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9929A - 배터리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터리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9929A
KR20210009929A KR1020190087110A KR20190087110A KR20210009929A KR 20210009929 A KR20210009929 A KR 20210009929A KR 1020190087110 A KR1020190087110 A KR 1020190087110A KR 20190087110 A KR20190087110 A KR 20190087110A KR 20210009929 A KR20210009929 A KR 20210009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value
temperature
condition
temperature sensing
satis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호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7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9929A/ko
Publication of KR20210009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9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7Software therefor, e.g. for battery testing using modelling or look-up t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current, e.g. f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배터리의 전류 센싱값과 온도 센싱값을 수신하는 입력부와, 전류 센싱값과 온도 센싱값을 이용한 제어 프로그램이 내장된 메모리 및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전류 센싱값, 온도 센싱값 및 온도 센싱값의 추이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릴레이 오프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터리 관리 시스템{SYSTEM FOR BATTERY MANAGEMENT}
본 발명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은 최고 온도 도달 시 릴레이 차단(relay off)되는 로직이 적용되고 있어, 최고 온도 도달 전에는 릴레이가 강제 차단되지 않는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셀의 누적된 스트레스에 의한 스웰링(swelling) 현상에 대한 육안 확인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기준 최고 온도 외에 온도, 전류 임계값, 허용 시간 내 온도 증가분인지 여부에 대한 인자를 추가적으로 고려함으로써, 배터리 관리의 신뢰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배터리의 전류 센싱값과 온도 센싱값을 수신하는 입력부와, 전류 센싱값과 온도 센싱값을 이용한 제어 프로그램이 내장된 메모리 및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전류 센싱값, 온도 센싱값 및 온도 센싱값의 추이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릴레이 오프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로세서는 온도 센싱값 및 온도 센싱값의 추이에 대해 기설정된 제1 조건의 충족 여부를 확인하고, 제1 조건이 충족된 경우, 온도 센싱값의 추이에 대한 데이터인 온도 상승 시간 데이터가 기설정된 지속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대한 제2 조건의 충족 여부를 확인하고, 제2 조건의 충족 시 릴레이 오프 제어를 수행한다.
프로세서는 제1 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 전류 센싱값이 기설정된 제1 전류 임계값보다 크고, 온도 센싱값의 추이에 대한 데이터인 온도 상승 시간 데이터가 기설정된 지속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대한 제3 조건의 충족 여부를 확인하여, 제3 조건의 충족 시 릴레이 오프 제어를 수행한다.
프로세서는 제3 조건이 충족되지 않고, 전류 센싱값이 기설정된 제2 전류 임계값보다 큰 경우, 릴레이 오프 제어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정상적인 상태로 구동되는 열화된 배터리의 교체 알림이 가능하여,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배터리의 성능 열화 원인을 분석하고, 안전성 문제 방지를 위한 검출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부품 증대를 수반하는 하드웨어적 해결 방식에 비해 부품수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목적, 구성 및 효과를 용이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됨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이 제안된 배경에 대하여 먼저 서술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서술하기로 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최고 온도 도달 전에는 일정 온도 이상 시 블로워 동작(공랭식 기준)을 통해 배터리의 온도를 낮추고, 최고 온도 도달 시에는 릴레이 차단되는 로직이 적용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고전류에 의한 차단은 퓨즈가 그 역할을 수행하며, 일정 시간 동안의 온도 증가분과 전류 임계값을 이용한 차단 로직은 적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최고 온도 도달 전에는 릴레이가 강제 차단되지 않고, 셀의 누적된 스트레스에 의한 스웰링 현상에 대해서는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파우치형 셀에서는 고전류 구간 누적 사용으로 인해 최고 온도 도달 전에 셀 스웰링이 발생되지만(파우치형 셀이 적용된 배터리에 대해서는 스웰링 현상에 대한 육안 확인 불가), 릴레이 차단이 되지 않아 배터리 관리 장치(BMS)는 정상 상태인 것으로 잘못 인식하고, 리튬(이온) 배터리 시스템 작동을 지속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배터리 관리장치(BMS)에서는 기본 전류, 전압, 온도를 센싱하여 일정 전압, 최고온도에 따라 제어 로직에서 판단하여 릴레이 오프를 통해 배터리 구동을 강제 종료 시킨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일정 전압, 최고 온도에 이르지만 않는다면, 열화된 배터리 구동을 지속하게 되므로, 열화는 물론, 온도 등 누적된 스트레스에 의해 셀이 발화 이상으로 위험해 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친환경차용(HEV, PHEV, EV 등) 배터리 온도 상승에 따른 안전성 문제 발생을 사전에 차단하는 것이 가능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 고려되던 최고 온도 외에도, 온도 임계값, 전류 임계값, 허용 시간 내 온도 증가분 인자를 추가적으로 고려함으로써, 실제로는 셀이 비정상적인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정상적인 상황인 것으로 인식하여 지속적으로 작동함에 따라 발생되는 발화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신규 셀, 열화된 배터리 모두에 대한 열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배터리 최대 온도에 의한 컷 오프(cut-off) 조건이 릴레이 오프가 되는 조건인데, 차량 특성상 주행/휴지 기간이 반복되기에 배터리의 온도는 상승 이후 휴지 시 하강하는 경향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관리에 이러한 경향을 반영하기 위하여 이 부분을 반영하기 위해 온도 임계값(Tth), 온도 증가분(△T) 인자를 적용하고, PHEV, EV로 진화하면서 배터리 고용량에 따라 전류 사용치도 커지고 있기에 전류 임계값(Ith) 요소를 적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육안으로 확인 불가한 비정상적 상태에서 구동되는 열화된 배터리의 교체 알림을 통해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배터리의 성능 열화 원인을 검출하고, 안전성 문제를 사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온도 센서 적용 등 부품 증대를 통한 신뢰성/안전성 확보하는 하드웨어가 아닌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부품수 감소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100)은 배터리의 전류 센싱값과 온도 센싱값을 수신하는 입력부(110)와, 전류 센싱값과 온도 센싱값을 이용한 제어 프로그램이 내장된 메모리(120) 및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13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30)는 전류 센싱값, 온도 센싱값 및 온도 센싱값의 추이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릴레이 오프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입력부(110)는 전류 센싱값(I) 및 온도 센싱값(T)을 수신한다(S201).
이 때, 프로세서(130)는 온도 센싱값(T)과 최대 온도(Tmax)를 비교하고(S202), 온도 센싱값이 최대 온도 이상인 경우, 릴레이 오프 제어를 수행한다(S203).
S202 단계에서 온도 센싱값이 최대 온도 미만인 경우, 프로세서(130)는 온도 센싱값이 온도 임계값(Tth)보다 크고, 이전 온도(Tn-1)에 비해 현재 온도(Tn)이 더 큰 지 여부(온도 센싱값의 추이)에 대한 제1 조건이 충족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04).
공랭식 배터리의 경우 블로워의 동작으로 온도를 하강시키게 되나, 냉각의 한계가 있고, 고전류 구간에서는 온도 상승을 억제시키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며, 다만 편차를 줄이고자 하는 측면이 강할 뿐이다.
사용 초기에는 문제 발생의 소지가 적지만, 지속 사용에 따른 스트레스가 배터리에 가해지게 되는 바, 사전 설정한 최대 온도에 도달 하기 전에 이미 배터리에는 스웰링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204 단계에서는 S202 단계에서 온도 센싱값(T)이 최대 온도(Tmax) 미만이라 하더라도, 단순히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온도 센싱값(T)와 온도 임계값(Tth)의 비교, 온도 센싱값의 추이에 대한 판단(Tn>Tn-1)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 때, 배터리의 온도 상승은 성능 및 안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현재 온도값이 이전 온도값 대비 높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S204 단계에서 제1 조건이 충족된 경우, 프로세서(130)는 온도 센싱값의 추이에 대한 데이터인 온도 상승 시간 데이터((+)△T)가 기설정된 지속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대한 제2 조건의 충족 여부를 확인하고(S205), 제2 조건의 충족 시 릴레이 오프 제어를 수행한다(S206).
온도 편차 발생은 냉각 유로에 의한 편차도 있으나, 특정 셀에 의한 성능 이상 시 내부저항 증가로 다른 셀보다 발열이 빨리 될 수 있고, 이에 대한 발화 이상의 문제가 발생될 가능성이 크다.
프레쉬(Fresh) 상태에서는 온도 증가분이 급격히 이루어지지 않고, 일정 온도까지는 문제의 소지가 없으나, 열화된 배터리의 경우 비선형으로 배터리마다 온도 편차를 보이면서 증가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 셀 마다 지속 시간 동안의 (+)온도 증가분을 체크하여 열 관리를 수행하는 것이다.
S205 단계에서 "아니오"인 경우, 릴레이 온 제어를 수행한다(S207).
프로세서(130)는 S204 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제1 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 전류 센싱값(I)이 기설정된 제1 전류 임계값(Ith1)보다 크고, 온도 센싱값의 추이에 대한 데이터인 온도 상승 시간 데이터((+)△T)가 기설정된 지속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대한 제3 조건의 충족 여부를 확인하여(S208), 제3 조건의 충족 시 릴레이 오프 제어를 수행한다(S209).
사용 전류에 의해 배터리에는 스트레스가 누적되며, 이에 따라 차량 재시동 시 온도 조건에는 도달하지 못했으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은 배터리의 초기 작동 금지를 위해서는 해당 전류(제1 전류 임계값)에 의한 릴레이 오프가 필요하다.
프로세서(130)는 S208 단계에서 제3 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 전류 센싱값(I)이 기설정된 제2 전류 임계값(Ith2)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하고(S210), 전류 센싱값이 제2 전류 임계값 초과인 경우 퓨즈 단락 또는 릴레이 오프 제어를 수행한다(S211).
S210 단계에서 "아니오"인 경우 릴레이 온 제어를 수행한다(S212).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방법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구현되거나, 또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사용자 입력 장치와, 데이터 통신 버스와, 사용자 출력 장치와,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구성 요소는 데이터 통신 버스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한다.
컴퓨터 시스템은 네트워크에 커플링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중앙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거나, 혹은 메모리 및/또는 저장소에 저장된 명령어를 처리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 및 저장소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혹은 비휘발성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는 ROM 및 RAM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방법이 컴퓨터 장치에서 수행될 때,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명령어들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관리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배터리의 전류 센싱값 및 온도 센싱값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전류 센싱값 및 온도 센싱값을 이용한 제어 프로그램이 내장된 메모리; 및
    상기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류 센싱값, 상기 온도 센싱값 및 상기 온도 센싱값의 추이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릴레이 오프 제어를 수행하는 것
    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온도 센싱값 및 상기 온도 센싱값의 추이에 대해 기설정된 제1 조건의 충족 여부를 확인하는 것
    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조건이 충족된 경우, 상기 온도 센싱값의 추이에 대한 데이터인 온도 상승 시간 데이터가 기설정된 지속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대한 제2 조건의 충족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2 조건의 충족 시 릴레이 오프 제어를 수행하는 것
    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전류 센싱값이 기설정된 제1 전류 임계값보다 크고, 상기 온도 센싱값의 추이에 대한 데이터인 온도 상승 시간 데이터가 기설정된 지속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대한 제3 조건의 충족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제3 조건의 충족 시 릴레이 오프 제어를 수행하는 것
    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3 조건이 충족되지 않고, 상기 전류 센싱값이 기설정된 제2 전류 임계값보다 큰 경우, 릴레이 오프 제어를 수행하는 것
    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1020190087110A 2019-07-18 2019-07-18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202100099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110A KR20210009929A (ko) 2019-07-18 2019-07-18 배터리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110A KR20210009929A (ko) 2019-07-18 2019-07-18 배터리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929A true KR20210009929A (ko) 2021-01-27

Family

ID=74238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110A KR20210009929A (ko) 2019-07-18 2019-07-18 배터리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99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5319A (ko) * 2021-02-10 2022-08-17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배터리 승온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5319A (ko) * 2021-02-10 2022-08-17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배터리 승온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11750B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adjusting battery undervoltage protection
CN103085669B (zh) 自动碰撞电池放电方法
US20130179012A1 (en) Detection of over-current in a battery pack
EP3107181B1 (en) Monitoring device for secondary battery, battery pack, and protection system for secondary battery
CN109591626B (zh) 预充电电阻的保护方法、系统、装置及存储介质
CN109546238B (zh) 一种控制电池功率的方法及装置
JP6651394B2 (ja) 半導体装置及び寿命予測方法
KR101847685B1 (ko) 배터리의 상태 추정 장치 및 방법
CN111516551A (zh) 一种电池管理系统功能安全监控方法、装置及车辆
US20200059107A1 (en) Energy storag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energy storage devices
CN115102266A (zh) 一种电池系统的控制方法、电池系统、离网供电系统
WO2021061729A1 (en) Management of a pre-charge circuit of a battery management system
KR20210009929A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CN112193124A (zh) 电池充电方法、装置、介质、电池管理系统及车辆
CN114755496A (zh) 绝缘电阻检测设备、具有该设备的系统及其方法
CN117148166A (zh) 电池安全等级预测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1890935B (zh) 预充控制方法、控制电路和电动车辆
CN111412633A (zh) 一种空调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空调
US20240113343A1 (en) Method for Monitoring a Battery System
WO2021039130A1 (ja) 通電制御装置および電源ユニット
CN111129626B (zh) 低电压门槛调整方法
JP7402205B2 (ja) 二次電池の劣化判定方法、劣化判定プログラム及び劣化判定装置
CN111186337A (zh) 电池故障判别方法和装置
CN113829960B (zh) 一种电动汽车控制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US20230305505A1 (en)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