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3642A - Cleaning device - Google Patents

Clean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3642A
KR20210013642A KR1020217000287A KR20217000287A KR20210013642A KR 20210013642 A KR20210013642 A KR 20210013642A KR 1020217000287 A KR1020217000287 A KR 1020217000287A KR 20217000287 A KR20217000287 A KR 20217000287A KR 20210013642 A KR20210013642 A KR 20210013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hinge
cleaning device
damper
tu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02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83761B1 (en
Inventor
현창환
민선웅
이정래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210013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36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7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3/00Attaching handles to the implements
    • B25G3/38Hinged, pivoted, swivelling, or folding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는, 청소포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를 갖는 밀대; 및 상기 힌지와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te for supporting a cleaning cloth; A push rod having a hinge rotatably connected to the top of the plate; And a damper provided between the hinge and the plate to absorb vibration.

Description

청소 장치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청소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플레이트와 힌지 또는 봉부재와 같이 구성들 사이의 충돌로 인한 소음을 차단하여 소음을 감소/차단할 수 있는 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eaning device capable of reducing/blocking noise by blocking noise due to collisions between components such as a plate and a hinge or bar member.

바닥에 앉아서 생활하는 좌식 생활을 하는 나라, 예를 들어 대한민국과 같은 생활 문화권에서는 수시로 방이나 거실의 바닥을 청소하게 되며 주로 걸레를 이용하여 쪼그려 앉은 자세로 바닥을 닦는 형태를 취하게 되는 바, 오랜 시일이 지나면 무릎 관절이 시리거나 허리가 아프거나 하는 등의 부작용이 초래되는 단점이 있다.In a country where people sit on the floor and live a sedentary lifestyle, for example, in living cultures such as Korea, they often clean the floor of a room or living room, and mainly use a mop to wipe the floor in a squatting position. There are disadvantages of side effects such as aching knee joints or pain in the back after a period of time passes.

이에 따라, 최근의 서구식 생활 습관과 더불어 의자에 앉아 생활하는 시간이 많은 현대인들은 쪼그려 앉은 상태로 바닥을 닦는 것을 기피하게 되며, 서 있는 상태로 청소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청소도구가 고안되어 시판되고 있다.Accordingly, in addition to the recent Western-style lifestyle, modern people who spend a lot of time sitting in a chair avoid cleaning the floor in a squatted state, and various cleaning tools that can be cleaned while standing have been devised and marketed. have.

현재 시중에 시판되어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청소도구들은 진공청소기로 통칭되는 흡입식 전기청소기와, 본체의 저면에 물걸레 또는 마른걸레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청소용 밀대 걸레 및 진공청소기와 청소용 밀대 걸레를 결합시킨 걸레식 진공청소기 등으로 분류되고 있다.The cleaning tools that are currently on the market and used at home are suction-type electric vacuum cleaners, commonly referred to as vacuum cleaners, and a mop-type mop that combines a vacuum cleaner and a mop for cleaning. It is classified as a vacuum cleaner.

특히, 청소용 밀대 걸레는 통상 사각의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밀대(봉 또는 바 형상)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결합되어 사용자가 밀대를 밀고 당기는 과정에서 플레이트가 바닥면 상에서 왕복운동을 함으로써 바닥면의 청소가 이루어지게 된다.In particular, in the mop for cleaning, a pusher (rod or bar shape) is connected to extend in a vertic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a rectangular plate, so that the plate reciprocates on the floor while the user pushes and pulls the pusher. Will come true.

게다가, 청소 효력이 향상되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efforts to improve the cleaning effect are continuously being made.

본 발명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진동모터를 통해 스윙운동 또는 타격력을 부가하여 청소효력을 향상시키면서도, 청소 장치를 구동시키면서 발생될 수 있는 구성들의 충격으로 인한 소음을 최소화시켜,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청소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improve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cleaning effect by adding a swing motion or a striking force through a vibration motor, while reducing the noise caused by the impact of the components that may be generated while driving the cleaning device. It is to provide a cleaning device that can be minimized and improve a user's satisfa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는, 청소포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를 갖는 밀대; 및 상기 힌지와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te for supporting a cleaning cloth; A push rod having a hinge rotatably connected to the top of the plate; And a damper provided between the hinge and the plate to absorb vibration.

구체적으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힌지의 적어도 일부가 인입되도록 하는 함몰부를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plate may have a depression through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hinge is retracted.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는, 좌우로 힌지축이 돌출되고, 상기 함몰부는, 상기 힌지축이 인입되는 끼움부를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hinge may have a hinge shaft protruding from side to side, and the recessed portion may have a fitting portion into which the hinge shaft is inserted.

구체적으로, 상기 댐퍼는, 상기 끼움부 내에 수용되며 상기 힌지축과 밀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amper is accommodated in the fitting portion and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hinge shaft.

구체적으로, 상기 함몰부는, 상기 힌지의 좌우를 두르며 전후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격벽을 갖고, 상기 끼움부는, 상기 격벽에서 상기 힌지축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ecessed portion may have a partition wall cover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inge and decreasing in height toward the front and rear, and the fitting portion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inge axis in the partition wall.

구체적으로, 상기 끼움부는, 상기 격벽을 관통하는 끼움홀; 및 상기 끼움홀에서 상기 힌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댐퍼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힌지축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터널부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tting portion, a fitting hole penetrating the partition wall; And a tunnel part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hinge in the fitting hole and accommodating at least a part of the damper and at least a part of the hinge shaft.

구체적으로, 상기 댐퍼는, 일단이 상기 터널부 내에서 상기 힌지축과 밀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amper may be provided such that one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inge shaft within the tunnel part.

구체적으로, 상기 터널부는, 상기 끼움홀의 반대편인 타단이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댐퍼는, 상기 터널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터널부의 타단을 밀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unnel part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fitting hole is opened, and the damper may b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tunnel part to seal the other end of the tunnel part.

구체적으로, 상기 댐퍼는, 상기 터널부의 타단을 밀폐하도록 상기 터널부의 단면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에서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힌지축과 밀착되는 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amper includes: a cover portion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tunnel portion to seal the other end of the tunnel portion; And a contact portion provided to extend from the cover portion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hinge shaft.

구체적으로, 상기 밀착부는, 링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리 형태를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act portion may have a ring or at least one leg shape.

구체적으로, 상기 터널부는, 상기 끼움홀의 반대편인 타단이 밀폐된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댐퍼는, 상기 터널부의 내부에서 상기 터널부의 타단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unnel part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fitting hole is sealed, and the damper may be provided inside the tunnel part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tunnel part.

구체적으로, 상기 댐퍼는, 일측이 상기 터널부의 타단 내측에 밀착되고 타측이 상기 힌지축에 밀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amper may be provided such that one sid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ide of the other end of the tunnel and the other sid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inge shaft.

구체적으로, 상기 댐퍼는, 상기 터널부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damper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 section of the tunnel part.

구체적으로, 상기 밀대는, 일단이 상기 힌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봉부재; 및 상기 봉부재의 타단에 마련되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ush rod member,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hinge; And a handl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rod member.

구체적으로, 상기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한 상기 힌지의 회전 방향은,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한 상기 봉부재의 회전방향과 수직일 수 있다.Specifically, a rotation direction of the hinge based on the plate may be perpendicular to a rotation direction of the rod member based on the hinge.

구체적으로, 상기 봉부재는, 고정홈이 마련되는 제1 봉; 상기 제1 봉과 동일 중심선상에서 슬라이딩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2 봉; 및 일단과 타단이 시소 운동을 하도록 일단이 탄성지지되며 타단에 고정돌기가 마련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거나 이격되어 상기 제2 봉의 위치를 구속 또는 해제시키는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od member, the first rod is provided with a fixing groove; A second rod capable of adjusting its length by sliding on the same center line as the first rod; And a button portion having one end elastically supported so that one end and the other end perform a seesaw movement, and a fixing protrusion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and the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or spaced apart from the fixing groove to constrain or release the position of the second rod.

구체적으로, 상기 버튼부는, 상기 버튼부의 일단과 상기 버튼부의 타단 사이에 마련되는 시소축; 및 상기 시소축과 상기 제1 봉이 서로 밀착되어 진동이 흡수하도록 상기 시소축으로부터 상기 제1 봉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utton portion may include a seesaw shaft provided between one end of the button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button portion; And a protruding member protruding from the seesaw shaft to the first rod so that the seesaw shaft and the first rod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absorb vibration.

구체적으로, 상기 버튼부는, 상기 버튼부의 일단과 상기 버튼부의 타단 사이에 마련되는 시소축; 및 상기 시소축과 상기 제1 봉 사이에 마련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갭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utton portion may include a seesaw shaft provided between one end of the button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button portion; And a gap prevention part provided between the seesaw shaft and the first rod to absorb vibration.

구체적으로, 제1 봉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봉에 맞닿게 마련되는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a cap connected to the first rod and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second rod may be further included.

구체적으로, 상기 캡이 설치되는 상기 제1 봉의 단부에는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캡은, 일단이 링 구조를 이루고, 타단에 상기 제1 봉의 내측에 삽입되는 내측부재와 상기 제1 봉의 외측에 위치되는 외측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부재는, 상기 제1 봉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가압하여 밀착되고, 상기 외측부재는, 상기 절개홈에 위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an incision groove is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rod on which the cap is installed, and the cap has an inner member having one end of a ring structure, and an inner member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first rod at the other end and an outer side of the first rod. And an outer member positioned, wherein the inner member is pressed in an outward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rod to be in close contact, and the outer member may be positioned in the cutout groove.

구체적으로, 상기 캡은, 일단이 상기 제1 봉에 맞닿거나 상기 외측부재가 상기 제1 봉에 맞닿을 수 있다.Specifically, the cap may have one end in contact with the first bar or the outer member may contact with the first bar.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장치는, 청소 장치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구성들 사이의 충돌(플레이트와 힌지 사이의 충돌, 제1 봉과 버튼부 사이의 충돌 그리고 제1 봉과 제2 봉 사이의 충돌로 인한 소음을 방지하도록, 댐퍼, 돌출부재, 갭방지부, 캡을 마련함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갭을 방지하여 충돌소음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The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noise due to collisions between components (a collision between a plate and a hinge, a collision between a first rod and a button portion, and a collision between a first rod and a second rod) in the process of operating the cleaning apparatus. To prevent, by providing a damper, a protruding member, a gap preventing portion, and a cap, a gap between components may be prevented, thereby minimizing or preventing collision noise.

또한, 본 발명은 진동모터를 통해 스윙 진동 또는 타격력을 부가하여, 청소가 용이하고 청소효력을 향상시키면서도, 진동모터에 의한 구성들 사이의 진동소음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하여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user satisfaction by minimizing or preventing vibration noise between components by vibrating motor, while adding swing vibration or striking force through a vibration motor to facilitate cleaning and improve cleaning efficiency.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플레이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플레이트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II-II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힌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함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힌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함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봉부재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봉부재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봉부재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캡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캡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캡과 제1 봉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howing a plate of a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plate of the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of II-II of FIG. 2.
5 is a view showing a hinge structure of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depression of the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hinge structure of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depression of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rod member structure of the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rod member structure of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rod member structure of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 cap of the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 cap of the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p and the first rod of the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p of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associat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elem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re to have the same number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힌지 구조와 함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울러,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 장치의 봉부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to 6 are views for explaining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views for explaining a hinge structure and a depression of a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S. 9 and 10 are views for explaining a rod member structure of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1 to 14 are views for explaining a cap of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00)는 플레이트(110), 댐퍼(120), 밀대(13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편의상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들로 도면을 구분하였으나, 플레이트의 함몰부 형태 등이 다양한 변형예를 가지며 이루어질 수 있고, 이들이 서로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그 조합에 따라 실시예는 증가할 수 있으며,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후술되는 실시예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1 to 14, the clea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te 110, a damper 120, and a pusher 130. Hereinafter, for convenience, the drawings are divided into one embodiment and other embodiments, but the shape of the recessed portion of the plate can be made with various modifications, and since these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the embodiments increase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In addition, the same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will be omitted.

게다가, 청소 장치(100)는 청소용 밀대 걸레 특히, 진동모터(115)를 사용하여 진동효과에 의한 청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청소 장치일 수 있으며, 청소 장치(100)를 밀고 당기는 동작을 통해 청소포(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청소 공간을 청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eaning device 100 may be a clean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cleaning effect due to the vibration effect by using a cleaning mop, in particular, a vibration motor 115, and a cleaning cloth through an operation of pushing and pulling the cleaning device 100 (Not shown) can be used to clean the cleaning space.

또한, 이하에서 표현되는 밀착은 단순히 맞닿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구성들 사이의 갭을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어, 플레이트와 힌지 사이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플레이트와 힌지 사이에 댐퍼가 밀착되게 마련되는 것은 서로 압착이 되지 않고 단순히 맞닿게 이루어진 형태일 수 있다.In addition, close contact expressed below may mean simply contacting. That is,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prevent a gap between the components, for example, in order to prevent a collision between the plate and the hinge, the damper is provided in close contact between the plate and the hinge. It can be a form.

구체적으로, 플레이트(110)는 청소포를 지지하며, 상부로 밀대(13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청소포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면직물,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져 바닥면 등을 닦아낼 수 있는 건식 또는 습식 청소포 등으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late 110 supports the cleaning cloth, and a pusher 130 may be installed upward. Here, the cleaning cloth may be made of a cotton or nonwoven fabric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may be made of a dry or wet cleaning cloth capable of wiping the floor surface.

이러한, 청소포는 플레이트(110)의 저면과 면적이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플레이트(110)의 단면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청소포의 단면이 플레이트(110)의 단면과 동일/유사한 경우 청소포를 고정하는 장치는 플레이트(11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고, 청소포의 단면이 플레이트(110)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 청소포를 고정하는 구성은 플레이트(11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는 등 청소포의 형태, 고정 구조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cleaning cloth may have the same or similar area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e 110 or may be made larger than the cross section of the plate 110. 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cleaning cloth is the same/similar to the cross section of the plate 110, a device for fixing the cleaning cloth may be provided under the plate 110, and 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cleaning cloth is formed larger than the plate 110, the cleaning cloth is fixed. The configuration may be provided on the top of the plate 110, such as the shape of the cleaning cloth, the fixing structure may be made in various ways.

그리고 플레이트(110)는 방, 거실 등의 청소 공간에 형성되는 모서리의 구석까지 밀착되어 청소가 수행될 수 있도록 사각 단면, 특히 가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형태를 이룸으로써 한 번의 동작으로 넓은 면적을 청소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ate 110 is in close contact with corners of corners formed in cleaning spaces such as a room, living room, etc. to form a rectangular cross-section, particularly a rectangular shap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and length direction, so that a large area with one operation Can be made so that it can be cleaned.

뿐만 아니라, 플레이트(110)는 상부외관을 이루는 상판부재(부호 도시하지 않음)와, 하부 외관을 이루며 청소포가 고정될 수 있는 바닥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상하로 결합된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상판부재와 바닥부재의 사이 즉 플레이트(110)의 내부에 진동모터(115)가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상판부재와 바닥부재로 구분하였으나, 상판부재는 다시 커버와 PCB가 부착되는 베이스판으로 분리되는 등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late 110 may have a form in which an upper plate member (not shown) constituting the upper appearance and a bottom member (not shown) constituting the lower appearance and to which the cleaning cloth can be fixed are vertically coupled, A vibration motor 115 may be provided between the upper plate member and the bottom member, that is, inside the plate 110.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plate member and the bottom member are divided, but various examples such as being separated into a base plate to which a cover and a PCB are attached are possible.

도 3을 참조하면(플레이트의 내부 도면으로, 커버가 분리된 상태일 수 있음), 플레이트(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진동모터(115)는, 복수 개(도 3에서 위치가 대칭이 되도록 쌍으로 구비되는 것을 도시함)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진동모터(115)가 바닥부재를 하부방향으로 밀고 재 위치되어 복원되는 운동을 반복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진동모터가 좌우로 회전되는 방식으로 구동되어 스윙 진동을 이룰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3 (a view of the plate, the cover may be in a separated state), a plurality of vibration motors 115 installed inside the plate 110 are It may be provided as shown), for example, the vibration motor 115 may repeat the movement to be restored by pushing the bottom member in the lower direction and repositioned. Alternatively, the vibration motor may be driven in a way that rotates left and right to achieve swing vibration.

이와 같이, 진동모터(115)가, 바닥부재를 바닥면으로 타격 또는/및 스윙하는 운동을 하도록 함으로써, 청소포를 단순히 앞뒤 방향으로 밀고 당기는 기존의 작업에 대비하여, 바닥면에 힘을 가하는 동작이 추가되어 청소효과가 향상될 수 있고, 사용자가 청소 장치(100)를 밀고 당기는 동작시 청소 장치(100)를 밀어내는데 사용되는 힘을 줄일 수 있어 청소가 용이할 수 있다.In this way, by making the vibration motor 115 perform a motion of hitting or/and swinging the floor member to the floor surface, in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operation of simply pushing and pulling the cleaning cloth forward and backward, the operation of applying a force to the floor surface is By adding the cleaning effect may be improved, and when the user pushes and pulls the cleaning device 100, the force used to push the cleaning device 100 can be reduced, so that cleaning can be facilitated.

여기서, 바닥부재는 진동모터(115)에 의해 밀리거나 복원되도록 탄성 복원이 가능한 재질 일례로 고무, Hs 60이하의 경도를 가지는 플라스틱류,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bottom member may be made of rubber, plastics having a hardness of Hs 60 or less, silicone, etc. as an example of a material capable of elastically restoring to be pushed or restored by the vibration motor 115,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4를 참조하면(도 2의 II-II를 절단한 플레이트의 일부 단면도), 플레이트(110)는 후술되는 힌지(132)의 적어도 일부가 인입되도록 하는 함몰부(111)를 가질 수 있고, 함몰부(111)는 힌지축(1321)이 인입되는 끼움부(1111)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plate taken along II-II in FIG. 2), the plate 110 may have a depression 111 through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hinge 132 described later is retracted, and the depression The portion 111 may have a fitting portion 1111 into which the hinge shaft 1321 is inserted.

예를 들어, 함몰부(111)는 힌지(132)의 좌우를 두르며 전후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격벽(1101)을 가질 수 있어, 함몰부(111)는 중심부가 가장 깊고 단부로 갈수록 깊이가 낮아지는 홈 구조를 이룰 수 있다. For example, the depression 111 may have a partition wall 1101 that surrounds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inge 132 and decreases in height toward the front and rear, so that the depression 111 has the deepest central portion and a lower depth toward the end. Losing groove structure can be achieved.

그리고 끼움부(1111)는 격벽(1101)에서 힌지축(132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함몰부(111)의 중심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끼움부(1111)는, 끼움홀(1111A) 및 터널부(1111B)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tting portion 1111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inge axis 1321 in the partition wall 1101, and for example,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depression 111. Such, the fitting part 1111 may include a fitting hole 1111A and a tunnel part 1111B.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끼움부의 서로 다른 예를 도시한 개념도), 끼움홀(1111A)은, 힌지(132)의 힌지축(1321)이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격벽(1101)을 관통할 수 있으며, 끼움홀(1111A)이 힌지축(1321)에 대응하도록 격벽(1101)의 양측에 쌍으로 마련되어, 끼움홀(1111A)에 끼워진 힌지(132)에 의해 밀대(130)가 어느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균형을 이룰 수 있다. 6 and 8 (conceptual diagram showing different examples of the fitting portion), the fitting hole 1111A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hinge shaft 1321 of the hinge 132 is installed, and penetrates the partition wall 1101. In addition, the fitting hole 1111A is provided in pairs on both sides of the partition 1101 so as to correspond to the hinge shaft 1321, and the pusher 130 is moved to either side by the hinge 132 fitted in the fitting hole 1111A. You can achieve balance without hitting.

터널부(1111B)는, 댐퍼(120)가 수용되기 위한 구성으로서, 끼움홀(1111A)에서 힌지(13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댐퍼(120)의 적어도 일부 및 힌지축(132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The tunnel part 1111B is a structure for accommodating the damper 120,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hinge 132 in the fitting hole 1111A, and at least a part of the damper 120 and at least a part of the hinge shaft 1321 Can accommodate.

여기서, 끼움홀(1111A)과 터널부(1111B)는, 힌지축(1321) 또는/및 댐퍼(120)의 설치를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서, 끼움홀(1111A)에는 힌지축(1321)만 마련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힌지축(1321)과 댐퍼(120)의 길이와 설계 오차 등에 따라 힌지축(1321) 또는/및 댐퍼(120)가 끼움홀(1111A) 또는/및 터널부(1111B)에 위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Here, the fitting hole 1111A and the tunnel portion 1111B are provided for installation of the hinge shaft 1321 or/and the damper 120, and only the hinge shaft 1321 is provided in the fitting hole 1111A. It is not limited, and the hinge shaft 1321 or/and the damper 120 may be located in the fitting hole 1111A or/and the tunnel part 1111B according to the length and design error of the hinge shaft 1321 and the damper 120. Of course it may be.

여기서, 끼움부(1111)는 관통 구조 또는 막힌홀 구조를 이룰 수 있다.Here, the fitting portion 1111 may have a through structure or a closed hole structure.

먼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끼움부의 관통 구조), 끼움부(1111)는, 관통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터널부(1111B)는 끼움홀(1111A)의 반대편인 타단이 개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댐퍼(120)는 터널부(1111B)의 타단에 결합되어 터널부(1111B)의 타단을 밀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S. 5 and 6 (the through structure of the fitting part), the fitting part 1111 may have a through structure, and in this embodiment, the tunnel part 1111B is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fitting hole 1111A. It can be provided in this open form. In this case, the damper 120 may b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tunnel part 1111B to seal the other end of the tunnel part 1111B.

한편,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끼움부의 막힌 구조), 끼움부(1111)는, 막힌홀 구조를 이룰 수 있어,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달리, 터널부(1111B)는 끼움홀(1111A)의 반대편인 타단이 밀폐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S. 7 and 8 (blocked structure of the fitting portion), the fitting portion 1111 may have a blocked hole structure, and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tunnel portion 1111B is a fitting hole 1111A. The other end of the opposite side may be provided in a sealed form.

이러한, 끼움부(1111)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의 댐퍼(120)가 마련되어, 밀대(130)가 연결된 부분의 충격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fitting part 1111, the dampers 120 of various embodiments are provided, and noise due to impact of the portion to which the push rod 130 is connected may be prevented.

댐퍼(120)는 힌지(132)와 플레이트(110) 사이에 마련되어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이러한, 댐퍼(120)는 끼움부(1111) 내에 수용되며 힌지축(1321)과 밀착됨으로써, 힌지축(1321)이 플레이트(110)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충격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The damper 12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hinge 132 and the plate 110 to absorb vibration. As such, the damper 120 is accommodated in the fitting portion 1111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inge shaft 1321, thereby preventing the hinge shaft 1321 from colliding with the plate 110, thereby preventing noise due to impact.

이러한, 댐퍼(120)는 일단이 끼움부(1111) 내에서 힌지축(1321)과 밀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끼움부(1111)는 관통 구조 또는 막힌홀 구조를 이룰 수 있고, 이러한 형태에 따라 댐퍼(120)의 형상 또한 달리 이루어질 수 있다.Such, the damper 120 may be provided so that one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inge shaft 1321 within the fitting portion 1111, the fitting portion 1111 may form a through structure or a blind hole structure, according to this shape The shape of the damper 120 may also be different.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끼움부의 관통 구조), 끼움부(1111)가 관통 구조를 이루는 경우, 댐퍼(120)는 덮개부(121) 및 밀착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5 (a through structure of a fitting part), when the fitting part 1111 forms a through structure, the damper 120 may include a cover part 121 and a contact part 122.

덮개부(121)는 터널부(1111B)의 타단을 밀폐하도록 터널부(1111B)의 단면보다 큰 단면적을 가질 수 있어, 뚜껑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실리콘, 고무재질 등과 같이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터널부(1111B)에 밀착/씰링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덮개부(121)는 씰링을 통해 방수캡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cover portion 121 may have a cross-sectional area larger than the cross-section of the tunnel portion 1111B so as to seal the other end of the tunnel portion 1111B, and thus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lid, and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silicone or rubber. It can be install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seal to (1111B). The cover portion 121 may perform a waterproof cap function through sealing.

밀착부(122)는 덮개부(121)에서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힌지축(1321)과 밀착될 수 있어, 힌지축(1321)의 좌우이동을 제한함으로써, 힌지축(1321)과 플레이트(110)의 충격을 방지하여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밀착부(122)는, 링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리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밀착부(122) 외주면의 둘레 전체가 터널부(1111B)의 내주면에 맞닿아 밀착 고정되거나, 터널부(1111B)의 내주면보다 밀착부(122)의 직경이 작게 이루어지되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서 돌출구조물이 형성되어 밀착부(122)에 끼워진 형태를 이룰 수도 있다.The contact portion 122 is provided so as to extend from the cover portion 121 and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hinge shaft 1321, thereby limiting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hinge shaft 1321, the impact of the hinge shaft 1321 and the plate 110 Noise can be prevented. Such, the contact portion 122 may have a ring or at least one leg shape, and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122 abuts against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nnel portion 1111B and is in close contact and fixed, or the tunnel portion 1111B Although the diameter of the contact portion 122 is made smaller tha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nit, a protruding structure may be formed at a position symmetrical to each other to form a shape fitted to the contact portion 122.

한편, 도 7을 참조하면(끼움부의 막힌 구조), 끼움부(1111)가 막힌 구조를 이루는 경우,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달리, 터널부(1111B)는 끼움홀(1111A)의 반대편인 타단이 밀폐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므로, 댐퍼(120)는, 터널부(1111B)의 내부에서 터널부(1111B)의 타단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7 (blocked structure of the fitting portion), when the fitting portion 1111 forms a blocked structure,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tunnel portion 1111B is sealed at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fitting hole 1111A. Since the damper 120 may be provided in a form, the damper 120 may be provided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tunnel part 1111B inside the tunnel part 1111B.

이때, 댐퍼(120)는, 일측이 터널부(1111B)의 타단 내측에 밀착되고 타측이 힌지축(1321)에 밀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어, 힌지축(1321)가 플레이트(110)와의 충격을 방지하여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댐퍼(120)는, 터널부(1111B)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밀착부(122)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댐퍼(120)는 링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댐퍼(120)가 터널부(1111B)의 내주면에 맞닿을 필요없이, 터널부(1111B)보다 직경이 작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damper 120 may be provided such that one sid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tunnel part 1111B and the other sid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inge shaft 1321, so that the hinge shaft 1321 prevents impact with the plate 110 This can prevent noise. The damper 12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 of the tunnel part 1111B, and the damper 120 may have a ring shape in the same or similar to the contact part 122 described above.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amper 120 may have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tunnel portion 1111B without needing to contac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nnel portion 1111B.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밀대(130)는, 봉부재(131), 힌지(132), 손잡이(133)를 포함할 수 있다.9 to 12, the push rod 130 may include a rod member 131, a hinge 132, and a handle 133.

여기서, 봉부재(131)는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한 일 실시예에 불가하며, 밀대(130)의 단면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면체(사각형 등)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형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rod member 131 is not in an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understanding,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push rod 130 may be formed of a circle, an ellipse, or a polyhedron (square, etc.), or a combination thereof, Its shape is not limited.

이러한, 봉부재(131)는 일단(하단)이 힌지(13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봉부재(131)의 타단(상단)에 손잡이(133)가 마련될 수 있다. The rod member 131 may have one end (lower end) rotatably connected by a hinge 132, and a handle 133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upper end) of the rod member 131.

특히, 봉부재(131)는 제1 봉(1311), 제2 봉(1312) 및 버튼부(13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해 및 설명의 편의상 제1 봉(1311)과 제2 봉(1312)은 각각 하나의 봉 또는/및 바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하나, 제1 봉(1311)과 제2 봉(1312) 각각은 여러 개의 봉 또는/및 바가 서로 겹쳐져 다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particular, the rod member 131 may include a first rod 1311, a second rod 1312, and a button portion 1313. Here, for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it is described that the first rod 1311 and the second rod 1312 each have a structure of one rod or/and a bar, but the first rod 1311 and the second rod 1312 Of course, each of the several rods or/and bars may be stacked on top of each other to form multiple stages.

봉부재(131)는 제1 봉(1311)과 제2 봉(1312)이 겹치는 길이에 따라 전체 길이가 조절될 수 있어, 제1 봉(1311), 제2 봉(1312)의 일부가 서로 중첩될 수 있으며, 제2 봉(1312)과 제1 봉(1311)이 동일 중심선상에서 슬라이딩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고, 상단에 손잡이(133)가 위치될 수 있다.The entire length of the rod member 131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overlapping length of the first rod 1311 and the second rod 1312, so that some of the first rod 1311 and the second rod 1312 overlap each other. The second rod 1312 and the first rod 1311 may slide on the same center line so that the length may be adjusted, and the handle 133 may be positioned at the top.

예를 들어, 제1 봉(1311)을 기준으로 제2 봉(1312)이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제1 봉(1311)은 일부가 제2 봉(1312)의 내측에 마련되며, 제1 봉(1311)의 하단에 힌지(132)가 위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a part of the first rod 1311 is provided inside the second rod 1312 so that the second rod 1312 slides up and down based on the first rod 1311, and the first rod ( The hinge 132 may be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1311).

여기서, 제2 봉(1312)은 제1 봉(1311)의 일부가 삽입되는 연결봉(부호 도시하지 않음)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봉은 내측에 제1 봉(1311)이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봉(1311)을 구속하도록 연결봉의 내측을 관통하여 버튼부(1313)가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second rod 1312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rod (not shown) into which a part of the first rod 1311 is inserted, and the first rod 1311 is slidably installed inside the connecting rod. , A button portion 1313 may be provided through the inner side of the connecting rod to constrain the first rod 1311.

이때, 제2 봉(1312)은, 연결봉의 상단으로(손잡이(133)가 위치되는 단부) 연장봉(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될 수 있다. 연장봉의 직경은 제1 봉(1311)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상이(제1 봉(1311)보다 클 수 있음)할 수 있으며, 연결봉에 고정되어 버튼부(1313)와 함께 제1 봉(1311)을 기준으로 상하 슬라이딩될 수 있다. 즉, 연결봉은 제1 봉(1311)과 제2 봉(1312)의 연결봉을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버튼부(1313)가 설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rod 1312 may be provided with an extension rod (not shown) as an upper end of the connecting rod (an end where the handle 133 is located). The diameter of the extension rod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diameter of the first rod 1311 (which may be larger than the first rod 1311), and it is fixed to the connecting rod to connect the first rod 1311 together with the button portion 1313. It can slide up and down as a reference. That is, the connecting rod has a structure surrounding the connecting rod of the first rod 1311 and the second rod 1312, and the button portion 1313 may be installed.

이와 같이, 제2 봉(1312)에 설치되는 버튼부(1313)의 누름 조작 등에 의해 제1 봉(1311)이 제2 봉(1312)에 구속되거나 구속이 해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봉(1311)의 둘레면에는 고정홈(1311A)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홈(1311A)은 제1 봉(13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마련되어, 고정홈(1311A)의 위치에 따라 버튼부(1313)의 고정돌기(1313B)가 구속됨으로써, 제2 봉(1312)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first rod 1311 may be constrained or released from the second rod 1312 by a pressing operation of the button portion 1313 installed on the second rod 1312. To this end, a fixing groove 1311A may be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d 1311. Here, the fixing groove (1311A) is provided in plur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rod (1311), and the fixing protrusion (1313B) of the button portion (1313) is constrain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xing groove (1311A), the second rod The position of 1312 can be fixed.

게다가, 도 11, 도 12를 참조하면(봉부재 결합 구조), 제1 봉(1311)의 상단(도 1 및 도 11 기준)과 제2 봉(1312)의 내주면 사이에 갭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진동에 의한 충격으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하도록, 캡(140)이 제1 봉(1311)의 상단에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11 and 12 (bar member coupling structure), a gap is prevented from being form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first rod 1311 (based on FIGS. 1 and 11)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rod 1312 By doing so, the cap 140 may be provided on the top of the first rod 1311 to prevent noise generated due to an impact due to vibration.

여기서, 캡(140)은, 제1 봉(1311)의 상단이 제2 봉(1312)과 직접 닿지 않도록, 제1 봉(1311)의 상단에 끼워질 수 있다. Here, the cap 140 may be 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rod 1311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rod 1311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second rod 1312.

도 13을 참조하면(제1 봉과 캡의 분리 상태), 제1 봉(1311)의 상단에는 홀(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관통되고, 이러한 홀에 끼움되도록 캡(140)에는 돌기가 돌출형성되어 홀과 돌기의 끼움결합으로 결합되거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a state in which the first rod and the cap are separated), a hole (not shown) is passed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first rod 1311, and a protrusion is formed in the cap 140 so that it is inserted into the hole. The hole and the protrusion may be combined or the bonding strength may be improved.

그리고 제1 봉(1311)의 상단은 일부가 하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절단된 절개홈(1311B)이 좌우 또는 앞뒤 방향으로 한 쌍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절개홈(1311B)의 주변에 캡(140)의 일부가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a pair of incision grooves 1311B whose upper ends of the first rods 1311 are partially concave in a downward direction may be provided in a left-right or front-rear direction. A portion of the cap 140 may be connected around the cutout groove 1311B.

도 14를 참조하면(캡의 사시도), 캡(140)은 제2 봉(1312)의 내부에서 외부를 밀며 탄성 복원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재질 예를 들어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a perspective view of the cap), the cap 140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for example, a rubber material, so as to maintain an elastic restoring force by pushing from the inside of the second rod 1312 to the outside.

그리고 캡(140)은 제2 봉(1312)의 내부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이룰 수 있고, 일례로 링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설계 오차로 인한 갭을 방지하도록 링 구조의 둘레면으로 서로 이격되게 돌출된 구조를 이루어 링 둘레면 전체가 아닌 돌출구조물에서 제2 봉(1312)가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cap 14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cross-section of the second rod 1312, for example, a ring structur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ng structure to prevent a gap due to design errors. By forming a protruding structure, the second rod 1312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rotruding structure rather than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ring.

또는 링 구조물에서 밀착이 이루어지지 않고, 캡(140)의 하부 구조에 의해 밀착 또는 슬라이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Alternatively, close contact may not be made in the ring structure, and close contact or sliding may be performed by the lower structure of the cap 140.

예를 들어, 캡(140)은 링 구조의 하부로 연장되는 내측부재(142)와 외측부재(143)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부재(142)와 외측부재(143)는 서로 번갈아 위치되며 쌍으로 마련될 수 있어, 한 쌍의 내측부재(142)가 서로 대향되고, 한 쌍의 외측부재(143)가 서로 대향될 수 있으며, 내측부재(142)와 외측부재(143) 사이에는 갭이 형성되도록 갭홈(141)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ap 140 may include an inner member 142 and an outer member 143 extending below the ring structure. The inner member 142 and the outer member 143 are alternately positioned with each other and may be provided in pairs, so that a pair of inner members 142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a pair of outer members 143 may be opposed to each other. , A gap groove 141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member 142 and the outer member 143 so that a gap is formed.

특히, 내측부재(142)는 제1 봉(1311)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밀착될 수 있고, 외측부재(143)는 절개홈(1311B)에 배치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inner member 142 may be pressed in an outer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rod 1311 to be in close contact, and the outer member 143 may be disposed in the cutout groove 1311B.

이와 같이, 내측부재(142)는 제1 봉(1312)의 내부에 마련되고, 외측부재(143)는 제1 봉(1312)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는데, 외측부재(143)는 제1 봉(1312)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이루어 제2 봉(1312)과 맞닿을 수도 있어 갭으로 인한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inner member 142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rod 1312, the outer member 143 may be located outside the first rod 1312, the outer member 143 is the first rod Since it has a shape protruding outward from 1312 and may contact the second rod 1312, vibration due to the gap may be prevented.

다른 예로, 제1 봉(1311)의 상단은 사방에서 길이방향으로 절단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제1 봉(1311)의 상단에서 제1 봉(1311)의 절단된 영역이 제2 봉(1312)을 향해 벌어진 형태를 이루고, 이러한 제1 봉(1311)의 절단된 영역을 캡(140)이 커버하여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As another example, the upper end of the first rod 1311 may have a shape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all sides, and the cut area of the first rod 1311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rod 1311 is the second rod 1312 ), and the cut area of the first rod 1311 is covered by the cap 140 so that close contact can be achieved.

버튼부(1313)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누름 동작을 통해 제1 봉(1311)에 대한 제2 봉(1312)의 구속을 해제시켜 길이를 조절하는 구성으로서, 버튼부(1313)는 일단과 타단이 시소 운동을 하도록 일단이 탄성지지된다. As mentioned above, the button portion 1313 is configured to adjust the length by releasing the constraint of the second rod 1312 with respect to the first rod 1311 through a user's pressing operation, and the button portion 1313 One end is elastically supported so that one end and the other end perform a seesaw movement.

여기서, 버튼부(1313)의 탄성지지를 위해, 버튼부(1313)의 일단에는 스프링(1313A)이 마련될 수 있고, 스프링(1313A)은 버튼부(1313)의 일단을 상부방향으로 가압하여,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버튼부(1313) 일단의 위치를 상부로 복귀시킴으로써, 버튼부(1313)의 타단이 하부로 내려가도록 한다.Here, for elastic support of the button portion 1313, a spring 1313A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button portion 1313, and the spring 1313A presses one end of the button portion 1313 upward, By returning the position of one end of the button portion 1313 pressed by the user to the upper side, the other end of the button portion 1313 is lowered.

이때 버튼부(1313)의 타단에는 고정돌기(1313B)가 마련되고, 고정돌기(1313B)가 고정홈(1311A)에 삽입되거나 이격되어 제2 봉(1312)의 위치를 구속 또는 해제시키는데, 스프링(1313A)에 의해 버튼부(1313)의 타단이 하부로 위치가 복귀되면, 고정돌기(1313B)는 고정홈(1311A)에 끼워져 제2 봉(1312)을 구속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a fixing protrusion 1313B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button part 1313, and the fixing protrusion 1313B is inserted into or spaced apart from the fixing groove 1311A to constrain or release the position of the second rod 1312. When the position of the other end of the button portion 1313 is returned to the lower position by 1313A, the fixing protrusion 1313B may b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311A to constrain the second rod 1312.

게다가, 버튼부(1313)는 시소 운동을 위해 시소축(1313C)을 포함할 수 있다. 시소축(1313C)은 버튼부(1313)의 일단과 버튼부(1313)의 타단 사이에서 힌지 연결을 통해 버튼부(1313)의 좌우측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기준이 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utton portion 1313 may include a seesaw shaft 1313C for seesaw movement. The seesaw shaft 1313C may serve as a reference for mov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utton portion 1313 vertically through a hinge connection between one end of the button portion 1313 and the other end of the button portion 1313.

뿐만 아니라, 버튼부(1313)는 돌출부재(1313D) 또는/및 갭방지부(1313E)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tton portion 1313 may include a protruding member 1313D or/and a gap preventing portion 1313E.

도 9를 참조하면(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부), 돌출부재(1313D)는 시소축(1313C)과 제1 봉(1311)이 서로 밀착되어 진동이 흡수되도록 시소축(1313C)으로부터 제1 봉(1311)으로 돌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button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truding member 1313D is a first rod from the seesaw shaft 1313C so that the seesaw shaft 1313C and the first rod 1311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absorb vibration. It can protrude to (1311).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튼부), 갭방지부(1313E)는 시소축(1313C)과 제1 봉(1311) 사이에 마련되어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Further, referring to FIG. 10 (a button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gap preventing portion 1313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eesaw shaft 1313C and the first rod 1311 to absorb vibration.

즉, 버튼부(1313)는 돌출부재(1313D) 또는 갭방지부(1313E)를 통해 진동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는데, 돌출부재(1313D) 또는 갭방지부(1313E)를 통해, 시소축(1313C)의 하부와 제1 봉(1311) 사이에 갭이 없도록 하여,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버튼부(1313)와 제1 봉(1311)이 서로 부딪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버튼부(1313)와 제1 봉(1311)의 충격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button part 1313 prevents noise due to vibration through the protruding member 1313D or the gap preventing part 1313E, through the protruding member 1313D or the gap preventing part 1313E, the seesaw shaft 1313C There is no gap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device and the first rod 1311, so that even if vibration occurs, the button portion 1313 and the first rod 1311 are prevented from colliding with each other, so that the button portion 1313 and the first rod 1311 ) Can prevent noise caused by impact.

그리고 밀대(130)의 힌지(132)는 봉부재(131)를 플레이트(1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힌지(132)는 좌우로 힌지축(1321)이 돌출되고, 힌지축(1321)은 함몰부(111)의 끼움부(1111)에 인입됨으로써 플레이트(110)와 밀대(13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110)를 기준으로 한 힌지(132)의 회전 방향은, 힌지(132)를 기준으로 한 봉부재(131)의 회전방향과 수직일 수 있다.And the hinge 132 of the push rod 130 is a configuration that connects the rod member 131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late 110 so as to be rotatable, and the hinge 132 has a hinge shaft 1321 protruding from the left and right, and the hinge shaft The plate 1321 may be inserted into the fitting part 1111 of the recessed part 111 so that the plate 110 and the push rod 13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Her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hinge 132 based on the plate 110 may be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d member 131 based on the hinge 132.

또한, 도 1을 참조하면(청소 장치 전체 도면), 손잡이(133)는 사용자의 손이 파지되는 구성으로서, 밀대(13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이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되는 고리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133)의 고리 형태는 세로 방향으로 홀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좌우 방향으로 확장된 고리 형상을 이룰 수도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 (the overall drawing of the cleaning device), the handle 133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user's hand is gripped, and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pusher 130, and a hole into which the user's hand can be inserted is provided. It can form a ring that is formed. Here, the ring shape of the handle 133 is illustrated as having a hol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unlike this, a ring shape extend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may be formed.

또한, 손잡이(133)의 고리 형태가 세로 방향으로 홀이 형성된 형태를 이루는 경우, 손잡이(133) 상단부에서 사용자의 4개의 손가락이 한 번에 모두 파지되도록,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내부공간이 점차 확장되는 형태를 이룰 수 있어, 손잡이(133)의 내측 하부에 대비하여 내측 상부의 폭이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ing shape of the handle 133 forms a hol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inner space gradually expands from the bottom to the top so that all four fingers of the user are grasped at the top of the handle 133 Since the shape of the handle 133 can be achieved, the width of the inner upper part can be made larger compared to the inner lower part of the handle 133.

한편, 손잡이(133)는 고리 형상 이외에 밀대(130)의 상부 양측이 오목하게 이루어져 사용자로 하여금 파지가 용이하면서도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handle 133 can be made in a shape that can prevent slipping of the hand while being easily gripped by the user because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push rod 130 are concave in addition to the ring shap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러한, 밀대(130)는, 밀대(130)의 하부에 플레이트(110)가 연결되어 사용자가 손잡이(133)를 잡고 밀대(130)를 밀고 당기는 동작을 통해 걸레질이 수행될 수 있다. As for the pusher 130, the plate 110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usher 130 so that the user grabs the handle 133 and pushes and pulls the pusher 130 to perform mopping.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힌지(132)가 끼움되는 끼움부(1111)의 형성을 위해, 플레이트(110)에 함몰부(111)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플레이트(110)의 상부로 돌출구조물이 형성되고, 돌출구조물에는 힌지(132)가 결합되는 홀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order to form the fitting portion 1111 into which the hinge 132 is fitted,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recessed portion 111 is formed in the plate 110, but unlike this, the upper portion of the plate 110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s a protruding structure is formed and a hole or a groove to which the hinge 132 is coupled may be formed in the protruding structure.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청소 장치(100)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플레이트(110)와 힌지(132) 사이의 충돌, 제1 봉(1311)과 버튼부(1313) 사이의 충돌 그리고 제1 봉(1311)과 제2 봉(1312) 사이의 충돌로 인한 소음을 방지하도록, 댐퍼(120), 돌출부재(1313D), 갭방지부(1313E), 캡(140)을 마련함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갭(공간)을 방지하여 충돌소음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process of operating the cleaning device 100, the collision between the plate 110 and the hinge 132, the collision between the first rod 1311 and the button portion 1313, and the first rod ( By providing a damper 120, a protruding member 1313D, a gap preventing portion 1313E, and a cap 140 to prevent noise due to collision between the 1311 and the second rod 1312, the gap between the components By preventing (space) and minimizing or preventing collision noise, user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this i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would be clear that the transform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All simple modifications to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by the appended claims.

100: 청소 장치 110: 플레이트
1101: 격벽 111: 함몰부
1111: 끼움부 1111A: 끼움홀
1111B: 터널부 115: 진동모터
120: 댐퍼 121: 덮개부
122: 밀착부 130: 밀대
131: 봉부재 1311: 제1 봉
1311A: 고정홈 1312: 제2 봉
1313: 버튼부 1313A: 스프링
1313B: 고정돌기 1313C: 시소축
1313D: 돌출부재 1313E: 갭방지부
132: 힌지 1321: 힌지축
133: 손잡이 140: 캡
100: cleaning device 110: plate
1101: bulkhead 111: depression
1111: fitting part 1111A: fitting hole
1111B: tunnel part 115: vibration motor
120: damper 121: cover
122: contact portion 130: push rod
131: rod member 1311: first rod
1311A: fixing groove 1312: second rod
1313: button portion 1313A: spring
1313B: fixing protrusion 1313C: seesaw shaft
1313D: protruding member 1313E: gap prevention part
132: hinge 1321: hinge shaft
133: handle 140: cap

Claims (21)

청소포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를 갖는 밀대; 및
상기 힌지와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
A plate for supporting the cleaning cloth;
A push rod having a hinge rotatably connected to the top of the plate; And
And a damper provided between the hinge and the plate to absorb vibr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힌지의 적어도 일부가 인입되도록 하는 함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late,
A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recessed portion through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hinge is retrac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좌우로 힌지축이 돌출되고,
상기 함몰부는, 상기 힌지축이 인입되는 끼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hinge has a hinge axis protruding left and right,
The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pression has a fitting portion into which the hinge shaft is insert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끼움부 내에 수용되며 상기 힌지축과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amper,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ccommodated in the fitting portion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hinge shaf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힌지의 좌우를 두르며 전후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격벽을 갖고,
상기 끼움부는, 상기 격벽에서 상기 힌지축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epression,
It has a partition wall that surrounds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inge and decreases in height as it goes back and forth,
The cleaning device, wherein the fitting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inge axis in the partition wal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상기 격벽을 관통하는 끼움홀; 및
상기 끼움홀에서 상기 힌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댐퍼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힌지축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터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tting portion,
A fitting hole passing through the partition wall; And
And a tunnel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hinge in the fitting hole and accommod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damper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hinge shaf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일단이 상기 터널부 내에서 상기 힌지축과 밀착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damper,
Clea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is provid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hinge shaft in the tunnel par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부는, 상기 끼움홀의 반대편인 타단이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댐퍼는, 상기 터널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터널부의 타단을 밀폐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tunnel part is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fitting hole is opened,
And the damper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tunnel part to seal the other end of the tunnel par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터널부의 타단을 밀폐하도록 상기 터널부의 단면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에서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힌지축과 밀착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damper,
A cover portion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tunnel portion to seal the other end of the tunnel portion; And
And a close contact portion provided to extend from the cover portion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hinge shaf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링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리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ntact portion,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the shape of a ring or at least one or more leg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부는, 상기 끼움홀의 반대편인 타단이 밀폐된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댐퍼는, 상기 터널부의 내부에서 상기 터널부의 타단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tunnel part is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fitting hole is sealed,
The damper is a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tunnel inside the tunne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일측이 상기 터널부의 타단 내측에 밀착되고 타측이 상기 힌지축에 밀착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damper,
A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ide of the other end of the tunnel unit and the other sid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inge shaf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터널부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damper,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 section of the tunnel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는,
일단이 상기 힌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봉부재; 및
상기 봉부재의 타단에 마련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usher,
A rod member having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hinge; And
And a handl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bar memb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한 상기 힌지의 회전 방향은,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한 상기 봉부재의 회전방향과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hinge based on the plate,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d member based on the hing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봉부재는,
고정홈이 마련되는 제1 봉;
상기 제1 봉과 동일 중심선상에서 슬라이딩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2 봉; 및
일단과 타단이 시소 운동을 하도록 일단이 탄성지지되며 타단에 고정돌기가 마련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거나 이격되어 상기 제2 봉의 위치를 구속 또는 해제시키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rod member,
A first rod provided with a fixing groove;
A second rod capable of adjusting its length by sliding on the same center line as the first rod; And
One end is elastically supported so that one end and the other end perform a seesaw motion, and a fixing protrusion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and the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or spaced apart from the fixing groove, and a button part for restraining or releas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rod. Cleaning devic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버튼부의 일단과 상기 버튼부의 타단 사이에 마련되는 시소축; 및
상기 시소축과 상기 제1 봉이 서로 밀착되어 진동이 흡수하도록 상기 시소축으로부터 상기 제1 봉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button portion,
A seesaw shaft provided between one end of the button part and the other end of the button part; And
And a protruding member protruding from the seesaw shaft to the first rod so that the seesaw shaft and the first rod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absorb vibratio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버튼부의 일단과 상기 버튼부의 타단 사이에 마련되는 시소축; 및
상기 시소축과 상기 제1 봉 사이에 마련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갭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button portion,
A seesaw shaft provided between one end of the button part and the other end of the button part; And
And a gap preventing unit provided between the seesaw shaft and the first rod to absorb vibratio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봉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봉에 맞닿게 마련되는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
The method of claim 16,
And a cap connected to the first rod and provided to abut the second rod.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캡이 설치되는 상기 제1 봉의 단부에는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캡은,
일단이 링 구조를 이루고,
타단에 상기 제1 봉의 내측에 삽입되는 내측부재와 상기 제1 봉의 외측에 위치되는 외측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부재는, 상기 제1 봉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가압하여 밀착되고,
상기 외측부재는, 상기 절개홈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
The method of claim 19,
An incision groove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rod on which the cap is installed,
The cap,
First, it forms a ring structure,
The other end includes an inner member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first bar and an outer member positioned outside the first bar,
The inner member is pressed in an outward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rod to be in close contact,
The outer member is a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in the cut groove.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일단이 상기 제1 봉에 맞닿거나 상기 외측부재가 상기 제1 봉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cap,
A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abuts against the first rod or the outer member abuts against the first rod.
KR1020217000287A 2018-08-02 2018-08-02 cleaning device KR10238376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8809 WO2020027354A1 (en) 2018-08-02 2018-08-02 Clean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642A true KR20210013642A (en) 2021-02-04
KR102383761B1 KR102383761B1 (en) 2022-04-08

Family

ID=69232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0287A KR102383761B1 (en) 2018-08-02 2018-08-02 cleaning devic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383761B1 (en)
CN (1) CN213963259U (en)
WO (1) WO2020027354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7655A (en) * 2021-10-22 2023-05-02 최광순 Smart vibration clean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5430A (en) * 1996-04-23 1997-11-04 Kubota Corp Structure for linking handle and head for mop
JP2000354579A (en) * 1999-06-15 2000-12-26 Elze Co Ltd Mop
KR20070016449A (en) * 2005-08-03 2007-02-08 한경희 Steam cleaner handle for controlling length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7092A (en) * 2005-12-19 2007-07-05 Saburo Mashita Floor cleaning tool
KR200439259Y1 (en) * 2007-10-19 2008-03-28 이광민 A mo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5430A (en) * 1996-04-23 1997-11-04 Kubota Corp Structure for linking handle and head for mop
JP2000354579A (en) * 1999-06-15 2000-12-26 Elze Co Ltd Mop
KR20070016449A (en) * 2005-08-03 2007-02-08 한경희 Steam cleaner handle for controlling lengt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7655A (en) * 2021-10-22 2023-05-02 최광순 Smart vibration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3963259U (en) 2021-08-17
KR102383761B1 (en) 2022-04-08
WO2020027354A1 (en) 2020-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46011C (en) Floor suction tool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JP5452065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US11452422B2 (en) Cleaner and cleaning device having the same
JPH10211132A (en) Floor nozzle for vacuum cleaner
KR20210013642A (en) Cleaning device
EP3517013B1 (en) Vacuum cleaner and cleaning device having same
WO2015110776A1 (en) A head for a surface cleaning device
KR101897237B1 (en) Mop apparatus
US10646085B2 (en) Flexible vacuum nozzle and nozzle opening
JP6765168B2 (en) Cleaning tools
KR101063016B1 (en) Mop mold for cleaning mop
JP6959722B2 (en) Partition device
KR101506191B1 (en) Cleaner
JP5719920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20180002928U (en) Mop apparatus
JPH08140915A (en) Wet mop vacuum cleaner of which dustcloth can be easily exchanged
KR200420870Y1 (en) Rod for cleaning tools
KR101304606B1 (en) Telescopic pipe of vacuum cleaner
KR200489025Y1 (en) A cleaning tools for bathroom
JP7198685B2 (en) Vacuum cleaner suction port body and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the same
KR102240721B1 (en) Case for broomstick
KR200267588Y1 (en) An apparatus for cleaning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of an air cleaner
KR200462809Y1 (en) A variable and shock absorbing type of rod push cleaner
KR102581392B1 (en) Mop apparatus
CN108888189A (en) cleaning mechanism for sweeping rob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