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0149A - Movable electrolysis sterilizing water generator - Google Patents

Movable electrolysis sterilizing water gen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0149A
KR20210010149A KR1020190087671A KR20190087671A KR20210010149A KR 20210010149 A KR20210010149 A KR 20210010149A KR 1020190087671 A KR1020190087671 A KR 1020190087671A KR 20190087671 A KR20190087671 A KR 20190087671A KR 20210010149 A KR20210010149 A KR 20210010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hose
electrolysis tank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6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순기
Original Assignee
서순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순기 filed Critical 서순기
Priority to KR1020190087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0149A/en
Publication of KR20210010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14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8Mobile apparatus and plants, e.g. mounted on a vehicl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 C02F2201/46165Special power supply, e.g. solar energy or batte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8Supplying or removing reactants or electroly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electrolytic sterilization disinfection water generating device, which supplies water of a hydrant to an electrolysis tank when electrolyte stored in a storage tank is put into the electrolysis tank to immediately generate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Accordingly, the convenience of use is improved while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of replenishing water by being supplied to the hydrant in small-scale catering houses, plastic houses, poultry farms, pig farms, and the like, and immediately using the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Description

이동식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Movable electrolysis sterilizing water generator}Mobile electrolysis sterilizing water generator {Movable electrolysis sterilizing water generator}

본 발명은 급수전으로부터 용수를 공급받아 전해 살균 소독수를 바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generating device that receives water from a hydrant and directly generates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일반적으로, 현대는 인구가 밀집하여 생활하고 있고, 집단 급식과 매식이 잦으며, 교통 발달로 인구의 이동이 크다. 이에 따라 세균성 전염병이 자주 발생하고, 광역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고, 이러한 여건에서 위생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In general, modern populations are densely populated, group meals and meals are frequent, and the population moves largely due to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ccordingly, bacterial infectious diseases often occur and are becoming widespread, and the importance of hygiene in these circumstances cannot be overemphasized.

이와 같은 생활 여건에 따라 현재 본원 출원인이 출원한 선행기술들을 포함하여 여러 종류의 소독수 생성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In accordance with such living conditions, various types of disinfectant water generating device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including the prior art appli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그러나, 상기와 같은 소독수 생성장치는 용수가 저장되는 수조와 식염이 저장되는 용기를 별도 분리하여 사용하는 관계로 구조가 복잡하고 대형화될 수 밖에 없으며, 이러한 대형화된 소독수 생성장치들은 축사, 대형 식당의 주방, 공중 화장실 등 넓은 공간에는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소규모 급식장이나 농가(예; 비닐 하우스, 양계장, 양돈장 등)에서는 그 사용이 불편하고 장비 가격이 고가인 관계로 사용을 주저하는 경우가 많았다.However, the disinfectant water generat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has a complicated structure and inevitably enlarged because the water tank for storing water and the container for storing salt are separately used, and these large-sized disinfectant water generating devices are It can be effectively used in large spaces such as kitchens and public toilets, but in small scale kitchens and farmhouses (e.g., plastic houses, poultry farms, pig farms, etc.), the use is inconvenient and equipment prices are high, so they are often hesitant to use.

이에 본원 출원인은 대형화된 소독수 생성장치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5129호(이하, '선행기술 1' 이라함)의 소형화된 '이동식 전해 소독수 생성장치' 를 개시하였다.Accordingl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disclosed a miniaturized'mobile electrolytic disinfectant water generating device' of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25129 (hereinafter referred to as'prior art 1')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 of the large-sized disinfectant water generating devic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 1은 용기(전해조)에 소독수의 생성에 필요로 하는 용수와 식염을 일정량 수동 투입하는 방식으로, 이 또한 별도의 수조를 사용하는 방식에서 대두되는 용수의 잦은 수동 투입으로 인해 사용이 불편하고, 구조가 복잡하며, 특히 소형화를 이룬 장점에 비하여 용수의 잦은 보충이 필요로 하게 되면서 전해 살균 소독수를 장시간 지속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대두되었다.However, the prior art 1 as described above is a method of manually injecting a certain amount of water and salt required for the generation of disinfectant water into a container (electrolyzer), and this is also a method of using a separate water bath, by frequent manual injection of water emerging from the method. As a result, it is inconvenient to use, has a complicated structure, and requires frequent replenishment of water compared to the advantage of achieving miniaturization in particular, causing a problem in that electrolytic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water cannot be sustained for a long time.

즉, 소형화로서 이동이 가능한 소독수 생성장치는 정해진 용량으로 정해진 소량의 전해 살균 소독수만을 생성할 수 밖에 없고, 이로인해 작업 현장에서는 전해 살균 소독수의 사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던 것이다.That is, the disinfectant water generating device that can be moved by miniaturization has no choice but to generate only a small amount of electrolytic sterilization and disinfectant water determined at a predetermined capacity, and for this reason, there have been many cases where the use of electrolytic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water is not properly performed at work sites.

등록특허공보 제10-0443894호(공고일 2004.08.09.)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443894 (announcement date 2004.08.09.)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5129호(공고일 2006.08.29.)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25129 (announced on 2006.08.29)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5130호(공고일 2006.08.30.)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25130 (announced on 2006.08.30.)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48153호(공개일 2009.05.13.)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48153 (published on May 13, 2009) 등록특허공보 제10-1942508호(공고일 2019.01.25.)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942508 (announcement date 2019.01.2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저장조에 저장되는 전해질이 전기 분해조에 투입시 이에 급수전의 용수를 공급하여 전해 살균 소독수가 바로 생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소규모 급식장이나 비닐 하우스, 양계장, 양돈장 등의 농가에서 급수전 연결과 동시에 바로 전해 살균 소독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용수 보충의 불편함을 없애는 이동식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when the electrolyte stored in the storage tank is introduced into the electrolysis tank, the electrolytic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water is directly generated by supplying water from the water supply to the electrolysis tank, so that farmers such as small-scale feeding grounds, plastic houses, poultry farms, pig farms It is intended to provide a portable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generating device that eliminates the inconvenience of replenishing water as well as enabling the use of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immediately at the same time as the water supply is connected.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이동식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는, 손잡이 프레임이 일체형을 이룬 것으로서 양측부에 바퀴가 형성되는 대차 프레임; 상기 대차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 외주면에는 급수 연결구와 살균수 배출구가 돌출 형성되는 함체부; 상기 함체부의 상부측에서 상기 대차 프레임에 고정되며, 일정량의 전해질(electrolyte)이 저장되는 저장조; 상기 함체부내에 수용되며, 상기 저장조에 저장되는 전해질을 펌핑하는 펌프; 상기 급수 연결구에 급수 호스가 연결시, 급수전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 공급부; 상기 함체부내에 수용되어 상기 용수 공급부로부터 급수전 용수를 공급받으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극 스크류 단자를 통해 구동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펌프의 펌핑에 의해 공급되는 전해질과 상기 급수전 용수를 전해(eletrolysis) 반응시켜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급수전 용수의 공급압력을 이용하여 배출하는 전기 분해조; 및, 상기 살균수 배출구에 분사 호스가 연결시, 상기 전기 분해조로부터 배출되는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상기 분사 호스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소독수 배출부; 를 포함하는 것이다.The portable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generating device, which is a means of solving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rt frame in which wheel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a handle frame as an integral type; A housing portion fixedly installed on the bogie frame and protruding from a water supply connector and a sterilized water outlet on on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storage tank fixed to the bogie frame at an upper side of the housing portion and stor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electrolyte; A pump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pumping the electrolyte stored in the storage tank; When a water supply hose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connector,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supply water; It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unit and receives water supply from the water supply unit, receives dr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through an electrode screw terminal, and electrolyzes the electrolyte supplied by pumping the pump and the water supply water by electrolysis An electrolysis tank for generating sterilized and disinfecting water and discharging it by using the suppl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water; And, when the spray hose is connected to the sterilization water outlet, the disinfectant water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discharged from the electrolysis tank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ray hose. It includes.

또한, 상기 전기 분해조는 입수구와 출수구가 형성되는 단수 또는 복수의 구조물로서, 상기 전기 분해조의 입수구측에는 분기 관체가 형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electrolysis tank is a single or a plurality of structures in which inlet and outlet are formed, and a branch tube is formed on the inlet side of the electrolysis tank.

또한, 상기 용수 공급부는, 상기 함체부내에 수용되며, 상기 급수 연결구와 일단이 연결되는 제 1 관체; 상기 제 1 관체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전기 분해조의 상기 분기 관체에 연결되는 제 1 호스; 및, 상기 제 1 관체에 형성되며, 상기 급수 연결구에 연결되는 상기 급수 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급수전 용수를 상기 제 1 호스를 통해 상기 전기 분해조에 공급 또는 차단시키도록 개폐되는 제 1 솔레노이드 밸브; 를 포함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y unit, the first tube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the water supply connector and one end is connected; A first hos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pip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branch pipe of the electrolysis tank; And a first solenoid valve formed in the first pipe body and opened and closed to supply or cut off water supply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hos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connector to the electrolysis tank through the first hose. It includes.

또한, 상기 펌프의 입수구측과 상기 저장조의 출수구측은 제 2 호스로 연결하고, 상기 펌프의 출수구측과 상기 전기 분해조의 다른 입수구측은 제 3 호스로 연결하며, 상기 제 3 호스에는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되는 전해질을 상기 전기 분해조에 공급 또는 차단시키도록 개폐되는 제 2 솔레노이드 밸브를 연결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inlet side of the pump and the outlet side of the storage tank are connected with a second hose, the outlet side of the pump and the other inlet side of the electrolysis tank are connected with a third hose, and the third hose is pumped by the pump. It is to connect a second solenoid valve that is opened and closed to supply or cut off the electrolyte to the electrolysis tank.

또한, 상기 함체부내에 수용되는 상기 전원 공급부에는 전원코드를 가지는 전원 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에 의한 상기 전기 분해조로의 구동 전원 공급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되,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저장조에서 상기 전기 분해조에 전해질을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 그리고 이에 연동하여 상기 용수 공급부에서 상기 전기 분해조에 급수전 용수를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시키도록 상기 제 1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제 2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이 탑재되는 것이다.In addition, a power line having a power cord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accommodated in the housing unit, and the supply of driving power to the electrolysis tank by the power supply unit is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the storage tank. A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solenoid valve and the second solenoid valve to supply or cut off the electrolyte to the electrolysis tank, and to supply or cut off the water supply water from the water supply unit to the electrolysis tank in connection therewith. It is mounted.

또한, 상기 소독수 배출부는, 단수 또는 복수로 이루어진 상기 전기 분해조의 각 출수구측에 T자형 연결구를 통해 연결되는 제 2 관체; 및, 상기 제 2 관체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소독수 배출구에 연결되는 제 4 호스; 를 포함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disinfectant water discharging unit may include a second pipe connected to each outlet side of the electrolysis tank in a single or plural number through a T-shaped connector; And, a fourth hos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pip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disinfectant water outlet. It includes.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저장조에 저장되는 전해질이 전기 분해조에 투입시 이에 급수전의 용수를 공급하여 전해 살균 소독수가 바로 생성되도록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소규모 급식장이나 비닐 하우스, 양계장, 양돈장 등의 농가에서 급수전 연결과 동시에 바로 전해 살균 소독수를 사용하고, 용수 보충의 불편함을 없애면서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when the electrolyte stored in the storage tank is injected into the electrolysis tank, the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is directly generated by supplying water from the water supply to it, and through this, in farms such as small-scale feeding grounds, plastic houses, poultry farms, and pig farms. Electrolytic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water is used immediately at the same time as the water supply is connected, an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while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of replenishing water can be expect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이동식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의 구조를 보인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이동식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의 구조를 보인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이동식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의 측단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이동식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에서 용수 공급과 전해 살균 소독수의 배출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
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mobile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mobile electrolytic sterilization and disinfectant water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side view of a mobile electrolytic sterilization disinfectant water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state of supplying water and discharging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in a mobile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the embodiments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is embodiment makes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technology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and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n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ve concep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xemplary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being add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views and/or plan views, which are ideal exemplary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necessary form. For example, the area shown at right angles may be rounded or may have a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Accordingly,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have schematic properties, and the shapes of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re for illustrating a specific shape of the region of the device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ccordingl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even if they are not mentioned or described in the corresponding drawings. Further, even if a reference numeral is not indicated, it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이동식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의 구조를 보인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이동식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의 구조를 보인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이동식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의 측단면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이동식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에서 용수 공급과 전해 살균 소독수의 배출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mobile electrolytically sterilized disinfectant water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mobile electrolytically sterilized disinfectant water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the present invention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able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state of supplying water and discharging the electrolytic sterilizing water in the mobile electrolytic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는, 대차 프레임(10), 함체부(20), 저장조(30), 펌프(40), 용수 공급부(50), 전기 분해조(60, 60'), 살균수 배출부(70)가 포함될 수 있는 것이다.1 to 4, the portable electrolytic sterilization disinfectant water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lance frame 10, a housing part 20, a storage tank 30, a pump 40, and a water supply part. (50), the electrolysis tank (60, 60'), the sterilization water discharge unit 70 may be included.

상기 대차 프레임(10)은 상기 함체부(20)가 설치 고정되는 것으로, 이는 손잡이 프레임(11)이 일체형을 이루면서 양측부에는 바퀴(12)를 형성하여둔 것이다.The bogie frame 10 is that the housing portion 20 is installed and fixed, which has a handle frame 11 formed integrally with wheels 12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상기 함체부(20)는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저장조(30), 상기 펌프(40), 상기 용수 공급부(50), 상기 전기 분해조(60, 60'), 상기 살균수 배출부(7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가지는 박스형 구조물인 것이다.The housing part 20 is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the storage tank 30, the pump 40, the water supply part 50, the electrolysis tank 60, 60', the sterilization water discharge part 70 ) It is a box-shaped structure with an accommodation space for receiving.

이때, 상기 함체부(20)의 일측 외주면에는 상기 용수 공급부(50)와 연결되는 급수 연결구(21), 그리고 상기 살균수 배출부(70)와 연결되는 살균수 배출구(2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급수 연결구(21)에는 급수전과의 연결을 위한 급수 호스(100)가 연결되는 것이고, 상기 살균수 배출구(22)에는 전해 살균 소독수를 필요로 하는 장소에 배출하는 분사 호스(200)가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a water supply connector 21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unit 50 and a sterilization water discharge port 22 connected to the sterilization water discharge unit 70 are protruded on on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unit 20, A water supply hose 100 for connection with a water supply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connector 21, and a spray hose 200 for discharging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to a place where it is needed may be connected to the sterilization water outlet 22. There is.

상기 저장조(30)는 상기 함체부(20)의 상부측에서 상기 대차 프레임(20)에 설치 고정되는 것이며, 이는 일정량의 전해질(E, electrolyte)(예; 소금물)을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The storage tank 30 is installed and fixed to the bogie frame 20 at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part 20, which is capable of storing a certain amount of electrolyte (E) (eg, salt water).

이에 따라, 상기 저장조(30)의 상면에는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덮개에 의해 밀폐되는 투입구가 형성될 수 있고, 저면 또는 일측면에는 상기 전기 분해조(60, 60')에 전해질(E)을 출수시키기 위한 출구수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n inlet port sealed by a cover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tank 30, and the electrolyte E is discharged into the electrolysis tanks 60 and 60' at the bottom or one side. The outlet water can be formed

상기 펌프(40)는 상기 저장조(30)에 저장된 전해질(E)을 펌핑한 후 이를 상기 전기 분해조(60, 60')에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상기 펌프(40)의 입수구측과 상기 저장조(30)의 출수구측은 제 2 호스(H2)로 연결되고, 상기 펌프(40)의 출수구측과 상기 전기 분해조(60)의 다른 입수구측은 제 3 호스(H3)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The pump 40 is configured to pump the electrolyte (E) stored in the storage tank 30 and then supply it to the electrolysis tanks 60 and 60'. To this end, the inlet side of the pump 40 and the The outlet side of the storage tank 30 is connected by a second hose H2, and the outlet side of the pump 40 and the other inlet side of the electrolysis tank 60 may be connected by a third hose H3.

이때, 상기 제 3 호스(H3)에는 상기 펌프(40)에 의해 펌핑되는 전해질(E)을 상기 전기 분해조(60, 60')에 공급 또는 차단시키도록 개폐되는 제 2 솔레노이드 밸브(S2)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펌프(40)의 온/오프 펌핑 동작과 상기 제 2 솔레노이드 밸브(S2)의 개폐 동작은 제어부(8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third hose (H3) has a second solenoid valve (S2) that is opened and closed to supply or cut off the electrolyte (E) pumped by the pump 40 to the electrolysis tanks (60, 60'). It may be connected, and the on/off pumping operation of the pump 4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second solenoid valve S2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80.

상기 용수 공급부(50)는 상기 급수 연결구(21)에 상기 급수 호스(100)가 연결시, 상기 급수 호스(100)를 통해 공급되는 급수전 용수를 상기 전기 분해조(60, 60')에 공급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으로서, 제 1 관체(51), 제 1 호스(H1), 제 1 솔레노이드 밸브(S1)가 포함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water supply hose 100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connector 21, the water supply unit 50 supplies water supply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hose 100 to the electrolysis tanks 60 and 60'. As configured, a first pipe 51, a first hose H1, and a first solenoid valve S1 may be included.

상기 제 1 관체(51)는 상기 함체부(20)내에 수용되어, 상기 급수 연결구(21)와 일단이 연결되는 것이고, 상기 제 1 호스(H1)는 상기 제 1 관체(51)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전기 분해조(60, 60')의 입수구측에 형성되는 분기 관체(63)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The first pipe (51)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20), one end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connector (21), the first hose (H1) is one en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pipe (51) This is connected and the other end can be connected to the branch tube 63 formed on the inlet side of the electrolysis tank (60, 60').

상기 제 1 솔레노이드 밸브(S1)는 상기 제 1 관체(51)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급수 연결구(21)에 연결되는 상기 급수 호스(100)를 통해 공급되는 급수전 용수를 상기 제 1 호스(H1)를 통해 상기 전기 분해조(60, 60')에 공급 또는 차단시키도록 개폐되며, 그 개폐 동작은 상기 제어부(8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The first solenoid valve (S1) is formed in the first pipe (51), and the water supply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hose (100)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connector (21) is supplied to the first hose (H1). It is opened and closed to supply or cut off the electrolysis tanks 60 and 6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80.

즉, 상기 함체부(20)내에 수용되는 전원 공급부(61)에는 전원코드를 가지는 전원 라인(300)이 연결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61)에 의한 상기 전기 분해조(60, 60')로의 구동 전원 공급이 상기 제어부(80)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되, 상기 제어부(80)에는 상기 저장조(30)에서 상기 전기 분해조(60, 60')에 전해질(E)을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 그리고 이에 연동하여 상기 용수 공급부(50)에서 상기 전기 분해조(60, 60')에 급수전 용수를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시키도록 상기 제 1 솔레노이드 밸브(S1)와 상기 제 2 솔레노이드 밸브(S2)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탑재하여둔 것이다.That is, a power line 300 having a power cord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61 accommodated in the enclosure unit 20, and the power supply unit 61 drives the electrolysis tanks 60 and 60'. Power supply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80, but the control unit 80 supplies or cuts off the electrolyte (E) from the storage tank 30 to the electrolysis tanks 60, 60', and interlocks with it. Thus, the first solenoid valve (S1) and the second solenoid valve (S2) are controlled to open and close so that the water supply unit 50 supplies or shuts off the water supply to the electrolysis tanks 60 and 60'. It is equipped with a control program.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어부(80)에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조작 리모콘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 리모콘은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복수의 버튼과 부저 및 표시창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 생성장치의 현재 상태를 부저 또는 표시창 또는 이들을 통해 이를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때, 복수의 버튼에는 전원 온/오프 버튼과 전극 스크류 단자(62) 및 펌프(40)를 온오프시키거나 상기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 밸브(S1, S2)를 개폐시키는 버튼 등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버튼을 미구비하고, 상기 제어부(80)에서 상기 제어 프로그램을 통해 자동으로 각 구성부를 자동으로 동작시킬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remote control circuit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80, the control remote control is the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generation time A plurality of buttons, a buzzer, and a display window that can be set are provided, and the current state of the generating device is notified to the user through a buzzer or a display window or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80.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buttons includes a power on/off button, a button for turning on and off the electrode screw terminal 62 and the pump 40, 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and second solenoid valves S1 and S2. Preferably, a button is not provided, and the controller 80 may automatically operate each component through the control program.

상기 전기 분해조(60, 60')는 단수 또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함체부(20)내에 수용되어 상기 용수 공급부(50)로부터 급수전 용수를 공급받음과 동시에, 전원 공급부(61)로부터 전극 스크류 단자(62)를 통해 구동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펌프(50)의 펌핑에 의해 공급되는 전해질(E)과 상기 급수전 용수를 전해(eletrolysis) 반응시켜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급수전 용수의 공급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살균수 배출구(22)로 배출하는 것이다.The electrolysis tanks (60, 60') may be formed in a single or plural number, and are accommodated in the housing unit (20) to receive water supply from the water supply unit (50), and at the same time, electrodes from the power supply unit (61). When driving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screw terminal 62, the electrolyte (E) supplied by pumping of the pump 50 and the hydration water are electrolyzed to generate electrolytic sterilization and disinfectant water, and this is supplied to the hydration water. It is discharged to the sterilized water outlet 22 using pressure.

여기서, 단수 또는 복수로 이루어진 상기 전기 분해조(60, 60')의 입수구측은 상기 분기관체(63)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분기 관체(63)에 상기 제 1 호스(H1)가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Here, the inlet side of the electrolysis tank (60, 60') consisting of a single or plural number may be formed with the branch pipe body 63, the first hose (H1) can be connected to the branch pipe body 63 will be.

또한, 상기 전극 스크류 단자(62)는 통상적으로 음극과 양극이 복수개 교대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양극은 전해 중에 산화현상에 의한 여러가지 발생하는 문제 극복을 위해 내산화성을 갖는 원소, 즉 백금족 원소를 코팅하여 보호하고, 상기 음극은 비싼 백금족 원소를 코팅하지 않고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전압의 극성을 교대로 바꾸어 가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상기 음극도 백금족 코팅을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electrode screw terminal 62, a plurality of cathodes and anodes may be installed alternately, and the anode contains an element having oxidation resistance, that is, a platinum group element, in order to overcome various problems caused by oxidation during electrolysis. It is protected by coating, and the negative electrode may be used without coating an expensive platinum group element. However, when the polarity of the voltage is alternately applied, the negative electrode may be configured to be coated with a platinum group.

상기 소독수 배출부(70)는 상기 살균수 배출구(22)에 분사 호스(200)가 연결시, 상기 전기 분해조(60, 60')로부터 배출되는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상기 분사 호스(20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것이며, 이는 제 2 관체(72)와 제 4 호스(H4)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spray hose 200 is connected to the sterilization water discharge port 22, the disinfectant water discharge unit 70 transfers the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discharged from the electrolysis tanks 60 and 60' through the spray hose 200. It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which may include a second tube (72) and a fourth hose (H4).

상기 제 2 관체(71)는 단수 또는 복수로 이루어진 상기 전기 분해조(60, 60')의 각 출수구측에 T자형 연결구(71a)를 통해 연결되는 것이고, 상기 제 4 호스(H4)는 상기 제 2 관체(7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소독수 배출구(22)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The second tube 71 is connected through a T-shaped connector 71a to each outlet side of the electrolysis tank 60, 60' consisting of a single or plural number, and the fourth hose H4 2 One end is connected to the pipe body 71 and the other end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disinfectant water outlet 22.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우선 소규모 급식장이나 농가(예; 비닐 하우스, 양계장, 양돈장 등)에 대차 프레임(10)을 이동시킨 후, 상기 대차 프레임(10)에 고정 설치되는 함체부(20)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급수 연결구(21)에 급수전에 연결되는 급수 호스(100)를 연결하는 한편, 살균수 배출구(22)에는 분사 호스(200)를 연결하여둔다.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electrolytic sterilization disinfectant water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Figs. 1 to 4, first, a balance frame 10 in a small-scale feeding facility or farmhouse (eg, a plastic house, a poultry farm, a pig farm, etc.). ) After moving, connect the water supply hose 100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to the water supply connector 21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part 20 fixedly installed on the bogie frame 10, while the sterilized water discharge port The spray hose 200 is connected to (22).

이후, 전원라인(300)의 전원코드를 콘센트에 꽂은 후, 사용자가 조작 리모콘을 조작하여 동작신호를 제어부(80)에 출력하면, 상기 제어부(80)에 탑재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펌프(40)의 펌핑 동작이 온 되고 이와 동시에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 밸브(S1, S2)가 개폐 제어되며, 상기 펌프(40)의 온 펌핑 동작으로부터 저장조(30)에 저장되어 있는 전해질(E)은 제 2 및 제 3 호스(H2, H3)를 통해 단수 또는 복수로 이루어진 전기 분해조(60, 60')에 각각 일정량 투입됨은 물론, 급수전 용수는 급수 호스(100)→급수 연결구(21)→제 1 관체(51)→제 1 호스(H1)를 통해 단수 또는 복수로 이루어진 상기 전기 분해조(60, 60')에 각각 투입된다.Thereafter, after plugging the power cord of the power line 300 into an outlet,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operation remote control and outputs an opera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80, the pump 40 according to the control program installed in the control unit 80 The pumping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olenoid valves S1 and S2 are opened and closed at the same time, and the electrolyte E stored in the reservoir 30 from the on-pumping operation of the pump 40 is And a predetermined amount of each of the electrolysis tanks (60, 60') consisting of a single or plural through the third hose (H2, H3), as well as the water supply hose (100) → water supply connector (21) → the first pipe (51) → The first hose (H1) through the single or plural number of the electrolysis tanks (60, 60') are respectively input.

이때, 상기 제 1 관체(51)에는 제 1 솔레노이드 밸브(S1)가 형성되고, 상기 제 3 호스(H3)에는 제 2 솔레노이드 밸브(S2)가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 밸브(S1, S2)는 상기 제어부(80)에 탑재된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개폐 제어되면서, 상기 전기 분해조(60, 60')에는 설정된 정량의 전해질(E)과 용수가 투입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first solenoid valve (S1) is formed in the first pipe 51, and the second solenoid valve (S2) is formed in the third hose (H3), the first and second solenoid valves The (S1, S2) is controlled to open and close according to the control program mounted in the control unit 80, and the electrolyte (E) and water in a set amount can be injected into the electrolysis tanks 60 and 60'.

그러면, 전극 스크류 단자(62)에 공급되는 전원으로부터 상기 전기 분해조(60, 60')에서는 투입되는 전해질(E)과 용수를 전해 반응시켜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Then, from the power supplied to the electrode screw terminal 62, the electrolysis tanks 60 and 60' electrolytically react the injected electrolyte E and water to generate electrolytic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water.

즉, 상기 전기 분해조(60, 60')에 형성되는 전극 스크류 단자(62)는 양극과 음극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양극과 음극으로 이루어진 상기 전극 스크류 단자(62)에서는 용수와 전해질(E)(예; 소금물)이 투입될 때 전해 반응이 일어나는데, 이러한 전해 반응은 양극 반응(CL2+2e)과 음극 반응(2Na+2H2O+2e 2NaOH+H2)이고, 전체 반응은 Cl2+2NaOH+NaOCl+NaCl+H2O가 되면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포함하는 전해 살균 소독수가 생성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electrode screw terminals 62 formed in the electrolysis tanks 60 and 60' consist of an anode and a cathode, water and an electrolyte (E) (e.g. ; When salt water) is added, an electrolytic reaction occurs.These electrolytic reactions are anodic reactions (CL2+2e) and cathodic reactions (2Na+2H2O+2e 2NaOH+H2), and the total reaction is Cl2+2NaOH+NaOCl+NaCl+H2O. As it becomes, electrolytic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water containing sodium hypochlorite can be produced.

이때, 상기 전기 분해조(60, 60')에는 용수 공급부(50)를 통해 급수전 용수가 공급되고 있으므로, 상기 전기 분해조(60, 60')에서 생성된 전해 살균 소독수는 상기 급수전 용수의 공급 압력을 이용하여 살균수 배출부(70)에 포함되는 제 2 관체(71)와 제 4 호스(H4)를 통해 소독수 배출구(22)에 연결된 분사 호스(200)로 배출되면서, 상기 분사 호스(200)에서는 소규모 급식장이나 농가(예; 비닐 하우스, 양계장, 양돈장 등)의 특정 위치에 전해 살균 소독수를 분사하여, 살균 또는 악취 제거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since the water supply water is supplied to the electrolysis tanks 60 and 60'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50, the electrolytic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water generated in the electrolysis tanks 60 and 60' is the suppl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water. While being discharged to the spray hose 200 connected to the disinfectant water outlet 22 through the second pipe 71 and the fourth hose H4 included in the sterilized water discharge unit 70, the spray hose 200 In, it is possible to perform sterilization or odor removal by spraying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at a specific location in a small-scale feeding facility or farmhouse (eg, plastic house, poultry farm, pig farm, etc.).

한편, 다른 장소에서의 살균 또는 악취 제거가 필요로 하는 경우, 상기 함체부(20)의 급수 연결구(21)로부터 급수 호스(100)를 분리시키는 한편, 전원코드를 콘센트로부터 분리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sterilization or odor removal in other places is required, the water supply hose 100 is separated from the water supply connector 21 of the housing part 20 while the power cord is disconnected from the outlet.

그러면, 상기 대차 프레임(10)은 바퀴(12)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게 되면서, 상기 대차 프레임(10)을 살균 또는 악취 제거가 필요로 하는 장소로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이렇게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설명과 같은 방식과 동일하게 현장에서 바로 급수전을 연결하여 전해 살균 소독수를 즉석하여 바로 생성하고 이를 분사할 수 있는 것이다.Then, the bogie frame 10 can be moved by the wheels 12, and the bogie frame 10 can be easily moved to a place where sterilization or odor removal is requir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it is possible to instantly generate electrolytic sterilization and disinfect water by connecting a water supply at the site and spray it.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이동식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 the technical idea of the portable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gener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is is illustrative of the be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can implement various modifications. Of course, such changes are possible and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대차 프레임 11; 손잡이 프레임
12; 바퀴 20; 함체부
21; 급수 연결구 22; 살균수 배출구
30; 저장조 40; 펌프
H2; 제 2 호스 H3; 제 3 호스
S2; 제 2 솔레노이드 밸브 50; 용수 공급부
51; 제 1 관체 H1; 제 1 호스
S1; 제 1 솔레노이드 밸브 60, 60'; 전기 분해조
61; 전원 공급부 62; 전극 스크류 단자
63; 분기 관체 70; 소독수 배출부
71; 제 2 관체 71a; 연결구
H4; 제 4 호스 80; 제어부
100; 급수 호스 200; 분사 호스
300; 전원 라인
10; Balance frame 11; Handle frame
12; Wheel 20; Enclosure
21; Water connection 22; Sterilized water outlet
30; Reservoir 40; Pump
H2; Second hose H3; Third hose
S2; Second solenoid valve 50; Water supply
51; First tube H1; First hose
S1; First solenoid valve 60, 60'; Electrolysis tank
61; Power supply 62; Electrode screw terminals
63; Branch tube 70; Disinfectant water outlet
71; Second tube 71a; Connector
H4; Fourth hose 80; Control unit
100; Water supply hose 200; Spray hose
300; Power line

Claims (6)

손잡이 프레임이 일체형을 이루며 양측부에 바퀴가 형성되는 대차 프레임;
상기 대차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 외주면에는 급수 연결구와 살균수 배출구가 돌출 형성되는 함체부;
상기 함체부의 상부측에서 상기 대차 프레임에 고정되며, 일정량의 전해질(electrolyte)이 저장되는 저장조;
상기 함체부내에 수용되며, 상기 저장조에 저장된 전해질을 펌핑하는 펌프;
상기 급수연결구에 급수 호스가 연결시 급수전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공급부;
상기 함체부내에 수용되어 상기 용수 공급부로부터 급수전 용수를 공급받으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극 스크류 단자를 통해 구동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펌프의 펌핑에 의해 공급되는 전해질과 상기 급수전 용수를 전해(eletrolysis) 반응시켜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급수전 용수의 공급압력을 이용하여 배출하는 전기 분해조; 및,
상기 살균수 배출구에 분사 호스가 연결시, 상기 전기 분해조로부터 배출되는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상기 분사 호스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소독수 배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
A cart frame in which a handle frame is integrally formed and wheels are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 housing portion fixedly installed on the bogie frame and protruding from a water supply connector and a sterilizing water outlet on on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storage tank fixed to the bogie frame at an upper side of the housing portion and stor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electrolyte;
A pump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pumping the electrolyte stored in the storage tank;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before water supply when a water supply hose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connector;
It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unit and receives water supply from the water supply unit, receives dr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through an electrode screw terminal, and electrolyzes the electrolyte supplied by the pumping of the pump and the hydrant water by electrolysis. An electrolysis tank for generating sterilized and disinfecting water and discharging it using the suppl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water; And,
A disinfectant water discharge unit configured to discharge the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discharged from the electrolysis tank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ray hose when the spray hose is connected to the sterilization water outlet; Mobile electrolytic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water generation devic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분해조는 입수구와 출수구가 형성되는 단수 또는 복수의 구조물로서, 상기 전기 분해조의 입수구측에는 분기 관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ctrolysis tank is a single or a plurality of structures in which an inlet port and an outlet port are formed, and a branch pipe is formed on the inlet side of the electrolysis tank.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 공급부는,
상기 함체부내에 수용되며, 상기 급수 연결구와 일단이 연결되는 제 1 관체;
상기 제 1 관체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전기 분해조의 상기 분기 관체에 연결되는 제 1 호스; 및,
상기 제 1 관체에 형성되며, 상기 급수 연결구에 연결되는 상기 급수 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급수전 용수를 상기 제 1 호스를 통해 상기 전기 분해조에 공급 또는 차단시키도록 개폐되는 제 1 솔레노이드 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water supply unit,
A first pipe housed in the enclosure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connector;
A first hos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pip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branch pipe of the electrolysis tank; And,
A first solenoid valve formed in the first pipe body and opened and closed to supply or cut off water supply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hos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connector to the electrolysis tank through the first hose; Mobile electrolytic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water generation device comprising a.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의 입수구측과 상기 저장조의 출수구측은 제 2 호스로 연결하고, 상기 펌프의 출수구측과 상기 전기 분해조의 다른 입수구측은 제 3 호스로 연결하며, 상기 제 3 호스에는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되는 전해질을 상기 전기 분해조에 공급 또는 차단시키도록 개폐되는 제 2 솔레노이드 밸브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inlet side of the pump and the outlet side of the storage tank are connected with a second hose, the outlet side of the pump and the other inlet side of the electrolysis tank are connected with a third hose, and the electrolyte pumped by the pump is connected to the third hose. Mobile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ing a second solenoid valve that is opened and closed to supply or cut off the electrolysis tank.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부내에 수용되는 상기 전원 공급부에는 전원코드를 가지는 전원 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에 의한 상기 전기 분해조로의 구동 전원 공급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되,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저장조에서 상기 전기 분해조에 전해질을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 그리고 이에 연동하여 상기 용수 공급부에서 상기 전기 분해조에 급수전 용수를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시키도록 상기 제 1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제 2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이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
The method of claim 4,
A power line having a power cord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accommodated in the housing unit, and the supply of driving power to the electrolysis tank by the power supply unit is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includes the first solenoid valve and the second solenoid valve to supply or cut off electrolyte from the storage tank to the electrolysis tank, and interlock with the water supply unit to supply or cut off water supply water to the electrolysis tank. Mobile electrolytic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water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is mounte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수 배출부는,
단수 또는 복수로 이루어진 상기 전기 분해조의 각 출수구측에 T자형 연결구를 통해 연결되는 제 2 관체; 및,
상기 제 2 관체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소독수 배출구에 연결되는 제 4 호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disinfectant water discharge unit,
A second tube connected to each outlet side of the electrolysis tank in a single or plural number through a T-shaped connector; And,
A fourth hos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pip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disinfectant water outlet; Mobile electrolytic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water generation device comprising a.
KR1020190087671A 2019-07-19 2019-07-19 Movable electrolysis sterilizing water generator KR2021001014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671A KR20210010149A (en) 2019-07-19 2019-07-19 Movable electrolysis sterilizing water gen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671A KR20210010149A (en) 2019-07-19 2019-07-19 Movable electrolysis sterilizing water gene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149A true KR20210010149A (en) 2021-01-27

Family

ID=74238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671A KR20210010149A (en) 2019-07-19 2019-07-19 Movable electrolysis sterilizing water gen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0149A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894B1 (en) 2001-04-03 2004-08-09 서순기 Sterilizing Powered Water Supplier
KR200425129Y1 (en) 2006-06-15 2006-08-29 서순기 Movable Disinfectant Generator by Electrolysis
KR200425130Y1 (en) 2006-06-15 2006-08-30 서순기 Installation Type Disinfectant Generator by Electrolysis
KR20090048153A (en) 2007-11-09 2009-05-13 서순기 Different kind liquids mixing device and disinfectant generator by electrolysis using that
KR101942508B1 (en) 2017-02-17 2019-01-25 서순기 Salt Water Supplier for Sterilizing Water Generator and Sterilizing Water Generator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894B1 (en) 2001-04-03 2004-08-09 서순기 Sterilizing Powered Water Supplier
KR200425129Y1 (en) 2006-06-15 2006-08-29 서순기 Movable Disinfectant Generator by Electrolysis
KR200425130Y1 (en) 2006-06-15 2006-08-30 서순기 Installation Type Disinfectant Generator by Electrolysis
KR20090048153A (en) 2007-11-09 2009-05-13 서순기 Different kind liquids mixing device and disinfectant generator by electrolysis using that
KR101942508B1 (en) 2017-02-17 2019-01-25 서순기 Salt Water Supplier for Sterilizing Water Generator and Sterilizing Water Generator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6819B2 (en) Method for generating sterilizing wash water and a portable apparatus thereof
US7008523B2 (en) Electrolytic cell for surface and point of use disinfection
JP4723627B2 (en) Membrane-electrode assembly, electrolytic cell using the same, electrolytic water spray device, and sterilization method
US20030024828A1 (en) Sterilizing method and electrolyzed water producing apparatus
KR200425129Y1 (en) Movable Disinfectant Generator by Electrolysis
JP5022704B2 (en) Electrolyzer for surface and on-site sterilization
KR100802361B1 (en) Electrolysis sterilization disinfecting possibility supply apparatus
KR20090123297A (en) Disinfector for hands
EP1625822B1 (en) Method of cleaning and sterilizing endoscopic camera equipment and apparatus therefor
KR200425130Y1 (en) Installation Type Disinfectant Generator by Electrolysis
KR101206227B1 (en) Buble Generator for Washing Disinfecting Fruit and Vegetable
KR101271179B1 (en) Pipe clean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by using hcl and ice pigging
KR20210010149A (en) Movable electrolysis sterilizing water generator
KR100756030B1 (en) Portable disinfectant generator by electrolysis
CN211749340U (en) Mopping equipment capable of generating hypochlorous acid disinfectant fluid
KR100979808B1 (en) Disinfector for hands
JP2003034889A (en) Method for electrolysis in device for generating strong- electrolyzed water
JP2007160196A (en) Electrolytic sterilizer for water tank
KR102406460B1 (en) Portable electrolytic disinfectant water generator with terminal assembly
KR102282845B1 (en) High-capacity electrolysis sterilizing water production system
CN215961350U (en) Electrolysis deodorization equipment based on organic solid waste treatment workshop
CN215479921U (en) Water treatment equipment
CN216663245U (en) Hand-held high oxidation potential water generator
JP2005313096A (en) Portable electrolytic water generator
CN212770046U (en) Swimming pool disinf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