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3409A - 다리관리장치 및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다리관리장치 및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3409A
KR20210013409A KR1020190089685A KR20190089685A KR20210013409A KR 20210013409 A KR20210013409 A KR 20210013409A KR 1020190089685 A KR1020190089685 A KR 1020190089685A KR 20190089685 A KR20190089685 A KR 20190089685A KR 20210013409 A KR20210013409 A KR 20210013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ing space
user
leg
mis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현선
김주겸
전재흥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9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3409A/ko
Priority to US16/850,901 priority patent/US20210022958A1/en
Priority to EP20180784.9A priority patent/EP3769741A1/en
Priority to CN202010619286.7A priority patent/CN112294636A/zh
Publication of KR20210013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34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6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f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53Cabins, rooms, chairs or units for treatment with a hot or cold circulating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60Components specifically designed for the therapeutic baths of groups A61H33/00
    • A61H33/6089Specific construction features for further massaging means, i.e. not for the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20Non-portable devices, e.g. spraying boo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5Warming the body, e.g. hyperthermia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39Leg or parts thereof
    • A61F2007/0043Lower leg, cal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61F2007/0075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using a Peltier element, e.g. near the spot to be heated or coo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hermost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1Size reducing arrangements when not in use,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61H2201/0196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anthropometric data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리관리장치에는, 다리가 수용되는 작용공간을 제공하는 메인바디; 상기 작용공간으로 미스트를 제공하는 무화장치; 및 상기 작용공간의 내부에서 사용자의 무릎과 대응되어 놓이는 무릎케어부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족욕과 함께 무릎의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력한 온찜질 기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만족을 증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다리관리장치 및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Leg car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다리관리장치 및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족욕은 더운 물에 일정시간 동안 발을 담가 피로를 푸는 행위이다.
상기 족욕은 발에 열을 가하는 행위로서, 발을 통하여 인체로 간접적으로 전달되는 열을 이용하여, 혈액순환개선, 체온상승, 냉증개선, 수면장애개선, 노폐물배출, 내성발톱예방, 족거근막염개선, 스트레스해소, 및 피부미용 등 다양한 질환의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족욕을 행할 수 있는 족욕장치는, 발목부근의 높이까지 온수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발을 담그도록 하는 장치가 널리 알려져 있다. 물을 이용하는 족욕장치는 물을 간접적으로 가열하여 발을 전도가열하여야 하기 때문에, 열손실이 크고 취급이 어렵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제어공간의 내부에 발열체를 제공하고, 상기 발열체를 이용하는 복사가열을 이용하여 족욕을 행하는 족욕장치가 소개되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145430 족욕기에는 복사가열을 이용하는 족욕기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사용자 제어 판넬을 복잡하게 조작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이 있다. 둘째, 발열체를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가 있다. 셋째, 보관 및 이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넷째, 견고하지 못하여 파손이 잦은 문제점이 있다. 다섯째, 판으로 제어공간을 막아야 하는 등,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여섯째, 복사열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복사가열방식에 의한 찜질만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145430 족욕기
본 발명은 상기되는 배경 하에서 제안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작하고 사용할 수 있는 다리관리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온도조절상태가 사용자의 다리에 안전하게 가하여지는 다리관리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이동 및 보관이 편리해지는 다리관리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견고하여 파손을 방지되고 사용자의 취급이 편리한 다리관리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방법으로 족욕을 즐길 수 있는 다리관리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리관리장치에는, 다리가 수용되는 작용공간을 제공하는 메인바디; 상기 작용공간으로 미스트를 제공하는 무화장치; 및 상기 작용공간의 내부에서 사용자의 무릎과 대응되어 놓이는 무릎케어부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족욕과 함께 무릎의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력한 온찜질 기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만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작용공간의 내부로 기류를 형성하는 송풍장치가 포함되어, 작용공간의 내부를 균일한 온도조건으로 조성할 수 있다.
상기 송풍장치에 부속되는 열선이 포함되어, 작용공간 내부의 공기온도를 높게 할 수 있다.
상기 무릎케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 및 상기 무릎 주변부를 가압 및 이완하는 맛사지패드가 포함된다. 이에 따르면, 열에 의한 족욕뿐만이 아니라, 무릎의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 무화장치에는, 상온의 미스트를 분무하는 상온무화장치, 및 고온의 미스트를 분무하는 고온무화장치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이에 따르면, 다양한 온도 조건을 가지는 미스트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만족감을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작용공간에 열을 제공하는 열전모듈이 포함되어, 전도가열이 가능하여, 작용공간의 온도분위기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에는, 사용자의 다리가 놓이는 작용공간의 내부로 복사열을 제공하는 것, 및 사용자의 신체 중의 어느 곳과 접할 수 있는 부위에 마련되는 열전모듈로 전도열 및 대류열을 제공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가 수행되는 것; 및 미스트를 상기 작용공간의 내부로 분무하는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류, 복사, 및 전도에 의한 강한 온찜질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미스트가 분무된 후에, 상기 작용공간의 내부에 고온의 기류가 인가되어, 온도의 변화없이, 족욕을 즐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이 신체에 적합하게 크기 등을 조절하고, 다리관리장치를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습의 환경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화상 및 감전 등의 위험이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이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컴팩트하게 제공되는 장치로 인하여 좁은 실내공간에 편리하게 두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르면, 견고한 프레임으로 제공됨으로써, 파손에 강하고 오랜 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열체의 열 분위기를 전도, 대류, 및 복사방식의 다양한 방식으로 발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족욕효과가 증진되고, 사용자의 만족감이 커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기 및 냉기의 전달이 필요한 부위로 직접 열기 및 냉기를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더 큰 족욕효과를 얻을 수 있고, 에너지의 낭비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족욕공간으로 분무된 미스트가 사용자의 다리에 접하여 간접으로 가열함으로써 온찜질이 가능하고, 미스트가 증발하는 중의 흡수열을 이용하여 냉찜질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도가열 및 대류가열 방식을 이용하여 함께 족욕을 수행할 수 있어서, 족욕을 하는 사용자가 더 큰 만족을 얻을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다리관리장치의 정면사시도로서, 도 1은 다리관리장치가 보관되는 상태이고, 도 2는 다리관리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의 A-A'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다리관리장치의 전체 분해 측면도
도 5는 메인바디의 분해 측면도.
도 6은 상부모듈의 분해 측면도.
도 7은 측부모듈의 분해 측면도.
도 8은 바닥모듈의 분해 측면도.
도 9는 상기 무화장치와 관련되는 구성을 보이는 다리관리장치의 측면도.
도 10은 상기 무화장치와 관련되는 구성을 보이는 다리관리장치의 후면도.
도 11은 상기 무화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상기 무화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상기 무화장치와 관련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상기 상온무화장치 및 상기 고온무화장치가 함께 설치되는 다리관리장치의 개략적인 후면도.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리관리장치의 메인바디의 측면 분해도.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7은 무릎케어부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과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다리관리장치의 정면사시도로서, 도 1은 다리관리장치가 보관되는 상태이고, 도 2는 다리관리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보관상태는 다리관리장치가 가장 작게 축소된 상태 또는 사용 중이 아닌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작동상태는 사용자가 다리를 인입하기 다리관리장치가 확대된 상태 또는 사용을 위하여 움직이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방향은 사용자가 접근하는 방향을 정면으로 한다. 도면에 제시되는 각 축을 기준으로 할 때, 전후방향은 ①로 표시되고 사용자가 접근하는 방향이 정면이다. 좌우방향은 ②로 표시되고 사용자가 바라보는 정면의 좌우방향이다. 상하방향은 ③으로 표시되고 사용자가 바라보는 정면의 상하방향이다.
실시예의 다리관리장치는, 사용할 때에는 사용자가 다리를 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입구가 커지고 내부의 작용공간이 커질 수 있다. 사용자가 다리를 넣은 다음에는, 사용자의 신체 크기에 맞도록 입구가 축소되고 상기 작용공간이 다리에 맞도록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작용공간 및 상기 입구가 사용자의 신체크기, 특히 다리의 크기 및 길이에 맞도록 조정됨으로써, 다리에 작용되는 열적 영향을 크고 신속하게 할 수 있고, 에너지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실시예는 족욕의 기능과 함께, 무릎, 종아리, 및 허벅지의 일부가 포함되는 다리 부위에 대하여 열기, 냉기, 및 압력을 가하여 다리를 케어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족욕의 의미는, 물 속에서 가하여지는 수압 및 열을 이용하여 발을 족욕한다는 의미만이 아니라, 발, 무릎, 종아리, 및 허벅지의 일부가 포함되는 다리의 각 부위에 대하여 열, 냉기, 및 압력을 가하여 케어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다리관리장치에는, 메인바디(100), 상기 메인바디(100)의 상부에 연결되어 다리관리장치의 상측공간을 더 크게 개방할 수 있는 상부모듈(200), 상기 메인바디의 앞쪽에 연결되어 다리관리장치의 안쪽공간을 더 크게 개방할 수 있는 측부모듈(300), 상기 메인바디(100)의 하측에 연결되어 다리관리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부품이 수용되는 바닥모듈(400)이 포함된다.
상기 메인바디(100), 상기 상부모듈(200), 상기 측부모듈(300), 및 상기 바닥모듈(400)의 각 내면의 안쪽 내부 공간에는 작용공간(500)이 제공된다. 상기 작용공간(500)은 열기 또는 냉기를 전도, 대류, 및 복사 중의 적어도 어느 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다리로 가하는 공간이다. 상기 작용공간(500)의 앞쪽에는 사용자의 다리가 들고 나는 입구(510)가 제공된다. 열기, 및 냉기 중의 적어도 하나가 전도, 대류, 및 복사 중의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사용자의 다리에 인가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다양한 방식 중에 선택되는 방식으로 족욕을 할 수 있다.
상기 상부모듈(200)은 상하로 승강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상부모듈(200)이 윗쪽으로 이동하였을 때에는, 상기 입구(510)가 크게 개방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다리를 작용공간(500)으로 넣을 수 있다. 사용자가 작용공간(500)으로 다리를 인입한 다음에는, 상기 상부모듈(200)은 아랫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상부모듈(200)은, 사용자의 다리 일부가 닿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으로 상기 작용공간(500)이 구축될 때까지 아랫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상부모듈(200)은 상기 작용공간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모듈(200)은 상하로 슬라이딩 동작하는 것으로 실시예에서는 제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모듈(200)은 회동동작을 통하여 개방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상부모듈(200)의 앞쪽에는 요입되는 형상으로서 좌우양측에 각각의 무릎케어부(240a)(240b)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무릎케어부의 내면에는 무릎놓임부(243a)(243b)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무릎놓임부는 사용자의 무릎에 접촉할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무릎놓임부는, 발광소자 및 패드 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 및 패드 등은 열 및 압력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가하여 무릎을 케어하여, 혈류개선, 근육자극, 및 통증개선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무릎케어부(240)는 열 및 압력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가하여 무릎을 케어한다. 상기 작용공간(500)은 열기 또는 냉기를 전도, 대류, 및 복사으로 사용자의 다리를 케어한다. 이에 따르면, 실시예에 따른 다리관리장치는 다리의 각 개소별로 적합한 작용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만족감을 증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작용공간(500)은 족욕의 기능을 수행하여 족욕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무릎케어부(240)는 무릎안마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의 다리관리장치는 적어도 족욕기 및 무릎안마기의 기능이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측부모듈(300)은 전후로 회동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측부모듈(300)가 앞쪽으로 회동하였을 때에는, 상기 입구(510)가 개방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다리를 작용공간(500)으로 넣을 수 있다. 사용자가 작용공간으로 다리를 인입한 다음에는, 상기 측부모듈(300)은 뒷쪽으로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측부모듈(300)은 사용자의 다리 일부가 닿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으로 상기 작용공간(500)이 구축될 때까지 뒷쪽으로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측부모듈(300)은 상기 작용공간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측부모듈(300)은 전후로 회동동작을 하는 것으로 실시예에서는 제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측부모듈(300)은 슬라이등 동작으로 개방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조정될 수 있다.
상기되는 설명과 같이, 실시예의 다리관리장치는, 사용을 하지 않는 때에는 상부모듈 및 측부모듈이 수축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다리관리장치의 부피가 축소된 상태에서는 보관, 이동, 및 취급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상기 상부모듈 및 상기 측부모듈은 상기 메인바디에 대하여 동작이 가능하고, 그 동작을 통해서, 상기 작용공간의 크기를 크게 하거나 줄이는 작용을 수행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취급편의, 사용자에 적합한 족욕가능, 및 다리접촉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상부모듈 및 상기 측부모듈은 상기 작용공간의 크기 및 형상을 조절하는 작용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모듈 및 상기 측부모듈은 작용공간조절모듈이라고 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A-A'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다리관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메인바디(100)는, 상기 바닥모듈(400)의 뒷쪽 부분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방으로 연장되는 각도는 전방으로 일정 각도(β) 경사진다. 여기서 경사지는 각도는, 예각으로서 90도 미만이 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100)가 전방으로 경사져서 연장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작용공간(500)에 다리를 넣거나, 다리관리장치의 사용 중에, 지나치게 무릎을 구부릴 필요가 없다.
다리관리장치의 케어가 필요한 환자는 무?a관절염 등과 같은 정형외과적 질환에 고통받을 수 있다. 이들 환자가 과도하게 무릎을 구부리지 않고서, 상기 작용공간(500)이 사용자 다리의 큰 굽힘 각도에 대응 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바디(100)는 전방으로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무릎을 90도 이상으로 굽히지 않더라도, 다리관리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100)의 메인 상하연장부(도 5의 111참조)가 전방으로 경사지게 제공됨으로써, 이와 관련되는 다른 구성요소 들도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100)의 상부에는 상부모듈(200)이 마련된다. 상기 상부모듈(200)과 상기 메인바디(100)와의 접촉부에는 상하개방장치(260)가 개입될 수 있다. 상기 상하개방장치(260)는 구동모터 및 기어열 등이 포함되어, 상기 메인바디(100)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모듈(200)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모듈(200)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때는, 상기 입구(510)를 개방하여 사용자가 다리를 상기 작용공간(500)으로 넣는 때일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다리를 작용공간(500)에서 빼 낼 때에도 상부모듈은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상부모듈(200)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때는, 사용자가 다리를 넣은 후 상기 입구(510)를 작게 하거나, 작용공간(500)을 축소시키는 때일 수 있다.
상기 상부모듈(200)의 앞쪽부분에는 무릎케어부(240)가 제공되어, 사용자의 무릎을 케어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100)의 하측에는 송풍장치(101)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송풍장치(101)는 상기 작용공간(500)의 안으로 더운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송풍장치(101)의 더운 공기는 송풍장치(101)에 구비되는 열선에 의해서 데워질 수도 있다. 상기 송풍장치(101)는, 외부의 별도 가열장치에 의해서 데워진 공기를 강제대류하는 작용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바닥모듈(400)은 다리관리장치의 바닥부에 제공되어 기기 전체를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바닥모듈(400)의 상면에는 발 접촉패드(421)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발 접촉패드(421)에는 발바닥이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발 접촉패드(421)는, 외력에 의해서 조정되는 온도 분위기가 사용자의 발에 전도되도록 하여, 족욕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바닥모듈(400)의 앞쪽 부분에는 전후개방장치(46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후개방장치(460)는 모터 및 기어열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바닥모듈(400)과 상기 측부모듈(300)의 접촉부에 개입될 수 있다. 상기 전후개방장치(460)는 상기 메인바디(100)를 기준으로 상기 측부모듈(30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측부모듈(300)의 내면에는 종아리접촉패드(331)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종아리 접촉패드(331)에는 사용자의 종아리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종아리 접촉패드(331)는, 외력에 의해서 조정되는 온도 분위기가 사용자의 종아리에 전도되도록 하여, 족욕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측부모듈(300)이 전방으로 회동하는 때는, 상기 입구(510)를 개방하여 사용자가 다리를 상기 작용공간(500)으로 넣는 때일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다리를 작용공간(500)에서 빼 낼 때에도 측부모듈은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측부모듈(300)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때는, 사용자가 다리를 넣은 후 상기 입구(510)를 작게 하거나, 작용공간(500)을 축소시키거나, 종아리 접촉패드(331)에 종아리를 접촉시키는 때일 수 있다.
상기 상부모듈(200) 및 상기 측부모듈(300)은 상기 입구(510)를 개방할 때, 상기 상부모듈(200)이 먼저 개방을 시작한 다음에, 상기 측부모듈(300)이 개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상부모듈(200)은 슬라이딩 작용을 하는데 반하여, 상기 측부모듈(300)은 회동작용을 하기 때문에, 상기 측부모듈(300)이 전방회동시에 상부모듈(200)에 의해서 측부모듈(300)이 간섭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상부모듈(200) 및 상기 측부모듈(300)이 상기 입구(510)를 닫을 때에는 반대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측부모듈(300)이 먼저 닫히기 시작하여 일정각도 이상 닫힌 다음에, 상기 측부모듈(300)이 닫힐 수 있다. 이와 같인 순서로 각 모듈이 동작됨으로써, 각 모듈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다리관리장치의 전체 분해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다리관리장치의 각 모듈의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메인바디(100)에는, 메인 프레임(110)과,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후면에 마련되는 메인바디 외측덮게(120)가 마련된다. 상기 상기 메인 프레임(110)과 상기 메인바디 외측덮게(120)의 사이에는 소정의 빈 공간이 제공되고, 그 빈 공간에는 다리관리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부품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100)에는 송풍장치(101), 향기키트(103)를 수용하는 향기 케이스(102), 및 무화장치(130)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외에, 발열장치, 복사가열장치, 및 냉각장치 등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송풍장치(101)는 상기 작용공간(500)의 내부에 강제기류를 형성하는 장치이다. 상기 향기키트(103)는 상기 작용공간(500)의 내부의 향기를 가하거나, 냄새를 제거하는 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무화장치(130)는, 물을 초음파분무 및 가열분무 등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작용공간(500)의 내부로 미스트를 공급할 수 있다. 두가기 방식의 미스트 제공방식이 모두 설치되는 경우도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상부모듈(200)에는, 상하개방장치(260)의 일부 가동부재가 고정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대하여 승하강하는 상부프레임(210)이 포함된다. 상기 상부프레임(210)의 안쪽과 바깥쪽에는 각각 상부내측덮게(230), 및 상부외측덮게(220)가 마련되어, 상부모듈(200)의 외관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상부내측덮게(230)의 앞쪽에는, 무릎케어부(240), 및 무릎케어부(240)의 장착을 위한 무릎케어안착패널(232)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측부모듈(300)에는, 측부프레임(310), 및 상기 측부프레임(310)의 전방에 마련되는 측부외측덮게(32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측부모듈(300)의 안쪽면에는, 종아리 열전모듈(330) 및 종아리 접촉패드(331)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종아리 열전모듈(330)에는 열전소자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냉기 또는 열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바닥모듈(400)에는, 바닥프레임(410), 상기 바닥프레임(410)의 외부 테두리를 수용하는 바닥하우징(430), 및 바닥프레임(410)의 하부를 개폐하는 바닥판(440)이 포함된다.
상기 바닥판(440)의 하면에는 휠 등으로 예시되는 바닥지지체(441)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다리관리장치를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바닥하우징(430)의 내부에는, 발 열전모듈(420), 및 발 열전모듈(420)의 냉기 및 열기를 전도방식을 사용자의 발로 전달하는 발 접촉패드(421)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발 열전모듈(420)과 발 접촉패드(421)는 서로 접촉되어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발 열전모듈(420)로부터 폐기되는 열기 또는 냉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열교환팬(423), 그릴(424), 필터(425)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바닥하우징(430)의 내부에는 전후개방장치(460)가 수용되어 상기 측부모듈(430)을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전후개방장치(460)에는, 적어도 모터가 포함되는 회동구동부(461), 및 기어 등의 동력전달부를 가지는 연계구동부(462)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바닥하우징(430)에는 상방으로 노출되는 발광소자(450)가 마련되어, 사용자의 발로 열을 조사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발광소자는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450)는 자외선 램프로 제공되어, 상기 작용공간(500) 내부에 대한 살균 및 소독을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바닥하우징(430)의 어느 일측에는, 버려지는 물을 받아서 저장하고, 필요시에 저장된 물을 버릴 수 있는 물받이(431)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물받이(431)에는, 상기 무화장치(130)에서 무화된 후에 소정의 기능을 수행한 다음에 응축되는 물이, 중력에 의해서 낙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리관리장치의 각 구성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메인바디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메인바디의 구성 및 작용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메인바디(100)는 크게 나누어, 다리관리장치의 전체 형상 및 하중을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110), 및 상기 메인 프레임(110)과의 사이에 부품의 수용을 위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뒷쪽에 마련되는 메인바디외측덮게(120)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110)와 상기 메인바디외측덮게(120)의 사이 간격에는 상기 상부모듈(20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상부모듈(200)이 상기 메인바디(100)에 안내된 상태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하개방장치(260)는 상기 메인프레임(110)와 상기 메인바디외측덮게(120)의 사이 간격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110)에는, 하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메인전후연장부(112), 상기 메인전후연장부(112)의 뒷쪽부분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메인상하연장부(111)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메인상하연장부(111)는 상기 메인전후연장부(112)에 대하여 일정 각도(β) 경사진 상태로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일정 각도는 예각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더 편안한 자세로 상기 작용공간(500)에 다리를 넣고, 다리관리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인전후연장부(112)는, 상기 작용공간(500)의 하부의 양측면을 닫을 수 있도록 막히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작용공간(500) 내부의 강제기류가 작용공간(500)의 양 측면을 통하여 유실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메인전후연장부(112)에는, 상기 측부모듈(300)의 회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슬롯(115)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슬롯(115)은 상기 메인전후연장부(112)를 곡선형태로 개방하여 제공될 수도 있고, 상기 메인전후연장부(112)에 곡선형태로 홈을 형성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 슬롯(115)의 내부에는 상기 측부모듈(300)의 돌기(도 7의 313참조)가 놓여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돌기(313)를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슬롯(115)는 소정의 회전중심점(C)을 기하학적 중심으로 하는 곡선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슬롯(115)는 회전중심점(C)에서 소정의 길이(L)를 곡률반경으로 가지는 곡선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회전중심점(C)은 측부모듈의 운동지지부(도 7의 321참조)의 일 지점일 수 있다.
상기 메인전후연장부(112)는 상기 가이드 슬롯(115)의 영역을 제외하고는 모두 닫혀있다. 상기 가이드 슬롯(115)은 상기 측부모듈(300)의 측부프레임(310)에 의해서 전부 가려질 수 있다. 상기 측부모듈(330)이 완전히 전방으로 회동하여 개방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작용공간(500)의 양측공간은 완전히 차폐될 수 있고, 작용공간(500)의 인위적인 조작된 강제기류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측부프레임(310)은 상기 메인전후연장부(112)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작용공간의 공기유출을 차단하는 유동차단막(1121)이 상기 메인전후연장부(112)의 상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유동차단막(1121)은 상기 측부모듈(300)이 개방되는 때에도 작용공간을 차단하여 작용공간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유동차단막(1121)의 작용은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측부모듈(300)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유동차단막(1121)이 측부측면부(311)의 외부로 드러나서, 상기 작용공간(500)을 차폐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메인전후연장부(112)의 후면부에는, 후면개방부(114)를 가지는 메인후면부(113)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메인후면부(113)의 후방에는 상기 작용공간(50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분위기를 제공하는 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후면개방부(114)를 통해서는 공기, 빛, 및 미스트 등, 상기 작용공간(500)의 분위기를 제공하는 작동매체가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메인후면부(113)의 후방에 놓일 수 있는 부품으로는, 송풍작용을 수행하는 송풍장치(101), 상기 작용공간을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한 향기키트(103), 상기 향기키트(103)가 수용되는 향기 케이스(102), 및 미스트를 제공하는 무화장치(130)가 포함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작용공간의 원활한 작용을 위하여 다른 부품이 더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송풍장치(101)는 작용공간 내부 및 외부 중의 적어도 한 곳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작용공간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작용공간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는 인위적으로 온도가 제어될 수 있다. 온도의 제어를 위하여 송풍장치는 발열장치 및 냉각장치로 예시되는 별도의 온도제어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송풍장치(101)는 상기 작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에 소정의 인위적인 작용을 가하여, 상기 작용공간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는 작용공간 내부에서의 공기순환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외부로 폐기되는 작동매체를 줄여서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향기키트(103)는 향수 및 광촉매냄새분해장치를 예시할 수 있다. 향수는 인위적으로 좋은 냄새를 공급하는 부품일 수 있다. 상기 광촉매냄새분해장치는, 산화티타늄으로 예시되는 부재로서, 자외선 등의 작용광을 이용하는 촉매작용으로 냄새입자를 분해하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무화장치(130)는 미스트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상기 무화장치(130)가 초음파분무방식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미스트가 뜨겁지 않은 상태로 상기 작용공간(500)의 내부로 공급되고, 다리를 시원하게 케어할 수 있고, 작용공간(500)의 내부를 잠열 등에 의해서 시원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무화장치(130)가 가열분무방식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미스트가 뜨거운 상태로 상기 작용공간(500)의 내부로 공급되고, 다리를 데워서 족욕할 수 있고, 작용공간(500)의 내부를 덥게 할 수 있다.
상기 무화장치(130)에는 초음파분무장치 및 가열분무장치가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다리관리장치를 더 다양한 모드로 사용할 수 있기때문에, 사용자의 만족감이 커질 수 있다.
상기 무화장치(130)로부터 공급되는 미스트는, 작용공간의 내부에서 소정의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다리에 닿은 고온의 미스트는 전도방식으로 사용자의 다리에 열을 전달할 수 있다. 고온의 미스트가 사용자의 다리표면에서 응축된 후에 외부의 열풍에 의해서 가열되는 것에 의해서, 계속하여 전도방식으로 사용자의 다리에 열을 전달하여 족욕이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의 다리에 응축되는 미스트가 증발하는 것에 의해서 사용자의 다리를 냉찜질할 수 있다.
상기 후면개방부(114)는, 메인후면덮게(116)에 의해서 닫힐 수 있다. 상기 메인후면덮게(116)는 작동매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홀이 가공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외측덮게(120)는, 상기 메인상하연장부(111)와 같이 위로 갈수록 전방으로 기울어진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상부모듈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상부모듈의 구성 및 작용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상하개방장치(260)에 의해서, 상기 메인바디(100)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모듈(200)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프레임(210)은 상부모듈(200)의 뼈대를 이루는 부품으로서, 상기 메인프레임과 같이 전방으로 비스듬히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상하개방장치(260)에는, 적어도 모터가 포함되는 승강구동부(261), 상기 승강구동부(261)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부레일(262), 및 상기 승강구동부(26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부레일(263)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상부레일(262)는 상기 상부프레임(210)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레일(263)은 상기 메인프레임(110)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레일(262) 및 상기 하부레일(263) 중의 적어도 하나가 상측 및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 상부모듈은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210)의 전방 및 후방으로는 각각, 상부내측덮게(230), 및 상부외측덮게(220)가 체결되어, 다리관리장치의 외관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210)이 이동하면 상기 상부내측덮게(230), 및 상기 상부외측덮게(220)는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상부내측덮게(230)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전방으로 경사지는 상부측면부(233), 및 상기 상부측면부(233)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다리관리장치의 상단면을 제공하는 상부상면부(234)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상부상면부(234)는 사용자가 다리관리장치를 사용할 때 주로 관찰하는 면으로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상면부(234)에는, 상기 무화장치(130)에 사용되는 물을 급수하는 급수장치(250)와, 사용자가 다리관리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27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급수장치(250)에는, 급수되는 물이 일차적으로 저장되는 급수프레임(254), 급수프레임(254)에 물을 주입하는 급수지지대(253), 및 급수덮게(251)가 지지되는 급수안착패널(252)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급수장치(250)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70)에는, 다리관리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70)를 이용하여, 다리관리장치의 제어에 필요한 조작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70)는 터치패널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상부모듈(200)의 앞쪽부분에는 무릎케어부(240)가 제공되어, 사용자의 무릎을 케어할 수 있다. 상기 무릎케어부(240)는 무릎케어프레임(231)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무릎케어프레임(231)이 상기 상부내측덮게(230)에 체결되도록 하기 위하여, 무릎케어안착패널(232)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무릎케어부(240)에는, 무릎에 적외선을 조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241), 슬개골의 이격가능한 주변부를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맛사지패드(242), 상기 맛사지패드(242) 내부로 공압을 조절하는 펌프(P)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맛사지패드(242)는 공압에 의한 압력조절이 아닌 스프링 압력조절 등 다른 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무릎케어부(240)에는 무릎 놓임부(243)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무릎놓임부(243)의 내부 영역의 각 위치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241), 및 적어도 하나의 맛사지패드(242)가 놓여있다. 상기 무릎놓임부(243)는 부드러운 쿠션 등의 재질이 충전되는 구조물로서 사용자의 무릎에 전반적인 압력을 가하여 무릎을 편안하게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무릎놓임부(243)에 따르면, 상기 맛사지패드(242)에 의한 작용을 더 증진할 수도 있다.
상기 무릎케어부(240)는, 작용공간과는 달리, 압력과 열을 가하는 것에 의해서 무릎의 통증을 완화하는 등의 작용을 수행하는 것은 이미 살펴본 바와 같다.
도 7은 측부모듈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측부모듈의 구성 및 작용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측부모듈(300)은 전후로 회동작용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다리관리장치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측부모듈(300)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110)과 연결되는 측부 프레임(310), 및 상기 측부프레임(310)의 전방에 마련되는 측부외측덮게(32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측부 프레임(310)에는, 측부전면부(312)와, 상기 측부전면부(312)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측부측면부(311)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측부측면부(311)는 좌우 두개의 벽으로 제공될 수 있고, 두 개의 벽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메인전후연장부(112)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측부측면부(311)의 내부에는 돌기(313)이 제공되고, 상기 돌기(313)는 상기 가이드 슬롯(115)에 의해서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돌기와 상기 가이드 슬롯이 제공되는 위치는 반대로 될 수도 있다. 다만, 안정된 동작을 위하여, 돌기는 측부모듈에 제공되고, 가이드 슬롯은 메인바디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부외측덮게(320)의 전단부 하측에는, 상기 측부모듈(300)의 회동동작을 지지하는 운동지지부(321)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운동지지부(321)는 상기 바닥모듈 또는 메인바디의 어느 지점에 걸려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운동지지부(321)는, 상기 측부모듈(300)의 상기 메인바디(100)에 대한 상대회동의 중심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운동지지부(321)의 인접위치에는 운동접촉부(322)가 마련되어, 상기 연계구동부(462)의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계구동부(462)와 상기 운동접촉부(322)가 치합되어, 상기 회동구동부(461)의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100)과 상기 측부모듈(300)의 상호동작은, 상기 전후개방장치(460)의 구동력 전달에 의한 회전동작과, 상기 돌기(313)와 상기 가이드 슬롯(115)의 안내작용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시계열적으로 상기 회동구동부(461), 상기 연계구동부(462), 및 상기 운동접촉부(322)로 연결되는 작용에 의해서, 바닥모듈(400)로부터 측부모듈(300)로 회동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운동지지부(321)에 의해서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측부모듈(300)이 회동할 수 있다.
상기 회동구동력에 의해서 상기 측부모듈(300)이 회동할 때, 상기 가이드 슬롯(115)의 내부에 상기 측부모듈(300)의 돌기(313)가 놓여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슬롯(115)와 상기 돌기(313)의 상호 안내작용에 의해서, 상기 측부모듈(300)의 회동동작은 정확한 회전중심에 의한 곡률반경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측부모듈(300)의 안쪽면에는, 종아리 열전모듈(330) 및 종아리 접촉패드(331)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종아리 열전모듈(330)에는 열전소자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냉기 또는 열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의 종아리 부분에 대한 족욕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종아리 열전모듈(330)의 열부하가 큰 경우에는, 상기 발 열전모듈(420)과 마찬가지로 별도의 열교환팬을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8은 바닥모듈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바닥모듈의 구성 및 작용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바닥모듈(400)에는 족욕을 위한 부품이 다수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바닥모듈(400)에는, 바닥프레임(410), 상기 바닥프레임(410)의 외부 테두리를 수용하는 바닥하우징(430), 및 바닥프레임(410)의 하부를 개폐하는 바닥판(440)이 포함된다.
상기 바닥하우징(430)의 내부에는, 발 열전모듈(420), 및 발 열전모듈(420)의 냉기 및 열기를 전도방식을 사용자의 발로 전달하는 발 접촉패드(421)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발 열전모듈(420)과 상기 발 접촉패드(421)는 서로 접촉되어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발 접촉패드(421)에는 사용자의 발바닥이 접촉되고, 발바닥에 열기 또는 냉기가 전달되어, 족욕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발 접촉패드(421)는 발바닥 전체에 대하여 골고루 열을 전달하기 위하여, 열전도성이 큰 금속, 예를 들어, 구리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을 재질로 할 수 있다. 이는 종아리 접촉패드(33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바닥하우징(430)의 내부에 일정한 수준의 물이 고인 경우에는, 상기 발 접촉패드(421)가 그 고인 물을 가열하여 발에 대한 족욕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발 열전모듈(420)로부터 폐기되는 열기 또는 냉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열교환팬(423), 그릴(424), 필터(425)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발 열전모듈(420)은 상기 종아리 열전모듈(330)에 비하여 큰 열기 또는 냉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높은 에너지가 공급된다. 상기 발 열전모듈(420)에서 발생되어 폐기되는 열이 열교환팬(423)에 의해서 외부로 원활히 버려질 수 있다.
상기 열교환팬(423)으로 순환되는 공기가 문제없이 냉각작용을 수행하기 위하여, 그릴(424) 및 필터(425)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필터(425)에서 이물질이 걸러진 공기는 상기 송풍장치(101)로 공급되어 상기 작용공간(500)으로 공급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더 청결한 공기가 작용공간(500)으로 공급되어 사용자의 만족감을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바닥하우징(430)의 내부에는 전후개방장치(460)가 수용되어 상기 측부모듈(430)을 회동시킬 수 있는 것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전후개방장치(460)는 많은 부분이 상기 바닥모듈(400)에 수용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메인바디(100)에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바닥하우징(430)에는 상방으로 노출되는 발광소자(450)가 마련되어, 사용자의 발로 열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450)는 조사되는 광에 따라서 살균, 광촉매분해를 위한 자외선, 및 적외선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바닥하우징(430)의 어느 일측에는, 버려지는 물을 받아서 저장하고, 필요시에 버릴 수 있는 물받이(431)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물받이(431)에는 상기 무화장치(130)에서 무화된 후에 응축되는 물이 낙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물받이(431)는 슬라이드하여 외부로 빠질 수 있는 부품으로 제공된다. 상기 물받이(431)로 물이 인입되는 유로에는, 밸브를 제공하여 족욕 중에는 물이 빠지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바닥판(440)의 하면에는 휠 등으로 예시되는 바닥지지체(441)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다리관리장치를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바닥지지체(441)가 회전이 가능한 휠로 마련됨으로써, 사용자는 편리하게 여러 방향으로 다리관리장치를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다. 노약자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이동장치의 장점을 크게 활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다리관리장치에는 무화장치가 마련되어 작용공간의 내부로 미스트를 분무할 수 있다. 상기 미스트는 사용자의 작용공간의 내부에서 사용자의 다리에 부착될 수 있다.
다리에 부착된 미스트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열에 의해서 가열되고, 사용자의 다리로 열을 전달하여 족욕을 할 수 있다. 다른 경우로, 다리에 부착된 미스트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냉기에 의해서 냉각되거나, 미스트가 증발하면서 흡수하는 열에 의해서, 다리를 냉찜질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무화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무화장치 및 그와 관련되는 구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강조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9는 상기 무화장치와 관련되는 구성만을 보이는 다리관리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상기 무화장치와 관련되는 구성만을 보이는 다리관리장치의 후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다리관리장치에는, 무화장치(130), 상기 무화장치(130)로 물을 급수하는 저수조(10), 상기 저수조(1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250), 상기 급수장치(250)가 상기 저수조(10)를 연결하여 물이 통과하는 도수관(255)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무화장치(130)는, 물에 초음파를 가하여 미스트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상기 저수조(10)는 상기 무화장치(130)로 일정량의 물을 급수하여 무화장치(130)의 기능 안정성을 확보하는 구성이다. 상기 급수장치(250)는 외부로부터 사용자가 물을 주입하는 장치이다. 상기 급수장치(250)는 상부모듈(200)의 상면에 일부가 노출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물을 급수할 수 있다.
상기 급수장치(250)는 상기 상부모듈(200)의 일측 모서리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모듈(200)의 상기 상부상면부(234)를, 사용자가 협탁의 테이블로써 사용될 때, 사용자에게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상부상면부(234)에 책 등의 물건을 놓을 때, 상기 급수장치(250)가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급수장치(250)는 상기 상부상면부(234)의 일측 코너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급수장치(250)는 상부모듈(200)에 제공되고, 상기 상부모듈(200)은 상기 메인바디(100)에 대하여 상하로 운동할 수 있다. 상기 급수장치(250)는 상기 상부상면부(234)의 일측 코너부에 마련된다.
상기 도수관(255)이, 상기 급수장치(250)와 상기 저수조(10)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도수관(255)은 두 개의 상호 신축이 가능한 관로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수관은, 상기 급수장치(250)와 일측이 연결되는 제 1 도수관(2551), 및 상기 저수조(10)와 일측이 연결되는 제 2 도수관(255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수관(2551) 및 상기 제 2 도수관(2552)의 각 타측은 소정의 길이만큼 서로 겹쳐질 수 있다. 상기 제 1 도수관(2551) 및 상기 제 2 도수관(2552)이 서로 길이방향으로 이격하더라도, 제 1 도수관(2551) 및 제 2 도수관(2552)의 관로연결은 끊어지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상부모듈(200)이 상기 메인바디(100)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하더라도, 상기 도수관(255)은, 물이 누설되지 않고, 급수장치(250)로부터 상기 저수조(10)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도수관(255)은, 두 개의 관이 겹쳐지는 구성이 아니라, 길이기 신축가능한 주름관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 다른 구성으로서, 일정한 길이 만큼은 주름관으로 제공되어 신축이 가능하도록 하고, 다른 일정한 길이 만큼은 체결을 위하여 견고한 관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수관(2551) 및 상기 제 2 도수관(2552)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정 부분은 절곡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도수관(2552)이 중앙으로 절곡되어 도수관 절곡부(2553)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도수관 절곡부(2553)는, 상기 상부상면부(234)의 일측 코너부에 상기 급수장치(250)가 제공되더라도, 상기 저수조(10)를 향하여 물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저수조(10)는,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메인바디(100)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무화장치(130)는 상기 저수조(10)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무화장치(130)는 상기 작용공간(500)과 가급적 인접하여, 발생된 미스트가 응축됨이 없이 바로 작용공간(500)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무화장치(130)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의 진동작용에 의해서 물분자가 표면에서 튀는 현상을 이용하여 상온 상태의 미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상기 무화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무화장치(130)는, 상기 저수조(1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미세 수분입자(41)와 음이온(42)을 생성하여 외부로 분무할 수 있다.
일단은 상기 저수조(10)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무화장치(130)에 결합되는 미스트발생부(32)가 구비된다. 상기 저수조(10)와 상기 미스트발생부(32)의 결합부에는 수량조절밸브(12)가 구비되어, 미스트발생부(32)의 수위를 일정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미스트발생부(32)의 저면에 진동자(3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진동자(34)는 미스트발생부에 담긴 물을 진동시켜 미세 수분입자(41)로 만들수 있다. 이 때, 상기 진동자(34)의 진동수는 인간의 귀에는 들리지 않는 초음파의 영역에 속한다.
상기 무화장치(130)의 일측에는 흡입구(33)가 형성된다. 상기 미스트발생부(32)의 일측에는 상기 흡입구(33)를 통하여 외기를 흡입하는 분무팬(35)이 설치된다. 상기 흡입구(33)에는 흡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36)가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흡입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로서 프리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36)에 흡입공기와 같이 들어오는 세균 등을 여과할 수 있도록 녹차의 카데킨 성분 내지는 항균성분이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화장치(130)의 상측에는 미세 수분입자(41)를 외부로 분출하는 노즐(37)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노즐(37)은 상기 분무팬(35)에서 송풍되는 기류에, 미세 수분입자(41) 및 음이온(42) 등의 미스트가 실려서, 상기 작용공간(500)의 내부로 분무하는 구성이다.
상기 저수조(10)의 내부에는 저수조(10)에 저장된 물에 서식하는 세균을 살균할 수 있는 살균수단(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살균수단으로는 초음파 세포 파쇄기(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노즐(37)로부터 공급되는 미스트는, 별도의 송풍장치(101)에 의한 강한 기류에 실려서 상기 작용공간(500)의 내부 구석구석에 도달할 수 있다. 이 뿐만이 아니라, 상기 노즐(37)로 부터 공급되는 미스트는, 분무팬(35)에 의한 약한 기류에 실려서 노즐(37)과 인접되는 부위에 집중적으로 공급될 수도 있다.
상기 송풍장치(101)의 사용여부는 사용자의 기호 및 족욕의 다양한 모드에 따라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작용공간(500)의 놓이는 다리의 전체 영역에 미스트가 다다르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송풍장치(101)는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화장치(130)에 의한 족욕기능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무화장치(130)에 의해서 공급되는 미스트는, 작용공간의 내부에서 사용자의 다리에 부착될 수 있다. 이후에, 상기 송풍장치(101)가 기류를 제공하면, 작용공간에 기류가 발생하고, 다리에 부착된 미스트가 증발할 수 있다. 상기 미스트는 증발하면서 다리에서 열을 흡수하여, 다리를 냉각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냉감을 즐길 수 있다.
송풍장치에 별도의 냉동사이클을 제공하거나, 송풍장치 또는 작용공간에 노출되는 열전모듈을 제공하는 등의 방법으로, 작용공간 내부의 기류는 차가운 냉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즐기는 냉감은 더욱 커지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열전모듈은 발 열전모듈 및 종아리 열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장치(101)가 더운 기류를 제공하면, 작용공간 내부의 기류는, 다리에 부착된 미스트를 가열할 수 있다. 가열된 미스트는 다리를 가열하여, 사용자는 더운 족욕을 즐길 수 있다.
상기 송풍장치의 더운 기류는, 송풍장치가 별도의 가열수단을 가지는 것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작용공간에 노출되는 열전모듈 또는 별도의 가열수단을 가지는 등의 방법으로, 작용공간 내부의 기류가 더운 분위기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열전모듈은 발 열전모듈 및 종아리 열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고온의 미스트를 제공하는 고온무화장치의 실시예를 제시한다. 상기 저수조(10)를 포함하는 다리관리장치의 관련 시스템은 도 9 내지 도 11의 상온무화장치와 동일하므로 같은 설명이 적용되는 것으로 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실시예의 무화장치는 상기 상온무화장치와 달리 고온의 미스트를 제공하므로, 고온무화장치라고 할 수 있다.
도 12는 무화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무화장치(13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무화장치(130)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탱크(610)와, 탱크(610) 내부에 장착되는 히터(640)와, 무화장치(130)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660)와, 무화장치(13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6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위센서(660)는, 통상 공통전극(662), 저수위전극(664) 및 고수위전극(666)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공통전극(662)과 고수위전극(664)의 통전 또는 공통전극(662)과 저수위전극(666)의 통전 여부에 의하여 고수위 및 저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무화장치(130)의 일측에는 물을 공급하는 급수 호스(620)가 연결되며, 타측에는 미스트의 일 형태로 스팀을 배출하는 스팀공급라인(642)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라인(642)의 선단에는 소정 형상의 노즐(6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 호스(620)의 일단은 무화장치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와 연결되며, 스팀공급라인(642)의 선단부의 노즐(650), 즉 스팀 토출구는 작용공간(500) 내면의 소정 위치와 연결되어, 작용공간(500)의 내부로 고온의 미스트를 분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저수조(10)와 연결될 수 있다. 저수조와의 연결부에는 밸브가 마련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소정 크기의 탱크(610)에 수용된 일정량의 물을 히터(640)로 가열하여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방식의 무화장치(130)(이하 편의상 "통가열 방식"이라 함)를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고온의 미스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장치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화장치로 사용할수 있다. 예를 들어, 물이 통과하는 소정의 케이스의 둘레 또는 내부에 직접 히터를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물을 소정공간에 수용하지 않고 가열하는 방식(이하 편의상 "관가열 방식"이라 함)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관가열 방식의 무화장치에서는 상기 무화장치로 유입되어 흐르는 물이 가열되어 고온의 미스트로 전환될 것이다.
도 13은 상기 무화장치와 관련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무화장치(130)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로서 상기 저수조(10)가 내부에 소정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고, 상기 무화장치(130)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저수조(10)와 무화장치(130)의 사이에는 펌프(68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펌프(683)는 정역회전 가능하여, 상기 무화장치(130)로 물을 공급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무화장치(130)의 잔수를 회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잔수를 회수하는 것은, 무화장치 내부의 무기물이 스케일로 쌓이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물에 포함되는 무기물의 양이 적거나 무시할 만한 수준인 경우에는, 정회전만 가능한 펌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저수조(10)로 회수되는 잔수는, 상기 저수조(10)를 비우는 것에 의해서 폐기될 수 있다. 이때, 잔수에는 무기물의 농도가 높을 수 있다.
상기 정역회전이 가능한 펌프(683)가 적용됨으로써 상기 무화장치(130)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을 끓여서 미스트를 제공하는 방식의 통가열 방식의 고온무화장치는, 물이 비등한 후에는 탱크(610)의 내부에 무기물이 남는다. 상기 남는 무기물로 인하여 무화장치에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문제를 없애기 위하여, 무화장치가 일정시간 동작하고서, 잔수가 일정한 수준 이하만큼 남았을 때에, 탱크(610) 내부의 잔수를 제거함으로써 스케일을 줄일 수 있다.
상기 펌프는 온/오프 밸브로 대체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상기 저수조(10)와 상기 무화장치(130) 사이의 수두차를 이용함으로써 가능하다. 즉, 중력을 이용하여 저수조(10)로부터 무화장치(130)로 물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온/오프 밸브를 온 시킴으로 물공급부로부터 자동적으로 스팀발생장치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무화장치(130)의 하부에 물이 공급되며, 무화장치(130)의 상부에서 스팀이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는 것이 무화장치(130)의 잔수를 회수하는데 유리하다. 물론 도 12에 제시되는 바와 같이, 무화장치(130)의 상부로 물이 공급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잔수의 회수를 위한 별도의 배수구조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무화장치(130)에서 스팀을 배출하는 스팀 유로 즉 스팀공급라인(642)에는 안전밸브(68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팀 유로, 특히 노즐(650)이 막히는 경우 스팀 압력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고온무화장치에 따르는 족욕기능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무화장치(130)에 의해서 공급되는 고온 미스트가 직접 사용자의 다리에 부착하거나, 상기 고온 미스트가 다리에서 응축되어 족욕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
상기 고온 미스트가 사용자의 다리 전체 영역에 도달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송풍장치(101)를 추가로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송풍장치(101)가 더운 기류를 제공하면, 작용공간 내부의 기류는, 다리에 부착된 미스트를 계속하여 가열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고온의 미스트가 식더라도 계속하여 족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송풍장치의 더운 기류는, 송풍장치가 별도의 가열수단을 가지는 것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작용공간에 노출되는 열전모듈 또는 별도의 가열수단을 가지는 등의 방법으로, 작용공간 내부의 기류가 더운 분위기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열전모듈은 발 열전모듈 및 종아리 열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 제시되는 무화장치는 초음파에 의해서 동작되는 상온무화장치이고, 도 12 및 도 13에 제시되는 무화장치는 가열방식으로 동작되는 고온무화장치이다.
상기 상온무화장치 및 상기 고온무화장치는, 위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각 무화장치가 단독으로 다리관리장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상온무화장치 및 상기 고온무화장치는, 다리관리장치에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냉찜질 또는 온찜질 등, 온도와 무관하게 다양한 방식으로 족욕을 즐길 수 있다.
도 14는 상기 상온무화장치 및 상기 고온무화장치가 함께 설치되는 다리관리장치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14에는 다른 부분은 동일하므로 이미 설명된 내용이 적용되는 것으로 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고, 무화장치와 관련되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저수조(10)의 양측 각각에, 상온의 미스트를 제공할 수 있는 상온무화장치(1301), 및 고온의 미스트를 제공할 수 있는 고온무화장치(1302)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상온무화장치(1301) 및 상기 고온무화장치(1302)에서 제공되는 미스트가 상기 작용공간(500)의 안으로 넓게 공급되어 다리 표면에 골고루 미스트가 다다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메인상하연장부(111)의 하부에 좌우로 길게 마련되는 슬릿구조의 미스트 공급슬릿(1303)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미스트 공급슬릿(1303)은 좌우로 길게 마련됨으로써, 사용자의 좌측다리과 우측다리 모두로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미스트 공급슬릿(1303)은 길게 마련됨으로써, 다리의 어느 일 부분에 미스트가 집중되어 공급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노즐(37)(650)과 상기 미스트 공급슬릿(1303)의 사이에는 디퓨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미스트 공급슬릿(1303)의 토출구가 넓게 마련됨으로써, 미스트가 다리의 어느 일 부분에 집중되지 않도록 하여, 고온 미스트로 인한 화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노즐(650)과 상기 미스트 공급슬릿(1303)의 사이에는 디퓨저 및 배플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작용공간(500)으로 미스트를 원활히 공급하도록 하기 위하여, 미스트의 공급시에 송풍장치(101)가 함께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리관리장치의 메인바디의 측면 분해도이다. 도 15에서 도시되지 않은 다리관리장치의 다른 부분은 상기되는 실시예의 설명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설명이 없는 부분은 원 실시예의 설명이 그대로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는, 상기 송풍장치(101)에 의해서 제공되는 기류에 열을 제공하는 열선(1011)이 더 마련되는 것이 다르다. 상기 열선(1011)은 상기 송풍장치(101)가 동작되어 작용공간으로 기류를 제공할 때, 상기 기류에 열기를 실어서, 작용공간으로 고온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류에 의한 고온공기는 상기 작용공간의 내부에서 사용자의 다리를 가열하거나, 미스트를 가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다리관리장치는 더운 분위기에서 족욕을 하는 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다리관리장치가 족욕을 수행하도록 제어되는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먼저, 작용공간의 내부로 미스트를 제공한다(S1). 상기 미스트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상온무화장치(1301) 및 상기 고온무화장치(1302) 중의 적어도 하나가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상온무화장치(1301), 상기 고온무화장치(1302), 상기 열선(1011), 및 상기 송풍장치(101)을 동작시키는 것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미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온무화장치(1301)만이 동작하는 경우에는 상온의 미스트가 작용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고온무화장치(1302)만이 동작하는 경우에는 고온의 미스트가 작용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기 상온무화장치(1301) 및 상기 고온무화장치(1302)가 함께 동작되는 경우에는, 많은 양의 미스트가 상온과 고온의 사이 온도로 작용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온무화장치(1301), 및 상기 고온무화장치(1302)의 동작은,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분위기 및 습도분위기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많은 양의 미스트가 공급되기 원하는 경우에는, 비록 온도가 낮더라도 상기 상온무화장치(1301), 및 상기 고온무화장치(1302)를 함께 동작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상온무화장치(1301)만이 동작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동작 개시 시점에서는 상온의 미스트로 족욕을 하고자 하는 경우일 수 있다.
상기 작용공간으로 공급되는 미스트는 사용자의 다리에 부착되어 사용자는 족욕을 즐길 수 있다(S2).
상기 사용자의 다리에 부착되는 미스트는, 응집과정 및 응축과정을 거치며 물방울로 성장하고 식을 수 있다. 응집된 물방울에 새로이 공급되는 고온의 미스트가 응집되면서, 상기 응집된 물방울 소정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응집된 물방울은 다리의 피부를 따라서 낙하하고, 새로이 공급되는 미스트가 물방울 새로이 형성하며 사용자는 족욕을 즐길 수 있다. 다만, 상기 작용공간의 내부에 많은 양의 물이 수용되면, 고온의 미스트가 공급되더라도 다리에 전달되는 열량은 작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용공간 내부의 물이 늘어날수록 작용공간 내부의 열부하가 커지기 때문에, 동일한 양의 미스트가 공급되더라도 작용공간의 온도는 점진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작용공간 내부의 온도는 동일한 상태로 계속 미스트를 공급하더라도 온도가 떨어지게 된다. 마찬가지로 족욕의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작용공간 내부에 수용되는 물의 양이 많은 것을 감안하여, 상기 작용공간의 내부에 미스트 외에 다른 수단으로 열을 공급할 수 있다(S3).
상기 작용공간의 내부로 열을 공급하는 방법으로는, 첫째, 상기 송풍장치(101) 및 상기 열선(1011)이 동작하여, 고온의 기류를 제공하는 것, 둘째, 상기 송풍장치(101) 및 상기 열전모듈(330)(420) 중의 적어도 하나가 동작하여, 열전모듈에서 생성된 열이 송풍장치에 의한 기류에 실려서 작용공간의 내부로 공급되는 것, 셋째, 송풍장치(101), 열선(1011), 및 열전모듈(330)(420) 중의 적어도 하나가 동작하여, 작용공간의 내부로 적정한 양의 열이 전달되도록 하는 것, 넷째, 송풍장치(101), 열선(1011), 및 열전모듈(330)(420) 모두가 동작하여, 작용공간의 내부로 가장 많은 양의 열이 전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되는 열 공급단계(S3)에서 공급되는 열은, 상기 다리에 부착되는 미스트를 충분히 가열하여, 사용자는 계속해서 족욕을 할 수 있다. 물론, 공급되는 열이 피부를 직접 대류가열하여 족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는 미스트가 피부를 전도가열하는 것과는 구분되는 것으로서, 결국 사용자는 전도가열 및 대류가열을 함께 이용하여 족욕을 즐길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미스트가 계속해서 공급되는 중에 사용자가 동일한 온도로 족욕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네 가지 방법 중에서 열량이 커지는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변경해 나갈 수 있다. 이때, 공급되는 미스트의 양과 상기 열 공급단계(S3)에서 공급되는 열을 비교하여, 바람직한 어느 방법이 선택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물론,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는 높은 열량이 공급되는 방법을 인위적으로 선택하여 족욕을 즐길 수도 있다.
상기 미스트가, 미스트 외의 다른 열공급수단에 의해서 가열되는 것에 의해서, 사용자는 작용공간 내부에 수분이 많더라도, 미스트에 의한 족욕을 계속해서 즐길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계속해서 공급되는 미스트의 양과 무관하게 동일한 온도분위기로 족욕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의 다리관리장치에는, 허벅지의 하측에 있는 모든 다리 부분에 대하여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릎케어부(240)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241), 및 적어도 하나의 맛사지패드(242)가 포함되어 무릎을 케어할 수 있다. 종아리 및 발에 대하여도 전도 및 대류로 족욕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은 이미 설명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실시예의 다리관리장치는 다양한 가열장치를 통하여 다양한 족욕기능 및 신체에 대한 관리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종래 족욕기에서 기대할 수 있는 복사, 전도, 및 대류의 모든 방법을 통하여 족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온찜질을 원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최선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강한 온찜질의 족욕기능에 대응하는 다리관리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강한 온찜질의 기능은 노약자의 경우에 더욱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먼저, 무릎케어부(24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7은 상기 무릎케어부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무릎케어부(240)에는, 무릎에 적외선을 조사하고 열을 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241), 슬개골의 주변부를 가압하여 맛사지를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맛사지패드(24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맛사지패드(242)는 가압 및 이완작용을 통하여 신체를 맛사지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241) 및 상기 맛사지패드(242)는, 상기 무릎케어부(240)의 내면에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맛사지패드(242)에는, 슬개골의 직근 하측으로 맛사지하는 중앙부 맛사지패드(2421), 상기 중앙부 맛사지패드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 맛사지패드(2422), 및 상측을 제외하는 슬개골 주변부를 맛사지 하는 둘레 맛사지패드(2423)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맛사지패드(242)는 연속적인 가압 및 이완을 통하여 무릎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 중앙부 맛사지패드(2421)의 주변부에는 복수의 발광소자(241)가 둘러싸여 있다. 상기 발광소자(241)는 적외선 등의 복사가열원을 조사하여, 무릎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무릎케어부(240)을 통하여 사용자는 무릎의 통증저감, 및 통증해소작용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241)에서 발생하는 열은 사용자의 무릎을 직접 가열하는 등의 작용을 통하여 가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용공간(500)의 안에 복사열을 제공할 수도 있다.
강한 온찜질이 수행되는 족욕을 수행하는 실시예에 따른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무릎케어부(240)가 동작한다(S11). 이때 상기 발광소자가 동작하여 적외선 등에 의한 복사열을 작용공간의 내부에 가할 수 있다. 상기 무릎케어부(240)는 작용공간에 인입된 사용자의 무릎을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작용공간의 안으로 인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직접 작용공간의 내부 공간을 복사가열할 수 있다.
상기 무릎케어부(240)가 동작된 다음에 또는 상기 무릎케어부(240)와 함께 상기 열전모듈(330)(420)이 동작할 수 있다(S12). 상기 열전모듈이 동작함으로써, 작용공간에 인입된 사용자의 발 및 종아리를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작용공간의 안으로 인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열전모듈은 작용공간의 내부공간에 직접 전도열 및 대류열을 전달할 수 있다. 물론 낮은 복사열을 전달할 수도 있으나, 온도가 높지 않으므로 전도 및 대류에 비해서 그 양은 현저하게 작을 수 있다.
상기 무릎케어부(240) 및 상기 열전모듈(33)(420)는 다른 발열수단에 비하여 신속하게 작용공간으로 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무릎케어부(240) 및 상기 열전모듈(330)(420)이 동작되어 작용공간의 내부가 소정 온도 이상의 높은 온도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화장치(130)를 통하여 미스트를 분무할 수 있다(S13). 상기 미스트는, 고온의 작용공간의 내부에서 에너지를 받은 상태이므로, 사용자의 다리에 부착되면 사용자의 다리를 신속하게 족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무릎케어부(240) 및 상기 열전모듈(330)(420)이 동작되는 상태에서 다리를 작용공간의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미리 예열되어 있는 작용공간의 내부로 다리를 넣기 때문에, 신속하게 족욕기능이 수행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미스트가 미리 분무되는 경우에는, 미스트가 외부로 유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작용공간으로 다리를 넣기 전에 동작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는 송풍장치(101)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이후에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미스트의 높은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열선(1011) 및 송풍장치(101)을 포함하는 가열도구 중의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킬 수 있다. 미스트는 더 높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에는, 응집된 물방울을 가열할 수 있도록, 고온의 기류가 다리의 피부에 가 닿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작용공간의 내부로 다리를 넣은 사용자는 더운 분위기에서 신속하게 족욕을 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강한 온찜질에 따른 족욕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더 설명한다.
상기 상부모듈 및 상기 측부모듈 중의 어느 하나는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상부모듈 및 상기 측부모듈 중의 어느 하나만 개방하여 사용자가 작용공간으로 다리를 인입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의 불편이 조금 커지는 문제점은 있으나, 다리관리장치의 동작 및 작용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상부모듈 및 상기 측부모듈이 모두 마련되는 실시예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발 접촉패드 및 상기 종아리 접촉패드 중의 어느 하나는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어느 하나의 접촉패드만을 사용하더라도 다른 열전달수단에 의해서 다리에 열 및 냉기가 전달될 수는 있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의 불편이 조금 커지는 문제점은 있으나, 다리관리장치의 동작 및 작용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발 접촉패드 및 상기 종아리 접촉패드가 모두 마련되는 실시예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무화장치는 바닥모듈에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이 되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메인바디의 하측 또는 상측에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미스트 및 열전모듈에 의한 전도가열에 의한 족욕, 상기 발광소자에 의한 복사가열, 및 상기 송풍장치에 의한 대류가열에 의한 족욕이 선택적으로 또는 모두 수행되어, 족욕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약자라도 편리하게 족욕기를 포함하는 다리를 관리할 수 있다, 특히, 많은 물을 사용할 때 발생하는 취급 상의 어려움이 없어지기 때문에, 거동이 부자유한 사람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온미스트 및 고온미스트를 이용하여 족욕을 즐길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양한 모드로 더욱 편리하게 족욕을 즐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계속해서 공급되는 미스트의 양과는 무관하게 족욕을 즐길 수 있다.
100: 메인바디
130: 무화장치
1301: 상온무화장치
1302: 고온무화장치
200: 상부모듈
300: 측부모듈
400: 바닥모듈

Claims (8)

  1. 다리가 수용되는 작용공간을 제공하는 메인바디;
    상기 작용공간으로 미스트를 제공하는 무화장치; 및
    상기 작용공간의 내부에서 사용자의 무릎과 대응되어 놓이는 무릎케어부가 포함되는 다리관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공간의 내부로 기류를 형성하는 송풍장치가 포함되는 다리관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장치에 부속되는 열선이 포함되는 다리관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케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 및
    상기 무릎 주변부를 가압 및 이완하는 맛사지패드가 포함되는 다리관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장치에는,
    상온의 미스트를 분무하는 상온무화장치, 및 고온의 미스트를 분무하는 고온무화장치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다리관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공간에 열을 제공하는 열전모듈이 포함되는 다리관리장치.
  7. 사용자의 다리가 놓이는 작용공간의 내부로 복사열을 제공하는 것, 및 사용자의 신체 중의 어느 곳과 접할 수 있는 부위에 마련되는 열전모듈로 전도열 및 대류열을 제공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가 수행되는 것; 및
    미스트를 상기 작용공간의 내부로 분무하는 것이 포함되는 다리관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미스트가 분무된 후에, 상기 작용공간의 내부에 고온의 기류가 인가되는 다리관리장치.
KR1020190089685A 2019-07-24 2019-07-24 다리관리장치 및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1001340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685A KR20210013409A (ko) 2019-07-24 2019-07-24 다리관리장치 및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
US16/850,901 US20210022958A1 (en) 2019-07-24 2020-04-16 Leg care apparatus
EP20180784.9A EP3769741A1 (en) 2019-07-24 2020-06-18 Leg care apparatus
CN202010619286.7A CN112294636A (zh) 2019-07-24 2020-06-30 腿部护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685A KR20210013409A (ko) 2019-07-24 2019-07-24 다리관리장치 및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409A true KR20210013409A (ko) 2021-02-04

Family

ID=74558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685A KR20210013409A (ko) 2019-07-24 2019-07-24 다리관리장치 및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340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430B1 (ko) 2012-03-02 2012-05-15 최성창 족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430B1 (ko) 2012-03-02 2012-05-15 최성창 족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12267A (ko) 다리관리장치, 및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130450B1 (ko) 한방용 훈증침대
CN104337681A (zh) 用于熏蒸的座椅装置
US20210022564A1 (en) Leg care apparatus
KR20210013405A (ko) 다리관리장치
KR20210013409A (ko) 다리관리장치 및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10012279A (ko) 다리관리장치
KR20210013408A (ko) 다리관리장치, 및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10013407A (ko) 다리관리장치
KR20210012264A (ko) 다리관리장치, 및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10013412A (ko) 다리관리장치 및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10013410A (ko) 다리관리장치, 및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10013413A (ko) 다리관리장치
US11432685B2 (en) Leg care apparatus
KR20210013411A (ko) 다리관리장치, 및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
US20210022958A1 (en) Leg care apparatus
KR20210013406A (ko) 다리관리장치
CN111643346B (zh) 一种基于区块链的医疗美容舱
US20210022565A1 (en) Leg car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10013398A (ko) 다리관리장치
KR20210013404A (ko) 다리관리장치, 및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
CN113057467A (zh) 一种多功能家具
KR20210012257A (ko) 다리관리장치
KR20210013403A (ko) 다리관리장치
KR20210013399A (ko) 다리관리장치, 및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