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4853A - Method of adaptively adjusting transmission period of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network system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of adaptively adjusting transmission period of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network system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4853A
KR20210014853A KR1020190092809A KR20190092809A KR20210014853A KR 20210014853 A KR20210014853 A KR 20210014853A KR 1020190092809 A KR1020190092809 A KR 1020190092809A KR 20190092809 A KR20190092809 A KR 20190092809A KR 20210014853 A KR20210014853 A KR 20210014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ransmission period
wireless terminal
period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8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71019B1 (en
Inventor
홍순진
최건영
박정우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엠피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엠피시스템 filed Critical (주)제이엠피시스템
Priority to KR1020190092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019B1/en
Publication of KR20210014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48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0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72/120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04W72/128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s a method of adjusting a transmission cycle of a wireless terminal transceiving data with a monitoring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cycle adjustment method includes: a step wherein a wireless terminal creates transmission standby data; a step wherein the wireless terminal calculates a data variation rate by comparing the transmission standby data with previous data transmitted on a previous cycle; and a step wherein the wireless terminal adjusts a transmission cycle in accordance with the data variation r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transmission cycle of a terminal forming an LPWA network is variously changed in accordance with a data variation rate, a reception time pattern and the like, the probability of a data collision caused by simultaneous reception in a gateway or the lik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Therethrough, since a data loss rate is considerably lowered, the performance and management efficiency of an LPWA network can be improved to improve an overall service quality, and make network management more convenient.

Description

무선 단말의 송신 주기를 적응적으로 조정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Method of adaptively adjusting transmission period of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network system for the same}Method of adaptively adjusting transmission period of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network system for the same

본 발명은 무선 단말의 송신 주기 조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 단말의 송신 주기를 데이터 변동률, 수신시간 패턴 등을 이용하여 적응적으로 조정하여 게이트웨이 등에서 동시 수신으로 인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adjusting a transmission period of a wireless terminal, and specifically, by adaptively adjusting the transmission period of a wireless terminal constituting a network using a data change rate and a reception time pattern, data loss due to simultaneous reception at a gateway, etc. It's about how you can prevent it.

최근 각종 사물에 센서와 통신기능을 내장하여 인터넷으로 서로 연결하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이 새로운 미래 산업으로 부상함에 따라 관련 기술과 서비스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Recently, as the Internet of Things (IoT), which connects various objects with sensors and communication functions to each other through the Internet, emerges as a new future industry, research and development on related technologies and service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IoT는 사물과 사물, 사물과 기지국 간의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하며, 서비스 유형에 따라 통신환경이나 커버리지가 다양하기 때문에 근거리 무선통신과 장거리 무선통신이 복합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사용된다.IoT is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objects and objects, and between objects and base stations, and because communication environments and coverage vary according to service type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long-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re used in combination or selectively.

가정이나 사무실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는 지웨이브(Z-wave), 지그비(Zigbee), BLE(Bluetooth Low Energy)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이 주로 사용되고, 원격 감시, 검침 등의 서비스는 LTE-M, NB-Iot(NarrowBand-Internet of Things), LoRa(Long Range Wide Area Network) 등의 저전력 광역(Low Power Wide-Area: LPWA) 통신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s such as Z-wave, Zigbee, and BLE (Bluetooth Low Energy) are mainly used for home and office services, and services such as remote monitoring and meter reading are LTE-M and NB. -Low Power Wide-Area (LPWA) communications such as Iot (NarrowBand-Internet of Things) and LoRa (Long Range Wide Area Network) are mainly used.

LTE-M은 이동통신표준화기구(3GPP)가 규정한 통신 규격으로서, 기존 LTE망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15km 정도의 광역 서비스와 1Mbps의 고속 통신이 가능하다. 최근에는 기존 LTE-M에 비해 전력소비를 크게 줄인 LTE Cat. M1 이 릴리즈(Release) 13을 통해 규정되었다.LTE-M is a communication standard prescrib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3GPP), and since the existing LTE network can be used, wide area service of about 15km and high-speed communication of 1Mbps are possible. Recently, LTE Cat, which has significantly reduced power consumption compared to the existing LTE-M. M1 has been defined through Release 13.

NB-IoT는 이동통신표준화기구(3GPP)가 릴리즈(Release) 13을 통해 규정한 통신 규격으로서 LTE Cat. M1 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며, 10 km 이상의 광역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고 데이터 전송 속도는 수백 kbps 정도이다.NB-IoT is a communication standard defin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3GPP) through Release 13, and LTE Cat. It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M1, can support a wide area service of 10 km or more, and data transmission speed is about several hundred kbps.

LoRa는 약 900MHz의 비면허대역 주파수를 사용하며, 소용량의 데이터를 약 0.3kbps 내지 50kbps의 속도로 전송하기 때문에 전력소비가 매우 적고 도시의 경우 약 10km, 농촌/준도시 지역의 경우 약15km의 서비스 커버리지를 가진다.LoRa uses an unlicensed band frequency of about 900 MHz and transmits small data at a speed of about 0.3 kbps to 50 kbps, so power consumption is very low, and service coverage of about 10 km in cities and 15 km in rural/suburban areas. Have.

이러한 LPWA 통신 기술은 무선 메쉬 네트워크(Wireless Mesh Network)의 각 노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각 노드에 설치된 무선콘솔과 모니터링 서버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에도 사용되고 있다.This LPWA communication technology is also used in the cas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a monitoring server and a wireless console installed in each node in order to monitor the status of each node of a wireless mesh network.

한편 다수의 단말이 LPWA 통신으로 연결된 네트워크를 LPWA 네트워크라고 한다. 즉, LPWA 네트워크는,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송출하는 다수의 단말과, 다수의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단말 또는 주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서버와, 각 단말과 무선으로 통신하면서 단말과 모니터링 서버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게이트웨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 network in which multiple terminals are connected through LPWA communication is called an LPWA network. In other words, the LPWA network includes a number of terminals that periodically transmit data, a monitoring server that receives data from a number of terminals to monitor the terminal or its surroundings, and communicates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monitoring server while communicating wirelessly with each terminal. It may include a gateway that relays.

LPWA 네트워크를 구축할 때는 각 단말마다 업링크(uplink) 송신주기를 설정해야 하며, 이때 각 단말의 송신주기가 다른 단말의 송신주기와 서로 겹치지 않도록 설정해야 한다.When establishing an LPWA network, an uplink transmission period should be set for each terminal, and at this time, the transmission period of each terminal should be set so that the transmission period of each terminal does not overlap with each other.

현재의 LPWA 통신규격에서는 다수의 단말에서 각각 송출된 데이터가 게이트웨이에 동시에 도달하면 충돌로 인해 데이터가 손실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단말이 송신한 제1 데이터를 게이트웨이에서 수신하는 제1 수신기간과 제2 단말이 송신한 제2 데이터를 게이트웨이에서 수신하는 제2 수신기간이 일부라도 겹치면 양쪽 데이터가 모두 손실될 수 있다.This is because, in the current LPWA communication standard, if data transmitted from multiple terminals reach the gateway at the same time, data may be lost due to collision. Specifically, if the first receiver receiving the first data transmitted by the first terminal at the gateway and the second receiver receiving the second data transmitted by the second terminal at the gateway overlap, both data will be It can be lost.

이러한 데이터 충돌 현상은 일단 한번 발생하면 반복적으로 계속 발생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네트워크 구축 단계에서부터 업링크 송신주기를 최대한 분산시켜서 충돌 가능성을 없애야만 한다.Once this data collision occurs, it has no choice but to continue to occur repeatedly, and thus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must be eliminated by distributing the uplink transmission period as much as possible from the network establishment stage.

그러나 단말의 설치 대수가 많아지거나 데이터 양이 많아지면 단말들의 송신주기가 서로 겹칠 가능성이 커질 수밖에 없고, 게이트웨이에서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여 재송신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송신주기가 겹치는 현상을 완전히 방지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다.However, if the number of terminals installed or the amount of data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the transmission periods of the terminals overlapping with each other increases, and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transmission periods overlap because there are many cases of retransmission because the gateway cannot receive data. there is a problem.

또한 송신주기가 겹쳐 데이터 충돌이 발생했을 때 서로 송신주기가 겹치는 단말을 찾아내서 송신주기를 재조정하는 데는 상당한 시간과 인력을 투입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a data collision occurs due to overlapping transmission periods,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and manpower must be invested in re-adjusting the transmission period by finding a terminal with overlapping transmission periods.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단말이 자동으로 송신주기를 변경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Recently,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method of automatically changing a transmission period by a terminal has been proposed.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은 업링크패킷을 송신한 후에 다운링크가 성공적으로 수신되면, 수학식 Tnext UL = K+P-L-M 을 이용하여 다음 업링크패킷의 송신시점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여기서, Tnext UL은 다음 업링크패킷의 송신시점이고, K는 수신 성공한 다운링크 구간(DL1 또는 DL2)의 시작시점이고, P는 기존 설정된 업링크 주기이고, L은 기존 설정된 업링크구간(UL)의 길이이고, M는 업링크구간(UL)과 첫번째 다운링크 구간(DL1) 사이의 시간간격이다.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proposes a method of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next uplink packet by using the equation Tnext UL = K+P-L-M when the downlink is successfully received after transmitting the uplink packet. Here, Tnext UL is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next uplink packet, K is the start time of the downlink section (DL1 or DL2) that has been successfully received, P is the previously set uplink period, and L is the previously set uplink section (UL). And M is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uplink section (UL) and the first downlink section (DL1).

그런데 특허문헌 1의 수학식에서는 K 만 변수이고 P, L, M 은 모두 고정된 상수이고, 2번의 다운링크 구간(DL1 또는 DL2) 동안 다운링크 패킷을 수신하지 못하면 위 수학식을 적용하지 않고 당초 설정된 다음 송신주기에 재송신 하므로 송신주기의 변동폭이 너무 제한적이다.However, in the equation of Patent Document 1, only K is a variable, and all of P, L, and M are fixed constants, and if a downlink packet is not received during two downlink periods (DL1 or DL2), the above equation is not applied. Since it retransmits in the next transmission period set, the variation width of the transmission period is too limited.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최초 설정된 송신주기(P)가 10초라고 할 때, 첫번째 다운링크 구간(DL1)마다 모두 성공적으로 다운링크 패킷을 수신한 경우에는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학식에 의해 산출된 송신주기는 변함없이 10초가 된다.Specifically, as illustrated in FIG. 1(a), when the initially set transmission period (P) is 10 seconds, when all downlink packets are successfully received every first downlink period (DL1), FIG. As shown in b), the transmission period calculated by the equation is unchanged 10 seconds.

또한 첫번째 다운링크 구간(DL1)에는 모두 실패하고 두번째 다운링크 구간(DL2)에는 모두 성공적으로 다운링크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학식에 의해 산출된 송신주기는 12초가 된다.In addition, when all of the first downlink period (DL1) fails and all of the downlink packets are successfully received in the second downlink period (DL2), the transmission period calculated by the equation is 12 as shown in FIG. 1(c). It becomes a second.

또한 처음에는 DL1에서 수신 성공하고 다음에는 DL2에서 수신 성공한 경우에는, 도 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학식에 의해 각각 10초, 12초의 송신주기가 산출된다. In addition, when the reception succeeds first in DL1 and then in DL2, transmission periods of 10 seconds and 12 seconds are calculated by equations as shown in Fig. 1(d).

즉, 특허문헌 1의 방법은, 다운링크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한 구간에 따라 2개의 송신주기(10초, 12초)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므로 변동폭이 너무 작고 제한적이어서 단말의 개수가 많은 대규모 LPWA 네트워크에서 송신주기를 적응적으로 조정하기에는 한계가 있다.That is, the method of Patent Document 1 is to select one of two transmission periods (10 seconds, 12 seconds) according to the interval in which the downlink packet is successfully received, so the variation is too small and limited, so the number of terminals is large. There is a limit to adaptively adjusting the transmission period in the network.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14944호(2019.02.13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14944 (published on February 13, 2019)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에서 고안된 것으로서, LPWA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말의 송신주기를 넓은 범위에서 적응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게이트웨이 등에서 데이터 충돌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from this background,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gnificantly reduce the possibility of data collision in a gateway or the like by allowing the transmission period of a terminal constituting an LPWA network to be adaptively adjusted over a wide rang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양상은, 모니터링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단말의 송신주기를 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무선 단말이 송신대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무선 단말이 송신대기 데이터와 직전 주기에 송신한 직전 데이터를 대비하여 데이터 변동률을 산출하는 단계; 무선 단말이 데이터 변동률에 따라 송신주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의 송신주기 조정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adjusting a transmission period of a wireless termi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a monitoring server, the method comprising: generating, by the wireless terminal, data to be transmitted; Calculating, by the wireless terminal, a data change rate by comparing the data to be transmitted and the immediately preceding data transmitted in the immediately preceding period; It provides a method for adjusting a transmission period of a wireless terminal, comprising the step of the wireless terminal adjusting a transmission period according to a data change rate.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른 송신주기 조정 방법에서, 송신주기를 조정하는 단계에서는, 데이터 변동률의 크기에 따라 송신주기의 증감폭을 차등화 할 수 있다.In the transmission period adjustment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adjusting the transmission period, the increase/decrease width of the transmission period may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ata change rate.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송신주기 조정 방법에서, 송신주기를 조정하는 단계에서는, 데이터 변동률이 설정 범위에 속하면 직전 주기를 그대로 적용하고, 데이터 변동률이 설정 범위보다 작으면 송신주기를 직전 주기보다 더 길게 변경하고, 데이터 변동률이 설정 범위보다 크면 송신주기를 직전 주기보다 더 짧게 변경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변동률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가장 짧은 송신주기로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ransmission period adjustment metho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adjusting the transmission period, if the data fluctuation rate falls within the set range, the previous period is applied as it is, and if the data fluctuation rate is less than the set range, the transmission period is changed to the previous period. If the data change rate is larger than the setting range, the transmission period can be changed shorter than the previous period. At this time, if the data change rate exceeds the threshold, it can be changed to the shortest transmission period.

또한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른 송신주기 조정 방법에서, 데이터 변동률을 산출하는 단계에서는, 송신대기 데이터의 데이터 패킷과 직전 데이터의 데이터 패킷을 대비하여 구분코드(Od)에 의해 구분되는 값의 변동률을 개별적으로 산출한 후 각 값의 변동률을 합산할 수 있다.Further, in the method of adjusting the transmission period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data change rate, the rate of change of the value classified by the classification code Od compared to the data packet of the data to be transmitted and the data packet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data. After calculating each value individually, the rate of change of each value can be summed.

또한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른 송신주기 조정 방법에서, 송신주기를 조정하는 단계의 이후에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송신주기 변경 지령을 수신하면, 상기 송신주기 변경지령에 응하여 송신주기를 다시 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ransmission period adjustment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 transmission period change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monitoring server after the transmission period adjustment step, the transmission period may be adjusted again in response to the transmission period change command. .

본 발명의 제2 양상은, 모니터링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단말의 송신주기를 모니터링 서버에서 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모니터링 서버가 다수의 무선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데이터 충돌이 발생하였는지 여부와 데이터 충돌을 일으킨 무선 단말을 확인하는 단계; 데이터 충돌이 확인되면, 설정기간 동안의 데이터 수신시간 패턴을 분석하여 미수신구간을 확인하는 단계; 충돌을 일으킨 무선 단말의 새로운 송신주기를 결정하되, 새로운 송신주기가 상기 미수신구간 내에 속하도록 결정하는 단계; 새로 결정된 송신주기와 함께 송신주기 변경 지령을 충돌을 일으킨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의 송신주기 조정 방법을 제공한다.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adjusting a transmission period of a wireless termi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a monitoring server in a monitoring server,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by the monitoring server, data from a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Determining whether a data collision has occurred and a wireless terminal causing a data collision; If data collision is confirmed, analyzing a data reception time pattern for a set period to confirm a non-reception section; Determining a new transmission period of the wireless terminal causing the collision, and determining that the new transmission period falls within the non-reception period; It provides a method for adjusting a transmission period of a wireless terminal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a transmission period change command together with a newly determined transmission period to a wireless terminal causing a collision.

본 발명의 제2 양상에 따른 송신주기 조정 방법에서, 다수의 무선 단말에서 송신한 데이터는 게이트웨이가 수신하여 모니터링 서버로 전달하고, 모니터링 서버는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데이터 충돌 여부와 충돌을 일으킨 무선 단말을 확인할 수 있다.In the transmission period adjustment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ata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are received by a gateway and transmitted to a monitoring server, and the monitoring server analyzes the data received from the gateway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data collision or not. You can check the generated wireless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제2 양상에 따른 송신주기 조정 방법에서, 새로 결정된 송신주기와 함께 송신주기 변경 지령을 충돌을 일으킨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의 이후에는, 송신주기 변경 지령을 수신한 무선 단말이 이에 응하여 송신주기를 변경하는 단계; 무선 단말이 송신대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무선 단말이 송신대기 데이터와 직전 주기에 송신한 직전 데이터를 대비하여 데이터 변동률을 산출하는 단계; 데이터 변동률에 따라 송신주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ransmission period adjustment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transmission period change command together with the newly determined transmission period to the wireless terminal that caused the collision, the wireless terminal receiving the transmission period change command Changing the transmission period in response; Generating, by the wireless terminal, data to be transmitted; Calculating, by the wireless terminal, a data change rate by comparing the data to be transmitted and the immediately preceding data transmitted in the immediately preceding period; It may include adjusting the transmission period according to the data change rate.

본 발명의 제3 양상은, 앞서 설명한 송신주기 조정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transmission period adjustment method described above is recorded.

본 발명의 제4 양상은, 모니터링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단말에 있어서, 모니터링 서버로 송신할 데이터를 수집하여 송신대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획득부; 송신대기 데이터와 직전 주기에 송신한 직전 데이터를 대비하여 데이터 변동률을 산출하는 송신데이터 분석부; 산출된 데이터 변동률을 이용하여 송신주기의 증감 여부 및 증감폭을 결정하는 송신주기 결정부를 포함한다.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 terminal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a monitoring server, comprising: a data acquisition unit that collects data to be transmitted to a monitoring server and generates data to be transmitted; A transmission data analysis unit for calculating a data change rate by comparing the data to be transmitted and the immediately preceding data transmitted in the immediately preceding period; And a transmission period determining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increase or decrease the transmission period and an increase or decrease width using the calculated data change rate.

본 발명의 제5 양상은, 다수의 무선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니터링 서버에 있어서, 동시 수신으로 인한 데이터 충돌이 발생하였는지 여부와 데이터 충돌을 일으킨 무선 단말을 확인하는 데이터 충돌 판단부; 데이터 충돌이 확인되면, 설정기간 동안의 데이터 수신시간 패턴을 분석하여 미수신구간을 확인하는 수신데이터 분석부; 충돌을 일으킨 무선 단말의 새로운 송신주기를 결정하되, 새로운 송신주기가 상기 미수신구간 내에 속하도록 결정하는 송신주기 결정부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서버를 제공한다.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nitoring server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a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comprising: a data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that checks whether a data collision has occurred due to simultaneous reception and a wireless terminal that has caused a data collision; When a data collision is confirmed, a reception data analysis unit that analyzes a data reception time pattern for a set period to check a non-reception section; It provides a monitoring server including a transmission period determining unit that determines a new transmission period of a wireless terminal causing a collision, and determines that the new transmission period falls within the non-reception period.

본 발명의 제6 양상은, 앞서 설명한 무선 단말과 모니터링 서버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한다.A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network system including the wireless terminal and a monitoring server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따르면, LPWA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말의 송신주기를 데이터 변동률, 수신시간 패턴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시킴으로써 게이트웨이 등에서 동시 수신으로 인한 데이터 충돌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sibility of data collision due to simultaneous reception at a gateway or the like can be drastically reduced by variously changing a transmission period of a terminal constituting an LPWA network according to a data change rate and a reception time pattern.

이를 통해 데이터 손실률이 크게 감소하므로 LPWA 네트워크의 성능과 운영 효율이 개선되어 서비스 품질이 전반적으로 향상될 수 있고, 네트워크 관리가 보다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Through this, the data loss rate is greatly reduced, so that the performance and operation efficiency of the LPWA network are improved, so that the service quality can be improved overall, and the network management is more convenient.

도 1은 종래의 송신주기 조정 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2는 LPWA 네트워크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LPWA 단말의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
도 4는 모니터링 서버의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송신주기 조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a 및 도 6b는 데이터 변동률의 산출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7은 데이터 변동률에 따라 송신주기를 조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데이터 변동률에 따라 송신주기를 차등화하여 조정하는 내용을 예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송신주기 조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송신주기를 조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transmission period adjustment method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LPWA network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LPWA terminal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nitoring server
5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for adjusting a transmission peri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calculating a data change rate
7 is a diagram showing how the transmission period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ata change rate
8 is a diagram illustrating contents of adjustment by differentially adjusting a transmission period according to a data change rate
9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for adjusting a transmission peri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of adjusting a transmission peri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element)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통신하는 경우는,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통신하는 경우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통신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직접 결합되는 경우는 중간에 다른 요소가 개재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하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요지를 이해하기 쉽도록 예시한 것에 불과하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어서는 아니 됨을 미리 밝혀 둔다.For referenc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one element is connected, combined, or communicated with another element, not only the case of direct connection, coupling, or communication with another element, but also the other element in the middle This includes cases of indirect connection, association, or communication over and over. In addition, when one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upled to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no other component is intervened. In addition, when a certain part includes or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or provi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n addition, since the drawings attach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illustrative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matter of the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in advance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PWA 네트워크는,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송출하는 다수의 단말(100)과, 다수의 단말(100)과 LPWA통신을 하는 게이트웨이(210,220)와, 인터넷(300) 등을 통해 게이트웨이(210,220)와 연결된 모니터링 서버(400)를 포함한다.The LPWA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FIG. 2,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s 100 that periodically transmit data, and gateways 210 and 220 that perform LPWA communication with the plurality of terminals 100. , And a monitoring server 400 connected to the gateways 210 and 220 through the Internet 300 and the lik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은, 도 3의 블록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데이터획득부(130), 무선통신부(140), 버스(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the block diagram of FIG. 3, includes a processor 110, a memory 120, a data acquisition unit 13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a bus ( 190) and the like.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소정의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한다.The processor 110 executes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20 to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or data processing.

메모리(120)는 비휘발성 메모리(예: 플래시 메모리 등)와 휘발성 메모리(예: RAM(random access 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단말(100)의 동작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각종 파라미터,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컴퓨터프로그램은 프로세서(11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의 집합이며, 운영체제, 미들웨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고 휘발성 메모리로 로드되어 실행될 수 있다.The memory 120 may include non-volatile memory (eg, flash memory, etc.) and volatile memory (eg, random access memory (RAM)). The memory 120 includes a computer program for operating the terminal 100, and various kinds of devices. A computer program may store parameters, data, etc. A computer program is a set of instructions executed by the processor 110 and may include an operating system, middleware, an application, or a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Can be stored in non-volatile memory and loaded into volatile memory to be execu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말(100)의 송신주기를 자동으로 조정하기 위한 송신주기 조정 프로그램을 메모리(120)에 저장할 수 있다. 송신주기 조정 프로그램은, 기능적으로 구분하면, 송신데이터 분석부(122), 송신주기 결정부(124)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mission period adjustment program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terminal 100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20. The transmission period adjustment program may include a transmission data analysis unit 122, a transmission period determination unit 124, and the like if functionally classified.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10), 데이터획득부(130), 무선통신부(140) 등에서 생성 또는 수신한 데이터, 명령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0)는 송신데이터 분석부(122), 송신주기 결정부(124) 등에서 생성된 데이터, 명령 등을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120 may store data and commands generated or received by the processor 110, the data acquisition unit 130,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memory 120 may store data and commands generated by the transmission data analysis unit 122 and the transmission period determination unit 124.

한편 단말(100)의 송신주기를 조정하는 수단이 반드시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송신데이터 분석부(122)와 송신주기 결정부(124) 중의 적어도 하나 또는 일부 기능은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하드웨어는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일 수도 있다.Meanwhile, the means for adjusting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terminal 100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implemented in software, and at least one or some functions of the transmission data analysis unit 122 and the transmission period determination unit 124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software and hardware. In this case, the hardware may be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송신데이터 분석부(122)는 송신 대기 중인 데이터와 직전 주기에 송신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데이터 변동률을 산출한다.The transmission data analysis unit 122 calculates a data change rate by comparing the data waiting to be transmitted with the data transmitted in the previous period.

송신주기 결정부(124)는 산출된 데이터 변동률을 이용하여 송신주기의 증감 여부 및 증감폭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변동률이 설정범위 이내이면 직전의 송신주기를 그대로 적용하여 데이터를 송출하고, 데이터 변동률이 설정범위 미만이면 데이터 변동이 거의 없으므로 신속 전달의 필요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하여 송신주기를 직전 주기보다 더 길게 설정하고, 데이터 변동률이 설정범위를 초과하면 데이터 변동이 심한 것이므로 모니터링 서버(400)로 신속히 전달할 필요성이 큰 것으로 판단하여 송신주기를 직전 주기보다 더 짧게 설정한다. 이때 변동률의 크기에 따라 증감폭을 차등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ransmission period determining unit 124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ransmission period is increased or decreased by using the calculated data change rate. For example, if the data fluctuation rate is within the set range, the previous transmission period is applied as it is to transmit data, and if the data fluctuation rate is less than the set range, there is little data fluctuation, so it is judged that the need for rapid transmission is low. If it is set longer and the data change rate exceeds the setting range, the data fluctuation is severe, so it is determined that the need for prompt delivery to the monitoring server 400 is large, and the transmission period is set shorter than the previous period. At this time, it is desirable to apply the increase/decrease differentiall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hange rate.

데이터 획득부(130)는 단말(100)에 연결된 센서(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음)로부터 측정데이터를 수집하거나, 단말(100)에 연결된 다른 전자기기로부터 해당 전자기기의 상태정보를 수집하거나, 단말(100)에 연결된 다른 전자기기가 수집한 측정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The data acquisition unit 130 collects measurement data from a sensor (not shown in the drawing)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or collects status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device from another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or Measurement data collected by other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100) can be collected.

무선통신부(140)는 게이트웨이(210,220)와 LPWA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LPWA 통신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LTE-M, NB-Iot(NarrowBand-Internet of Things), LoRa(Long Range Wide Area Network) 등의 통신 방식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향후 소개되는 새로운 저전력 광역통신 기술이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performs LPWA communication with the gateways 210 and 220, and the LPWA communication method is not limited. For example,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LTE-M, NB-Iot (NarrowBand-Internet of Things), and LoRa (Long Range Wide Area Network)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and new low-power wide area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troduced in the future may be used. Of course.

버스(190)는 단말(100)의 각 구성요소(110,120,130,140) 간에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서, 케이블, 회로패턴 등일 수 있다.The bus 190 transmits electrical signals between the components 110, 120, 130, and 140 of the terminal 100, and may be a cable or a circuit pattern.

이 밖에도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단말(100)은 다른 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유선통신부, WiFi,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부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100)은 키패드, 터치스크린 등의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고, 상태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terminal 100 may further include a wired communication unit for connection with other device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such as WiFi and Zigbee. In addition, the terminal 100 may include an input means such as a keypad and a touch screen, or may include a display for displaying a status.

게이트웨이(210,220)는 다수의 단말(100)과 모니터링 서버(400)와의 통신을 중계하는 것으로서, 다수의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업링크(uplink) 데이터를 모니터링 서버(400)로 전송하고, 모니터링 서버(400)로부터 수신한 다운링크(downlink) 데이터를 단말(100)로 전송한다.The gateways 210 and 220 relay communic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terminals 100 and the monitoring server 400, and transmit uplink data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terminals 100 to the monitoring server 400, and monitor Downlink data received from the server 400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00.

게이트웨이(210,220)는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모니터링 서버(400)로 전송할 때 게이트웨이 식별정보를 함께 전송하며, 이를 통해 모니터링 서버(400)는 특정 데이터가 어떤 게이트웨이(210,220)를 통해 수신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When transmitti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terminal 100 to the monitoring server 400, the gateways 210 and 220 transmit gateway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and through this, the monitoring server 400 determines through which gateways 210 and 220 specific data was received. I can confirm.

또한 게이트웨이(210,220)는 2개의 업링크 데이터의 수신시간이 겹쳐 데이터가 손실된 경우에도 버퍼메모리 등에 임시 저장되어 있는 업링크 데이터의 헤더 정보를 게이트웨이 식별정보와 함께 모니터링 서버(400)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gateways 210 and 220 transmit the header information of the uplink data temporarily stored in the buffer memory, etc. to the monitoring server 400 together with the gateway identification information, even when data is lost due to the overlapping of the two uplink data reception times. desirable.

업링크 데이터의 헤더에는 단말의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모니터링 서버(400)는 이를 이용하여 데이터 충돌이 발생한 단말 중에서 게이트웨이(210,220)에 가장 먼저 데이터가 도달한 단말이 어느 것인지 확인할 수 있다. Since the header of the uplink data includ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he monitoring server 400 can use this to determine which terminal of the terminal in which the data collision occurred first reached the gateways 210 and 220.

현재의 LPWA 통신규격에서는 데이터 충돌이 발생한 경우에 최초 수신된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는 헤더를 포함한 모든 데이터가 손실되기 때문에 데이터 수신시 충돌이 발생한 다수의 단말(100) 중에서 데이터가 최초로 수신된 단말을 제외한 나머지 단말의 정보를 확인할 수는 없지만, 최초 수신된 단말의 정보는 데이터 헤더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In the current LPWA communication standard, when data collision occurs, all data including headers is lost for all data other than the first received data. Except for the information of the other terminals, it is not possible to check th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but the information of the initially received terminal can be checked through the data header.

이와 같이 데이터 충돌을 초래한 최초 수신 단말이 확인되면, 모니터링 서버(400)는 해당 단말로 송신주기 변경 명령을 전송하여 송신주기를 변경함으로써 이후의 충돌을 예방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receiving terminal causing the data collision is identified as described above, the monitoring server 400 may change the transmission period by sending a transmission period change command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thereby preventing subsequent collisions.

게이트웨이(210,220)는 네트워크 커버리지에 따라 설치 개수가 달라지는 것이므로 그 개수가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로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number of gateways 210 and 220 varies depending on the network coverage, so the number of gateways 210 and 220 is not limited to two as shown in the draw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서버(400)은, 도 4의 블록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410), 메모리(420), 통신부(430), 버스(4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onitoring server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rocessor 410, a memory 420, a communication unit 430, a bus 490, and the like, as illustrated in the block diagram of FIG. 4. have.

프로세서(410)는 메모리(420)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소정의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한다.The processor 410 executes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420 to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or data processing.

메모리(420)는 비휘발성 메모리(예: 플래시 메모리 등)와 휘발성 메모리(예: RAM(random access 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420)는 모니터링 서버(400)의 동작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각종 파라미터,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The memory 420 may include non-volatile memory (eg, flash memory, etc.) and volatile memory (eg, random access memory (RAM)). The memory 420 is a computer program for operating the monitoring server 400, Various parameters and data can be sav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말(100)의 송신주기를 자동으로 조정하기 위한 송신주기 조정 프로그램을 모니터링 서버(400)의 메모리(420)에 저장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mission period adjustment program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terminal 100 may be stored in the memory 420 of the monitoring server 400.

모니터링 서버(400)에 설치된 송신주기 조정 프로그램은, 기능적으로 구분하면, 데이터충돌 판단부(422), 수신데이터 분석부(424), 송신주기 결정부(426)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period adjustment program installed in the monitoring server 400 may include a data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422, a reception data analysis unit 424, a transmission period determination unit 426, and the like, functionally classified.

메모리(420)는 프로세서(410), 통신부(430) 등에서 생성 또는 수신한 데이터, 명령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420)는 데이터충돌 판단부(422), 수신시간 패턴분석부(424), 송신주기 결정부(426) 등에서 생성된 데이터, 명령 등을 저장할 수 있다. The memory 420 may store data and commands generated or received by the processor 410 and the communication unit 430. In addition, the memory 420 may store data and commands generated by the data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422, the reception time pattern analysis unit 424, and the transmission period determination unit 426.

한편 단말(100)의 송신주기를 조정하는 수단이 반드시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데이터충돌 판단부(422), 수신시간 패턴분석부(424), 송신주기 결정부(426) 중의 적어도 하나 또는 일부 기능은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하드웨어는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일 수도 있다.Meanwhile, the means for adjusting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terminal 100 is not necessarily implemented in software, and at least one of the data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422, the reception time pattern analysis unit 424, and the transmission period determination unit 426 or Some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a combination of software and hardware. In this case, the hardware may be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데이터충돌 판단부(422)는 수신한 업링크 데이터 중에 헤더만 수신된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헤더만 수신된 데이터가 있으면 단말(100)의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단말이 데이터 충돌을 일으킨 단말로 판단한다.The data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422 checks whether there is data that has received only the header among the received uplink data, and if there is data that has only received the header, it extracts th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0, and the corresponding terminal causes a data collision. Judged by

수신시간 패턴분석부(424)는 데이터충돌 판단부(422)에서 데이터 충돌이 확인되면, 설정된 기간(예, 직전 10분) 동안의 데이터 수신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시간 패턴을 분석한다. 수신시간 패턴을 분석하면 게이트웨이(210,220)에서 다수 단말(100)의 신호가 수신되는 수신구간과 아무런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미수신구간을 확인할 수 있다.When a data collision is confirmed by the data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422, the reception time pattern analysis unit 424 analyzes the reception time pattern using data reception information for a set period (eg, 10 minutes immediately before). By analyzing the reception time pattern, the gateways 210 and 220 can determine a reception section in which signals from the multiple terminals 100 are received and a non-reception section in which no signal is received.

송신주기 결정부(426)는 수신시간 패턴의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게이트웨이(210,220)에서 단말(100)의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미수신구간을 추출하고, 미수신구간 내에서 충돌을 일으킨 단말(100)의 새로운 송신주기를 결정한다.The transmission period determining unit 426 extracts the unreceived section in which the signal of the terminal 100 is not received from the gateways 210 and 220 using the analysis result of the reception time pattern, and the terminal 100 causing a collision within the unreceived section Determine a new transmission period.

통신부(440)는 인터넷(300) 등을 통해 게이트웨이(210,220)와 통신하는 것으로서,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는다. 버스(490)는 서버(400)의 각 구성요소(110,120,130,140) 간에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서, 케이블, 회로패턴 등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440 communicates with the gateways 210 and 220 through the Internet 300 or the like, and the communication method is not limited. The bus 490 transmits electrical signals between the components 110, 120, 130, and 140 of the server 400, and may be a cable or a circuit pattern.

모니터링 서버(400)는 다른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모니터링 서버(400)는 사용자 조작을 위한 입력수단과 상태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nitoring server 400 may further include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interfaces for communication with other devices. In addition, the monitoring server 400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means for user manipulation and a display for status display.

이하에서는 도 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송신 주기 조정방법을 설명한다. 이 방법은 단말(100)에서 데이터 변동률을 기초로 능동적으로 송신주기를 조정하는 방법이다.Hereinafter, a method for adjusting a transmission peri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5. This method is a method in which the terminal 100 actively adjusts the transmission period based on the data change rate.

먼저 LPWA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수의 단말(100)에는 네트워크를 구축할 때 각 단말(100)의 송신주기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송신주기가 설정된다. (ST11)First, in the plurality of terminals 100 constituting the LPWA network, a transmission period is set so that the transmission periods of each terminal 100 do not overlap each other when a network is established. (ST11)

따라서 각 단말(100)은 데이터획득부(130)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여 송신대기 데이터를 생성한 후 다음 송신주기가 도래하면 송신대기 데이터를 게이트웨이(210,220)로 송신하며, 송신한 데이터는 게이트웨이(210,220)를 거쳐 모니터링 서버(400)로 전송된다. (ST12) Therefore, each terminal 100 collects data through the data acquisition unit 130 to generate data to be transmitted, and then transmits the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gateways 210 and 220 when the next transmission period arrives, and the transmitted data is It is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server 400 through 210 and 220). (ST12)

이어서 단말(100)은 새로운 송신대기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데이터획득부(130)를 통해 데이터를 획득한다. (ST13)Subsequently, the terminal 100 acquires data through the data acquisition unit 130 in order to generate new data to be transmitted. (ST13)

이어서 단말(100)의 송신데이터 분석부(122)는 직전 주기에 송신한 직전 데이터와 송신대기 데이터를 대비하여 데이터 변동률을 산출한다.Subsequently, the transmission data analysis unit 122 of the terminal 100 compares the immediately preceding data transmitted in the immediately preceding period and the data waiting to be transmitted to calculate a data change rate.

데이터 변동률은 여러 방법으로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전 데이터의 데이터 패킷과 송신대기 데이터의 데이터 패킷의 각 바이트를 대비하여 변동률을 산출할 수 있다.The rate of data change can be calculated in several ways.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6(a) and 6(b). The rate of change can be calculated by comparing each byte of the data packet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data and the data packet of data to be transmitted.

도 6(a)는. 데이터 패킷의 헤더와 테일 사이의 본 데이터가 구분코드(0d)에 의해 서로 구분되는 3개 값을 포함하는 경우에 첫번째 값과 세번째 값이 각각 0.06% 와 5.5% 차이가 나므로 이들을 더하여 총 변동률을 5.56%로 계산하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Figure 6(a) is. If the main data between the header and the tail of the data packet contains three value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y the identification code (0d), the first and third values differ by 0.06% and 5.5%, respectively, so add them to make the total change rate 5.56. It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ase of calculating in %.

도 6(b)는, 본 데이터가 구분코드(0d)에 의해 서로 구분되는 3개 값을 포함하는 경우에 3개 값이 각각 247%, 0.88%, 20.5% 차이가 나는 경우에 이들을 더하여 총 변동률을 268.38로 계산하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Figure 6(b) shows the total rate of change by adding these values when the three values differ by 247%, 0.88%, and 20.5%, respectively, when the present data includes three value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y a classification code (0d).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of calculating as 268.38.

한편 도 6(a) 및 도 6(b)에 예시한 구분코드(0d)는 예를 들어 나타낸 것일 뿐이며, 구분코드의 유형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구분코드가 생략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lassification code 0d illustrated in FIGS. 6A and 6B is merely an example, and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type of the classification code may vary. In some cases, the identification code may be omitted.

또한 데이터 변동률을 산출하는 방법도 구분코드 사이의 값을 대비하는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얼마든지 다른 방법으로 변동률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진수 비트를 대비하여 차이가 있는 비트의 개수를 데이터 변동률에 반영할 수도 있다. (ST14)In addition,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data change rate is not limited to a method of comparing values between classification codes, and the change rate may be calculated by any number of other methods. For example, the number of bits having a difference compared to binary bits may be reflected in the data change rate. (ST14)

이어서 단말(100)의 송신주기 결정부(124)는 데이터 변동률이 산출된 이후에 단말(100)의 새로운 송신주기를 결정하고, 결정된 송신주기에 따라 송신대기 데이터를 송신한다.Subsequently, the transmission period determining unit 124 of the terminal 100 determines a new transmission period of the terminal 100 after the data change rate is calculated, and transmits the transmission waiting data according to the determined transmission period.

이때 데이터 변동률이 설정범위(예, 4% ~ 6%)에 속하는지 여부를 먼저 확인하고, 설정범위에 속하면 일반적인 상황으로 간주하여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신주기를 변경하지 않고 직전 송신주기를 그대로 적용하여 송신대기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ST15, ST16)At this time, it is first checked whether the data change rate falls within the set range (e.g., 4% ~ 6%), and if it falls within the set range, it is regarded as a general situation and the transmission period is not changed as shown in Fig. 7(a). Data waiting to be transmitted can be transmitted by applying the previous transmission period as it is. (ST15, ST16)

만일 데이터 변동률이 설정범위 미만이면, 즉, 변동률이 4% 미만이면, 데이터 변동이 거의 없으므로 신속 전달 필요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하여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신주기를 직전 주기보다 더 길게 변경하여 송신대기 데이터를 송신할 수다.If the data change rate is less than the set range, i.e., less than 4%, there is little data change, so it is judged that the need for rapid transmission is low, and the transmission period is changed longer than the previous period as shown in Fig. 7(b). By doing so, the data waiting to be transmitted can be transmitted.

송신주기를 증가시킬 때는 데이터 변동률의 크기에 따라 차등화 하여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변동률이 1% 이상 4% 미만이면 송신주기를 직전 주기 대비 1 단계 증가시키고, 데이터 변동률이 1% 미만이면 송신주기를 직전 주기 대비 2 단계 증가시킬 수 있다. When increasing the transmission period, it can be increased by differentiating i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ata change rat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if the data fluctuation rate is 1% or more and less than 4%, the transmission period may be increased by 1 step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and if the data fluctuation rate is less than 1%, the transmission period may be increased by two steps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송신주기를 총 20 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의 길이를 1분으로 설정하였으나, 송신주기의 개수와 각 단계의 길이는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ST17, ST18, ST20)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period is divided into a total of 20 steps, and the length of each step is set to 1 minute, but the number of transmission periods and the length of each step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specific circumstances. (ST17, ST18, ST20)

한편 데이터 변동률이 설정범위를 초과하면, 즉, 변동률이 6% 이상이면, 데이터 변동이 심한 경우로서 신속 전달 필요성이 큰 것으로 판단하여 도 7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신주기를 직전 주기보다 더 짧게 변경하여 송신대기 데이터를 송신할 수다.On the other hand, if the data change rate exceeds the set range, i.e., if the change rate is 6% or more, it is determined that the need for rapid delivery is large as a case of severe data fluctuation, and the transmission period is set to be longer than the previous period as shown in Fig. 7(c). It can be changed shortly to transmit the data waiting to be transmitted.

송신주기를 감소시킬 때도 데이터 변동률의 크기에 따라 차등화 하여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변동률이 6% 이상 10% 미만이면 송신주기를 1 단계 감소시키고, 데이터 변동률이 10% 이상 20% 미만이면 송신주기를 2 단계 감소시킬 수 있다.When reducing the transmission period, it can be increased by differentiating i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ata change rat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when the data change rate is 6% or more and less than 10%, the transmission period may be reduced by one step, and when the data change rate is 10% or more and less than 20%, the transmission period may be reduced by two steps.

또한 데이터 변동률이 설정된 임계값(예, 20%) 이상이면 데이터 변동이 너무 심해서 긴급 점검이 필요한 상황으로 간주하여, 송신주기를 가장 짧은 주기(예, 1단계)로 변경하고 송신대기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f the data fluctuation rate is more than the set threshold (e.g. 20%), it is regarded as a situation requiring emergency inspection because the data fluctuation is too severe. It can also be set.

한편 도 8에 나타낸 데이터 변동률 구간은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실제 적용에 있어서는 이와 다른 범위와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since the data change rate section shown in FIG. 8 is only an example, a different range and method may be applied in actual application.

또한 데이터의 중요도에 따라 데이터 변동률이 같더라도 송신주기를 다르게 조정할 수도 있다.Also, depending on the importance of data, the transmission period can be adjusted differently even if the data change rate is the same.

예를 들어 단말(100)이 송신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중요도(예, 상, 중, 하)를 설정하여 저장해 두고, 중요도에 따라 송신주기 조정내역도 다르게 설정해 둘 수 있다.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type of data transmitted by the terminal 100, the importance (eg, high, medium, low) may be set and stored, and the transmission period adjustment details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importance.

이때 데이터 변동률이 같은 경우에도 데이터의 중요도가 클수록 송신주기를 더 큰 폭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중요도가 높은 데이터는 변동률이 작아도 중대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고 송신주기를 짧게 변경하여 신속히 모니터링 서버(400)로 전송함으로써 시스템 전반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 (ST19, ST20)In this case, even when the data change rate is the same, it is desirable to reduce the transmission period to a greater extent as the importance of the data increases.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improve safety and efficiency of the system as a whole by regards data of high importance as having a critical situation even if the change rate is small, and by changing the transmission period to be quickly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server 400. (ST19, ST20)

이하에서는 도 9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송신 주기 조정방법을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모니터링 서버(400)에서 동시 수신으로 인한 데이터 충돌이 확인되면 충돌을 일으킨 단말(100)에 적용할 새로운 송신주기를 결정해서 해당 단말(100)의 송신주기를 변경시키는 방법이다.Hereinafter, a method for adjusting a transmission peri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9. The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to change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100 by determining a new transmission period to be applied to the terminal 100 causing the collision when a data collision due to simultaneous reception is detected in the monitoring server 400. That's the way.

먼저 LPWA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수의 단말(100)은 각각 송신주기가 도래하면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하며, 모니터링 서버(400)는 게이트웨이(210,220)를 통해 각 단말(100)이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ST31)First, the plurality of terminals 100 constituting the LPWA network transmit predetermined data when the transmission period arrives, and the monitoring server 400 receives the data transmitted by each terminal 100 through the gateways 210 and 220. . (ST31)

이어서 모니터링 서버(400)의 데이터충돌 판단부(422)는, 수신한 업링크 데이터 중에 헤더만 수신된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헤더만 수신된 데이터가 있으면 단말(100)의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단말이 데이터 충돌을 일으킨 단말로 판단한다. Subsequently, the data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422 of the monitoring server 400 checks whether there is data that has only received a header among the received uplink data, and extracts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0 if there is data that has only received the header. It is determined that the corresponding terminal has caused a data collision.

도 10의 (a)은 4개의 단말(100a, 100b, 100c, 100d) 중에서 2개의 단말(100c,100d)의 데이터의 송신주기가 서로 겹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ST32)FIG. 10A illustrates a case in which data transmission periods of two terminals 100c and 100d overlap each other among four terminals 100a, 100b, 100c, and 100d. (ST32)

데이터충돌 판단부(422)에서 데이터 충돌이 확인되면, 수신시간 패턴분석부(424)는 설정된 기간(예, 직전 10분) 동안의 데이터 수신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시간 패턴을 분석한다. When a data collision is confirmed by the data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422, the reception time pattern analysis unit 424 analyzes the reception time pattern using the data reception information for a set period (eg, 10 minutes immediately before).

수신시간 패턴을 분석하면,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 기간 동안 게이트웨이(210,220)에서 단말(100)의 신호가 수신되는 수신구간과 아무런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미수신구간을 확인할 수 있다. (ST33)When the reception time pattern is analyzed, as shown in (b) of FIG. 10, it is possible to check a reception section in which a signal from the terminal 100 is received and a non-reception section in which no signal is received at the gateways 210 and 220 during the set period. . (ST33)

송신주기 결정부(426)는 수신시간 패턴의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게이트웨이(210,220)에서 단말(100)의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미수신구간을 추출하고, 미수신구간 내에서 충돌을 일으킨 단말(100)의 새로운 송신주기를 결정한다. The transmission period determining unit 426 extracts an unreceived section in which the signal from the terminal 100 is not received from the gateways 210 and 220 using the analysis result of the reception time pattern, and Determine a new transmission period.

만일 데이터충돌 판단부(422)에서 단말(100c)의 신호가 충돌된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단말(100c)의 송신주기를 확인한 후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수신구간에서 수신할 수 있는 새로운 송신주기를 생성한다.If the data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422 confirms that the signal of the terminal 100c has collided, after checking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terminal 100c, as shown in (b) of FIG. Create a new transmission period.

이어서 모니터링 서버(400)는 결정된 송신주기와 함께 송신주기 변경 지령을 해당 단말(100)로 전송한다. 단말(100)은 송신주기 변경 지령에 응하여 현재 설정되어 있는 송신주기를 새로운 송신주기로 변경한다. 도 10의 (c)는 단말(100c)의 송신주기가 변경됨에 따라 4개 단말의 송신주기가 넓게 분산된 모습을 예시한 것이다. (ST34,35)Subsequently, the monitoring server 400 transmits a transmission period change command to the terminal 100 together with the determined transmission period. The terminal 100 changes the currently set transmission period to a new transmission period in response to the transmission period change command. FIG. 10C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transmission periods of the four terminals are widely distributed as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terminal 100c is changed. (ST34,35)

단말(100)은 모니터링 서버(400)의 변경 지령에 응하여 송신주기를 변경한 이후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적용하여 데이터 변동률에 따라 모니터링 서버(400)가 결정한 송신주기를 자체적으로 늘리거나 단축시킬 수도 있다.After changing the transmission period in response to the change command of the monitoring server 400, the terminal 100 applies the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utomatically adjust the transmission period determined by the monitoring server 400 according to the data change rate. You can also increase or shorten it with.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주기 조정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Meanwhile, the transmission period adjust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이때,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관련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 program command, a data file, a data structure, or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to and usable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optical medium (Magneto-Optical Media), a ROM, a RAM, a flash memory, and the like.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gram instruction may include a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as well as a machine languag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구체적인 적용 과정에서 다양하게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다.In the abov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or modified in a specific application process.

일 예로서, 앞에서는 단말(100)과 게이트웨이(210,220)가 장거리 저전력(LPWA)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통신 방식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다른 통신규격이 이용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100)의 송신주기를 적응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As an example, it has been described above that the terminal 100 and the gateways 210 and 220 perform long-distance low-power (LPWA) communication, but the communication metho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so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other communication standards are used. According to an example,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terminal 100 may be adaptively adjusted.

다른 예로서, 앞에서는 모니터링 서버(400)가 인터넷(300)을 통해 게이트웨이(210,220)와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게이트웨이(210,220)와 모니터링 서버(400)가 유선이나 무선으로 직접 통신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it was previously described that the monitoring server 400 is connected to the gateways 210 and 220 through the Internet 300, but the gateways 210 and 220 and the monitoring server 400 may directly communicate by wire or wirelessly.

이와 달리 게이트웨이(210,220)와 모니터링 서버(400)가 하나의 장치에 통합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gateways 210 and 220 and the monitoring server 400 may be integrated into one devic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구체적인 적용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예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or modified in various forms in a specific application process, and modified or modified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is included. I will say of course.

100: 단말 110: 프로세서 120: 메모리
122: 송신데이터 분석부 124: 송신주기 결정부
130: 데이터 획득부 140: 무선통신부 190: 버스
210, 220: 게이트웨이 300: 인터넷 400: 모니터링서버
410: 프로세서 420: 메모리 422: 데이터충돌 판단부
424: 수신시간 패턴분석부 426: 송신주기 결정부 430: 통신부
490: 버스
100: terminal 110: processor 120: memory
122: transmission data analysis unit 124: transmission period determination unit
130: data acquisition unit 14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90: bus
210, 220: gateway 300: internet 400: monitoring server
410: processor 420: memory 422: data conflict determination unit
424: reception time pattern analysis unit 426: transmission period determination unit 430: communication unit
490: bus

Claims (14)

모니터링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단말의 송신주기를 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무선 단말이 송신대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무선 단말이 송신대기 데이터와 직전 주기에 송신한 직전 데이터를 대비하여 데이터 변동률을 산출하는 단계;
무선 단말이 데이터 변동률에 따라 송신주기를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의 송신주기 조정 방법
In a method for adjusting a transmission period of a wireless termi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a monitoring server,
Generating, by the wireless terminal, data to be transmitted;
Calculating, by the wireless terminal, a data change rate by comparing the data to be transmitted and the immediately preceding data transmitted in the immediately preceding period;
Step of the wireless terminal adjusting the transmission period according to the data change rate
Transmission period adjustment method of a wireless terminal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송신주기를 조정하는 단계에서는, 데이터 변동률의 크기에 따라 송신주기의 증감폭을 차등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의 송신주기 조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tep of adjusting the transmission period, the transmission period adjustment method of a wireless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transmission period i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ata change rate.
제1항에 있어서,
송신주기를 조정하는 단계에서는, 데이터의 중요도가 클수록 데이터 변동률에 따른 송신주기의 감소폭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의 송신주기 조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tep of adjusting the transmission period, the transmission period adjustment method of a wireless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larger the importance of the data, the greater the reduction in the transmission period according to the data change rate.
제1항에 있어서,
송신주기를 조정하는 단계에서는, 데이터 변동률이 설정 범위에 속하면 직전 주기를 그대로 적용하고, 데이터 변동률이 설정 범위보다 작으면 송신주기를 직전 주기보다 더 길게 변경하고, 데이터 변동률이 설정 범위보다 크면 송신주기를 직전 주기보다 더 짧게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의 송신주기 조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tep of adjusting the transmission period, if the data fluctuation rate falls within the set range, the previous period is applied as it is. Transmission period adjustment method of a wireless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eriod is changed to be shorter than the previous period
제4항에 있어서,
데이터 변동률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가장 짧은 송신주기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의 송신주기 조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Transmission period adjustment method of a wireless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data change rate exceeds a threshold value, the transmission period is changed to the shortest transmission period
제1항에 있어서,
데이터 변동률을 산출하는 단계에서는, 송신대기 데이터의 데이터 패킷과 직전 데이터의 데이터 패킷을 대비하여 구분코드(Od)에 의해 구분되는 값의 변동률을 개별적으로 산출한 후 각 값의 변동률을 합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의 송신주기 조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data change rate, the rate of change of the value classified by the classification code (Od) is individually calculated by comparing the data packet of the data to be transmitted and the data packet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data, and then the rate of change of each value is added Method of adjusting transmission period of wireless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송신주기를 조정하는 단계의 이후에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송신주기 변경 지령을 수신하면, 상기 송신주기 변경지령에 응하여 송신주기를 다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의 송신주기 조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n a transmission period change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monitoring server after the step of adjusting the transmission period, the transmission period is adjusted again in response to the transmission period change command.
모니터링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단말의 송신주기를 모니터링 서버에서 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모니터링 서버가 다수의 무선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데이터 충돌이 발생하였는지 여부와 데이터 충돌을 일으킨 무선 단말을 확인하는 단계;
데이터 충돌이 확인되면, 설정기간 동안의 데이터 수신시간 패턴을 분석하여 미수신구간을 확인하는 단계;
충돌을 일으킨 무선 단말의 새로운 송신주기를 결정하되, 새로운 송신주기가 상기 미수신구간 내에 속하도록 결정하는 단계;
새로 결정된 송신주기와 함께 송신주기 변경 지령을 충돌을 일으킨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의 송신주기 조정 방법
In the method of adjusting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wireless termi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monitoring server in the monitoring server,
Receiving, by the monitoring server, data from a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Determining whether a data collision has occurred and a wireless terminal causing a data collision;
If data collision is confirmed, analyzing a data reception time pattern for a set period to confirm a non-reception section;
Determining a new transmission period of the wireless terminal causing the collision, and determining that the new transmission period falls within the non-reception period;
Transmitting a transmission period change command together with the newly determined transmission period to the wireless terminal that caused the collision
Transmission period adjustment method of a wireless terminal comprising a
제8항에 있어서,
다수의 무선 단말에서 송신한 데이터는 게이트웨이가 수신하여 모니터링 서버로 전달하고,
모니터링 서버는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데이터 충돌 여부와 충돌을 일으킨 무선 단말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의 송신주기 조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data transmitted from multiple wireless terminals is received by the gateway and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server,
The monitoring server analyzes the data received from the gateway to check whether there is a data collision and the wireless terminal causing the collision.
제8항에 있어서,
새로 결정된 송신주기와 함께 송신주기 변경 지령을 충돌을 일으킨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의 이후에는,
송신주기 변경 지령을 수신한 무선 단말이 이에 응하여 송신주기를 변경하는 단계;
무선 단말이 송신대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무선 단말이 송신대기 데이터와 직전 주기에 송신한 직전 데이터를 대비하여 데이터 변동률을 산출하는 단계;
데이터 변동률에 따라 송신주기를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의 송신주기 조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After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transmission period change command together with the newly determined transmission period to the wireless terminal that caused the collision,
Changing the transmission period in response to the wireless terminal receiving the transmission period change command;
Generating, by the wireless terminal, data to be transmitted;
Calculating, by the wireless terminal, a data change rate by comparing the data to be transmitted and the immediately preceding data transmitted in the immediately preceding period;
Adjusting the transmission period according to the data change rate
A method of adjusting a transmission period of a wireless terminal, comprising: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송신주기 조정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implementing the transmission period adjustment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10 is recorded. 모니터링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단말에 있어서,
모니터링 서버로 송신할 데이터를 수집하여 송신대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획득부;
송신대기 데이터와 직전 주기에 송신한 직전 데이터를 대비하여 데이터 변동률을 산출하는 송신데이터 분석부;
산출된 데이터 변동률을 이용하여 송신주기의 증감 여부 및 증감폭을 결정하는 송신주기 결정부
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
In a wireless termi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a monitoring server,
A data acquisition unit that collects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server and generates data to be transmitted;
A transmission data analysis unit for calculating a data change rate by comparing the data to be transmitted and the immediately preceding data transmitted in the immediately preceding period;
Transmission period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ransmission period is increased or decreased using the calculated data change rate
Wireless terminal comprising a
다수의 무선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니터링 서버에 있어서,
동시 수신으로 인한 데이터 충돌이 발생하였는지 여부와 데이터 충돌을 일으킨 무선 단말을 확인하는 데이터 충돌 판단부;
데이터 충돌이 확인되면, 설정기간 동안의 데이터 수신시간 패턴을 분석하여 미수신구간을 확인하는 수신데이터 분석부;
충돌을 일으킨 무선 단말의 새로운 송신주기를 결정하되, 새로운 송신주기가 상기 미수신구간 내에 속하도록 결정하는 송신주기 결정부
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서버
In the monitoring ser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a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A data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for checking whether a data collision due to simultaneous reception has occurred and a wireless terminal causing a data collision;
When a data collision is confirmed, a reception data analysis unit that analyzes a data reception time pattern for a set period to check a non-reception section;
A transmission period determining unit that determines a new transmission period of the wireless terminal that caused the collision, but determines that the new transmission period falls within the non-reception period.
Monitoring server including
다수의 무선 단말, 상기 다수의 무선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니터링 서버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은,
모니터링 서버로 송신할 데이터를 수집하여 송신대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획득부;
송신대기 데이터와 직전 주기에 송신한 직전 데이터를 대비하여 데이터 변동률을 산출하는 송신데이터 분석부;
산출된 데이터 변동률을 이용하여 송신주기의 증감 여부 및 증감폭을 결정하는 송신주기 결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동시 수신으로 인한 데이터 충돌이 발생하였는지 여부와 데이터 충돌을 일으킨 무선 단말을 확인하는 데이터 충돌 판단부;
데이터 충돌이 확인되면, 설정기간 동안의 데이터 수신시간 패턴을 분석하여 미수신구간을 확인하는 수신데이터 분석부;
충돌을 일으킨 무선 단말의 새로운 송신주기를 결정하되, 새로운 송신주기가 상기 미수신구간 내에 속하도록 결정하는 송신주기 결정부
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In a wireless network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a monitoring ser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The wireless terminal,
A data acquisition unit that collects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server and generates data to be transmitted;
A transmission data analysis unit for calculating a data change rate by comparing the data to be transmitted and the immediately preceding data transmitted in the immediately preceding period;
Transmission period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ransmission period is increased or decreased using the calculated data change rate
Including,
The monitoring server,
A data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for checking whether a data collision due to simultaneous reception has occurred and a wireless terminal causing a data collision;
When a data collision is confirmed, a reception data analysis unit that analyzes a data reception time pattern for a set period to check a non-reception section;
A transmission period determining unit that determines a new transmission period of the wireless terminal that caused the collision, but determines that the new transmission period falls within the non-reception period.
Wireless network system including
KR1020190092809A 2019-07-31 2019-07-31 Method of adaptively adjusting transmission period of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network system for the same KR1022710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809A KR102271019B1 (en) 2019-07-31 2019-07-31 Method of adaptively adjusting transmission period of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network system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809A KR102271019B1 (en) 2019-07-31 2019-07-31 Method of adaptively adjusting transmission period of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network system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853A true KR20210014853A (en) 2021-02-10
KR102271019B1 KR102271019B1 (en) 2021-06-30

Family

ID=74561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809A KR102271019B1 (en) 2019-07-31 2019-07-31 Method of adaptively adjusting transmission period of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network system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01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7345A (en) * 2016-01-20 2017-07-28 전자부품연구원 Self Adaptive Data Transmission Interval Control Method and IoT System applying the same
KR20180002442A (en) * 2016-06-29 2018-01-0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transmitting of data and method determining data transmission period using the same
KR20190014944A (en) 2017-08-04 2019-02-1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Terminal device, and packet transmitt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7345A (en) * 2016-01-20 2017-07-28 전자부품연구원 Self Adaptive Data Transmission Interval Control Method and IoT System applying the same
KR20180002442A (en) * 2016-06-29 2018-01-0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transmitting of data and method determining data transmission period using the same
KR20190014944A (en) 2017-08-04 2019-02-1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Terminal device, and packet transmit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1019B1 (en) 202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0534B2 (en) Wideband near field communication method
CN108605362B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resource selection techniques
US202300407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wlan system
CN101161022B (en) Mobile station, base st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EP2291053A1 (en) Base station, mobile st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070187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ioritizing transmission legs for precaching data
EP253858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oadband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which use a relay in transceiving operation
CN107872818A (en) Data processing method, node and terminal
CN105451323B (en) Home gateway transmission power adjustment method and device
KR101679798B1 (en) Networlk device, base station, downlink packet transmitting base-station reselection method
CN103716853A (en) Self-adaption multiple-relay selection method in terminal through communication system
CN108141701A (en) For the transformat depending on speed of vehicle transmission
KR101713931B1 (en) Networlk device, base station, downlink packet transmitting base-station reselection method
CN102769912A (en) Message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applied to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s well as network equipment
CN11109601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selection
US11076322B2 (en) Internet of things network device and method for excluding a base station based on a received pushdata message
CN104782195A (en) Method for adapting output power of a radio transmitter and the corresponding wireless node
KR101109254B1 (en) Data transmission system for asynchronous trasmitting data and map information
US10701761B2 (en) Network device and base station device, and downlink packet transmission base station reselecting method performed by same device
KR101870237B1 (en) Networlk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18157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ceiving Data using relay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f Centralized MAC
KR20210014853A (en) Method of adaptively adjusting transmission period of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network system for the same
KR2022010351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munication in high-speed train environment
US10924985B2 (en) Downlink base station selection mechanism based on downlink signal quality
CN107959950A (en) Terminal wireless data transmission method,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