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5020A -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5020A
KR20210015020A KR1020190093231A KR20190093231A KR20210015020A KR 20210015020 A KR20210015020 A KR 20210015020A KR 1020190093231 A KR1020190093231 A KR 1020190093231A KR 20190093231 A KR20190093231 A KR 20190093231A KR 20210015020 A KR20210015020 A KR 20210015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mentia
user
voice recognition
information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일
박현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온 아일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온 아일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온 아일랜드
Priority to KR1020190093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5020A/ko
Publication of KR20210015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50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2Query formulation
    • G06F16/3329Natural language query formulation or dialogu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30Semantic analysi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제공된다. 상기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질문을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 음성을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부(110);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상기 답변 음성으로부터 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텍스트 데이터와 미리 저장된 예상 답변을 비교하며,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 새로운 질문 또는 응답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처리부(120); 상기 처리부(120)에 의해 추출된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저장부(130); 및 상기 통신부(110), 상기 처리부(120) 및 상기 저장부(130)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처리부(120)에 의해 생성된 상기 새로운 질문 또는 응답을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A METHOD, AN APPARATUS AND A SYSTEM FOR PROVIDING DEMENTIA MANAGEMENT SERVICE WHICH IS CAPABLE OF SPEECH RECOGNITION}
본 발명은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반적인 웹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이 어려운 치매 환자 및 보호자에게 음성인식이 가능한 챗봇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함으로써 음성을 통해 간단하고 용이하게 치매 관련 케어 서비스를 이용하고 치매 환자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치매(dementia)는 후천적인 외상이나 질병 등 외인에 의하여 뇌가 손상 또는 파괴되어 전반적으로 지능, 학습, 언어 등의 인지기능과 고등 정신 기능이 떨어지는 복합적인 증상을 의미한다. 치매의 원인 질환 중 가장 흔히 발생되는 알츠하이머병(Alzheimer Disease) 환자들의 경우, 일반적으로 기억장애 증상을 가장 먼저 나타내고 이후 병이 진행됨에 따라 언어장애 등의 심각한 인지기능 장애 증상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치매 진단을 받은 환자에게 보다 심각한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꾸준한 진단 및 관리가 필수적이다. 다만, 인지 능력이 부족한 치매 환자가 스스로 병을 관리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므로 보호자나 의료진이 환자의 데이터에 쉽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치매 환자 및 연령대가 높은 보호자의 경우 기존의 일반적인 웹 기반의 치매 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특히, 치매 환자의 경우 텍스트 형식의 정보 습득이나 음성이 아닌 문자만을 통한 소통이 원활하지 못한 경우가 많다. 또한, 치매진행정도에 관한 간단한 확인 및 진단이 필요한 경우까지 매번 환자와 보호자가 함께 병원을 내원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치매 환자가 음성 챗봇을 통해 질문과 답변을 주고받은 결과를 분석하여 치매진행정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가 용이하고 간편하게 치매진행정도를 진단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치매 진행 예방 게임을 추천함으로써, 환자가 본인의 치매 진행 단계에 적합한 게임을 하면서 수시로 치매 진행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거주지역 등 기본정보와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요양기관을 추천하도록 함으로써, 보호자가 환자에게 적합한 요양기관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가 수시로 진단한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결과를 보호자 단말, 의료기관 서버, 요양기관 서버 등으로 제공함으로써, 보호자, 담당 의사, 담당 요양사 등이 원거리에서도 용이하게 환자의 상태를 자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 질문을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 음성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답변 음성으로부터 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텍스트 데이터와 미리 저장된 예상 답변을 비교하며,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 새로운 질문 또는 응답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처리부; 상기 처리부에 의해 추출된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저장부; 및 상기 통신부, 상기 처리부 및 상기 저장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처리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새로운 질문 또는 응답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부는 판단모듈 및 생성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판단모듈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생성모듈은, 상기 판단된 상기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부는 추천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추천모듈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된 게임 중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적어도 하나의 게임을 추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추천모듈에 의해 추천된 게임을 실행하는 링크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부에 의해 상기 보호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동시키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상기 보호자 정보와 상기 보호자 단말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텍스트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보호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사용자의 기본 정보가 추가로 저장될 수 있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기본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된 요양기관 중 적어도 하나의 요양기관을 추천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처리부에 의해 추천된 요양기관에 관한 정보를 상기 보호자 단말에 제공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부는,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의료기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의료기관 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동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부에 의해 상기 의료기관 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동시키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상기 의료기관 정보와 상기 의료기관 서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텍스트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의료기관 서버로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한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상기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 질문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전송된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 음성을 수신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텍스트 데이터와 미리 저장된 예상 답변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 새로운 질문 또는 응답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새로운 질문 또는 응답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상기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된 게임 중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적어도 하나의 게임을 추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된 게임을 실행하는 링크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보호자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보호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보호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동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동시키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상기 보호자 정보와 상기 보호자 단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텍스트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보호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사용자의 기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기본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된 요양기관 중 적어도 하나의 요양기관을 추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된 요양기관에 관한 정보를 상기 보호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의료기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의료기관 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동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기관 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동시키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상기 의료기관 정보와 상기 의료기관 서버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텍스트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의료기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의하면, 치매 환자가 음성 챗봇을 통해 질문과 답변을 주고받은 결과를 분석하여 치매진행정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가 용이하고 간편하게 치매진행정도를 진단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의하면, 환자의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치매 진행 예방 게임을 추천함으로써, 환자가 본인의 치매 진행 단계에 적합한 게임을 하면서 수시로 치매 진행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의하면, 환자의 거주지역 등 기본정보와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요양기관을 추천하도록 함으로써, 보호자가 환자에게 적합한 요양기관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의하면, 환자가 수시로 진단한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결과를 보호자 단말, 의료기관 서버, 요양기관 서버 등으로 제공함으로써, 보호자, 담당 의사, 담당 요양사 등이 원거리에서도 용이하게 환자의 상태를 자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 10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리부(120)의 세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S600)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할 게임을 추천하는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요양기관을 추천하는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a, 도 7b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예를 각각 도시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관리자가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를 제공 및 관리하는 웹 페이지의 예를 각각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 10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은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0), 사용자 단말(200) 및 보호자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1의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 및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300)과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개인 또는 사설 기업에 의해 제작되어 운영되는 자체 어플리케이션(APP) 기반의 장치에 해당하며, 관련 기술분야에서의 다양한 표현 방식에 따라 디바이스(device), 장비(equipment), 서버(server), 플랫폼(platform) 등의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통신부(110), 처리부(120), 저장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 도시되는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구성요소들(110, 120, 130, 1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동작, 기능 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구성요소들에 불과하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도시된 구성요소들(110, 120, 130, 140)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예를 들어, 전원부 등)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200)로 질문을 전송하고, 전송된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 음성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110)는 저장부(130)에 미리 저장된 질문 중 처리부(120)가 사용자에게 적합하다고 판단하는 질문을 가장 먼저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130)에 미리 저장된 질문에 관한 내용과 처리부(120)에 의해 사용자에게 적합한 질문이 판단되는 과정에 관한 내용은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전송된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 음성을 처리부(120)에서 분석한 결과에 따라 새로운 질문 또는 응답이 생성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처리부(120)에서 생성한 새로운 질문 또는 응답을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통신부(110)는 외부와의 직접 연결 또는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을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부(11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처리부(120), 저장부(130), 제어부(140) 등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수신하여 처리부(120) 또는 제어부(140)로 전달하거나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에는 텍스트, 이미지, 동화상 등의 컨텐츠, 사용자 영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랜(LAN),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RF(Radio Frequency)통신, 무선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등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유, 무선 통신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처리부(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답변 음성으로부터 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텍스트 데이터와 미리 저장된 예상 답변을 비교하며, 비교의 결과에 따라 새로운 질문 또는 응답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처리부(12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답변 음성으로부터 언어적 의미 내용을 식별하여 단어 또는 문장으로 이루어진 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이렇게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기술을 ‘Speech-to-Text(STT)’ 기술이라고 정의하며, STT 기술은 ‘음성인식(Speech Recognition)’ 기술이라고 표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서는 다양한 방식의 음성인식 기술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례로, 음성을 입력 받아 음가마다 고유한 특성을 추출하고, 발성문법과 음향모델에 의해 디코딩을 수행하며, 디코딩된 데이터로부터 언어적인 특성과 발성 시점의 명확성을 고려하여 후 처리를 수행한 인식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처리부(120)가 음성인식 기능을 수행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한 후에는 추출된 텍스트 데이터와 미리 저장부(130)에 저장된 예상 답변을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30)에는 사용자의 이름을 묻는 질문이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그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써 사용자 본인의 이름이 미리 예상 답변으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통신부(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 사용자의 이름을 묻는 질문을 전송한 경우, 처리부(120)는 사용자의 답변 음성에서 추출된 텍스트 데이터가 예상 답변, 즉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이름과 일치하는지 상호 비교할 수 있다.
비교적 복잡한 답변을 요구하는 질문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답변 음성으로부터 추출된 텍스트 데이터와 미리 저장된 예상 답변이 명확히 일치되기 어렵다. 따라서 예상 답변이 두 단어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처리부(120)는 텍스트 데이터와 저장된 예상 답변을 상호 비교할 때 답변의 키워드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예상 답변이 저장부(130)에 저장될 때 답변의 키워드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처리부(120)는 비교의 결과에 따라 새로운 질문 또는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처리부(120)에 의해 생성될 새로운 질문 또는 응답은 저장부(130)에 미리 저장된 질문들과 응답들 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먼저, 비교의 결과에 따라 긍정 또는 부정의 의미를 가지는 응답이 각각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답변 음성에서 추출된 텍스트 데이터가 예상 답변과 일치하는 경우, 처리부(120)는 ‘정답입니다’, ‘잘하셨습니다’와 같은 긍정적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의 답변 음성에서 추출된 텍스트 데이터가 예상 답변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처리부(120)는 ‘틀렸습니다’와 같은 부정적 응답을 생성할 수 있거나 또는 ‘다시 한번 맞춰보세요’와 같은 정답 유도형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비교의 결과에 따라 새로운 질문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이름을 묻는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이 예상 답변과 일치하는 경우, 처리부(120)는 더욱 높은 기억력을 요구하는 질문을 추가로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부(130)에는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기억력의 수준에 따른 질문의 순서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처리부(120)가 새로운 질문을 생성하는 기준 및 방법은 다양할 수 있고, 상기한 방법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이어서 통신부(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처리부(120)에 의해 생성된 새로운 질문 또는 응답을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통신부(110)를 통해 전송되는 새로운 질문 또는 응답은 음성(音聲)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처리부(120)는 텍스트 형식으로 생성된 새로운 질문 또는 응답을 음성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렇게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기술을 ‘Text-to-Speech(TTS)’ 기술이라고 정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서는 다양한 방식의 텍스트 음성 변환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처리부(120)에 의해 음성인식 및 텍스트 음성 변환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서는 음성인식 및 텍스트 음성 변환이 별도의 외부 서버 또는 장치에서 구현되어 음성인식 후의 텍스트 데이터 또는 텍스트 음성 변환 후의 음성신호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저장부(130)는 처리부(120)에 의해 추출된 텍스트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130)에 텍스트 데이터가 저장되면, 처리부(120)는 저장된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어서, 처리부(120)는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는 이후 사용자에게 게임을 추천하거나 요양기관을 추천할 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0)에 저장된 텍스트 데이터와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는 통신부(110)를 통해 보호자 단말(300), 의료기관 서버(400), 요양기관 서버(500) 등으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30)에는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는 질문들과 예상 답변들이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미리 저장된 질문들은 크게 공통질문과 개별질문으로 구별될 수 있다.
먼저, 공통질문은 사용자가 누구인지에 관계없이 동일한 답변을 요구하는 질문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지 신호는 무슨 색 입니까?’와 같은 질문은 공통질문이 될 수 있다. 공통질문에 대한 예상 답변은 사용자가 다르더라도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미리 저장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다만, ‘빨간색’, ‘붉은색’, 적색’, ‘빨강’ 등과 같이 의미는 동일하나 표현을 다르게 할 수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가능한 한 다양한 표현의 예상 답변을 저장부(130)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오늘은 무슨 요일입니까?’와 같은 질문도 공통질문이 될 수 있다. 이때 해당 질문에 대한 예상 답변은 사용자가 누구인지와는 무관하나, 질문이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되는 시점과는 관련이 있다. 따라서 저장부(130)에 저장된 예상 답변은 해당 질문이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될 때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반면에, 개별질문은 사용자가 누구인지에 따라 답변이 달라질 수 있는 개인적 또는 주관적 질문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당신의 이름은 무엇입니까?’와 같은 질문은 개별질문이 될 수 있다. 저장부(130)에는 사용자 단말(200) 또는 보호자 단말(300)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즉, 치매 환자)의 기본 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이때 저장된 사용자의 기본 정보는 개별질문의 예상 답변에 바로 반영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 이름: 홍길동’이라는 사용자의 기본 정보를 입력 받은 경우에, 저장부(130)에는 해당 질문에 대한 예상 답변이 ‘홍길동’으로 저장될 수 있다.
주관적 질문에 대한 예시로서 ‘현재 기분은 어떻습니까?’와 같은 질문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에도 가능한 한 다양한 표현의 예상 답변을 저장부(130)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저장부(130)에 미리 저장되어 있지 않은 답변을 수신한 때에는 관리자가 수시로 예상 답변을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30)는 텍스트콘텐츠 저장모듈, 미디어콘텐츠 저장모듈, 환자정보 저장모듈, 보호자 정보 저장모듈, 의료기관정보 저장모듈, 요양기관정보 저장모듈 등과 같은 다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텍스트콘텐츠 저장모듈과 미디어콘텐츠 저장모듈에는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는 질문들과 예상 답변들이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텍스트콘텐츠 저장모듈에는 전술한 텍스트 형식의 질문들과 예상 답변들이 저장될 수 있는 반면, 미디어콘텐츠 저장모듈에는 음악, 동영상, 이미지 등의 멀티미디어 형식을 갖춘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텍스트콘텐츠 저장모듈과 미디어콘텐츠 저장모듈에 저장된 데이터는 제어부(140)에 의해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업데이트될 수 있으며, 주기는 차후에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140)가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때에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새로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새로운 데이터란,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된 주소록, 통화기록, 메시지 기록, 사진첩 기록, 현재 날짜 및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환자정보 저장모듈에는 사용자 단말(200) 또는 보호자 단말(300)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의 기본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기본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이름, 성별, 연령, 비상 연락처, 거주 지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된 사용자의 기본 정보는 개별질문의 예상 답변에 반영될 수 있다. 또한, 처리부(120)는 저장된 사용자의 기본 정보에 기초하여 요양기관을 추천할 수 있으며, 추천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보호자 정보 저장모듈에는 보호자 단말(3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처리부(120)는 보호자 단말(300)로부터 제공받은 보호자 정보에 기초하여 보호자 단말(300)과 사용자 단말(200)을 연동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보호자 정보는, 예를 들어 보호자의 이름, 성별, 직업, 연락처, 환자와의 관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부(120)가 보호자 단말(300)과 사용자 단말(200)을 연동시킬지 여부를 결정할 때에는 보호자 정보 중 환자와의 관계에 관한 정보를 추가로 확인할 수 있다. 즉, 보호자 단말(300)로부터 통신부(110)를 통해 환자와의 관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면, 처리부(120)가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인증절차는 시스템 관리자에게 가족관계를 증명할 수 있는 서류(예를 들어, 가족관계증명서 등)를 제출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40)는, 처리부(120)에 의해 보호자 단말(300)과 사용자 단말(200)을 연동시키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보호자 정보와 보호자 단말(300)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130)의 보호자 정보 저장모듈에 저장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의료기관정보 저장모듈에는 의료기관 서버(4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의료기관 서버(4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도 2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요양기관정보 저장모듈에는 다수의 요양기관의 소재 지역, 시설, 입원실 공실 현황, 의사, 요양사 등에 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요양기관정보 저장모듈에 저장된 다수의 요양기관에 관한 정보는 시스템 관리자가 웹 페이지를 통해 미리 입력하여 저장한 것일 수 있다. 시스템 관리자는 수시로 웹 페이지를 통해 새로운 요양기관을 추가하거나, 저장된 요양기관에 관한 정보를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요양기관정보 저장모듈에는 요양기관 서버(500)로부터 제공받은 지정 요양기관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요양기관 서버(5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도 2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참고로, 저장부(130)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HDD(Hard Disk Drive),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CF(Compact Flash) 카드, SD(Secure Digital) 카드, SM(Smart Media) 카드, MMC(Multimedia) 카드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저장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내부에 구비되거나 별도의 외부 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통신부(110), 처리부(120) 및 저장부(13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제어부(140)는 프로세서(processor),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 및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300)과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참고로, 사용자 단말(200) 또는 보호자 단말(300)은 시스템, 가입자 유닛, 가입자국, 이동국, 모바일, 원격국, 원격 단말, 모바일 디바이스, 액세스 단말, 단말,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장비(UE)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은 셀룰러 전화, 코드리스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무선 접속 능력을 구비한 핸드헬드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되는 다른 프로세싱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은 의료기관 서버(400), 요양기관 서버(500)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2의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관 서버(4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요양기관 서버(500)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의료기관 서버(400)는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의료기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의료기관 정보는 저장부(130)의 의료기관정보 저장모듈에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처리부(120)는 의료기관 서버(400)로부터 제공받은 의료기관 정보에 기초하여 의료기관 서버(400)와 사용자 단말(200)을 연동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의료기관 정보는, 의료기관의 명칭, 연락처, 담당 의사의 이름, 전문분야, 진료 및 상담 가능 일정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부(120)가 의료기관 서버(400)와 사용자 단말(200)을 연동시킬지 여부를 결정할 때에는 의료기관 정보 중 담당 의사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의료기관 서버(400)로부터 통신부(110)를 통해 담당 의사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면, 처리부(120)가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인증절차는 시스템 관리자에게 환자 진료기록지를 제출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40)는, 처리부(120)에 의해 의료기관 서버(400)와 사용자 단말(200)을 연동시키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의료기관 정보와 의료기관 서버(400)에 관한 정보를 의료기관정보 저장모듈에 저장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담당 의사가 부재한 것을 확인하면, 복수의 의료기관 서버(400)와 연동하여 사용자 정보 및 의료기관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의료기관을 선정하고, 사용자 단말(200) 및/또는 보호자 단말(300)에 선정된 의료기관을 추천할 수도 있다.
요양기관 서버(500)는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지정 요양기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지정 요양기관 정보는 저장부(130)의 요양기관정보 저장모듈에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처리부(120)는 요양기관 서버(500)로부터 제공받은 지정 요양기관 정보에 기초하여 요양기관 서버(500)와 사용자 단말(200)을 연동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정 요양기관 정보는, 요양기관의 명칭, 담당 요양사의 이름, 연락처, 환자의 요양기관 이용 내역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부(120)가 요양기관 서버(500)와 사용자 단말(200)을 연동시킬지 여부를 결정할 때에는 지정 요양기관 정보 중 담당 요양사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요양기관 서버(500)로부터 통신부(110)를 통해 담당 요양사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면, 처리부(120)가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인증절차는 시스템 관리자에게 환자의 요양기관 입원 서류를 제출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40)는, 처리부(120)에 의해 요양기관 서버(500)와 사용자 단말(200)을 연동시키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지정 요양기관 정보와 요양기관 서버(500)에 관한 정보를 요양기관정보 저장모듈에 저장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담당 요양사가 부재한 것을 확인하면, 복수의 요양기관 서버(500)와 연동하여 사용자 정보 및 요양기관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요양기관을 선정하고, 사용자 단말(200) 및/또는 보호자 단말(300)에 선정된 요양기관을 추천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처리부(120)의 세부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처리부(120)는 판단모듈(121), 생성모듈(122) 및 추천모듈(123)을 포함할 수 있다.
판단모듈(121)은 저장부(13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한 답변 음성으로부터 텍스트 데이터가 추출되고, 추출된 텍스트 데이터는 저장부(130)의 텍스트콘텐츠 저장모듈에 저장될 수 있다. 판단모듈(121)은 텍스트콘텐츠 저장모듈로부터 텍스트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이서, 판단모듈(121)은 제공받은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여 치매진행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모듈(121)이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이 명확히 이루어지고, 저장된 예상 답변과 텍스트 데이터가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치매 진행 단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반면에,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이 명확하게 인식되지 않거나, 사용자가 거의 답변을 하지 못하여 저장된 텍스트 데이터가 ‘아’, ‘어’와 같이 매우 미비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치매 진행 단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판단모듈(121)은 알츠하이머 환자의 발화 특성에 따라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여 치매진행정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 알츠하이머 환자의 발화 특성에 대한 다양한 분석 및 연구결과가 있으며, 판단모듈(121)은 해당 분석 및 연구결과를 토대로 치매진행정도를 판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써, 치매 의심 단계, 경도 치매 단계 및 중증도 치매 단계로 치매 진행 단계가 높아질수록 후속발화 개시시간이 점점 길어진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따라서 판단모듈(121)은 저장된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할 때 명확하게 인식되는 텍스트 간의 공백이 클수록 치매진행정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치매 진행 단계가 높아질수록 CIU 비율이 점점 낮아진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여기서, ‘CIU’란 문맥상 명료하며 주제 혹은 과제에 적합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낱말을 의미하며, ‘CIU 비율’이란 발화 내용 중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따라서 판단모듈(121)은 저장된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할 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어의 수를 파악하여 치매진행정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
다만, 전술한 텍스트 데이터 분석 방법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다른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판단모듈(121)이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를 판단하도록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시스템 관리자가 웹 페이지를 통해 판단모듈(121)의 텍스트 데이터 분석 방법을 수시로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생성모듈(122)은 판단모듈(121)에 의하여 판단된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부(130)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모듈(122)은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를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수치화하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모듈(122)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는 환자정보 저장모듈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된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는 이후 추천모듈(123)에 제공되어 게임 또는 요양기관을 추천할 때 이용되도록 할 수 있고, 보호자 단말(300), 의료기관 서버(400) 또는 요양기관 서버(500)에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모듈(123)은 저장부(130)에 저장된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된 게임 중 사용자에게 제공할 적어도 하나의 게임을 추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스템 관리자는 미리 웹 페이지를 통해 치매 진행 예방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게임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게임을 실행시킬 수 있는 링크를 게임 정보와 함께 등록할 수 있다. 시스템 관리자가 미리 등록한 게임 정보 및 링크는 저장부(130)에 저장된다. 이때 시스템 관리자가 웹 페이지를 통해 수시로 게임 정보 및 링크를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추천모듈(123)은 환자정보 저장모듈에 저장된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된 게임 중 해당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에 적합한 게임을 추천할 수 있다. 추천모듈(123)이 추천하는 게임은 하나일 수도 있고, 그 이상일 수도 있다.
이어서, 통신부(110)는 추천모듈(123)에 의해 추천된 게임을 실행하는 링크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공받은 게임을 실행하는 링크를 클릭하여 추천모듈(123)이 추천하는 게임을 실행하는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처리부(120)의 추천모듈(123)은 저장부(130)에 저장된 사용자의 기본 정보와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된 요양기관 중 적어도 하나의 요양기관을 추천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시스템 관리자는 미리 웹 페이지를 통해 다수의 요양기관의 소재 지역, 시설, 입원실 공실 현황, 의사, 요양사 등에 관한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시스템 관리자가 등록한 요양기관에 관한 정보는 저장부(130)의 요양기관정보 저장모듈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시스템 관리자가 웹 페이지를 통해 수시로 새로운 요양기관을 추가하거나, 저장된 요양기관에 관한 정보를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추천모듈(123)은 환자정보 저장모듈에 저장된 사용자의 기본 정보 및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와, 요양기관정보 저장모듈에 저장된 다수의 요양기관에 관한 소재 지역, 입원실 공실 현황 등의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요양기관을 추천할 수 있다. 추천모듈(123)이 추천하는 요양기관은 하나일 수도 있고, 그 이상일 수도 있다.
이어서, 통신부(110)는 처리부(120)의 추천모듈(123)에 의해 추천된 요양기관에 관한 정보를 보호자 단말(300)에 제공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보호자는 제공받은 요양기관에 관한 정보를 참고하여 추천모듈(123)이 추천하는 요양기관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11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텍스트 데이터와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를 보호자 단말(300)로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보호자는 사용자의 텍스트 데이터 및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를 보호자 단말(300)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11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텍스트 데이터와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를 의료기관 서버(400)로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텍스트 데이터와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를 요양기관 서버(500)로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담당 의사 또는 담당 요양사는 사용자의 텍스트 데이터 및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를 각각 의료기관 서버(400) 또는 요양기관 서버(500)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S600)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통신부(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 질문을 전송할 수 있다(S610). 사용자 단말(200)로 가장 먼저 전송되는 질문은 저장부(130)에 미리 저장된 기본 시작 질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시작 질문은 사용자의 이름을 묻는 질문일 수 있다. 다만, 이것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처리부(120)는 환자정보 저장모듈에 저장된 사용자의 기본 정보 또는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질문을 사용자 단말(200)로 최우선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200)로 질문이 전송되면, 사용자(즉, 치매 환자)는 질문에 대해 답변할 수 있고, 통신부(110)는 전송된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S620).
이어서, 처리부(120)는 수신된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 음성으로부터 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고(S630), 추출된 텍스트 데이터와 미리 저장된 예상 답변을 비교할 수 있다(S640). 처리부(120)가 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법 및 추출된 텍스트 데이터와 미리 저장된 예상 답변을 비교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본 단락에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어서, 처리부(120)는 비교의 결과에 따라 새로운 질문 또는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S650). 처리부(120)가 새로운 질문 또는 응답을 생성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본 단락에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처리부(120)가 새로운 질문 또는 응답을 생성하면, 통신부(110)는 생성된 새로운 질문 또는 응답을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S660).
추가로, 통신부(110)는 전송된 새로운 질문 또는 응답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S620). 즉, 사용자 단말(200)로 새로운 질문 또는 응답을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답변 음성을 수신하며, 수신된 답변 음성으로부터 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하고, 저장된 예상 답변과 비교하며, 비교 결과에 따라 새로운 질문 또는 응답을 생성하는 일련의 과정(S660, S620, S630, S640, S650)은 필요에 따라 적어도 1회 이상 반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할 게임을 추천하는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처리부(120)가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 음성으로부터 추출된 텍스트 데이터와 미리 저장된 예상 답변을 비교한 후(S640),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S700). 또한, 처리부(120)의 판단모듈(121)은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S710).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를 판단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본 단락에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어서, 처리부(120)의 생성모듈(122)은 판단된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S720).
저장부(130)에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면, 처리부(120)의 추천모듈(123)은 저장된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된 게임 중 사용자에게 제공할 적어도 하나의 게임을 추천할 수 있다(S730).
추천모듈(123)이 게임을 추천하면, 통신부(110)는 추천된 게임을 실행하는 링크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S74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요양기관을 추천하는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생성모듈(122)이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한 후(S720), 추천모듈(123)이 저장부(130)에 저장된 사용자의 기본 정보와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된 요양기관 중 적어도 하나의 요양기관을 추천할 수 있다(S750).
추천모듈(123)이 요양기관을 추천하면, 통신부(110)는 추천된 요양기관에 관한 정보를 보호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S76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보호자 단말(300)로부터 보호자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제공받은 보호자 정보에 기초하여 보호자 단말(300)과 사용자 단말(200)을 연동시킬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보호자 단말(300)과 사용자 단말(200)을 연동시키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보호자 정보와 보호자 단말(300)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추가로, 통신부(110)는 저장된 텍스트 데이터와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를 보호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의료기관 서버(400)로부터 의료기관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제공받은 의료기관 정보에 기초하여 의료기관 서버(400)와 사용자 단말(200)을 연동시킬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의료기관 서버(400)와 사용자 단말(200)을 연동시키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의료기관 정보와 의료기관 서버(400)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추가로, 통신부(110)는 저장된 텍스트 데이터와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를 의료기관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a, 도 7b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예를 각각 도시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 및/또는 보호자 단말(300)에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의료기관 서버(400) 및/또는 요양기관 서버(500)에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페이지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함께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당신의 이름은 무엇인가요?’라는 질문을 수신할 수 있고,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 음성을 전송할 수 있다.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답변 음성을 수신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하고, 저장된 예상 답변과 비교할 수 있다. 비교의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새로운 응답이 생성될 수 있다.
도 7b의 왼쪽에 도시된 화면은 텍스트 데이터와 예상 답변을 비교한 결과, 오답이라고 판단된 경우의 화면을 나타낸다. 반면에, 도 7b의 오른쪽에 도시된 화면은 텍스트 데이터와 예상 답변을 비교한 결과, 정답이라고 판단된 경우의 화면을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 또는 보호자 단말(300)은 지정 요양기관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 단말(200) 또는 보호자 단말(300)은 저장부(130)에 저장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관리자가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를 제공 및 관리하는 웹 페이지의 예를 각각 도시한다.
시스템 관리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관리자는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0), 사용자 단말(200), 보호자 단말(300), 의료기관 서버(400) 및 요양기관 서버(500) 간의 연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시스템 관리자는 웹 페이지를 통해 저장된 다수의 요양기관에 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고, 새로운 요양기관을 추가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시스템 관리자는 웹 페이지를 통해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저장부(130)에 다양한 정보를 추가할 수 있고, 저장된 다양한 정보를 변경 또는 삭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의하면, 치매 환자가 음성 챗봇을 통해 질문과 답변을 주고받은 결과를 분석하여 치매진행정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가 용이하고 간편하게 치매진행정도를 진단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의하면, 환자의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치매 진행 예방 게임을 추천함으로써, 환자가 본인의 치매 진행 단계에 적합한 게임을 하면서 수시로 치매 진행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의하면, 환자의 거주지역 등 기본정보와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요양기관을 추천하도록 함으로써, 보호자가 환자에게 적합한 요양기관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의하면, 환자가 수시로 진단한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결과를 보호자 단말, 의료기관 서버, 요양기관 서버 등으로 제공함으로써, 보호자, 담당 의사, 담당 요양사 등이 원거리에서도 용이하게 환자의 상태를 자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컨트롤러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서 제시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되거나 인코딩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 또는 인코딩된 명령들은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로 하여금 예컨대, 명령들이 실행될 때 방법을 수행하게끔 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하며,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기타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기타 자기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등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동작들 및 기능들을 지원하도록 동일한 디바이스 내에서 또는 개별 디바이스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부"로 기재된 구성요소들, 유닛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등은 함께 또는 개별적이지만 상호 운용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들로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들, 유닛들 등에 대한 서로 다른 특징들의 묘사는 서로 다른 기능적 실시예들을 강조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며, 이들이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실현되어야만 함을 필수적으로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나 이상의 모듈들 또는 유닛들과 관련된 기능은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공통의 또는 개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내에 통합될 수 있다.
특정한 순서로 동작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동작들이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모든 도시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임의의 환경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이러한 구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기술된 구성요소들이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110: 통신부
120: 처리부
130: 저장부
140: 제어부
200: 사용자 단말
300: 보호자 단말
400: 의료기관 서버
500: 요양기관 서버
1000: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Claims (18)

  1.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로 질문을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 음성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답변 음성으로부터 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텍스트 데이터와 미리 저장된 예상 답변을 비교하며,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 새로운 질문 또는 응답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처리부;
    상기 처리부에 의해 추출된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저장부; 및
    상기 통신부, 상기 처리부 및 상기 저장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처리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새로운 질문 또는 응답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판단모듈 및 생성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판단모듈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를 판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생성모듈은, 상기 판단된 상기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추천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추천모듈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된 게임 중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적어도 하나의 게임을 추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추천모듈에 의해 추천된 게임을 실행하는 링크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보호자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보호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보호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동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부에 의해 상기 보호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동시키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상기 보호자 정보와 상기 보호자 단말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텍스트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보호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사용자의 기본 정보가 추가로 저장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기본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된 요양기관 중 적어도 하나의 요양기관을 추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처리부에 의해 추천된 요양기관에 관한 정보를 상기 보호자 단말에 제공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의료기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의료기관 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동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부에 의해 상기 의료기관 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동시키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상기 의료기관 정보와 상기 의료기관 서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텍스트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의료기관 서버로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9. 제 1 항에 따른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상기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을 포함하는,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로 질문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전송된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 음성을 수신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텍스트 데이터와 미리 저장된 예상 답변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 새로운 질문 또는 응답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새로운 질문 또는 응답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상기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된 게임 중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적어도 하나의 게임을 추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된 게임을 실행하는 링크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보호자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보호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보호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동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동시키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상기 보호자 정보와 상기 보호자 단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보호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사용자의 기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기본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된 요양기관 중 적어도 하나의 요양기관을 추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된 요양기관에 관한 정보를 상기 보호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의료기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의료기관 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동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기관 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동시키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상기 의료기관 정보와 상기 의료기관 서버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의 치매진행정도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의료기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18. 컴퓨터에 의해 제 10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90093231A 2019-07-31 2019-07-31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KR202100150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231A KR20210015020A (ko) 2019-07-31 2019-07-31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231A KR20210015020A (ko) 2019-07-31 2019-07-31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020A true KR20210015020A (ko) 2021-02-10

Family

ID=74561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231A KR20210015020A (ko) 2019-07-31 2019-07-31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502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0376B1 (ko) * 2021-12-08 2022-04-01 주식회사 세븐포인트원 인공지능 콜을 이용한 음성 질의응답 기반의 치매 검사 방법 및 서버
US11432761B1 (en) 2021-12-08 2022-09-06 Sevenpointone Inc. Method and server for dementia test based on voice question and answe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call
KR102472910B1 (ko) * 2022-08-05 2022-12-02 주식회사 실비아헬스 인지 장애와 연관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3018161A1 (ko) * 2021-08-09 2023-02-16 주식회사 이모코그 스토리 기반 문답식 평가 및 스토리 기반 음성 추출을 통한 치매 진단 방법 및 시스템
WO2023139303A1 (es) * 2022-01-19 2023-07-27 Universidade De Vigo Procedimiento implementado en ordenador y sistema para analizar la capacidad de comprensión en un usuari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8161A1 (ko) * 2021-08-09 2023-02-16 주식회사 이모코그 스토리 기반 문답식 평가 및 스토리 기반 음성 추출을 통한 치매 진단 방법 및 시스템
KR102380376B1 (ko) * 2021-12-08 2022-04-01 주식회사 세븐포인트원 인공지능 콜을 이용한 음성 질의응답 기반의 치매 검사 방법 및 서버
US11432761B1 (en) 2021-12-08 2022-09-06 Sevenpointone Inc. Method and server for dementia test based on voice question and answe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call
WO2023139303A1 (es) * 2022-01-19 2023-07-27 Universidade De Vigo Procedimiento implementado en ordenador y sistema para analizar la capacidad de comprensión en un usuario
KR102472910B1 (ko) * 2022-08-05 2022-12-02 주식회사 실비아헬스 인지 장애와 연관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4029799A1 (ko) * 2022-08-05 2024-02-08 주식회사 실비아헬스 인지 장애와 연관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15020A (ko) 음성인식이 가능한 치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Sezgin et al. Readiness for voice assistants to support healthcare delivery during a health crisis and pandemic
Birt et al. Maintaining social connections in dementia: A qualitative synthesis
Hossain et al. Cloud-based collaborative media service framework for healthcare
Swanepoel et al. Hearing health-care delivery in sub-Saharan Africa–a role for tele-audiology
Ganek et al. A concise protocol for the validation of Language ENvironment Analysis (LENA) conversational turn counts in Vietnamese
US20140278506A1 (en) Automatically evaluating and providing feedback on verbal communications from a healthcare provider
Denecke et al. Self-anamnesis with a conversational user interface: concept and usability study
US20090326937A1 (en) Using personalized health information to improve speech recognition
US20110016064A1 (en) Patient Management Support System for Patient Testing and Monitoring Devices
US2020015230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 Voice-Based Journaling And Therapies
Mooney et al. Mobile technology to support lexical retrieval during activity retell in primary progressive aphasia
US2023015457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ntal Health Care Delivery Via Artificial Intelligence
US879901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interaction-based services
Albert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telemonitoring use among patients with chronic heart failure
Zmily et al. Study of the usability of spaced retrieval exercise using mobile devices for Alzheimer’s disease rehabilitation
Arnold et al. What does the literature say about the use of personal voice assistants in older adults? A scoping review
Lloyd et al. The role of learning disability nurses in promoting cervical screening uptake in wom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 qualitative study
Ramirez et al. Seeking information on behalf of others: An analysis of calls to a Spanish-language radio health program
Bhatt et al. DocPal: A voice-based EHR assistant for health practitioners
Sharma et al. Voice-based screening for SARS-CoV-2 exposure in cardiovascular clinics
Lichtenberg et al. Understanding mental distress in Arcahaie, Haiti: Heterogeneous uses of idioms of distress in communicating psychological suffering
US11547345B2 (en) Dynamic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tool
Korsbakke Emtekær Hæsum et al. Interaction between functional health literacy and telehomecare: Short‐term effects from a randomized trial
JP2021064284A (ja) 認知機能評価システム、認知機能評価方法、及び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