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2417A - 무선 이어버드 - Google Patents

무선 이어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2417A
KR20210012417A KR1020190090097A KR20190090097A KR20210012417A KR 20210012417 A KR20210012417 A KR 20210012417A KR 1020190090097 A KR1020190090097 A KR 1020190090097A KR 20190090097 A KR20190090097 A KR 20190090097A KR 20210012417 A KR20210012417 A KR 20210012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data processor
blood pressure
wireless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혁 원
김진승
이한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to KR1020190090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2417A/ko
Publication of KR20210012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4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61B5/6815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4Measuring blood pres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작 시에 초음파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혈압, 혈류, 심박수 등을 측정하여 착용자에게 안내하는 무선 이어버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무선 이어버드는 전자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외부의 음향을 획득하여 획득된 음향의 전기 신호를 데이터 프로세서에 인가하는 마이크와, 음 방출을 수행하는 스피커와, 무선 이어버드의 케이스 외측면에 장착되어 초음파를 송신하고, 그에 대응하는 반향 음파를 수신하여 수신된 반향 음파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데이터 프로세서에 인가하는 초음파 센서와, 통신부와 마이크 및 스피커를 제어하여 전자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을 통하여 음향 재생 기능이나 전화 통화 기능을 수행하면서, 초음파 센서를 제어하여 반향 음파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전자 디바이스로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하거나 반향 음파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분석하여 적어도 혈압을 포함하는 혈압 정보를 산정하는 데이터 프로세서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무선 이어버드{WIRELESS EARBUDS}
본 발명은 무선 이어버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동작 시에 초음파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혈압, 혈류, 심박수 등을 측정하여 착용자에게 안내하는 무선 이어버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비침습적 혈압 측정 방식(oscillometric, Doppler(초음파), PPG)의 경우 말초혈액압력(peripheral blood pressure)을 측정하게 된다. 말초혈액압력 보다는 중앙 혈압이 더 정확하고, 심장 질환을 예측하는데 효과적이다. 다만, PPG 방식의 혈압측정의 경우 측정하기 간편한 장점이 있으나 측정 오차가 큰 문제가 있다.
다른 혈압 측정 방식으로, Oscillometric, Doppler(초음파) 방식의 혈압측정의 경우 커프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혈관을 압박하기 때문에 연속적인 혈압측정이 불가능하다.
종래의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혈압 측정 방식은 도플러 혈압계와 토노미터 혈압계가 있으며 도플러 혈압계의 경우 커프를 사용하여 혈관을 압박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토노미터(tonometer)의 경우 측정부의 위치나 측정부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혈압 측정치가 바뀌어 정확한 혈압측정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착용자의 무선 이어버드의 사용 시에 착용자의 피부와의 접촉을 유지하면서 착용자의 혈압 등을 측정하여 착용자에게 안내하는 무선 이어버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 무선 이어버드는 전자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외부의 음향을 획득하여 획득된 음향의 전기 신호를 데이터 프로세서에 인가하는 마이크와, 음 방출을 수행하는 스피커와, 무선 이어버드의 케이스 외측면에 장착되어 초음파를 송신하고, 그에 대응하는 반향 음파를 수신하여 수신된 반향 음파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데이터 프로세서에 인가하는 초음파 센서와, 통신부와 마이크 및 스피커를 제어하여 전자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을 통하여 음향 재생 기능이나 전화 통화 기능을 수행하면서, 초음파 센서를 제어하여 반향 음파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전자 디바이스로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하거나 반향 음파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분석하여 적어도 혈압을 포함하는 혈압 정보를 산정하는 데이터 프로세서로 구성된다.
또한, 데이터 프로세서는 반향 음파에 따라 초음파 센서의 동작 주기를 가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데이터 프로세서는 반향 음파가 기준 반향 음파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의 동작 주기를 반향 음파가 기준 반향 음파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의 동작 주기보다 짧게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데이터 프로세서는 산정된 혈압 정보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스피커로 인가하거나 통신부를 통하여 전자 디바이스로 전송하거나, 전자 디바이스로부터의 혈압 정보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스피커로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선 이어버드는 스피커에서의 음 방출된 음향을 외부로 유도하는 이어팁을 구비하고, 이어팁의 음향 방출 유도 방향과 초음파 센서의 상측면이 동일한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무선 이어버드의 외측면에 장착된 초음파 센서가 착용자의 귀나 피부에 접촉하여 초음파를 송신하고 초음파가 동맥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반향 음파를 수신하여 혈압 등의 혈압 정보를 편리하면서도 상시 측정이 가능하며, 측정 오차가 낮고, 측정 부위에 대한 제약이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이어버드 및 무선 이어버드를 포함하는 음향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무선 이어버드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이어버드 및 무선 이어버드를 포함하는 음향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무선 이어버드(10, 20)는 전자 디바이스(3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무선 이어버드(10)(예를 들면, 우측 청각 기관용)와 무선 이어버드(20)(예를 들면, 좌측 청각 기관용)도 서로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이어버드(10)는 착용자로부터 입력(예를 들면, 전원 온/오프, 재생곡의 선택 등)을 획득하여 데이터 프로세서(19)에 인가하는 입력부(11)와, 전원 상태(예를 들면, 충전 중, 충전 정도 등)를 표시하는 표시부(12)와, 전자 디바이스(30) 및/또는 무선 이어버드(2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3)와, 외부의 음향을 획득하여 획득된 음향의 전기 신호를 데이터 프로세서(19)에 인가하는 마이크(14)와, 전기 신호를 데이터 프로세서(19)로부터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음 방출을 수행하는 스피커(15)와, 무선 이어버드(10)의 케이스 외측면에 장착되어 데이터 프로세서(19)의 제어에 의해 초음파를 송신하고, 그에 대응하는 반향 음파를 수신하여 반향 음파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데이터 프로세서(19)에 인가하는 초음파 센서(16)와,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전자 디바이스(30)와 무선 통신을 통하여 음향 재생 기능, 전화 통화 기능 등을 수행하면서, 착용자가 무선 이어버드(10)를 청각 기관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초음파 센서(16)를 제어하여 반향 음파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전자 디바이스(30)에 통신부(13)를 통하여 전송하거나 내장된 반향 음파 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반향 음파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분석하는 데이터 프로세서(19)로 구성된다. 다만,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 입력부(11), 표시부(12), 통신부(13), 마이크(14), 스피커(15) 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대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들에게 당연히 인식되는 정도에 불과한 기술에 해당되어, 그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초음파 센서(16)는 예를 들면, 초음파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소자로서, 무선 이어버드(10)의 케이스의 외측면에 장착되며, 초음파 센서(16)의 상측 방향으로 초음파를 송신하거나 발산하며, 송신된 초음파가 피부(또는 동맥)을 통화할 때 발생되는 반향 음파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데이터 프로세서(19)에 인가한다. 이 반향 음파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는 혈관 두께의 변화에 대응하여 혈압, 혈류, 심박수 등을 산정하기 위한 인자가 된다.
데이터 프로세서(19)는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전자 디바이스(30)와 무선 통신을 통하여 음향 재생 기능, 전화 통화 기능 등을 수행한다. 또한, 데이터 프로세서(19)는 착용자가 무선 이어버드(10)를 청각 기관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초음파 센서(16)를 제어하여 반향 음파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전자 디바이스(30)에 통신부(13)를 통하여 전송하거나 반향 음파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분석한다. 데이터 프로세서(19)가 수행하는 반향 음파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의 분석에 대한 사항은 하기에서 상세하게 기재된다.
다음으로, 무선 이어버드(20)는 무선 이어버드(10)와 동일한 구성을 지니며, 입력부(21), 표시부(22), 통신부(23), 마이크(24), 스피커(25), 초음파 센서(26) 및 데이터 프로세서(29) 각각은 입력부(11), 표시부(12), 통신부(13), 마이크(14), 스피커(15), 초음파 센서(16) 및 데이터 프로세서(19) 각각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다만, 무선 이어버드(10)와 무선 이어버드(20)는 서로의 통신 관계에서 마스터 기기와 슬레이브 기기로 동작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전자 디바이스(30)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과 같은 정보 통신 기기에 해당되며, 착용자로부터 입력(예를 들면, 전원 온/오프, 재생곡의 선택 등)을 획득하여 데이터 프로세서(39)에 인가하는 입력부(31)와, 혈압 정보, 전원 상태(예를 들면, 충전 중, 충전 정도 등)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32)와, 무선 이어버드(10) 및/또는 무선 이어버드(2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33)와, 외부의 음향을 획득하여 획득된 음향의 전기 신호를 데이터 프로세서(39)에 인가하는 마이크(34)와, 전기 신호를 데이터 프로세서(39)로부터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음 방출을 수행하는 스피커(35)와,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무선 이어버드(10) 및/또는 (20)와 무선 통신을 통하여 음향 재생 기능, 전화 통화 기능 등을 수행하면서, 반향 음파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여 혈압 정보를 표시부(32)에 표시하거나, 무선 이어버드(10) 및/또는 (20)로 혈압 정보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 프로세서(39)를 포함한다. 다만,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 입력부(31), 표시부(32), 통신부(33), 마이크(34), 스피커(35) 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대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들에게 당연히 인식되는 정도에 불과한 기술에 해당되어, 그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데이터 프로세서(39)는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무선 이어버드(10) 및/또는 (20)와 무선 통신을 통하여 음향 재생 기능, 전화 통화 기능 등을 수행한다. 또한, 데이터 프로세서(39)는 반향 음파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인 혈압 정보를 표시부(32)에 표시하거나 혈압 정보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무선 이어버드(10) 및/또는 (20)로 전송한다. 데이터 프로세서(39)가 수행하는 반향 음파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의 분석에 대한 사항은 하기에서 상세하게 기재된다.
데이터 프로세서(19), (29), (39)는 반향 음파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의 진폭, 주기 등에 대응하는 혈압, 혈류, 심박수 등을 포함하는 혈압 정보를 산정한다. 반향 음파에 따라 혈압, 혈류 및 심박수 등의 혈압 정보를 산정하는 방식은 이미 널리 알려진 방식이기에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데이터 프로세서(19), (29) 각각은 산정된 혈압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예를 들면, 수치, 정상 및/또는 비정상 등)을 위한 전기 신호를 스피커(15), (25)를 통하여 음 방출하여 착용자가 신속하게 혈압 정보를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프로세서(19), (29) 각각은 산정된 혈압 정보를 통신부(13), (23)를 통하여 전자 디바이스(30)로 전송하고, 데이터 프로세서(39)는 통신부(33)를 통하여 혈압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혈압 정보를 표시부(32)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프로세서(19), (29) 각각이 혈압 정보를 산정하는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 데이터 프로세서(39)는 산정된 혈압 정보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33)를 통하여 무선 이어버드(10), (20)로 전송하고, 데이터 프로세서(19), (29)가 수신된 혈압 정보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스피커(15), (25)를 통하여 음향으로 방출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프로세서(19), (29)는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초음파 센서(16), (26)를 기설정된 제 1 시간 간격으로 동작 제어하여, 반향 음파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지속적으로 수신한다. 데이터 프로세서(19), (29)는 수신된 전기 신호에 포함된 반향 음파가 사람의 인체에서 감지될 수 있는 기준 반향 음파 범위(예를 들면, 기준 진폭 등)에 포함될 경우, 착용자가 무선 이어버드(10, (20))를 청각 기관에 장착하거나 피부에 접촉시킨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반향 음파가 기준 반향 음파 범위를 벗어나는 것은 무선 이어버드(10), (20)가 청각 기관에 삽입되어 사용 중이 아니거나, 초음파 센서(16), (26)가 피부에 접촉되지 않은 것을 의미하므로, 데이터 프로세서(19), (29)는 이러한 반향 음파를 이용하여 혈압 정보를 산정하지 않는다.
또한, 데이터 프로세서(19), (29)는 수신된 전기 신호에 포함된 반향 음파가 사람의 인체에서 감지될 수 있는 기준 반향 음파 범위에 포함될 경우, 상술된 제 1 시간 간격보다 작은 제 2 시간 간격으로 초음파 센서(16), (26)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여, 즉 이전보다 초음파 센서(16), (26)가 초음파를 송신하는 주기 및 반향 음파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데이터 프로세서(19), (29)로 인가하는 주기를 짧게 하여, 보다 신속한 혈압 정보의 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데이터 프로세서(19), (29) 각각은 초음파 센서(16), (26) 각각의 동작 주기를 가변하여, 착용자의 피부에 초음파 센서(16), (26) 각각이 접촉된 경우에 보다 빈번하게 혈압에 대응하는 반향 음파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신속한 혈압 정보의 산정과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무선 이어버드의 사시도이다. 도 2에서는 무선 이어버드(10)의 예시이며, 무선 이어버드(20)도 동일한 구조이다.
무선 이어버드(10)는 도 1에서 도시된 전원부(미도시), 입력부(11), 표시부(12), 통신부(13), 마이크(14), 스피커(15), 데이터 프로세서(19)가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케이스(1)와, 착용자의 청각 기관 내부에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관이 형성되어 스피커(15)에서의 음 방출된 음향을 외부로 유도하는 이어팁(2)으로 구성된다.
초음파 센서(16)는 케이스(1)의 외측면에 장착되며, 초음파 센서(16)와 데이터 프로세서(19) 및/또는 전원부를 연결하는 전기적 배선(미도시)이 형성된다.
착용자가 무선 이어버드(10)를 귀 속에 삽입한 때, 초음파 센서(16)가 귀에 접촉될 수 있는 케이스(1)의 측면에 장착되며, 예를 들면, 이어팁(2)의 음향 방출 유도 방향과 초음파 센서(16)의 상측면이 동일한 방향이다.
도 2와 같은 구조와 무선 이어버드(10)의 착용에 의해, 초음파 센서(16)가 착용자의 귀나 피부에 지속적으로 접촉되도록 할 수 있기에, 측정 오차가 낮으며 착용자가 별도의 동작을 수행함이 없이 무선 이어버드(10)를 사용하는 동안 무선 이어버드(10)가 혈압 정보를 산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무선 이어버드(10), (20)는 초음파 센서(16), (26)에 추가하여, 온도 센서, 산소포화도 센서 등을 포함하는 생체 센서를 구비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예: 프로세서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가 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예: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예: CD-ROM,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예: ROM, 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에 의한 기능들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20: 무선 이어버드 30: 전자 디바이스

Claims (5)

  1. 전자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외부의 음향을 획득하여 획득된 음향의 전기 신호를 데이터 프로세서에 인가하는 마이크와;
    음 방출을 수행하는 스피커와;
    무선 이어버드의 케이스 외측면에 장착되어 초음파를 송신하고, 그에 대응하는 반향 음파를 수신하여 수신된 반향 음파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데이터 프로세서에 인가하는 초음파 센서와;
    통신부와 마이크 및 스피커를 제어하여 전자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을 통하여 음향 재생 기능이나 전화 통화 기능을 수행하면서, 초음파 센서를 제어하여 반향 음파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전자 디바이스로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하거나 반향 음파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분석하여 적어도 혈압을 포함하는 혈압 정보를 산정하는 데이터 프로세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버드.
  2. 제 1 항에 있어서,
    데이터 프로세서는 반향 음파에 따라 초음파 센서의 동작 주기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버드.
  3. 제 2 항에 있어서,
    데이터 프로세서는 반향 음파가 기준 반향 음파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의 동작 주기를 반향 음파가 기준 반향 음파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의 동작 주기보다 짧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버드.
  4. 제 1 항에 있어서,
    데이터 프로세서는 산정된 혈압 정보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스피커로 인가하거나 통신부를 통하여 전자 디바이스로 전송하거나, 전자 디바이스로부터의 혈압 정보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스피커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버드.
  5. 제 1 항에 있어서,
    무선 이어버드는 스피커에서의 음 방출된 음향을 외부로 유도하는 이어팁을 구비하고, 이어팁의 음향 방출 유도 방향과 초음파 센서의 상측면이 동일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버드.
KR1020190090097A 2019-07-25 2019-07-25 무선 이어버드 KR202100124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097A KR20210012417A (ko) 2019-07-25 2019-07-25 무선 이어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097A KR20210012417A (ko) 2019-07-25 2019-07-25 무선 이어버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417A true KR20210012417A (ko) 2021-02-03

Family

ID=74572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097A KR20210012417A (ko) 2019-07-25 2019-07-25 무선 이어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24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23192A (en) * 2022-09-20 2024-04-10 Apple Inc Heart measurement using acoustic techniqu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23192A (en) * 2022-09-20 2024-04-10 Apple Inc Heart measurement using acoustic techniqu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93150A1 (en) Bio-information measuring apparatus and bio-information measuring method
US11419562B2 (en) Bio-information measuring apparatus and bio-information measuring method
US1178618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bio-information
KR20200054719A (ko) 혈압 캘리브레이션 시점 검출 방법 및 장치
JP2007007075A (ja) 血圧測定装置
KR102350790B1 (ko) 생체 신호 감지 기능을 지닌 무선 음향 변환 시스템
US1190368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bio-information
US106677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blood pressure measurement
US20160038117A1 (en) Ultrasonic blood pressure measuring device and blood pressure measuring method
EP3352660B1 (en)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blood pressure measurement
TWI721395B (zh) 動靜脈瘻管狹窄偵測系統及其方法及感測裝置
US20220031175A1 (en) Bio-information estimating apparatus and bio-information estimating method
US20160058409A1 (en) Ultrasonic blood pressure measurement apparatus and blood pressure measurement method
US2023030152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blood pressure
KR20210012417A (ko) 무선 이어버드
KR102073184B1 (ko) 혈압 정보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US1164208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librating bio-information estimation model,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bio-information
KR20190131306A (ko) 혈압 측정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230200731A1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calibrating force sensor in wearable device
US11660066B2 (en) Wireless ultrasound monitoring device
US2023000788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bio-information
JP2016043093A (ja) 超音波血圧計測装置および血圧計測方法
KR20230012885A (ko) Ppg 센서를 포함하는 생체 센서부를 이용하는 전자 기기
KR20200129961A (ko) 생체신호 데이터를 수신 받아 정해진 방법으로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로 생체신호 측정 기기를 통해 측정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휴대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