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4693A - Nsa 및 sa 네트워킹 모드 선택 방법 및 단말 기기 - Google Patents

Nsa 및 sa 네트워킹 모드 선택 방법 및 단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4693A
KR20210014693A KR1020207037850A KR20207037850A KR20210014693A KR 20210014693 A KR20210014693 A KR 20210014693A KR 1020207037850 A KR1020207037850 A KR 1020207037850A KR 20207037850 A KR20207037850 A KR 20207037850A KR 20210014693 A KR20210014693 A KR 20210014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device
networking mode
network
pl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7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4190B1 (ko
Inventor
젠롱 웨이
리 선
휘 진
하오 송
얀자오 허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14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4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단말 기기를 위한 네트워크 검색 방법 및 기기를 제공한다.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및 PLMN과 연관된 네트워킹 모드를 미리 설정함으로써, 상기 단말 기기는 지리적 위치에 기초하여 검색하여 현재 지리적 위치의 PLMN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및 상기 PLMN과 연관된 네트워킹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현재 네트워킹 모드를 결정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또한 상기 지리적 위치, 신호 강도 및 시스템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Description

NSA 및 SA 네트워킹 모드 선택 방법 및 단말 기기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 기기가 각종 복잡한 네트워킹 모드에 기초하여 NSA 또는 SA 네트워킹 모드를 선택하는 네트워크 검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
5G는 향후 5년 동안 정보 통신 분야에서 뜨거운 기술 중 하나이다. 5G는 모바일 인터넷, 사물 인터넷(eMBB, mMTC, URLLC 등)과 같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 적용할 수 있으며, 초대용량, 초고성능, 다차원 융합(multi-dimensional convergence), 그리고 저렴한 비용 등의 특징을 제공한다. 최근 2년 동안, 5G는 인공 지능 및 정보 센터 네트워크와의 협력하여 발전하고 있으며 전반적인 연구 개발 및 표준화 프로세스가 가속화되고 있다. 현재 주요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사용자가 경험하는 5G 액세스 최고 속도(access peak rate)는 수십 Gb/s에 도달하며, 이는 4G보다 100배 이상 높다. 단대단 지연 시간(end to end latency)은 ms 이하에 도달하며, 이는 4G보다 10배 높고, 동기화 정밀도는 4G보다 10배 높은 100ns에 도달해야 한다. 또한,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NFV), 소프트웨어 정의형 네트워킹(software-defined networking, SDN) 및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과 같은 새로운 기술이 네트워킹 아키텍처 및 기술에 도입이 된다.
3GPP 계획에 따르면, 5G 표준은 NSA와 SA(Standalone, 독립형)로 구분된다. 5G NSA 네트워킹 모드에서는 4G 기지국과 4G 코어 네트워크가 필요하다. 4G는 기존 LTE 네트워크 자원을 사용하여 5G NR을 신속하게 배치(deploy)하기 위한 급진적 운영자의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제어 평면의 앵커 포인트(anchor point)로 사용된다. SA 네트워킹은 4G 네트워크와 독립적이며, 새로운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따라서 운영자의 네트워킹 모드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검색 모드를 선택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단말 기기가 미리 설정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미리 설정된 정보는 PLMN 정보 및 상기 PLMN 정보와 연관된 네트워킹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킹 모드는 독립형 SA 모드 및 비 독립형 NSA 모드를 포함함 -;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PLMN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기기가 획득된 PLMN 정보 및 상기 미리 설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된 PLMN 정보와 연관된 네트워킹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 또는 서버에 저장된다. 상기 단말 기기가 PLMN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상기 단말 기기가 지리적 위치에 기초한 검색을 하여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통해 상기 PLMN 정보를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단말 기기가 다양한 복잡한 네트워킹 모드에서 NSA 및 SA 모드의 선택을 최적화하는 네트워크 검색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파라미터가 제1 임계 값보다 큰 경우,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획득된 PLMN 정보와 연관된 네트워킹 모드를 SA로 전환하며, 상기 획득된 PLMN 정보와 연관된 네트워킹 모드는 NSA이다. 상기 제1 파라미터는 5G 액세스 네트워크의 파라미터: 신호 품질(signal quality), 신호 강도(signal strength), 전송률(transmission rate), 네트워크 등록 성공률(network registration success rate) 및 패킷 손실률(packet loss rate) 중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이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단말 기기의 지리적 위치 정보(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가 획득되며, 상기 지리적 위치 정보는 GPS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 기기의 네트워킹 모드는 통신 핑거프린트 라이브러리 정보(communication fingerprint library information)와 지리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네트워킹 모드가 결정된 후, 상기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에 신속하게 등록하기 위해, 연관된 4G 또는 5G 네트워크에 추가로 등록할 수 있다.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시스템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시스템 메시지는 필드 IE upper layer indication-R15를 포함하며, 상기 필드는 현재 셀이 5G 셀 커버리지를 갖는다는 것을 지시하는 데 사용됨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획득된 PLMN 정보와 연관된 네트워킹 모드를 SA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킹 모드는 시스템 정보에 기초하여 전환될 수 있다.
제3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다음 파라미터: 현재 셀의 ID, 신호 품질 및 신호 강도, 이웃 셀의 ID, 신호 품질, 신호 강도, 및 Wi-Fi AP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 및 통신 핑거프린트 라이브러리에 기초하여 현재 셀의 네트워킹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통신 핑거프린트 라이브러리는 현재 셀의 모든 표준에서의 ID, 신호 품질, 및 신호 강도, 이웃 셀의 ID, 신호 품질 및 신호 강도, 그리고 Wi-Fi AP 정보를 저장함 -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임의의 조합을 통해 상이한 기술적 효과가 달성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전술한 방안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다른 네트워크 배치(network deployment)에 대해, 단말 기기는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내의 운영자 관련 정보, 단말 기기의 일부 실시간 상태 정보 및 획득된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기기의 네트워크 검색 방법을 동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
도 1은 본 출원의 가능한 구현예에 따른 SA 네트워킹 모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가능한 구현예에 따른 NSA 네트워킹 모드의 제1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가능한 구현예에 따른 초기화 단계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가능한 구현예에 따라 지리적 위치에 기초하여 네트워킹 모드를 전환하는 제1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가능한 구현예에 따라 지리적 위치에 기초하여 네트워킹 모드를 전환하는 제2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가능한 구현예에 따라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네트워킹 모드를 전환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가능한 구현에 따라 시스템 메시지에 기초하여 네트워킹 모드를 전환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가능한 구현예에 따라 SA 단계(phase) 및 NSA 단계를 동적으로 전환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가능한 구현예에 따른 단말 기기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가능한 구현예에 따른 단말 기기의 부분적인 구성의 블록도이다.
5G(5세대 통신 기술)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LTE(Long Term Evolution, 롱컴 에볼루션 기술)와 5G 비 독립형(Non-standalone, 약칭하여 NSA, "비 독립협 네트워킹"이라고도 함) 또는 5G 독립형 네트워킹(Standalone, 약칭하여 SA)를 사용할 것인지는 운영자가 고려해야 할 문제이다. 한편, 비 독립형은 기존 LTE 자원을 통해 구축 비용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고, 다른 한편으로 5G 독립형은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는 5G 기술 이점을 입증하는 데 도움이 된다. 5G SA 네트워킹을 사용할 것인지 5G NSA 네트워킹을 사용할 것인지는 운영업자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중국의 운영자 중에서, China Mobile은 연속적인 커버리지를 위해 5G를 사용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5G 독립형이 권장된다. 그러나 China Unicom은 빠른 배치를 고려한다. China Unicom의 백서에서, China Unicom은 초기 단계에서의 네트워크 구축에 5G 및 LTE 비 독립형 모드를 사용하도록 명시한다.
3GPP 사양은 상이한 무선 네트워크 및 코어 네트워크을 위한 복수의 네트워킹 모드를 정의하여, 운영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선택은 구축 단계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새로운 차세대 코어(NGC, Next Generation Core)의 배치할 것인지 EPC(Evolved Packet Core)를 업그레이드할 것인지의 여부, 핫스팟 커버리지 또는 연속 커버리지를 제공할 것인지의 여부, 그리고 LTE와 5G 무선 시스템 간의 상호 운용성을 고려할 것인지의 여부 등. 운영자는 독립형, 비 독립형 또는 심지어 하이브리드 네트워킹과 같은, 복수의 네트워킹 모드 또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단말 기기의 경,우 NSA 및 SA의 작동 모드가 결정된다. 적절하고 매칭된 네트워킹 모드는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여, 전력 소비를 낮출 수 있다.
단말 기기가 작동하는 네트워킹 모드가 운영자의 네트워킹 모드와 매칭되지 경우, 네트워크 검색 효율이 낮고 전력 소모가 높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가 SA 네트워킹 모드로 작동하면, NR(New Radio, 5G 액세스 네트워크) 네트워크에 등록하기 위해, 단말 기기는 NR 네트워크를 오랫동안 검색한다. 그러나 이 경우, 네트워크가 SA 네트워킹 모드를 지원하지 않거나 NR 네트워크에의 독립적인 등록을 지원하지 않으면, 단말 기기의 전력 소비가 높거나 네트워크 서비스가 없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다른 예를 들어, 단말 기기가 NSA 모드로 작동하면, 단말 기기가 독립적인 NR 검색을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단말 기기는 최고 표준의 NR 네트워크에 등록할 수 없다. 그러나 현재 네트워크는 SA 네트워킹 모드를 지원한다. 단말 기기는 현재 네트워크가 SA 네트워킹에 독립적으로 등록할 수 없다고 잘못 인식한다. 그 결과, 사용자는 더 나은 5G 서비스를 누릴 수 없다.
도 1은 본 출원의 가능한 구현예에 따른 SA 네트워킹 모드의 개략도이다.
기존 표준은 option 1, option 2, option 3/3a, option 4/4a, option 5, option 6, option 7/7a, 및 option 8/8a와 같은, 복수의 가능한 네트워킹 모드를 포함한, 복수의 네트워킹 모드를 정의한다. 이러한 네트워킹 모드 중에, SA 네트워킹 모드와 NSA 네트워킹 모드가 포함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능한 SA 네트워킹 모드의 개략도가 제공된다. 단말 기기는 5G 기지국 gNB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5G 독립형에서, 단대단(end-to-end) 5G 네트워크 아키텍처가 사용된다. 5G 표준은 단말 기기, gNB, 및 차세대 코어(NextGen Core, NGC)에 사용되어, 5G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고, 5G 기능을 구현하며, 5G 서비스를 제공한다.
가능한 실시예에서, 전형적인 SA 네트워킹 모드는 option 2와 유사하다.
도 2는 본 출원의 가능한 구현예에 따른 NSA 네트워킹 모드의 개략도이다.
5G 비 독립형(NSA)은 이중 연결 기술(dual connectivity technology)에 기초한 LTE와 5G의 연합 네트워킹(joint networking)을 가리키며, LTE와 5G 간의 긴밀한 연동(tight-interworking)이라고도 한다. 이중 연결을 사용하는 경우, 데이터가 코어 네트워크 또는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계층)에서 분할된 후, 사용자 데이터 흐름이 복수의 기지국을 통해 사용자에게 동시에 전송된다. LTE와 5G 시스템이 연합 네트워킹에 있는 경우, 코어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선택의 여지가 많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네트워크가 4G 진보된 패킷 코어(EPC, Evolved Packet Core)를 사용하는 경우, 데이터는 LTE eNB를 통해 단말 사용자에게 송신될 수 있거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5G NR(New Radio, 5G 액세스 네트워크)에 송신될 수 있으며, NR을 통해 단말 기기에 송신된다.
본 실시예에 열거된 SA 네트워킹 모드 및 NSA 네트워킹 모드는 본 출원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을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프로토콜에 따라 option 3/3a/3x는 전형적인 일반 NSA 네트워킹 모드이고, option 2는 전형적인 SA 네트워킹 모드이다. 전술한 내용은 SA 및 NSA의 몇 가지 흔한 전형적인 연결 모드의 예를 제공할 뿐이다. 본 출원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표 1은 본 출원의 가능한 구현예에 따라 제공되는 운영자와 네트워킹 모드의 미리 설정된 표이다.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표는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및 PLMN과 연관된 네트워킹 모드(NSA, SA)를 포함한다. PLMN은 한 국가 또는 지역 내의 이동 통신 운영자를 구별하는 데 사용되며, 하나의 국가 또는 지역은 하나 이상의 공중 육상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하나의 PLMN은 SA와 연관될 수 있다(예: PLMN 1 또는 PLMN 2). 가능한 구현예에서, 하나의 PLMN은 NSA와 연관될 수 있다(예: PLMN 3 및 PLMN 4). 가능한 구현예에서 하나의 PLMN은 하이브리드 네트워킹과 연관될 수 있다. 즉, NSA/SA의 두 가지 네트워킹 모드가 지원된다(예 : PLMN 5).
[표 1: 운영자와 네트워크 모드의 미리 설정된 표]
Figure pct00001
미리 설정된 정보는 PLMN 및 PLMN과 연관된 네트워킹 모드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미리 설정된 표은 미리 설정된 정보의 표현 방식임을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리 설정된 정보는 또한 패킷, 데이터 또는 메시지와 같은 포맷 일 수 있다.
미리 설정된 표는 단말 기기에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조 중에 단말 기기의 제조사에 의해 저장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미리 설정된 표는 단말 클라우드에 저장될 수 있거나, 데이터베이스(data base)에 저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리 설정된 표는 또한 정보 삭제, 수정 및 추가와 같은 작업을 포함하여, 갱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가 국제 로밍 상태인 경우, PLMN 및 PLMN과 연관된 네트워킹 모드가 추가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다른 지리적 위치에서, 동일한 운영자는 서로 다른 네트워킹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미리 설정된 표는 운영자의 서로 다른 네트워킹 모드의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hina Mobile은 SA/NSA 하이브리드 네트워킹 모드를 지원하며, 두 네트워킹 모드의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기록한다. 네트워크 상태 정보는 패킷 손실률, 네트워크 등록 성공률, 네트워크 속도, 신호 강도 또는 신호 품질과 같은 네트워크 상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리적 위치에 기초하여 권장되는 선호 네트워킹 모드가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네트워킹 모드에서는 SA 또는 NSA의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바람직한 네트워킹 모드를 권장하거나 자동으로 연결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리 설정된 표의 정보로는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리 설정된 표 정보는 지리적 위치에 기초하여, 지리적 위치에서 상이한 운영자의 상이한 표준의 신호 품질 및 신호 강도와 같은 네트워크 상태 정보, 단말 기기가 네트워킹 모드에 등록 성공한 횟수 및 확률, 등록 시각, 그리고 단말 기기의 상태를 기록할 수 있다. 단말 기기는 위치의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복수 회 기록하고, 그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단말 기기는 또한 전술한 네트워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의 네트워킹 모드를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는 위치 A에서 위치 B로 이동하고, 미리 설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B의 NSA 네트워킹 모드가 최적의 네트워크인지 판단하고 NSA 네트워크로 핸드오버한다. 추천된 최적의 네트워킹 모드는 신호 품질, 신호 강도, 단말 기기가 네트워킹 모드에 성공적으로 등록한 횟수 및 등에 기초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지리적 위치는 액세스 포인트 신호에 의해 커버되는 셀일 수 있거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에 의해 커버되는 위치일 수 있거나, 기록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에 기초한 클러스터링에 의해 획득되는 가상 공간일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출원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도 3은 본 출원의 가능한 구현예에 따른 초기화 단계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가 처음으로 전원이 켜지거나(전원 온), 전원이 켜지거나, 셀을 재선택한 후, 초기 작동 모드는 SIM 카드의 운영자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HPLMN(Home PLMN)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가 지리적 위치를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 단말 기기는 운영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다.
상세한 처리 프로시저는 다음과 같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측에서, 전원을 켜고 초기화한 후, AP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예를 들어, 표 1에 나타낸 운영자 및 네트워킹 모드의 미리 설정된 표로부터 미리 설정된 정보를 획득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리 설정된 표 내의 미리 설정된 정보가 갱신된 것으로 검출되면, 예를 들어, 새로운 PLMN 또는 네트워킹 모드가 추가되면, AP는 갱신된, 미리 설정된 표 정보를 획득한다.
미리 설정된 표 정보를 획득한 후, AP는 미리 설정된 표 정보를 로컬에 저장하고, 모뎀(modem)에 통지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통지는 미리 설정된 PLMN, 네트워킹 모드, 위치와 같은 정보를 포함한 브로드캐스트일 수 있다.
모뎀 측에서, 전원을 켜고 초기화한 후, 모뎀은 지리적 위치를 검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G/3G/4G/5G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통해 PLMN 정보와 같은 운영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모뎀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네트워크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AP에 의해 전송되는 미리 설정된 표 정보를 수신한 후, 모뎀은 미리 설정된 표 정보를 로컬로 저장하고, 지리적 위치 검색 결과, 예를 들어 운영자 정보에 기초하여 초기 모드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지리적 위치에 기초하여, 운영자의 PLMN이 China Mobile임을 획득한 후, 모뎀은 AP 측에 의해 전송되는 미리 설정된 표 정보에 기초하여 China Mobile의 네트워킹 모드가 NSA인 것으로 결정한다. 이 경우, 초기 모드는 China Mobile의 NSA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것이다.
초기 모드에 기초하여 4G 또는 5G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획득하고, 4G 또는 5G 네트워크 등록이 완료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성공적으로 등록된 네트워크는 지리적 위치, 신호 강도 및 시스템 메시지와 같은 인자로 인한 등록을 위해 다른 네트워크로 전환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는 4G 등록 결과 및 5G 등록 결과에 기초하여 AP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피드백된다. 새로운 데이터가 존재하면, 데이터베이스가 갱신되고 저장된다.
도 4는 본 출원의 가능한 구현예에 따라 지리적 위치에 기초하여 네트워킹 모드를 전환하는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기기는 지리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SA 네트워킹 모드와 NSA 네트워킹 모드 사이를 전환할 수 있으며, 이는 일부 실시예에서 운영자가 하이브리드 네트워킹 모드를 지원하는 시나리오에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시 지역에서, 운영자는 SA 네트워킹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교외 지역에서, 사용자의 수량과 같은 인자를 고려하여 운영자는 NSA 네트워킹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동시 단말 기기는 현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동일한 지리적 위치에 있더라도, 하이브리드 네트워킹 모드가 지원될 수 있고, 네트워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적절한 네트워킹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가 위치 C로 이동하는 경우, 단말 기기가 위치 C에서 SA 네트워킹 모드 및 NSA 네트워킹 모드에 독립적으로 등록할 수 있음을 검출하고, 네트워크 상태 정보, 예를 들어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네트워킹 모드를 선택하여 상주(camp on)하고 네트워크 모드에 등록을 시도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기기는 통신 핑거프린트 라이브러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부 구현예에서, 통신 핑거프린트 라이브러리 정보는 현재 셀의 셀 ID, 신호 품질, 신호 강도; 이웃 셀의 셀 ID, 신호 품질, 신호 강도; Wi-Fi AP(Access Point, 액세스 포인트) 정보; 및 기타 보조 정보(예: Bluetooth 정보 및 기타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통신 핑거프린트 라이브러리 정보에서 현재 셀의 셀 ID, 신호 품질, 신호 강도; 이웃 셀의 셀 ID, 신호 품질, 신호 강도; Wi-Fi AP(Access Point, 액세스 포인트) 정보; 및 기타 보조 정보(예: Bluetooth 정보 및 기타 네트워크 파라미터)는 복수의 표준(예: 2G/3G/4G/5G 표준)에 있을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통신 핑거프린트 라이브러리 정보는 정보 삭제, 수정 및 추가와 같은 작업을 포함하여, 갱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통신 핑거프린트 라이브러리 정보는 단말 기기에 저장될 수 있거나, 서버에 저장될 수 있거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통신 핑거 프린트 라이브러리는 이력 위치(hisorical position)(예: 위치 D)에 복수의 표준으로, 현재 셀의 셀 ID, 신호 품질, 신호 강도; 이웃 셀의 셀 ID, 신호 품질, 신호 강도; Wi-Fi AP(Access Point, 액세스 포인트) 정보; 및 기타 보조 정보(예: Bluetooth 정보)를 기록할 수 있고, 위치 D의 네트워킹 모드는 특정 조건 또는 임계 값에 따라 추천된다. 예를 들어, 이동 기기가 다시 D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단말 기기는 자동으로 네트워킹 모드로 전환하거나 추천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수동으로 네트워킹 모드에 연결할 것을 인터페이스의 형태로 프롬프팅(prompt)할 수 있다. 이동 기기가 D 위치로 다시 이동한 것으로 결정되는 것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단말 기기는 통신 핑거프린트 라이브러리에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획득하고, 핑거프린트 라이브러리 정보를 매칭하고, 현재 위치가 D 위치라고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는 현재 지리적 위치에 기초하여, 현재 셀의 셀 ID, 신호 품질, 신호 강도; 이웃 셀의 셀 ID, 신호 품질, 신호 강도; Wi-Fi AP(Access Point, 액세스 포인트) 정보; 및 기타 보조 정보(예: Bluetooth 정보)를 획득한다. 전술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기기는 현재 위치에서의 모든 표준의 셀 정보에 대한 통신 핑거프린트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고, 매칭되는 네트워킹 모드로 전환한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는 현재 지리적 위치에 기초하여 현재 셀의 ID 번호를 획득하고, ID 번호에 기초하여, 현재 셀의, 통신 핑거 프린트 데이터베이스 내의 모든 표준에서,셀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도 6은 본 출원의 가능한 구현예에 따라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네트워킹 모드를 전환하는 흐름도이다.
단말 기기가 현재 SA 네트워킹 모드에서 작동하면, 예를 들어, 단말 기기가 고정되어 있거나 약간 이동하거나, 이동 위치가 GPS가 검출하기에 부족하거나, 동일한 액세스 포인트 신호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 있는, 위치가 변경되지 않는 시나리오에서, 단말 기기는 NR(New Radio, 5G 액세스 네트워크)의 신호 강도에 따라 NSA 네트워킹 모드로 자주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현재 NR 신호도 상대적으로 약하거나 NR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없는 경우, 단말 기기는 NSA 네트워킹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신호 강도 임계 값이 설정될 수 있으며, 신호 강도가 임계 값보다 작을 때, 네트워킹 모드는 SA 모드에서 NSA 모드로 전환된다. 신호 강도는 또한 미리 정해진 기간 내의 신호 진폭의 변화 또는 평균값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는 위치, 예를 들어 위치 E에 위치한다. 운영자의 SA 네트워킹 모드 및 NSA 네트워킹 모드는 위치 E에서 지원되며, 단말 기기는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네트워킹을 전환할 수 있다.
도 7은 본 출원의 가능한 구현예에 따라 시스템 메시지에 기초하여 네트워킹 모드를 전환하는 흐름도이다.
단말 기기는 셀에 액세스하고 셀에서 올바르게 동작하기 위해, 셀의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를 획득해야 한다. 시스템 정보는 셀 레벨 정보이다. 다시 말해, 시스템 정보는 셀에 액세스하는 모든 단말 기기에 적용된다. 시스템 정보는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 방식으로 조직된다. 각각의 SIB는 기능과 관련된 일련의 파라미터 세트를 포함한다. SIB 유형으로는 SIB 1 ∼ SIB 13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SIB 2는 예를 들어 업링크 RACH, PUCCH, PUSCH 및 SRS의 자원 할당 및 스케줄링과 같은, 공통 무선 자원 구성 정보, 업링크 채널 전력 제어 정보;다운링크 BCCH, PDSCH 및 PCCH의 채널 자원 구성을 포함하고; 특히 upper layer indication-R15인 정보 요소(IE)를 포함한다. 구체제인 IE 설명에 대해서는, 프로토콜 문서 36331-f10에 기재된 "PLMN-Info-R15::=SEQUENCE {upper layer indication-R15 ENUMERATED {true} OPTIONAL--Need OR}"를 참조할 수 있다.
프로토콜에는 "NR indicator should indicate that the E-UTRA cell has the possibility to add NR as secondary RAT for EN-DC"이 기재되어 있다. 다시 말해, NR 지시자는 NR 지시자는, NR 셀이 현재 LTE 이중 연결에 존재함을 지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세부사항에 대해서는 제안 R2-1713443을 참조하기 바란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IE upper layer indication-R15 NR은 NR 셀 커버리지가 LTE 셀의 커버리지 내에 존재하고, EN-DC(E-UTRA-NR Dual Connectivity)가 수행될 수 있음을 지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단말 기기가 수신한 시스템 메시지가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단말 기기는 이를 알리거나 SA 네트워킹 모드로 자동 전환한다. 예를 들어, PLMN과 연관련 미리 설정된 모드가 SA 네트워킹 모드이면, 단말 기기는 SA 네트워킹 모드로 전환하고 LTE 시스템 메시지가 IE upper layer indication-R15를 실어 전달하는 경우에 NR을 적극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PLMN과 연관된 미리 설정된 모드가 NSA 네트워킹 모드이면, NR 검색은 수행되지 않는다.
LTE 시스템 메시지가 IE upper layer indication-R15를 실어 전달하지 않으면, 단말 기기는 SA 네트워킹 모드로 전환하지 않거나 NR 검색을 수행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실시예는 NSA 네트워킹 모드가 현재 사용되고 있거나 단말 기기가 현재 LTE 네트워크에 등록되어 있는 시나리오에 적용 가능하다.
도 8은 본 출원의 가능한 구현예에 따라 SA 단계와 NSA 단계를 동적으로 전환하는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초기화 프로시저에 따라 초기 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리적 위치에 기초하여, 운영자의 PLMN이 China Mobile임을 획득한 후, AP 측에 의해 전송되는 미리 설정된 표 정보에 기초하여, China Mobile의 네트워킹 모드가 NSA인 것으로 결정한다. 이 경우, 초기 모드는 China Mobile의 NSA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것이다.
초기 모드를 설정한 후, 하이브리드 네트워킹 모드가 지원되는 것으로 결정되고, 현재 기기의 지리적 위치 정보가 획득되며, 네트워킹 모드는, 예를 들어 통신 핑거프린트 라이브러리에서의 정보 조회를 통한, 지리적 위치 정보 피드백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전환된다. SA 네트워킹 모드가 현재 사용되는 것으로 결정되면, 네트워킹 모드를 NSA 네트워킹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현재 네트워킹 모드가 NSA 네트워킹 모드이고, 수신된 SIB 2가 IE upper layer indication-R15를 포함하면, 네트워킹 모드가 SA 네트워킹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초기 네트워킹 모드가 SA 네트워킹 모드이면, SA 네트워킹 모드가 항상 사용되며, NR은 최고 우선순위 RAT(Radio Access Technology, 무선 액세스 기술)로서 처리될 수 있다. 이 경우, 독립적인 NR 네트워크 검색이 필요하다. 가능한 설계에서, 초기 모드가 SA 네트워킹 모드이지만, 현재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에 상주하고, 수신된 SIB 2가 IE upper layer indication-R15를 포함하면, SA 네트워킹 모드가 유지되고, NR 네트워크가 검색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초기 모드가 SA 네트워킹 모드이지만, 현재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에 상주하고, 수신된 SIB 2가 IE upper layer indication-R15를 포함하지 않으면, 네트워킹 모드는 NSA 네트워킹으로 전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초기 모드는 대안으로 NSA 네트워킹 모드일 수 있다.
도 9는 본 출원의 가능한 구현예에 따른 단말 기기의 개략도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100)는 단말 기기, 태블릿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POS(Point of Sales, POS 단말기), 차량 장착형 컴퓨터, TV, 웨어러블 기기, AR, VR 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100)는 단말 기기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본 실시예와 관련된 단말 기기(100)의 부분 구성의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 기기(100)는 RF(Radio Frequency, 무선 주파수) 회로(110), 메모리(120), 기타 입력 기기(130), 디스플레이 스크린(140), 센서(150), 오디오 회로(160), I/O 서브시스템(170)과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당업자라면 도 10에 도시된 단말 기기의 구성은 단말 기기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으며, 단말 기기는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적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거나, 일부 구성요소가 결합되거나, 일부 구성요소가 분할되거나, 구성요소가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당업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4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I, Terminal Interface)이고, 단말 기기(100)는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적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단말 기기(100)의 구성요소 각가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RF 회로(110)는 정보를 수신 및 송신하거나, 통화 중에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기지국으로부터 다운링크 정보를 수신한 다음 처리를 위해 다운링크 정보를 프로세서(180)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RF 회로(110)는 관련된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에 전송한다. RF 회로는 일반적으로 안테나,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트랜시버, 커플러, LNA(Low Noise Amplifier, 저잡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RF 회로(110)는 추가로 무선 통신을 통해 네트워크 및 다른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에는
GSM(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이동 통신의 글로벌 시스템),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LTE (Long Term Evolution, 롱텀 에볼루션), 이메일, SMS(Short Messaging Service, 단문 메시징 서비스)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모든 통신 표준 또는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18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실행하여 단말 기기(100)의 다양한 기능적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메모리(120)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과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운영 체제, 하나 이상의 기능(예: 사운드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영역은 단말 기기(100)의 사용 등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예: 오디오 데이터 또는 전화 번호부)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0)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기기,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휘발성 고체 상태 저장 기기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입력 기기(130)는 입력된 디지털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 기기(100)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타 입력 기기(130)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물리 키패드, 기능 키(예: 볼륨 제어 키 또는 온/오프 키), 트랙볼, 마우스, 조이스틱, 광 마우스(광 마우스는 시각적 출력을 표시하지 않는 터치 감지 표면 또는 터치 스크린에 의해 형성된 터치 감지 표면의 확장) 등. 기타 입력 기기(130)는 I/O 서브 시스템(170)의 기타 입력 기기 제어기(171)에 연결되고, 기타 입력 기기 제어기(171)의 제어하에 프로세서(180)와 신호 교환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140)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 단말 기기(100)의 각종 메뉴를 표시하고, 추가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140)은 디스플레이 패널(141) 및 터치 패널(142)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41)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 디스플레이),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다이오드)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 패널(142)은 터치 스크린, 터치 감지 스크린 등으로도 지칭되며, 터치 패널 상에서나 근처에서의 사용자의 터치 조작 또는 비 터치 조작(예: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와 같은 적합한 물체나 액세서리를 사용하여 터치 패널(142) 상에서나 터치 패널(142) 근처에서의 사용자 조작, 또는 분리된 제어 조작 또는 다중점 제어 조작과 같은 조작 유형을 포함하는 움직임 감지 조작)을 수집할 수 있고,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연결 장치를 구동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터치 패널(142)은 두 부분: 터치 검출 장치와 터치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지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위치 및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조작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감지하여 터치 제어기에 전달한다. 터치 제어기는 터치 감지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고, 터치 정보를 프로세서에서 처리할 수 있는 정보로 변환한 다음 프로세서(180)에 전송하고, 프로세서(180)에 의해 전송되는 커맨드를 수신하여 커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142)은 저항형, 용량형, 적외선형, 표면 탄성파형 등의 복수의 유형으로 구현될 수 있거나; 터치 패널(142)은 미래에 개발될 임의의 기술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142)은 디스플레이 패널(141)을 덮을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패널(141)에 표시된 콘텐츠(표시된 콘텐츠는 소프트 키보드, 가상 마우스, 가상키, 아이콘,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음), 디스플레이 패널(141)을 덮은 터치 패널(142) 상에서의 또는 근처에서의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터치 패널(142) 상의 또는 그 부근에서의 터치 동작을 검출한 후, 터치 패널(142)은 터치 조작을 I/O 서브 시스템(170)을 통해 프로세서(180)로 전달하여, 사용자 입력을 결정하기 위해 터치 조작 유형을 결정한다. 이어서, 프로세서(180)는 터치 조작 유형에 기초하여 I/O 서브 시스템(170)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41)에 대응하는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도 2에서, 터치 패널(142)과 디스플레이 패널(141)은 단말 기기(100)의 입출력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두 개의 독립적인 부분으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에서, 터치 패널(142)과 디스플레이 패널(141)은 통합되어 단말 기기(100)의 입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단말 기기(100)는 광학 센서, 움직임 센서 및 기타 센서와 같은 하나 이상의 센서(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 센서는 주변 광 센서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 광 센서는 주변 광의 밝기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41)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단말 기기(100)가 귀로 이동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141) 및/또는 백라이트를 끌 수 있다. 움직임 센서의 한 유형으로서, 가속도 센서는 다양한 방향(보통 3축)의 가속도 값을 검출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가속도 센서가 정적 상태에 있을 때 중력의 값과 방향을 검출할 수 있으며, 단말 기기의 자세를 인식하는 애플리케이션(예: 가로 화면과 세로 화면 사이의 전환, 관련 게임, 및 자력계 자세 교정), 진동 인식 관련 기능(예: 만보계 및 노크)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및 적외선 센서와 같은 기타 센서가 단말 기기(100)에 더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세부사항을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오디오 주파수 회로(160), 스피커(161) 및 마이크로폰(162)은 사용자와 단말 기기(100) 사이에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회로(160)는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신호로 변환하고 신호를 스피커에 전송할 수 있으며, 스피커(161)는 신호를 출력을 위해 사운드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마이크로폰(162)은 수집된 사운드 신호를 신호로 변환하며, 오디오 회로(160)는 그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를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한 다음 오디오 데이터를 RF 회로(108)에 출력하여, 그 오디오 데이터를, 예를 들어 다른 단말 기기에 전송하거나, 추가 처리를 위해 오디오 데이터를 메모리(120)에 출력한다.
I/O 서브 시스템(170)은 외부 입력/출력 기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기타 입력 기기 제어기(171), 센서 제어기(172) 및 디스플레이 제어기(173)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기타 입력 기기 제어기(171)는 기타 입력 기기(13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거나 기타 입력 기기(130)에 신호를 전송한다. 기타 입력 기기(130)는 물리 버튼(누름 버튼, 잠금 버튼 등), 다이얼 패드, 슬라이더 스위치, 조이스틱, 클릭 스크롤 휠 또는 광 마우스(광 마우스는 시각적 출력을 표시하지 않는 터치 감지 표면이거나, 터치 스크린으로 형성된 터치 감지 표면의 확장임)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입력 기기 제어기(171)는 전술한 기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I/O 서브 시스템(170)의 디스플레이 제어기(173)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4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하거나 디스플레이 스크린(140)에 신호를 전송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140)이 사용자 입력을 검출한 후, 디스플레이 제어기(173)는 검출된 사용자 신호를 디스플레이 스크린(140)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와의 상호작용으로 변환한다. 구체적으로, 인간-기계 상호작용이 구현된다. 센서 제어기(172)는 하나 이상의 센서(15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하거나 하나 이상의 센서(150)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단말 기기(100)의 제어 센터이며, 다양한 인터페이스 및 선로를 통해 단말 기기의 다양한 부분과 연결된다. 프로세서(18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운영 또는 실행하고 메모리(120)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함으로써 단말 기기(100)의 다양한 기능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여, 단말 기기에 대한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180)는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180)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모뎀 프로세서가 통합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 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처리한다.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합니다.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180)에 통합되지 않을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단말 기기(100)는 각각의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하는(배터리와 같은) 전원(190)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원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180)와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한 충전 관리, 방전 관리, 전력 소비 관리 등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방안은 이동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이중(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분할 이중(Time Division Duplex, TDD),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마이크로파 액세스를 위한 전 세계 상호 운용성(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시스템, 미래의 5세대(5th Generation, 5G) 시스템 또는 새로운 무선(New Radio, NR)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단말 기기(100)는 카메라, 블루투스 모듈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세부사항을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다양한 구현은 다른 기술적 효과를 얻기 위해 임의로 조합될 수 있다.
이상의 구현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당업자는 본 출원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전술한 기능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거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 내의 하나 이상의 명령어 또는 코드로서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포함하고, 통신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전송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액세스할 수 있는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다음은 예를 제공하지만 제한을 두지는 않는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다른 자기 저장 기기를 포함할 수 있거나,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의 예상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실어 전달하거나 저장할 수 있고 컴퓨터가 액세스할 수 있는 기타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연결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로 적절하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케이블, 트위스트 페어(twisted pair),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을 사용하여, 웹 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전송되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은 그들이 속한 매체의 고정에 포함된다. 본 출원에 의해 사용되는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로는 컴팩트 디스크(compact disc, CD), 레이저 디스크, 광 디스크,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 DVD), 플로피 디스크 및 블루레이(Blu-ray) 디스크를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disk는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복제하고, disc는 레이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복사한다. 전술한 조합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요약하면,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단지 본 출원의 기술적 방안의 실시예일 뿐이며, 본 출원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출원의 개시 내용에 따라 이루어진 모든 수정, 동등한 대체, 개선 등은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Claims (12)

  1.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를 검색하는 방법으로서,
    단말 기기가 미리 설정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미리 설정된 정보는 PLMN 정보 및 상기 PLMN 정보와 연관된 네트워킹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킹 모드는 독립형 SA 모드 및 비 독립형 NSA 모드를 포함함 -;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PLMN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기기가 획득된 PLMN 정보 및 상기 미리 설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된 PLMN 정보와 연관된 네트워킹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 파라미터가 제1 임계 값보다 큰 경우, 상기 획득된 PLMN 정보와 연관된 네트워킹 모드를 SA로 전환하며, 상기 획득된 PLMN 정보와 연관된 네트워킹 모드는 NSA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는 5G 액세스 네트워크의 파라미터: 신호 품질, 신호 강도, 전송률, 네트워크 등록 성공률 및 패킷 손실률 중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2 파라미터가 제1 임계 값보다 큰 경우, 상기 획득된 PLMN 정보와 연관된 네트워킹 모드를 NSA로 전환하며, 상기 획득된 PLMN 정보와 연관된 네트워킹 모드는 SA인,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라미터는 4G 액세스 네트워크의 파라미터: 신호 품질, 신호 강도, 전송률, 네트워크 등록 성공률 및 패킷 손실률 중 하나 이상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시스템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시스템 메시지는 필드 IE upper layer indication-R15를 포함함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획득된 PLMN 정보와 연관된 네트워킹 모드를 SA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지리적 위치에 기초한 검색을 하여,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통해 상기 PLMN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 또는 서버에 저장되는, 방법.
  9. 단말 기기로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 매체는 명령어를 저장하고, 상기 명령어는 상기 단말 기기가,
    미리 설정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미리 설정된 정보는 PLMN 정보 및 상기 PLMN 정보와 연관된 네트워킹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킹 모드는 독립형 SA 모드 및 비 독립형 NSA 모드를 포함함 -;
    상기 PLMN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PLMN 정보 및 상기 미리 설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된 PLMN 정보와 연관된 네트워킹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단말 기기.
  10.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전자 기기에서 실행될 때, 상기 전자 기기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1.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가 전자 기기에서 실행될 때, 상기 전자 기기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12. 칩으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가 상기 칩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제1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칩.
KR1020207037850A 2018-07-13 2018-07-13 Nsa 및 sa 네트워킹 모드 선택 방법 및 단말 기기 KR1024241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8/095534 WO2020010595A1 (zh) 2018-07-13 2018-07-13 一种选择nsa和sa组网方式的方法和终端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693A true KR20210014693A (ko) 2021-02-09
KR102424190B1 KR102424190B1 (ko) 2022-07-21

Family

ID=69142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7850A KR102424190B1 (ko) 2018-07-13 2018-07-13 Nsa 및 sa 네트워킹 모드 선택 방법 및 단말 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570701B2 (ko)
EP (1) EP3793264A4 (ko)
KR (1) KR102424190B1 (ko)
CN (1) CN112400343B (ko)
AU (1) AU2018432066B2 (ko)
CA (1) CA3103580A1 (ko)
WO (1) WO20200105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58990B (zh) * 2018-08-22 2021-04-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重选的方法及装置
US11659474B2 (en) 2019-03-27 2023-05-23 T-Mobile Usa, Inc. Intelligent selection between singular and dual connectivity
CN112039831B (zh) * 2020-03-10 2023-05-12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语音呼叫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N113411867A (zh) * 2020-03-17 2021-09-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非独立组网接入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405627A (zh) * 2020-03-20 2020-07-10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移动终端的网络切换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11368896B2 (en) 2020-05-01 2022-06-21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Flexible distributed antenna array
US11432183B1 (en) * 2020-05-29 2022-08-30 Sprint Spectrum L.P. Suppression of carrier-aggregation service by first access node in response to backhaul constraint of second access node
CN113973313B (zh) * 2020-07-06 2024-04-09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移动性管理方法及设备
CN112087771A (zh) * 2020-09-15 2020-12-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通信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105073B (zh) * 2020-09-21 2023-02-03 四川爱联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基站自适应方式实现5g网络制式切换的方法
CN112203340B (zh) * 2020-10-09 2023-08-01 高新兴物联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移动终端在nsa网络中优先驻留锚点小区的方法和装置
CN113765874B (zh) * 2020-11-09 2023-12-05 北京沃东天骏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5g移动通信技术的专网及双模式组网方法
WO2022103008A1 (ko) * 2020-11-13 2022-05-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노드를 검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N112688713B (zh) * 2020-12-07 2022-08-16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目标网络制式的确定方法、终端及计算机存储介质
CN112929297B (zh) * 2021-01-21 2023-12-2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资源分配方法、资源分配装置及存储介质
CN115087049A (zh) * 2021-03-10 2022-09-20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网络切换方法、装置、终端设备和存储介质
CN113133089B (zh) * 2021-04-28 2022-06-17 荣耀终端有限公司 手动搜网的方法及相关装置
CN115314959A (zh) * 2021-05-08 2022-11-08 广州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用于电子终端的网络模式设置方法及设备
CN113891416A (zh) * 2021-10-20 2022-01-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小区接入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计算机程序
US20230156547A1 (en) * 2021-11-15 2023-05-1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witching between a defined generation of stand alone and non-stand alone wireless deployment based on determined service requirements, network capabilities, and user equipment capabilities
CN114416204B (zh) * 2022-01-19 2023-10-03 上海龙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终端设备读取plmn配置文件的方法与设备
CN116017411B (zh) * 2022-12-16 2024-03-01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终端识别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8976A1 (en) * 2014-01-17 2015-07-23 Qualcomm Incorporated Optimizing background public land mobile network searche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64688B1 (en) * 2011-07-01 2023-07-1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local ip access, lipa, mobility
US8868110B2 (en) * 2011-11-21 2014-10-21 Broadcom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efficient network search
CN105592525A (zh) 2014-10-24 2016-05-18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漫游场景下终端设备开机搜网的方法、装置及系统
CN106714270B (zh) 2015-07-14 2020-10-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业务传输的方法、终端及网络设备
CN108024314B (zh) 2016-11-03 2021-07-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选择网络的方法及装置
CN112333782B (zh) 2016-11-04 2022-02-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小区重选方法及装置
US11071073B2 (en) * 2017-04-14 2021-07-20 Qualcomm Incorporated Radio synchronization configuration in different operation modes
CN108112055A (zh) * 2017-12-19 2018-06-0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Apn获取方法、移动终端、网络端及存储介质
CN111247839B (zh) * 2018-06-06 2021-06-08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装置
CN110430610B (zh) 2019-06-28 2021-02-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组网模式切换方法、装置及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8976A1 (en) * 2014-01-17 2015-07-23 Qualcomm Incorporated Optimizing background public land mobile network search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70697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400343B (zh) 2022-01-14
KR102424190B1 (ko) 2022-07-21
CN112400343A (zh) 2021-02-23
AU2018432066A1 (en) 2021-01-07
WO2020010595A1 (zh) 2020-01-16
US20210282077A1 (en) 2021-09-09
AU2018432066B2 (en) 2022-06-02
CA3103580A1 (en) 2020-01-16
EP3793264A1 (en) 2021-03-17
EP3793264A4 (en) 2021-07-14
US11570701B2 (en) 202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4190B1 (ko) Nsa 및 sa 네트워킹 모드 선택 방법 및 단말 기기
WO2018166234A1 (zh) 一种搜网方法及装置
CN112188577A (zh) 小区驻留方法、装置、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20092366A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 및 장치
JP7200312B2 (ja) ホットスポット接続を確立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端末デバイス
CN103475996A (zh) 网络连接方法、网络共享方法及装置
CN106961676B (zh) 一种搜网方法、装置及介质
CN111132270A (zh) 快速搜索高制式网络的方法和终端设备
CN103501482A (zh) 网络接入方法、装置及终端
CN108235828A (zh) 一种终端设备的搜网显示的方法、装置和终端设备
CN105704700A (zh) 通信网络接入方法和装置
CN106961710B (zh) 一种网络接入方法及终端
CN108112028B (zh) 一种国际漫游的网络搜索方法及设备
US2013004570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 emergency call in a portable terminal
CN105898839A (zh) 通信网络接入方法和装置
CN110351702B (zh) 系统信息区域确定方法、指示方法、终端及网络设备
CN111988867B (zh) 无线资源控制受限的通信方法及终端设备
CN105704788A (zh) 通信网络接入方法和用户设备
CN105744600A (zh) 通信网络接入方法和用户设备
CN105657792A (zh) 通信网络接入方法和装置
CN105744602B (zh) 通信网络接入方法和装置
CN111372299B (zh) 一种搜网列表生成方法、搜网方法及相应装置
US11483677B2 (en) Information push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CN106454799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装置
CN108770043B (zh) 网络标记方法、装置、可读存储介质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