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7680A - 스마트 마운트 기기 및 스마트 마네킹, 이를 이용한 고객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마운트 기기 및 스마트 마네킹, 이를 이용한 고객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7680A
KR20210017680A KR1020190097334A KR20190097334A KR20210017680A KR 20210017680 A KR20210017680 A KR 20210017680A KR 1020190097334 A KR1020190097334 A KR 1020190097334A KR 20190097334 A KR20190097334 A KR 20190097334A KR 20210017680 A KR20210017680 A KR 20210017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mannequin
mount device
camera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7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남철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97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7680A/ko
Publication of KR20210017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6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K9/2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Customer relationship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ultimedia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일반 마네킹을 관심 고객의 성별, 나이 등을 온라인으로 자동 수집, 관리 분석할 수 있는 스마트 마네킹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는 스마트 마운트 기기를 제안한다. 이러한 스마트 마운트 기기는 마네킹 주변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와, 상기 센서의 감지신호가 발생하면 촬영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 상기 센서 및 카메라 구동을 제어하고, 카메라가 촬영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네트워크 통신하여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스마트 마운트 기기를 일반 마네킹과 결합하면 스마트 마네킹으로 구현할 수 있어 스마트 마네킹의 구축 비용을 경제적으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마운트 기기 및 스마트 마네킹, 이를 이용한 고객관리 시스템{Smart mount device and Smart Mannequin, A Customer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 마운트 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에 센서 및 카메라, 컴퓨터가 마련되고 클라우드 서비스와 연동하여 각종 정보를 수집 분석할 수 있는 스마트 마운트 기기와 이러한 스마트 마운트 기기가 장착되는 스마트 마네킹에 관한 것이다.
사물 인터넷(IoT)과 빅데이터, 그리고 클라우드의 결합은 스마트 커넥티드 제품(Smart Connected Products)이라 불리는 방향으로 진화했다.
그리고 이러한 스마트 커넥티드 제품은 정보처리 속도의 비약적인 발전, 기기의 소형화, 어디서나 연결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 환경을 바탕으로 하여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고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기존의 제품 경계를 뛰어넘는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를 생산하고 있다.
이처럼 스마트 커넥티드 제품은 기기의 잠재적 역량과 기능의 범위를 획기적인 수준으로 확장시키고 있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는 존재한다. 즉 제품마다 새로운 센서나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추가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는 제품 도입을 위해 기존 투자를 포기하고 고가의 투자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러한 스마트 커넥티드 제품에 대한 기능 제공은 대부분이 해당 제품에 관련 디바이스가 일체로 장착되거나 설치된 상태에서 이용된다. 이처럼 스마트 커넥티드 제품에서 관련 디바이스의 일체 장착이나 설치는 그만큼 생산적이지 못하고 효율성도 낮다.
예를 들어 스마트 커넥티드 제품으로 스마트 마네킹을 예를 들면 이러한 스마트 마네킹에는 센서나 카메라 등의 정보 수집을 위한 디바이스가 일체로 장착되기 때문에 제조 단가가 비싸짐은 물론 유지 보수에도 어려움이 있다.
무엇보다 기존 마네킹의 활용 가능성에 제한이 있다. 즉 기존 마네킹을 스마트 마네킹으로 대처해나갈 경우 그만큼 불필요하게 되는 기존 마네킹의 처리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기 때문에, 마네킹의 효율적인 이용방안으로서, 무작정 스마트 마네킹을 제조하는 것보다 기존의 마네킹을 활용하는 방안이 무엇보다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마네킹을 스마트 마네킹으로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 마운트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따르면 스마트 마네킹을 설치하는 것보다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이를 대처해나갈 수 있어 경제적이고 시장성이 높다고 할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스마트 마운트 기기를 다양한 제품에 적용할 수 있게 하여 제품의 다양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하는 다른 목적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마네킹 주변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 상기 센서의 감지신호가 발생하면 촬영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 상기 센서 및 카메라 구동을 제어하고, 카메라가 촬영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네트워크 통신하여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일반 마네킹의 소정 부분과 결합 및 분리되며 상기 일반 마네킹을 스마트 마네킹으로 구현하는 스마트 마운트 기기를 제공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는, 스마트 마운트 기기와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마네킹 주변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와,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카메라, 상기 센서 및 카메라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이 구비된 스마트 마운트 기기가 구비되며, 상기 스마트 마운트 기기는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촬영정보를 수집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마네킹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 마운트 기기는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촬영정보를 분석하도록 네트워크 연결된 클라우드 서버로 상기 촬영정보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마네킹 주변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와,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카메라, 상기 센서 및 카메라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로 이루어진 스마트 마운트 기기가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마네킹, 및 상기 스마트 마네킹과 네트워크 연결되고, 상기 스마트 마네킹이 전송하는 촬영정보를 분석하여 고객정보를 관리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특정 위치나 장소에 있는 스마트 마네킹을 그룹으로 하여 고객 특징정보를 저장하고 분석하는 고객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스마트 마운트 기기 및 스마트 마네킹, 이를 이용한 고객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스마트 마운트 기기를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기존의 일반 마네킹을 관심 고객의 성별, 나이 등을 온라인으로 자동 수집, 관리 분석할 수 있는 스마트 마네킹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마네킹의 구축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으며, 기존의 일반 마네킹의 처리 효용성도 크다고 할 것이다. 이는 일반 마네킹을 폐기 처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비용 절감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마네킹 제작업체는, 스마트 마운트 기기를 일반 마네킹에 장착하여 스마트 마네킹으로 공급할 수 있어, 가격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존 투자를 보호하는 방식으로 스마트 커넥티드 제품이 도입된다면, 경제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사용업체가 더 쉽게 도입할 수 있어 거부감도 줄일 수 있고 기존 마네킹 제품의 처리 부담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 마운트 기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 마운트 기기가 마네킹에 장착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마트 마운트 기기를 포함한 고객 관리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본 발명은 기존의 마네킹에 스마트 마운트 기기를 장착하여 스마트 마네킹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제품에 장착 가능한 스마트 마운트 기기와, 이를 가지는 스마트 커넥티드 제품을 제안하는 것이고,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한 스마트 마운트 기기(100)는 다양한 제품에 적용하거나 장착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마네킹에 장착 가능한 기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리고 스마트 마운트 기기(100)는 마네킹에 장착되는데, 마네킹의 머리나 어깨 등 일정 부분에 장착할 수 있거나, 머리가 없는 마네킹(Headless Mannequin)에도 장착할 수 있다.
머리 없는 마네킹 경우에는 목 부분의 상면에 스마트 마운트 기기(100)를 올려놓는 동작만으로 장착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별도의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마네킹(10)에서 스마트 마운트 기기(100)가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 마운트 기기(100)는 마네킹(10) 주변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110)가 구비된다. 센서(110)는 고객의 접근 유무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센서(110)는 스마트 마운트 기기(100)에 일체로 부착되거나 또는 상기 스마트 마운트 기기(100)와 떨어져서 상기 마네킹(10)의 몸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110)가 스마트 마운트 기기(100)와 이격되게 설치되면, 고객을 더 쉽게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센서(10)가 스마트 마운트 기기(100) 이외의 마네킹(10)의 팔이나 다리 부분에 부착될 경우, 키가 작거나 휠체어를 사용하는 고객 등 다양한 부류의 고객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110)의 감지신호가 발생하면 고객을 촬영하는 카메라(120)가 설치된다. 고객은 반드시 마네킹(10)의 전방에 위치하여 마네킹(10)을 주시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카메라(120)는 필요에 따라 마네킹(10)의 후방 및 좌우 방향도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이러한 카메라(120)는 센서(110)와 연동하여 감지신호가 발생하는 경우에만 촬영동작을 수행한다.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110) 및 카메라(120)가 복수 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1개의 센서에 1개의 카메라를 연동시키면, 센서(110)의 감지신호를 인가받은 카메라(120)만 동작하며, 마네킹(10) 주위로 여러 명의 고객이 접근하더라도 카메라(120) 동작에 따라 고객들을 모두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센서(110) 및 카메라(120) 구동을 제어하면서, 아울러 네트워크 기능을 가진 제어모듈(130)이 구성된다. 제어모듈(130)은 소형 원-보드 마이크로컴퓨터 일 수 있고, 스마트 마운트 기기(100) 내부에 충분하게 설치될 수 있는 사이즈를 가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카메라(120)가 촬영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40, 도 3 참고)도 구비된다. 메모리(140)는 다양하게 동작할 수 있다. 즉, 스마트 마운트 기기(100)가 네트워크 기능을 수행할 수 없어 촬영된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없는 경우 일시 저장하거나, 촬영된 정보를 먼저 저장한 후 나중에 일괄적으로 클라우드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게 셋팅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마운트 기기(100)가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120)가 촬영한 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고객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용도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스마트 마운트 기기(100) 자체가 하나의 서버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와 같이 본 실시 예의 마네킹(10)은 머리가 없는 마네킹(Headless Mannequin)을 예를 들고 있으며, 스마트 마운트 기기(100)는 이러한 마네킹(10)의 목 부분에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즉, 목 부분의 상면에 장착될 수 있도록 스마트 마운트 기기(100)는 소정 두께의 원형판 모양의 본체(101)와, 본체(101) 외주면에 설치된 카메라(120), 그리고 본체(101) 내부의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센서(110)는 본체(101) 외주면에 설치되거나, 또는 본체(101)와 이격되게 연장되면서 마네킹(10)의 소정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마운트 기기(100)는 그 형상이나 모양을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다. 도 2의 마네킹(10)의 경우 목 부분에 장착할 수 있는 원형판 모양이지만, 도넛 모양이나, 변이 3개 이상인 다각형상 등으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머리가 있는 마네킹의 경우, 머리 상부에 안착되거나 이마 부분에 끼워서 장착할 수 있는 구조도 가능하다.
또 스마트 마운트 기기(100)는 마네킹(10) 이외의 제품을 스마트 제품으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제품과 일체로 장착되게 구성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어 TV나 냉장고 등과 같은 가전제품의 경우, 가전제품의 주변에 상기 스마트 마운트 기기(100)를 설치하여, 고객을 촬영할 수 있는 것과 같이, 다양한 전시 제품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고객 관리시스템은 센서(110) 및 카메라(120), 제어모듈(130)이 구비된 스마트 마운트 기기(100)가 구성된 스마트 마네킹(10)과, 상기 스마트 마네킹(10)과 통신하는 클라우드 서버(200)를 포함한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상기 스마트 마네킹(10)이 촬영한 고객 이미지를 전송받고, 빅 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고객의 나이 및 성별 등을 분석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는 다수의 스마트 마네킹(10)과 연결되고, 이러한 스마트 마네킹(10)이 전송하는 촬영 정보를 전송받는데, 전송받는 조건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특정 지역이나 장소를 구획하고 그 범위에 있는 스마트 마네킹(10)의 촬영정보를 구분하여 전송받는다. 예를 들면, **백화점, **쇼핑몰과 같이 구획범위를 정할 수 있고, 그러면 해당 장소를 방문한 고객정보를 더 심층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분석된 자료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10)가 더 제공된다. 저장된 자료들은 추후 상품이나 서비스 등의 마케팅을 위한 정보로 활용된다.
다음에는 스마트 마운트 기기(스마트 마네킹)(100)와 클라우드 서버(200)와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상기한 스마트 마운트 기기(즉 본체)(100)를 상기 머리가 없는 마네킹(Headless Mannequin)(10)의 목 부분 상면에 장착한다. 여기서 스마트 마운트 기기(100)를 단순 장착할 수도 있지만, 의도치 않은 진동으로 인한 추락을 방지하도록 스마트 마운트 기기(100)에 결합수단을 더 채용할 수도 있다.
결합수단의 예를 들면, 도면에는 미도시하고 있지만 본체(101)와 목 부분 상면에 서로 대응하도록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구성하거나, 벨크로테이프 또는 자성체 등을 이용하여 탈부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물론 이외의 다른 방법으로 마네킹(10)에 본체(101)를 용이하게 결합하고 분리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101)에 센서(110)가 미장착된 사양이면 센서(110)는 마네킹(10)의 소정 부분에 장착한다. 본체(101)와 센서(110) 사이는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신 가능하다.
이와 같이 마네킹(10)에 스마트 마운트 기기(100)가 장착되면, 일반적인 마네킹은 스마트 마네킹(10)으로 변경(개조)되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처음부터 스마트 마네킹(10)을 제조하거나 구매할 필요없이, 스마트 마운트 기기(100)만 기존 마네킹에 장착만 하면 스마트 마네킹(10)으로 구현할 수 있어, 적은 비용으로 보다 발전된 지능형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스마트 마네킹(100)이 소정 장소에 설치된다. 이때 스마트 마네킹(100)은 일반 마네킹과 같이 의상이나 각종 액세서리 등을 착용할 상태일 것이다. 즉, 머리 부분만 없는 상태이고 나머지는 일반 마네킹과 동일하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머리 있는 마네킹에도 스마트 마운트 기기(100)를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머리 부분의 유무와 상관없이 충분히 스마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고 봐야 한다.
스마트 마네킹(10)이 설치된 상태에서, 센서(110)는 고객의 접근 상태를 감지한다.
센서(110)는 고객이 센서(110)의 감지 범위 내로 접근하면 감지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모듈(130)로 전달한다. 그러면 제어모듈(130)은 상기 감지신호에 따라 카메라 구동신호를 카메라(120)로 전달하고, 카메라(120)는 카메라 구동신호에 의하여 센서 앞에 위치한 고객을 촬영한다. 그리고 촬영된 정보는 제어모듈(130)이 메모리(140)에 저장되거나 또는 클라우드 서버(200)로 전송된다.
여기서 센서(110)가 복수 개이고 센서(110)마다 카메라(120)가 할당된 경우, 센서(110)의 감지동작에 따라 복수 개의 카메라(120)는 각각 고객을 촬영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120)는 한 사람만 촬영하는 것에 더하여 한번에 여러 사람을 동시에 촬영할 수도 있고, 이 경우 클라이드 서버(200)는 한 장의 사진에 찍힌 여러 명의 얼굴을 각각 구분하여 분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카메라(120)는 상시 동작하는 것이 아니고 고객이 감지된 경우에만 동작하기 때문에, 전원 소모를 방지하며 관련없는 고객을 불필요하게 촬영하는 경우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실질적으로 마켓팅 등을 위한 실질적인 관심 고객만을 촬영할 수 있다는 점에서 허수를 최대한 제거한 질적인 정보를 수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할 것이다.
클라이드 서버(200)는 전송받은 촬영정보를 분석한다. 촬영된 정보는 고객의 얼굴 이미지이기 때문에, 클라우드 서버(200)는 얼굴 정보를 기초로 빅 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고객의 성별 및 나이 등을 온라인으로 분석하고 이를 DB화하여 데이터 베이스(210)에 저장한다.
그리고 DB화된 고객 정보는 마케팅 전략에 사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마트 마운트 기기(100)를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기존의 일반 마네킹을 관심 고객의 성별, 나이 등을 온라인으로 자동 수집, 관리 분석할 수 있는 스마트 마네킹(10)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마네킹
100: 스마트 마운트 기기
110: 센서
120: 카메라
130: 제어모듈
140: 메모리
200: 클라우드 서버
210: 데이터베이스

Claims (5)

  1. 마네킹 주변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
    상기 센서의 감지신호가 발생하면 촬영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
    상기 센서 및 카메라 구동을 제어하고, 카메라가 촬영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네트워크 통신하여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일반 마네킹의 소정 부분과 결합 및 분리되며 상기 일반 마네킹을 스마트 마네킹으로 구현하는 스마트 마운트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스마트 마운트 기기와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는 스마트 마운트 기기.
  3. 마네킹 주변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와,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카메라, 상기 센서 및 카메라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이 구비된 스마트 마운트 기기가 구비되며,
    상기 스마트 마운트 기기는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촬영정보를 수집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마네킹.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마운트 기기는,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촬영정보를 분석하도록 네트워크 연결된 클라우드 서버로 상기 촬영정보를 전송하는 스마트 마네킹.
  5. 제1항의 스마트 마운트 기기가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마네킹; 및
    상기 스마트 마네킹과 네트워크 연결되고, 상기 스마트 마네킹이 전송하는 촬영정보를 분석하여 고객정보를 관리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특정 위치나 장소에 있는 스마트 마네킹을 그룹으로 하여 고객 특징정보를 저장하고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관리 시스템.
KR1020190097334A 2019-08-09 2019-08-09 스마트 마운트 기기 및 스마트 마네킹, 이를 이용한 고객관리 시스템 KR202100176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334A KR20210017680A (ko) 2019-08-09 2019-08-09 스마트 마운트 기기 및 스마트 마네킹, 이를 이용한 고객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334A KR20210017680A (ko) 2019-08-09 2019-08-09 스마트 마운트 기기 및 스마트 마네킹, 이를 이용한 고객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680A true KR20210017680A (ko) 2021-02-17

Family

ID=74731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7334A KR20210017680A (ko) 2019-08-09 2019-08-09 스마트 마운트 기기 및 스마트 마네킹, 이를 이용한 고객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768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4641B2 (en) Parcel theft deterrence for A/V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US11335172B1 (en) Sharing video footage from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for parcel theft deterrence
US10769914B2 (en) Informative image data generation using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US10621733B2 (en) Enhanced visualization of breathing or heartbeat of an infant or other monitored subject
US8752106B2 (en) Mesh networked video and sensor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mesh networked sensors
US20200320837A1 (en) Parcel theft deterrence for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US11018939B1 (en) Determining product compatibility and demand
EP3516865B1 (en) Parcel theft deterrence for wireless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US20180114420A1 (en) Parcel Delivery Assistance and Parcel Theft Deterrence for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US11430565B2 (en) Inventory tracking system with availability identification
US2019014725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onitoring system,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WO2013069565A1 (ja) 撮影記録装置
CN106355692A (zh) 基于优化生活方式的社区管理系统
US20170358185A1 (en) Camera with wireless power transmitter
KR20210017680A (ko) 스마트 마운트 기기 및 스마트 마네킹, 이를 이용한 고객관리 시스템
US20220318729A1 (en) Shelf-mountable imaging system
KR20080090035A (ko) 웹 서비스를 이용한 방문자 식별 시스템 및 방법
CN110196633A (zh) 使用增强现实系统提供实体位置的方法及设备
CN109672921A (zh) 录制包装视频的方法、装置和系统
JP7375047B2 (ja) 表示制御装置、管理装置、表示制御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Poland et al. Spatial-frequency data acquisition using rotational invariant pattern matching in smart environments
CN107886145A (zh) 基于物联网的智能档案管理装置
CN110163310A (zh) 一种智慧城市的新型个人信息安全录入系统
WO2019006120A1 (en) VIDEO SEQUENCE SHARING FROM AUDIO / 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FOR PACKAGE DISCHARGE
Dalton et al. Exploiting Context Data Fidelity for Enhanced Privacy and Energy Sav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