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0664A - 진피층 내 다심도 열에너지 동시 투입형 고주파 피부미용장치 - Google Patents

진피층 내 다심도 열에너지 동시 투입형 고주파 피부미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0664A
KR20210020664A KR1020190100476A KR20190100476A KR20210020664A KR 20210020664 A KR20210020664 A KR 20210020664A KR 1020190100476 A KR1020190100476 A KR 1020190100476A KR 20190100476 A KR20190100476 A KR 20190100476A KR 20210020664 A KR20210020664 A KR 20210020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frequency
high frequency
substrate
en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0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2853B1 (ko
Inventor
이서현
전인겸
김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로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로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로닉
Priority to KR1020190100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2853B1/ko
Publication of KR20210020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664A/ko
Priority to KR1020210059831A priority patent/KR20210055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853B1/ko
Priority to KR1020210179721A priority patent/KR102418228B1/ko
Priority to KR1020220059948A priority patent/KR102435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0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 A61N1/403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for thermotherapy, e.g. hyper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02Skin piercing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e.g. facial toning or wrinkl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17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with leads or electrodes penetrat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52Skin
    • A61B2018/00458Deeper parts of the skin, e.g. treatment of vascular disorders or port wine sta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25Needle
    • A61B2018/143Needle multiple 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피층 내 다심도 열에너지 동시 투입형 고주파 피부미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본체부와 피부자극부로 구성된다. 본체부는, 케이스,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고주파발생부, 고주파단자부, 샤프트, 샤프트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한다. 또한, 피부자극부는,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캡, 캡의 내부에서 고주파단자부로부터 고주파를 전달받는 승강형기판, 승강형기판에 접속되며 승강형기판의 하강 시 캡의 외부로 노출되어 고주파를 출력하는 다수의 니들을 구비한 니들어셈블리, 니들어셈블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진피층 내 다심도 열에너지 동시 투입형 고주파 피부미용장치는, 한 번의 샷(shot)으로 진피층 내의 다양한 높이 지점에 열에너지를 동시 투입할 수 있어, 그만큼 열에너지의 작용 범위가 넓고, 피부 재생과 콜라겐 및 엘라스틴의 재생효과가 뛰어나다.

Description

진피층 내 다심도 열에너지 동시 투입형 고주파 피부미용장치{High-frequency skin beauty device with simultaneous insertion of thermal energy to multi-depth point in dermis layer}
본 발명은 고주파 피부미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피층 내의 깊이 방향 다수 개소에 열에너지를 동시 출력함으로써, 그만큼 열에너지의 침투범위가 넓어 시술 효과가 뛰어난 진피층 내 다심도 열에너지 동시 투입형 고주파 피부미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는, 표피층과 진피층과 피하지방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표피층은 세균 등의 침입을 방지하고 체내 수분이 밖으로 빠지는 것을 차단하며, 진피층은 콜라겐과 엘라스틴 등의 섬유성단백질과 기질을 포함하고 표피층에 영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피하지방층은 진피층의 하부에서 위치하며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압력이나 충격을 흡수하고 체온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피부는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탄력이 떨어지고 주름이 생기게 마련인데, 그 이유는, 대체로, 진피층 내부의 콜라겐과 엘라스틴과 기질의 양이 줄어들고 수분양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피부의 노화방지를 위한 여러 가지 종류의 미용 시술이 알려져 있는데, 그 중에는, 피부에 영양성분을 도포하고 마사지 하는 방식, 주사기를 이용해 피부에 미용액을 주입하는 방식, 표피층에 고주파를 가하여 고주파가 진피층에 간접적으로 전달되게 하는 방식 등이 있다.
그러나 위의 여러 가지 미용 시술은, 그 효과의 지속 시간이 짧아 주기적으로 관리해야 하며, 그에 따라 관리 비용도 상승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느다란 니들을 진피층 까지 삽입하여 진피층을 이루는 조직을 자극함과 동시에 진피층 내에 열에너지를 출력하여 콜라겐이나 엘라스틴을 재생 및 활성화시키는 방식의 시술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가령,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122526호 (니들어셈블리의 교체가 편리한 피부미용치료기)에는, 다수의 니들이 촘촘히 박혀 있는 니들어셈블리, 니들어셈블리를 왕복 운동시켜 니들의 선단부가 진피층에 도달할 수 있게 하는 서보모터 및 샤프트, 고주파에너지발생수단 등을 구비한 피부미용치료기가 개시되어 있다. 고주파에너지발생수단에서 출력된 고주파는 니들의 선단부를 통해 방출되며 선단부 주변 조직을 응고시킨다.
그런데 상기한 선행특허의 피부미용치료기의 경우, 니들어셈블리에 고정되어 있는 니들의 길이가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진피층 내부의 동일한 깊이에만 열에너지가 전달된다는 단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니들어셈블리를 진피층으로 1mm만 전진시켰다면, 진피층의 1mm 깊이 부위에만 열에너지가 작용하고, 0.5 mm 깊이나 1.5mm깊이의 부위에는 충분한 열에너지가 도달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에너지가 도달하지 못한 열에너지 미도달부위(Y)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미도달부위(Y)에 열에너지를 투입하기 위해서는, 니들을 진피층으로부터 빼낸 후, 상기 샤프트의 행정거리를 조절한 다음 니들을 다시 삽입해야 하는데, 이는, 그 자체가 번거로운 일이며 피부 조직의 화상을 야기하는 등 여러 가지 부작용을 일으킨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716345호 (고주파 피부치료장치)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122526호 (니들어셈블리의 교체가 편리한 피부미용치료기)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한 번의 샷(shot)으로 진피층 내의 다양한 높이 지점에 열에너지를 동시 투입할 수 있어, 그만큼 열에너지의 작용 범위가 넓은 진피층 내 다심도 열에너지 동시 투입형 고주파 피부미용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진피층 내 다심도 열에너지 동시 투입형 고주파 피부미용장치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사이즈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외부의 전력을 받아 고주파를 출력하는 고주파발생부, 상기 고주파발생부에서 출력된 고주파에너지를 케이스 외부로 전달하는 고주파단자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일부 노출되며 길이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한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한 본체부와; 상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고주파단자부 및 샤프트를 수용하고 다수의 니들구멍을 갖는 캡, 상기 캡의 내부에서 샤프트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승강 운동하고 상기 고주파단자부로부터 고주파를 전달받는 승강형기판, 상기 승강형기판에 접속되며 상기 니들구멍에 일부가 끼워진 상태로 승강형기판의 하강 시 캡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승강형기판을 통해 전달된 고주파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위아래로 상호 이격된 다수의 에너지방출팁을 갖는 다수의 니들을 구비한 니들어셈블리, 상기 니들어셈블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피부자극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니들은; 상기 승강형기판에 고정된 상태로 수직으로 하향 연장된 메인니들과, 상기 메인니들에 고정되며 그 하단부가 메인니들의 하단부보다 높게 위치하는 다수의 고정니들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니들의 하단부와 고정니들의 하단부를 제외한 부분은 절연층으로 코팅된다.
또한, 상기 고정니들은, 상기 메인니들에 대해 일정 사이각을 가지거나, 상기 메인니들에 대해 평행하게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다수의 고정니들 중, 최상부에 위치한 고정니들의 에너지방출팁과, 메인니들의 에너지방출팁의 간격은, 진피층의 두께 보다 작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진피층 내 다심도 열에너지 동시 투입형 고주파 피부미용장치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사이즈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외부의 전력을 받아 고주파를 출력하는 고주파발생부, 상기 고주파발생부에서 출력된 고주파에너지를 케이스 외부로 전달하는 고주파단자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일부 노출되며 길이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한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한 본체부와; 상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고주파단자부 및 샤프트를 수용하고 다수의 니들구멍을 갖는 캡, 상기 캡의 내부에서 상기 샤프트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승강 운동하고 상기 고주파단자부로부터 고주파를 전달받는 상부승강형기판, 상기 상부승강형기판에 고정된 상태로 그 일부가 상기 니들구멍에 끼워지며 상부승강형기판을 통해 전달된 고주파를 하단의 에너지방출팁을 통해 출력하는 다수의 상부니들, 상기 상부승강형기판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고주파단자부로부터 고주파를 전달받는 하부승강형기판, 상기 하부승강형기판에 고정된 상태로 그 일부가 니들구멍에 끼워지며 상기 하부승강형기판을 통해 전달된 고주파를 하단의 에너지방출팁을 통해 출력하되 에너지방출팁이 상부니들의 에너지방출팁보다 항상 낮은 위치에 유지되는 다수의 하부니들, 상기 상부승강형기판과 하부승강형기판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부승강형기판과 하부승강형기판을 간격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프링을 갖는 니들어셈블리, 니들어셈블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피부자극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상부니들은 상부승강형기판에, 하부니들은 하부승강형기판에 동일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부니들은 하부승강형기판을 관통하여 하향 연장된 상태로, 하부니들의 사이에 위치한다.
아울러, 상기 상부니들 및 하부니들의 하단부를 제외한 부분은 절연층으로 코팅된다.
또한, 상기 상부니들의 에너지방출팁과 하부니들의 에너지방출팁의 최소 간격은 진피층의 두께보다 작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진피층 내 다심도 열에너지 동시 투입형 고주파 피부미용장치는, 한 번의 샷(shot)으로 진피층 내의 다양한 높이 지점에 열에너지를 동시 투입할 수 있어, 그만큼 열에너지의 작용 범위가 넓고, 피부 재생과 콜라겐 및 엘라스틴의 재생효과가 뛰어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피층 내 다심도 열에너지 동시 투입형 고주파 피부미용장치의 외부 모습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피부미용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피부미용장치에서 본체부와 피부자극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한 피부자극부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한 니들을 별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7b,7c는 도 6에 도시한 니들이 진피층 내부의 다심도 부위에 열에너지를 동시에 출력하는 모습과 종래 니들의 작용을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8b는 도 6에 도시한 니들을 대체 할 수 있는 다른 형식의 노즐의 구조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다른 타입의 피부자극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한 캡에서의 니들구멍의 배열 패턴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피층 내 다심도 열에너지 동시 투입형 고주파 피부미용장치(10)의 외부 모습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피부미용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피부미용장치에서 본체부(20)와 피부자극부(30)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피부미용장치(10)는, 본체부(20)와 피부자극부(30)로 구성된다. 피부자극부(30)는 후술한 니들어셈블리(도 4, 도 9의 40)를 내장하며 피부에 자극을 가하는 역할을 하며 본체부(20)에 대해 착탈 가능하다. 피부자극부(30)는 교체 사용하는 것이다.
본체부(20)에 대한 피부자극부(30)의 착탈 가능 결합을 위해, 본체부의 단부에는 착탈통로(21d) 및 걸림턱(21e)이, 피부자극부(30)에는 끼움돌기(31c)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20)에 대한 피부자극부(30)의 결합은, 피부자극부(30)를 본체부(20)의 단부에 밀착시키되 끼움돌기(31c)를 착탈통로(21d)로 통과시킨 후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본체부(2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의 역할을 겸하는 것으로서, 내부공간(21c)을 제공하는 케이스(21), 케이스(21) 내부에 배치되는 구동부(26), 제어부(27), 고주파발생부(28)와, 케이스(21) 외부로 노출되는 샤프트(23)와 고주파단자부(25)를 갖는다.
구동부(26)는 샤프트(23)를 일정 스트로크 범위내에서 왕복운동 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역할을 할 수 있는 한 구동부(26)의 종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를테면, 모터와 볼스크류, 공압액츄에이터, 전자석장치 등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고주파발생부(28)는 고주파발진회로를 내장하며, 전력선(22)을 통해 공급된 전력을 고주파 전류펄스로 변환하고 이를 고주파단자부(25)로 전달한다. 고주파단자부(25)는 고주파발생부(28)로부터 전달받은 고주파에너지를 니들어셈블리(40)로 전달한다.
제어부(27)는 구동부(26)와 고주파발생부(28)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27)는 케이스(21)의 외측면에 배열되어 있는 스위치(미도시)와도 연결된다. 사용자가 스위치를 조작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샤프트(23)는 일정직경을 갖는 환봉형 부재로서 상기 구동부(26)와 연결되고 그 일부가 피부자극부(30) 측으로 연장된다. 샤프트(23)의 연장단부는 니들어셈블리(40)와 연결되어 니들어셈블리(40)를 승강운동 시킨다.
이하의 설명에서, 니들어셈블리(40)의 하강은 니들어셈블리(40)가 본체부(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이고, 상승은 본체부(20) 측으로 이동하는 운동을 의미한다.
상기 고주파단자부(25)는 샤프트(23)의 주변에 대칭으로 배치되며, 본체부(20)에 피부자극부(3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고정기판(도 4의 32)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고정기판(32)의 상면 및 저면에는 고주파단자부(25) 및 접속단자(43)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극(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피부자극부(30)는, 수용공간(도 4의 31d)을 갖는 캡(31)과, 캡(31)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기판(32), 니들어셈블리(40), 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캡(31)의 단부에는 밀착면(31a)이 형성되며 밀착면(31a)에는 다수의 니들구멍(31b)이 형성되어 있다. 밀착면(31a)은 시술시 환자의 피부에 접하는 면이다. 밀착면(31a)으로 피부를 누른 상태에서 니들어셈블리(40)를 하강시키면, 니들어셈블리의 니들이 니들구멍(31b)을 하향 통과하여 피부의 진피층을 자극하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한 피부자극부(30)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4에 도시한 니들을 별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피부자극부(30)는, 상부로 개방된 캡(31), 캡(31)의 입구부에 수평으로 고정된 고정기판(32), 고정기판(32) 하부에 설치되는 니들어셈블리(40), 니들어셈블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다.
고정기판(32)은 캡(31)의 내부에 수평으로 고정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고주파단자부(25)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센터홀(32a)을 통해 샤프트(23)를 하향 통과시켜, 샤프트(23)의 하단부가 니들어셈블리(40)와 연결될 수 있게 한다.
고정기판(32)의 하부에는 수평지지판(33)이 설치된다. 수평지지판(33)은 스프링(36)에 의해 지지되는 니들어셈블리(40)가 그 이상 올라가지 못하게 구속하는 차단판이다.
상기 니들어셈블리(40)는, 승강형기판(41), 접속단자(43), 종동판(34), 니들(45)을 구비한다. 승강형기판(41)은, 고주파신호를 각 니들(45)로 전달하기 위한 회로가 형성되어 있는 회로기판이다. 종동판(34)은 승강형기판(41)의 테두리부에 고정되는 판상부재로서 중앙부에 샤프트고정부(34a)를 갖는다. 샤프트고정부(34a)는 샤프트(23)의 하단부와 결합하는 부분이다.
또한, 접속단자(43)는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형 단자로서, 하단부가 승강형기판(41)에 고정되고, 종동판(34)과 수평지지판(33)을 상향 통과하여 고정기판(32)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한다. 접속단자(43)가 신축 가능하므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형기판(41)이 상승하거나, 도 5처럼 하강하더라도 접속단자(43)는 고정기판(32)에 항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니들(45)은, 그 상단부가 승강형기판(41)에 접속되며 수직으로 연장되고 일부가 니들구멍(31b)에 수용된 상태로 승강 가능하다. 니들(45)은 승강형기판(41)이 상승한 상태에서는 캡(31)의 내부에 수용된다. 하지만 승강형기판(41)이 하강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31)의 하부로 노출되어 피부의 진피층(B)을 찌른다.
상기 니들(45)은, 메인니들(45a)과 다수의 고정니들(45b)로 구성된다. 메인니들(45a)은 승강형기판(41)에 고정된 상태로 수직으로 연장된 것으로서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된다. 메인니들(45a)의 간격은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고정니들(45b)은, 메인니들(45a)에 고정되는 직선형 니들부재이다. 각 고정니들(45b)은 메인니들(45a)과 함께 진피층(B)에 들어가 진피층을 자극하는 역할을 하며, 메인니들(45a)에 대해 5도 내지 15도의 사이각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각 고정니들(45b)의 상단부는 메인니들(45a)에 대해 용접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특히, 고정니들(45b) 상호간의 하단부의 높이는 상이하고, 가장 아래쪽에 있는 고정니들(45b)의 하단부는 메인니들(45a)의 하단부보다 높게 위치한다. 니들(45)에 있어서, 메인니들(45a)의 하단부와 각 고정니들(45b)의 하단부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이다.
메인니들(45a)의 하단부와 각 고정니들(45b)의 하단부의 수직 간격(도 6의 H)은, 적용되는 고정니들(45b)의 개수에 따라 달라지며, 진피층(B) 두께의 1/n (n 은 고정니즐의 개수) 이하 일 수 있다.
또한, 메인니들(45a)의 하단부와 모든 고정니들(45b)의 하단부를 제외한 부분은 절연층(45d)으로 코팅되어 있다. 메인니들의 하단부와 고정니들의 하단부는 코팅되지 않은 상태로 에너지방출팁(45e)의 역할을 한다.
상기 절연층은, 파릴렌(Parylene) 또는 테프론 또는 세라믹으로 형성된 차단층으로서 고주파에너지의 발산을 차단한다. 고주파에너지는 절연층(45d)이 코팅되지 않은 에너지방출팁(45e)을 통해서만 출력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니들(45)에 고주파를 인가하면, 도 7c와 같이, 열에너지도달영역(Z)이 진피층(B)의 두께방향으로 다수 분포하게 된다. 진피층(B)내 다심도 부위에 대한 열에너지의 동시 투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지지부는 니들어셈블리(40)를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서, 승강형기판(41)의 테두리부를 감싸 보호하는 받침프레임(35), 받침프레임(35)을 탄력 지지하는 다수의 스프링(36), 스프링(36)을 받치는 스프링받침(31f)을 갖는다. 스프링(36)은 스프링받침(31f)에 지지된 상태로 승강형기판(41)을 상향 지지한다. 스프링(36)의 작용에 의해 종동판(34)은 수평지지판(33)의 저면에 탄력적으로 접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고주파 피부미용장치(10)의 작동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시술자가 본체부(20)를 파지한 상태로 캡(31)의 밀착면(31a)을 환자의 피부에 밀착시킨다. 이 상태로 상기한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구동부(26)가 샤프트(23)를 도 4의 화살표 F방향으로 하강시킨다.
샤프트(23)가 하강하면, 샤프트(23)에 연결되어 있는 니들어셈블리(40)가 함께 하강하며, 니들(45)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피층(A)을 통과해 진피층(B)을 찌른다. 니들이 진피층(B)에 삽입된 순간 고주파발생부(28)가 작동하여 니들의 에너지방출팁(45e)을 통해 열에너지가 출력된다.
출력된 열에너지는 진피층(B) 내부의 다심도 부위의 조직을 응고시키며, 콜라겐을 재생 및 활성화 시킨다. 일 회의 샷(shot)으로, 진피층내 다심도 조직에 대한 열에너지의 전달이 한 번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한 과정이 완료된 후 샤프트(23)와 니들어셈블리(40)가 상승하면, 시술자는 캡(31)을 이동시켜 다음 시술부위에 밀착시키고 상기한 동작을 반복한다.
도 7a,7b,7c는 도 6에 도시한 니들이 진피층 내부의 다심도 부위에 열에너지를 동시에 출력하는 모습과 종래 니들의 작용을 비교 설명하기 위한 참고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부호 A는 표피층, B는 진피층, C는 피하지방층이다.
도 7a는 절연층이 코팅되지 않은 수직의 비절연니들(101)을 통해 고주파에너지를 출력하는 모습이다. 열에너지도달영역(Z)이 비절연니들(101)의 주변에만 얇게 형성되어 있다.
도 7b는 하단부를 제외한 부분이 절연코팅된 절연니들(103)을 통해 고주파를 출력하는 예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니들(103)의 하단부 부근에 열에너지도달영역(Z)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열에너지도달영역(Z)의 상부와 하부에 열에너지미도달부위(Y)가 위치함을 알 수 있다.
도 7c는 본 실시예의 피부미용장치에 사용되는 니들(45)을 통해 고주파를 동시 투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니들(45a)과 다수의 고정니들(45b)의 에너지방출팁(45e) 주변에 다수의 열에너지도달영역(Z)이 형성되어 있다. 열에너지도달영역(Z)은 피하지방층(C)과 표피층(A)에 거의 근접하며 진피층(B)의 내부 조직을 응고시킨다.
도 8a,8b는 도 6에 도시한 니들을 대체 할 수 있는 다른 형식의 니들(46)의 구조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에 도시한 니들(46)은, 상호 평행한 메인니들(46a)과, 다수의 고정니들(46b)로 이루어진다. 고정니들(46b)은 연결부재(46f)를 통해 메인니들(46a)에 접속되며 메인니들의 주변에서 평행을 이룬다. 연결부재(46f)는 메인니들(46a) 및 고정니들(46b)과 마찬가지로 스테인리스스틸로 이루어지며, 고정니들(46b)을 메인니들(46a)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연결부재(46f)에 대한 메인니들(46a)과 고정니들(46b)의 고정은 용접방식으로 구현 가능하다.
아울러, 메인니들(46a) 및 각 고정니들(46b)의 하단부를 제외한 모든 부분은 절연층(46d)으로 코팅되어, 메인니들(46a)과 고정니들(46b)의 하단부는 에너지방출팁(46e)의 역할을 한다.
또한 메인니들(46a)과 각 고정니들(46b) 하단부의 상호간의 높이는 상이하다. 따라서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니들(46)을 진피층(B)에 삽입한 후 고주파에너지를 인가하면, 진피층 내부의 다심도 부위에 열에너지도달영역(Z)이 동시에 형성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46f)의 상측부분은 니들이 아닌 별도의 지지로드로 적용 가능하다. 즉 지지로드의 하단부에 메인니들(46a)과 고정니들(46b)를 연결하는 구성을 적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장치(10)에 적용될 수 있는 다른 타입의 피부자극부(30)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9에 도시한 캡에서의 니들구멍(31b)의 배열 패턴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한 니들어셈블리(40)는, 상부승강형기판(47a), 상부니들(49a), 하부승강형기판(47b), 하부니들(49b), 스프링(48)을 포함한다.
상부승강형기판(47a)은 접속단자(43)를 통해 고정기판(32)에 접속하는 회로기판으로서 그 하부에 상부니들(49a)을 갖는다. 상기 상부니들(49a)은 다수 개가 일정간격을 이루며, 하부승강형기판(47b)을 하향 통과하여 수직 하부로 연장된다. 상부승강형기판(47a)은 종동판(34)과 결합하여 종동판과 함께 움직인다.
상기 고정기판(32)과 접속단자(43)를 통해 전달된 고주파는 상부승강형기판(47a) 내부의 회로를 통과해 상부니들(49a)로 전달된다. 상부니들(49a)로 전달된 고주파는 상부니들(49a) 하단부의 에너지방출팁(49f)을 통해 주변으로 분출한다. 상부니들에 있어서 에너지방출팁(49f)을 제외한 부분은 절연층(49c)으로 코팅되어 있다.
하부승강형기판(47b)은 상부승강형기판(47a)의 하부에 위치하며 받침프레임(35) 및 스프링(36)으로 지지된다. 하부승강형기판(47b)은 또 다른 접속단자(44)를 통해 고정기판(32)와 접속한다. 고정기판(32)으로 인가된 고주파는 접속단자(44)를 통해 하부승강형기판(47b)으로 전달된다.
하부승강형기판(47b)은 상부승강형기판(47a)과 마찬가지로 회로가 형성되어 있는 회로기판으로서 다수의 하부니들(49b)을 갖는다. 하부니들(49b)은 그 하단부에 에너지방출팁(49f)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의 니들로서 에너지방출팁(49f)을 제외한 부분은 절연층(49c)으로 코팅되어 있다.
하부니들(49b)의 길이는 상부니들(49a)의 길이보다 길다. 특히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승강형기판(47a)과 하부승강형기판(47b)이 최대한 하강한 상태에서, 하부니들(49b)의 하단부는 상부니들(49a)의 하단부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한다. 참고로, 상하부승강형기판(47a,47b)이 최대한 하강한 상태에서의 상부니들(49a)과 하부니들(49b)의 하단부는 진피층(B) 내부에 위치한다.
상부니들(49a)은 하부니들(49b)의 사이에 위치한다. 즉 나란한 두 개의 하부니들(49b) 사이에 하나의 상부니들(49a)이 끼워지는 것이다. 하부니들(49b)과 상부니들(49a)의 간격은, 하부니즐(49b)의 피치의 절반이다.
상하부니들(49a,49b)이 상기한 배열 패턴을 가지므로, 캡(31)의 밀착면(31a)에 형성되어 있는 니들구멍(31b)은 도 12에 도시한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스프링(48)은 하부승강형기판(47b)과 상부승강형기판(47a)의 사이에 개재된 것으로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하부승강형기판(47a,47b)을 최대한 이격시키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스프링(48)은 최대한 압축된 상태로 하부승강형기판(47b)과 상부승강형기판(47a)의 간격이 더 이상 좁아지지 않게 작용한다. 스프링(48)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부승강형기판(47a,47b)이 하사점에 도달한 상태에서 최대한 압축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고주파 피부미용장치(10)의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니들(49a) 및 하부니들(49b)이 상승한 상태에서 캡(31)의 밀착면(31a)을 환자의 피부에 밀착시킨다.
밀착이 완료되었다면 본체부(20)에 배치되어 있는 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여 샤프트(23)를 화살표 F방향으로 하강시킨다. 샤프트(23)가 하강하면 상부승강형기판(47a)이 스프링(48)을 압축하며 하부승강형기판(47b)에 최대한 근접한다.(도 10참조) 상부니들(49a)의 에너지방출팁과 하부니들(49b)의 에너지방출팁의 간격이 최소화 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샤프트(23)를 더욱 하강시키면, 상하부승강형기판(47a,47b)이 하사점까지 내려가고, 상하부니들(49a,49b)의 에너지방출팁(49f)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피층(B)내에 위치하게 된다.
상하부니들(49a,49b)의 에너지방출팁(49f)이 진피층(B)에 도달하는 순간 상기 고주파단자부(25)가 작동하여, 에너지방출팁(49f)으로부터 열에너지가 출력되어 주변의 조직을 응고시킨다. 상기 과정이 완료된 후 구동부(26)에 의해 니들어셈블리(40)가 상승하면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피부미용장치 20:본체부 21:케이스
21c:내부공간 21d:착탈통로 21e:걸림턱
22:전력선 23:샤프트 25:고주파단자부
26:구동부 27:제어부 28:고주파발생부
30:피부자극부 31:캡 31a:밀착면
31b:니들구멍 31c:끼움돌기 31f:스프링받침
32:고정기판 32a:센터홀 33:수평지지판
34:종동판 34a:샤프트고정부 35:받침프레임
36:스프링 40:니들어셈블리 41:승강형기판
43:접속단자 44:접속단자 45:니들
45a:메인니들 45b:고정니들 45d:절연층
46:니들 46a:메인니들 46b:고정니들
46d:절연층 46e:에너지방출팁 46f:연결부재
47a:상부승강형기판 47b:하부승강형기판 48:스프링
49a:상부니들 49b:하부니들 49c:절연층
49f:에너지방출팁 101:비절연니들 103:절연니들

Claims (9)

  1.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사이즈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외부의 전력을 받아 고주파를 출력하는 고주파발생부,
    상기 고주파발생부에서 출력된 고주파에너지를 케이스 외부로 전달하는 고주파단자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일부 노출되며 길이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한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한 본체부와;
    상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고주파단자부 및 샤프트를 수용하고 다수의 니들구멍을 갖는 캡,
    상기 캡의 내부에서 샤프트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승강 운동하고 상기 고주파단자부로부터 고주파를 전달받는 승강형기판, 상기 승강형기판에 접속되며 상기 니들구멍에 일부가 끼워진 상태로 승강형기판의 하강 시 캡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승강형기판을 통해 전달된 고주파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위아래로 상호 이격된 다수의 에너지방출팁을 갖는 다수의 니들을 구비한 니들어셈블리,
    상기 니들어셈블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피부자극부;
    가 포함되어 구성된 진피층 내 다심도 열에너지 동시 투입형 고주파 피부미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은;
    상기 승강형기판에 고정된 상태로 수직으로 하향 연장된 메인니들과, 상기 메인니들에 고정되며 그 하단부가 메인니들의 하단부보다 높게 위치하는 다수의 고정니들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니들의 하단부와 고정니들의 하단부를 제외한 부분은 절연층으로 코팅된 다심도 열에너지 동시 투입형 고주파 피부미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니들은,
    상기 메인니들에 대해 일정 사이각을 가지는 진피층 내 다심도 열에너지 동시 투입형 고주파 피부미용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니들은,
    상기 메인니들에 대해 평행하게 고정된 다심도 열에너지 동시 투입형 고주파 피부미용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고정니들 중, 최상부에 위치한 고정니들의 에너지방출팁과, 메인니들의 에너지방출팁의 간격은, 진피층의 두께 보다 작은 진피층 내 다심도 열에너지 동시 투입형 고주파 피부미용장치.
  6.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사이즈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외부의 전력을 받아 고주파를 출력하는 고주파발생부,
    상기 고주파발생부에서 출력된 고주파에너지를 케이스 외부로 전달하는 고주파단자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일부 노출되며 길이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한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한 본체부와;
    상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고주파단자부 및 샤프트를 수용하고 다수의 니들구멍을 갖는 캡,
    상기 캡의 내부에서 상기 샤프트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승강 운동하고 상기 고주파단자부로부터 고주파를 전달받는 상부승강형기판, 상기 상부승강형기판에 고정된 상태로 그 일부가 상기 니들구멍에 끼워지며 상부승강형기판을 통해 전달된 고주파를 하단의 에너지방출팁을 통해 출력하는 다수의 상부니들, 상기 상부승강형기판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고주파단자부로부터 고주파를 전달받는 하부승강형기판, 상기 하부승강형기판에 고정된 상태로 그 일부가 니들구멍에 끼워지며 상기 하부승강형기판을 통해 전달된 고주파를 하단의 에너지방출팁을 통해 출력하되 에너지방출팁이 상부니들의 에너지방출팁보다 항상 낮은 위치에 유지되는 다수의 하부니들, 상기 상부승강형기판과 하부승강형기판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부승강형기판과 하부승강형기판을 간격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프링을 갖는 니들어셈블리,
    니들어셈블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피부자극부;
    가 구비된 진피층 내 다심도 열에너지 동시 투입형 고주파 피부미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니들은 상부승강형기판에, 하부니들은 하부승강형기판에 동일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부니들은 하부승강형기판을 관통하여 하향 연장된 상태로, 하부니들의 사이에 위치하는 진피층 내 다심도 열에너지 동시 투입형 고주파 피부미용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니들 및 하부니들의 하단부를 제외한 부분은 절연층으로 코팅된 진피층 내 다심도 열에너지 동시 투입형 고주파 피부미용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니들의 에너지방출팁과 하부니들의 에너지방출팁의 최소 간격은, 진피층의 두께보다 작은, 진피층 내 다심도 열에너지 동시 투입형 고주파 피부미용장치.
KR1020190100476A 2019-08-16 2019-08-16 진피층 내 다심도 열에너지 동시 투입형 고주파 피부미용장치 KR102252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476A KR102252853B1 (ko) 2019-08-16 2019-08-16 진피층 내 다심도 열에너지 동시 투입형 고주파 피부미용장치
KR1020210059831A KR20210055663A (ko) 2019-08-16 2021-05-10 고주파 피부미용장치용 니들 어셈블리 및 상기 니들 어셈블리를 구비한 진피층 내 다심도 열에너지 동시 투입형 고주파 피부미용장치
KR1020210179721A KR102418228B1 (ko) 2019-08-16 2021-12-15 고주파 피부미용장치
KR1020220059948A KR102435348B1 (ko) 2019-08-16 2022-05-17 고주파 피부미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476A KR102252853B1 (ko) 2019-08-16 2019-08-16 진피층 내 다심도 열에너지 동시 투입형 고주파 피부미용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831A Division KR20210055663A (ko) 2019-08-16 2021-05-10 고주파 피부미용장치용 니들 어셈블리 및 상기 니들 어셈블리를 구비한 진피층 내 다심도 열에너지 동시 투입형 고주파 피부미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664A true KR20210020664A (ko) 2021-02-24
KR102252853B1 KR102252853B1 (ko) 2021-05-17

Family

ID=74688847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0476A KR102252853B1 (ko) 2019-08-16 2019-08-16 진피층 내 다심도 열에너지 동시 투입형 고주파 피부미용장치
KR1020210059831A KR20210055663A (ko) 2019-08-16 2021-05-10 고주파 피부미용장치용 니들 어셈블리 및 상기 니들 어셈블리를 구비한 진피층 내 다심도 열에너지 동시 투입형 고주파 피부미용장치
KR1020210179721A KR102418228B1 (ko) 2019-08-16 2021-12-15 고주파 피부미용장치
KR1020220059948A KR102435348B1 (ko) 2019-08-16 2022-05-17 고주파 피부미용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831A KR20210055663A (ko) 2019-08-16 2021-05-10 고주파 피부미용장치용 니들 어셈블리 및 상기 니들 어셈블리를 구비한 진피층 내 다심도 열에너지 동시 투입형 고주파 피부미용장치
KR1020210179721A KR102418228B1 (ko) 2019-08-16 2021-12-15 고주파 피부미용장치
KR1020220059948A KR102435348B1 (ko) 2019-08-16 2022-05-17 고주파 피부미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2528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4118A1 (ko) 2021-08-04 2023-02-09 주식회사 스킨그랩 초음파 전달 및 약물 도포 겸용 피부 관리 장치
KR102510525B1 (ko) 2021-08-04 2023-03-16 주식회사 스킨그랩 초음파 전달 및 약물 도포 겸용 피부 관리 장치
KR102526010B1 (ko) 2022-11-25 2023-04-26 주식회사 에이디씨 미용 시술 장치
KR102527466B1 (ko) * 2023-03-20 2023-05-03 서석배 약물 주입용 니들 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치료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089B1 (ko) * 2009-01-23 2010-02-18 강동환 피부처치 장치
KR100946363B1 (ko) * 2009-05-27 2010-03-09 김규 피부미용을 위한 프랙셔널 장치
KR20100064669A (ko) * 2008-12-05 2010-06-15 폴 곽 마이크로 니들 피부 미용기
KR101080034B1 (ko) * 2010-09-14 2011-11-07 (주)유 바이오메드 마이크로 니들
KR101122526B1 (ko) 2011-08-19 2012-03-16 서현배 니들어셈블리의 교체가 편리한 피부미용치료기
KR20130142039A (ko) * 2012-06-18 2013-12-27 주식회사 이루다 고주파 피부치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38181A1 (en) 2005-08-09 2007-02-15 Alexander Melamud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delivering a substance to tissue
US20120158100A1 (en) 2010-06-21 2012-06-21 Kevin Schomacker Driving Microneedle Arrays into Skin and Delivering RF Energy
KR20120110379A (ko) * 2011-03-29 2012-10-10 대양의료기(주) 니들어셈블리의 교체가 편리한 피부미용치료기
KR101188710B1 (ko) 2011-04-18 2012-10-15 주식회사 루트로닉 고주파 치료용 니들 팁 및 이를 이용한 고주파 치료장치
KR101262222B1 (ko) * 2011-05-27 2013-05-15 이종대 피부자극유닛 및 이를 구비한 피부마사지장치
KR101454806B1 (ko) * 2013-01-17 2014-11-03 주식회사 비즈엔몰드 고주파를 이용한 피부 시술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4669A (ko) * 2008-12-05 2010-06-15 폴 곽 마이크로 니들 피부 미용기
KR100943089B1 (ko) * 2009-01-23 2010-02-18 강동환 피부처치 장치
KR100946363B1 (ko) * 2009-05-27 2010-03-09 김규 피부미용을 위한 프랙셔널 장치
KR101080034B1 (ko) * 2010-09-14 2011-11-07 (주)유 바이오메드 마이크로 니들
KR101122526B1 (ko) 2011-08-19 2012-03-16 서현배 니들어셈블리의 교체가 편리한 피부미용치료기
KR20130142039A (ko) * 2012-06-18 2013-12-27 주식회사 이루다 고주파 피부치료장치
KR101716345B1 (ko) 2012-06-18 2017-03-14 주식회사 이루다 고주파 피부치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973A (ko) 2022-05-26
KR102435348B1 (ko) 2022-08-23
KR102252853B1 (ko) 2021-05-17
KR20210156264A (ko) 2021-12-24
KR102418228B1 (ko) 2022-07-07
KR20210055663A (ko) 202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2853B1 (ko) 진피층 내 다심도 열에너지 동시 투입형 고주파 피부미용장치
JP7244115B2 (ja) 薬物注入用チップ、ハンドピース及び皮膚処置装置
KR100852500B1 (ko) 건 방식의 멀티홀 시술장치
KR101861308B1 (ko) 두피 자극기
KR101395100B1 (ko) 피부시술장치
KR101783371B1 (ko) 고주파를 이용한 피부치료용 핸드피스
US11633592B2 (en) Needle tip for application of current, hand piece, and skin treatment apparatus
KR101435886B1 (ko) 멀티니들장치
KR101227224B1 (ko) 고주파 피부치료장치
KR20190100743A (ko) 복합형 피부 미용 관리 기기
JP2023171963A (ja) 電流印加用ニードルチップ
KR20190024385A (ko) 카트리지형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
CN213698540U (zh) 黄金射频微针头
US11617885B2 (en) Mouthpiece for skin treatment and apparatus for skin treatment using electrical energy
KR102470744B1 (ko) 피부흡수유도장치
KR102576689B1 (ko) 니들 및 고주파 전극을 구비한 핸드피스
US20230310847A1 (en) Mouthpiece for skin treatment and apparatus for skin treatment using electrical energy
CZ2018139A3 (cs) Mikrojehličková hlavice pro ošetřování tkáně radiofrekvenčními elektrickými impulzy
KR101427735B1 (ko) 두피처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