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8037A - Free volt type charging device using all-round charging cable - Google Patents
Free volt type charging device using all-round charging cab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18037A KR20210018037A KR1020200082624A KR20200082624A KR20210018037A KR 20210018037 A KR20210018037 A KR 20210018037A KR 1020200082624 A KR1020200082624 A KR 1020200082624A KR 20200082624 A KR20200082624 A KR 20200082624A KR 20210018037 A KR20210018037 A KR 2021001803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rging
- terminal
- battery
- voltage
- electronic produc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개시된 내용은 예를 들어 디지털카메라,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PC, 무선청소기, 무선미용기구, 전기공구, 전기면도기, 드론 등과 같은 전기전자제품에 사용되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 충전장치에 관련된다.The disclosed content relates to a battery charging device for charging batteries used in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s such as digital cameras, smartphones, notebooks, tablet PCs, wireless vacuum cleaners, wireless beauty equipment, electric tools, electric shavers, drones, etc. .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Unless otherwise indicated herein, 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is not prior art to the claims of this application, and inclusion in this section is not admitted to be prior art.
최근 디지털카메라,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PC, 무선청소기, 무선미용기구, 전기공구, 전기면도기, 드론 등과 같은 전기전자제품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Recently,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s such as digital cameras, smart phones, notebook computers, tablet PCs, wireless vacuum cleaners, wireless beauty equipment, electric tools, electric shavers, and drones have been widely used.
이러한 전기전자제품은 별도의 전원공급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전원공급이 이루어져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원공급장치로서 배터리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배터리에는 리튬이온(Li-ion) 배터리, 니켈수소(Ni-MH) 배터리 등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배터리는 배터리의 크기나 용량에 따라서 충전에 필요한 정격충전전압이 모두 상이하다. Such electric and electronic products use batteries as a power supply device that enables smooth operation by supplying power even when a separate power supply cable is not connected. Lithium-ion (Li-ion) batteries, nickel hydride (Ni-MH) batteries, and the like are used for such batteries. For such a battery, the rated charging voltage required for charging is all different depending on the size or capacity of the battery.
한편, 전기전자제품에 전원공급케이블이 연결되기 어려운 실내장소 또는 실외에서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충전 배터리가 방전되어 전기전자제품을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power supply cable is used in an indoor place or outdoors for a long time in which it is difficult to connect the electric and electronic product, the rechargeable battery is discharged and the electric and electronic product can no longer be used.
이 경우, 여분의 배터리를 추가로 준비해 사용하거나, 주변 카페나 관공서, 차량, 편의점 등과 같이 전원공급케이블의 전원연결을 통해 충전 가능한 장소로 이동해서 긴급하게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를 충전해서 재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In this case, you need to prepare and use an extra battery, or move to a place that can be charged through the power connection of the power supply cable such as a nearby cafe, government office, vehicle, convenience store, etc. There was discomfort.
또한, 전기전자제품 종류별 그리고 브랜드별로 배터리의 크기와 정격충전전압이 모두 상이하고 충전기의 충전단자 또한 모두 상이하기 때문에, 여행이나 출장시에는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PC, 디지털카메라, 전기면도기, 무선미용기구 등의 배터리를 각각 충전하기 위한 다수의 전용 충전기(전용 충전케이블 포함)를 동시에 준비해야 하므로,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충전기(전용 케이블 포함)를 구매하는 데 따른 경제적인 손실도 유발된다.In addition, since the size and rated charging voltage of batteries are all different by type and brand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s, and charging terminals of chargers are all different, smart phones, notebook computers, tablet PCs, digital cameras, electric shavers, wireless Sinc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number of dedicated chargers (including dedicated charging cables) for charging each battery such as beauty equipment at the same time, there is not only a very cumbersome problem, but also economical loss of purchasing each charger (including dedicated cables). Triggered.
정격충전전압의 측정이 가능한 1개의 충전기 본체와 1개의 만능충전케이블에 의해 전기전자제품의 종류와 브랜드, 해당 배터리의 정격충전전압과 충전단자의 형상에 관계없이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함에 따라 사용편의성이 대폭 증대됨과 동시에 전용 충전기와 전용 충전케이블의 구매에 소요되는 경제적 부담이 대폭 경감될 수 있도록 한 만능충전케이블을 이용한 프리전압 충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Convenience in use as the battery can be charged regardless of the type and brand of electric and electronic products, the rated charging voltage of the battery, and the shape of the charging terminal through one charger body and one universal charging cable that can measure the rated charging voltage. At the same time, it aims to provide a free voltage charging device using a universal charging cable so that the economic burden required to purchase a dedicated charger and a dedicated charging cable can be greatly reduced.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In addi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obvious that another technical problem may be deriv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하나의 실시 예로서 개시된 내용은 외부 전원에 전원공급 가능하게 접속되고 일측면에는 한 개 이상의 출력단자가 형성되는 충전기 본체와, 양단에 제 1 접속단자와 제 2 접속단자가 각각 구비되되 상기 제 1 접속단자는 상기 충전기 본체의 출력단자에 탈부착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제 2 접속단자는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에 탈부착 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충전기 본체로 공급되는 전원이 상기 충전단자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의 충전에 필요한 정격충전전압의 측정을 위한 전압측정전류가 인가되도록 하는 만능충전케이블와, 상기 충전기 본체 내에 구비되며 상기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가 상기 만능충전케이블에 의해 상기 충전기 본체의 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상기 전압측정전류의 인가를 통해 판별된 상기 정격충전전압이 상기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는 만능충전케이블을 이용한 프리전압 충전장치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As an embodiment, the disclosed content is a charger body that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so as to be able to supply power and has one or more output terminals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respectively provided at both ends, but the first connection The terminal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charger body,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is detachably connected to a charging terminal for charging a battery of an electric and electronic product, so that power supplied to the charger body is transferred to the charging terminal. A universal charging cable for supplying and applying a voltage measurement current for measuring the rated charging voltage required for charging the battery of the electric and electronic product, and a charging terminal provided in the charger body and for charging the battery of the electric and electronic product Free using a universal charging cable including a control unit to output the rated charging voltage determin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voltage measurement current whe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charger body by the universal charging cable Describes a voltage charging device.
이상에서와 같은 만능충전케이블을 이용한 프리전압 충전장치에 의하면, 정격충전전압의 측정이 가능한 1개의 충전기 본체와 1개의 만능충전케이블에 의해 전기전자제품의 종류와 브랜드, 해당 배터리의 정격충전전압과 충전단자의 형상에 관계없이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함에 따라 사용편의성이 대폭 증대됨과 동시에 전용 충전기와 전용 충전케이블의 구매에 소요되는 경제적 부담이 대폭 경감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free voltage charging device using the universal charging cable as described above, the type and brand of electric and electronic products, the rated charging voltage of the battery, and the rated charging voltage of the corresponding battery are measured by one charger body and one universal charging cable capable of measuring the rated charging voltage.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charging terminal, as the battery can be charged, the convenience of use is greatly increased, and the economic burden required to purchase a dedicated charger and a dedicated charging cable can be greatly reduc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만능충전케이블을 이용한 프리전압 충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만능충전케이블을 이용한 프리전압 충전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만능충전케이블을 이용한 프리전압 충전장치의 다른 분해사시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만능충전케이블을 이용한 프리전압 충전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만능충전케이블을 이용한 프리전압 충전장치의 다른 사용상태도.
도 6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만능충전케이블을 이용한 프리전압 충전장치의 다른 사용상태도.
도 7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만능충전케이블을 이용한 프리전압 충전장치의 사용되는 젠더의 다양한 실시예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ee voltage charging device using a universal charging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ree voltage charging device using a universal charging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3 is another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ree voltage charging device using a universal charging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4 is a state diagram of a use of a free voltage charging device using a universal charging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Figure 5 is another state of use of the free-voltage charging device using a universal charging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Figure 6 is another state of use of the free voltage charging device using a universal charging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7 is a view illustrating various examples of genders used in a pre-voltage charging device using a universal charging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개시된 내용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내용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개시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된 내용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개시된 내용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disclosed content,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later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disclosed content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disclosed content, and provide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disclosed content belong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disclosed content to the holder, and the disclosed content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개시된 내용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disclosed content,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disclosed cont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and may vary according to an operator's intention or custom.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 내지 도 4는 개시된 내용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하되, 도 1은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개시된 내용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의 다른 사용상태도를 도시하고, 도 6은 또 다른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1 to 4 illustrate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disclosed content, but FIG. 1 is a perspective view, FIGS. 2 and 3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and FIG. 4 is a use state diagram.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state of use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disclosed content, and FIG. 6 illustrates another state of use of the embodiment.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 따른 만능충전케이블을 이용한 프리전압 충전장치는, 외부 전원에 전원공급 가능하게 접속되고 일측면에는 한 개 이상의 출력단자가 형성되는 충전기 본체와, 양단에 제 1 접속단자와 제 2 접속단자가 각각 구비되되 상기 제 1 접속단자는 상기 충전기 본체의 출력단자에 탈부착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제 2 접속단자는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에 탈부착 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충전기 본체로 공급되는 전원이 상기 충전단자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의 충전에 필요한 정격충전전압의 측정을 위한 전압측정전류가 인가되도록 하는 만능충전케이블과, 상기 충전기 본체 내에 구비되고 상기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가 상기 만능충전케이블에 의해 상기 충전기 본체의 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상기 전압측정전류의 인가를 통해 판별된 상기 정격충전전압이 상기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가 포함된다.A free voltage charging device using a universal charging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includes a charger main body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so as to be able to supply power and having one or more output terminals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at both ends. Each of the connection terminals is provided,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is detachably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charger body,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is detachably connected to a charging terminal for charging a battery of an electric and electronic product. A universal charging cable for supplying power supplied to the main body to the charging terminal and for applying a voltage measurement current for measuring a rated charging voltage required for charging the battery of the electric and electronic product; and When the charging terminal for charging the battery of the electronic produc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charger main body by the universal charging cable, the rated charging voltage determin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voltage measurement current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terminal. It includes a control unit.
이하에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만능충전케이블을 이용한 프리전압 충전장치(1)의 구성부재와 그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constituent member of the free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만능충전케이블을 이용한 프리전압 충전장치(1)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출력단자(11)가 구비되는 충전기 본체(10)와,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5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40)를 충전기 본체(10)의 출력단자(11)에 연결하는 만능충전케이블(20)과, 충전기 본체(10)에 구비되고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50)마다 상응하는 정격충전전압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30)가 포함된다. A free
여기서, 충전기 본체(10)는 추후에 설명될 만능충전케이블(20)에 의해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5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40)와 전원공급 가능하게 연결되어 배터리(50)가 충전 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Here, the charger
이러한 충전기 본체(10)는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일측면에 1개 이상의 출력단자(11)가 형성된다. 또한 충전기 본체(10)의 상부면에는 충전상태, 잔여 충전시간, 충전전압, 배터리 수명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충전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소자(13)가 구비된다.The
또한 충전기 본체(10)의 일측에는 외부 전원과 전원공급 가능하게 접속되는 전원케이블(14)이 연결 구비된다. 이 때 전원케이블(14)의 일단은 충전기 본체(10) 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USB 단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PC나 노트북에 결합 될 수도 있고 콘센트에 결합 가능한 어댑터에 결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전술한 전원케이블(14)은 추후에 설명될 제어부(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어부(30)는 또한 디스플레이소자(1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제어된다. 전술한 디스플레이소자(13)는 엘이디램프 또는 액정패널 등과 같은 공지된 다양한 표시부재로 형성 가능하고, 현재 충전중인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50) 별로 충전상태, 잔여 충전시간, 충전전압, 배터리 수명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충전정보가 표시되며 완충시 별도의 알람이 작동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출력단자(11)에는 만능충전케이블(20)이 전원공급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만능충전케이블(20)은 충전기 본체(10)의 출력단자(11)와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5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배터리(50)의 충전에 필요한 전원이 충전단자(40) 측으로 공급되게 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50)의 정격충전전압을 판별하기 위한 전압측정전류가 배터리(50)로 인가되도록 하는 도선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충전기 본체(10)의 출력단자(11)의 개수에 상응하는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2, a
이와 같은 만능충전케이블(20)의 양단에는 제 1 접속단자(21)와 제 2 접속단자(22)가 각각 구비되되 제 1 접속단자(21)는 충전기 본체(10)의 출력단자(11)에 탈부착 가능하게 접속되어 충전기 본체(10)로 공급되는 전원이 제 2 접속단자(22)에 연결된 충전단자(40)를 통해 배터리(50) 측에 공급되게 한다.Both ends of the
만능충전케이블(20)의 양단에 구비되는 제 1 접속단자(21)와 제 2 접속단자(22)는 4핀, 5핀 또는 6핀 등을 가지는 포고핀 커넥터로 형성되어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자력에 의해 충전기 본체(10)의 출력단자(11)와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5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40)에 직접 접속될 수 있다.The
이 경우에 만능충전케이블(20)의 제 1 접속단자(21)와 제 2 접속단자(22) 둘레에는 자석이 구비되고, 이에 접속되는 충전기 본체(10)의 출력단자(11)의 둘레와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5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40) 둘레에도 대응되는 자석이 구비됨에 따라 만능충전케이블(20)에 의한 출력단자(11)와 충전단자(40)의 전기적 연결이 신속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a magnet is provided around the
또한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만능충전케이블(20)의 양단에 구비되는 제 1 접속단자(21)와 제 2 접속단자(22)는 C타입 USB단자, 마이크로 5핀 단자, 라이트닝 8핀 단자 형태로 형성되어 충전기 본체(10)의 출력단자(11)와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5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40)에 삽입결합될 수도 있고, 압입, 홈-돌기 구조 등 다양한 탈착 가능한 결합방법에 의해 충전기 본체(10)의 출력단자(11)와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5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40)에 직접 접속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ure 2, the
또한 만능충전케이블(20)은 통상의 데이터전송라인 및 접속핀을 포함함에 따라 통상의 데이터 전송 케이블로도 사용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충전기 본체(10) 내에는 제어부(30)가 구비된다. 이 제어부(30)는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5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40)가 만능충전케이블(20)에 의해 충전기 본체(10)의 출력단자(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전압측정전류의 인가를 통해 판별된 상기 정격충전전압이 상기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소자(13)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Next, referring to FIG. 3, the
즉,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5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40)가 만능충전케이블(20)에 의해 충전기 본체(10)의 출력단자(11)에 결합되면 제어부(30)가 정격충전전압 간지를 위한 전압측정전류(미세 전류)를 흘려보내 해당 배터리(50)의 정격충전전압을 분석하게 된다. 분석이 마무리되면 해당 배터리(50)에 맞는 정격충전전압이 출력되게 하여 배터리(50)가 정격충전전압 조건에 관계없이 충전되게 한다.That is, when the charging
또한 전술한 만능충전케이블(20)의 제 2 접속단자(22)는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5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40)에 전원공급 가능하게 접속된다. 이 충전단자(40)는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50)가 만능충전케이블(20)을 거쳐 공급되는 충전기 본체(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충전되게 하는 역할을 하거나 또는 전기전자제품의 상용전원이 만능충전케이블(20)을 거쳐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the
전술한 충전단자(40)는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50)만 충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충전키트(41)에 형성될 수 있다. 충전키트(41)의 일면에는 배터리(5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홈(42)이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만능충전케이블(20)의 제 2 접속단자(2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충전단자(40)가 구비된다. The above-described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다수 개의 충전키트(41)의 장착홈(42)은 서로 다른 종류의 배터리(50)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하나의 충전키트(41)의 장착홈(42)은 A사의 디지털 카메라용 배터리(50)가 장착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충전키트(41)의 장착홈(42)은 B사의 디지털 카메라용 배터리(50)가 장착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1개의 충전기 본체(10)와 필요한 서로 다른 형상의 장착홈(42)이 형성된 다수 개의 충전키트(41)를 준비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배터리(50)를 손쉽게 충전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4, the mounting
또한, 전술한 장착홈(42) 내부에는 배터리(50) 장착시 배터리(5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접속핀(43)이 구비된다. 이 접속핀(43)은 장착홈(42)의 내부에 결합되는 배터리(50)에 따라 그 개수나 형태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또 5를 참조하면, 만능충전케이블(20)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 1 접속단자(21)는 4핀, 5핀 또는 6핀 등을 가지는 포고핀 커넥터로 형성되어 충전기 본체(10)의 출력단자(11)에 자력에 의해 접속되는 반면에, 만능충전케이블(20)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 2 접속단자(22)는 예를 들어 C타입 USB단자, 마이크로 5핀 단자, 라이트닝 8핀 단자 등와 같이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5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40)에 삽입 또는 압입결합되는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5, the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만능충전케이블(20)의 양단에 구비되는 제 1 접속단자(21) 및 제 2 접속단자(22) 모두 예를 들어 C타입 USB단자, 마이크로 5핀 단자, 라이트닝 8핀 단자 등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충전기 본체(10)의 출력단자(11)와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5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40)에 직접 삽입 또는 압입되어 접속될 수도 있다.In addition, depending on the embodiment, both the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만능충전케이블(20)의 제 2 접속단자(22)는 젠더(24)의 개재하에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50)를 충전하거나 또는 전기전자제품에 상용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단자(40)에 접속된다.6 to 7, the
다시 말해, 젠더(24)의 일측은 만능충전케이블(20)의 제 2 접속단자(22)에 접속되고 젠더(24)의 타측은 충전단자(40)에 접속된다. 이를 위해 젠더(24)의 일측은 제 2 접속단자(22)의 규격 및 형태에 대응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형태로 제조되고 젠더(24)의 타측은 해당 전기전자제품의 충전단자(40)의 규격 및 형태에 대응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형태로 제조된다.In other words, one side of the
또한 젠더(24)는 통상의 충전젠더 또는 상용전원공급용 커넥터의 형태로도 형성 가능하지만, 예를 들어 전동공구와 같은 전기전자제품(3)의 일부분 또는 배터리(50)가 직접 결합 가능한 충전키트와 유사한 형태로도 형성하다.In addition, the
특히 젠더(24)는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특정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50)의 충전 전용 또는 특정 전기전자제품의 상용전원 공급 전용으로 제조되되, 그 내부에는 만능충전케이블(20)을 통해 최초 전압측정전류가 인가될 때 해당 전기전자제품의 정격충전전압값 또는 상용전원전압값에 대한 제어신호를 충전기 본체(10)로 제공하여, 미세전류를 통한 정격충전전압 또는 상용전원전압값의 판별 과정없이 즉각적으로 해당 정격충전전압 또는 상용전원전압이 인가되도록 하는 전압값출력칩(25)이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particular, the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만능충전케이블을 이용한 프리전압 충전장치(1)의 전체적인 사용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overall usage method of the
먼저, 충전기 본체(10)의 전원케이블(14)을 외부전원에 연결해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공급 가능한 상태가 되게 한다. 그런 다음, 충전에 필요한 배터리(50)의 종류에 맞는 충전키트(41)를 선택하고, 해당 충전키트(41)의 장착홈(42) 내에 배터리(50)를 결합시킨다. 이때 배터리(50)는 장착홈(42) 내의 접속핀(43)에 충전 가능하게 접속된다.First, the
그런 다음, 만능충전케이블(20)의 제 1 접속단자(21)를 충전기 본체(10)의 출력단자(11)에 결합하고, 만능충전케이블(20)의 제 2 접속단자(22)를 충전단자(40)에 결합한다.Then, the
결합이 완료되면, 제어부(30)에 의해 해당 배터리(50)의 정격충전전압이 측정분석되고, 분석이 종료되면 그 결과에 맞는 충전전압이 공급되면서 배터리(50)가 충전되기 시작된다. 충전 중에는 디스플레이소자(13)를 통해 충전상태, 잔여 충전시간, 충전전압, 배터리 수명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충전정보가 표시되고, 충전이 종료되면 알람에 의해 충전완료를 알려주게 된다.When the coupling is completed, the rated charging voltage of the corresponding
한편, 도 1 내지 도 4에는 충전단자(40)가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50)만 충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충전키트(41)에 형성되는 실시예만 도시되어 있으나, 도 5 및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충전단자(40)는 배터리(50)가 충전가능하게 내장설치된 전기전자제품(3)의 일측에 형성될 수도 있고,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배터리(50)가 충전가능하게 내장설치된 전기전자제품의 일부분이 충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충전키트의 일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만능충전케이블(20)의 제 2 접속단자(22)에는 해당 전기전자제품(3) 또는 충전키트(미도시)의 충전단자(40)에 접속가능한 젠더(24)가 결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FIGS. 1 to 4, only an embodiment in which the charging
또한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젠더(24)가 휴대단말기, 노트북, 청소기, 드론, 전동드릴 등과 같은 전기전자제품(3)의 배터리(50) 충전 또는 상용전원 공급을 위해 전용으로 전기전자제품(3) 마다 별도 제작될 경우에는 전기전자제품(3)의 종류나 제조사에 관계없이 다양한 전기전자제품(3)의 배터리(50)를 충전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the
이상에서와 같은 만능충전케이블을 이용한 프리전압 충전장치(1)에 의하면, 하나의 만능충전케이블(20)을 포함하는 충전기 본체(10) 하나로 전기전자제품(3)의 종류와 브랜드, 해당 배터리(50)의 정격충전전압과 충전단자(40)의 형상에 관계없이 다양한 종류의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50)가 충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젠더(24)가 구비되어 만능충전케이블(20)의 제 1 및 제 2 접속단자(21, 22)의 종류와 형태에 관계없이 다양한 종류의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50)가 충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ree-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자라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disclosed content is only an example, an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claims claimed in the claims. It is not limited to examples.
1 : 만능충전케이블을 이용한 프리전압 충전장치
3 : 전기전자제품
10 : 충전기 본체
11 : 출력단자
13 : 디스플레이소자
14 : 전원케이블
20 : 만능충전케이블
21 : 제 1 접속단자
22 : 제 2 접속단자
24 : 젠더
25 : 전압값출력칩
30 : 제어부
40 : 충전단자
41 : 충전키트
42 : 장착홈
43 : 접속핀
50 : 배터리1: Free voltage charging device using a universal charging cable
3: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s
10: charger body
11: output terminal
13: display device
14: power cable
20: universal charging cable
21: 1st connection terminal
22: 2nd connection terminal
24: gender
25: voltage value output chip
30: control unit
40: charging terminal
41: charging kit
42: mounting groove
43: connection pin
50: battery
Claims (5)
양단에 제 1 접속단자와 제 2 접속단자가 각각 구비되되 상기 제 1 접속단자는 상기 충전기 본체의 출력단자에 탈부착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제 2 접속단자는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에 탈부착 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충전기 본체로 공급되는 전원이 상기 충전단자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의 충전에 필요한 정격충전전압의 측정을 위한 전압측정전류가 인가되도록 하는 만능충전케이블; 및
상기 충전기 본체 내에 구비되며 상기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가 상기 만능충전케이블에 의해 상기 충전기 본체의 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상기 전압측정전류의 인가를 통해 판별된 상기 정격충전전압이 상기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가 포함되고,
상기 만능충전케이블의 제 2 접속단자에는 상기 제 2 접속단자가 상기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의 규격에 관계 없이 상기 충전단자 에 접속 가능하도록 하는 젠더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젠더는 상기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의 충전 전용 또는 상기 전기전자제품의 상용전원 공급 전용으로 제조되되, 상기 젠더의 내부에는 상기 만능충전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압측정전류가 인가될 때 상기 전기전자제품의 정격충전전압값 또는 상용전원전압값에 대한 제어신호를 상기 충전기 본체로 제공하여, 상기 정격충전전압 또는 상용전원전압의 판별 과정없이 즉각적으로 해당 정격충전전압 또는 상용전원전압이 인가되도록 하는 전압값출력칩이 내장되는 만능충전케이블을 이용한 프리전압 충전장치.
A charger main body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so as to be able to supply power and having one or more output terminals formed thereon;
A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are provided at both ends respectively,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charger body,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is a charging terminal for charging a battery of an electric and electronic product. A universal charging cable that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harger body so that power supplied to the charger body is supplied to the charging terminal and a voltage measurement current for measuring a rated charging voltage required for charging the battery of the electric and electronic product is applied; And
The rated charging voltage determined through application of the voltage measurement current when the charging terminal provided in the charger body and for charging the battery of the electric and electronic produc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charger body by the universal charging cable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through the output terminal is included,
A gender allowing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to be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for charging the battery of the electric and electronic produc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of the universal charging cable,
The gender is manufactured exclusively for charging the battery of the electric and electronic product or for supplying commercial power to the electric and electronic product, but inside the gender of the electric and electronic product when the voltage measurement current is applied through the universal charging cable. A voltage value output that provides a control signal for the rated charging voltage value or the commercial power supply voltage value to the charger body so that the rated charging voltage or commercial power supply voltage is immediately applied without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rated charging voltage or the commercial power voltage. Free voltage charging device using a universal charging cable with built-in chip.
상기 출력단자는 상기 충전기 본체에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만능충전케이블은 상기 충전기 본체에 형성된 상기 출력단자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충전케이블을 이용한 프리전압 충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ee voltage charging device using a universal charging cabl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are formed on the charger body, and the universal charging cable is form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output terminals formed on the charger body.
상기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는 상기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충전키트에 형성되거나, 상기 전기전자제품의 특정부위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충전거치대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전기전자제품의 특정부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충전케이블을 이용한 프리전압 충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harging terminal for charging the battery of the electric and electronic product is formed on a charging kit to which the battery of the electric and electronic product is detachably coupled, or on a charging cradle to which a specific part of the electric and electronic product is detachably coupled, Or a free voltage charging device using a universal charging cab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a specific portion of the electric and electronic product.
상기 충전키트에는 상기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가 착탈가능하게 삽입결합되는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 내에는 상기 배터리에 대응되는 접속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충전케이블을 이용한 프리전압 충전장치.
The method of claim 3,
Free voltage charging using a universal charging c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rging kit has a mounting groove in which the battery of the electric and electronic product is detachably inserted and coupled, and a connection pin corresponding to the battery is formed in the mounting groove Device.
상기 만능충전케이블은 통상의 데이터 전송 케이블로도 사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충전케이블을 이용한 프리전압 충전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niversal charging cable is a free voltage charging device using a universal charging cabl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used as a normal data transmission cab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2624A KR102292658B1 (en) | 2019-08-07 | 2020-07-06 | Free volt type charging device using all-round charging cab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5889 | 2019-08-07 | ||
KR1020200082624A KR102292658B1 (en) | 2019-08-07 | 2020-07-06 | Free volt type charging device using all-round charging cabl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95889 Division | 2019-08-07 | 2019-08-0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18037A true KR20210018037A (en) | 2021-02-17 |
KR102292658B1 KR102292658B1 (en) | 2021-08-23 |
Family
ID=74731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2624A KR102292658B1 (en) | 2019-08-07 | 2020-07-06 | Free volt type charging device using all-round charging cab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92658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509466A (en) * | 2008-01-03 | 2011-03-24 | グリーン プラグ | Power adapter capable of digital communication with electronic devices |
KR101026223B1 (en) | 2008-11-14 | 2011-03-31 | 정춘길 | Mutiple charging station with step-difference structure using wireless power transfer technology |
KR101290890B1 (en) | 2011-12-27 | 2013-07-29 | 임영삼 | Wireless multi purpose battery charging instrument |
KR20150094974A (en) | 2014-02-12 | 2015-08-20 | 김영조 | The battery device having multi adapter function and multi size battery charge function using battery charger |
-
2020
- 2020-07-06 KR KR1020200082624A patent/KR10229265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509466A (en) * | 2008-01-03 | 2011-03-24 | グリーン プラグ | Power adapter capable of digital communication with electronic devices |
KR101026223B1 (en) | 2008-11-14 | 2011-03-31 | 정춘길 | Mutiple charging station with step-difference structure using wireless power transfer technology |
KR101290890B1 (en) | 2011-12-27 | 2013-07-29 | 임영삼 | Wireless multi purpose battery charging instrument |
KR20150094974A (en) | 2014-02-12 | 2015-08-20 | 김영조 | The battery device having multi adapter function and multi size battery charge function using battery charg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92658B1 (en) | 2021-08-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15165B1 (en) | Battery packs and chargers, and battery pack kit for power tools | |
US9093848B2 (en) | Multi-source power adapter | |
US9893543B2 (en) | Portable power charger | |
US20130193911A1 (en) | Motion-actuated portable charger | |
CN214204974U (en) | Battery charger | |
US10601224B1 (en) | Power supply attachment | |
US8699230B2 (en) | Combined type storage case for electronic device accessories | |
US20240238571A1 (en) | Tattoo Machine Rechargeable Battery Unit With Voltage Controller | |
US20130162210A1 (en) | Power supply system and rechargeable battery used in the system | |
KR102292667B1 (en) | Charging system using gender | |
US20140159639A1 (en) | Portable battery charger | |
JP3127310U (en) | Multi outlet electrical equipment | |
KR200484178Y1 (en) | Multi-Charging System | |
US8248029B2 (en) | Multi-functional rechargeable charger and power supply with dual direct current outputs | |
US20230119496A1 (en) | Free voltage multi-charging device for battery | |
KR102292658B1 (en) | Free volt type charging device using all-round charging cable | |
US20220399738A1 (en) | Power supply device, method, and program based on power standard analysis of connected electronic device | |
GB2468930A (en) | Power supply with a detachable USB hub. | |
KR102200387B1 (en) | Free voltage multi charging device for battery | |
US11689036B2 (en) | Free voltage adapter for charging | |
KR102200389B1 (en) | Free voltage adapter for charging | |
WO2017161211A1 (en) | Fusion pack charger dock | |
WO2016024238A2 (en) | Charging device for computing appliances | |
KR20140106245A (en) | Portable charger for mobile device | |
CN117748686A (en) | Mobile power supply control system, mobile power supply and charging st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