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3718A - 차량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3718A
KR20210013718A KR1020207037164A KR20207037164A KR20210013718A KR 20210013718 A KR20210013718 A KR 20210013718A KR 1020207037164 A KR1020207037164 A KR 1020207037164A KR 20207037164 A KR20207037164 A KR 20207037164A KR 20210013718 A KR20210013718 A KR 20210013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information
terminal
communication
radio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7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연
김성훈
진승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13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37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04W72/04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04W72/04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5G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차량 통신 서비스(Vehicle to Everything, V2X)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차량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5G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차량 통신 서비스(Vehicle to Everything, V2X)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5G 시스템에서는 기존 4G 시스템 대비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지원을 고려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들은 모바일 초광대역 통신 서비스(eMBB: enhanced mobile broad band), 초 고신뢰성/저지연 통신 서비스(UR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대규모 기기간 통신 서비스(m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차세대 방송 서비스(eMBMS: evolved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URLLC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URLLC 시스템, eMBB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eMBB 시스템 등이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와 시스템이라는 용어는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 중 URLLC 서비스는 기존 4G 시스템과 달리 5G 시스템에서 새롭게 고려하고 있는 서비스이며, 다른 서비스들 대비 초 고
신뢰성(예를 들면, 패킷 에러율 약 10-5)과 저 지연(latency)(예를 들면, 약 0.5msec) 조건 만족을 요구한다. 이러한 엄격한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URLLC 서비스는 eMBB 서비스보다 짧은 전송 시간 간격(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의 적용이 필요할 수 있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운용 방식들이 고려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인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V2X(Vehicle to Everything)는 도로 차량에 적용 가능한 모든 형태의 통신방식을 지칭하는 일반 용어로서 무선 통신 기술 발전과 접목하여 초기의 안전 유스케이스 외에도 다양한 부가 서비스가 가능해지고 있다.
V2X 서비스 제공 기술로 IEEE 802.11p와 IEEE P1609 기반의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s) 규격이 표준화 되었다. 그러나,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의 일종인 WAVE는 차(Vehicle)와 차 간의 메시지 통달 거리가 제한되어 있다는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고자 셀룰러 기반의 V2X 기술 표준이 3GPP에서 진행되고 있다. Release 14/Release 15에서 LTE 기반의 EPS(Evolved Packet System) V2X 표준이 완료되었고, Release 16에서 NR 기반의 5GS(5th Generation System) V2X 표준이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3GPP 기반의 V2X 시스템에서 EPS V2X 기능을 지원하는 차량과 5GS V2X 기능을 지원하는 차량 간의 통신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5GS에 접속하여 V2X 기능을 이용하는 차량이 EPS V2X 기능을 지원하는 차량과 통신하기 위하여 무선 자원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받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방법에 있어서, 제1 라디오 접속 기술을 이용하는 제1 기지국과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2 라디오 접속 기술에 기반한 사이드 링크(sidelink) 자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sidelink 자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라디오 접속 기술에 기반한 차량(vehicle to everything, V2X)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제1 라디오 접속 기술을 이용하는 제1 기지국과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2 라디오 접속 기술에 기반한 사이드 링크(sidelink) 자원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sidelink 자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라디오 접속 기술에 기반한 차량(vehicle to everything, V2X) 통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서, 차량 단말은 V2X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차량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차량 단말이란 차량에 내장된 장치일 수 있고, 또는 스마트폰이나 블랙박스와 같이 차량에 부착된 단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5GS에 접속하여 NR 무선기술을 사용, 5GS V2X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NR 무선기술을 사용하는 기지국은 단말에게 LTE 무선기술을 사용하여 V2X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무선 자원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NR 기지국에 머무르는 동안에도 LTE 무선기술을 통한 V2X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NR에 접속하지 않고 LTE에 접속하여 V2X 서비스를 사용하는 단말들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EPS에 접속하여 LTE 무선기술을 사용, EPS V2X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LTE 무선기술을 사용하는 기지국은 단말에게 NR 무선기술을 사용하여 V2X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무선 자원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LTE 기지국에 머무르는 동안에도 NR 무선기술을 통한 V2X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LTE에 접속하지 않고 NR에 접속하여 V2X 서비스를 사용하는 단말들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접속한 기지국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무선기술의 자원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무선기술의 자원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자원 충돌(collision)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메시지 전송 및 수신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V2X 시스템 아키텍쳐의 예를 도시하고, 네트워크 엔터티와 차량 단말의 연결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UTRA 지역이 NR 지역을 포함하는 경우, E-UTRA 지역에 위치한 차량과 NR 지역에 위치한 차량간 통신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UTRA 지역이 NR 지역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E-UTRA 지역에 위치한 차량과 NR 지역에 위치한 차량간 통신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V2X 기능을 제공하는 기지국과 차량 단말간의 메시지 전송 절차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V2X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기지국과 차량 단말간의 메시지 전송 절차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ell 재선택 동작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 무선 기술을 이용하는 기지국과 NR 무선 기술을 이용하는 기지국간 통신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의 mode 3 동작을 위한 절차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 무선 기술을 이용하는 기지국과 NR 무선 기술을 이용하는 기지국간 통신이 필요한 경우의 mode 3 동작을 위한 절차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ode 4의 in-coverage 동작을 위한 절차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단말에게 V2X 서비스 파라미터 정보를 미리 설정(pre-configuration)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엔터티 (Network Entity)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접속 노드(node)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망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망 객체들 간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한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은 5G 시스템에 대한 규격에서 정의하는 용어와 명칭들을 사용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3GPP가 규격을 정한 통신 규격을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에도 본 발명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으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V2X 시스템 및 V2X 서비스(예를 들면, V2X 메시지 내지 V2X 데이터의 송수신 등)를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서비스(예를 들면, 메시지 내지 데이터의 송수신 등)에도 본 발명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으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V2X 시스템 아키텍쳐의 예를 도시하고, 네트워크 엔터티와 차량 단말의 연결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EPS(Evolved Packet System) 기반 V2X 시스템은 EPC(Evolved Packet Core) 코어 네트워크(110)와 LTE(Long Term Evolution) 기지국(120, 1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5GS(5th Generation System) 기반 V2X 시스템은 5GC(5th Generation Core) 코어 네트워크(115)와 NR(New Radio) 기지국(123, 12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EPC 코어 네트워크와 5GC 코어 네트워크에 동시에 연결된 기지국(123)은 LTE 기지국 기능과 NR 기지국 기능을 모두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123)은 5G 기지국, 혹은 gNB로 불릴 수 있다. 본 발명에서 EPS V2X 기능은, 단말이 4G 핵심망인 EPS에 접속하여 V2X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한다. 4G 단말은 무선접속 기술로 LTE를 사용하기 때문에, EPS V2X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은 EPS에 접속하여 LTE V2X 기능을 이용한다고 할 수 있다. LTE V2X는 단말 대 단말 통신 기술로 LTE에서 제공하는 V2X 기술을 의미하며, 이를 LTE PC5라 부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5GS V2X 기능은, 단말이 5G 핵심망인 5GS에 접속하여 V2X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한다. 5G 단말은 무선접속 기술로 LTE(또는 진화된 LTE)와 NR(New Radio)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5GS V2X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은 5GS에 접속하여 LTE V2X, NR V2X 기능을 이용한다고 할 수 있다. NR V2X는 단말 대 단말 통신 기술로 NR에서 제공하는 V2X 기술을 의미하며, 이를 NR PC5 인터페이스라 부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단말은 EPS V2X 기능을 제공하거나, 5GS V2X 기능을 제공하거나, 또는 EPS V2X 기능과 5GS V2X 기능을 모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EPS V2X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 단말은 LTE 기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LTE PC5 인터페이스, D2D Interface 등)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5GS V2X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 단말은 5G 기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NR PC5 인터페이스, D2D Interface 등)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차량 단말(130)은 보유한 EPS V2X 기능을 이용하여 LTE 기지국(120)을 통해 EPC 코어 네트워크(110)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차량 단말(136)은 보유한 5GS V2X 기능을 이용하여 NR 기지국(126)을 통해 5GC 코어 네트워크(115)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차량 단말(133)은 보유한 EPS V2X 기능을 이용하여 LTE 기지국(123)을 통해 EPC 코어 네트워크(110)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차량 단말(133)은 보유한 5GS V2X 기능을 이용하여 NR 기지국(123)을 통해 5GC 코어 네트워크(115)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E-UTRA 지역에 위치한 차량과 NR 지역에 위치한 차량 간 통신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도 2를 참고하면, E-UTRA 지역(210)은 NR 지역(220)을 포함할 수 있다. E-UTRA 지역(210)에 위치한 차량(213)과 NR 지역(220)에 위치한 차량(223)은 단말간 직접 통신 서비스(예를 들면, ProSe(Proximity-based Service), D2D(Device to Device), Sidelink 통신 등)를 통해 V2X 메시지를 서로 주고받을 수 있다.
두 차량이 모두 LTE PC5를 지원할 경우, 상기 차량간 직접 통신은 LTE 기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LTE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는, 두 차량이 모두 NR PC5를 지원할 경우, 상기 차량간 직접 통신은 5G 기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NR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E-UTRA 지역에 위치한 차량과 NR 지역에 위치한 차량간 통신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도 3을 참고하면, E-UTRA 지역(310)은 NR 지역(32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E-UTRA 지역(310)에 위치한 차량(313)과 NR 지역(320)에 위치한 차량(323)은 단말간 직접 통신 서비스(예를 들면, ProSe, D2D 통신 등)를 통해 V2X 메시지를 서로 주고받을 수 있다.
두 차량이 모두 LTE PC5를 지원한다면, 상기 차량간 직접 통신은 LTE 기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LTE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는, 두 차량이 모두 NR PC5를 지원한다면, 상기 차량간 직접 통신은 5G 기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NR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고하면, NR 지역(320)은 서로 다른 복수개의 E-UTRA 지역(310, 330)과 인접할 수 있다. NR 지역(320)에 위치한 차량(323)은 E-UTRA 지역(310)에 위치한 차량(313) 및 또 다른 E-UTRA 지역(330)에 위치한 차량(333)과 단말간 직접 통신 서비스(예를 들면, ProSe, D2D, Sidelink 통신 등)를 통해 V2X 메시지를 서로 주고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NR 지역에 위치한 차량(323)이 E-UTRA 지역에 위치한 복수개의 차량 단말(313, 333)과 직접 통신을 하는데 있어서 동일한 직접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323)은 LTE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차량(313) 및 차량(333)과 V2X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다. 또는, 차량(323)은 NR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차량(313) 및 차량(333)과 V2X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NR 지역에 위치한 차량(323)이 E-UTRA 지역에 위치한 복수개의 차량 단말(313, 333)과 직접 통신을 하는데 있어서 서로 다른 직접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323)은 LTE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차량(313)과 V2X 메시지를 주고받고, NR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차량(333)과 V2X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단말의 PC5 통신은 세 가지 방법이 가능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단말이 PC5 인터페이스로 메시지를 보내기 위해 기지국에게 어떤 자원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전송할지 요청 메시지를 보내고, 기지국은 현재 네트워크 상황을 기반으로 최적의 sidelink 전송 자원을 선택하여 단말에게 회신하는 방법이다. 단말은 V2X 메시지를 보낼 때마다 기지국에게 sidelink 자원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첫 번째 방법을 mode 3 (또는, mode 1 이라 지칭할 수 있다) 동작이라고 지칭한다.
두 번째 방법은 단말이 PC5 인터페이스로 메시지를 보내기 위해 기지국에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자원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보내고, 기지국은 단말이 이용 가능한 sidelink 자원 풀(resource pool)정보를 단말에게 회신하는 방법이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sidelink 자원 풀 정보를 저장하고, V2X 메시지를 보낼 때마다 저장한 sidelink 자원 풀에서 자원을 선택하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이 기지국에게 자원 정보를 명시적으로 요청하지 않아도, 기지국은 단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를 통해서 sidelink 자원 풀 정보를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고, 단말은 이와 같이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V2X 메시지를 보낼 때 자원 선택을 위하여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두 번째 방법을 mode 4 (또는, mode 2 라 지칭할 수 있다) 의 인 커버리지(in-coverage) 동작이라고 지칭한다.
세 번째 방법은 V2X 메시지 전송을 위한 sidelink 자원 정보가 단말에 미리 설정(pre-configuration)되어 있고, 단말은 미리 설정된 sidelink 자원 정보를 이용하여 V2X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이다. 세 번째 방법은 단말과 기지국의 통신이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세 번째 방법을 mode 4 (또는, mode 2 라 지칭할 수 있다) 의 아웃 오브 커버리지(out-of-coverage) 동작이라고 지칭한다. 상기 세 가지 방법은 LTE PC5 통신 및 NR PC5 통신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V2X 기능을 제공하는 기지국과 차량 단말간의 메시지 전송 절차를 도시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단말(410)은 NR 기지국(415)으로부터 SIB(System Information Block) 기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410). 상기 SIB 기본 메시지(S410)에는 SIB v2x 메시지(S420)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 자원 스케쥴링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자원 스케쥴링 정보는 SIB v2x 메시지가 실제로 전달되는 시간-주파수 영역에서의 자원을 지시하며, 시스템 정보의 수신에 필요한 기본적인 무선 자원 설정 정보가 될 수 있다.
상기 SIB 기본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SIB 기본 메시지에 포함된 스케쥴링 정보에 따라 SIB v2x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420). 상기 SIB v2x 메시지에는 V2X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정보(예를 들면, NR 기지국(415)이 제공하는 V2X 기능 및 무선 자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R 기지국(415)이 제공하는 V2X 기능은 단말 자율의 사이드링크 송수신 기능, 이웃 주파수 자원 스케쥴링 기능, 간섭 관리 기능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NR 기지국(415)이 제공하는 무선 자원 정보는 V2X 사이드링크 송수신에 사용될 수 있는 자원 풀 설정 정보, 특히 송신 자원 풀, 수신 자원 풀, 예외 상황에 사용할 수 있는 자원 풀 등이 포함이 될 수 있다. 상기 SIB v2x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SIB v2x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후속 동작을 취할 수 있다(S430).
SIB v2x 메시지는 v2x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정보만 포함할 수 있는 전용 메시지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단말이 수신하는 일반적인 SIB 정보 (예: LTE의 SIB 20)에 V2X 서비스를 위한 정보가 포함되어있는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SIB 기본 메시지에서 획득한 다른 SIB 메시지(V2X 정보를 담고 있는)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SIB 메시지를 수신, V2X 기능 및 자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만약 V2X 정보를 담고 있을 수 있는 SIB 메시지를 수신하였으나, 해당 메시지에 V2X 기능 및 자원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단말은 해당 Cell에서 V2X가 지원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다른 기지국으로 접속하기 위한 Cell 재선택 동작을 수행하여 V2X 서비스를 제공 받거나, 혹은 Cell을 재선택 하지 않고 Mode4의 Out-of-coverage 동작을 이용하여 V2X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NR 기지국은 NR PC5 통신을 위한 NR sidelink 자원을 제어/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NR 기지국은 LTE PC5 통신을 위한 LTE sidelink 자원을 제어/관리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NR 기지국(415)이 단말(410)에게 전송하는 SIB v2x 메시지에는 상기 NR 기지국이 제어/관리할 수 있는 NR PC5 통신을 위한 NR sidelink 자원 정보와 LTE PC5 통신을 위한 LTE sidelink 자원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NR sidelink 자원 정보는 NR V2X 사이드링크 송수신에 사용될 수 있는 자원 풀 설정 정보, 특히 송신 자원 풀, 수신 자원 풀, 예외 상황에 사용할 수 있는 자원 풀 설정 정보가 될 수 있다. 상기 LTE sidelink 자원 정보는 LTE V2X 사이드링크 송수신에 사용될 수 있는 자원 풀 설정 정보, 특히 송신 자원 풀, 수신 자원 풀, 예외 상황에 사용할 수 있는 자원 풀 설정 정보가 될 수 있다. 상기 SIB v2x 메시지에는 기지국이 NR PC5를 지원하는지, 혹은 NR PC5의 mode 3를 지원하는지, mode 4를 지원하는지, 혹은 둘 다 지원하는지, 또는 기지국이 LTE PC5를 지원하는지, LTE PC5의 mode 3를 지원하는지, mode 4를 지원하는지, 혹은 둘 다 지원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시지에 LTE PC5의 mode 4에 대한 resource pool 정보가 있다면, 단말은 상기 기지국이 LTE PC5 mode 4를 지원함을 알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상기 메시지에는 기지국이 지원하는 RAT type (예를 들면, LTE, NR 내지)을 지칭하는 지시자(indication)이 포함될 수 있다.
단말은 단말이 수신한 SIB v2x 메시지에 LTE PC5 mode 3에 대한 정보가 있다면, 혹은 LTE PC5를 지원하는 정보가 있다면 상기 SIB v2x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LTE PC5 통신을 위한 mode 3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mode 3 동작은 도 7과 도 8에서 도시한다.
단말이 수신한 SIB v2x 메시지에 LTE PC5 mode 4를 위한 resource pool 정보, 혹은 mode 4를 지원한다는 지시가자 포함되어 있다면, 또는 LTE PC5를 지원한다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면, 상기 SIB v2x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LTE PC5 통신을 위한 mode 4의 in-coverage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mode 4의 in-coverage 동작은 도 9에서 도시한다. 상기 단말은 NR을 통하여 기지국에 접속하였기 때문에, NR PC5를 이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 역시 SIB v2x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기반하여 mode 3, mode 4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NR 기지국(415)이 단말(410)에게 전송하는 SIB v2x 메시지에는 상기 NR 기지국이 제어/관리할 수 있는 NR PC5 통신을 위한 NR sidelink 자원 정보만 포함되고, LTE PC5 통신을 위한 LTE sidelink 자원 정보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SIB v2x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LTE PC5 통신을 위한 mode 4의 out-of-coverage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LTE PC5를 사용할 필요가 있으나, SIB v2x 메시지를 수신한 결과 해당 기지국이 LTE PC5를 지원하지 않으면, 상기 SIB v2x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LTE PC5를 지원하는 다른 기지국에 접속하기 위하여 cell 재선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cell 재선택 동작은 도 6에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V2X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기지국과 차량 단말간의 메시지 전송 절차를 도시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단말(510)은 NR 기지국(515)으로부터 SIB(System Information Block) 기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510). 상기 NR 기지국은 V2X 기능을 제공하지 않으므로, 상기 SIB 기본 메시지에는 SIB v2x 메시지의 스케쥴링 정보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SIB 기본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상기 SIB 기본 메시지에 SIB v2x 메시지 스케쥴링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것을 보고 상기 NR 기지국이 V2X 기능을 제공하지 않음을 알 수 있고, 그에 따른 후속 동작을 취할 수 있다(S520). 예를 들면, 상기 SIB 기본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LTE PC5 통신을 위한 mode 4의 out-of-coverage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SIB 기본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다른 기지국에 접속하기 위하여 cell 재선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cell 재선택 동작은 도 6에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cell 재선택 동작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NR 기지국(615)으로부터 SIB 기본 메시지를 수신(S610)한 차량 단말(610)은 다른 기지국의 cell을 선택하여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상기 절차는 도 5에 도시되었다. 즉, SIB 기본 메시지에 SIB v2x 메시지를 수신(S620)할 수 있는 스케쥴링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단말은 해당 Cell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지 않고 다른 Cell을 찾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NR 기지국(615)으로부터 SIB 기본 메시지와 SIB v2x 메시지를 수신한 차량 단말(610)은 SIB v2X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기반하여 다른 기지국의 cell을 선택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절차는 도 4에 도시되었다. 예를 들어 단말은 LTE PC5를 사용할 필요가 있으나, SIB v2x 메시지를 수신한 결과 해당 기지국이 LTE PC5를 지원하지 않으면, 상기 SIB v2x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LTE PC5를 지원하는 다른 기지국에 접속하기 위하여 cell 재선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말(610)은 SIB 기본 메시지 혹은 SIB v2x 메시지를 수신한 후, 원하는 V2X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cell을 찾기 위해서 다른 NR 기지국(620)이 전송하는 SIB(System Information Block) 기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63). 상기 SIB 기본 메시지에는 SIB v2x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 자원 스케쥴링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SIB 기본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SIB 기본 메시지에 포함된 스케쥴링 정보에 따라 SIB v2x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640).
상기 SIB v2x 메시지에는 V2X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정보(예를 들면, NR 기지국(620)이 제공하는 V2X 기능 및 자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IB v2x메시지에는 상기 NR 기지국이 제어/관리할 수 있는 NR PC5 통신을 위한 NR sidelink 자원 정보와 LTE PC5 통신을 위한 LTE sidelink 자원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SIB v2x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LTE PC5 통신을 위한 mode 3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650). 상기 mode 3 동작은 도 7과 도 8에서 도시한다.
또는 상기 SIB v2x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LTE PC5 통신을 위한 mode 4의 in-coverage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650). 상기 mode 4의 in-coverage 동작은 도 9에서 도시한다. 또 다른 예로, 상기 단말(610)은 SIB 기본 메시지 혹은 SIB v2x 메시지를 수신한 후, 원하는 V2X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cell을 찾기 위해서 NR 기지국이 아닌 LTE 기지국을 선택할 수 있다. LTE 기지국이 전송하는 SIB(System Information Block) 기본 메시지를 수신하고, 해당 cell을 선택하고, 해당 cell의 SIB21(즉, V2X 무선 자원 정보가 포함된 SIB 메시지)를 수신하여 LTE PC5 통신을 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NR 기지국이 LTE PC5 통신을 위한 LTE sidelink 자원 정보를 제어/관리하는 방법으로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LTE 기지국이 LTE sidelink 자원을 전부 제어/관리하는 방법이다. 첫 번째 방법의 경우, NR 기지국이 LTE 기지국에게 LTE sidelink 자원 정보를 요청하면, LTE 기지국은 LTE 기지국이 관리하고 있는 LTE sidelink 자원 정보를 NR 기지국에게 알려줄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은 LTE sidelink로 사용할 수 있는 가용 자원을 LTE 기지국과 NR 기지국에게 나누어 LTE 기지국과 NR 기지국이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관리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 방법의 경우, NR 기지국이 제어/관리할 수 있는 LTE sidelink 가용 자원이 따로 존재하므로, NR 기지국은 LTE 기지국에게 LTE sidelink 자원 정보를 요청하지 않고, NR 기지국이 관리하는 LTE sidelink 가용 자원 내의 LTE sidelink 자원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LTE sidelink 자원 정보는 LTE V2X 사이드링크 송수신에 사용될 수 있는 자원 풀 설정 정보, 특히 송신 자원 풀, 수신 자원 풀, 예외 상황에 사용할 수 있는 자원 풀 설정 정보일 수 있으며, LTE 기지국과 NR 기지국은 각각 상대 RAT-type에 대한 사이드링크 자원 풀 설정를 제어/관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ode 3 동작을 위한 절차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SIB 기본 메시지 및 SIB v2x 메시지를 수신(S710, S720)한 차량 단말(710)은 상기 SIB v2x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NR 기지국(715)이 LTE PC5 통신을 위한 LTE sidelink 자원을 제어/관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단말은 mode 3 동작을 위해 상기 NR 기지국과 RRC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S730). RRC 연결 설정을 완료한 상기 단말은 RRC Connected mode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RRC Connected mode 상태에 들어간 상기 단말은 NR 기지국에게 LTE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V2X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LTE PC5 전송 자원을 요청할 수 있다(S740). S740 단계에서 단말(710)이 기지국(715)에게 전송하는 자원 요청 메시지에는 단말이 이용하고자 하는 QoS 정보 (예를 들면, PPPP, PPPR, 5QI 및/내지 5G QoS parameters), 단말이 이용하고자 하는 V2X 서비스 정보 (예를 들면, PSID, ITS-AID 등)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LTE sidelink 자원 중 LTE 기지국과 NR 기지국이 각각 독립적 활용할 수 있는 자원으로 나누어 각각 LTE 기지국과 NR 기지국이 제어/관리할 경우, 상기 NR 기지국은 스스로 제어/관리할 수 있는 LTE sidelink 자원 중 중 현재 mode 3로 제공할 수 있는 LTE sidelink 자원을 선택하여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S750). S750 단계에서 기지국(715)이 단말(710)에게 전송하는 자원 정보에는 기지국이 직접 스케쥴링하는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의 자원 설정 정보는 시스템정보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자원 풀 중에서 하나의 자원 풀을 재설정할 수 있으며, 특히 설정된 자원 풀 내에서 단말이 전송해야하는 구체적인 시간-주파수 영역에서의 자원 정보를 지시한다. 이는 기지국이 서빙 셀 내에 존재하는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을 모두 컨트롤한다는 의미이며, 단말들간의 사이드링크 전송간의 간섭을 물리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는 LTE V2X에서의 mode 3전송에 해당하며, 본 특허에서의 NR mode 3 동작에 매핑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ode 3 동작을 위한 절차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SIB 기본 메시지 및 SIB v2x 메시지를 수신(S810, S820)한 차량 단말(810)은 상기 SIB v2x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NR 기지국(815)이 LTE PC5 통신을 위한 LTE sidelink 자원을 제어/관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단말은 mode 3 동작을 위해 상기 NR 기지국과 RRC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S830). RRC 연결 설정을 완료한 상기 단말은 RRC Connected mode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RRC Connected mode 상태에 들어간 상기 단말은 NR 기지국에게 LTE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V2X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LTE PC5 전송 자원을 요청할 수 있다(S840). S840 단계에서 단말(810)이 기지국(815)에게 전송하는 자원 요청 메시지는 도 7의 S740 단계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NR 기지국이 독립적으로 제어/관리하는 LTE sidelink 가용 자원이 없는 경우, NR 기지국은 단말이 요청한 LTE PC5 전송 자원 할당을 위하여 LTE 기지국(820)에게 LTE sidelink 자원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850). S850 단계에서 NR 기지국(815)이 LTE 기지국(820)에게 전송하는 자원 요청 메시지는 해당 LTE 기지국에서 설정되었던 V2X 자원 설정 정보를 요청하는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LTE 기지국(820)은 LTE sidelink 가용 자원 중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는 LTE sidelink 자원을 선택(예를 들면, dedicate RRC 메시지를 통해 전달되었던 단말을 위한 구체적인 자원 풀 및 구체적인 스케쥴링된 자원 정보를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한다.)하여 NR 기지국(815)에게 제공할 수 있다(S860). S860 단계에서 LTE 기지국(820)이 NR 기지국(815)에게 전송하는 자원 요청 응답 메시지는 상기의 메시지를 잘 수신하였다는 지시자를 응답으로하는 complete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NR 기지국은 LTE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LTE sidelink 자원 정보를 차량 단말(810)에게 제공할 수 있다(S870). S870 단계에서 단말(810)이 기지국(815)에게 전송하는 자원 정보는 도 7의 S750 단계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ode 4의 in-coverage 동작을 위한 절차를 도시한다.
도 9를 참고하면, NR 기지국이 직접 제어/관리할 수 있는 LTE sidelink 자원 풀이 따로 존재하지 않는 경우, NR 기지국(915)은 자신이 사용할 수 있는 LTE sidelink 자원 풀 정보를 제공해 주도록 LTE 기지국(920)에게 요청할 수 있다. 상기 LTE sidelink 자원 풀 정보 요청은 NR 기지국과 LTE 기지국간 Xn 연결 설정을 위한 Xn 연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S910). S910 단계에서 NR 기지국(915)이 LTE 기지국(920)에게 전송하는 자원 요청 메시지는 도 8의 S850 단계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LTE 기지국(920)은 LTE 기지국이 관리하고 있는 LTE sidelink 자원 풀 정보 중, NR 기지국에서 사용할 수 있는 LTE sidelink 자원 풀을 할당하여 NR 기지국(915)에게 알려줄 수 있다. 상기 LTE sidelink 자원 풀 정보는 NR 기지국과 LTE 기지국간 Xn 연결 설정을 위한 Xn 연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S920). S920 단계에서 LTE 기지국(920)이 NR 기지국(915) 에게 전송하는 자원 정보는 도 8의 S860 단계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LTE 기지국으로부터 NR 기지국에서 관리/제어할 수 있는 LTE sidelink 자원 풀 정보를 획득한 NR 기지국은 상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930). 상기 NR 기지국은 상기 단말(910)에게 SIB 기본 메시지를 전송(S940)하고, SIB v2x 메시지에 상기 저장한 LTE sidelink 자원 풀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S950). LTE sidelink 자원 풀 정보는 LTE V2X 사이드링크 송수신에 사용될 수 있는 자원 풀 설정 정보, 특히 송신 자원 풀, 수신 자원 풀, 예외 상황에 사용할 수 있는 자원 풀 설정 정보가 될 수 있다. 상기 LTE sidelink 자원 풀 정보가 포함된 SIB v2x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mode 4의 in-coverage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960).
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NR 기지국이 관리하는 LTE sidelink 자원 풀이 따로 존재할 경우, NR 기지국(915)은 LTE 기지국에게 LTE sidelink 자원 풀 정보를 요청하지 않고, NR 기지국이 관리하는 LTE sidelink 자원 풀 정보를 포함하여 SIB v2x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950). 상기 LTE sidelink 자원 풀 정보가 포함된 SIB v2x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mode 4의 in-coverage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960).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단말에게 V2X 서비스 파라미터 정보를 미리 설정(pre-configuration)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차량 단말(1010)은 V2X CF(1015) (예를 들면, V2X Control Function, V2X AS(Application Server), PCF(Policy Control Function) 등)로부터 V2X 서비스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한다(S1010). 상기 V2X 서비스 파라미터 정보는 mode 4의 out-of-coverage 동작을 위한 PC5 라디오 파라미터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 S1010에서 단말이 수신하는 PC5 라디오 파라미터 정보로는 V2X 사이드링크 송수신에 특히 예외 상황(Radio Link Failure, Handover, Cell 재선택 절차 중의 interruption time)에 사용할 수 있는 자원 풀 설정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V2X 서비스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한 단말(1010)은 수신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1020). 단말(1010)은 기지국과 통신하지 않고, 상기 PC5 라디오 파라미터 정보를 이용하여 mode 4의 out-of-coverage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송수신부(1120) 및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수신부(1120)는 송신부(1123) 및 수신부(1125)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1120)는 다른 네트워크 엔터티(Network Entity)들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10)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단말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110) 및 송수신부(1120)는 반드시 별도의 모듈들로 구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단일 칩과 같은 형태로 하나의 구성부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10) 및 송수신부(112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제어부(1110)는 회로(circuit), 어플리케이션 특정(application-specific)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일 수 있다. 또한, 단말의 동작들은 해당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메모리 장치를 단말 내의 임의의 구성부에 구비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엔터티(Network Entity)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엔터티는 송수신부(1220) 및 네트워크 엔터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2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수신부(1220)는 송신부(1223) 및 수신부(1225)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1220)는 다른 네트워크 엔터티들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210)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네트워크 엔터티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210) 및 송수신부(1220)는 반드시 별도의 모듈들로 구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단일 칩과 같은 형태로 하나의 구성부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210) 및 송수신부(122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제어부(1210)는 회로(circuit), 어플리케이션 특정(application-specific)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엔터티의 동작들은 해당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메모리 장치를 네트워크 엔터티 내의 임의의 구성부에 구비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도 11 내지 도 12가 예시하는 구성도, 제어/데이터 신호 송신 방법의 예시도, 동작 절차 예시도, 구성도들은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의도가 없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즉, 상기 도 1a 내지 도 5에 기재된 모든 구성부, 엔터티, 또는 동작의 단계가 개시의 실시를 위한 필수구성요소인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일부 구성요소 만을 포함하여도 개시의 본질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기지국이나 단말의 동작들은 해당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메모리 장치를 기지국 또는 단말 장치 내의 임의의 구성부에 구비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즉, 기지국 또는 단말 장치의 제어부는 메모리 장치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프로세서 혹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에 의해 읽어내어 실행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동작들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엔터티, 기지국 또는 단말 장치의 다양한 구성부들과, 모듈(module)등은 하드웨어(hardware) 회로, 일 예로 상보성 금속 산화막 반도체(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기반 논리 회로와, 펌웨어(firmware)와, 소프트웨어(software) 및/혹은 하드웨어와 펌웨어 및/혹은 머신 판독 가능 매체에 삽입된 소프트웨어의 조합과 같은 하드웨어 회로를 사용하여 동작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다양한 전기 구조 및 방법들은 트랜지스터(transistor)들과, 논리 게이트(logic gate)들과, 주문형 반도체와 같은 전기 회로들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5)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방법에 있어서,
    제1 라디오 접속 기술을 이용하는 제1 기지국과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2 라디오 접속 기술에 기반한 사이드 링크(sidelink) 자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sidelink 자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라디오 접속 기술에 기반한 차량(vehicle to everything, V2X)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idelink 자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sidelink 자원 정보를 포함한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SIB는, V2X 통신의 지원 여부 및 상기 제1 기지국이 지원하는 V2X 통신의 모드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상기 제2 라디오 접속 기술에 기반한 V2X 통신을 위한 자원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RRC 시그널링을 통하여 상기 sidelink 자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sidelink 자원 정보는, 상기 제2 라디오 접속 기술에 기반한 V2X 통신의 전용(dedicated) 자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idelink 자원 정보는, 상기 제2 라디오 접속 기술에 기반한 V2X 통신을 위한 자원 풀(poo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방법.
  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라디오 접속 기술을 이용하는 제1 기지국 방법에 있어서,
    단말과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 제2 라디오 접속 기술에 기반한 사이드 링크(sidelink) 자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sidelink 자원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하여 상기 제2 라디오 접속 기술에 기반한 차량(vehicle to everything, V2X) 통신이 수행되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기지국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sidelink 자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sidelink 자원 정보를 포함한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을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SIB는, V2X 통신의 지원 여부 및 상기 제1 기지국이 지원하는 V2X 통신의 모드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기지국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라디오 접속 기술에 기반한 V2X 통신을 위한 자원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로, RRC 시그널링을 통하여 상기 sidelink 자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sidelink 자원 정보는, 상기 제2 라디오 접속 기술에 기반한 V2X 통신의 전용(dedicated) 자원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제2 라디오 접속 기술에 기반한 V2X 통신을 위한 자원 풀(poo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기지국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라디오 접속 기술을 이용하는 제2 기지국으로, 상기 sidelink 자원 정보를 요청하는 제1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sidelink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메시지 및 상기 제2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 사이의 Xn 연결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기지국 방법.
  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제1 라디오 접속 기술을 이용하는 제1 기지국과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2 라디오 접속 기술에 기반한 사이드 링크(sidelink) 자원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sidelink 자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라디오 접속 기술에 기반한 차량(vehicle to everything, V2X) 통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sidelink 자원 정보를 포함한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을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SIB는, V2X 통신의 지원 여부 및 상기 제1 기지국이 지원하는 V2X 통신의 모드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상기 제2 라디오 접속 기술에 기반한 V2X 통신을 위한 자원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RRC 시그널링을 통하여 상기 sidelink 자원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sidelink 자원 정보는, 상기 제2 라디오 접속 기술에 기반한 V2X 통신의 전용(dedicated) 자원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제2 라디오 접속 기술에 기반한 V2X 통신을 위한 자원 풀(poo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라디오 접속 기술을 이용하는 제1 기지국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단말과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단말로, 제2 라디오 접속 기술에 기반한 사이드 링크(sidelink) 자원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sidelink 자원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하여 상기 제2 라디오 접속 기술에 기반한 차량(vehicle to everything, V2X) 통신이 수행되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기지국.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sidelink 자원 정보를 포함한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을 방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SIB는, V2X 통신의 지원 여부 및 상기 제1 기지국이 지원하는 V2X 통신의 모드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기지국.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라디오 접속 기술에 기반한 V2X 통신을 위한 자원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로, RRC 시그널링을 통하여 상기 sidelink 자원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sidelink 자원 정보는, 상기 제2 라디오 접속 기술에 기반한 V2X 통신의 전용(dedicated) 자원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제2 라디오 접속 기술에 기반한 V2X 통신을 위한 자원 풀(poo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기지국.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라디오 접속 기술을 이용하는 제2 기지국으로, 상기 sidelink 자원 정보를 요청하는 제1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sidelink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메시지 및 상기 제2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 사이의 Xn 연결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기지국.
KR1020207037164A 2018-06-25 2019-06-25 차량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100137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72920 2018-06-25
KR1020180072920 2018-06-25
PCT/KR2019/007647 WO2020004899A1 (ko) 2018-06-25 2019-06-25 차량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718A true KR20210013718A (ko) 2021-02-05

Family

ID=68987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7164A KR20210013718A (ko) 2018-06-25 2019-06-25 차량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00660B2 (ko)
EP (1) EP3799500B1 (ko)
KR (1) KR20210013718A (ko)
CN (1) CN112335311A (ko)
WO (1) WO20200048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30954B (zh) * 2018-08-10 2021-02-12 电信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直接链路通信的方法、终端及网络设备
CN111865478B (zh) * 2019-04-26 2022-02-11 华为技术有限公司 侧行链路控制信息的发送方法及设备
CN113611000B (zh) * 2021-07-23 2023-01-20 北京易路行技术有限公司 一种高速公路收费方法及装置
EP4294118A1 (en) * 2022-06-14 2023-12-20 Molex CVS Hildesheim GmbH Systems including high-performance modems combined with low-performance modems
WO2024075094A1 (en) * 2022-11-01 2024-04-11 Lenovo (Singapore) Pte. Ltd. Resource scheduling in multiple path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14641A1 (ko) * 2015-01-16 2016-07-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7926069B (zh) * 2015-08-24 2022-02-18 三星电子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中用于通信的方法和装置
KR20170112945A (ko) * 2016-04-01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기 간 통신과 셀룰라 통신의 공존 방법 및 장치
US10750513B2 (en) * 2016-05-02 2020-08-18 Lg Electronics Inc. Signal transmission method performed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same method
JP2018029323A (ja) * 2016-08-10 2018-02-22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WO2018044358A1 (en) * 2016-09-02 2018-03-08 Intel IP Corporation Lte-assisted 5g direct access
WO2018059506A1 (en) * 2016-09-30 2018-04-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es for network selection
US11057753B2 (en) 2016-10-07 2021-07-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V2X communication
EP3416436B1 (en) * 2017-06-15 2021-02-17 BlackBerry Limited Configuring sidelink communications
US11096161B2 (en) * 2018-03-01 2021-08-17 Qualcomm Incorporated Multi-radio access technology scheduling of sidelink interface
KR102436652B1 (ko) 2018-04-05 2022-08-29 삼성전자 주식회사 5g 시스템에서 차량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99500A4 (en) 2021-08-11
US20210120617A1 (en) 2021-04-22
US11700660B2 (en) 2023-07-11
WO2020004899A1 (ko) 2020-01-02
CN112335311A (zh) 2021-02-05
EP3799500B1 (en) 2023-10-25
EP3799500A1 (en) 202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6652B1 (ko) 5g 시스템에서 차량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61025B1 (ko) 단말이 Temporary User ID(임시 사용자 식별자)를 이용해 5G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방안
US1120651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isting sidelink resource configuration and allocation for direct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6384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210013718A (ko) 차량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27813B1 (ko) 차량 통신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19067A (ko) 단말이 사설 셀룰러 네트워크를 발견하고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4007439A1 (en) Network structure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supporting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P3622778B1 (en)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a serving cell and method and device supporting on-demand system information message
CN114667765A (zh) 无线通信系统中选择网络切片的方法和装置
US20240089789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3678498A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传输数据的方法和设备
KR2021005847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인터워킹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2302923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ession by considering backhau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4021030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direct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7728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voice service qual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10144211A (ko) 단말 가입자 데이터를 프로비저닝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검색하고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CN113728675A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处理服务策略的设备和方法
KR20210088306A (ko) 단말의 사설망 접속 제어 방법
KR20210144207A (ko) 사용자 가입자 데이터를 프로비저닝하기 위한 커넥티비티 제공 네트워크 검색 및 선택 방법 및 장치
CN113632568A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辅助直接通信的侧链路资源配置和分配的装置和方法
EP4142377A1 (en) Method and apparatus retrieving and selecting server for terminal authentication and subscriber data transmission
KR2021009816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