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2622A - 외장형 usb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외장형 usb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2622A
KR20210012622A KR1020190090671A KR20190090671A KR20210012622A KR 20210012622 A KR20210012622 A KR 20210012622A KR 1020190090671 A KR1020190090671 A KR 1020190090671A KR 20190090671 A KR20190090671 A KR 20190090671A KR 20210012622 A KR20210012622 A KR 20210012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module
mounting module
unit
coupl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승현
윤범식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190090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2622A/ko
Publication of KR20210012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6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더부, 전자장치와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 및 홀더부와 연결부를 연결하고 변형 가능한 연장부를 포함하는 홀더모듈 및 홀더부에 삽입되어 교체 가능하고, 홀더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모듈을 포함하고, 장착모듈 중 어느 하나의 장착모듈에서 장착모듈 중 다른 하나의 장착모듈로 교체되면, 다른 하나의 장착모듈의 고유정보가 전자장치로 전송되는 외장형 USB 결합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외장형 USB 결합장치{An external universal serial bus coupling device}
본 발명은 외장형 USB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 도는 센서 기능을 수행하는 장착모듈을 손쉽게 탈착 가능한 외장형 USB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진보함에 다라, 단순한 무선 통신 수단을 넘어 카메라 기능,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과 같이 무선통신 외적인 기능들이 이동통신단말기에 부가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능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 개선과 고속 통신의 실현에 의해 점차 활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으며, 이미 상용화되어 있어 이동통신 단말기를 궁극적인 휴대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은 단순한 연락 수단을 넘어 이미지 및 영상을 촬영하거나 주변환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거나 측정하는 등의 다용도로 사용 가능한 외장형 USB장치에 대한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특허문헌 1) KR10-0498335 B1
(특허문헌 2) KR10-2004-0024657 B1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홀더모듈에 카메라 또는 센서 기능을 수행하는 장착모듈을 손쉽게 탈착 가능한 외장형 USB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자장치와 일체형으로 설치된 매립형 카메라를 통해 촬영을 하기 어려운 곳도 변형 가능한 연장부를 활용하여 쉽게 촬영 또는 측정할 수 있는 외장형 USB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외장형 USB 결합장치는, 홀더부, 전자장치와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홀더부와 상기 연결부를 연결하고 변형 가능한 연장부를 포함하는 홀더모듈 및 상기 홀더부에 삽입되어 교체 가능하고, 상기 홀더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모듈 중 어느 하나의 장착모듈에서 상기 장착모듈 중 다른 하나의 장착모듈로 교체되면, 상기 다른 하나의 장착모듈의 고유정보가 상기 전자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착모듈은 카메라모듈 및 센서모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홀더모듈은, 일부가 개방된 홀더, 상기 홀더의 측면이 개방되고 서로 마주보는 적어도 하나의 홀더홈 및 상기 홀더의 내부에 형성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모듈은, 상기 홀더부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홀더부와 대향하는 상기 하우징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컨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와 상기 컨택부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와 상기 컨택부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착모듈은 렌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유정보는 상기 장착모듈의 화각, 렌즈의 종류 및 센싱 정보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착모듈은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자외선, 유해가스 및 미세먼지 중 어느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착모듈은 상기 홀더부와 탈착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장부와 결합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결합하는 USB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USB단자부는 상기 장착모듈에서 상기 전자장치로 상기 고유정보가 전송되거나 상기 장착모듈을 인식한 상기 전자장치가 생성한 보정정보가 상기 전자장치에서 상기 장착모듈로 전송되도록 상기 전자장치와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USB 결합장치는 홀더모듈에 카메라 또는 센서 기능을 수행하는 장착모듈을 손쉽게 탈착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USB 결합장치는 전자장치와 일체형으로 설치된 매립형 카메라를 통해 촬영을 하기 어려운 곳도 변형 가능한 연장부를 활용하여 쉽게 촬영 또는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USB 결합장치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USB 결합장치의 장착모듈에 싱글 렌즈가 적용된 것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2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USB 결합장치의 장착모듈에 듀얼 렌즈가 적용된 것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배면도이다.
도 5의 (a)는 도 2의 (a)의 장착모듈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의 (b)는 도 2의 (b)의 장착모듈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의 (c)는 도 2의 (a), (b)의 장착모듈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USB 결합장치가 전자장치와 결합하는 것을 나타낸 결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USB 결합장치(300)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USB 결합장치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외장형 USB 결합장치(300)는 홀더모듈(100) 및 장착모듈(200)을 포함한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USB 결합장치의 장착모듈에 싱글 렌즈가 적용된 것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2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USB 결합장치의 장착모듈에 듀얼 렌즈가 적용된 것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배면도이다.
홀더모듈(100)은 홀더부(110), 연결부(120), 연장부(130) 및 결합부(140)를 포함한다.
홀더부(110)는 홀더(111), 홀더홈(112) 및 커넥터(113)를 포함한다.
홀더(111)는 일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홀더(111)는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서, 홀더(111)는 일부가 개방된 다면체일 수 있고, 그에 따른 장착모듈(200)은 홀더(111)에 상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홀더홈(112)은 홀더(111)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다. 홀더홈(112)은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2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홀더홈(112)은 사용자가 홀더부(110)에 삽입되어 있던 장착모듈(200)을 파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즉, 장착모듈(200)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는 홀더홈(112)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므로 사용자는 홀더부(110)로부터 장착모듈(200)을 원활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커넥터(113)는 홀더(111)의 내부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커넥터(113)는 도 2의 (a), (b)를 기준으로 장착모듈(200)과 마주보는 홀더(111)의 일면에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커넥터(113)는 도전성인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a)는 도 2의 (a)의 장착모듈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의 (b)는 도 2의 (b)의 장착모듈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의 (c)는 도 2의 (a), (b)의 장착모듈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USB 결합장치가 전자장치와 결합하는 것을 나타낸 결합상태도이다.
연결부(120)는 스마트폰, 테블릿PC 등과 같은 전자장치(1)와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부(120)는 고정부(121) 및 USB단자부(122)를 포함한다.
고정부(121)는 연장부(130)와 결합한다. 또한, 고정부(1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30)보다 큰 폭으로 형성된다. 고정부(121)의 하부에는 USB단자부(122)가 형성된다.
USB단자부(122)는 전자장치(1)에 삽입될 수 있는 범용적인 USB단자일 수 있다. USB단자부(122)는 고정부(121)와 결합한다.
이러한 USB단자부(122)는 장착모듈(200)에서 전자장치(1)로 고유정보가 전송되거나 장착모듈(200)을 인식한 전자장치(1)가 생성한 보정정보가 전자장치(1)에서 장착모듈(200)로 전송되도록 전자장치(1)와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고유정보는 상기 장착모듈의 화각, 렌즈의 종류 및 센싱 정보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30)는 홀더부(110)와 연결부(120)를 연결한다. 특히, 연장부(130)는 자바라 타입으로 변형 가능하다. 이외에도 연장부(130)는 텔레스코픽 타입(telescopic type)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연장부(130)에 따라 홀더부(110)에 장착된 장착모듈(200)을 원하는 곳을 향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결합부(140)는 제1 결합부(141) 및 제2 결합부(142)를 포함한다.
제1 결합부(141)는 고정부(121)의 일면과 결합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결합부(141)는 연결부(120)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2 결합부(142)는 제1 결합부(141)와 대향하도록 고정부(121)의 타면과 결합한다. 또한, 제2 결합부(142) 역시 연결부(120)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한 제1, 2 결합부(141, 142)는 USB단자부(122)가 삽입되는 전자장치(1)의 디스플레이부 및 디스플레이부와 대향하는 배면과 밀착된다. 이를 위한 제1 결합부(141)와 제2 결합부(142)의 거리는 전자장치(1)의 두께를 감안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결합부(140)는 전자장치(1)에 밀착되어 USB단자부(122)가 전자장치(1)에 잘 삽입되어 있도록 구조적인 안정성을 제공한다.
장착모듈(200)은 홀더부(110)에 삽입되어 교체 가능하고, 홀더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장착모듈(200)은 홀더부(110)와 탈착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장착모듈(200)은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착모듈(200)은 이미지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 및 주변환경을 센싱하는 센서모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센서모듈은 자외선, 유해가스 및 미세먼지 중 어느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장착모듈(200)이 카메라모듈인 것을 중심으로 도시 및 설명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도 2의 (a)의 장착모듈(200)은 인식부(220)가 싱글 렌즈인 것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2의 (b)의 장착모듈(200)은 인식부(220)가 듀얼 렌즈인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외에 다른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한 장착모듈(200) 중 어느 하나의 장착모듈에서 장착모듈(200) 중 다른 하나의 장착모듈로 교체되면, 다른 하나의 장착모듈의 고유정보가 전자장치(1)로 전송된다. 여기서, 고유정보는 장착모듈(200)의 화각, 렌즈의 종류 및 센싱 정보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a), (b)를 참조하면, 장착모듈(200)은 하우징부(210), 인식부(220), 조명부(230) 및 컨택부(24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210)는 홀더부(11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장착모듈(200)은 렌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는 인식부(220)에 적용될 수 있다.
인식부(220)는 하우징부(210)의 일면과 대향하는 하우징부(210)의 타면과 결합한다. 인식부(220)는 크게 렌즈 및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첫째, 인식부(220)는 렌즈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식부(220)는 싱글 렌즈, 듀얼 렌즈, 근접 렌즈, 어안 렌즈, 광각 렌즈, 표준 렌즈, 망원 렌즈, 줌렌즈, 단렌즈, 매크로렌즈 및 360도 렌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둘째, 인식부(220)는 센서일 수 있다. 인식부(220)는 가스센서, 수질센서, 자외선 측정센서, 적외선 측정센서 및 환경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인식부(220)는 자외선 측정센서이고, 전자장치(1)로 자외선 측정센서에 대한 결과값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인식부(220)는 장착모듈(200)은 서로 다른 파장대역의 광을 수광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인식부(220)는 환경센서이고, 전자장치(1)로 환경센서에 대한 결과값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셋째, 인식부(220)는 광학식 지문인식장치일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전자장치(1)로 측정한 지문에 대한 결과값이 디스플레이된다.
조명부(230)는 컨택부(240)와 인접하도록 하우징부(100)의 일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조명부(230)는 컨택부(240)가 커넥터(113)와 인력에 의해 접촉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컨택부(240)는 홀더부(110)와 대향하는 하우징부(220)의 일면에 형성된다. 도 4의 (c)를 참조하면, 컨택부(240)는 커넥터(113)과 모두 대응하도록 8개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컨택부(240)는 커넥터(113)와 잘 접촉되어야 하기 때문에 서로 상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한 커넥터(113)와 컨택부(240)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자성체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커넥터(113)와 컨택부(240)는 서로 인접하게 되면, 인력이 작용하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장착모듈(200)이 홀더부(110)에 삽입되면서 장착된다.
이러한 커넥터(113)와 컨택부(24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한 바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USB 결합장치(300)는 홀더모듈(100)에 카메라 또는 센서 기능을 수행하는 장착모듈(200)을 손쉽게 탈착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외장형 USB 결합장치(300)는 전자장치(1)와 일체형으로 설치된 매립형 카메라를 통해 촬영을 하기 어려운 곳도 변형 가능한 연장부(130)를 활용하여 쉽게 촬영 또는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외장형 USB 결합장치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홀더모듈
110: 홀더부
111: 홀더
112: 홀더홈
113: 커넥터
120: 연결부
121: 고정부
122: USB단자부
130: 연장부
140: 결합부
141: 제1 결합부
142: 제2 결합부
200: 장착모듈
210: 하우징부
220: 인식부
230: 조명부
240: 컨택부
300: 외장형 USB 결합장치

Claims (10)

  1. 홀더부, 전자장치와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홀더부와 상기 연결부를 연결하고 변형 가능한 연장부를 포함하는 홀더모듈; 및
    상기 홀더부에 삽입되어 교체 가능하고, 상기 홀더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모듈 중 어느 하나의 장착모듈에서 상기 장착모듈 중 다른 하나의 장착모듈로 교체되면, 상기 다른 하나의 장착모듈의 고유정보가 상기 전자장치로 전송되는 외장형 USB 결합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모듈은 카메라모듈 및 센서모듈 중 어느 하나인 외장형 USB 결합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모듈은,
    일부가 개방된 홀더;
    상기 홀더의 측면이 개방되고 서로 마주보는 적어도 하나의 홀더홈; 및
    상기 홀더의 내부에 형성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모듈은,
    상기 홀더부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홀더부와 대향하는 상기 하우징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컨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와 상기 컨택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장형 USB 결합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와 상기 컨택부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외장형 USB 결합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모듈은 렌즈부를 더 포함하는 외장형 USB 결합장치.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정보는 상기 장착모듈의 화각, 렌즈의 종류 및 센싱 정보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외장형 USB 결합장치.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모듈은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외장형 USB 결합장치.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자외선, 유해가스 및 미세먼지 중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외장형 USB 결합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모듈은 상기 홀더부와 탈착 가능한 외장형 USB 결합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장부와 결합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결합하는 USB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USB단자부는 상기 장착모듈에서 상기 전자장치로 상기 고유정보가 전송되거나 상기 장착모듈을 인식한 상기 전자장치가 생성한 보정정보가 상기 전자장치에서 상기 장착모듈로 전송되도록 상기 전자장치와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외장형 USB 결합장치.
KR1020190090671A 2019-07-26 2019-07-26 외장형 usb 결합장치 KR202100126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671A KR20210012622A (ko) 2019-07-26 2019-07-26 외장형 usb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671A KR20210012622A (ko) 2019-07-26 2019-07-26 외장형 usb 결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622A true KR20210012622A (ko) 2021-02-03

Family

ID=74572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671A KR20210012622A (ko) 2019-07-26 2019-07-26 외장형 usb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262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0304B2 (en) Camera module applied to terminal and terminal including same
US11445126B2 (en) Image capture device with interchangeable integrated sensor-optical component assemblies
WO2020038054A1 (zh) 电子装置和电子装置的控制方法
KR20200068924A (ko)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452895B1 (en) Face sensing module and computing device using same
KR20200055944A (ko)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3349429B1 (en) Camera module applied to terminal and terminal including same
TWM564733U (zh) 相機模組及可攜式電子裝置
US20230168500A1 (en) Smart glasses and camera device thereof
CN103973945A (zh) 照相机模块
US10785392B2 (en) Electronic device and camera assembly thereof
KR20170101732A (ko) 광학 줌 기능을 지닌 전자펜 장치
CN107241472B (zh) 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KR20210012622A (ko) 외장형 usb 결합장치
KR20210054768A (ko)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20196888A1 (en) Camera module
CN209118009U (zh) 一种新型显示装置
JP4101567B2 (ja) 携帯端末装置
KR20190120629A (ko) 이미지 획득 장치
TWM462378U (zh) 可攜式電子裝置
TWI835068B (zh) 智慧眼鏡及其攝影裝置
JP2003069869A (ja) カメラ機能を有する携帯型情報端末機器
JP2004333871A (ja) 電子機器の防水構造及び防水カメラ
KR101635192B1 (ko) 휴대폰 카메라용 렌즈복합체
TW201839664A (zh) 人臉辨識模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