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9725A - 발과 다리의 6축 움직임 해석에 따른 명령어 생성방법 - Google Patents

발과 다리의 6축 움직임 해석에 따른 명령어 생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9725A
KR20210019725A KR1020190098701A KR20190098701A KR20210019725A KR 20210019725 A KR20210019725 A KR 20210019725A KR 1020190098701 A KR1020190098701 A KR 1020190098701A KR 20190098701 A KR20190098701 A KR 20190098701A KR 20210019725 A KR20210019725 A KR 20210019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and
control device
motion
leg
motion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4781B1 (ko
Inventor
박종태
Original Assignee
박종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태 filed Critical 박종태
Priority to KR1020190098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781B1/ko
Publication of KR20210019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4Foot operated poin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과 다리의 6축 움직임을 인식하여 제어장치 및 구동장치의 구동 또는 표시를 제어하는 명령어를 선택 또는 생성하도록 하므로, 손 및 머리를 이용한 다른 입력장치와는 별개로 구동장치 또는 제어장치를 제어할 수 있으며, 모션인식장치를 통해 발과 다리의 움직임으로 명령어를 입력하므로 손과 머리의 움직임 만으로 입력하기 어려운 입력을 하여 제어장치 및 구동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발과 다리의 6축 움직임 해석에 따른 명령어 생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발과 다리의 6축 움직임을 감지하여 신호를 생성하는 모션인식장치와 연결되는 제어장치에서 명령어를 선택 또는 입력하는 단계; 상기 모션인식장치를 통해 다리와 발의 6축 움직임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발과 다리의 움직임에 따른 패턴과 제어장치의 명령어를 매치시켜 해당 움직임에 따른 명령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되는 명령어를 제어장치에서 기존에 저장된 다른 입력장치의 명령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비교되는 명령어를 해석하여 운동에 따른 패턴을 명령어와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되는 명령어에 따른 움직임 패턴이 모션인식장치를 통해 인식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모션인식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어를 통해 제어장치에서 해당 명령어에 따른 동작 또는 화면을 표시 또는 다른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장치 및 구동장치가 정상적으로 구동 또는 표시하는지에 대한 결과를 제어장치에서 표시하고 추가 입력을 대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과 다리의 6축 움직임 해석에 따른 명령어 생성방법{Method of command generation according to six-axis motion analysis of feet and legs}
본 발명은 발과 다리의 6축 움직임 해석에 따른 명령어 생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과 다리의 6축 움직임을 인식하여 제어장치 및 구동장치의 구동 또는 표시를 제어하는 명령어를 선택 또는 생성하도록 하므로, 손 및 머리를 이용한 다른 입력장치와는 별개로 구동장치 또는 제어장치를 제어할 수 있으며, 모션인식장치를 통해 발과 다리의 움직임으로 명령어를 입력하므로 손과 머리의 움직임 만으로 입력하기 어려운 입력을 하여 제어장치 및 구동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발과 다리의 6축 움직임 해석에 따른 명령어 생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인터넷 텔레비전과 같은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정보기기 또는 게임기와 같은 전자 정보 처리 장치의 입력 장치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키보드와 마우스가 있다. 마우스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환경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는 입력 장치이며, 키보드는 문자 기반 환경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는 입력 장치이다.
현재 개인용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은 전반적으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여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오퍼레이팅 시스템에서, 개인용 컴퓨터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웹 브라우저 또는 기타응용 프로그램의 선택, 구동 및 제어와 같은 간단한 조작에는 마우스가 편리한 것이 사실이다.
사용자의 편의성 및 조작성의 관점에서, 마우스는 키보드보다 사용이 쉬우며, 초보자도 숙련자 못지 않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렇지만, 워드 프로세서와 같은 응용 프로그램에서는 여전히 키보드를 사용하여야만 효율적으로 문자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키보드 사용에 익숙한 사용자는 대소문자의 입력을 위해 쉬프트 키를 문자 키와 함께 누르거나, 캡스 락(CAPS LOCK) 키를 누른 후 다시 문자 키를 입력하는 작업에 부담을 느끼지 않는다. 또한, 일반적인 응용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단축키를 통한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컨트롤(CONTROL) 키나 알트(ALT) 키를 문자 키와 함께 누른 후 문자 입력을 위한 위치로 손을 재위치시키는 일련의 동작을 익숙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키보드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 예를 들어, 어린이나 컴퓨터 초보자에게 있어서, 대소문자를 번갈아 입력하는 작업이나 단축키를 입력하는 작업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어린이의 경우에, 일반적인 키보드는 어른을 기준으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어른에 비해 손의 크기가 작은 어린이로서는 “F”를 입력하기 위해 f 키와 우측 쉬프트 키를 동시에 누르기가 쉽지 않다. 또한, 마이크로 소프트 사의 워드 사용 중 문서를 저장하기 위해 s 키와 좌/우측 컨트롤 키를 동시에 누르는 것도 그렇게 쉽지는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경우는 사용자가 백 스페이스(backspace) 키, 한/영 변환키 또는 펑션(function) 키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발생한다. 앞서 언급한 키보드 사용상의 불편함은 컴퓨터 초보자의 경우 에 있어서도 동일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초보자나 어린이의 경우, 한국어 입력 시 자주 사용되는 ㄲ, ㄸ, ㅃ, ㅆ 등과 같은 자음들의 입력을 위해 수시로 손의 위치가 변경되고, 다시 원위치로 돌아오는데 걸리는 시간으로 인해 입력 속도가 능숙한 사용자에 비해 현저히 떨어진다. 그리고 이로 인한 오탈자 발생율도 능숙한 사용자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컴퓨터 사용에 익숙한 사용자의 경우에도, 장시간 키보드 사용시 신체의 특정 부위, 예를 들어 손목, 어깨, 손가락 등에 무리가 오는 경우가 종종 있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는 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기존 키보드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가 손 및 발을 동시에 사용하여 편리하게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발 조작 입력 장치 및 입력 처리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는 발판으로 이루어지는 입력장치에 형성되는 버튼을 발로 누름으로서 지정된 입력값이 입력되도록 하므로, 지정된 입력값 외에는 사용자가 직접 명령어를 선택 또는 입력하여 사용하기 어려우며, 설정되는 입력값 외의 버튼 설정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정되는 입력 스위치로 인해 다양한 입력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 :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52796호(2004.10.05.)
본 발명은 발과 다리의 6축 움직임을 인식하여 제어장치 및 구동장치의 구동 또는 표시를 제어하는 명령어를 선택 또는 생성하도록 하므로, 손 및 머리를 이용한 다른 입력장치와는 별개로 구동장치 또는 제어장치를 제어할 수 있으며, 모션인식장치를 통해 발과 다리의 움직임으로 명령어를 입력하므로 손과 머리의 움직임 만으로 입력하기 어려운 입력을 하여 제어장치 및 구동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발과 다리의 6축 움직임 해석에 따른 명령어 생성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과 다리의 6축 움직임 해석에 따른 명령어 생성방법은, 발과 다리의 6축 움직임을 감지하여 신호를 생성하는 모션인식장치와 연결되는 제어장치에서 명령어를 선택 또는 입력하는 단계; 상기 모션인식장치를 통해 다리와 발의 6축 움직임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발과 다리의 움직임에 따른 패턴과 제어장치의 명령어를 매치시켜 해당 움직임에 따른 명령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되는 명령어를 제어장치에서 기존에 저장된 다른 입력장치의 명령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비교되는 명령어를 해석하여 운동에 따른 패턴을 명령어와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되는 명령어에 따른 움직임 패턴이 모션인식장치를 통해 인식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모션인식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어를 통해 제어장치에서 해당 명령어에 따른 동작 또는 화면을 표시 또는 다른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장치 및 구동장치가 정상적으로 구동 또는 표시하는지에 대한 결과를 제어장치에서 표시하고 추가 입력을 대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6축 움직임을 인식하는 단계는 발과 다리의 상,하,좌,우,전,후 방향 및 회전에 따른 각각의 움직임 또는 두가지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패턴을 모션인식장치를 통해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션인식장치는 하반신 또는 발과 다리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다수의 압력센서 또는 동작감지센서가 구비되어 다리와 발의 움직임 또는 움직임에 따른 압력을 감지하여 제어장치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션인식장치는 하반신과 다리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발바닥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발판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압력센서 또는 동작감지센서가 구비되어 다리와 발의 움직임 또는 움직임에 따른 압력을 감지하여 제어장치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장치에 저장되는 다른 입력장치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모션인식장치의 패턴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제어장치에서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다른 입력장치에 해당하는 명령어와 모션인식장치의 패턴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되는 입력장치의 명령어와 모션인식장치의 명령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명령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제어장치에서 모션인식장치의 패턴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명령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입력장치의 명령어와 모션인식장치의 명령어가 일치되는 것이 발견되면 제어장치에서 동일 명령어를 저장 또는 다른 명령어로 교체하여 비교할지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발과 다리의 6축 움직임을 인식하여 제어장치 및 구동장치의 구동 또는 표시를 제어하는 명령어를 선택 또는 생성하도록 하므로, 손 및 머리를 이용한 다른 입력장치와는 별개로 구동장치 또는 제어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션인식장치를 통해 발과 다리의 움직임으로 명령어를 입력하므로 손과 머리의 움직임 만으로 입력하기 어려운 입력을 하여 제어장치 및 구동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발과 다리의 6축 움직임 해석에 따른 명령어 생성방법의 전체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과 다리의 6축 움직임 해석에 따른 명령어 생성방법의 장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과 다리의 6축 움직임 해석에 따른 명령어 생성방법의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의 상세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과 다리의 6축 움직임 해석에 따른 명령어 생성방법에 따른 보조기구형 모션인식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과 다리의 6축 움직임 해석에 따른 명령어 생성방법에 따른 의자형 모션인식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리범위는 예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을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발과 다리의 6축 움직임을 감지하여 신호를 생성하는 모션인식장치(10)와 연결되는 제어장치(20)에서 명령어를 선택 또는 입력하는 단계(S10); 상기 모션인식장치(10)를 통해 다리와 발의 6축 움직임을 인식하는 단계(S20); 상기 발과 다리의 움직임에 따른 패턴과 제어장치(20)의 명령어를 매치시켜 해당 움직임에 따른 명령어를 생성하는 단계(S30); 상기 생성되는 명령어를 제어장치(20)에서 기존에 저장된 다른 입력장치(30)의 명령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40); 상기 비교되는 명령어를 해석하여 운동에 따른 패턴을 명령어와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S50); 상기 저장되는 명령어에 따른 움직임 패턴이 모션인식장치(10)를 통해 인식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60); 상기 모션인식장치(10)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어를 통해 제어장치(20)에서 해당 명령어에 따른 동작 또는 화면을 표시 또는 다른 구동장치(40)를 제어하는 단계(S70) 및 상기 제어장치(20) 및 구동장치(40)가 정상적으로 구동 또는 표시하는지에 대한 결과를 제어장치(20)에서 표시하고 추가 입력을 대기하는 단계(S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6축 움직임을 인식하는 단계(S20)는 발과 다리의 상,하,좌,우,전,후 방향 및 회전에 따른 각각의 움직임 또는 두가지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패턴을 모션인식장치(10)를 통해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션인식장치(10)는 하반신 또는 발과 다리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다수의 압력센서 또는 동작감지센서가 구비되어 다리와 발의 움직임 또는 움직임에 따른 압력을 감지하여 제어장치(20)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션인식장치(10)는 하반신과 다리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발바닥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발판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압력센서 또는 동작감지센서가 구비되어 다리와 발의 움직임 또는 움직임에 따른 압력을 감지하여 제어장치(20)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40)는, 상기 제어장치(20)에 저장되는 다른 입력장치(30)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확인하는 단계(S41); 상기 모션인식장치(10)의 패턴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제어장치(20)에서 확인하는 단계(S42); 상기 다른 입력장치(30)에 해당하는 명령어와 모션인식장치(10)의 패턴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비교하는 단계(S43); 상기 비교되는 입력장치(30)의 명령어와 모션인식장치(10)의 명령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44) 및 상기 명령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제어장치(20)에서 모션인식장치(10)의 패턴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저장하는 단계(S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명령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40)에서 입력장치(30)의 명령어와 모션인식장치(10)의 명령어가 일치되는 것이 발견되면 제어장치(20)에서 동일 명령어를 저장 또는 다른 명령어로 교체하여 비교할지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발과 다리의 6축 움직임 해석에 따른 명령어 생성방법의 전체 순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발과 다리의 6축 움직임을 감지하여 신호를 생성하는 모션인식장치(10)와 연결되는 제어장치(20)에서 명령어를 선택 또는 입력하는 단계(S10), 모션인식장치(10)를 통해 다리와 발의 6축 움직임을 인식하는 단계(S20), 발과 다리의 움직임에 따른 패턴과 제어장치(20)의 명령어를 매치시켜 해당 움직임에 따른 명령어를 생성하는 단계(S30), 생성되는 명령어를 제어장치(20)에서 기존에 저장된 다른 입력장치(30)의 명령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40), 비교되는 명령어를 해석하여 운동에 따른 패턴을 명령어와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S50), 저장되는 명령어에 따른 움직임 패턴이 모션인식장치(10)를 통해 인식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60), 모션인식장치(10)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어를 통해 제어장치(20)에서 해당 명령어에 따른 동작 또는 화면을 표시 또는 다른 구동장치(40)를 제어하는 단계(S70) 및 제어장치(20) 및 구동장치(40)가 정상적으로 구동 또는 표시하는지에 대한 결과를 제어장치(20)에서 표시하고 추가 입력을 대기하는 단계(S8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과 다리의 6축 움직임 해석에 따른 명령어 생성방법의 장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과 다리의 6축 움직임 해석에 따른 명령어 생성방법의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의 상세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과 다리의 6축 움직임 해석에 따른 명령어 생성방법에 따른 보조기구형 모션인식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과 다리의 6축 움직임 해석에 따른 명령어 생성방법에 따른 의자형 모션인식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명령어를 선택 또는 입력하는 단계(S10)는 사용자가 제어장치(20)를 통해 모션인식장치(10)를 통해 입력되는 패턴에 따라 사용되어질 명령어를 제어장치(20)에 저장되는 명령어에서 선택하거나, 새로운 명령어를 제어장치(20)로 입력하는 단계이다.
상기 사용자가 선택 또는 입력하는 명령어에 의해 제어장치(20)와 연결되는 다른 입력장치(30)와는 별도로 모션인식장치(10)를 통해 입력되는 패턴입력으로 제어장치(20) 또는 구동장치(4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장치(20)에 저장된 명령어를 선택 또는 새로운 명령어를 입력하면 6축 움직임을 인식하는 단계(S20)를 통해 모션인식장치(10)를 통해 다리와 발의 6축 움직임을 인식하게 된다.
이때, 상기 6축 움직임을 인식하는 단계(S20)에서는 발과 다리의 상,하,좌,우,전,후 방향 및 회전에 따른 각각의 움직임 또는 두가지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패턴을 모션인식장치(10)를 통해 인식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모션인식장치(10)에서 다리와 발의 움직임을 인식하면 이를 모션인식장치(10)에서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장치(2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모션인식장치(10)는 하반신 또는 발과 다리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다수의 압력센서 또는 동작감지센서가 구비되어 다리와 발의 움직임 또는 움직임에 따른 압력을 감지하여 제어장치(20)로 신호를 전송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션인식장치(10)의 다른 형태는 하반신과 다리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발바닥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발판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압력센서 또는 동작감지센서가 구비되어 다리와 발의 움직임 또는 움직임에 따른 압력을 감지하여 제어장치(20)로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모션인식장치(10)는 입식 또는 좌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입식의 경우 하반신 전체 또는 다리와 발만 감싸도록 슈트 형태로 형성되거나, 보조기구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압력센서 또는 동작감지센서가 전면에 형성되어 감지신호를 제어장치(20)로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모션인식장치(10)가 좌식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의자가 구비되고,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로 다리와 발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발과 다리만 감싸도록 슈트 형상 또는 보조기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압력센서 또는 동작감지센서가 감지신호를 제어장치(2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모션인식장치(10)는 발판만 향성되어 발의 움직임만을 감지하여 제어장치(20)로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잇다.
상기 6축 움직임을 인식하는 단계(S20)를 통해 모션인식장치(10)에서 발과 다리의 움직임을 인식하면, 명령어를 생성하는 단계를 통해 발과 다리의 움직임과 사용자가 제어장치(20)를 통해 선택하는 명령어 또는 입력하는 명령어를 매치시켜 해당 움직임에 따른 명령어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명령어를 생성하는 단계를 통해 발과 다리의 움직임에 따른 명령어가 생성되면, 다른 입력장치(30)의 명령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40)를 통해 생성되는 명령어를 제어장치(20)에서 기존에 저장된 다른 입력장치(30)의 명령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 및 저장하게 된다.
상기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40)는, 제어장치(20)에 저장되는 다른 입력장치(30)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확인하는 단계(S41), 상기 모션인식장치(10)의 패턴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제어장치(20)에서 확인하는 단계(S42), 다른 입력장치(30)에 해당하는 명령어와 모션인식장치(10)의 패턴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비교하는 단계(S43), 비교되는 입력장치(30)의 명령어와 모션인식장치(10)의 명령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44) 및 명령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제어장치(20)에서 모션인식장치(10)의 패턴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저장하는 단계(S45)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장치(30)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확인하는 단계(S41)는 제어장치(20)에 저장되는 다른 입력장치(30)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확인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다른 입력장치(30)는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터치패널, VR 안경 등의 일반적인 입력장치(30)를 말한다.
상기 제어장치(20)에서 다른 입력장치(30)에 대한 명령어를 확인하면, 모션인식장치(10)의 패턴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확인하는 단계를 통해 모션인식장치(10)를 통해 인식되는 패턴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제어장치(20)에서 확인한다.
상기 모션인식장치(10)의 패턴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제어장치(20)에서 확인하면, 명령어를 비교하는 단계를 통해 제어장치(20)에서 다른 입력장치(30)에 해당하는 명령어와 모션인식장치(10)의 패턴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비교하게 된다.
이렇게 제어장치(20)에서 다른 입력장치(30)의 명령어와 모션인식장치(10)의 명령어를 비교하면, 명령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40)를 통해 다른 입력장치(30)의 명령어와 모션인식장치(10)의 명령어가 일치하는지 제어장치(20)에서 확인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입력장치(30)의 명령어와 모션인식장치(10)의 명령어가 일치되는 것이 발견되면 제어장치(20)에서 동일 명령어를 저장 또는 다른 명령어로 교체하여 비교할지를 선택하도록 한다.
그러나 다른 입력장치(30)의 명령어와 모션인식장치(10)의 명령어가 일치하지 않으면, 모션인식장치(10)의 명령어인 모션인식장치(10)을 통해 입력되는 발과 다리의 패턴과 이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제어장치(20)에서 저장하게 된다.
상기 모션인식장치(10)의 명령어와 입력장치(30)의 명령어가 제어장치(20)에서 확인되면, 패턴을 명령어와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S50)를 통해 비교되는 명령어를 해석하여 운동에 따른 패턴을 명령어와 대응시켜 저장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모션인식장치(10)를 통해 제어장치(20)에 운동에 따른 패턴을 명령어와 대응시켜 저장하게 되면, 모션인식장치(10)를 통해 인식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60)를 통해 저장되는 명령어에 따른 움직임 패턴이 모션인식장치(10)를 통해 인식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모션인식장치(10)를 통해 움직임 패턴 입력이 없으면, 지속적으로 제어장치(20)는 입력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모션인식장치(10)를 통해 움직임 패턴이 입력되면 구동장치(40)를 제어하는 단계(S70)를 통해 모션인식장치(10)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어에 따라 제어장치(20)에서 해당 명령어에 따른 동작 또는 화면을 표시하거나, 다른 구동장치(4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어장치(20)가 모션인식장치(10)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어에 따라 동작되거나 화면을 표시하게되면, 추가 입력을 대기하는 단계(S80)를 통해 제어장치(20) 및 구동장치(40)가 정상적으로 구동 또는 표시하는지에 대한 결과를 제어장치(20)에서 표시하고 추가 입력을 대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발과 다리의 6축 움직임을 인식하여 제어장치 및 구동장치의 구동 또는 표시를 제어하는 명령어를 선택 또는 생성하도록 하므로, 손 및 머리를 이용한 다른 입력장치와는 별개로 구동장치 또는 제어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션인식장치를 통해 발과 다리의 움직임으로 명령어를 입력하므로 손과 머리의 움직임 만으로 입력하기 어려운 입력을 하여 제어장치 및 구동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발과 다리의 6축 움직임 해석에 따른 명령어 생성방법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 : 모션인식장치 20 : 제어장치
30 : 입력장치 40 : 구동장치

Claims (6)

  1. 발과 다리의 6축 움직임을 감지하여 신호를 생성하는 모션인식장치(10)와 연결되는 제어장치(20)에서 명령어를 선택 또는 입력하는 단계(S10);
    상기 모션인식장치(10)를 통해 다리와 발의 6축 움직임을 인식하는 단계(S20);
    상기 발과 다리의 움직임에 따른 패턴과 제어장치(20)의 명령어를 매치시켜 해당 움직임에 따른 명령어를 생성하는 단계(S30);
    상기 생성되는 명령어를 제어장치(20)에서 기존에 저장된 다른 입력장치(30)의 명령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40);
    상기 비교되는 명령어를 해석하여 운동에 따른 패턴을 명령어와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S50);
    상기 저장되는 명령어에 따른 움직임 패턴이 모션인식장치(10)를 통해 인식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60);
    상기 모션인식장치(10)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어를 통해 제어장치(20)에서 해당 명령어에 따른 동작 또는 화면을 표시 또는 다른 구동장치(40)를 제어하는 단계(S70) 및
    상기 제어장치(20) 및 구동장치(40)가 정상적으로 구동 또는 표시하는지에 대한 결과를 제어장치(20)에서 표시하고 추가 입력을 대기하는 단계(S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과 다리의 6축 움직임 해석에 따른 명령어 생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6축 움직임을 인식하는 단계(S20)는 발과 다리의 상,하,좌,우,전,후 방향 및 회전에 따른 각각의 움직임 또는 두가지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패턴을 모션인식장치(10)를 통해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과 다리의 6축 움직임 해석에 따른 명령어 생성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40)는,
    상기 제어장치(20)에 저장되는 다른 입력장치(30)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확인하는 단계(S41);
    상기 모션인식장치(10)의 패턴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제어장치(20)에서 확인하는 단계(S42);
    상기 다른 입력장치(30)에 해당하는 명령어와 모션인식장치(10)의 패턴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비교하는 단계(S43);
    상기 비교되는 입력장치(30)의 명령어와 모션인식장치(10)의 명령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44) 및
    상기 명령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제어장치(20)에서 모션인식장치(10)의 패턴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저장하는 단계(S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과 다리의 6축 움직임 해석에 따른 명령어 생성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40)에서 입력장치(30)의 명령어와 모션인식장치(10)의 명령어가 일치되는 것이 발견되면 제어장치(20)에서 동일 명령어를 저장 또는 다른 명령어로 교체하여 비교할지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과 다리의 6축 움직임 해석에 따른 명령어 생성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인식장치(10)는 하반신 또는 발과 다리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다수의 압력센서 또는 동작감지센서가 구비되어 다리와 발의 움직임 또는 움직임에 따른 압력을 감지하여 제어장치(20)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과 다리의 6축 움직임 해석에 따른 명령어 생성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인식장치(10)는 하반신과 다리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발바닥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발판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압력센서 또는 동작감지센서가 구비되어 다리와 발의 움직임 또는 움직임에 따른 압력을 감지하여 제어장치(20)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과 다리의 6축 움직임 해석에 따른 명령어 생성방법.
KR1020190098701A 2019-08-13 2019-08-13 발과 다리의 6축 움직임 해석에 따른 명령어 생성방법 KR102274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701A KR102274781B1 (ko) 2019-08-13 2019-08-13 발과 다리의 6축 움직임 해석에 따른 명령어 생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701A KR102274781B1 (ko) 2019-08-13 2019-08-13 발과 다리의 6축 움직임 해석에 따른 명령어 생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725A true KR20210019725A (ko) 2021-02-23
KR102274781B1 KR102274781B1 (ko) 2021-07-07

Family

ID=74688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701A KR102274781B1 (ko) 2019-08-13 2019-08-13 발과 다리의 6축 움직임 해석에 따른 명령어 생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478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796B1 (ko) 2001-06-28 2004-10-14 김신곤 발 조작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처리 방법
KR20090064680A (ko) * 2007-12-17 2009-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머리 제스처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방법
JP2011209773A (ja) * 2010-03-26 2011-10-20 Seiko Epson Corp ジェスチャ・コマンド処理装置、ジェスチャ・コマンド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30073934A (ko) * 2010-09-17 2013-07-03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제스처 기반으로 한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에 대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기록 매체
KR20170085869A (ko) * 2016-01-15 2017-07-25 주식회사 다림비젼 수직 중력 방향으로 가속력을 스키선수의 산에서의 낙하, 회전, 감속의 주력 하중을 발생하는 엘리베이터형 모션 시뮬레이터 장치와 정밀 스키 제어 하중 및 움직임을 만들어내는 스키 반력 다이나모 장치에 의한 가상 스키 시뮬레이터 기술과 가상스키의 네트웍 경주 스포츠를 위한 가상 스튜디오 vr 스키 인터넷 방송, 인터넷 관중의 경기 관람 서비스의 vr 가상현실 스포츠 플랫폼 기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796B1 (ko) 2001-06-28 2004-10-14 김신곤 발 조작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처리 방법
KR20090064680A (ko) * 2007-12-17 2009-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머리 제스처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방법
JP2011209773A (ja) * 2010-03-26 2011-10-20 Seiko Epson Corp ジェスチャ・コマンド処理装置、ジェスチャ・コマンド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30073934A (ko) * 2010-09-17 2013-07-03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제스처 기반으로 한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에 대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기록 매체
KR20170085869A (ko) * 2016-01-15 2017-07-25 주식회사 다림비젼 수직 중력 방향으로 가속력을 스키선수의 산에서의 낙하, 회전, 감속의 주력 하중을 발생하는 엘리베이터형 모션 시뮬레이터 장치와 정밀 스키 제어 하중 및 움직임을 만들어내는 스키 반력 다이나모 장치에 의한 가상 스키 시뮬레이터 기술과 가상스키의 네트웍 경주 스포츠를 위한 가상 스튜디오 vr 스키 인터넷 방송, 인터넷 관중의 경기 관람 서비스의 vr 가상현실 스포츠 플랫폼 기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4781B1 (ko) 202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0480B2 (en) Virtual reality keyboard system and method
US6388657B1 (en) Virtual reality keyboard system and method
US5635958A (en) Information inputting and processing apparatus
US5917476A (en) Cursor feedback text input method
US989182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virtual keyboard from a touchpad of a computerized device
US20050122313A1 (en) Versatile, configurable keyboard
US9311724B2 (en) Method for user input from alternative touchpads of a handheld computerized device
US8125440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nd inputting data
JP6115867B2 (ja) 1つ以上の多方向ボタンを介して電子機器と相互作用できるようにする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
US7091954B2 (en) Computer keyboard and cursor control system and method with keyboard map switching
US20170017393A1 (en) Method for controlling interactive objects from a touchpad of a computerized device
US20160364138A1 (en) Front touchscreen and back touchpad operated user interface employing semi-persistent button groups
CA2835509C (en) Method for user input from the back panel of a handheld computerized device
US9529523B2 (en) Method using a finger above a touchpad for controlling a computerized system
US9542032B2 (en) Method using a predicted finger location above a touchpad for controlling a computerized system
JP2013527539A5 (ko)
EP2767888A2 (en) Method for user input from alternative touchpads of a handheld computerized device
JP2000056877A (ja) タッチパネル式レイアウトフリーキーボード
US20140253486A1 (en) Method Using a Finger Above a Touchpad During a Time Window for Controlling a Computerized System
US9639195B2 (en) Method using finger force upon a touchpad for controlling a computerized system
WO2015191644A1 (en) Finger position sensing and display
KR20020069694A (ko) 압력이 궤환되는 공간 키보드 시스템 및 그 정보 입력 방법
KR102274781B1 (ko) 발과 다리의 6축 움직임 해석에 따른 명령어 생성방법
KR102274780B1 (ko) 발의 6축 움직임에 따른 입력장치
US11249558B1 (en) Two-handed keyset, system,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keyset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