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6586A - 에어로졸-발생 소모품 - Google Patents

에어로졸-발생 소모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6586A
KR20210016586A KR1020207038059A KR20207038059A KR20210016586A KR 20210016586 A KR20210016586 A KR 20210016586A KR 1020207038059 A KR1020207038059 A KR 1020207038059A KR 20207038059 A KR20207038059 A KR 20207038059A KR 20210016586 A KR20210016586 A KR 20210016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consumable article
aerosolizable material
inner shell
aerosoliz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8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패트릭 멀로니
Original Assignee
브리티시 아메리칸 토바코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리티시 아메리칸 토바코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브리티시 아메리칸 토바코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16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65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0Cigarette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14Machines of the continuous-rod type
    • A24C5/18Forming the rod
    • A24C5/1885Forming the rod for cigarettes with an axial air duct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5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휘발시키기 위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도록 배열된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소모성 물품(200)이 개시된다. 소모성 물품(200)은 외부 셸(202), 및 외부 셸(202) 내의 내부 셸(204)을 갖는다. 내부 셸(204)은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보유한다. 소모성 물품은 또한, 내부 셸(204)을 외부 셸(202)로부터 분리시키는 열 절연 층(206)을 갖는다.

Description

에어로졸-발생 소모품
본 발명은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aerosolisable material)를 가열하도록 배열된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소모성 물품(consumable article)에 관한 것이다.
시가렛들, 시가들 등과 같은 물품들은 사용 중에 담배를 태워서 담배 연기를 생성한다. 태우지 않고 화합물들을 방출하는 제품들을 생성함으로써, 담배를 태우는 이러한 물품들에 대한 대안들을 제공하려는 시도들이 있었다. 그러한 제품들의 예들은, 재료를 가열하되 태우지 않음으로써 화합물들을 방출하는 담배 가열 제품들 또는 담배 가열 디바이스들로서도 또한 알려져 있는, 이른바 비연소식 가열(heat-not-burn) 제품들이다. 그 재료는, 예컨대 니코틴을 보유할 수 있거나 또는 보유하지 않을 수 있는, 담배 또는 다른 비-담배 제품들 또는 조합물, 이를테면, 블렌딩된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르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휘발시키기 위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도록 배열된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소모성 물품이 제공되며, 소모성 물품은:
외부 셸(outer shell);
외부 셸 내의 내부 셸 ― 내부 셸은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보유함 ―; 및
내부 셸을 외부 셸로부터 분리하는 열 절연 층을 포함한다.
열 절연 층은, 사용시, 소모성 물품의 외부 표면을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온도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유지한다. 이는 소모성 물품을 가열하도록 배열된 장치로의 열 전달을 감소시키며(그 열 전달이 감소되지 않으면 소모성 물품을 가열하는 데 기여하지 않는 장치의 영역들을 불필요하게 가열할 수 있음), 이로써 절연 요건을 감소시키거나 요구되는 절연 정도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열 절연 층에 의해 제공되는 절연은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더 효율적인 가열을 제공하여,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의 전력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더욱이, 열 절연 층은, 사용자가 사용 후 소모성 물품을 다룰 수 있게 하여 불편함 또는 화상으로 인한 부상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장치는 내부 셸과 외부 셸 사이에 위치된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스페이서는 내부 셸과 외부 셸 사이의 분리를 제공하도록 배열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페이서는 5 W/m.K 미만, 2 W/m.K 미만, 또는 1 W/m.K 미만의 열 전도율을 갖는 재료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페이서는: 판지(cardboard) 재료; 종이 재료; 목재 재료; 및 플라스틱 재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내부 셸 및 외부 셸은 원통형이고, 내부 셸은 외부 셸의 단면 직경보다 더 작은 단면 직경을 갖는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페이서는 내부 셸의 외부 표면 주위에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스페이서 요소들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페이서는 내부 셸의 외경(outer diameter) 주위에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골판 재료(corrugated material)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골판 재료의 내부 부분들은 내부 셸과 접촉하고 그리고 골판 재료의 외부 부분들은 외부 셸과 접촉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소모성 물품은 내부 셸과 외부 셸 사이의 경로를 포함하는 유동 채널을 포함하며, 유동 채널은 소모성 물품의 제1 단부와 제1 단부 반대편의, 소모성 물품의 제2 단부를 유동적으로(fluidically) 연결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소모성 물품은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도록 배열된 가열기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가열기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기 위해 가변 자기장에 의한 침투에 의해 가열 가능한 서셉터 재료(susceptor material)를 내부 셸 내에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내부 셸은 종이 재료를 포함하고, 그리고 서셉터 재료는 내부 셸의 내부 표면에 접합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내부 셸은 서셉터 재료로 형성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서셉터 재료는 알루미늄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서셉터 재료는, 사용시, 서셉터 재료가 장치의 대응하는 워크 코일(work coil)에 유도 결합될 때, 유도 가열되도록 배열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가열기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기 위해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가열 가능한 저항성 가열기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가열기는 복수의 가열 요소들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외부 셸은 종이 재료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열 절연 층은 공기 및/또는 고체-기반 열 절연 재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양상에 따르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휘발시키기 위해, 상기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도록 배열된 장치가 제공되며, 장치는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른 소모성 물품을 수용하도록 배열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장치는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른 소모성 물품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장치는 내부 셸 내에 보유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내로 삽입되도록 배열된 저항성 가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양상에 따르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휘발시키기 위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도록 배열된 장치가 제공되며, 소모성 물품은:
외부 셸;
외부 셸 내의 내부 셸; 및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기 위해 내부 셸 내에 배열된 가열기 요소를 포함하며,
내부 셸과 외부 셸은 열 절연 층에 의해 분리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만 설명될 것이며, 도면들에서:
도 1은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휘발시키기 위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의 일 예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2는 소모성 물품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3은 소모성 물품의 확대된 부분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4는 소모성 물품의 확대된 부분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5는 소모성 물품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6은 소모성 물품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그리고
도 7은 소모성 물품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태우지 않으면서 또는 연소시키지 않으면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휘발시키기 위해, 전형적으로는 흡입될 수 있는 에어로졸을 형성하기 위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러한 장치는 때때로 "비연소식 가열" 장치 또는 "담배 가열 제품" 또는 "담배 가열 디바이스" 또는 유사한 것으로서 설명된다. 유사하게, 니코틴을 보유할 수 있거나 또는 보유하지 않을 수 있는, 전형적으로 액체 형태의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기화시키는 이른바 e-시가렛 디바이스들이 또한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는, 장치 내로 삽입될 수 있는, 로드(rod), 카트리지 또는 카세트 등의 형태이거나 또는 로드, 카트리지 또는 카세트 등의 부분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여 휘발시키기 위한 가열 재료는 장치의 "영구적인" 부분으로서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사용 후에 폐기 및 교체되는 소모성 물품의 부분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소모성 물품"은, 사용시 가열되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휘발시키는, 사용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포함하거나 또는 보유하는 디바이스 또는 물품 또는 다른 컴포넌트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aerosolisable material)"라는 용어는, 가열시, 전형적으로 증기 또는 에어로졸의 형태로 휘발되는 성분들을 제공하는 재료들을 포함한다.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는 비-담배-보유 재료 또는 담배-보유 재료일 수 있다.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는, 예컨대 담배 그 자체, 담배 파생품들(derivatives), 팽화 담배(expanded tobacco), 재구성 담배(reconstituted tobacco), 담배 추출물(tobacco extract), 균질화 담배(homogenised tobacco) 또는 담배 대용품들(tobacco substitutes)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는 분쇄 담배(ground tobacco), 컷 래그 담배(cut rag tobacco), 압출 담배(extruded tobacco), 재구성 담배, 재구성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액체, 겔(gel), 겔화 시트(gelled sheet), 분말 또는 응집체들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는 또한, 제품에 따라 니코틴을 보유할 수 있거나 또는 보유하지 않을 수 있는 다른 비-담배 제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는 하나 이상의 습윤제(humectant)들, 이를테면, 글리세롤(glycerol)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가열 재료(heating material)" 또는 "가열기 재료(heater material)"라는 용어는 가변 자기장에 의한 침투에 의해 가열 가능한 재료를 지칭한다.
유도 가열은, 가변 자기장이 전기-전도성 물체(electrically-conductive object)에 침투함으로써 전기-전도성 물체가 가열되는 프로세스이다. 그 프로세스는 패러데이의 유도 법칙(Faraday's law of induction)과 옴의 법칙(Ohm's law)에 의해 설명된다. 유도 가열기는 전자석, 및 교류 전류와 같은 가변 전류를 전자석을 통해 통과시키기 위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석에 의해 생성된 결과적인 가변 자기장이 물체에 침투하도록 전자석과 가열될 물체가 적절하게 상대적으로 포지셔닝될 때, 하나 이상의 와전류들이 물체 내측에서 발생된다. 물체는 전류들의 흐름에 대한 저항을 갖는다. 따라서, 그러한 와전류들이 물체에서 발생될 때, 물체의 전기 저항에 대한 와전류들의 흐름은 물체가 가열되게 한다. 유도 가열될 수 있는 물체는 서셉터로서 알려져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일 예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장치(100)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휘발시키기 위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것이다.
장치(100)는 장치 하우징(102)을 포함하며, 장치 하우징(102)은 이후 본체(102)로 지칭된다. 본체(102)는, 가열될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포함하는 소모성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가열 구역(104)을 포함한다. 장치(100)는, 사용시 물품이 가열 구역(104)에서 가열될 때,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휘발된 성분들이 가열 구역(104)으로부터 장치(100)의 외부를 향해 통과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가열 가능한 재료를 위한 배출구(106)를 갖는다. 장치(100)는 또한, 사용시 가변 자기장을 발생시키기 위한 자기장 발생기(108)를 포함한다.
장치(100)는 가열 구역(104)을 장치(100)의 외부와 유동적으로 연결하는 공기 유입구를 정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소모성 물품으로부터 휘발된 성분(들)을 흡인함으로써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휘발된 성분(들)을 흡입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휘발된 성분(들)이 소모성 물품으로부터 제거됨에 따라, 장치(100)의 공기 유입구를 통해 가열 구역(104) 내로 공기가 흡인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가열 구역(104)은 소모성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recess) 또는 캐비티(cavity)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가열 구역(104)은 리세스 이외의 것, 이를테면, 쉘프(shelf), 표면, 또는 돌출부일 수 있으며, 소모성 물품과 협력하거나 소모성 물품을 수용하기 위해 소모성 물품과의 기계적인 결합(mating)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가열 구역(104)은 길며(elongate), 소모성 물품의 추가의 부분이 본체(102)로부터 돌출되게 소모성 물품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형상화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가열 구역(104)은 소모성 물품 전체를 수용하도록 치수가 정해질 수 있다.
자기장 발생기(108)는, 전력원(110), 코일(112), 코일(112)을 통해 가변 전류, 이를테면, 교류 전류를 통과시키기 위한 디바이스(114), 제어기(116), 및 제어기(116)의 사용자-조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18)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의 전력원(110)은 재충전식 배터리(rechargeable battery)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력원(110)은 재충전식 배터리 이외의 것, 이를테면, 비-충전식 배터리, 커패시터(capacitor), 배터리-커패시터 하이브리드(battery-capacitor hybrid) 또는 주전원 공급부(mains electricity supply)에 대한 연결부일 수 있다.
코일(112)은 임의의 적절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코일(112)은 때때로 워크 코일로 지칭된다. 이 실시예에서, 코일(112)은 구리와 같은 전기 전도성 재료의 나선형 코일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자기장 발생기(108)는 코일(112)이 권취되는 자기 침투성 코어(magnetically permeable core)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자기 침투성 코어는 사용시 코일(112)에 의해 생성된 자기 플럭스(magnetic flux)를 집중시켜 더 강력한 자기장을 만든다. 자기 침투성 코어는, 예컨대 철로 제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자기 침투성 코어는, 특정 구역들에서만 자기 플럭스를 집중시키기 위해, 코일(112)의 길이를 따라 부분적으로만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코일은 플랫 코일(flat coil)일 수 있다. 즉, 코일은 2차원 나선형일 수 있다. 코일(112)은 가열 구역(104)의 길이방향 축과 실질적으로 정렬된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연장된다.
코일(112)을 통해 가변 전류를 통과시키기 위한 디바이스(114)는 전력원(110)과 코일(112)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기(116)는 또한, 전력원(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디바이스(114)를 제어하기 위해 디바이스(114)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더 구체적으로, 제어기(116)는, 전력원(110)으로부터 코일(112)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해 디바이스(114)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제어기(116)는 IC(integrated circuit), 이를테면, PCB(printed circuit board) 상의 IC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100)는, 디바이스(114) 및 제어기(116)를 포함하는 단일 전기 또는 전자 컴포넌트를 가질 수 있다.
설명된 예에서, 제어기(116)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8)의 사용자-조작에 의해 동작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8)는 본체(102)의 외부에 위치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8)는, 예컨대 푸시-버튼(push-button), 토글 스위치(toggle switch), 다이얼(dial), 터치스크린(touchscree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18)는 원격일 수 있고, 무선으로, 이를테면, 블루투스를 통해 장치의 나머지에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18)의 조작은, 코일(112)로 하여금 교류 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하기 위해, 제어기(116)가 디바이스(114)로 하여금 교류 전류가 코일(112)을 통과하게 한다. 장치(100)의 코일(112)과 가열 구역(104)은, 코일(112)에 의해 생성된 가변 자기장이 가열 구역(104)에 침투하도록, 적절하게 상대적으로 포지셔닝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가열 재료가 전기-전도성 재료인 경우, 이는 가열 재료에 하나 이상의 와전류들의 발생을 야기할 수 있다. 가열 재료의 전기 저항에 대항하는 가열 재료 내의 와전류들의 흐름은 가열 재료가 줄 가열(Joule heating)에 의해 가열되게 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사용시, 소모성 물품은 가열 구역(104) 내로 삽입된다. 이 실시예에서, 소모성 물품은, 가변 자기장의 인가에 의해 가열되기 쉬운 가열 재료로 제조된 가열 요소를 포함한다. 따라서, 소모품이 가열 구역(104) 내에 존재하고 디바이스(114)가 가변 자기장을 코일(112)에 인가할 때, 가열 요소가 가열됨으로써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시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성분들을 휘발시킨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가열 요소는 대신에 장치(100)의 부분일 수 있다. 예컨대, 장치(100)의 가열 구역은, 소모성 물품을 관통하고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내부 가열을 제공하도록 배열된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장치(100)는, 소모성 물품이 장치(100) 내로 삽입될 때 배치되는 스파이크(spike)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가열 요소는, 그 자체가, 장치의 가열 구역을 둘러싸는 코일에 의해 유도 가열될 수 있거나, 저항성 전기 권선을 통해 전류를 통과시킴으로써 열을 발생시키는 저항성 가열기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장치(100)는, 적외선 방사를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에 조사(irradiating)함으로써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는 적외선 가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장 발생기(108)의 코일(112)의 임피던스는 소모성 물품의 가열 요소의 임피던스와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대신에, 가열 요소의 임피던스가 코일(112)의 임피던스보다 더 낮다면, 사용시 가열 요소에 걸쳐 발생된 전압은, 임피던스들이 매칭될 때 가열 요소에 걸쳐 발생될 수 있는 전압보다 더 낮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대신에, 가열 요소의 임피던스가 코일(112)의 임피던스보다 더 높다면, 사용시 가열 요소에서 발생된 전류는, 임피던스들이 매칭될 때 가열 요소에서 발생될 수 있는 전류보다 더 낮을 수 있다. 임피던스들을 매칭시키는 것은, 사용시 가열 요소에서 발생되는 발열량(heating power)을 최대화하기 위해 전압과 전류의 균형을 맞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114)의 임피던스는, 코일(112) 및 소모성 물품의 가열 요소의 결합된 임피던스와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장치(100)는 가열 구역(104)에 삽입된 소모성 물품의 일부, 이를테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포함하는 소모성 물품의 일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12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온도 센서(120)는 소모성 물품 내의 가열 요소의 무선으로 검출된 특성에 기반하여(예컨대, 서셉터 재료의 임피던스의 명백한 변화에 기반하여) 소모성 물품의 일부의 온도를 결정하거나 추론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온도 센서(120)는, 제어기(116)가 소모성 물품의 일부의 온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제어기(116)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소모성 물품의 일부의 온도가 미리 결정된 온도 범위 내에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온도 센서(120)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신호들에 기반하여, 제어기(116)는 디바이스(114)로 하여금 필요에 따라 코일(112)을 통과하는 가변 또는 교류 전류의 특징을 조정하게 할 수 있다. 그 특징은, 예컨대 진폭 또는 주파수 또는 듀티 사이클일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온도 범위 내에서, 사용시, 가열 구역(104) 내에 위치된 소모성 물품 내의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연소시키지 않으면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휘발시키기에 충분히 가열된다. 따라서, 제어기(116) 및 장치(100)는 전체적으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연소시키지 않으면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휘발시키기 위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도록 배열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온도 범위는 100℃ 내지 300℃, 이를테면, 약 170℃ 내지 약 250℃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온도 범위는 이러한 범위 이외의 범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온도 범위의 상한은 300℃보다 더 높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온도 센서(120)는 생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가열 재료는 가열 재료를 가열하도록 희망되는 최대 온도에 기반하여 선택된 퀴리점 온도(Curie point temperature)를 가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가열 재료를 유도 가열함으로써 그 온도 초과로 더 가열하는 것이 저지되거나 방지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온도 센서(120)는 장치(100) 내의 온도, 이를테면, 가열 구역(104)의 온도를 직접 측정하도록 배열될 수 있고, 제어기(116)는 측정된 온도로부터 가열 구역(104)에 삽입된 소모성 물품의 일부의 온도를 추론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가열 구역의 온도는, 예컨대 60℃ 내지 120℃의 범위일 수 있다.
공기가 장치(100)로 유입되고 장치(100) 내로 삽입된 소모성 물품을 통해 흡인되도록 허용하기 위해, 장치(100)는, 가열 구역(104)의 원위 단부에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본체(102)의 표면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들(12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장치(100)와 같은,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휘발시키기 위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도록 배열된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소모성 물품(200)인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소모성 물품(200)은 외부 셸(202) 및 내부 셸(204)을 포함한다. 열 절연 층(206)이 내부 셸(204)을 외부 셸(202)로부터 분리시킨다.
열 절연 층(206)은 에어로졸 발생 재료를 소모성 물품(200)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멀리 유지한다. 따라서, 열 절연 층(206)은, 사용시, 소모성 물품(200)의 외부 표면을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온도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유지한다. 이는 소모성 물품(200)을 가열하도록 배열된 장치(100)로의 열 전달을 감소시키며(그 열 전달이 감소되지 않으면 소모성 물품(200)을 가열하는 데 기여하지 않는 장치(100)의 영역들을 불필요하게 가열할 수 있음), 이로써 절연 요건을 감소시키거나 장치(100) 내에 요구되는 절연 정도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열 절연 층(206)에 의해 제공되는 절연은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더 효율적인 가열을 제공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전도를 통해 손실되는 열이 더 적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100)의 전력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더욱이, 열 절연 층(206)은 사용자가 사용 후 소모성 물품(200)을 다룰 수 있게 하여 불편함 또는 화상으로 인한 부상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소모성 물품은 내부 셸(204)과 외부 셸(202) 사이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들(208)을 포함한다. 스페이서들(208)은 내부 셸(204)과 외부 셸(202) 사이에 에어 갭(air gap)을 유지하며, 그 에어 갭은 열 절연 층(206)을 제공한다. 공기는 (온도에 따라 좌우되는) 0.26 내지 0.04 W/m.K의 범위의 낮은 열 전도율을 가지며, 따라서 내부 셸(204)과 외부 셸(202) 사이에 양호한 열 절연을 제공한다.
스페이서들(208)은: 예컨대 판지 재료, 종이 재료, 목재 재료 및 플라스틱 재료 중 하나 이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판지 및 종이 재료들은 전형적으로, ~ 0.05 W/m.K의 열 전도율을 갖고, 목재 재료들은 전형적으로, 0.04 내지 0.17 W/m.K의 범위의 열 전도율을 가지며, 플라스틱 재료들은 전형적으로, 0.05 내지 0.3 W/m.K의 범위의 열 전도율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재료들로 제조된 스페이서들(208)은 또한, 내부 셸(204)과 외부 셸(202) 사이에 양호한 절연을 제공한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내부 셸(204) 및 외부 셸(202)은 원통형이고 스페이서들(208)은 환형 스페이서들이다. 따라서, 내부 셸(204)과 외부 셸(202)은 동축이다. 스페이서들(208)은 내부 셸(204)과 외부 셸(202) 사이에 기밀(airtight) 또는 거의-기밀 밀봉을 형성한다. 따라서, 사용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로부터 휘발된 성분들을 보유하는 공기는 내부 셸(204)을 통해 흡인될 수 있는 반면, 내부 셸(204)과 외부 셸(202) 사이의 공간에 있는 공기는 정적으로 유지된다. 2개의 스페이서들이 도 2에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 내부 셸(204)과 외부 셸(202) 사이의 분리를 제공하기 위해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스페이서들이 사용될 수 있다.
내부 셸(204) 내에 위치되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포함하는 기재(substrate)(210)가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기재(210)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내부 셸(204) 내에 위치될 수 있는 담배, 담배 유도체들, 팽화 담배, 재구성 담배, 담배 추출물, 균질화 담배 또는 담배 대용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기재(210)는, 제품에 따라 니코틴을 보유할 수 있거나 또는 보유하지 않을 수 있는 비-담배 제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소모성 물품(200)은 필터 부분(212)을 포함한다. 예컨대, 필터 부분(212)은 필터링 재료, 이를테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부분(212)은 사용시 소모성 물품(200)을 위한 마우스피스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로부터 휘발된 성분들을 보유하는 공기가 그 마우스피스를 통해 흡인될 수 있다. 필터 부분으로부터 소모성 물품(200)의 반대쪽 단부(때때로 원위 단부로 지칭되는 것)에는 개구가 있고, 그 개구를 통해 공기가 흡인되고 그런 다음 소모성 물품(200)을 통해 흡인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필터(210)는 생략될 수 있다. 예컨대, 일부 실시예들에서, 소모성 물품(200)은 장치 내에 완전히 보유될 수 있고, 장치에는 마우스피스가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그 마우스피스를 통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로부터 휘발된 성분들을 보유하는 공기를 흡인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소모성 물품은, 기재(210) 내의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휘발시키기 위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일체형 가열 요소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모성 물품(300)의 일부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소모성 물품(200)과 유사한 소모성 물품은 외부 셸(302) 및 내부 셸(304)을 포함한다. 더욱이, 도 2에 도시된 소모성 물품(200)과 유사하게, 내부 셸(304)은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포함하는 기재(310)를 보유하도록 배열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열 요소(306)가 내부 셸(304)에 접합된다. 가열 요소(306)는, 가변 자기장의 침투에 의해 가열 가능하고 그에 따라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서셉터로서 작용하는 가열 재료를 포함한다. 예컨대, 가열 요소(306)는 금속 재료, 이를테면,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가열 요소(306)는, 내부 셸(304)의 표면, 이를테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셸(304)의 내부 표면 상에 접합되고, 라미네이팅되고 그리고/또는 소결될 수 있는 세라믹 재료, 이를테면, 알루미나 및 알루미늄 질화물 또는 실리콘 질화물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이들로 제조될 수 있다. 내부 셸(304) 그 자체는, 예컨대 판지 재료 또는 종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소모성 물품(400)의 일부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소모성 물품(400)은 외부 셸(402) 및 내부 셸(404)을 포함하고, 내부 셸(404)은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포함하는 기재(410)를 보유하도록 배열된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소모성 물품(400)에서, 내부 셸(304) 그 자체는, 가변 자기장의 침투에 의해 가열 가능하고 그에 따라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서셉터로서 작용하는 가열 재료를 포함한다. 예컨대, 가열 재료는, 금속 재료, 이를테면, 알루미늄, 또는 세라믹 재료, 이를테면, 알루미나 및 알루미늄 질화물 또는 실리콘 질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내부 셸(404)은, 금속 재료, 이를테면, 알루미늄, 또는 세라믹 재료, 이를테면, 알루미나 및 알루미늄 질화물 또는 실리콘 질화물이 함침된 기재 재료, 이를테면, 종이 재료 또는 판지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소모성 물품들(300, 400)은 단일 가열 요소를 갖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일부 실시예들에서, 소모성 물품은 복수의 가열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소모성 물품은 기재의 상이한 구역들을 가열하기 위해 상이한 가열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서, 소모성 물품의 내부 셸은, 소모성 물품의 사용 동안 열 절연 층을 제공하는 정적 공기를 보유하는 에어 갭을 형성하는 스페이서들에 의해 외부 셸로부터 분리된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들에서, 내부 셸과 외부 셸 사이에 비교적 기밀 밀봉을 제공하기 보다는, 스페이서들은 유동 경로(fluidic path)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소모성 물품을 통해 공기를 흡인할 때 그 유동 경로를 통해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시 동적 공기 유동이 열 절연을 제공하는, 소모성 물품(500)이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소모성 물품들과 유사하게, 도 5에 도시된 소모성 물품(500)은 열 절연 층(506)에 의해 분리된, 외부 셸(502)과 내부 셸(504)을 포함한다. 내부 셸(504)은 또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포함하는 기재(510)를 보유하도록 배열된다.
도 5에 도시된 소모성 물품(500)은 또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소모성 물품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들과 유사한 필터 및/또는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도 2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소모성 물품(200)과 유사하게, 필터에 대한 소모성 물품(500)의 반대쪽 단부에는 개구가 있을 수 있고, 그 개구를 통해 공기가 흡인되고 그런 다음 소모성 물품(500)을 통해 흡인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소모성 물품(500)은 또한, 내부 셸(504)과 외부 셸(502) 사이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들(508)을 보유하며, 그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들(508)은 내부 셸(504)과 외부 셸(502) 사이에 에어 갭을 유지하여 열 절연 층(506)을 제공한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스페이서(508)는 내부 셸(504)과 외부 셸(502) 사이에 기밀 밀봉을 형성하지 않는 대신에, 사용자가 소모성 물품(500)을 통해 공기를 흡인할 때 내부 셸(504)과 외부 셸(502) 사이의 공기의 유동을 허용한다. 예컨대, 도 5에서 화살표들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셸(504)과 외부 셸(502) 사이의 공간은 소모성 물품(5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동 채널을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유동 채널은, 기재(510)를 통한 유동 경로에 추가하여, 소모성 물품(500)의 일 단부를 소모성 물품(500)의 다른, 반대쪽의 제2 단부와 유동적으로 연결하는 경로를 내부 셸(504)과 외부 셸(502) 사이에 정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페이서들(508)은, 도 5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길이방향 경로를 따라 재료를 통한 공기의 유동을 허용하는 통기성(air-permeable)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사용자가 소모성 물품(600)을 통해 공기를 흡인할 때 스페이서가 내부 셸(604)과 외부 셸(602) 사이의 공기 유동을 허용하는, 소모성 물품(600)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페이서는 내부 셸의 외부 표면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스페이서 요소들(606)을 포함한다. 스페이서 요소들(606) 사이에는 갭들이 있으며, 공기는 그 갭들을 통해, 도 5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길이방향 경로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도 7은, 사용자가 소모성 물품(600)을 통해 공기를 흡인할 때, 스페이서가 내부 셸(604)과 외부 셸(602) 사이의 공기 유동을 허용하는, 소모성 물품들(700a, 700b, 700c)의 다른 실시예들의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스페이서(706a, 706b, 706c)는 내부 셸의 외경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골판 재료를 포함한다. 예컨대, 스페이서(706a, 706b, 706c)는 골판지 재료(corrugated paper material), 판지 재료 또는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들 각각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판 재료의 내부 부분들은 내부 셸과 접촉하고 골판 재료의 외부 부분들은 외부 셸과 접촉한다. 이는 갭들을 제공하며, 공기는 그 갭들을 통해, 도 5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길이방향 경로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휘발시키기 위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는 것은 소모성 물품 내에 제공된 유도 가열 어레인지먼트에 의해 제공되지만, 일부 실시예들에서, 가열은 소모성 물품 내의 유도 가열 어레인지먼트 대신에 또는 그에 추가하여 다른 가열 어레인지먼트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소모성 물품에는 유도 가열 어레인지먼트 대신에 또는 그에 추가하여 저항성 가열 어레인지먼트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도록 배열된 장치는 그 자체가, 유도 가열, 저항성 가열 또는 방사 가열(즉, 적외선 방사에 의한 가열) 또는 이들의 일부 조합에 의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어레인지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서, 열 절연 층은 하나 이상의 에어 갭들을 포함하지만, 일부 실시예들에서, 열 절연은 내부 셸과 외부 셸 사이의 공간의 하나 이상의 부분들에서의 고체-기반 열 절연 재료의 추가에 의해 제공되거나 개선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청구된 특징들을 이해하고 교시하는 것을 돕기 위해서만 제시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실시예들의 대표적인 샘플로서만 제공되며, 총망라하지 않고 그리고/또는 배타적이지 않다. 본원에서 설명된 장점들, 실시예들, 예들, 기능들, 특징들, 구조들, 및/또는 다른 양상들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한 제한들 또는 청구항들에 대한 등가물들에 대한 제한들로서 고려되지 않아야 하며, 청구된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들이 활용될 수 있고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원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들 외에, 개시된 요소들, 컴포넌트들, 특징들, 부분들, 단계들, 수단들 등의 적절한 조합들을 적절하게 포함할 수 있거나, 이들로 구성될 수 있거나, 이들을 필수 구성으로 포함할(consist essentially of) 수 있다. 게다가, 본 개시내용은 현재 청구되지 않지만 추후에 청구될 수 있는 다른 발명들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23)

  1.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aerosolisable material)의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휘발시키기 위해, 상기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도록 배열된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소모성 물품(consumable article)으로서,
    외부 셸(outer shell);
    상기 외부 셸 내의 내부 셸 ― 상기 내부 셸은 상기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보유함 ―; 및
    상기 내부 셸을 상기 외부 셸로부터 분리하는 열 절연 층을 포함하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도록 배열된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소모성 물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셸과 상기 외부 셸 사이에 위치된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내부 셸과 상기 외부 셸 사이의 분리를 제공하도록 배열되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도록 배열된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소모성 물품.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5 W/m.K 미만, 2 W/m.K 미만, 또는 1 W/m.K 미만의 열 전도율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도록 배열된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소모성 물품.
  4.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판지(cardboard) 재료; 종이 재료; 목재 재료; 및 플라스틱 재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도록 배열된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소모성 물품.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셸 및 상기 외부 셸은 원통형이고, 상기 내부 셸은 상기 외부 셸의 단면 직경보다 더 작은 단면 직경을 갖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도록 배열된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소모성 물품.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내부 셸의 외부 표면 주위에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스페이서 요소들을 포함하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도록 배열된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소모성 물품.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내부 셸의 외경(outer diameter) 주위에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골판 재료(corrugated material)를 포함하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도록 배열된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소모성 물품.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골판 재료의 내부 부분들은 상기 내부 셸과 접촉하고 그리고 상기 골판 재료의 외부 부분들은 상기 외부 셸과 접촉하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도록 배열된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소모성 물품.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셸과 상기 외부 셸 사이의 경로를 포함하는 유동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유동 채널은 상기 소모성 물품의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 반대편의, 상기 소모성 물품의 제2 단부를 유동적으로(fluidically) 연결하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도록 배열된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소모성 물품.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도록 배열된 가열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도록 배열된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소모성 물품.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는, 상기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기 위해 가변 자기장에 의한 침투에 의해 가열 가능한 서셉터 재료(susceptor material)를 상기 내부 셸 내에 포함하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도록 배열된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소모성 물품.
  12. 제10 항 또는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셸은 종이 재료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서셉터 재료는 상기 내부 셸의 내부 표면에 접합되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도록 배열된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소모성 물품.
  13. 제10 항 또는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셸은 서셉터 재료로 형성되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도록 배열된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소모성 물품.
  14. 제11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셉터 재료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도록 배열된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소모성 물품.
  15. 제11 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셉터 재료는, 사용시, 상기 서셉터 재료가 상기 장치의 대응하는 코일에 유도 결합될 때, 유도 가열되도록 배열되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도록 배열된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소모성 물품.
  16.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는, 상기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기 위해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가열 가능한 저항성 가열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도록 배열된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소모성 물품.
  17. 제10 항 내지 제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는 복수의 가열 요소들을 포함하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도록 배열된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소모성 물품.
  18. 제1 항 내지 제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셸은 종이 재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도록 배열된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소모성 물품.
  19. 제1 항 내지 제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절연 층은 공기 및/또는 고체-기반 열 절연 재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도록 배열된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소모성 물품.
  20.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휘발시키기 위해, 상기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도록 배열된 장치로서,
    제1 항 내지 제1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소모성 물품을 수용하도록 배열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도록 배열된 장치.
  21. 제20 항에 있어서,
    제1 항 내지 제1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소모성 물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도록 배열된 장치.
  22. 제20 항 또는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셸 내에 보유된 상기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내로 삽입되도록 배열된 저항성 가열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도록 배열된 장치.
  23.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휘발시키기 위해, 상기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도록 배열된 장치로서,
    외부 셸;
    상기 외부 셸 내의 내부 셸; 및
    상기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내부 셸 내에 배열된 가열기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셸과 상기 외부 셸은 열 절연 층에 의해 분리되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도록 배열된 장치.
KR1020207038059A 2018-07-04 2019-07-02 에어로졸-발생 소모품 KR202100165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810994.2 2018-07-04
GBGB1810994.2A GB201810994D0 (en) 2018-07-04 2018-07-04 A consumable article for use with an apparatus for heating aersolisable material
PCT/EP2019/067770 WO2020007879A1 (en) 2018-07-04 2019-07-02 Aerosol-generating consum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586A true KR20210016586A (ko) 2021-02-16

Family

ID=63143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8059A KR20210016586A (ko) 2018-07-04 2019-07-02 에어로졸-발생 소모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137168A1 (ko)
EP (1) EP3817609A1 (ko)
JP (2) JP7399894B2 (ko)
KR (1) KR20210016586A (ko)
GB (1) GB201810994D0 (ko)
WO (1) WO20200078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2102049A1 (ko) 2020-11-12 2022-05-19
JP7333484B2 (ja) 2020-11-12 2023-08-2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香味発生物品
EP4245157A1 (en) 2020-11-12 2023-09-20 Japan Tobacco Inc. Flavor-generating article
WO2023002918A1 (ja) * 2021-07-20 2023-01-26 Future Technology株式会社 喫煙具用カートリッジ
WO2023052463A1 (en) * 2021-09-30 2023-04-06 Jt International Sa Aerosol generation articl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10059C1 (en) * 1989-03-28 1990-11-15 B.A.T. Cigarettenfabriken Gmbh, 2000 Hamburg, De Smokable article
US7743773B2 (en) * 2005-07-29 2010-06-29 Philip Morris Usa Inc. Over-wrap for smoking article
US9220301B2 (en) * 2006-03-16 2015-12-29 R.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
WO2012090294A1 (ja) 2010-12-28 2012-07-05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炭素熱源を備えた喫煙物品
US9078473B2 (en) * 2011-08-09 2015-07-14 R.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s and use thereof for yielding inhalation materials
GB201116629D0 (en) * 2011-09-27 2011-11-09 British American Tobacco Co Smoking articl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moking articles
WO2013131764A1 (en) * 2012-03-05 2013-09-12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Heating smokable material
GB201217067D0 (en) 2012-09-25 2012-11-07 British American Tobacco Co Heating smokable material
AU2015233388B2 (en) 2014-03-21 2017-06-08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CN104095291B (zh) 2014-07-28 2017-01-11 四川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基于电磁加热的烟草抽吸系统
EP2921065A1 (en) 2015-03-31 2015-09-23 Philip Morris Products S.a.s. Extended heating and heating assembly for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KR102105747B1 (ko) * 2015-04-02 2020-04-28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향미 흡인기
US20170055581A1 (en) * 2015-08-31 2017-03-02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Article for use with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US20170119049A1 (en) 2015-10-30 2017-05-04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Article for Use with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EP3462935B1 (en) * 2016-05-31 2020-08-26 Philip Morris Products S.a.s. Aerosol-generating system comprising a heated aerosol-generating article
JP6409025B2 (ja) 2016-06-20 2018-10-17 株式会社ステップ・ケイ・スリー 無煙電子タバコ
CN114025629A (zh) * 2019-07-03 2022-02-08 日本烟草产业株式会社 香味抽吸物品用构件、香味抽吸物品、香味抽吸物品用酚捕获剂以及香味抽吸物品用构件的制造方法
CN113080521A (zh) * 2019-12-23 2021-07-09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加热器以及包含该加热器的烟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01810994D0 (en) 2018-08-15
US20210137168A1 (en) 2021-05-13
JP2021530202A (ja) 2021-11-11
JP7399894B2 (ja) 2023-12-18
JP2024023569A (ja) 2024-02-21
WO2020007879A1 (en) 2020-01-09
EP3817609A1 (en) 202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3814B1 (ko) 흡연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
KR102468749B1 (ko) 흡연가능 물질을 가열하기 위한 장치
KR102606655B1 (ko) 흡연가능 물질을 가열하기 위한 장치
JP7137604B2 (ja) 喫煙材を加熱するための装置
KR102061674B1 (ko) 흡연가능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와 함께 사용하는 물품
JP7399894B2 (ja) エアロゾル生成消耗品
KR20220050923A (ko)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소모품
RU2785723C2 (ru) Одноразовое изделие для выработки аэрозоля
WO2023118009A1 (en) Aerosol provis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