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3401A - 다리관리장치, 및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다리관리장치, 및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3401A
KR20210013401A KR1020190089663A KR20190089663A KR20210013401A KR 20210013401 A KR20210013401 A KR 20210013401A KR 1020190089663 A KR1020190089663 A KR 1020190089663A KR 20190089663 A KR20190089663 A KR 20190089663A KR 20210013401 A KR20210013401 A KR 20210013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odule
leg
working space
proximity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현선
김주겸
전재흥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9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3401A/ko
Priority to US16/843,353 priority patent/US11406226B2/en
Priority to CN202010476044.7A priority patent/CN112294633A/zh
Priority to EP20183696.2A priority patent/EP3769744A1/en
Publication of KR20210013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34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6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f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53Cabins, rooms, chairs or units for treatment with a hot or cold circulating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05Electrical circui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39Leg or parts thereof
    • A61F2007/0043Lower leg, cal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61F2007/0075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using a Peltier element, e.g. near the spot to be heated or coo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hermost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93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programm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1Size reducing arrangements when not in use,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61H2201/0196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anthropometric data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28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heated by an electric resistance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5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by direct air flow on the patient'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25Activ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리관리장치에는, 다리가 수용되는 작용공간을 제공하는 메인바디; 상기 작용공간의 입구 크기를 조절하는 작용공간조절모듈; 사용자가 상기 작용공간의 내부에 들어온 것을 감지하는 제 2 근접센서; 상기 제 2 근접센서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작용공간조절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 2 근접센서의 감지신호를 지연시켜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릴레이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다리를 인입시킨 다음에, 자세를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여유를 가질 수 있고, 사용자가 안전하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리관리장치, 및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Leg car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다리관리장치, 및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족욕은 더운 물에 일정시간 동안 발을 담가 피로를 푸는 행위이다.
상기 족욕은 발에 열을 가하는 행위로서, 발을 통하여 인체로 간접적으로 전달되는 열을 이용하여, 혈액순환개선, 체온상승, 냉증개선, 수면장애개선, 노폐물배출, 내성발톱예방, 족거근막염개선, 스트레스해소, 및 피부미용 등 다양한 질환의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족욕을 행할 수 있는 족욕장치는, 발목부근의 높이까지 온수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발을 담그도록 하는 장치가 널리 알려져 있다. 물을 이용하는 족욕장치는 물을 간접적으로 가열하여 발을 전도가열하여야 하기 때문에, 열손실이 크고 취급이 어렵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제어공간의 내부에 발열체를 제공하고, 상기 발열체를 이용하는 복사가열을 이용하여 족욕을 행하는 족욕장치가 소개되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145430 족욕기에는 복사가열을 이용하는 족욕기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사용자 제어 판넬을 복잡하게 조작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이 있다. 둘째, 발열체를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가 있다. 셋째, 보관 및 이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넷째, 견고하지 못하여 파손이 잦은 문제점이 있다. 다섯째, 판으로 제어공간을 막아야 하는 등,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여섯째, 더운 공간을 차폐하기 위하여 무거운 패널을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145430 족욕기
본 발명은 상기되는 배경 하에서 제안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작하고 사용할 수 있는 다리관리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온도조절상태가 사용자의 다리에 안전하게 가하여지는 다리관리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이동 및 보관이 편리해지는 다리관리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견고하여 파손을 방지되고 사용자의 취급이 편리한 다리관리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리관리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리관리장치에는, 다리가 수용되는 작용공간을 제공하는 메인바디; 상기 작용공간의 입구 크기를 조절하는 작용공간조절모듈; 사용자가 상기 작용공간의 내부에 들어온 것을 감지하는 제 2 근접센서; 상기 제 2 근접센서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작용공간조절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 2 근접센서의 감지신호를 지연시켜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릴레이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다리를 인입시킨 다음에, 자세를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여유를 가질 수 있고, 사용자가 안전하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작용공간조절모듈에는, 상기 작용공간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입구를 상방으로 개방하거나 닫을 수 있는 상부모듈이 포함되어, 작용공간을 상하로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작용공간조절모듈에는, 상기 작용공간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입구를 전방으로 개방하거나 닫을 수 있는 측부모듈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어, 작용공간을 측방향으로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제 2 근접센서는 상기 상부모듈에 마련되고, 상기 상부모듈의 좌우길이를 기준으로 중앙의 삼분의 일 범위 내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오감지로 인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근접센서는 사용자의 복부 및 허벅지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도록 하여, 사용자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에는, 사용자가 작용공간의 내부에 다리를 넣은 것이 제 2 근접센서에 의해서 감지되는 것; 상기 제 2 근접센서에 의한 사용자의 감지신호가 릴레이에 의해서 지연되는 것; 및 지연된 사용자의 감지신호가 제어부로 전달된 다음에, 다리관리장치의 입구가 닫히는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안전하게 다리관리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다리관리장치의 입구가 닫히는 것은, 사용자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닫히는 것; 및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서 미세조정되는 것이 포함된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동 및 수동으로 안전하게 다리관리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작용공간조절모듈을 안전하게 개폐시킬 수 있다.
상기 입구를 개방하는 모듈로서, 상기 작용공간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입구를 상방으로 개방하거나 닫을 수 있는 상부모듈; 및 상기 작용공간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입구를 전방으로 개방하거나 닫을 수 있는 측부모듈이 포함된다. 이에 따르면, 입구를 다양한 방식으로 개폐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이 신체에 적합하게 크기 등을 조절하고, 다리관리장치를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습의 환경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화상 및 감전 등의 위험이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이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컴팩트하게 제공되는 장치로 인하여 좁은 실내공간에 편리하게 두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르면, 견고한 프레임으로 제공됨으로써, 파손에 강하고 오랜 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열체의 열 분위기를 전도, 대류, 및 복사방식의 다양한 방식으로 발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족욕효과가 증진되고, 사용자의 만족감이 커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기 및 냉기의 전달이 필요한 부위로 직접 열기 및 냉기를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더 큰 족욕효과를 얻을 수 있고, 에너지의 낭비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리관리장치의 도어가 자동으로 동작됨으로서, 노약자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리관리장치의 조작 시에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다리관리장치의 정면사시도로서, 도 1은 다리관리장치가 보관되는 상태이고, 도 2는 다리관리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의 A-A'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다리관리장치의 전체 분해 측면도
도 5는 메인바디의 분해 측면도.
도 6은 상부모듈의 분해 측면도.
도 7은 측부모듈의 분해 측면도.
도 8은 바닥모듈의 분해 측면도.
도 9와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다리관리장치에서 사용자를 감지하는 근접센서를 보이는 도면으로서, 도 9는 정면도이고, 도 10은 측단면도.
도 11은 상기 입구를 개폐하는 자동개폐동작을 설명하는 다리관리장치의 블럭도.
도 12는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3은 상기 제 2 근접센서가 작동되는 상태를 보이는 도면.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리관리장치의 블럭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과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다리관리장치의 정면사시도로서, 도 1은 다리관리장치가 보관되는 상태이고, 도 2는 다리관리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보관상태는 다리관리장치가 가장 작게 축소된 상태 또는 사용 중이 아닌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작동상태는 사용자가 다리를 인입하기 다리관리장치가 확대된 상태 또는 사용을 위하여 움직이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방향은 사용자가 접근하는 방향을 정면으로 한다. 도면에 제시되는 각 축을 기준으로 할 때, 전후방향은 ①로 표시되고 사용자가 접근하는 방향이 정면이다. 좌우방향은 ②로 표시되고 사용자가 바라보는 정면의 좌우방향이다. 상하방향은 ③으로 표시되고 사용자가 바라보는 정면의 상하방향이다.
실시예의 다리관리장치는, 사용할 때에는 사용자가 다리를 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입구가 커지고 내부의 작용공간이 커질 수 있다. 사용자가 다리를 넣은 다음에는, 사용자의 신체 크기에 맞도록 입구가 축소되고 상기 작용공간이 다리에 맞도록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작용공간 및 상기 입구가 사용자의 신체크기, 특히 다리의 크기 및 길이에 맞도록 조정됨으로써, 다리에 작용되는 열적 영향을 크고 신속하게 할 수 있고, 에너지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실시예는 족욕의 기능과 함께, 무릎, 종아리, 및 허벅지의 일부가 포함되는 다리 부위에 대하여 열기, 냉기, 및 압력을 가하여 다리를 케어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족욕의 의미는, 물 속에서 가하여지는 수압 및 열을 이용하여 발을 족욕한다는 의미만이 아니라, 발, 무릎, 종아리, 및 허벅지의 일부가 포함되는 다리의 각 부위에 대하여 열, 냉기, 및 압력을 가하여 케어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다리관리장치에는, 메인바디(100), 상기 메인바디(100)의 상부에 연결되어 다리관리장치의 상측공간을 더 크게 개방할 수 있는 상부모듈(200), 상기 메인바디의 앞쪽에 연결되어 다리관리장치의 안쪽공간을 더 크게 개방할 수 있는 측부모듈(300), 상기 메인바디(100)의 하측에 연결되어 다리관리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부품이 수용되는 바닥모듈(400)이 포함된다.
상기 메인바디(100), 상기 상부모듈(200), 상기 측부모듈(300), 및 상기 바닥모듈(400)의 각 내면의 안쪽 내부 공간에는 작용공간(500)이 제공된다. 상기 작용공간(500)은 열기 또는 냉기를 전도, 대류, 및 복사 중의 적어도 어느 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다리로 가하는 공간이다. 상기 작용공간(500)의 앞쪽에는 사용자의 다리가 들고 나는 입구(510)가 제공된다. 열기, 및 냉기 중의 적어도 하나가 전도, 대류, 및 복사 중의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사용자의 다리에 인가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다양한 방식 중에 선택되는 방식으로 족욕을 할 수 있다.
상기 상부모듈(200)은 상하로 승강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상부모듈(200)이 윗쪽으로 이동하였을 때에는, 상기 입구(510)가 크게 개방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다리를 작용공간(500)으로 넣을 수 있다. 사용자가 작용공간(500)으로 다리를 인입한 다음에는, 상기 상부모듈(200)은 아랫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상부모듈(200)은, 사용자의 다리 일부가 닿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으로 상기 작용공간(500)이 구축될 때까지 아랫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상부모듈(200)은 상기 작용공간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모듈(200)은 상하로 슬라이딩 동작하는 것으로 실시예에서는 제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모듈(200)은 회동동작을 통하여 개방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상부모듈(200)의 앞쪽에는 요입되는 형상으로서 좌우양측에 각각의 무릎케어부(240a)(240b)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무릎케어부의 내면에는 무릎놓임부(243a)(243b)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무릎놓임부는 사용자의 무릎에 접촉할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무릎놓임부는, 발광소자 및 패드 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 및 패드 등은 열 및 압력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가하여 무릎을 케어하여, 혈류개선, 근육자극, 및 통증개선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무릎케어부(240)는 열 및 압력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가하여 무릎을 케어한다. 상기 작용공간(500)은 열기 또는 냉기를 전도, 대류, 및 복사으로 사용자의 다리를 케어한다. 이에 따르면, 실시예에 따른 다리관리장치는 다리의 각 개소별로 적합한 작용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만족감을 증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작용공간(500)은 족욕의 기능을 수행하여 족욕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무릎케어부(240)는 무릎안마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의 다리관리장치는 적어도 족욕기 및 무릎안마기의 기능이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측부모듈(300)은 전후로 회동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측부모듈(300)가 앞쪽으로 회동하였을 때에는, 상기 입구(510)가 개방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다리를 작용공간(500)으로 넣을 수 있다. 사용자가 작용공간으로 다리를 인입한 다음에는, 상기 측부모듈(300)은 뒷쪽으로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측부모듈(300)은 사용자의 다리 일부가 닿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으로 상기 작용공간(500)이 구축될 때까지 뒷쪽으로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측부모듈(300)은 상기 작용공간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측부모듈(300)은 전후로 회동동작을 하는 것으로 실시예에서는 제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측부모듈(300)은 슬라이등 동작으로 개방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조정될 수 있다.
상기되는 설명과 같이, 실시예의 다리관리장치는, 사용을 하지 않는 때에는 상부모듈 및 측부모듈이 수축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다리관리장치의 부피가 축소된 상태에서는 보관, 이동, 및 취급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상기 상부모듈 및 상기 측부모듈은 상기 메인바디에 대하여 동작이 가능하고, 그 동작을 통해서, 상기 작용공간의 크기를 크게 하거나 줄이는 작용을 수행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취급편의, 사용자에 적합한 족욕가능, 및 다리접촉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상부모듈 및 상기 측부모듈은 상기 작용공간의 크기 및 형상을 조절하는 작용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모듈 및 상기 측부모듈은 작용공간조절모듈이라고 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A-A'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다리관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메인바디(100)는, 상기 바닥모듈(400)의 뒷쪽 부분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방으로 연장되는 각도는 전방으로 일정 각도(β) 경사진다. 여기서 경사지는 각도는, 예각으로서 90도 미만이 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100)가 전방으로 경사져서 연장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작용공간(500)에 다리를 넣거나, 다리관리장치의 사용 중에, 지나치게 무릎을 구부릴 필요가 없다.
다리관리장치의 케어가 필요한 환자는 무?a관절염 등과 같은 정형외과적 질환에 고통받을 수 있다. 이들 환자가 과도하게 무릎을 구부리지 않고서, 상기 작용공간(500)이 사용자 다리의 큰 굽힘 각도에 대응 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바디(100)는 전방으로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무릎을 90도 이상으로 굽히지 않더라도, 다리관리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100)의 메인 상하연장부(도 5의 111참조)가 전방으로 경사지게 제공됨으로써, 이와 관련되는 다른 구성요소 들도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100)의 상부에는 상부모듈(200)이 마련된다. 상기 상부모듈(200)과 상기 메인바디(100)와의 접촉부에는 상하개방장치(260)가 개입될 수 있다. 상기 상하개방장치(260)는 구동모터 및 기어열 등이 포함되어, 상기 메인바디(100)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모듈(200)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모듈(200)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때는, 상기 입구(510)를 개방하여 사용자가 다리를 상기 작용공간(500)으로 넣는 때일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다리를 작용공간(500)에서 빼 낼 때에도 상부모듈은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상부모듈(200)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때는, 사용자가 다리를 넣은 후 상기 입구(510)를 작게 하거나, 작용공간(500)을 축소시키는 때일 수 있다.
상기 상부모듈(200)의 앞쪽부분에는 무릎케어부(240)가 제공되어, 사용자의 무릎을 케어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100)의 하측에는 송풍장치(101)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송풍장치(101)는 상기 작용공간(500)의 안으로 더운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송풍장치(101)의 더운 공기는 송풍장치(101)에 구비되는 열선에 의해서 데워질 수도 있다. 상기 송풍장치(101)는, 외부의 별도 가열장치에 의해서 데워진 공기를 강제대류하는 작용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바닥모듈(400)은 다리관리장치의 바닥부에 제공되어 기기 전체를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바닥모듈(400)의 상면에는 발 접촉패드(421)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발 접촉패드(421)에는 발바닥이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발 접촉패드(421)는, 외력에 의해서 조정되는 온도 분위기가 사용자의 발에 전도되도록 하여, 족욕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바닥모듈(400)의 앞쪽 부분에는 전후개방장치(46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후개방장치(460)는 모터 및 기어열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바닥모듈(400)과 상기 측부모듈(300)의 접촉부에 개입될 수 있다. 상기 전후개방장치(460)는 상기 메인바디(100)를 기준으로 상기 측부모듈(30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측부모듈(300)의 내면에는 종아리접촉패드(331)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종아리 접촉패드(331)에는 사용자의 종아리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종아리 접촉패드(331)는, 외력에 의해서 조정되는 온도 분위기가 사용자의 종아리에 전도되도록 하여, 족욕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측부모듈(300)이 전방으로 회동하는 때는, 상기 입구(510)를 개방하여 사용자가 다리를 상기 작용공간(500)으로 넣는 때일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다리를 작용공간(500)에서 빼 낼 때에도 측부모듈은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측부모듈(300)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때는, 사용자가 다리를 넣은 후 상기 입구(510)를 작게 하거나, 작용공간(500)을 축소시키거나, 종아리 접촉패드(331)에 종아리를 접촉시키는 때일 수 있다.
상기 상부모듈(200) 및 상기 측부모듈(300)은 상기 입구(510)를 개방할 때, 상기 상부모듈(200)이 먼저 개방을 시작한 다음에, 상기 측부모듈(300)이 개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상부모듈(200)은 슬라이딩 작용을 하는데 반하여, 상기 측부모듈(300)은 회동작용을 하기 때문에, 상기 측부모듈(300)이 전방회동시에 상부모듈(200)에 의해서 측부모듈(300)이 간섭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상부모듈(200) 및 상기 측부모듈(300)이 상기 입구(510)를 닫을 때에는 반대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측부모듈(300)이 먼저 닫히기 시작하여 일정각도 이상 닫힌 다음에, 상기 측부모듈(300)이 닫힐 수 있다. 이와 같인 순서로 각 모듈이 동작됨으로써, 각 모듈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다리관리장치의 전체 분해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다리관리장치의 각 모듈의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메인바디(100)에는, 메인 프레임(110)과,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후면에 마련되는 메인바디 외측덮게(120)가 마련된다. 상기 상기 메인 프레임(110)과 상기 메인바디 외측덮게(120)의 사이에는 소정의 빈 공간이 제공되고, 그 빈 공간에는 다리관리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부품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100)에는 송풍장치(101), 향기키트(103)를 수용하는 향기 케이스(102), 및 무화장치(130)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외에, 발열장치, 복사가열장치, 및 냉각장치 등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송풍장치(101)는 상기 작용공간(500)의 내부에 강제기류를 형성하는 장치이다. 상기 향기키트(103)는 상기 작용공간(500)의 내부의 향기를 가하거나, 냄새를 제거하는 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무화장치(130)는, 물을 초음파분무 및 가열분무 등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작용공간(500)의 내부로 미스트를 공급할 수 있다. 두가기 방식의 미스트 제공방식이 모두 설치되는 경우도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상부모듈(200)에는, 상하개방장치(260)의 일부 가동부재가 고정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대하여 승하강하는 상부프레임(210)이 포함된다. 상기 상부프레임(210)의 안쪽과 바깥쪽에는 각각 상부내측덮게(230), 및 상부외측덮게(220)가 마련되어, 상부모듈(200)의 외관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상부내측덮게(230)의 앞쪽에는, 무릎케어부(240), 및 무릎케어부(240)의 장착을 위한 무릎케어안착패널(232)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측부모듈(300)에는, 측부프레임(310), 및 상기 측부프레임(310)의 전방에 마련되는 측부외측덮게(32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측부모듈(300)의 안쪽면에는, 종아리 열전모듈(330) 및 종아리 접촉패드(331)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종아리 열전모듈(330)에는 열전소자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냉기 또는 열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바닥모듈(400)에는, 바닥프레임(410), 상기 바닥프레임(410)의 외부 테두리를 수용하는 바닥하우징(430), 및 바닥프레임(410)의 하부를 개폐하는 바닥판(440)이 포함된다.
상기 바닥판(440)의 하면에는 휠 등으로 예시되는 바닥지지체(441)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다리관리장치를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바닥하우징(430)의 내부에는, 발 열전모듈(420), 및 발 열전모듈(420)의 냉기 및 열기를 전도방식을 사용자의 발로 전달하는 발 접촉패드(421)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발 열전모듈(420)과 발 접촉패드(421)는 서로 접촉되어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발 열전모듈(420)로부터 폐기되는 열기 또는 냉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열교환팬(423), 그릴(424), 필터(425)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바닥하우징(430)의 내부에는 전후개방장치(460)가 수용되어 상기 측부모듈(430)을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전후개방장치(460)에는, 적어도 모터가 포함되는 회동구동부(461), 및 기어 등의 동력전달부를 가지는 연계구동부(462)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바닥하우징(430)에는 상방으로 노출되는 발광소자(450)가 마련되어, 사용자의 발로 열을 조사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발광소자는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450)는 자외선 램프로 제공되어, 상기 작용공간(500) 내부에 대한 살균 및 소독을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바닥하우징(430)의 어느 일측에는, 버려지는 물을 받아서 저장하고, 필요시에 저장된 물을 버릴 수 있는 물받이(431)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물받이(431)에는, 상기 무화장치(130)에서 무화된 후에 소정의 기능을 수행한 다음에 응축되는 물이, 중력에 의해서 낙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리관리장치의 각 구성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메인바디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메인바디의 구성 및 작용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메인바디(100)는 크게 나누어, 다리관리장치의 전체 형상 및 하중을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110), 및 상기 메인 프레임(110)과의 사이에 부품의 수용을 위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뒷쪽에 마련되는 메인바디외측덮게(120)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110)와 상기 메인바디외측덮게(120)의 사이 간격에는 상기 상부모듈(20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상부모듈(200)이 상기 메인바디(100)에 안내된 상태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하개방장치(260)는 상기 메인프레임(110)와 상기 메인바디외측덮게(120)의 사이 간격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110)에는, 하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메인전후연장부(112), 상기 메인전후연장부(112)의 뒷쪽부분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메인상하연장부(111)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메인상하연장부(111)는 상기 메인전후연장부(112)에 대하여 일정 각도(β) 경사진 상태로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일정 각도는 예각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더 편안한 자세로 상기 작용공간(500)에 다리를 넣고, 다리관리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인전후연장부(112)는, 상기 작용공간(500)의 하부의 양측면을 닫을 수 있도록 막히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작용공간(500) 내부의 강제기류가 작용공간(500)의 양 측면을 통하여 유실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메인전후연장부(112)에는, 상기 측부모듈(300)의 회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슬롯(115)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슬롯(115)은 상기 메인전후연장부(112)를 곡선형태로 개방하여 제공될 수도 있고, 상기 메인전후연장부(112)에 곡선형태로 홈을 형성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 슬롯(115)의 내부에는 상기 측부모듈(300)의 돌기(도 7의 313참조)가 놓여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돌기(313)를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슬롯(115)는 소정의 회전중심점(C)을 기하학적 중심으로 하는 곡선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슬롯(115)는 회전중심점(C)에서 소정의 길이(L)를 곡률반경으로 가지는 곡선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회전중심점(C)은 측부모듈의 운동지지부(도 7의 321참조)의 일 지점일 수 있다.
상기 메인전후연장부(112)는 상기 가이드 슬롯(115)의 영역을 제외하고는 모두 닫혀있다. 상기 가이드 슬롯(115)은 상기 측부모듈(300)의 측부프레임(310)에 의해서 전부 가려질 수 있다. 상기 측부모듈(330)이 완전히 전방으로 회동하여 개방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작용공간(500)의 양측공간은 완전히 차폐될 수 있고, 작용공간(500)의 인위적인 조작된 강제기류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측부프레임(310)은 상기 메인전후연장부(112)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작용공간의 공기유출을 차단하는 유동차단막(1121)이 상기 메인전후연장부(112)의 상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유동차단막(1121)은 상기 측부모듈(300)이 개방되는 때에도 작용공간을 차단하여 작용공간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유동차단막(1121)의 작용은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측부모듈(300)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유동차단막(1121)이 측부측면부(311)의 외부로 드러나서, 상기 작용공간(500)을 차폐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메인전후연장부(112)의 후면부에는, 후면개방부(114)를 가지는 메인후면부(113)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메인후면부(113)의 후방에는 상기 작용공간(50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분위기를 제공하는 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후면개방부(114)를 통해서는 공기, 빛, 및 미스트 등, 상기 작용공간(500)의 분위기를 제공하는 작동매체가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메인후면부(113)의 후방에 놓일 수 있는 부품으로는, 송풍작용을 수행하는 송풍장치(101), 상기 작용공간을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한 향기키트(103), 상기 향기키트(103)가 수용되는 향기 케이스(102), 및 미스트를 제공하는 무화장치(130)가 포함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작용공간의 원활한 작용을 위하여 다른 부품이 더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송풍장치(101)는 작용공간 내부 및 외부 중의 적어도 한 곳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작용공간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작용공간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는 인위적으로 온도가 제어될 수 있다. 온도의 제어를 위하여 송풍장치는 발열장치 및 냉각장치로 예시되는 별도의 온도제어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송풍장치(101)는 상기 작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에 소정의 인위적인 작용을 가하여, 상기 작용공간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는 작용공간 내부에서의 공기순환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외부로 폐기되는 작동매체를 줄여서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향기키트(103)는 향수 및 광촉매냄새분해장치를 예시할 수 있다. 향수는 인위적으로 좋은 냄새를 공급하는 부품일 수 있다. 상기 광촉매냄새분해장치는, 산화티타늄으로 예시되는 부재로서, 자외선 등의 작용광을 이용하는 촉매작용으로 냄새입자를 분해하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무화장치(130)는 미스트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상기 무화장치(130)가 초음파분무방식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미스트가 뜨겁지 않은 상태로 상기 작용공간(500)의 내부로 공급되고, 다리를 시원하게 케어할 수 있고, 작용공간(500)의 내부를 잠열 등에 의해서 시원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무화장치(130)가 가열분무방식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미스트가 뜨거운 상태로 상기 작용공간(500)의 내부로 공급되고, 다리를 데워서 족욕할 수 있고, 작용공간(500)의 내부를 덥게 할 수 있다.
상기 무화장치(130)에는 초음파분무장치 및 가열분무장치가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다리관리장치를 더 다양한 모드로 사용할 수 있기때문에, 사용자의 만족감이 커질 수 있다.
상기 무화장치(130)로부터 공급되는 미스트는, 작용공간의 내부에서 소정의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다리에 닿은 고온의 미스트는 전도방식으로 사용자의 다리에 열을 전달할 수 있다. 고온의 미스트가 사용자의 다리표면에서 응축된 후에 외부의 열풍에 의해서 가열되는 것에 의해서, 계속하여 전도방식으로 사용자의 다리에 열을 전달하여 족욕이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의 다리에 응축되는 미스트가 증발하는 것에 의해서 사용자의 다리를 냉찜질할 수 있다.
상기 후면개방부(114)는, 메인후면덮게(116)에 의해서 닫힐 수 있다. 상기 메인후면덮게(116)는 작동매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홀이 가공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외측덮게(120)는, 상기 메인상하연장부(111)와 같이 위로 갈수록 전방으로 기울어진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상부모듈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상부모듈의 구성 및 작용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상하개방장치(260)에 의해서, 상기 메인바디(100)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모듈(200)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프레임(210)은 상부모듈(200)의 뼈대를 이루는 부품으로서, 상기 메인프레임과 같이 전방으로 비스듬히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상하개방장치(260)에는, 적어도 모터가 포함되는 승강구동부(261), 상기 승강구동부(261)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부레일(262), 및 상기 승강구동부(26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부레일(263)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상부레일(262)는 상기 상부프레임(210)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레일(263)은 상기 메인프레임(110)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레일(262) 및 상기 하부레일(263) 중의 적어도 하나가 상측 및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 상부모듈은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210)의 전방 및 후방으로는 각각, 상부내측덮게(230), 및 상부외측덮게(220)가 체결되어, 다리관리장치의 외관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210)이 이동하면 상기 상부내측덮게(230), 및 상기 상부외측덮게(220)는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상부내측덮게(230)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전방으로 경사지는 상부측면부(233), 및 상기 상부측면부(233)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다리관리장치의 상단면을 제공하는 상부상면부(234)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상부상면부(234)는 사용자가 다리관리장치를 사용할 때 주로 관찰하는 면으로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상면부(234)에는, 상기 무화장치(130)에 사용되는 물을 급수하는 급수장치(250)와, 사용자가 다리관리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27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급수장치(250)에는, 급수되는 물이 일차적으로 저장되는 급수프레임(254), 급수프레임(254)에 물을 주입하는 급수지지대(253), 및 급수덮게(251)가 지지되는 급수안착패널(252)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급수장치(250)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70)에는, 다리관리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70)를 이용하여, 다리관리장치의 제어에 필요한 조작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70)는 터치패널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상부모듈(200)의 앞쪽부분에는 무릎케어부(240)가 제공되어, 사용자의 무릎을 케어할 수 있다. 상기 무릎케어부(240)는 무릎케어프레임(231)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무릎케어프레임(231)이 상기 상부내측덮게(230)에 체결되도록 하기 위하여, 무릎케어안착패널(232)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무릎케어부(240)에는, 무릎에 적외선을 조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241), 슬개골의 이격가능한 주변부를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맛사지패드(242), 상기 맛사지패드(242) 내부로 공압을 조절하는 펌프(P)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맛사지패드(242)는 공압에 의한 압력조절이 아닌 스프링 압력조절 등 다른 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무릎케어부(240)에는 무릎 놓임부(243)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무릎놓임부(243)의 내부 영역의 각 위치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241), 및 적어도 하나의 맛사지패드(242)가 놓여있다. 상기 무릎놓임부(243)는 부드러운 쿠션 등의 재질이 충전되는 구조물로서 사용자의 무릎에 전반적인 압력을 가하여 무릎을 편안하게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무릎놓임부(243)에 따르면, 상기 맛사지패드(242)에 의한 작용을 더 증진할 수도 있다.
상기 무릎케어부(240)는, 작용공간과는 달리, 압력과 열을 가하는 것에 의해서 무릎의 통증을 완화하는 등의 작용을 수행하는 것은 이미 살펴본 바와 같다.
도 7은 측부모듈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측부모듈의 구성 및 작용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측부모듈(300)은 전후로 회동작용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다리관리장치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측부모듈(300)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110)과 연결되는 측부 프레임(310), 및 상기 측부프레임(310)의 전방에 마련되는 측부외측덮게(32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측부 프레임(310)에는, 측부전면부(312)와, 상기 측부전면부(312)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측부측면부(311)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측부측면부(311)는 좌우 두개의 벽으로 제공될 수 있고, 두 개의 벽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메인전후연장부(112)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측부측면부(311)의 내부에는 돌기(313)이 제공되고, 상기 돌기(313)는 상기 가이드 슬롯(115)에 의해서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돌기와 상기 가이드 슬롯이 제공되는 위치는 반대로 될 수도 있다. 다만, 안정된 동작을 위하여, 돌기는 측부모듈에 제공되고, 가이드 슬롯은 메인바디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부외측덮게(320)의 전단부 하측에는, 상기 측부모듈(300)의 회동동작을 지지하는 운동지지부(321)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운동지지부(321)는 상기 바닥모듈 또는 메인바디의 어느 지점에 걸려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운동지지부(321)는, 상기 측부모듈(300)의 상기 메인바디(100)에 대한 상대회동의 중심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운동지지부(321)의 인접위치에는 운동접촉부(322)가 마련되어, 상기 연계구동부(462)의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계구동부(462)와 상기 운동접촉부(322)가 치합되어, 상기 회동구동부(461)의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100)과 상기 측부모듈(300)의 상호동작은, 상기 전후개방장치(460)의 구동력 전달에 의한 회전동작과, 상기 돌기(313)와 상기 가이드 슬롯(115)의 안내작용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시계열적으로 상기 회동구동부(461), 상기 연계구동부(462), 및 상기 운동접촉부(322)로 연결되는 작용에 의해서, 바닥모듈(400)로부터 측부모듈(300)로 회동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운동지지부(321)에 의해서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측부모듈(300)이 회동할 수 있다.
상기 회동구동력에 의해서 상기 측부모듈(300)이 회동할 때, 상기 가이드 슬롯(115)의 내부에 상기 측부모듈(300)의 돌기(313)가 놓여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슬롯(115)와 상기 돌기(313)의 상호 안내작용에 의해서, 상기 측부모듈(300)의 회동동작은 정확한 회전중심에 의한 곡률반경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측부모듈(300)의 안쪽면에는, 종아리 열전모듈(330) 및 종아리 접촉패드(331)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종아리 열전모듈(330)에는 열전소자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냉기 또는 열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의 종아리 부분에 대한 족욕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종아리 열전모듈(330)의 열부하가 큰 경우에는, 상기 발 열전모듈(420)과 마찬가지로 별도의 열교환팬을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8은 바닥모듈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바닥모듈의 구성 및 작용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바닥모듈(400)에는 족욕을 위한 부품이 다수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바닥모듈(400)에는, 바닥프레임(410), 상기 바닥프레임(410)의 외부 테두리를 수용하는 바닥하우징(430), 및 바닥프레임(410)의 하부를 개폐하는 바닥판(440)이 포함된다.
상기 바닥하우징(430)의 내부에는, 발 열전모듈(420), 및 발 열전모듈(420)의 냉기 및 열기를 전도방식을 사용자의 발로 전달하는 발 접촉패드(421)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발 열전모듈(420)과 상기 발 접촉패드(421)는 서로 접촉되어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발 접촉패드(421)에는 사용자의 발바닥이 접촉되고, 발바닥에 열기 또는 냉기가 전달되어, 족욕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발 접촉패드(421)는 발바닥 전체에 대하여 골고루 열을 전달하기 위하여, 열전도성이 큰 금속, 예를 들어, 구리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을 재질로 할 수 있다. 이는 종아리 접촉패드(33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바닥하우징(430)의 내부에 일정한 수준의 물이 고인 경우에는, 상기 발 접촉패드(421)가 그 고인 물을 가열하여 발에 대한 족욕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발 열전모듈(420)로부터 폐기되는 열기 또는 냉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열교환팬(423), 그릴(424), 필터(425)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발 열전모듈(420)은 상기 종아리 열전모듈(330)에 비하여 큰 열기 또는 냉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높은 에너지가 공급된다. 상기 발 열전모듈(420)에서 발생되어 폐기되는 열이 열교환팬(423)에 의해서 외부로 원활히 버려질 수 있다.
상기 열교환팬(423)으로 순환되는 공기가 문제없이 냉각작용을 수행하기 위하여, 그릴(424) 및 필터(425)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필터(425)에서 이물질이 걸러진 공기는 상기 송풍장치(101)로 공급되어 상기 작용공간(500)으로 공급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더 청결한 공기가 작용공간(500)으로 공급되어 사용자의 만족감을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바닥하우징(430)의 내부에는 전후개방장치(460)가 수용되어 상기 측부모듈(430)을 회동시킬 수 있는 것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전후개방장치(460)는 많은 부분이 상기 바닥모듈(400)에 수용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메인바디(100)에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바닥하우징(430)에는 상방으로 노출되는 발광소자(450)가 마련되어, 사용자의 발로 열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450)는 조사되는 광에 따라서 살균, 광촉매분해를 위한 자외선, 및 적외선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바닥하우징(430)의 어느 일측에는, 버려지는 물을 받아서 저장하고, 필요시에 버릴 수 있는 물받이(431)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물받이(431)에는 상기 무화장치(130)에서 무화된 후에 응축되는 물이 낙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물받이(431)는 슬라이드하여 외부로 빠질 수 있는 부품으로 제공된다. 상기 물받이(431)로 물이 인입되는 유로에는, 밸브를 제공하여 족욕 중에는 물이 빠지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바닥판(440)의 하면에는 휠 등으로 예시되는 바닥지지체(441)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다리관리장치를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바닥지지체(441)가 회전이 가능한 휠로 마련됨으로써, 사용자는 편리하게 여러 방향으로 다리관리장치를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다. 노약자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이동장치의 장점을 크게 활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다리관리장치는 입구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다리관리장치에 접근하는 것에 의해서 입구가 열려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상기 작용공간 안으로 다리를 넣을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작용공간 안으로 다리를 넣은 다음에는 자동으로 입구가 닫히고, 사용자의 다리에 맞도록 상부모듈 및 측부모듈이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도 9와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다리관리장치에서 사용자를 감지하는 근접센서를 보이는 도면으로서, 도 9는 정면도이고, 도 10은 측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측부모듈(300)에는 제 1 근접센서(323)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1 근접센서(323)는, 다리관리장치의 전방에서 사용자가 접근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근접센서(323)는 전방으로 감지신호를 송수신하여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근접센서(323)에 의해서, 사용자의 감지 상태가 일정시간 지속되거나, 사용자가 감지된 후에 바로, 상기 측부모듈(300) 및 상기 상부모듈(200) 중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입구(510)를 개방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 1 근접센서(323)에 따르면, 사용자가 다리관리장치를 이용하기 위하여 접근하는 것만으로, 입구(510)가 열려서 사용자가 다리를 작용공간(500) 안으로 인입할 수 있다. 사용자 자신이, 다리관리장치의 어떤 부분을 들거나 움직일 필요가 없이, 다리관리장치에 접근하는 것만으로, 다리관리장치의 사용준비가 완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모듈(200)에는 제 2 근접센서(2321)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2 근접센서(2321)는, 상기 작용공간(500)에 사용자의 다리가 인입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근접센서(2321)는, 상기 작용공간(500)을 바라보는 하방으로 감지신호를 송출하여, 사용자의 다리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근접센서(2321)는, 사용자를 바라보는 전방으로 감지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작용공간(500)에 다리를 넣은 상태에서의 사용자의 복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하측으로 경사지는 전방으로 감지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상기 제 2 근접센서(2321)에 의해서 사용자의 감시 상태가 일정시간 지속되는 경우에는, 상기 측부모듈(300) 및 상기 상부모듈(200)이 상기 입구(510)를 닫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 2 근접센서(2321)에 사용자의 감시 상태가 일정시간 지속되는 때에는, 사용자가 작용공간으로 올바르게 다리를 인입시켜 대기 중인 상태로서, 다리관리장치의 사용준비가 완료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제 2 근접센서(2321)의 감지신호가 일정시간 지속되는 것을 트리거 신호로 하여, 상기 상하개방장치(260) 및 상기 전후개방장치(460)가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상하개방장치(260) 및 상기 전후개방장치(460)가 상기 입구(510)를 닫는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한 다음에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상기 측부모듈(300) 및 상기 상부모듈(200) 중의 어느 하나에 닿을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측부모듈(300) 또는 상기 상부모듈(200)의 이동을 중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상기 측부모듈(300) 및 상기 상부모듈(200) 중의 적어도 하나에 닿는 것은, 상기 상하개방장치(260) 및 상기 전후개방장치(460)의 구동모터에 역기전력이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는 것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엔코더를 설치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측부모듈 또는 상기 상부모듈이 이동하지 않는 것을 감지하는 것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의 다리에 무리한 힘이 가하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상하개방장치(260) 및 상기 전후개방장치(460)의 구동모터는 비교적 약한 구동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방법으로, 별도의 사용자의 신체와 각 모듈의 접촉을 감지하는 정전감지수단, 또는 기계적 감지수단이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대표값을 저장하여 두고, 상기 제 2 근접센서(2321)의 감지신호를 시작신호로 하여, 상기 대표값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측부모듈 및 상부모듈을 닫을 수도 있다.
이후에는 미세조정을 실시하여 사용자의 신체 적합한 상태로 상기 측부모듈(300) 및 상기 상부모듈(2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미세조정은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27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터치패널로 제공되는 디스플레이(270)를 조작하여, 상부모듈(200)을 하측으로 더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에 사용자는 자신의 무릎이 무릎놓임부(243)에 맞추어 접촉하는 때까지 이동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사용자의 만족감이 커질 수 있다.
상기 미세조정은 상기 측부모듈(30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아리 접촉패드(331)가 사용자의 종아리에 넓게 면접할 때까지, 상기 측부모듈(300)을 후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도 11은 상기 입구를 개폐하는 자동개폐동작을 설명하는 다리관리장치의 블럭도이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도 11에서 도면번호는 이전 도면에 사용되던 번호와 다른 번호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의 설명에서 상하개방장치는 260으로 표시되었으나, 도 11에서는 631로 표시된다. 다만,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명칭을 사용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다리관리장치는, 전체로서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00)의 제어하에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다리관리장치의 외부에서 다리관리장치를 이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제 1 근접센서(621), 다리관리장치의 내부, 즉 상기 작용공간의 안으로 사용자의 다리가 정상적으로 인입된 것을 감지하는 제 2 근접센서(622)로부터 신호를 받고, 그에 따라서 소정의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제 1 근접센서(621)로부터의 감지신호에 따라서, 상기 입구(510)를 개방하는, 상하개방장치(631) 및 전후개방장치(632)를 동작시킨다. 상하개방장치(631) 및 전후개방장치(632)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방하여 입구를 넓힐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입구(510)가 열려서 사용자는 편리하게 자신의 다리를 상기 작용공간의 안으로 넣을 수 있다.
이때, 타이머(610)가 작용하여, 상기 제 1 근접센서(621)가 사용자를 감지한 직후가 아니라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다음에, 상기 개방장치(631)(632)를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근접센서(621)가 사용자를 감지한 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다음에 상기 개방장치(631)(632)가 동작됨으로써, 불필요한 개방장치의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 1 근접센서(621)가 사용자를 감지한 직후에 개방장치(631)(632)가 개방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가 상기 작용공간(500)의 안에 다리를 적절히 위치시킨 것은, 상기 제 2 근접센서(622)에 의해서 감지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2 근접센서(622)에 의해서, 사용자가 일정한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고 정지한 것을 근거로 하여, 사용자가 올바른 위치에 놓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정지하는 일정한 시간은 상기 타이머(510)에 의해서 계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올바른 위치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개방장치(631)(632)를 동작하여, 자동으로 상기 입구(510)를 닫을 수 있다. 상기 개방장치(631)(632)가 일정한 정도 닫히면, 자동으로 닫히는 동작은 정지할 수 있다. 상기 개방장치(631)(632)의 동작정지는, 모터의 역기전력, 미리 설정된 대표값, 및 센서에 의한 사용자의 감지 등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는 것은 이미 살펴본 바와 같다.
이후에는, 사용자가 자신의 다리에 맞도록 조작부(611)의 미세조정부(612)를 조작하여, 자신의 다리에 맞도록 상부모듈(300) 및 측부모듈(300)을 조정할 수 있다. 상부모듈 및 측부모듈(300)을 조정함으로써, 자신의 다리에 최적인 위치로 사용자의 기호에 맞도록 각 모듈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과도한 자동조정에 따른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고, 자신의 신체에 맞는 위치로 각 모듈을 위치시켜 자신에게 적합한 족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623)에는 상기 다리관리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메모리(623)에는 사용자의 선택사항이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다.
도 12는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2에는 이미 설명한 내용 중에서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은 그대로 적용되는 것으로 하고,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내용만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접근하는 사실이 제 1 근접센서(621)에 의해서 감지되면, 작용공간으로 사용자가 다리를 넣을 수 있는 입구(510)가 개방된다(S1).
이후에는 사용자가 상기 입구를 통하여 다리를 넣어서 올바른 위치에 사용자가 위치하는 것이 제 2 근접센서(622)에 의해서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근접센서(622)에 의해서 감지되는 사용자의 정위치 놓임은, 일정한 시간동안 동일한 감지신호가 독출되는 것에 의해서 판단될 수 있다. 이 시간 동안 사용자는 위치를 옮기면서, 자신에게 편리한 위치에 자리잡을 수 있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서 사용자가 편안한 위치에 위치한 다음에는, 상기 상하개방장치(631) 및 상기 전후개방장치(632) 중의 적어도 하나가 입구를 닫는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다(S2).
상기 개방장치(631)(632)가 닫히는 중에, 일정한 수준 이상의 모터 역기전력의 발생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더 이상 자동으로 개방장치가 닫히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때에는, 개방장치의 자동닫힘은 정지된다(S3).
이후에는 미세조정을 통하여, 최적의 상태로 다리관리장치의 각 모듈을 위치시킬 수 있다(S4). 미세조정은 사용자가 직접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다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위치를 제안할 수도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족욕이 수행됨으로써, 실시예의 제어방법은 종료할 수 있다.
노약자의 경우에는 인지능력이 떨어질 수 있다. 이 때문에 같은 다리관리장치를 사용하더라도, 기기의 자동운전 시에 동작하는 부재에 충돌 등의 우려가 크다. 예를 들어, 다리관리장치의 동작 시에는, 자동으로 동작되는 부재인 측부모듈이 개방될 때, 신체가 충돌하여 부상을 입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노약자는 신체에 작은 충돌이 가하여지더라도 골절 등의 부상을 입을 수 있다. 특히, 근래들어 증가하는 통풍환자의 경우에는, 발이 측부모듈과 부딪히면 큰 고통을 유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다른 실시예를 제시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근접센서를 특정한 구성으로 제안하여 제 2 근접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정확하게 감지하는 것, 및 상기 제 2 근접센서에 의한 사용자의 감지와 측부모듈 및 상부모듈의 동작을 연계하는 것이 특징적으로 다르다.
먼저, 상기 제 2 근접센서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은 상기 제 2 근접센서가 작동되는 상태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다리관리장치의 상부에 상기 제 2 근접센서(2321)이 마련된다. 상기 제 2 근접센서(2321)는 전방 또는 하방으로 감지신호를 송출하여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323)는 초음파 방식 및 광학방식을 적용하여, 소정의 거리에 근접한 사용자로부터 반사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근접센서(2321)가 전방으로 감지신호를 송출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복부를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제 2 근접센서가 하방으로 감지신호를 송출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허벅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근접센서(2321)는 하방으로 비스듬히 경사지게 감지신호를 송출하여 복부 및 허벅지 부분을 함께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 제 2 근접센서는 상기 상부모듈(200) 전면의 대략 가운데 부위에 놓일 수 있다. 상기 제 2 근접센서는 상부모듈(200)의 좌우길이(L2)를 기준으로 중앙의 삼분의 일 범위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2 근접센서는 삼차원으로 원뿔 형상의 감지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근접센서를 중심으로 할 때 상기 부채꼴을 살펴보면, 전방의 감지각도(γ)는 120도 전후가 될 수 있고, 감지거리(L1)는 60센티미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상부모듈(300)의 양 측부에 치우쳐서 위치하는 장애물은 감지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팔 또는 주변부의 다른 물체가 상기 제 2 근접센서(2321)에 감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2 근접센서와 측부모듈 및 상부모듈의 연계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리관리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다리관리장치의 블럭도의 구성에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따라서, 구체적인 설명이 없는 부분은 도 11의 설명이 그대로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근접센서(622)와 제어부(600)의 사이에 릴레이(624)가 더 포함된다. 상기 릴레이(624)는, 상기 제 2 근접센서(622)의 사용자 감지신호를 일정시간, 예를 들어 적어도 2초이상 대기하는 것으로써 신호전달을 지연한 다음에, 제어부(600)로 전달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2 근접센서(622)로부터 동일한 사용자 감지신호가 2초 이상 계속되는 경우에만, 감지신호를 제어부(6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600)는 비로소, 상기 상부모듈(200) 및 상기 측부모듈(300)을 동작시켜 상기 입구를 닫을 수 있다.
상기 작용공간의 안으로 다리를 넣은 사용자는, 다리관리장치에 근접하여 의자에 앉은 상태이다. 이때, 사용자는 의자와 자신의 다리를 함께 조정하여, 편안하고 올바른 위치로 자세를 조정한다. 예를 들어, 다리를 움직일 수도 있고, 의자를 들고 옮길 수도 있다.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편안한 자세를 맞추고, 다리관리장치 내부의 작용공간 안에 다리를 올바로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시간이 소요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2 근접센서(622)는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더라도, 일정시간을 대기하여 제어부로 전달하면, 그 동안 사용자는 자세를 올바르게 맞출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그 동안 사용자는 의자를 정확한 위치에 자리잡고 앉는 동작을 준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연동작은 노약자의 경우에 인지능력 및 운동능력이 떨어지는 것을 감안하여, 충분한 시간을 대기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릴레이(624)는 상기 타이머(610)가 별도로 있는 경우에도, 상기 지연동작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얻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상기 제 2 근접센서(622)와 일정 수준 이상 가까워진 경우에는, 상기 상부모듈 및 상기 측부모듈의 자동닫힘운전을 종료하고, 상기 미세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미세조정은,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와 다리관리장치의 각 모듈과의 접촉을, 자신의 촉각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의 만족감이 증진될 수 있다.
상기 제 2 근접센서(622)와 사용자가 근접한 것은, 이미 설명한 다양한 방법을 수행될 수도 있고, 상기 제 2 근접센서(622)에 의해서 파악되는 제 2 근접센서(622)와 사용자 간의 간격에 의해서도 판단될 수 있다.
그 외의 다른 구성의 작용은 이미 설명된 바가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다.
상기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도 12의 제어방법과 대체로 동일하다. 다만, 상기 제 2 근접센서에 의해서 사용자가 감지된 후에, 상기 릴레이에 의해서 일정시간 지연되어 제어부로 감지신호가 전달하여, 사용자의 부족한 인지능력 및 운동능력을 보완하는 것이 특징적으로 다르다. 이로써, 상기 작용공간의 내부에 다리가 놓인 상태에서, 편리하게 다리를 움직이고 의자에 앉은 자세를 일정시간 동안 조금씩 조정하여, 더 편리하고 안전하게 다리관리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더 설명한다.
상기 상부모듈 및 상기 측부모듈 중의 어느 하나는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상부모듈 및 상기 측부모듈 중의 어느 하나만 개방하여 사용자가 작용공간으로 다리를 인입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의 불편이 조금 커지는 문제점은 있으나, 다리관리장치의 동작 및 작용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상부모듈 및 상기 측부모듈이 모두 마련되는 실시예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발 접촉패드 및 상기 종아리 접촉패드 중의 어느 하나는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어느 하나의 접촉패드만을 사용하더라도 다른 열전달수단에 의해서 다리에 열 및 냉기가 전달될 수는 있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의 불편이 조금 커지는 문제점은 있으나, 다리관리장치의 동작 및 작용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발 접촉패드 및 상기 종아리 접촉패드가 모두 마련되는 실시예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약자라도 편리하게 족욕기를 포함하는 다리를 관리할 수 있다, 특히, 많은 물을 사용할 때 발생하는 취급 상의 어려움이 없어지기 때문에, 거동이 부자유한 사람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노약자가 편리하게 자동으로 각 모듈을 자신에게 맞도록 동작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다리관리장치를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100: 메인바디
200: 상부모듈
300: 측부모듈
400: 바닥모듈
621: 제 1 근접센서
622: 제 2 근접센서
631: 상하개방장치
632: 전후개방장치
624: 릴레이

Claims (7)

  1. 다리가 수용되는 작용공간을 제공하는 메인바디;
    상기 작용공간의 입구 크기를 조절하는 작용공간조절모듈;
    사용자가 상기 작용공간의 내부에 들어온 것을 감지하는 제 2 근접센서;
    상기 제 2 근접센서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작용공간조절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 2 근접센서의 감지신호를 지연시켜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릴레이가 포함되는 다리관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공간조절모듈에는,
    상기 작용공간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입구를 상방으로 개방하거나 닫을 수 있는 상부모듈; 및
    상기 작용공간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입구를 전방으로 개방하거나 닫을 수 있는 측부모듈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고 다리관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근접센서는 상기 상부모듈에 마련되고, 상기 상부모듈의 좌우길이를 기준으로 중앙의 삼분의 일 범위 내에 마련되는 다리관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근접센서는 사용자의 복부 및 허벅지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다리관리장치.
  5. 사용자가 작용공간의 내부에 다리를 넣은 것이 제 2 근접센서에 의해서 감지되는 것;
    상기 제 2 근접센서에 의한 사용자의 감지신호가 릴레이에 의해서 지연되는 것; 및
    지연된 사용자의 감지신호가 제어부로 전달된 다음에, 다리관리장치의 입구가 닫히는 것이 포함되는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관리장치의 입구가 닫히는 것은,
    사용자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닫히는 것; 및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서 미세조정되는 것이 포함되는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를 개방하는 모듈로서,
    상기 작용공간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입구를 상방으로 개방하거나 닫을 수 있는 상부모듈; 및
    상기 작용공간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입구를 전방으로 개방하거나 닫을 수 있는 측부모듈이 포함되는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90089663A 2019-07-24 2019-07-24 다리관리장치, 및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1001340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663A KR20210013401A (ko) 2019-07-24 2019-07-24 다리관리장치, 및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
US16/843,353 US11406226B2 (en) 2019-07-24 2020-04-08 Leg car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2010476044.7A CN112294633A (zh) 2019-07-24 2020-05-29 腿部护理装置及其控制方法
EP20183696.2A EP3769744A1 (en) 2019-07-24 2020-07-02 Leg car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663A KR20210013401A (ko) 2019-07-24 2019-07-24 다리관리장치, 및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401A true KR20210013401A (ko) 2021-02-04

Family

ID=74558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663A KR20210013401A (ko) 2019-07-24 2019-07-24 다리관리장치, 및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340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430B1 (ko) 2012-03-02 2012-05-15 최성창 족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430B1 (ko) 2012-03-02 2012-05-15 최성창 족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8067B2 (en) Leg car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769744A1 (en) Leg car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4337681A (zh) 用于熏蒸的座椅装置
KR102126439B1 (ko) 이동식 뜸기구
CN204581930U (zh) 一种坐式艾灸理疗器
US20210022564A1 (en) Leg care apparatus
KR20210013401A (ko) 다리관리장치, 및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10013405A (ko) 다리관리장치
KR20210013400A (ko) 다리관리장치, 및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10013402A (ko) 다리관리장치, 및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10013399A (ko) 다리관리장치, 및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
CN105982815A (zh) 一种坐式艾灸理疗器
JP2023128024A (ja) サウナ装置
KR20210013398A (ko) 다리관리장치
KR20210013404A (ko) 다리관리장치, 및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10013411A (ko) 다리관리장치, 및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
US11432685B2 (en) Leg care apparatus
KR20210012264A (ko) 다리관리장치, 및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
US20210022958A1 (en) Leg care apparatus
KR20210013407A (ko) 다리관리장치
KR20210013406A (ko) 다리관리장치
KR20210012279A (ko) 다리관리장치
KR20210013413A (ko) 다리관리장치
KR20210013412A (ko) 다리관리장치 및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10013408A (ko) 다리관리장치, 및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