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3223A -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3223A
KR20210013223A KR1020207037951A KR20207037951A KR20210013223A KR 20210013223 A KR20210013223 A KR 20210013223A KR 1020207037951 A KR1020207037951 A KR 1020207037951A KR 20207037951 A KR20207037951 A KR 20207037951A KR 20210013223 A KR20210013223 A KR 20210013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side device
carrier
bandwidth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7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2481B1 (ko
Inventor
메이잉 양
더산 먀오
진화 먀오
Original Assignee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13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3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36Signal-to-interference ratio [SIR] or carrier-to-interference ratio [CI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여, 네트워크 측과단말이 신호를 전송할 때 여러 캐리어 또는 대역폭에서 WUS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원이 낭비되며 다운링크 가용의 전체 스펙트럼 자원이 연속되지 않고, 단말의 전력 소비가 증가하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가 누락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제1 객체에서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웨이크업 신호은 단말이 객체에서 다운링크 신호의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지시하기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네트워크 측 장치는 상기 객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고, 단말은 웨이크업 신호 내의 정보에 따라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한다. 웨이크업 신호에는 단말이 다운링크 신호의 수신 및/또는 감지하는 객체가 포함되어있어 객체 각각에서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할 필요가 없으므로 자원 낭비를 줄여 다운링크에서 사용 가능한 전체 스펙트럼 자원이 연속적일 수 있고, 단말 전력 소비를 줄이고, 다운링크 신호 수신 및/또는 감지의 누락을 피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본 출원은, 2018년 05월 31일에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출원 번호 제201810553802.3호,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를 발명 명칭으로 하는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전체 내용은 참조로서 출원에 통합되어 본 출원의 일 부분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에 속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단말의 종류와 서비스 종류가 다양화되고 있으며, 단말 전력 절감, 네트워크 자원 절약, 다양한 서비스 종류 만족에 대한 요구가 공존하고 있다. 단말 절전과 서비스 연결성을 동시에 보장하기 위해 웨이크업 신호 (wakeup signal,WUS)가 도입된다. 단말이 WUS를 모니터링할 때 전력 소비는 상대적으로 낮다. 단말이 WUS를 수신하면 단말은 WUS에 의해 웨이크업되며, 통신 모듈은 네트워크 측에서 전송되는 다운링크 신호 (예 : 페이징 신호,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PDCCH) 신호, 무선 자원 관리 (Radio Resource Management,RRM) 측정 신호 및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기 시작하고 이들의 신호를 사용하여 단말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유휴 상태에서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의 개략도를 예시한다. 도 2는 연결된 상태에서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의 개략도를 예시한다. 단말이 유휴 상태/연결 상태 일 때 단말은 매우 낮은 전력으로 슬립 상태에 들어간다. 다운링크 신호가 네트워크 측에서 단말로 전송되면, 네트워크 측 장치는 웨이크업 신호를 단말로 전송하고, 단말은 네트워크 측 장치가 전송한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후 웨이크업되어 네트워크 측과의 신호 전송을 하기 시작한다. 신호 전송이 완료되면 단말은 다시 극히 낮은 전력으로 슬립 상태로 들어간다.
현재 WUS의 송신 캐리어, 웨이크업되어야 하는 단말의 수신 캐리어, WUS가 지시한 웨이크업 단말의 데이터 수신은 모두 동일한 캐리어에 있다.
다중 캐리어 기술 (예 : 캐리어 집성 (Carrier Aggregation,CA) 기술), 이중 연결 (Dual-Connection, DC) 기술 및 대역폭 부분 (Bandwidth Part, BWP) 기술은 현재 다중 통신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다. 여러 캐리어 또는 대역폭이 있는 경우 각 캐리어 또는 대역폭에서 WUS를 전송할 수 있으며 웨이크업되어야 하는 단말은 각 캐리어 또는 대역폭에서 WUS를 수신하고 각 캐리어 또는 대역폭의 WUS를 사용하여 각 캐리어 또는 대역폭에서 단말의 신호 수신 가능 여부를 지시한다. WUS의 전송 자원을 각 캐리어 또는 대역폭에 구성해야 하는 경우 자원 낭비가 발생한다. 각 단말의 WUS가 차지하는 자원이 각 캐리어 또는 대역폭에 분산되면 다운링크에서 사용 가능한 총 주파수 스펙트럼 자원은 불연속적이다. 단말이 각 캐리어 또는 대역폭에서 WUS를 수신 및/또는 감지해야 하는 경우 단말의 전력 소비가 증가한다. 라이선스 및 비라이선스 스펙트럼의 하이브리드 네트워킹에서 비라이선스 스펙트럼에서 지역 법률 및 규정의 제한으로 인해 신호를 전송하기 전에 모니터링해야 하며 채널은 다른 전송이 모니터링되지 않는 전제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WUS의 전송을 보장할 수없는 상황이 발생하고 다운링크 신호 수신 및/또는 감지 누락이 발생한다.
따라서 현재 다수의 캐리어 또는 대역폭이 있는 경우에는 각 캐리어 또는 대역폭에 WUS를 구성해야 하므로 자원 낭비, 다운링크에서 사용 가능한 전체 스펙트럼 자원이 불연속, 단말 전력 소비 증가, 다운 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 누락 등이 발생한다.
본 출원은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여 복수의 캐리어 또는 대역폭이 있고 네트워크 측과 단말이 신호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자원 낭비, 다운링크에서 사용할 수 있는 총 스펙트럼 자원이 불연속적이며 단말의 전력 소비가 증가 되며 비라이선스 스펙트럼에서는 다른 신호가 채널을 통해 전송될 때 WUS 신호가 전송되지 않아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지 못하게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제1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은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객체에서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게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함; 및 네트워크 측 장치는 상기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1 객체 및 제2 객체는 상이하고 상기 객체는 캐리어 또는 대역폭임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객체를 통해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게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객체에 캐리어 또는 대역폭이 포함되기 때문에 제1 객체가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전송된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후, 단말은 상기 웨이크업 신호의 지시에 따라 제1 객체 및/또는 제2 객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한다. 따라서 여러 캐리어 또는 대역폭이 있는 경우 따라서 여러 캐리어 또는 대역폭이 있는 경우 각 캐리어 또는 대역폭에 WUS를 구성할 필요가 없다. 대신, WUS는 하나의 캐리어 또는 대역폭을 통해 전송되고, 하나 이상의 캐리어 또는 대역폭을 통해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하나 이상의 단말에 지시하는 정보가 WUS에 배치되어 자원 낭비를 줄여 다운링크에서 사용 가능한 전체 스펙트럼 자원이 연속적일 수 있고, 단말 전력 소비를 줄이고, 다운링크 신호 수신 및/또는 감지의 누락을 피할 수 있다.
일 가능한 구현에서, 객체가 캐리어인 경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단말에 대해 구성된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캐리어의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캐리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캐리어를 포함하고; 객체가 대역폭인 경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단말에 대해 구성된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대역폭의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대역폭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대역폭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네트워크 측 장치 측에 대해,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은 웨이크업 신호 또는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제2 캐리어 또는 제2 대역폭은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단말 측 및 네트워크 측 장치가 신호 전송을 수행하고 객체가 캐리어인 경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단말에 대해 구성된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캐리어의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캐리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캐리어를 포함하고, 객체가 대역폭인 경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단말에 대해 구성된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대역폭의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대역폭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대역폭을 포함한다.
일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캐리어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프라이머리 캐리어이고, 상기 프라이머리 캐리어는 미리 구성된 것이거나,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고; 또는 상기 제1 캐리어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세컨더리 캐리어이고, 상기 세컨더리 캐리어는 미리 구성된 것이거나,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고; 또는 상기 제1 캐리어는 라이선스 스펙트럼이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는 미리 구성된 것이거나,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고; 또는 상기 제1 캐리어는 비라이선스 스펙트럼이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일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대역폭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초기 액세스 대역폭이며, 상기 초기 액세스 대역폭은 미리 구성되거나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제1 대역폭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가용 대역폭의 대역폭 부분이며, 상기 가용 대역폭의 대역폭 부분은 미리 구성되거나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제1 대역폭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가용 대역폭의 전부 대역폭이며, 상기 가용 대역폭의 모든 대역폭은 미리 구성되거나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두 가지 방법에 따르면, 제1 객체가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인 경우,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의 모드가 선택된다.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이 결정된 후, 네트워크 측 장치는 결정된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에서 웨이크업 신호 또는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한다.
일 가능한 구현에서, 정적으로 구성 또는 반정적으로 구성은 무선 자원 관리 제어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것이며, 동적 구성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것이다.
상기 방법에 따라, 정적 구성, 반 정적 구성 및 동적 구성의 구성 모드가 각각 설명된다.
일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는 무작위 선택 방식으로 단말에 대한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구성할 수 있으며, 무선 자원 관리 측정 결과에 따라 단말에 대한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네트워크 측 장치는 단말에 대해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두 가지 모드로 구성한다. 즉, 구성을 무작위로 선택할 수 있으며, 무선 자원 관리 측정 결과에 따라 구성할 수도 있다.
일 가능한 구현에서, 무선 자원 관리 측정 결과는 다음 측정 결과 중 하나를 포함하며 : 기준 신호 수신 전력의 측정 결과, 기준 신호 수신 품질의 측정 결과, 수신 신호 강도로 표시된 측정 결과, 신호 간섭 대 잡음비의 측정 결과.
상기 방법은 무선 자원 측정 결과를 설명하는데, 이는 기준 신호 수신 전력의 측정 결과, 기준 신호 수신 품질의 측정 결과, 수신 신호 강도로 표시된 측정 결과 또는 신호 간섭 대 잡음비의 측정 결과일 수 있다. 네트워크 측 장치가 단말에 대해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구성할 때, 구성은 무선 자원 관리 측정 결과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일 가능한 구현에서, 네트워크 측 장치가 무선 자원 관리 측정 결과에 따라 단말에 대한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구성하는 경우, 네트워크 측 장치는 무선 자원 측정 결과의 값에 따라 단말에 대한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구성할 수 있거나, 무선 자원 관리 측정 결과에 따라 임계 값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단말에 대한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구성한다.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측 장치가 무선 자원 관리 측정 결과에 따라 단말에 대해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구성하는 두 가지 모드를 제공한다.
일 가능한 구현에서, 네트워크 측 장치가 제1 객체를 결정한 후, 또한,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는 결정된 상기 제1 객체의 객체 정보를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네트워크 측 장치가 제1 객체를 결정한 후, 결정된 제1 객체의 객체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여 단말이 제1 객체를 통해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도록한다.
제2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신호의 방법은, 먼저 슬립 상태에 있는 단말은 네트워크 측 장치가 제1 객체에서 전송한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후 웨이크업 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단말은 수신된 웨이크업 신호 내의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 캐리어에서 상기 단말이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객체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캐리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고, 상기 제1 객체 및 제2 객체는 상이하고, 상기 객체는 캐리어 또는 대역폭이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웨이크업 신호가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 캐리어에서 상기 단말이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기 때문에 단말이 제1 객체에서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웨이크업 신호 내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따라서 여러 캐리어 또는 대역폭이 있는 경우 따라서 여러 캐리어 또는 대역폭이 있는 경우 각 캐리어 또는 대역폭에 WUS를 구성할 필요가 없다. 자원 낭비를 줄여 다운링크에서 사용 가능한 전체 스펙트럼 자원이 연속적일 수 있고, 단말 전력 소비를 줄이고, 다운링크 신호 수신 및/또는 감지의 누락을 피할 수 있다.
일 가능한 구현에서, 객체가 캐리어인 경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단말에 대해 구성된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캐리어의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캐리어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캐리어를 포함하고; 객체가 대역폭인 경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단말에 대해 구성된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대역폭의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대역폭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대역폭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단말 측은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사용하여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거나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고, 제2 캐리어 또는 제2 대역폭은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기 때문에 단말 측 및 네트워크 측 장치이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객체가 캐리어일 때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단말에 대해 구성된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캐리어의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캐리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캐리어를 포함하고, 객체가 대역폭인 경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단말에 대해 구성된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대역폭의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대역폭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대역폭을 포함한다.
일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캐리어는 상기 단말의 프라이머리 캐리어이며, 상기 프라이머리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캐리어는 상기 단말의 세컨더리 캐리어이며, 상기 세컨더리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캐리어는 라이선스 스펙트럼이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캐리어는 비라이선스 스펙트럼이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대역폭은 상기 단말의 초기 액세스 대역폭이며, 상기 초기 액세스 대역폭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대역폭은 상기 단말의 가용 대역폭의 대역폭 부분이며, 상기 가용 대역폭의 대역폭 부분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대역폭은 상기 단말의 가용 대역폭의 모든 대역폭이며, 상기 가용 대역폭의 모든 대역폭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두 가지 방법에 따르면, 제1 객체가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인 경우,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의 모드가 선택된다,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이 결정된 후, 단말은 제 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에서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한다.
일 가능한 구현에서, 정적 구성 또는 반정적 구성은 무선 자원 제어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구성되고, 동적 구성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정적 구성, 반정적 구성 및 동적 구성의 구성 모드가 각각 설명된다.
일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은 다음 방식 중 하나로 제1 객체를 결정한다 :
단말은 수신된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 송신의 객체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캐리어의 집합에서 상기 제1 객체를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의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대역폭의 집합에서 상기 제1 객체를 결정한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단말이 수신하고 네트워크 측 장치가 전송하는 객체 정보는 제1 객체의 정보이므로, 단말은 상기 객체 정보에 따라 단말의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캐리어 또는 대역폭의 집합에서 제1 객체를 결정함으로써 제1 객체에서 네트워크 측 장치 송신의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도록 한다.
제3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처리 유닛 및 적어도 하나의 저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 유닛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상기 처리 유닛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처리 유닛은 다음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 적어도 하나의 제1 객체에서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게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1 객체 및 제2 객체는 상이하고, 상기 객체는 캐리어 또는 대역폭이다.
제4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신호의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처리 유닛 및 적어도 하나의 저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 유닛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상기 처리 유닛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처리 유닛은 다음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
네트워크 측 장치가 제1 객체를 통해 전송한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후 웨이크업 상태에 진입하고; 상기 웨이크업 신호 내의,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 캐리어에서 상기 단말이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정보에 따라,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캐리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고; 상기 제1 객체 및 제2 객체는 상이하고, 상기 객체는 캐리어 또는 대역폭이다.
제5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객체에서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웨이크업 신호 전송 모듈 -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게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함; 및
상기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다운링크 신호 전송 모듈 - 상기 제1 객체 및 제2 객체는 상이하고, 상기 객체는 캐리어 또는 대역폭임을, 포함한다.
제6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신호의 장치는,
네트워크 측 장치가 제1 객체를 통해 전송한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후 웨이크업 상태에 진입하도록 구성된 웨이크업 모듈; 및
상기 웨이크업 신호 내의,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 캐리어에서 상기 단말이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정보에 따라,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구성된 수신 감지 모듈 - 상기 제1 객체 및 제2 객체는 상이하고, 상기 객체는 캐리어 또는 대역폭임을, 포함한다.
제7 측면에서, 본 출원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또한, 제3 측면 내지 제7 측면의 구현 중 어느 하나의 기술적 효과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의 상이한 구현의 기술적 효과로부터 볼 수 있으며, 여기서 상세히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기술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 실시예의 서술에 필요된 도면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이하 서술한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함은 자명하며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창조력을 발휘하지 않는 한 이들의 도면에 따라 다른 도면을 얻을 수도 있다.
도 1은 배경 기술에서 유휴 상태에서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배경 기술에서 연결 상태에서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다중 캐리어 집성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단말 대역폭의 동적 변화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송수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캐리어 RRC-idle또는 RRC-inactive의 제1 WUS 지시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캐리어 RRC-idle또는 RRC-inactive의 제2 WUS 지시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캐리어 RRC-connected의 제1 WUS 지시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캐리어 RRC-connected의 제2 WUS 지시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네트워크 측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네트워크 측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단말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송수신 방법에서 네트워크 측 장치 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송수신 방법에서 단말 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신호 송수신 방법의 완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들 중 일부 용어는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될 것이다.
(1)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객체"라는 용어는 "캐리어"또는 "대역폭"이다.
(2)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대역폭"이라는 용어는 신호 전송이 차지하는 주파수 범위를 의미한다.
(3)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복수"이라는 용어는 둘 이상을 지칭하며, 다른 양사는 유사하다.
(4) 용어 "및/또는"은 연관된 객체의 연관 관계를 설명하며, 이는 세 가지 유형의 관계가 있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 단독, B 단독, A 및 B의 세 가지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기호는 일반적으로 연관된 개체가 "또는" 관계에 있음을 나타낸다.
단일 사용자 최고 속도 및 시스템 용량 향상에 대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가장 직접적인 방법 중 하나는 시스템 전송 대역폭을 증가시키는 것이므로 CA 기술 및DC 기술과 같은 전송 대역폭을 증가시키는 기술이 도입되었다.
CA/DC 기술은 전송 대역폭을 증가시키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여러 캐리어 (ComponentCarrier, 컴포넌트 캐리어, CC)를 함께 집성해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 속도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도 3은 다중 캐리어 집성의 개략도이다. 도 3에 총 5 개의 캐리어가 있으며, 각 캐리어는 20MHZ의 전송 대역폭을 가지며, 20MHZ의 대역폭을 가진 5 개의 캐리어를 결합하여 100MHZ의 대역폭을 가진 전송 대역폭을 형성하므로 업링크 및 다운링크의 전송 속도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늘릴 수 있다.
캐리어 집성 기술에서 단말은 단말 자체의 용량에 따라 업링크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에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캐리어 수를 결정한다.
BWP 기술은 때때로 대역폭 적응 (Bandwidth Adaptation)이라고도 불린다.
새로운 무선 (NR)에서 단말의 대역폭은 단말의 트래픽 볼륨에 따라 동적으로 변할 수 있다. 도 4는 단말 대역폭의 동적 변화의 개략도이다. 도 4에서 제1 시각에는 단말의 트래픽 볼륨이 크고 시스템이 단말에 대해 큰 대역폭 (BWP1)을 구성한다. 제2 시각에는 단말의 트래픽 볼륨이 작고, 시스템은 단말이 기본적인 통신 요구 사항을 충족하도록 작은 대역폭 (BWP2)을 구성한다. 제3 시각에는 시스템은 BWP1의 대역폭에서 선택적으로 페이딩되는 주파수 범위가 넓거나 BWP1의 주파수 범위에서 자원이 부족하다는 것을 발견하여 새로운 대역폭 (BWP3)을 단말에 구성한다.
상기로부터 CA/DC 기술에는 다수의 캐리어가 있고 BWP 기술에는 다수의 대역폭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여러 캐리어 또는 여러 대역폭이 있는 경우, 단말의 전력 절약을 전제로 단말과 네트워크 측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때 자원 낭비 문제, 다운링크에서 가용의 전체 스펙트럼 자원이 불연속적임, 높은 단말 전력 소비 및 다운링크 신호의 수신 및/또는 감지의 누락은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 의해 해결되어야할 문제들이다.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다운링크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때, 단말은 슬립 상태, 즉 저전력 상태에 있고, 네트워크 측 장치가 단말로 전송하기위한 다운링크 신호를 가지고 있을 때, 네트워크 측 장치가 먼저 웨이크업 신호를 단말로 전송하고, 단말을 웨이크업한 다음, 다운링크 신호를 단말로 전송하고; 단말은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후 웨이크업되고, 단말은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전송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다중 캐리어 또는 다중 대역폭 조건 하에서 각 캐리어 또는 대역폭에 웨이크업 신호를 구성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먼저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제1 객체를 결정하고 결정된 제1 객체의 객체 정보를 제1 객체를 통해 웨이크업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고, 여기서, 객체는 캐리어 또는 대역폭이며, 웨이크업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게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한다. 슬립 상태에 있는 단말은 제 1 객체에서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후, 단말은 웨이크업되며, 웨이크업된 단말은 웨이크업 신호 내의 정보에 따라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한다.
웨이크업 신호는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통해서만 전송되기 때문에, 즉, 웨이크업 신호는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에서만 구성되고, 웨이크업 신호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제1 캐리어 및/또는 제1 대역폭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캐리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대역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지시하여 단말로 하여금 대응하는 캐리어 또는 대역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도록한다. 따라서 자원을 절약하고, 다운링크에서 사용 가능한 전체 스펙트럼 자원이 연속적일 수 있고, 단말 전력 소비를 줄이고, 다운링크 신호 수신 및/또는 감지의 누락을 피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은 무선 통신 기능이 있는 장치로 지상에 배치할 수 있으며 실내 또는 실외, 핸드 헬드 또는 차량 탑재 단말를 포함한다. 단말은 수면 (예 : 선박)에 배치하거나 공중 (예 : 비행기, 풍선 및 위성)에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단말은 휴대폰 (mobile phone), 태블릿 컴퓨터 (pad, 패드), 무선 송수신 기능이있는 컴퓨터, 가상 현실 (virtual reality,VR) 단말, 증강 현실 (augmented reality,AR) 단말, 산업 제어 (industrial control)용 무선 단말, 무선 단말, 자가 운전 (self driving), 원격 의료 (remote medical)용 무선 단말, 스마트 그리드 (smart grid)의 무선 단말, 교통 안전 (transportation safety)용 무선 단말, 스마트 시티 (smart city)의 무선 단말, 스마트 홈 (smart home)의 무선 단말 등일 수 있다. 상기 단말은 다양한 사용자 장비 (UE), 이동국 (mobile station,MS) 및 단말 장치(terminal device)일 수도 있다.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는 단말을 위한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5G의 gNB,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 (radio network controller,RNC), 노드 B (node B,NB), 기지국 컨트롤러 (base station controller,BSC), 베이스 송수신국 (base transceiver station,BTS), 홈 기지국 (예 : 홈 진화 노드 B (home evolved nodeB) 또는 홈 노드 B (home node B,HNB)), 베이스 밴드 유닛 (BaseBand Unit,BBU), 송수신 지점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int,TRP), 전송 지점 (transmitting point,TP), 모바일 스위칭 센터 등을 포함 하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본 출원에서 네트워크 측 장치는 또한 미래에 나타날 수 있는 다른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을 위한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안 및 장점을 보다 명료하게 나타내기 위해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설명한다. 여기서 서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전 실시예가 아닌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을 기반으로 하여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창조력을 발휘하지 않으면서 얻은 다른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위의 시나리오를 고려하여,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송수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네트워크 측 장치 (50) 및 단말 (51)를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 (5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객체에서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게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1 객체 및 제2 객체는 상이하고, 상기 객체는 캐리어 또는 대역폭이다.
상기 단말 (51)은 네트워크 측 장치가 제1 객체를 통해 전송한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후 웨이크업 상태에 진입하고; 상기 웨이크업 신호 내의,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 캐리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상기 단말에게 지시하기 위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객체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고; 상기 제1 객체 및 제2 객체는 상이하고, 상기 객체는 캐리어 또는 대역폭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객체에서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게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단말은 네트워크 측 장치가 제1 객체에서 전송한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후 웨이크업 상태에 진입한다. 네트워크 측 장치는 상기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고, 단말은 웨이크업 신호에 따라 상기 단말은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한다. 웨이크업 신호에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게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단말은 웨이크업 신호 내의 정보에 따라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기위한 객체를 결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제1 객체에서 웨이크업 신호만 전송하면되고각 객체에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할 필요가 없으므로 자원 낭비를 줄여 다운링크에서 사용 가능한 전체 스펙트럼 자원이 연속적일 수 있고, 단말 전력 소비를 줄이고, 다운링크 신호 수신 및/또는 감지의 누락을 피할 수 있다.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객체에서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고,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전송된 웨이크업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게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의 객체는 캐리어 또는 대역폭이다. 여기서, 캐리어는 대역 내 (in-band)또는 대역 외 (out-band)일 수 있으며, 다중 캐리어는 다중 캐리어 집성 (CA) 모드 또는 이중 연결 (DC) 모드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대역폭은 무선 주파수 대역폭 또는 기저 대역 대역폭일 수 있으며, 여기서 무선 주파수 대역폭은 대응하는 독립 무선 주파수 체인에 의해 지원되는 대역폭이고; 기저 대역 대역폭은 장치 기저 대역 독립적 처리의 대역폭 기능이거나 푸리에 변환 처리 기능이 지원하는 대역폭 또는 포인트 수이다.
객체는 캐리어 또는 대역폭이므로 제1 객체는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이다.
제1 캐리어는 다음 4 가지의 캐리어의 일부 또는 전부이다.
첫째, 제1 캐리어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프라이머리 캐리어이고, 상기 프라이머리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둘째, 제1 캐리어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세컨더리 캐리어이고, 상기 세컨더리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셋째, 제1 캐리어는 라이선스 스펙트럼이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넷째, 제1 캐리어는 비라이선스 스펙트럼이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대역폭은 다음 3 가지 의 대역폭의 일부 또는 전부이다.
첫째, 제1 대역폭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초기 액세스 대역폭이고, 상기 초기 액세스 대역폭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둘째, 제1 대역폭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가용 대역폭의 대역폭 부분이며, 상기 가용 대역폭의 대역폭 부분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셋째, 제1 대역폭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가용 대역폭의 모든 대역폭이며, 상기 가용 대역폭의 모든 대역폭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의는 다음과 같을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 단말이 공장을 떠나기 전에 단말과 네트워크 측 장치는 프라이머리 캐리어가 제1 캐리어라는 것을 동의하고, 그런 다음 이러한 정보가 단말 및 네트워크 측 장치에 미리 구성된다.
전술한 정적 구성 또는 반정적 구성은 무선 자원 제어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구성될 수 있거나, 미디어 액세스 제어 계층의 제어 유닛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동적 구성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정적 구성, 반 정적 구성 및 동적 구성에 더하여, 다른 정적 구성, 반정적 구성 및 동적 구성은 모두 본 출원의 실시예에 적용 가능하다.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결정하는 규칙은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무작위로 선택될 수 있거나,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이 단말에 의해 한 번 사용되고 네트워크 측에 의해 저장될 수 있는 것이거나, 네트워크 측 장치가 무선 자원 관리 측정 결과에 따라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
일 선택적 구현으로서는,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결정하는 규칙은 균일하게 무작위 선택일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균일 랜덤 선택은 각 무작위로 이벤트를 선택하는 확률이 균일 무작위 분포를 만족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무선 자원 관리 측정 결과는 기준 신호 수신 전력의 측정 결과, 또는 기준 신호 수신 품질의 측정 결과, 또는 수신 신호 강도로 표시된 측정 결과, 또는 신호 간섭 대 잡음비의 측정 결과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측 장치가 무선 자원 관리 측정 결과에 따라 단말에 대한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구성하는 경우 두 가지 모드가 있을 수 있다.
제1 모드 : 네트워크 측 장치는 무선 자원 관리 측정 결과의 값에 따라 상기 단말에 대한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구성한다.
여기서, 무선 자원 관리 측정 결과의 값은 최대 값과 최소값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무선 자원 관리 측정 결과는 다음 측정 결과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
기준 신호 수신 전력의 측정 결과, 기준 신호 수신 품질의 측정 결과, 수신 신호 강도로 표시된 측정 결과, 신호 간섭 대 잡음비의 측정 결과.
무선 자원 관리 측정 결과가 수신 신호 강도로 표시된 측정 결과인 경우, 측정 결과의 최소 값에 따라 단말에 대한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구성하고, 예를 들어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으로서 측정 결과의 최소 값에 대응하는 캐리어 또는 대역폭을 단말에 대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자원 관리 측정 결과가 기준 신호 수신 전력의 측정 결과, 기준 신호 수신 품질의 측정 결과 및 신호 간섭 대 잡음비의 측정 결과 중 하나인 경우, 측정 결과의 최대 값에 따라 단말에 대한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구성하고, 예를 들어 측정 결과의 최대 값에 대응하는 캐리어 또는 대역폭이 단말에 대해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제2 모드 : 네트워크 측 장치는 무선 자원 관리 측정 결과의 임계 값 이상인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에 대한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구성한다.
단말에 대한 제1 캐리어 또는 대역폭을 구성하는 이 모드에서는 먼저 임계 값을 구성한 다음 네트워크 측 장치가 무선 자원 관리 측정 결과를 임계 값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단말에 대한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구성한다.
무선 자원 관리 측정에서, 수신 신호 강도 표시인 경우, 임계 값보다 작은 측정 결과가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으로서 선택될 수 있으며; 에너지가 수신되면 임계 값 이상의 측정 결과를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으로서 선택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무선 자원 관리 측정 결과는 다음 측정 결과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
기준 신호 수신 전력의 측정 결과, 기준 신호 수신 품질의 측정 결과, 수신 신호 강도로 표시된 측정 결과, 신호 간섭 대 잡음비의 측정 결과.
수신 신호 강도로 표시된 측정 결과의 경우, 임계 값보다 작은 측정 결과에 따라 단말에 대한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구성하고, 예를 들어, 임계 값보다 작은 측정 결과에 대응하는 캐리어 또는 대역폭에 단말에 대해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임계 값보다 작은 측정 결과 단말에 대한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구성하는 경우, 임계 값보다 작은 측정 결과가 여러 개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임계 값보다 작은 하나 이상의 측정 결과 중 하나 이상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구성할 수 있다.
기준 신호 수신 전력의 측정 결과, 기준 신호 수신 품질의 측정 결과, 신호 간섭 대 잡음비의 측정 결과에 따라 단말에 대해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구성한다. 임계 값 이상인 측정 결과에 따라, 단말에 대한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구성하고, 예를 들어 임계 값 이상인 측정 결과에 대응하는 캐리어 또는 대역폭을 단말에 대해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으로 구성할 수 있다.
임계 값 이상인 측정 결과에 따라 단말에 대한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구성하는 경우, 임계 값 이상인 여러 측정 결과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임계 값 이상인 측정 결과 중 하나 이상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결정한 후,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에서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한다.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전송된 웨이크업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게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제1 객체와 제2 객체는 다르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제1 객체는 네트워크 측 장치가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는 객체이거나 네트워크 측 장치가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객체일 수 있다. 제2 객체는 네트워크 측 장치가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객체이다.
여기서, 웨이크업 신호의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를 통해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즉, 웨이크업 신호가 지시하는 단말의 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각 단말의 제1 객체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지시받은 객체는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는 객체일 수 있거나,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는 객체와 다른 하나 이상의 객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는 객체가 캐리어 1인 경우,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 지시된 단말이 단말 UE1 및 단말 UE2이며 단말 UE1에 대응하는 제2 객체는 캐리어 1이며 단말 UE2에 대응하는 제2 객체는 캐리어 2와 캐리어 3이다. 그러면 웨이크업 신호의 정보는 단말 UE1이 캐리어 1에서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전송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지시하고, 단말 UE2가 캐리어 2 및 캐리어 3을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전송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지시한다. 즉, 단말 UE1은 캐리어 1을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전송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고, 단말 UE2는 캐리어 2 및 캐리어 3을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전송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한다.
하나의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 지시된 단말이 여러 개인 경우, 다수의 단말의 제1 객체는 동일하다. 즉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 지시된 여러 단말의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캐리어 또는 대역폭이 동일하다.
예를 들어,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는 객체가 캐리어 1이고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 지시된 단말이 단말 UE1 및 단말 UE2인 경우, 단말 UE1의 제1 객체 및 단말 UE2의 제1 객체는 동일하고, 둘 다 캐리어 1인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단말은 두 가지 상태에 있을 수 있는데, 하나는 유휴 상태이고 다른 하나는 연결 상태이다. 웨이크업 신호의 정보는 각각 이 두 가지 상태로 설명될 것이다.
WUS를 전송하는 캐리어는 프라이머리 캐리어이고,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캐리어는 프라이머리 캐리어 및/또는 세컨더리 캐리어이다.
1. 무선 자원 제어 (Radio Resource Control,RRC)-유휴 (idle)/비활성 (inactive)상태에서, 네트워크의 구성에 의해 단말이 유휴 상태/비활성 상태가 되면 WUS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게 웨이크업하도록 지시하고, 프라이머리 캐리어는 각 단말마다 다를 수 있다. 단말의 모든 캐리어 중 하나가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해야 하는 경우 네트워크 측 장치는 단말의 기본 캐리어를 통해 WUS를 전송하고 여기에서 다운링크 신호에는 페이징 신호, 무선 자원 관리 측정 (RRM)등이 포함된다.
WUS는 단말에게 웨이크업을 지시하기 위해 모든 프라이머리 캐리어를 통해 전송된다. 또한, WUS는 단말이 모든 캐리어를 통해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해야 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며, 여기서 모든 캐리어는 프라이머리 캐리어와 세컨더리 캐리어를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은 도면과 관련하여 이루어진다. 도 6은 다중 캐리어 RRC-idle 또는 RRC-inactive 상태의 제1 WUS 명령의 개략도이다.
도 6에서, WUS는 페이징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하나 이상의 단말에 지시한다. WUS1은 두 단말에게 동일한 캐리어를 통해 페이징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지시한다. 즉, WUS1은 단말 UE1 및 단말 UE2에게 캐리어 CC1을 통해 페이징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지시한다.
WUS2는 하나의 캐리어에서 페이징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하나의 단말에 지시한다. 즉, WUS2는 캐리어 CC4를 통해 페이징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단말 UE3에 지시한다.
도 7은 다중 캐리어 RRC-idle 또는 RRC-inactive 상태의 제2 WUS 지시의 개략도이다.
도 7에서, WUS는 다중 캐리어를 통해 상이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다중 단말에 지시한다. WUS3는 단말 UE1 및 단말 UE2에게 캐리어 CC1을 통해 페이징 신호 및 무선 자원 관리 (RRM) 측정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고, 캐리어 CC2를 통해 무선 자원 관리 (RRM) 측정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고, 캐리어 CC3를 통해 무선 자원 관리 (RRM) 측정 신호을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지시하고 캐리어 CC4를 통해 무선 자원 관리 (RRM) 측정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지시한다.
2. RRC-Connected (연결) 상태에서 네트워크의 구성에 의해 단말이 연결 상태/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면 WUS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게 웨이크업하도록 지시하고 각 단말의 프라이머리 캐리어가 다를 수 있다. 단말의 모든 캐리어 중 하나가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해야 하는 경우 네트워크 측 장치는 단말의 프라이머리 캐리어를 통해 WUS를 전송하고 여기서 다운링크 신호에는 PDCCH 신호, 무선 자원 관리 (RRM) 측정 등이 포함된다.
WUS는 모든 프라이머리 캐리어를 통해 전송되어 단말이 웨이크업되도록 지시한다. 또한, WUS는 단말이 모든 캐리어를 통해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해야 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며, 여기에서 모든 캐리어에는 프라이머리 캐리어와 세컨더리 캐리어가 포함된다.
일 선택적 모드는 제1 캐리어가 프라이머리 캐리어이고, 제1 캐리어가 프라이머리 캐리어인 경우 WUS가 프라이머리 캐리어를 통해 전송되는 것이다. 제1 캐리어는 또한 세컨더리 캐리어일 수 있고, 제1 캐리어가 세컨더리 캐리어일 때, WUS는 세컨더리 캐리어를 통해 전송된다.
이하의 설명은 도면과 관련하여 이루어진다. 도 8은 다중 캐리어 RRC-connected 상태에서 제1 WUS 지시의 개략도이다.
도 8에서, WUS는 상이한 캐리어를 통해 동일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상이한 단말에 지시한다. WUS1은 두 단말 UE1 및 단말 UE2에게 캐리어 CC1을 통해 PDCCH 신호 및 무선 자원 관리 (RRM) 측정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고, 캐리어 CC2를 통해 PDCCH 신호 및 무선 자원 관리 (RRM) 측정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고, 캐리어 CC3를 통한 PDCCH 신호 및 무선 자원 관리 (RRM) 측정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고, 캐리어 CC4를 통한 PDCCH 신호 및 무선 자원 관리 (RRM) 측정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지시한다
도 9는 다중 캐리어 RRC-connected 상태에서 제2 WUS 지시의 개략도이다.
동일한 단말이 상이한 캐리어를 통해 동일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면, 단말로 하여금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상이한 웨이크업 신호를 통해 지시받을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 UE1이 캐리어 CC1 및 캐리어 CC2를 통해 PDCCH 신호 및 무선 자원 관리 (RRM) 측정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할 때, 웨이크업 신호 WUS3 및 웨이크업 신호 WUS4의 두 개의 웨이크업 신호를 지시에 사용할 수 있다. WUS3는 단말 UE1에게 캐리어 CC1을 통해 PDCCH 신호 및 무선 자원 관리 (RRM) 측정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WUS4는 캐리어 CC2를 통해 단말 UE1에게 PDCCH 신호 및 무선 자원 관리 (RRM) 측정 신호을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다수의 단말인 경우, 단말은 상이한 캐리어를 통해 동일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할 수 있으며, 다수의 단말은 또한 상이한 웨이크업 신호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지시받을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UE1 및 단말 UE2가 캐리어 CC3 및 캐리어 CC4를 통해 PDCCH 신호 및 무선 자원 관리 (RRM) 측정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할 때, 웨이크업 신호 WUS5 및 웨이크업 신호 WUS6의 두 개의 웨이크업 신호가 지시에 사용된다, WUS5는 단말 UE1 및 단말 UE2에게 캐리어 CC3를 통해 PDCCH 신호 및 무선 자원 관리 (RRM) 측정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WUS6는 캐리어 CC4를 통해 단말 UE1 및 단말 UE2에게 PDCCH 신호 및 무선 자원 관리 (RRM) 측정 신호를 수신 및 또는 감지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제1 객체를 결정한 후, 네트워크 측 장치는 결정된 제1 객체의 객체 정보를 단말로 전송한다.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전송된 제1 객체의 객체 정보를 수신한 후, 단말은 단말의 사용 가능한 모든 수신 캐리어 집합에서 제1 객체를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의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대역폭의 집합에서 상기 제1 객체를 결정한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의 제1 객체는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이다.
단말의 제1 객체는 네트워크 측에서 전송한 객체 정보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단말의 제1 캐리어는 다음 4 개의 캐리어의 일부 또는 전부이다.
첫째, 제1 캐리어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프라이머리 캐리어이고, 상기 프라이머리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둘째, 제1 캐리어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세컨더리 캐리어이고, 상기 세컨더리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셋째, 제1 캐리어는 라이선스 스펙트럼이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넷째, 제1 캐리어는 비라이선스 스펙트럼이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말의 제1 객체는 네트워크 측에서 전송한 객체 정보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단말의 제1 대역 폭은 다음 세 가지 대역폭의 일부 또는 전부이다.
첫째, 제1 대역폭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초기 액세스 대역폭이고, 상기 초기 액세스 대역폭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둘째, 제1 대역폭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가용 대역폭의 대역폭 부분이며, 상기 가용 대역폭의 대역폭 부분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셋째, 제1 대역폭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가용 대역폭의 모든 대역폭이며, 상기 가용 대역폭의 모든 대역폭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정적 구성 또는 반정적 구성은 무선 자원 관리 제어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구성되고, 동적 구성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제1 객체를 결정한 후, 단말은 제1 객체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전송된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다.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단말은 슬립 상태, 즉 저전력 상태에있다. 슬립 상태에서 단말은 네트워크 측 장치가 전송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없고,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전송된 정보 (예 : 제1 객체의 객체 정보 및 모니터링 웨이크업 신호) 만 수신할 수 있다.
슬립 상태에 있는 단말은 제1 객체에서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후, 슬립 상태에 있는 단말은 웨이크업된다.
여기서 단말의 웨이크업은 단말이 슬립 모드에서 활성 모드로 진입하는 것, 즉 단말이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단말은 두 가지 상태에있을 수 있는데, 하나는 유휴 상태이고 다른 하나는 연결 상태이다. 두 상태는 각각 아래에 설명되어 있다.
1. RRC-idle/inactive 상태에서 네트워크 구성 단말이 idle/inactive 상태로 진입하면 단말은 슬립 모드로 진입한다. 슬립 모드로 진입한 단말은 네트워크 측 장치에서 전송한 웨이크업 신호만 수신한다. 단말이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후 단말은 활성 모드로 들어가 페이징 신호 및/또는 무선 자원 관리 (RRM) 측정 신호 및/또는 동기화 신호를 수신할 준비가 된다.
2. RRC-Connected (연결) 상태에서 네트워크 구성에 의해 단말이 연결 상태/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면 단말은 슬립 모드로 진입한다. 슬립 모드로 진입한 단말은 네트워크 측 장치에서 전송한 웨이크업 신호 만 수신한다. 단말이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후, 단말은 활성 모드에 들어가고 PDCCH 신호 및/또는 무선 자원 관리 (RRM) 측정 신호 및/또는 동기화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할 준비가 된다.
웨이크업 신호를 단말로 전송한 후,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는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전송된 웨이크업 신호에 포함된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측 장치가 단말로 전송하는 웨이크업 신호에 포함된 정보는 단말이 UE1이고, 캐리어가 캐리어 A 및 캐리어 B인 경우, 네트워크 측 장치는 캐리어 A 및 캐리어 B를 통해 단말 UE1로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지시한다.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제1 객체를 통해 단말로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한다.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단말에 대해 구성된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객체의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를 포함한다.
즉, 객체가 캐리어일 때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단말에 대해 구성된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캐리어의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캐리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캐리어를 포함하고; 객체가 대역폭인 경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단말에 대해 구성된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대역폭의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대역폭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대역폭을 포함한다.
이에 대응하여, 객체가 캐리어인 경우, 단말의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캐리어의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캐리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캐리어를 포함하고; 객체가 대역폭인 경우, 단말의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대역폭의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대역폭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대역폭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객체에서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고, 슬립 상태에 있는 단말은 상기 제1 객체에서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고 슬립 상태에 있는 단말은 웨이크업되며,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제1 객체 및/또는 제2 객체는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단말로 전송되는 웨이크업 신호에 포함된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이다.
여기서, 다운링크 신호는 페이징 신호, PDCCH 신호, RRM 측정 신호 및 동기화 신호 등을 포함한다.
단말의 상태가 RRC-idle/inactive 상태인 경우, 다운링크 신호는 페이징 신호, RRM 측정 신호, 동기화 신호 등이다. 단말의 상태가 RRC-Connected 상태인 경우, 다운링크 신호는 PDCCH 신호, RRM 측정 신호, 동기화 신호 등이다.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한다.단말은 수신된 웨이크업 신호 내의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를 통해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상기 단말에 지시하기 위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객체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측 장치는 캐리어 1을 통해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고, 웨이크업 신호는 캐리어 1을 통해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도록 단말 UE1에 지시하는 경우, 단말 UE1은 웨이크업 신호 내의 정보에 따라 캐리어 1에서 페이징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동일한 사상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신호 전송 장치를 더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신호 송수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측 장치이며, 문제 해결의 원리는 시스템의 원리와 유사하다. 따라서 장치의 구현은 시스템의 구현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처리 유닛 (1000) 및 적어도 하나의 저장 유닛 (1001)을 포함하고, 저장 유닛 (1001)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고,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때 처리 유닛 (1000)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처리 유닛 (1000)은 다음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
적어도 하나의 제1 객체에서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게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1 객체 및 제2 객체는 상이하고, 상기 객체는 캐리어 또는 대역폭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유닛 (1000)은 구체적으로,
상기 객체는 캐리어이며, 상기 네트워크 측에 의해 단말에 대해 구성된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캐리어의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캐리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캐리어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객체는 대역폭이며, 상기 네트워크 측에 의해 단말에 대해 구성된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대역폭의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대역폭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대역폭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유닛 (100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캐리어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프라이머리 캐리어이고, 상기 프라이머리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캐리어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세컨더리 캐리어이고, 상기 세컨더리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캐리어는 라이선스 스펙트럼이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너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캐리어는 비라이선스 스펙트럼이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대역폭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초기 액세스 대역폭이고, 상기 초기 액세스 대역폭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대역폭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가용 대역폭의 대역폭 부분이며, 상기 가용 대역폭의 대역폭 부분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대역폭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가용 대역폭의 모든 대역폭이며, 상기 가용 대역폭의 모든 대역폭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정적 구성 또는 반정적 구성은 무선 자원 제어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구성되고, 동적 구성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유닛 (1000)은 또한,
무작위 선택 방식으로 상기 단말에 대한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구성하고; 또는 무선 자원 관리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에 대한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구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무선 자원 관리 측정 결과는 다음 정보 측정 결과 중 하나를 포함한다 :
기준 신호 수신 전력의 측정 결과, 기준 신호 수신 품질의 측정 결과, 수신 신호 강도로 표시된 측정 결과, 신호 간섭 대 잡음비의 측정 결과.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유닛 (1000)은 구체적으로, 무선 자원 관리 측정 결과의 값에 따라 상기 단말에 대한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구성하고; 또는 무선 자원 관리 측정 결과에 따라 임계 값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에 대한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구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유닛 (1000)은 또한, 결정된 상기 제1 객체의 객체 정보를 단말로 전송한다.
동일한 발명의 사상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신호 전송 장치를 더 제공한다. 장치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시스템의 단말이며, 장치의 문제 해결 원리는 시스템의 원리와 유사하다. 따라서 장치의 구현은 시스템의 구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처리 유닛 (1100) 및 적어도 하나의 저장 유닛 (1101)를 포함하고, 저장 유닛 (1101)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고,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때 처리 유닛 (1100)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처리 유닛 (1100)은 다음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
네트워크 측 장치가 제1 객체를 통해 전송한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후 웨이크업 상태에 진입하고; 상기 웨이크업 신호 내의,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 캐리어에서 상기 단말이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정보에 따라,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캐리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고;
상기 제1 객체 및 제2 객체는 상이하고, 상기 객체는 캐리어 또는 대역폭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유닛 (1100)은 구체적으로,
상기 객체는 캐리어이며, 상기 네트워크 측에 의해 단말에 대해 구성된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캐리어의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캐리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캐리어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객체는 대역폭이며, 상기 네트워크 측에 의해 단말에 대해 구성된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대역폭의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대역폭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대역폭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유닛 (110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캐리어는 상기 단말의 프라이머리 캐리어이며, 상기 프라이머리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캐리어는 상기 단말의 세컨더리 캐리어이며, 상기 세컨더리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캐리어는 라이선스 스펙트럼이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캐리어는 비라이선스 스펙트럼이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대역폭은 상기 단말의 초기 액세스 대역폭이며, 상기 초기 액세스 대역폭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대역폭은 상기 단말의 가용 대역폭의 대역폭 부분이며, 상기 가용 대역폭의 대역폭 부분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대역폭은 상기 단말의 가용 대역폭의 모든 대역폭이며, 상기 가용 대역폭의 모든 대역폭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정적 구성 또는 반 정적 구성은 무선 자원 제어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구성되고, 동적 구성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유닛 (1100)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제1 개체를 결정한다.
수신된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전송된 객체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캐리어의 집합에서 상기 제1 객체를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의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대역폭의 집합에서 상기 제1 객체를 결정한다.
동일한 본 발명의 사상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신호 전송 장치를 더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신호 송수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측 장치이며, 장치의 문제 해결 원리는 시스템의 원리와 유사하다. 따라서 장치의 구현은 시스템의 구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신호 전송 장치를 제공하고, 이 장치는 웨이크업 신호 전송 모듈 (1200) 및 다운링크 신호 전송 모듈 (1201)을 포함한다.
상기 웨이크업 신호 전송 모듈 (1200)은 적어도 하나의 제1 객체에서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게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다운링크 신호 전송 모듈 (1201)은 상기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객체 및 제2 객체는 상이하고, 상기 객체는 캐리어 또는 대역폭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웨이크업 신호 전송 모듈 (1200)은 구체적으로,
상기 객체는 캐리어이며, 상기 네트워크 측에 의해 단말에 대해 구성된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캐리어의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캐리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캐리어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객체는 대역폭이며, 상기 네트워크 측에 의해 단말에 대해 구성된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대역폭의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대역폭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대역폭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웨이크업 신호 전송 모듈 (120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캐리어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프라이머리 캐리어이고, 상기 프라이머리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캐리어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세컨더리 캐리어이고, 상기 세컨더리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캐리어는 라이선스 스펙트럼이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캐리어는 비라이선스 스펙트럼이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대역폭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초기 액세스 대역폭이고, 상기 초기 액세스 대역폭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대역폭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가용 대역폭의 대역폭 부분이며, 상기 가용 대역폭의 대역폭 부분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대역폭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가용 대역폭의 모든 대역폭이며, 상기 가용 대역폭의 모든 대역폭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정적 구성 또는 반 정적 구성은 무선 자원 제어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구성되고, 동적 구성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웨이크업 신호 전송 모듈 (1200)은 또한,
무작위 선택 방식으로 상기 단말에 대한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구성하거나, 또는 무선 자원 관리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에 대한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구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무선 자원 관리 측정 결과는 다음 정보 측정 결과 중 하나를 포함한다 :
기준 신호 수신 전력의 측정 결과, 기준 신호 수신 품질의 측정 결과, 수신 신호 강도로 표시된 측정 결과, 신호 간섭 대 잡음비의 측정 결과.
선택적으로, 상기 웨이크업 신호 전송 모듈 (1200)은 구체적으로,
무선 자원 관리 측정 결과의 값에 따라 상기 단말에 대한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구성하거나, 또는 무선 자원 관리 측정 결과에 따라 임계 값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에 대한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구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웨이크업 신호 전송 모듈 (1200)은 또한 결정된 상기 제1 객체의 객체 정보를 단말로 전송한다.
동일한 발명 사상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신호 전송 장치를 더 제공한다. 장치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시스템의 단말이며, 장치의 문제 해결 원리는 시스템의 원리와 유사하다. 따라서 장치의 구현은 시스템의 구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신호 전송 장치를 제공하고, 이 장치는 웨이크업 모듈 (1300) 및 수신 및 감지 모듈 (1301)을 포함한다.
웨이크업 모듈 (1300)은 네트워크 측 장치가 제1 객체를 통해 전송한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후 웨이크업 상태에 진입하도록 구성된다.
수신 감지 모듈 (1301)은 상기 웨이크업 신호 내의,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 캐리어에서 상기 단말이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정보에 따라,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캐리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한다.
상기 제1 객체 및 제2 객체는 상이하고, 상기 객체는 캐리어 또는 대역폭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웨이크업 모듈 (1300)은 구체적으로,
상기 객체는 캐리어이며, 상기 네트워크 측에 의해 단말에 대해 구성된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캐리어의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캐리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캐리어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객체는 대역폭이며, 상기 네트워크 측에 의해 단말에 대해 구성된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대역폭의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대역폭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대역폭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웨이크업 모듈 (130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캐리어는 상기 단말의 프라이머리 캐리어이며, 상기 프라이머리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캐리어는 상기 단말의 세컨더리 캐리어이며, 상기 세컨더리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캐리어는 라이선스 스펙트럼이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캐리어는 비라이선스 스펙트럼이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대역폭은 상기 단말의 초기 액세스 대역폭이며, 상기 초기 액세스 대역폭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대역폭은 상기 단말의 가용 대역폭의 대역폭 부분이며, 상기 가용 대역폭의 대역폭 부분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대역폭은 상기 단말의 가용 대역폭의 모든 대역폭이며, 상기 가용 대역폭의 모든 대역폭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정적 구성 또는 반 정적 구성은 무선 자원 제어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구성되고, 동적 구성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웨이크업 모듈 (1300)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제1 개체를 결정한다 :
수신된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전송된 객체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캐리어의 집합에서 상기 제1 객체를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의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대역폭의 집합에서 상기 제1 객체를 결정한다.
동일한 발명 사상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신호 전송 방법을 더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 해당하는 장치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송수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측 장치이며, 방법의 문제 해결 원리는 장치와 유사하다. 따라서, 방법의 구현은 시스템의 구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비 휘발성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될 때,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팅 장치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네트워크 측 장치 측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의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비 휘발성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될 때,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팅 장치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단말 측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의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신호 전송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
단계 1400 :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객체에서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게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 1401 :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는 상기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제1 객체 및 제2 객체는 상이하고, 상기 객체는 캐리어 또는 대역폭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객체는 캐리어이며,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단말에 대해 구성된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캐리어의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캐리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캐리어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객체는 대역폭이며,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단말에 대해 구성된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대역폭의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대역폭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대역폭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캐리어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프라이머리 캐리어이고, 상기 프라이머리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캐리어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세컨더리 캐리어이고, 상기 세컨더리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캐리어는 라이선스 스펙트럼이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캐리어는 비라이선스 스펙트럼이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대역폭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초기 액세스 대역폭이고, 상기 초기 액세스 대역폭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대역폭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가용 대역폭의 대역폭 부분이며, 상기 가용 대역폭의 대역폭 부분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대역폭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가용 대역폭의 모든 대역폭이며, 상기 가용 대역폭의 모든 대역폭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정적 구성 또는 반정적 구성은 무선 자원 제어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구성되며, 동적 구성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에서 또한,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는 무작위 선택 방식으로 상기 단말에 대한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구성한다.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는 무선 자원 관리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에 대한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구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무선 자원 관리 측정 결과는 다음 정보 측정 결과 중 하나를 포함한다:
기준 신호 수신 전력의 측정 결과, 기준 신호 수신 품질의 측정 결과, 수신 신호 강도로 표시된 측정 결과, 신호 간섭 대 잡음비의 측정 결과.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는 무선 자원 관리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에 대한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구성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는 무선 자원 관리 측정 결과의 값에 따라 상기 단말에 대한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구성하고;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는 무선 자원 관리 측정 결과에 따라 임계 값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에 대한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구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제1 객체를 결정한 후,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는 결정된 상기 제1 객체의 객체 정보를 단말로 전송한다.
동일한 발명 사상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신호 수신 방법을 더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 해당하는 장치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송수신 시스템의 단말이고, 방법의 문제 해결 원리는 장치의 원리와 유사하다. 따라서, 방법의 구현은 시스템의 구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신호 수신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
단계 1500 : 슬립 상태에 있는 단말은 네트워크 측 장치가 제1 객체에서 전송한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후 웨이크업 상태에 진입한다.
단계 1501 : 상기 단말은 상기 웨이크업 신호 내의,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 캐리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상기 단말에게 지시하기 위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객체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한다.
상기 제1 객체 및 제2 객체는 상이하고, 상기 객체는 캐리어 또는 대역폭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객체는 캐리어이며,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단말에 대해 구성된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캐리어의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캐리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캐리어를 포함한다.
또는, 상기 객체는 대역폭이며,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단말에 대해 구성된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대역폭의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대역폭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대역폭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캐리어는 상기 단말의 프라이머리 캐리어이며, 상기 프라이머리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캐리어는 상기 단말의 세컨더리 캐리어이며, 상기 세컨더리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캐리어는 라이선스 스펙트럼이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캐리어는 비라이선스 스펙트럼이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대역폭은 상기 단말의 초기 액세스 대역폭이며, 상기 초기 액세스 대역폭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대역폭은 상기 단말의 가용 대역폭의 대역폭 부분이며, 상기 가용 대역폭의 대역폭 부분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대역폭은 상기 단말의 가용 대역폭의 모든 대역폭이며, 상기 가용 대역폭의 모든 대역폭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정적 구성 또는 반정적 구성은 무선 자원 제어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구성되고, 동적 구성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단말은 다음 방식 중 하나로 제1 객체를 결정한다.
상기 단말은 수신된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전송된 객체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캐리어의 집합에서 상기 제1 객체를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의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대역폭의 집합에서 상기 제1 객체를 결정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다음을 포함하는 완전한 신호 송수신 방법을 제공한다.
단계 1600 :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제1 객체를 결정한다.
단계 1601 : 네트워크 측 장치는 결정된 제1 객체의 객체 정보를 단말로 전송한다.
단계 1602 : 단말은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전송된 제1 객체의 객체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1603 : 단말은 수신된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전송된 제1 객체의 객체 정보에 따라 단말의 제1 객체를 결정한다.
단계 1604 : 네트워크 측 장치는 결정된 제1 객체에서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한다.
단계 1605 : 단말은 제1 객체에서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전송된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고, 단말은 웨이크업된다.
단계 1606 :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한다.
단계 1607 : 단말은 수신된 웨이크업 신호에 따라 다운링크 신호의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에서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전송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본 출원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장치 (시스템) 및/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도시하는 블록도 및/또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되었다. 블록도 및/또는 흐름도에 도시된 하나의 블록 및 블록도 및/또는 흐름도에 도시된 블록의 조합은 컴퓨터 프로그램 지시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지시은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의 프로세서 및/또는 기계를 생성하기 위한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에 제공될 수 있어서, 컴퓨터 프로세서 및/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지시 블록도 및/또는 흐름도의 블록에 지정된 기능 및/또는 조치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작성한다.
따라서, 본 출원은 또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상주 소프트웨어, 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 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은 컴퓨터 실행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채택할 수 있으며, 이는 매체에서 구현된 컴퓨터 사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가지며, 지시 실행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거나 지시 실행 시스템과 함께 조합되어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컴퓨터 사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저장, 통신, 전송 또는 전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임의의 매체일 수 있으며, 또는 장치와 함께 사용되거나 또는 지시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장치와 함께 사용된다.
분명한 것은, 본 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당업자들은 본 출원에 대해 각종 수정 및 변경을 실행하며 또한 본 출원의 주제 및 범위를 떠나지 않을 수 있다. 이렇게, 본 출원의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이 본 출원의 청구항 및 동등 기술 범위내에 속하는 경우, 본 출원은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Claims (29)

  1.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객체에서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게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함; 및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는 상기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객체 및 제2 객체는 상이하고, 상기 객체는 캐리어 또는 대역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캐리어이며,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단말에 대해 구성된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캐리어의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캐리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캐리어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객체는 대역폭이며,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단말에 대해 구성된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대역폭의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대역폭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대역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리어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프라이머리 캐리어이고, 상기 프라이머리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캐리어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세컨더리 캐리어이고, 상기 세컨더리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캐리어는 라이선스 스펙트럼이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캐리어는 비라이선스 스펙트럼이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제1 대역폭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초기 액세스 대역폭이고, 상기 초기 액세스 대역폭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대역폭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가용 대역폭의 대역폭 부분이며, 상기 가용 대역폭의 대역폭 부분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대역폭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가용 대역폭의 모든 대역폭이며, 상기 가용 대역폭의 모든 대역폭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적으로 구성 또는 반정적으로 구성은 무선 자원 제어 정보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동적 구성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는 무작위 선택 방식으로 상기 단말에 대한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구성하고;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는 무선 자원 관리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에 대한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자원 관리 측정 결과는 기준 신호 수신 전력의 측정 결과, 기준 신호 수신 품질의 측정 결과, 수신 신호 강도로 표시된 측정 결과 및 신호 간섭 대 잡음비의 측정 결과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무선 자원 관리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에 대한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구성하는 것은,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는 무선 자원 관리 측정 결과의 값에 따라 상기 단말에 대한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구성하고;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는 무선 자원 관리 측정 결과에 따라 임계 값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에 대한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제1 객체를 결정한 후,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는 결정된 상기 제1 객체의 객체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9. 슬립 상태에 있는 단말은 네트워크 측 장치가 제1 객체에서 전송한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후 웨이크업 상태에 진입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은 상기 웨이크업 신호 내의,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 캐리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상기 단말에게 지시하기 위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객체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객체 및 제2 객체는 상이하고, 상기 객체는 캐리어 또는 대역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신호의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캐리어이며,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단말에 대해 구성된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캐리어의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캐리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캐리어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객체는 대역폭이며,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단말에 대해 구성된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대역폭의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대역폭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대역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신호의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리어는 상기 단말의 프라이머리 캐리어이며, 상기 프라이머리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캐리어는 상기 단말의 세컨더리 캐리어이며, 상기 세컨더리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캐리어는 라이선스 스펙트럼이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캐리어는 비라이선스 스펙트럼이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제1 대역폭은 상기 단말의 초기 액세스 대역폭이며, 상기 초기 액세스 대역폭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대역폭은 상기 단말의 가용 대역폭의 대역폭 부분이며, 상기 가용 대역폭의 대역폭 부분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대역폭은 상기 단말의 가용 대역폭의 모든 대역폭이며, 상기 가용 대역폭의 모든 대역폭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신호의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적으로 구성 또는 반정적으로 구성은 무선 자원 제어 정보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동적 구성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신호의 방법.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수신된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전송된 객체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캐리어의 집합에서 상기 제1 객체를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의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대역폭의 집합에서 상기 제1 객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신호의 방법.
  14. 적어도 하나의 처리 유닛 및 적어도 하나의 저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 유닛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상기 처리 유닛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처리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제1 객체에서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게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객체 및 제2 객체는 상이하고, 상기 객체는 캐리어 또는 대역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캐리어이며,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단말에 대해 구성된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캐리어의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캐리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캐리어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객체는 대역폭이며,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단말에 대해 구성된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대역폭의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대역폭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대역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리어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프라이머리 캐리어이고, 상기 프라이머리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캐리어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세컨더리 캐리어이고, 상기 세컨더리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캐리어는 라이선스 스펙트럼이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캐리어는 비라이선스 스펙트럼이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제1 대역폭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초기 액세스 대역폭이고, 상기 초기 액세스 대역폭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대역폭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가용 대역폭의 대역폭 부분이며, 상기 가용 대역폭의 대역폭 부분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대역폭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가용 대역폭의 모든 대역폭이며, 상기 가용 대역폭의 모든 대역폭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정적 구성 또는 반정적 구성은 무선 자원 제어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동적 구성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무작위 선택 방식으로 상기 단말에 대한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구성하고,
    또는
    무선 자원 관리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에 대한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자원 관리 측정 결과는 기준 신호 수신 전력의 측정 결과, 기준 신호 수신 품질의 측정 결과, 수신 신호 강도로 표시된 측정 결과 및 신호 간섭 대 잡음비의 측정 결과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무선 자원 관리 측정 결과의 값에 따라 상기 단말에 대한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구성하고;
    또는
    무선 자원 관리 측정 결과에 따라 임계 값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에 대한 제1 캐리어 또는 제1 대역폭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결정된 상기 제1 객체의 객체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22. 적어도 하나의 처리 유닛 및 적어도 하나의 저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 유닛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상기 처리 유닛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처리 유닛은
    네트워크 측 장치가 제1 객체를 통해 전송한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후 웨이크업 상태에 진입하고;
    상기 웨이크업 신호 내의,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 캐리어에서 상기 단말이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정보에 따라,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캐리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고,
    상기 제1 객체 및 제2 객체는 상이하고, 상기 객체는 캐리어 또는 대역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신호의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캐리어이며,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단말에 대해 구성된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캐리어의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캐리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캐리어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객체는 대역폭이며,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단말에 대해 구성된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대역폭의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대역폭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대역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신호의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리어는 상기 단말의 프라이머리 캐리어이며, 상기 프라이머리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캐리어는 상기 단말의 세컨더리 캐리어이며, 상기 세컨더리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캐리어는 라이선스 스펙트럼이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캐리어는 비라이선스 스펙트럼이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제1 대역폭은 상기 단말의 초기 액세스 대역폭이며, 상기 초기 액세스 대역폭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대역폭은 상기 단말의 가용 대역폭의 대역폭 부분이며, 상기 가용 대역폭의 대역폭 부분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대역폭은 상기 단말의 가용 대역폭의 모든 대역폭이며, 상기 가용 대역폭의 모든 대역폭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신호의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정적 구성 또는 반정적 구성은 무선 자원 제어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동적 구성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신호의 장치.
  26. 제22항 내지 제 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신된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전송된 객체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캐리어의 집합에서 상기 제1 객체를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의 모든 사용 가능한 수신 대역폭의 집합에서 상기 제1 객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신호의 장치.
  27. 적어도 하나의 제1 객체에서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웨이크업 신호 전송 모듈 -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게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함; 및
    상기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다운링크 신호 전송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객체 및 제2 객체는 상이하고, 상기 객체는 캐리어 또는 대역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28. 네트워크 측 장치가 제1 객체를 통해 전송한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후 웨이크업 상태에 진입하도록 구성된 웨이크업 모듈; 및
    상기 웨이크업 신호 내의,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객체 캐리어에서 상기 단말이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정보에 따라, 제1 객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캐리어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또는 감지하도록 구성된 수신 감지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객체 및 제2 객체는 상이하고, 상기 객체는 캐리어 또는 대역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신호의 장치.
  29.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저장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단계 또는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
KR1020207037951A 2018-05-31 2019-05-14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3924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553802.3 2018-05-31
CN201810553802.3A CN110557764A (zh) 2018-05-31 2018-05-31 一种发送和接收信号的方法及设备
PCT/CN2019/086917 WO2019228186A1 (zh) 2018-05-31 2019-05-14 一种发送和接收信号的方法及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223A true KR20210013223A (ko) 2021-02-03
KR102392481B1 KR102392481B1 (ko) 2022-04-28

Family

ID=68696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7951A KR102392481B1 (ko) 2018-05-31 2019-05-14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219232A1 (ko)
EP (1) EP3813407B1 (ko)
KR (1) KR102392481B1 (ko)
CN (1) CN110557764A (ko)
TW (1) TWI709316B (ko)
WO (1) WO20192281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2178A1 (zh) 2018-08-31 2020-03-0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载波激活方法、装置、设备、系统及存储介质
CN113260022B (zh) * 2020-02-07 2022-12-23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信号传输方法及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6147A1 (en) * 2015-03-13 2016-09-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Apparatus and method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discontinuous reception and data reception
KR20170142209A (ko) * 2015-06-18 2017-12-2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임베딩된 웨이크업 시그널링
WO2018063673A1 (en) * 2016-09-30 2018-04-05 Qualcomm Incorporated Discontinuous reception mode with two-stage wake-up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15481B2 (en) * 2008-09-05 2013-08-20 Mediatek Inc. Power management for multi-carrier transmission
CN102036346B (zh) * 2009-09-30 2015-06-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调度信息传输的方法及系统
EP2946492A4 (en) * 2013-01-17 2016-10-05 Intel Ip Corp METHOD AND SYSTEMS FOR EXTENDED DISCONTINUOUS RECEPTION
CN106572472B (zh) * 2015-10-13 2019-09-13 南京中兴软件有限责任公司 使用非授权载波的方法和装置
US10609644B2 (en) * 2016-05-10 2020-03-31 Zte Corporation Low power receiver for wireless communication
EP3488641A4 (en) * 2016-07-22 2019-08-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FFICIENT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AN ALARM SIGNAL AND USER DATA
WO2018086067A1 (zh) * 2016-11-11 2018-05-1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通信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6147A1 (en) * 2015-03-13 2016-09-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Apparatus and method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discontinuous reception and data reception
KR20170142209A (ko) * 2015-06-18 2017-12-2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임베딩된 웨이크업 시그널링
WO2018063673A1 (en) * 2016-09-30 2018-04-05 Qualcomm Incorporated Discontinuous reception mode with two-stage wake-up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_172070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09316B (zh) 2020-11-01
CN110557764A (zh) 2019-12-10
EP3813407A1 (en) 2021-04-28
TW202005323A (zh) 2020-01-16
WO2019228186A1 (zh) 2019-12-05
US20210219232A1 (en) 2021-07-15
KR102392481B1 (ko) 2022-04-28
EP3813407A4 (en) 2021-08-04
EP3813407B1 (en) 202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37821A1 (en) Beam Management for Cells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10856224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discontinuous reception (DRX) over an unlicensed band in cellular networks
EP3566341B1 (en) Waking up a dozing wireless device
JP6697003B2 (ja) Wlanにおけるサブチャネル化送信方式の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CN106538017B (zh) 用于缩放无执照射频谱带的带宽的技术
JP2024043543A (ja) 省電力メカニズム
US8724550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handling secondary cell (SCell) reactivation
WO2019233369A1 (zh) 节能状态转换的方法、终端及基站
US8837422B2 (en) Low-cost LTE system with distributed carrier aggregation on the unlicensed band
US20230090764A1 (en) Downlink Monitoring Using Search Space Sets
US876119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utilizing additional bandwidth
US20150043520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vision of Reference Signal Design for Downlink Tracking in Occupied Shared Band
WO2015166801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201502452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rottling Carrier Aggregation Activation
WO2020009767A1 (en) Beam sweeping during an on-period of a drx cycle
JP2018526890A (ja) アップリンクキャリア選択方法、ネットワーク側ネットワークエレメント及びユーザ機器、記憶媒体
US11324066B2 (en) Dynamic downlink monitoring techniques for communication systems
US20130229961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positioning an access terminal utilizing a highly detectable pilot
JPWO2015190315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WO2015190517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WO2015166792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KR102392481B1 (ko)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10312261B (zh) 使用无线资源的控制方法、装置、网元及终端
CN114826537A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CN115606315A (zh) 用于双连接中的载波分组的用户装备能力信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