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9190A - Frame for planting - Google Patents

Frame for plan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9190A
KR20210009190A KR1020190085908A KR20190085908A KR20210009190A KR 20210009190 A KR20210009190 A KR 20210009190A KR 1020190085908 A KR1020190085908 A KR 1020190085908A KR 20190085908 A KR20190085908 A KR 20190085908A KR 20210009190 A KR20210009190 A KR 20210009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bar
bracket
cross bar
upper bracke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9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91085B1 (en
Inventor
이태건
Original Assignee
이태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건 filed Critical 이태건
Priority to KR1020190085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085B1/en
Publication of KR20210009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1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0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9Handling or transporting of soil blocks or seedlings

Abstract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ing frame which can be easi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and can receive the root part of a plant together with the soil, thereby being carried together with the planted plant by heavy equipment such as a forklift, a crane,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ting frame comprises a plurality of wall frames and a plurality of fixing mechanisms coupling the plurality of wall frames. The wall frame comprises: an upper crossbar; a first upper bracket and a second upper bracket coupled to the upper crossbar; a lower crossbar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crossbar in parallel to the upper crossbar; a first lower bracket and a second lower bracket provided on the lower crossbar; and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crossbars. The plurality of wall frames allow the first upper bracket and the first lower bracket to face the second upper bracket and the second lower bracket of the other wall frame, respectively,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other wall frame by the fixing mechanism and, at the same time, allow the second upper bracket and the second lower bracket to face the first upper bracket and the first lower bracket of another wall frame, respectively, to be detachably coupled to another wall frame by the fixing mechanism, thereby partitioning and forming a reception space in which the root of the plant and the soil surrounding the root are received.

Description

식재틀{FRAME FOR PLANTING}Planting frame{FRAME FOR PLANTING}

본 발명은 식재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의 뿌리 부분을 토양과 함께 수용할 수 있어 식물을 이동하거나 이식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식재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ing fr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nting frame that can be used to move or transplant a plant by accommodating the root portion of the plant together with the soil.

일반적으로, 수목을 이용하는 조경 공사에서는 살아 있는 수목이 조경이 필요한 위치로 옮겨 심어진다. 조경 공사에 이용되는 수목은 농장이나, 수목원, 산과 같은 타지에서 어느 정도 성장한 것이 이식된다. 수목의 이식 작업에서 중요한 것이 수목의 뿌리를 보호하는 것이다. 수목의 뿌리 상태는 수목의 생사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고, 수목의 이식 후 생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In general, in landscaping construction using trees, living trees are transferred to a location where landscaping is required. The trees used in the landscape construction are transplanted to some extent in other places such as farms, arboretums, and mountains. The important thing in tree transplantation is to protect the tree's roots. This is because the state of the root of a tree is directly related to the life and death of the tree, and has a direct effect on the growth after transplantation of a tree.

따라서, 살아 있는 수목을 옮겨 심을 때에는 뿌리를 감싸는 토양을 보존되게 하여 이식되는 과정에도 충분한 수분과 양분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수목을 이식할 때는 뿌리에 토양이 부착된 상태로 분뜨기 작업한 후, 뿌리 주위에 붙은 토양을 면포나 끈 등으로 감싸서 토양이 온전하게 뿌리에 붙어 있도록 하여 수목을 운반하게 된다.Therefore, when transplanting live trees, it is important to preserve the soil surrounding the roots so that sufficient moisture and nutrients are continuously supplied during the transplant process. To do this, when transplanting trees, the soil is attached to the roots, and then the soil is wrapped around the roots with cotton cloth or string so that the soil is completely attached to the roots, and the trees are transported.

이식 위치로 수목이 운반되면, 지반을 일정한 깊이로 개토한 다음, 뿌리를 개토된 구덩이에 넣어 매립하게 된다. 수목이 식재된 후, 수목은 식재되는 주변 지반과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해리되기 쉬우며, 주위의 지반으로 뿌리 내리기까지는 흔들리거나 쓰러지기 쉽다. 따라서, 수목의 이식 후, 지상에서 수목의 줄기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지주목을 적당하게 받쳐주게 된다.When the trees are transported to the transplant site, the ground is uncovered to a certain depth, and then the roots are placed in a pits to be buried. After the trees are planted, the trees are not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rounding ground to be planted and are easy to dissociate, and are likely to shake or fall until rooted in the surrounding ground. Therefore, after transplantation of the tree, it is appropriately supported by the support tree for supporting the stem of the tree on the ground.

그런데 이러한 방식은 지주목들이 수목의 둘레에 넓게 배치되어 공간을 많이 차지하므로 좁은 부지에는 적용되기 어렵고, 철선을 감아 지주목들을 상호 지지하게 됨으로써 설치 작업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지주목 방식은 지지력이 안정되지 못하고, 수목 주위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is method is difficult to apply to a narrow site because the struts are widely arranged around the tree and occupy a lot of space,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installation work time is lengthened because the struts are mutually supported by winding wires. In addition, the support structure is not stable, and there is a problem of damaging the aesthetics around trees.

또한, 종래의 이식 방식은 정해진 위치로 옮겨 심어진 수목을 다시 다른 곳으로 이식하기 매우 번거롭고,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ransplant method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very cumbersome and expensive to transplant a tree that has been transplanted to a predetermined location and transplanted to another place.

등록특허공보 제1216746호 (2012. 12. 28.)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216746 (2012. 12. 28.)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식물의 뿌리 부분을 토양과 함께 수용할 수 있어 지게차나 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통해 식재된 식물과 함께 운반될 수 있는 식재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view of the above points, and i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and since the root part of the plant can be accommodated with the soil, it can be transported together with the planted plant through heavy equipment such as a forklift or a crane. It aims to provide a planting frame.

또한, 본 발명은 식물이 식재된 상태로 위치 이동이 용이하여 식물의 식재 위치 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식재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ing frame capable of changing the planting position of the plant by easily moving the plant in the planted stat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재틀은, 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식물의 뿌리와 뿌리를 감싸는 토양을 수용할 수 있는 식재틀로서, 복수의 상부 가로대 홈이 형성된 상부 가로대와, 상기 상부 가로대의 일단 측으로 치우쳐 배치되고 제 1 상부 브라켓 홀을 갖는 제 1 상부 브라켓과, 상기 상부 가로대의 타단 측으로 치우쳐 배치되고 제 2 상부 브라켓 홀을 갖는 제 2 상부 브라켓과, 상기 상부 가로대보다 짧은 길이로 상기 상부 가로대의 하측에 상기 상부 가로대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상부 가로대 홈에 대응하는 복수의 하부 가로대 홈을 갖는 하부 가로대와, 상기 하부 가로대의 일단부 측으로 치우쳐 배치되고 제 1 하부 브라켓 홀을 갖는 제 1 하부 브라켓과, 상기 하부 가로대의 타단부 측으로 치우쳐 배치되고 제 2 하부 브라켓 홀을 갖는 제 2 하부 브라켓과, 일단부가 상기 상부 가로대 홈에 삽입되고 타단부가 상기 하부 가로대 홈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 가로대와 상기 하부 가로대를 연결하는 복수의 세로대를 구비하는 복수의 벽체틀; 및 상기 제 1 상부 브라켓 홀과, 상기 제 2 상부 브라켓 홀과, 상기 제 1 하부 브라켓 홀과, 상기 제 2 하부 브라켓 홀에 각각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복수의 벽체틀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복수의 고정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벽체틀은, 상기 제 1 상부 브라켓 및 상기 제 1 하부 브라켓이 다른 벽체틀의 상기 제 2 상부 브라켓 및 상기 제 2 하부 브라켓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고정기구에 의해 다른 벽체틀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제 2 상부 브라켓 및 상기 제 2 하부 브라켓이 또 다른 벽체틀의 상기 제 1 상부 브라켓 및 상기 제 1 하부 브라켓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고정기구에 의해 또 다른 벽체틀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식물의 뿌리와 뿌리를 감싸는 토양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구획 형성한다.The plant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is a planting fram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roots of plants and the soil surrounding the roots so that plants can be planted, and an upper crossbar having a plurality of upper crossbar grooves , A first upper bracket that is biased toward one end of the upper cross bar and has a first upper bracket hole, a second upper bracket that is biased toward the other end of the upper cross bar and has a second upper bracket hole, and is shorter than the upper cross bar. A lower crossbar is disposed at a lower side of the upper crossbar in length and is parallel to the upper crossbar and has a plurality of lower crossbar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upper crossbar grooves, and a first lower bracket is disposed to be offset toward one end of the lower crossbar A first lower bracket having a hole, a second lower bracket disposed skewed toward the other end of the lower crossbar and having a second lower bracket hole, and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upper crossbar groove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lower crossbar groove A plurality of wall frames having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connecting the upper cross bars and the lower cross bars; And the first upper bracket hole, the second upper bracket hole, the first lower bracket hole, and the second lower bracket hole. A plurality of fixing mechanisms; wherein the plurality of wall frames are arranged such that the first upper bracket and the first lower bracket face each of the second upper bracket and the second lower bracket of another wall frame, and the In addition to being detachably coupled to the other wall frame by a fixing mechanism, the second upper bracket and the second lower bracket are arranged to face each of the first upper bracket and the first lower bracket of another wall frame. It is detachably coupled to another wall frame by a fixing mechanism to form a compartment in which the roots of plants and soil surrounding the roots are accommodated.

상기 세로대는 상기 상부 가로대 및 상기 하부 가로대에 대해 각각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상기 상부 가로대와 상기 하부 가로대를 연결하고, 상기 수용 공간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vertical bars may be arrang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upper cross bars and the lower cross bars to connect the upper cross bars and the lower cross bars, and the receiving space may have a shape whose width gradually decreases from top to bottom.

상기 상부 가로대 홈은 상기 수용 공간의 안쪽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상부 가로대 중 상기 수용 공간의 안쪽을 향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 가로대 홈은 상기 수용 공간의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하부 가로대 중 상기 수용 공간의 외측을 향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crossbar groove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upper crossbar that faces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so as to be opened inward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the lower crossbar groove is formed of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lower crossbar to open to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It may be formed in a portion facing outward.

상기 세로대는 상기 하부 가로대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하부 가로대와 결합될 수 있다.The vertical bar may be coupled to the lower cross bar so as to protrude downward from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cross bar.

본 발명에 따른 식재틀은, 상기 하부 가로대와 접하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의 하측을 덮는 바닥판; 상기 복수의 세로대와 접하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의 둘레를 덮는 복수의 측벽판;을 포함할 수 있다.The plant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ttom plate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crossbar to cover the lower side of the receiving space;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ide wall plates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vertical bars and covering the periphery of the receiving space.

상기 상부 가로대와, 상기 하부 가로대와, 상기 세로대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upper crossbar, the lower crossbar, and the vertical bar may have a square pillar shape.

상기 벽체틀은, 상기 상부 가로대의 일단에 상기 상부 가로대로부터 돌출되는 방향 또는 상기 상부 가로대 속으로 인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 1 상부 브라켓이 결합되는 제 1 가동대와, 상기 상부 가로대의 타단에 상기 상부 가로대로부터 돌출되는 방향 또는 상기 상부 가로대 속으로 인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 2 상부 브라켓이 결합되는 제 2 가동대와, 상기 제 1 가동대를 상기 상부 가로대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상부 가로대에 결합되는 제 1 스토퍼와, 상기 제 2 가동대를 상기 상부 가로대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상부 가로대에 결합되는 제 2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ll frame is inserted and installed at one end of the upper crossbar so as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crossbar or entering the upper crossbar, and a first movable base to which the first upper bracket is coupled, the The second movable platform is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upper crossbar so as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crossbar or entering the upper crossbar, and the second movable base to which the second upper bracket is coupled, and the first movable base. A first stopper coupled to the upper crossbar to be fixed to the upper crossbar, and a second stopper coupled to the upper crossbar to fix the second movable bar to the upper crossbar.

상기 제 1 상부 브라켓 홀은 상기 제 1 상부 브라켓 상에 복수 개가 상기 상부 가로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 2 상부 브라켓 홀은 상기 제 2 상부 브라켓 상에 복수 개가 상기 상부 가로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 1 하부 브라켓 홀은 상기 제 1 하부 브라켓 상에 복수 개가 상기 하부 가로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 2 하부 브라켓 홀은 상기 제 2 하부 브라켓 상에 복수 개가 상기 하부 가로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first upper bracket holes are disposed on the first upper bracket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upper crossbar, and a plurality of the second upper bracket holes are disposed on the second upper bracket. The first lower bracket hol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lower bracket, and a plurality of the first lower bracket hol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crossbar, and the second lower bracket hole A plurality of the second lower bracket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lower crossbar.

본 발명에 따른 식재틀은 구조가 단순하고,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 운반이나 보관 등 사용이 편리하다. 그리고 지게차나 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통해 쉽게 운반될 수 있어 수목 등을 운반하거나 이식하는데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The plant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and is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so it is convenient to use, such as transport or storage. And because it can be easily transported through heavy equipment such as a forklift or a crane, it can be conveniently used to transport or transplant tre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재틀은 조경에 이용되는 수목이 식재된 상태로 정원이나 공원 등으로 어렵지 않게 운반될 수 있으며, 정원이나 공원 등에서 사용자에 의해 그 위치가 수시로 바뀔 수 있어 조경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lant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transported to a garden or park without difficulty in a state in which trees used for landscaping are planted, and its location can be changed from time to time by users in a garden or park, thereby increasing landscape efficiency. I ca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재틀은 그 내부에 토양을 수용함으로써, 수목 이외에 다수의 채소가 식재될 수 있으며, 다수의 채소가 식재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심이나 집 근처에서 소규모로 채소를 기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the plant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to a user in a state in which a number of vegetables are planted, and a number of vegetables other than trees may be planted by accommodating the soil therein. Thus,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grow vegetables on a small scale in the city center or near the house.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재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재틀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재틀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재틀을 지게차를 이용하여 운반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재틀의 사용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재틀을 이용하여 수목을 이식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재틀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재틀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재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재틀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식재틀의 벽체틀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식재틀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planting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 planting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view of a part of the planting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a state of transporting the planting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forklift.
6 shows an example of using a planting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show a process of transplanting a tree using a planting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view showing a planting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view of a part of a planting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nting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lan view showing a planting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lan view showing the wall frame of the planting frame shown in FIG. 12.
14 and 15 show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plant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식재틀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lant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재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재틀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재틀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다.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planting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planting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It is shown by disassembling some components of the planting frame.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재틀(100)은 복수의 벽체틀(110)(111)(112)(113)과, 복수의 벽체틀(110)(111)(112)(113)을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복수의 고정기구(140)를 포함한다. 복수의 벽체틀(110)(111)(112)(113)은 상호 연결되어 수용 공간(135)을 구획 형성한다. 이러한 식재틀(100)은 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식물의 뿌리와 뿌리를 감싸는 토양(S)을 수용할 수 있으며, 지게차(10) 등의 중장비를 통해 식재된 식물과 함께 쉽게 운반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planting fram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wall frame 110, 111, 112, 113, and a plurality of wall frame 110, 111, 112 ) It includes a plurality of fixing mechanisms 140 for coupling 113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plurality of wall frames 110, 111, 112, and 113 are interconnected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135. The planting frame 100 can accommodate the roots of the plants and the soil surrounding the roots (S) so that the plants can be planted, and can be easily transported together with the planted plants through heavy equipment such as a forklift 10.

본 실시예에서는 식재틀(100)이 수목(P)의 뿌리와 뿌리를 감싸는 토양(S)을 수용하여 수목(P)을 이동하거나 이식하는데 이용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In this embodiment, the planting frame 100 is described as being used to move or transplant the tree P by receiving the root of the tree P and the soil S surrounding the root.

본 실시예에 따른 식재틀(100)은 네 개의 벽체틀(110)(111)(112)(113)이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대략 사각틀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하에서 네 개의 벽체틀(110)(111)(112)(113)을 제 1 벽체틀(110), 제 2 벽체틀(111), 제 3 벽체틀(112) 및 제 4 벽체틀(113)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planting fram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ade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frame shape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connecting the four wall frames 110, 111, 112, and 113, in the following four wall frames ( 110) (111) (112, 113) will be described by dividing into the first wall frame 110, the second wall frame 111, the third wall frame 112 and the fourth wall frame 113. .

이들 네 개의 벽체틀(110)(111)(112)(113)은 모두 상부 가로대(115)와, 상부 가로대(115)에 결합되는 제 1 상부 브라켓(118) 및 제 2 상부 브라켓(121)과, 상부 가로대(115)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 가로대(124)와, 하부 가로대(124)에 결합되는 제 1 하부 브라켓(127) 및 제 2 하부 브라켓(130)과, 상부 가로대(115)와 하부 가로대(124)를 연결하는 복수의 세로대(133)를 포함한다. 이들 벽체틀(110)(111)(112)(113)은 상부 가로대(115)나 하부 가로대(124)의 길이, 상부 가로대(115) 상에서 제 1 상부 브라켓(118) 및 제 2 상부 브라켓(121)의 위치, 하부 가로대(124) 상에서 제 1 하부 브라켓(127) 및 제 2 하부 브라켓(130)의 위치 등에서 미소한 차이만 있을 뿐, 개략적인 구조는 동일하다. All of these four wall frames 110, 111, 112, and 113 include an upper crossbar 115, a first upper bracket 118 and a second upper bracket 121 coupled to the upper crossbar 115. , The lower crossbar 124 disposed below the upper crossbar 115, the first lower bracket 127 and the second lower bracket 130 coupled to the lower crossbar 124, and the upper crossbar 115 and the lower It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133 connecting the crossbars 124. These wall frames 110, 111, 112, 113 are the length of the upper crossbar 115 or the lower crossbar 124, the first upper bracket 118 and the second upper bracket 121 on the upper crossbar 115 ), there are only slight differences in the positions of the first lower bracket 127 and the second lower bracket 130 on the lower crossbar 124, and the schematic structure is the same.

상부 가로대(115)는 단면적이 사각형인 사각기둥 형상을 갖는다. 상부 가로대(115)에는 복수의 상부 가로대 홈(116)이 상부 가로대(115)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부 가로대 홈(116)은 상부 가로대(115)의 양측 단부 사이에 수용 공간(135)을 향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즉, 상부 가로대 홈(116)은 수용 공간(135)의 안쪽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상부 가로대 홈(116)은 이에 세로대(133)가 끼워 맞춤될 수 있도록 세로대(133)의 두께에 상응하는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The upper crossbar 115 has a square column shape having a square cross section. A plurality of upper crossbar grooves 116 are formed in the upper crossbar 115 to be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crossbar 115. The upper crossbar groove 116 is formed in a portion facing the receiving space 135 between both ends of the upper crossbar 115. That is, the upper crossbar groove 116 is formed to face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35. The upper crossbar groove 116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vertical bar 133 so that the vertical bar 133 can be fitted thereto.

제 1 상부 브라켓(118)은 상부 가로대(115)의 일단 측으로 치우친 상부 가로대(115)의 일측에 고정된다. 제 1 상부 브라켓(118)에는 제 1 상부 브라켓 홀(119)이 구비된다. 제 1 상부 브라켓 홀(119)에 고정기구(140)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The first upper bracket 118 is fixed to one side of the upper crossbar 115 that is biased toward one end of the upper crossbar 115. A first upper bracket hole 119 is provided in the first upper bracket 118. A part of the fixing mechanism 14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upper bracket hole 119.

제 2 상부 브라켓(121)은 상부 가로대(115)의 타단 측으로 치우친 상부 가로대(115)의 다른 일측에 고정된다. 제 2 상부 브라켓(121)에는 제 2 상부 브라켓 홀(122)이 구비된다. 제 2 상부 브라켓 홀(122)에 고정기구(140)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The second upper bracket 121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upper crossbar 115 biased toward the other end of the upper crossbar 115. The second upper bracket 121 is provided with a second upper bracket hole 122. A part of the fixing mechanism 140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upper bracket hole 122.

하부 가로대(124)는 상부 가로대(115)보다 짧은 길이로 상부 가로대(115)의 하측에 상부 가로대(115)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하부 가로대(124)는 단면적이 사각형인 사각기둥 형상을 갖는다. 하부 가로대(124)에는 상부 가로대(115)에 형성되는 복수의 상부 가로대 홈(116)에 대응하는 복수의 하부 가로대 홈(125)이 하부 가로대(124)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하부 가로대 홈(125)은 하부 가로대(124)의 양측 단부 사이에 수용 공간(135)의 외측을 향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즉, 하부 가로대 홈(125)은 수용 공간(135)의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하부 가로대 홈(125)은 이에 세로대(133)가 끼워 맞춤될 수 있도록 세로대(133)의 두께에 상응하는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The lower crossbar 124 has a shorter length than the upper crossbar 115 and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upper crossbar 115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crossbar 115. The lower crossbar 124 has a square column shape having a square cross section. In the lower crossbar 124, a plurality of lower crossbar grooves 125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upper crossbar grooves 116 formed in the upper crossbar 115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lower crossbar 124. The lower crossbar groove 125 is formed in a portion facing the outer side of the receiving space 135 between both ends of the lower crossbar 124. That is, the lower crossbar groove 125 is formed to face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35. The lower crossbar groove 125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vertical bar 133 so that the vertical bar 133 can be fitted thereto.

제 1 하부 브라켓(127)은 하부 가로대(124)의 일단 측으로 치우친 하부 가로대(124)의 일측에 고정된다. 제 1 하부 브라켓(127)에는 제 1 하부 브라켓 홀(128)이 구비된다. 제 1 하부 브라켓 홀(128)에 고정기구(140)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The first lower bracket 127 is fixed to one side of the lower crossbar 124 biased toward one end of the lower crossbar 124. The first lower bracket 127 is provided with a first lower bracket hole 128. A part of the fixing mechanism 14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lower bracket hole 128.

제 2 하부 브라켓(130)은 하부 가로대(124)의 타단 측으로 치우친 하부 가로대(124)의 다른 일측에 고정된다. 제 2 하부 브라켓(130)에는 제 2 하부 브라켓 홀(131)이 구비된다. 제 2 하부 브라켓 홀(131)에 고정기구(140)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The second lower bracket 130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crossbar 124 biased toward the other end of the lower crossbar 124. The second lower bracket 130 is provided with a second lower bracket hole 131. A part of the fixing mechanism 140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lower bracket hole 131.

세로대(133)는 단면적이 사각형인 사각기둥 형상을 갖는다. 세로대(133)는 일단부가 상부 가로대 홈(116)에 끼워 맞춤되고 타단부가 하부 가로대 홈(125)에 끼워 맞춤되어 상부 가로대(115)와 하부 가로대(124)를 연결한다. 세로대(133)는 그 양단부가 상부 가로대 홈(116) 및 하부 가로대 홈(125)에 삽입된 상태로 용접, 또는 다른 접합 방식으로 상부 가로대(115) 및 하부 가로대(124)와 결합될 수 있다. 세로대(133)는 상부 가로대(115) 및 하부 가로대(124)에 대해 각각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상부 가로대(115)와 하부 가로대(124)를 연결한다.The vertical bar 133 has a rectangular column shape having a square cross section. The vertical bar 133 has one end fitted into the upper cross bar groove 116 and the other end is fitted into the lower cross bar groove 125 to connect the upper cross bar 115 and the lower cross bar 124. The vertical bar 133 may be coupled with the upper cross bar 115 and the lower cross bar 124 by welding or other bonding methods while both ends thereof are inserted into the upper cross bar groove 116 and the lower cross bar groove 125. The vertical bar 133 is dispos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upper cross bar 115 and the lower cross bar 124, and connects the upper cross bar 115 and the lower cross bar 124.

또한, 세로대(133)는 하부 가로대(124)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부 가로대(124)와 결합된다. 하부 가로대(124)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는 세로대(133)의 타단은 지면과 닿는 다리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세로대(133)의 받침대 역할로 수용 공간(135)이 지면으로부터 다소 이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rtical bar 133 is coupled with the lower cross bar 124 so as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ross bar 124.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bar 133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lower cross bar 124 may serve as a bridge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the receiving space 135 may be somewhat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by the role of the support of the vertical bar 133 have.

고정기구(140)는 볼트(141)와, 볼트(141)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142)를 포함한다. 볼트(141)는 제 1 상부 브라켓 홀(119)이나, 제 2 상부 브라켓 홀(122), 제 1 하부 브라켓 홀(128) 또는 제 2 하부 브라켓 홀(13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기구(140)는 볼트(141)가 제 1 상부 브라켓 홀(119)이나, 제 2 상부 브라켓 홀(122), 제 1 하부 브라켓 홀(128) 또는 제 2 하부 브라켓 홀(131)에 삽입되고 너트(142)가 볼트(141)에 나사 결합되는 방식으로, 수용 공간(135)을 구획 형성하는 복수의 벽체틀(110)(111)(112)(113)을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The fixing mechanism 140 includes a bolt 141 and a nut 142 screwed to the bolt 141. The bolt 141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upper bracket hole 119, the second upper bracket hole 122, the first lower bracket hole 128, or the second lower bracket hole 131. In the fixing mechanism 140, the bolt 141 is inserted into the first upper bracket hole 119, the second upper bracket hole 122, the first lower bracket hole 128, or the second lower bracket hole 131. In a manner in which the nut 142 is screwed to the bolt 141, a plurality of wall frames 110, 111, 112, and 113 that form a parti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135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 separate manner. have.

복수의 벽체틀(110)(111)(112)(113)은 각각의 양측으로 다른 두 개의 벽체틀이 고정기구(140)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수용 공간(135)을 구획 형성할 수 있다. 즉, 제 1 벽체틀(110)의 일단부에 제 2 벽체틀(111)이 결합되고, 제 1 벽체틀(110)의 타단부에는 제 4 벽체틀(113)이 결합되고, 제 3 벽체틀(112)은 제 1 벽체틀(110)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제 2 벽체틀(111) 및 제 4 벽체틀(113)과 결합된다.In the plurality of wall frames 110, 111, 112, and 113, two other wall frames are coupled to each of the two sides by a fixing mechanism 140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135. That is, the second wall frame 111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wall frame 110, the fourth wall frame 113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wall frame 110, and the third wall frame 112 is disposed to face the first wall frame 110 and is coupled to the second wall frame 111 and the fourth wall frame 113.

제 1 벽체틀(110)과 제 2 벽체틀(111)은 각각에 구비되는 제 1 상부 브라켓(118)과 제 2 상부 브라켓(121)이 상호 맞닿고 제 1 하부 브라켓(127)과 제 2 하부 브라켓(130)이 상호 맞닿도록 결합된다. 즉, 제 1 벽체틀(110)의 제 1 상부 브라켓(118)과 제 2 벽체틀(111)의 제 2 상부 브라켓(121)이 마주한 상태로 고정기구(140)에 의해 결합되고, 제 1 벽체틀(110)의 제 1 하부 브라켓(127)과 제 2 벽체틀(111)의 제 2 하부 브라켓(130)이 마주한 상태로 고정기구(140)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제 1 벽체틀(110)과 제 2 벽체틀(111) 간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each of the first wall frame 110 and the second wall frame 111, the first upper bracket 118 and the second upper bracket 121 are provid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lower bracket 127 and the second lower bracket The brackets 130 are coupled to abut each other. That is, the first upper bracket 118 of the first wall frame 110 and the second upper bracket 121 of the second wall frame 111 are coupled by the fixing mechanism 140 in a facing state, and the first wall The first lower bracket 127 of the frame 110 and the second lower bracket 130 of the second wall frame 111 are coupled by the fixing mechanism 140 in a facing state, so that the first wall frame 110 and the second lower bracket 130 A solid coupling between the second wall frames 111 may be made.

제 1 벽체틀(110)과 제 4 벽체틀(113)은 각각에 구비되는 제 2 상부 브라켓(121)과 제 1 상부 브라켓(118)이 상호 맞닿고 제 2 하부 브라켓(130)과 제 1 하부 브라켓(127)이 상호 맞닿도록 결합된다. 즉, 제 1 벽체틀(110)의 제 2 상부 브라켓(121)과 제 4 벽체틀(113)의 제 1 상부 브라켓(118)이 마주한 상태로 고정기구(140)에 의해 결합되고, 제 1 벽체틀(110)의 제 2 하부 브라켓(130)과 제 4 벽체틀(113)의 제 1 하부 브라켓(127)이 마주한 상태로 고정기구(140)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제 1 벽체틀(110)과 제 4 벽체틀(113)이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each of the first wall frame 110 and the fourth wall frame 113, the second upper bracket 121 and the first upper bracket 118 provided in each other abut each other, and the second lower bracket 130 and the first lower The brackets 127 are coupled to abut each other. That is, the second upper bracket 121 of the first wall frame 110 and the first upper bracket 118 of the fourth wall frame 113 are coupled by the fixing mechanism 140 in a facing state, and the first wall The second lower bracket 130 of the frame 110 and the first lower bracket 127 of the fourth wall frame 113 face each other and are coupled by the fixing mechanism 140, so that the first wall frame 110 and the The fourth wall frame 113 may maintain a solid coupling state.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복수의 벽체틀(110)(111)(112)(113) 각각은 제 1 상부 브라켓(118)이 다른 벽체틀의 제 2 상부 브라켓(121)과 고정기구(140)를 통해 결합되고, 제 2 상부 브라켓(121)이 다른 벽체틀의 제 1 상부 브라켓(118)과 고정기구(140)를 통해 결합되고, 제 1 하부 브라켓(127)이 다른 벽체틀의 제 2 하부 브라켓(130)과 고정기구(140)를 통해 결합되며, 제 2 하부 브라켓(130)이 다른 벽체틀의 제 1 하부 브라켓(127)과 고정기구(140)를 통해 결합됨으로써, 다른 두 개의 벽체틀과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this way, each of the plurality of wall frames 110, 111, 112, and 113 has a first upper bracket 118 coupled to the second upper bracket 121 and a fixing mechanism 140 of another wall frame. The second upper bracket 121 is coupled through the first upper bracket 118 of another wall frame and the fixing mechanism 140, and the first lower bracket 127 is the second lower bracket 130 of the other wall frame. ) And the fixing mechanism 140, and the second lower bracket 130 is coupled through the first lower bracket 127 and the fixing mechanism 140 of the other wall frame, so that it is firmly connected to the other two wall frames. Can be combined.

그리고 복수의 벽체틀(110)(111)(112)(113)이 고정기구(140)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의 식재틀(100)이 조립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식재틀(100)을 상단부에서 하단부 쪽으로 수직으로 투영할 경우 하부 가로대(124)가 상부 가로대(115)보다 수용 공간(135)의 중심 측으로 치우쳐 놓이게 된다. 이것은 각 벽체틀(110)(111)(112)(113)의 하부 가로대(124)가 상부 가로대(115)보다 짧고 세로대(133)가 상부 가로대(115) 및 하부 가로대(124)에 대해 각각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상부 가로대(115)와 하부 가로대(124)를 연결하기 때문이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wall frames 110, 111, 112, 113 are coupled by a fixing mechanism 140, so that the planting frame 100 having a shape whose width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can be assembled. have. As shown in FIG. 3, when the planting frame 100 is projected vertically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the lower crossbar 124 is biased toward the center of the accommodation space 135 than the upper crossbar 115. This is because the lower crossbar 124 of each wall frame 110, 111, 112, 113 is shorter than the upper crossbar 115 and the vertical bar 133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upper crossbar 115 and the lower crossbar 124, respectively. This is because it is disposed so as to connect the upper crossbar 115 and the lower crossbar 124.

또한, 세로대(133)의 일단부가 삽입되도록 상부 가로대(115)에 형성되는 상부 가로대 홈(116)은 수용 공간(135)의 안쪽을 향하고, 세로대(133)의 타단부가 삽입되도록 하부 가로대(124)에 형성되는 하부 가로대 홈(125)은 수용 공간(135)의 외측을 향함으로써, 상부 가로대(115)는 세로대(133)보다 상대적으로 수용 공간(135)의 외측으로 치우쳐 배치되고, 하부 가로대(124)는 세로대(133)보다 상대적으로 수용 공간(135)의 내측으로 치우쳐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는 다양한 장점으로 작용하게 된다. 즉, 상대적으로 수용 공간(135)의 내측으로 치우쳐 배치되는 복수의 하부 가로대(124)는 수용 공간(135)의 하측에서 수용 공간(135)에 수용되는 수목(P)의 뿌리나 뿌리를 감싸는 토양(S)을 떠받치는 바닥면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가로대(115)가 상대적으로 수용 공간(135)의 외측으로 치우쳐 배치됨으로써 수용 공간(135)의 상부 개방 면적을 보다 넓게 할 수 있다. 수용 공간(135)의 상부 개방 면적이 넓으면 수용 공간(135)에 수목(P)의 뿌리를 수용하는 작업이나, 수용 공간(135)으로부터 수목(P)의 뿌리를 빼내는 작업에 유리하다.In addition, the upper crossbar groove 116 formed in the upper crossbar 115 so that one end of the vertical bar 133 is inserted faces the inside of the receiving space 135, and the lower crossbar 124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bar 133 is inserted. The lower crossbar groove 125 formed in) faces the outer side of the receiving space 135, so that the upper crossbar 115 is disposed to be skewed toward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space 135 relative to the vertical bar 133, and the lower crossbar ( The length 124 is disposed relative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35 than the vertical stand 133. This structure works with various advantages. That is, the plurality of lower crossbars 124 disposed relatively inclined to the inside of the receiving space 135 are the roots or the soil surrounding the roots of the trees P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135 from the lower side of the receiving space 135 It can act as a floor surface to support (S). In addition, since the upper crossbar 115 is relatively skewed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space 135, the upper open area of the receiving space 135 can be made wider. When the upper open area of the accommodation space 135 is large, it is advantageous for a task of accommodating the root of the tree P in the accommodation space 135 or for removing the root of the tree P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135.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재틀(100)은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수목(P)의 뿌리와 뿌리를 감싸는 토양(S)이 수용 공간(135)에 수용됨으로써 수목(P)이 식재될 수 있다. 수용 공간(135)의 하부와 수용 공간(135)의 둘레는 개방되어 있어 수용 공간(135)의 하부와 복수의 세로대(133) 사이로 토양(S)이 빠져나갈 수 있지만, 수목(P)의 뿌리에 토양(S)이 단단히 달라붙은 상태로 수목(P)을 식재틀(100)에 식재하면, 수용 공간(135)에 담긴 토양(S)이 수목(P)의 뿌리를 감싸면서 수용 공간(135)에 담겨 있을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수용 공간(135)에 담긴 토양(S)의 보존을 위해 수용 공간(135)에는 비닐이나 천 등 수용 공간(135)의 하부와 수용 공간(135)의 둘레를 덮을 수 있는 차폐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lanting fram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roots of the trees P and the soil S surrounding the roots receiv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35, as shown in FIG. (P) can be planted. The lower part of the receiving space 135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receiving space 135 are open, so that the soil S can escape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receiving space 135 and the plurality of vertical bars 133, but the root of the tree P When the tree (P) is planted in the planting frame (100) with the soil (S) firmly attached to the soil (S), the soil (S) contained in the receiving space (135) surrounds the root of the tree (P) while the receiving space (135) ) Can be contained. If necessary, in order to preserve the soil S contained in the receiving space 135, a shielding member capable of covering the lower part of the receiving space 135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receiving space 135, such as vinyl or cloth, is provided in the receiving space 135. Can be plac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재틀(100)은 수목(P)이 식재된 상태로 지게차(10) 등의 중장비에 의해 편리하게 운반될 수 있다. 즉, 지게차(10)를 이용하는 경우, 지게차(10)의 포크(11)를 복수의 세로대(133) 사이로 진입시켜 포크(11) 위에 상부 가로대(115)가 얹혀지도록 함으로써 식재틀(100)을 지면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고, 식재틀(100)을 쓰러지지 않도록 안전하게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부 가로대(115)가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포크(11)와 면접촉할 수 있으므로, 지게차(10)에 의한 더욱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하다.The planting fram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veniently transported by heavy equipment such as a forklift 10 in a state in which trees P are planted. That is, in the case of using the forklift 10, the fork 11 of the forklift 10 is entered between the plurality of vertical bars 133 so that the upper cross bar 115 is placed on the fork 11, thereby placing the planting frame 100 on the ground. It can be stably lifted from, and it is possible to safely transport the planting frame 100 so as not to fall. Moreover, since the upper crossbar 115 is formed in a square pillar shape and can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ork 11, a more stable transportation by the forklift 10 is possible.

경우에 따라 식재틀(100)은 포크(11) 위에 하부 가로대(124)가 얹혀져 지게차(10)에 의해 운반될 수 있다. 식재틀(100)이 지면에 놓일 때 복수의 세로대(133)가 지면에 접하여 하부 가로대(124)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으므로, 지게차(10)의 포크(11)를 하부 가로대(124)의 하측에서 복수의 세로대(133) 사이로 진입시켜 포크(11)로 하부 가로대(124)를 떠받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some cases, the planting frame 100 may be transported by a forklift 10 by placing a lower crossbar 124 on the fork 11. When the planting frame 100 is placed on the ground,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133 contact the ground so that the lower crossbar 124 can be separated from the ground, so that the fork 11 of the forklift 10 is plac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crossbar 124 It can be easily made to enter between the plurality of vertical bars 133 and support the lower crossbar 124 with the fork 11.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재틀(100)은 수목(P)이 식재된 상태로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정원이나 공원 등으로 어렵지 않게 운반될 수 있으며, 수목(P)은 식재틀(100)에 식재된 상태로 그대로 조경에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지게차(10) 등의 중장비를 이용하여 수목(P)의 위치를 수시로 바꿀 수 있으며, 수목(P)이 고사하는 등 교체가 필요한 경우 해당 수목(P)을 다른 식재틀(100)에 식재된 새로운 수목(P)으로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과실수를 정원이나 공원 등에 배치하게 되는 경우, 사용자는 식재틀(100)을 이용함으로써 계절에 따라 다양한 과실수를 정원이나 공원 등에 옮겨 놓고 과실을 수득하는 것이 가능하다.Therefore, the planting fram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transported to a garden or a park without difficulty, as shown in FIG. 6 in a state in which the trees P are planted, and the trees P are planted. As it is planted in the frame 100, it can be used for landscaping. In this case, the user can change the position of the tree (P) from time to time using heavy equipment such as a forklift (10), if necessary, and if the tree (P) dies or needs replacement, the tree (P) can be planted in another way. It can be easily replaced with a new tree (P) planted in the frame (100). In addition, in the case of arranging fruit trees in a garden or park, the user can obtain fruits by transferring various fruit trees according to seasons in a garden or park by using the planting frame 10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재틀(100)은 수목(P)을 이식하는데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수목(P)을 이식하는 경우,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수목(P)이 식재된 식재틀(100)이 견인 와이어(20)에 연결되어 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통해 수목(P)의 식재를 위해 마련된 구덩이(H) 속으로 운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식재틀(100)이 구덩이(H) 속에 배치된 상태에서 고정기구(140)를 각각의 벽체틀(110)(111)(112)(113)로부터 분리함으로써 복수의 벽체틀(110)(111)(112)(113)을 어렵지 않게 해체할 수 있다. 이후, 구덩이(H)를 메워 수목(P)의 이식을 완료할 수 있고, 분해된 벽체틀(110)(111)(112)(113)과 고정기구(140)는 재이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식재틀(100)은 수목(P)의 뿌리와 함께 지반 속에 매립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anting fram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veniently used to transplant a tree P. In the case of transplanting a tree (P), as shown in FIG. 7, the planting frame 100 on which the tree (P) is planted is connected to the traction wire 20 so that the tree (P) is planted through heavy equipment such as a crane. It can be transported into a pit (H) prepared for it. And, as shown in Figure 8, by separating the fixing mechanism 140 from each of the wall frame 110, 111, 112, 113 in a state in which the planting frame 100 is disposed in the pit H The wall frame 110, 111, 112, 113 can be disassembled without difficulty. Thereafter, the pit H may be filled to complete the transplantation of the tree P, and the disassembled wall frame 110, 111, 112, 113 and the fixing mechanism 140 may be reused. If necessary, the planting frame 100 may be buried in the ground together with the root of the tree P.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재틀(100)은 구조가 단순하고,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 운반이나 보관 등 사용이 편리하다. 그리고 지게차(10)나 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통해 쉽게 운반될 수 있어 수목(P)을 운반하거나 이식하는데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lanting fram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and is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so that it is convenient to use, such as transport or storage. And since it can be easily transported through heavy equipment such as a forklift 10 or a crane, it can be conveniently used to transport or transplant the tree P.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재틀(100)은 수용 공간(135)에 토양(S)을 수용함으로써, 수목(P) 이외에 다수의 채소가 식재될 수 있으며, 다수의 채소가 식재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심이나 집 근처에서 소규모로 채소를 기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the planting fram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mmodates the soil (S) in the receiving space 135, so that a number of vegetables can be planted in addition to the tree (P), and a number of vegetables are planted. I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in a state. Thus,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grow vegetables on a small scale in the city center or near the house.

한편, 도 9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식재틀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s 9 to 15 show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plant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식재틀(200)은 복수의 벽체틀(110)(111)(112)(113)과, 복수의 벽체틀(110)(111)(112)(113)을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복수의 고정기구(140)와, 바닥판(210) 및 복수의 측벽판(22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벽체틀(110)(111)(112)(113)과 고정기구(140)는 상술한 것과 같다.First, the planting frame 200 shown in FIGS. 9 and 10 includes a plurality of wall frames 110, 111, 112, 113, and a plurality of wall frames 110, 111, 112, and 113. It includes a plurality of fixing mechanisms 140, a bottom plate 210, and a plurality of side wall plates 220 that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Here, the wall frame 110, 111, 112, 113 and the fixing mechanism 140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바닥판(210)은 수용 공간(135)에 배치되어 수용 공간(135)의 하측을 덮는다. 바닥판(210)은 수용 공간(135)의 하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하부 가로대(124) 위에 떠받쳐 짐으로써 수용 공간(135)의 하측을 안정적으로 덮을 수 있다. 바닥판(210)에는 복수의 바닥판 홀(211)이 마련된다. 복수의 바닥판 홀(211)을 통해 수용 공간(135) 안쪽의 수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수용 공간(135)의 외측으로부터 수분이 수용 공간(135)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The bottom plate 210 is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35 to cover the lower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35. The bottom plate 210 may stably cover the lower side of the receiving space 135 by being supported on a plurality of lower crossbars 124 disposed under the receiving space 135. The bottom plate 2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ottom plate holes 211. Moisture inside the receiving space 135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lurality of bottom plate holes 211, and moisture may flow into the receiving space 135 from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space 135.

복수의 측벽판(220)은 복수의 세로대(133)와 접하도록 수용 공간(135)에 배치되어 수용 공간(135)의 둘레를 덮는다. 측벽판(220)은 기울어진 세로대(133)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세로대(133)와 같이 기울어지게 놓일 수 있다. 측벽판(220)에는 복수의 측벽판 홀(221)이 마련된다. 복수의 측벽판 홀(221)을 통해 수용 공간(135) 안쪽의 수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수용 공간(135)의 외측으로부터 수분이 수용 공간(135)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ide wall plates 220 are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135 to contact the plurality of vertical bars 133 to cover the periphery of the receiving space 135. The side wall plate 220 is supported by the inclined vertical stand 133 and thus may be inclined like the vertical stand 133. A plurality of side wall plate holes 221 are provided in the side wall plate 220. Moisture inside the receiving space 135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lurality of sidewall plate holes 221, and moisture may flow into the receiving space 135 from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space 135.

이러한 식재틀(200)은 수용 공간(135)의 하부 및 측부를 바닥판(210)과 복수의 측벽판(220)으로 덮음으로써, 수용 공간(135)에 수용되는 토양(S)을 더욱 안정적으로 보존할 수 있다.This planting frame 200 covers the lower and side portions of the receiving space 135 with a bottom plate 210 and a plurality of side wall plates 220, so that the soil 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135 is more stable. Can be preserved.

한편, 도 11에 나타낸 식재틀(300)은 복수의 벽체틀(310)(311)(312)(313)과, 복수의 벽체틀(310)(311)(312)(313)을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복수의 고정기구(140)를 포함한다. 이러한 식재틀(300)은 각 벽체틀(310)(311)(312)(313)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술한 것과 같고, 다만 벽체틀(310)(311)(312)(313)의 길이만 다소 다른 것이다. 즉, 제 1 벽체틀(310)과 제 3 벽체틀(312)의 길이가 제 2 벽체틀(311)과 제 4 벽체틀(313)의 길이보다 길다. 이들 벽체틀(310)(311)(312)(313)은 일측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수용 공간(315)을 형성한다. 이러한 식재틀(300)은 수용 공간(315)에 복수의 수목이나 더 많은 채소를 식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lanting frame 300 shown in FIG. 11 can be separated from a plurality of wall frames 310, 311, 312, 313 and a plurality of wall frames 310, 311, 312, 313 It includes a plurality of fixing mechanisms 140 coupled to each other. This planting frame 300 is the same as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each wall frame 310, 311, 312, 313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but the length of the wall frame 310, 311, 312, 313 is somewhat Something else. That is, the lengths of the first wall frame 310 and the third wall frame 312 are longer than the lengths of the second wall frame 311 and the fourth wall frame 313. These wall frames 310, 311, 312, and 313 form an accommodation space 315 that extends long in one direction. The planting frame 300 may plant a plurality of trees or more vegetables in the accommodation space 315.

한편,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식재틀(400)은 복수의 벽체틀(410)과, 복수의 벽체틀(410)을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복수의 고정기구(14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고정기구(140)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볼트(141)와 너트(142)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planting frame 400 shown in FIGS. 12 and 13 includes a plurality of wall frames 410 and a plurality of fixing mechanisms 140 for separating the plurality of wall frames 410 from each other. Here, the fixing mechanism 140 includes a bolt 141 and a nut 142 as described above.

벽체틀(410)은 상부 가로대(411)와, 상부 가로대(411)의 양단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가동대(418) 및 제 2 가동대(421)와, 제 1 가동대(418) 및 제 2 가동대(421)에 각각 결합되는 제 1 상부 브라켓(424) 및 제 2 상부 브라켓(427)과, 제 1 가동대(418) 및 제 2 가동대(421)를 상부 가로대(411)에 고정하기 위한 제 1 스토퍼(430) 및 제 2 스토퍼(435)와, 상부 가로대(411)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 가로대(124)와, 하부 가로대(124)에 결합되는 제 1 하부 브라켓(437) 및 제 2 하부 브라켓(440)과, 상부 가로대(411)와 하부 가로대(124)를 연결하는 복수의 세로대(133)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하부 가로대(124)와 세로대(133)는 상술한 것과 같은 것으로, 세로대(133)는 상부 가로대(411) 및 하부 가로대(124)에 각각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상부 가로대(411)와 하부 가로대(124)를 연결한다.The wall frame 410 includes an upper cross bar 411, a first movable base 418 and a second movable base 421 mov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upper cross bar 411, and a first movable base 418 And a first upper bracket 424 and a second upper bracket 427 coupled to the second movable table 421, respectively, and the first movable table 418 and the second movable table 421, respectively, to the upper crossbar 411. A first stopper 430 and a second stopper 435 to be fixed to, a lower crossbar 124 disposed below the upper crossbar 411, and a first lower bracket 437 coupled to the lower crossbar 124 ) And a second lower bracket 440, and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133 connecting the upper crossbars 411 and the lower crossbars 124. Here, the lower crossbar 124 and the vertical bar 133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the vertical bar 133 is disposed to be inclined to the upper crossbar 411 and the lower crossbar 124, so that the upper crossbar 411 and the lower crossbar Connect 124.

상부 가로대(411)는 하부 가로대(124)의 상측에 하부 가로대(124)보다 긴 길이로 하부 가로대(124)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부 가로대(411)에는 복수의 상부 가로대 홈(412)이 상부 가로대(411)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부 가로대 홈(412)은 상부 가로대(411)의 양측 단부 사이에 수용 공간(443)을 향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즉, 상부 가로대 홈(412)은 수용 공간(443)의 안쪽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상부 가로대 홈(412)에 세로대(133)의 일단부가 끼움 결합된다. 상부 가로대(411)의 일단부에는 제 1 가동대(418)가 삽입될 수 있는 제 1 수납홈(413)이 마련되고, 상부 가로대(411)의 타단부에는 제 2 가동대(421)가 삽입될 수 있는 제 2 수납홈(414)이 구비된다. 또한, 상부 가로대(411)의 일단부에는 제 1 상부 가로대 홀(415)이 상부 가로대(411)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부 가로대(411)의 타단부에는 제 2 상부 가로대 홀(416)이 상부 가로대(411)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제 1 상부 가로대 홀(415)에 제 1 스토퍼(430)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고, 제 2 상부 가로대 홀(416)에 제 2 스토퍼(435)이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The upper crossbar 411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crossbar 124 with a length longer than the lower crossbar 124 and parallel to the lower crossbar 124. A plurality of upper crossbar grooves 412 are formed in the upper crossbar 411 to be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crossbar 411. The upper crossbar groove 412 is formed in a portion facing the accommodation space 443 between both ends of the upper crossbar 411. That is, the upper crossbar groove 412 is formed to face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443. One end of the vertical bar 133 is fitted into the upper crossbar groove 412. A first receiving groove 413 into which the first movable bar 418 can be inserted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upper cross bar 411, and a second movable bar 421 is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upper cross bar 411 A second storage groove 414 that can be formed is provided. In addition, at one end of the upper crossbar 411, a first upper crossbar hole 415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upper crossbar 411, and a second upper crossbar hole 416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upper crossbar 411. It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crossbar 411. A portion of the first stopper 43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upper crossbar hole 415, and a portion of the second stopper 435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upper crossbar hole 416.

제 1 가동대(418)는 상부 가로대(411)의 일단에 상부 가로대(411)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제 1 가동대(418)는 적어도 일부분이 제 1 수납홈(413)에 삽입되어 상부 가로대(411)로부터 돌출되는 방향 또는 상부 가로대(411) 속으로 인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제 1 가동대(418)에는 상부 가로대(411)의 제 1 상부 가로대 홀(415)에 대응하는 제 1 가동대 홀(419)이 구비된다. 제 1 가동대 홀(419)은 복수 개가 제 1 가동대(418)의 이동 방향으로 따라 이격 배치된다. 제 1 가동대 홀(419)에 제 1 스토퍼(430)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The first movable bar 418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upper cross bar 411 to be linearly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cross bar 411. That is,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movable table 418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storage groove 413 to move linearly in a direc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cross bar 411 or entering the upper cross bar 411. The first movable table 418 is provided with a first movable table hole 419 corresponding to the first upper cross bar hole 415 of the upper cross bar 411. The plurality of first movable table holes 419 are spaced apart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movable table 418. A part of the first stopper 43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movable table hole 419.

제 2 가동대(421)는 상부 가로대(411)의 타단에 상부 가로대(411)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제 2 가동대(421)는 적어도 일부분이 제 2 수납홈(414)에 삽입되어 상부 가로대(411)로부터 돌출되는 방향 또는 상부 가로대(411) 속으로 인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제 2 가동대(421)에는 상부 가로대(411)의 제 2 상부 가로대 홀(416)에 대응하는 제 2 가동대 홀(422)이 구비된다. 제 2 가동대 홀(422)은 복수 개가 제 2 가동대(421)의 이동 방향으로 따라 이격 배치된다. 제 2 가동대 홀(422)에 제 2 스토퍼(435)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The second movable table 421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upper cross bar 411 to be linearly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cross bar 411. That is,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movable table 421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receiving groove 414 to move linearly in a direc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cross bar 411 or entering the upper cross bar 411. The second movable table 421 is provided with a second movable table hole 42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upper cross bar hole 416 of the upper cross bar 411. A plurality of second movable table holes 422 are spaced apart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econd movable table 421. A part of the second stopper 435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movable table hole 422.

제 1 상부 브라켓(424)은 제 1 가동대(418)의 일측에 고정된다. 제 1 상부 브라켓(424)에는 복수의 제 1 상부 브라켓 홀(425)이 구비된다. 이들 제 1 상부 브라켓 홀(425)에 고정기구(140)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상부 브라켓 홀(425)은 상부 가로대(411)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도면에는 복수의 제 1 상부 브라켓 홀(425)이 상부 가로대(411)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제 1 상부 브라켓 홀(425)의 배치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first upper bracket 424 is fixed to one side of the first movable table 418. The first upper bracket 424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upper bracket holes 425. A portion of the fixing mechanism 14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upper bracket hole 425. The plurality of first upper bracket holes 425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upper cross bar 411. In the drawing, it is shown that the plurality of first upper bracket holes 425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upper crossbar 411, but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first upper bracket hole 425 is limited to that shown. It is not possible and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제 2 상부 브라켓(427)은 제 2 가동대(421)의 일측에 고정된다. 제 2 상부 브라켓(427)에는 복수의 제 2 상부 브라켓 홀(428)이 구비된다. 이들 제 2 상부 브라켓 홀(428)에 고정기구(140)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 상부 브라켓 홀(428)은 상부 가로대(411)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도면에는 복수의 제 2 상부 브라켓 홀(428)이 상부 가로대(411)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제 2 상부 브라켓 홀(428)의 배치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second upper bracket 427 is fixed to one side of the second movable table 421. The second upper bracket 427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upper bracket holes 428. A portion of the fixing mechanism 140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upper bracket hole 428. The plurality of second upper bracket holes 428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upper cross bar 411. 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second upper bracket holes 428 are shown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crossbar 411, but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second upper bracket holes 428 is limited to that shown. It is not possible and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제 1 스토퍼(430)는 제 1 가동대(418)를 상부 가로대(411)에 고정하기 위해 상부 가로대(4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1 스토퍼(430)는 스토퍼 볼트(431)와, 스토퍼 볼트(431)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스토퍼 너트(432)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 1 스토퍼(430)는 스토퍼 볼트(431)가 상부 가로대(411)의 제 1 상부 가로대 홀(415)을 통해 제 1 가동대(418)의 제 1 가동대 홀(419)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토퍼 너트(432)가 스토퍼 볼트(431)의 끝단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제 1 가동대(418)를 상부 가로대(411)에 고정할 수 있다. 즉, 제 1 가동대(418)가 제 1 수납홈(413)에 삽입되어 상부 가로대(411)의 제 1 상부 가로대 홀(415)이 제 1 가동대(418)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 1 가동대 홀(419) 중 어느 하나와 일치된 상태에서 스토퍼 볼트(431)가 제 1 상부 가로대 홀(415) 및 제 1 가동대 홀(419)에 삽입되고, 스토퍼 너트(432)가 상부 가로대(411)를 관통하여 상부 가로대(411)로부터 돌출된 스토퍼 볼트(431)의 끝단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제 1 가동대(418)가 상부 가로대(411)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1 가동대(418)의 위치를 조절한 후 제 1 스토퍼(430)를 이용하여 제 1 가동대(418)를 위치 조절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The first stopper 43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crossbar 411 to fix the first movable bar 418 to the upper crossbar 411. The first stopper 430 includes a stopper bolt 431 and a stopper nut 432 that can be screwed to the stopper bolt 431. The first stopper 430 is a state in which the stopper bolt 431 is inserted into the first movable bar hole 419 of the first movable bar 418 through the first upper cross bar hole 415 of the upper cross bar 411 The stopper nut 432 is screwed to the end of the stopper bolt 431 so that the first movable table 418 may be fixed to the upper crossbar 411. That is, the first movable table 418 is inserted into the first storage groove 413 so that the first upper crossbar hole 415 of the upper crossbar 411 is provided in the first movable table 418. A stopper bolt 431 is inserted into the first upper crossbar hole 415 and the first movable bar hole 419 in a state coincident with any one of the large holes 419, and the stopper nut 432 is inserted into the upper crossbar 411 The first movable table 418 may be fixed to the upper cross bar 411 by being screwed to the end of the stopper bolt 431 protruding from the upper cross bar 411 through ). Accordingly, the user may adjust the position of the first movable table 418 and then fix the first movable table 418 in a position-adjusted state by using the first stopper 430.

제 2 스토퍼(435)는 제 2 가동대(421)를 상부 가로대(411)에 고정하기 위해 상부 가로대(4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2 스토퍼(435)는 제 1 스토퍼(430)와 마찬가지로 스토퍼 볼트(431)와, 스토퍼 볼트(431)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스토퍼 너트(432)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 2 스토퍼(435)는 스토퍼 볼트(431)가 상부 가로대(411)의 제 2 상부 가로대 홀(416)을 통해 제 2 가동대(421)의 제 2 가동대 홀(4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토퍼 너트(432)가 스토퍼 볼트(431)의 끝단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제 2 가동대(421)를 상부 가로대(411)에 고정할 수 있다. 즉, 제 2 가동대(421)가 제 2 수납홈(414)에 삽입되어 상부 가로대(411)의 제 2 상부 가로대 홀(416)이 제 2 가동대(421)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 2 가동대 홀(422) 중 어느 하나와 일치된 상태에서 스토퍼 볼트(431)가 제 2 상부 가로대 홀(416) 및 제 2 가동대 홀(422)에 삽입되고, 스토퍼 너트(432)가 상부 가로대(411)를 관통하여 상부 가로대(411)로부터 돌출된 스토퍼 볼트(431)의 끝단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제 2 가동대(421)가 상부 가로대(411)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2 가동대(421)의 위치를 조절한 후 제 2 스토퍼(435)를 이용하여 제 2 가동대(421)를 위치 조절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The second stopper 435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cross bar 411 to fix the second movable bar 421 to the upper cross bar 411. Like the first stopper 430, the second stopper 435 includes a stopper bolt 431 and a stopper nut 432 that can be screwed to the stopper bolt 431. In the second stopper 435, the stopper bolt 431 is inserted into the second movable bar hole 422 of the second movable bar 421 through the second upper cross bar hole 416 of the upper cross bar 411 The stopper nut 432 is screwed to the end of the stopper bolt 431 so that the second movable table 421 may be fixed to the upper crossbar 411. That is, the second movable platform 421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torage groove 414 so that the second upper crossbar hole 416 of the upper crossbar 411 is provided in the second movable platform 421. A stopper bolt 431 is inserted into the second upper crossbar hole 416 and the second movable bar hole 422 in a state matched with any one of the large holes 422, and the stopper nut 432 is inserted into the upper crossbar 411 The second movable table 421 may be fixed to the upper cross bar 411 by being screwed to the end of the stopper bolt 431 protruding from the upper cross bar 411 through ). Accordingly, the user may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cond movable table 421 and then fix the second movable table 421 in the adjusted position by using the second stopper 435.

제 1 하부 브라켓(437)은 하부 가로대(124)의 일단 측으로 치우친 하부 가로대(124)의 일측에 고정된다. 제 1 하부 브라켓(437)에는 복수의 제 1 하부 브라켓 홀(438)이 구비된다. 이들 제 1 하부 브라켓 홀(438)에 고정기구(140)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하부 브라켓 홀(438)은 하부 가로대(124)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도면에는 복수의 제 1 하부 브라켓 홀(438)이 하부 가로대(124)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제 1 하부 브라켓 홀(438)의 배치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first lower bracket 437 is fixed to one side of the lower crossbar 124 inclined toward one end of the lower crossbar 124. The first lower bracket 437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lower bracket holes 438. A portion of the fixing mechanism 14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lower bracket hole 438. The plurality of first lower bracket holes 438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lower crossbar 124. In the drawing, the plurality of first lower bracket holes 438 are shown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lower crossbar 124, but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first lower bracket hole 438 is limited to that shown. It is not possible and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제 2 하부 브라켓(440)은 하부 가로대(124)의 타단 측으로 치우친 하부 가로대(124)의 다른 일측에 고정된다. 제 2 하부 브라켓(440)에는 복수의 제 2 하부 브라켓 홀(441)이 구비된다. 이들 제 2 하부 브라켓 홀(441)에 고정기구(140)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 하부 브라켓 홀(441)은 하부 가로대(124)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도면에는 복수의 제 2 하부 브라켓 홀(441)이 하부 가로대(124)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제 2 하부 브라켓 홀(441)의 배치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second lower bracket 440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crossbar 124 biased toward the other end of the lower crossbar 124. The second lower bracket 44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lower bracket holes 441. A part of the fixing mechanism 140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lower bracket hole 441. The plurality of second lower bracket holes 44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lower crossbar 124. In the drawing, it is shown that the plurality of second lower bracket holes 44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lower crossbar 124, but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second lower bracket hole 441 is limited to that shown. It is not possible and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네 개의 벽체틀(410)은 각각의 양측으로 다른 두 개의 벽체틀이 고정기구(140)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수용 공간(443)을 구획 형성할 수 있다. 즉, 벽체틀(410)은 이에 구비되는 제 1 상부 브라켓(424) 및 제 1 하부 브라켓(437)이 다른 벽체틀의 제 2 상부 브라켓(427) 및 제 2 하부 브라켓(440)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고정기구(140)에 의해 다른 벽체틀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제 1 상부 브라켓(424) 및 이와 마주하는 제 2 상부 브라켓(427)은 상호 마주한 상태에서 제 1 상부 브라켓(424)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 1 상부 브라켓 홀(425) 중 어느 하나와 제 2 상부 브라켓(427)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 2 상부 브라켓 홀(428) 중 어느 하나에 고정기구(140)의 볼트(141)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하부 브라켓(437) 및 이와 마주하는 제 2 하부 브라켓(440)은 상호 마주한 상태에서 제 1 하부 브라켓(437)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 1 하부 브라켓 홀(438) 중 어느 하나와 제 2 하부 브라켓(440)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 2 하부 브라켓 홀(441) 중 어느 하나에 고정기구(140)의 볼트(141)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2, the four wall frames 410 may form an accommodation space 443 by being coupled to each of the other two wall frames by a fixing mechanism 140 on both sides. That is, the wall frame 410 is so that the first upper bracket 424 and the first lower bracket 437 provided therein face the second upper bracket 427 and the second lower bracket 440 of the other wall frame, respectively. It is disposed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other wall frame by the fixing mechanism 140. At this time, the first upper bracket 424 and the second upper bracket 427 facing each other are formed wit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upper bracket holes 425 provided in the first upper bracket 424 while facing each other. 2 The bolts 141 of the fixing mechanism 140 may be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upper bracket holes 428 provided in the upper bracket 427 to be mutually coupled. In addition, the first lower bracket 437 and the second lower bracket 440 facing the first lower bracket 437 and the second lower bracket 440 facing each 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lower bracket holes 438 provided in the first lower bracket 437 and the second The bolts 141 of the fixing mechanism 140 may be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lower bracket holes 441 provided in the lower bracket 440 to be mutually coupled.

이러한 식재틀(400)은 각 벽체틀(410)에 구비되는 제 1 상부 브라켓(424) 및 제 1 하부 브라켓(437)과 다른 벽체틀의 제 2 상부 브라켓(427) 및 제 2 하부 브라켓(440) 간의 결합 위치와, 각 벽체틀(410)에 구비되는 제 2 상부 브라켓(427) 및 제 2 하부 브라켓(440)과 또 다른 벽체틀의 제 1 상부 브라켓(424) 및 제 1 하부 브라켓(437) 간의 결합 위치 조절을 통해 수용 공간(443)의 크기가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The planting frame 400 includes a first upper bracket 424 and a first lower bracket 437 provided in each wall frame 410, and a second upper bracket 427 and a second lower bracket 440 of another wall frame. ), the second upper bracket 427 and the second lower bracket 440 provided in each wall frame 410, and the first upper bracket 424 and the first lower bracket 437 of another wall frame ) The size of the accommodation space 443 may be variously adjusted through the adjustment of the coupling position.

본 실시예에서, 제 1 가동대(418)를 상부 가로대(411)에 고정하기 위한 제 1 스토퍼(430)와 제 2 가동대(421)를 상부 가로대(411)에 고정하기 위한 제 2 스토퍼(435)는 도시된 것과 같이, 스토퍼 볼트(431)와 스토퍼 너트(432)를 포함하는 구조 이외에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first stopper 430 for fixing the first movable bar 418 to the upper crossbar 411 and a second stopper for fixing the second movable bar 421 to the upper crossbar 411 ( As shown, the 435 may be variously changed in addition to the structure including the stopper bolt 431 and the stopper nut 432.

한편, 도 13에 나타낸 벽체틀(410)을 이용하면 다양한 형상의 수용 공간을 갖는 식재틀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by using the wall frame 410 shown in Figure 13 it is possible to make a planting frame having a receiving space of various shapes.

예를 들어, 도 14에 나타낸 식재틀(500)은 세 개의 벽체틀(410)을 이용하여 대략 삼각 기둥 형상의 수용 공간(510)을 형성한 것이다.For example, the planting frame 500 shown in FIG. 14 is formed by using three wall frames 410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510 having a substantially triangular column shape.

한편, 도 15에 나타낸 식재틀(600)은 다섯 개의 벽체틀(410)을 이용하여 대략 오각 기둥 형상의 수용 공간(610)을 형성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lanting frame 600 shown in FIG. 15 is formed by using the five wall frame 410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610 having a substantially pentagonal column shape.

이와 같이, 다양한 개수의 벽체틀(410)을 조립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수용 공간을 갖는 다양한 형태의 식재틀을 제작할 수 있다.In this way, by assembling the wall frame 410 of various numbers, various types of planting frames having various shapes of accommodation spaces can be manufactured.

벽체틀(410)을 조립하여 식재틀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벽체틀(410)의 조립 개수에 따라 벽체틀(410) 간의 연결 각도가 달라지게 되므로, 각 벽체틀(410)에 구비되는 제 1 가동대(418) 및 제 2 가동대(421)의 위치 조절을 통해 복수의 벽체틀(410)을 어렵지 않게 연결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planting frame by assembling the wall frame 410, the connection angle between the wall frame 410 is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assembly of the wall frame 410, so that the first provided in each wall frame 410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plurality of wall frame 410 without difficulty through the position adjustment of the movable table 418 and the second movable table 421.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a preferred example,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described and illustrated above.

예를 들어, 도면에는 벽체틀을 형성하는 상부 가로대와, 하부 가로대와, 세로대가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이들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가로대와, 하부 가로대와, 세로대 간의 결합 구조도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drawings, it is shown that the upper crossbar, the lower crossbar, and the vertical bar that form the wall frame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illar, but their shapes may be variously changed. In addition,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upper crossbar, the lower crossbar, and the vertical bar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one and may be variously changed.

또한, 도면에는 고정기구(140)가 볼트(141)와 너트(142)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고정기구는 복수의 벽체틀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it is shown in the drawings that the fixing mechanism 140 includes a bolt 141 and a nut 142, the fixing mechanism may be changed into various other structures capable of separably coupling a plurality of wall frames. .

또한, 제 1 상부 브라켓에 구비되는 제 1 상부 브라켓 홀의 개수나, 제 2 상부 브라켓에 구비되는 제 2 상부 브라켓 홀의 개수, 제 1 하부 브라켓에 구비되는 제 1 하부 브라켓 홀의 개수나, 제 2 하부 브라켓에 구비되는 제 2 하부 브라켓 홀의 개수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number of first upper bracket holes provided in the first upper bracket, the number of second upper bracket holes provided in the second upper bracket, the number of first lower bracket holes provided in the first lower bracket, or the second lower bracket The number of the second lower bracket holes provided i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one and may be variously changed.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a preferred embodiment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as such. Rather, it will be well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200, 300, 400, 500, 600 : 식재틀
110, 111, 112, 113, 310, 311, 312, 313, 410 : 벽체틀
115, 411 : 상부 가로대 118, 424 : 제 1 상부 브라켓
121, 427 : 제 2 상부 브라켓 124 : 하부 가로대
127, 437 : 제 1 하부 브라켓 130, 440 : 제 2 하부 브라켓
133 : 세로대
135, 315, 443, 510, 610 : 수용 공간
140 : 고정기구 210 : 바닥판
220 : 측벽판
100, 200, 300, 400, 500, 600: planting frame
110, 111, 112, 113, 310, 311, 312, 313, 410: wall frame
115, 411: upper crossbar 118, 424: first upper bracket
121, 427: second upper bracket 124: lower crossbar
127, 437: first lower bracket 130, 440: second lower bracket
133: vertical
135, 315, 443, 510, 610: accommodation space
140: fixing mechanism 210: bottom plate
220: side wall plate

Claims (8)

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식물의 뿌리와 뿌리를 감싸는 토양을 수용할 수 있는 식재틀로서,
복수의 상부 가로대 홈이 형성된 상부 가로대와, 상기 상부 가로대의 일단 측으로 치우쳐 배치되고 제 1 상부 브라켓 홀을 갖는 제 1 상부 브라켓과, 상기 상부 가로대의 타단 측으로 치우쳐 배치되고 제 2 상부 브라켓 홀을 갖는 제 2 상부 브라켓과, 상기 상부 가로대보다 짧은 길이로 상기 상부 가로대의 하측에 상기 상부 가로대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상부 가로대 홈에 대응하는 복수의 하부 가로대 홈을 갖는 하부 가로대와, 상기 하부 가로대의 일단부 측으로 치우쳐 배치되고 제 1 하부 브라켓 홀을 갖는 제 1 하부 브라켓과, 상기 하부 가로대의 타단부 측으로 치우쳐 배치되고 제 2 하부 브라켓 홀을 갖는 제 2 하부 브라켓과, 일단부가 상기 상부 가로대 홈에 삽입되고 타단부가 상기 하부 가로대 홈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 가로대와 상기 하부 가로대를 연결하는 복수의 세로대를 구비하는 복수의 벽체틀; 및
상기 제 1 상부 브라켓 홀과, 상기 제 2 상부 브라켓 홀과, 상기 제 1 하부 브라켓 홀과, 상기 제 2 하부 브라켓 홀에 각각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복수의 벽체틀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복수의 고정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벽체틀은, 상기 제 1 상부 브라켓 및 상기 제 1 하부 브라켓이 다른 벽체틀의 상기 제 2 상부 브라켓 및 상기 제 2 하부 브라켓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고정기구에 의해 다른 벽체틀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제 2 상부 브라켓 및 상기 제 2 하부 브라켓이 또 다른 벽체틀의 상기 제 1 상부 브라켓 및 상기 제 1 하부 브라켓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고정기구에 의해 또 다른 벽체틀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식물의 뿌리와 뿌리를 감싸는 토양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틀.
As a planting frame that can accommodate the roots of plants and the soil surrounding the roots so that plants can be planted,
A first upper bracket having a plurality of upper crossbar grooves formed therein, a first upper bracket arranged biased toward one end of the upper crossbar and having a first upper bracket hole, and a first upper bracket arranged biased toward the other end of the upper crossbar and having a second upper bracket hole. 2 An upper bracket, a lower crossbar having a plurality of lower crossbar groove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upper crossbar at a lower side of the upper crossbar and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upper crossbar grooves, and the lower crossbar A first lower bracket that is skewed toward one end and has a first lower bracket hole, a second lower bracket is skewed toward the other end of the lower crossbar and has a second lower bracket hole, and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upper crossbar groove A plurality of wall frames having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having the other end inserted into the lower crossbar groove to connect the upper crossbar and the lower crossbar; And
The first upper bracket hole, the second upper bracket hole, the first lower bracket hole, and the plurality of wall frames that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by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lower bracket hole. Including;
The plurality of wall frames are arranged such that the first upper bracket and the first lower bracket face each of the second upper bracket and the second lower bracket of the other wall frames, and are separated from the other wall frames by the fixing mechanism. In addition to possible coupling, the second upper bracket and the second lower bracket are arranged to face each of the first upper bracket and the first lower bracket of another wall frame, A planting fram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parably combined to form a compartment in which the roots of plants and soil surrounding the roots are accommoda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대는 상기 상부 가로대 및 상기 하부 가로대에 대해 각각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상기 상부 가로대와 상기 하부 가로대를 연결하고,
상기 수용 공간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틀.
The method of claim 1,
The vertical bars are dispos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upper cross bar and the lower cross bar to connect the upper cross bar and the lower cross bar,
Planting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in a shape whose width gradually decreases from top to botto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로대 홈은 상기 수용 공간의 안쪽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상부 가로대 중 상기 수용 공간의 안쪽을 향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 가로대 홈은 상기 수용 공간의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하부 가로대 중 상기 수용 공간의 외측을 향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틀.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crossbar groove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upper crossbar toward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so as to be opened inward of the accommodation space,
The lower crossbar groove is a planting fram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portion of the lower crossbar that faces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so as to open to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대는 상기 하부 가로대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하부 가로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틀.
The method of claim 3,
The vertical bar is planting fram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lower cross bar so as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lower cross ba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로대와 접하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의 하측을 덮는 바닥판;
상기 복수의 세로대와 접하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의 둘레를 덮는 복수의 측벽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틀.
The method of claim 3,
A bottom plate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crossbar and covering a lower side of the receiving space;
And a plurality of side wall plates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vertical bars and covering the periphery of the receiving sp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로대와, 상기 하부 가로대와, 상기 세로대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틀.
The method of claim 1,
The planting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crossbar, the lower crossbar, and the vertical bar are formed in a square pillar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틀은,
상기 상부 가로대의 일단에 상기 상부 가로대로부터 돌출되는 방향 또는 상기 상부 가로대 속으로 인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 1 상부 브라켓이 결합되는 제 1 가동대와,
상기 상부 가로대의 타단에 상기 상부 가로대로부터 돌출되는 방향 또는 상기 상부 가로대 속으로 인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 2 상부 브라켓이 결합되는 제 2 가동대와,
상기 제 1 가동대를 상기 상부 가로대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상부 가로대에 결합되는 제 1 스토퍼와,
상기 제 2 가동대를 상기 상부 가로대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상부 가로대에 결합되는 제 2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틀.
The method of claim 1,
The wall frame,
A first movable platform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upper crossbar so as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crossbar or a direction entering the upper crossbar, and to which the first upper bracket is coupled;
A second movable bar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upper cross bar so as to move in a direc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cross bar or a direction entering the upper cross bar, and to which the second upper bracket is coupled;
A first stopper coupled to the upper cross bar to fix the first movable bar to the upper cross bar,
Planting fram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stopper coupled to the upper cross bar to fix the second movable bar to the upper cross ba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부 브라켓 홀은 상기 제 1 상부 브라켓 상에 복수 개가 상기 상부 가로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 2 상부 브라켓 홀은 상기 제 2 상부 브라켓 상에 복수 개가 상기 상부 가로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 1 하부 브라켓 홀은 상기 제 1 하부 브라켓 상에 복수 개가 상기 하부 가로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 2 하부 브라켓 홀은 상기 제 2 하부 브라켓 상에 복수 개가 상기 하부 가로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틀.
The method of claim 7,
A plurality of the first upper bracket holes are spaced apart on the first upper bracket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upper cross bar,
A plurality of the second upper bracket holes are spaced apart on the second upper bracket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upper crossbar,
A plurality of the first lower bracket holes are spaced apart on the first lower bracket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lower crossbar,
A planting fram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e second lower bracket hol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lower cross bar on the second lower bracket.
KR1020190085908A 2019-07-16 2019-07-16 Frame for planting KR1022910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908A KR102291085B1 (en) 2019-07-16 2019-07-16 Frame for plan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908A KR102291085B1 (en) 2019-07-16 2019-07-16 Frame for plan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190A true KR20210009190A (en) 2021-01-26
KR102291085B1 KR102291085B1 (en) 2021-08-17

Family

ID=74310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908A KR102291085B1 (en) 2019-07-16 2019-07-16 Frame for plan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085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4796A (en) * 1996-09-10 1998-04-07 Kamiya Zouen:Kk Plant housing member
JPH10140573A (en) * 1996-11-15 1998-05-26 Mito Green Service Kk Young plant planting method on slope face and slope face plating pot employed for the same system
JP2001028949A (en) * 1999-07-23 2001-02-06 Tomoe Zoen Doboku:Kk Collapsible flowerpot and transplanting method
KR100686187B1 (en) * 2006-04-10 2007-02-26 김정회 Prefabricate type flowerpot block for landscape architecture
KR20120106481A (en) * 2011-03-18 2012-09-26 공재만 Dig up the tree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216746B1 (en) 2010-08-20 2012-12-28 김경석 A large size pot for tree planting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20140007225A (en) * 2012-07-09 2014-01-17 김태석 Transplanting container and transplanting method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4796A (en) * 1996-09-10 1998-04-07 Kamiya Zouen:Kk Plant housing member
JPH10140573A (en) * 1996-11-15 1998-05-26 Mito Green Service Kk Young plant planting method on slope face and slope face plating pot employed for the same system
JP2001028949A (en) * 1999-07-23 2001-02-06 Tomoe Zoen Doboku:Kk Collapsible flowerpot and transplanting method
KR100686187B1 (en) * 2006-04-10 2007-02-26 김정회 Prefabricate type flowerpot block for landscape architecture
KR101216746B1 (en) 2010-08-20 2012-12-28 김경석 A large size pot for tree planting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20120106481A (en) * 2011-03-18 2012-09-26 공재만 Dig up the tree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140007225A (en) * 2012-07-09 2014-01-17 김태석 Transplanting container and transplant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1085B1 (en) 202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6187B1 (en) Prefabricate type flowerpot block for landscape architecture
US5640802A (en) Support assembly and method for growing tomato plants and the like
JP5166285B2 (en) Module container device
US8857103B1 (en) Planter with adjustable support stakes
JP2017538405A (en) Vertical hydroponics tower array fixing system
US10653078B2 (en) Animal-incursion-resistant raised bed gardening system
US20110219689A1 (en) Botanical Arrangement and Display Apparatus
US20140305040A1 (en) Mobile plant growing device and kit
US20190059240A1 (en) Modular plant growth tray and support fencing assembly and method for supporting plant extremities during growth
JP2004248533A (en) Planting greening wall
US11464349B2 (en) Transportable planter
CZ295183B6 (en) Plant container assembly
CN110574573A (en) Instant landscape forming hedge member and mounting method
KR102291085B1 (en) Frame for planting
US11864501B2 (en) Tree box
US20220322613A1 (en) Modular Planting System
KR20130068894A (en) An artificial hill structrue
JP6816425B2 (en) Greening equipment
EP1825745A2 (en) Plant container assembly
CN220383790U (en) Supportable tree protection isolation structure
EP2486784A2 (en) Apparatus for plant cultivation
CN217146078U (en) A handling device for afforestation engineering
JP3553826B2 (en) Assembling type flower pot and transplantation method
CN116686628A (en) Supportable tree protection isolation structure
JPS62275620A (en) Seedling grow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