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0344A - Silencer for suction and exhaustion of Air - Google Patents

Silencer for suction and exhaustion of 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0344A
KR20210020344A KR1020190099493A KR20190099493A KR20210020344A KR 20210020344 A KR20210020344 A KR 20210020344A KR 1020190099493 A KR1020190099493 A KR 1020190099493A KR 20190099493 A KR20190099493 A KR 20190099493A KR 20210020344 A KR20210020344 A KR 20210020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intake
exhaust
outer cas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4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38644B1 (en
Inventor
이종예
김문배
Original Assignee
김문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배 filed Critical 김문배
Priority to KR1020190099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644B1/en
Publication of KR20210020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3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6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F16L55/033Noise absorbers
    • F16L55/0336Noise absorbers by means of sound-absorbing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7Arrangement or mounting of 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or dra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ake and exhaust silencer, which comprises: an outer case (100); and a noise reduction means (200) provided to the outer case (100) and having an intake unit (20) and an exhaust unit (30). According to the silenc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lative change of aa flow amount of air is small, so that the silencer removes overload and significantly removes driving noise and pulsation noise due to air intake and exhaust noise and driving pressure.

Description

흡배기용 소음기{Silencer for suction and exhaustion of Air}Silencer for suction and exhaustion of air

본 발명은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내에서 사용되는 전자기기나 산업용 기기 등에 사용되는 에어를 흡입하여 구동하거나 에어를 배출하는 장치에서 발생하는 소음, 또는 산소발생기, 에어공구, 놀이기구에 에어를 주입하는 장치 등에 사용되는 압축기와 같이 에어를 흡입하고 압축시켜 산소와 질소를 배출하는 기계기구장치에서 발생하는 공기흡배출소음 및 압력맥동에 의한 구동소음과 맥동소음 흡수율을 최대한 높혀 외부에서 감지되는 소음량을 저감시키거나 무소음으로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생활소음을 방지하는 흡배기용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lencer, and more specifically, noise generated from a device that sucks and drives air used in homes or industrial equipment, or discharges air, or an oxygen generator, air tool, amusement equipment The absorption rate of air intake and discharge noise generated in mechanical devices that discharge oxygen and nitrogen by inhaling and compressing air, such as a compressor used in a device that injects air into a device, and driving noise and pulsating noise due to pressure pulsation, is maximized from the outsi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for preventing daily noise by reducing the amount of detected noise or making it recognized as noiseless.

산업화에 따라 대기질은 인체에 해로운 성분들을 많이 포함하게 되고 특히 최근에는 유해가스 뿐만아니라, 미세먼지로 인해 호흡기질환이나 피부질환 등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대인들은 쾌적하고 청정한 환경을 필요로 하고, 이에 맞추어 실내를 쾌적하게 하기 위한 다양한 공조장치, 즉 산소발생기 또는 공기청정장치가 연구개발되고 있다.According to industrialization, air quality contains many components that are harmful to the human body, and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not only harmful gases but also respiratory diseases and skin diseases are occurring due to fine dust. Accordingly, modern people need a pleasant and clean environment, and accordingly, various air conditioning devices, that is, an oxygen generator or an air cleaning device, are being researched and developed to make the room comfortable.

그 중 산소발생기는 압축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PSA필터, UFL필터 및 멤브레인필터 등의 산소질소분리필터에 통과시켜 고농도의 산소를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통상적으로 실외기와 실내기가 분리되어 있는 형태이다.Among them, the oxygen generator is a device that inhales air using a compressor and passes the inhaled air through an oxygen-nitrogen separation filter such as a PSA filter, a UFL filter, and a membrane filter to generate a high concentration of oxygen. It is a separate form.

그러나, 종래의 산소발생기는 공기흡입/압축/배출시 소음 및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하여 실내에 배치하는데 문제가 있어 통상 실외에 설치한다. 여기서, 압축기는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압축시켜 산소질소분리필터로 보내는 공기압축장치로서, 압축기를 구동시키게 되면, 공기를 압축시키면서 열과 소음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열과 소음은 코일이나 도체의 저항에 의해 압축기 모터의 통전부에서 발생하는 동손, 자력선이 지나갈 때의 철심의 저항, 철심을 자화시키기 위하여 철심에서 발생하는 철손에 의한 전기적 손실, 및 마찰손이라고 하는 축받이, 공기 등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 및 압축기 모터의 모터 회전 주파수에서 진동과 함께 압력 맥동에 따라 발생한다. However, conventional oxygen generators are generally installed outdoors because there is a problem in placing them indoors due to noise and heat generated from the compressor during air intake/compression/discharge. Here, the compressor is an air compression device that inhales air and compresses the inhaled air and sends it to the oxygen-nitrogen separation filter. When the compressor is driven, heat and noise are generated by compressing the air. Such heat and noise are the resistance of the coil or conductor. As a result, copper loss generated in the electric part of the compressor motor, resistance of the iron core when the magnetic line of force passes, electrical loss due to the iron loss generated in the iron core to magnetize the iron core, and friction caused by bearings, air, etc. It occurs according to pressure pulsation with vibration at the motor rotation frequency of the compressor motor.

또한, 종래의 산소발생기는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이와 같은 열을 방지하기 위해, 압축기 자체에 구비된 내부팬 이외에 적어도 2개의 외부팬(fan)을 사용한 공냉식 냉각방법이 주로 이용하나 외부팬을 사용한 공냉식은 하나의 팬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다른 하나의 팬을 통해 외부로 방출시키는 것으로 팬으로부터도 발생하는 소음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oxygen generator, in order to prevent such heat generated from the compressor, an air-cooled cooling method using at least two external fans in addition to the internal fan provided in the compressor itself is mainly used. There is a noise problem also generated from the fan by discharging the air flowing into one fan to the outside through the other fan.

이와 같은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공개특허 제10-2009-0105703호에는 방음 및 흡음을 위해 가장자리에 방음재가 충진된 케이싱과; 케이싱의 내부에 외기를 유인하는 흡입관이 연결되고 격벽에 의해 구획된 공명챔버 및 확장챔버와, 다공판에 의해 지지되고, 확장챔버를 통과한 에어의 소음을 저감시키고 에어를 유인하기 위하여 흡음용 그물망이 설치되고, 그물망과 통해지는 많은 구멍이 마련된 흡음관을 갖춘 흡음챔버로 이루어진 한 쌍의 소음기가 있고, 한 쌍의 소음기가 연통되도록 연결함에 있어 일측 소음기에는 기류가 배출되는 방향에 필터조립체의 연결관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착부가 마련되고, 다른 소음기의 입구측에는 필터조립체의 연결관이 탈착되는 탈착부로 구성된 소음기를 갖춘 공기 정화장치를 소개하고 있다.In order to prevent such noise,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09-0105703 includes a casing in which a soundproof material is filled at the edges for sound insulation and sound absorption; A suction pipe that induces outside air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asing and is supported by a resonance chamber and an expansion chamber partitioned by a partition wall, and a perforated plate, and a sound-absorbing net to reduce noise and attract air through the expansion chamber. There is a pair of silencers consisting of a sound-absorbing chamber equipped with a sound-absorbing pipe provided with a net and a number of holes through which the mesh is installed, and a pair of silencers are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filter assembly is connec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air flow is discharged to one silencer. An air purifier equipped with a silencer is introduced, in which a seating portion to which a pipe is detachably coupled is provided, and a detachable portion to which a connecting pipe of a filter assembly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inlet side of another silencer.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종래의 소음장치는 공명챔버와 확장챔버 및 흡음챔버에서 압축기에서 배출되는 압력 맥동에 의한 소음을 저감시키지 못해 맥동소음이 그대로 외부에 배출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공기 유동로 구조상 압축기로 공급되는 공기유량이 적어 압축기에 로드가 걸려 과부하가 발생하고 소음발생량이 더욱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ilencer having such a configuration does not reduce noise due to pressure pulsation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in the resonance chamber, expansion chamber, and sound-absorbing chamber, so that pulsating nois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s it is. Moreover, due to the structure of the air flow path,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compressor is small, so that a load is applied to the compressor, resulting in an overload and a larger amount of noise.

이에 본 출원인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거듭 연구한 끝에 흡입 및 배출되는 공기 유량의 상대변화가 적어 과부하가 걸리지 않으면서도 연결된 기계기구장치로부터 발생되는 공기흡배출소음 및 구동압력에 의한 구동소음과 맥동소음을 현격하게 저감시킨 흡배기용 소음기를 개발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repeatedly studied to solve such a problem, and the relative change in the intake and discharged air flow rate is small, so that the air intake and discharge noise generated from the connected mechanical devices and the driving pressure caused by the driving pressure are not overloaded. A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was developed that significantly reduced noise.

공개특허 제 10-2009-0105703호Patent Publication No. 10-2009-0105703

본 발명의 제1목적은, 흡입 및 배출되는 공기 유량의 상대변화가 적어 과부하가 걸리지 않으면서도 연결된 기계기구장치로부터 발생되는 공기흡배출소음 및 구동압력에 의한 구동소음과 맥동소음을 무소음으로 현격하게 저감시킨 흡배기용 소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relative change in the flow rate of the air intake and discharge in a manner that does not overload the air intake and discharge noise generated from the connected mechanical device, and the driving noise and pulsating noise caused by the driving pressure are remarkably silent. It is to provide a reduced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또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실내에 배치되는 산소발생기의 공기압축기용 소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Further,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lencer for an air compressor of an oxygen generator disposed indoors.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는,The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technical problem,

연통되는 제1실(110)과 제2실(120)로 구획된 외부케이스(100); 및 An outer case 100 divided into a first chamber 110 and a second chamber 120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And

상기 외부케이스(100)에 구비되되, 흡기부(20)와 배기부(30)를 구비한 소음저감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provided in the outer case 100, the noise reduction means 200 having an intake part 20 and an exhaust part 3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에서,In addition, in the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1실(110)과 제2실(120)은 외부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격벽(13)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chamber 110 and the second chamber 120 are formed by partition walls 13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cas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에서,In addition, in the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격벽(13)의 후단부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 후면 사이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연통공간(13a)이 구비되거나, 또는 A communication space 13a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s provided between the rear end of the partition wall 13 and the inner rear surface of the case 100, or

상기 격벽(13)의 후단부와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측 후면을 접촉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제1실(110)과 상기 제2실(120)이 연통되도록 상기 격벽(13)의 후단부분에 다수개의 연통홀(13b)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ar end of the partition wall 13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inner rear surface of the outer case 100, but the rear end of the partition wall 13 communicates with the first chamber 110 and the second chamber 12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13b) are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에서,In addition, in the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외부케이스(100)는 몸체(11)와 전면캡(12)으로 구성되고,The outer case 100 is composed of a body 11 and a front cap 12,

상기 전면캡(12)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관과 공기가 배출되고 소음이 유입되는 배기관이 각각 결합되는 한쌍의 결합홀(12a,12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ront cap 12 is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coupling holes 12a and 12b are formed in which an intake pipe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nd an exhaust pipe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nd noise is introduced are respectively coupl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에서,In addition, in the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소음저감수단(200)은, 상기 외부케이스(100)에 구비된 제1실(110)에 배치되는 흡기부(20)와 제2실(120)에 배치되는 배기부(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oise reduction means 200 is composed of an intake unit 20 disposed in the first chamber 110 provided in the outer case 100 and an exhaust unit 30 disposed in the second chamber 120 It featur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에서,In addition, in the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흡기부(20)는,The intake part 20,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1흡기관(21); 상기 제1흡기관(21)의 내부에 배치되며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23a)이 형성된 소정길이의 제1흡음관(23); 일단이 상기 흡기관(21)과 연결되며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제1실(110)에 배치되는 제2흡기관(22); 및 상기 제2흡음관(22)의 내부에 배치되며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24a)이 형성된 소정길이의 제2흡음관(2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rst intake pipe 21 provided outside the outer case 100; A first sound-absorbing pipe 23 of a predetermined length disposed inside the first intake pipe 21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3a formed at side surfaces thereof; A second intake pipe 22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intake pipe 21 and disposed in the first chamber 110 of the outer case 100; And a second sound-absorbing tube 24 of a predetermined length disposed inside the second sound-absorbing tube 22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24a formed on the side surfaces thereof.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에서,In addition, in the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흡기부(20)의 제1흡기관(21)과 제2흡기관(22)은 별개로 구비되어 연결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되고, 제1흡음관(23)과 제2흡음관(24)도 별개로 구비되어 연결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intake pipe 21 and the second intake pipe 22 of the intake part 20 are separately provided and connected or formed integrally, and the first sound absorbing pipe 23 and the second sound absorbing pipe 24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separately and connected or formed integral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에서,In addition, in the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배기부(30)는,The exhaust part 30,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1배기관(31); 상기 제1배기관(31)의 내부에 배치되며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33a)이 형성된 소정길이의 제3흡음관(33); 일단이 상기 배기관(31)과 연결되며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제2실(120)에 배치되는 제2배기관(32); 및 상기 제2배기관(32)의 내부에 배치되며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34a)이 형성된 소정길이의 제4흡음관(3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rst exhaust pipe 31 provided outside the outer case 100; A third sound-absorbing pipe (33)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disposed inside the first exhaust pipe (31)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3a) formed on a side surface thereof; A second exhaust pipe 32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exhaust pipe 31 and disposed in the second chamber 120 of the outer case 100; And a fourth sound absorbing tube 34 of a predetermined length, which is disposed inside the second exhaust pipe 32 and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4a formed on the side surfaces thereof.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에서,In addition, in the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배기부(30)의 제1배기관(31)과 제2배기관(32)은 별개로 구비되어 연결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되고, 제3흡음관(33)과 제4흡음관(34)도 별개로 구비되어 연결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exhaust pipe 31 and the second exhaust pipe 32 of the exhaust part 30 are separately provided and connected or formed integrally, and the third sound absorbing pipe 33 and the fourth sound absorbing pipe 34 are also separat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as connected or formed integral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에서,In addition, in the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소음저감수단(200)의 상기 흡기부(2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흡기관;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측 제1실에 배치되는 제2흡기관; 및 상기 제2흡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2흡음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기부(3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1배기관;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측 제2실에 배치되는 제2배기관; 상기 제2배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4흡음관;으로 구성되거나, 또는The intake part 20 of the noise reduction means 200 includes a first intake pipe disposed outside the outer case 100; A second intake pipe disposed in the first chamber inside the outer case 100; And a second sound-absorbing pipe disposed inside the second intake pipe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on a side thereof, wherein the exhaust part 30 is a first exhaust pipe provided outside the outer case 100 ; A second exhaust pipe disposed in the second chamber inside the outer case 100; Or a fourth sound-absorbing pipe disposed inside the second exhaust pipe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on the side surfaces thereof, or

상기 흡기부(2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흡기관; 상기 제1흡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1흡음관; 및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측 제1실에 배치되는 제2흡기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기부(3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1배기관; 상기 제1배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3흡음관;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측 제2실에 배치되는 제2배기관; 및 상기 제2배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4흡음관;으로 구성되거나, 또는The intake part 20 includes a first intake pipe disposed outside the outer case 100; A first sound-absorbing pipe disposed inside the first intake pipe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thereon; And a second intake pipe disposed in the inner first chamber of the outer case 100, wherein the exhaust part 30 includes a first exhaust pipe provided outside the outer case 100; A third sound-absorbing pipe disposed inside the first exhaust pipe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on a side surface thereof; A second exhaust pipe disposed in the second chamber inside the outer case 100; And a fourth sound-absorbing tube disposed inside the second exhaust pipe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on the side surfaces thereof, or

상기 흡기부(2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흡기관; 및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측 제1실에 배치되는 제2흡기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기부(3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1배기관;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측 제2실에 배치되는 제2배기관; 및 상기 제2배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4흡음관;으로 구성되거나, 또는The intake part 20 includes a first intake pipe disposed outside the outer case 100; And a second intake pipe disposed in the inner first chamber of the outer case 100, wherein the exhaust part 30 includes a first exhaust pipe provided outside the outer case 100; A second exhaust pipe disposed in the second chamber inside the outer case 100; And a fourth sound-absorbing tube disposed inside the second exhaust pipe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on the side surfaces thereof, or

상기 흡기부(2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흡기관; 상기 제1흡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1흡음관; 및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측 제1실에 배치되는 제2흡기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기부(3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1배기관;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측 제2실에 배치되는 제2배기관; 및 상기 제2배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4흡음관;으로 구성되거나, 또는The intake part 20 includes a first intake pipe disposed outside the outer case 100; A first sound-absorbing pipe disposed inside the first intake pipe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thereon; And a second intake pipe disposed in the inner first chamber of the outer case 100, wherein the exhaust part 30 includes a first exhaust pipe provided outside the outer case 100; A second exhaust pipe disposed in the second chamber inside the outer case 100; And a fourth sound-absorbing tube disposed inside the second exhaust pipe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on the side surfaces thereof, or

상기 흡기부(2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흡기관;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측 제1실에 배치되는 제2흡기관; 및 상기 제2흡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2흡음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기부(3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1배기관; 상기 제1배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3흡음관; 및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측 제2실에 배치되는 제2배기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take part 20 includes a first intake pipe disposed outside the outer case 100; A second intake pipe disposed in the first chamber inside the outer case 100; And a second sound-absorbing pipe disposed inside the second intake pipe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on a side thereof, wherein the exhaust part 30 is a first exhaust pipe provided outside the outer case 100 ; A third sound-absorbing pipe disposed inside the first exhaust pipe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on a side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exhaust pipe disposed in the second chamber inside the outer case 10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에서,In addition, in the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소음저감수단(200)의 흡기부(20)와 배기부(30)는 연계되어,The intake part 20 and the exhaust part 30 of the noise reduction means 200 are connected,

기계기구장치로 유입되거나 또는 기계기구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소음, 또는Noise of air entering or exiting the mechanical device, or

기계기구장치로 유입되는 공기 소음과 기계기구장치로부터 유출되는 구동소음이나 맥동소음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reduces air noise flowing into the mechanical device and driving noise or pulsating noise flowing out of the mechanical dev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에서,In addition, in the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타공판(5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erforated plate 50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s provided inside the outer case 10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에서,In addition, in the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소음저감수단(200)의 상기 흡기부(20)와 상기 배기부(30)는,The intake part 20 and the exhaust part 30 of the noise reduction means 200,

연통공간을 통해 연통되도록 구비되거나, 또는 각각 연장되어 서로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communication space, or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extending each.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에서,In addition, in the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흡기부(20) 및 상기 배기부(30)의 말단과 상기 외부케이스(100)내의 제1실 및 제2실의 내측 후면과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1실 및 제2실을 연통시키는 연통공간의 길이폭의 0.1배 ~ 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intake unit 20 and the exhaust unit 30 and the inner rear surface of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in the outer case 100 is a communication for communicating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It is characterized by 0.1 to 5 times the length of the spa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에서,In addition, in the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흡기부(20) 및 상기 배기부(30)는, 상기 케이스(100)내의 제1실 및 제2실에 각각 배치되되, 상기 제1실 및 제2실의 내측면과 각각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take part 20 and the exhaust part 30 are disposed in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of the case 100, respectively, and ar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respectively. It featur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에서,In addition, in the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흡배기용 소음기는, 기계기구장치와의 연결부위에 연통되는 소음저감배관(4)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noise reduction pipe (4) communicating with a connection portion with the mechanical dev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에서,In addition, in the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소음저감배관(4)은, The noise reduction pipe (4),

배관(41); 및 상기 배관(41)의 내부에 배치되며,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5흡음관(4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iping 41; And a fifth sound-absorbing pipe 42 disposed inside the pipe 41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on the side surfaces thereof.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는, 흡입 및 배출되는 공기 유량의 상대변화가 적어 과부하가 걸리지 않으면서도 연결된 기계기구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소음 및 구동압력에 의한 구동소음과 맥동소음을 무소음으로 현격하게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silencer for an intake and exha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gnificantly reduces the driving noise and pulsating noise caused by the noise and driving pressure generated from the connected mechanical device device without overload due to the small relative change in the flow rate of the air intake and discharged. It work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는, 실내에 배치되는 산소발생기의 공기압축기 및 산소공급기에 적용하여 무소음 상태로 실내공기를 청정하게 유지시키고 동시에 청정한 산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air compressor and an oxygen supply of an oxygen generator disposed indoors to keep the indoor air clean in a silent state and to supply clean oxygen at the same ti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의 일실시예의 외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의 외부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의 외부케이스의 내부 구조의 변형형태를 예시한 내부 대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의 소음저감수단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의 AA에서 본 단면도,
도 6의 (a),(b)는 도 1의 구성요소들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결합순서 사시도,
도 7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의 (a),(b),(c),(d),(e),(f)는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형된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의 (a),(b),(c)는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의 (a),(b),(c)는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의 일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의 외부사시도,
도 12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에 타공판이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를 연결하는 연결배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uter case of the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 and (b) is a schematic intern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dified form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outer case of the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noise reduction means of the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A of FIG. 1;
6A and 6B are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equence of the components of FIG. 1,
Figure 7 (a), (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a), (b), (c), (d), (e), (f) shows a modified internal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ross-section,
9A, 9B, and 9C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a), (b), (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a), (b)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a) and (b) are views showing that a perforated plate is provided in the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Specific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describe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corresponding meaning and concept.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ereof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has been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의 일실시예의 외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의 외부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의 외부케이스의 내부 구조의 변형형태를 예시한 내부 대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의 소음저감수단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의 AA에서 본 단면도, 도 6의 (a),(b)는 도 1의 구성요소들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결합순서 사시도, 도 7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의 (a),(b),(c),(d),(e),(f)는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형된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의 (a),(b),(c)는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의 (a),(b),(c)는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의 일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의 외부사시도, 도 12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에 타공판이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를 연결하는 연결배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n intake and exhaust silen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uter case of an intake and exhaust silen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A and 3B are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rnal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dified form of the inner structure of the outer case of the intake and exhaust silen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noise reduction means of the intake and exhaust silen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viewed from AA of FIG. , Figure 6 (a), (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sequence of the components of Figure 1, Figure 7 (a), (b) is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according to Fig. 8 (a), (b), (c), (d), (e), (f) are Figure 9 (a), (b), (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internal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a) , (b), (c)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and (b) of FIG. 11 are an embodiment of a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and another embodiment, (a) and (b) of FIG. 12 are views showing that a perforated plate is provided in the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1)는, 외부케이스(100); 및 흡기부(20)와 배기부(30)를 구비한 소음저감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6, the silencer 1 for intake and exhau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case 100; And a noise reduction means 200 having an intake part 20 and an exhaust part 30.

외부케이스(100)는 중공의 통형상으로, 전면이 개방된 케이스 몸체(11)와 전면캡(12)으로 구성되며, 케이스 몸체(11)의 내부는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치수를 가진 제1실(110)과 제2실(120)로 나뉘어지되, 제1실과 제2실은 후단부분에서 연통되도록 구성된다.The outer case 100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is composed of a case body 11 and a front cap 12 with an open front, and the inside of the case body 11 is a first having a predetermined dime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e. It is divided into a chamber 110 and a second chamber 120, and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are configured to communicate at the rear end.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 몸체(11)의 내부에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내측 상부면 및 내측 하부면과 연결되되 내측 후면과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연통공간(13a)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격벽(13)을 형성하여, 제1실(110)과 제2실(120)이 연통되도록 구성된 케이스(100)가 예시되어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partition wall 13 is formed inside the case body 11 and connected to the inner upper surface and the inner lower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e, but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rear surface to form a communication space 13a. , A case 100 configured to communicate the first chamber 110 and the second chamber 120 is illustrated.

여기서, 격벽(13)과 케이스의 내측 후면을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하는 것은 제1실(110)에 배치되는 흡기부(20)로부터 흡기되는 공기 유량이 제2실(120)에 배치되는 배기부(30)를 통해 기계기구장치(미도시)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본 발명의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관통된 이격공간과 같이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Here, forming the partition wall 13 and the inner rear surface of the case to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s an exhaust unit in which the air flow rate intake from the intake unit 20 disposed in the first chamber 110 is disposed in the second chamber 120 In order to be able to flow into the mechanical device (not shown) through 30, it may be formed as a spaced space that is spaced apart and penetra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s illustrated in FIG. 1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limited thereto. no.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연통공간(13a)을 격벽(13)과 케이스의 내측 후면을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하여 형성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격벽(13)을 케이스의 내측 후면과 접촉하도록 형성하고 전면캡과는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하거나, 전면캡 및 후면으로부터 각각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space 13a is formed so that the partition wall 13 and the inner rear surface of the case ar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partition wall 13 may be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rear surface of the case and spaced apart from the front cap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r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cap and the rea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respectively.

또한, 도 3의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격벽(13)과 케이스의 내측 후면을 접촉하도록 구성하되 제1실과 제2실이 연통되도록 격벽(13)의 후단부분에 다수개의 연통홀(13b)을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b) of FIG. 3, the partition wall 13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inner rear surface of the case, but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ar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partition wall 13 so that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13b) may be provided.

또한, 케이스(10)의 전면캡(12)에는 공기(에어)가 유입되는 흡기관(21)과 공기가 배출되고 소음이 유입되는 배기관(31)이 각각 결합되는 한쌍의 결합홀(12a,12b)이 형성된다.In addition, in the front cap 12 of the case 10, a pair of coupling holes 12a, 12b into which the intake pipe 21 through which air (air) is introduced and the exhaust pipe 31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nd noise is introduced are respectively coupled. ) Is formed.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의 흡기관(21)에서는 소음이 배출되지 않는 바, 이는 기계기구장치에서 배출되어 소음기의 배기관(31)으로 유입된 소음이 후술하는 소음저감수단(200)의 구조 및 외부케이스의 제1실 및 제2실의 구조와의 구조적 연계에 의해 상쇄되어 소멸되기 때문이다.Here, the noise is not discharged from the intake pipe 21 of the silen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the structure of the noise reduction means 2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noise that is discharged from the mechanical device and introduced into the exhaust pipe 31 of the silencer. This is because it is canceled out by the structural linkage with the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rooms of the outer case.

여기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결합홀(12a,12b)은 케이스의 전면캡(12)과 후면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소음기가 연결되는 기계기구장치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Here, as shown in FIG. 9, a pair of coupling holes 12a and 12b may be formed on the front cap 12 and the rear of the case, respectively. This is to facilitate coupling with the mechanical device to which the silencer is connected.

또한, 도 12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에는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타공판(50)이 외부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전면타공판(51), 후면타공판(52), 좌우측면 타공판(53,54), 상하부면 타공판(55,56)이 외부케이스(100)의 내측에 밀착하도록 구비된다. 이는 전달된 소음파동을 다수개의 관통홀과 나머지 여백에서 난반사되도록 하여 상쇄시키는 것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a) and (b) of Figure 12, the silen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perforated plate 50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side the outer case. That is, the front perforated plate 51, the rear perforated plate 52, the left and right perforated plates 53 and 54, and the upper and lower perforated plates 55 and 56 are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ide of the outer case 100. This serves to assist in offsetting the transmitted noise waves by causing them to be diffusely reflected i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the remaining margins.

이와 같은 외부케이스의 내부구조는 유량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 효율적으로 소음이 상쇄되도록 한다.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outer case allows noise to be effectively canceled without affecting the flow rate.

본 발명에서는 외부케이스(100)의 형태를 전면이 개방되고 전면캡으로 밀봉하는 중공의 사각통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며, 상면 또는 하면 또는 측면 또는 후면이 개방되고 대응되는 캡으로 밀봉되는 케이스 형태 또는 일체로 형성된 형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그 형상도 사각통 형상 뿐만 아니라, 원통형, 다각통형 등 기타 다양한 형상도 가능하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음저감수단(200)이 배치될 일정공간을 구비한 형태면 어떠한 형상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outer case 100 is shown in the shape of a hollow square cylinder having the front open and sealing with the front cap,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upper or lower surface or the side or rear is open and corresponding Of course, it is possible to form a case sealed with a cap or a form integrally formed. In addition, the shape is not only a square cylinder shape, but also various other shapes such as a cylindrical shape and a polygonal cylinder shape are possible. This, as will be described later, can have any shape as long as it has a predetermined space in which the noise reduction means 200 will be disposed.

소음저감수단(200)은,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케이스(100)의 제1실(110)에 배치되는 흡기부(20)와 제2실(120)에 배치되는 배기부(30)로 구성된다.The noise reduction means 200 includes an intake unit 20 disposed in the first chamber 110 of the outer case 100 and an exhaust unit disposed in the second chamber 120 as shown in FIGS. 5 to 10 It consists of (30).

소음저감수단(200)의 일 실시예의 흡기부와 배기부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The intake part and the exhaust part of an embodiment of the noise reduction means 200 may be configured as follows.

흡기부(20)는 일단이 관통홀(12a)에 결합되며 외부케이스(100)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1흡기관(21), 제1흡기관(21)의 내부에 끼움되어 배치되며 측면 전체에 다수개의 관통홀(23a)이 형성된 소정길이의 제1흡음관(23), 일단이 흡기관(21)과 연결되며 외부케이스(100)의 내측 제1실(110)에 배치되는 제2흡기관(22), 제2흡기관(22)의 내부에 끼움되어 배치되며 측면 전체에 다수개의 관통홀(24a)이 형성된 소정길이의 제2흡음관(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intake part 20 has one end coupled to the through hole 12a and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irst intake pipe 21 and the first intake pipe 21 provided outside the outer case 100 and disposed on the entire side surface. A first sound absorbing tube 23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3a are formed, and a second suction tub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intake pipe 21 and disposed in the inner first chamber 110 of the outer case 10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sound absorbing pipe 24 of a predetermined length, which is inserted into the engine 22 and the second intake pipe 22 and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4a formed on the entire side surface.

배기부(30)는 일단이 관통홀(12b)에 결합되며 외부케이스(100)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1배기관(31), 제1배기관(31)의 내부에 끼움되어 배치되며 측면 전체에 다수개의 관통홀(33a)이 형성된 소정길이의 제3흡음관(33), 일단이 배기관(31)과 연결되며 외부케이스(100)의 내측 제2실(120)에 배치되는 제2배기관(32), 제2배기관(32)의 내부에 끼움되어 배치되며 측면 전체에 다수개의 관통홀(34a)이 형성된 소정길이의 제4흡음관(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exhaust part 30 has one end coupled to the through hole 12b and is inserted into the first exhaust pipe 31 and the first exhaust pipe 31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outer case 100, and is disposed on the entire side. A third sound-absorbing pipe 33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with three through holes 33a, one end connected to the exhaust pipe 31 and a second exhaust pipe 32 disposed in the inner second chamber 120 of the outer case 100 ,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ourth sound-absorbing pipe 34 of a predetermined length, which is inserted and disposed inside the second exhaust pipe 32 and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4a formed on the entire side surface.

여기서, 흡기부(20)의 제1흡기관(21)과 제2흡기관(22)은 별개로 구비되어 연결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1흡음관(23)과 제2흡음관(24) 역시 별개로 구비되어 연결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기부(30)의 제1배기관(31)과 제2배기관(32), 제3흡음관(33)과 제4흡음관(34) 역시, 각각 별개로 구비되어 연결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 the first intake pipe 21 and the second intake pipe 22 of the intake part 20 may be separately provided and connected or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the first sound absorbing pipe 23 and the second sound absorbing pipe (24) may also be separately provided and connected or formed integrally. In addition, the first exhaust pipe 31 and the second exhaust pipe 32, the third sound absorption pipe 33 and the fourth sound absorption pipe 34 of the exhaust part 30 are also provided separately and connected or formed integrally. Of course it can be.

또한, 제1흡음관(23)과 제2흡음관(24) 및 제3흡음관(33)과 제4흡음관(34)의 각 측면 전체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홀(23a,24a,33a,34a)의 치수는, 제1흡음관(23)과 제2흡음관(24) 및 제3흡음관(33)과 제4흡음관(34)의 각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치수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공기흐름의 대부분은 제1흡음관(23)과 제2흡음관(24) 및 제3흡음관(33)과 제4흡음관(34)을 관통하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3a, 24a, 33a formed on the entire side of each side of the first sound absorbing tube 23, the second sound absorbing tube 24, the third sound absorbing tube 33, and the fourth sound absorbing tube 34, The dimensions of 34a) are configured to have relatively small dimensions compared to the respective diameters of the first sound absorbing pipe 23, the second sound absorbing pipe 24, and the third sound absorbing pipe 33 and the fourth sound absorbing pipe 34. It is desirable. This is to allow most of the inflow or outflow air flow to pass through the first sound absorbing pipe 23, the second sound absorbing pipe 24, the third sound absorbing pipe 33, and the fourth sound absorbing pipe 34.

또한, 제1흡음관(23)과 제2흡음관(24) 및 제3흡음관(33)과 제4흡음관(34)의 의 측면에 각각 다수개의 관통홀을 형성함으로써, 흡음관의 내측면의 각각의 관통홀 부분에서 관을 유동하는 공기흐름이 왜곡되어 와류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와류는 주공기흐름의 외측테두리면으로 역류하는 흐름을 만들어 서로 부딪치는 공기파동의 상쇄에 의해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공기흐름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by form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n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sound absorbing pipe 23, the second sound absorbing pipe 24, and the third sound absorbing pipe 33 and the fourth sound absorbing pipe 34, respectively, The airflow flowing through the pipe is distorted in each of the through-holes on the side, resulting in a vortex phenomenon, and the vortex flows countercurrently to the outer edge of the main air flow and flows in or out by offsetting the air waves hitting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air flow.

더욱이, 흡음관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각 관통홀 및 각 관통홀을 막고 있는 흡기관 또는 배기관의 부분들은, 흡음관을 통과하는 공기흐름의 최외곽 측면의 공기흐름을 왜곡시키고 분산시키며 난반사를 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기계기구장치에서 배출되는 소음파동과 맥동소음을 각각의 관통홀에서 회절시키고 분산시키며 난반사 하도록 하여, 제1실(110) 및 제2실(120)의 공간과 연계하여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 Moreover,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on the side of the sound absorption pipe and parts of the intake pipe or exhaust pipe blocking each through hole distort and disperse the air flow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air flow passing through the sound absorption pipe and cause diffuse reflection. In addition, noise waves and pulsating noise emitted from mechanical devices are diffracted, dispersed, and diffusely reflected in each through hole, thereby reducing noise in connection with the spaces of the first chamber 110 and the second chamber 120 To be able to.

이때, 연통되도록 구성된 제1실(110) 및 제2실(120)은 제2흡음관(24)의 다수개의 관통홀(24a)로부터 왜곡되고, 분산 및 난반사되는 공기파동이나 소음의 파동이 중첩되고 상쇄되는 공간이다. 제1실(110) 및 제2실(120)의 공간에 공기파동이 유입되거나 소음파동이 유입되면 공간내의 공기와 마찰을 일으키거나 공기에 파동에너지가 전달되면서 마찰저항이 발생하여 소음이 에너지를 잃게되어 소멸되게 되는 것이며, 압축기의 진동에 따른 맥동소음 역시 소멸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chamber 110 and the second chamber 120 configured to communicate are distorted from the plurality of through-holes 24a of the second sound absorbing tube 24, and the waves of air or noise that are scattered and reflected diffusely overlap. It is a space that becomes and cancels. When air waves or noise waves are introduced into the spaces of the first chamber 110 and the second chamber 120, they cause friction with the air in the space, or when the wave energy is transmitted to the air, frictional resistance is generated, and the noise generates energy. It is lost and extinguished, and the pulsating noise due to the vibration of the compressor also disappears.

여기서, 제1실(110)과 제2실(120)에 각각 배치되는 흡기부(20)와 배기부(30)는 제1실(110)과 제2실(120)의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구비하여 제2흡기관 및 제2배기관으로부터 외부 케이스에 소음파동에너지가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2흡기관 및 제2배기관과 외부케이스 사이의 이격공간에서 유출된 소음파동이 난반사를 일으켜 상쇄간섭되어 소멸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기부(20)와 배기부(30)의 말단과 제1실 및 제2실의 내측 후면의 이격거리는 연통공간(13a)의 길이폭의 0.1배 ~ 5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기계기구장치에 연결된 배기부쪽에서의 흡입력에 의해 흡기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흡기부에서 유출되면서 유로방향이 휘어지게 되고, 외부케이스의 내측 후면 및 내측면들과의 반사에 따른 유로방해를 최소화시키면서 배기부측으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흡기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량은 유실을 최소화하고 원할하게 배기부를 통해 연결된 기계기구장치에 유입되게 된다.Here, the intake unit 20 and the exhaust unit 30 disposed in the first chamber 110 and the second chamber 120, respectively, ar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chamber 110 and the second chamber 120. It is equipped to prevent the direct transmission of noise wave energy from the second intake pipe and the second exhaust pipe to the outer case, and the noise wave leaked out from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second intake pipe and the second exhaust pipe and the outer case causes diffuse reflection to cause offset interference.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be destroyed.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ends of the intake unit 20 and the exhaust unit 30 and the inner rea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is 0.1 to 5 times the length width of the communication space 13a. This is because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take part is discharged from the intake part due to the suction force from the exhaust part connected to the mechanical device, and the direction of the flow path is bent, minimizing flow channel interference due to reflection from the inner rear and inner surfaces of the outer case. It is to allow it to flow into the exhaust part while making it. With this structure, the amount of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take unit minimizes loss and smoothly flows into the mechanical device connected through the exhaust unit.

또한, 소음저감수단의 흡기부와 배기부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대로 제2흡기관(또는 제2배기관)에 제2흡음관(또는 제4흡음관)을 끼우고 제1흡기관(또는 제1배기관)과 서로 연결되도록 결합하여 형성하거나,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대로 제1흡기관(또는 제1배기관)에 제1흡음관(또는 제3흡음관)을 끼우고 제2흡기관(또는 제2배기관)에 제2흡음관(또는 제4흡음관)을 끼워, 이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결합순서는 변형가능함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intake part and the exhaust part of the noise reduction means are inserted into the second intake pipe (or the second exhaust pipe) in the order shown in Fig. 6(a), 1 Intake pipe (or first exhaust pipe) is formed by combining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or the first absorption pipe (or third pipe) to the first intake pipe (or first exhaust pipe) in the order shown in Fig. 6B. Sound-absorbing pipe) and inserting a second sound-absorbing pipe (or a fourth sound-absorbing pipe) to the second intake pipe (or the second exhaust pipe), and combining them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is tim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order of combination can be chang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별개로 형성된 흡기관(또는 배기관)과 흡음관을 끼워결합시키는 것만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흡기관의 내부측면에 흡음관과 같이 관통되지 않는 소정직경의 내측으로 열린홈을 다수개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ake pipe (or exhaust pipe) formed separately and the sound-absorbing pipe are inserted and coupl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ner side of the intake pipe is opened with a predetermined diameter that does not penetrate like a sound-absorbing pipe. A plurality of grooves may be formed.

이하, 도 6의 케이스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ase assembly process of FIG. 6 will be described.

제1흡기관(또는 제1배기관)에 제1흡음관(또는 제3흡음관)을 끼우고 제2흡기관(또는 제2배기관)에 제2흡음관(또는 제4흡음관)을 끼운 다음, 이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볼트(B)를 이용하여 전면캡(12)의 결합홀에 결합시킨다.After inserting the first sound absorption pipe (or the third sound absorption pipe) to the first intake pipe (or the first exhaust pipe) and the second sound absorption pipe (or the fourth sound absorption pipe) to the second intake pipe (or the second exhaust pipe), , Using a bolt (B) so that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of the front cap (12).

흡기관과 배기관이 결합된 전면캡(12)을 케이스 몸체(11)의 개방된 전면에 밀착결합시키되, 제2흡기관은 제1실(110)에 배치되도록 하고, 제2배기관은 제2실(120)에 배치되도록 한다.The front cap 12 combined with the intake pipe and the exhaust pipe is closely coupled to the open front of the case body 11, but the second intake pipe is arranged in the first chamber 110, and the second exhaust pipe is in the second chamber. To be placed at 120.

또한, 도 7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부(20)의 제2흡음관(24)과 배기부(30)의 제4흡음관(34)은 각각 연장되어 서로 연통되도록 구비되거나, 흡기부(20)의 제1흡음관(23)과 제2흡음관(24) 및 배기부(30)의 제3흡음관(33)과 제4흡음관(34)은 각각 연장되어 서로 연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흡기부(20)의 제2흡음관(24)의 주 관통공기가 배기부(30)의 제4흡음관(34)으로 바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여 공기흐름을 원할하게 이어주는 역할을 하게 하며, 이로써 흡기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량이 배기부를 통해 유출 손실이 거의 없이 흐르도록 도와준다. 뿐만아니라, 연결된 제2흡음관과 제4흡음관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홀로부터 분산되고 회절하는 공기파동 및 소음파동은 난반사에 의한 중첩에 의해 서로 상쇄 소멸되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a) and (b) of Fig. 7, the second sound absorbing pipe 24 of the intake part 20 and the fourth sound absorbing pipe 34 of the exhaust part 30 extend to each other. The first sound absorbing pipe 23 and the second sound absorbing pipe 24 of the intake part 20 and the third sound absorbing pipe 33 and the fourth sound absorbing pipe 34 of the exhaust part 30 ar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respectively. It may be provided to extend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is structure serves to smoothly connect the air flow by allowing the main through-air of the second sound absorbing pipe 24 of the intake part 20 to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fourth sound absorbing pipe 34 of the exhaust part 30. In this way, the amount of air sucked through the intake part helps to flow through the exhaust part with little leakage loss. In addition, air waves and noise waves that are dispersed and diffracted from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in the connected second sound absorbing tube and the fourth sound absorbing tube are canceled out from each other by overlapping by diffuse reflection.

또한, 도 8의 (a),(b),(c),(d),(e),(f)는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의 소음저감수단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형된 내부구조를 예시하는 단면도로서, 소음저감수단(200)의 흡기부와 배기부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b), (c), (d), (e), (f) of Fig. 8 is a noise reduction means of a silencer for an intake and exha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modified internal structure, the intake part and the exhaust part of the noise reduction means 200 may be configured as follows.

(a) 흡기부(20)는 외부케이스(10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흡기관, 외부케이스의 내측 제1실에 배치되는 제2흡기관, 제2흡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2흡음관으로 구성되고, 배기부(30)는 외부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1배기관, 외부케이스의 내측 제2실에 배치되는 제2배기관, 제2배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4흡음관으로 구성된다.(a) The intake part 20 is located on a first intake pipe disposed outside the outer case 100, a second intake pipe disposed in the first chamber inside the outer case, and a side disposed inside the second intake pipe. Consisting of a second sound-absorbing pip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e exhaust part 30 includes a first exhaust pipe provided outside the outer case, a second exhaust pipe disposed in a second chamber inside the outer case, and the inside of the second exhaust pipe It consists of a fourth sound-absorbing tube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 disposed in

(b) 흡기부(20)는 외부케이스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흡기관, 제1흡기관의 내부에 끼움되어 배치되는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1흡음관, 외부케이스의 내측 제1실에 배치되는 제2흡기관, 제2흡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2흡음관으로 구성되고, 배기부(30)는 외부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1배기관, 제1배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3흡음관, 외부케이스의 내측 제2실에 배치되는 제2배기관, 제2배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4흡음관으로 구성된다.(b) The intake part 20 includes a first intake pipe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outer case, a first sound absorbing pip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n the side of the first intake pipe and disposed inside the first intake pipe. It is composed of a second intake pipe disposed in one chamber, and a second sound-absorbing pip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intake pipe, and the exhaust part 30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outer case. Exhaust pipe, a third sound-absorbing pipe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n the side disposed inside the first exhaust pipe, a second exhaust pipe disposed in the second chamber inside the outer case, and a plurality of penetrations on the side disposed inside the second exhaust pipe It consists of a fourth sound-absorbing tube with holes.

(c) 흡기부(20)는 외부케이스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흡기관, 제1흡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1흡음관, 외부케이스의 내측 제1실에 배치되는 제2흡기관으로 구성되고, 배기부(30)는 외부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1배기관, 제1배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3흡음관, 외부케이스의 내측 제2실에 배치되는 제2배기관, 제2배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4흡음관으로 구성된다.(c) The intake part 20 includes a first intake pipe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outer case, a first sound absorbing pip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n the side disposed inside the first intake pipe, and an inner first chamber of the outer case. It is composed of a second intake pipe disposed in, and the exhaust part 30 includes a first exhaust pip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outer case, a third sound absorption pip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n the side disposed inside the first exhaust pipe, and an external It is composed of a second exhaust pipe disposed in a second chamber inside the case, and a fourth sound absorbing pip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on a side surface disposed inside the second exhaust pipe.

(d) 흡기부(20)는 외부케이스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흡기관, 외부케이스의 내측 제1실에 배치되는 제2흡기관으로 구성되고, 배기부(30)는 외부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1배기관, 외부케이스의 내측 제2실에 배치되는 제2배기관, 제2배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4흡음관으로 구성된다.(d) The intake part 20 is composed of a first intake pipe disposed outside the outer case, and a second intake pipe disposed in the first chamber inside the outer case, and the exhaust part 30 is outside the outer case. It is composed of a first exhaust pipe provided, a second exhaust pipe disposed in a second chamber inside the outer case, and a fourth sound-absorbing pip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on a side surface disposed inside the second exhaust pipe.

(e) 흡기부(20)는 외부케이스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흡기관, 제1흡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1흡음관, 외부케이스의 내측 제1실에 배치되는 제2흡기관으로 구성되고, 배기부(30)는 외부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1배기관, 외부케이스의 내측 제2실에 배치되는 제2배기관, 제2배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4흡음관으로 구성된다.(e) The intake part 20 includes a first intake pipe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outer case, a first sound absorbing pip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n the side disposed inside the first intake pipe, and an inner first chamber of the outer case. It is composed of a second intake pipe disposed in, and the exhaust part 30 includes a first exhaust pipe provided outside the outer case, a second exhaust pipe disposed in a second chamber inside the outer case, and a second exhaust pipe disposed inside the second exhaust pipe. It is composed of a fourth sound absorbing tu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n the side.

(f) 흡기부(20)는 외부케이스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흡기관, 외부케이스의 내측 제1실에 배치되는 제2흡기관, 제2흡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2흡음관으로 구성되고, 배기부(30)는 외부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1배기관, 제1배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3흡음관, 외부케이스의 내측 제2실에 배치되는 제2배기관으로 구성된다.(f) The intake part 20 has a first intake pipe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outer case, a second intake pipe disposed in the first chamber inside the outer case, and a plurality of penetrations on the sides disposed inside the second intake pipe. Consisting of a second sound-absorbing pipe with a hole, the exhaust part 30 includes a first exhaust pip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outer case, a third sound-absorbing pip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n the side disposed inside the first exhaust pipe, and external It consists of a second exhaust pipe disposed in the second chamber inside the case.

도 8에서와 같이 흡기부와 배기부의 구성을 변형한 소음저감수단들은 거의 유사한 비교값을 갖도록 소음을 저감시키는 특징이 있다. 이는 외부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는 흡기관이나 배기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흡음관이 배치됨으로써 공기의 흐름을 왜곡시키고 공기의 파동 및 소음의 파동을 분산, 회절 및 난반사시키는 것으로, 케이스의 제1실(110) 및 제2실(120)의 공간과 연계하여 왜곡되고, 분산 및 난반사되는 공기파동이나 소음의 파동이 중첩되고 상쇄되어 소음이 소멸되게 된다.As shown in FIG. 8, the noise reduction means having modified configurations of the intake and exhaust parts have characteristics of reducing noise so as to have substantially similar comparison values. This is to distort the flow of air and disperse, diffraction, and diffuse reflections of air waves and noise waves by arranging a sound-absorbing pipe in at least one of the intake pipes and exhaust pipes provided inside the outer case. 110) and the second chamber 120, the distorted, scattered and diffusely reflected air waves or waves of noise overlap and cancel out, thereby eliminating the noise.

또한, 도 9의 (a),(b),(c)는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In addition, Figure 9 (a), (b), (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흡기부(20)는 외부케이스의 외측에 배치되고 내측 제1실과 연통되는 제1흡기관, 제1흡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흡음관으로 구성되고, 배기부(30)는 외부케이스의 외측에 배치되고 내측 제2실과 연통되는 제1배기관, 제1배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3흡음관으로 구성된다.(a) The intake part 20 is composed of a first intake pipe disposed outside the outer case and communicated with the inner first chamber, and a first sound absorption pipe disposed inside the first intake pipe, and the exhaust part 30 It consists of a first exhaust pipe disposed outside the outer case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econd chamber, and a third sound-absorbing pipe disposed inside the first exhaust pipe.

(b) 흡기부(20)는 외부케이스의 외측에 배치되고 내측 제1실과 연통되는 제1흡기관, 제1흡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흡음관으로 구성되고, 배기부(30)는 외부케이스의 외측에 배치되고 내측 제2실과 연통되는 제1배기관으로 구성된다.(b) The intake part 20 is composed of a first intake pipe disposed outside the outer case and communicated with the inner first chamber, and a first sound absorption pipe disposed inside the first intake pipe, and the exhaust part 30 It consists of a first exhaust pipe disposed outside the outer case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econd chamber.

(c) 흡기부(20)는 외부케이스의 외측에 배치되고 내측 제1실과 연통되는 제1흡기관으로 구성되고, 배기부(30)는 외부케이스의 외측에 배치되고 내측 제2실과 연통되는 제1배기관, 제1배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3흡음관으로 구성된다.(c) The intake part 20 is formed of a first intake pipe disposed outside the outer case and communicates with the inner first chamber, and the exhaust part 30 is disposed outside the outer case and communicates with the inner second chamber. It consists of a first exhaust pipe and a third sound absorption pipe disposed inside the first exhaust pipe.

도 9에서와 같이 흡기부와 배기부의 구성을 변형한 소음저감수단들은 상술한 실시예들의 소음기크기값 보다는 조금 큰 비교값을 갖되 통상의 소음기보다는 상대적으로 훨씬 우수하게 소음을 저감시키는 특징이 있다. 이는 외부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는 흡기관이나 배기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흡음관이 배치되고 흡기관과 배기관이 각각 케이스의 제1실(110) 및 제2실(120)의 공간과 연통되므로, 흡음관에서 왜곡된 공기의 흐름, 및 분산, 회절 및 난반사되는 공기의 파동 및 소음의 파동이 케이스의 제1실(110) 및 제2실(120)의 공간에서 중첩되고 상쇄되어 소음이 소멸되게 된다.As shown in FIG. 9, the noise reduction means having modified configurations of the intake and exhaust parts have a comparative value slightly larger than the size of the silencer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relatively much better than the conventional silencer. This is because the sound-absorbing pipe is disposed in at least one of the intake pipe and the exhaust pipe provided outside the outer case, and the intake pipe and the exhaust pipe communicate with the spaces of the first chamber 110 and the second chamber 120 of the case, respectively. The distorted air flow in the tube, and the waves of air and noise waves that are dispersed, diffracted, and diffusely reflected are overlapped and canceled in the spaces of the first chamber 110 and the second chamber 120 of the case, so that the noise disappears. .

도 10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의 일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의 외부사시도로서, 소음기가 장착될 기계기구장치와의 연결부위 및 연결배치 구조에 따라 제1흡기관과 제1배기관의 형태가 평행하게 이격된 일자직선형이거나 'ㄱ'자로 구부러진 형상 등을 가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10A and 10B are external perspective views of an embodiment and another embodiment of a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irst suction according to a connection part and a connection arrangement structure with a mechanical device in which a silencer is to be mounted. It shows that the shape of the engine and the first exhaust pipe can have a straight straight line spaced in parallel or bent in a'b' shap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용 소음기(1)가 기계기구장치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for reducing noise generated by the intake/exhaust silenc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기계기구장치가 외부공기를 흡입하거나 내부공기를 배출하면서 흡입/배출소음을 발생시키는 경우><When a mechanical device inhales external air or discharges internal air and generates suction/discharge noise>

외부공기를 흡입/배출하면서 소음을 발생시키는 기계기구장치의 흡기구멍에 흡배기용 소음기(1)의 제1배기관(31)의 단부를 고정시킨다.The end of the first exhaust pipe 31 of the intake/exhaust silencer 1 is fixed to the intake hole of a mechanical device that generates noise while inhaling/discharging external air.

전원이 인가되면, 기계기구장치는 구동하면서 흡기구멍에 연결된 소음기(1)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When power is applied, the mechanical device is driven and sucks outside air through the silencer 1 connected to the intake hole.

소음기(1)로 흡입되는 외부공기는 제1흡기관(21)을 거쳐 제1실(110)에 구비된 흡기부(20)의 제2흡기관(22)을 통해 소음기 내부로 유입되며, 유입되는 과정에서 각 흡기관의 내부에 배치된 제1흡음관(23) 또는 제2흡음관(24)을 관통하게 된다.External air sucked into the silencer (1) is introduced into the silencer through the first intake pipe (21) and through the second intake pipe (22) of the intake unit (20) provided in the first chamber (110). In the process, the first sound absorbing pipe 23 or the second sound absorbing pipe 24 disposed inside each intake pipe is passed through.

이때, 제1흡음관(23) 또는 제2흡음관(24)을 관통하며 유동하는 공기흐름은 측면 전체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홀(23a,24a) 부분의 요철에 의해 내측면과 인접한 공기흐름의 왜곡, 분산 및 난반사 현상에 의해 흐름 패턴에 변형이 생기고 내측면의 각각의 관통홀 부분에서 미세한 와류현상이 발생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air flow flowing through the first sound absorbing pipe 23 or the second sound absorbing pipe 24 is caused by the irregularities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23a and 24a formed on the entire side surface. The flow pattern is deformed due to distortion, dispersion, and diffuse reflection, and a minute eddy current occurs in each through-hole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이 와류하는 공기흐름에 의한 소음파동은 유입되어 제1흡음관을 관통되는 주 공기흐름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파동과 중첩하면서 소음을 어느 정도 상쇄 저감시키게 된다. The noise wave caused by the eddy air flow is introduced and overlaps with the noise wave generated from the main air flow passing through the first sound absorption pipe, thereby canceling and reducing the noise to some extent.

또한, 제1흡음관(23) 또는 제2흡음관(24)의 다수개의 관통홀을 통과하여 방사상으로 분산된 공기, 및 각각의 관통홀에서 회절되고 분산 및 난반사된 공기의 소음파동은 서로 중첩되어 상쇄되거나, 제1실(110)의 공간에 잔존하는 공기와 마찰을 일으키거나 공간내의 공기에 파동에너지가 전달되면서 마찰저항이 발생하여 소음이 에너지를 잃고 어느 정도 소멸되게 된다.In addition, the noise waves of the air diffused radially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of the first sound absorbing tube 23 or the second sound absorbing tube 24 and the air diffracted and diffused and diffusely reflected in each of the through holes overlap each other. It is canceled out, or friction with the air remaining in the space of the first chamber 110 is generated, or as the wave energy is transmitted to the air in the space, frictional resistance is generated, and the noise loses energy and disappears to some extent.

이와 같이 제1실(110)을 통과하며 1차적으로 소음이 저감된 외부공기는 연통공간(13a)을 거쳐 제2실(120)에 있는 배기부(30)의 제2배기관(32)의 제4흡음관(34)으로 유입된다.As described above, the external air,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chamber 110 and whose noise has been primarily reduced, passes through the communication space 13a and passes through the communication space 13a to the second exhaust pipe 32 of the exhaust unit 30 in the second chamber 120. 4 flows into the sound absorption pipe (34).

이때, 제1흡음관 또는 제2흡음관을 통과한 공기흐름에서 발산되는 공기파동 소음에너지는 공기흐름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퍼지게 되고 퍼진 파동에너지는 외부케이스와 흡기관 사이의 공간에서 난반사를 일으키며 상쇄소멸된다.At this time, the air wave noise energy emitted from the air flow passing through the first or second sound absorption pipe is radially spread based on the air flow, and the spread wave energy causes diffuse reflection in the space between the outer case and the intake pipe and cancels it. It disappears.

이후, 배기부(30)의 제2배기관(32)의 제4흡음관(34)으로 유입된 1차적으로 소음이 저감된 외부공기는, 흡기부에서와 마찬가지로 소정길이의 제4흡음관(34)을 관통하되 제4흡음관(34)의 측면 전체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홀(23a,24a) 부분의 요철에 의해 내측면과 인접한 공기흐름의 왜곡, 분산 및 난반사 현상에 의해 흐름 패턴에 변형이 생기고 내측면의 각각의 관통홀 부분에서 미세한 와류현상이 발생하게 된다.Thereafter, the external air, which has been primarily noise-reduced, introduced into the fourth sound absorbing pipe 34 of the second exhaust pipe 32 of the exhaust part 30 is, as in the intake part, the fourth sound absorbing pipe 34 of a predetermined length. ), but the deformation of the flow pattern due to distortion, dispersion, and diffuse reflection of the air flow adjacent to the inner surface due to the irregularities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23a, 24a formed on the entire side of the fourth sound absorbing tube 34 And a minute eddy current occurs in each of the through-holes on the inner side.

이 와류하는 공기흐름에 의한 소음파동은, 유입되어 제4흡음관을 관통되는 주 공기흐름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파동과 중첩하면서 남아 있는 소음을 상쇄 저감시키게 된다. The noise wave caused by the eddy air flow is introduced and overlaps with the noise wave generated from the main air flow passing through the fourth sound absorbing tube, thereby offsetting and reducing the remaining noise.

또한, 제3흡음관(33) 또는 제4흡음관(34)의 다수개의 관통홀에서 방사상으로 분산된 공기, 및 각각의 관통홀에서 회절되고 분산 및 난반사된 공기의 소음파동은 서로 중첩되어 상쇄되거나, 제2실(120)의 공간에 잔존하는 공기와 마찰을 일으키거나 공간내의 공기에 파동에너지가 전달되면서 마찰저항이 발생하여 소음이 에너지를 잃고 어느 정도 소멸되게 된다.In addition, the noise waves of air that are radially dispersed i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of the third sound absorbing tube 33 or the fourth sound absorbing tube 34, and the air diffracted and scattered and diffusely reflected in each of the through holes overlap each other to cancel each other. Alternatively, friction with the air remaining in the space of the second chamber 120 is generated, or as the wave energy is transmitted to the air in the space, frictional resistance is generated, and the noise loses energy and disappears to some extent.

이와 같이 제2실(120)의 배기부(30)의 제3흡음관(33) 또는 제4흡음관(34)을 통과하며 소음은 2차적으로 저감되므로, 2번에 걸친 소음저감에 의해 사용자는 흡입소음이나 배출소음을 무소음으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In this way, it passes through the third sound-absorbing pipe 33 or the fourth sound-absorbing pipe 34 of the exhaust part 30 of the second chamber 120 and the noise is secondarily reduced, so that the user Is to recognize the inhalation or exhaust noise as noiseless.

<기계기구장치가 외부공기를 흡입하면서 흡배출소음 및 맥동소음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경우><When a mechanical device inhales external air and generates both intake and discharge noise and pulsating noise at the same time>

산소발생기와 같이 외부공기를 흡입하면서 소음을 발생시키는 기계기구장치의 흡기구멍에 흡배기용 소음기(1)의 제1배기관(31)의 단부를 고정시킨다.The end of the first exhaust pipe 31 of the silencer 1 for intake and exhaust is fixed to the intake hole of a mechanical device that generates noise while inhaling external air such as an oxygen generator.

전원이 인가되면, 기계기구장치는 구동하면서 흡기구멍에 연결된 소음기(1)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기계기구장치의 구동에 따른 구동소음과 맥동소음을 배출한다.When power is applied, the mechanical device is driven while inhaling external air through the silencer 1 connected to the intake hole, and at the same time, the driving noise and pulsating noise caused by the driving of the mechanical device are discharged.

소음기(1)로 흡입되는 외부공기는 제1흡기관(21)을 거쳐 제1실(110)에 구비된 흡기부(20)의 제2흡기관(22)을 통해 소음기 내부로 유입되며, 유입되는 과정에서 각 흡기관의 내부에 배치된 제1흡음관(23) 또는 제2흡음관(24)을 관통하게 된다.External air sucked into the silencer (1) is introduced into the silencer through the first intake pipe (21) and through the second intake pipe (22) of the intake unit (20) provided in the first chamber (110). In the process, the first sound absorbing pipe 23 or the second sound absorbing pipe 24 disposed inside each intake pipe is passed through.

이때, 제1흡음관(23) 또는 제2흡음관(24)을 관통하며 유동하는 공기흐름은 측면 전체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홀(23a,24a) 부분의 요철에 의해 내측면과 인접한 공기흐름의 왜곡, 분산 및 난반사 현상에 의해 흐름 패턴에 변형이 생기고 내측면의 각각의 관통홀 부분에서 미세한 와류현상이 발생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air flow flowing through the first sound absorbing pipe 23 or the second sound absorbing pipe 24 is caused by the irregularities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23a and 24a formed on the entire side surface. The flow pattern is deformed due to distortion, dispersion, and diffuse reflection, and a minute eddy current occurs in each through-hole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이 와류하는 공기흐름에 의한 소음파동은 유입되어 제1흡음관을 관통되는 주 공기흐름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파동과 중첩하면서 소음을 어느 정도 상쇄 저감시키게 된다. The noise wave caused by the eddy air flow is introduced and overlaps with the noise wave generated from the main air flow passing through the first sound absorption pipe, thereby canceling and reducing the noise to some extent.

또한, 제1흡음관(23) 또는 제2흡음관(24)의 다수개의 관통홀을 통과하여 방사상으로 분산된 공기, 및 각각의 관통홀에서 회절되고 분산 및 난반사된 공기의 소음파동은 서로 중첩되어 상쇄되거나, 제1실(110)의 공간에 잔존하는 공기와 마찰을 일으키거나 공간내의 공기에 파동에너지가 전달되면서 마찰저항이 발생하여 소음이 에너지를 잃고 어느 정도 소멸되게 된다.In addition, the noise waves of the air diffused radially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of the first sound absorbing tube 23 or the second sound absorbing tube 24 and the air diffracted and diffused and diffusely reflected in each of the through holes overlap each other. It is canceled out, or friction with the air remaining in the space of the first chamber 110 is generated, or as the wave energy is transmitted to the air in the space, frictional resistance is generated, and the noise loses energy and disappears to some extent.

이와 같이 제1실(110)을 통과하며 1차적으로 소음이 저감된 외부공기는 연통공간(13a)을 거쳐 제2실(120)에 있는 배기부(30)의 제2배기관(32)의 제4흡음관(34)으로 유입된다.As described above, the external air,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chamber 110 and whose noise has been primarily reduced, passes through the communication space 13a and passes through the communication space 13a to the second exhaust pipe 32 of the exhaust unit 30 in the second chamber 120. 4 flows into the sound absorption pipe (34).

이때, 제1흡음관 또는 제2흡음관을 통과한 공기흐름에서 발산되는 공기파동 소음에너지는 공기흐름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퍼지게 되고 퍼진 파동에너지는 외부케이스와 흡기관 사이의 공간에서 난반사를 일으키며 상쇄소멸된다.At this time, the air wave noise energy emitted from the air flow passing through the first or second sound absorption pipe is radially spread based on the air flow, and the spread wave energy causes diffuse reflection in the space between the outer case and the intake pipe and cancels it. It disappears.

이후, 배기부(30)의 제2배기관(32)의 제4흡음관(34)으로 유입된 1차적으로 소음이 저감된 외부공기는, 흡기부에서와 마찬가지로 소정길이의 제4흡음관(34)을 관통하되 제4흡음관(34)의 측면 전체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홀(23a,24a) 부분의 요철에 의해 내측면과 인접한 공기흐름의 왜곡, 분산 및 난반사 현상에 의해 흐름 패턴에 변형이 생기고 내측면의 각각의 관통홀 부분에서 미세한 와류현상이 발생하게 된다.Thereafter, the external air, which has been primarily noise-reduced, introduced into the fourth sound absorbing pipe 34 of the second exhaust pipe 32 of the exhaust part 30 is, as in the intake part, the fourth sound absorbing pipe 34 of a predetermined length. ), but the deformation of the flow pattern due to distortion, dispersion, and diffuse reflection of the air flow adjacent to the inner surface due to the irregularities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23a, 24a formed on the entire side of the fourth sound absorbing tube 34 And a minute eddy current occurs in each of the through-holes on the inner side.

이 와류하는 공기흐름에 의한 소음파동은, 유입되어 제4흡음관을 관통되는 주 공기흐름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파동과 중첩하면서 남아 있는 소음을 상쇄 저감시키게 된다. The noise wave caused by the eddy air flow is introduced and overlaps with the noise wave generated from the main air flow passing through the fourth sound absorbing tube, thereby offsetting and reducing the remaining noise.

또한, 제3흡음관(33) 또는 제4흡음관(34)의 다수개의 관통홀에서 방사상으로 분산된 공기, 및 각각의 관통홀에서 회절되고 분산 및 난반사된 공기의 소음파동은 서로 중첩되어 상쇄되거나, 제2실(120)의 공간에 잔존하는 공기와 마찰을 일으키거나 공간내의 공기에 파동에너지가 전달되면서 마찰저항이 발생하여 소음이 에너지를 잃고 어느 정도 소멸되게 된다.In addition, the noise waves of air that are radially dispersed i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of the third sound absorbing tube 33 or the fourth sound absorbing tube 34, and the air diffracted and scattered and diffusely reflected in each of the through holes overlap each other to cancel each other. Alternatively, friction with the air remaining in the space of the second chamber 120 is generated, or as the wave energy is transmitted to the air in the space, frictional resistance is generated, and the noise loses energy and disappears to some extent.

이와 같이 제2실(120)의 배기부(30)의 제3흡음관(33) 또는 제4흡음관(34)을 통과하며 소음은 2차적으로 저감되므로, 2번에 걸친 소음저감에 의해 사용자는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소음을 무소음으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In this way, it passes through the third sound-absorbing pipe 33 or the fourth sound-absorbing pipe 34 of the exhaust part 30 of the second chamber 120 and the noise is secondarily reduced, so that the user Is to recognize the inhalation noise of the inhaled air as noiseless.

한편, 이와 동시에 소음기(1)로 흡입되는 구동소음과 맥동소음은 제1배기관(31)을 거쳐 제2실(120)에 구비된 배기부(30)의 제2배기관(32)을 통해 소음기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과정에서 제3흡음관(33) 또는 제4흡음관(34)을 관통하되 제3흡음관(33) 또는 제4흡음관(34)의 측면 전체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홀(33a,34a)에서 회절되고 분산 및 난반사된다.Meanwhile, the driving noise and pulsating noise sucked into the silencer 1 at the same time pass through the first exhaust pipe 31 and the inside of the silencer through the second exhaust pipe 32 of the exhaust part 30 provided in the second chamber 120. And through the third sound absorbing tube 33 or the fourth sound absorbing tube 34 in the inflow process, but formed in the entire side of the third sound absorbing tube 33 or the fourth sound absorbing tube 34 ( 33a, 34a), it is diffracted, dispersed and diffusely reflected.

이때, 제3흡음관(33) 또는 제4흡음관(34)에 유입된 구동소음과 맥동소음은 파동형태로 에너지를 전달하며 전진하는데, 관통홀 마다 회절 및 분산되는 파동들에 의한 중첩과 간섭에 따라 흡음관을 따라 전진하는 소음파동에 변형이 생기고 내측면의 각각의 관통홀 부분에서 파형 왜곡현상이 발생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driving noise and the pulsating noise introduced into the third sound absorbing tube 33 or the fourth sound absorbing tube 34 transfer energy in a wave form and advance, overlapping and interfering with the waves that are diffracted and dispersed for each through hole. As a result, the noise wave advancing along the sound-absorbing tube is deformed, and waveform distortion occurs in each through-hole portion of the inner side.

이 파형 왜곡에 의해 전진하는 소음파동의 소음을 어느 정도 상쇄 저감시키게 된다. Due to this waveform distortion, the noise of the advancing noise wave is canceled and reduced to some extent.

또한, 제3흡음관(33) 또는 제4흡음관(34)을 통과하며 다수개의 관통홀 부분에서 회절, 분산되고 난반사된 구동소음과 맥동소음은 제2실(120)의 공간에 잔존하는 공기와 마찰을 일으키거나 공간의 공기에 파동에너지가 전달되면서 마찰저항이 발생하여 소음이 에너지를 잃고 어느 정도 소멸되게 된다.In addition, the driving noise and pulsating noise that passes through the third sound absorbing tube 33 or the fourth sound absorbing tube 34 and which are diffracted, dispersed and diffusely reflected i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air remaining in the space of the second chamber 120 Frictional resistance is generated by causing friction with or when wave energy is transmitted to the air in the space, causing the noise to lose energy and extinguish to some extent.

이와 같이 제3흡음관(33) 또는 제2실(120)의 배기부(30)의 제4흡음관(34)을 통과하며 1차적으로 소음이 저감된 구동소음과 맥동소음은 연통공간(13a)을 관통하여 제1실(110)의 흡기부(20)의 제2흡기관(22)내의 제2흡음관(24)으로 유입된다.As described above, driving noise and pulsating noise, which are primarily noise-reduced while passing through the third sound-absorbing pipe 33 or the fourth sound-absorbing pipe 34 of the exhaust part 30 of the second chamber 120, are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space 13a ) And flows into the second sound absorbing pipe 24 in the second intake pipe 22 of the intake part 20 of the first chamber 110.

이때, 제4흡음관을 통과한 구동소음과 맥동소음에서 발산되는 파동 소음에너지는 제2흡음관 말단을 중심으로 포물선상으로 퍼지게 되고 퍼진 파동에너지의 일부는 외부케이스와 제2흡기관 사이의 제1실 공간에서 난반사를 일으키며 상쇄소멸된다.At this time, the wave noise energy emitted from the driving noise and the pulsating noise passing through the fourth sound absorbing pipe spreads in a parabolic shape around the end of the second sound absorbing pipe, and part of the spread wave energy is controlled between the outer case and the second intake pipe. It causes diffuse reflection in the one-room space and cancels out.

이후, 흡기부(20)의 제2흡음관(24)으로 유입된 1차적으로 소음이 저감된 구동소음과 맥동소음은, 배기부에서와 마찬가지로 소정길이의 제2흡음관(24)을 관통하되 제2흡음관(24)의 측면 전체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홀(24a)에서 회절, 분산 및 난반사된다.Thereafter, driving noise and pulsating noise, which are primarily noise-reduced, introduced into the second sound-absorbing pipe 24 of the intake part 20, pass through the second sound-absorbing pipe 24 of a predetermined length as in the exhaust part. It is diffracted, dispersed, and diffusely reflected i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4a formed on the entire side of the second sound absorbing tube 24.

그리고, 마찬가지로 제2흡음관(24)에 유입된 구동소음과 맥동소음은 파동형태로 에너지를 전달하며 전진하는데, 관통홀 마다 회절 및 분산되는 파동들에 의한 중첩과 간섭에 따라 흡음관을 따라 전진하는 소음파동에 변형이 생기고 내측면의 각각의 관통홀 부분에서 파형 왜곡현상이 발생하게 된다.And, similarly, the driving noise and pulsating noise introduced into the second sound absorbing tube 24 transfer energy in the form of waves and advance, and advance along the sound absorbing tube according to the overlap and interference by waves that are diffracted and dispersed for each through hole. The resulting noise wave is deformed, and waveform distortion occurs in each through-hole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이 파형 왜곡은 전진하는 소음파동의 남아 있는 소음을 상쇄 저감시키게 된다. This waveform distortion cancels out the remaining noise of the advancing noise wave.

또한, 제2흡음관(24)의 다수개의 관통홀을 통과하며 각각의 관통홀 부분에서 회절되고 분산된 구동소음과 맥동소음의 파동은, 제1실(110)내의 잔존하는 공기와 마찰을 일으키거나 공간 공기에 파동에너지가 전달되면서 마찰저항이 발생하여 소음이 에너지를 잃고 소멸되게 된다.In addition, the waves of driving noise and pulsating noise that pass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of the second sound absorbing tube 24 and are diffracted and dispersed in each through hole portion cause friction with the air remaining in the first chamber 110. Or, as wave energy is transmitted to the air in the space, frictional resistance is generated, and noise loses energy and disappears.

이와 같이 제1실(110)의 흡기부(20)의 제2흡음관(24)을 통과하며 구동소음과 맥동소음은 2차적으로 저감되므로, 사용자는 구동소음과 맥동소음을 무소음으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In this way, the driving noise and the pulsating noise are secondarily reduced while passing through the second sound-absorbing pipe 24 of the intake part 20 of the first chamber 110, so that the user perceives the driving noise and the pulsating noise as noiseless. will be.

더욱이, 이와 같이 소음기의 동일한 흡음관 및 연통공간내에서 동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전진이동하는 유입되는 공기의 소음파동과 배출되는 구동소음과 맥동소음의 파동은, 서로 중첩되고 부딪치면서 소음이 저감되는 상보적인 효과를 발생시켜 공기의 흡입소음과 기계기구의 구동소음과 맥동소음을 무소음으로 인식하도록 한다.Moreover, in the same sound-absorbing pipe and communication space of the silencer, the noise waves of the incoming air moving forward in opposite directions and the waves of the driving noise and pulsating noise that are discharged overlap each other and collide with each other, thereby reducing the noise. By generating a natural effect, the inhalation noise of air, the driving noise of mechanical devices, and the pulsating noise are recognized as noiseless.

한편, 기계기구장치와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1)를 연결하는 연결배관에서의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연결배관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음저감배관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reduce noise in the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mechanical device and the silenc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pipe may be provided as a noise reduction pipe as shown in FIG. 12.

소음저감배관(4)은, 배관(41), 배관(41)의 내부에 끼움되는, 측면 전체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5흡음관(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noise reduction pipe 4 includes a pipe 41 and a fifth sound-absorbing pipe 42 that is fitted inside the pipe 41 and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on the entire side thereof.

여기서, 제5흡음관(42)은 배관(41)과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fth sound absorption pipe 42 may be configured to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pipe 41.

또한, 제5흡음관(42)의 각 측면 전체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홀의 치수는, 상술한 흡음관들과 마찬가지로, 배관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치수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imensions of the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on the entire side of each side of the fifth sound absorbing pipe 42 are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diameter of the pipe, like the sound absorbing pipes described above.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connection with a preferred embodiment for illustra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and deviates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t will be well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a number of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Accordingly, all such appropriate changes and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소음기
100:외부케이스 110:제1실
120:제2실 11:몸체
12:전면캡 13:격벽
13a:연통공간 13b:연통홀
200:소음저감수단
20:흡기부 21:제1흡기관
22:제2흡기관 23:제1흡음관
24:제2흡음관
30:배기부 31:제1배기관
32:제2배기관 33:제3흡음관
34:제4흡음관 23a,24a,33a,34a:관통홀
4:소음저감배관 41:배관
42:제5흡음관 50: 타공판
1: Silencer
100: outer case 110: first room
120: Room 2 11: Body
12: front cap 13: bulkhead
13a: communication space 13b: communication hole
200: noise reduction means
20: intake part 21: first intake pipe
22: second intake pipe 23: first absorption pipe
24: the second sound absorption pipe
30: exhaust part 31: first exhaust pipe
32: second exhaust pipe 33: third sound absorption pipe
34: 4th sound absorption pipe 23a, 24a, 33a, 34a: through hole
4: noise reduction piping 41: piping
42: fifth sound absorption pipe 50: perforated plate

Claims (17)

연통되는 제1실(110)과 제2실(120)로 구획된 외부케이스(100); 및
상기 외부케이스(100)에 구비되되, 흡기부(20)와 배기부(30)를 구비한 소음저감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용 소음기.
An outer case 100 divided into a first chamber 110 and a second chamber 120 communicating; And
Doedoe provided in the outer case (100), the noise reduction means (200) having an intake portion (20) and an exhaust portion (3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110)과 제2실(120)은 외부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격벽(13)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용 소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hamber (110) and the second chamber (120) is a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the partition wall (13)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cas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13)의 후단부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 후면 사이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연통공간(13a)이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격벽(13)의 후단부와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측 후면을 접촉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제1실(110)과 상기 제2실(120)이 연통되도록 상기 격벽(13)의 후단부분에 다수개의 연통홀(13b)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용 소음기.
The method of claim 2,
A communication space 13a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s provided between the rear end of the partition wall 13 and the inner rear surface of the case 100, or
The rear end of the partition wall 13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inner rear surface of the outer case 100, but the rear end of the partition wall 13 communicates with the first chamber 110 and the second chamber 120. A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13b) are provid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100)는 몸체(11)와 전면캡(1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면캡(12)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관과 공기가 배출되고 소음이 유입되는 배기관이 각각 결합되는 한쌍의 결합홀(12a,12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용 소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er case 100 is composed of a body 11 and a front cap 12,
The front cap 12 is a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coupling holes 12a and 12b are formed in which an intake pipe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nd an exhaust pipe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nd noise is introduced are respectively coupl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저감수단(200)은, 상기 외부케이스(100)에 구비된 제1실(110)에 배치되는 흡기부(20)와 제2실(120)에 배치되는 배기부(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용 소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noise reduction means 200 is composed of an intake unit 20 disposed in the first chamber 110 provided in the outer case 100 and an exhaust unit 30 disposed in the second chamber 120 A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characterized in that.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부(2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1흡기관(21); 상기 제1흡기관(21)의 내부에 배치되며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23a)이 형성된 소정길이의 제1흡음관(23); 일단이 상기 흡기관(21)과 연결되며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제1실(110)에 배치되는 제2흡기관(22); 및 상기 제2흡음관(22)의 내부에 배치되며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24a)이 형성된 소정길이의 제2흡음관(2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용 소음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intake part 20,
A first intake pipe 21 provided outside the outer case 100; A first sound-absorbing pipe 23 of a predetermined length disposed inside the first intake pipe 21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3a formed at side surfaces thereof; A second intake pipe 22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intake pipe 21 and disposed in the first chamber 110 of the outer case 100; And a second sound-absorbing pipe (24)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disposed inside the second sound-absorbing pipe (22)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4a) formed on a side surface thereof.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부(20)의 제1흡기관(21)과 제2흡기관(22)은 별개로 구비되어 연결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되고, 제1흡음관(23)과 제2흡음관(24)도 별개로 구비되어 연결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용 소음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intake pipe 21 and the second intake pipe 22 of the intake part 20 are separately provided and connected or formed integrally, and the first sound absorbing pipe 23 and the second sound absorbing pipe 24 A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separately and connected or formed integrally.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3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1배기관(31); 상기 제1배기관(31)의 내부에 배치되며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33a)이 형성된 소정길이의 제3흡음관(33); 일단이 상기 배기관(31)과 연결되며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제2실(120)에 배치되는 제2배기관(32); 및 상기 제2배기관(32)의 내부에 배치되며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34a)이 형성된 소정길이의 제4흡음관(3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용 소음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exhaust part (30),
A first exhaust pipe 31 provided outside the outer case 100; A third sound-absorbing pipe (33)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disposed inside the first exhaust pipe (31)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3a) formed at side surfaces thereof; A second exhaust pipe 32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exhaust pipe 31 and disposed in the second chamber 120 of the outer case 100; And a fourth sound-absorbing pipe (34)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disposed inside the second exhaust pipe (32)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4a) formed on a side surface thereof.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30)의 제1배기관(31)과 제2배기관(32)은 별개로 구비되어 연결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되고, 제3흡음관(33)과 제4흡음관(34)도 별개로 구비되어 연결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용 소음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exhaust pipe 31 and the second exhaust pipe 32 of the exhaust part 30 are separately provided and connected or formed integrally, and the third sound absorbing pipe 33 and the fourth sound absorbing pipe 34 are also separate. A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and connected or formed integrally.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저감수단(200)의 상기 흡기부(2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흡기관;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측 제1실에 배치되는 제2흡기관; 및 상기 제2흡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2흡음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기부(3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1배기관;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측 제2실에 배치되는 제2배기관; 상기 제2배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4흡음관;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흡기부(2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흡기관; 상기 제1흡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1흡음관; 및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측 제1실에 배치되는 제2흡기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기부(3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1배기관; 상기 제1배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3흡음관;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측 제2실에 배치되는 제2배기관; 및 상기 제2배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4흡음관;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흡기부(2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흡기관; 및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측 제1실에 배치되는 제2흡기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기부(3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1배기관;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측 제2실에 배치되는 제2배기관; 및 상기 제2배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4흡음관;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흡기부(2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흡기관; 상기 제1흡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1흡음관; 및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측 제1실에 배치되는 제2흡기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기부(3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1배기관;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측 제2실에 배치되는 제2배기관; 및 상기 제2배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4흡음관;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흡기부(2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흡기관;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측 제1실에 배치되는 제2흡기관; 및 상기 제2흡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2흡음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기부(3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1배기관; 상기 제1배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3흡음관; 및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측 제2실에 배치되는 제2배기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용 소음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intake part 20 of the noise reduction means 200 includes a first intake pipe disposed outside the outer case 100; A second intake pipe disposed in the first chamber inside the outer case 100; And a second sound-absorbing pipe disposed inside the second intake pipe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on a side thereof, wherein the exhaust part 30 is a first exhaust pipe provided outside the outer case 100 ; A second exhaust pipe disposed in the second chamber inside the outer case 100; Or a fourth sound-absorbing pipe disposed inside the second exhaust pipe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on the side surfaces thereof, or
The intake part 20 includes a first intake pipe disposed outside the outer case 100; A first sound-absorbing pipe disposed inside the first intake pipe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thereon; And a second intake pipe disposed in the inner first chamber of the outer case 100, wherein the exhaust part 30 includes a first exhaust pipe provided outside the outer case 100; A third sound-absorbing pipe disposed inside the first exhaust pipe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on a side surface thereof; A second exhaust pipe disposed in the second chamber inside the outer case 100; And a fourth sound-absorbing tube disposed inside the second exhaust pipe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on the side surfaces thereof, or
The intake part 20 includes a first intake pipe disposed outside the outer case 100; And a second intake pipe disposed in the inner first chamber of the outer case 100, wherein the exhaust part 30 includes a first exhaust pipe provided outside the outer case 100; A second exhaust pipe disposed in the second chamber inside the outer case 100; And a fourth sound-absorbing tube disposed inside the second exhaust pipe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on the side surfaces thereof, or
The intake part 20 includes a first intake pipe disposed outside the outer case 100; A first sound-absorbing pipe disposed inside the first intake pipe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thereon; And a second intake pipe disposed in the inner first chamber of the outer case 100, wherein the exhaust part 30 includes a first exhaust pipe provided outside the outer case 100; A second exhaust pipe disposed in the second chamber inside the outer case 100; And a fourth sound-absorbing tube disposed inside the second exhaust pipe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on the side surfaces thereof, or
The intake part 20 includes a first intake pipe disposed outside the outer case 100; A second intake pipe disposed in the first chamber inside the outer case 100; And a second sound-absorbing pipe disposed inside the second intake pipe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on a side thereof, wherein the exhaust part 30 is a first exhaust pipe provided outside the outer case 100 ; A third sound-absorbing pipe disposed inside the first exhaust pipe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on a side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exhaust pipe disposed in the inner second chamber of the outer case 100.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저감수단(200)의 흡기부(20)와 배기부(30)는 연계되어,
기계기구장치로 유입되거나 또는 기계기구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소음, 또는
기계기구장치로 유입되는 공기 소음과 기계기구장치로부터 유출되는 구동소음이나 맥동소음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용 소음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The intake part 20 and the exhaust part 30 of the noise reduction means 200 are connected,
Noise of air entering or exiting the mechanical device, or
A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characterized in that it reduces air noise flowing into the mechanical device and driving noise or pulsating noise flowing out of the mechanical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타공판(5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용 소음기.
The method of claim 1,
A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characterized in that a perforated plate 50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side the outer case 100 is provid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저감수단(200)의 상기 흡기부(20)와 상기 배기부(30)는,
연통공간을 통해 연통되도록 구비되거나, 또는 각각 연장되어 서로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용 소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intake part 20 and the exhaust part 30 of the noise reduction means 200,
A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 communication space, or extend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부(20) 및 상기 배기부(30)의 말단과 상기 외부케이스(100)내의 제1실 및 제2실의 내측 후면과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1실 및 제2실을 연통시키는 연통공간의 길이폭의 0.1배 ~ 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용 소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intake unit 20 and the exhaust unit 30 and the inner rear surface of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in the outer case 100 is a communication for communicating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A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characterized in that 0.1 to 5 times the length of the spa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부(20) 및 상기 배기부(30)는, 상기 케이스(100)내의 제1실 및 제2실에 각각 배치되되, 상기 제1실 및 제2실의 내측면과 각각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용 소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intake part 20 and the exhaust part 30 are disposed in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of the case 100, respectively, and ar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respectively. A silencer for intake and exhaust,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배기용 소음기는, 기계기구장치와의 연결부위에 연통되는 소음저감배관(4)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용 소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intake/exhaust silencer further comprises a noise reduction pipe (4) communicating with a connection portion with the mechanical device.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저감배관(4)은,
배관(41); 및 상기 배관(41)의 내부에 배치되며,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5흡음관(4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용 소음기.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noise reduction pipe (4),
Piping 41; And a fifth sound absorbing pipe 42 disposed inside the pipe 41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on a side surface thereof.
KR1020190099493A 2019-08-14 2019-08-14 Silencer for suction and exhaustion of Air KR1022386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493A KR102238644B1 (en) 2019-08-14 2019-08-14 Silencer for suction and exhaustion of 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493A KR102238644B1 (en) 2019-08-14 2019-08-14 Silencer for suction and exhaustion of Ai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344A true KR20210020344A (en) 2021-02-24
KR102238644B1 KR102238644B1 (en) 2021-04-09

Family

ID=74689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493A KR102238644B1 (en) 2019-08-14 2019-08-14 Silencer for suction and exhaustion of 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64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76767A (en) * 2022-06-08 2022-08-09 黄石东贝压缩机有限公司 Muffler and cylinder bloc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2326A (en) * 1995-05-19 1996-11-26 Daihatsu Diesel Mfg Co Ltd Exhaust gas muffler
JP3079451B2 (en) * 1991-07-30 2000-08-21 株式会社石井鐵工所 Silencer equipped with check valve
KR20090105703A (en) 2008-04-03 2009-10-07 김양선 Air filter assembly comprising muffl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9451B2 (en) * 1991-07-30 2000-08-21 株式会社石井鐵工所 Silencer equipped with check valve
JPH08312326A (en) * 1995-05-19 1996-11-26 Daihatsu Diesel Mfg Co Ltd Exhaust gas muffler
KR20090105703A (en) 2008-04-03 2009-10-07 김양선 Air filter assembly comprising muffl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76767A (en) * 2022-06-08 2022-08-09 黄石东贝压缩机有限公司 Muffler and cylinder b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8644B1 (en) 2021-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99067B2 (en) Vacuum cleaner silencer
KR102238644B1 (en) Silencer for suction and exhaustion of Air
WO2004052165A1 (en) Silencing means used in the dust cleaner
US11727911B2 (en) Device for reducing airborne and structure-borne sound
CN111622990A (en) Noise reduction device and gas water heater
CN109340192B (en) Fume exhaust fan
CN211011521U (en) Range hood with noise reduction structure
CN209875570U (en) Noise reduction device and gas water heater
KR200418061Y1 (en) Environment affinity ? Low noise ventilator
JP2008163905A (en) Pump device
CN111503410A (en) Helmholtz type silencer
CN207993473U (en) A kind of micropunch complex muffler
KR101400382B1 (en) Silencer for boiler
KR20200105990A (en) Silencer for suction and exhaustion of Air
CN202047880U (en) Novel impedance composite silencer
CN111365215B (en) Pneumatic silencer
KR20220106299A (en) Oxygen generator intake and exhaust silencer
RU2276736C1 (en) Muffler
RU19555U1 (en) NOISE MUFFLER
KR20220145560A (en) Intake and exhaust silencer for Oxygen concentrators
CN207989401U (en) External impedance composite muffler in one kind
JP4975316B2 (en) Duct parts and duct structure
JP2002089228A (en) Pleat-like noise separation-type silencer
CN206151364U (en) Dust catcher with function of making an uproar is fallen
CN206471117U (en) A kind of vortex type silenc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