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9768A - 붙박이장 - Google Patents

붙박이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9768A
KR20210019768A KR1020190098799A KR20190098799A KR20210019768A KR 20210019768 A KR20210019768 A KR 20210019768A KR 1020190098799 A KR1020190098799 A KR 1020190098799A KR 20190098799 A KR20190098799 A KR 20190098799A KR 20210019768 A KR20210019768 A KR 20210019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cabinet
built
uni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봉원
Original Assignee
(주)수현에프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현에프앤아이 filed Critical (주)수현에프앤아이
Priority to KR1020190098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9768A/ko
Publication of KR20210019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7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3/00Cabinets or racks having several sections one behind the other
    • A47B53/02Cabinet systems, e.g. consisting of cabinets arranged in a row with means to open or close passages between adjacent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75Flat or flat-like panels connected without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Landscapes

  • Ventil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붙박이장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날씨, 온도, 습도, 미세먼지농도와 같은 건물 외부와 수납장 내부의 상태데이터를 이용하여 수납장의 내부습도 또는 미세먼지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붙박이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슬래브, 하부슬래브, 벽면으로 이루어진 건물 실내에 설치되는 붙박이장에 있어서, 벽면을 기준하여 종방향 또는 횡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수용공간으로 구획되는 수납장; 상부슬래브, 하부슬래브, 벽면, 수납장 간 틈을 메우는 마감부; 수납장에 설치되어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수용공간과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켜 수용공간의 습도 또는 미세먼지 농도를 조절하는 상태조절부; 및 상태조절부, 수용공간, 건물의 외부에 관련된 상태데이터에 기초하여 상태조절부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붙박이장{BUILT-IN CABINET}
본 발명은 붙박이장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날씨, 온도, 습도, 미세먼지농도와 같은 건물 외부와 수납장 내부의 상태데이터를 이용하여 수납장의 내부습도 또는 미세먼지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붙박이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붙박이장은 실내공간에 설치되는 옷장을 일컫는 것으로 실내의 일측 벽면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공간 활용성 측면에서 뛰어난 이점을 갖고 있다.
하지만, 붙박이장은 한 번 설치하면 이동하기가 곤란하며, 내부 공간이 협소하고 평상 시에 폐쇄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날씨, 온도, 습도와 같은 건물의 외부와 내부 공간의 상태에 따라 붙박이장과 벽면 사이의 이격공간과 붙박이장의 내부에 곰팡이가 서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의류 또는 침구류가 미세먼지에 오염된 상태로 붙박이장에 보관될 경우, 붙박이장의 내부에 분산되어 다른 물품에 이염될 가능성이 있다.
KR 10-2019-0030447
본 발명의 목적은 날씨, 온도, 습도, 미세먼지농도와 같은 건물 외부와 수납장 내부의 상태데이터를 이용하여 수납장의 내부습도 또는 미세먼지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붙박이장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부슬래브, 하부슬래브, 벽면으로 이루어진 건물 실내에 설치되는 붙박이장에 있어서, 벽면을 기준하여 종방향 또는 횡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수용공간으로 구획되는 수납장; 상부슬래브, 하부슬래브, 벽면, 수납장 간 틈을 메우는 마감부; 수납장에 설치되어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수용공간과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켜 수용공간의 습도 또는 미세먼지 농도를 조절하는 상태조절부; 및 상태조절부, 수용공간, 건물의 외부에 관련된 상태데이터에 기초하여 상태조절부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상태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태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태데이터를 기초하여 상태조절부의 구동에 대한 패턴데이터를 산출하는 분석부; 패턴데이터와 상태데이터를 실시간 비교하여 상태조절부의 구동에 대한 예상데이터를 산출하는 예상부; 및 예상데이터를 기초하여 상태조절부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작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태조절부는 마감부에 설치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실내와 연통되는 토출구; 하우징의 타측에 설치되어 수용공간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인구; 공기의 유동경로를 따라 흡인구의 후방에 배치되는 송풍팬; 및 송풍팬의 후방에 설치되어 수용공간의 공기를 가열하는 히팅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수납장에 형성되는 통공에 배치되는 보조필터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어에 설치되어 상태데이터가 도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붙박이장은 상태조절부와 제어부를 통해 수납장의 내부 습도와 미세먼지의 농도를 조절하여 곰팡이의 서식을 방지하고, 미세먼지에 의한 오염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붙박이장의 블록도이다.
도 2,3은 순차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붙박이장의 사시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상태조절부의 확대도이다.
도 5a,b는 순차적으로 도 3에 도시된 통공에 배치되는 보조필터부의 사시도,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개폐부의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개폐부의 작동상태도로써, 순차적으로 작동 전, 후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센서부의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10은는도 9에 도시된 수집부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분석부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붙박이장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붙박이장의 블록도이고, 도 2,3은 순차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붙박이장의 사시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붙박이장(100)은 상부슬래브(12), 하부슬래브(13), 벽면(11)으로 이루어진 건물의 실내에 설치되는 고정식 장롱에 해당한다.
상기 붙박이장(100)은 수납장(110), 마감부(120), 도어(130), 상태조절부(140),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수납장(110)은 상기 벽면(11)을 기준하여 종방향 또는 횡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수용공간(111)으로 구획된다.
상기 마감부(120)는 상기 상부슬래브(12), 하부슬래브(13), 벽면(11), 수납장(110) 간 틈을 메우는 판상 부재로써, 상기 수납장(110)과 같은 목재, 플라스틱, 철재, 합금강 등과 같은 공지의 소재가 사용되어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도어(130)는 상기 수납장(110)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111)을 개폐한다.
일 예로, 도면 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30)는 상기 수납장(110)에 힌지 결합되는 회동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도어(130)는 상기 수납장(110)의 상부와 하부에 레일이 설치되어 상기 레일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용이를 위해 상기 수납장(110)과 도어(130)는 회동 방식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상태조절부(140)는 상기 수용공간(111)과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켜 상기 수용공간(111)의 습도 또는 미세먼지농도를 조절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상태조절부(140), 수용공간(111), 건물의 외부에 관련된 상태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상태조절부(140)를 선택적으로 구동한다.
즉, 상기 붙박이장(100)은 날씨, 온도, 습도, 미세먼지농도와 같은 건물의 외부와 수납장(110)의 내부, 상기 상태조절부(140)의 설정에 대한 상태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수납장(110)의 습도 또는 미세먼지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수납장(110)은 프레임(112), 후방면(114), 분리면(113), 통공(115)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12)은 상기 수납장(110)의 테두리이며, 상기 후방면(114)은 상기 벽면(11)에 대향되도록 상기 프레임(112)에 설치되어 상기 벽면(11)에서 일정 간격만큼 이격공간(14)이 형성된다.
상기 분리면(113)은 상기 프레임(112) 상에 상기 수용공간(111)을 구획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벽면(11)을 기준하여 종방향 또는 횡방향 따라 상기 프레임(112)에 설치된다.
상기 통공(115)은 상기 수용공간(111)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구멍으로, 상기 후방면(114) 또는 분리면(113)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111)의 공기가 상기 수납장(110)의 내부 또는 상기 이격공간(14)으로 유동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상태조절부의 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상태조절부(140)는 하우징(141), 토출구(142), 흡인구(143), 송풍팬(144), 히팅부(145), 여과필터(146)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41)은 상기 마감부(120)에 설치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실내에 머무는 사용자를 향해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납장(110)의 상부 측 마감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출구(142)는 상기 하우징(141)의 일측에 설치되어 실내와 연통된다.
상기 흡인구(143)는 상기 하우징(141)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111)의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송풍팬(144)은 공기의 유동경로를 따라 상기 흡인구(143)의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히팅부(145)는 상기 송풍팬(144)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41)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며, 일 예로 열선이 설치되는 공지의 히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여과필터(146)는 상기 수용공간(111)의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구성으로, 교체의 용이를 위해 상기 토출구(142)에 설치된다.
상기 여과필터(146)는 상기 토출구(142)에 설치되거나 상기 토출구(142)에 대향되도록 상기 토출구(142)의 전방에 배치되어 공기의 여과를 수행한다.
상기 여과필터(146)는 메쉬소재 또는 헤파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헤파필터는 유해 미생물과 방사성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개발된 고성능 필터이다.
상기 여과필터(146)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유동경로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필터의 수가 증가할수록 여과효율은 높여줄 수 있으나, 공기의 유동이 방해되어 상기 송풍팬(144)의 과부하 및 구동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여과효율과 상기 송풍팬(144)의 용량을 고려하여 적정 개수의 필터가 유동경로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풍팬(144)이 구동되면, 상기 수용공간(111)의 공기가 상기 통공(115)을 통과하여 상기 이격공간(14)을 경유한 후 상기 흡인구(143)를 통해 상기 하우징(141)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히팅부(145)에 의해 공기가 가열되어 건식 제습이 이루어지고, 상기 여과필터(146)에 의해 여과되어 상기 토출구(142)를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상기 상태조절부(140)는 상기 토출구(142)에 설치되는 댐퍼(147)를 더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댐퍼(147)는 상기 토출구(14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토출구(142)에 설치되는 회전축(147a), 상기 회전축(147a)에 설치되는 블레이드(147b)를 포함한다.
즉, 상기 송풍팬(144)의 구동 또는 정지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147b)를 회전시켜 상기 토출구(142)를 개폐한다.
여기서, 상기 토출구(142)로 배출되는 공기가 실내에 머무는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고 상기 상부슬래브(12) 측으로 향하도록 상기 블레이드(147b)가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붙박이장(100)은 공기의 여과율을 보다 높여주기 위해 보조필터부(180)를 더 포함한다.
도 5a,b는 순차적으로 도 3에 도시된 통공에 배치되는 보조필터부의 사시도, 분해사시도이다.
도 5a,b를 참조하면, 상기 보조필터부(180)는 상기 수납장(110)에 설치되어 상기 통공(115)에 배치되며, 삽입홈(181), 보조필터(182), 덮개(183)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홈(181)은 상기 후방면(114) 또는 분리면(113)에 함몰 형성되며, 상기 보조필터(182)는 상기 삽입홈(181)에 삽입된다.
상기 여과필터(146)와 같이, 상기 보조필터(182)는 메쉬소재, 또는 헤파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덮개(183)는 상기 삽입홈(181)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제작되며, 상기 삽입홈(181)에 삽입되어 상기 보조필터(182)가 상기 삽입홈(181)에서 이탈되는 것과, 상기 수용공간(111)의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덮개(183)에도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111)의 공기가 상기 덮개(183)를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덮개(183)와 보조필터(182)가 상기 삽입홈(181)에서 원치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보조필터부(180)는 고정부(184)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184)는 마그네틱 또는 상기 마그네틱에 인력이 발행되는 철편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덮개(183), 보조필터(182), 삽입홈(181)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마그네틱 또는 철편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덮개(183)와 보조필터(182)가 상기 삽입홈(18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덮개(183)는 일측에 손잡이(183a)가 형성된다.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83a)에 외력을 가해 잡아당겨 마그네틱 간, 마그네틱 또는 철편 간 발생하는 인력을 초과할 경우, 상기 덮개(183)가 상기 삽입홈(181)에서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183a)를 통해 상기 덮개(183)를 상기 삽입홈(181)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어 상기 보조필터(182)의 교체가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보조필터(182)의 개수는 전술된 여과필터(146)와 같이 상기 송풍팬(144)의 용량에 따라 적정개수가 구비되어 상기 삽입홈(181)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붙박이장(100)은 개폐부(190)를 더 포함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개폐부의 개념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개폐부의 작동상태도로써, 순차적으로 작동 전, 후를 나타낸다.
도 6,7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130)가 닫혀 상기 수용공간(111)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송풍팬(144)이 구동될 경우, 상기 수용공간(111)에 부압이 형성되어 상기 송풍팬(144)에 과부하가 형성되고 구동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개폐부(190)는 상기 송풍팬(144)이 구동되는 동안 상기 도어(130)를 일정량만큼 개방하여 실내의 공기를 상기 수용공간(111)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개폐부(190)는 수용홈(191), 슬라이드바(192), 이동기어(193), 기어모터(194)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홈(191)은 상기 분리면(113)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분리면(113)에 함몰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바(192)는 상기 수용홈(191)에 삽입된다.
상기 이동기어(193)는 상기 수용홈(191)에 상기 슬라이드바(192)를 인입 또는 인출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수용홈(191)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바(192)에 형성되는 치형부(192a)에 치합된다.
상기 기어모터(194)는 상기 수용홈(191)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기어(193)에 축결합된다.
즉, 상기 기어모터(194)에 의해 상기 이동기어(193)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바(192)가 상기 수용홈(191)에 인입 또는 인출된다.
상기 슬라이드바(192)가 상기 수용홈(191)에서 인출될 경우, 상기 슬라이드바(192)가 상기 도어(130)를 밀게 되고, 상기 도어(130)가 일정량만큼 회전하여 상기 수용공간(111)이 개방된다.
상기 도어(130)가 폐쇄되도록 원위치로 복귀되기 위해, 상기 도어(130)에서 상기 슬라이드바(192)에 밀착되는 부분, 또는 상기 슬라이드바(192)에 마그네틱(195)이 설치되고, 나머지에 마그네틱 또는 철편이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바(192)와 철편 간에 인력이 발생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바(192)가 상기 수용홈(191)에 인입될 경우, 상기 슬라이드바(192)가 인력에 의해 상기 도어(130)를 당기게 되고, 상기 도어(130)가 원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수용공간(111)이 폐쇄된다.
상기 붙박이장(100)은 센서부(170)를 더 포함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센서부의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센서부(170)는 상기 수용공간(111)의 온도, 습도,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71), 습도센서(172), 먼지센서(173)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센서(171), 습도센서(172), 먼지센서(173)는 상기 수용공간(111)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170)는 도어센서(174)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도어센서(174)는 상기 도어(130)의 개폐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도어(130)의 일측 또는 상기 도어(130)가 설치되는 상기 분리면(113)에 설치된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50)는 수집부(151), 데이터베이스(152), 분석부(153), 예상부(154), 작동부(155), 통신부(156)를 포함한다.
상기 수집부(151)는 상기 수납장(110)의 내부, 건물의 외부, 상기 상태조절부(140)의 설정에 관련된 상태데이터를 수집하는 구성이며, 상기 데이터베이스(152)는 상태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상태데이터는 내부데이터, 외부데이터, 설정데이터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내부데이터는 상기 수용공간(111)의 온도, 습도, 미세먼지 농도 등을 포함한다.
외부데이터는 건물 외부의 온도, 습도, 날씨, 미세먼지 농도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설정데이터는 상기 상태조절부(140)의 온오프(on/off)와 상기 상태조절부에 설정되는 상기 수용공간(111)의 온도, 습도, 미세먼지농도, 풍속 등(이하, '설정값'이라 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태조절부(140)에 설정되는 온도, 습도는 곰팡이 서식을 줄일 수 있는 온도별 적정 습도에 해당한다.
온도별 적정습도 예
온도(℃) 적정습도(%)
15 70
18~20 60
21~23 50
24~26 40
상기 분석부(153)는 상태데이터를 기초하여 상기 상태조절부(140)의 구동에 대한 패턴데이터를 산출한다.
상기 예상부(154)는 패턴데이터와 상태데이터를 실시간 비교하여 상기 상태조절부(140)의 구동에 대한 예상데이터를 산출한다.
상기 작동부(155)는 예상데이터를 기초하여 상기 상태조절부(140)를 선택적으로 구동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작동부(155)는 예상데이터를 기초하여 상기 상태조절부(140)의 작동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상기 상태조절부(140)의 작동신호 또는 정지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즉, 예상데이터를 통해 상기 상태조절부(140)의 구동시점, 설정값을 미리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설정값과 도래한 구동시점에서 측정되는 상기 수용공간(111)의 온도와 습도 및 미세먼지농도를 비교하여 상기 상태조절부(140)의 구동신호 또는 정지신호를 생성하여 수행한다.
상기 통신부(156)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단말기(이하, '단말기'라 함), 상기 붙박이장(100)의 구성간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을 비롯한 공지의 유선 네트워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을 비롯한 공지의 무선 네트워크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붙박이장(100)은 상태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기초하여 상기 상태조절부(140)의 구동을 예측하여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수집부의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수집부(151)는 내부데이터수집부(151a), 외부데이터수집부(151b), 설정데이터수집부(151c)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데이터수집부(151a)는 상기 수용공간(111)의 온도, 습도, 미세먼지 농도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데이터를 수집한다.
여기서, 온도, 습도, 미세먼지 농도의 상태데이터는 상기 온도센서(171), 습도센서(172), 먼지센서(173)의 측정값을 통해 생성된다.
상기 외부데이터수집부(151b)는 건물 외부의 온도, 습도, 날씨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데이터를 수집한다.
여기서, 외부데이터수집부(151b)는 외부의 데이터풀(data pool)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에 해당하는 외부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데이터풀은 인터넷, 클라우드 소싱 또는 소셜 네트워크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설정데이터수집부(151c)는 설정값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데이터를 수집한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분석부의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분석부(153)는 분류부(153a), 학습부(153b), 패턴추론부(153c)를 포함한다.
상기 분석부(153)는 일정 시간을 기준하여 상태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반복적으로 학습하여 상기 상태조절부(140)의 구동패턴을 산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태조절부(140)는 일정 시간별로 상기 상태조절부(140)의 제어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152)로부터 상태데이터를 추출하여 제어구간별로 나눈다.
여기서, 상기 상태조절부(140)의 구동패턴을 추출하기 위해 4계절이 반복되는 1년을 기준하고, 1년을 일정 시간별로 구분하여 제어구간을 설정하고 제어구간 별로 상태데이터의 추출을 반복한다.
상기 학습부(153b)는 제어구간별로 상기 상태조절부(140)의 구동이 발생한 시점의 상태데이터를 반복적으로 학습한다.
즉, 상기 상태조절부(140)가 구동되는 시점의 상기 수용공간(111)과 외부의 상태 및 상기 상태조절부(140)의 설정 상태를 파악하고 반복적으로 이를 학습한다.
상기 패턴추론부(153c)는 상기 학습부(153b)의 학습에 기초하여 상기 상태조절부(140)의 구동패턴을 추론하여 패턴데이터를 산출하고 저장한다.
상기 예상부(154)는 패턴데이터와 상태데이터를 실시간 비교하여 상기 상태조절부(140)의 구동시점, 구동시점 시 설정값, 구동지속예상시간 등을 미리 파악할 수 있다.
즉, 제어구간별로 상기 상태조절부(140)의 구동이 발생한 시점의 상태데이터를 학습하여 상기 상태조절부(140)의 구동패턴을 추론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상태데이터와 비교함에 따라 상기 상태조절부(140)의 구동시점, 구동시점 시 설정값, 구동지속예상시간이 구체적으로 산출될 수 있다.
상기 붙박이장(100)은 디스플레이부(1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60)는 상기 도어(130)에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60)는 키 패드(key pad), 터치 패드(touch pad)와 같은 공지의 입력수단이 포함될 수 있으며, 입력수단을 통해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서 상기 제어구간, 설정값, 상기 상태조절부(140)의 온오프, 구동 또는 정지를 설정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 전술된 상태데이터, 패턴데이터, 예상데이터를 표 또는 그래프 형태로 출력하여 시각화할 수 있다.
전술된 상기 디스플레이부(160)의 도시되는 내용은 상기 통신부(156)를 매개로 단말기 상에 도시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컴퓨터(PC),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 등의 공지의 스마트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단말기는 랩탑, 데스크탑, 워크스테이션, 개인용 휴대 단말기(PDA), 셀룰러 전화, 스마트폰 또는 다른 적절한 컴퓨터들과 같이 다양한 디지털 컴퓨터에 해당할 수 있다.
예상데이터의 산출시점, 즉, 상기 상태조절부(140)의 구동시점에 사용자가 실내에 없거나, 상기 상태조절부(140)의 구동을 원치 않을 경우,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상기 상태조절부(140)의 오프 또는 정지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작동부(155)가 해당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상태조절부(140)를 제어한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상기 상태조절부(140)의 구동 및 에너지 소모를 피할 수 있다.
상기 작동부(155)는 예상데이터를 기초하여 상기 상태조절부(140)의 구동시점, 구동시점 시 설정값을 미리 파악하고, 설정값과 도래한 구동시점에서 측정되는 온도, 습도, 미세먼지농도를 비교하여 상기 상태조절부(140)의 구동신호 또는 정지신호를 생성하고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송풍팬(144)의 구동 시 상기 수용공간(111)에 부압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분석부(153)는 상기 도어(130)의 개폐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작동부(155)는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부(190)의 구동신호 또는 정지신호를 생성하여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석부(153)는 상기 도어센서(174)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130)의 개폐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도어(130)가 폐쇄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작동부(155)는 상기 기어모터(194)의 역방향 구동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이동기어(193)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슬라이드바(192)를 상기 수용홈(191)에서 인출하여 상기 수용공간(111)을 개방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144)의 정지 시 상기 작동부(155)는 상기 기어모터(194)의 정방향 구동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이동기어(193)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슬라이드바(192)를 상기 수용홈(191)에 인입하여 상기 수용공간(111)을 폐쇄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155)는 상기 송풍팬(144)의 구동 또는 정지 시, 상기 댐퍼(147)의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블레이드(147b)의 회전을 수행하여 상기 토출구(142)를 개폐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붙박이장은 상태조절부와 제어부를 통해 붙박이장의 내부 습도와 미세먼지의 농도를 조절하여 곰팡이의 서식을 방지하고, 미세먼지에 의한 오염을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붙박이장 110 : 수납장
120 : 마감부 130 : 도어
140 : 상태조절부 150 : 제어부
160 : 디스플레이부 170 : 센서부
180 : 필터부 190 : 개폐부

Claims (5)

  1. 상부슬래브, 하부슬래브, 벽면으로 이루어진 건물 실내에 설치되는 붙박이장에 있어서,
    상기 벽면을 기준하여 종방향 또는 횡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수용공간으로 구획되는 수납장;
    상기 상부슬래브, 하부슬래브, 벽면, 수납장 간 틈을 메우는 마감부;
    상기 수납장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수용공간과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켜 상기 수용공간의 습도 또는 미세먼지 농도를 조절하는 상태조절부; 및
    상기 상태조절부, 수용공간, 건물의 외부에 관련된 상태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상태조절부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붙박이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상태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상태데이터를 기초하여 상기 상태조절부의 구동에 대한 패턴데이터를 산출하는 분석부;
    상기 패턴데이터와 상태데이터를 실시간 비교하여 상기 상태조절부의 구동에 대한 예상데이터를 산출하는 예상부; 및
    상기 예상데이터를 기초하여 상기 상태조절부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작동부;
    를 포함하는 붙박이장.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조절부는
    상기 마감부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와 연통되는 토출구;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인구;
    상기 공기의 유동경로를 따라 상기 흡인구의 후방에 배치되는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를 가열하는 히팅부;
    를 포함하는 붙박이장.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장에 형성되는 통공에 배치되는 보조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붙박이장.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상태데이터가 도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붙박이장.
KR1020190098799A 2019-08-13 2019-08-13 붙박이장 KR202100197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799A KR20210019768A (ko) 2019-08-13 2019-08-13 붙박이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799A KR20210019768A (ko) 2019-08-13 2019-08-13 붙박이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768A true KR20210019768A (ko) 2021-02-23

Family

ID=74688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799A KR20210019768A (ko) 2019-08-13 2019-08-13 붙박이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976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03615A (zh) * 2022-02-11 2022-04-29 朱慧 一种具有防尘排湿功能的可调式文件存储柜
KR102546545B1 (ko) * 2022-11-21 2023-06-22 이승진 붙박이용 가구의 환기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447A (ko) 2017-09-14 2019-03-22 우은심 붙박이장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447A (ko) 2017-09-14 2019-03-22 우은심 붙박이장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03615A (zh) * 2022-02-11 2022-04-29 朱慧 一种具有防尘排湿功能的可调式文件存储柜
CN114403615B (zh) * 2022-02-11 2024-02-20 广州鸿威家具有限公司 一种具有防尘排湿功能的可调式文件存储柜
KR102546545B1 (ko) * 2022-11-21 2023-06-22 이승진 붙박이용 가구의 환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582978U (zh) 通风系统
KR20210019768A (ko) 붙박이장
JP6733734B2 (ja) 換気システム
US20160047158A1 (en) Powered window system
KR20170105948A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공기청정 환풍기 시스템
KR101940452B1 (ko) 복수의 공간의 상태를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환기시스템
US8371913B1 (en) Exterior sealed window-mounted fan
US10012408B1 (en) Exterior ventilator door for receiving outdoor air
US3500738A (en) Multiple use air moving apparatus
Balvís et al. A simple model for automatic analysis and diagnosis of environmental thermal comfort in energy efficient buildings
KR102174996B1 (ko) 에어 샤워 장치 및 그를 갖는 게이트형 에어 샤워 시스템
CN210129262U (zh) 一种基于互联网的快递储物柜
CN106338461A (zh) 一种建筑物室内颗粒物浓度计算系统及实现方法
KR20180045963A (ko) 이동식 환풍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1835260B1 (en) Interior ventilator door for purifying air and a method of employing the door to purify air in a structure
Karlsson Air infiltration through building entrances
CN209121475U (zh) 一种便于电动打开的鞋柜
CN204225704U (zh) 空气净化门
KR101314278B1 (ko) 클린 부스
CN111255110B (zh) 一种自动控制抽屉式可调吸声系统及其控制方法
CN205743483U (zh) 一种三扇门式进出控制结构
KR20210088939A (ko) 환기장치
CN208441728U (zh) 通风换气防盗门
KR20200116849A (ko) 롤브라인드 방식의 창호 설치용 환기장치
KR200363978Y1 (ko) 슬라이드식 시약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