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휘도 차이가 큰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 사이에서 색감 번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휘도 조절부(3632)는 복수의 제1 경계 영역(BA1)들 각각의 휘도를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휘도 조절부(3632)는 제2 표시 영역(DA2)의 중앙 영역을 기준으로 경계 영역(BA)이 배치된 방향에 따라 휘도를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경계 영역(BA)은 제2 표시 영역(DA2)의 중앙 영역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D1)에 배치된 좌측 경계 영역(A1), 제2 표시 영역(DA2)의 중앙 영역을 기준으로 우측 방향(D2)에 배치된 우측 경계 영역(A2), 제2 표시 영역(DA2)의 중앙 영역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D3)에 배치된 상측 경계 영역(A3) 및 제2 표시 영역(DA2)의 중앙 영역을 기준으로 하측 방향(D4)에 배치된 하측 경계 영역(A4)을 포함할 수 있다.
경계 영역(BA)은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표시 영역(DA2)의 중앙 영역을 기준으로 좌상측 방향(D5)에 배치된 좌상측 경계 영역(A5), 제2 표시 영역(DA2)의 중앙 영역을 기준으로 우상측 방향(D6)에 배치된 우상측 경계 영역(A6), 제2 표시 영역(DA2)의 중앙 영역을 기준으로 우하측 방향(D7)에 배치된 우하측 경계 영역(A7) 및 제2 표시 영역(DA2)의 중앙 영역을 기준으로 좌하측 방향(D8)에 배치된 좌하측 경계 영역(A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경계 영역(BA)이 좌측 경계 영역(A1), 우측 경계 영역(A2), 상측 경계 영역(A3) 및 하측 경계 영역(A4)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휘도 조절부(3632)는 좌측 경계 영역(A1), 우측 경계 영역(A2), 상측 경계 영역(A3) 및 하측 경계 영역(A4) 각각에 구비된 화소(P)들에 대한 영상 데이터의 휘도를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휘도 조절부(3632)는 좌측 경계 영역(A1), 우측 경계 영역(A2), 상측 경계 영역(A3) 및 하측 경계 영역(A4) 각각에 대한 영상 데이터의 휘도가 제1 표시 영역(DA1)에서 제1 경계 영역(BA1)을 제외한 영역에 대한 영상 데이터의 제1 휘도 및 제2 표시 영역(DA2)에 대한 영상 데이터의 제2 휘도의 사이 값을 가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휘도 조절부(3632)는 좌측 경계 영역(A1)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제1 휘도 및 제2 휘도 사이의 값인 제4 휘도를 가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휘도 조절부(3632)는 우측 경계 영역(A2)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제1 휘도 및 제2 휘도 사이의 값인 제5 휘도를 가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휘도 조절부(3632)는 상측 경계 영역(A3)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제1 휘도 및 제2 휘도 사이의 값인 제6 휘도를 가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휘도 조절부(3632)는 하측 경계 영역(A4)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제1 휘도 및 제2 휘도 사이의 값인 제7 휘도를 가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제4 휘도, 제5 휘도, 제6 휘도 및 제7 휘도는 제1 휘도 및 제2 휘도 사이의 값이라는 점에서 동일하나, 서로 다른 값을 가지거나 일부가 동일한 값을 가지고 다른 일부는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즉, 휘도 조절부(3632)는 좌측 경계 영역(A1), 우측 경계 영역(A2), 상측 경계 영역(A3) 및 하측 경계 영역(A4) 각각에 대한 영상 데이터의 휘도를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좌측 경계 영역(A1), 우측 경계 영역(A2), 상측 경계 영역(A3) 및 하측 경계 영역(A4) 각각에 대한 휘도 변화값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좌측 경계 영역(A1)은 제1 휘도 변화값이 설정되고, 우측 경계 영역(A2)은 제2 휘도 변화값이 설정되고, 상측 경계 영역(A3)은 제3 휘도 변화값이 설정되고, 하측 경계 영역(A4)은 제4 휘도 변화값이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휘도 변화값, 제2 휘도 변화값, 제3 휘도 변화값 및 제4 휘도 변화값은 화소(P)들 간의 피치(pitch)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1 휘도 변화값은 화소(P)와 좌측 방향(D1)에 배치된 인접 화소(P) 간의 피치(pitch)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제2 휘도 변화값은 화소(P)와 우측 방향(D2)에 배치된 인접 화소(P) 간의 피치(pitch)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제3 휘도 변화값은 화소(P)와 상측 방향(D3)에 배치된 인접 화소(P) 간의 피치(pitch)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제4 휘도 변화값은 화소(P)와 하측 방향(D4)에 배치된 인접 화소(P) 간의 피치(pitch)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휘도 변화값은 화소(P)들 간의 피치와 비례할 수 있다. 화소(P)들 간의 피치가 크면, 휘도 변화값은 커질 수 있다. 반면, 화소(P)들 간의 피치가 작으면, 휘도 변화값은 작아질 수 있다
휘도 조절부(3632)는 해당 경계 영역(BA)에 구비된 화소(P)에 대한 영상 데이터에 해당 경계 영역(BA)에 설정된 휘도 변화값을 반영함으로써, 해당 경계 영역(BA)에 구비된 화소(P)에 대한 영상 데이터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좌측 경계 영역(A1), 우측 경계 영역(A2), 상측 경계 영역(A3) 및 하측 경계 영역(A4) 각각은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경계 영역들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예로, 좌측 경계 영역(A1), 우측 경계 영역(A2), 상측 경계 영역(A3) 및 하측 경계 영역(A4) 각각은 제1 표시 영역(DA1)에서 경계(B)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 경계 영역(BA1) 및 제2 표시 영역(DA2)에서 경계(B)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경계 영역(BA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경계 영역(BA1)은 복수개일 수 있으며, 제2 경계 영역(BA2)도 복수개일 수 있다.
휘도 조절부(3632)는 복수의 제1 경계 영역(BA1)들 각각의 휘도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휘도 변화값은 복수의 제1 경계 영역(BA1-1, BA1-2, BA1-3)들 각각에 대한 복수개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좌측 경계 영역(A1), 우측 경계 영역(A2), 상측 경계 영역(A3) 및 하측 경계 영역(A4) 각각이 3개의 제1 경계 영역(BA1-1, BA1-2, BA1-3)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좌측 경계 영역(A1)에 대한 제1 휘도 변화값은 3개의 제1 경계 영역(BA1-1, BA1-2, BA1-3들 각각에 대한 값들, 즉, 3개의 휘도 변화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휘도 조절부(3632)는 복수의 제2 경계 영역(BA2)들 각각의 휘도를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휘도 변화값은 복수의 제2 경계 영역(BA2-1, BA2-2, BA2-3)들 각각에 대한 복수개의 값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좌측 경계 영역(A1), 우측 경계 영역(A2), 상측 경계 영역(A3) 및 하측 경계 영역(A4) 각각이 3개의 제2 경계 영역(BA2-1, BA2-2, BA2-3)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좌측 경계 영역(A1)에 대한 제1 휘도 변화값은 3개의 제1 경계 영역(BA1-1, BA1-2, BA1-3들 및 3개의 제2 경계 영역(BA2-1, BA2-2, BA2-3)들 각각에 대한 값들, 즉, 6개의 휘도 변화값을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휘도 조절부(3632)는 24개의 경계 영역들 각각에 대한 24개의 휘도 변화값이 설정될 수 있다. 휘도 조절부(3632)는 설정된 휘도 변화값들을 이용하여 24개의 경계 영역들에 대한 영상 데이터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보정된 영상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370)는 패널 구동부(1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패널 구동부(130)의 데이터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제어 신호 및 패널 구동부(130)의 게이트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데이터 제어 신호, 게이트 제어 신호 및 영상 데이터 신호를 패널 구동부(130)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광학 모듈(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370)는 광학 구동부(1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광학 구동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구동장치는 IC형태로 구현되고, 데이터 구동장치의 기능은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IC 내에 탑재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구동장치의 기능이 프로그램으로 구현되는 경우, 데이터 구동장치에 포함된 각 구성들의 기능은 특정 코드로 구현되고, 특정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들이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거나, 복수개의 프로그램으로 분할되어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디스플레이 시스템 110: 디스플레이 패널
120: 광학 모듈 130: 패널 구동부
140: 광학 구동부 150: 컨트롤러
160: 메모리 310: 라인 카운트부
330: 경계화소 추출부 340: 표시 영역 정보 생성부
350: 경계 정보 생성부 360: 영상 보정부
370: 제어부

Claims (17)

  1. 복수의 화소들이 구비되고, 제1 표시 영역 및 광학 모듈과 중첩되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복수의 화소들 각각에 대한 표시 영역 정보, 및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 사이의 경계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계 영역에 구비된 화소들에 대한 경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광학 모듈의 동작이 확인되면, 상기 표시 영역 정보 및 상기 경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상기 보정된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광학 모듈의 동작이 확인되면, 상기 표시 영역 정보가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값을 가지는 화소들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블랙 영상 데이터로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영역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에서 상기 경계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 경계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서 상기 경계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경계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광학 모듈의 동작이 확인되면, 상기 경계 정보가 상기 제1 경계 영역에 대응되는 값을 가지는 화소들에 대한 영상 데이터의 휘도를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경계 영역에 구비된 화소들에 대한 영상 데이터의 휘도가 상기 제1 표시 영역에서 상기 경계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구비된 화소들에 대한 영상 데이터의 휘도와 블랙 영상 데이터의 휘도 사이의 값을 가지도록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계 영역은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복수의 제1 경계 영역들 각각에 구비된 화소들에 대한 영상 데이터의 휘도가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가까워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영역은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중앙 영역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에 배치된 상측 경계 영역,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중앙 영역을 기준으로 하측 방향에 배치된 하측 경계 영역,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중앙 영역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에 배치된 좌측 경계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중앙 영역을 기준으로 우측 방향에 배치된 우측 경계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상측 경계 영역, 상기 하측 경계 영역, 상기 좌측 경계 영역 및 상기 우측 경계 영역 각각에 구비된 화소에 대한 영상 데이터의 휘도를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시작점의 위치 정보,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수직 길이 정보,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경계를 나타내는 라인 별 방향 정보 및 폭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형상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형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경계 영역에 구비된 화소들에 대한 경계 정보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형상 정보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경계에 관한 좌측 경계 정보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경계에 관한 우측 경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경계 정보 및 우측 경계 정보 각각은 상기 시작점으로부터 상기 수직 길이 내에 배치된 복수의 라인들 각각에 대한 방향 정보 및 폭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정보는 m(상기 m은 2보다 큰 자연수)개의 행 및 m개의 열로 이루어진 커널 내에 경계 화소가 배치된 위치를 기초로 결정된 복수의 화소들 각각에 대한 경계값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시작점의 위치 정보, 라인 별 방향 정보 및 폭 정보를 기초로 라인 별로 경계 화소를 추출하고, 상기 커널 내에 상기 경계 화소가 배치된 위치를 기초로 상기 커널 중심에 배치된 화소에 대한 경계값을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경계값이 동일한 화소들 각각에 대한 영상 데이터의 휘도를 동일하게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 표시 영역 보다 해상도가 작은 제2 표시 영역의 형상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화소들 각각에 대한 표시 영역 정보를 생성하는 표시 영역 정보 생성부;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형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 사이의 경계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계 영역에 구비된 화소들에 대한 경계 정보를 생성하는 경계 정보 생성부;
    광학 모듈의 동작여부를 확인하는 광학 동작 확인부;
    상기 광학 모듈의 동작이 확인되면, 상기 표시 영역 정보 및 상기 경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정하는 영상 처리부; 및
    디스플레이 패널에 상기 보정된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트롤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표시 영역 정보가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값을 가지는 화소들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대한 영상 데이터로 결정하는 제1 영역 결정부를 포함하는 컨트롤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구비된 화소들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블랙 영상 데이터로 변경하는 블랙 영상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컨트롤러.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영역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에서 상기 경계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 경계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서 상기 경계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경계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영상 처리부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경계 정보가 상기 제1 경계 영역에 대응되는 값을 가지는 화소들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1 경계 영역에 대한 영상 데이터로 결정하는 제2 영역 결정부를 포함하는 컨트롤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에서 상기 제1 경계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구비된 화소들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제1 휘도를 가지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구비된 화소들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제2 휘도를 가지고, 상기 제1 경계 영역에 구비된 화소들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상기 제1 휘도 보다 작고 상기 제2 휘도 보다 큰 제3 휘도를 가지도록 조절하는 휘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컨트롤러.
  17. 제16항에 잇어서,
    상기 제1 경계 영역은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휘도 조절부는,
    복수의 제1 경계 영역들 각각에 구비된 화소들에 대한 영상 데이터의 휘도가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가까워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조절하는 컨트롤러.
KR1020200097266A 2019-08-16 2020-08-04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2079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819879.8A CN112397007A (zh) 2019-08-16 2020-08-14 控制器和包括该控制器的显示装置
US16/993,909 US11295661B2 (en) 2019-08-16 2020-08-14 Controll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426 2019-08-16
KR20190100426 2019-08-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792A true KR20210020792A (ko) 2021-02-24

Family

ID=74688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266A KR20210020792A (ko) 2019-08-16 2020-08-04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07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397007A (zh) 控制器和包括该控制器的显示装置
US11837150B2 (en)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display area information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748467B2 (en) Display panel, display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CN112397006A (zh) 控制器和包括该控制器的显示装置
US11462156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device
US11475814B2 (en) Brightness controllable display apparatus
US20180122296A1 (en) Display driver integrated circuit and display driv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11833796A (zh) 显示屏、终端及显示方法
KR20190022979A (ko) 표시 장치
US11114009B2 (en) Controll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90051253A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2582660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210020792A (ko)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20791A (ko)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900849B2 (en) Display device
CN112420778A (zh) 显示装置
KR20180077268A (ko) 자발광 어레이 표시 제어 방법, 장치, 및 디바이스
KR20210020775A (ko)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13473B1 (ko)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210020787A (ko)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53350A (ko) 가상 픽셀의 창조가 가능한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006264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JP7377124B2 (ja) 表示装置
US20150109349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device
JP2023057564A (ja) 回路装置及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