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3871A - 다용도 테이블 - Google Patents

다용도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3871A
KR20210013871A KR1020190091613A KR20190091613A KR20210013871A KR 20210013871 A KR20210013871 A KR 20210013871A KR 1020190091613 A KR1020190091613 A KR 1020190091613A KR 20190091613 A KR20190091613 A KR 20190091613A KR 20210013871 A KR20210013871 A KR 20210013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nnection
coupled
coupling
multipurp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1302B1 (ko
Inventor
구현주
Original Assignee
엠에스캠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에스캠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에스캠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1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302B1/ko
Publication of KR20210013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3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 A47B3/06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combined with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08Extensible tables with extensible frames or with additional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3Rims for table top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착 영역이 구비되는 테이블 본체부와, 상기 테이블 본체부의 모서리를 수용하도록 복수로 마련되는 연결부와, 상기 테이블 본체부의 측면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연결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결합 시 상기 테이블 본체부를 지지하도록 하고, 분리 시 상기 연결부에 수납되도록 구비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용도 테이블{Multipurpose table}
본 발명은 다용도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편한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여 휴대가 용이하며, 내하중을 높여 무게를 잘 견딜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 발전에 따른 생활 풍족과 주 5일제 근무 등으로 인해 여가 활동으로서 캠핑과 같은 야외 활동을 하는 인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맞추어 캠핑 테이블의 사용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캠핑 테이블은 테이블 프레임과, 테이블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 되는 다리와, 테이블 프레임에 결합되는 테이블판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캠핑 테이블은 승용차에 실어 캠핑 장소로 이동되는데, 캠핑 테이블의 부피가 큰 경우 많은 공간을 차지하여 공간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캠핑 테이블을 접이식 형태로 마련하거나, 각각의 구성이 분리되도록 마련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전의 캠핑 테이블은 예를 들어 부피를 작게 하려고 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고, 분리되는 각각 부품의 결합 편리성 및 결합된 후의 안정성이나 공간 효율성에 대해서는 부족한 점이 많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또한, 캠핑시에는 음식을 조리하기 위해 버너를 포함하는 조리기가 필요하고, 이러한 조리기를 캠핑 테이블에 같이 장착할 수 있으면 편리하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도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블 본체의 모서리가 삽입되어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결부 및 이러한 연결부를 서로 연결시킴과 동시에 테이블 본체를 수용하는 결합부의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테이블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테이블 본체로 교체 가능하며, 인접한 다른 연결부와의 연결을 통해 복수의 테이블에 대한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용도 테이블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은 안착 영역이 구비되는 테이블 본체부와, 상기 테이블 본체부의 모서리를 수용하도록 복수로 마련되는 연결부와, 상기 테이블 본체부의 측면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연결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결합 시 상기 테이블 본체부를 지지하도록 하고, 분리 시 상기 연결부에 수납되도록 구비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결합부와 함께 상기 테이블 본체부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조리 영역이 구비된 테이블 본체부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가이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테이블 본체부의 모서리 형상에 대응되는 고정 영역이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결합부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레일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 레일과, 상기 본체의 제1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재 및 상기 본체의 제2외측면에 상기 돌출부재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 홈을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외측면 및 상기 제2외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연결 홀을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연결 홀은 상기 본체와 이웃하게 배치된 다른 본체의 돌출부재에 대한 상기 삽입 홈 내부로의 삽입 시 마주하는 한 쌍이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삽입부재의 삽입을 통해 이웃하게 배치되는 본체와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 한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연결 홀에 삽입되는 단부 형상이 '8'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 홀은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서 서로 다른 용도를 가진 복수의 수납부재가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가이드 한다.
한편, 상기 연결부는 상기 결합부가 결합되는 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수납 홈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복수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내부로의 순차적인 삽입을 통해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은, 테이블 본체의 모서리가 삽입되어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결부 및 이러한 연결부를 서로 연결시킴과 동시에 테이블 본체를 수용하는 결합부의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테이블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테이블 본체로 교체 가능하며, 인접한 다른 연결부와의 연결을 통해 복수의 테이블에 대한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연결부를 서로 연결하는 결합부의 구성을 통해 테이블의 내하중을 높이도록 함으로써, 테이블 본체에 안착된 물건의 하중으로 의한 파손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연결부의 구조를 통해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테이블에 대한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또는 동일한 위치에 수납 등을 위한 다른 부재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이동 동선을 최소화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의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의 분리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에 대한 연결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에 대한 결합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에 대한 연결부의 결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에 대한 테이블 본체부의 연결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에 대한 연결 홀에 결합된 삽입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에 대한 연결 홀에 결합된 수납부재의 제1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에 대한 연결 홀에 결합된 수납부재의 제2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에 대한 수납 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에 대한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의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의 분리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은 테이블 본체부(100), 연결부(200), 결합부(300) 및 지지부(400)를 포함한다.
먼저, 테이블 본체부(100)에는 사각의 형태를 가지며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안착 영역이 구비되고, 예를 들어 음식 용기 등과 같은 캠핑 시 필요한 물건들이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테이블 본체부(100)가 안착 영역을 구비한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해당할 뿐, 고정 결합된 상태는 아니며, 연결부(200) 및 결합부(300)의 분리를 통해, 예를 들어 음식을 가열하기 위한 조리 영역이 구비된 테이블 본체부가 교체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테이블 본체부(100)가 캠핑 시 사용되는 테이블인 것으로 한정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해당할 뿐, 다른 용도를 가진 테이블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연결부(200)는 테이블 본체부(100)의 모서리를 수용하여 고정시키도록 4개로 구비되며, 테이블 본체부(100)의 교체를 위하여 선택적으로 분리되게 형성된다.
또한, 결합부(300)는 테이블 본체부(100) 측면을 수용하도록 길이를 가지며 형성되고, 각각 이웃하게 배치된 연결부(200)의 사이에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테이블 본체부(100)와 연결부(200), 연결부(200)와 결합부(300)는 각각 조립된 상태에서 체결부재(B)의 체결을 통해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체결부재(B)의 체결 해제만을 통해 손쉽게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400)는 그 단부의 나사편(410)이 연결부(200)의 하부에 마련된 나사 홀(200a)에 분리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며, 그에 따라 결합 시 테이블 본체부(100)를 지지하는 한편, 분리 시에는 연결부(200)에 수납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지지부(400)의 구조는 정해진 것은 아니며, 연결부(200) 하부에 힌지 결합될 수도 있고, 모두 펼쳐진 상태에서는 테이블 본체부(100)를 지지하며, 접힌 상태에서는 테이블 본체부(100)의 보관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200) 및 결합부(300)의 구성을 포함하여 테이블 본체부(100)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테이블 본체부로의 교체가 가능하며, 이웃하는 연결부(200)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결합부(300) 구성을 통해 테이블 본체부(100)의 내하중을 높이도록 하여, 테이블 본체부(100)에 안착된 물건의 하중으로 의한 파손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에 대한 연결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에 대한 결합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에 대한 연결부의 결합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에 대한 테이블 본체부의 연결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에 대한 연결 홀에 결합된 삽입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에 대한 연결 홀에 결합된 수납부재의 제1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에 대한 연결 홀에 결합된 수납부재의 제2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200)는 본체(210), 결합 레일(220), 돌출부재(230) 및 삽입 홈(240)을 구비한다.
본체(210)는 테이블 본체부(100)의 모서리를 지지하도록 그 형상에 대응되는 고정 영역(A)을 구비한다.
그리고, 결합 레일(220)은 본체(210)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300)의 수용 홈(300a)이 테이블 본체부(100)의 측면을 수용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 결합홀(310) 내부에 결합 레일(220)이 결합되도록 하여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돌출부재(230)는 본체(210)의 제1외측면(210a)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삽입 홈(2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0)의 제2외측면(210b)에서 돌출부재(23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본체(210)의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게 위치된 다용도 테이블의 본체(210')와 결합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는데, 이때 본체(210)의 제1외측면(210a)과 또다른 본체(210')의 제2외측면(210b)이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돌출부재(230)가 삽입 홈(240)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그 연결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테이블 본체부(100, 100')에 대한 결합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돌출부재(230) 및 삽입 홈(240)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하여, 테이블 본체부(100)의 사방에서 다른 테이블 본체부들과 연속적으로 연결되게 할 수도 있고, 그에 따라 인원수에 맞게 테이블 본체부(100) 확장이 가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미 연결된 다른 테이블에 대해서는 파손 등의 발생 시 용이하게 연결 해제를 통해 교체가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연결부(200)는 본체(210) 제1외측면(210a) 및 제2외측면(210b)에 각각 형성되는 연결 홀(H)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홀(H)은 본체(210)와 이웃하게 배치된 다른 본체(210')의 돌출부재(230')와 삽입 홈(240)이 결합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서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삽입부재(250)의 삽입을 통해 이웃하게 배치되는 본체(210')와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재(250)는 이웃한 본체(210, 210') 결합 시 형성된 한 쌍의 연결 홀(H)의 연결 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더 바람직하게는 그 단부의 형상이 '8'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는, 그 형상적인 특징으로 인하여 삽입부재(250)의 삽입만으로도 이웃한 본체(210, 210') 사이에 대한 결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삽입부재(250)를 가지고 동시에 본체(210, 210')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어,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조립에 필요한 부재의 수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삽입부재(250)에는 별도의 링(250a)이 연결된 형태가 될 수도 있으며, 그에 따라 복수의 삽입부재(250)에 구비된 링(250a) 모두에 결속부재(미도시)를 걸어 복수의 삽입부재(250)에 대한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연결 홀(H)은 전술된 바와 같이, 이웃하게 배치된 본체(210, 210') 사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으나, 다른 용도의 부재들이 결합되기 위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홀(H), 더 구체적으로는 본체(210, 210')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최외곽에 마련된 본체(210, 210')의 외주면에 마련된 연결 홀(H)에는 복수의 수납부재(260)가 용도에 맞게 교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수납 등을 위해 사용자가 다용도 테이블과 먼 위치로 이동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이동 동선을 최소화 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수납부재(260)는 쓰레기 봉투가 걸어질 수 있는 걸이부재, 사용자의 개인 용품을 담을 수 있는 바구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외 다른 용도의 부재, 예를 들어 연결 홀(H)에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의류함, 구급함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납부재(260)가 최외곽에 마련된 본체(210, 210')에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정해진 것은 아니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한 본체(210, 210') 사이에 배치되어 음식을 가열하기 위한 조리 영역이 마련되게 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본 실시예를 통해 조리 영역이 마련된 테이블 본체부(100)로의 교체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고, 결과적으로는 조리 영역이 테이블 본체부(100)와 별도로 배치되게 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안착 영역에 안착된 음식 등을 더욱 넓은 공간에서 섭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에 대한 수납 홈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에 대한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200)는 수납 홈(27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도 10은 수납 홈(270)을 보여주기 위하여 테이블 본체부(100)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이러한 수납 홈(270)은 결합부(300)가 결합되는 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고, 지지부(400)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마련된다.
수납 홈(270)은 결합부(300)의 양단부가 안착되도록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마주하는 수납 홈(270) 내부까지의 직선 거리(L1)가 지지부(400)의 길이 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마주하는 수납 홈(270) 입구까지의 직선 거리(L2)가 지지부(400)의 길이 보다 짤은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지지부(400)는 도 11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가 서로 다른 직경으로 구비되어 내부로의 삽입을 통해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는데, 이때 초기의 길이로 축소시킨 상태에서 일단부를 먼저 수납 홈(270) 내부로 삽입한 이후, 타단부를 마주하는 다른 수납 홈(270)으로 밀어올려 양단부가 각각의 수납 홈(270) 사이에 걸림 위치되게 함으로써, 지지부(400)의 수납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지지부(400)는 연결부(300)의 하부에 회전을 통해 체결, 테이블 본체부(100)를 지지하도록 하며, 소정의 간격을 가지는 복수의 설정 홀(400a) 중 원하는 설정 홀(400a) 체결부재(B)를 삽입하여 테이블 본체부(100)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데, 테이블 본체부(100)의 사용 후에는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부피를 최소화하여 지지부(400)의 길이를 초기의 길이로 최소화한 상태에서는 분실 위험 또한 존재하기 때문에, 지지부(400)를 서로 마주하는 각각의 연결부(200)의 수납 홈(270)에 전술된 방식을 따르며 수납하도록 함으로써, 다용도 테이블의 부피를 최소화 하면서도, 복수개로 구비된 지지부(400)의 분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테이블 본체의 모서리가 삽입되어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결부 및 이러한 연결부를 서로 연결시킴과 동시에 테이블 본체를 수용하는 결합부의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테이블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테이블 본체로 교체 가능하며, 인접한 다른 연결부와의 연결을 통해 복수의 테이블에 대한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연결부를 서로 연결하는 결합부의 구성을 통해 테이블의 내하중을 높이도록 함으로써, 테이블 본체에 안착된 물건의 하중으로 의한 파손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연결부의 구조를 통해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테이블에 대한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또는 동일한 위치에 수납 등을 위한 다른 부재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이동 동선을 최소화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00 : 테이블 본체부 200 : 연결부
200a : 나사홀 210 : 본체
210a: 제1외측면 210b : 제2외측면
220 : 결합 레일 230 : 돌출부재
240 : 삽입 홈 250 : 삽입부재
250a : 링 260 : 수납부재
270 : 수납 홈 300 : 결합부
300a: 수용 홈 400 : 지지부
400a : 설정 홀 410 : 나사편
A : 고정 영역 B : 체결부재
H : 연결 홀

Claims (9)

  1. 안착 영역이 구비되는 테이블 본체부;
    상기 테이블 본체부의 모서리를 수용하도록 복수로 마련되는 연결부;
    상기 테이블 본체부의 측면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연결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결합 시 상기 테이블 본체부를 지지하도록 하고, 분리 시 상기 연결부에 수납되도록 구비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테이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결합부와 함께 상기 테이블 본체부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조리 영역이 구비된 테이블 본체부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테이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테이블 본체부의 모서리 형상에 대응되는 고정 영역이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결합부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레일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 레일;
    상기 본체의 제1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재; 및
    상기 본체의 제2외측면에 상기 돌출부재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테이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외측면 및 상기 제2외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연결 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테이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홀은,
    상기 본체와 이웃하게 배치된 다른 본체의 돌출부재에 대한 상기 삽입 홈 내부로의 삽입 시 마주하는 한 쌍이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삽입부재의 삽입을 통해 이웃하게 배치되는 본체와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테이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연결 홀에 삽입되는 단부 형상이 '8'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테이블.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홀은,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서 서로 다른 용도를 가진 복수의 수납부재가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테이블.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결합부가 결합되는 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수납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테이블.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복수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내부로의 순차적인 삽입을 통해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테이블.
KR1020190091613A 2019-07-29 2019-07-29 다용도 테이블 KR102281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613A KR102281302B1 (ko) 2019-07-29 2019-07-29 다용도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613A KR102281302B1 (ko) 2019-07-29 2019-07-29 다용도 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871A true KR20210013871A (ko) 2021-02-08
KR102281302B1 KR102281302B1 (ko) 2021-07-23

Family

ID=74560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613A KR102281302B1 (ko) 2019-07-29 2019-07-29 다용도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3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183B1 (ko) * 2021-12-13 2022-12-07 이원옥 다목적 조립식 테이블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787U (ko) * 1994-06-03 1996-01-22 자동판매기의 상품반출장치
JP2007022027A (ja) * 2005-07-21 2007-02-01 Noda Corp 木質部材の連結構造
KR20110100794A (ko) * 2010-03-05 2011-09-15 주식회사 케이에스엠 야외 테이블
KR20170055775A (ko) * 2015-11-12 2017-05-22 주식회사 카라신 조립식 테이블
CN207023668U (zh) * 2017-02-10 2018-02-23 秋野地(厦门)户外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可折叠的户外桌
KR101960251B1 (ko) * 2017-09-19 2019-03-20 장영국 다용도 테이블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787U (ko) * 1994-06-03 1996-01-22 자동판매기의 상품반출장치
JP2007022027A (ja) * 2005-07-21 2007-02-01 Noda Corp 木質部材の連結構造
KR20110100794A (ko) * 2010-03-05 2011-09-15 주식회사 케이에스엠 야외 테이블
KR20170055775A (ko) * 2015-11-12 2017-05-22 주식회사 카라신 조립식 테이블
CN207023668U (zh) * 2017-02-10 2018-02-23 秋野地(厦门)户外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可折叠的户外桌
KR101960251B1 (ko) * 2017-09-19 2019-03-20 장영국 다용도 테이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183B1 (ko) * 2021-12-13 2022-12-07 이원옥 다목적 조립식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1302B1 (ko) 202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693614S1 (en) Stand
KR200447410Y1 (ko)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
US4112855A (en) Foldable furniture unit
KR101803436B1 (ko) 기능성 확장 테이블
US20170258224A1 (en) Modular furniture system
KR20210013871A (ko) 다용도 테이블
KR20120083555A (ko) 조립형 화로대
KR20090001485U (ko) 휴대용 절첩식 로스터
US4475528A (en) Portable cooking apparatus
US5251955A (en) Transportable picnic table
KR101600556B1 (ko) 캠핑용 테이블
KR100917255B1 (ko) 접이식 다용도 테이블
US2404182A (en) Furniture
KR20150002434U (ko) 장부맞춤을 이용한 조립식 테이블
US2457411A (en) Set of knockdown furniture
KR200495625Y1 (ko) 캠핑용 테이블
JP2019092574A (ja) 家具
CN202286904U (zh) 便携式折叠桌椅
CN210493101U (zh) 一种桌子
KR20130011562A (ko) 소파 겸 침대기능을 갖는 다용도 가구
RU2463934C1 (ru) Трансформируемый предмет мебели
JP2021045409A (ja) 収納ケース
CN211657979U (zh) 一种简易型折叠烧烤台
KR102351266B1 (ko) 캠핑 의자 가방을 이용한 접이식 테이블
CN209965819U (zh) 一种可自由配置的模块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