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2767A - 인공지능 의료 지원 서비스 플랫폼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의료 지원 서비스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2767A
KR20210012767A KR1020190091066A KR20190091066A KR20210012767A KR 20210012767 A KR20210012767 A KR 20210012767A KR 1020190091066 A KR1020190091066 A KR 1020190091066A KR 20190091066 A KR20190091066 A KR 20190091066A KR 20210012767 A KR20210012767 A KR 20210012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user
inform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4973B1 (ko
Inventor
이대근
Original Assignee
(주)유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템 filed Critical (주)유템
Priority to KR1020190091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973B1/ko
Publication of KR20210012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지능 의료 지원 서비스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단말을 통해 메시지를 입력하면, 이를 수신하고, 서버에 저장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메시지에 맞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서,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정확한 의료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진료기록 등을 블록화 하여 기록함에 따라 개인정보 남용의 피해를 줄이면서도, 의료기관에서 진료 시 이를 열람하여 보다 정확한 치료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인공지능 의료 지원 서비스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공지능 의료 지원 서비스 플랫폼{ARTIFICIAL INTELLIGENCE MEDICAL SERVICE PLATFORM}
본 발명은 인공지능 의료 지원 서비스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단말을 통해 메시지를 입력하면, 이를 수신하고, 서버에 저장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메시지에 맞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서,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정확한 의료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진료기록 등을 블록화 하여 기록함에 따라 개인정보 남용의 피해를 줄이면서도, 의료기관에서 진료 시 이를 열람하여 보다 정확한 치료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인공지능 의료 지원 서비스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개인이 질병이나 부상을 이유로 진료를 받기 희망하는 경우, 직접 병원을 찾아가야 하며, 질병의 판단이나 병원의 선택 등에 있어서도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식에 근거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 밖에 없었다.
최근에는 최근 IT 산업의 발달로 인한 원격 진료 등의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 또한 이용이 제한적이고, 일정 수준 이상의 진단이 이루어진 뒤 진료가 수행되거나, 오프라인 상에서 우선 1차적으로 진료가 이루어진 뒤 후발적인 조치를 취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14-0028929호 "이동 단말을 이용한 개인 의료 진료 방법 및 장치"를 들 수 있다.(이하 '종래기술1'이라 한다.)
상기 종래기술1은 사용자의 증상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증상을 기반으로 가능성 있는 병명(病名)을 제안하는 단계; 상기 제안하는 병명을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안된 병명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병명 선택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이상 증상을 인지할 때 진료 과목 선택, 병원 선택 및 약국 선택 등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시해 줄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기반으로 차후에도 의료정보를 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건강 관리를 할 수 있는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17-0041987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의료 상담 방법 및 시스템"이 있는데,(이하 '종래기술2'라 한다.)
상기 종래기술2는 베이스서버와 네트워크 연결된 피상담자 단말기의 상담 요청 모드가 활성화되면, 피상담자데이터에 대응되는 3차원 증상입력 인체모델이 출력되는 제1단계; 상기 출력된 3차원 증상입력 인체모델에 증상위치 및 증상데이터가 입력되되, 상기 증상위치의 3차원 좌표가 산출되는 제2단계; 상기 베이스서버와 네트워크 연결된 상담자 단말기가 상기 피상담자 단말기와 매칭되되, 상기 피상담자데이터 및 상기 3차원 좌표, 상기 증상데이터가 상기 매칭된 상담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제3단계; 및 상기 매칭된 상담자 단말기에 상기 피상담자데이터에 대응되는 3차원 증상출력 인체모델이 출력되되, 상기 3차원 좌표에 따라 상기 출력된 3차원 증상출력 인체모델에 상기 증상위치가 복원 표시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의료 상담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 공개특허 제10-2017-0123172호 "증상 검색을 통한 맞춤형 질병 정보 제공 시스템"이 있는데,(이하 '종래기술3'이라 한다.)
상기 종래기술3은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증상을 단계별로 입력받으며, 단계별로 입력된 사용자 증상에 매칭되는 질병 종류, 질병 상세정보, 및 질병 치료병원 정보를 질병정보 검색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단계별로 수신되는 사용자 증상에 매칭되는 질병 종류들을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질병 종류에 매칭되는 질병 상세정보 및 질병 치료병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질병 정보 검색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질병 증상 검색 서버간에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이렇듯, 사용자의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사용자의 증상을 질문 및 답변받거나, 의료기관과 연결해주는 의료시스템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으나, 사용자가 방문한 의료시설에서의 기록을 다른 의료시설에서는 열람할 수 없도록 이루어져, 이전 치료기록을 사용자가 직접 이전 병원에서 출력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고, 인터넷 및 SNS 등에 개시된 허위 건강정보에 의해 사용자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병원 홈페이지에 질문을 게시하는 경우에는 즉각적인 답변을 얻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개인 정보 누출의 문제 또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사용자 또는 환자는 모바일 기기 등의 단말을 이용하여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응급 상황 시 문제 상황에 대해 문의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을 즉각적으로 받을 수 있으며, 예측 가능한 질병을 미리 알려줌으로서 건강관리에 이바지 할 수 있는 인공지능 의료 지원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인터넷이나 SNS 상에 노출되는 부정확한 정보 전달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의료기록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하여, 의료기관이 바뀌어도 이전 의료기록을 확인할 수 있으며,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고, 중복처방 및 실수 등을 검토할 수 있는 인공지능 의료 지원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의료 지원 서비스 플랫폼은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단말기로부터 의료 관련 문의 내용을 수신하여, 문의내용을 판단하여 대응 정보를 단말기로 출력하는 인공지능 의료 지원 서비스 플랫폼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메시지의 단어 또는 문장 또는 이들 모두를 분석하는 단계;
분석된 정보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정보를 단말기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메시지 또는 기존 의료기관에서의 사용자 진료기록 또는 이들 모두 중 개인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블록화 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서버 내의 데이터베이스부에 기록하는 의료정보 기록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의료 지원 서비스 플랫폼은
블록체인 기반의 플랫폼으로 서로 다른 의료기관에서 진료기록의 확인이 가능하여, 처방의 중복이나 실수를 범하지 않을 수 있고,
순 진료뿐 아니라, 병원과 연계, 자동 진료예약 및 환자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상담한 의사와의 면담이 가능하고, 문의 및 진료 기록을 저장 및 불러오기 기능을 통해 지속적으로 건강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서버에 저장된 전문 의료정보 데이터를 통하여 인공지능 플랫폼 서비스를 통해 간단한 진료가 가능하고, 스스로 사용자에게 질문을 전송함에 따라 지속적인 건강관리 체크가 가능하고, 특히 발병이 예상되는 질병을 안내하여 사용자가 경각심을 갖고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이러한 플랫폼으로 인해, 병원비용 절감에 따라 병원 진료의 소외계층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의료 지원 서비스 플랫폼의 대략적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의료 지원 서비스 플랫폼의 메시지 실시예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의료 지원 서비스 플랫폼에 구비될 수 있는 호출장치의 설치 상세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의료 지원 서비스 플랫폼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메시지의 단어 또는 문장 또는 이들 모두를 분석하는 단계, 분석된 정보에 따라 이에 해당하는 정보를 단말기로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각의 단계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사용자 단말을 통해 요청사항이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메시지의 단어 또는 문장 또는 이들 모두를 분석하게 되는데,
기존에는 구글사에서 오픈한 API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분석하였으나, 이 경우 한글의 은어와 방언 등을 인식하기에는 무리가 있었으며, 이에 따라 정확한 정보전달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오픈API로 공개한 한글 형태소 분석 알고리즘을 연동하여 이를 해결하였다.
본 발명은 분석된 내용에 대응하는 내용을 사용자의 단말기로 출력하여, 사용자의 문의내용을 해결하게 되는데,
분석된 내용을 출력함에 있어, 크게 1. 정보전달 2. 의료기관 또는 응급기관에 연결로 나누어 분석 및 출력하게 된다.
먼저 1. 사용자의 문의내용이 정보를 요구하는 내용일 경우, 서버 내의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전문 의료정보를 자동으로 검색하여, 이 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도2는 정보 요청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환자 또는 보호자(이하 사용자라 한다.)는 병원에 가기 전 의료 상담 및 자문을 받고 직접 처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요청사항의 메시지를 분석하여 의료정보가 저장된 서버 내의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알맞은 정보를 검색 및 출력하게 된다.
이 때 출력하는 방식은 대화형의 메시지, 음성 등으로 출력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보전달 시, 단순한 의료정보만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질문형의 대화를 통해 사용자가 후속조치를 진행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상기 서버 내의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의료정보를 분석함으로서 추후 예상되는 질병의 진행상황을 예측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가능한 것으로서, 먼저 사용자에게 질문을 함으로서 지속적인 건강관리 체크가 가능하도록 한다.
나아가, 의료기관의 전화번호, 추천병원 등의 정보 또한 제공할 수 있다.
두 번째로, 2. 의료기관과 연결은, 수신된 메시지를 분석하였을 때, 보다 전문적이고 즉각적인 대답이 필요한 경우, 또는 사용자가 직접 상담을 원하는 경우일 수 있으며, 본 플랫폼은 이를 판단한 후, 의료기관에 사용자를 연결시켜 의료기관 내의 의사와 직접적으로 상담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진료 예약 등의 행정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메시지 분석 시, 응급상황이라 판단되는 경우에는, 기 등록된 가족, 지인 또는 119에 신고 및 연결을 자동으로 진행하여 응급상황을 보다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일반적으로 인공지능 챗봇은 1)고객 서비스 채널로 사용함으로써 관련 비용을 절감 하고, 2)커머스 채널로 사용함으로써 직접적인 추가 매출을 창출 하고, 3)마케팅 채널로 사용함으로써 고객에게 호의적인 느낌을 갖게 하여 고객 충성도를 증대 시키는 효과를 갖고 있다. 또한 이를 이용하는 일반 사용자들은 복잡한 전화 ARS나 웹사이트를 통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신, 인공지능 의료 지원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며 상담, 주문, 예약 시간을 절약하는 등, 사용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인공지능 의료 지원 서비스 플랫폼의 장점을 포함하고, 더 나아가 인공지능과 ICT기술을 이용해 직접 병원에 가지 않고도 진료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환자 또는 보호자가 병원에 가기전, 의료상담 및 자문을 받고 직접 처치 (소아 유아의 경우 또는 간단한 증상에 대해서는 쳇봇을 통해 상담 가능(텍스트,음성지원))를 하거나, 필요시 상담한 의사/병원에 내원하여 실제 치료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사용자가 부득이한 사유로, 병원을 옮기게 되는 경우, 새로운 병원의 의사는 기존의 치료과정을 확인할 수 없으며, 사용자는 전 병원에서 이 기록을 비용을 지불하여 출력하고, 출력된 내용을 새로운 병원에 제출하여야 하며,
이러한 과정조차 없으면, 똑같은 진료를 반복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환자의 진료기록 또는 앞서 문의한 메시지 기록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렇게 저장된 데이터를 쉽게 열람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진료기록을 공유함에 따라 보다 정확한 치료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진료기록 및 메시지 기록을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기록단계를 더 구비하고 있다.
블록체인이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데이터를 특정 단위의 블록에 기록하고, P2P(peer-to-peer)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각의 노드들이 상기 블록을 체인 형태의 자료 구조로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 기술 또는 상기 체인 형태의 자료 구조로 구성된 데이터 그 자체를 의미한다. 이때, 체인 형태의 자료 구조로 구성된 블록체인 데이터는, 중앙 시스템 없이 각각의 노드에서 분산 원장(distributed ledger) 형태로 운영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 또는 블록체인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블록체인 노드는 블록들을 관리한다. 여기서, 각 블록에는 이전 블록에 대한 해시 값이 기록되며, 상기 해시 값을 통해 이전 블록이 참조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록이 쌓일수록 블록 내에 기록된 트랜잭션 데이터의 위변조는 어려워지고, 각 블록에 기록된 트랜잭션 데이터의 신뢰도는 향상되게 된다.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에 요청된 트랜잭션은 예를 들어 화폐의 지급인 단말로부터 트랜잭션 처리 요청이 수신되면, 이중 지불 방지 등을 위해 트랜잭션의 유효성 검증이 수행되고, 유효한 경우 트랜잭션 데이터가 블록 생성 노드로 전달된다. 다음으로, 상기 블록 생성 노드가 해당 트랜잭션 데이터를 신규 블록에 기록하고 상기 신규 블록을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전파하여 분산 합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분산 합의에 따라 거래가 최종 확정되면, 소정의 전자 화폐가 지급인의 전자 지갑으로부터 수취인의 전자 지갑으로 이전되게 된다.
여기서 블록체인 데이터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각의 블록체인 노드가 유지하는 데이터로, 적어도 하나의 블록이 체인 형태의 자료 구조로 구성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각 블록에 기록된 데이터가 트랜잭션 데이터인 경우,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는 분산 원장으로 이용될 수 있다. 다만, 각 블록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종류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란,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동작하는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로 구성된 P2P구조의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블록체인 노드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블록체인 데이터를 유지하고 관리하는 주체를 의미한다. 상기 블록체인 노드는 단일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가상머신(virtual machine)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가상 머신으로 구현되는 경우, 단일 컴퓨팅 장치에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블록체인을 이용함에 따라 위변조가 불가능하고, 각각의 블록에 개인정보 및 처방방법 등을 저장함에 따라 개인정보의 노출을 방지하며,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접근하여 기록을 열람할 수 있음에 따라 치료과정을 공유함으로서 보다 정확한 치료를 진행 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기록단계에서 기록된 진료기록 등을 열람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본인 동의가 있어야 하며, 본인 동의 및 확인 절차로는 공인인증서, 데이터 암호, 블록 주소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부착 가능한 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위급상황 시 경보장치를 동작시키면, 이 경보장치가 응급 메시지를 자동으로 전송하여 응급기관에 신고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호출장치는 탄성고정체를 통하여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노약자나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의 경우, 집안 곳곳에 설치하여 서로 연동 가능하게 구성하거나, 후술하는 탄성고정편을 복수개로 구비하고, 하나의 호출장치를 각각의 탄성고정편에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나, 상기 호출장치를 휴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나의 호출장치를 탈착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고정편은 사용자의 집 벽에 부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필요에 의해 다른 장소, 가구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벽에 부착되는 것을 실시예로 한다.
나아가, 상기 호출장치에는 호출버튼(SB)이 더 구비되는 것은 자명하며, 내부에 PCB가 구비되어 단말기와 연동될 수 있도록 무선송수신부가 더 구비되며, 별도의 전원을 위한 배터리가 더 구비되는 것은 자명하며, 상기 단말기와의 연동방식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의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이하, 도3a는 상기 탄성고정체(EB)의 결합동작을 측면에서 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3b는 이러한 탄성고정체(EB)를 정면에서 바라봐 후술하는 돌기가이드홈(BH)을 상세하게 표현한 도면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하는 체결블록(B)이 탄성고정편(E)에 인입되는 방향을 전진방향 또는 전단이라 하고, 그 반대방향을 후퇴방향 또는 후단이라 하며, 이를 기준으로 도3a 및 도3b를 참조하여 탄성고정체(EB)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탄성고정체(EB)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호출장치(S) 일측에 구비되는 체결블록(B)과, 상기 체결블록(B)이 수용되도록 벽 등의 설치면(W)에 구비되는 탄성고정편(E)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체결블록이 탄성고정편에 슬라이딩 결합을 하면, 상기 체결블록(B)이 상기 탄성고정편(E)과 결합되어 호출장치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상기 체결블록(B)은 상기 호출장치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제1블록(B1)과, 상기 제1블록(B1)에 인입가능하도록 일면에 구비되는 제2블록(B2), 상기 제1블록(B1) 타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호출장치와 제1블록(B1) 사이에 형성되는 블록받침판(B3)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블록받침판(B3)은 상기 제1블록(B1)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블록(B2)은 상기 제1블록(B1)에 인입되기 위하여, 상기 제1블록(B1)보다는 작게 이루어지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 설치면에는 탄성고정편(E)이 구비되어 있는데,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고정편(E)은 상기 설치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탄성력을 받을 수 있는 한 쌍의 탄성날개(E1)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한 쌍의 탄성날개(E1) 사이에 블록수용공간(E11)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블록(B)이 인입되면, 상기 블록수용공간(E11)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탄성날개(E1)의 후단에는 상기 블록수용공간(E11)에 안착되는 체결블록(B)의 후단을 지지하여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블록수용공간(E11)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날개(E3)가 더 구비된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탄성날개(E1) 사이의 거리는 블록수용공간(E11)에서 상기 체결블록(B)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블록(B), 보다 정확하게는 제1블록(B1)의 폭과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걸림날개(E3)가 블록수용공간(E11)으로 절곡 형성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걸림날개(E3) 사이의 거리가 상기 체결블록(B)사이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체결블록(B)의 진입이 불허되는 문제가 발생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탄성날개(E1)의 폭을 변형시키도록 상기 탄성날개(E1)에는 돌기 또는 볼베어링 또는 휠부재로 이루어지는 폭변형가이드(E15)가 형성되고, 상기 블록받침판(B3)에는 상기 폭변형가이드(E15)가 인입되는 돌기가이드홈(BH)이 형성되되, 상기 돌기가이드홈(BH)에 폭확장부(BH2)를 구비하여 체결블록(B)이 인입되는 동작 시 자연스럽게 탄성날개(E1)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돌기가이드홈(BH)은 상기 한 쌍의 폭변형가이드(E15)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돌기진입부(BH1)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돌기가이드홈(BH)은 상기 돌기진입부(BH1)로부터 도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점점 멀어지도록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폭확장부(BH2)가 형성된다.
즉, 체결블록(B)이 전진하면, 상기 폭변형가이드(E15)가 돌기진입부(BH1)로 인입되어 폭확장부(BH2)를 따라 벌어지게 되고, 이는 곳 한 쌍의 탄성날개(E1)가 벌어지게 되어, 상기 체결블록(B)의 진입을 허용하게 되며, 상기 폭확장부(BH2) 후단에는 각각 내측으로 절곡되는 폭복귀부(BH3)를 더 구비하여, 상기 체결블록(B)의 진입이 완료되면 자연스럽게 상기 폭변형가이드(E15)가 폭확장부(BH2)에 의해 오므라지게 됨으로서, 상기 걸림날개(E3)가 상기 체결블록(B)의 후단을 지지하여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물론, 이를 위하여 상기 탄성날개(E1)는 복귀성이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강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 및 동작에 의해 상기 체결블록(B)은 상기 한 쌍의 탄성고정편(E) 내에서 후퇴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호출장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아울러, 호출장치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다시 상기 한 쌍의 탄성날개(E1)를 벌려야 하는 번거로움 및 어려움이 있으며,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걸림날개(E3) 일측에 인출허용부(E13)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블록(B)을 제1블록(B1)과 제2블록(B2)으로 구성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걸림날개(E3)는 상기 탄성날개(E1) 단부 전체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날개(E1) 단부를 기준으로 절반만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나머지 절반은 상기 한 쌍의 탄성날개(E1)의 거리와 동일한 인출허용부(E13)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블록(B)이 블록수용공간(E11)에 위치함을 기준으로, 상기 인출허용부(E13)에는 제1블록(B1)이 위치하고, 상기 걸림날개(E3)는 상기 제2블록(B2)의 후단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제2블록(B2)은 상기 제1블록(B1) 내에 인입 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제1블록(B1)을 제2블록(B2) 방향으로 눌러 제1블록(B1) 내부로 인입시키면, 자연스럽게 인출허용부(E13)를 통하여 체결블록(B)이 블록수용공간(E11)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1블록(B1) 내부에는 복수개의 탄성체(BS)를 더 구비하여 상기 제1블록(B1)이 제2블록(B2)으로부터 탄성력에 의해 돌출되도록 구성하여 블록수용공간(E11) 내에서 제2블록(B2)이 임의로 제1블록(B1)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결합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인공지능 의료 지원 서비스 플랫폼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 : 호출장치

Claims (4)

  1.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단말기로부터 의료 관련 문의 내용을 수신하여, 문의내용을 판단하여 대응 정보를 단말기로 출력하는 인공지능 의료 지원 서비스 플랫폼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메시지의 단어 또는 문장 또는 이들 모두를 분석하는 단계;
    분석된 정보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정보를 단말기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메시지 또는 기존 의료기관에서의 사용자 진료기록 또는 이들 모두 중 개인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블록화 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서버 내의 데이터베이스부에 기록하는 의료정보 기록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의료 지원 서비스 플랫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단계에 의해 기록된 의료정보는 사용자의 동의절차를 거쳐 열람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의료 지원 서비스 플랫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의료기록을 분석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는 의료정보를 분석하여, 발병 가능한 질병을 사용자의 단말기로 출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인공지능 의료 지원 서비스 플랫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분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수신된 단어 또는 문장 또는 이들 모두를 한글 형태소 분석 기술인 ETRI 엔진을 포함하여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의료 지원 서비스 플랫폼.
KR1020190091066A 2019-07-26 2019-07-26 인공지능 의료 지원 서비스 플랫폼에서 수행되어지는 방법 KR102334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066A KR102334973B1 (ko) 2019-07-26 2019-07-26 인공지능 의료 지원 서비스 플랫폼에서 수행되어지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066A KR102334973B1 (ko) 2019-07-26 2019-07-26 인공지능 의료 지원 서비스 플랫폼에서 수행되어지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767A true KR20210012767A (ko) 2021-02-03
KR102334973B1 KR102334973B1 (ko) 2021-12-06

Family

ID=74572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066A KR102334973B1 (ko) 2019-07-26 2019-07-26 인공지능 의료 지원 서비스 플랫폼에서 수행되어지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97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5680A (ko) * 2016-11-16 2018-05-25 한국과학기술원 사용자 대화 의도 추출 기능 구비 채트봇을 활용한 헬스케어 지침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881045B1 (ko) * 2017-11-15 2018-07-23 주식회사 가온시스템 블록체인에 기반한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882207B1 (ko) * 2018-03-23 2018-07-26 주식회사 아이라이즈 블록체인 기반으로 환자 정보를 저장하는 병의원 보안 시스템
KR101884609B1 (ko) * 2017-05-08 2018-08-02 (주)헬스허브 모듈화된 강화학습을 통한 질병 진단 시스템
KR101964733B1 (ko) * 2018-08-09 2019-04-02 주식회사 아롬정보기술 블록체인 및 인공지능 기반의 개인 맞춤형 건강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블록체인 및 인공지능 기반의 개인 맞춤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5680A (ko) * 2016-11-16 2018-05-25 한국과학기술원 사용자 대화 의도 추출 기능 구비 채트봇을 활용한 헬스케어 지침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884609B1 (ko) * 2017-05-08 2018-08-02 (주)헬스허브 모듈화된 강화학습을 통한 질병 진단 시스템
KR101881045B1 (ko) * 2017-11-15 2018-07-23 주식회사 가온시스템 블록체인에 기반한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882207B1 (ko) * 2018-03-23 2018-07-26 주식회사 아이라이즈 블록체인 기반으로 환자 정보를 저장하는 병의원 보안 시스템
KR101964733B1 (ko) * 2018-08-09 2019-04-02 주식회사 아롬정보기술 블록체인 및 인공지능 기반의 개인 맞춤형 건강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블록체인 및 인공지능 기반의 개인 맞춤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4973B1 (ko) 2021-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yani et al. Addressing cost and time barriers in chronic disease management through telemedicine: an exploratory research in select low-and middle-income countries
Saurman Improving access: modifying Penchansky and Thomas’s theory of access
Craig et al. Introduction to the practice of telemedicine
Locock Healthcare redesign: meaning, origins and application
Mistry Systematic review of studies of the cost-effectiveness of telemedicine and telecare. Changes in the economic evidence over twenty years
Broom Virtually he@ lthy: the impact of internet use on disease experience and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Barry Involving patients in medical decisions: how can physicians do better?
Finkelstein et al. Perception, satisfaction and utilization of the VALUE home telehealth service
Acharya et al. Collaborative care for mental health in low-and middle-income countries: a WHO health systems framework assessment of three programs
Gurupur et al. Identifying the readiness of patients in implementing telemedicine in northern Louisiana for an oncology practice
Ward et al. Application of telepractice for head and neck cancer management: a review of speech language pathology service models
CN112488858A (zh) 一种慢病数据管理方法和系统
Sabbagh et al. The COVID-19 pandemic and follow-up for shoulder surgery: the impact of a shift toward telemedicine on validated patient-reported outcomes
O'Riordan et al. Feasibility of implementing a palliative care intervention for people with heart failure: learnings from a pilot randomized clinical trial
Liu Health information systems amid COVID-19 outbreak: Lessons from China
Bouchery et al. Implementing a whole health model in a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impact on service utilization and expenditures
Rattner Navigating the intangible: working with nonphysical suffering on the front lines of palliative care
Skoufalos et al. Improving awareness of best practices to reduce surgical site infection: a multistakeholder approach
O’Meara et al. A model of a specialist transitional support and liaison service within the Offender Personality Disorder Pathway in Wales: Learning from a regional pilot service
Torres Zenteno et al. Mobile platform for treatment of stroke: A case study of tele-assistance
US201001457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Patient Therapeutic Plan
KR102334973B1 (ko) 인공지능 의료 지원 서비스 플랫폼에서 수행되어지는 방법
KR20010088639A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원격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Daniel et al. Retail health clinics: a policy position paper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CN114360745A (zh) 一种基于互联网的智慧诊疗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