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2187A - Mobility management entity, and method thereof for connection management - Google Patents

Mobility management entity, and method thereof for connection manag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2187A
KR20210012187A KR1020190089449A KR20190089449A KR20210012187A KR 20210012187 A KR20210012187 A KR 20210012187A KR 1020190089449 A KR1020190089449 A KR 1020190089449A KR 20190089449 A KR20190089449 A KR 20190089449A KR 20210012187 A KR20210012187 A KR 20210012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network
connection
subscriber
network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4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22567B1 (en
Inventor
성창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9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2567B1/en
Publication of KR20210012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1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5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4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using triggered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05Multiple registrations, e.g. multih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ity management device and a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thereof to selectively allow a connection to a 4G network core for a terminal device which is a 5G network subscriber when realizing a dedicated core network (DCN) function in a linked environment between a 4G and a 5G network.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comprises: a checking unit to check a connection type of a terminal device which is a subscriber of a first network different from a second network in accordance with a connection request to the second network core; and a connection management unit to selectively allow a connection to the second network core for the terminal device which is the first network subscriber in accordance with a result of checking the connection type of the terminal device.

Description

이동성관리장치 및 이동성관리장치의 접속 관리 방법{MOBILITY MANAGEMENT ENTITY, AND METHOD THEREOF FOR CONNECTION MANAGEMENT}Mobility management device and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of mobility management device {MOBILITY MANAGEMENT ENTITY, AND METHOD THEREOF FOR CONNECTION MANAGEMENT}

본 발명은, 4G 및 5G 네트워크 간 연동 환경에서 DCN(Dedicated Core Network) 기능 구현 시 5G 네트워크 가입자인 단말장치에 대해 4G 네트워크 코어로의 접속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selectively allowing access to a 4G network core for a terminal device that is a 5G network subscriber when implementing a DCN (Dedicated Core Network) function in an interworking environment between 4G and 5G networks.

LTE(4G) 통신시스템에서 통신서비스의 종류 및 전송 요구 속도 등이 다양해짐에 따라, LTE 주파수 증설 및 5G 통신시스템으로의 진화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In the LTE (4G) communication system, as the type of communication service and the transmission required speed are diversified, LTE frequency expansion and evolution to a 5G communication system are actively progressing.

이처럼, 5G로 진화하고 있는 현 시점에 이미 광범위하게 구축되어 사용되고 있는 4G의 시스템들을 활용하여, 비용 효율을 높이면서 5G로 진화/발전하기 위한 환경 또한 마련되었다.As such, by utilizing 4G systems that have been widely deployed and used at the time of evolving to 5G, an environment for evolving/development to 5G has also been prepared while increasing cost efficiency.

그 중 하나로는, 이 기종의 4G 및 5G 네트워크 간 상호 연동을 기반으로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NSA(Non-Standalone) 기술을 예로 들 수 있다.One of them is NSA (Non-Standalone) technology that provides communication services based on interworking between 4G and 5G networks of different types.

이러한 NSA 기술은, 4G(LTE)를 Primary 네트워크로 사용하여 Seamless한 Coverage를 확보하면서, 5G를 Secondary 네트워크로 사용하여 보다 대용량/저 지연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으로서, 4G 및 5G 네트워크 간 상호 연동을 기반으로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This NSA technology uses 4G (LTE) as a primary network to secure seamless coverage, while using 5G as a secondary network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a larger capacity/lower latency, and interworking between 4G and 5G networks. It can support to use communication service as a basis.

이에, 단말장치는, 네트워크 초기 접속 시, Primary인 4G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Secondary인 5G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terminal device can access a primary 4G network and a secondary 5G network upon initial network access.

또한, 이러한 4G 및 5G 네트워크 간 연동 환경에서는 단말장치가 4G 네트워크에 처음 접속하는 경우, 가입정보에 포함된 서비스정보(Usage Type)에 따라 4G 또는 5G 네트워크 코어에 대한 선택적인 접속을 지원하는 DCN(Dedicated Core Network) 기능이 구현된다.In addition, in such an interworking environment between 4G and 5G networks, when a terminal device first accesses a 4G network, DCN that supports selective access to the 4G or 5G network core according to the service information (Usage Type) included in the subscription information ( Dedicated Core Network) function is implemented.

즉, 4G 및 5G 네트워크 간 연동 환경에서의 DCN 기능 구현에 따라 5G 네트워크 가입자인 단말장치가 4G 네트워크 코어에 처음 접속하는 경우, 그에 따른 접속 요청을 수신한 4G 네트워크 코어는 단말장치의 서비스정보(Usage Type)에 따라 단말장치의 접속경로를 변경하여 5G 네트워크 코어로 접속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a terminal device, which is a 5G network subscriber, accesses the 4G network core for the first time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DCN function in the interworking environment between 4G and 5G networks, the 4G network core receiving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request is sent to the terminal device's service information (Usage Type), it is possible to induce access to the 5G network core by changing the connection path of the terminal device.

한편, 4G 및 5G 네트워크 간 연동 환경에서의 DCN 기능 구현 시 5G 네트워크 코어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4G 네트워크의 기지국(eNB)은 5G 네트워크 코어를 비활성화(Inactive) 상태로 관리하여, 4G 네트워크 코어로 모든 메시지를 전달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a failure occurs in the 5G network core when implementing the DCN function in the interworking environment between 4G and 5G networks, the base station (eNB) of the 4G network manages the 5G network core in an inactive state, It delivers the message.

그러나, 4G 네트워크 코어의 경우 5G 네트워크 코어에서의 장애 발생과 무관하게 5G 네트워크 가입자인 단말장치로부터 접속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5G 네트워크 코어로 접속경로를 변경하는 DCN 기능의 기본 설정에 따라, 접속경로 변경에도 불구하고 4G 네트워크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장치에 대한 접속 요청을 재차 수신하고, 이에 대해 또 다시 장애가 발생된 5G 네트워크 코어로 접속경로를 변경하는 절차를 반복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4G network core, when a connec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a terminal device that is a 5G network subscriber regardless of a failure in the 5G network core, the connection path is changed according to the basic setting of the DCN function that changes the connection path to the 5G network core. In spite of the change, there may be a problem of re-receiving an access request for a terminal device from a 4G network base station, and repeating a procedure of changing an access path to a 5G network core in which a failure occurred again.

이에 본 발명에서는 5G 네트워크 가입자인 단말장치에 대해 4G 네트워크 코어로의 접속을 허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for allowing a terminal device, which is a subscriber of a 5G network, to access a 4G network core.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4G 및 5G 네트워크 간 연동 환경에서 DCN(Dedicated Core Network) 기능 구현 시 5G 네트워크 가입자인 단말장치에 대해 4G 네트워크 코어로의 접속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to be reach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4G network core for a terminal device that is a 5G network subscriber when implementing a DCN (Dedicated Core Network) function in an interworking environment between 4G and 5G networks. It is to selectively allow access to.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관리장치는, 제1네트워크와는 다른 제2네트워크 가입자인 단말장치에 대한 상기 제1네트워크 코어로의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의 접속 유형을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단말장치의 접속 유형 확인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2네트워크 가입자인 상기 단말장치에 대해 상기 제1네트워크 코어로의 접속을 허용하는 접속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bility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access the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a request for connection to the first network core for a terminal apparatus, which is a second network subscriber different from the first network. A confirmation unit to confirm the type; And a connection management unit selectively allowing the terminal device, which is the second network subscriber, to access the first network core according to a result of checking the connection type of the terminal device.

구체적으로, 상기 접속관리부는, 상기 단말장치의 접속 유형이 상기 단말장치의 접속경로 변경에 따른 재 접속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단말장치에 대해 상기 제1네트워크 코어로의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nection management unit may allow the terminal device to access the first network co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nection type of the terminal device is reconnection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connection path of the terminal device. .

구체적으로, 상기 확인부는,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상기 제1네트워크 코어로의 접속 요청으로부터 상기 제2네트워크 가입자임을 식별하기 위한 가입자식별정보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단말장치의 접속 유형을 상기 단말장치의 접속경로 변경에 따른 재 접속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second network subscriber is confirmed from the request for access to the first network core for the terminal device, the verification unit determines the connection type of the terminal device.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a reconnect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connection path.

구체적으로, 상기 접속관리부는,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상기 제1네트워크 코어로의 초기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제2네트워크의 가입자인 것이 확인되며, 상기 제2네트워크 코어가 비활성화(Inactive) 상태인 경우, 상기 단말장치의 접속경로 변경을 통해 상기 제2네트워크 가입자임을 식별하기 위한 가입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재 접속 요청이 상기 제1네트워크 코어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nection management unit determines that the terminal device is a subscriber of the second network according to an initial request for access to the first network core for the terminal device, and the second network core is inactive. In this case, a reconnection request including subscrib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second network subscriber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network core through a change of the access path of the terminal device.

구체적으로, 상기 접속관리부는, 상기 제1네트워크 코어에 접속한 상기 단말장치에 대해 위치 변경 등록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단말장치의 접속경로 변경을 통해 상기 위치 변경 등록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가 상기 제2네트워크 코어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a location change registration is requested for the terminal device connected to the first network core, the connection management unit sends a message for requesting the location change registration through change of the connection path of the terminal device. 2 can be delivered to the network cor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관리장치의 접속 관리 방법은, 제1네트워크와는 다른 제2네트워크 가입자인 단말장치에 대한 상기 제1네트워크 코어로의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의 접속 유형을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의 접속 유형 확인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2네트워크 가입자인 상기 단말장치에 대해 상기 제1네트워크 코어로의 접속을 허용하는 접속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ccess management method of the mobility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connection to the first network core for a terminal device that is a second network subscriber different from the first network. A confirmation step of confirming the connection type of the terminal device; And a connection management unit selectively allowing the terminal device, which is the second network subscriber, to access the first network core according to a result of checking the connection type of the terminal device.

구체적으로, 상기 접속관리단계는, 상기 단말장치의 접속 유형이 상기 단말장치의 접속경로 변경에 따른 재 접속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단말장치에 대해 상기 제1네트워크 코어로의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connection management step,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connection type of the terminal device is a reconnection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connection path of the terminal device, the terminal device may be allowed to access the first network core. have.

구체적으로, 상기 확인단계는,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상기 제1네트워크 코어로의 접속 요청으로부터 상기 제2네트워크 가입자임을 식별하기 위한 가입자식별정보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단말장치의 접속 유형을 상기 단말장치의 접속경로 변경에 따른 재 접속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checking step, when 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second network subscriber is confirmed from the connection request to the first network core to the terminal device, the connection type of the terminal device is determined by the terminal device.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a reconnect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connection path of.

구체적으로, 상기 접속관리단계는,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상기 제1네트워크 코어로의 초기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제2네트워크의 가입자인 것이 확인되며, 상기 제2네트워크 코어가 비활성화(Inactive) 상태인 경우, 상기 단말장치의 접속경로 변경을 통해 상기 제2네트워크 가입자임을 식별하기 위한 가입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재 접속 요청이 상기 제1네트워크 코어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connection management step, it is confirmed that the terminal device is a subscriber of the second network according to an initial request for access to the first network core for the terminal device, and the second network core is inactive. ), the reconnection request including subscrib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second network subscriber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network core through change of the access path of the terminal device.

구체적으로, 상기 접속관리단계는, 상기 제1네트워크 코어에 접속한 상기 단말장치에 대해 위치 변경 등록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단말장치의 접속경로 변경을 통해 상기 위치 변경 등록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가 상기 제2네트워크 코어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connection management step, when a location change registration is requested for the terminal device connected to the first network core, a message for requesting the location change registration through a change of the access path of the terminal device is displayed. It can be delivered to the second network core.

이에, 본 발명의 이동성관리장치 및 이동성관리장치의 접속 관리 방법에 의하면, 4G 및 5G 네트워크 간 연동 환경에서 DCN(Dedicated Core Network) 기능 구현 시 5G 네트워크 가입자인 단말장치에 대해 4G 네트워크 코어로의 접속이 선택적으로 허용됨에 따라, 5G 네트워크 코어의 장애 발생 시에도 4G 기지국과 4G 네트워크 코어 간에 단말장치의 접속(위치 등록)과 관련된 메시지 무한 루프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로 인한 시스템 성능 저하를 예방할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and the access management method of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mplementing a DCN (Dedicated Core Network) function in an interworking environment between 4G and 5G networks, access to a terminal device as a 5G network subscriber to a 4G network core As this is selectively allowed, it is possible to prevent system performance degradation by preventing the formation of an infinite loop of messages related to the connection (location regist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between the 4G base station and the 4G network core even when a failure of the 5G network core occurs.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 환경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4G 및 5G 네트워크 간 연동 환경에서 구현되는 DCN 기능의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4G 및 5G 네트워크 간 연동 환경에서 5G 네트워크 코어(b)의 장애 발생 시 DCN 기능의 기본 설정에 따른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관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G 및 5G 네트워크 간 연동 환경에서 DCN 기능의 처리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G 및 5G 네트워크 간 연동 환경에서 위치 변경 등록 처리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관리장치의 접속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mmunication system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dure of a DCN function implemented in an interworking environment between 4G and 5G networks.
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procedure according to a basic setting of a DCN function when a failure of a 5G network core (b) occurs in an interworking environment between 4G and 5G networks.
4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ity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ing procedure of a DCN function in an interworking environment between 4G and 5G networ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location change registration processing procedure in an interworking environment between 4G and 5G networ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access of a mobility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환경을 보여주고 있다.1 shows a communication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네트워크(이하, '4G 네트워크'라 함) 및 제2네트워크(이하, '5G 네트워크') 간 연동 환경을 기반으로 단말장치가 4G 네트워크에 처음 접속하는 경우, 단말장치의 서비스정보(Usage Type)에 따라 4G 또는 5G 네트워크 코어에 대한 선택적인 접속을 지원하는 DCN(Dedicated Core Network) 기능을 다루고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erminal device first accesses the 4G network based on the interworking environment between the first network (hereinafter referred to as '4G network') and the second network (hereinafter referred to as '5G network'), the terminal It deals with a DCN (Dedicated Core Network) function that supports selective access to 4G or 5G network cores according to the service information (Usage Type) of the device.

이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환경은, 4G 기지국(20)로부터 단말장치(10)에 대한 4G 네트워크(a)로의 접속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가입자관리장치(40: HSS, Home Subscriber Server)로부터 단말장치(10)가 5G 네트워크 가입자임을 확인하여, 단말장치(10)에 대한 접속경로를 5G 네트워크(b)로 변경하는 이동성관리장치(30: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1, in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onnection request to the 4G network (a) for the terminal device 10 is received from the 4G base station 20, subscriber management A mobility management device (30: MME) that verifies that the terminal device 10 is a 5G network subscriber from the device 40 (HSS, Home Subscriber Server) and changes the access path to the terminal device 10 to a 5G network (b). Mobility Management Entity) may have a configuration.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관리장치(30)는, 4G 및 5G 네트워크 간 연동 환경에서의 DCN 기능 구현에 따라 5G 네트워크 가입자인 단말장치(10)가 4G 기지국(2)을 통해 4G 네트워크 코어(a)에 처음 접속하는 경우, 가입자관리장치(40)로부터 확인되는 서비스정보(UE Usage Type=5G)에 따라 단말장치(10)의 접속경로를 변경하여 5G 네트워크 코어(b)로 접속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rminal device 10 serving as a 5G network subscriber through the 4G base station 2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DCN function in the interworking environment between 4G and 5G networks. When connecting to the network core (a) for the first time, access to the 5G network core (b) by changing the connection path of the terminal device 10 according to the service information (UE Usage Type = 5G) checked from the subscriber management device 40 It can be induced to do.

이와 관련하여, 도 2에는 4G 및 5G 네트워크 간 연동 환경에서 구현되는 DCN 기능의 절차를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In this regard, FIG. 2 shows an exemplary procedure of a DCN function implemented in an interworking environment between 4G and 5G networks.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G 기지국(20)은 단말장치(10)에 대한 접속 요청을 4G 네트워크 코어(a)에 위치한 이동성관리장치(30)로 전달하게 되며(1), 이를 수신한 이동성관리장치(30)는 가입자관리장치(40)와의 인증 과정에서의 서비스정보(UE Usage Type=5G)로부터 단말장치(10)가 5G 네트워크 가입자임을 확인한다(2).As shown in Fig. 2, the 4G base station 20 transmits a connection request to the terminal device 10 to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30 located in the 4G network core (a) (1), and the mobility The management device 30 confirms that the terminal device 10 is a 5G network subscriber from service information (UE Usage Type = 5G) in the authentication process with the subscriber management device 40 (2).

이처럼, 단말장치(10)가 5G 네트워크 가입자임이 확인되는 경우, 이동성관리장치(30)는 단말장치(10)가 5G 네트워크 가입자임을 식별하기 위한 가입자식별정보(MMEGI=5G, UE Usage Type=5G)를 포함하는 접속경로 변경메시지(Reroute Message)를 4G 기지국(20)로 전송하여 4G 기지국(20)로 하여금 단말장치(10)에 대한 접속 요청을 5G 네트워크 코어(b)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3-4).In this way,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terminal device 10 is a 5G network subscriber,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30 provides subscrib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at the terminal device 10 is a 5G network subscriber (MMEGI=5G, UE Usage Type=5G). Transmitting a reroute message including a (Reroute Message) to the 4G base station 20 to allow the 4G base station 20 to transmit a connection request to the terminal device 10 to the 5G network core (b) (3 -4).

이렇게 되면, 5G 네트워크 코어(b)는 4G 기지국(20)로부터 수신되는 단말장치(10)에 대한 접속 요청에 따라 가입자관리장치(40)와의 인증 과정을 통해 단말장치(10)가 5G 네트워크 가입자임을 확인하고, 이후 추가적인 위치 등록 절차를 거쳐 단말장치(10)에 대한 PDN(Public Data Network) 생성 및 5G 네트워크 접속을 완료할 수 있다(5-6).In this case, the 5G network core (b) identifies that the terminal device 10 is a 5G network subscriber through an authentication process with the subscriber management device 40 according to a request for access to the terminal device 10 received from the 4G base station 20. After checking, it is possible to complete the creation of a public data network (PDN) for the terminal device 10 and access to the 5G network through an additional location registration procedure (5-6).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4G 및 5G 네트워크 간 연동 환경에서의 DCN 기능 구현 시 5G 네트워크 코어(b)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Meanwhi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assumed that a failure occurs in the 5G network core (b) when implementing the DCN function in an interworking environment between 4G and 5G networks.

이 경우, 4G 기지국(20)은 5G 네트워크 코어(b)를 비활성화(Inactive) 상태로 관리하여, 4G 네트워크 코어(a)로 모든 메시지를 전달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4G base station 20 manages the 5G network core (b) in an inactive state, and delivers all messages to the 4G network core (a).

이렇게 되면, 이동성관리장치(30)는 4G 네트워크 코어(a)에 처음 접속한 단말장치(10)에 대해 5G 네트워크 코어(b)로의 접속경로 변경을 수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4G 기지국(20)으로부터 단말장치(10)에 대한 접속 요청을 재차 수신할 수밖에 없다.In this case,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30 is the terminal device from the 4G base station 20 despite the change of the connection path to the 5G network core (b) for the terminal device 10 first connected to the 4G network core (a). It has no choice but to receive the connection request to (10) again.

헌데, 이동성관리장치(30)는 DCN 기능의 기본 설정 따라 이처럼 4G 기지국(20)으로부터 재차 수신되는 접속 요청에 대해서도 또 다시 장애가 발생된 5G 네트워크 코어(b)로 접속경로를 변경하는 절차를 반복할 수 밖에 없다.However,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30 repeats the procedure of changing the access path to the 5G network core (b) in which the failure has occurred again even for the connection request that is received again from the 4G base station 20 in this way according to the basic setting of the DCN function. I have no choice but to.

이와 관련하여, 도 3에는 4G 및 5G 네트워크 간 연동 환경에서 5G 네트워크 코어(b)의 장애 발생 시 DCN 기능의 기본 설정에 따른 절차를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In this regard, FIG. 3 exemplarily shows a procedure according to the basic setting of the DCN function when a failure of the 5G network core (b) occurs in an interworking environment between 4G and 5G networks.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G 기지국(20)은 단말장치(10)에 대한 접속 요청을 4G 네트워크 코어(a)에 위치한 이동성관리장치(30)로 전달하게 되며(1), 이를 수신한 이동성관리장치(30)는 가입자관리장치(40)와의 인증 과정에서의 서비스정보(UE Usage Type=5G)로부터 단말장치(10)가 5G 네트워크 가입자임을 확인한다(2).As shown in FIG. 3, the 4G base station 20 transmits a connection request to the terminal device 10 to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30 located in the 4G network core (a) (1), and the mobility The management device 30 confirms that the terminal device 10 is a 5G network subscriber from service information (UE Usage Type = 5G) in the authentication process with the subscriber management device 40 (2).

이처럼, 단말장치(10)가 5G 네트워크 가입자임이 확인되는 경우, 이동성관리장치(30)는 단말장치(10)가 5G 네트워크 가입자임을 식별하기 위한 가입자식별정보(MMEGI=5G, UE Usage Type=5G)를 포함하는 접속경로 변경메시지(Reroute Message)를 4G 기지국(20)로 전송하여 4G 기지국(20)로 하여금 단말장치(10)에 대한 접속 요청을 5G 네트워크 코어(b)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3-4).In this way,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terminal device 10 is a 5G network subscriber,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30 provides subscrib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at the terminal device 10 is a 5G network subscriber (MMEGI=5G, UE Usage Type=5G). Transmitting a reroute message including a (Reroute Message) to the 4G base station 20 to allow the 4G base station 20 to transmit a connection request to the terminal device 10 to the 5G network core (b) (3 -4).

그러나, 4G 기지국(20)는 장애가 발생된 5G 네트워크 코어(b)를 비활성화(Inactive) 상태로 관리 중인 관계로 단말장치(10)에 대한 접속 요청을 5G 네트워크 코어(b)로 전달하는 것이 아닌, 4G 네트워크 코어(a)로 재차 전달하게 된다(4).However, the 4G base station 20 does not transmit a connection request to the terminal device 10 to the 5G network core (b) because the 5G network core (b) in which the failure has occurred is being managed in an inactive state, It is delivered to the 4G network core (a) again (4).

이렇게 되면, 4G 네트워크 코어(a)의 이동성관리장치(30)는 4G 기지국(20)로부터 수신되는 단말장치(10)에 대한 접속 요청에 따라 가입자관리장치(40)와의 인증 과정을 통해 단말장치(10)가 5G 네트워크 가입자임을 확인하고, 이후 추가적인 위치 등록 절차를 거쳐 단말장치(10)에 대한 PDN(Public Data Network)을 생성한다(5-6).In this case,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30 of the 4G network core (a) through the authentication process with the subscriber management device 40 in accordance with the connection request to the terminal device 10 received from the 4G base station 20 ( 10) is a 5G network subscriber, and then, through an additional location registration procedure, a public data network (PDN) for the terminal device 10 is created (5-6).

이때, 이동성관리장치(30)는 이러한 위치 등록 절차에서 단말장치(10)가 5G 네트워크 가입자임을 확인하여, 단말장치(10)에 대한 위치 갱신을 요청하게 되며, 이를 수신한 단말장치(10)는 이동성관리장치(30)로 위치 갱신을 요구하게 된다(7-8).At this time,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30 confirms that the terminal device 10 is a 5G network subscriber in this location registration procedure, and requests the location update for the terminal device 10, and the terminal device 10 receiving it The location update is requested to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30 (7-8).

헌데, 이동성관리장치(30)는 이러한 위치 갱신 요구에 대해 DCN 기능의 기본 설정에 따라 장애가 발생된 5G 네트워크 코어(b)로 접속경로를 변경하는 동작 즉, 접속경로 변경메시지(Reroute Message)를 4G 기지국(20)로 전송하는 동작을 불가피하게 수행하게 되며(9), 이로 인해 전술한 단계 4 내지 9의 절차가 무한 반복되는 메시지 무한 루프 현상이 발생한다.However, in response to such a location update request,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30 changes the connection path to the 5G network core (b) in which the failure occurred according to the basic setting of the DCN function, that is, the 4G connection path change message. The operation of transmitting to the base station 20 is inevitably performed (9), and this causes an infinite loop of messages in which the procedures of steps 4 to 9 are infinitely repeated.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4G 및 5G 네트워크 간 연동 환경에서 시스템 성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는 메시지 무한 루프 현상을 방지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4G 네트워크 코어(a)의 이동성관리장치(30)의 구성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According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finite message loop phenomenon that may cause system performance degradation in an interworking environment between 4G and 5G networks is to be prevented. Hereinafter, a mobility management apparatus of a 4G network core (a) for realizing this The configuration of (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관리장치(30)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4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obility management devic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관리장치(30)는 4G 네트워크 코어(a)에 내 구성으로서, 단말장치(10)에 대한 접속 요청을 확인하는 확인부(31), 및 단말장치(10)에 대한 접속 요청을 처리하는 접속관리부(32)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4,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4G network core (a) internal configuration, a confirmation unit 31 for confirming a connection request to the terminal device 10 ), and a connection management unit 32 that processes a connection request to the terminal device 10.

이러한, 이동성관리장치(30)의 전체 구성 내지는 적어도 일부의 구성은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The entire configuration or at least a portion of the mobility management apparatus 3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hardware module or a software module, or a combination of a hardware module and a software module.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이동성관리장치(30) 내에서 연산을 처리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이동성관리장치(30) 내 별도의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Here, the software module may be understood as, for example, an instruction executed by a processor that processes an operation in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30, and such a command is a form mounted in a separate memory in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30. Can hav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관리장치(3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5G 네트워크 서비스 셀 내 타 장치(중계기, 단말장치)와의 실질적인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RF 모듈인 통신부(33)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obility management apparatus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33, which is an RF module responsible for a practical communication function with other devices (repeaters, terminal devices) in a 5G network service cell,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may have a configuration that further includes.

여기서, 통신부(33)는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mmunication unit 33 includes, for example, an antenna system, an RF transceiver, one or more amplifiers, a tuner, one or more oscillators,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codec chipset, and a memor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y known circuit to be performed may be included.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관리장치(30)은 전술한 구성을 통해 4G 및 5G 네트워크 간 연동 환경에서 DCN(Dedicated Core Network) 기능 구현 시 5G 네트워크 가입자인 단말장치(10)에 대해 4G 네트워크 코어(a)로의 접속을 선택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이동성관리장치(30) 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4G for a terminal device 10 that is a 5G network subscriber when implementing a DCN (Dedicated Core Network) function in an interworking environment between 4G and 5G networks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allow access to the network core (a). 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in the mobility management apparatus 30 for realizing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한편,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5G 네트워크 코어(b)에 장애가 발생한 상태이며, 이로 인해 4G 기지국(20)에서는 5G 네트워크 코어(b)를 비활성화(Inactive) 상태로 관리중인 것을 전제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5G network core (b) has a failure, and for this reason, the 4G base station 20 is managing the 5G network core (b) in an inactive state.

확인부(21)는 단말장치(10)의 접속 유형을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heck unit 21 performs a function of checking the connection type of the terminal device 10.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부(21)는 4G 기지국(20)으로부터 수신되는 단말장치(10)에 대한 4G 네트워크 코어(a)로의 접속 요청에 따라 단말장치(10)의 접속 유형을 확인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verification unit 21 checks the connection type of the terminal device 10 according to a request for access to the 4G network core (a) for the terminal device 10 received from the 4G base station 20.

이때, 확인부(21)는 4G 네트워크 코어(a)로 접속이 처음 요청되는 초기 접속과, 4G 네트워크 코어(a)에 대한 초기 접속 이후 4G 네트워크 코어(a)로의 접속이 재차 요청되는 재 접속으로 단말장치(10)의 접속 유형을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verification unit 21 is an initial connection in which the connection to the 4G network core (a) is first requested, and a reconnection in which connection to the 4G network core (a) is requested again after the initial connection to the 4G network core (a). The connection type of the terminal device 10 can be classified and confirmed.

특히, 단말장치(10)의 재 접속의 경우, 단말장치(10)에 대한 4G 네트워크 코어(a)로의 초기 접속 과정에서 DCN 기능 구현에 따라 5G 네트워크 코어(b)로 단말장치(10)에 대한 접속경로 변경에도 불구하고, 5G 네트워크 코어(b)의 비활성화 상태로 인해, 단말장치(10)에 대한 접속 요청이 4G 기지국(20)으로부터 재차 수신되는 상황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reconnec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 in the initial access process to the 4G network core (a) for the terminal device 10, the 5G network core (b) is used for the terminal device 10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DCN function. In spite of the change of the access path, it may be understood as a situation in which the connection request to the terminal device 10 is received again from the 4G base station 20 due to the inactive state of the 5G network core (b).

이러한, 단말장치(10)의 재 접속은 4G 기지국(20)으로부터 수신되는 단말장치(10)에 대한 4G 네트워크 코어(a)로의 접속 요청으로부터 단말장치(10)가 5G 네트워크 가입자임을 식별하기 위한 가입자식별정보가 확인되는 경우에 확인될 수 있다.This reconnec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 is a subscriber for identifying that the terminal device 10 is a 5G network subscriber from a request for access to the 4G network core (a) for the terminal device 10 received from the 4G base station 20 It can be confirmed wh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confirmed.

여기서, 가입자식별정보는, DCN 기능 구현에 따라 5G 네트워크 코어(b)로 단말장치(10)에 대한 접속경로 변경하는 과정에서, 접속경로 변경메시지(Reroute Message)에 포함되어 4G 기지국(20)으로 전달되며, 이를 수신한 4G 기지국(20)은 해당 가입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요청을 4G 네트워크 코어(a) 즉, 이동성관리장치(30)로 전달할 수 있다.Here, 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reroute message to the 4G base station 20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access path to the terminal device 10 to the 5G network core (b)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DCN function. It is transmitted, and the 4G base station 20 receiving it may transmit a connection request including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4G network core (a), that is,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30.

접속관리부(32)는 단말장치(10)에 대한 접속 요청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nnection management unit 32 performs a function of processing a connection request to the terminal device 10.

보다 구체적으로, 접속관리부(32)는 단말장치(10)에 대한 접속 요청에 따른 접속 유형 확인 결과에 따라 단말장치(10)에 대한 접속 요청을 구분하여 처리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connection management unit 32 classifies and processes the connection request for the terminal device 10 according to the result of checking the connection type according to the connection request for the terminal device 10.

먼저, 접속관리부(32)는 접속 유형 확인 결과, 단말장치(10)의 접속 유형이 초기 접속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가입자관리장치(40)와의 인증 과정에서의 서비스정보(UE Usage Type=5G)로부터 단말장치(10)가 5G 네트워크 가입자임을 확인하게 되며, 이처럼 단말장치(10)가 5G 네트워크 가입자인 경우, 4G 네트워크 코어(a)에 처음 접속한 단말장치(10)가 5G 네트워크 코어(b)로 접속할 수 있도록 접속경로 변경을 수행하게 된다.First,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connection type of the terminal device 10 is the initial connection as a result of checking the connection type, the connection management unit 32 provides service information in the authentication process with the subscriber management device 40 (UE Usage Type = 5G). The terminal device 10 confirms that the terminal device 10 is a 5G network subscriber. In this way, when the terminal device 10 is a 5G network subscriber, the terminal device 10 first connected to the 4G network core (a) is the 5G network core (b). The connection path is changed so that it can be accessed by.

이와 관련하여,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G 및 5G 네트워크 간 연동 환경에서 DCN 기능의 처리 절차를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In this regard, FIG. 5 exemplarily shows a procedure for processing DCN functions in an interworking environment between 4G and 5G networ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G 기지국(20)은 단말장치(10)에 대한 초기 접속 요청을 4G 네트워크 코어(a)에 위치한 이동성관리장치(30)로 전달하게 되며(1), 접속관리부(32)는 단말장치(10)의 초기 접속 확인에 따라 가입자관리장치(40)와의 인증 과정에서의 서비스정보(UE Usage Type=5G)로부터 단말장치(10)가 5G 네트워크 가입자임을 확인하게 된다(2).As shown in FIG. 5, the 4G base station 20 transmits an initial connection request to the terminal device 10 to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30 located in the 4G network core (a) (1), and the access management unit ( 32) confirms that the terminal device 10 is a 5G network subscriber from service information (UE Usage Type = 5G) in the authentication process with the subscriber management device 40 according to the initial connection confi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 (2). ).

이때, 접속관리부(32)는 이처럼, 단말장치(10)가 5G 네트워크 가입자임이 확인되는 경우, 단말장치(10)가 5G 네트워크 가입자임을 식별하기 위한 가입자식별정보(MMEGI=5G, UE Usage Type=5G)를 포함하는 접속경로 변경메시지(Reroute Message)를 4G 기지국(20)로 전송함으로써, 5G 네트워크 코어(b)를 비활성화(Inactive) 상태를 관리중인 4G 기지국(20)로 하여금 단말장치(10)에 대한 접속 요청을 4G 네트워크 코어(a)로 재차 전송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3-4).At this time, the connection management unit 32,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terminal device 10 is a 5G network subscriber, subscrib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at the terminal device 10 is a 5G network subscriber (MMEGI = 5G, UE Usage Type = 5G). ) To the 4G base station 20 by transmitting a reroute message including) to the 4G base station 20, which is managing the inactive state of the 5G network core (b), to the terminal device 10. It is possible to retransmit the connection request to the 4G network core (a) (3-4).

그리고, 접속관리부(32)는 접속 유형 확인 결과, 단말장치(10)의 접속 유형이 재 접속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단말장치(10)의 접속을 허용하게 된다.In addition, as a result of checking the connection type, the connection management unit 32 allows the connec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connection type of the terminal device 10 is reconnection.

즉, 접속관리부(32)는 단말장치(10)에 대한 접속경로 변경 이후, 제2네트워크 코어가 비활성화(Inactive) 상태로 인해 단말장치(10)에 대한 접속 요청이 4G 기지국(20)로부터 재차 수신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단말장치(10)에 대한 접속 요청을 허용함으로써, DCN 기능의 기본 설정에 따라 장애가 발생된 5G 네트워크 코어(b)로 접속경로를 변경하는 동작이 반복되지 않도록 한다.That is, the connection management unit 32 receives the connection request to the terminal device 10 again from the 4G base station 20 due to the second network core being inactive after changing the access path to the terminal device 10. If it is confirmed that it is confirmed, by allowing the connection request to the terminal device 10, the operation of changing the access path to the failed 5G network core (b) according to the basic setting of the DCN function is not repeated.

이와 관련하여, 앞서 예시한 도 5를 다시 참조하여 설명하면, 4G 기지국(20)은 5G 네트워크 코어(b)를 비활성화(Inactive) 상태를 관리중인 관계로, 이동성관리장치(30)로부터 접속경로 변경메시지(Reroute Message)를 수신한 이후, 단말장치(10)에 대한 접속 요청을 5G 네트워크 코어(b)가 아닌 4G 네트워크 코어(a)로 전송하게 된다(4).In this regard, referring again to FIG. 5 exemplified above, the 4G base station 20 is managing the 5G network core (b) in an inactive state, and thus the access path is changed from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30 After receiving the message (Reroute Message), the connection request to the terminal device 10 is transmitted to the 4G network core (a) rather than the 5G network core (b) (4).

이때, 단말장치(10)에 대한 접속 요청에는 단말장치(10)가 5G 네트워크 가입자임을 식별하기 위한 가입자식별정보(MMEGI=5G, UE Usage Type=5G)를 포함되며, 이러한 가입자식별정보에 따라 확인부(31)를 통해 단말장치(10)의 접속 유형이 재 접속인 것으로 확인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request to the terminal device 10 includes subscrib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MEGI = 5G, UE Usage Type = 5G) for identifying that the terminal device 10 is a 5G network subscriber, and is checked according to 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unit 31,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onnection type of the terminal device 10 is reconnection.

이에, 접속관리부(32)는 단말장치(10)의 재 접속 확인에 따라 DCN 기능의 기본 설정으로 인해 장애가 발생된 5G 네트워크 코어(b)로 접속경로를 변경하는 동작이 반복되지 않도록 단말장치(10)에 대한 4G 네트워크(a)로의 접속을 허용하게 되며, 이후, 가입자관리장치(40)와의 인증 과정을 통해 단말장치(10)가 5G 네트워크 가입자임을 확인하고, 추가적인 위치 등록 절차를 거쳐 단말장치(10)에 대한 PDN(Public Data Network) 생성 및 4G 네트워크 접속을 완료하게 된다(5-6).Accordingly, the connection management unit 32 operates the terminal device 10 so that the operation of changing the connection path to the 5G network core (b) that has failed due to the basic setting of the DCN function according to the reconnection confi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 is not repeated. ) To the 4G network (a), and then, through an authentication process with the subscriber management device 40, it is confirmed that the terminal device 10 is a 5G network subscriber, and the terminal device ( 10) PDN (Public Data Network) creation and 4G network access are completed (5-6).

한편, 접속관리부(32)는 5G 네트워크 코어(b)의 장애가 복구되는 경우 단말장치(10)에 대한 위치 변경 등록을 처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ccess management unit 32 may process the location change registration for the terminal device 10 when the failure of the 5G network core b is recovered.

즉, 접속관리부(32)는 5G 네트워크 코어(b)의 장애가 복구에 따라 4G 네트워크 코어(a)에 접속중인 단말장치(10)에 대한 5G 네트워크 코어(b)로의 위치 변경 등록이 요청되는 경우, 단말장치(10)의 접속경로 변경을 통해 상기 위치 변경 등록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가 제2네트워크 코어(b)로 전달되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connection management unit 32 is requested to register a location change to the 5G network core (b) for the terminal device 10 connected to the 4G network core (a) according to the recovery of the failure of the 5G network core (b), A message for requesting the location change registr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network core (b) through the change of the connection path of the terminal device 10.

이와 관련하여,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G 및 5G 네트워크 간 연동 환경에서 위치 변경 등록 처리 절차를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In this regard, FIG. 6 exemplarily shows a location change registration processing procedure in an interworking environment between 4G and 5G networ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관리부(32)는 단말장치(10)에 대한 PDN(Public Data Network) 생성 및 4G 네트워크 접속이 완료된 이후, 단말장치(10)에 대한 5G 네트워크 코어(b)로의 위치 변경 등록이 요청되는 경우, 단말장치(10)가 5G 네트워크 가입자임을 식별하기 위한 가입자식별정보(MMEGI=5G, UE Usage Type=5G)를 포함하는 접속경로 변경메시지(Reroute Message)를 4G 기지국(20)로 전송하여 4G 기지국(20)로 하여금 단말장치(10)에 대한 위치 변경 등록 요청을 5G 네트워크 코어(b)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1-2).6, the connection management unit 32 generates a public data network (PDN) for the terminal device 10 and a 4G network connection is completed, and then the 5G network core b for the terminal device 10 When a location change registration is requested, a Reroute Message including subscrib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MEGI = 5G, UE Usage Type = 5G) for identifying that the terminal device 10 is a 5G network subscriber is sent to a 4G base station ( 20) to allow the 4G base station 20 to transmit a location change registration request for the terminal device 10 to the 5G network core (b) (1-2).

이렇게 되면, 5G 네트워크 코어(b)는 4G 기지국(20)로부터 수신되는 단말장치(10)에 대한 위치 변경 등록 요청에 따라 가입자관리장치(40)와의 인증 과정을 통해 단말장치(10)가 5G 네트워크 가입자임을 확인하고, 이후 추가적인 위치 등록 절차를 거쳐 단말장치(10)에 대한 PDN(Public Data Network) 생성 및 5G 네트워크 접속을 완료할 수 있다(3-5).In this case, the 5G network core (b) is the terminal device 10 through the authentication process with the subscriber management device 40 in accordance with the location change registration request for the terminal device 10 received from the 4G base station 20 After confirming that the subscriber is a subscriber, it is possible to complete the creation of a public data network (PDN) for the terminal device 10 and access to the 5G network through an additional location registration procedure (3-5).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관리장치(30)의 구성에 따르면, 4G 및 5G 네트워크 간 연동 환경에서 DCN(Dedicated Core Network) 기능 구현 시 5G 네트워크 가입자인 단말장치에 대해 4G 네트워크 코어로의 접속이 선택적으로 허용됨에 따라, 5G 네트워크 코어의 장애 발생 시에도 4G 기지국과 4G 네트워크 코어 간에 단말장치의 접속(위치 등록)과 관련된 메시지 무한 루프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로 인한 시스템 성능 저하를 예방하는 효과를 성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mplementing a DCN (Dedicated Core Network) function in an interworking environment between 4G and 5G networks, 4G for a terminal device that is a 5G network subscriber. As access to the network core is selectively allowed, system performance due to this prevents the formation of an infinite loop of messages related to the connection (location regist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between the 4G base station and the 4G network core even when a failure of the 5G network core occurs. The effect of preventing deterioration can be achieved.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관리장치(30)의 접속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managing access of the mobility management apparatus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먼저, 확인부(21)는 4G 기지국(20)으로부터 수신되는 단말장치(10)에 대한 4G 네트워크 코어(a)로의 접속 요청에 따라 단말장치(10)의 접속 유형을 확인한다(S11).First, the verification unit 21 checks the connection type of the terminal device 10 according to a request for access to the 4G network core (a) for the terminal device 10 received from the 4G base station 20 (S11).

이때, 확인부(21)는 4G 네트워크 코어(a)로 접속이 처음 요청되는 초기 접속과, 4G 네트워크 코어(a)에 대한 초기 접속 이후 4G 네트워크 코어(a)로의 접속이 재차 요청되는 재 접속으로 단말장치(10)의 접속 유형을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verification unit 21 is an initial connection in which the connection to the 4G network core (a) is first requested, and a reconnection in which connection to the 4G network core (a) is requested again after the initial connection to the 4G network core (a). The connection type of the terminal device 10 can be classified and confirmed.

특히, 단말장치(10)의 재 접속의 경우, 단말장치(10)에 대한 4G 네트워크 코어(a)로의 초기 접속 과정에서 DCN 기능 구현에 따라 5G 네트워크 코어(b)로 단말장치(10)에 대한 접속경로 변경에도 불구하고, 5G 네트워크 코어(b)의 비활성화 상태로 인해, 단말장치(10)에 대한 접속 요청이 4G 기지국(20)으로부터 재차 수신되는 상황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reconnec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 in the initial access process to the 4G network core (a) for the terminal device 10, the 5G network core (b) is used for the terminal device 10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DCN function. In spite of the change of the access path, it may be understood as a situation in which the connection request to the terminal device 10 is received again from the 4G base station 20 due to the inactive state of the 5G network core (b).

이러한, 단말장치(10)의 재 접속은 4G 기지국(20)으로부터 수신되는 단말장치(10)에 대한 4G 네트워크 코어(a)로의 접속 요청으로부터 단말장치(10)가 5G 네트워크 가입자임을 식별하기 위한 가입자식별정보가 확인되는 경우에 확인될 수 있다.This reconnec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 is a subscriber for identifying that the terminal device 10 is a 5G network subscriber from a request for access to the 4G network core (a) for the terminal device 10 received from the 4G base station 20 It can be confirmed wh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confirmed.

이어서, 접속관리부(32)는 단계 S11에서의 접속 유형 확인 결과, 단말장치(10)의 접속 유형이 초기 접속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가입자관리장치(40)와의 인증 과정에서의 서비스정보(UE Usage Type=5G)로부터 단말장치(10)가 5G 네트워크 가입자임을 확인하게 되며, 이처럼 단말장치(10)가 5G 네트워크 가입자인 경우, 4G 네트워크 코어(a)에 처음 접속한 단말장치(10)가 5G 네트워크 코어(b)로 접속할 수 있도록 접속경로 변경을 수행하게 된다(S12-S15).Subsequently,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connection type of the terminal device 10 is the initial connection as a result of checking the connection type in step S11, the access management unit 32 performs service information (UE Usage) in the authentication process with the subscriber management device 40. Type=5G) confirms that the terminal device 10 is a 5G network subscriber. In this way, when the terminal device 10 is a 5G network subscriber, the terminal device 10 first connected to the 4G network core (a) is the 5G network. The connection path is changed so that it can be connected to the core (b) (S12-S15).

이와 관련하여 앞서 예시한 도 5를 참조하면, 4G 기지국(20)은 단말장치(10)에 대한 초기 접속 요청을 4G 네트워크 코어(a)에 위치한 이동성관리장치(30)로 전달하게 되며(1), 접속관리부(32)는 단말장치(10)의 초기 접속 확인에 따라 가입자관리장치(40)와의 인증 과정에서의 서비스정보(UE Usage Type=5G)로부터 단말장치(10)가 5G 네트워크 가입자임을 확인하게 된다(2).In this regard, referring to FIG. 5 exemplified above, the 4G base station 20 transmits an initial access request to the terminal device 10 to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30 located in the 4G network core (a) (1) , The connection management unit 32 confirms that the terminal device 10 is a 5G network subscriber from service information (UE Usage Type=5G) in the authentication process with the subscriber management device 40 according to the initial access confi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 (2).

이때, 접속관리부(32)는 이처럼, 단말장치(10)가 5G 네트워크 가입자임이 확인되는 경우, 단말장치(10)가 5G 네트워크 가입자임을 식별하기 위한 가입자식별정보(MMEGI=5G, UE Usage Type=5G)를 포함하는 접속경로 변경메시지(Reroute Message)를 4G 기지국(20)로 전송함으로써, 5G 네트워크 코어(b)를 비활성화(Inactive) 상태를 관리중인 4G 기지국(20)로 하여금 단말장치(10)에 대한 접속 요청을 4G 네트워크 코어(a)로 재차 전송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3-4).At this time, the connection management unit 32,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terminal device 10 is a 5G network subscriber, subscrib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at the terminal device 10 is a 5G network subscriber (MMEGI = 5G, UE Usage Type = 5G). ) To the 4G base station 20 by transmitting a reroute message including) to the 4G base station 20, which is managing the inactive state of the 5G network core (b), to the terminal device 10. It is possible to retransmit the connection request to the 4G network core (a) (3-4).

한편, 접속관리부(32)는 단계 S11에서의 접속 유형 확인 결과, 단말장치(10)의 접속 유형이 재 접속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단말장치(10)의 접속을 허용한다(S16).On the other h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connection type of the terminal device 10 is reconnection as a result of checking the connection type in step S11, the connection management unit 32 allows the connec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 (S16).

즉, 접속관리부(32)는 단말장치(10)에 대한 접속경로 변경 이후, 제2네트워크 코어가 비활성화(Inactive) 상태로 인해 단말장치(10)에 대한 접속 요청이 4G 기지국(20)로부터 재차 수신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단말장치(10)에 대한 접속 요청을 허용함으로써, DCN 기능의 기본 설정에 따라 장애가 발생된 5G 네트워크 코어(b)로 접속경로를 변경하는 동작이 반복되지 않도록 한다.That is, the connection management unit 32 receives the connection request to the terminal device 10 again from the 4G base station 20 due to the second network core being inactive after changing the access path to the terminal device 10. If it is confirmed that it is confirmed, by allowing the connection request to the terminal device 10, the operation of changing the access path to the failed 5G network core (b) according to the basic setting of the DCN function is not repeated.

이와 관련하여, 앞서 예시한 도 5를 다시 참조하여 설명하면, 4G 기지국(20)은 5G 네트워크 코어(b)를 비활성화(Inactive) 상태를 관리중인 관계로, 이동성관리장치(30)로부터 접속경로 변경메시지(Reroute Message)를 수신한 이후, 단말장치(10)에 대한 접속 요청을 5G 네트워크 코어(b)가 아닌 4G 네트워크 코어(a)로 전송하게 된다(4).In this regard, referring again to FIG. 5 exemplified above, the 4G base station 20 is managing the 5G network core (b) in an inactive state, and thus the access path is changed from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30 After receiving the message (Reroute Message), the connection request to the terminal device 10 is transmitted to the 4G network core (a) rather than the 5G network core (b) (4).

이때, 단말장치(10)에 대한 접속 요청에는 단말장치(10)가 5G 네트워크 가입자임을 식별하기 위한 가입자식별정보(MMEGI=5G, UE Usage Type=5G)를 포함되며, 이러한 가입자식별정보에 따라 확인부(31)를 통해 단말장치(10)의 접속 유형이 재 접속인 것으로 확인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request to the terminal device 10 includes subscrib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MEGI = 5G, UE Usage Type = 5G) for identifying that the terminal device 10 is a 5G network subscriber, and is checked according to 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unit 31,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onnection type of the terminal device 10 is reconnection.

이에, 접속관리부(32)는 단말장치(10)의 재 접속 확인에 따라 DCN 기능의 기본 설정으로 인해 장애가 발생된 5G 네트워크 코어(b)로 접속경로를 변경하는 동작이 반복되지 않도록 단말장치(10)에 대한 4G 네트워크(a)로의 접속을 허용하게 되며, 이후, 가입자관리장치(40)와의 인증 과정을 통해 단말장치(10)가 5G 네트워크 가입자임을 확인하고, 추가적인 위치 등록 절차를 거쳐 단말장치(10)에 대한 PDN(Public Data Network) 생성 및 4G 네트워크 접속을 완료하게 된다(5-6).Accordingly, the connection management unit 32 operates the terminal device 10 so that the operation of changing the connection path to the 5G network core (b) that has failed due to the basic setting of the DCN function according to the reconnection confi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 is not repeated. ) To the 4G network (a), and then, through an authentication process with the subscriber management device 40, it is confirmed that the terminal device 10 is a 5G network subscriber, and the terminal device ( 10) PDN (Public Data Network) creation and 4G network access are completed (5-6).

나아가, 접속관리부(32)는 단계 S16에서의 접속 허용 이후, 5G 네트워크 코어(b)의 장애가 복구에 따라 4G 네트워크 코어(a)에 접속중인 단말장치(10)에 대한 5G 네트워크 코어(b)로의 위치 변경 등록이 요청되는 경우, 단말장치(10)의 접속경로 변경을 통해 상기 위치 변경 등록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가 제2네트워크 코어(b)로 전달되도록 한다(S17-S18).Further, after the connection is allowed in step S16, the connection management unit 32 transfers the 5G network core (b) to the 5G network core (b) for the terminal device 10 connected to the 4G network core (a) according to the recovery of the failure of the 5G network core (b). When a location change registration is requested, a message for requesting the location change registr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network core (b) through a change of the access path of the terminal device 10 (S17-S18).

이와 관련하여 앞서 예시한, 도 6을 참조하면, 접속관리부(32)는 단말장치(10)에 대한 PDN(Public Data Network) 생성 및 4G 네트워크 접속이 완료된 이후, 단말장치(10)에 대한 5G 네트워크 코어(b)로의 위치 변경 등록이 요청되는 경우, 단말장치(10)가 5G 네트워크 가입자임을 식별하기 위한 가입자식별정보(MMEGI=5G, UE Usage Type=5G)를 포함하는 접속경로 변경메시지(Reroute Message)를 4G 기지국(20)로 전송하여 4G 기지국(20)로 하여금 단말장치(10)에 대한 위치 변경 등록 요청을 5G 네트워크 코어(b)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1-2).In this regard, referring to FIG. 6 exemplified above, the access management unit 32 generates a 5G network for the terminal device 10 after the creation of a public data network (PDN) for the terminal device 10 and connection to the 4G network are completed. When registration of location change to the core (b) is requested, a reroute message including subscrib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MEGI = 5G, UE Usage Type = 5G) for identifying that the terminal device 10 is a 5G network subscriber. ) To the 4G base station 20 to allow the 4G base station 20 to transmit a location change registration request for the terminal device 10 to the 5G network core (b) (1-2).

이렇게 되면, 5G 네트워크 코어(b)는 4G 기지국(20)로부터 수신되는 단말장치(10)에 대한 위치 변경 등록 요청에 따라 가입자관리장치(40)와의 인증 과정을 통해 단말장치(10)가 5G 네트워크 가입자임을 확인하고, 이후 추가적인 위치 등록 절차를 거쳐 단말장치(10)에 대한 PDN(Public Data Network) 생성 및 5G 네트워크 접속을 완료할 수 있다(3-5).In this case, the 5G network core (b) is the terminal device 10 through the authentication process with the subscriber management device 40 in accordance with the location change registration request for the terminal device 10 received from the 4G base station 20 After confirming that the subscriber is a subscriber, it is possible to complete the creation of a public data network (PDN) for the terminal device 10 and access to the 5G network through an additional location registration procedure (3-5).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관리장치(30)의 접속 관리 방법에 따르면, 4G 및 5G 네트워크 간 연동 환경에서 DCN(Dedicated Core Network) 기능 구현 시 5G 네트워크 가입자인 단말장치에 대해 4G 네트워크 코어로의 접속이 선택적으로 허용됨에 따라, 5G 네트워크 코어의 장애 발생 시에도 4G 기지국과 4G 네트워크 코어 간에 단말장치의 접속(위치 등록)과 관련된 메시지 무한 루프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로 인한 시스템 성능 저하를 예방하는 효과를 성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ccess management method of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mplementing a DCN (Dedicated Core Network) function in an interworking environment between 4G and 5G networks, a terminal device that is a 5G network subscriber As access to the 4G network core is selectively permitted, even when a 5G network core fails, an infinite loop of messages related to the connection (location regist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between the 4G base station and the 4G network core is prevented. The effect of preventing system performance degradation can be achiev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관리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Meanwhile, the access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i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A hardware device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above-described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so fa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Any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say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the range in which various modifications or modifications are possible.

본 발명에 따른 이동성관리장치 및 이동성관리장치의 접속 관리 방법에 따르면, 4G 및 5G 네트워크 간 연동 환경에서 DCN(Dedicated Core Network) 기능 구현 시 5G 네트워크 가입자인 단말장치에 대해 4G 네트워크 코어로의 접속을 선택적으로 허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According to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and the access management method of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implementing a DCN (Dedicated Core Network) function in an interworking environment between 4G and 5G networks, access to a 4G network core is provided for a terminal device that is a 5G network subscriber. In that it can be selectively allowed, as it exceeds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technology, it is not only the use of the related technology, but also the possibility of marketing or sales of the applied device is sufficient, as well as the degree to be practically obvious, so it is industrially used. It is a possible invention.

10: 단말장치
20: 4G 기지국
30: 이동성관리장치
31: 확인부 32: 접속관리부
40: 가입자관리장치
10: terminal device
20: 4G base station
30: mobility management device
31: confirmation unit 32: connection management unit
40: subscriber management device

Claims (10)

제1네트워크와는 다른 제2네트워크 가입자인 단말장치에 대한 상기 제1네트워크 코어로의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의 접속 유형을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단말장치의 접속 유형 확인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2네트워크 가입자인 상기 단말장치에 대해 상기 제1네트워크 코어로의 접속을 허용하는 접속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관리장치.
A confirmation unit for checking a connection type of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request for access to the first network core for a terminal device, which is a subscriber of a second network different from the first network; And
And a connection management unit for selectively allowing the terminal device, which is the second network subscriber, to access the first network core according to a result of checking the connection type of the terminal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리부는,
상기 단말장치의 접속 유형이 상기 단말장치의 접속경로 변경에 따른 재 접속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단말장치에 대해 상기 제1네트워크 코어로의 접속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관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on management unit,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connection type of the terminal device is a reconnection according to a change of a connection path of the terminal device, the terminal device is allowed to access the first network cor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부는,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상기 제1네트워크 코어로의 접속 요청으로부터 상기 제2네트워크 가입자임을 식별하기 위한 가입자식별정보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단말장치의 접속 유형을 상기 단말장치의 접속경로 변경에 따른 재 접속인 것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관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firmation unit,
When subscrib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second network subscriber is confirmed from the request for access to the first network core for the terminal device, the connection type of the terminal device is reconnect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connection path of the terminal device. Mobility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confirm tha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리부는,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상기 제1네트워크 코어로의 초기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제2네트워크의 가입자인 것이 확인되며, 상기 제2네트워크 코어가 비활성화(Inactive) 상태인 경우, 상기 단말장치의 접속경로 변경을 통해 상기 제2네트워크 가입자임을 식별하기 위한 가입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재 접속 요청이 상기 제1네트워크 코어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관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nection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an initial request for access to the first network core for the terminal device, it is confirmed that the terminal device is a subscriber of the second network, and when the second network core is in an inactive state, the terminal device A mobility manage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onnection request including subscrib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second network subscriber by changing a connection path can be transmitted to the first network co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리부는,
상기 제1네트워크 코어에 접속한 상기 단말장치에 대해 위치 변경 등록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단말장치의 접속경로 변경을 통해 상기 위치 변경 등록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가 상기 제2네트워크 코어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관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on management unit,
When a location change registration is requested for the terminal device connected to the first network core, a message for requesting the location change registr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network core through a change of the connection path of the terminal device. Mobility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by.
이동성관리장치의 접속 관리 방법에 있어서,
제1네트워크와는 다른 제2네트워크 가입자인 단말장치에 대한 상기 제1네트워크 코어로의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의 접속 유형을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의 접속 유형 확인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2네트워크 가입자인 상기 단말장치에 대해 상기 제1네트워크 코어로의 접속을 허용하는 접속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관리 방법.
In the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of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A confirmation step of confirming a connection type of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request for access to the first network core for a terminal device, which is a subscriber of a second network different from the first network; And
And a connection management unit selectively allowing the terminal device, which is the second network subscriber, to access the first network core according to a result of checking the connection type of the terminal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리단계는,
상기 단말장치의 접속 유형이 상기 단말장치의 접속경로 변경에 따른 재 접속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단말장치에 대해 상기 제1네트워크 코어로의 접속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access management step,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connection type of the terminal device is a reconnection according to a change of the connection path of the terminal device, the terminal device is allowed to access the first network cor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부는,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상기 제1네트워크 코어로의 접속 요청으로부터 상기 제2네트워크 가입자임을 식별하기 위한 가입자식별정보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단말장치의 접속 유형을 상기 단말장치의 접속경로 변경에 따른 재 접속인 것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firmation unit,
When subscrib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second network subscriber is confirmed from the request for access to the first network core for the terminal device, the connection type of the terminal device is reconnect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connection path of the terminal device.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o confirm tha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리단계는,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상기 제1네트워크 코어로의 초기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제2네트워크의 가입자인 것이 확인되며, 상기 제2네트워크 코어가 비활성화(Inactive) 상태인 경우, 상기 단말장치의 접속경로 변경을 통해 상기 제2네트워크 가입자임을 식별하기 위한 가입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재 접속 요청이 상기 제1네트워크 코어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access management step,
According to an initial request for access to the first network core for the terminal device, it is confirmed that the terminal device is a subscriber of the second network, and when the second network core is in an inactive state, the terminal device And a reconnection request including subscrib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second network subscriber through a change of a connection path can be transmitted to the first network cor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리부는,
상기 제1네트워크 코어에 접속한 상기 단말장치에 대해 위치 변경 등록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단말장치의 접속경로 변경을 통해 상기 위치 변경 등록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가 상기 제2네트워크 코어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nection management unit,
When a location change registration is requested for the terminal device connected to the first network core, a message for requesting the location change registr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network core through a change of the connection path of the terminal device.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by.
KR1020190089449A 2019-07-24 2019-07-24 Mobility management entity, and method thereof for connection management KR1022225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449A KR102222567B1 (en) 2019-07-24 2019-07-24 Mobility management entity, and method thereof for connection manag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449A KR102222567B1 (en) 2019-07-24 2019-07-24 Mobility management entity, and method thereof for connection manag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187A true KR20210012187A (en) 2021-02-03
KR102222567B1 KR102222567B1 (en) 2021-03-04

Family

ID=74571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449A KR102222567B1 (en) 2019-07-24 2019-07-24 Mobility management entity, and method thereof for connection manag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256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1032A (en) * 2014-08-14 2016-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dedicated core network
KR20180035607A (en) * 2016-09-29 2018-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4g and 5g coexistence system
KR20180060181A (en) * 2016-11-28 2018-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Gateway and network allocation method of gateway, mobile management entity and network allocation method of mobile management entity and terminal and network connecting method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90073526A (en) * 2016-11-04 2019-06-26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between networks and related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1032A (en) * 2014-08-14 2016-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dedicated core network
KR20180035607A (en) * 2016-09-29 2018-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4g and 5g coexistence system
KR20190073526A (en) * 2016-11-04 2019-06-26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between networks and related apparatus
KR20180060181A (en) * 2016-11-28 2018-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Gateway and network allocation method of gateway, mobile management entity and network allocation method of mobile management entity and terminal and network connecting method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2567B1 (en)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3296B2 (en) Isolated network slice selection
US10687271B2 (en) Network accessing method
US1155356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continuity of edge computing service in mobile network
US94178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ootstrapping gateway in device management system
CN113170387B (en) Managing access and mobility functions
CN104796922A (en) CSE (Common Service Entity) trigger management method, device, CSE and carrying network element
JP6829308B2 (en) Session management method and session management network elements
WO2019024102A1 (en) Method for processing se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and terminal device
WO2022068771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CN103379579A (en) Message transmitting method, message trans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accessing terminal to PLMN
KR102222567B1 (en) Mobility management entity, and method thereof for connection management
CN101854678B (en) Access control method and device
JP5092708B2 (en) Terminal software download system, terminal software download method and program used therefor
CN111316701B (en) Handover-based connection recovery techniques
CN106888447B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auxiliary USIM application information
WO2021130810A1 (en) Base station device, terminal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3175666A1 (en) Communication device, method for communication device, terminal device, method for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CN117062253B (en) Communication method
JP7564925B1 (en) Distribution server, distribution server control method, distribution server control program, distribu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CN114885009B (en) Information updating method, system,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5085877B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and IAB node
KR102293025B1 (en) Apparatus for gathering the mother base station information of repeater and method therefor
WO20221047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non-public network subscription information
CN102726074B (en) Charging realization method, access network equipment and system
US2023022376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harging for device identification, addition and/or cha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