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7240A - 합체 또는 개별놀이가 가능한 완구딱지 - Google Patents

합체 또는 개별놀이가 가능한 완구딱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7240A
KR20210017240A KR1020190096198A KR20190096198A KR20210017240A KR 20210017240 A KR20210017240 A KR 20210017240A KR 1020190096198 A KR1020190096198 A KR 1020190096198A KR 20190096198 A KR20190096198 A KR 20190096198A KR 20210017240 A KR20210017240 A KR 20210017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groove
unit
arm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6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탁
박순덕
Original Assignee
(주)알고파토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고파토이 filed Critical (주)알고파토이
Priority to KR1020190096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7240A/ko
Publication of KR20210017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2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18Throwing or slinging toys, e.g. flying disc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groov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구 딱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특정되어지는 형상의 표면으로 형성되어지는 몸체의 이면에는 평면부로 형성하고, 상기 평면부에는 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홈부에 동전등의 중량체를 삽입하여 놀이가 가능하면서 이러한 홈부를 연결체를 이용하여 연결토록 하여 2개의 딱지를 하나로 합체하여 놀이가 가능토록 한 것으로, 연결체를 전체적으로 육각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홈부의 형태가 삼각형이나 사각형 또는 원형에 모두 적용가능토록 하고, 연결체를 암부와 숫부로 등분된 상태에서 서로 맞물림 되게 조립토록 하고 조립된 상태에서 초음파에 의하여 융착되어지도록 하여 분리되어짐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한 연결체를 사용하여 닥지를 합체하였을 경우에 이격간격이 발생되지 않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합체 또는 개별놀이가 가능한 완구딱지{A PLAYING CARD}
본 발명은 완구 딱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특정되어지는 형상의 표면으로 형성되어지는 몸체의 이면에는 평면부로 형성하고, 상기 평면부에는 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홈부에 동전등의 중량체를 삽입하여 놀이가 가능하면서 이러한 홈부를 연결체를 이용하여 연결토록 하여 2개의 딱지를 하나로 합체하여 놀이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완구 딱지 몸체는 표면에는 특정되어진 형상이 입체적으로 형상화되어지고, 그 이면에 평면부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중앙부근에는 홈부를 구비하여 상기 홈부에 동전을 이탈되지 않게 삽입토록 한 후 동전의 중량을 이용하여 바닥에 놓여진 딱지를 때려서 뒤집어지게 하는 딱지놀이를 하거나 또는 이렇게 뒤집어 질 경우에 동전을 빼앗아 오는 놀이등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홈부는 단지 동전이 삽입가능토록 하기 위해 일정깊이로 이루어지면서 원형으로 이루어져 단지 동전만을 삽입가능토록 하고 있는 것이고 삽입된 동전이 이탈되지 않토록 원형의 홈부의 상단테두리에 대칭되는 위치에 복수로 걸림막을 구비토록 하여 원형의 홈부에 삽입된 동전을 가리게 되면서 삽입된 동전이 임의적으로 이탈되지 않토록 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홈부에 2개의 딱지를 합체하기 위하여 별도의 연결체를 사용하여 2개의 딱지를 합체하기가 불가능한 것이고, 가능할 경우에도 합체된 상태에서 반드시 동전과 동전을 연결하는 축이 구비되어야 함으로 이러한 축에 의하여 함체된 딱지가 살짝 이격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런 구조로는 딱지놀이가 상층에서 때려서 뒤집어지도록 하는 것인데 이러한 이격되어짐은 합체된 딱지의 장점을 살리지 못하여 실질적으로 함체딱지로서 사용치 못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합체딱지로 제안된 것으로는 어느 하나의 딱지이면에는 요부를 구비하고 이와 합체되는 또 다른 딱지에는 돌부를 구비하여 서로 요부와 돌부가 맞물림토록 함으로서 이격간격이 없이 함체가 가능토록 한 것이 제안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의 단점은 돌부가 구비된 딱지는 개별적인 딱지놀이로 사용될 수 없다라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원통형의 연결체를 구비하고, 상기 원통체로 연결되는 각각의 딱지의 이면에는 일정깊이의 홈부만을 구비토록 함으로서 합체도 가능하고 개별적인 놀이도 가능토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원통의 연결체를 사용할 경우에는 원통형의 연결체에 각각 연결되는 딱지가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구비수단으로는 원통체의 양단에는 홈테를 구비하고 딱지의 이면에 형성되는 홈부의 내벽에는 돌출테를 구비하여 서로 맞물림토록 함으로서 원통체를 이용한 합체 이후에 임의적인 이탈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실질적인 제조에서 홈부의 내벽에 돌출테를 구비할 경우에 사출성형후 강제빼기에 의하여 이루어져야 함으로 돌출테를 구비할 경우에 미세한 높이로만 제한적으로 돌출되어져 실질적인 결합력에서 많은 문제점을 발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합체된 상태에서 강하게 내려칠 경우에는 이러한 충격에 쉽게 분리가능성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딱지의 구조는 단지 함체용으로만 사용가능하고 동전을 삽입하여 중량체에 의하여 또는 동전을 뻬앗아가는 놀이용으로는 사용치 못한다는 단점이 잇는 것이다.
따라서 본원출원인이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연결체를 양측으로 대응되게 경사홈테로 구비토록 하고 상기 경사홈테에 결합될 수 있도록 딱지에는 내측 경사면을 갖는 홈부를 구비토록 함으로서 동전놀이도 가능하고, 함체놀이도 가능토록 한 것을 제안하였으나, 이러한 것의 단점이 연결체를 성형할 경우에 성형성이 떨어진다라는 것이고, 두꺼운 살두께로 인하여 사출성형후 냉각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사출타임이 길어져 생산성이 떨어진다라는 단점이 있는 것이고, 홈부의 다양한 형상 예를 들면 삼각형이나 사각형등의 형상에는 사용치 못한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35034호 (2006.12.27)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동전을 이용한 다양한 놀이가 가능하면서도 홈부를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한 딱지에도 적용가능하면서 각각의 개별딱지로 사용가능하고, 동시에 연결체를 사출성형이 용이하면서도 함체된 상태에서도 이격간격이 존재하지 않토록 하면서 강한 충격에도 이격되지 않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연결체를 전체적으로 육각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홈부의 형태가 삼각형이나 사각형 또는 원형에 모두 적용가능토록 하고, 연결체를 암부와 숫부로 등분된 상태에서 서로 맞물림 되게 조립토록 하고 조립된 상태에서 초음파에 의하여 융착되어지도록 하여 분리되어짐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한 연결체를 사용하여 닥지를 합체하였을 경우에 이격간격이 발생되지 않토록 한 것이다.
또한 연결체의 초음파 융착할 경우에 위치 고정을 위하여 어느 하나의 조각에는 고정홈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홈에 맞물리게 대응되는 조각에는 돌기를 구비토록 하여 1차 조립된 상태에서 초음파 접착토록 한 것이다.
또한 초음파 접착시 용이한 접착이 유도될 수 있도록 고정홈이 형성된 테두리에는 용착돌출테를 구비하여 쉽게 접착고정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또한 초음파 융착에 의하여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체는 내측으로 경사면이 대응되게 형성되고, 이와 맞물리게 딱지의 홈부에도 맞물림경사면이 구비토록 하여 연결체의 연결후 견고한 연결고정이 가능하게 되면서 분리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결체를 사로 대응되게 등분토록 하여 사출성형이 용이토록 함은 물론 얇은 두게로 이루어져 조립된 상태에서도 형태변형이 존재치 아니하고, 또한 일반금형에서 제작되어져 생산성의 향상과 경제성을 구비토록 한 것이다.
또한 전체적으로 육각형으로 이루어져 홈부가 삼각형일 경우에는 물론 사각형이나 원형일 경우에도 모두 사용가능하게 되고, 또한 원형일 경우에도 육각형의 모서리부분에 의하여 조립되어지게 원형의 형태가 커지게 되어 내측경사면이 구비되게 사출성형할 경우에 언더컷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잇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연결체의 외관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연결체의 등분된 상태도.
도3은 본 발명의 연결체의 어느 하나의 조작에 융착돌출테가 구비되어 융착되는 상태도.
도4 내지 도6a는 본 발명의 연결체를 이용하여 딱지의 다양한 홈부에 결합되는 상태도.
도7은 본 발명의 합체딱지의 사시도.
도8은 종래의 일반적인 홈부를 나타낸 일실시예
도9는 종래의 연결체를 이용하여 합체되는 일실시예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합체딱지(1)는 2개의 개별딱지(20,30)로 사용되어지는 각각의 딱지(20,30)에 각각 구비되는 홈부(21,31)에 연결가능한 연결체(10)를 사용하여 합체되는 것이고, 상기 연결체(10)를 본 발명에서는 전체적으로 육각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딱지(20,30)의 홈부(21,31)의 형태가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이거나 사각형 또는 원형에 모두 적용가능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체(10)를 2개의 조각으로 등분토록 하여 어느하나의 조각은 암부(11)로 구성하고 대응되는 조각은 숫부(12)로 구성하여 서로 결합토록 한 것이다.
이때 암부(11)는 고정홈(11a)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이러한 고정홈의 형태가 단수일 경우에는 회전방지수단이 고정홈에 구비되어지는 것이고, 이를 위하여 고정홈을 다각형으로 할 경우에 간단하게 구현가능하고, 이러한 다각형을 형성할 경우에 사출성형시 사출물이 잘 흐르지 않는 점을 감안하여 원형에 어느 일측으로 면취면을 구비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형태의 암부에 맞물림되게 숫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암부(11)에 고정홈(11a)을 복수로 구비할 경우에는 고정홈(11a)이 원형이어도 상관이 없고, 숫부(12)에도 고정돌기(12a)를 복수로 구비토록 하여 서로 맞물림토록 함으로서 가장 용이하게 성형이나 조립이 용이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홈과 고정돌기에 맞물린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토록 걸림수단을 구비하여 서로 맞물림된 상태에서 연결체로 사용할 수 있으나 이럴 경우에는 가압에 의한 맞물림이라 강한 충격에 의하여 연결체가 분리되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가장 좋은 것은 암부나 숫부의 어느 하나에 융착돌출테(13)를 구비하고 상기 암부와 숫부를 복수의 고정홈과 고정돌기로 1차 고정토록 한 상태에서 초음파를 가하여 융착돌출테(13)가 용융되어지면서 암부와 숫부를 서로 융착토록 함으로서 분리가능성을 완전하게 해소할 수 있는 것이고 이러한 융착방식에 의하여 연결체의 두게도 좀더 얇아지게 되는 효과가 잇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체를 구성하는 등분된 숫부(12)와 암부(11)는 각각 테두리의 내측 즉 고정홈(11a)이나 고정돌기(12a)가 형성된 부분으로 각각 경사면(14)이 형성되고, 이와 맞물리게 딱지(20,30)의 홈부(21,31)에도 맞물림경사면(22,32)이 구비토록 하여 본 발명의 연결체(10)를 이용하여 2개의 딱지(20,30)를 합체할 경우에 연질의 특성으로 합체가 가능하게 되고 합체된 상태에서는 딱지(20,30)끼리 서로 밀착되어진 상태에서 연결체(10)로 연결되어져 이런 연결된 부분에 휘어짐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합체된 상태에서 어떤 충격에 의하여도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딱지를 합체하지 않고 개별적으로 사용될 경우에도 이러한 맞물림경사면으로 인하여 동전의 삽입고정은 물론 분리도 가능하게 될 수 있는 것이고, 합체시에는 육각형의 연결체로 인하여 다양한 형상(삼각형, 사각형 또는 원형)의 홈부에 연결가능토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1:합체딱지
10: 연결체
11:암부 12:숫부
11a:고정홈 12a:고정돌기
13:융착돌출테 14:경사면
20,30: 딱지
21,31: 홈부
22,32:맞물림경사면

Claims (5)

  1. 2개의 개별딱지(20,30)로 사용되어지는 각각의 딱지(20,30)에 각각 구비되는 홈부(21,31)에 연결가능한 연결체(10)를 사용하여 합체되는 합체딱지(1)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10)를 전체적으로 육각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딱지(20,30)의 홈부(21,31)의 형태가 삼각형이거나 사각형 또는 원형에 모두 적용가능토록 하고,
    상기 연결체는 내측으로 경사면이 대응되게 구비되어져 상기 홈부의 맞물림경사면서 서로 맞물림되면서 합체되거나 동전을 삽입고정하여 개별딱지로도 사용가능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체 또는 개별놀이가 가능한 완구딱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10)를 2개의 조각으로 등분토록 하여 어느하나의 조각은 암부(11)로 구성하고 대응되는 조각은 숫부(12)로 구성하여 서로 결합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체 또는 개별놀이가 가능한 완구딱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11)는 고정홈(11a)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격되어지면서 복수로 이루어지며, 상기 암부와 맞물림되는 숫부에는 고정돌기가 복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합체 또는 개별놀이가 가능한 완구딱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나 숫부의 어느 하나에 융착돌출테(13)를 육각형의 외관테두리를 따라서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합체 또는 개별놀이가 가능한 완구딱지.
  5. 데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를 구성하는 등분된 숫부(12)와 암부(11)는 각각 테두리의 내측 즉 고정홈(11a)이나 고정돌기(12a)가 형성된 부분으로 각각 경사면(1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체 또는 개별놀이가 가능한 완구딱지.

KR1020190096198A 2019-08-07 2019-08-07 합체 또는 개별놀이가 가능한 완구딱지 KR202100172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198A KR20210017240A (ko) 2019-08-07 2019-08-07 합체 또는 개별놀이가 가능한 완구딱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198A KR20210017240A (ko) 2019-08-07 2019-08-07 합체 또는 개별놀이가 가능한 완구딱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240A true KR20210017240A (ko) 2021-02-17

Family

ID=74731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6198A KR20210017240A (ko) 2019-08-07 2019-08-07 합체 또는 개별놀이가 가능한 완구딱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724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5034Y1 (ko) 2006-09-29 2007-01-03 주식회사 학산문화사 완구딱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5034Y1 (ko) 2006-09-29 2007-01-03 주식회사 학산문화사 완구딱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00621B2 (ja) 玩具組立要素
US7066779B2 (en) Mounting arrangement for squeakers
WO2007021090A1 (en) Wooden block set
KR100524154B1 (ko) 패널형 자석놀이완구
CN103998106A (zh) 组装组件以及利用该组装组件的组装玩具
KR100524153B1 (ko) 자석놀이완구의 패널 구조
JP2009508568A (ja) ボール・セグメント、及び、機能性ボールを形成するためにセグメントを連結するエレメント
JP2011224202A (ja) サイコロ玩具
US20150298020A1 (en) Magnetic block toy
TW531425B (en) Die capable of being opened
KR20210017240A (ko) 합체 또는 개별놀이가 가능한 완구딱지
KR200478274Y1 (ko) 완구용 블록
KR200404640Y1 (ko) 조립용 큐브
KR101153213B1 (ko) 자력에 의해 블록들간에 결합되는 조립식 완구용 블록
JP3995689B2 (ja) パネル型磁石おもちゃ
JP3153111U (ja) 組合せブロック玩具
KR200380938Y1 (ko) 유희용 완구의 입체패널
US20030162473A1 (en) Combination cards capable of being assembled into toys
CA2214697A1 (en) Polygonal puzzle capable of three-dimensional construction, such as toy construction, such as toy construction
JP2010240228A (ja) さいころ
JP4873649B2 (ja) 分解組立式3d立体変化の知育構造体
KR200460656Y1 (ko) 벽돌 완구
KR200308738Y1 (ko) 딱지
KR200427056Y1 (ko) 데코 패널
CN112272582A (zh) 构造型玩具的立方体元件及其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