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6909A - Mobile isolation facility - Google Patents

Mobile isolation fac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6909A
KR20210016909A KR1020190095300A KR20190095300A KR20210016909A KR 20210016909 A KR20210016909 A KR 20210016909A KR 1020190095300 A KR1020190095300 A KR 1020190095300A KR 20190095300 A KR20190095300 A KR 20190095300A KR 20210016909 A KR20210016909 A KR 20210016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isolation
mobile
space
contai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3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68260B1 (en
Inventor
변정훈
박재홍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95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8260B1/en
Publication of KR20210016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69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2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05Isolators, i.e. enclosures generally comprising flexible walls for maintaining a germ-free environ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4Paints containing biocides, e.g. fungicides, insecticides or pestic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vable isolation facility for isolating a patient from an external environment, comprising a movable housing including a plurality of tubular frames which include at least one air inlet and an air outlet and are expandable or contractible, and a plurality of sheets connecting adjacent tubular frames to each other, wherein the sheet is foldable when the tubular frames are contracted and is expandable when the tubular frames are expanded, and the movable housing forms an isol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a patient, which is isolated from an external environment by the tubular frames and the sheets when the tubular frames are expan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excellent post-use stability.

Description

이동식 격리 시설 {Mobile isolation facility}Mobile isolation facility

본 출원은 이동식 격리 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주입 가능한 튜브형 프레임을 이용하여 접힘 또는 펼침 가능한, 이동식 격리 시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portable containment facil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containment facility that can be folded or unfolded using an air-injectable tubular frame.

공기 중의 전염병 전파는 주요한 공중 보건 위협이 되고 있다. 공기 중 감염은 박테리아 나 바이러스가 재채기, 기침, 웃거나 숨을 내쉴 때 에어로졸이 될 수 있는 작은 입자 또는 작은 호흡기 방울을 타고 이동할 때 발생한다.The transmission of infectious diseases in the air is a major public health threat. Airborne infections occur when bacteria or viruses travel on small particles or small respiratory droplets that can become aerosols when sneezing, coughing, laughing or exhaling.

홍역은 전염성 질병의 전파 전달의 대표적인 예이며, 감염된 사람들의 기침과 재채기를 통해 쉽게 전파된다. 또한,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 (SARS) 바이러스는 오염 된 물 및 가능하면 물방울 핵에 의해 사람과 사람과의 접촉을 통해 퍼질 수 있는 또 다른 대표적인 전염성 질병의 예이다.Measles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transmission of infectious diseases, and is easily spread by coughing and sneezing in infected people. In addition, th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virus is another representative example of an infectious disease that can be spread through human-to-human contact by contaminated water and possibly droplet nuclei.

따라서, 이러한 전염병 환자는 퍼짐을 예방하기 위해 즉시 격리 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전염병 환자는 병원의 격리 시설에 수용된다.Therefore, patients with these infectious diseases should be isolated immediately to prevent spread. In general, patients with infectious diseases are housed in hospital quarantine facilities.

이 격리 시설에서는 공기 중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전파를 줄이기 위해 특수 환기 시스템을 작동합니다. These containment facilities operate special ventilation systems to reduce the spread of germs or viruses in the air.

한편, 일부 환자는 집에 머물러 있게 된다. 이 가정 방문 검역에서는 환자가 다른 사람과 접촉하지 않아 감염병이 가족 구성원 (예: 유아, 어린이 및 부모)에게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해야 합니다.Meanwhile, some patients stay at home. This home visit quarantine must prevent the infectious disease from spreading directly or indirectly to family members (e.g. infants, children and parents) as the patient is not in contact with others.

병원 격리 시설에 사용되는 환기 시스템은 공기 중의 전염을 막는 데 이상적이지만, 이러한 환기 시스템은 집에서는 실용적이지 않다.Ventilation systems used in hospital quarantine facilities are ideal for preventing airborne transmission, but such ventilation systems are not practical in the home.

따라서, 병원 이외 장소, 예를 들어, 가정 또는 공중 장소에서 환자를 격리 시키기 위한 격리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 isolation system for isolating patients in places other than hospitals, for example, at home or in public places.

본 출원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병원 이외 장소, 예를 들어, 가정 또는 공중 시설에서 환자를 격리시키기 위한 이동식 격리 시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applica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mobile quarantine facility for isolating a patient in a place other than a hospital, for example, in a home or public facility.

본 출원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환자를 외부 환경과 격리시키기 위한 격리 시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공기 주입구 및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며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복수 개의 튜브형 프레임 및 인접하는 튜브형 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시트를 포함하는 이동식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는 튜브형 프레임의 수축 상태일 때 접힘 가능하고, 팽창 상태일 때 펼침 가능하며, 상기 이동식 하우징은 튜브형 프레임의 팽창 상태에서, 튜브형 프레임 및 시트에 의해 외부 환경과 격리되며 환자를 수용하는 격리 공간을 형성하는 이동식 격리 시설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an isolation facility for isolating a patient from an external environment, a plurality of tubular frames including at least one air inlet and an air outlet and capable of expanding or contracting,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adjacent tubular frames It includes a movable housing including four seats, wherein the seat is foldable when the tubular frame is in a contracted state, and is expandable when the tubular frame is in an expanded state, and the movable housing is in the expanded state of the tubular frame, by the tubular frame and the seat. A mobile containment facility is provided that is isolated from the outside environment and forms a containment space for the patient.

본 출원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식 격리 시설은, 튜브형 프레임의 수축 상태일 때 휴대 또는 이동이 가능하고, 튜브형 프레임의 팽창 상태일 때 외부 환경과 격리되며 환자를 수용하는 격리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병원 이외 장소, 예를 들어 가정 또는 공중 장소에서 간단한 방법으로 신속히 환자에게 격리 시설을 제공할 수 있어 공중 보건 개선에 이바지하는 효과가 있다.The mobile isolation facility rela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portable or mobile when the tubular frame is in a contracted state, and when the tubular frame is in an expanded state, it is isolat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an isol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patients is formed. In other places, for example, at home or in public places, it is possible to quickly provide quarantine facilities to patients in a simple manner, thereby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public health.

또한, 본 출원에 따른 이동식 격리 시설은 도시 (대) 규모로 격리된 지역에 헬기를 통한 낙하 보급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In addition, the mobile quarantin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drop and supply through a helicopter in an isolated area on an urban (large) scale.

또한, 본 출원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식 격리 시설은, 무기 재질 대신 소각이 용이한 유기 재질로 제조됨에 따라, 시설 사용 이후 소각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In addition, since the mobile isolation facility rela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made of an organic material that is easy to incinerate instead of an inorganic material, it has the advantage of easy incineration after use of the facility.

또한, 시설 사용 이후 소각에 의해, 시설에 잔존하는 병원균을 멸균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본 출원에 따른 격리 시설은 사용 후 안정성도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 In addition, since there is an effect of sterilizing pathogens remaining in the facility by incineration after use of the facility, the isola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has excellent stability after use.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이동식 격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격리 시설에서, 프레임 및 시트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mobile iso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2 is a view showing in detail a frame and a seat in the isolation facility shown in FIG. 1.

본 출원은 환자를 외부환경과 격리시키기 위한 이동식 격리 시설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병원 이외 장소에서 감염성 질병을 보유한 환자, 예를 들어, 에볼라, 홍역, SARS, 흑사병 등의 질병을 보유한 환자를 외부 환경과 격리시킬 수 있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mobile quarantine facility for isolating a patient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for example, a patient with an infectious disease in a place other than a hospital, for example, a patient with a disease such as Ebola, measles, SARS, and black death. It can be isolated from the outside environmen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출원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application belongs can easily implement. However,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이동식 격리 시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격리 시설에서, 프레임 및 시트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mobile containment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FIG. 2 is a view showing in detail a frame and a seat in the isolation facility shown in FIG. 1.

도 1을 참조하면, 이동식 격리 시설은 복수 개의 튜브형 프레임(100) 및 복수 개의 시트(200)를 포함하는 이동식 하우징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isolation facility includes a mobile housing including a plurality of tubular frames 100 and a plurality of seats 200.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식 격리 시설은 적어도 하나의 공기 주입구(110) 및 공기 배출구(120)를 포함하며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복수 개의 튜브형 프레임(100) 및 인접하는 튜브형 프레임(100)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시트(200)를 포함하는 이동식 하우징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mobile isolation facility includes at least one air inlet 110 and an air outlet 120, a plurality of tubular frames 100 capable of expanding or contracting,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tubular frames 100 adjacent to each other. It includes a movable housing including a seat 200.

상기 시트(200)는 튜브형 프레임(100)의 수축 상태일 때 접힘 가능하고, 팽창 상태일 때 펼침 가능하다.The sheet 200 is foldable when the tubular frame 100 is in a contracted state, and is expandable when the tubular frame 100 is in an expanded state.

또한, 상기 이동식 하우징은 튜브형 프레임(100)의 팽창 상태에서, 튜브형 프레임(100) 및 시트(200)에 의해 외부 환경과 격리되며 환자를 수용하는 격리 공간을 형성한다.In addition, the movable housing is isolat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by the tubular frame 100 and the seat 200 in the expanded state of the tubular frame 100 and forms an isol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a patient.

본 출원에서 용어 「이동식」은 휴대하여 이동하거나, 또는 별도의 이동 수단을 통해 이동이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mobile" means that it is portable or can be moved through a separate means of transportation.

또한, 「격리 공간」은 외부 환경과 단절된 공간, 다시 말해, 밀폐된 공간을 의미한다. 다만, 본 출원에 따른 격리 시설은 후술하는 제1 및 제2 환기구(600)와 같이 별도의 환기 장치가 마련되어, 외부와 격리 공간 사이에서 공기 이동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isolated space" means a space separat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that is, a closed space. However, in the isola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separate ventilation devices such as the first and second ventilation ports 60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provided, and air may be moved between the outside and the isolation space,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do.

상기 복수 개의 튜브형 프레임(100)은 팽창 상태일 때, 격리 시설의 기본 골격(기둥)을 형성한다. 상기 튜브형 프레임(100)은 공기가 주입 (또는 충전)되는 중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로 공기가 주입되면, 튜브형 프레임(100)은 팽창하면서 격리 시설의 기본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 개의 튜브형 프레임(100)은 팽창 상태일 때, 육각형, 아치형 등 다양한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When the plurality of tubular frames 100 are in an expanded state, they form a basic skeleton (column) of an isolation facility. The tubular frame 100 includes a hollow portion into which air is injected (or filled), and when air is injected into the hollow portion, the tubular frame 100 may expand and form a basic skeleton of an isolation facility. For example, when the plurality of tubular frames 100 are in an expanded state, they may exhibit various shapes such as a hexagonal shape and an arcuate shape.

상기 복수 개의 튜브형 프레임(100)은 일체형이고, 복수 개의 튜브형 프레임(100)의 중공부는 서로 유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튜브형 프레임(100)에 주입된 공기는 유체 연결된 중공부를 통해 다른 튜브형 프레임(100)을 팽창시킬 수 있다.The plurality of tubular frames 100 are integral, and the hollow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tubular frames 100 may be fluidly connected to each other. For example, air injected into one tubular frame 100 may inflate another tubular frame 100 through a fluidly connected hollow portion.

상기 공기 주입구(110) 및 공기 배출구(120)는 각각 분리되어 튜브형 프레임(1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공기의 주입 및 배출이 가능한 하나의 공기 유입구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The air inlet 110 and the air outlet 120 may be separated and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tubular frame 100,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through one air inlet capable of injecting and discharging air. Can be done.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시트(200) 및 튜브형 프레임(100)의 재질은 유기 재질일 수 있다. 일반적인 프레임, 예를 들어, 철제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프레임의 경우, 소각이 용이하지 않아 환경적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는 반면, 본 출원에 따른 튜브형 프레임(100)은 유기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격리 시설 사용 후 소각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시설 사용 이후 소각에 의해, 시설에 잔존하는 병원균을 멸균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본 출원에 따른 격리 시설은 사용 후 안정성도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 In one example, the material of the sheet 200 and the tubular frame 100 may be an organic material. In the case of a general frame, for example, a frame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iron, there is a problem that may cause environmental problems because incineration is not easy, whereas the tubular fram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is made of an organic material. Therefore, it has the advantage of easy incineration after using the containment facility. Since there is an effect of sterilizing pathogens remaining in the facility by incineration after use of such a facility, the isola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has excellent stability after use.

일 구체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트(200)는 격리 공간으로 환자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개폐되는 도어부(3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부(300)는 지퍼 형태로, 시트(2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sheet 200 may be formed with a door portion 300 that is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patient can enter the isolation space. The door part 300 may have a zipper shape and may be formed in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sheet 200.

하나의 예시에서, 적어도 하나의 시트(200)는 외부에서 격리 공간 내 환자를 진찰하거나 또는 설치물을 조작하도록 마련된 조작부(400)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조작부(400)는 글로브(Gloves)일 수 있다. 상기 조작부(4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시트(200)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at least one sheet 200 may include an operation unit 400 provided to examine a patient in an isolation space from the outside or manipulate an installation, and specifically, the operation unit 400 is a globe (Gloves) Can be The manipulation unit 400 may be at least one or more,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at least one sheet 200.

일 구체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시트(200)는 외부와 격리 공간 사이에서 일 방향으로 유체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환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기구는 공기의 배기 및 흡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환기구는 예를 들어, 외부에서 격리 공간으로 유체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제1 환기구(500); 및 격리 공간에서 외부로 유체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제2 환기구(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환기구(500)는 흡기구일 수 있고, 상기 제2 환기구(600)는 배기구일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상기 환기구는 배기 및 흡기 기능이 통합된 하나의 부재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sheet 200 may include a ventilation port provided to allow fluid movement in one direction between the outside and the isolation space. The ventilation port serves to exhaust and intake air. The ventilation port includes, for example, a first ventilation port 500 provided to allow fluid movement from the outside to the isolation space; And a second ventilation port 600 provided to allow fluid movement from the isolation space to the outside. The first ventilation port 500 may be an intake port, and the second ventilation port 600 may be an exhaust port. In another example, the ventilation port may be a member in which exhaust and intake functions are integrated.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환기구는 탈부착 가능한 필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다양한 공지된 필터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헤파 필터, 프리 필터, 폼 필터, 백 필터, 부직포 필터 등 이 사용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ventilation port may further include a detachable filter. As the filter, various known filters for purifying air may be used. For example, a HEPA filter, a pre-filter, a foam filter, a bag filter, a nonwoven filter, and the like may be used.

상기 제2 환기구(600)에 탈부착 가능한 필터는 항균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제2 환기구(600)에 탈부착 가능한 필터는 항균 물질이 도포됨에 따라, 병원균을 보유한 환자가 있는 격리 공간에서 외부로 병원균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An antibacterial material may be applied to the filter detachable to the second ventilation port 600. As the filter that can be attached to the second ventilation port 600 is coated with an antibacterial materia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utflow of pathogens to the outside from the isolation space in which the patient possessing the pathogen is located.

감염 요소(병원균)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는 다중 필터일 수 있고, 격리 시설의 비용 측면을 고려하여, 이중 필터, 삼중 필터 또는 사중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In order to effectively block outflow of infectious elements (pathogens), the filter may be multiple filters, and in consideration of the cost aspect of the isolation facility, a double filter, a triple filter or a quadruple filter may be used.

일 구체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시트(200)는 격리 공간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7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700)는 시트(2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격리 시설은 상기 압력 센서(700)에서 측정된 값에 기초하여, 격리 공간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격리 공간 내 음압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팬의 작동 조건을 제어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sheet 200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e sensor 700 that measures the pressure in the isolation space. The pressure sensor 700 may be provid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sheet 200. The isola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may control the flow of air moving to the isolation space based on the value measured by the pressure sensor 700 to maintain the negative pressure in the isolation space. Control of the air flow can be achieved by controlling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fan described below.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환기구(600)는 격리 공간에서 외부로 공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팬을 포함하며, 상기 팬은 접히거나 펼침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팬은 접히거나 펼침 가능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팬은 고분자 물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고무, 스폰지, 폼, 또는 비닐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 물질로 제조된 팬은 소각이 용이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팬은 외부 전원 또는 배터리를 통해 작동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ventilation port 600 includes a fan for moving air from the isolation space to the outside, and the fan may be folded or expandable. The fan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folded or spread. For example, the fan may be made of a polymer material, and specifically, may be made of rubber, sponge, foam, or vinyl. Since the fan made of such a polymer material is easy to incinerate, it has an eco-friendly advantage. In addition, the fan may be operated through an external power source or a battery.

본 출원에 따른 격리 시설은 상기 팬의 작동을 제어하여 격리 공간 내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조절부는 팬의 회전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격리 공간에서 외부로 이동하는 공기 흐름량을 제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격리 공간 내 음압을 유지할 수 있다. The isola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e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an to adjust the pressure in the isolation space. By adjust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fan, the pressur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amount of air flowing from the isolation space to the outside, thereby maintaining the negative pressure in the isolation space.

하나의 예시에서, 격리 공간과 마주보는 복수 개의 시트(200)의 일면은 항균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격리 공간과 마주보는 시트(200)의 일면이 항균 코팅층을 포함함으로써, 격리 공간에서 외부환경으로 병원균이 전파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one example, one surface of the plurality of sheets 200 facing the isolation space may include an antibacterial coating layer. Since one surface of the sheet 200 facing the isolation space includes an antibacterial coating layer,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spread of pathogens from the isolation spac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이러한 항균 코팅층은 병원균을 살균하는 항균 물질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항생제, 금속 나노 입자 또는 항산화제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생제는 공지된 다양한 물질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금속 나노 입자는 예를 들어, 은, 구리, 산화 아연 및 산화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산화제 화합물은 예를 들어, 키토산 또는 카테킨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antimicrobial coating layer includes an antibacterial material that sterilizes pathogens,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ntibiotics, metal nanoparticles, or antioxidant compounds. The antibiotic may use a variety of known materials without limitation, and the metal nanoparticles may include, for example, one or more met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ver, copper, zinc oxide, and magnesium oxide. The antioxidant compound may be, for example, chitosan or catechi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출원에 따른 이동식 격리 시설은, 튜브형 프레임(100)의 수축 상태에서, 이동식 하우징을 보관하는 케이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튜브형 프레임(100)의 수축 상태일 때, 시트(200)가 접힘 가능하므로, 이동식 하우징의 크기가 작게 조절될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하다. 상기 케이스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손잡이가 마련될 수 있고, 후술하는 공기 펌프를 동봉하기 위한 공간이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동식 격리 시설은 이동식 하우징을 보관하는 케이스를 포함함에 따라, 휴대가 용이한 것은 물론이며 공중 시설 내 비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접근 용이성 및 사용 편리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출원에 따른 이동식 격리 시설은 상기 케이스에 이동식 하우징이 보관됨에 따라, 도시 (대) 규모로 격리된 지역에 헬기를 통한 낙하 보급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The mobile isola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may further include a case for storing the movable housing in the contracted state of the tubular frame 100. When the tubular frame 100 is in a contracted state, the sheet 200 can be folded, so that the size of the movable housing can be adjusted to be small, so storage is easy. The case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to facilitate carrying, and a space for enclosing an air pump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As the movable isolation facility includes a case for storing the movable housing, it is not only easy to carry, but also can be provided in public facilities, thereby improving user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in use. In addition, the mobile quarantin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drop and supply through a helicopter in an isolated area on an urban (large) scale as the movable housing is stored in the case.

하나의 예시에서, 환자의 건강을 진찰하는 건강 센서(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강 센서는 격리 공간 내 환자의 다양한 건강 상태를 알려주는 기능을 할 수 있는 장치로서, 공지된 다양한 건강 센서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건강 센서는 격리 공간과 마주보는 시트(200)의 일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In one example, it may further include a health sensor (not shown) to check the health of the patient. The health sensor is a device capable of notifying various health conditions of a patient in an isolation space, and various known health sensors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For example, the health sensor may be provided to be detachable from one surface of the sheet 200 facing the isolation space.

일 구체예에서, 공기 주입구(110)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펌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펌프는 전술한 케이스에 동봉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튜브형 프레임(100)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n air pump for injecting air into the air inlet 110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The air pump may be enclosed in the above-described case or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at least one tubular frame 100.

이상과 같이, 본 출원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출원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application has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possible.

100: 튜브형 프레임
110: 공기 주입구
120: 공기 배출구
200: 시트
300: 도어부
400: 조작부
500: 제1 환기구
600: 제2 환기구
700: 압력 센서
100: tubular frame
110: air inlet
120: air outlet
200: sheet
300: door part
400: control panel
500: first vent
600: second vent
700: pressure sensor

Claims (15)

환자를 외부 환경과 격리시키기 위한 격리 시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공기 주입구 및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며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복수 개의 튜브형 프레임 및 인접하는 튜브형 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시트를 포함하는 이동식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는 튜브형 프레임의 수축 상태일 때 접힘 가능하고, 팽창 상태일 때 펼침 가능하며,
상기 이동식 하우징은 튜브형 프레임의 팽창 상태에서, 튜브형 프레임 및 시트에 의해 외부 환경과 격리되며 환자를 수용하는 격리 공간을 형성하는 이동식 격리 시설.
In an isolation facility to isolate the patient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A movable housing including at least one air inlet and an air outlet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tubular frames capable of expanding or contracting and a plurality of seats connecting adjacent tubular frames,
The sheet is foldable when the tubular frame is in a contracted state, and is expandable when it is in an expanded state,
The movable housing is isolat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by the tubular frame and seat in the expanded state of the tubular frame, and forms an isol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a patient.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시트는 격리 공간으로 환자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개폐되는 도어부가 형성된 이동식 격리 시설.The movable isolation facility of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sheet is opened and closed to allow the patient to enter the isolation space.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시트는 외부에서 격리 공간 내 환자를 진찰하거나 또는 설치물을 조작하도록 마련된 조작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격리 시설.The mobile quarantine facilit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sheet includes an operation unit provided to examine a patient in the quarantine space from the outside or manipulate the install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시트는 외부와 격리 공간 사이에서 일 방향으로 유체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환기구를 포함하는 이동식 격리 시설.The movable isolation facility of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seat comprises a ventilation port provided to allow fluid movement in one direction between the outside and the isolation spa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구는 외부에서 격리 공간으로 유체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제1 환기구; 및
격리 공간에서 외부로 유체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제2 환기구를 포함하는 이동식 격리 시설.
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ventilation port comprises: a first ventilation port provided to allow fluid movement from the outside to the isolation space; And
A mobile containment facility including a second vent provided to allow fluid movement from the containment space to the outsid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구는 탈부착 가능한 필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이동식 격리 시설.5. The mobile containment facility of claim 4, wherein the vent further comprises a removable filt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다중 필터인 이동식 격리 시설.7. The mobile isolation facility of claim 6, wherein the filter is a multiple filter.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시트는 격리 공간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를 추가로 포함하는 이동식 격리 시설.The mobile containment facility of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sheet further comprises a pressure sensor that measure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ment space. 제 5 항에 있어서, 제2 환기구는 격리 공간에서 외부로 공기가 이동시키기 위한 팬을 포함하며,
상기 팬은 접히거나 펼침 가능한 이동식 격리 시설.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cond ventilation port comprises a fan for moving air from the isolation space to the outside,
The fan is a portable containment facility that can be folded or unfolde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의 작동을 제어하여 격리 공간 내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이동식 격리 시설.10. The mobile isolation facility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pressure regulating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an to adjust the pressure in the isolation space. 제 1 항에 있어서, 격리 공간과 마주보는 복수 개의 시트의 일면은 항균 코팅층을 포함하는 이동식 격리 시설.The removable containment facility of claim 1, wherein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sheets facing the containment space includes an antimicrobial coating layer.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코팅층은 항생제, 금속 나노 입자, 또는 항산화제 화합물을 포함하는 이동식 격리 시설.The mobile containment facility of claim 11, wherein the antimicrobial coating layer contains antibiotics, metal nanoparticles, or antioxidant compounds. 제 1 항에 있어서, 튜브형 프레임의 수축 상태에서, 이동식 하우징을 보관하는 케이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이동식 격리 시설.The mobile containment facility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ase for storing the movable housing in the contracted state of the tubular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환자의 건강을 진찰하는 건강 센서를 추가로 포함하는 이동식 격리 시설.The mobile quarantine facility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ealth sensor for examining the health of the pati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주입구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펌프를 추가로 포함하는 이동식 격리 시설.
The mobile isolation facility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ir pump for injecting air into the air inlet.
KR1020190095300A 2019-08-06 2019-08-06 Mobile isolation facility KR1022682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300A KR102268260B1 (en) 2019-08-06 2019-08-06 Mobile isolation fac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300A KR102268260B1 (en) 2019-08-06 2019-08-06 Mobile isolation facil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909A true KR20210016909A (en) 2021-02-17
KR102268260B1 KR102268260B1 (en) 2021-06-23

Family

ID=74731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300A KR102268260B1 (en) 2019-08-06 2019-08-06 Mobile isolation faci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826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2645A (en) * 2003-06-11 2005-01-06 Achilles Corp Tent capable of maintaining interior space thereof in negative pressure or positive pressure
KR20160127595A (en) * 2015-04-27 2016-11-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Self-contained Isolation Carrier for patient transport
KR20180093679A (en) * 2017-02-14 2018-08-22 (주)이에스 Patient's roo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oom
JP2019011873A (en) * 2015-11-18 2019-01-24 日本電産テクノモータ株式会社 Fan unit and outdoor equip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2645A (en) * 2003-06-11 2005-01-06 Achilles Corp Tent capable of maintaining interior space thereof in negative pressure or positive pressure
KR20160127595A (en) * 2015-04-27 2016-11-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Self-contained Isolation Carrier for patient transport
JP2019011873A (en) * 2015-11-18 2019-01-24 日本電産テクノモータ株式会社 Fan unit and outdoor equipment
KR20180093679A (en) * 2017-02-14 2018-08-22 (주)이에스 Patient's roo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o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8260B1 (en) 202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70761B2 (en) Infectious disease room
CN102059160B (en) Biological safety protection cabin
CN104363929A (en) Aseptic processing workstation
US20230301847A1 (en) Ambulance having infectious disease blocking function, and interior pressure control method therefor
CN108114541B (en) Sterile operating room filter
EP3021808A1 (en) Modular patient care enclosure
WO2012011547A1 (en) Highly clean environmental system
CN211953053U (en) Safe, healthy and comfortable air environment construction system for negative pressure ward unit
JP2005512744A5 (en)
US11253805B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indoor airborne pathogen control
JP2005512744A (en) Movable pneumatic isolation device
CN101697933B (en) Negative pressure ambulance
KR102268260B1 (en) Mobile isolation facility
CA2556140C (en) Patient isolation module and use thereof
CN201049035Y (en) Device for controlling infectious disease
CN204710395U (en) A kind of Height Adjustable aseptic operating platform
KR102505153B1 (en) A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capable of purifying outdoor air
CN113925718A (en) Mobil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device and use method
KR20220042627A (en) Mobile negative pressure bag with in-frame air injection function using negative pressure device
CN111449855A (en) Negative pressure high-efficiency particle air filtering, purifying and isolating platform for infectious disease infection source
WO2022272112A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indoor airborne pathogen control
KR102551526B1 (en) A negative pressure mobile device using cyclone
CN213873053U (en) Supermarket is with device that restraines viral bacterium diffusion and in time disappear and kill
JPH07250870A (en) Aseptic sickroom
CN113520758A (en) Positive and negative pressure transport cab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