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9998A - Carrier device and robot system - Google Patents

Carrier device and robo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9998A
KR20210009998A KR1020190087269A KR20190087269A KR20210009998A KR 20210009998 A KR20210009998 A KR 20210009998A KR 1020190087269 A KR1020190087269 A KR 1020190087269A KR 20190087269 A KR20190087269 A KR 20190087269A KR 20210009998 A KR20210009998 A KR 20210009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table
work
turning
arm
degre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2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정혁
Original Assignee
임정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정혁 filed Critical 임정혁
Priority to KR1020190087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9998A/en
Publication of KR20210009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99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96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o-operating with a working support, e.g. work-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75Manipulators for painting or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2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vement of the arms, e.g. cartesian coordinate type
    • B25J9/0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vement of the arms, e.g. cartesian coordinate type by rotating at least one arm, excluding the head movement itself, e.g. cylindrical coordinate type or polar coordinate type
    • B25J9/046Revolute coordinat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transfer device comprises: a rotary arm provided to rotate around a central shaft on a base unit installed on an installation surface and having a front end part passing on a circular track; and a turn table attached to the front end part of the rotary arm and transferrable while a predetermined workpiece is mounted between a work position and a withdrawal and insertion position provided on the circular track. The turn table is rotated at integer multiple times of 360 degrees relative on the installation surface by rotating the rotary arm while the turn table is moved from the work position to the withdrawal and insertion position.

Description

워크탑재 반송장치를 활용한 로봇시스템{CARRIER DEVICE AND ROBOT SYSTEM}Robot system using work-mounted transport device {CARRIER DEVICE AND ROBOT SYSTEM}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실시예는 반송 장치 [0001] 및 로봇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discussed herein relate to a conveying device and a robot system

단부가 원형 궤도 상을 통과하는 선회 아암(swivel arm), 선회 아암의 [0002] 양 단부에 부착된 턴테이블(turntable), 및 턴테이블을 선회 아암에 부착된 위치에서 축 주위로 회전시키는 테이블 회전 기구를 포함하는 종래의 반송 장치가 알려져 있다.[0002] A swing arm whose end passes on a circular orbit, a turntable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swing arm, and a table rotation mechanism for rotating the turntable around the axis at a position attached to the swing arm A conventional conveying apparatus including a device is known.

종래의 반송 장치는 원형 궤도의 중심에 관해 대칭적인 반출입 위치와 작업 위치 사이에서, 턴테이블 상에서 워크(workpiece)를 지지하면서 워크를 반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종래의 반송 장치는 반출입 위치에서 하나의 워크를 턴테이블 상에 공급하는 동작과, 작업 위치에서 다른 워크를 처리하는 동작을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반송 장치는 작업 동작을 효율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A conventional conveying apparatus can convey a workpiece while supporting a workpiece on a turntable between a carrying-in/out position and a working position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a circular track. In other words, since the conventional conveying device can perform the operation of supplying one work onto the turntable at the carry-in/out position and the operation of processing another work at the work position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the conveying device efficiently performs the work operation. Can be realized.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 4190631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알려져 있다. For example, a prior art such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No. 4190631 is known.

그러나, 종래의 반송 장치는 턴테이블이 아암의 선회 동안에 아암에 대해서 회전되지 않는 구성, 또는 턴테이블 아암의 선회 동안에 반송 장치의 설치면에 대해서 회전되지 않는 구성을 갖는다. 후자의 구성의 경우에, 턴테이블이 아암의 선회에 따라 작업 위치와 반출입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동안에 턴테이블은 아암의 회전 방향에반대인 방향으로 180도 회전된다. 이러한 이유는 작업 위치와 반출입 위치 사이에서 턴테이블의 자세를 항상균일하게 하기 위함이다. However, the conventional conveying apparatus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turntable does not rotate with respect to the arm during the turning of the arm, or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turntable does not rotate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surface of the conveying device during the turning of the arm. In the case of the latter configuration, the turntable is rotated 180 degre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arm while the turntable moves between the working position and the carry-in position according to the turning of the arm. This reason is to make the posture of the turntable always uniform between the working position and the carry-in/out position.

반송 장치의 선회 아암이 선회될 때, 턴테이블 상의 워크는 선회로 인해 바람에 노출된다. 종래의 구성에서,워크는 편의된 바람에 노출된다.When the turning arm of the conveying device is turned, the work on the turntable is exposed to the wind due to the turning. In a conventional configuration, the work is exposed to a biased wind.

그러한 상황 하에서, 워크의 표면이 축축한 경우, 먼지 등이 워크의 표면 일부분에 불균일하게 부착된다. 예를들어, 처리 작업이 도장 작업인 경우, 워크의 표면에 따라 건조 속도가 상이하고 이에 따라서 도장 작업이 균일하게 수행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Under such circumstances, when the surface of the work is moist, dust or the like adheres unevenly to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work. For example, when the treatment operation is a painting opera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drying speed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urface of the work and thus the painting operation may not be uniformly performed.

실시예의 태양은 상기의 문제를 고려해 이루어진 것이며, 실시예의 목적은 워크가 반송 동안에 편의된 바람에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반송 장치 및 로봇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aspect of the embodiment has been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embodiment is to provide a transfer device and a robot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a workpiece from being exposed to a convenient wind during transfer.

실시예의 태양에 따른 반송 장치는 선단부가 원형 궤도 상을 통과가능한 선회 아암, 및 선회 아암의 선단부에부착된 턴테이블을 포함한다. 선회 아암은 설치면 상에 설치된 기부 상에 중심축 주위로 선회가능하게 마련된다. 턴테이블은 원형 궤도 상에 마련된 반출입 위치와 작업 위치 사이에서, 소정의 워크를 탑재하면서 반송할수 있다. 선회 아암을 선회시킴으로써 턴테이블이 작업 위치로부터 반출입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 턴테이블은설치면에 대해서 360도의 정수배로 회전된다A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embodiment includes a turning arm whose tip end can pass on a circular orbit, and a turntable attached to the tip end of the turning arm. The turning arm is provided to be pivotable around a central axis on a base provid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The turntable can be conveyed while mounting a predetermined work between the carrying-in/out position and the working position provided on a circular track. By turning the turning arm, the turntable is rotated by an integral multiple of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while the turntable is moved from the working position to the carry-in/out position.

실시예의 태양에 따르면, 워크는 반송 동안에 편의된 바람(biased wind)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처리된 워크의 소정의 표면이 편의된 바람의 영향을 받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워크의 품질이균일하게 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embodiment, the work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biased wind during conveyanc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redetermined surface of the treated work from being affected by the biased wind, and thus the quality of the work may be uniform.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고려될 때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 잘 이해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더 완전한 인식 및 본 발명의 부수적인 이점의 대다수가 용이하게 얻어질 것이다. A more complete recognition of the invention and many of its incidental advantages will be readily obtained as it is better understood by reference to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hen considered in conne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로봇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는 로봇 시스템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반송 장치의 구동 기구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구동 기구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얻어진 설명도,
도 5a는 선회 아암의 하나의 단부가 작업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b는 선회 아암의 하나의 단부가 작업 위치 이외의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턴테이블의 회전을 도시하는 설명도,도 7a는 턴테이블의 작업 위치와 반출입 위치 사이에서의 공전 및 자전을 도시하는 설명도,도 7b는 제 1 비교예에 따른 턴테이블의 작업 위치와 반출입 위치 사이에서의 공전 및 자전을 도시하는 설명도,도 7c는 제 2 비교예에 따른 턴테이블의 작업 위치와 반출입 위치 사이에서의 공전 및 자전을 도시하는 설명도,도 8은 제 1 변형예에 따른 턴테이블의 작업 위치와 반출입 위치 사이에서의 공전 및 자전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9는 제 2 변형예에 따른 턴테이블의 작업 위치와 반출입 위치 사이에서의 공전 및 자전을 도시하는 설명도,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1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of use of a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obot system,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rive mechanism of the convey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4 is an explanatory view obtained by expanding a part of the drive mechanism;
5A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end of the pivoting arm is positioned in a working position;
Fig. 5B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end of the turning arm is positioned at a position other than the working position, Fig. 6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rotation of the turntab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Fig. 7A is a working position and a carry-in position of the turntable Fig. 7B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revolution and rotation between the working position and the carry-in/out position of the turntable according to the first comparative example, and Fig. 7C is a turntable according to the second comparative example. Fig. 8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revolution and rotation between the working position and the carry-in/out position of the turntable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cation;
FIG. 9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revolution and rotation between a working position and a carry-in/out position of a turntable according to a second modified example, FIG. 10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robo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11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of use of a robo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실시예의 태양에 따른 반송 장치는 선단부가 원형 궤도 상을 통과가능한 선회 아암, 및 선회 아암의 선단부에부착된 턴테이블을 포함한다. 선회 아암은 설치면 상에 설치된 기부 상에 중심축 주위로 선회가능하게 마련된다. 턴테이블은 원형 궤도 상에 마련된 반출입 위치와 작업 위치 사이에서, 소정의 워크를 탑재하면서 반송할A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embodiment includes a turning arm whose tip end can pass on a circular orbit, and a turntable attached to the tip end of the turning arm. The turning arm is provided to be pivotable around a central axis on a base provid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The turntable can be transported while mounting a predetermined workpiece between the carry-in/out position and the working position provided on a circular track.

수 있다. 선회 아암을 선회시킴으로써 턴테이블이 작업 위치로부터 반출입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 턴테이블은설치면에 대해서 360도의 정수배로 회전된다.I can. By turning the turning arm, the turntable is rotated by an integral multiple of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while the turntable is moved from the working position to the carrying-in/out position.

[0014]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송 장치 및 로봇 시스템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0014] Hereinafter, a conveying device and a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또한, 하기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In addition, the examples disclosed below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로봇 시스템(3)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로봇 시스템(3)을 도시하는부분 단면도이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시스템(3)의 개요가 설명될 것이다. 1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robot system 3 according to the embodiment.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obot system 3. First, an overview of the robot system 3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0016]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 시스템(3)은 선회 아암(11)을 포함하는 반송 장치(1)와 워크(5)를 처리하는 작업 로봇(2)을 조합함으로써 구성된다. 로봇 시스템(3)은 안전 펜스(42)에 의해 둘러싸인 작업 부스(4) 내부에배치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robot system 3 is configured by combining a conveying device 1 including a turning arm 11 and a work robot 2 for processing the work 5. The robot system 3 is arranged inside the work booth 4 surrounded by a safety fence 42.

작업 로봇(2)은 산업용 다관절 로봇이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 장착 기부(62)를 통해 그것의 실질적으로 중간의 위치에서 반송 장치(1)에 일체로 부착된다. The working robot 2 is an industrial articulated robot, and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conveying device 1 at a position substantially intermediate thereof through the robot mounting base 62 as shown in FIG. 2.

작업 로봇(2) 아래에 마련된 기부 부분(21)이 로봇 장착 기부(62)에 부착되고, 다수의 관절을 갖는 로봇 아암22)이 기부 부분(21)으로부터 연장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 로봇(2)은 6개의 관절 축을 갖는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축의 개수는 단지 예이다. 따라서, 축의 개수는 6개의 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A base portion 21 provided under the working robot 2 is attached to the robot mounting base 62, and a robot arm 22 having a plurality of joints extends from the base portion 21.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the working robot 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six joint axes. Here, the number of axes is just an example. Therefore, the number of axes is not limited to six axes.

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시스템(3)은 워크(5)의 표면을 도장한다. 따라서, 작업 로봇(2)은 도장 로봇으로 불리며, 스프레이 노즐(23)이 엔드 이펙터(end effector)로서 로봇 아암(22)의 선단부에 부착된다. 또한, 작업 로봇(2)은 엔드 이펙터를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The robot system 3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paints the surface of the work 5. Accordingly, the working robot 2 is called a painting robot, and the spray nozzle 23 is attached to the tip of the robot arm 22 as an end effector. In addition, the working robot 2 can perform various tasks by changing the end effecto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부스(4)의 내부 공간에, 반출입 위치(40) 및 작업 위치(41)가 선회 아암(11)의선회 궤도에 대응하는 원형 궤도(R) 상에 미리 설정된다. 반출입 위치(40) 및 작업 위치(41)는 원형 궤도(R)의중심, 즉 선회 아암(11)의 회전 중심(O)(도 6 참조)으로서 작용하는 중심축에 대해서 대칭 위치에 설정된다. As shown in Fig. 1, in the inner space of the working booth 4, the carrying-in/out position 40 and the working position 41 are preset on a circular trajectory R corresponding to the turning trajectory of the turning arm 11 do. The carry-in/out position 40 and the working position 41 are set at a symmetric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ircular trajectory R, that is, the center of rotation O of the turning arm 11 (see Fig. 6).

반출입 위치(40)에서, 미처리된 워크(5)가 하기에 설명될 턴테이블(12)에 공급되거나 도장-처리된 워크(5)가 턴테이블(12)로부터 취출된다. 반면에, 작업 위치(41)에서, 작업 로봇(2)에 의해 워크(5)에 대해 도장 처리가 수행된다. 반송 장치(1)가 하기에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At the carry-in/out position 40, the untreated work 5 is supplied to the turntable 12 to be described below, or the paint-treated work 5 is taken out from the turntable 12. On the other hand, at the working position 41, a painting process is performed on the work 5 by the working robot 2. The conveying device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시스템(3)은 소정의 코팅재 및 공기를 스프레이 노즐(23)에 공급하는 스프레이 패널(24), 및 로봇 시스템(3)을 구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기(25)를 추가로 포함한다. 더욱이, 도 1에는 생략되어있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재 호스(26)가 스프레이 노즐(23)과 스프레이 패널(24) 사이에 The robot system 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spray panel 24 that supplies a predetermined coating material and air to the spray nozzle 23, and a controller 25 that controls the robot system 3 to be driven. Include. Moreover, although omitted in FIG. 1, as shown in FIG. 2, the coating material hose 26 is between the spray nozzle 23 and the spray panel 24.

연결되고, 작업 로봇(2) 및 제어기(25)는 전기 케이블(27, 28, 29)을 통해 연결된다.Is connected, and the working robot 2 and the controller 25 are connected via electric cables 27, 28, 29.

스프레이 패널(24)은 선형체인 코팅재 호스(26)를 통해 소정의 코팅재 및 공기를 스프레이 노즐(23)에 공급하는코팅재 공급 장치, 및 스프레이 노즐(23)이 코팅재를 분무하게 하기 위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장치를 수용한다. The spray panel 24 is a coating material supply device for supplying a predetermined coating material and air to the spray nozzle 23 through a coating material hose 26 having a linear shape, and a spray nozzle 23 supplying air to spray the coating material. It houses the air supply.

제어기(25)는, 스프레이 노즐(23)이 코팅재 또는 공기를 분무하는 분사 시간을 포함하고, 반송 장치(1) 및 작업로봇(2)이 이에 의해 설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동되는 작업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The controller 25 stores a work program that includes the spraying time when the spray nozzle 23 sprays the coating material or air, and the transfer device 1 and the working robot 2 are driven to perform a set operation thereby, have.

반송 장치(1)는 설치면(100) 상에 배치된 기부(6), 및 자유롭게 선회하도록 기부(6) 상에 마련된 선회 아암(11)을 포함한다.The conveying device 1 includes a base 6 disposed on an installation surface 100 and a turning arm 11 provided on the base 6 so as to freely pivot.

기부(6)는 중공형 구조를 갖고, 적어도 선회 아암(11)의 회전 중심(O)(도 6 참조)을 내부에 갖는 중공부(60)를포함한다. 여기에, 소정의 선형체, 즉 로봇을 위한 제 1 전기 케이블(27), 제 2 전기 케이블(28), 및 제 3 전기 케이블(29), 및 추가로 코팅재 호스(26) 등이 중공부(60)를 통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The base 6 has a hollow structure and includes a hollow portion 60 having at least a center of rotation O (see Fig. 6) of the pivot arm 11 therein. Here, a predetermined linear body, that is, a first electric cable 27, a second electric cable 28, and a third electric cable 29 for a robot, and a coating material hose 26, etc. 60) can be inserted into the inside.

턴테이블(12, 12)은 선회 아암(11)의 양 단부에 부착된다. 턴테이블(12, 12)은 선회 아암(11)의 선회에 따라원형 궤도(R) 상에 미리 설정된 반출입 위치(40) 또는 작업 위치(41) 중 어느 한 곳에 위치될 수 있다. Turntables 12 and 12 are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turning arm 11. The turntables 12 and 12 may be positioned at any one of a preset carry-in/out position 40 or a working position 41 on the circular track R according to the turning of the turning arm 11.

다시 말해서, 실질적으로 선형으로 형성된 선회 아암(11)의 양 선단부에 부착된 턴테이블(12, 12)은 원형 궤도(R)를 따라 공전하여 원형 궤도(R) 상에 미리 설정된 반출입 위치(40) 및 작업 위치(41)에 도달할 수 있다. 이 In other words, the turntables 12 and 12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turning arm 11 formed in a substantially linear shape orbit along the circular orbit R, and a preset carry-in/out position 40 on the circular orbit R, and The working position 41 can be reached. this

러한 방식으로, 턴테이블(12, 12) 각각은 그 위에 워크(5)를 탑재하고 이 워크를 반출입 위치(40)와 작업 위치(41) 사이에서 반송한다.In this way, each of the turntables 12 and 12 mounts the work 5 on it and conveys the work between the carry-in/out position 40 and the work position 41.

턴테이블(12, 12) 각각은 각각의 턴테이블이 선회 아암(11)에 부착된 위치에서 워크(5)가 탑재된 상태로 축 주위를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반송 장치(1)는 선회 아암(11)의 양 선단부가 Each of the turntables 12 and 12 is configured to rotate horizontally around an axis in a state where the work 5 is mounted at a position where each turntable is attached to the turning arm 11. In this embodiment, the conveying device 1 has both leading ends of the turning arm 11

반출입 위치(40) 및 작업 위치(41)에 위치될 때 선회 아암(11)을 선회시키는 것을 중지하도록 제어된다. 작업위치(41)에 위치된 턴테이블(12)은 축 주위에서 회전되고 반출입 위치(40)에 위치된 턴테이블(12)은 회전되지않는다.It is controlled to stop turning the swing arm 11 when it is located in the carry-in/out position 40 and the working position 41. The turntable 12 located at the working position 41 is rotated around its axis, and the turntable 12 located at the carry-in position 40 is not rotated.

선회 아암(11)의 선회 시간, 턴테이블(12)이 반출입 위치(40)에 위치되었을 때 회전의 금지, 및 턴테이블(12)이작업 위치(41)에 위치되었을 때 회전 모드는 제어기(25)에 저장된 작업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The turning time of the turning arm 11, the prohibition of rotation when the turntable 12 is positioned in the carry-in/out position 40, and the rotation mode when the turntable 12 is positioned in the working position 41 are set to the controller 25. It can be controlled by the stored work program.

이러한 방식으로, 워크(5)는 반출입 위치(40)에서 턴테이블(12, 12) 중 하나 상에 탑재될 수 있고, 그 후에 워크(5)는 작업 위치(41)에서 도장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선회 아암(11)을 180도만큼 선회시킴으로써 작업 위치41)로 반송될 수 있다. 그 다음에, 도장 작업 동안에 그 위치에서 턴테이블(12)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 In this way, the work 5 can be mounted on one of the turntables 12 and 12 at the carry-in/out position 40, after which the work 5 is pivoted to perform the painting operation at the work position 41. It can be conveyed to the working position 41 by turning the arm 11 by 180 degrees. Then, by rotating the turntable 12 horizontally at that position during painting work

써 3차원 표면을 갖는 워크(5) 전체가 균일하게 도장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entire work 5 having a three-dimensional surface can be uniformly coated.

한편, 작업 위치(41)에서 작업이 수행될 때, 반출입 위치(40)에 위치된 턴테이블(12)은 정지되고 다음에 도장될미처리된 워크(5)가 그 위에 탑재된다. 작업 위치(41)에서 도장 작업이 종료되면, 도장이 완료된 처리된 워크(5)를 취출하기 위해 선회 아암(11)을 180도만큼 추가로 선회시킴으로써 워크(5)가 반출입 위치(40)로반송된다. 이때, 반출입 위치(40)에서 앞서 탑재된 미처리된 워크(5)가 탑재된 턴테이블(12)은 작업 위치(41)에 위치된다. 더욱이, 반출입 위치(40)와 작업 위치(41) 사이의 선회 아암(11)의 선회 방향은 왕복 이동을 수행하도록 양 위치에서 반대로 될 수 있거나, 양 위치를 통과하도록 항상 동일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work is performed at the work position 41, the turntable 12 located at the carry-in/out position 40 is stopped and the untreated work 5 to be painted next is mounted thereon. When the painting work is finished at the working position 41, the work 5 is transferred to the carrying-in/out position 40 by additionally turning the turning arm 11 by 180 degrees to take out the painted work 5 do. At this time, the turntable 12 on which the unprocessed work 5 previously mounted in the carry-in/out position 40 is mounted is located at the work position 41. Moreover, the turning direction of the turning arm 11 between the carry-in/out position 40 and the working position 41 can be reversed at both positions to perform a reciprocating movement, or can always be the same to pass both positions.

이러한 방식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시스템(3)은 작업 프로그램에 따라 도장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있다. 더욱이, 워크(5)의 도장 표면이 요철을 갖는 3차원 형상인 경우에도, 균일한 도장 필름 두께를 갖도록워크에 도장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In this way, the robot system 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efficiently perform the paint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work program. Moreover, even when the coating surface of the work 5 is a three-dimensional shape having irregularities, a coating process may be performed on the work so that it has a uniform coating film thickness.

여기서, 워크(5)는 예를 들어 휴대폰의 섀시, 개인용 컴퓨터의 섀시, 및 자동차의 계기판을 포함한다. 그러나,이 점에 관해서, 워크가 도장되어야 하고 반송 장치(1)의 턴테이블(12, 12) 상에 탑재될 수 있다면, 워크(5)는 Here, the work 5 includes, for example, a chassis of a mobile phone, a chassis of a personal computer, and an instrument panel of a vehicle. However, in this regard, if the work has to be painted and can be mounted on the turntables 12, 12 of the conveying device 1, the work 5 is

임의의 워크일 수 있다. 더욱이, 한 번에 턴테이블(12) 상에 탑재되는 워크의 개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It can be any work. Moreover, the number of workpieces mounted on the turntable 12 at a time may be more than one.

본 실시예에 따른 반송 장치(1) 및 로봇 시스템(3)의 특징적인 구성은 반송 장치(1)의 선회 아암(11)을 180도만큼 회전시킴으로써 턴테이블(12)이 반출입 위치(40)와 작업 위치(41) 사이에서 통과하거나 왕복하는 동안의 턴테이블(12, 12)의 회전 모드이다. The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transfer device 1 and the robot system 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at the turntable 12 works with the carry-in/out position 40 by rotating the turning arm 11 of the transfer device 1 by 180 degrees. This is the rotation mode of the turntables 12 and 12 while passing or reciprocating between positions 41.

다시 말해서, 턴테이블(12, 12)은 설치면(100)에 대해서 360도의 정수배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반면, 턴테이블(12)은 선회 아암(11)을 180도만큼 회전시킴으로써 반출입 위치(40)와 작업 위치(41) 사이에서 통과하거나 왕복 In other words, the turntables 12 and 12 are configured to be rotated by an integer multiple of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100, while the turntable 12 rotates the turning arm 11 by 180 degrees to work with the carry-in/out position 40. Passing or returning between positions (41)

한다.do.

이하에, 턴테이블(12)의 회전 모드가 반송 장치(1)의 구체적인 구성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먼저, 본실시예에 따른 로봇 시스템(3)에 포함된 반송 장치(1)가 도 2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In the following, the rotation mode of the turntable 1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ogether with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conveying device 1. First, the conveying apparatus 1 included in the robot system 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B. Figure 3

실시예에 따른 반송 장치(1)의 구동 기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구동 기구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얻어진 설명도이다. 도 5a는 선회 아암(11)의 하나의 단부가 작업 위치(41)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rive mechanism of the convey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4 is an explanatory view obtained by expanding a part of the drive mechanism. 5A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end of the pivoting arm 11 is positioned at the working position 41.

도 5b는 선회 아암(11)의 하나의 단부가 작업 위치(41) 이외의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 장치(1)는 관형 기부(6) 상에 회전가능하게 [0038] 마련된 선회 아암(11)을 포5B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end of the turning arm 11 is positioned at a position other than the working position 41.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conveying device 1 is a tubular base (6) It includes a turning arm 11 provided to be rotatable on the top

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관형 기부(6)는 설치면(100)에 고정되도록 하부 단부에 마련된 설치 기부(61), 및상부 단부에 마련된 로봇 장착 기부(62)를 포함한다. 선회 아암(11)은 기부(6)를 중심으로 하여 선형으로 연장된다. 한 쌍의 턴테이블(12, 12)이 선회 아암의 양 단부에 부착된다.Is configured to contain. Here, the tubular base 6 includes an installation base 61 provided at a lower end so as to be fixed to the installation surface 100, and a robot mounting base 62 provided at an upper end. The pivot arm 11 extends linearly about the base 6. A pair of turntables 12 and 12 are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turning arm.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 아암(11)을 선회시키는 아암 선회 기구(7)는 아암 선회 링 기어(71) 및 선회 모터(72)를 포함한다. 아암 선회 링 기어(71)는 기부(6)의 아암 지지 원주면(6a)에 연접되고, 또한 선회 아암11)의 바닥에 연접된다. 선회 모터(72)에는 아암 선회 링 기어(71)와 맞물리는 구동 기어(73)에 선단부가 부 As shown in FIG. 3, the arm turning mechanism 7 for turning the turning arm 11 includes an arm turning ring gear 71 and a turning motor 72. The arm pivoting ring gear 71 is connected to the arm support circumferential surface 6a of the base 6 and is also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pivoting arm 11. The slewing motor 72 has a tip portion attached to the drive gear 73 meshing with the arm slewing ring gear 71.

착된 출력 샤프트(721)가 마련된다. 더욱이, 감속기(도시되지 않음)가 선회 모터(72)의 출력 샤프트(721)에 연결된다.A fitted output shaft 721 is provided. Moreover, a reducer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721 of the turning motor 72.

선회 모터(72)는 기부(6)의 외측에 부착된다. 더 구체적으로, 반송 장치(1)가 작업 부스(4) 내측에 배치될 때,선회 모터(72)는 기부(6)의 외측에서 반출입 위치(40)에 가까운 측에, 선회 모터가 모터 케이스(700) 내에 수용 The turning motor 72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6. More specifically, when the conveying device 1 is disposed inside the work booth 4, the turning motor 72 is on the side close to the carry-in position 40 from the outside of the base 6, and the turning motor is a motor case ( Accommodated within 700)

된 상태로 부착된다.Attached in the state

아암 선회 링 기어(71)는 선회 아암(11)의 하부 부분에 고정되고, 기부(6)의 아암 지지 원주면(6a)에 연접된 베어링인 크로스 롤러(cross roller)(70)를 통해 기부(6)의 원주면을 따라 회전하여, 선회 아암(11)을 The arm slewing ring gear 71 is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slewing arm 11 and connected to the arm support circumferential surface 6a of the base 6 through a cross roller 70, which is a base ( 6) by rotat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선회시킨다.Turn.

다시 말해서, 선회 아암(11)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은 아암 선회 기구(7)에서 "선회 모터(72) → 출력 샤프트(721) → 구동 기어(73) → 아암 선회 링 기어(71) → 선회 아암(11)"과 같이 공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선회 아암(11)은 턴테이블(12, 12)이 기부(6) 주위를 공전하는 방식으로 선회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power for rotating the turning arm 11 is "slewing motor 72 → output shaft 721 → drive gear 73 → arm turning ring gear 71 → turning arm in the arm turning mechanism 7" (11)". In this way, the pivot arm 11 can be pivoted in such a way that the turntables 12 and 12 orbit around the base 6.

선회 모터(72)는 아암 선회 링 기어(71)가 180도 회전될 때마다 선회 모터의 출력이 중지되도록 작업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된다. 다시 말해서, 선회 아암(11)은 양 선단부에 마련되어 원형 궤도(R)를 따라 선회하는 턴테이 The turning motor 72 is controlled by a work program such that the output of the turning motor is stopped whenever the arm turning ring gear 71 is rotated 180 degrees. In other words, the turning arm 11 is provided at both ends and turns along the circular orbit R.

블(12, 12)을, 기부(6)가 사이에 위치되는 반출입 위치(40)와 작업 위치(41) 사이에서, 그 위치에서 소정 시간동안 턴테이블을 정지시키면서 회전시키거나 왕복시킬 수 있다.The blocks 12 and 12 may be rotated or reciprocated while stopping the turntable for a predetermined time at that position between the carry-in/out position 40 and the work position 41 in which the base 6 is positioned between.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선회 모터(72)가 구동될 때, 아암 선회 링 기어(71)는 회전되고 이에 따라 선회아암(11)은 그것의 선단부가 선회 궤적을 그리면서 선회된다. 다시 말해서, 선회 아암(11)의 양 단부에 각각부착된 턴테이블(12, 12)은 반출입 위치(40)와 작업 위치(41) 사이를 원형 궤도(R)를 따라 이동한다. 이러한By adopting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turning motor 72 is driven, the arm turning ring gear 71 is rotated and thus the turning arm 11 is turned with its tip end drawing a turning trajectory. In other words, the turntables 12 and 12 respectively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turning arm 11 move along the circular trajectory R between the carry-in/out position 40 and the working position 41. Such

방식으로, 턴테이블(12) 상에 탑재된 워크(5)는 반출입 위치(40)로부터 작업 위치(41)로, 또는 작업 위치(41)로부터 반출입 위치(40)로 반송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work 5 mounted on the turntable 12 can be conveyed from the carry-in/out position 40 to the work position 41 or from the work position 41 to the carry-in/out position 40.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선회 아암(11)의 양 단부에 마련된 턴테이블(12, 12) 중 하나가 작업 위치(41)에위치된 경우, 반송 장치(1)는 턴테이블(12)이 선회 아암(11)에 부착된 위치에서 턴테이블(12)이 축 주위를 회전하게 하는 테이블 회전 기구(8)를 포함한다. When one of the turntables 12 and 12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turning arm 11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located at the working position 41, the conveying device 1 includes the turntable 12 and the turning arm 11 ) In a position attached to the turntable 12 to rotate around its axis.

테이블 회전 기구(8)는 선회 아암(11)의 아암 케이스(110) 내에 수용된 제 1 케이스내 회전 샤프트(121) 및 제2 케이스내 회전 샤프트(122)와, 연동 방식으로 이들에 결합된 일차 테이블 회전 샤프트(81)를 포함한다. The table rotation mechanism 8 includes a first in-case rotating shaft 121 and a second in-case rotating shaft 122 accommodated in the arm case 110 of the rotating arm 11, and a primary table coupled to them in an interlocking manner. It includes a rotating shaft 81.

다시 말해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내 회전 샤프트(121)는 턴테이블(12)에 직접 연결되고 수직으로 연장된다. 반면에, 제 2 케이스내 회전 샤프트(122)는 아암 케이스(110) 내측에서 수평방향으로연장되며, 여기서 그것의 선단부는 연동 방식으로 제 1 케이스내 회전 샤프트(121)에 결합되고 그것의 기단부는이차 베벨 기어(124)가 마련된 전동 샤프트(123)에 연결된다. 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rotation shaft 121 in the first cas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turntable 12 and extends vertically. On the other hand, the rotation shaft 122 in the second case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arm case 110, where the tip thereof is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121 in the first case in an interlocking manner, and the base end thereof The secondary bevel gear 124 i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shaft 123 provided.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 회전 기구(8)는 연동 방식으로 일차 테이블 회전 기구(81)에 결합될수 있는 동력원으로서 작용하는 테이블 회전 모터(80)를 추가로 포함한다. 반송 장치(1)가 작업 부스(4) 내측에 배치될 때, 테이블 회전 모터(80)는 기부(6)의 외측에서 작업 위치(41)에 가까운 측에, 테이블 회전 모터가 2 and 3, the table rotation mechanism 8 further includes a table rotation motor 80 serving as a power source capable of being coupled to the primary table rotation mechanism 81 in an interlocking manner. When the conveying device 1 is disposed inside the work booth 4, the table rotation motor 80 is on the side close to the work position 41 from the outside of the base 6, and the table rotation motor is

케이스(800) 내에 수용된 상태로 부착된다.It is attached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case 800.

일차 테이블 회전 샤프트(81)는 하기에 설명될 테이블 회전 기구의 일부를 구성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차 테이블 회전 샤프트(81)는 아암 선회 링 기어(71)에 마련된 관통 구멍(710) 내로 삽입되어 선회 아 The primary table rotation shaft 81 constitutes a part of the table rotation mechanism to be described below. 3, the primary table rotation shaft 81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710 provided in the arm turning ring gear 71

암(11)과 함께 기부(6) 주위를 회전(공전)한다.Together with the arm 11, it rotates (orbits) around the base 6.

더욱이, 일차 테이블 회전 샤프트(81)의 선단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 베벨 기어(124)와 맞물리는일차 베벨 기어(811)가 마련된다. 반면에, 일차 테이블 회전 샤프트(81)의 기단부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바와 같이, 기부(6)의 외주면 상에 고정된 안내 링 기어(63)와 맞물릴 수 있고 연동 방식으로 테이블 회전 모터(80)의 회전 샤프트(801)에 결합되는 전동 기어(91)가 마련된다.Furthermore, as shown in FIG. 3, a primary bevel gear 811 meshed with the secondary bevel gear 124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primary table rotation shaft 81. On the other hand, at the base end of the primary table rotation shaft 81,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table can be engaged with the guide ring gear 63 fix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6 and in an interlocking manner. A transmission gear 91 that is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801 of the rotation motor 80 is provided.

이러한 경우에, 두 쌍의 제 1 케이스내 회전 샤프트(121), 제 2 케이스내 회전 샤프트(122), 전동 샤프트(123),및 일차 테이블 회전 샤프트(81)는, 기부(6)가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두 쌍의 각각의 구성요소가 대칭 위치에 In this case, the two pairs of the first in-case rotation shaft 121, the second in-case rotation shaft 122, the electric shaft 123, and the primary table rotation shaft 81, the base 6 is between Positioned, each component of the two pairs is in a symmetrical position.

위치되는 방식으로 전술된 테이블 회전 기구(8)에 마련된다.It is provided in the table rotation mechanism 8 described above in a positioned manner.

기부(6)의 작업 위치(41)에 가까운 측에 단독으로 마련된 테이블 회전 모터(80)에서, 회전 샤프트(801)는 상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일차 테이블 회전 샤프트(81)가 작업 위치(41)에 위치될 때, 일차 테이블 회전 샤프트(81)의 기단부에 마련된 관형 전동 기어(91)의 하부 부분과 테이블 회전 모터(80)의 회전 샤프트(801)의 선단부에 마련된 출력 기어(802)가 이때 서로 맞물린다. In the table rotation motor 80 provided solely on the side close to the working position 41 of the base 6, the rotation shaft 801 extends upward. Therefore, when the primary table rotation shaft 81 is positioned at the working position 41, the lower portion of the tubular transmission gear 91 provided at the base end of the primary table rotation shaft 81 and the rotation shaft of the table rotation motor 80 The output gears 802 provided at the tip end of 801 mesh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선회 아암(11)의 선회 동작이 중지되고 턴테이블(12, 12) 중 하나가 작업 위치(41)에 위치되면, 턴테이블(12,12)의 다른 하나는 반출입 위치(40)에 위치된다. 이때, 반출입 위치(40)에 위치된 턴테이블(12)은 그 위치에서 When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turning arm 11 is stopped and one of the turntables 12 and 12 is positioned at the working position 41, the other of the turntables 12 and 12 is positioned at the carrying-in/out position 40. At this time, the turntable 12 located at the carry-in/out position 40 is

회전(축 주위를 회전)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턴테이블(12)에 결합된 일차 테이블 회전 샤프트(81)의 전동 기어(91)가 기부(6)의 외주면 상에 고정된 안내 링 기어(63)와 기계적으로 맞물리기 때문이다.It does not rotate (rotate around the shaft), because the drive gear 91 of the primary table rotation shaft 81 coupled to the turntable 12 is fix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se 6, the guide ring gear 63 Because it is mechanically engaged with.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반송 장치(1)는 턴테이블(12)이 작업 위치(41)에 위치된 경우 테이블 회전모터(80)를 사용함으로써 턴테이블(12)을 원하는 회전 속도 및 회전수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의 동력원인 테이블 회전 모터(80)는 하나의 모터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비용 감소가 달성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transfer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ses the table rotation motor 80 when the turntable 12 is positioned at the working position 41 to achieve a desired rotation speed and rotation speed of the turntable 12. Can be rotated with In addition, the table rotation motor 80, which is a power source for rotation, can be realized by a single motor. Thus, cost reduction can be achieved.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 기어(91)의 상부 부분이 안내 링 기어(63)와 맞물리기 때문에, 전동 기어(91)는 아암 선회 링 기어(71)가 회전되어 선회 아암(11)을 회전시킬 때 안내 링 기어(63)와 맞물려 있으면서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4, since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mission gear 91 meshes with the guide ring gear 63, the transmission gear 91 is the arm swing ring gear 71 is rotated and the swing arm 11 )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guide ring gear (63) when rotating

선회 아암(11)과 함께 회전(공전)된다.It rotates (orbits) together with the swing arm 11.

다시 말해서, 일차 테이블 회전 샤프트(81)는 선회 아암(11)과 함께 회전(공전)된다. 이때, 일차 테이블 회전샤프트(81)는 아암 선회 링 기어(71)와 맞물린 전동 기어(91)를 통해 축 주위에서 회전된다(상세 사항은 하기에설명됨) 다른 한편으로, 일차 테이블 회전 샤프트(81)는 전술된 바와 같이 연동 방식으로 제 2 케이스내 회전샤프트(122) 및 제 1 케이스내 회전 샤프트(121)를 통해 턴테이블(12)에 결합된다. 따라서, 일차 테이블 회전샤프트(81)의 공전에서의 회전 동작은 제 2 케이스내 회전 샤프트(122) 및 제 1 케이스내 회전 샤프트(121)를통해 턴테이블(12)이 축 주위를 회전하게 한다. In other words, the primary table rotation shaft 81 is rotated (orbited) together with the swing arm 11. At this time, the primary table rotation shaft 81 is rotated around the shaft through the transmission gear 91 meshed with the arm pivot ring gear 71 (details will be described below). On the other hand, the primary table rotation shaft 81 Is coupled to the turntable 12 through the rotation shaft 122 in the second case and the rotation shaft 121 in the first case in an interlocking manner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primary table rotation shaft 81 in revolution causes the turntable 12 to rotate around the axis through the rotation shaft 122 in the second case and the rotation shaft 121 in the first case.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반송 장치(1)는 턴테이블(12)이 반출입 위치(40)와 작업 위치(41) 사이를통과하거나 왕복하는 동안에 턴테이블(12)이 축 주위를 회전하게 하는 테이블 회전 기구를 포함한다. 테이블회전 기구는 테이블 회전 기구(8)의 일부를 구성하는 일차 테이블 회전 샤프트(81)를 공유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vey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llows the turntable 12 to rotate around an axis while the turntable 12 passes or reciprocates between the carry-in/out position 40 and the working position 41. It includes a table rotation mechanism. The table rotation mechanism shares a primary table rotation shaft 81 constituting a part of the table rotation mechanism 8.

일차 테이블 회전 샤프트(81)는 그것의 선단부가 연동 방식으로 제 2 케이스내 회전 샤프트(122) 및 제 1 케이스내 회전 샤프트(121)를 통해 턴테이블(12)에 결합되고 그것의 기단부가 전동 기어(91)에 고정되고 회전되기위해 기부(6)의 외주면 상에 고정된 안내 링 기어(63)와 맞물리는 구성을 갖는다. The primary table rotation shaft 81 is coupled to the turntable 12 through the second in-case rotation shaft 122 and the first in-case rotation shaft 121 in an interlocking manner at its tip, and its base end portion is coupled to a transmission gear ( 91) to be fixed and rotated, it has a configuration that engages with the guide ring gear 63 fix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6.

이때, 턴테이블(12)의 공전의 각속도와 자전의 각속도는 같다. 다시 말해서, 턴테이블(12)이 반출입 위치(40)와 작업 위치(41) 사이를 통과하거나 왕복하는 동안에, 선회 아암(11)의 선회의 각속도 대 턴테이블(12)의 회전 At this time, the angular velocity of revolution and the angular velocity of rotation of the turntable 12 are the same. In other words, while the turntable 12 passes or reciprocates between the carry-in/out position 40 and the working position 41, the angular speed of the turning of the turning arm 11 versus the rotation of the turntable 12

의 각속도의 비(ratio)는 1:1로 설정된다. 이러한 경우의 턴테이블(12)의 작동이 도 6 및 도 7a 내지 도 7c를참조하여 하기에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The ratio of the angular velocity of is set to 1:1. The operation of the turntable 12 in this cas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A to 7C.

이러한 방식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반송 장치(1)는 선회 아암(11)을 180도만큼 선회시킴으로써 턴테이블(12)이반출입 위치(40)와 작업 위치(41) 사이를 통과하거나 왕복하는 동안에 턴테이블(12)을 선회 아암(11)의 선회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선회 아암(11)에 대해서 180도만큼 회전시킨다. In this way, the convey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otates the turning arm 11 by 180 degrees, so that the turntable 12 passes between the carry-in/out position 40 and the working position 41 or while reciprocating. (12) is rotated by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turning arm 11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turning direction of the turning arm 11.

전술된 바와 같이, 테이블 회전 기구(8)는 테이블 회전 모터(80)를 제외한 구성요소를 선회 아암(11)과 함께 기부(6) 주위에 회전(공전)시키고, 공전 동안에 턴테이블(12)을 축 주위에 회전시킨다. 그 다음에, 선회 아암(11) 상의 턴테이블(12, 12) 중 하나가 작업 위치(41)에 위치될 때, 턴테이블(12)은 이때 연동 방식으로 테이블 As described above, the table rotation mechanism 8 rotates (revolves) components other than the table rotation motor 80 around the base 6 together with the swing arm 11, and the turntable 12 is axially rotated. Rotate around Then, when one of the turntables 12 and 12 on the turning arm 11 is positioned at the working position 41, the turntable 12 is then operated in an interlocking manner.

회전 모터(80)에 결합되고, 이에 따라 도장 작업에 적합한 회전수 및 회전 속도로 회전될 수 있다.It is coupled to the rotation motor 80, and accordingly can be rotated at a rotation speed and rotation speed suitable for painting work.

다시 말해서, 턴테이블(12)을 원하는 회전수와 회전 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테이블 회전 기구(8)의 동력은 하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선회 아암(11) 상의 턴테이블(12, 12) 중 하나가 작업 위치(41)에 위치된 상태에서 전In other words, the power of the table rotation mechanism 8 for rotating the turntable 12 at a desired rotational speed and rotational speed is one of the turntables 12 and 12 on the turning arm 11 as described below. While located at (41) I

달된다.Is reached.

다시 말해서, 턴테이블(12)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은 "테이블 회전 모터(80) → 회전 샤프트(801) → 출력 기어(802) → 전동 기어(91) → 일차 테이블 회전 샤프트(81) → 일차 베벨 기어(811) → 이차 베벨 기어(124) →전동 샤프트(123) → 제 2 케이스내 회전 샤프트(122) → 제 1 케이스내 회전 샤프트(121) → 턴테이블(12)"과같이 공급된다. In other words, the power for rotating the turntable 12 is “table rotation motor 80 → rotation shaft 801 → output gear 802 → transmission gear 91 → primary table rotation shaft 81 → primary bevel gear (811) → secondary bevel gear 124 → electric shaft 123 → rotation shaft 122 in the second case → rotation shaft 121 in the first case → turntable 12" is supplied.

본 실시예에서, 전술된 동력의 전달을 실현하기 위해, 도 4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부(6)에 고정된 안내 링 기어(63)의 주연부에, 작업 위치(41)에 면하는 위치에 원호 형상의 절결부(64)가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realize the transmission of the power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s. 4 and 5A, on the periphery of the guide ring gear 63 fixed to the base 6, the surface at the working position 41 An arc-shaped cutout 64 is formed at the position.

다시 말해서, 턴테이블(12, 12) 중 하나가 작업 위치(41)에 위치되고 선회 아암(11)의 선회가 중지되는 경우,선회 아암(11)과 함께 기부(6) 주위를 공전 및 자전하는 일차 테이블 회전 샤프트(81)의 전동 기어(91)는 테이블 회전 모터(80)의 출력 기어(802)와 맞물린다. 한편, 지금까지는 전동 기어(91)가 안내 링 기어(63)와 맞물려 기부 주위를 공전하였지만, 전동 기어(91)는 전동 기어(91)가 절결부(64)에 위치된 후에 안내 링 기어(63)와 In other words, when one of the turntables 12 and 12 is located at the working position 41 and the turning of the turning arm 11 is stopped, the primary rotation and rotation around the base 6 together with the turning arm 11 The transmission gear 91 of the table rotation shaft 81 meshes with the output gear 802 of the table rotation motor 80. On the other hand, so far, the transmission gear 91 meshes with the guide ring gear 63 and revolves around the base, but the transmission gear 91 is the guide ring gear 63 after the transmission gear 91 is positioned at the cutout 64 )Wow

의 맞물림으로부터 자유로워진다.Is free from interlocking.

따라서, 아암 선회 기구(7)의 선회 모터(72)가 선회 아암(11)의 턴테이블(12, 12) 중 하나가 작업 위치(41)에위치될 때에 작업 프로그램에 의해 정지되는 경우, 선회 아암(11)은 기부(6) 주위의 선회를 멈춘다. 이러한 상태에서, 테이블 회전 모터(80)가 작업 프로그램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 테이블 회전 모터(80)로부터의 동력이전동 기어(91)를 통해 전술된 동력 전달 경로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턴테이블(12)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턴테이블(12)은 축 주위에서 회전될 수 있다. 턴테이블(12)이 회전하고 있는 동안, 작업 로봇(2)은 회전되는 테이블(12) 상에 탑재된 워크에 대한 도장 작업을 수행한다. Therefore, when the turning motor 72 of the arm turning mechanism 7 is stopped by the work program when one of the turntables 12 and 12 of the turning arm 11 is positioned at the working position 41, the turning arm ( 11) stops turning around the base (6). In this state, when the table rotation motor 80 is driven by the work program, the power from the table rotation motor 80 is transferred through the gear 91 to the turntable 12 as indicated by the aforementioned power transmission path. And thus the turntable 12 can be rotated around its axis. While the turntable 12 is rotating, the working robot 2 performs painting work on the work mounted on the rotating table 12.

도장 작업이 소정 기간의 경과에 의해 종료된 후에, 테이블 회전 모터(80)는 작업 프로그램에 의해 정지된다. After the painting operation is finished by the lapse of a predetermined period, the table rotation motor 80 is stopped by the work program.

다른 한편으로, 아암 선회 기구(7)의 선회 모터(72)는 작업 프로그램에 의해 구동되어 선회 아암(11)을 다시 선회시키기 시작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일차 테이블 회전 샤프트(81)의 전동 기어(91)는 테이블 회전 모터(80)의 출력 기어(802)와의 맞물림으로부터 자유롭게 된다. 그 다음에, 전동 기어(91)는 절결부(64)로부터 이동하여 안내 링 기어(63)와 다시 맞물리고, 이에 따라 선회 아암(11)의 선회와 함께 기부(6) 주위에서의 공전 및 자전을 시작한다. 도 5b는 일차 테이블 회전 샤프트(81)가 작업 위치(41) 이외의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하고있다. 이러한 경우에, 전동 기어(91)는 안내 링 기어(63)와 맞물려 회전 동안에 선호 아암(11)과 함께 회전(공전)한다.On the other hand, the turning motor 72 of the arm turning mechanism 7 is driven by the work program to start turning the turning arm 11 again. By doing so, the transmission gear 91 of the primary table rotation shaft 81 is freed from meshing with the output gear 802 of the table rotation motor 80. Then, the transmission gear 91 moves from the cutout 64 and re-engages with the guide ring gear 63, thereby revolving and rotating around the base 6 with the turning of the turning arm 11 Start. 5B shows a state in which the primary table rotation shaft 81 is positioned at a position other than the working position 41. In this case, the transmission gear 91 meshes with the guide ring gear 63 and rotates (orbits) with the preferred arm 11 during rotation.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시스템(3) 및 작업 로봇(2)은 테이블 회전 기구(8)의 일부 및 아암선회 기구(7)의 일부에 의해 구성되는 테이블 회전 기구를 갖는다. 더욱이, 테이블 회전 기구의 작용에 의해,턴테이블(12)은 원형 궤도(R)를 따라 공전하고 워크(5)를 그 위에 탑재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축 주위를 자전한다. 다시 말해서, 턴테이블(12)이 선회 아암(11)을 180도만큼 회전시킴으로써 반출입 위치(40)와 작업 위치(41) 사이를 통과하거나 왕복하는 동안에, 턴테이블(12, 12)은 설치면(100)에 대해서 360도의 정수배로 회전 As described above, the robot system 3 and the work robot 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ve a table rotation mechanism constituted by a part of the table rotation mechanism 8 and a part of the arm rotation mechanism 7. Moreover, by the action of the table rotation mechanism, the turntable 12 revolves along the circular trajectory R and rotates around the axi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work 5 mounted thereon. In other words, while the turntable 12 passes or reciprocates between the carry-in position 40 and the working position 41 by rotating the turning arm 11 by 180 degrees, the turntables 12 and 12 are mounted on the mounting surface 100 Rotate by an integer multiple of 360 degrees

될 수 있다.Can be.

이제, 턴테이블(12)의 작동이 도 6 및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들 도면은 위에서 볼 때 Now, the operation of the turntable 1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A to 7C. These drawings are viewed from above

의 반송 장치(1)의 평면도들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턴테이블(12)의 회전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7a는 턴테이블(12)의 작업 위치(41)와 반출입 위치(40) 사이에서의 공전 및 자전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7b는 제 1 비교예에 따른 턴테이블(12)의 작업 위치(41)와 반출입 위치(40) 사이에서의 공전 및 자전을 도시하These are plan views of the conveying device 1 of. 6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rotation of the turntable 1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7A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revolution and rotation between the working position 41 and the carrying-in/out position 40 of the turntable 12. 7B is a diagram showing the revolution and rotation between the working position 41 and the carrying-in/out position 40 of the turntable 12 according to the first comparative example.

는 설명도이다. 도 7c는 제 2 비교예에 따른 턴테이블(12)의 작업 위치(41)와 반출입 위치(40) 사이에서의 공전 및 자전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반송 장치(1)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도 7b 및도 7c의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설명의 목적을 위해, 이들 도면Is an explanatory diagram. 7C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revolution and rotation between the working position 41 and the carrying-in/out position 40 of the turntable 12 according to the second comparative example. Here, the same components in Figs. 7B and 7C as those of the convey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For illustrative purposes, these drawings

의 턴테이블(12)은 도 1 및 도 2의 턴테이블보다 더 크게 도시되어 있다.The turntable 12 is shown larger than the turntables of FIGS. 1 and 2.

도 6에서, 반송 장치(1)의 선회 아암(11) 상에 마련된 턴테이블(12, 12) 중 하나는 변 A, 변 B, 변 C, 및 변 D를 갖는 직사각형 테이블이고, 반출입 위치(40) 및 작업 위치(41)는 지면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위치되어 In Fig. 6, one of the turntables 12 and 12 provided on the turning arm 11 of the conveying device 1 is a rectangular table having a side A, a side B, a side C, and a side D, and a carry-in/out position 40 And the working position 41 is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ground, respectively

있다. 선회 아암(11)의 회전 중심(O)을 통과하는 축선(L)은 반출입 위치(40)와 작업 위치(41)를 연결하도록 위have. The axis (L)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rotation (O) of the turning arm (11) is positioned to connect the carry-in position (40) and the working position (41).

치되고, 초기 상태 (a)는 턴테이블(12, 12) 중 하나가 작업 위치(41)에 위치된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And the initial state (a) is assumed to be a state in which one of the turntables 12 and 12 is positioned at the working position 41.

초기 상태 (a)에서, 턴테이블(12)은 우측에 변 A를, 좌측에 변 C를, 하측에 변 B를, 그리고 변 B의 맞은편인 지면의 상측에 변 D를 갖는다. 여기에서, 선회 아암(11)은 시계방향으로 선회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In the initial state (a), the turntable 12 has a side A on the right side, a side C on the left side, a side B on the lower side, and a side D on the upper side of the ground opposite side B. Here, it is assumed that the turning arm 11 turns clockwise.

선회 아암(11)이 초기 상태 (a)로부터 45도 선회된 상태 (b)에서, 턴테이블([0072] 12)의 변 A는 지면의 하측을향한다. 다시 말해서, 턴테이블(12)이 초기 상태 (a)와 비교해 반송 장치(1)의 설치면(100)에 대해서 90도 회전된 것이 된다. 이러한 결과는 선회 아암(11)의 선회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선회 아암(11)에 대해서 45도만In the state (b) where the turning arm 11 is turned 45 degrees from the initial state (a), the side A of the turntable 12 faces the lower side of the ground. In other words, the turntable 12 is rotated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surface 100 of the conveying device 1 compared to the initial state (a). This result is only 45 degrees for the turning arm 11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turning direction of the turning arm 11.

큼 턴테이블(12)을 회전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턴테이블(12)은 초기 상태 (a)와 비교해 설치면(100)에 대해서 90도(45도 + 45도) 회전된다.A large amount is obtained by rotating the turntable 12. In this state, the turntable 12 is rotated 90 degrees (45 degrees +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100 compared to the initial state (a).

유사하게, 선회 아암(11)이 초기 상태 (a)로부터 90도 선회된 상태 ( c)에서, 턴테이블(12)의 변 A는 지면의 좌측을 향한다. 다시 말해서, 턴테이블(12)이 초기 상태 (a)와 비교해 반송 장치(1)의 설치면(100)에 대해서 180도 회전된 것이 된다. 이러한 결과는 선회 아암(11)의 선회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선회 아암(11)에 대해서90도만큼 턴테이블(12)을 회전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턴테이블(12)은 초기 상태 (a)와 비교해설치면(100)에 대해서 180도(90도 + 90도) 회전된다. Similarly, in the state (c) with the turning arm 11 turned 90 degrees from the initial state (a), the side A of the turntable 12 faces the left side of the ground. In other words, the turntable 12 is rotated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surface 100 of the conveying device 1 compared to the initial state (a). This result is obtained by rotating the turntable 12 by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turning arm 11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turning direction of the turning arm 11. In this state, the turntable 12 is rotated 180 degrees (90 degrees +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100 compared to the initial state (a).

그 다음에, 선회 아암(11)이 초기 상태 (a)로부터 135도 선회된 상태 (d)에서, 턴테이블(12)의 변 A는 지면의상측을 향한다. 다시 말해서, 턴테이블(12)이 초기 상태 (a)와 비교해 반송 장치(1)의 설치면(100)에 대해서270도 회전된 것이 된다. 이러한 결과는 선회 아암(11)의 선회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선회 아암(11)에 대해Then, in the state (d) in which the turning arm 11 is turned 135 degrees from the initial state (a), the side A of the turntable 12 faces the upper side of the ground. In other words, the turntable 12 is rotated 27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surface 100 of the conveying device 1 compared to the initial state (a). This result is the same for the turning arm 11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turning arm 11

서 135도만큼 턴테이블(12)을 회전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턴테이블(12)은 초기 상태 (a)와 비교해 설치면(100)에 대해서 270도(135도 + 135도) 회전된다.It is obtained by rotating the turntable 12 by 135 degrees. In this state, the turntable 12 is rotated 270 degrees (135 degrees + 13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100 compared to the initial state (a).

그 다음에, 선회 아암(11)이 초기 상태 (a)로부터 180도 선회되고 턴테이블(12, 12) 중 하나가 작업 위치(41)에위치된 상태 (e)에서, 턴테이블(12)의 변 A는 초기 상태 (a)와 유사하게 지면의 우측을 향한다. 다시 말해서,턴테이블(12)이 초기 상태 (a)와 비교해 반송 장치(1)의 설치면(100)에 대해서 360도 회전된 것이 된다. 이러한 결과는 선회 아암(11)의 선회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선회 아암(11)에 대해서 180도만큼 턴테이블(12)을 회전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턴테이블(12)은 초기 상태 (a)와 비교해 설치면(100)에 대해서 360 Then, in the state (e) where the turning arm 11 is rotated 180 degrees from the initial state (a) and one of the turntables 12, 12 is located in the working position 41, the side A of the turntable 12 Is toward the right side of the ground similar to the initial state (a). In other words, the turntable 12 is rotated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surface 100 of the conveying device 1 compared to the initial state (a). This result is obtained by rotating the turntable 12 by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turning arm 11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turning direction of the turning arm 11. In this state, the turntable 12 is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100 compared to the initial state (a).

도(180도 + 180도) 회전된다.Rotated degrees (180 degrees + 180 degrees).

다음에, 도 7a, 도 7b, 및 도 7c와 비교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반송 장치(1) 및 로봇 시스템(3)이 턴테이블(12) 상에 유지된 워크(5)가 반송 동안에 편의된 바람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 설명될 것이다. Next, compared with Figs. 7A, 7B, and 7C, the work 5 in which the transfer device 1 and the robot system 3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re held on the turntable 12 is convenient during transfer. It will be explained that it can prevent exposure to the wind.

도 7a는 동일한 원형 궤도(R) 상에 있는 도 6의 상태 (a) 내지 상태 (e)를 도시하고 있다.Fig. 7A shows states (a) to (e) of Fig. 6 on the same circular orbit R.

도 7a 내지 도 7c에서, 작업 위치(41)는 지면의 상측에 마련되고 반출입 위치(40)는 지면의 하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더욱이, 부호 R1은 각각의 도면에서 직사각형 턴테이블(12)이 마련된 선호 아암(11)이 선회될때 최외측 원형 궤도를 나타낸다. 부호 R2는 턴테이블(12)의 중심에 의해 그려지는 원형 궤도를 나타낸다. In FIGS. 7A to 7C, it is assumed that the working position 41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paper and the carry-in/out position 40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paper. Moreover, reference numeral R1 denotes the outermost circular trajectory when the preferred arm 11 provided with the rectangular turntable 12 is turned in each figure. Reference numeral R2 denotes a circular trajectory drawn by the center of the turntable 12.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테이블(12)이 작업 위치(41)로부터 반출입 위치(40)로 180도 공전되는 동안에, 턴테이블(12)은 설치면(100)에 대해서 축 주위에서 360도 자전된다. 따라서, 턴테이블(12)은 원형 궤도(R)를 따라 180도 범위에서 공전될 때 설치면(100)에 대해서 축 주위에서 1회 자전된다. As shown in FIG. 7A, while the turntable 12 is rotated 180 degrees from the working position 41 to the carrying-in/out position 40, the turntable 12 is rotated 360 degrees about the axis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100. . Accordingly, the turntable 12 rotates once about the axis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100 when it is revolved in the range of 180 degrees along the circular orbit R.

따라서, 선회 아암(11)이 선회될 때, 즉 턴테이블(12)이 공전될 때, 턴테이블(12) 상에 유지된 워크(5)의 바람을 맞는 표면은 점차 변화된다. 다시 말해서, 워크(5)가 작업 위치(41)로부터 반출입 위치(40)로 반송되고 있 Accordingly, when the turning arm 11 is rotated, that is, when the turntable 12 is revolved, the surface of the work 5 held on the turntable 12 against the wind gradually changes. In other words, the work 5 is being conveyed from the work position 41 to the carry-in position 40

는 동안에 워크(5)는 편의된 바람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시스템(3)이워크(5)에 대해서 도장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도장 후의 워크(5)의 건조 정도는 표면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등화되고 이에 따라 도장 품질이 표면에 걸쳐 동등하게 달성될 수 있다.During the work 5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a convenient wind. In particular, since the robot system 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erforms a painting operation on the work 5, the degree of drying of the work 5 after painting is substantially equalized over the surface, and thus the painting quality is Can be achieved equally over.

설치면(100)에 대한 턴테이블(12)의 자세는 반출입 위치(40)와 작업 위치(41)에서 동일하다. 다시 말해서, 턴테이블(12) 상에 탑재된 워크(5)의 자세는 반출입 위치(40) 및 작업 위치(41)에서 변화되지 않는다. 따라서,워크(5)가 도장에 가장 적합한 자세 또는 취급에 가장 적합한 자세로 턴테이블(12) 상에 탑재되는 경우, 도장및 반출입이 그 자세에서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증가한다. The posture of the turntable 12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100 is the same in the carry-in/out position 40 and the work position 41. In other words, the posture of the work 5 mounted on the turntable 12 does not change at the carry-in/out position 40 and the work position 41. Therefore, when the work 5 is mounted on the turntable 12 in the posture most suitable for painting or the posture most suitable for handling, the work efficiency increases because painting and carrying-in can be performed in that posture.

다른 한편으로, 도 7b에 도시된 제 1 비교예에서, 턴테이블(12)은 작업 위치(41)로부터 반출입 위치(40)로 180도 공전되는 동안에 설치면(100)에 대해서 자세가 변화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턴테이블(12)은 설치면(100)에 대해서 축 주위에서 명백히 자전되지 않는 상태로 공전된다. 이러한 결과는 턴테이블(12)이 원형 궤도On the other hand, in the first comparative example shown in FIG. 7B, the posture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100 does not change while the turntable 12 is revolved 180 degrees from the working position 41 to the carry-in/out position 40. In other words, the turntable 12 revolves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100 in a state that does not clearly rotate around its axis. This result is that the turntable 12

(R)를 따라 180도의 범위에서 공전될 때 선회 아암(11)의 선회 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선회 아암(11)에 대해서180도만큼 턴테이블(12)을 회전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턴테이블(12)은 그 결과 설치면(100)에대해서 0도(180도 - 180도) 회전된다.It is obtained by rotating the turntable 12 by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turning arm 11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urning direction of the turning arm 11 when orbiting in a range of 180 degrees along (R). In this state, the turntable 12 is rotated 0 degrees (180 degrees-180 degrees) relative to the installation surface 100 as a result.

전술된 바와 같이, 워크(5)의 자세는 반출입 위치(40)와 작업 위치(41)[0082] 에서 변화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ture of the work 5 does not change at the carry-in/out position 40 and the work position 41 [0082].

그러나, 그 결과, 턴테이블(12) 상에 탑재된 워크(5)의 바람을 맞는 표면은 거의 변화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워크(5)가 작업 위치(41)로부터 반출입 위치(40)로 반송되고 있는 동안에, 워크(5)는 그 결과 편의된 바람에 노출된다. 다시 말해서, 도장 후의 워크(5)의 표면이 균일하지 않은 건조 정도를 갖거나 코팅 물질이 균일However, as a result, the surface against the wind of the work 5 mounted on the turntable 12 hardly changes. In other words, while the work 5 is being conveyed from the work position 41 to the carry-in/out position 40, the work 5 is consequently exposed to the biased wind. In other words, the surface of the work 5 after painting has an uneven degree of drying or the coating material is uniform.

하지 않은 유동을 갖기 때문에, 표면에 걸쳐 도장 품질을 균등하게 달성하는 것이 어렵다. 더욱이, 먼지 등이편의된 표면에 부착될 가능성이 있다.It is difficult to achieve paint quality evenly across the surface because it has no flow. Moreov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dust or the like will adhere to the comfortable surface.

도 7c에 도시된 제 2 비교예에서, 턴테이블(12)은 선회 아암(11)에 고정된다. 따라서, 턴테이블(12)은 작업 위치(41)로부터 반출입 위치(40)로 180도 공전되는 동안에, 선회 아암(11)과 유사하게, 설치면(100)에 대해서 180도 회전된다. 다시 말해서, 턴테이블(12)은 설치면(100)에 대해서 축 주위를 자전하는 일 없이 공전된다. In the second comparative example shown in Fig. 7C, the turntable 12 is fixed to the turning arm 11. Accordingly, the turntable 12 is rotated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surface 100, similar to the turning arm 11, while the turntable 12 is rotated 180 degrees from the working position 41 to the carrying-in/out position 40. In other words, the turntable 12 revolves about the mounting surface 100 without rotating around its axis.

따라서, 턴테이블(12)이 작업 위치(41)로부터 반출입 위치(40)로 180도 회전되는 동안에, 워크(5)의 실질적으로한정된 표면만이 바람에 노출되고 다른 표면은 소용돌이 등에 노출된다. 다시 말해서, 도장 후의 워크(5)의 표면이 상이한 건조 정도를 갖거나 코팅 물질이 균일하지 않은 유동을 갖기 때문에, 표면에 걸쳐 도장 품질을 균등하게 달성하는 것이 어렵다. 더욱이, 먼지 등이 한정된 표면에 부착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워크(5)의 자세가 작업 위치(41) 및 반출입 위치(40)에서 반대의 반향을 갖기 때문에, 작업 효율의 관점에서 약간 불리하다. Accordingly, while the turntable 12 is rotated 180 degrees from the working position 41 to the carrying-in/out position 40, only a substantially limited surface of the work 5 is exposed to the wind and the other surface is exposed to vortex or the like. In other words, since the surface of the work 5 after painting has a different degree of drying or the coating material has a non-uniform flow, it is difficult to achieve the coating quality evenly across the surface. Moreov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dust or the like will adhere to the defined surface. Further, since the posture of the work 5 has opposite reflections at the work position 41 and the carry-in/out position 40, it is slightly disadvantageous from the viewpoint of work efficiency.

(제 1 변형예)(1st modification)

반송 장치(1)의 선회 아암(11)이 양 단부에 턴테이블(12, 12)이 마련된 실질적으로 선형인 형상을 갖는 것이 설명되었다. 그러나, 제 1 변형예에 따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 아암(11)은 2개의 아암(11A, 11B)이회전 중심(O)으로서 작용하는 중심축으로부터 120도의 간격으로 실질적인 V자 형상으로 연장되는 구성을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turning arm 11 of the conveying device 1 has a substantially linear shape with turntables 12 and 12 provided at both ends thereof. However,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ed example, as shown in Fig. 8, the turning arm 11 is substantially V-shaped at an interval of 120 degrees from the central axis in which the two arms 11A and 11B act as rotation centers O. A configuration that extends in shape

갖는다.Have.

도 8은 제 1 변형예에 따른 턴테이블의 작업 위치와 반출입 위치 사이에서의 공전 및 자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테이블(12A, 12B)은 2개의 아암(11A, 11B)에 각각 부착된다. 둘 8 is an explanatory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revolution and rotation between a working position and a carry-in/out position of the turntable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cation. As shown in Fig. 8, the turntables 12A and 12B are attached to the two arms 11A and 11B, respectively. two

모두의 턴테이블(12A, 12B)은 부착 위치에서 수평 방향으로 축 주위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Both of the turntables 12A and 12B are configured to be rotatable about the axi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attachment position.

[0088] 이러한 예에서, 2개의 반출입 위치(401, 402) 및 작업 위치(410)가 120도의 간격으로 선회 아암(11)의 원형 궤[0088] In this example, the two carry-in/out positions (401, 402) and the working position 410 are circular tracks of the turning arm 11 at intervals of 120 degrees

도(R) 상에 미리 설정된다. 화살표 F는 반출입 위치(401, 402)에서의 워크(5)(도 1 참조)의 반입 및 반출을 나It is set in advance on the figure R. Arrow F shows the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workpiece 5 (see Fig. 1) at the carry-in/out positions 401 and 402.

타낸다.Burn.

이하에서, 이러한 경우의 반송 장치(1)의 작동이 설명될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상태(a)에서, 턴테이블(12A)이 작업 위치(410)에 위치되고 도장 작업이 워크(5)에 대해 수행된다. 그 동안에, 턴테이블(12B)에는 도면의 우측에 위치된 반출입 위치(401)에서 도장되지 않은 워크(5)가 공급된다. 더욱이, 제 1 In the following, the operation of the conveying device 1 in this case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8, in the first state (a), the turntable 12A is positioned at the working position 410 and a painting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work 5. In the meantime, the unpainted work 5 is supplied to the turntable 12B at the carry-in/out position 401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Moreover, the first

상태 (a)에서, 턴테이블(12A)의 변 A는 지면의 상측을 향한다.In the state (a), the side A of the turntable 12A faces the upper side of the ground.

도장 작업이 완료되면, 선회 아암(11)은 반시계방향으로 선회되고, 턴테이블(12A) 상의 이미 도장된 워크(5)가도면의 좌측에 위치된 반출입 위치(402)로 반송된다. 이때, 도장되지 않은 워크(5)가 공급된 턴테이블(12B)은작업 위치(410)를 향해 간다. 전술된 바와 같이, 선회 아암(11)이 도장 후에 반시계방향으로 선회된 상태는 제2 상태 (b)이다. 도 8의 제 2 상태 (b)에서, 선회 아암(11)은 60도 선회된다. When the paint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turning arm 11 turns counterclockwise, and the already painted work 5 on the turntable 12A is conveyed to the carry-in/out position 402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At this time, the turntable 12B supplied with the unpainted work 5 goes toward the working position 410. As described above, the state in which the turning arm 11 is turned counterclockwise after painting is the second state (b). In the second state (b) of Fig. 8, the turning arm 11 is turned 60 degrees.

제 2 상태 (b)에서, 선회 아암(11)이 제 1 상태 (a)로부터 60도 선회(공전)된 경우, 예를 들어 턴테이블(12A)의변 A는 지면의 하측을 향한다. 다시 말해서, 턴테이블(12A)이 제 1 상태 (a)와 비교해 반송 장치(1)의 설치면(100)에 대해서 180도 회전된 것이 된다. 이러한 결과는 선회 아암(11)의 선회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선회아암(11)에 대해서 120도만큼 턴테이블(12A)을 회전시킴으로써 얻어진다. 턴테이블(12A)은 제 1 상태 (a)와 비교해 설치면(100)에 대해서 180도(60도 + 120도) 회전된다. 그 동안에, 턴테이블(12B)이 또한 선회 아암(11)의In the second state (b), when the turning arm 11 is rotated (orbited) 60 degrees from the first state (a), for example, the side A of the turntable 12A faces the lower side of the ground. In other words, the turntable 12A is rotated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surface 100 of the conveying device 1 compared to the first state (a). This result is obtained by rotating the turntable 12A by 12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turning arm 11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turning direction of the turning arm 11. The turntable 12A is rotated 180 degrees (60 degrees + 12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100 compared to the first state (a). In the meantime, the turntable 12B is also

선회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선회 아암(11)에 대해서 120도 회전되고, 이에 따라 제 1 상태 (a)와 비교해 설치면(100)에 대해서 180도(60도 + 120도) 회전된다.It is rotated 12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turning arm 11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turning direction, and accordingly, it is rotated 180 degrees (60 degrees + 12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surface 100 compared to the first state (a).

턴테이블(12A)이 반출입 위치(402)에 도달한 상태가 제 3 상태(c)인 것으로 가정한다. 제 3 상태 (c)에서, 도장된 워크(5)는 반출입 위치(402)에서 취출되고 턴테이블(12B) 상의 워크(5)는 작업 위치(410)에서 도장된다.It is assumed that the state in which the turntable 12A has reached the carry-in/out position 402 is the third state (c). In the third state (c), the painted work 5 is taken out at the carry-in/out position 402 and the work 5 on the turntable 12B is painted at the work position 410.

제 3 상태 (c)에서, 턴테이블(12A)의 변 A는 지면의 상측을 향한다. 다시 말해서, 턴테이블(12A)은 제 1 상태a)와 비교해 반송 장치(1)의 설치면(100)에 대해서 360도 회전된 반면, 선회 아암(11)은 제 1 상태 (a)로부터120도 선회(공전)된 것이 된다. 이러한 결과는 선회 아암(11)의 선회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선회 아암(11)에 In the third state (c), the side A of the turntable 12A faces the upper side of the ground. In other words, the turntable 12A is rotated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surface 100 of the conveying device 1 compared to the first state a), while the turning arm 11 is rotated 120 degrees from the first state (a). It becomes (orbital). This result is in the turning arm 11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turning arm 11

대해서 240도만큼 턴테이블(12A)을 회전시킴으로써 얻어진다. 턴테이블(12A)은 제 1 상태 (a)와 비교해 설치면100)에 대해서 360도(120도 + 240도) 회전된다.It is obtained by rotating the turntable 12A by 240 degrees. The turntable 12A is rotated 360 degrees (120 degrees + 24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100 compared to the first state (a).

그 동안에, 턴테이블(12B)이 또한 선회 아암(11)의 선회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선회 아암(11)에 대해서 240도회전되고, 이에 따라 제 1 상태 (a)와 비교해 설치면(100)에 대해서 360도(120도 + 240도) 회전된다.In the meantime, the turntable 12B is also rotated 24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turning arm 11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turning direction of the turning arm 11, and accordingly,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surface 100 compared to the first state (a). It is rotated 360 degrees (120 degrees + 240 degrees).

다음에, 도장 작업이 제 3 상태 (c)에서 완료되면, 선회 아암(11)은 이때 시계방향으로 선회되고 턴테이블(12B)상의 이미 도장된 워크(5)는 도면의 우측에 위치된 반출입 위치(401)로 반송된다. 이때, 턴테이블(12A)은, 도면의 좌측에 위치된 반출입 위치(402)에서 도장되지 않은 워크(5)가 새롭게 공급된 작업 위치(410)를 향해 Next, when the painting work is completed in the third state (c), the turning arm 11 rotates clockwise at this time and the already painted work 5 on the turntable 12B is placed in the carry-in/out position ( 401). At this time, the turntable 12A is toward the work position 410 where the unpainted work 5 is newly supplied at the carry-in/out position 402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간다. 전술된 바와 같이, 선회 아암(11)이 도장 후에 시계방향으로 선회된 상태가 제 4 상태 (d)임을가정하면, 선회 아암(11)은 제 4 상태 (d) 후에 제 1 상태 (a)로 복귀된다. 선회 아암이 제 3 상태 (c)로부터제 1 상태 (a)로 복귀될 때, 턴테이블(12A, 12B)은 선회 아암의 선회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선회 아암(11)에Goes. As described above, assuming that the state in which the turning arm 11 is turned clockwise after painting is the fourth state (d), the turning arm 11 returns to the first state (a) after the fourth state (d). Returns. When the turning arm returns from the third state (c) to the first state (a), the turntables 12A, 12B are placed on the turning arm 11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turning direction of the turning arm.

대해서 240도 회전되는 반면, 선회 아암(11)은 120도 선회(공전)되고, 이에 따라 제 3 상태 (c)와 비교해 설치면(100)에 대해서 360도(120도 + 240도) 회전된다. 그 후에, 제 1 상태 (a) 내지 제 4 상태 (d)의 사이클이On the other hand, the rotating arm 11 is rotated (orbited) by 120 degrees, and thus rotated 360 degrees (120 degrees + 24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100 compared to the third state (c). After that, the cycle of the first state (a) to the fourth state (d) is

다시 반복된다.It repeats again.

전술된 바와 같이, 제 1 상태 (a)로부터 제 3 상태 (c)로의 간격 및 제 3 상태 (c)로부터 제 1 상태 (a)로의 간격, 즉 도장 직후에 워크(5)가 반송되는 동안, 워크(5)는 또한 턴테이블(12A(12B))과 함께 설치면(100)에 대해서 1회 회전된다. 따라서, 도장 직후에 워크(5)가 편의된 바람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워크(5)의 건조 정도는 실질적으로 균등화되고 도장 품질은 동등하게 달성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interval from the first state (a) to the third state (c) and the interval from the third state (c) to the first state (a), that is, while the work 5 is conveyed immediately after painting, The work 5 is also rotated once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surface 100 together with the turntable 12A (12B). Therefore, since the work 5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biased wind immediately after painting, the degree of drying of the work 5 is substantially equalized and the painting quality can be achieved equally.

(제 2 변형예) 반송 장치(1)의 선회 아암(11)은 실질적으로 선형인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실질적으로 V자인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아암(11A, 11B, 11C)이 회전 중심( O)으로서 작용하는 (Second Modified Example) The turning arm 11 of the conveying device 1 is not limited to a substantially linear shape, and is not limited to a substantially V-shaped shape.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9, three arms (11A, 11B, 11C) act as the rotation center (O)

중심축으로부터 120도의 간격으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t may be configured to extend in the radial direction at intervals of 120 degrees from the central axis.

도 9는 제 2 변형예에 따른 턴테이블의 작업 위치와 반출 및 반입 위치 사이에서의 공전 및 자전을 개략적으로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테이블(12)은 3개의 아암(11A, 11B, 11C)에 각각 부착된다. 9 is an explanatory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revolution and rotation between the working position of the turntable and the carrying and carrying out positions of the turntable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ed example. As shown in Fig. 9, the turntable 12 is attached to the three arms 11A, 11B and 11C, respectively.

여기에서, 턴테이블(12) 각각은 부착 위치에서 수평방향으로 축 주위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Here, each of the turntables 12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about an axi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attachment position.

이러한 경우에, 반입 위치(400), 작업 위치(410), 및 반출 위치(420)는 선회 아암(11)의 원형 궤도(R) 상에 120도의 간격으로 시계방향으로 미리 설정된다. 여기에서, 반입 위치(400)에서의 워크(5)(도 1 참조)의 공급은 화 In this case, the carry-in position 400, the work position 410, and the take-out position 420 are preset clockwise at intervals of 120 degrees on the circular trajectory R of the turning arm 11. Here, the supply of the work 5 (see Fig. 1) at the carrying position 400 is

살표(f1)의 방향으로 수행되고 반출 위치(420)에서의 워크(5)의 취출은 화살표(f2)의 방향으로 수행된다.It is per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f1 and the take-out of the work 5 at the take-out position 420 is per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f2.

다시 말해서, 이러한 예에서, 반출입 위치는, 원형 궤도(R) 상에, 작업 위치(410)에서 도장된 워크(5)의 반출이수행되는 반출 위치(420)와, 도장되지 않은 워크(5)의 반입이 수행되는 반입 위치(400)로 분할된다. In other words, in this example, the carry-out position is, on the circular track R, the carry-out position 420 where the carry-out of the painted work 5 is performed at the work position 410, and the unpainted work 5 It is divided into a carry-in location 400 where carry-in of is performed.

선호 아암(11)이 반입 위치(400) → 작업 위치(410) → 반출 위치(420)와 같이 120도의 단위로 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공전될 때, 턴테이블(12)은 선회 아암(11)이 적어도 작업 위치(410)로부터 반출 위치(420)로 공전되는When the preferred arm 11 is sequentially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in units of 120 degrees, such as the carry-in position 400 → work position 410 → take-out position 420, the turntable 12 has at least the turning arm 11 Revolved from the working position 410 to the take-out position 420

동안에 반송 장치(1)의 설치면(100)(도 2 및 도 3 참조)에 대해서 360도의 정수배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있다.It can be configured to rotate at an integral multiple of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100 (see Figs. 2 and 3) of the conveying device 1 during the process.

예를 들어, 선회 아암(11)이 작업 위치(410)로부터 반출 위치(420)로 공전되는 동안에 턴테이블(12)이 설치면(100)에 대해서 1회 회전(360도의 회전)된다고 가정하면, 턴테이블(12)은 그 결과 선회 아암(11)이 120도 선회되는 동안에 선회 아암(11)의 선회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턴테이블 자체가 부착되어 있는 아암(11A, 11B,11C)에 대해서 240도 회전된다.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turntable 12 rotates once (rotated by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100 while the turning arm 11 is revolving from the working position 410 to the carrying position 420, the turntable As a result, it is rotated 24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arms 11A, 11B and 11C to which the turntable itself is attach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turning direction of the turning arm 11 while the turning arm 11 turns 120 degrees as a result.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도, 예를 들어 턴테이블(12) 상의 워크(5)에 대해 도장 작이 수행되는 경우, 도장 직후의 워크(5)는 편의된 바람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워크(5)의 건조 정도는 표면들 사이에서실질적으로 균등화되고 이에 따라 도장 품질이 동등하게 달성될 수 있다. Even in the case of such a configuration, for example, when a painting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work 5 on the turntable 12, the work 5 immediately after painting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a convenient wind. Accordingly, the degree of drying of the work 5 is substantially equalized between the surfaces and thus the painting quality can be achieved equally.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반송 장치(1)는, 선회 아암(11)을 선회시킴으로써 턴테이블(12)이 반출입위치(40, 401, 402)(또는 반출 위치(420) 및 반입 위치(400))와 작업 위치(41, 410) 사이를 통과하거나 왕복하는 동안에, 턴테이블(12)이 선회 아암(11)의 선회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대응하는 선회 아암에 대해서 회전되고, 그 동안에, 설치면(100)에 대한 선회 아암(11)의 회전 각도와 선회 아암(11)에 대한 턴테이블(12)의 회전각도의 합이 360도의 정수배가 되는 구성을 갖는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yanc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urntable 12 is rotated by turning the turning arm 11 to move the turntable 12 into and out positions 40, 401 and 402 (or the take-out position 420 and the carry-in position ( 400)) and during the passage or reciprocating between the working positions 41 and 410, the turntable 12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corresponding swing arm in the same direction as that of the swing arm 11, in the meantime, the installation surface It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um of the rotation angle of the turning arm 11 with respect to 100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turntable 12 with respect to the turning arm 11 is an integer multiple of 360 degrees.

전술된 실시예에서, 턴테이블(12)이 반출입 위치(40, 401, 402)(또는 반출 위치(420) 및 반입 위치(400))와 작업 위치(41, 410) 사이를 통과하거나 왕복하는 동안에 턴테이블(12)이 설치면(100)에 대해서 1회 회전되는 것이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turntable 12 passes between or reciprocates between the carry-in/out position 40, 401, 402 (or the carry-out position 420 and the carry-in position 400) and the work positions 41, 410. (12) is rotated once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surface (100)

설명되었다. 그러나, 회전은 2회 이상일 수 있다. 이때, 설치면(100)에 대한 턴테이블(12)의 자세(워크(5)의자세)가 반출입 위치(또는 반출 위치 및 반입 위치)와 작업 위치에서 변화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턴테이블은 설치면(100)에 대해서 360도의 정수배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턴테이블(12)이 설치면Explained. However, the rotation may be more than two times. At this time, sinc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ture of the turntable 12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100 (the posture of the work 5) does not change at the carry-in/out position (or the take-out position and the carry-in position) and the work position, the turntable is It is configured to rotate in an integer multiple of 360 degrees with respect to (100). Moreover, the turntable 12

(100)에 대해서 2회 이상 회전되는 경우, 턴테이블은 선회 아암(11)의 선회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있다.When rotated twice or more with respect to (100), the turntable can be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urning direction of the turning arm (11).

한편, 전술된 실시예 및 변형예에서, 반송 장치(1)가 2개 이상의 턴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이 설명되었다. 그러나, 예를 들어, 반송 장치(1)는 선단부가 턴테이블(12)에 부착되고 기단부가 기부(6)에 연동 방식으로 자유롭게선회하도록 결합되는 하나의 아암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conveying apparatus 1 includes two or more turntables. However, for example, the conveying device 1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one arm that has a leading end attached to the turntable 12 and a proximal end coupled to the base 6 so as to pivot freely in an interlocking manner.

본 실시예에 따르면, 로봇 시스템(3)이 도장 작업을 수행하는 시스템인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소정의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 로봇(2)과 전술된 구성을 갖는 반송 장치(1)를 적절히조합함으로써 로봇 시스템(3)이 제조되는 것이면 충분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robot system 3 is a system that performs a painting operation. However, this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It suffices if the robot system 3 is manufactured by appropriately combining the working robot 2 perform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and the conveying device 1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반송 장치(1)의 턴테이블(12)이 수평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이 설명되었다.그러나, 턴테이블(12)은 수직방향으로 긴 형상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턴테이블(12)은 원형 형태 등일 수 있다. 턴테이블(12)은 임의의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turntable 12 of the conveying device 1 has a rectangular shape that is elong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However, the turntable 12 may have a shape that is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ternatively, the turntable 12 may have a circular shape or the like. The turntable 12 is not limited to any shape.

작업 로봇(2)이 로봇 시스템(3)의 반송 장치(1)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설명되었다. 작업 로봇(2)의 배열은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working robot 2 is disposed above the conveying device 1 of the robot system 3. The arrangement of the working robot 2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예를 들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 장치(1) 및 작업 로봇(2)은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transfer device 1 and the work robot 2 can be installed separately.

도 10에 도시된 예에서, 작업 로봇(2)은 작업 부스(4)의 천장(44) 부근에 배치되고, 로봇 아암(22)은 도장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하향으로 연장된다.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0, the work robot 2 is disposed near the ceiling 44 of the work booth 4, and the robot arm 22 extends downward to perform the painting operation.

도 11에 도시된 예에서, 반송 장치(1) 및 작업 로봇(2)은 작업 부스(4) 내에서 반출입 위치(40)와 작업 위치(41)를 연결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인접하게 마련된다.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1, the conveying device 1 and the work robot 2 are spac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connecting the carrying-in/out position 40 and the work position 41 in the work booth 4.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1 : 반송 장치 2 : 작업 로봇
3 : 로봇 시스템 4 : 작업 부스
5 : 워크 6 : 기부
7 : 아암 선회 기구 11 : 선회 아암
12 : 턴테이블 40 : 반출입 위치
41 : 작업 위치 71 : 아암 선회 링 기어
72 : 선회 모터 80 : 테이블 회전 모터
공개특허 10-2013-0112677
-
1: transfer device 2: work robot
3: robot system 4: work booth
5: Work 6: Donation
7: arm turning mechanism 11: turning arm
12: turntable 40: carry-in position
41: working position 71: arm turning ring gear
72: swing motor 80: table rotation motor
Patent Publication 10-2013-0112677
-

Claims (1)

반송 장치(carrier device)에 있어서,설치면 상에 설치된 기부(base) 상에 중심축 주위로 선회가능하게 마련되고, 선단부가 원형 궤도 상을 통과가능한 선회 아암(swivel arm); 및상기 선회 아암의 선단부에 부착되고, 상기 원형 궤도 상에 마련된 작업 위치와 반출입 위치 사이에서 소정의워크를 탑재하면서 반송가능한 턴테이블(turn table)을 포함하고,상기 선회 아암을 선회시킴으로써 상기 턴테이블이 상기 작업 위치로부터 상기 반출입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상기 턴테이블은 상기 설치면에 대해서 360도의 정수배로 회전되는반송 장치.

A carrier device, comprising: a swivel arm provided on a base installed on an installation surface so as to be pivotable around a central axis and capable of passing through a circular orbit; And a turntable attached to the distal end of the turning arm and capable of carrying a predetermined workpiece between a working position and a carry-in/out position provided on the circular track, wherein the turntable is rotated by turning the turning arm. While moving from the working position to the carry-in/out position, the turntable is rotated by an integer multiple of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KR1020190087269A 2019-07-19 2019-07-19 Carrier device and robot system KR2021000999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269A KR20210009998A (en) 2019-07-19 2019-07-19 Carrier device and robo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269A KR20210009998A (en) 2019-07-19 2019-07-19 Carrier device and robo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998A true KR20210009998A (en) 2021-01-27

Family

ID=74238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269A KR20210009998A (en) 2019-07-19 2019-07-19 Carrier device and robo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999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8105B1 (en) Carrier device and robot system
KR101587311B1 (en) Carrier device and robot system
JP5044138B2 (en) Transport system and processing equipment
KR20020075898A (en) Sprayer device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body paint spray booth
JP2020172006A (en) Conveyance device, robot system, produc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JP6528607B2 (en) Processing equipment and processing method
US6972053B2 (en) Installation for coating a workpiece with powder
KR20210009998A (en) Carrier device and robot system
JP3826967B2 (en) Painting robot
JP4881644B2 (en) Painting equipment
JP5085615B2 (en) Coating object holding robot and painting robot system
JPH0632765B2 (en) Anti-corrosion wax coating equipment
JP4230560B2 (en) Painting method
GB2091133A (en) Dual orbit sprayer assembly
JP26453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raying cycloids using twin guns
JPH05192615A (en) Automatic painting apparatus
JP4176421B2 (en) Coating method and coating apparatus therefor
JPS58131163A (en) Coa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JP2012086121A (en) Workpiece feeder
JP4176371B2 (en) Bumper coating method and coating apparatus and workpiece supply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CN111805510B (en) Conveying device, robot system, produc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JP2005342616A (en) Coating system for door mirror and method for coating door mirror using the same
JP2001212482A (en) Wheel transferring device
JP2002361128A (en) Automatic coating apparatus
JP2012200676A (en) Coating robot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