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9933A - 식용곤충용 사육 장치 - Google Patents

식용곤충용 사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9933A
KR20210019933A KR1020200055015A KR20200055015A KR20210019933A KR 20210019933 A KR20210019933 A KR 20210019933A KR 1020200055015 A KR1020200055015 A KR 1020200055015A KR 20200055015 A KR20200055015 A KR 20200055015A KR 20210019933 A KR20210019933 A KR 20210019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eding
frame
length adjustment
length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광희
Original Assignee
원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희 filed Critical 원광희
Publication of KR20210019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9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식용곤충용 사육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연속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프레임을 포함하며 식용곤충 사육이 가능한 사육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식용곤충이 이동 가능한 면을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단위 프레임에 설치되는 사육망, 및 본체에 설치되어 사육 공간의 부피를 조절하기 위해 본체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 유닛을 포함하는 식용곤충용 사육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식용곤충용 사육 장치{EIBLE INSECTS BREE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식용곤충용 사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곤충은 지구 전체 동물계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미개발 생물자원으로 알려져 있으며, 곤충을 활용하는 곤충산업이 새로운 농산업으로 대두되고 있다.
그 중 곤충을 식량 자원으로 활용하는 식용곤충산업에 대해 관심이 증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사람들이 식용곤충을 먹는 것에 대해 거부감을 가질 수 있어, 이러한 거부감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한편, 축산업으로 인한 온실가스의 배출이 지구 온난화 전체의 17%에 달해 전세계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그러나 식용곤충은 이러한 점과 대비되어 그 친환경적인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영양학적인 가치를 인정받아 미래의 식량 자원으로 떠오르고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에서는 메뚜기와 번데기를 주로 식용으로 먹었으나,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미래 식량 자원으로 식용곤충의 활용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갈색거저리,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쌍별귀뚜라미, 장수풍뎅이 유충 등을 식품 원료로써 인정하였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9666호(2013.10.29.)
본 발명은 식용곤충을 사육할 수 있는 사육 공간을 제공하고, 본체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육 공간의 부피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 조절 유닛을 포함하는 식용곤충용 사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연속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프레임을 포함하며 식용곤충 사육이 가능한 사육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식용곤충이 이동 가능한 면을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단위 프레임에 설치되는 사육망, 및 본체에 설치되어 사육 공간의 부피를 조절하기 위해 본체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 유닛을 포함하는 식용곤충용 사육 장치가 제공된다.
복수의 단위 프레임은 사육 공간의 일면에 연속하여 배치되는 본체 프레임, 및 사육망이 설치 가능하도록 본체 프레임의 양측에서 일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서브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길이 조절 유닛은 서로 이웃하는 본체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본체 프레임 사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길이 조절 유닛은 일단이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본체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핀 결합되고, 타단이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본체 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본체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길이 조절부, 및 일단이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본체 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핀 결합되고, 타단이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본체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본체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길이 조절부를 포함하고, 제1 길이 조절부와 제2 길이 조절부는 서로 교차될 수 있다.
본체 프레임에는 본체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레일이 형성되고, 제1 길이 조절부의 타단 및 제2 길이 조절부의 타단은 각각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본체 프레임에 형성되는 레일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사육망은 서브 프레임이 삽입 가능하도록 삽입홀이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서브 프레임은 삽입홀에 삽입되어 사육망을 지지할 수 있다.
서브 프레임에는 사육망의 위치를 지지하기 위해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는 서브 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되어 사육망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에는 삽입부의 일측이 삽입 가능한 지지홀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는 서브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어 삽입부의 이동을 방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용곤충을 사육할 수 있는 사육 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길이 조절 유닛을 이용하여 본체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육 공간의 부피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용곤충용 사육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용곤충용 사육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용곤충용 사육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식용곤충용 사육 장치(100)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측면에 따르면, 연속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프레임(120)을 포함하며 식용곤충 사육이 가능한 사육 공간(112)을 형성하는 본체(110), 식용곤충이 이동 가능한 면을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단위 프레임(120)에 설치되는 사육망(130), 및 본체(110)에 설치되어 사육 공간(112)의 부피를 조절하기 위해 본체(110)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 유닛(140)을 포함하는 식용곤충용 사육 장치(100)가 제시된다.
본 실시예의 식용곤충용 사육 장치(100)는 식용곤충을 사육할 수 있는 사육 공간(112)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가 위치하는 장소의 크기에 따라서 길이 조절 유닛(140)을 이용하여 사육 공간(112)의 부피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식용곤충용 사육 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는 연속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프레임(120)을 포함하며 식용곤충 사육이 가능한 사육 공간(112)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위 프레임은 사육 공간(112)의 일면에 연속하여 배치되는 본체 프레임(122), 및 사육망(130)이 설치 가능하도록 본체 프레임(122)의 양단에서 일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서브 프레임(126)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본체 프레임(122)와 서브 프레임(126)은 도 4와 같이 'ㄷ'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육망(130)은 식용곤충이 이동 가능한 면을 형성하기 위해 단위 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사육망(130)은 양단이 상술한 서브 프레임(126)에 결합될 수 있으며, 식용곤충이 용이하게 올라타서 이동할 수 있도록 그물 형상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육망(130)은 서브 프레임(126)이 삽입 가능하도록 삽입홀이 형성되는 삽입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삽입부(132)는 사육망(130)의 양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부(132)에 형성되는 삽입홀에 상술한 서브 프레임(126)이 삽입되어 사육망(130)의 양단이 서브 프레임(126)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132)는 사육망(130)의 일단에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50)는 서브 프레임(126)에 삽입된 삽입부(132)의 위치를 지지하여 사육망(130)의 위치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서브 프레임(126)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50)는 서브 프레임(126)의 단부에 형성되어 사육망(1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지지부(152), 및 서브 프레임(126)으로부터 돌출되어 삽입부(132)의 이동을 방지하는 제2 지지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152)에는 삽입부(132)의 일측이 삽입 가능한 지지홀(15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지지부(152)는 전체적으로 'ㄷ' 형상으로 이루어져 서브 프레임(126)에 삽입된 삽입부(132)가 횡방향으로 이동하여 서브 프레임(126)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에서 서브 프레임(126)은 본체 프레임(122)의 양측에 복수개가 나란하게 형성되며, 제1 지지부(152)는 복수의 서브 프레임(126)에 모두 형성될 수 있으나, 선택적으로 지지홀(154)이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50)는 서브 프레임(126)으로부터 돌출되어 삽입부(132)의 이동을 방지하는 제2 지지부(15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지지부(156)는 상술한 복수의 삽입부(132) 사이에 위치하여 삽입부(132)의 이동을 방지하여 사육망(130)이 서브 프레임(126)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조절 유닛(140)은 본체(110)에 설치되어 사육 공간(112)의 부피를 조절하기 위해 본체(1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서로 이웃하는 본체 프레임(122) 사이에 설치되어 본체 프레임(122) 사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길이 조절 유닛(140)은 일단이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본체 프레임(122) 중 어느 하나에 핀 결합되고, 타단이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본체 프레임(122) 중 다른 하나에 본체 프레임(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길이 조절부(142), 및 일단이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본체 프레임(122) 중 다른 하나에 핀 결합되고, 타단이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본체 프레임(122) 중 어느 하나에 본체 프레임(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길이 조절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길이 조절부(142)의 일단은 첫번째 배치된 본체 프레임(122)에 핀 결합되고, 제1 길이 조절부(142)의 타단은 두번째 배치된 본체 프레임(122)에 본체 프레임(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길이 조절부(144)의 일단은 두번째 배치된 본체 프레임(122)에 핀 결합되고, 제2 길이 조절부(144)의 타단은 첫번째 배치된 본체 프레임(122)에 본체 프레임(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길이 조절부(142) 및 제2 길이 조절부(14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교차되어 본체 프레임(122)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22)에는 본체 프레임(122)의 길이 방향으로 레일(124)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길이 조절부(142)의 타단 및 제2 길이 조절부(144)의 타단은 각각 서로 복수의 본체 프레임(122)에 형성되는 레일(124) 상에 결합되어 상술한 레일(124)을 따라 본체 프레임(12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결합 구조를 가진 제1 길이 조절부(142) 및 제2 길이 조절부(144)는 본체(110)의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서로 유기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즉, 제1 길이 조절부(142)가 본체(110)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타단이 레일(124)상에서 이동하면 동시에 제2 길이 조절부(144)도 본체(110)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타단이 레이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길이 조절부(142) 및 제2 길이 조절부(144)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주름 접이식 펜스와 유사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식용곤충용 사육 장치
110: 본체
112: 사육 공간
120: 복수의 단위 프레임
122: 본체 프레임
124: 레일
126: 서브 프레임
130: 사육망
132: 삽입부
140: 길이 조절 유닛
142: 제1 길이 조절부
144: 제2 길이 조절부
150: 지지부
152: 제1 지지부
154: 지지홀
156: 제2 지지부

Claims (10)

  1. 연속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프레임을 포함하며 식용곤충 사육이 가능한 사육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식용곤충이 이동 가능한 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단위 프레임에 설치되는 사육망;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사육 공간의 부피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 유닛을 포함하는 식용곤충용 사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프레임은,
    상기 사육 공간의 일면에 연속하여 배치되는 본체 프레임; 및
    상기 사육망이 설치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의 양측에서 일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는, 식용곤충용 사육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 유닛은 서로 이웃하는 상기 본체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 프레임 사이의 길이를 조절하는, 식용곤충용 사육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 유닛은,
    일단이 서로 이웃하는 상기 복수의 본체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핀 결합되고, 타단이 서로 이웃하는 상기 복수의 본체 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상기 본체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길이 조절부; 및
    일단이 서로 이웃하는 상기 복수의 본체 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핀 결합되고, 타단이 서로 이웃하는 상기 복수의 본체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본체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길이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와 상기 제2 길이 조절부는 서로 교차되는, 식용곤충용 사육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에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의 타단 및 상기 제2 길이 조절부의 타단은 각각 서로 이웃하는 상기 복수의 본체 프레임에 형성되는 레일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식용곤충용 사육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육망은 상기 서브 프레임이 삽입 가능하도록 삽입홀이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프레임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사육망을 지지하는, 식용곤충용 사육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에는 상기 사육망의 위치를 지지하기 위해 지지부가 형성되는, 식용곤충용 사육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서브 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사육망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지지부를 포함하는, 식용곤충용 사육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에는 상기 삽입부의 일측이 삽입 가능한 지지홀이 형성되는, 식용곤충용 사육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서브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삽입부의 이동을 방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식용곤충용 사육 장치.
KR1020200055015A 2019-08-13 2020-05-08 식용곤충용 사육 장치 KR202100199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99157 2019-08-13
KR1020190099157 2019-08-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933A true KR20210019933A (ko) 2021-02-23

Family

ID=74688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015A KR20210019933A (ko) 2019-08-13 2020-05-08 식용곤충용 사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993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666Y1 (ko) 2011-10-07 2013-10-29 서정흔 곤충 사육용 조립식 케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666Y1 (ko) 2011-10-07 2013-10-29 서정흔 곤충 사육용 조립식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87903A1 (de) Kontrollfutterschale und fütterungsanordnung für die geflügelhaltung
Maple et al. Environmental enrichment
Horvath et al. Exposure to enriched environment decreases neurobehavioral deficits induced by neonatal glutamate toxicity
Vitebsky et al. What is a reindeer? Indigenous perspectives from northeast Siberia
Attala The ‘Edibility Approach’: Using Edibility to Explore Relationships, Plant Agency and the Porosity of Species’ Boundaries
Milton Possum Magic, possum menace: wildlife control and the demonisation of cuteness
KR20210019933A (ko) 식용곤충용 사육 장치
Deckers In defence of the vegan project
Luce Projecting Interiority: Psychogenesis and the Composition of Outer Dark
Melfi et al. The importance of HAls, HARS
Newman Remembered belonging: encounters with the spectral more-than amidst landscapes of decline
Clements Where the wild things aren't: A night at Melbourne zoo
Black et al. Visual signalling in Canada Geese for the coordination of family units
Ritvo Beasts in the jungle (or wherever)
Ivemeyer et al. Impact of enhanced compared to restricted milk feeding on performance and welfare of rearing calves
US6272723B1 (en) Bier system
Giordano Ecocriticism and the Representation of the Natural World in Sir Gawain and the Green Knight
Van Der Leek et al. Description of a peregrine falcon (Falco peregrinus) fence mortality in the southern high plains of Texas
Johnson Book Review: Emu, Claire Saxby, Graham Byrne
Arts et al. Peace On Earth
DE1191623B (de) Vorrichtung zur Einzelhaltung von abgesetzten Ferkeln
Seo et al. A survey of visitors’ views on free-roaming cats living in the tourist town of Onomichi, Japan
Brook Ethical intuitions, welfare, and permaculture
Carrus Moskowitz, Nathan. Kuzmino Chronicles: Memoirs of Teenage Holocaust Survival (Kindle Edition), 2015. E-book.
Dykstra Life's busy, read it when you're rea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