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8029A - 젠더를 이용한 충전시스템 - Google Patents

젠더를 이용한 충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8029A
KR20210018029A KR1020200079343A KR20200079343A KR20210018029A KR 20210018029 A KR20210018029 A KR 20210018029A KR 1020200079343 A KR1020200079343 A KR 1020200079343A KR 20200079343 A KR20200079343 A KR 20200079343A KR 20210018029 A KR20210018029 A KR 20210018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product
charging
gender
electric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2667B1 (ko
Inventor
명선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로나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로나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로나인
Priority to KR1020200079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667B1/ko
Publication of KR20210018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8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충전기본체로부터 제공되는 충전전압을 해당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의 정격충전전압 또는 해당 전기전자제품의 상용직류전압에 맞게 변환시키는 변압회로가 젠더에 포함되지 않더라도 해당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가 정격충전전압에 의해 신속하게 충전되거나 또는 해당 전기전자제품에 상용직류전압이 신속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젠더를 이용한 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은 일측은 외부전원에 전원공급 가능하게 접속되고 내부에는 외부전원을 정격충전전압으로 변환시키는 가변변압회로가 구비되며 일측에는 출력단자가 구비되는 충전기본체와, 일측에는 상기 충전기본체의 출력단자에 접속되는 제 1 접속단자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제 2 접속단자가 구비되는 충전케이블과, 일측은 상기 충전케이블의 제 2 접속단자에 접속되고 타측은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며 내부에는 상기 충전케이블을 통한 전기신호의 입력시에 상기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의 정격충전전압 또는 상기 전기전자제품의 상용직류전압에 관해 기 설정된 변압제어신호를 상기 충전케이블을 통해 상기 충전기본체로 전송하는 변압제어용 발신회로가 구비되는 변압제어젠더와, 상기 충전기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충전케이블을 통해 상기 변압제어젠더로 상기 전기신호를 발신하고 상기 변압제어젠더로부터 수신된 상기 변압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가변변압회로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젠더를 이용한 충전시스템을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Description

젠더를 이용한 충전시스템{CHARGING SYSTEM USING GENDER}
개시된 내용은 예를 들어 디지털카메라,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PC, 무선청소기, 무선미용기구, 전기공구, 전기면도기, 드론 등과 같은 전기전자제품에 사용되는 배터리를 충전함에 있어서 충전케이블의 접속단자와 해당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젠더를 이용한 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최근 디지털카메라,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PC, 무선청소기, 무선미용기구, 전기공구, 전기면도기, 드론 등과 같은 전기전자제품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전자제품은 별도의 전원공급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전원공급이 이루어져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원공급장치로 충전 가능한 배터리가 사용된다. 이러한 배터리로는 리튬이온(Li-ion) 배터리, 니켈수소(Ni-MH) 배터리 등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배터리는 해당 전기전자제품의 사양, 배터리의 크기나 용량에 따라 충전에 필요한 정격충전전압이 모두 상이하다.
한편, 전기전자제품에 전원공급케이블이 연결되기 어려운 실내장소 또는 실외에서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배터리가 방전되어 전기전자제품을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 경우, 여분의 배터리를 추가로 준비해 사용하거나, 주변 카페나 관공서, 차량, 편의점 등의 충전가능장소의 전원공급콘센트에 전원공급케이블을 연결시켜 전기전자제품의 상용직류전압을 공급하여 전기전자제품을 사용하거나 또는 해당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를 충전해서 재사용해야 한다.
또한, 전기전자제품 종류별 그리고 브랜드별로 배터리의 크기와 정격충전전압 그리고 상용직류전압이 상이하고 충전기의 충전단자 또한 모두 상이하기 때문에, 해당 전기전자제품의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PC, 디지털카메라, 전기면도기, 무선미용기구 등의 배터리를 각각 충전하기 위한 전용 충전기(전용 충전케이블 포함)를 구매하거나 또는 범용 충전기 또는 프리전압 충전기(충전케이블 포함)와 해당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 충전에 알맞는 젠더를 구매한다.
이러한 젠더를 이용한 충전시스템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0-2012-0032377호(2012.04.05. 공개)에는 TTA 24핀 충전기와, 상기 TTA 24핀 충전기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전압보다 더 높은 승압 전압을 입력으로 하는 입력단자를 구비하고, 이 입력단자를 통하여 입력되는 승압 전압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휴대단말기와, 상기 TTA 24핀 충전기의 커넥터와 연결되는 제 1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마이크로 USB 단자 또는 상기 파이어 와이어 단자와 연결되는 제 2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상기 입력 전압을 승압시킨 승압 전압을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의 마이크로 USB 단자 또는 파이어 와이어 단자로 출력하는 충전 젠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젠더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시스템이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0-2011-0114196호(2011.10.19. 공개)에는 일측에는 TTA 휴대폰 충전기의 충전잭이 삽입되는 24 핀의 입력단자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휴대용 기기의 충전단자에 삽입되기 위한 충전잭이 구비되며, 배터리, 배터리 감지부, 스위칭부, 승압부, 출력전압설정부, 피드백 설정부가 구비된 휴대용 기기 충전용 승압 젠더에 있어서, 상기 24 핀의 입력단자 중 21번 단자와 22번 단자는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22번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4.2V 전압을 충전하는 배터리와, 상기 22번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4.2V 전압에 의해 동작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 상태를 감지하는 배터리 감지부와, 상기 배터리 감지부의 제어에 의해 스위칭하여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유도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21번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4.2V 전압과 상기 배터리의 충전전압이 합쳐진 전압을 인가받아 5V 전압으로 승압하여 출력하는 승압부와, 상기 승압부의 5V 출력전압을 일정전압으로 유지시켜 충전잭으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전압설정부와, 상기 TTA 휴대폰 충전기의 마이콤에 충전이 진행중임을 알리는 피드백 전압을 공급하는 피드백 설정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충전용 승압 젠더가 개시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젠더를 이용한 충전시스템의 경우에는 충전기로부터 제공되는 충전전압을 해당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의 정격충전전압에 맞게 변환시키는 변압회로가 젠더에 포함됨에 따라 해당 전기전자제품의 전용 젠더의 회로구성이 복잡하고 해당 전기전자제품의 전용 젠더의 크기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특허공개 제 10-2012-0032377호(2012.04.05. 공개)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0-2011-0114196호(2011.10.19. 공개)
충전기본체로부터 제공되는 충전전압을 해당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의 정격충전전압 또는 해당 전기전자제품의 상용직류전압에 맞게 변환시키는 변압회로가 젠더에 포함되지 않더라도 해당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가 정격충전전압에 의해 신속하게 충전되거나 또는 해당 전기전자제품에 상용직류전압이 신속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젠더를 이용한 충전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충전기본체로부터 제공되는 충전전압을 해당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의 정격충전전압 또는 해당 전기전자제품의 상용직류전압에 맞게 변환시키는 변압회로가 젠더에 포함되지 않더라도 해당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가 정격충전전압에 의해 신속하게 충전되거나 또는 해당 전기전자제품에 상용직류전압이 신속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젠더를 이용한 충전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은 일측은 외부전원에 전원공급 가능하게 접속되고 내부에는 외부전원을 정격충전전압으로 변환시키는 가변변압회로가 구비되며 일측에는 출력단자가 구비되는 충전기본체와, 일측에는 상기 충전기본체의 출력단자에 접속되는 제 1 접속단자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제 2 접속단자가 구비되는 충전케이블과, 일측은 상기 충전케이블의 제 2 접속단자에 접속되고 타측은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며 내부에는 상기 충전케이블을 통한 전기신호의 입력시에 상기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의 정격충전전압 또는 상기 전기전자제품의 상용직류전압에 관해 기 설정된 변압제어신호를 상기 충전케이블을 통해 상기 충전기본체로 전송하는 변압제어용 발신회로가 구비되는 변압제어젠더와, 상기 충전기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충전케이블을 통해 상기 변압제어젠더로 상기 전기신호를 발신하고 상기 변압제어젠더로부터 수신된 상기 변압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가변변압회로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젠더를 이용한 충전시스템을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젠더를 이용한 충전시스템에 의하면, 충전케이블을 통한 전기신호의 입력시에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의 정격충전전압 또는 전기전자제품의 상용직류전압에 관해 기 설정된 변압제어신호를 역으로 충전케이블을 통해 충전기본체로 전송하는 변압제어용 발신회로가 구비되는 변압제어젠더를 포함함으로써 변압제어젠더의 변압제어용 발신회로로부터 수신된 변압제어신호에 따라 충전기본체의 가변변압회로가 구동되어 해당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의 정격충전전압 또는 해당 전기전자제품의 상용직류전압이 즉각적으로 제공 가능함에 따라, 충전기본체로부터 제공되는 충전전압을 해당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의 정격충전전압 또는 해당 전기전자제품의 상용직류전압에 맞게 변환시키는 변압회로가 변압제어젠더에 포함되지 않더라도 해당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가 정격충전전압에 의해 신속하게 충전될 수 있고 해당 전기전자제품에 상용직류전압이 신속하게 공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젠더를 이용한 충전시스템에 의하면, 변압제어젠더 내에 충전기본체로부터 제공되는 충전전압을 해당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의 정격충전전압 또는 해당 전기전자제품의 상용직류전압에 맞게 변환시키는 변압회로가 구비될 필요가 없어 보다 컴팩트한 변압제어젠더가 사용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젠더를 이용한 충전시스템의 개략구조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젠더를 이용한 충전시스템에 있어서, 젠더의 다양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젠더를 이용한 충전시스템의 전체 작동을 설명하는 블럭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젠더를 이용한 충전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외부전원에 전원공급 가능하게 접속되고 내부에는 외부전원을 정격충전전압 또는 상용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가변변압회로(11)가 구비되며 일측에는 출력단자(12)가 구비되는 충전기본체(10)와, 일측에는 충전기본체(10)의 출력단자(12)에 접속되는 제 1 접속단자(21)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제 2 접속단자(22)가 구비되는 충전케이블(20)과, 일측은 충전케이블(20)의 제 2 접속단자(22)에 접속되고 타측은 전기전자제품(3)의 배터리(5)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며 내부에는 충전케이블(20)을 통한 전기신호의 입력시에 전기전자제품(3)의 배터리(5)의 정격충전전압 또는 전기전자제품(3)의 상용직류전압에 관해 기 설정된 변압제어신호를 충전케이블(20)을 통해 충전기본체(10)로 전송하는 변압제어용 발신회로(31)가 구비되는 변압제어젠더(30)와, 충전기본체(10)에 구비되고 충전케이블(20)을 통해 변압제어젠더(30)로 상기 전기신호를 발신하고 변압제어젠더(30)로부터 수신된 상기 변압제어신호에 따라 가변변압회로(11)를 구동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충전기본체(10)는 추후에 설명될 충전케이블(20)과 변압제어젠더(30)에 의해 전기전자제품(3)의 배터리(5)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3a)와 전원공급 가능하게 연결되어 배터리(5)가 충전되도록 해당 배터리(5)의 정격충전전압을 출력하거나 전기전자제품(3)의 사용을 위한 상용직류전압을 출력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 가능하다.
충전기본체(10)의 내부에는 가변변압회로(11)가 구비된다. 가변변압회로(11)는 특정 변압제어신호에 따라 전원케이블(13)을 통해 공급되는 외부전원을 각각의 전기전자제품(3)의 배터리(5)의 충전에 적합한 정격충전전압 또는 전기전자제품(3)의 상용직류전압으로 변환시켜 출력단자(12)를 통해 출력시키는 일종의 변압회로로, 변압제어신호의 크기에 따라 변압비가 조절되어 출력전압이 조정가능한 통상의 가변변압회로로 구성된다.
충전기본체(10)의 일측에는 1개 이상의 출력단자(12)가 형성된다. 출력단자(12)는 4핀, 5핀 또는 6핀 등을 가지는 공지의 포고핀 커넥터로 형성될 수도 있고, C타입 USB단자, 마이크로 5핀 단자, 라이트닝 8핀 단자가 삽입결합 가능한 단자소켓 형태로도 형성 가능하며, 플러그소켓 등을 비롯하여 그 외 다양한 형태로 형성 가능하다.
또한 충전기본체(10)의 타측에는 외부전원에 전원공급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원케이블(13)이 구비된다. 전원케이블(13)의 일단은 충전기본체(10) 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PC 본체 또는 노트북에 결합가능한 USB 단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콘센트에 결합 가능한 어댑터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충전기본체(10)의 상부면에는 현재 충전중인 배터리(5)의 충전상태, 잔여 충전시간, 충전전압, 배터리 수명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충전정보가 엘이디램프 또는 액정패널 등을 통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4)가 구비된다.
전기전자제품(3)의 배터리(5)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3a)는 예를 들어 휴대폰이나 노트북과 같이 배터리(5)가 충전가능하게 내장설치된 전기전자제품(3)의 일측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기전자제품(3)의 배터리(5)만 충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충전키트(미도시)에 형성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전동공구의 충전키트와 같이 배터리(5)가 충전가능하게 내장설치된 전기전자제품의 일부분이 충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충전키트의 일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충전기본체(10)의 출력단자(12)에는 충전케이블(20)이 접속된다. 충전케이블(20)은 충전기본체(10)의 출력단자(12)와 전기전자제품(3)의 배터리(5)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3a)에 접속된 변압제어젠더(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배터리(5)의 충전에 필요한 정격충전전압 또는 전기전자제품(3)의 상용직류전압이 충전단자(3a) 측으로 공급되게 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변압제어젠더(30)의 변압제어용 발신회로(31)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신호가 변압제어젠더(30)로 압력되도록 하는 도선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충전기본체(10)의 출력단자(12)의 개수에 상응하는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충전케이블(20)의 일측에는 충전기본체(10)의 출력단자(12)에 접속되는 제 1 접속단자(21)가 구비되고 충전케이블(20)의 타측에는 변압제어젠더(30)에 접속되는 제 2 접속단자(22)가 구비된다.
충전케이블(20)의 양단에 구비되는 제 1 접속단자(21)와 제 2 접속단자(22)는 4핀, 5핀 또는 6핀 등을 가지는 포고핀 커넥터로 형성되어 자력에 의해 충전기본체(10)의 출력단자(12)와 변압제어젠더(30)에 각각 직접 접속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충전케이블(20)의 제 1 접속단자(21)와 제 2 접속단자(22) 둘레에는 자석이 구비되고 이에 접속되는 충전기본체(10)의 출력단자(12)의 둘레와 변압제어젠더(30)의 접속단자의 둘레에도 대응되는 자석이 구비됨에 따라, 충전케이블(20)에 의한 출력단자(12)와 변압제어젠더(30)의 전기적 연결이 신속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케이블(20)의 양단에 구비되는 제 1 접속단자(21)와 제 2 접속단자(22)는 C타입 USB단자, 마이크로 5핀 단자, 라이트닝 8핀 단자 형태로 형성되어 충전기본체(10)의 출력단자(12)와 변압제어젠더(30)에 삽입결합될 수도 있고, 압입, 홈-돌기 구조 등 다양한 탈착 가능한 결합방법에 의해 충전기본체(10)의 출력단자(12)와 변압제어젠더(30)에 직접 접속될 수도 있다.
전술한 충전케이블(20)의 제 2 접속단자(22)에는 변압제어젠더(30)가 접속된다. 변압제어젠더(30)는 충전케이블(20)을 통한 전기신호의 입력시에 전기전자제품(3)의 배터리(5)의 정격충전전압 또는 전기전자제품(3)의 상용직류전압에 관해 기 설정된 변압제어신호를 충전케이블(20)을 통해 충전기본체(10)로 전송함으로써 충전기본체(10)가 해당 전기전자제품(3)의 배터리(5)의 정격충전전압 또는 해당 전기전자제품(3)의 상용직류전압을 신속용이하게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전기전자제품(3)의 전용으로 개별적으로 제작된다.
변압제어젠더(30)의 일측은 충전케이블(20)의 제 2 접속단자(22)에 접속되고 변압제어젠더(30)의 타측은 전기전자제품(3)의 배터리(5)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3a) 또는 전기전자제품(3)의 전원공급단자(충전단자(3a)로 형성 가능)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된다.
변압제어젠더(30)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통상의 충전젠더 또는 상용전원공급용 커넥터의 형태로도 형성 가능하지만, 예를 들어 전동공구와 같은 전기전자제품(3)의 일부분 또는 배터리(5)가 직접 결합 가능한 충전키트와 유사한 형태로도 형성하다.
변압제어젠더(30)의 내부에는 변압제어용 발신회로(31)가 구비된다. 변압제어용 발신회로(31)는 충전케이블(20)을 통한 특정 전기신호, 즉 정격충전전압 또는 상용직류전압 측정을 위한 특정 미세전류의 입력시에 전기전자제품(3)의 배터리(5)의 정격충전전압 또는 전기전자제품(3)의 상용직류전압에 관해 기 설정된 변압제어신호, 즉 특정 크기의 전류신호를 충전케이블(20)을 통해 충전기본체(10)로 전송함으로써 충전기본체(10)의 가변변압회로(11)가 전원케이블(13)을 통해 인가된 외부전원을 즉각적으로 해당 전기전자제품(3)의 배터리(5)의 정격충전전압 또는 전기전자제품(3)의 상용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변압제어용 발신회로(31)의 부가로 인해 해당 전기전자제품(3)의 배터리(5)의 정격충전전압을 측정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으며, 해당 전기전자제품(3)의 배터리(5)의 정격충전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회로 또는 해당 전기전자제품(3)의 상용직류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회로 구성이 단순해질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충전기본체(10)에는 제어부(40)가 구비된다. 제어부(40)는 충전케이블(20)을 통해 변압제어젠더(30)로 변압제어용 발신회로(31)의 작동을 위한 특정 전기신호를 발신하고 변압제어젠더(30)로부터 수신된 특정 변압제어신호에 따라 가변변압회로(11)를 구동함으로써 해당 전기전자제품(3)의 배터리(5)의 충전에 적합한 특정 정격충전전압 또는 해당 전기전자제품(3)의 상용직류전압접압이 즉시 출력되도록 가변변압회로(11)를 구동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14)의 구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젠더를 이용한 충전시스템의 전체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특정 전기전자제품(3)의 배터리(5)를 충전하고자 할 경우에, 충전기본체(10)의 전원케이블(13)을 외부전원에 연결한 상태에서 충전케이블(20)의 일측을 충전기본체(10)의 출력단자에 접속하고 충전케이블(20)의 타측에는 전기전자제품(3)의 전용으로 제작된 변압제어젠더(30)를 결합한 후 변압제어젠더(30)를 전기전자제품(3)의 배터리(5)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3a)에 접속시킨다.
이 때 충전기본체(10) 내의 제어부(40)에 의해 특정 전기신호, 즉 정격충전전압 또는 상용직류전압 측정을 위한 특정 미세전류가 출력되어 충전케이블(20)을 통해 변압제어젠더(30)의 변압제어용 발신회로(31)로 입력된다.
변압제어용 발신회로(31)는 전기전자제품(3)의 배터리(5)의 정격충전전압에 관해 기 설정된 변압제어신호, 즉 특정 크기의 전류신호를 충전케이블(20)을 통해 충전기본체(10)로 전송하게 되고, 제어부(40)는 충전기본체(10)의 가변변압회로(11)가 전원케이블(13)을 통해 인가된 외부전원을 즉각적으로 해당 전기전자제품(3)의 배터리(5)의 정격충전전압 또는 해당 전기전자제품(3)의 상용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젠더를 이용한 충전시스템은 충전케이블(20)을 통한 전기신호의 입력시에 전기전자제품(3)의 배터리(5)의 정격충전전압 또는 전기전자제품(3)의 상용직류전압에 관해 기 설정된 변압제어신호를 역으로 충전케이블(20)을 통해 충전기본체(10)로 전송하는 변압제어용 발신회로(31)가 구비되는 변압제어젠더(30)를 포함함으로써 변압제어젠더(30)의 변압제어용 발신회로(31)로부터 수신된 변압제어신호에 따라 충전기본체(10)의 가변변압회로(11)가 즉시 구동되어 해당 전기전자제품(3)의 배터리(5)의 정격충전전압 또는 전기전자제품(3)의 상용직류전압이 즉각적으로 제공 가능함에 따라, 해당 전기전자제품(3)의 배터리(5)가 정격충전전압에 의해 신속하게 충전될 수 있으며 해당 전기전자제품(3)에 상용직류전압이 신속하게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변압제어젠더(30) 내에 충전기본체(10)로부터 제공되는 충전전압을 해당 전기전자제품(3)의 배터리(5)의 정격충전전압에 맞게 변환시키는 변압회로가 구비될 필요가 없이 특정신호값 발생을 위한 PCB 형태의 회로만 구비되면 되므로 보다 컴팩트한 변압제어젠더(30)가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젠더를 이용한 충전시스템
3 : 전기전자제품
3a : 충전단자
5 : 배터리
10 : 충전기본체
11 : 가변변압회로
12 : 출력단자
13 : 전원케이블
14 : 디스플레이부
20 : 충전케이블
21 : 제 1 접속단자
22 : 제 2 접속단자
30 : 변압제어젠더
31 : 변압제어용 발신회로
40 : 제어부

Claims (1)

  1. 일측은 외부전원에 전원공급 가능하게 접속되고 내부에는 외부전원을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의 정격충전전압 또는 상기 전기전자제품의 상용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가변변압회로가 구비되며 일측에는 출력단자가 구비되는 충전기본체;
    일측에는 상기 충전기본체의 출력단자에 접속되는 제 1 접속단자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제 2 접속단자가 구비되는 충전케이블;
    상기 전기전자제품의 전용으로 개별적으로 제작되며 일측은 상기 충전케이블의 제 2 접속단자에 접속되고 타측은 상기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거나 상기 전기전자제품의 전원공급단자에 직접 접속되며 내부에는 상기 충전케이블을 통한 전기신호의 입력시에 상기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의 정격충전전압 또는 상기 전기전자제품의 상용직류전압에 관해 기 설정된 변압제어신호를 상기 충전케이블을 통해 상기 충전기본체로 전송하는 변압제어용 발신회로가 구비되는 변압제어젠더; 및
    상기 충전기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충전케이블을 통해 상기 변압제어젠더로 상기 전기신호를 발신하고 상기 변압제어젠더로부터 수신된 상기 변압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가변변압회로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의 정격충전전압 또는 상기 전기전자제품의 상용직류전압에 대한 정보는 상기 변압제어젠더에 저장되어, 상기 전기전자제품으로부터 상기 제어부로 제공되지 않고 상기 변압제어신호의 형태로 상기 변압제어젠더로부터 상기 제어부로 바로 제공되며,
    상기 변압제어젠더는 충전젠더 또는 상용전원공급용 커넥터의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전기전자제품의 일부분 또는 상기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가 직접 결합 가능한 충전키트의 형태로 형성되는 젠더를 이용한 충전시스템.
KR1020200079343A 2019-08-07 2020-06-29 젠더를 이용한 충전시스템 KR102292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343A KR102292667B1 (ko) 2019-08-07 2020-06-29 젠더를 이용한 충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888 2019-08-07
KR1020200079343A KR102292667B1 (ko) 2019-08-07 2020-06-29 젠더를 이용한 충전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888 Division 2019-08-07 2019-08-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8029A true KR20210018029A (ko) 2021-02-17
KR102292667B1 KR102292667B1 (ko) 2021-08-23

Family

ID=74731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343A KR102292667B1 (ko) 2019-08-07 2020-06-29 젠더를 이용한 충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6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9827B1 (ko) * 2022-05-31 2023-05-10 주식회사 동해기계항공 절연 구간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
KR102554558B1 (ko) * 2022-05-31 2023-07-12 주식회사 동해기계항공 절연 구간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
WO2023146006A1 (ko) * 2022-01-28 2023-08-03 주식회사 브로나인 통합형 충전 장치, 방법, 프로그램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09466A (ja) * 2008-01-03 2011-03-24 グリーン プラグ 電子デバイスとデジタル通信可能なパワーアダプタ
KR20110114196A (ko) 2010-04-13 2011-10-19 강현욱 휴대기기 충전용 승압 젠더
KR20120032377A (ko) 2010-09-28 2012-04-05 지재금 충전 젠더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09466A (ja) * 2008-01-03 2011-03-24 グリーン プラグ 電子デバイスとデジタル通信可能なパワーアダプタ
KR20110114196A (ko) 2010-04-13 2011-10-19 강현욱 휴대기기 충전용 승압 젠더
KR20120032377A (ko) 2010-09-28 2012-04-05 지재금 충전 젠더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충전기본체로부터 제공되는 충전전압을 해당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의 정격충전전압 또는 해당 전기전자제품의 상용직류전압에 맞게 변환시키는 변압회로가 젠더에 포함되지 않더라도 해당 전기전자제품의 배터리가 정격충전전압에 의해 신속하게 충전되거나 또는 해당 전기전자제품에 상용직류전압이 신속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젠더를 이용한 충전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6006A1 (ko) * 2022-01-28 2023-08-03 주식회사 브로나인 통합형 충전 장치, 방법, 프로그램 및 시스템
KR102529827B1 (ko) * 2022-05-31 2023-05-10 주식회사 동해기계항공 절연 구간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
KR102554558B1 (ko) * 2022-05-31 2023-07-12 주식회사 동해기계항공 절연 구간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2667B1 (ko) 2021-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18020B (zh) 集线器
KR102315165B1 (ko) 배터리 팩들 및 충전기들, 및 전동 공구들을 위한 배터리 팩 키트
KR102292667B1 (ko) 젠더를 이용한 충전시스템
CN202997644U (zh) 蓝牙耳机充电盒
US10574070B1 (en) Multi-functional hub integrated with AC power supply
JP2017112802A (ja) 充放電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電源ユニット、充放電システム、電源システム
CN201112509Y (zh) 多用充电装置
CN211405512U (zh) 适配器
CN110120688A (zh) 电子装置
CN106451693B (zh) 充电宝及otg数据线
EP3972072A1 (en) Adapter and battery pack and adapter combination
US20220399738A1 (en) Power supply device, method, and program based on power standard analysis of connected electronic device
CN113629802B (zh) 供电装置
CN214101198U (zh) 一种多功能的电源适配器
CN201789046U (zh) 智慧型充电座
KR101682664B1 (ko) 유무선 충전 장치
US20230119496A1 (en) Free voltage multi-charging device for battery
KR102292658B1 (ko) 만능충전케이블을 이용한 프리전압 충전장치
US20190138477A1 (en) Modular hub
US11689036B2 (en) Free voltage adapter for charging
CN209104501U (zh) 充电插座
CN221040013U (zh) 用于vr设备的扩展坞
US20220102997A1 (en) Adapter and combination of a battery pack and an adapter
KR20220051796A (ko) 연결된 전자기기의 전력규격 분석에 기초한 전력 공급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20128174A (ko) 휴대용 배터리를 이용한 전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