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7647A - Office partition - Google Patents

Office part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7647A
KR20210017647A KR1020190097243A KR20190097243A KR20210017647A KR 20210017647 A KR20210017647 A KR 20210017647A KR 1020190097243 A KR1020190097243 A KR 1020190097243A KR 20190097243 A KR20190097243 A KR 20190097243A KR 20210017647 A KR20210017647 A KR 20210017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frame
office
upper fram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72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40372B1 (en
Inventor
박창원
Original Assignee
뷰로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뷰로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뷰로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7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0372B1/en
Publication of KR20210017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6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3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742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separate framed panels without intermediary support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79Details of connection of flexible sheets to frame or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ffice partition. The office partition comprises: an upper frame (10) and a lower frame (30) plac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a pair of vertical frames (50) connected with the upper frame (10) and the lower frame (30), respectively; a corner cap member (70) connecting the upper frame (10) or the lower frame (30) and the vertical frames (50) with each other, and comprising a body (72), a first connection member (74) connected with one side of the body (72), and a second connection member (76) connected with the other side of the body (72); a main panel (80) inserted into the upper frame (10), the lower frame (30) and a pair of the vertical frames (50); and a pair of sheets (90) covering front and rear sides of the main panel (90). Therefore, the office partition can have an advantage of easily replacing a polluted sheet as well as preventing a sheet from being delaminated by moisture.

Description

사무용 칸막이{Office partition}Office partition

본 발명은 사무용 칸막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분(습기)으로 인해 사무용 칸막이의 커버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오염시 커버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사무용 칸막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ffice partition, and in particular, to an office partition capable of preventing the cover of the office partition from being lifted due to moisture (moisture) and to easily replace the cover in case of contamination.

사무용 칸막이(파티션)는 사무실의 실내 공간을 분할하여 공간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으로, 업무 능률의 향상은 물론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사무용 칸막이(파티션)은 책상의 전방이나 좌우측방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개의 칸막이(파티션)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하기도 하며, 이러한 기술이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39923호(특허문헌 1)에 공개되어 있다.Office partitions (partitions) are used to maximize space efficiency by dividing the interior space of an office, and are widely used to improve work efficiency and protect personal privacy. In addition, such office partitions (partitions) are installed vertically in the front o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esk. In addition, in some cases, a plurality of partitions (partition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be used, and such a technique is disclosed in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39923 (Patent Document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39923호는 프레임을 쉽게 조립하거나 해체할 수 있고 조립된 프레임에 커버를 씌워 파티션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7-0139923 relates to a prefabricated partition that can be easily assembled or disassembled and used as a partition by putting a cover on the assembled frame.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39923호의 조립식 파티션은 테두리 모양을 결정하는 외부프레임 및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부를 가로지르면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외부프레임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을 감싸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프레임은 기둥형상의 복수개의 수직부재,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단부재 및 상기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수직부재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부재와 상단부재가 결합되기 위한 부분과 상기 수직부재와 하단부재가 결합되기 위한 부분이 편평한 판형 구조로 구성되는 점에 있다.The prefabricated partition of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39923 includes an outer frame for determining a shape of an edge and at least one inner frame coupled to the outer frame so as to be detachable while crossing the inner frame of the outer frame; And a cover surrounding the frame, wherein the outer frame is detachable using a plurality of pillar-shaped vertical members, an upper member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member, and the fastening member so as to be detachable using And a lower member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vertical member, wherein a portion for coupling the vertical member and the upper member and a portion for coupling the vertical member and the lower member are formed in a flat plate-like structure.

전술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39923호와 같은 종래의 조립식 파티션은 커버를 탈부착하는 수단으로 지퍼, 벨크로, 클립, 단추, 버튼, 접착제 등의 다양한 방법이 있다고 기재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방법으로 커버를 부착하게 되면 커버와 프레임사이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예를 들어, 지퍼, 벨크로(찍찍이)를 적용한 커버는 프레임에 일정한 장력으로 고정시킬 수 없고, 단추, 버튼을 적용한 커버는 구체적으로 어떻게 구성하는지 일예가 없으며, 접착제를 적용한 커버는 유해물질을 적용하게 되어 환경적 문제 및 수분(습기)으로 인한 들뜸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Conventional prefabricated partitions such as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39923 described above have various methods such as zippers, Velcro, clips, buttons, buttons, adhesives, etc. as means of attaching and detaching the cover. Problems that occur between the cover and the frame when the cover is attached (e.g., a cover with a zipper or velcro) cannot be fixed to the frame with a certain tension, and how to specifically configure a cover with buttons and buttons There is no example, and the cover to which the adhesive is applied has an environmental problem and a problem of being lifted due to moisture (moisture) due to the application of harmful substances).

: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39923호: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7-0139923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시트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아울러 오염시 시트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사무용 칸막이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o provide an office partition that allows easy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a sheet and easily replaces the sheet when it is contaminat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분으로 인한 시트의 들뜸을 방지함과 동시에 시트를 부착하기 위한 유해물질(접착제 등)을 적용하지 않은 친환경적인 사무용 칸막이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co-friendly office partition that does not apply harmful substances (adhesives, etc.) for attaching the sheet while preventing the sheet from lifting due to moistur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사무용 칸막의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전체적인 제조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사무용 칸막이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ffice partition that can reduce the overall manufacturing cost by configuring the office partition to be easily assembled without being an expert.

본 발명의 사무용 칸막이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이나 하부프레임을 수직프레임에 상호 연결되며,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몸체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코너캡 부재와; 상기 상부프레임, 하부프레임 및 한 쌍의 수직프레임에 끼워지는 메인패널과; 상기 메인패널의 전,후면을 덮는 한 쌍의 시트;로 구성되며, 상기 코너캡 부재의 몸체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제1 및 제2 수용부와, 상기 제1 및 제2 수용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끼움부에 끼워지는 돌출턱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시트의 지지부는 상부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절곡편에 끼워지고 상기 한 쌍의 시트의 수용부는 하부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절곡편에 각각 끼워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ffice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frame and a lower frame disposed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A pair of vertical frames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respectively; A corner cap member comprising a body, a first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dy, and a second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the upper frame or the lower frame being inter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 A main panel fitted to the upper frame, the lower frame, and a pair of vertical frames; A pair of sheets cover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main panel; and the body of the corner cap member includes first and second receiving portions for receiving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members, and the first and second 2 A protruding jaw disposed at a distance from the receiving portion and fitted into the fitting portion is provided, and the support portion of the pair of sheets is fitted to a bent piece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frame, and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pair of sheets i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fitted to each bent piece formed on one side.

본 발명의 사무용 칸막이는 시트의 일측에 배치된 지지부를 상부프레임, 하부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의 절곡편에 고정시킨 후 시트의 타측을 상부프레임, 하부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트의 오염시 시트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아울러, 수분으로 인한 시트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office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on the upper frame, the lower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after fixing the suppor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heet to the bent pieces of the upper frame, lower frame and vertical fram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be easily replaced and, in addition, can prevent the sheet from being lifted due to moisture.

본 발명의 사무용 칸막이는 시트를 부착하기 위하여 유해물질(접착제 등)을 적용하지 않게 되므로 친환경적인 사무용 칸막이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Since the office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apply harmful substances (adhesives, etc.) to attach the sheet, there is an advantage of providing an eco-friendly office partition.

본 발명의 사무용 칸막이는 상부프레임이나 하부프레임을 코너캡 부재를 이용하여 수직프레임에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누구나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office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anyone can easily perform the assembly work since the upper frame or the lower frame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 using a corner cap member.

도 1은 본 발명의 사무용 칸막이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상부,하부 및 수직프레임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코너캡 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시트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메인패널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인 프로파일이 상부프레임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the office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n upper, lower, and vertical frame that is an essential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rner cap member that is an essential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ofile, which is an essential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an upper frame.

이하, 본 발명의 사무용 칸막이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office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사무용 칸막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프레임(10,30)과, 수직프레임(50)과, 코너캡 부재(70)와, 메인패널(80) 및 한 쌍의 시트(90)로 크게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office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upper and lower frames 10 and 30, the vertical frame 50, the corner cap member 70, the main panel 80, and a pair of sheets. It is largely composed of (90).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10,30)은 사각형태의 중공프레임으로써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그리고, 상부 및 하부 프레임(10,30)은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수직프레임(50)에 의해 각각 연결된다. 즉, 상기 상부프레임(10)이나 하부프레임(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가이, 코너캡 부재(70)를 개재하여 수직프레임(50)에 연결되게 된다.The upper and lower frames 10 and 30 are rectangular hollow frames and are disposed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frames 10 and 30 are connected by a pair of vertical frames 50 arranged at intervals. That is, the upper frame 10 or the lower frame 30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 50 through the guide and corner cap members 70 as shown in FIG. 1.

상기 상부, 하부 및 수직 프레임(10,30,5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사각단면(52)의 하단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 돌기(54)와, 상기 사각단면(52)의 상단 중앙에 배치되며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태의 끼움부(55)와, 상기 사각단면(52)의 상부에 경사지게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 부재(56)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부재(56)의 내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후술하는 프로파일(110)의 한 쌍의 제1 절곡편(114)과 결합되는 한 쌍의 절곡편(58)을 각각 구비하게 된다. 상기 원통형태의 끼움부(55)에는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도시되지 않음)를 체결함에 의해 상부, 하부 및 수직 프레임(10,30,50)의 흔들림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부재(56)는 내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후술하는 한 쌍의 시트(90)를 용이하게 끼울 수 있게 된다.The upper, lower, and vertical frames 10, 30, and 50 have a pair of guide protrusions 54 disposed at intervals from the lower end of the hollow rectangular cross-section 52, as shown in FIGS. 1 and 2 , A cylindrical fitting part 55 disposed at the top center of the square cross-section 52 and one side open, a pair of guide members 56 disposed obliquely on the upper side of the rectangular cross-section 52, and the Each of the pair of bent pieces 58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pair of guide members 56 at intervals and is coupled with the pair of first bent pieces 114 of the profile 110 to be described later. By fastening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such as a screw to the cylindrical fitting part 55, shaking of the upper, lower, and vertical frames 10, 30, and 50 is prevented. In addition, since the pair of guide members 56 are disposed to be inclined inward, it is possible to easily fit a pair of sheets 9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코너캡 부재(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형태의 몸체(72)와, 상기 몸체(72)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74)와, 상기 몸체(72)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76)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72)는 제1 및 제2 측면(72a,72b)에 한 쌍의 돌출턱(75)이 각각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돌출턱(75)은 프로파일(110)의 흔들림이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이드 부재(56)와 절곡편(58)의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돌출턱(75)의 상부에는 절곡된 형태의 한 쌍의 끼움부(75a)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끼움부(75a)는 한 쌍의 돌출턱(75)의 결합시 함께 이동하여 상기 한 쌍의 돌출턱(75)의 결합을 용이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As shown in FIG. 3, the corner cap member 70 includes an arcuate body 72, a first connection member 74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dy 72, and the body 72 It is made of a second connecting member 76 connected to the other side. In addition, the body 72 has a pair of protruding jaws 75 disposed on the first and second side surfaces 72a and 72b, respectively, and the pair of protruding jaws 75 is a vibration of the profile 110 or It is sandwiched between the guide member 56 and the bent piece 58 to prevent separation. In addition, a pair of fitting portions 75a in a bent shape ar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protruding jaws 75, and the pair of fitting portions 75a is a combination of a pair of protruding jaws 75 When moving together, it serves to guide the coupling of the pair of protruding jaws 75 easily.

상기 코너캡 부재(70)의 제1 및 제2 연결부재(74,7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74a,76a)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부프레임(10) 및 하부프레임(30)이나 수직프레임(50)에 삽설되는 연결편(74b,76b)을 각각 구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편(74b,76b)은 일측이나 양측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돌출턱(74d, 76d)이 간격을 두고 각각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돌출턱(74d, 76d)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그 개수를 변경할 수도 있다.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members 74 and 76 of the corner cap member 70 ar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rackets 74a and 76a, as shown in FIG. 3, and the upper frame 10 and the lower frame 30 ) Or the connecting pieces 74b and 76b that are inserted into the vertical frame 50,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onnecting pieces 74b and 76b have a plurality of protruding jaws 74d and 76d at intervals on one or both sides thereof,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protruding jaws 74d and 76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상기 메인패널(80)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0), 하부프레임(30) 및 한 쌍의 수직프레임(50)에 끼워지게 되고, 각각의 외주연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골판지 형태의 주름부(82)가 형성된다. 상기 메인패널(80)은 상부프레임(10), 하부프레임(30) 및 한 쌍의 수직프레임(50)에 각각 형성된 단턱부(도시되지 않음)의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상기 메인패널(80)의 재질은 종이, 알루미늄, 철판, 목재류(원목, PB(Particle Board), MDFB(Medium Density Fiber Board)),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스트로폼 중의 하나로 이루어지게 된다.The main panel 80 is fitted into the upper frame 10, the lower frame 30, and a pair of vertical frames 50, as shown in FIGS. 1 and 5, and each outer circumference has a gap. A plurality of corrugated corrugated corrugated portions 82 are formed. The main panel 80 is fitted between the upper frame 10, the lower frame 30, and the stepped portions (not shown) formed on the pair of vertical frames 50, respectively. The material of the main panel 80 is paper, aluminum, iron plate, wood (solid wood, PB (Particle Board), MDFB (Medium Density Fiber Board)),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straw. It will consist of one of the forms.

상기 한 쌍의 시트(9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패널(90)의 전,후면을 덮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시트(90)의 재질은 직물이나 편물로 이루어진 천, 비닐, 부직포, 가죽 중의 하나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시트(9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태로서 측면에는 4개의 라운드부(92)가 형성되고, 상기 라운드부(92)는 코너캡 부재(70)를 덮을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라운드부(92)는 고무줄과 같은 탄성을 갖는 밴드(도시되지 않음)를 추가로 설치하여 코너캡 부재(70)를 쉽게 덮을 수 있게 구성된다.The pair of sheets 90 is configured to cover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main panel 90 as shown in FIGS. 1 and 4. 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pair of sheets 90 is made of one of a fabric or a knitted fabric, vinyl, non-woven fabric, or leather.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sheet 90 has a quadrangular shape and has four round portions 92 formed on the side surfaces, and the round portion 92 is configured to cover the corner cap member 70 do. In addition, the round portion 92 is configured to easily cover the corner cap member 70 by additionally installing a band (not shown) having elasticity such as a rubber band.

상기 시트(90)의 4면에는 지지대의 역할을 수행하는 지지부(94,94a)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94,94a)는 지지대 역할은 물론 수용부의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지지부(94)는 일예로 시트(90)와 유사한 재질을 재봉하여 견고한 형태로 구성하여 지지대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Supporting portions 94 and 94a serving as a support are formed on the four surfaces of the sheet 90. The support portions 94 and 94a serve as a support as well as a receiving portion. Here, the support unit 94 is configured in a solid shape by sewing a material similar to that of the sheet 90, for example, to serve as a support.

한편, 상기 시트(90)의 지지부(94)는 수용부(96)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96)는 시트의 일부분이 접혀진 부분으로 시접 처리한 부분이라고 이해하기 바란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portion 94 of the sheet 90 is formed in each of the receiving portion 96, the receiving portion 96 is a portion of the sheet is folded to be understood to be a seam allowance treatment.

상기 한 쌍의 시트(90)의 지지부(94)는 상부프레임(10) 및 하부프레임(30)에 형성된 가이드부재(56)에 각각 끼워지고, 한 쌍의 시트의 지지부(94a)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50)에 형성된 가이드 부재(56)에 각각 끼워지게 구성된다.The support portions 94 of the pair of sheets 90 are fitted to the guide members 56 formed on the upper frame 10 and the lower frame 30, respectively, and the support portions 94a of the pair of sheets are It is configured to be fitted to the guide member 56 formed in the vertical frame 50, respectively.

본 발명의 사무용 칸막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프레임(112)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부 프레임(10)의 한 쌍의 절곡편(58)에 끼워지는 한 쌍의 제1 절곡편(114)과, 수평 프레임(112)의 상부에 배치되며 일측이나 양측에 보조 물품(118)을 설치하기 위한 한 쌍의 제2 절곡편(116)로 이루어진 프로파일(110)을 더 포함하게 구성된다. 특히, 상기 프로파일(110)은 별도로 보조 물품(118)(시계, 책꽂이, 필통, 보관함 등)을 설치할 경우 종래 사무용 칸막이에 비하여 그 활용도가 현저히 높아지게 된다.As shown in FIG. 6, the office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under the horizontal frame 112 and is fitted with a pair of bent pieces 58 of the upper frame 10. ), and is disposed on the top of the horizontal frame 112 and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profile 110 consisting of a pair of second bent pieces 116 for installing the auxiliary article 118 on one or both sides. In particular, the profile 110 is significantly increased in utiliza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ffice partition when the auxiliary article 118 (clock, bookcase, pencil case, storage box, etc.) is separately installed.

상기 한 쌍의 제1 절곡편(114)의 돌기부(114a)는 서로 외측으로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절곡편(116)의 돌기부(116a)는 서로 내측으로 향하게 배치된다. The protrusions 114a of the pair of first bent pieces 114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outward, and the protrusions 116a of the pair of second bent pieces 116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ward.

상기 한 쌍의 제1 절곡편(114)은 상부프레임(10), 하부프레임(30) 및 수직프레임(50)의 한 쌍의 절곡편(58)과 각각 끼워지게 구성되므로 상부프레임(10), 하부프레임(30) 및 수직프레임(50)의 공간부(도시되지 않음)를 줄이게 되므로 사무용 칸막이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Since the pair of first bent pieces 114 is configured to be fitted with each of the pair of bent pieces 58 of the upper frame 10, the lower frame 30 and the vertical frame 50, the upper frame 10, Since the space portion (not shown) of the lower frame 30 and the vertical frame 50 is reduced, the appearance of the office partition can be made beautiful.

상기 한 쌍의 제2 절곡편(116)은 그 일측이나 양측에 보조 물품(118)을 끼울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보조 물품(118)도 상기 제2 절곡편(116)에 끼울 수 있도록 절곡된 형태로 구성된다.The pair of second bent pieces 116 is configured to fit an auxiliary article 118 on one or both sides thereof. In addition, the auxiliary article 118 is also configured in a bent shape so that it can be fitted to the second bent piece 116.

본 발명의 사무용 칸막이의 조립과정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assembly process and operation of the office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사무용 칸막이는 상부프레임(10)과 하부프레임(30)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고 아울러 수직프레임(50)도 소정 길이로 절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프레임(10)과 하부프레임(30)을 한 쌍의 수직프레임(50)에 코너캡 부재(70)를 이용하여 연결하게 된다.In the office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frame 10 and the lower frame 30 are cut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vertical frame 50 is also cut to a predetermined length. Further, the upper frame 10 and the lower frame 30 are connected to a pair of vertical frames 50 by using a corner cap member 70.

상기 상부프레임(10), 하부프레임(30) 및 한 쌍의 수직프레임(50)의 사이에 메인패널(80)을 끼우게 된다(즉, 상부프레임(10)과 한 쌍의 수직프레임(50)을 코너캡 부재(70)로 연결하고 메인패널(80)을 삽입한 후 하부프레임(30)을 코너캡 부재(70)에 끼우거나, 하부프레임(30)과 한 쌍의 수직프레임(50)을 연결하고 코너캡 부재(70)로 연결하고 메인패널(80)을 삽입한 후 상부프레임(10)을 코너캡 부재(70)에 끼우게 된다).The main panel 80 is inserted between the upper frame 10, the lower frame 30, and the pair of vertical frames 50 (that is, the upper frame 10 and the pair of vertical frames 50). Is connected to the corner cap member 70 and the main panel 80 is inserted, and then the lower frame 30 is inserted into the corner cap member 70, or the lower frame 30 and a pair of vertical frames 50 After connecting, connecting with the corner cap member 70, inserting the main panel 80, and then inserting the upper frame 10 into the corner cap member 70).

상기 상부프레임(10)과 코너캡 부재(70)의 연결방법은 상부프레임(10)에 형성된 중공의 사각단면(52)의 하단에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 돌기(54)측으로 코너캡 부재(70)의 제1 연결부재(74)의 연결편(74b)을 끼우고 밀어서 체결하게 된다. 이때, 코너캡 부재(70)의 한 쌍의 돌출턱(75)은 상부프레임(10)의 사각단면(52)의 상부에 배치된 가이드 부재(56)와 절곡편(58)의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The connecting method of the upper frame 10 and the corner cap member 70 is to the corner cap member 70 toward the pair of guide protrusions 54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hollow square section 52 formed in the upper frame 10. ), the connecting piece 74b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74 is inserted and pushed to be fastened. At this time, the pair of protruding jaws 75 of the corner cap member 70 is sandwiched between the guide member 56 and the bent piece 58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ctangular cross-section 52 of the upper frame 10. do.

상기 하부프레임(30)과 코너캡 부재(70)의 연결방법은 전술한 상부프레임(10)과 코너캡 부재(70)의 연결방법과 유사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connection method of the lower frame 30 and the corner cap member 70 is similar to the connection method of the upper frame 10 and the corner cap member 70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수직프레임(50)과 코너캡 부재(70)의 연결방법은 수직프레임(50)에 형성된 중공의 사각단면(52)의 하단에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 돌기(54)측으로 코너캡 부재(70)의 제2 연결부재(76)의 연결편(76b)을 끼우고 밀어서 체결하게 된다. 이때, 코너캡 부재(70)의 돌출턱(75)은 수직프레임(50)의 사각단면(52)의 상부에 배치된 가이드 부재(56)와 절곡편(58)의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method of the vertical frame 50 and the corner cap member 70 is to the corner cap member toward the pair of guide protrusions 54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hollow square section 52 formed in the vertical frame 50. The connecting piece (76b)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76) of (70) is inserted and pushed to be fastened. At this time, the protruding protrusion 75 of the corner cap member 70 is fitted between the guide member 56 and the bent piece 58 disposed above the rectangular cross section 52 of the vertical frame 50.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부프레임(10), 하부프레임(30) 및 수직프레임(50)에 코너캡 부재(70)를 연결하여 사각형 형태로 구성하게 된다(상기 상부프레임(10), 하부프레임(30) 및 수직프레임(50)에 코너캡 부재(70)의 연결시, 한 개의 프레임을 배제하고 메인패널(80)을 끼워서 사각형의 중공부분이 채워진 사각형 형태를 구성하게 된다).In this way, the corner cap member 70 is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10, the lower frame 30 and the vertical frame 50 to form a square shape (the upper frame 10, the lower frame 30). And when the corner cap member 70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 50, one frame is excluded and the main panel 80 is fitted to form a rectangular shape filled with a rectangular hollow portion).

상부프레임(10), 하부프레임(30) 및 한 쌍의 수직프레임(50)에 메인패널(80)이 끼워진 상태에서 작업자는 메인패널(80)의 전면에 한 쌍의 시트(90)중 하나의 시트(90)를 설치하고 이어서 메인패널(80)의 후면에 다른 시트(90)를 설치하게 된다.In the state where the main panel 80 is fitted to the upper frame 10, the lower frame 30, and the pair of vertical frames 50, the operator can use one of the pair of sheets 90 on the front of the main panel 80. After the seat 90 is installed, another seat 90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panel 80.

먼저, 작업자는 하나의 시트(90)의 지지부(94)를 상부프레임(10)의 가이드 부재(56)에 끼우고 시트(90)를 당겨서 지지부(94)를 하부프레임(30)의 가이드 부재(56)에 끼우게 된다. 그리고, 하나의 시트(90)의 지지부(94a)는 수직프레임(50)에 형성된 가이드 부재(56)에 각각 끼워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시트(90)의 지지부(94,94a)는 박음질을 수행하여 딱딱하게 구성되므로 가이드 부재(56)에 끼워져 시트(9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시트(90)의 지지부(94,94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96)에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작업자 지지부(94,94a)를 가이드 부재(56)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First, the operator inserts the support portion 94 of one sheet 90 into the guide member 56 of the upper frame 10 and pulls the sheet 90 to attach the support portion 94 to the guide member of the lower frame 30 ( 56). 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s 94a of one seat 90 are fitted to the guide members 56 formed on the vertical frame 50, respectively. Here, since the support portions 94 and 94a of the sheet 90 are formed to be rigid by performing the lockstitching, they are inserted into the guide member 56 to support the sheet 90. 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portions 94 and 94a of the sheet 90 are disposed in the receiving portion 96 in a horizontal direction or a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4, the operator support portions 94 and 94a are attached to the guide member 56 Can be installed easily.

한편, 상기 시트(90)는 4개의 모서리에는 라운드부(92)가 형성되므로 코너캡 부재(70)를 용이하게 덮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시트(90)중 하나의 시트(90)는 메인패널(80)의 전면을 덮는 것이고, 다른 하나의 시트(90)는 메인패널(80)의 후면을 덮는 것이다. 그리고, 시트(90)는 메인패널(80)을 덮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상기 시트(90)는 상부프레임(10), 하부프레임(30), 한 쌍의 수직프레임(50) 및 코너캡 부재(70)를 덮는 것으로 이해하기 바란다.Meanwhile, since the sheet 90 has round portions 92 formed at four corners, it is possible to easily cover the corner cap member 70. Here, one sheet 90 of the pair of sheets 90 covers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panel 80, and the other sheet 90 covers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panel 80. Further, the sheet 90 is described as covering the main panel 80, but the sheet 90 includes an upper frame 10, a lower frame 30, a pair of vertical frames 50, and a corner cap member 70. Please understand it as covering.

본 발명의 사무용 칸막이는 상부프레임(10)이나 하부프레임(30)을 코너캡 부재(70)를 이용하여 수직프레임(50)에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누구나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office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 50 using the upper frame 10 or the lower frame 30 using the corner cap member 70, so anyone can easily perform the assembly work There is thi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사무용 칸막이는 시트(90)의 일측에 배치된 지지부(94)를 상부프레임(10), 하부프레임(30)의 가이드 부재(56)에 고정시키고 시트(90)의 타측에 배치된 지지부(94a)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50)의 가이드 부재(56)에 설치하게 되므로 시트(90)의 오염시 시트(9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아울러, 수분으로 인한 시트(90)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office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xes the support portion 94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heet 90 to the guide member 56 of the upper frame 10 and the lower frame 30, and to the other side of the seat 90. Since the disposed support portion 94a is installed on the guide member 56 of the pair of vertical frames 50, the sheet 90 can be easily replaced when the sheet 90 is contaminated, and the sheet due to moisture ( 90) can be prevented from lifting.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무용 칸막이는 시트를 부착하기 위하여 유해물질(접착제 등)을 적용하지 않게 되므로 친환경적인 사무용 칸막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office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apply harmful substances (adhesives, etc.) to attach the shee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co-friendly office partition.

본 발명의 사무용 칸막이는 사무실 또는 책상 등의 가구 산업분야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The office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dely applied to a furniture industry field such as an office or a desk.

10: 상부프레임 30: 하부프레임
50: 수직프레임 70: 코너캡 부재
72: 몸체 74,76: 제1 및 제2 연결부재
80: 메인패널 90: 한 쌍의 시트
94,94a: 지지부 96: 수용부
110: 프로파일
10: upper frame 30: lower frame
50: vertical frame 70: corner cap member
72: body 74,76: first and second connecting members
80: main panel 90: a pair of sheets
94,94a: support portion 96: receiving portion
110: profile

Claims (9)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부프레임(10) 및 하부프레임(30)과;
상기 상부프레임(10) 및 하부프레임(30)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50)과;
상기 상부프레임(10)이나 하부프레임(30)을 수직프레임(50)에 상호 연결되며, 몸체(72)와, 상기 몸체(72)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74)와, 상기 몸체(72)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76)로 이루어진 코너캡 부재(70)와;
상기 상부프레임(10), 하부프레임(30) 및 한 쌍의 수직프레임(50)에 끼워지는 메인패널(80)과;
상기 메인패널(90)의 전,후면을 덮는 한 쌍의 시트(90);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시트(90)의 지지부(94)는 상부프레임(10) 및 하부프레임(30)에 형성된 가이드 부재(56)에 각각 끼워지고, 한 쌍의 시트(90)의 지지부(94a)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50)에 형성된 가이드부재(56)에 각각 끼워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칸막이.
An upper frame 10 and a lower frame 30 disposed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A pair of vertical frames 50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10 and the lower frame 30, respectively;
The upper frame 10 or the lower frame 30 is inter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 50, the body 72, a first connection member 74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dy 72, and the body A corner cap member 70 made of a second connecting member 76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72;
A main panel 80 fitted into the upper frame 10, the lower frame 30, and the pair of vertical frames 50;
Consists of; a pair of sheets 90 cover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main panel 90,
The support portions 94 of the pair of sheets 90 are fitted to the guide members 56 formed on the upper frame 10 and the lower frame 30, respectively, and the support portions 94a of the pair of sheets 90 are Office partition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fitted to each of the guide member 56 formed in a pair of vertical frames (5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10), 하부프레임(30) 및 수직프레임(50)은 중공의 사각단면(52)의 하단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 돌기(54)와, 상기 사각단면(52)의 상단 중앙에 배치되며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태의 끼움부(55)와, 상기 사각단면(52)의 상부에 경사지게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 부재(56)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부재(56)의 내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프로파일(110)의 한 쌍의 제1 절곡편(114)과 결합되는 한 쌍의 절곡편(58)을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칸막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frame 10, the lower frame 30, and the vertical frame 50 have a pair of guide protrusions 54 arranged at intervals from the lower end of the hollow rectangular cross-section 52, and the rectangular cross-section 52 A cylindrical fitting portion 55 disposed at the top center of the top and one side opened, a pair of guide members 56 disposed obliquely on the upper side of the rectangular cross-section 52, and the pair of guide members 56 Office partition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ir of bent pieces (58), which are arranged at intervals on the inside of the profile (110) and coupled with a pair of first bent pieces (114) of the profile (1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캡 부재(70)의 몸체(72)는 제1 및 제2 측면(72a,72b)에 한 쌍의 돌출턱(75)이 각각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돌출턱(75)은 가이드 부재(56)와 절곡편(58)의 사이에 각각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칸막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72 of the corner cap member 70 has a pair of protruding jaws 75 disposed on the first and second side surfaces 72a and 72b, respectively, and the pair of protruding jaws 75 is a guide member Office partitions, characterized in that sandwiched between each of (56) and the bent piece (5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캡 부재(70)의 제1 및 제2 연결부재(74,76)는 브라켓(74a,76a)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부프레임(10) 및 하부프레임(30)이나 수직프레임(50)에 삽설되는 연결편(74b,76b)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칸막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members 74 and 76 of the corner cap member 70 ar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rackets 74a and 76a and are attached to the upper frame 10 and the lower frame 30 or the vertical frame 50. Office partition,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each of the connecting pieces (74b, 76b) to be insert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74b,76b)은 일측이나 양측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돌출턱(74d, 76d)이 간격을 두고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칸막이.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necting piece (74b, 76b) is an office parti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protruding jaws (74d, 76d) are arranged at intervals at intervals on one or both si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패널(80)의 재질은 종이, 알루미늄, 철판, 목재류(원목, PB(Particle Board), MDF(Medium Density Fiber Board)),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스트로폼 중의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칸막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material of the main panel 80 is paper, aluminum, iron plate, wood (solid wood, PB (Particle Board), MDF (Medium Density Fiber Board)),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straw. Office partition,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one of the foa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시트(90)의 재질은 직물이나 편물로 이루어진 천, 비닐, 부직포, 가죽 중의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트(90)는 사각형 형태로서 측면에는 코너캡 부재(70)를 덮을 수 있도록 라운드 형태로 구성된 4개의 라운드부(9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칸막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material of the pair of sheets 90 is made of one of fabric or knitted fabric, vinyl, non-woven fabric, and leather, and the sheet 90 has a rectangular shape and has a rounded side to cover the corner cap member 70 Office divi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our round parts 92 are formed in a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무용 칸막이는 수평 프레임(112)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부 프레임(10)의 한 쌍의 절곡편(58)에 끼워지는 한 쌍의 제1 절곡편(114)과, 수평 프레임(112)의 상부에 배치되며 일측이나 양측에 보조 물품(118)을 설치하기 위한 한 쌍의 제2 절곡편(116)로 이루어진 프로파일(1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칸막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office partition is disposed under the horizontal frame 112 and is fitted with a pair of first bent pieces 114 of the upper frame 1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12 Office divid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rofile 110 consisting of a pair of second bent pieces 116 for installing the auxiliary article 118 on one or both sid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절곡편(114)의 돌기부(114a)는 서로 외측으로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절곡편(116)의 돌기부(116a)는 서로 내측으로 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칸막이.
The method of claim 8,
The protrusions 114a of the pair of first bent pieces 114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outward, and the protrusions 116a of the pair of second bent pieces 116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ward. Office dividers.
KR1020190097243A 2019-08-09 2019-08-09 Office partition KR1022403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243A KR102240372B1 (en) 2019-08-09 2019-08-09 Office part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243A KR102240372B1 (en) 2019-08-09 2019-08-09 Office part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647A true KR20210017647A (en) 2021-02-17
KR102240372B1 KR102240372B1 (en) 2021-04-14

Family

ID=74731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7243A KR102240372B1 (en) 2019-08-09 2019-08-09 Office parti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037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8128A (en) * 2021-03-12 2022-09-20 주식회사 퍼시스 Parti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3571A (en) * 1999-04-21 2000-10-31 Ebarisu Kk Connecting structure, joint and frame body
JP2004068494A (en) * 2002-08-08 2004-03-04 Kokuyo Co Ltd Panel
KR20090001284U (en) * 2007-08-01 2009-02-05 주식회사 세연 Structure of Partition
KR20170041519A (en) * 2015-10-07 2017-04-17 주식회사 모자이크스 A partition assembly
KR20170139923A (en) 2016-06-10 2017-12-20 주식회사 펀잇쳐스 Assembled parti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3571A (en) * 1999-04-21 2000-10-31 Ebarisu Kk Connecting structure, joint and frame body
JP2004068494A (en) * 2002-08-08 2004-03-04 Kokuyo Co Ltd Panel
KR20090001284U (en) * 2007-08-01 2009-02-05 주식회사 세연 Structure of Partition
KR20170041519A (en) * 2015-10-07 2017-04-17 주식회사 모자이크스 A partition assembly
KR20170139923A (en) 2016-06-10 2017-12-20 주식회사 펀잇쳐스 Assembled parti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8128A (en) * 2021-03-12 2022-09-20 주식회사 퍼시스 Part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0372B1 (en) 202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13474A (en) Portable wall partition
US4635418A (en) Portable partition wall system
KR101633855B1 (en) Top board support member is provided with a table
KR102240372B1 (en) Office partition
US20080029336A1 (en) Acoustic panel
JP2007239359A (en) Panel with stretched sheet
US6502258B1 (en) Fitted top sheet
KR20230129960A (en) A Chair with a Back Folded
KR200485470Y1 (en) Furniture corner finish
JP2015000255A (en) Composite plate material,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osite plate material, and top board
KR20170041519A (en) A partition assembly
KR20100009484U (en) A safety molding
KR101562796B1 (en) Assembled partition
KR102230184B1 (en) Desk with partition
KR200481374Y1 (en) Portable desk partition
KR200497069Y1 (en) Screen Panel Assembly
KR20180000422U (en) Bed Mattress Serving Folding Base Plate
JPH053061Y2 (en)
KR200427959Y1 (en) Device that fix sheet on partition
KR20190001839U (en) The mattress supporting bed bottom plate comb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US1945130A (en) Table top structure
JPWO2004075697A1 (en) Picture frame
JPH08405Y2 (en) Cross pasting split panel
KR20190001838U (en) Mattress supporting bed bottom plate combined in the lateral direction
KR102464699B1 (en) Mirror having impact resist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