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4161A - 블래더가 구비된 신발류 밑창 구조 - Google Patents

블래더가 구비된 신발류 밑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4161A
KR20210014161A KR1020207037869A KR20207037869A KR20210014161A KR 20210014161 A KR20210014161 A KR 20210014161A KR 1020207037869 A KR1020207037869 A KR 1020207037869A KR 20207037869 A KR20207037869 A KR 20207037869A KR 20210014161 A KR20210014161 A KR 20210014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plate
polymer
bladder
layer
midsol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7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2834B1 (ko
Inventor
제이슨 알 미커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to KR1020227041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930B1/ko
Publication of KR20210014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4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4Plastics, rubber or vulcanised fibr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23Profil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by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42Filling materials located between the insole and outer sole; Stiffening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43B3/0052X-shaped or cross-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6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 A43C15/161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to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25/00Devices for gluing shoe par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밑창 구조는 제1 리세스가 마련된 하면을 갖는 중창 층을 포함하며, 제1 리세스의 외주가 상기 중창 층의 외주의 내측으로 이격되어 있다. 밑창 구조는 상기 중창 층의 상기 외주 및 상기 제1 리세스의 외주 사이에 주변 접합 영역을 포함한다. 밑창 플레이트는 제2 리세스가 마련된 상면을 구비하며, 제2 리세스는 제1 리세스와 함께 상기 밑창 플레이트 및 상기 중창 층 사이에 캐비티를 형성한다.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상면은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외주 및 상기 제2 리세스의 외주 사이에 주변 접합 영역을 갖는다. 블래더가 상기 캐비티 내에 안착하는데, 그 윤곽 형성된 상면이 상기 중창 층의 상기 주변 접합 영역의 내측에 있고, 윤곽 형성된 하면이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상기 주변 접합 영역의 내측에 있다. 상기 밑창 구조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블래더가 구비된 신발류 밑창 구조
본 출원은 2019년 5월 30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가출원 번호 제62/678,251호의 우선권 이익을 주장하며, 상기 가출원은 그 전체가 본원에 참고로 통합된다.
본 교시는 전체적으로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신발류는 통상, 착용자의 발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착용자의 발을 지면으로부터 멀리 이격시키도록 구성된 밑창 구조를 포함한다. 밑창 구조는 통상, 쿠션효과, 움직임 제어 및 탄력성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밑창 구조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밑창 구조의 개락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밑창 구조의 개략적인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밑창 구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밑창 구조에 포함된 폴리머 블래더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폴리머 블래더의 개략적인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7-7 선을 따라 취한 도 5의 폴리머 블래더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폴리머 블래더의 개략적인 안쪽 측면도(medial side view)이다.
도 9는 도 2의 9-9 선을 따라 취한 도 2의 밑창 구조의 전족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2의 10-10 선을 따라 취한 도 2의 밑창 구조의 뒤꿈치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
도 11은 대안의 밑창 구조의 전족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밑창 구조의 뒤꿈치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팽창된 블래더는 원하는 쿠션특성, 응답성, 및/또는 움직임 제어를 제공하기 위하여, 그 외주 근처에 윤곽 형성된 표면(contoured surface)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윤곽 형성된 표면에의 접합은 비교적 평탄한 표면에의 접합보다 더 큰 제조 과제를 제시한다. 본원에서 제공하는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는 서로 감합되는 블래더, 중창 층 및 밑창 플레이트(sole plate)를 구비하며, 이들은 상기 중창 및 상기 밑창 플레이트 사이에 블래더를 포획하도록 함께 적층되어, 상기 블래더의 외주 부근에서 블래더의 윤곽 형성된 표면도 수용하면서 상기 밑창 구조의 주변에서 확실한 접합을 달성한다. 또한, 상기 밑창 구조는 그 밑창 구조의 상이한 영역에 상이한 쿠션효과 특성이 제공되는 단계식 쿠션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는 중창 층, 밑창 플레이트, 및 폴리머 블래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창 층은, 제1 리세스 그리고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외주 및 제1 리세스의 외주 사이에 주변 접합 영역이 마련된 하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리세스의 외주는 상기 중창 층의 외주의 내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밑창 플레이트는 상기 중창 층의 상기 제1 리세스와의 사이에 배치된 제2 리세스가 마련된 상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리세스 및 상기 제2 리세스는 함께, 상기 밑창 플레이트 및 상기 중창 사이에 캐비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상기 상면은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외주 및 상기 제2 리세스의 외주 사이에 주변 접합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윤곽 형성된 상면이 상기 중창 층의 상기 주변 접합 영역의 내측에 있고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윤곽 형성된 하면이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상기 주변 접합 영역의 내측에 있는 상태로, 상기 폴리머 블래더가 상기 중창 층 및 상기 밑창 플레이트 사이의 상기 캐비티 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중창 층 및 상기 밑창 플레이트는, 상기 윤곽 형성된 상면 및 하면의 외측에 접합 영역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블래더가 상기 리세스 내에 안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접합 영역 근처의 상기 윤곽 형성된 표면의 확실한 접합 및 원하는 쿠션 특성이 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접합은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주변 플랜지에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폴리머 블래더는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주변 플랜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주변 플랜지는 상기 중창 층의 상기 주변 접합 영역 및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상기 주변 접합 영역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창 층의 상기 주변 접합 영역은 상기 주변 플랜지의 상측에 접합될 수 있고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상기 주변 접합 영역은 상기 주변 플랜지의 하측에 접합될 수 있다. 별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중창 층의 상기 주변 접합 영역은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상기 주변 접합 영역에 접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체 폴리머 블래더는,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외측의 상기 접합 영역에서 상기 중창 층 및 상기 밑창 플레이트가 서로 접촉한 채, 상기 주변 접합 영역 내측에 있을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상기 중창 층 및 상기 밑창 플레이트는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상면 및 하면과 각각 서로 감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상기 윤곽 형성된 상면은 상기 제1 리세스에서 상기 중창 층의 상기 하면과 계합될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상기 윤곽 형성된 하면은 상기 제2 리세스에서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상기 상면과 계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서 그리고 상기 밑창 구조의 상기 구성요소를 형성하는 데에 이용되는 제조 공정의 치수 공차 범위 내에서,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상기 윤곽 형성된 상면의 표면 프로파일은, 표면이 일치하도록 상기 제1 리세스에서 상기 중창 층의 상기 하면의 표면 프로파일과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유사하게,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상기 윤곽 형성된 하면의 표면 프로파일은, 표면이 일치하도록 상기 제2 리세스에서 밑창 플레이트의 상기 상면의 표면 프로파일과 동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상기 윤곽 형성된 상면은 복수 개의 둥근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중창 층의 상기 하면은 상기 복수 개의 둥근 돌출부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둥근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동일한 실시예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상기 윤곽 형성된 하면은 복수 개의 돔형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상기 상면은 상기 복수 개의 돔형부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둥근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 블래더는 서로 접합되어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를 둘러싸는 상부 폴리머 시트 및 하부 폴리머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인장 구성요소가 상기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인장 구성요소는 상기 상부 폴리머 시트에 고정된 제1 인장층, 제2 인장층, 및 상기 제1 인장층을 상기 제2 인장층에 연결하는 복수 개의 테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폴리머 시트는 복수 개의 하부 접합부에서 상기 제2 인장층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하부 폴리머 시트는 상기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 내의 유체에 의해, 상기 하부 접합부 중 적어도 일부 하부 접합부 사이의 상기 제2 인장층으로부터 변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하부 접합부가 폐쇄 형태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폐쇄 형태에 의해 에워싸인 상기 하부 폴리머 시트 부분은 접합되지 않고(즉, 상기 제2 인장층에 접합되지 않고), 따라서 상기 유체에 의해 상기 제2 인장층으로부터 변위되어, 돔형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상면에서 상기 윤곽의 대부분은 안쪽측(medial side) 및 바깥쪽측(lateral side)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상기 하면의 대부분은 상기 돔형부 때문에 윤곽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상기 하면은 그 전체에 걸쳐 돔형 표면을 구비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상부 접합부가 상기 상부 폴리머 시트를 상기 제1 인장층에 결합한다. 상기 상부 폴리머 시트는, 상기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 내의 유체에 의해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안쪽측을 따라 상기 상부 접합부 사이의 상기 제1 인장층으로부터 변위되어, 상기 안쪽측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 개의 둥근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폴리머 시트는 또한, 상기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 내의 유체에 의해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바깥쪽측을 따라 상기 상부 접합부 사이의 상기 제1 인장층으로부터 변위되어, 상기 바깥쪽측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 개의 둥근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폴리머 시트는 상기 바깥쪽측을 따른 상기 둥근 돌출부와 상기 안쪽측을 따른 상기 둥근 돌출부 사이에서 상기 제1 인장층에 고정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제1 인장층에 고정되는 영역에서 돌출부 또는 돔형 표면을 형성하지 않는다. 상기 바깥쪽측 및 안쪽측을 따른 상기 둥근 돌출부 사이에서, 상기 폴리머 블래더는 비교적 평탄할 수 있다.
상기 중창 층은 상기 상부 폴리머 시트의 특정의 윤곽 형성된 형태와 서로 감합하는 상보적인 방식으로(즉, 상보적인 기하 형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밑창 플레이트는 상기 하부 폴리머 시트의 특정의 윤곽 형성된 형태와 서로 감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중창 층의 하면은 폴리머 블래더의 안쪽측 및 바깥쪽측을 따른 상기 상부 폴리머 시트의 복수 개의 둥근 돌출부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둥근 오목부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중창 층의 하면은 폴리머 블래더의 윤곽 형성된 상면에 대해 동일 평면으로 감합한다.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상기 윤곽 형성된 하면은, 상기 하부 폴리머 시트가 상기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 내의 유체에 의해 상기 제2 인장층으로부터 변위되는 곳인 복수 개의 돔형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상기 상면은 상기 복수 개의 돔형부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둥근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어,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상기 상면은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상기 윤곽 형성된 하면에 대해 동일 평면으로 계합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상기 중창 층은 상기 폴리머 블래더 위의 상기 중창 층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관통홀을 형성한다. 이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폴리머 블래더를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에서 상기 밑창 구조 상에 안착하는 착용자의 발의 일부에 의해 받아들여지는 쿠션효과는 일차적으로 상기 폴리머 블래더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관통홀로부터 멀리 있는 밑창 구조 상에 안착하는 착용자의 발의 일부에 의해 받아들여지는 쿠션효과는 상기 중창 및 이 중창 아래의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조합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데, 이들 두 구성요소가 착용자의 발의 그 부분 아래에서 수직으로 적층되기 때문이다.
상기 밑창 플레이트는 다양한 특성 및 특징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밑창 플레이트는 압축 강성 및 굽힘 강성에 있어서 상기 중창 층 및 상기 블래더보다 강성일 수 있다. 상기 밑창 플레이트는 밑창 플레이트의 외면에서 블래더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일체형의 클리트 장착 피처(cleat mounting feature)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클리트 장착 피처는 중앙에 구멍이 있는 하향 연장 돌출부일 수 있고, 중앙의 구멍은 각각 클리트를 수용 및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밑창 플레이트는 전족 영역, 중족 영역, 및 뒤꿈치 영역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밑창 구조는,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일부로서 일체로 형성되거나 그 플레이트에 고정된 포크형 강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크형 강화 플레이트는 중앙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중앙부는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중족 영역에 있을 수 있다. 상기 포크형 강화 플레이트는 상기 중앙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방 안쪽 아암(forward medial arm) 및 전방 바깥쪽 아암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포크형 강화 플레이트는 상기 중앙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방 안쪽 아암 및 후방 바깥쪽 아암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방 안쪽 아암 및 상기 후방 안쪽 아암은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안쪽측과 접할 수 있고, 상기 전방 바깥쪽 아암 및 상기 후방 바깥쪽 아암은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바깥쪽측과 접할 수 있다. 상기 포크형 강화 플레이트는, 상기 포크형 강화 플레이트가 연장되는 영역에서 상기 밑창 구조의 두께 및 상기 밑창 구조의 굽힘 강성을 증대시킨다. 상기 바깥쪽측 및 상기 안쪽측을 따라 연장됨으로써, 지지가 증대되어, 예컨대 횡방향(즉, 옆으로의) 이동으로 인한, 이들 영역에서의 힘에 대해 반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포크형 강화 플레이트의 상기 아암은 대체로, 상기 블래더의 하면의 안쪽측 및 바깥쪽측에서 돔형부를 구비하는 폴리머 블래더의 부분에 대응하고 그 부분 아래에 있다. 상기 돔형부의 추가의 쿠션효과 및 상기 포크형 강화 플레이트의 추가의 지지는 횡방향 이동 중에 편안함 및 지지를 제공한다.
상기 포크형 강화 플레이트의 상기 아암은 상기 클리트 장착 피처를 갖고 있는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부분들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밑창 플레이트는, 상기 밑창 플레이트에 전달되는 상기 클리트 상의 힘으로 인해 비교적 큰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는 영역에서 강화된다.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를 제조하는 방법은 중창 층의 하면의 제1 리세스 및 밑창 플레이트의 상면의 제2 리세스에 의해 형성되는 캐비티 내에 폴리머 블래더가 안착하도록, 밑창 플레이트, 폴리머 블래더, 및 중창 층을 적층하는 것을 포함한다. 적층되었을 때,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윤곽 형성된 상면이 상기 중창 층의 주변 접합 영역의 내측에 있고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윤곽 형성된 하면이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주변 접합 영역의 내측에 있다. 상기 폴리머 블래더는 밀봉된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를 형성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중창 층의 상기 주변 접합 영역에서 상기 밑창 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중창 층을 고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상기 중창 층은 상기 밑창 플레이트에 직접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서, 상기 밑창 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중창 층을 고정하는 것은 상기 중창 층의 상기 주변 접합 영역을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상기 주변 접합 영역에 접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머 블래더는 전체가 상기 주변 접합 영역의 내측에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중창 층은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주변 플랜지에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머 블래더는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워싸는 주변 플랜지를 포함한다. 상기 밑창 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중창 층을 고정하는 것은 상기 중창 층의 상기 주변 접합 영역을 상기 주변 플랜지의 상측에 접합하고,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상기 주변 접합 영역을 상기 주변 플랜지의 하측에 접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밑창 플레이트, 상기 폴리머 블래더, 및 상기 중창 층을 적층하기 전에,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상기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를 팽창시키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창 층의 상기 하면 및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상기 상면은 윤곽 형성된 표면이 있는 상기 팽창된 폴리머 블래더에 정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방법은 포크형 강화 플레이트를 상기 밑창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크형 강화 플레이트는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상기 상면에 고정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상기 밑창 플레이트 및 상기 폴리머 블래더 사이에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포크형 강화 플레이트는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포크형 강화 플레이트에는 상기 밑창 플레이트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창 층, 상기 폴리머 블래더, 및 상기 밑창 플레이트는 이미 성형되어 적층 준비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중창 층, 상기 폴리머 블래더, 또는 상기 밑창 플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방법은 상기 밑창 플레이트, 상기 폴리머 블래더, 및 상기 중창 층을 적층하기 전에, 상기 중창 층의 하면에 상기 제1 리세스, 및 상기 중창 층이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상기 윤곽 형성된 상면의 복수 개의 둥근 돌출부와 계합하도록 구성되는 복수 개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밑창 플레이트, 상기 폴리머 블래더, 및 상기 중창 층을 적층하기 전에,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상면에 상기 제2 리세스, 및 상기 밑창 플레이트가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상기 윤곽 형성된 하면의 복수 개의 돔형부와 계합하도록 구성되는 복수 개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밑창 플레이트, 상기 폴리머 블래더, 및 상기 중창 층을 적층하기 전에, 제1 인장층, 제2 인장층 및 상기 제1 인장층을 상기 제2 인장층에 연결하는 복수의 테더를 포함하는 인장 구성요소를 상부 폴리머 시트 및 하부 폴리머 시트 사이에 배치하여 상기 폴리머 블래더를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 블래더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하부 폴리머 시트를 상기 인장 구성요소 둘레의 상기 상부 폴리머 시트에 그리고 복수 개의 접합부에서 상기 제2 인장층에 접합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폴리머 시트는 상기 제2 인장층에 접합되어 있지 않고, 상기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가 팽창되면, 상기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 내의 유체에 의해 상기 접합부 중 적어도 일부의 접합부에 인접하는 상기 제2 인장층으로부터 변위될 수 있다.
상기 본 교시의 특징 및 이점 그리고 기타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본 교시를 실행하기 위한 모드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쉽게 명확해진다.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참조부호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신발류 물품(11)용 밑창 구조(10)를 나타낸다. 밑창 구조(10)는 중창 층(12), 폴리머 블래더(14)[블래더(14)라고도 함](예컨대, 도 7 참조), 밑창 플레이트(16)를 포함하며, 이들은 도 9 내지 도 12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고 이하에서 논의하는 바와 같이, 서로 감합하여 함께 적층되어, 중창 층(12) 및 밑창 플레이트(16) 사이에 폴리머 블래더(14)를 포획한다. 밑창 구조(10)는, 밑창 플레이트(16)에 고정되거나 밑창 플레이트(16)의 일부로서 일체 형성되는 포크형 강화 플레이트(19)를 포함할 수 있다. 중창 층(12)은, 밑창 구조(10)가 발과 지면 사이에 배치된 채, 밑창 구조(10)가 신발류 갑피(23)(도 1에서 허상으로 도시)의 하부 범위에 고정되는 경우 발이 지지되는 발 수용면 역할을 하는 상면(18)을 갖고 있다.
밑창 구조(10)는 전족 영역(22), 중족 영역(24), 및 뒤꿈치 영역(26)을 갖고 있다. 전족 영역(22)은 일반적으로, 중족골을 지골과 연결하는 관절 및 발가락과 관련되어 있을 수 있다. 중족 영역(24)은 일반적으로, 발의 아치와 관련되어 있을 수 있다. 뒤꿈치 영역(26)은 일반적으로, 종골뼈를 포함하는 발의 뒤꿈치와 관련되어 있을 수 있다. 밑창 구조(10)는 바깥쪽측(28) 및 안쪽측(30)을 갖고 있다. 특히, 바깥쪽측(28) 및 안쪽측(30)은 밑창 구조(10)은 대향하는 측부이고, 전족 영역(22), 중족 영역(24), 및 뒤꿈치 영역(26)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밑창 구조(10)는 야구와 같은 운동 활동에 사용하기 위한 운동화용이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신발류 물품(11)은 정장 구두, 작업화, 샌들, 슬리퍼, 부츠 또는 기타 임의의 카테고리의 신발류일 수 있다.
중창 층(12)은 쿠션효과를 제공하고 탄성적으로 변형하여 에너지 반환을 제공하는 탄성 폼 층(resilient foam layer)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중창 층(12)은 폴리우레탄 폼, 폴리우레탄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VA) 폼, 열팽창되어 성형된 EVA 폼 펠릿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중창 층(12)의 전족 영역(22)에서 중창 층(12)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관통홀(34)을 통해, 폴리머 블래더(14)의 상면(32)의 일부만이 보인다.
도 7을 참조하면, 폴리머 블래더(14)는 상부 폴리머 시트(36) 및 하부 폴리머 시트(38)를 포함하며, 이들 시트는 주변 플랜지(41)를 따라 주변 접합부(40)에서 서로 접합되어 내부 캐비티(42)를 봉입한다. 주변 플랜지(41)는 폴리머 블래더(14)의 외주(43)를 형성하고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fluid-filled interior cavity)(42)를 주변에서 에워싼다. 상기 시트(36, 38)가 예컨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팽창 포트(inflation port)(44)를 밀봉함으로써, 주변 접합부(40)에서 함께 접합되어 함께 밀봉되면, 상부 폴리머 시트(36) 및 하부 폴리머 시트(38)는 내부 캐비티(42) 내에 유체를 유지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내부 캐비티(42)를 충전하는 유체는 공기, 질소와 같은 가스, 다른 가스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폴리머 시트(36, 38)는 질소, 공기, 다른 가스와 같은 유체를 탄성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각종의 폴리머 재료일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폴리머 시트(36, 38)용 폴리머 재료로서 열가소성 우레탄,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상부 및 하부 폴리머 시트(36, 38)는 각각 폴리머 재료를 포함하는 상이한 재료의 층들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부 및 하부 폴리머 시트(36, 38) 각각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전체가 합체되는 Bonk 등의 미국 특허 제6,082,025호 및 제6,127,02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가스 배리어 재료 및 엘라스토머 재료의 교호 층들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마이크로층 멤브레인과 같이, 내부에 함유된 가압 유체에 대해 불투과성인 에틸렌 및 비닐 알코올 공중합체(EVOH)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배리어 층이 구비된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층을 갖는 박막으로 형성된다. 별법으로서, 상기 층들은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및 상기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리그라인드 재료(regrind material)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폴리머 시트(36, 38)에 대해 적절한 추가의 재료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전체가 합체되는 Rudy의 미국 특허 제4,183,156호 및 제4,219,945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부 및 하부 폴리머 시트(36, 38)에 대해 적절한 추가의 재료는 Rudy의 미국 특허 제4,936,029호 및 제5,042,176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결정 재료 함유 열가소성 필름, Bonk 등의 미국 특허 제6,013,340호, 제6,203,868호, 및 제6,321,465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며, 이들 특허는 모두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합체된다. 블래더(14)용 재료를 선택할 때, 인장 강도, 연신 성질, 피로 특성, 동적 계수, 손실 탄젠트(loss tangent)와 같은 공학 성질들을 고려할 수 있다. 예컨대, 블래더(14)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부 및 하부 폴리머 시트(36, 38)의 두께는 이들 특성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도 7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래더(14)는 내부 캐비티(42) 내에 배치된 인장 구성요소(46)를 포함한다. 인장 구성요소(46)는 제1 인장층(48), 제2 인장층(50), 및 제1 인장층(48)부터 제2 인장층(50)까지 내부 캐비티(42)에 걸친 복수 개의 테더(52)를 포함한다. 테더(52)는 제1 인장층(48)을 제2 인장층(50)에 연결한다. 도 7에서 테더(52) 중 일부만 참조 번호로 나타내고 있다. 테더(52)는 패브릭 인장 부재 또는 스레드라고도 지칭할 수 있고, 제1 인장층(48)을 제2 인장층(50)에 연결하는 드랍 스레드의 형태일 수 있다. 인장 구성요소(46)는 스페이서 니트 텍스타일(spacer-knit textile)을 갖는 단일편의 텍스타일 요소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제1 인장층(48) 및 제2 인장층(50)은 내부 캐비티(42) 내의 상기 가스에 대해 투과성인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내부 캐비티(42)는 제1 인장층(48) 및 제2 인장층(50)을 통해, 테더(52) 사이 및 그 둘레에서, 상부 폴리머 시트(36)의 내표면으로부터 하부 폴리머 시트(38)의 내표면까지 연장된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부 폴리머 시트(36)는, 상부 폴리머 시트(36)를 제1 인장층(48)에 대해 힘을 가하는, 고주파수 용접, 열성형 또는 기타 성형 공정에 사용되는 몰드의 돌출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접합부(54)에서 제1 인장층(48)의 상면에 접합된다. 접합부(54)는 내부 캐비티(42) 내부로 내측으로 돌출하고, 상부 폴리머 시트(36)를 약간 변형시켜 홈(56)을 형성한다. 상기 내향 돌출 접합부(54)와 정렬되는 (즉, 그 접합부 바로 아래에서) 테더(52)는 열에 의해, 제1 인장층(48)의 재료의 오버레이의 압축에 의해 및/또는 테더(52)를 코팅하는 제1 인장층(48)의 오버레이 재료에 의해 변형되어, 테더(52)는 기타 장소에서보다 상기 내향 돌출 접합부(54)에서 더 짧거나 더 두껍거나 더 짧고 및 더 두껍다. 이러한 테더는 도 7에서 도면 부호 52A로 나타내고 있으며, 변형 테더(modified tether)라 지칭할 수 있다. 그러나, 본원에서, 달리 특정하지 않는다면, 테더(52)는 테더(52) 및 테더(52A)를 포함한다.
내부 캐비티(42)가 팽창되면, 변형 테더(52A)는 블래더(14)의 상면(32)에 상기 우묵한 홈(56)을 야기한다. 접합부(54) 및 홈(56)은 도 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일 수 있는 또는 원형, 타원형 등일 수 있는 폐쇄된 형태를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홈(56)은 블래더(14)의 전체 두께가 홈(56)에서 감소함에 따라, 블래더(14)의 관절성을 촉진하여, 굽힘 강성을 저하시킨다. 접합부(54) 및 결과적으로 생기는 홈(56)의 패턴은, 홈(56)이 중족골 지관절(metatarsal phalangeal joints) 하에서와 같이, 굴곡이 희망되는 굴곡축을 제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서, 도 5의 명확성을 위해 접합부(54)의 일부에 대해서만 참조부호를 붙이고 있다. 제1 인장층(48)의 상부 폴리머 시트(36)에의 접합이 희망되지 않는, 제1 인장층(48)의 외표면 및/또는 상부 폴리머 시트(36)의 내표면의 선택된 영역에 내용접(anti-weld) 재료를 적용한다. 도 5에 도시한 위치에 둥근 돌출부(60)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내용접 재료를 제1 인장층(48) 및/또는 상부 폴리머 시트(36)의 주위를 따라서만 적용하는데, 이 주위에서 내용접 재료는 최외측의 상기 폐쇄된 형태의 접합부(54) 사이의 부분에서 상기 안쪽측 및 바깥쪽측을 따라 그리고 뒤꿈치 영역(26)의 후방 둘레에서 상기 주위 위에 놓인다. 상부 폴리머 시트(36)는 이들 부분에서 상기 제1 인장층에 접합되지 않고,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42) 내의 유체에 의해 접합부(54)에 인접한 제1 인장층(48)으로부터 폴리머 블래더(14)의 안쪽측(28)을 따라 변위되어, 상부 폴리머 시트(36)가 제1 인장층(48)으로부터 변위되는 안쪽측(30)을 따라, 그리고 폴리머 블래더(14)의 바깥쪽측(28)을 따라 또한 뒤꿈치 영역(26)의 후방 둘레에 복수 개의 둥근 돌출부(60)를 형성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합부(54)에 의해 형성된 가장 전방 열의 폐쇄 형태 사이의 상부 폴리머 시트(36) 부분이 표면 접합부(55)에서 제1 인장층(48)에 접합되어, 접합부(54)에 의해 형성된 폐쇄 형태 사이의 부분이 되고, 이는 바깥쪽측(30)을 따른 둥근 돌출부(60)와 안쪽측(28)을 따른 둥근 돌출부(60) 사이에 위치한다[도 5에서 상면(32)을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도 5에서 일부의 표면 접합부(55)에만 참조부호를 부여하였지만, 둥근 돌출부(60)로서 참조부호를 붙이지 않은 모든 폐쇄 형태의 부분은 표면 접합부(55)를 갖고 있다. 따라서, 상부 폴리머 시트(36)는 이들 영역에서 제1 인장층(48)으로부터 변위되지 않고, 따라서 이들 영역에서 돌출부 또는 돔형 표면을 형성하지 않는다. 달리 말하면, 상부 폴리머 시트(36)는, 바깥쪽측 및 안쪽측(28, 30)을 따라 그리고 뒤꿈치 영역(26)의 후방 둘레에 둥근 돌출부(60)를 구비한 윤곽 형성된 상면(32)을 갖고 있다. 상기 내용접 재료의 부존재로 인해, 상부 폴리머 시트(36)는, 상면(32)을 가로질러 둥근 돌출부(60) 사이에 비교적 평탄한 공간(expanse)를 구비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내용접 재료는 접합이 요구되지 않는 선택된 영역에서 제2 인장층(50)의 외표면 및/또는 하부 폴리머 시트(38)의 내표면에도 적용된다. 상기 내용접 재료는, 상부 폴리머 시트(36) 상에서와 동일한 영역 내의 접합부(54) 사이의 부분에서[즉, 안쪽측(30), 바깥쪽측(28)을 따라 그리고 뒤꿈치 영역(26)의 후방 둘레의 주위에서의 최외측 폐쇄 형태에서], 또한 뒤꿈치 영역(26) 내의 보다 내측에 배치된 폐쇄 형태에서 및 중족 영역(24)의 어느 정도 후방에서의 접합부(54) 사이의 부분에서 적용된다. 블래더(14)가 팽창되면, 둥근 돌출부(60)와 유사한 돔형부(61)가 형성된다. 본원에서, "돔형"은 둥근 것을 의미하고, 반구형일 필요는 없다.
접합부(54)에 의해 형성된 최전방 열의 폐쇄 형태 사이의 하부 폴리머 시트(38)의 부분이 표면 접합부(55)에서 제2 인장층(50)에 접합되어, 접합부(54)에 의해 형성된 폐쇄 형태 사이의 부분이 되고, 이는 전족 영역(22) 및 중족 영역(24)의 어느 정도 전방에서 바깥쪽측(28)을 따른 돔형부(61)와 안쪽측(30)을 따른 돔형부(61) 사이에 위치한다[도 6에서 블래더(14)의 하면(62)을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도 6에서 일부의 표면 접합부(55)에만 참조부호를 부여하였지만, 표면 접합부(55)는 돔형부(61)로서 참조부호를 붙이지 않은 모든 폐쇄 형태에 있다. 따라서, 하부 폴리머 시트(38)는 표면 접합부(55)를 구비하는 이들 영역에서 제2 인장층(50)으로부터 변위되지 않고, 따라서 이들 영역에서 돌출부 또는 돔형 표면을 형성하지 않는다. 달리 말하면, 하부 폴리머 시트(40)는, 전족 영역(22) 내의 비교적 평탄한 공간을 제외하고 그리고 상기 바깥쪽측 및 안쪽측(28, 30)의 돔형부(61) 사이의 중족 영역(24)의 어느 정도 전방을 제외한 모든 곳에 돔형부(61)을 갖는 윤곽 형성된 하면(62)을 구비한다. 표면 접합부(55)가 있는 하부 폴리머 시트(38)의 부분에는, 상기 짧아지고 굵어진 테더(52A)에 의해 야기된 인장에 의해, 상부 폴리머 시트(36)에서 내향 돌출 접합부(54)로부터 가로질러 약간의 리세스가 형성될 수 있다. 둥근 돌출부(60) 및 돔형부(61)를 바깥쪽측 및 안쪽측(28, 30)을 따라 위치시키면, 착용자의 발의 횡방향의 절단 동작(lateral cutting movement)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것처럼, 적어도 부분적으로 횡방향[즉, 안쪽측(30) 또는 바깥쪽측(28)을 향해 횡방향으로]의 힘에 대해 반작용하는 쿠션효과가 제공된다.
둥근 돌출부(60) 및 돔형부(61)를 포함하는 블래더(14) 및 중창 층(12)은, 밑창 구조(10)의 동적 부하 중에 경험되는 압축력 하에서 단계적인 쿠션효과를 제공한다. 예컨대, 중창 층(12)이 팽창된 블래더(14)보다 더 낮은 압축 강성(compressive stiffness)을 갖고 있다면, 제1 단계의 쿠션효과는 중창 층(12)이 압축하기 시작함에 따라 일어날 수 있고, 제2 단계의 쿠션효과는, 상기 더 강성의 블래더(14)가 후속하여 압축하기 시작함에 따라 일어날 수 있으며, 이때 둥근 돌출부(60) 및/또는 돔형부(61)는 상기 동적 부하 하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평탄하게 된다. 밑창 플레이트(16) 및 포크형 강화 플레이트(19)는 중창 층(12) 및 블래더(14)보다 더 강성일 수 있다. 예컨대, 밑창 플레이트(16) 및 포크형 강화 플레이트(19)는 탄소 섬유, 탄소 섬유 충전 나일론과 같은 탄소 섬유 복합재, 주입된 탄소강화 나일론일 수 있는 유리섬유 강화 나일론, 섬유 스트랜드-레인 복합재(fiber strand-lain composite),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스틸 또는 기타 재료 또는 그 조합일 수 있지만, 이들 재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블래더(14)가 압축되면, 블래더는 밑창 플레이트(16)의 정합면에 대해 반작용한다. 중창 층(12) 및 폴리머 블래더(14)는 탄성적으로 탄력이 있어, 상기 동적 압축 부하가 제거됨에 따라 그 비압축 형태로 복귀하여, 변형 에너지의 적어도 일부를 되돌린다.
폴리머 블래더(14)의 윤곽 형성된 상면(32) 및 윤곽 형성된 하면(62)는, 특히 바깥쪽측 및 안쪽측(28, 30)에서 밑창 구조(10)의 인접 구성요소들에의 확실한 접합이라는 과제를 제시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수직 방향(즉, 도 5 및 도 6의 상부 및 하부 도면에 수직)으로 블래더(14)에 대해 가해지는 압력을 수반하는 접합 공정에 기인할 수 있는데, 상기 수직 방향에 대해 현저히 큰 각도에 있는 법선 벡터를 갖는 큰 윤곽을 구비하는 표면의 접합에서는 덜 효과적일 수 있다.
이 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상기 윤곽 형성된 표면의 외부에서 접합이 일어나도록, 폴리머 블래더(14), 중창 층(12) 및 밑창 플레이트(16)는 중창 층(12) 및 밑창 플레이트(16) 사이에 블래더(14)를 포획하도록 함께 적층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9 내지 도 12에 가장 잘 도시한 바와 같이, 중창 층(12)은 제1 리세스(72)를 구비한 하면(70)을 갖고 있다. 제1 리세스(72)는 중창 층(12)의 외주(76)의 내측으로 이격된 외주(74)를 갖고 있다. 하면(70)의 주변 접합 영역(78)은 중창 층(12)의 외주(76) 및 제1 리세스(72)의 외주(7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유사하게, 밑창 플레이트(16)는, 중창 층(12)의 제1 리세스(72)와 정렬되어 밑창 플레이트(16) 및 중창 층(12) 사이에 캐비티(84)를 형성하는 제2 리세스(82)가 구비된 상면(80)을 갖고 있다. 밑창 플레이트(16)의 상면(80)은 밑창 플레이트(16)의 외주(88) 및 제2 리세스(82)의 외주(90) 사이에 주변 접합 영역(86)을 갖고 있다.
폴리머 블래더(14)는, 폴리머 블래더(14)의 윤곽 형성된 상면(32)이 중창 층(12)의 주변 접합 영역(78)의 내측에 있고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윤곽 형성된 하면(62)은 밑창 플레이트(16)의 주변 접합 영역(86)의 내측에 있는 상태로 중창 층(12) 및 밑창 플레이트(16) 사이의 캐비티(84) 내에 안착된다. 중창 층(12) 및 밑창 플레이트(16)는 상면 및 하면(32, 62)에서 폴리머 블래더(14)와 서로 감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머 블래더(14)의 윤곽 형성된 상면(32)은 제1 리세스(72)에서 중창 층(12)의 하면(70)과 계합된다. 도 4 및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창 층(12)의 하면(70)은, 폴리머 블래더(14)의 안쪽측(30) 및 바깥쪽측(28)을 따른 폴리머 블래더(14)의 윤곽 형성된 상면(32)의 복수 개의 둥근 돌출부(60)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둥근 오목부(92)를 포함하고 있어, 중창 층(12)의 하면(70)은 폴리머 블래더(14)의 윤곽 형성된 상면(32)에 대해 동일 평면으로 감합한다. 둥근 오목부(92) 및 둥근 돌출부(60)의 일부에 대해서만 도 4에서 참조부호를 붙이고 있다.
유사하게, 폴리머 블래더(14)의 윤곽 형성된 하면(62)은 제2 리세스(82)에서 밑창 플레이트(16)의 상면(80)과 계합된다. 밑창 플레이트(16)의 상면(80)은 폴리머 블래더(14)의 저면(62)의 복수 개의 돔형부(61)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둥근 오목부(94)를 포함하고 있어, 밑창 플레이트(16)의 상면(80)은 폴리머 블래더(14)의 윤곽 형성된 하면(62)에 대해 동일 평면으로 감합한다. 밑창 플레이트(16)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포크형 강화 플레이트(19)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부분에서, 상기 밑창 구조의 바닥 및 측부에서 상기 밑창 플레이트를 통해 폴리머 블래더(14)를 볼 수 있도록 투명 재료일 수 있다. 포크형 강화 플레이트(19)가 투명하지 않다면, 또는 모든 부분에서 포크형 강화 플레이트(19)가 투명하다면.
중창 층(12)은, 기하학적으로 상보적인 방식으로 상부 폴리머 시트(36)의 윤곽 형성된 형태와 서로 감합하도록 구성되고, 밑창 플레이트(16)는 팽창된 폴리머 블래더(14)의 하부 폴리머 시트(38)의 윤곽 형성된 형태와 서로 감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밑창 구조(10)의 구성요소를 형성할 때에 이용되는 제조 공정의 치수 공차 내에서, 폴리머 블래더(14)의 윤곽 형성된 상면(32)의 표면 프로파일은, 상기 표면(32, 70)이 일치하도록 제1 리세스(72)에서 중창 층(12)의 하면(70)의 표면 프로파일과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폴리머 블래더(14)의 윤곽 형성된 하면(62)의 표면 프로파일은, 적어도, 임의의 포크형 강화 플레이트(19)가 밑창 플레이트(16)의 하면(102)에 있는 실시예에서 상기 표면(62, 80)이 일치할 수 있게 제2 리세스(82)에서 밑창 플레이트(16)의 상면(80)의 표면 프로파일과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도 4를 통해 명확한 바와 같이, 블래더(14)는 중창 층(12) 및 밑창 플레이트(16)보다 길이가 더 짧다. 블래더(14)의 전방 에지(81)의 전방에서, 중창 층(12)의 접합 영역(78)이 밑창 플레이트(16)의 접합 영역(86)에 접촉하여 직접 접합된다. 제1 인장층(48)에의 표면 접합부(55)를 구비하고 둥근 접합부(60)를 형성하지 않는 블래더(14)의 상면(32)의 폐쇄 형태 및 접합부(54)는 명확하게 하기 위해 도 4에서는 도시하지 않았다.
중창 층(12) 및 밑창 플레이트(16)는 특히, 블래더(14)의 윤곽 형성된 상면 및 하면(32, 62)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캐비티(84) 내에 블래더(14)를 안착할 수 있게 구성되고, 이때 접합 영역(78, 86)은 윤곽 형성된 상면 및 하면(32, 62)의 외부[즉, 둥근 돌출부(60) 및 돔형부(61)의 외부]에 있다. 따라서, 접합 영역(78, 86) 근처에서 윤곽 형성된 표면(32, 62)의 원하는 쿠션특성 및 확실한 접합을 달성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의 실시예에서, 중창 층(12)의 주변 접합 영역(78)은 밑창 플레이트(16)의 주변 접합 영역(86)에 직접 접합된다. 예컨대, 폴리머 블래더(14) 전체는 상기 주변 접합 영역의 내측에 있을 수 있고, 이때 블래더(14)의 주변 플랜지(41)는 중창 층(12) 및 밑창 플레이트(16)가 폴리머 블래더(14)의 외측의 접합 영역(78, 86)에서 서로 접촉하도록 매우 좁게 형성되거나 매우 좁게 트림가공되어 있다. 상기 접합 영역(78, 86)에서의 접합은 중창 층(12)의 밑창 플레이트(16)에의 열접합에 의해 및/또는 상기 접합 영역(78, 86)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에 배치된 접착제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의 밑창 구조(110)의 실시예에서, 밑창 구조(110)는 리세스(72, 82)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 내에 블래더(14)가 안착되어 있는 밑창 구조(10)와 동일하지만 폴리머 블래더(14)의 주변 플랜지(41)가 도 9 및 도 10의 것과 비교하여 비교적 넓다. 따라서, 주변 플랜지(41)는 중창 층(12)의 주변 접합 영역(78)과 밑창 플레이트(16)의 주변 접합 영역(86) 사이에 배치된다. 중창 층(12)의 주변 접합 영역(86)은 주변 플랜지(41)의 상측(87)에 접합되고, 밑창 플레이트(16)의 주변 접합 영역(86)은 상기 주변 플랜지의 하측에 접합된다.
밑창 플레이트(16)는 다양한 특성 및 특징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밑창 플레이트(16)는 압축 강성 및 굽힘 강성에 있어서, 중창 층(12) 및 블래더(14)보다 더 강성일 수 있다. 밑창 플레이트(16)는 또한, 도 1, 도 3 및 도 4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밑창 플레이트의 하면(102)에서 블래더(14)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일체형의 클리트 장착 피처(100)를 구비한다. 클리트 장착 피처(100)는 중앙에 구멍(104)이 있는 하향 연장 돌출부이다. 상기 중앙의 구멍(104)은 각각 클리트(106)을 수용 및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 도 4,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포크형 강화 플레이트(19)는 밑창 플레이트(16) 및 블래더(14) 사이에서 밑창 플레이트(16)의 상면(80)에 고정된다. 별법으로서,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밑창 구조(110)에서, 포크형 강화 플레이트(19)는 밑창 플레이트(16)의 하면(102)에 고정된다. 어느 실시예이든지, 포크형 강화 플레이트(19)는, 밑창 플레이트(16) 및 포크형 강화 플레이트(19)가 동일한 몰드에서 함께 동시 성형된 것과 같이, 밑창 플레이트(16)의 일부로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포크형 강화 플레이트(19)는, 도 3에서 중족 영역(24)의 후방부와 뒤꿈치 영역(26)의 전방부에 배치된 중앙부(108)를 구비한다. 전방 안쪽 아암(110A) 및 전방 바깥쪽 아암(110B)은 모두 중앙부(108)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다. 후방 안쪽 아암(112A) 및 후방 바깥쪽 아암(112B) 모두 중앙부(108)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다. 전방 안쪽 아암(110A) 및 후방 안쪽 아암(112A)은 밑창 플레이트(16)의 안쪽측(30)과 접하고, 전방 바깥쪽 아암(110B) 및 후방 바깥쪽 아암(112B)은 밑창 플레이트(16)의 바깥쪽측(28)과 접한다. 포크형 강화 플레이트(19)는 포크형 강화 플레이트(19)가 연장되는 영역에서 밑창 구조(10)의 두께 및 굽힘 강성을 증대시킨다. 바깥쪽측(28) 및 안쪽측(30)을 따라 연장됨으로써, 지지가 증대되어, 횡방향(즉, 옆으로의) 이동으로 인한, 이들 영역에서의 힘에 대해 반작용하게 된다.
포크형 강화 플레이트(19)의 상기 아암은 대체로, 블래더(14)의 하면(62)의 안쪽측 및 바깥쪽측에서 돔형부(61)를 갖는 폴리머 블래더(14)의 일부에 대응하고 그 블래더의 일부분 밑에 놓인다. 돔형부(61)의 추가 쿠션효과 및 포크형 강화 플레이트(19)의 추가 지지는 횡방향 이동 중에 편안함 및 지지를 제공한다. 포크형 강화 플레이트(19)의 상기 아암(110A, 110B, 112A, 112B)은 또한, 클리트 장착 피처(100)를 구비하는 밑창 플레이트(16)의 부분을 따라 연장된다. 따라서, 밑창 플레이트(16)는, 클리트(106)에 가해진 힘으로 인해 비교적 큰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는 영역에서 강화된다.
도 1 내지 도 12의 밑창 구조(10 또는 110)는 방법(200)에 따라 제조될 수 있는데, 그 방법의 단계를 표 1에 나열한다.
단계 작용
202 중창 형성
204 밑창 플레이트 형성
206 폴리머 블래더 형성
208 폴리머 블래더를 팽창시킨다
210 포크형 강화 플레이트를 밑창 플레이트에 고정
212 밑창 플레이트, 폴리머 블래더 및 중창 층을 적층
214 주변 접합 영역에서 밑창 플레이트에 대해 중창 층을 고정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200)은 밑창 구조(10 또는 110)의 상기 구성요소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예컨대, 단계 202 내지 208).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200)은 예컨대, 단계 210에서, 예비성형된 구성요소로 시작할 수 있다. 완전을 기하기 위해, 상기 구성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를 설명한다. 예컨대, 방법(200)은 단계 202에서 시작하여, 중창 층(12)이, 폴리머 블래더(14)의 윤곽 형성된 상면(32)의 복수 개의 둥근 돌출부(60)와 계합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둥근 오목부(92)와 제1 리세스(72)가 마련된 중창 층(12)의 하면(70)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중창 층(12)을 형성할 수 있다.
방법(200)은, 밑창 플레이트(16)가 폴리머 블래더(14)의 윤곽 형성된 하면(62)의 복수 개의 돔형부(61)와 계합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둥근 오목부(94) 및 제2 리세스(82)가 마련된 밑창 플레이트(16)의 상면(80)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밑창 플레이트(16)를 형성하는 단계 204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200)은 폴리머 블래더(14)를 형성하는 단계 206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06은, 본원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 폴리머 시트(36) 및 하부 폴리머 시트(38) 사이에 인장 구성요소(46)를 배치하고, 상기 상부 폴리머 시트 및 상기 하부 폴리머 시트를 주변 플랜지(41)에서 인장 구성요소(46) 둘레에서 서로 접합하고, 복수 개의 접합부(54)에서 상기 시트(36, 38)를 인장 구성요소(46)에 접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방법(200)은 폴리머 블래더(14)의 내부 캐비티(42)를 팽창시키는 단계 20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202 내지 206에서 형성된 상기 구성요소로, 중창 층(12)의 하면(70) 및 밑창 플레이트(16)의 상면(80)은 팽창된 폴리머 블래더(14)에 정합하도록 구성된다.
방법(200)은, 본원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면(80)에서,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면(102)에서, 포크형 강화 플레이트(19)를 밑창 플레이트(16)에 고정하는 단계 2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별법으로서, 포크형 강화 플레이트(19)는 단계 204에서 밑창 플레이트(16)와 동시 성형될 수 있다.
단계 202 내지 210에서와 같이, 상기 구성요소가 형성되고 포크형 강화 플레이트(19)가 밑창 플레이트(16)에 고정되거나 밑창 플레이트(16)와 동시 성형된 후에, 방법(200)은, 제1 리세스(72) 및 제2 리세스(82)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84) 내에 폴리머 블래더(14)가 안착되도록 밑창 플레이트(16), 폴리머 블래더(14), 및 중창 층(12)을 적층하는 단계 212를 포함한다. 적층되었을 때, 폴리머 블래더(14)의 윤곽 형성된 상면(32)은 중창 층(12)의 주변 접합 영역(78)의 내측에 있고, 폴리머 블래더(14)의 윤곽 형성된 하면(62)은 밑창 플레이트(16)의 주변 접합 영역(86)의 내측에 있다.
방법(200)은, 이어서 밑창 플레이트(16)에 대해 중창 층(12)을 고정하는 단계 214를 포함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밑창 구조(10)와 같이, 중창 층(12)이 직접 밑창 플레이트(16)에 고정되는 실시예에서, 단계 214는 중창 층(12)의 주변 접합 영역(78)을 밑창 플레이트(16)의 주변 접합 영역(86)에 접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비교적 좁은 주변 플랜지(41)를 포함하는 폴리머 블래더(14)는 전체가 주변 접합 영역(78, 86)의 내측에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1 및 도 12의 밑창 구조(110)와 같이, 중창 층(12) 및 밑창 플레이트(16)는 폴리머 블래더(14)의 주변 플랜지(41)에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실시예에서, 단계 214는 중창 층(12)의 주변 접합 영역(78)을 주변 플랜지(41)의 상측(87)에 접합하고, 밑창 플레이트(16)의 주변 접합 영역(86)을 주변 플랜지(41)의 하측(89)에 접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200)은 또한, 클리트(106)를 클리트 장착 피처(100)에 고정하고, 밑창 구조(10 또는 110)를 갑피(23)에 고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밑창 구조(10 및 110)의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구성요소를 서로 수직으로 적층하고 접합함으로써, 밑창 구조(10 및 110) 각각의 제조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안쪽측 및 바깥쪽측에서 블래더(14)의 상기 윤곽 형성된 외표면을 수용하도록 상보적인 방식으로 기하학적으로 구성된다.
다음의 항목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의 구성의 예를 제공한다.
항목 1: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로서, 상기 밑창 구조는 중창 층, 밑창 플레이트, 및 폴리머 블래더를 포함하고; 상기 중창 층은, 제1 리세스 그리고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외주 및 제1 리세스의 외주 사이에 주변 접합 영역이 마련된 하면을 구비하고; 상기 밑창 플레이트는 상기 중창 층의 상기 제1 리세스와의 사이에 배치된 제2 리세스가 마련된 상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리세스 및 상기 제2 리세스는 함께, 상기 밑창 플레이트 및 상기 중창 사이에 캐비티를 형성하며,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상기 상면은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외주 및 상기 제2 리세스의 외주 사이에 주변 접합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윤곽 형성된 상면이 상기 중창 층의 상기 주변 접합 영역의 내측에 있고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윤곽 형성된 하면이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상기 주변 접합 영역의 내측에 있는 상태로, 상기 폴리머 블래더가 상기 중창 층 및 상기 밑창 플레이트 사이의 상기 캐비티 내에 안착되는 것인, 밑창 구조.
항목 2: 항목 1에 따른 밑창 구조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블래더는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 및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주변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중창 층의 상기 주변 접합 영역이 상기 주변 플랜지의 상측에 접합되고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상기 주변 접합 영역이 상기 주변 플랜지의 하측에 접합된 채, 상기 주변 플랜지가 상기 중창 층의 상기 주변 접합 영역 및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상기 주변 접합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
항목 3: 항목 1 또는 항목 2에 따른 밑창 구조에 있어서, 상기 중창 층의 상기 주변 접합 영역은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상기 주변 접합 영역에 접합된 것인, 밑창 구조.
항목 4: 항목 1 내지 항목 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밑창 구조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상기 윤곽 형성된 상면은 상기 제1 리세스에서 상기 중창 층의 상기 하면과 계합되는 것인, 밑창 구조.
항목 5: 항목 4에 따른 밑창 구조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상기 윤곽 형성된 상면은 복수 개의 둥근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창 층의 상기 하면은 상기 복수 개의 둥근 돌출부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둥근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
항목 6: 항목 1 내지 항목 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밑창 구조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상기 윤곽 형성된 하면은 상기 제2 리세스에서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상기 상면과 계합되는 것인, 밑창 구조.
항목 7: 항목 6에 따른 밑창 구조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상기 윤곽 형성된 하면은 복수 개의 돔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상기 상면은 상기 복수 개의 돔형부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둥근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
항목 8: 항목 1 내지 항목 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밑창 구조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블래더는 서로 접합되어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를 둘러싸는 상부 폴리머 시트 및 하부 폴리머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밑창 구조는 상기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 내에 배치된 인장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장 구성요소는, 상기 상부 폴리머 시트에 고정된 제1 인장층, 제2 인장층, 및 상기 제1 인장층을 상기 제2 인장층에 연결하는 복수 개의 테더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하부 접합부가 상기 하부 폴리머 시트를 상기 제2 인장층에 결합하고, 상기 하부 폴리머 시트는 상기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 내의 유체에 의해, 상기 하부 접합부 중 적어도 일부 하부 접합부 사이의 상기 제2 인장층으로부터 변위되는 것인, 밑창 구조.
항목 9: 항목 8에 따른 밑창 구조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부 접합부가 상기 상부 폴리머 시트를 상기 제1 인장층에 결합하고; 상기 상부 폴리머 시트는, 상기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 내의 유체에 의해,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안쪽측 및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바깥쪽측을 따라 상기 상부 접합부 중 적어도 일부 상부 접합부 사이의 상기 제1 인장층으로부터 변위되어, 상기 상부 폴리머 시트가 상기 제1 인장층으로부터 변위되는 상기 안쪽측 및 상기 바깥쪽측을 따라 복수 개의 둥근 돌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상부 폴리머 시트는 상기 바깥쪽측을 따른 상기 둥근 돌출부 사이에서 그리고 상기 안쪽측을 따른 상기 둥근 돌출부 사이에서 상기 제1 인장층에 고정되는 것인, 밑창 구조.
항목 10: 항목 8에 따른 밑창 구조에 있어서, 상기 중창 층의 상기 하면은 상기 상부 폴리머 시트의 복수 개의 둥근 돌출부에 대응하고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안쪽측 및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바깥쪽측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 개의 둥근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상기 윤곽 형성된 하면은 상기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 내의 유체에 의해 상기 하부 폴리머 시트가 상기 제2 인장층으로부터 변위되는 복수 개의 돔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상기 상면은 상기 복수 개의 돔형부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둥근 오목부를 포함하는, 밑창 구조.
항목 11: 항목 1 내지 항목 1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밑창 구조에 있어서, 상기 중창 층은 상기 폴리머 블래더 위의 상기 중창 층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관통홀을 형성하는, 밑창 구조.
항목 12: 항목 1 내지 항목 1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밑창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밑창 플레이트는 일체형의 클리트 장착 피처를 구비하는, 밑창 구조.
항목 13: 항목 1 내지 항목 1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밑창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밑창 플레이트는 전족 영역, 중족 영역, 및 뒤꿈치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밑창 플레이트에 고정된 포크형 강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포크형 강화 플레이트는 중앙부, 전방 안쪽 아암, 및 전방 바깥쪽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전방 안쪽 아암 및 상기 전방 바깥쪽 아암은 모두 상기 중앙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포크형 강화 플레이트는 상기 중앙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방 안쪽 아암 및 후방 바깥쪽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전방 안쪽 아암 및 상기 후방 안쪽 아암은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안쪽측에 접하고, 상기 전방 바깥쪽 아암 및 상기 후방 바깥쪽 아암은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바깥쪽측에 접하는 것인, 밑창 구조.
항목 14: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중창 층의 하면의 제1 리세스 및 밑창 플레이트의 상면의 제2 리세스에 의해 형성되는 캐비티 내에 폴리머 블래더가 안착하도록 그리고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윤곽 형성된 상면이 상기 중창 층의 주변 접합 영역의 내측에 있고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윤곽 형성된 하면이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주변 접합 영역의 내측에 있게, 밑창 플레이트, 폴리머 블래더, 및 중창 층를 적층하는 것-상기 폴리머 블래더는 밀봉된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를 형성한다-과; 상기 중창 층의 상기 주변 접합 영역에서 상기 밑창 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중창 층을 고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항목 15: 항목 14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블래더는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외주를 형성하고 상기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주변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밑창 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중창 층을 고정하는 것은 상기 중창 층의 상기 주변 접합 영역을 상기 주변 플랜지의 상측에 접합하고,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상기 주변 접합 영역을 상기 주변 플랜지의 하측에 접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항목 16: 항목 14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밑창 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중창 층을 고정하는 것은 상기 중창 층의 상기 주변 접합 영역을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상기 주변 접합 영역에 접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항목 17: 항목 14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밑창 플레이트, 상기 폴리머 블래더, 및 상기 중창 층을 적층하기 전에,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상기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를 팽창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항목 18: 항목 14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포크형 강화 플레이트를 상기 밑창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항목 19: 항목 14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밑창 플레이트, 상기 폴리머 블래더, 및 상기 중창 층을 적층하기 전에, 상기 중창 층의 하면에 상기 제1 리세스, 및 상기 중창 층이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상기 윤곽 형성된 상면의 복수 개의 둥근 돌출부와 계합하도록 구성되는 복수 개의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밑창 플레이트, 상기 폴리머 블래더, 및 상기 중창 층을 적층하기 전에,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상면에 상기 제2 리세스, 및 상기 밑창 플레이트가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상기 윤곽 형성된 하면의 복수 개의 돔형부와 계합하도록 구성되는 복수 개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항목 20: 항목 14 내지 항목 1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밑창 플레이트, 상기 폴리머 블래더, 및 상기 중창 층을 적층하기 전에, 제1 인장층, 제2 인장층 및 상기 제1 인장층을 상기 제2 인장층에 연결하는 복수의 테더를 포함하는 인장 구성요소를 상부 폴리머 시트 및 하부 폴리머 시트 사이에 배치하고, 상기 하부 폴리머 시트를 상기 인장 구성요소 둘레의 상기 상부 폴리머 시트에 그리고 복수 개의 접합부에서 상기 제2 인장층에 접합함으로써, 상기 폴리머 블래더를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폴리머 시트는 상기 제2 인장층에 접합되어 있지 않고, 상기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가 팽창되면, 상기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 내의 유체에 의해 상기 접합부 중 적어도 일부의 접합부에 인접하는 상기 제2 인장층으로부터 변위되는 것인, 방법.
다양한 실시예들의 설명을 돕고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본원에서 다양한 용어들을 정의한다. 달리 지시되지 않으면, (청구범위를 비롯하여) 본원에 걸쳐 이하의 정의들이 적용된다. 또한, 언급되는 모든 참조는 그 전체가 본원에 통합된다.
"신발류 물품", "신발류 제조 물품", "신발류"는 기계 및 제조로 고려될 수 있다. 최종 조립하여 신발류 물품을 착용할 준비상태로 하기 전의 신발류 물품의 개별 구성요소(예컨대, 중창, 밑창, 갑피 구성요소 등)뿐만 아니라, 조립되어 바로 착용할 수 있는 상태의 신발류 물품(예컨대, 신발, 샌들, 부츠 등)은 "신발류 물품(들)" 또는 "신발류"로서 단수 또는 복수로 간주되고 대안적으로 지칭된다.
상기 항목 중 적어도 하나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관사("a", "an", "the"), "적어도 하나" 및 "하나 이상"이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문맥에서 명확히 달리 지시되지 않는다면, 복수의 이러한 항목이 존재할 수 있다. 문맥을 고려하여 명시적으로 또는 명백히 달리 나타내지 않는다면, 청구항을 비롯한 본 명세서의 파라미터(예컨대, 양 또는 조건)의 모든 수치는 해당 수치 앞에 "약"이 실제 나타나든 나타나지 않든 "약"이라는 용어에 의해 모든 예에서 수정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약"은 상기 수치가 어느 정도 약간의 부정확함(imprecision)을 허용한다는 것을 나타낸다(수치의 정확성에 어느 정도 근접; 그 수치에 근접하거나 합리적으로 근사하는 것; 거의). "약"에 의해 부여되는 부정확함이 이러한 일반적인 의미를 갖는 당업계에서 달리 이해되지 않는다면, 본원에서 사용되는 "약"은 적어도, 이러한 파라미터를 측정하고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변화를 나타낸다. 본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에서 사용되는 값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다면, 명시된 값보다 5% 이상 크지 않거나 5% 이상 작지 않으면, 명시된 값과 "대략" 동일한 것으로 고려된다. 또한, 범위의 개시는 범위 내의 모든 값 및 추가로 나뉘어진 범위를 구체적으로 개시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포함하다(comprising, including)" 및 "구비하다"라는 용어는 포괄적인 것이고, 따라서 언급한 특징, 단계, 동작, 요소 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특정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단계, 동작, 요소 또는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단계, 공정 및 동작의 순서는 가능하다면 변경될 수 있고, 추가 또는 대안적인 단계가 채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이, "또는"이라는 용어는 관련하여 나열된 항목들의 어느 하나 및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중 임의의 것"이라는 용어는 언급한 항목 중 "임의의 하나"를 비롯하여, 언급한 항목의 임의의 가능한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중 임의의 것"이라는 용어는, 첨부한 청구항 중 언급한 청구항 중 "임의의 하나"를 비롯하여, 언급한 청구항의 임의의 가능한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일관성 및 편의성을 위해, 설명한 실시예에 대응하는 상세한 설명에 걸쳐 방향성 형용사(directional adjectives)가 채용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상방", "아래", "상향", "하향", "상단", "바닥" 등과 같은 용어는 청구항에 한정되는 것과 같은 발명의 범위에 대한 제한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도면에 대해 설명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종방향"이라는 용어는 구성요소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방향을 가리킨다. 예컨대, 신발류 물품의 종방향은 그 신발류 물품의 전족 영역 및 뒤꿈치 영역 사이에서 연장된다. "전향" 또는 "전방"(forward or anterior)"이라는 용어는 뒤꿈치 영역으로부터 전족 영역을 향하는 전체적인 방향을 지칭하는 데에 사용되고, "후향 또는 후방"이라는 용어는 그 반대 방향, 즉 상기 전족 영역으로부터 상기 뒤꿈치 영역을 향하는 방향을 지칭하는 데에 사용된다. 몇몇 경우에 있어서, 구성요소는 종방향 축, 그 축을 따른 전향 및 후향의 종방향으로 식별될 수 있다. 그 종방향 또는 종방향 축은 또한 전후 방향 또는 전후 축으로서 지칭되기도 한다.
"횡방향"이라는 용어는 구성요소의 폭을 따라 연장되는 방향을 지칭한다. 예컨대, 신발류 물품의 횡방향은 그 신발류 물품의 바깥쪽측 및 안쪽측 사이에서 연장된다. 횡방향 또는 횡방향 축은 또한 측방향 또는 측방향 축 또는 중외측(mediolateral)의 방향 또는 축으로서 지칭되기도 한다.
"수직"이라는 용어는 전체적으로 측방향 및 종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지칭한다. 예컨대, 밑창 구조가 지면에 평탄하게 놓인 경우에, 수직 방향은 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들 각각의 방향성 형용사는 밑창 구조의 개개 구성요소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상향"이라는 용어는 발등을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상단, 체결 영역 및/또는 갑피의 주둥이부(throat)를 가리키는 수직 방향을 지칭한다. "하향"이라는 용어는 구성요소의 바닥을 향해, 상기 상향 방향과 반대쪽을 가리키는 수직 방향을 지칭하며, 전체적으로 신발류 물품의 밑창 구조의 바닥을 가리킬 수 있다.
신발과 같은 신발류 물품의 "내부"는 신발류 물품이 착용되었을 때 착용자의 발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에 있는 부분을 지칭한다. 구성요소의 "내부측"은 조립된 신발류 물품에서 신발류 물품 또는 구성요소의 내부를 향해 배향되는(또는 배향될 것인) 구성요소의 사이드 또는 표면을 지칭한다. 구성요소의 "외부측" 또는 "외부"는 조립된 신발류 물품에서 신발류 물품의 내부로부터 멀리 배향되는(또는 배향될 것인) 구성요소의 사이드 또는 표면을 지칭한다. 몇몇 경우에 있어서, 다른 구성요소들이 구성요소의 내부측과 조립된 신발류 물품의 내부 사이에 있을 수 있다. 유사하게, 다른 구성요소들이 조립된 신발류 물품의 외부 공간과 구성요소의 외부측 사이에 있을 수 있다. 또한, "내향"이라는 용어는 신발과 같은 신발류 물품 또는 구성요소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을 지칭하고, "외향"이라는 용어는 신발과 같은 신발류 물품 또는 구성요소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을 지칭한다. 또한, "근위"라는 용어는 신발류 구성요소의 중심에 더 가까운 또는 사용자가 착용시 발이 신발류 물품 내에 넣어지는 경우, 발을 향해 더 가까운 방향을 지칭한다. 유사하게, "원위"라는 용어는 신발류 구성요소의 중심으로부터 더 멀리 있는 또는 사용자가 착용시 발이 신발류 물품 내에 넣어지는 경우, 발로부터 더 멀리 있는 상대적인 위치를 지칭한다. 따라서, 근위 및 원위라는 용어는 상대적인 공간 위치를 설명하는 반대되는 용어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기 설명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한 것이며, 상기 실시예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실시예 및 구현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임의의 실시예의 임의의 특징은 구체적으로 제한하지 않는다면, 임의의 다른 실시예의 임의의 다른 특징 또는 요소와 조합하여 사용되거나 그것을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첨부한 청구항 및 그 균등물의 관점을 제외하고, 제한적인 것이 아니다. 또한, 첨부한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교시의 많은 양태를 실행하기 위한 몇몇 모드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교시와 관련된 당업자는 첨부한 청구항의 범위 내에 있는 본 교시를 실시하기 위한 다양한 대체 양태를 인식할 것이다. 상기한 내용 또는 첨부도면에 나타낸 모든 사항은, 명시적으로 도시 및/또는 설명한 실시예 만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당업자가 구조적으로 및/또는 기능적으로 등가인 것으로 인식하는 대체의 실시예의 전범위의 예시적인 것으로 또는 포함되는 내용에 기초하여 명백한 것으로 해석되는 것으로 의도한 것이다.

Claims (20)

  1.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로서, 상기 밑창 구조는:
    중창 층, 밑창 플레이트, 및 폴리머 블래더를 포함하고;
    상기 중창 층은, 제1 리세스 그리고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외주와 제1 리세스의 외주 사이에 주변 접합 영역이 마련된 하면을 구비하고;
    상기 밑창 플레이트는 상기 중창 층의 상기 제1 리세스와의 사이에 배치된 제2 리세스가 마련된 상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리세스 및 상기 제2 리세스는 함께, 상기 밑창 플레이트와 상기 중창 사이에 캐비티를 형성하며,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상기 상면은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외주와 상기 제2 리세스의 외주 사이에 주변 접합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윤곽 형성된 상면이 상기 중창 층의 상기 주변 접합 영역의 내측에 있고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윤곽 형성된 하면이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상기 주변 접합 영역의 내측에 있는 상태로, 상기 폴리머 블래더가 상기 중창 층와 상기 밑창 플레이트 사이의 상기 캐비티 내에 안착되는 것인 밑창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블래더는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 및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주변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중창 층의 상기 주변 접합 영역이 상기 주변 플랜지의 상측에 접합되고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상기 주변 접합 영역이 상기 주변 플랜지의 하측에 접합된 채, 상기 주변 플랜지가 상기 중창 층의 상기 주변 접합 영역과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상기 주변 접합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 층의 상기 주변 접합 영역은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상기 주변 접합 영역에 접합된 것인 밑창 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상기 윤곽 형성된 상면은 상기 제1 리세스에서 상기 중창 층의 상기 하면과 계합되는 것인 밑창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상기 윤곽 형성된 상면은 복수 개의 둥근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창 층의 상기 하면은 상기 복수 개의 둥근 돌출부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둥근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상기 윤곽 형성된 하면은 상기 제2 리세스에서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상기 상면과 계합되는 것인 밑창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상기 윤곽 형성된 하면은 복수 개의 돔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상기 상면은 상기 복수 개의 돔형부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둥근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블래더는 서로 접합되어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를 둘러싸는 상부 폴리머 시트 및 하부 폴리머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밑창 구조는:
    상기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 내에 배치된 인장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장 구성요소는, 상기 상부 폴리머 시트에 고정된 제1 인장층, 제2 인장층, 및 상기 제1 인장층을 상기 제2 인장층에 연결하는 복수 개의 테더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하부 접합부가 상기 하부 폴리머 시트를 상기 제2 인장층에 결합하고, 상기 하부 폴리머 시트는 상기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 내의 유체에 의해, 상기 하부 접합부 중 적어도 일부 하부 접합부 사이의 상기 제2 인장층으로부터 변위되는 것인 밑창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부 접합부가 상기 상부 폴리머 시트를 상기 제1 인장층에 결합하고;
    상기 상부 폴리머 시트는, 상기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 내의 유체에 의해,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안쪽측 및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바깥쪽측을 따라 상기 상부 접합부 중 적어도 일부 상부 접합부 사이의 상기 제1 인장층으로부터 변위되어, 상기 상부 폴리머 시트가 상기 제1 인장층으로부터 변위되는 상기 안쪽측 및 상기 바깥쪽측을 따라 복수 개의 둥근 돌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상부 폴리머 시트는 상기 바깥쪽측을 따른 상기 둥근 돌출부 사이에서 그리고 상기 안쪽측을 따른 상기 둥근 돌출부 사이에서 상기 제1 인장층에 고정되는 것인 밑창 구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 층의 상기 하면은 상기 상부 폴리머 시트의 복수 개의 둥근 돌출부에 대응하고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안쪽측 및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바깥쪽측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 개의 둥근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상기 윤곽 형성된 하면은 상기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 내의 유체에 의해 상기 하부 폴리머 시트가 상기 제2 인장층으로부터 변위되는 복수 개의 돔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상기 상면은 상기 복수 개의 돔형부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둥근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 층은 상기 폴리머 블래더 위의 상기 중창 층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관통홀을 형성하는 것인 밑창 구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 플레이트는 일체형의 클리트 장착 피처를 구비하는 것인 밑창 구조.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 플레이트는 전족 영역, 중족 영역, 및 뒤꿈치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밑창 플레이트에 고정된 포크형 강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포크형 강화 플레이트는 중앙부, 전방 안쪽 아암, 및 전방 바깥쪽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전방 안쪽 아암 및 상기 전방 바깥쪽 아암은 모두 상기 중앙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포크형 강화 플레이트는 상기 중앙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방 안쪽 아암 및 후방 바깥쪽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전방 안쪽 아암 및 상기 후방 안쪽 아암은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안쪽측에 접하고;
    상기 전방 바깥쪽 아암 및 상기 후방 바깥쪽 아암은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바깥쪽측에 접하는 것인 밑창 구조.
  14.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중창 층의 하면의 제1 리세스 및 밑창 플레이트의 상면의 제2 리세스에 의해 형성되는 캐비티 내에 폴리머 블래더가 안착하도록 그리고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윤곽 형성된 상면이 상기 중창 층의 주변 접합 영역의 내측에 있고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윤곽 형성된 하면이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주변 접합 영역의 내측에 있게, 밑창 플레이트, 폴리머 블래더, 및 중창 층를 적층하는 단계 - 상기 폴리머 블래더는 밀봉된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를 형성 -;
    상기 중창 층의 상기 주변 접합 영역에서 상기 밑창 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중창 층을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블래더는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외주를 형성하고 상기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주변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밑창 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중창 층을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중창 층의 상기 주변 접합 영역을 상기 주변 플랜지의 상측에 접합하고,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상기 주변 접합 영역을 상기 주변 플랜지의 하측에 접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 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중창 층을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중창 층의 상기 주변 접합 영역을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상기 주변 접합 영역에 접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 플레이트, 상기 폴리머 블래더, 및 상기 중창 층을 적층하기 전에,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상기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를 팽창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크형 강화 플레이트를 상기 밑창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 플레이트, 상기 폴리머 블래더, 및 상기 중창 층을 적층하기 전에, 상기 중창 층의 하면에 상기 제1 리세스를, 그리고 상기 중창 층이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상기 윤곽 형성된 상면의 복수 개의 둥근 돌출부와 계합하도록 구성되는 복수 개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밑창 플레이트, 상기 폴리머 블래더, 및 상기 중창 층을 적층하기 전에, 상기 밑창 플레이트의 상면에 상기 제2 리세스를, 그리고 상기 밑창 플레이트가 상기 폴리머 블래더의 상기 윤곽 형성된 하면의 복수 개의 돔형부와 계합하도록 구성되는 복수 개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14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 플레이트, 상기 폴리머 블래더 및 상기 중창 층을 적층하기 전에,
    제1 인장층, 제2 인장층 및 상기 제1 인장층을 상기 제2 인장층에 연결하는 복수의 테더를 포함하는 인장 구성요소를 상부 폴리머 시트 및 하부 폴리머 시트 사이에 배치하고;
    상기 하부 폴리머 시트를 상기 인장 구성요소 둘레의 상기 상부 폴리머 시트에 그리고 복수 개의 접합부에서 상기 제2 인장층에 접합하는 것에 의해,
    상기 폴리머 블래더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폴리머 시트는 상기 제2 인장층에 접합되어 있지 않고, 상기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가 팽창되는 경우, 상기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 내의 유체에 의해 상기 접합부 중 적어도 일부의 접합부에 인접하는 상기 제2 인장층으로부터 변위되는 것인 방법.
KR1020207037869A 2018-05-30 2019-05-22 블래더가 구비된 신발류 밑창 구조 KR102472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41464A KR102643930B1 (ko) 2018-05-30 2019-05-22 블래더가 구비된 신발류 밑창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78251P 2018-05-30 2018-05-30
US62/678,251 2018-05-30
PCT/US2019/033465 WO2019231784A1 (en) 2018-05-30 2019-05-22 Footwear sole structure with bladde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1464A Division KR102643930B1 (ko) 2018-05-30 2019-05-22 블래더가 구비된 신발류 밑창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161A true KR20210014161A (ko) 2021-02-08
KR102472834B1 KR102472834B1 (ko) 2022-11-30

Family

ID=6685800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1464A KR102643930B1 (ko) 2018-05-30 2019-05-22 블래더가 구비된 신발류 밑창 구조
KR1020207037869A KR102472834B1 (ko) 2018-05-30 2019-05-22 블래더가 구비된 신발류 밑창 구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1464A KR102643930B1 (ko) 2018-05-30 2019-05-22 블래더가 구비된 신발류 밑창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44964B2 (ko)
EP (1) EP3801109A1 (ko)
KR (2) KR102643930B1 (ko)
CN (2) CN115399544A (ko)
WO (1) WO20192317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3930B1 (ko) * 2018-05-30 2024-03-05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블래더가 구비된 신발류 밑창 구조
USD881543S1 (en) * 2018-11-09 2020-04-21 J. Choo Limited Sole for footwear
USD879427S1 (en) * 2018-11-09 2020-03-31 J. Choo Limited Sole for footwear
USD905391S1 (en) * 2019-08-02 2020-12-22 Nike, Inc. Shoe
USD905392S1 (en) * 2019-08-02 2020-12-22 Nike, Inc. Shoe
EP4125483A1 (en) 2020-03-26 2023-02-08 NIKE Innovate C.V. Encased strobel with cushioning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of footwear
US20210368923A1 (en) * 2020-05-31 2021-12-02 Nike, Inc.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CN112716099A (zh) * 2020-12-29 2021-04-30 浙江秀典科技有限公司 多功能鞋中底支撑构造
WO2022220961A1 (en) * 2021-04-12 2022-10-20 Nike Innovate C.V. Article of footwear having articulating strobel with bladder and tensile component
WO2022220960A1 (en) * 2021-04-12 2022-10-20 Nike Innovate C.V. Articulating footwear strobel with bladder and tensile component
US20220378149A1 (en) * 2021-05-28 2022-12-01 Nike, Inc.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WO2022261339A1 (en) * 2021-06-11 2022-12-15 Nike Innovate C.V. Sole structure having a fluid-filled chamb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11986059B2 (en) 2022-01-19 2024-05-21 Jalmrr, Inc. Deflectable cleat system for footwear
WO2024026233A1 (en) * 2022-07-28 2024-02-01 Nike Innovate C.V. Article of footwear with bladder at foot-facing surface of foam midsole lay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09546A1 (en) * 1996-09-03 1998-03-12 Reebok International Ltd. Support and cushioning system for footwear
US20060010717A1 (en) * 2004-06-15 2006-01-19 Wayne Finkelstein Therapeutic shoe sole design,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products constructed therefrom
US20110277911A1 (en) * 2008-11-26 2011-11-17 Allen Mark P Acoustic Baffle Members and Methods for Applying Acoustic Baffles in Cavities

Family Cites Families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3156A (en) 1977-01-14 1980-01-15 Robert C. Bogert Insole construction for articles of footwear
US4219945B1 (en) 1978-06-26 1993-10-19 Robert C. Bogert Footwear
CA1338369C (en) * 1988-02-24 1996-06-11 Jean-Pierre Vermeulen Shock absorbing system for footwear application
US5042176A (en) 1989-01-19 1991-08-27 Robert C. Bogert Load carrying cushioning device with improved barrier material for control of diffusion pumping
US4936029A (en) 1989-01-19 1990-06-26 R. C. Bogert Load carrying cushioning device with improved barrier material for control of diffusion pumping
US6453577B1 (en) * 1996-02-09 2002-09-24 Reebok International Ltd. Support and cushion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20030101619A1 (en) * 1994-10-14 2003-06-05 Litchfield Paul E. Cushioning memb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6505420B1 (en) * 1996-02-09 2003-01-14 Reebok International Ltd. Cushioning memb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6013340A (en) 1995-06-07 2000-01-11 Nike, Inc. Membranes of polyurethane based materials including polyester polyols
BR9608511A (pt) 1995-06-07 1999-11-30 Nike International Ltd "membranas de materiais à base de poliuretano com inclusão de poliéster polióis"
US5842291A (en) * 1995-10-26 1998-12-01 Energaire Corporation Thrust producing multiple channel-multiple chamber shoe and bladder
US6082025A (en) 1998-09-11 2000-07-04 Nike, Inc. Flexible membranes
US6127026A (en) 1998-09-11 2000-10-03 Nike, Inc. Flexible membranes
US6796056B2 (en) * 2002-05-09 2004-09-28 Nike, Inc. Footwear sole component with a single sealed chamber
US6754981B1 (en) * 2002-05-20 2004-06-29 Energaire Corporation Footwear structure with outsole bulges and midsole bladder
US6745499B2 (en) * 2002-05-24 2004-06-08 Reebok International Ltd. Shoe sole having a resilient insert
US20040154189A1 (en) * 2003-02-12 2004-08-12 Wang Swei Mu Shoe sole structure
US7076891B2 (en) 2003-11-12 2006-07-18 Nike, Inc. Flexible fluid-filled bladd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7299567B2 (en) * 2004-06-17 2007-11-27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sole plate
US7513066B2 (en) * 2005-04-14 2009-04-07 Nike, Inc. Fluid-filled bladder for footwear and other applications
KR200400222Y1 (ko) 2005-08-01 2005-11-04 강형철 신발용 에어쿠션
US7748142B2 (en) * 2006-09-26 2010-07-06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for long jumping
US7950169B2 (en) * 2007-05-10 2011-05-31 Nike, Inc. Contoured fluid-filled chamber
US7588654B2 (en) 2007-08-13 2009-09-15 Nike, Inc. Fluid-filled chambers with foam tensile member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chambers
US7591919B2 (en) 2007-08-13 2009-09-22 Nike, Inc. Fluid-filled chambers with foam tensile member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chambers
US8241451B2 (en) 2008-05-20 2012-08-14 Nike, Inc. Contoured fluid-filled chamber with a tensile member
US8056267B2 (en) 2008-05-30 2011-11-15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cleated sole assembly
WO2010057207A2 (en) 2008-11-17 2010-05-20 Select Sole Llc Retractable members and systems for foot wear
US8307569B2 (en) * 2009-04-01 2012-11-13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Training footwear
US9521877B2 (en) * 2013-02-21 2016-12-2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outsole bonded to cushioning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of footwear
US8479412B2 (en) 2009-12-03 2013-07-09 Nike, Inc. Tethered fluid-filled chambers
US8316560B2 (en) * 2010-02-15 2012-11-27 Nike, Inc. Air cushioning outsole window
US8782924B2 (en) * 2010-05-11 2014-07-22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structure with a framework-chamber arrangement
US8470113B2 (en) * 2010-05-12 2013-06-25 Nike,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toured fluid-filled chamber with a tensile member
US8464439B2 (en) * 2010-05-12 2013-06-18 Nike, Inc. Contoured fluid-filled chamber with a tensile member
US9161592B2 (en) 2010-11-02 2015-10-20 Nike, Inc. Fluid-filled chamber with a stacked tensile member
US20120260524A1 (en) * 2010-11-08 2012-10-18 Desarrollo Integral Del Molde, S.L. Hollow sole for footwea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8341856B2 (en) * 2010-12-28 2013-01-01 Superfeet Worldwide, Inc. Footwear with orthotic midsole
US8813389B2 (en) * 2011-04-06 2014-08-26 Nike, Inc. Adjustable bladder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8839530B2 (en) * 2011-04-12 2014-09-23 Nike, Inc. Method of lasting an article of footwear with a fluid-filled chamber
CN102349727B (zh) * 2011-10-12 2013-06-05 茂泰(福建)鞋材有限公司 一种减震鞋底及采用该减震鞋底的鞋
US8997380B2 (en) * 2012-02-24 2015-04-07 Under Armour, Inc. Multi-piece upper for athletic footwear
US8973290B2 (en) * 2012-07-30 2015-03-10 Nike, Inc. Reinforcing shank arrangement for footwear sole structure
US10849387B2 (en) * 2012-09-20 2020-12-01 Nike, Inc. 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plate moderated fluid-filled bladders and/or foam type impact force attenuation members
US9226548B2 (en) 2013-01-15 2016-01-05 Nike, Inc. Spacer textile material with channels having multiple tensile strands
EP2916679B1 (en) 2013-01-22 2017-11-08 NIKE Innovate C.V. Cleat and sole structure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9730487B2 (en) 2013-07-12 2017-08-15 Nike, Inc. Contoured fluid-filled chamber
US9700103B2 (en) 2013-08-20 2017-07-11 Nike, Inc. Cleated footwear with flexible cleats
US9427043B2 (en) 2013-10-31 2016-08-30 Nike, Inc. Fluid-filled chamber with stitched tensile member
EP3122198B1 (en) * 2014-03-24 2019-01-16 Podarte S.r.l. Insert for postural control of the foot
CN107072349B (zh) * 2014-10-31 2020-06-30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包含周界囊状元件的鞋类物品、用于其的制造方法
US9615625B1 (en) * 2015-09-17 2017-04-11 Wolverine Outdoors, Inc. Sole assembly for article of footwear
KR102214239B1 (ko) 2015-09-24 2021-02-09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코팅된 유지체 내의 입자형 발포체
US11026475B2 (en) 2016-09-08 2021-06-08 Nike, Inc. Flexible fluid-filled chamber with tensile member
US10524538B2 (en) 2016-09-08 2020-01-07 Nike, Inc. Flexible fluid-filled chamber with tensile member
US10694814B2 (en) * 2017-05-18 2020-06-30 Nike, Inc. Cushioning article with tensile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cushioning article
EP3624627A1 (en) * 2017-05-18 2020-03-25 Nike Innovate C.V. Articulated cushioning article with tensile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cushioning article
EP3629805B1 (en) * 2017-05-23 2021-12-29 Nike Innovate C.V. Midsole with graded response
KR102258453B1 (ko) * 2017-05-23 2021-06-02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등급화된 응답을 갖는 중창 시스템
KR102295998B1 (ko) * 2017-05-23 2021-09-02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단계화된 압축 강도를 갖는 돔형 중창
KR102643930B1 (ko) * 2018-05-30 2024-03-05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블래더가 구비된 신발류 밑창 구조
KR102505165B1 (ko) * 2018-05-31 2023-02-28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홈이 진 플랜지를 갖는 블래더를 구비하는 신발류 스트로벨 및 제조 방법
TWI757652B (zh) * 2018-11-20 2022-03-11 荷蘭商耐克創新有限合夥公司 用於一鞋件製品之鞋底結構
TWI738103B (zh) * 2018-11-20 2021-09-01 荷蘭商耐克創新有限合夥公司 鞋件的囊袋系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09546A1 (en) * 1996-09-03 1998-03-12 Reebok International Ltd. Support and cushioning system for footwear
US20060010717A1 (en) * 2004-06-15 2006-01-19 Wayne Finkelstein Therapeutic shoe sole design,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products constructed therefrom
US20110277911A1 (en) * 2008-11-26 2011-11-17 Allen Mark P Acoustic Baffle Members and Methods for Applying Acoustic Baffles in Cavit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399544A (zh) 2022-11-29
KR102643930B1 (ko) 2024-03-05
US20190365036A1 (en) 2019-12-05
KR102472834B1 (ko) 2022-11-30
KR20220160712A (ko) 2022-12-06
EP3801109A1 (en) 2021-04-14
US11044964B2 (en) 2021-06-29
WO2019231784A1 (en) 2019-12-05
CN112087964A (zh) 2020-12-15
CN112087964B (zh) 202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3930B1 (ko) 블래더가 구비된 신발류 밑창 구조
CN110636769B (zh) 具有拉伸部件的缓冲物品和制造缓冲物品的方法
US11633011B2 (en) Articulated cushioning article with tensile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cushioning article
US10791795B2 (en) Article with a cushioning assembly having inner and outer bladder elements and a reinforcement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CN105192992B (zh) 具有带有框架-室布置的鞋底结构的鞋类物品
CN110662442A (zh) 具有分级响应的鞋底夹层系统
CN113056214A (zh) 鞋类囊系统
US11992086B2 (en) Articulating footwear strobel with bladder and tensile component
US11622603B2 (en) Footwear with fluid-filled bladder
US20220322787A1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rticulating strobel with bladder and tensile compon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