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9951A - Ioniz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Ioniz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9951A
KR20210009951A KR1020190087159A KR20190087159A KR20210009951A KR 20210009951 A KR20210009951 A KR 20210009951A KR 1020190087159 A KR1020190087159 A KR 1020190087159A KR 20190087159 A KR20190087159 A KR 20190087159A KR 20210009951 A KR20210009951 A KR 20210009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discharge needle
concentration
rear end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1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23102B1 (en
Inventor
이정륜
박철우
백승재
현옥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7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102B1/en
Publication of KR20210009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9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1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6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by electric means, e.g. ionisers or electrostatic sepa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ing arrangements
    • F24F1/009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ing arrangements with additional radiant heat-discharging elements, e.g. electric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prior to normal operation, e.g. pre-heating or pre-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n generation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ccording to an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on generation device comprises at least one charging module. The charging module comprises: an electric discharge needle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al area and extended; and a heater increasing temperature of the electric discharge needle. The electric discharge needle is divided into a front end part which is extended while a diameter of the circular cross-sectional area to be linearly changed and a rear end part which is extended while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cross-sectional area is uniform. At the same time, the heater is coupled to cover the outside of the rear end part.

Description

이온발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Ioniz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Ioniz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이온발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n generat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최근 건물들은 에너지 절감을 위하여 외부 기체의 도입을 최소화하고, 기밀화됨에 따라, 실내공기 오염이 점점 심각해지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실내 오염 물질에 대한 각종 법적 규제가 점차 강화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as the introduction of external gas is minimized and airtight in order to save energy, indoor air pollution is becoming increasingly serious. Accordingly, various legal regulations on indoor pollutants are gradually strengthening.

한편, 가정 또는 회사등에 설치되는 가전제품이 작동되는 과정에서, 실내 오염물질이 가전제품 내에서 발생되어 침착되거나, 가전제품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실내 오염물질은 불쾌한 냄새를 유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위생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Meanwhile, indoor contaminants may be generated and deposited in the home appliance and discharged from the home appliance while the home appliance installed in the home or company is operated. These indoor pollutants may cause an unpleasant odor and may adversely affect the user's hygiene.

예를 들어, 공기 조화기, 제습기, 공기 청정기, 냉장고 또는 세탁기와 같이 수분을 포함하는 공기 또는 물을 사용하는 가전제품의 경우, 가전제품의 내부 또는 외부에 먼지나 미생물등에 의한 오염이 발생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home appliances that use air or water containing moisture, such as an air conditioner, dehumidifier, air cleaner, refrigerator or washing machine, contamination by dust or microorganisms may occur inside or outside the home appliance. have.

이처럼 오염된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하기 위해 음이온 등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이하, 선행문헌 1)은 아래와 같다.In order to make the contaminated indoor air comfortable, an ion generating device that generates negative ions and the like can be used, and the related art (hereinafter, Prior Document 1) is as follows.

<선행문헌 1><Prior literature 1>

1. 공개번호 : 10-2005-0098567(공개일자 : 2005년 10월 12일)1. Publication number: 10-2005-0098567 (Publication date: October 12, 2005)

2. 발명의 명칭 : 탄소 나노팁을 이용한 이온 발생장치 및 그 제조 방법2. Title of invention: Ion generator using carbon nanotip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선행문헌 1는 방전을 통해 공기 중으로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장치에 관하여 기재한다. 이때, 상기 이온발생장치의 방전과정에서 발생된 산소이온이 산소분자와 결합되어 오존을 생성할 수 있다. 오존은 인체에 독성이 있는 물질로 장기간 흡입시 호흡기관을 해치는 등 유해한 물질에 해당된다.Prior Document 1 describes an ion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ions into air through discharge. In this case, oxygen ions generated in the discharge process of the ion generating device may be combined with oxygen molecules to generate ozone. Ozone is a toxic substance to the human body and is a harmful substance such as harm to the respiratory system when inhaled for a long time.

그에 따라, 상기 오존의 발생량을 저감시키면서 방전을 통해 공기 중으로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이하, 선행문헌 2)은 아래와 같다.Accordingly, an ion generating device has been developed that generates ions into the air through discharge while reducing the amount of ozone generated. The related art (hereinafter, Prior Document 2) is as follows.

<선행문헌 2><Prior literature 2>

1. 등록번호 : 10-1551598(공고일자 : 2015년 09월 09일)1. Registration No.: 10-1551598 (Notification date: September 09, 2015)

2. 발명의 명칭 : 오존발생이 저감되는 이온발생장치2. Title of invention: Ion generator that reduces ozone generation

선행문헌 2는 이온발생량은 증가하면서도 오존발생량은 저감하는 이온발생장치에 관하여 기재한다. 특히, 이온 발생부로부터 방출되는 이온과 동시에 방출되는 오존의 발생량을 저감하도록 이온발생부를 가열하여 이온발생부의 온도를 증가시키는 가열부를 개시한다.Prior Document 2 describes an ion generating device that increases the amount of ion generated while reducing the amount of ozone generated. In particular, a heating unit for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ion generating unit by heating the ion generating unit so as to reduce the amount of ozone emitted simultaneously with the ions emitted from the ion generating unit is disclosed.

이때, 상기 선행문헌 2에는, 가열부에 관한 개략적인 기재만 존재할 뿐, 그 구체적인 형상에 대해서는 기재하고 있지 않다. 특히, 고전압이 인가되며 이온을 발생하는 이온발생부에 가열부를 그냥 설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At this time, in Prior Document 2, only a schematic description of the heating unit is present, and a specific shape thereof is not described.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simply install the heating unit in the ion generating unit generating ions when a high voltage is applied.

또한, 상기 선행문헌 2의 이온발생부는 복수의 카본 파이버로 형성된 섬유방전부에 해당된다. 섬유로 형성된 방전부는 비교적 큰 단면적을 갖기 때문에 오존의 발생량이 증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ion generating unit of Prior Document 2 corresponds to a fiber discharge unit formed of a plurality of carbon fibers. Since the discharge portion formed of fibers has a relatively large cross-sectional area,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mount of ozone is increased.

즉, 상기 선행문헌 2는 실현불가능 또는 구현이 매우 어려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며, 오존 저감의 효과가 불분명하다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the prior document 2 describes a device that is not feasible or extremely difficult to implement, and has a problem that the effect of reducing ozone is unclear.

본 실시 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존발생량을 저감하기 위해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되는 이온발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o propose an ion generating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provided in various shapes to reduce the amount of ozone generated.

또한, 비교적 작은 단면적으로 구비되는 뾰족한 선단부를 갖는 방전침이 구비된 방전모듈을 포함하는 이온발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on generating device including a discharge module including a discharge module having a sharp tip portion having a relatively small cross-sectional area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또한, 먼지농도 및 방전침온도에 따라 방전침의 가열 및 고전압인가를 제어하여, 효과적으로 구동되는 이온발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on generating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are effectively driven by controlling heating and application of a high voltage to a discharge needle according to a dust concentration and a discharge needle temperature.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이온발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이온 발생시 함께 발생되는 오존의 발생량을 저감시키기 위한 형상 및 제어방법을 제공한다.An ion generat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shape and a control method for reducing the amount of ozone generated when ions are generated.

우선, 이온발생장치의 형상에 대하여 살펴보면,First, looking at the shape of the ion generating device,

상기 이온발생장치에는 적어도 하나의 대전모듈이 포함된다. 상기 대전모듈에는, 이온을 발생시키도록, 원형 단면적을 가지며 연장된 방전침 및 상기 방전침의 오존발생량을 저감시키도록. 상기 방전침에 결합되어 상기 방전침의 온도를 높이는 히터가 포함된다.The ion generating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charging module. The charging module has a circular cross-sectional area and an extended discharge needle to generate ions, and to reduce the ozone generation amount of the discharge needle. A heater coupled to the discharge needle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 needle is included.

이때, 상기 방전침은 니들형으로 구비된다. 즉, 상기 방전침은, 상기 원형 단면적의 직경이 선형적으로 변화되도록 연장되는 전단부 및 상기 전단부에서 상기 원형 단면적의 직경이 동일하게 연장된 후단부로 구분된다.At this time, the discharge needle is provided in a needle shape. That is, the discharge needle is divided into a front end portion extending such that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cross-sectional area is linearly changed, and a rear end portion having the same diameter of the circular cross-sectional area extending from the front end portion.

그리고, 상기 히터는 상기 후단부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히터는 다양한 형상으로 상기 방전침에 구비될 수 있다.And, the heater is coupled to cover the outside of the rear end. The heater may be provided in the discharge needle in various shapes.

또한, 절연 및 단열을 위한 내측커버 또는 외측커버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n inner cover or an outer cover for insulation and insulation may be further provided.

한편, 이온발생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면,On the other hand, looking at the control method of the ion generating device,

상기 이온발생장치의 제어방법에는, 공기 중 먼지농도가 측정되고, 측정된 먼지농도가 미리 정해진 제 1 농도(A)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방전침의 온도가 상승되도록 상기 방전침의 후단부에 결합된 히터가 ON되는 단계가 포함된다.In the control method of the ion generating device, when the dust concentration in the air is measured, and when the measured dust concentration exceeds a predetermined first concentration (A),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 needle is increased at the rear end of the discharge needle. The combined heater is turned on.

그리고, 측정된 먼지농도가 상기 제 1 농도(A)보다 큰 값에 해당되는 제 2 농도(B, B>A)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방전침의 전단부에서 이온이 발생되도록 상기 방전침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인가부가 ON되는 단계가 포함된다.And, when the measured dust concentration exceeds the second concentration (B, B>A) corresponding to a value greater than the first concentration (A), the discharge needle is supplied with ions so that ions are generated at the front end of the discharge needle. The step of turning on the high voltage application unit for applying the high voltage is included.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르면, 히터에 의해 방전침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시킴에 따라 이온 발생시 함께 발생되는 오존의 발생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oposed embodiment, as the discharge needle is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a heat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ozone generated when ions are generated.

또한, 인체에 악영향을 주는 물질에 해당되는 오존의 양이 저감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온발생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의 제약이 사라진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s the amount of ozone corresponding to a substance that adversely affects the human body is reduc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user convenience and reliability can be secured.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pace limitation in which the ion generating device is installed disappears.

또한, 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 전단부의 말단에서 이온이 발생되는 방전침의 형상에 의해 오존의 발생량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amount of ozone generated can be more effectively reduced by the shape of the discharge needle in which ions are generated at the end of the front end portion having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또한, 상기 히터가 상기 전단부에서 연장된 후단부에 결합됨에 따라, 이온의 발생에 방해되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더하여, 내측커버 및 외측커버를 부가적으로 설치하여 절연 및 방열을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s the heater is coupled to the rear end extending from the front e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install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generation of ions.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nsulation and heat dissipation can be achieved by additionally installing an inner cover and an outer cover.

또한, 상기 방전침이 오존의 발생량이 저감되는 소정의 온도값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고전압을 인가하지 않도록 제어하여, 오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discharge needle does not correspon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value at which the amount of ozone generated is reduc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generation of ozone can be prevented by controlling to not apply a high voltage.

또한, 고전압이 인가되는 소정의 먼지농도값에 도달되기 전 상기 히터를 미리 제어하여 상기 방전침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되도록 제어하여, 필요시 바로 이온을 발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heater is controlled to heat the discharge needle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controlling the heater before reaching a predetermined dust concentration value to which a high voltage is applied, so that ions can be immediately generated if necessar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온발생장치가 설치된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2-2'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온발생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온발생장치의 대전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온발생장치의 제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온발생장치의 제어조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이온발생장치의 대전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이온발생장치의 대전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이온발생장치의 대전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이온발생장치의 대전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an 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2-2' of FIG. 1.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charging module of the 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control condition of the 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charging module of the 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charging module of the 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charging module of the 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charging module of the 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elem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era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온발생장치가 설치된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2-2'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an 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2-2' of FIG. 1.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1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1) 및 상기 케이스(11)의 전방에 결합되며 공기조화기(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12)이 포함된다.1 and 2, the air conditioner 10 according to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ase 11 forming an exterior and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case 11, and the air conditioner 10 It includes a front panel 12 forming the front exterior.

상기 케이스(11)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경우 실내에 배치되는 실내기 케이스일 수 있으며,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경우 공기조화기 자체의 케이스일 수 있다. 그리고, 넓은 의미에서, 상기 전면 패널(12)은 상기 케이스(11)의 일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In the case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the case 11 may be an indoor unit case disposed indoors, and in the case of an integrated air conditioner, the case 11 may be a case of the air conditioner itself. And, in a broad sense, the front panel 12 can be understood as a component of the case 11.

상기 케이스(11)에는,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20) 및 상기 흡입구(20)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실내 공간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구(30)가 포함된다.The case 11 includes a suction port 20 through which indoor air is introduced and a discharge port 30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port 20 is discharged into the indoor space.

상기 흡입구(20)는 상기 케이스(11)의 상부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흡입구(20)에는 이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흡입그릴(22)이 마련될 수 있다.The suction port 20 is formed by open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11. In addition, the suction port 20 may be provided with a suction grill 22 for preventing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상기 토출구(30)는 상기 케이스(11)의 하부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30)에는 토출그릴(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The discharge port 30 may be formed by open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ase 11. In addition, a discharge grill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discharge port 30.

상기 토출구(30)의 일측에는, 상기 토출구(30)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하여 움직임 가능하게 제공되는 토출 베인(32)이 설치된다. 상기 토출 베인(32)이 개방되면, 상기 케이스(11) 내에서 조화된 공기가 실내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토출 베인(32)은, 상기 토출 베인(32)의 하부가 상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토출구(30)를 개방시킬 수 있다.At one side of the discharge port 30, a discharge vane 32 is installed to be movably provided to open or close the discharge port 30. When the discharge vane 32 is opened, air conditioned in the case 11 may be discharged into the indoor space. For example, the discharge vane 32 may open the discharge port 30 by rota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vane 32 upward.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10)에는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60) 및 열교환기(40)가 포함된다.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10 includes a blower fan 60 and a heat exchanger 40 installed inside the case 11.

상기 열교환기(40)는 상기 흡입구(20)에서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40)에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튜브 및 상기 냉매튜브와 결합되어 열교환 면적을 증대시키는 열교환 핀이 포함된다. 상기 열교환기(40)는 상기 송풍팬(60)의 흡입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열교환기(40)에는, 절곡된 다수의 열교환부가 포함될 수 있다. The heat exchanger 40 is installed to exchange heat with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20. In addition, the heat exchanger 40 includes a refrigerant tube through which a refrigerant flows and a heat exchange fin coupled with the refrigerant tube to increase a heat exchange area. The heat exchanger 40 is disposed to surround the suction side of the blowing fan 60. For example, the heat exchanger 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ent heat exchange units.

상기 송풍팬(60)에는, 원주 방향으로 흡입된 공기를 원주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횡류팬이 포함된다. 상기 송풍팬(60)에는, 고정부재로서의 팬 본체(61) 및 상기 팬 본체(61)의 일 측에 고정되며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블레이드(65)가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65)는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 형태를 갖는다.The blowing fan 60 includes a cross-flow fan for discharging air suck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blowing fan 60 includes a fan body 61 as a fixing member and a plurality of blades 65 fixed to one side of the fan body 61 and spaced apart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plurality of blades 65 have a shape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10)에는, 상기 송풍팬(60)의 외주면 근처에 배치되어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유로 가이드(51,52)가 설치된다. 상기 유로 가이드(51,52)에는, 상기 송풍팬(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리어 가이드(51) 및 스테빌라이저(52)가 포함된다.Further, the air conditioner 10 is provided with flow path guides 51 and 52 disposed nea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lowing fan 60 to guide the flow of air. The flow path guides 51 and 52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ower fan 60 and include a rear guide 51 and a stabilizer 52.

상기 리어 가이드(51)는, 상기 케이스(11)의 후측에서 상기 송풍팬(60)의 흡입측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리어 가이드(51)는, 상기 송풍팬(60)이 회전될 때 상기 송풍팬(60) 측으로 흡입 공기가 원활하게 안내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리어 가이드(51)는, 상기 송풍팬(6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송풍팬(60)에서 박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rear guide 51 extends from the rear side of the case 11 to the suction side of the blowing fan 60. This rear guide 51 allows intake air to be smoothly guided toward the blowing fan 60 when the blowing fan 60 is rotated. In addition, the rear guide 51 may prevent the air flowing by the blowing fan 6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lowing fan 60.

상기 스테빌라이저(52)는, 상기 송풍팬(60)의 토출측에 배치된다. 상기 스테빌라이저(52)는, 상기 송풍팬(60)의 외주면과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60)에서 토출된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40)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The stabilizer 52 is disposed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blowing fan 60. The stabilizer 52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lowing fan 60 to preven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ing fan 60 from flowing backward to the heat exchanger 40.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10)에는, 상기 열교환기(40)의 하측에 배치되는 드레인부(53)가 포함된다. 상기 드레인부(53)에는, 공기와 냉매의 열교환 과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10 includes a drain portion 53 disposed below the heat exchanger 40. In the drain part 53, condensed water generated during a heat exchange process between air and refrigerant may be stored.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10)에는 공기 중 먼지입자를 포집하는 전기집진장치(7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기집진장치(70)는 흡입되는 공기 중 먼지입자를 제거하도록 상기 흡입구(20)와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10 may include an electric precipitator 70 for collecting dust particles in the air.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70 may be installed adjacent to the suction port 20 to remove dust particles from sucked air.

상기 전기집진장치(70)에는, 공기 중으로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장치(100) 및 상기 이온발생장치(100)에서 발생된 이온을 통해 하전된 먼지입자를 포집하는 집진필터(80)가 포함된다. 도 2에서 도시된 전기집진장치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electric dust collecting device 70 includes an ion generating device 100 for generating ions into the air and a dust collecting filter 80 for collecting dust particles charged through the ions generated by the ion generating device 100. . The shape of the electric precipitator shown in FIG. 2 is illustrative and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이온발생장치(100)는 상기 집진필터(80)보다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이온발생장치(100)가 상기 집진필터(80)보다 상기 흡입구(20)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그에 따라, 상기 이온발생장치(100)에서 발생된 이온과 결합되어 대전된 공기 중 먼지입자가 상기 집진필터(80)에 포집될 수 있다.The ion generating device 10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dust collecting filter 80 in a flow direction of air. Referring to FIG. 2, the ion generating device 100 is disposed closer to the suction port 20 than the dust collecting filter 80. Accordingly, dust particles in the air charged by being combined with the ions generated in the ion generating device 100 may be collected by the dust collecting filter 80.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이온발생장치(100)는 공기조화기(10)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이온발생장치(100)는 다양한 제품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온발생장치(100)는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공기 중으로 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ion gener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the air conditioner 10. However, this is exemplary, and the ion generating device 100 may be installed in various products. In addition, the ion generating device 100 may be installed independently to generate ions into the ai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온발생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3에서는 이온발생장치와 함께 집진장치를 함께 도시하였다.3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IG. 3 shows an ion generator and a dust collector together.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온발생장치(100)에는 복수의 대전모듈(110)이 포함된다. 상기 대전모듈(110)은 공기 중으로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장치의 일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대전모듈(110)은 일 방향으로 이온을 발생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ion generating device 100 includes a plurality of charging modules 110. The charging module 110 may be understood as a configuration of an ion generating device that generates ions into the air. The plurality of charging modules 11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generate ions in one direction.

상기 집진장치(80)에는, 대전된 먼지입자가 포집되는 복수의 집진판(82)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대전판(82)은 상기 복수의 대전모듈(110)과 대응되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특히,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집진판(82)의 사이에 상기 대전모듈(110)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대전모듈(110)과 상기 집진판(82)이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The dust collecting device 80 includes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82 in which charged dust particles are collected.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charging plates 82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correspondence with the plurality of charging modules 110. In particular, the charging module 110 may be disposed between a pair of dust collecting plates 82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hat is, the charging module 110 and the dust collecting plate 82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특히, 상기 대전모듈(110) 및 상기 집진판(82)은 공기의 유동방향과 수직하게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집진판(82)은 전도성이 있는 플라스틱(plastic)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형상의 자유도가 높으며 가공성이 좋을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harging module 110 and the dust collecting plate 82 may be installed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the flow direction of air. The dust collecting plate 82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plastic. Accordingly,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shape may be high and workability may be good.

또한, 상기 이온발생장치(100)에는, 상기 복수의 대전모듈(110)이 설치되는 대전설치부(120)가 포함된다. 상기 대전설치부(12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대전모듈(110)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대전설치부(120)는 상기 대전모듈(110)이 배치된 방향으로 연장된 봉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on generating device 100 includes a charging installation unit 120 in which the plurality of charging modules 110 are installed. The charging installation unit 120 may be understood as a configuration connecting a plurality of charging modules 110 that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ccordingly, the charging installation unit 120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rod extend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harging module 110 is disposed.

또한, 상기 대전설치부(120)는 후술할 제어부(130) 및 고전압인가부(140)와 연결되는 구성에 해당된다. 예를 들어, 상기 대전설치부(120)를 통해 상기 복수의 대전모듈(110)로 고전압이 각각 인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집진판(82)은 접지전극과 연결되어 대전된 먼지입자를 포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rging installation unit 120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30 and the high voltage application unit 140 to be described later. For example, a high voltage may be a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harging modules 110 through the charging installation unit 120. Meanwhile, the dust collecting plate 82 may be connected to a ground electrode to collect charged dust particles.

이상에서 상기 대전모듈(110)이 복수 개로 마련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이온발생장치(100)에는 하나의 대전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이온발생장치(100)에는 적어도 하나의 대전모듈(110)이 포함된다. 이하, 하나의 대전모듈(110)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In the above, a case in which a plurality of charging modules 110 are provided has been described, but the ion generating device 100 may include one charging module. That is, the ion generating device 100 includes at least one charging module 110. Hereinafter, one charging module 1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온발생장치의 대전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charging module of the 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전모듈(110)에는 말단에서 이온이 발생되는 방전침(112, discharging needle)이 포함된다. 상기 방전침(112)의 말단은 뾰족하게 마련되어 하나의 점을 형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2에서는 각 대전모듈(110)을 점의 형상으로 도시하였다.As shown in FIG. 4, the charging module 110 includes a discharging needle 112 for generating ions at an end. The distal end of the discharge needle 112 may be sharply provided to form a single point. Accordingly, in FIG. 2, each charging module 110 is shown in the shape of a dot.

상기 방전침(112)은 전체적으로 바늘형상으로, 원형 단면적을 가지며 연장된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방전침(112)은 뾰족한 말단을 형성하는 전단부(1120) 및 상기 전단부(1120)에서 연장된 후단부(1122)로 구분될 수 있다.The discharge needle 112 as a whole has a needle shape, has a circular cross-sectional area and is provided in an extended shape. In this case, the discharge needle 112 may be divided into a front end portion 1120 forming a pointed end and a rear end portion 1122 extending from the front end portion 1120.

자세하게는, 상기 전단부(1120)는 직경이 선형적으로 작아지도록 연장된 부분이고, 상기 후단부(1122)는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연장된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단부(1120)의 외측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후단부(1122)의 외측은 직선으로 형성된다.In detail, the front end portion 1120 is a portion extending so that the diameter is linearly decreased, and the rear end portion 1122 has the same diameter and may be understood as an extended portion. Accordingly, as shown in FIG. 4, the outside of the front end 1120 is formed to be inclined, and the outside of the rear end 1122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이때, 상기 후단부(1122)의 직경을 본체직경(T1)이라 한다. 그리고, 상기 전단부(1120)의 말단을 말단직경(T2, T2<T1)라 한다. 즉, 상기 전단부(1120)는 일 단이 상기 본체직경(T1)으로 마련되고, 타 단이 상기 말단직경(T2)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전단부(1120)는 상기 본체직경(T1)에서 상기 말단직경(T2)으로 선형적으로 단면적이 변화된다.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rear end 1122 is referred to as the main body diameter T1. In addition, the end of the front end portion 1120 is referred to as an end diameter (T2, T2<T1). That is, the front end 1120 has one end provided with the main body diameter T1, and the other end provided with the distal diameter T2. In addition, the front end portion 1120 is linearly changed in cross-sectional area from the main body diameter T1 to the end diameter T2.

상기 전단부(1120)의 말단은 거시적으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실제로 상기 전단부(1120)의 말단은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형 단면에 해당된다. 상기 본체직경(T1)은 상기 말단직경(T2)보다 100배 이상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말단직경(T2)은 3um으로 구비되고, 상기 본체직경(T1)은 300um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end of the front end 1120 may be macroscopically understood as a point as described above. However, in reality, the end of the front end 1120 corresponds to a circular cross section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The main body diameter T1 may be provided at least 100 times larger than the distal diameter T2. For example, the distal diameter T2 may be provided with 3 μm, and the body diameter T1 may be provided with 300 μm.

이때, 상기 방전침(112)에서 이온이 발생할 때, 오존이 함께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오존은 사람의 인체에 악영향을 주는 물질로 그 발생량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이온이 발생되는 부분의 직경, 즉 상기 말단직경(T2)이 작을 수록 오존발생량이 줄어들 수 있다.At this time, when ions are generated in the discharge needle 112, ozone may be generated together. The ozone is a substance that adversely affects the human body and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amount of it generated. As the diameter of the portion where ions are generated, that is, the terminal diameter T2 is smaller, the amount of ozone generated may decrease.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방전침의 바늘형상은 카본 파이버(carbon fib2r) 다발로 구성되는 방전섬유에 비하여 작은 직경을 갖는다. 자게하세는, 상기 방전섬유의 섬유 한 가닥의 굵기는 평균 약10um에 해당된다. 반면, 상기 말단직경(T2)은 약3um으로 구비되어 오존발생량이 효과적으로 저감될 수 있다.The needle shape of the discharge needle according to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discharge fibers composed of a bundle of carbon fibers (carbon fib2r). Sleeping, the thickness of one fiber of the discharge fiber corresponds to an average of about 10 μm. 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diameter T2 is provided with about 3 μm, so that the ozone generation amount can be effectively reduced.

또한, 상기 후단부(1122)의 연장길이를 후단길이(L1)라 하고, 상기 전단부(1120)의 연장길이를 선단길이(L2)라 한다. 즉, 상기 방전침(112)은 상기 후단길이(L1) 및 상기 선단길이(L2)를 합한 길이(L1+L2)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후단길이(L2)는 직경이 동일하게 연장된 길이이고, 상기 선단길이(L2)는 직경이 변화되도록 연장된 길이에 해당된다.In addition, the extended length of the rear end 1122 is referred to as a rear end length L1, and the extended length of the front end 1120 is referred to as a front end length L2. That is, the discharge needle 112 extends to a length L1 + L2 that is the sum of the rear end length L1 and the front end length L2. In addition, the rear end length L2 is a length in which the diameter is equally extended, and the front end length L2 corresponds to an extended length such that the diameter is changed.

상기 후단길이(L1)는 상기 선단길이(L2)와 동일하거나(L1=L2), 상기 선단길이(L2)보다 길게 마련될 수 있다(L1>L2). 이때, 상기 후단길이(L1) 및 상기 선단길이(L2)는 상기 본체직경(T1)보다 크게 마련된다(L1, L2 > T1).The rear end length L1 may be the same as the front end length L2 (L1=L2), or may be longer than the front end length L2 (L1>L2). At this time, the rear end length L1 and the front end length L2 are provided larger than the main body diameter T1 (L1, L2> T1).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이온발생장치(100)에는, 상기 방전침(112)을 가열하는 히터(150)가 포함된다. 상기 히터(150)는 상기 방전침(112)에 결합되어 상기 방전침(112)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방전침(112)의 온도가 높아지면, 발생되는 오존의 양이 줄어든다. 즉, 상기 히터(150)는 상기 방전침(112)의 오존발생량을 저감시키도록 구비된다.In addition, the ion gener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ter 150 for heating the discharge needle 112. The heater 150 may be coupled to the discharge needle 112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 needle 112. When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 needle 112 increases, the amount of ozone generated decreases. That is, the heater 150 is provided to reduce the amount of ozone generated by the discharge needle 112.

상기 히터(150)는 상기 후단부(1122)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터(150)는 상기 후단부(1122)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히터(150)는 히터길이(L3)로 연장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heater 150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rear end 1122. As shown in FIG. 4, the heater 150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coupled to cover the outside of the rear end 1122. In particular, the heater 150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to the heater length L3.

이때, 상기 히터길이(L3)는 상기 후단길이(L1)와 동일하거나(L1=L3), 상기 후단길이(L1)보다 길게 마련될 수 있다(L3>L1). 상기 히터길이(L3)와 상기 후단길이(L1)가 동일한 경우, 상기 히터(150)는 상기 후단부(1122)의 외측을 완전히 커버하도록 결합된다. 즉, 상기 히터(150)는 상기 후단부(1122)에서 일 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후단부(1122)에 결합된다.In this case, the heater length L3 may be equal to the rear length L1 (L1=L3), or may be longer than the rear length L1 (L3>L1). When the heater length L3 and the rear end length L1 are the same, the heater 150 is coupled to completely cover the outside of the rear end 1122. That is, the heater 150 is coupled to the rear end 1122 so as not to protrude from the rear end 1122 to one side.

이하, 상기 히터(150)의 작동과 함께, 상기 이온발생장치(100)의 제어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operation of the heater 150 and control of the ion generating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온발생장치의 제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이온발생장치(100)에는, 제어부(130)가 포함된다. 상기 제어부(130)는 전원부(160) 및 센싱부(170, 180)에서 입력된 신호에 의해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ion gener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130.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each component by signals in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160 and the sensing units 170 and 180.

이때,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이온발생장치(100)가 설치된 제품의 제어부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이온발생장치(100)가 설치된 공기조화기(10)의 제어부에 해당될 수 있다. 이때, 도 5에서는 이온발생장치(100)과 관련된 구성만 도시하였으나, 상기 제어부(130)는 공기조화기(10)의 구성과 함께 이온발생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30 may correspond to a control unit of a product in which the ion generating device 100 is installed.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may correspond to a control unit of the air conditioner 10 in which the ion generating device 100 is installed. In this case, only the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ion generating device 100 is illustrated in FIG. 5, but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ion generating device 100 together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10.

특히, 상기 전원부(160)는 상기 공기조화기(10)의 ON/OFF가 입력되는 구성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난방 또는 냉방모드, 설정온도 및 풍량 등이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부(160)를 통해 강풍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송풍팬(60)을 고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ower supply unit 160 may correspond to a configuration in which ON/OFF of the air conditioner 10 is input. Also, a heating or cooling mode, a set temperature, and an air volume may be input. For example, when strong wind is input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160, the control unit 130 may rotate the blowing fan 60 at high speed.

이때, 상기 이온발생장치(100)는 상기 공기조화기(10)의 ON/OFF와 함께 ON/OFF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160)는 상기 공기조화기(10)와 별도로 상기 이온발생장치(100)를 ON/OFF하는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160)를 통해 공기청정모드 또는 전기집진모드 등이 입력되어 상기 이온발생장치(100)를 ON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on generating device 100 may be turned ON/OFF together with ON/OFF of the air conditioner 10.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160 may be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that turns on/off the ion generating device 100 separately from the air conditioner 10. For example, an air cleaning mode or an electric dust collection mode may be input through the power supply 160 to turn on the ion generating device 100.

상기 센싱부(170, 180)에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싱부에는 공기 중 먼지농도를 측정하는 먼지센서(17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먼지센서(170)는 상기 공기조화기(10)의 흡입그릴(22)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조화기(10)로 유입되는 공기 중 먼지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먼지센서(170)에서 측정되는 값을 먼지농도(X)라 한다.Various types of sensors may be provided in the sensing units 170 and 180.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may be provided with a dust sensor 170 that measures the concentration of dust in the air. For example, the dust sensor 170 may be installed in the suction grill 22 of the air conditioner 10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dust in the air flowing into the air conditioner 10. At this time, the value measured by the dust sensor 170 is referred to as the dust concentration (X).

또한, 상기 센싱부에는, 상기 방전침(112)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80)가 포함된다. 특히, 상기 온도센서(180)는 상기 히터(150)와 결합되는 상기 후단부(1122)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센서(180)에서 측정되는 온도값을 방전침온도(T)라 한다.In addition, the sensing unit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180 that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 needle 112. In particular, the temperature sensor 180 may be installed at the rear end 1122 coupled to the heater 150.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valu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80 is referred to as the discharge needle temperature (T).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히터(150) 및 상기 고전압인가부(140)를 ON/OFF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센싱부에서 측정된 먼지농도(X) 및 방전침온도(T)에 따라, 상기 히터(150) 및 상기 고전압인가부(140)를 ON/OFF할 수 있다. 이하, 이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control unit 160 may turn on/off the heater 150 and the high voltage application unit 140.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160 may turn on/off the heater 150 and the high voltage applying unit 140 according to the dust concentration X and the discharge needle temperature T measured by the sensing unit. Hereinafter,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온발생장치의 제어조건을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control condition of the 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된 먼지농도(X) 및 방전침온도(T)에 따라, 상기 히터(150) 및 상기 고전압인가부(140)가 ON/OFF제어된다. 기재의 편의상, 도 6에는 상기 히터(150)의 ON/OFF제어를 히터ON 및 히터OFF로 기재하고, 상기 고전압인가부(140)의 ON/OFF제어를 고전압ON 및 고전압OFF로 도시하였다.As shown in FIG. 6, the heater 150 and the high voltage applying unit 140 are ON/OFF controlled according to the measured dust concentration X and the discharge needle temperature 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FIG. 6, ON/OFF control of the heater 150 is described as heater ON and heater OFF, and ON/OFF control of the high voltage application unit 140 is illustrated as high voltage ON and high voltage OFF.

이때, 상기 먼지농도(X) 및 상기 방전침온도(T)는 그 측정값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먼지농도(X)에 따른 구간을 가로로, 상기 방전침온도(T)에 따른 구간을 세로로 기재하였다.At this time, the dust concentration (X) and the discharge needle temperature (T)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s. The section according to the dust concentration (X) is described horizontally, and the section according to the discharge needle temperature (T) is described vertically.

상기 먼지농도(X)는 미리 저장된 제 1 농도(A) 및 제 2 농도(B)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농도(A) 및 상기 제 2 농도(B)는 공기 중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해 구분된 임의의 값에 해당된다. 이때, 상기 제 2 농도(B)는 상기 제 1 농도(A)보다 큰 값에 해당된다(B>A). The dust concentration X may be divided into a first concentration A and a second concentration B stored in advance. The first concentration (A) and the second concentration (B) correspond to random values separated to measure the degree of pollution in the air. In this case, the second concentration (B) corresponds to a value greater than the first concentration (A) (B>A).

자세하게는, 1) 상기 먼지농도(X)가 상기 제 1 농도(A) 이하인 경우, 2) 상기 먼지농도(X)가 상기 제 1 농도(A)를 초과하고 상기 제 2 농도(B) 이하인 경우 및 3) 상기 먼지농도(X)가 상기 제 2 농도(B)를 초과하는 경우로 구분된다.Specifically, 1) when the dust concentration (X)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concentration (A), 2) when the dust concentration (X) exceeds the first concentration (A) and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cond concentration (B) And 3) when the dust concentration (X) exceeds the second concentration (B).

이때, 상기 제 2 농도(B)는 공기 중 먼지입자가 비교적 많은 경우의 값에 해당된다. 자세하게는, 공기 중 먼지농도가 상기 제 2 농도(B)에 도달되는 경우, 먼지입자의 제거가 필요한 경우에 해당된다. 그에 따라, 상기 먼지농도(X)가 상기 제 2 농도(B)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고전압인가부(140)가 ON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cond concentration B corresponds to a value when there are relatively many dust particles in the air. Specifically, when the dust concentration in the air reaches the second concentration (B), it corresponds to a case where the removal of dust particles is required. Accordingly, when the dust concentration X exceeds the second concentration B, the high voltage applying unit 140 may be turned on.

한편, 상기 제 1 농도(A)는 공기 중 먼지입자가 비교적 적은 경우의 값에 해당된다. 자세하게는, 공기 중 먼지농도가 상기 제 1 농도(A)에 도달되는 경우, 먼지입자의 제거가 아직은 불필요한 경우에 해당된다. 다만, 공기 중 어느 정도의 먼지농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로, 후술할 예비가열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concentration A corresponds to a value when there are relatively few dust particles in the air. Specifically, when the dust concentration in the air reaches the first concentration (A), it corresponds to a case where the removal of dust particles is not yet necessary. Howe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certain degree of dust concentration in the air, a preheating step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performed.

상기 방전침온도(T)는 미리 저장된 제 1 온도(T1) 및 제 2 온도(T2)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온도(T1) 및 상기 제 2 온도(T2)는 임의의 값에 해당된다. 이때, 상기 제 2 온도(T2)는 상기 제 1 온도(T1)보다 큰 값에 해당된다(T2>T1). The discharge needle temperature T may be divided into a first temperature T1 and a second temperature T2 stored in advance. The first temperature T1 and the second temperature T2 correspond to arbitrary values. In this case, the second temperature T2 corresponds to a value great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T1 (T2>T1).

자세하게는, 1) 상기 방전침온도(T)가 상기 제 1 온도(T1) 이하인 경우, 2) 상기 방전침온도(T)가 상기 제 1 온도(T1)를 초과하고 상기 제 2 온도(T2) 이하인 경우 및 3) 상기 방전침온도(T)가 상기 제 2 온도(T2)를 초과하는 경우로 구분된다.Specifically, 1) when the discharge needle temperature (T) is less than the first temperature (T1), 2) the discharge needle temperature (T) exceeds the first temperature (T1) and the second temperature (T2) It is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cases and 3) the case where the discharge needle temperature T exceeds the second temperature T2.

이때, 상기 제 1 온도(T1)는 상기 방전침(112)에서 발생되는 오존량이 저감되는 온도에 해당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방전침(112)은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방전시 발생되는 오존량이 급격하게 줄어든다. 상기 제 1 온도(T1)는 실험 및 설계에 따라 오존량이 저감되는 특정값으로 정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temperature T1 corresponds to a temperature at which the amount of ozone generated in the discharge needle 112 is reduced. Specifically, when the discharge needle 112 reaches a certain temperature or higher, the amount of ozone generated during discharge is rapidly reduced. The first temperature T1 may be set to a specific value at which the amount of ozone is reduced according to experiments and designs.

그에 따라, 상기 방전침온도(T)가 상기 제 1 온도(T1)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고전압인가부(140)의 OFF상태로 유지된다. 즉, 상기 방전침(112)에서 발생되는 오존량이 적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상기 방전침(112)은 이온을 발생하도록 제어된다.Accordingly, when the discharge needle temperature 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temperature T1, the high voltage applying unit 140 is maintained in an OFF state. That is, on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mount of ozone generated by the discharge needle 112 is small, the discharge needle 112 is controlled to generate ions.

한편, 상기 제 2 온도(T2)는 안전을 위한 온도값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방전침(112)의 온도가 너무 높아지는 경우, 절연파괴 등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온발생장치(100)가 설치된 제품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Meanwhile, the second temperature T2 may be understood as a temperature value for safety. When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 needle 112 is too high, safety problems such as insulation breakdown may occur. In addition, this is because a problem may occur in a product in which the ion generating device 100 is installed.

정리하면, 상기 먼지농도(X)가 상기 제 1 농도(A)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히터(150) 및 상기 고전압인가부(140)는 모두 OFF제어된다. 이는, 상기 먼지농도(X)가 상기 제 1 농도(A)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이온발생장치(100)가 OFF제어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summary, when the dust concentration X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concentration A, the heater 150 and the high voltage applying unit 140 are both OFF-controlled. It can be understood that when the dust concentration X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concentration A, the ion generating device 100 is turned off.

그리고, 상기 먼지농도(X)가 상기 제 1 농도(A)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히터(150)가 ON제어된다. 이때, 상기 고전압인가부(140)는 OFF제어된다. 다만, 상기 방전침온도(T)가 제 2 온도(T2)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히터(150)도 OFF제어된다. And, when the dust concentration (X) exceeds the first concentration (A), the heater 150 is turned on. At this time, the high voltage applying unit 140 is controlled to be OFF. However, when the discharge needle temperature T exceeds the second temperature T2, the heater 150 is also turned off.

그리고, 상기 먼지농도(X)가 상기 제 2 농도(B)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고전압인가부(140)가 ON제어된다. 이때, 상기 히터(150)는 상기 방전침온도(T)가 제 2 온도(T2)를 초과하지 않는 한, ON상태로 유지된다. 다만, 상기 방전침온도(T)가 제 1 온도(T1) 이하인 경우, 상기 고전압인가부(140)는 ON되지 않는다.In addition, when the dust concentration (X) exceeds the second concentration (B), the high voltage applying unit 140 is turned ON. At this time, the heater 150 is maintained in the ON state as long as the discharge needle temperature T does not exceed the second temperature T2. However, when the discharge needle temperature 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temperature T1, the high voltage application unit 140 is not turned on.

즉, 상기 제 1 농도(A)는 상기 히터(150)가 ON제어되는 값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농도(B)는 상기 고전압인가부(140)가 ON제어되는 값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 2 온도(T2)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히터(150)는 OFF되고, 상기 제 1 온도(T1)에 도달되지 않는 경우 상기 고전압인가부(140)는 ON되지 않는다.That is, the first concentration A may be understood as a value at which the heater 150 is turned ON. In addition, the second concentration B may be understood as a value at which the high voltage application unit 140 is turned ON. However, when the second temperature T2 is exceeded, the heater 150 is turned off, and when the first temperature T1 is not reached, the high voltage applying unit 140 is not turned on.

이와 같은 제어조건은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이온발생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제어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이온발생장치는 설치된 제품과 연동되어 제어될 수 있다.Such control conditions are exemplary, and the ion generating device may be controlled in various forms. In particular, the ion generating device may be controlled in conjunction with an installed produc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이온발생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대전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 각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기재하고 그 설명을 모두 인용한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변형된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부호에 a,b,c,d를 붙여 구분한다.The ion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charging modules. Hereinafter, eac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ll descriptions thereof are cited. In addition, configurations modifi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re identified by denoting a, b, c, and d in reference numerals.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이온발생장치의 대전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는 대전모듈의 외관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의 (b)는 대전모듈의 절단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7 is a view showing a charging module of the 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charging module, and FIG. 7(b)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ut-away view of the charging modul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 예에 따른 대전모듈(110a)에는, 방전침(112a) 및 히터(150a)가 포함된다. 상기 방전침(112a)은 전단부(1120a) 및 후단부(1122a)로 구분되며, 상기 방전침(112a)의 형상에 대하여는 앞서 설명한 바를 인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As shown in FIG. 7, the charging module 11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discharge needle 112a and a heater 150a. The discharge needle 112a is divided into a front end portion 1120a and a rear end portion 1122a, and the shape of the discharge needle 112a is referred to as described above and a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상기 히터(150a)는 상기 후단부(1122a)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후단부(1122a)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히터(150a)와 상기 후단부(1122a)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경우, 통전될 수 있다. 즉, 상기 방전침(112a)에 인가되는 고전압이 상기 히터(150a)로 전달될 수 있다.The heater 150a is disposed so as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end 1122a and surround the outside of the rear end 1122a. In this case, when the heater 150a and the rear end 1122a directly contact each other, electricity may be conducted. That is, a high voltage applied to the discharge needle 112a may be transmitted to the heater 150a.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대전모듈(110a)에는, 상기 방전침(112a) 및 상기 히터(150a)의 사이에 배치되는 내측커버(1130)가 포함된다. 상기 내측커버(1130)는 상기 후단부(1122a)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150a)는 상기 내측커버(1130)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To prevent this, the charging module 110a includes an inner cover 1130 disposed between the discharge needle 112a and the heater 150a. The inner cover 1130 is dispos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rear end 1122a. In addition, the heater 150a is dispos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inner cover 1130.

그에 따라, 도 7의 (b)와 같이 상기 후단부(1122a), 상기 내측커버(1130) 및 상기 히터(150a)가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내측커버(1130)는 상기 후단부(1122a)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히터(150a)는 상기 내측커버(113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결합된다.Accordingly, the rear end 1122a, the inner cover 1130, and the heater 150a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as shown in FIG. 7B. In other words, the inner cover 1130 is coupled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end 1122a, and the heater 150a is coupled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cover 1130.

상기 내측커버(1130) 및 상기 히터(150a)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커버(1130)는 상기 후단부(1122a)의 외측에 점착되어 결합되는 테이프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The inner cover 1130 and the heater 150a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addition, the inner cover 113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tape that is bonded to and bonded to the outside of the rear end 1122a.

또한, 상기 대전모듈(110a)에는 후술할 외측커버(11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outer cover 115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charging module 110a.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이온발생장치의 대전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a)는 대전모듈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외관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의 (b)는 대전모듈의 결합된 절단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8 is a view showing a charging module of the 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charging module, and FIG. 8B is a combined sectional view of the charging modul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 예에 따른 대전모듈(110b)에는, 방전침(112b) 및 히터(150b)가 포함된다. 상기 방전침(112b)은 전단부(1120b) 및 후단부(1122b)로 구분되며, 상기 방전침(112b)의 형상에 대하여는 앞서 설명한 바를 인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As shown in FIG. 8, the charging module 110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discharge needle 112b and a heater 150b. The discharge needle 112b is divided into a front end portion 1120b and a rear end portion 1122b, and the shape of the discharge needle 112b is referred to as described above and a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상기 히터(150b)는 상기 후단부(1122b)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후단부(1122b)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대전모듈(110b)에는, 상기 방전침(112b) 및 상기 히터(150b)의 사이에 배치되는 내측커버(1130)가 포함된다. 상기 내측커버(1130)에 대하여는 앞서 설명한 바를 인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The heater 150b is disposed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end 1122b and surround the outside of the rear end 1122b. At this time, the charging module 110b includes an inner cover 1130 disposed between the discharge needle 112b and the heater 150b. For the inner cover 1130,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cited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이때, 도 8의 (a)와 같이, 상기 히터(150b)는 상기 내측커버(1130)의 외측에 스파이럴(spiral) 형태로 감기는 열선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8의 (b)와 같이, 상기 히터(150b)는 동일평면상에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a) of FIG. 8, the heater 150b may be provided as a heating wire wound in a spiral shape outside the inner cover 1130. Accordingly, as shown in (b) of FIG. 8, the heater 150b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is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same plane.

이때, 상기 히터(150b)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상기 히터(150b)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방전침(112b)으로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못한다. 즉, 상기 히터(150b)가 공기 중 노출됨에 따라 힛팅효율이 저감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heater 150b is exposed to the outsid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er 150b cannot be effectively transferred to the discharge needle 112b. That is, as the heater 150b is exposed to air, heating efficiency may be reduced.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대전모듈(110b)에는, 상기 히터(150b)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커버(1150)가 포함된다. 상기 외측커버(1150)는 상기 히터(150b) 및 상기 내측커버(1130)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To prevent this, the charging module 110b includes an outer cover 1150 disposed outside the heater 150b. The outer cover 1150 is disposed to surround the heater 150b and the inner cover 1130.

그에 따라, 도 8의 (b)와 같이 상기 후단부(1122b), 상기 내측커버(1130), 상기 히터(150b) 및 상기 외측커버(1150)가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rear end portion 1122b, the inner cover 1130, the heater 150b, and the outer cover 1150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as shown in FIG. 8B.

상기 내측커버(1130) 및 상기 외측커버(1150)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커버(1130) 및 상기 외측커버(1150)는 점착되어 결합되는 테이프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The inner cover 1130 and the outer cover 1150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addition, the inner cover 1130 and the outer cover 115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tape that is bonded and bonded.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이온발생장치의 대전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 (a)는 대전모듈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외관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9의 (b)는 대전모듈의 결합된 절단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9 is a view showing a charging module of the 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charging module, and FIG. 9(b) is a combined sectional view of the charging module.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실시 예에 따른 대전모듈(110c)에는, 방전침(112c) 및 히터(150c)가 포함된다. 상기 방전침(112c)은 전단부(1120c) 및 후단부(1122c)로 구분되며, 상기 방전침(112c)의 형상에 대하여는 앞서 설명한 바를 인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As shown in Fig. 9, the charging module 110c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a discharge needle 112c and a heater 150c. The discharge needle 112c is divided into a front end portion 1120c and a rear end portion 1122c, and the shape of the discharge needle 112c is referred to as described above and a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상기 히터(150c)는 상기 후단부(1122c)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후단부(1122c)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대전모듈(110c)에는, 상기 방전침(112c) 및 상기 히터(150c)의 사이에 배치되는 내측커버(1130)가 포함된다. 상기 내측커버(1130)에 대하여는 앞서 설명한 바를 인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The heater 150c is dispos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rear end 1122c so as to cover at least a part of the rear end 1122c. At this time, the charging module 110c includes an inner cover 1130 disposed between the discharge needle 112c and the heater 150c. For the inner cover 1130,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cited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또한, 상기 대전모듈(110c)에는, 상기 히터(150c)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커버(1150)가 포함된다. 상기 외측커버(1150)는 상기 히터(150c) 및 상기 내측커버(1130)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외측커버(1150)에 대하여는 앞서 설명한 바를 인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the charging module 110c includes an outer cover 1150 disposed outside the heater 150c. The outer cover 1150 is disposed to surround the heater 150c and the inner cover 1130. For the outer cover 1150,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cited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이때, 도 9의 (a)와 같이, 상기 히터(150c)는 미세 패턴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히터(150c)는 소정의 패턴이 형성된 유연성있는 기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9의 (b)와 같이 상기 후단부(1122c), 상기 내측커버(1130), 상기 히터(150c) 및 상기 외측커버(1150)가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a) of FIG. 9, the heater 150c may be provided as a fine pattern electrode. For example, the heater 150c may be provided as a flexible substrate on which a predetermined pattern is formed. Accordingly, the rear end 1122c, the inner cover 1130, the heater 150c, and the outer cover 1150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as shown in FIG. 9B.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이온발생장치의 대전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해의 편의상, 도 10에는 복수의 대전모듈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10 is a view showing a charging module of the 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 plurality of charging modules are illustrated in FIG. 1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실시 예에 따른 대전모듈(110d)에는, 방전침(112d) 및 히터(150d)가 포함된다. 상기 방전침(112d)은 전단부(1120d) 및 후단부(1122d)로 구분되며, 상기 방전침(112d)의 형상에 대하여는 앞서 설명한 바를 인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As shown in FIG. 10, the charging module 110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ncludes a discharge needle 112d and a heater 150d. The discharge needle 112d is divided into a front end portion 1120d and a rear end portion 1122d, and the shape of the discharge needle 112d is referred to as described above and a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상기 히터(150d)는 상기 후단부(1122d)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후단부(1122d)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히터(150d)는 상기 방전침(112d)이 끼워지는 설치부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heater 150d is dispos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rear end 1122d so as to cover at least a part of the rear end 1122d. In this case, the heater 150d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n installation portion into which the discharge needle 112d is fitted.

자세하게는, 상기 히터(150d)는 상기 후단부(1122d)가 내측에 수용되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히터(150d)는 상기 후단부(1122d)가 관통하여 후단이 노출될 수 있도록 양 단이 개방된 상태로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후단부(1122d)는 상기 히터(150d)를 관통하여 고전압인가부에 연결될 수 있다.In detail, the heater 150d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rear end portion 1122d is accommodated. In particular, the heater 150d is provided with both ends open so that the rear end 1122d penetrates and the rear end is exposed. In addition, the rear end portion 1122d may pass through the heater 150d and be connected to a high voltage application portion.

또한, 상기 히터(150d)와 상기 후단부(1122d)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히터(150d)의 내측직경은 상기 후단부(1122d)의 직경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앞서 설명한 내측커버없이 상기 히터(150d)와 상기 후단부(1122d)사이의 통전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er 150d and the rear end 1122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at is, the inner diameter of the heater 150d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rear end portion 1122d. Accordingly, electricity between the heater 150d and the rear end 1122d can be prevented without the inner cover described above.

또한, 상기 히터(150d)는 내부에 전열판 또는 전열선이 설치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앞서 설명한 외측커버없이 상기 히터(150d)의 가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er 150d may be provided in a shape in which a heating plate or a heating wire is install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heating efficiency of the heater 150d without the outer cover described above.

상기 대전모듈(110d)에는, 상기 히터(150d)가 설치되는 히터설치부(1202) 및 상기 방전침(112d)이 설치되는 방전침설치부(1200)가 구비된다. 상기 히터설치부(1202)는 상기 히터(150d)의 방열을 위한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전침설치부(1200)는 상기 고전압인가부(140)와 연결될 수 있다.The charging module 110d is provided with a heater installation part 1202 in which the heater 150d is installed and a discharge needle installation part 1200 in which the discharge needle 112d is installed. The heater installation part 1202 may be connected to a power source for heat dissipation of the heater 150d. In addition, the discharge needle installation unit 1200 may be connected to the high voltage application unit 140.

이때, 상기 대전모듈(110d)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대전모듈(110d)은 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즉, 상기 방전침(112d) 및 상기 히터(150d)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대응되는 방전침(112d) 및 히터(150d)가 서로 결합된다.In this case, the charging module 110d may be provided in plural. The plurality of charging modules 110d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one direction. That is, the discharge needle 112d and the heater 150d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corresponding discharge needle (112d) and the heater (150d) are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방전침설치부(1200) 및 상기 히터설치부(1202)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대전모듈(110d)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방전침설치부(1200) 및 상기 히터설치부(1202)는 상기 대전모듈(110d)이 배치된 방향으로 연장된 봉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The discharge needle installation unit 1200 and the heater installation unit 1202 may be understood as a configuration connecting a plurality of charging modules 110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ccordingly, the discharge needle installation unit 1200 and the heater installation unit 1202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rod extend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harging module 110d is disposed.

특히, 상기 방전침설치부(120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방전침(112d)을 연결하는 구성에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설치부(1202)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히터(150d)를 연결하는 구성에 해당된다. 상기 방전침설치부(1200) 및 상기 히터설치부(1202)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discharge needle installation unit 1200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that connects a plurality of discharge needles 112d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ddition, the heater installation part 1202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that connects a plurality of heaters 150d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discharge needle installation part 1200 and the heater installation part 1202 may b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이온발생장치는 다양한 형상의 대전모듈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대전모듈은 도면에 기재되지 않은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서로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charging modules of various shapes. However, this is exemplary, and the charging module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not described in the drawings. In addition, configurations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may be mixed and used.

10 : 공기조화기 100 : 이온발생장치
110 : 대전모듈 112 : 방전침
140 : 고전압인가부 150 : 히터
170 : 먼지센서 180 : 온도센서
1120 : 전단부 1122 : 후단부
1130 : 내측커버 1150 : 외측커버
10: air conditioner 100: ion generator
110: charging module 112: discharge needle
140: high voltage application unit 150: heater
170: dust sensor 180: temperature sensor
1120: front end 1122: rear end
1130: inner cover 1150: outer cover

Claims (20)

적어도 하나의 대전모듈이 구비된 이온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전모듈에는,
이온을 발생시키도록, 원형 단면적을 가지며 연장된 방전침 및
상기 방전침의 오존발생량을 저감시키도록. 상기 방전침에 결합되어 상기 방전침의 온도를 높이는 히터가 포함되고,
상기 방전침은,
상기 원형 단면적의 직경이 선형적으로 변화되도록 연장되는 전단부; 및
상기 전단부에서 상기 원형 단면적의 직경이 동일하게 연장된 후단부로 구분되고,
상기 히터는 상기 후단부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발생장치.
In the ion generating device provided with at least one charging module,
In the charging module,
To generate ions, a discharge needle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al area and extending
To reduce the ozone generation amount of the discharge needle A heater coupled to the discharge needle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 needle is included,
The discharge needle,
A front end portion extending so that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cross-sectional area is linearly changed; And
The front end is divided into a rear end having the same diameter of the circular cross-sectional area,
The heater is an ion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cover the outside of the rear e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후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후단부의 외측을 둘러싸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ter is an ion genera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rear end so as to cover at least a part of the rear en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후단부가 관통되어 설치되어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인가부와 연결되도록, 양 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heater is an ion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both ends open so that the rear end is installed through and connected to a high voltage applying unit for applying a high volt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후단부의 외측에 스파이럴(spiral) 형태로 감기는 열선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ter is an ion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heating wire wound in a spiral shape outside the rear e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모듈에는, 상기 방전침 및 상기 히터의 사이에 배치되는 내측커버가 더 포함되고,
상기 내측커버는 상기 후단부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히터는 상기 내측커버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harging module further includes an inner cover disposed between the discharge needle and the heater,
The inner cover is disposed to surround an outside of the rear end, and the heater is disposed to surround an outside of the inner co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모듈에는, 상기 히터의 외측에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외측커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harging module further comprises an outer cover dispos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hea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모듈은 상기 방전침 및 상기 히터가 각각 포함되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대전모듈로 구비되고,
상기 히터의 방열을 위한 전원과 연결되고, 복수의 히터가 설치되는 히터 설치부; 및
상기 방전침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인가부와 연결되고, 복수의 방전침이 설치되는 방전침설치부가 더 포함되는 이온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harging modul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harging modules each including the discharge needle and the heater and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heater installation unit connected to a power source for heat dissipation of the heater and in which a plurality of heaters are installed; And
The ion generat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discharge needle installation unit connected to a high voltage applying unit for applying a high voltage to the discharge needle, a plurality of discharge needles are installe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설치부 및 상기 방전침설치부는 상기 복수의 대전모듈이 배치된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heater installation unit and the discharge needle installation unit extend in parallel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charging modules are dispos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부는 본체직경(T1)으로 연장되고,
상기 전단부는 상기 본체직경(T1)에서 상기 본체직경보다 작은 말단직경(T2, T2<T1)로 선형적으로 단면적이 변화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ear end is extended to the body diameter (T1),
The front end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diameter (T1) to a terminal diameter smaller than the main body diameter (T2, T2 <T1)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linearly change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직경(T1)은 상기 말단직경(T2)보다 100배 이상 크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body diameter (T1) is an ion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at least 100 times larger than the end diameter (T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부는 후단길이(L1) 만큼 연장되고,
상기 전단부는 상기 후단길이(L1)와 같거나 상기 후단길이(L1)보다 작은 선단길이(L2)만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rear end is extended by the rear end length (L1),
The front end length (L1)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length (L1) of the front end length (L2) of the ion generat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공기 중 먼지농도를 측정하는 먼지센서; 및
상기 먼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먼지농도가 미리 정해진 제 1 농도(A)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방전침의 온도가 상승되도록 상기 히터를 ON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포함되는 이온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dust sens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dust in the air; And
When the dust concentration measured by the dust sensor exceeds a predetermined first concentration (A), the ion generat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N the heater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 needle is increased.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먼지농도가 상기 제 1 농도(A)보다 큰 값에 해당되는 제 2 농도(B, B>A)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 의해 ON제어되어 상기 방전침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인가부가 더 포함되는 이온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When the dust concentration measured by the dust sensor exceeds the second concentration (B, B>A) corresponding to a value greater than the first concentration (A), it is turned on by the control unit and a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discharge needle. The ion generat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high voltage applying unit for applying a.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먼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먼지농도가 상기 제 2 농도를 초과하고, 상기 방전침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제 1 온도(T1)에 도달되지 않는 경우 상기 고전압인가부를 OFF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dust concentration measured by the dust sensor exceeds the second concentration and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 needle does not reach a predetermined first temperature T1, the high voltage application unit is turned off. Ion generator.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전침의 온도가 상기 제 1 온도(T1)보다 큰 값에 해당되는 제 2 온도(T2, T2>T1)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히터를 OFF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When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 needle exceeds a second temperature (T2, T2> T1) corresponding to a value great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T1), the control unit turns off the heater. .
공기 중 먼지농도가 측정되고,
측정된 먼지농도가 미리 정해진 제 1 농도(A)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방전침의 온도가 상승되도록 상기 방전침의 후단부에 결합된 히터가 ON되고,
측정된 먼지농도가 상기 제 1 농도(A)보다 큰 값에 해당되는 제 2 농도(B, B>A)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방전침의 전단부에서 이온이 발생되도록 상기 방전침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인가부가 ON되고,
상기 방전침의 전단부는 원형 단면적의 직경이 선형적으로 변화되도록 연장되고, 상기 방전침의 후단부는 상기 전단부에서 상기 원형 단면적의 직경이 동일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발생장치의 제어방법.
The dust concentration in the air is measured,
When the measured dust concentration exceeds the predetermined first concentration (A), the heater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discharge needle is turned on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 needle rises,
When the measured dust concentration exceeds the second concentration (B, B>A) corresponding to a value greater than the first concentration (A), a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discharge needle so that ions are generated at the front end of the discharge needle. The high voltage application part to be applied is turned on,
The front end of the discharge needle is extended so that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cross-sectional area is linearly changed, and the rear end of the discharge needle has the same diameter of the circular cross-sectional area from the front end.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먼지농도가 상기 제 2 농도를 초과하고, 상기 방전침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제 1 온도(T1)에 도달되지 않는 경우 상기 고전압인가부가 OFF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발생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Ion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dust concentration measured by the dust sensor exceeds the second concentration and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 needle does not reach a predetermined first temperature T1, the high voltage application unit is turned off. Control method.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침의 온도가 상기 제 1 온도(T1)보다 큰 값에 해당되는 제 2 온도(T2, T2>T1)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히터가 OFF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발생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When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 needle exceeds a second temperature (T2, T2> T1) corresponding to a value great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T1), the heater is turned off.
제 16 항에 있어서,
측정된 먼지농도가 상기 제 1 농도(A) 이하인 경우, 상기 히터 및 상기 고전압인가부가 OFF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발생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When the measured dust concentration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concentration (A), the heater and the high voltage applying unit are turned off.
제 16 항에 있어서,
측정된 먼지농도가 상기 제 1 농도(A)를 초과하고 상기 제 2 농도(B) 이하인 경우, 상기 고전압인가부가 OFF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발생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When the measured dust concentration exceeds the first concentration (A) and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second concentration (B), the high voltage application unit is turned off.
KR1020190087159A 2019-07-18 2019-07-18 Ioniz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1026231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159A KR102623102B1 (en) 2019-07-18 2019-07-18 Ioniz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159A KR102623102B1 (en) 2019-07-18 2019-07-18 Ioniz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951A true KR20210009951A (en) 2021-01-27
KR102623102B1 KR102623102B1 (en) 2024-01-09

Family

ID=74238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159A KR102623102B1 (en) 2019-07-18 2019-07-18 Ioniz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10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7843B2 (en) * 1993-03-19 2004-06-14 株式会社テクノ菱和 Clean room ionizer
JP6265623B2 (en) * 2013-05-01 2018-01-24 株式会社テクノ菱和 Ioniz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7843B2 (en) * 1993-03-19 2004-06-14 株式会社テクノ菱和 Clean room ionizer
JP6265623B2 (en) * 2013-05-01 2018-01-24 株式会社テクノ菱和 Ioniz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3102B1 (en) 2024-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09931B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ir purifier
JP4366406B2 (en) Air conditioner
US7040101B2 (en) Air refining device and ion generator used for the device
EP2187139A1 (en) Indoor machine for air conditioner
KR100881535B1 (en) Air conditioner
PT2033664E (en) Sterilization method
JP2008036471A (en) Electric dust collector and air treatment device
KR20140005625A (en) Air conditioner
WO2017173707A1 (en) Low-ozone combination heating/air purifying appliance
WO2006013710A1 (en) Air conditioner and odor removing method
JP6832826B2 (en) Ventilation system
JP5036665B2 (en) Ion generator and air cleaner an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the same
KR20210009951A (en) Ioniz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101545558B1 (en) Air purifier having oxygen cluster generation function
EP3690333B1 (en) Air conditioner
JP2002253656A (en) Air cleaner
CN114110906A (en) Purification device and air purifier
CN218672416U (en) Indoor machine of air conditioner
CN218884126U (en) Indoor machine of air conditioner
RU2241492C2 (en) Method for sterilizing air, instrument for producing ions and device for air-conditioning
JP7273657B2 (en) Blower
CN216244743U (en) Fresh air device with dehumidification function
KR102350990B1 (en) Heat recovery ventilation device to remove ultra fine dust and virus
JP7134356B2 (en) ventilation system
CN211084295U (en) Integrated control&#39;s purification and humidification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