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6834A - 습도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습도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6834A
KR20210016834A KR1020190095089A KR20190095089A KR20210016834A KR 20210016834 A KR20210016834 A KR 20210016834A KR 1020190095089 A KR1020190095089 A KR 1020190095089A KR 20190095089 A KR20190095089 A KR 20190095089A KR 20210016834 A KR20210016834 A KR 20210016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oils
line width
radius
grid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서연
Original Assignee
드라이웨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드라이웨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드라이웨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5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6834A/ko
Publication of KR20210016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68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07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using electricity, e.g. electro-osmos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2005/006Coils with conical spiral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주파수의 중력 자기 교란장을 감소시키거나 억제하고 그리고 강화하여 모관수(capillary water)에서 용해된 염을 운반하거나 또는 건조 후에 모세관을 콜로이드처럼 틀어막아 수분 삼투-저항성 벽돌 또는 벽돌 바닥으로부터 습기를 제거하거나 수분을 첨가하는 습도 조절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 도체가 하우징 내에, 감겨진 직경을 가지는 나선 또는 원추형 나선 코일로 감겨서 배치되고, 상기 코일의 상기 감겨진 직경은 외측 단부로부터 상기 코일 중심으로 나선 방식으로 감소하고, 상기 코일의 상기 외측 단부와 코일축 사이의 최대 코일 반경(R1)은 중력 자기장의 그리드 네트웍의 그리드 선 폭의 1/8의 허용가능한 편차를 가지는 그리드 선 폭의 절반의 정수배이고, 상기 그리드 선 폭은 10 내지 100 cm 범위이고; 및 서로 분리된 상부 측면과 바닥 측면을 포함하는 차단 패널에서, 상기 상부 측면은 복수의 상부 코일들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 측면은 복수의 역으로-감긴 코일들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의 적어도 하나는 도체 트랙으로서 적용되고; 상기 역으로-감긴 코일들의 내측 단부들은 중심의 도체 트랙-부재 영역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코일 축으로 연장하지 않는 습도 조절 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습도 조절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HUMIDITY}
본 발명은, 모세관수에 용해된 염을 운반하거나 또는 건조 후에 모세관을 콜로이드에 의하여 폐색시키기 위해서,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코일의 권취(winding) 직경이 나선 식으로 외측 단부로부터 코일의 중심으로 감소하는, 나선 또는 원추형 나선 코일로 감기고 하우징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도체에 의하여, 특정 주파수의 중력-자기(gravo-magnetic) 산란 장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억제하고 강화하기 위하여 그리고 벽돌 또는 그러한 바닥으로부터 수분을 제거하거나 습기를 첨가하기 위하여 소정 주파수를 가지는 중력-자기장을 강화하거나 역전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것이다.
오랜 동안, 수분이 첨가되거나 그로부터 습기가 제거되어야하는 재료와 직접 접촉하지 않고 수분 첨가 또는 습기 제거 효과를 발생하는 장치가 이미 알려져 있다. 이들 장치의 작용은 수분 분자와 고체 물질 분자 사이의 접착력이 빌딩 소재나 흙과 같은 다공성, 삼투성 재료 시스템에서 고주파수 마이크로파 영역에서의 소정 주파수의 특정 전자기장에 의하여 교란되는 사실에 기초한다. 이 결과 삼투 수분 레벨이 저하된다. 예컨대 단파장 범위의 대응하는 기존의 단파에 의한 외부 여기를 통하여 저 주파수 범위에서 공진 주파수를 발생하는 장치는 벽의 다이오드 효과에 의하여 벽 전위의 증가를 유발하여, 벽 습기의 증가를 초래하는 점에서 정확하게 반대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
이어서, 전원과 직접 연결이 없고 주위와 공진하며 주위에 존재하는 에너지와 관계없이 작동하는 수동적인 전자기 장치-공진회로 기반 장치를 포함-가 또한 존재한다. 대다수의 이들 장치들은 즉 기계적인 스펙트럼과 전자적인 스펙트럼의 적어도 두 개의 공진 스펙트럼에서 다소 공진할 수 있다. 이들 장치들의 효과는 보통 다소 약하고, 보다 중요하게는, 캐패시터들은 파괴되고 다시 또는 적어도 번개 섬광과 같은 정전 전하에 의하여 손상된다.
매우 진전되고 혁신적인 장치가 단지 최근에 개발된 스펙트럼, 예컨대 토양의 지구-중력 자기(geo-gravomagnetic) 스펙트럼을 이용한다.
시현될 수 있는 한, 중력자기파(gravomagnetic wave)는 원형으로 편향된 자기파 성분과 원형으로 편향된 방식으로 자기파 성분 둘레로 회전하는 중력파 성분으로 구성된다. 자기 성분의 전체 파동 진동은 보통, 파동 구조 연구가 보여주는 바와 같이, 중력파 성분의 다수의 파동 진동을 나타낸다.
EP 688 383 B1에 개시된 장치들에서, 나선 또는 원추형 나선 코일의 권선들과 코일축 내부 사이의 간격은 매번의 완전 회전마다 이전 간격의 40%내지 60%만큼 더 작다. 많은 시험들에 의하면, 이와 같은 방식으로 구비된 장치는 나선으로-감겨진 코일이 일정한 권선 간격을 보였던 이전의 하나의 공지 장치보다 수분을 첨가하거나 습기를 제거하는 요건들을 충족함에 있어서 더욱 양호하게 적합하였으며, 또한 코일들의 단부들 사이에서 오작동하기 쉬운 캐패시터가 교체되어야 하였다.
EP 688 383 B1에 따른 장치를 사용한 시험에서, 장치는 또한 중력 자기적 세기의 비정상성 및 편향 비정상성(지질학적인 간섭 장)에 영향을 미치고 후자를 약화시키는 것이 발견되었다.
지구 자기장에 부가해서, 중력장, 정전기장, 전자기적인 복사, 등 다른 중력 자기장 구조들이 또한 지구 표면 어느 위치에서나 존재하여, 존재하는 인간 및 동물들, 그리고 식물에 영향을 미친다. 각각의 중력 자기장의 세기는 또한 변한다. 특히, 영향이 더 크고 그리드 형상으로 지구 표면을 덮는 자기장 구조가 있다.
우리의 연구에 따르면, 이들 소위 그리드들의 가장 잘 알려진 것은, 그들의 기원은 여전히 대개 탐구되지 않았지만, 중력자기적 특성이다. 그들은 하트만 그리드-또는 글로벌 그리드, 큐리 그리드- 또는 대각선 그리드, 및 벵커(Benker) 그리드로 불린다. 그리드의 유형에 따라, 그리고 장소에서의 조건들 및 지리적 영역에 따라, 그리드 선들 또는 메시 폭들은 10 내지 100cm(하트만 그리드 - 10 내지 30cm, 큐리 그리드 - 20 내지 80cm, 벵커 그리드 - 60 내지 100cm) 사이의 폭을 가진다. 그리드의 그리드 선들 또는 다른 그리드들의 교차점들에서, 그들의 영향은 특히 크다. 그들은 지질병원(geopathogenic) 영역, 즉, 생명체, 특히 인간에게 부정적인 생물학적 영향을 미치고, 최악으로는 건강에 해로운 구간들을 표시한다. 더욱이, 그들은 추가적으로 심각한 중력자기적인 세기의 비정상 및/또는 편향 비정상을 유발하므로, 지하에 흐르는 수맥(water veins) 교차점들의 영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중력 자기장에서 EP 688 383B1으로부터 공지된 장치의 효과를 향상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나선 또는 원추형 나선 코일로 감겨진, 적어도 하나의 전기 도체를 가진 장치에 의하여 달성되는 데, 여기서 코일의 감기 직경은 나선 방식으로 코일의 외측 단부로부터 중심으로 감소하는 장치에 있어서, 코일의 외측 단부와 코일 축 사이의 최대 코일 반경이 중력 자기장의 그리드의 그리드 선 폭의 1/8의 허용가능한 편차를 가지는 그리드 선 폭의 절반의 정수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장치는 중력 자기장의 적어도 복사를 편향시키거나, 억제하고, 또는 약화시키거나 또는 역방향의 구조상 디자인으로 증폭시킴으로써, 그의 지질병원적인 효과를 감소시키거나 강화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를 실행하면, 중력 자기장의 취소, 그리고 그의 지질병원적인 효과를 크게 감소시키는 효과에 이르는 상당한 약화(attenuation)에 도달한다. 또한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장치의 수분-첨가 및 습기-제거 효과는 추가로 향상될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또한 때로 예컨대, 벽의 건조 후에, - 장치의 분리에도 불구하고, 전기-삼투항력 설비에서 유사한 방식으로 또한 발생하는 바와 같이, 콜로이드에 의해서만 발생할 수 있는- 모세관의 막힘에 기인함이 분명한, 벽의 장시간 동안의 건조가 유지됨이 관찰되었다.
또한 이 시점에서 시험에 의하면 제로-점 에너지, 진공 필드 에너지, 공간 에너지 등으로 보통 알려진, 추가적인 에너지의 소스가 위로부터 장치 내부로 유입하는 것이 보여짐이 설명되어야 한다. 장치-안테나를 포함하는-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은 또한 분명하게 위로부터 유입하는 이러한 에너지와 공진하는 추가적인 에너지이다.
하트만 그리드의 교차점들과 그리드 선의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최대 코일 반경은 하트만 그리드의 그리드 선 폭의 1/8의 허용가능한 편차를 갖는 그리드 선 폭의 절반의 정수배이다.
큐리 그리드의 교차점들과 그리드 선의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최대 코일 반경은 큐리 그리드의 그리드 선 폭의 1/8의 허용가능한 편차를 갖는 그리드 선 폭의 절반의 정수배이다.
더 많은 그리드들이 고려되고 장치의 위치의 그리드 선 폭을 더욱 개별적으로 고려하면, 효과는 더욱 양호해진다. 그러나, 중부 유럽에서 하트만 그리드에 대한 21cm 그리드 폭이나 큐리 그리드에 대한 32cm 그리드 폭과 같은, 특별한 감소 효과에 대해 평균 그리드 선 폭을 사용하여도, 대응하는 중력 자기장 간섭장의 완화에서 현저한 효과가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나선 또는 원추형 나선 코일의 권선들과 코일축 내부 사이의 간격은 이전 간격보다 각각의 완전한 회전의 경우 40% 내지 60% 더 작다. 최대 코일 반경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치수들과 결합해서, EP 688 383 B1으로부터 공지된 이러한 구조는 특히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
코일들의 적어도 하나는 차단 패널의 일 측면에 도체 트랙으로서 적용될 수 있다. 패널이 코일 축 둘레에 도체 트랙을 가지지 않으면, 이 경우, 이 영역은 적어도 3mm의 직경을 가지며, 바람직하게 적어도 5mm, 가장 바람직하게 적어도 8mm의 직경을 가지며, 효과의 감축은 달성되지 않는다.
이러한 측면에서, 반대 측면의 차단 패널은 바람직하게 공통 코일 축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역-권취 코일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패널들의 두 측면들의 코일들은 단락된다. 바람직하게, 코일들은 그 중심에서 단락된다. 따라서, 코일-특정 주파수를 가지는 중력 자기장은 전자기장 스펙트럼에서의 단락 루프에서 발생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 에너지로 변환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차단 패널 위로 일정 거리에서, 코일 축으로 연장하는,
코일 또는 코일들에 연결 도체를 통해 전기적으로 전도성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코일이 유지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코일은 나선 코일 또는 원추형 나선 코일이고 모든 코일들은 동일한 최대 코일 반경을 가진다.
도체의 트랙-부재 영역이 연결 도체의 두께의 2 내지 4배, 바람직하게 2.5 내지 3.5배, 특히 3배이면, 특히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
변형된 실시예에서, 차단 패널은 도체의 트랙-부재 영역에서 리세스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코일과 패널 사이의 간격이 최대 코일 반경의 홀수 정수배±10%이면 효과적이다.
바람직하게, 도체 트랙은 최대 코일 반경의 0.007 내지 0.018배, 바람직하게 0.015배에 대응하는 폭을 가진다.
이상적으로, 연결 도체의 두께는 최대 코일 반경의 0.01 내지 0.05배, 바람직하게 0.04배에 대응한다.
본 발명이 이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사용된 간단한 나선 코일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대체적인 코일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두 개의 실시예들의 구조의 길이방향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장치로부터 코일을 지지하는 패널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에 따른 패널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나선 코일(100)로서 형성된 도 1 도시의 도체는, 상호 간격이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권선들을 포함한다.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코일의 외측 단부로부터 코일 축으로의 최대 코일 반경(R1)은 완전한 권선 후의 코일 반경(R2)의 두 배 크기이다. 이와 같이, R2는 바람직한 범위에서 외측의 인접 권선의 반경의 40 내지 60%이다. 향상되거나 반작용되어야 하는 중력 자기장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최대 코일 반경은 이러한 중력 자기장의 그리드 선 폭의 절반의 홀수배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중력자기장 그리드의 그리드 선 폭의 1/8이 허용가능한 편차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은 지구 중력자기장과, 중력 자기장 에너지로 변환되어 그를 분극화하는 제로점 에너지를 수신한다. 출력 자기장의 극성은 코일 디자인에 따라, 좌 또는 우측으로 분극된다. 벽이나 바닥으로 수분을 첨가하거나 또는 그로부터 습기를 제거하기위하여 사용될 때, 예컨대, 벽돌의 전위차가 생성될 수 있고, 그로 인해 물 분자는 아래로(우측 분극의 경우) 또는 위로(좌측 분극의 경우) 이동한다.
도 2는 동일한 코일 축을 공유하며, 120도씩 각각 오프셋되는, 세 개의 동일한 나선 코일(101, 102, 103)들의 코일 조합을 도시하고, 여기서 나선 코일들의 도체들이 코일 축 위치에서 상호 연결된다. 3개의 코일 대신에, 코일 조합은 단지 두 개의 코일 또는 셋 보다 많은 코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브래킷(4, 4')에 의하여 상호 이격된 관계로 하우징(6)에 유지되는 코일들을 지지하는 두 개의 패널(1, 2)들을 포함한다. 코일들은 이러한 이유로서 패널(1, 2)들에 도체 트랙으로서 인쇄된다. 도체 트랙들은 바람직하게 최대 코일 반경의 0.007 내지 0.013배, 특히 0.01배에 대응하는 폭을 가진다.
바닥 패널(1)은 중력자기장을 수신하는 리시버로서 기능한다. 그의 상부 측면(104)에서, 예컨대 패널은 도 4 도시와 같이 세 개의 코일(101, 102, 103)들로 구성된 다중-코일을 지지한다. 상부 측면(104)의 다중-코일로부터 분리된 바닥(105)에서, 도 5 도시와 같은 외관을 가진 세 개의 코일(101a, 102a, 103a)들로 구성된 역-권취 다중-코일을 지지한다. 다중-코일의 코일(101a, 102a, 103a)들의 내측 단부는 이 경우 코일 축으로 연장하지 않으므로, 장치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중앙 도체의 트랙-부재 영역(5)이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 영역(5)은 적어도 3mm, 바람직하게 적어도 5mm,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 적어도 8mm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여기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체 트랙-부재 영역(5)에는 리세스가 제공될 수 있다.
리시버로서 기능하는, 패널(1) 위에 서로-이격된 관계로 배치된 패널(2)은 편광기(polarizer)를 표시하고 리시버에 의하여 흡수된 중력 자기장 에너지를 편광시킨다. 유사하게 패널(2)은 도 2에 따른 외관을 가지는 다중-코일을 지지한다. 도시된 예에서, 상부 패널(2)의 다중 코일은 바닥 패널(1)의 다중 코일과 같은 직경을 가진다. 상부 패널(2)의 다중 코일은 연결 도체(3)를 통해 바닥 패널(1)의 상부 측면(104) 위의 다중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그 두께는 바람직하게 최대 코일 반경의 치수의 0.02배 내지 0.4배, 특히 0.03배 대응한다. 도체의 트랙-부재 영역이 연결 도체의 두께의 2 내지 4배, 바람직하게 2.5 내지 3.5배, 특히 3배이면, 장치의 양호한 성능이 얻어지는 것이 도시된다. 두 개의 패널(1, 2)들은 바람직하게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고 최대 코일 절반의 반경의 ±10%의 홀수 정수배에 대응하는 간격을 표시한다.
대신해서, 다중-코일을 구비한 상부 패널(2) 대신에 또는 부가해서, 단일 코일들을 구비한 복수의 패널들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또한 바닥 패널(1)과 평행으로 정렬될 필요는 없으나, 대신에 더욱 양호한 깊이 효과로써 자기장을 확실히 방전하도록 예컨대 다른 공간 방향들로 향해질 수 있다. 이러한 대체 방안은 패널(9)에 의하여 도 3의 우측 절반에 표시된다. 그 위에 제공된 코일은 연결 도체(10)를 통해 상부 패널(2)의 코일 및 바닥 패널(1)의 상부 측면(104)의 코일에 연결된다.
장치의 추가적인 대체 방안에서, 상부 패널 위에 인쇄된 코일 대신에, 그 두 단부들에 의하여 연결 도체(3)에 연결되는 원통형 코일(11)이 서로 이격된 관계로 바닥 패널(1)에 제공될 수 있다. 원통형 코일(11)은 연결 도체(3)를 통하여 패널(1)의 상부 측면 위의 코일에 전도성으로 연결된다. 원통형 코일(11)은 브래킷(8)에 의하여 패널(1)에 서로 이격된 관계로 유지된다. 도 6은 이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또한, 상기 설명된 장치의 수정된 예에서, 편향 코일(1)들은 EP 0 688 383 B1에 따라 도 6과 7의 실시예에 따라 원통형 코일(11)에 추가해서 패널(1)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어서 편향 코일들은 동축 도체를 통해 연결 도체(3)에 유사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후자는 양 측면들에, 예컨대 도 2 도시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는, 인쇄된 코일들을 가지는 패널을 포함한다. 이러한 변형에서, 패널의 양측의 코일들은 단락되므로, 수용된 에너지는 열 에너지로 변환된다.

Claims (16)

  1. 특정 주파수의 중력 자기 교란장을 감소시키거나 억제하고 그리고 강화하여 모관수(capillary water)에서 용해된 염을 운반하거나 또는 건조 후에 모세관을 콜로이드처럼 틀어막아 수분 삼투-저항성 벽돌 또는 벽돌 바닥으로부터 습기를 제거하거나 수분을 첨가하는 습도 조절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 도체가 하우징 내에, 감겨진 직경을 가지는 나선 또는 원추형 나선 코일로 감겨서 배치되고, 상기 코일의 상기 감겨진 직경은 외측 단부로부터 상기 코일 중심으로 나선 방식으로 감소하고,
    상기 코일의 상기 외측 단부와 코일축 사이의 최대 코일 반경(R1)은 중력 자기장의 그리드 네트웍의 그리드 선 폭의 1/8의 허용가능한 편차를 가지는 그리드 선 폭의 절반의 정수배이고,
    상기 그리드 선 폭은 10 내지 100 cm 범위이고; 및
    서로 분리된 상부 측면과 바닥 측면을 포함하는 차단 패널에서, 상기 상부 측면은 복수의 상부 코일들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 측면은 복수의 역으로-감긴 코일들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의 적어도 하나는 도체 트랙으로서 적용되고;
    상기 역으로-감긴 코일들의 내측 단부들은 중심의 도체 트랙-부재 영역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코일 축으로 연장하지 않는 습도 조절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최대 코일 반경(R1)은 하트만(Hartmann) 그리드의 1/8의 허용가능한 편차를 가지는 그리드 선폭의 절반의 정수배인 습도 조절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최대 반경(R1)은 큐리(Curry) 그리드의 그리드 선 폭의 1/8의 허용가능한 편차를 가지는 그리드 선폭의 절반의 정수배인 습도 조절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권선들과 상기 코일축의 내부 사이의 간격은 이전 간격보다 각각 완전 회전 후에 40% 내지 60% 더 작은 습도 조절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 패널은 상기 도체 트랙-없는 영역에 리세스를 형성하는 습도 조절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체 트랙은 상기 최대 코일 반경(R1)의 0.015배 또는 0.007 내지 0.018배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는 습도 조절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체 트랙-부재 영역은 적어도 3mm, 적어도 5mm, 적어도 8mm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직경을 가지는 습도 조절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 패널의 상기 제1 및 제2 측면들의 상기 코일과 상기 역-감기 코일은 모두 상기 중심에서 단락되는 습도 조절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연결 도체에 의하여 상기 코일 및 상기 역-감기 코일에 전기적으로 전도성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추가 코일은 상기 코일 축으로 연장하고 상기 차단 패널 위로 서로 떨어진 관계로 유지되는 습도 조절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추가 코일은 나선 코일 또는 원통형 코일이며, 상기 코일, 상기 역-감기 코일 및 상기 추가 코일은 동일한 최대 코일 반경을 가지는 습도 조절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도체 트랙-없는 영역은 상기 연결 도체의 두께의 4배, 2.5 내지 3.5배, 또는 3배인 습도 조절 장치.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추가 코일과 상기 차단 패널 사이의 간격은 상기 최대 코일 반경(R1)의 절반의 반경의 ±10%의 홀수 복수배인 습도 조절 장치.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연결 커넥터의 두께는 상기 최대 코일 반경의 0.01 내지 0.05배 또는 0.04배에 대응하는 습도 조절 장치.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추가 코일에 의하여 상기 코일과 상기 역-감기 코일을 분리 이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한 쌍의 브래킷들을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들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코일, 상기 역-감기 코일 및 상기 추가 코일을 지지하는 습도 조절 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 패널 위로 서로 이격된 관계로 배치된 제2 차단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차단 패널은 중력 자기장을 수용하는 상기 차단 패널에 의하여 흡수된 중력 자기장의 에너지를 편광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습도 조절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2 차단 패널은 서로 이격된 상부 측면과 바닥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패널의 상부 측면은 추가적인 세트의 상기 복수의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 측면은 추가적인 세트의 상기 역-감기 코일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패널의 상기 복수의 코일의 상기 추가적인 세트는 상기 차단 패널의 상기 상부 측면의 상기 복수의 상기 코일에 연결 도체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습도 조절 장치.
KR1020190095089A 2019-08-05 2019-08-05 습도 조절 장치 KR202100168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089A KR20210016834A (ko) 2019-08-05 2019-08-05 습도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089A KR20210016834A (ko) 2019-08-05 2019-08-05 습도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834A true KR20210016834A (ko) 2021-02-17

Family

ID=74731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089A KR20210016834A (ko) 2019-08-05 2019-08-05 습도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683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93103B1 (en) Antenna structure for providing a uniform field
US20210048246A1 (en) Method for Reducing the Amount of Ambient Radio Frequency Electromagnetic and Pulsating Magnetic Fields, Method for Drying Wet Walls, and Using the Device for Drying Wet Walls
CN107532419B (zh) 用于增强或反转地球引力磁场的装置
JPH0358072B2 (ko)
KR102207882B1 (ko) 제한된 전력 소스 출력을 유지하는 안테나 코일을 구동하는 방법
WO2001067549A3 (en) Structure with switchable magnetic properties
US4044299A (en) Concealed structure locating and surveying translator apparatus
CN105134200B (zh) 方位核磁共振测井仪的探头及方位核磁共振测井仪
US6657433B1 (en) Portable NMR measurement device
KR20210016834A (ko) 습도 조절 장치
KR102537426B1 (ko)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JP4209119B2 (ja) オープン磁石系が設けられた磁気共鳴撮像装置
DE102005013293B4 (de) Magnetresonanzanlage mit einer Hochfrequenzquelle
FI86233C (fi) Mottagaranordning.
US20140091801A1 (en) Decoupling of Split Ring Resonators in Magnetic Resonance Tomography
CA2432230A1 (en) Method for well logging us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and device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US10551519B2 (en) Techniques for co-siting a metal detector with another detector
HU214378B (hu) Berendezés nedvesség vagy sók szállítására
RU2380800C2 (ru) Рамочная антенна
JPS62500875A (ja) 組積の除湿装置
ES2267220T3 (es) Disposicion para la creacion y/o la recepcion de un campo magnetico.
US20070075912A1 (en) Device for receiving and releasing free forms of energy by radiation
US9424724B2 (en) Single turn magnetic drive loop for 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RU2112302C1 (ru) Рамочная антенна, расположенная над плоским металлическим экраном
RU2207681C2 (ru) Биквадратная вибраторная антенн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