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9149A - 음압 데이터 획득을 위한 수중청음기 - Google Patents

음압 데이터 획득을 위한 수중청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9149A
KR20210009149A KR1020190085780A KR20190085780A KR20210009149A KR 20210009149 A KR20210009149 A KR 20210009149A KR 1020190085780 A KR1020190085780 A KR 1020190085780A KR 20190085780 A KR20190085780 A KR 20190085780A KR 20210009149 A KR20210009149 A KR 20210009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rectivity
sound
hydrophone
sound source
sound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8131B1 (ko
Inventor
김국현
Original Assignee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85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131B1/ko
Publication of KR20210009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3/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by using a detector in a fluid
    • G01H3/10Amplitude; Power
    • G01H3/12Amplitude; Power by electric means
    • G01H3/125Amplitude; Power by electric means for representing acoustic field distribu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66Sonar track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44Special adaptations for subaqueous use, e.g. for hydropho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30Assessment of water re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음압 데이터 획득을 위한 수중청음기에 관한 것으로, 음압 데이터 획득을 위한 수중청음기로서, 지향성용(hydrophones for directivity) 배열과 잔향수조도용(hydrophones for reverberant tank plot) 배열로 구분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본발명은 수중음원에 대한 정도 높은 지향성 산정이 가능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압 데이터 획득을 위한 수중청음기{Hydrophone for obtaining sound pressure data}
본발명은 음압 데이터 획득을 위한 수중청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중음원에 대한 정도 높은 지향성 산정이 가능한 음압 데이터 획득을 위한 수중청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향성(Directivity)은 음향파워(coustic power)와 함께 수중운둥체의 대표적 음향특성에 해당한다. 이는 소나(sonar)등 수중체계에 의한 탐지 신호로 활용되므로 생존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수중음원(underwater sound source)의 지향성은 직접음의 방사 방향별 음향파워와 전체 음향파워의 비로 정의되며, 자유음향장 조건(free acoustic field)을 구현할 수 있는 잔잔한 바다나 호수, 무향수조(anechoic water tank)에서의 시험을 통해 산정 가능하다(Molina et al., 2015; Robinson et al., 2014). 무향수조에서 반사파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쐐기 또는 판재 형태의 무반향재(anechoic material)를 수조 벽면에 부착하기도 하지만, 완전한 자유음향장 조건을 구현하기에는 현실적으로 기술적 한계가 존재한다(Lim et al., 2001). 이를 극복하기 위해 수중 음원과 수신음 간의 상관성(correlation)을 분석하거나 시간창필터(time-windowed filter)등을 적용하여 반사신호를 제거하는 신호처리기법들이 보조적으로 활용되고 있다(Bae et al., 2014). 정도 높은 수중음원 지향성 산정을 위해 음향인텐시티법(sound intensity method), 근거리장 음향 홀로그래피(near-field acoustic holography) 등의 지향성 측정기법들이 적용되기도 하나(Barnard et al., 2006; Loyau et al., 1988), 측정시스템 및 시설의 획득비용과 운용비용 측면에서 효율적이지 않아 수중음원 지향성 산정에는 실용적이지 못한 경우가 많다. 한편, Kim et al.(2019)은 잔향수조(reverberant water tank) 내 지향성 수중음원에 대한 지향성 산정을 위한 간이추정 방안을 제안하고, 임의 지향성을 갖는 수중음원에 대한 지향성에 대한 잔향수조 시험을 수행하여 그 타당성과 실무적용 가능성에 대한 추가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 바 있다.
그리고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357779호에는 수중음원으로부터 전달되는 음향신호를 좌,우,앞,뒤,위 및 아래의 방향별로 다르게 감지하도록 반사판(21,22)을 구비하는 좌측 음향센서(11)와 우측 음향센서 (12)들로 구성되는 1쌍의 음향센서쌍(30)과;
상기 1쌍의 음향센서(11,12)들에서 입력되는 음향신호를 증폭하는 전치증폭기(51)와;
상기 전치증폭기(51)에서 입력되는 다수의 음향신호를 공기중에서의 좌측 귀와 우측 귀 사이의 시간차로 변환하는 시간차조절기(53)와;
상기 시간차조절기(53)에서 입력되는 음향신호를 증폭하는 파워증폭기(54)와;
상기 파워증폭기(54)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좌우로 나누어 음향으로 변환하는 1쌍의 스피커(61,62);로 구성되어 수중음원의 위치를 탐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음향 탐지시스템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783822호에는 수상 이동체와 제1 청음기 및 제2 청음기를 접근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청음기 및 상기 제2 청음기에서, 상기 수상 이동체 내의 소음원(제1 음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 신호와, 상기 수상 이동체에 구비된 음향 음향 신호 발생기(제2 음원)로부터 발생한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청음기에서 수신된 소음 신호 및 음향 신호와, 상기 제2 청음기에서 수신된 소음 신호 및 음향신호를, 각각의 시간에 대한 주파수 분포로 산출하는 단계;
상기 시간에 대한 주파수 분포에 기초하여, 각각의 상기 청음기들과 각각의 상기 음원들 간의 최단 접근 거리들을 구하는 단계; 및
상기 최단 접근 거리들을 이용하여, 상기 수상 이동체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한 평면 상에서, 상기 음향 신호발생기에 대한 상기 소음원의 위치 좌표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상 이동체 내의 소음원 위치 추정 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수중음원에 대한 지향성 산정이 떨어지고 정확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발명은 수중음원에 대한 정도 높은 지향성 산정이 가능한 음압 데이터 획득을 위한 수중청음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음압 데이터 획득을 위한 수중청음기에 관한 것으로, 음압 데이터 획득을 위한 수중청음기로서, 지향성용(hydrophones for directivity) 배열과 잔향수조도용(hydrophones for reverberant tank plot) 배열로 구분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수중음원에 대한 정도 높은 지향성 산정이 가능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잔향수조 도면(Fig. 1 Example of reverberant water tank plot (Kim, 2019))
도 2는 단순 음원 지향성 측정 과정도(Simple sound source directivity estimation process)
도 3은 단순 음원 지향성 측정을 위한 개념배치도( Conceptual arrangement of hydrophones for the simple directivity estimation)
도 4는 가상 수조의 수치 모델도(Numerical model of a virtual water tank)
도 5는 음원위치에 의한 지향성 지수 패턴도: 단극음원( Directivity index pattern by the source position: monopole source)
도 6은 음원위치에 의한 지향성 지수 패턴도: 쌍극음원( Directivity index pattern by the source position: dipole source)
도 7은 음원 타입에 의한 직접 지수의 민스퀘어 에러 그래프( Mean square error of directivity index by the source type)
본발명은 음압 데이터 획득을 위한 수중청음기에 관한 것으로, 음압 데이터 획득을 위한 수중청음기로서, 지향성용(hydrophones for directivity) 배열과 잔향수조도용(hydrophones for reverberant tank plot) 배열로 구분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향성용 배열은 음원의 음향중심(acoustic center)로부터 일정 반경의 원주방향으로 배치하며, 잔향수조도용 수중청음기는 음원의 음향중심을 지나는 일직선 상에 거리 제곱의 역수값이 등간격이 되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중청음기는 이동시키면서 음압 측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잔향수조 도면(Fig. 1 Example of reverberant water tank plot (Kim, 2019)), 도 2는 단순 음원 지향성 측정 과정도(Simple sound source directivity estimation process), 도 3은 단순 음원 지향성 측정을 위한 개념배치도( Conceptual arrangement of hydrophones for the simple directivity estimation), 도 4는 가상 수조의 수치 모델도(Numerical model of a virtual water tank), 도 5는 음원위치에 의한 지향성 지수 패턴도: 단극음원( Directivity index pattern by the source position: monopole source), 도 6은 음원위치에 의한 지향성 지수 패턴도: 쌍극음원( Directivity index pattern by the source position: dipole source), 도 7은 음원 타입에 의한 직접 지수의 민스퀘어 에러 그래프( Mean square error of directivity index by the source type)이다.
본발명의 음원의 지향성은 식 (1)의 지향성 지수(Directivity Index, dB re. 1) 로 정의된다(Kinsler et al., 1982).
Figure pat00001
(1)
여기서,
Figure pat00002
는 식 (2)와 같이 정의되는 방향에 대한 지향성 계수(directivity factor)이며,
Figure pat00003
(2)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는 각각 식 (3) 및 식 (4)과 같이 정의되는 직접음향장 음향파워(Watt)와 잔향음향장 음향파워 (Watt)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6
(3)
Figure pat00007
(4)
여기서,
Figure pat00008
는 음원출력(source output)(
Figure pat00009
)이다.
Figure pat00010
은 수중음원과 수음점의 거리 (
Figure pat00011
),
Figure pat00012
은 잔향음향장(reverberant field) 음압(Pa),
Figure pat00013
는 직접음향장(direct field) 음압 (
Figure pat00014
),
Figure pat00015
는 흡음면적(
Figure pat00016
)을 의미한다.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8
는 물의 밀도(
Figure pat00019
)와 음속(
Figure pat00020
)이다.
한편, 확산음향장 내 임의 지점에서의 전체 음향장(total acoustic field)은 식 (5)와 같이 직접음향장(direct acoustic field)과 잔향음향장(reverberant acoustic field)의 합으로 간주할 수 있다.
Figure pat00021
(5)
여기서,
Figure pat00022
,
Figure pat00023
,
Figure pat00024
은 전체 음향장, 직접음향장, 잔향음향장에서의 음압(sound pressure,
Figure pat00025
)을 각각 나타낸다.
이상적인 확산음향장 조건 하에서, 지향성 음원에 의한 전체음압
Figure pat00026
는 음원의 위치와 방향에 따라 변하지만, 잔향음압
Figure pat00027
은 일정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 때, 잔향음압 산정 후, 이의 제곱값을 방향에 따라 측정한 전체음압 제곱값으로부터 빼주면 해당 방향에 대한 직접음압 제곱값을 구할 수 있으며(
Figure pat00028
), 식 (1)에서 식 (4)에 의거 음원에 대한 지향성을 비교적 간단히 산정할 수 있다. 이 때, 전체 음압은 직접 방향별 측정값을 사용하며, 잔향 음압은 잔향공간 내부 다수의 측정점에 대한 평균값으로부터 산정하거나(ISO, 2010), 잔향수조도(reverberant tank plot; Hazelwood and Robinson, 2007) 기반의 잔향음향장 추정결과를 활용하여 산정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잔향수조도 기반의 잔향음향장 추정 방법을 채택하였다.
참고로, 잔향수조도는 음원으로부터 일직선 상에 배치된 수중청음기를 이용해 측정한 음압 제곱값
Figure pat00029
을 Fig. 1에 보인 바와 같이 음원과 수음점의 거리
Figure pat00030
의 제곱의 역수값(
Figure pat00031
)에 대해 표시하고 이를 선형회귀분석(linear regression analysis)하여 도출한 추세선과 함께 도시한 그래프이다(Kim, 2019). 이 때, 추세선(fitted curve)의 기울기는 식 (3)의 음원출력 제곱값
Figure pat00032
에 해당하며, 추세선의 세로축에 대한 절편값은 식 (5)의 음압제곱값
Figure pat00033
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대상인 음원 지향성 간이추정기법은 Fig.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중청음기를 이용한 신호 계측, 신호증폭, 음압 데이터 획득(data acquisition, DaQ), 광대역 필터(1/3 Oct. band filter) 적용, 전체 음압 및 잔향수조도 기반의 잔향음압 산정, 직접음압 산정, 지향성 지수 산정 등의 절차에 따른다.
이 때, 음압 데이터 획득을 위한 수중청음기는 목적에 따라 지향성용(hydrophones for directivity) 배열과 잔향수조도용(hydrophones for reverberant tank plot) 배열로 구분하여 설치한다(Fig. 3). 지향성용 배열은 음원의 음향중심(acoustic center)로부터 일정 반경의 원주방향으로 배치하며, 잔향수조도용 수중청음기는 음원의 음향중심을 지나는 일직선 상에 가능하면 거리 제곱의 역수값이 등간격이 되도록 배치한다. 음향시험의 반복성(repeatability)이 확보될 경우, 제한된 수중청음기 수량을 감안하여 표기된 위치에 수중청음기를 이동시키면서 음압 측정이 가능하다.
본발명의 수치시뮬레이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음원 지향성 간이추정기법의 타당성 검토를 위해 가상의 잔향수조에 대한 수치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수치시뮬레이션기법으로는 고주파수 이론인 음향라디오시티법(acoustic radiosity method; Kim, 2018)을 적용하였다. 가상 잔향수조의 길이, 폭, 수심은 각각 5
Figure pat00034
, 3.5
Figure pat00035
, 1.47
Figure pat00036
이며, 이에 대한 수치모델은 가상 잔향수조의 수면과 벽면, 바닥면을 3.072개의 삼각형 평면요소로 분할하여 작성하였다(Fig. 4). 수치모델의 경계조건으로써, 수면은 완전반사면으로, 벽면과 바닥면은 흡음계수가 0.053인 불완전 반사면으로 가정하였다. 매질은 물로 가정하였으며, 이 때, 밀도와 음속은 각각 1,000
Figure pat00037
와 1,430
Figure pat00038
이다.
수음점은 Fig. 3의 수중청음기 배열방법에 따라 가상의 잔향수조 내에 음원을 중심으로 배치하되, 지향성 산정용 배열은 음원으로부터 반경 0.2
Figure pat00039
반경 원주방향 10도 간격으로 총 35개의 수음점으로 구성하였으며, 잔향수조도용 배열은 음원으로부터 0.2, 0.25, 0.3, 0.36, 0.48, 1.0
Figure pat00040
이격된 위치에 총 6개의 수음점으로 구성하였다. 간이추정기법에 의한 음원 지향성 산정 시 벽면과의 이격거리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음원의 위치좌표를 Table 2과 같이 변경하면서 수치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참고로, Case 1은 음원의 위치가 가상 수조 벽면으로부터 길이방향와 폭방향으로 0.25m 이격된 위치이며, Case 2에서 Case 11까지는 벽면으로부터 깊이방향과 폭방향 이격거리를 유지하면서 길이방향이격거리를 0.25m에서 가상 수조 중심에 해당하는 2.5m까지 0.25m 간격으로 증가시킨 위치이다.
Coordinate of the source position by the simulation case
Case No. Coordinate of source(m) Remarks
x y z
1 0.250 0.250 0.250 -
2 0.250 1.750 0.735 -
3 0.500 1.750 0.735 -
4 0.750 1.750 0.735 -
5 1.000 1.750 0.735 -
6 1.250 1.750 0.735 -
7 1.500 1.750 0.735 -
8 1.750 1.750 0.735 -
9 2.000 1.750 0.735 -
10 2.250 1.750 0.735 -
11 2.500 1.750 0.735 tank center
음원으로는 단극(monopole) 음원과 쌍극(dipole) 음원을 적용하였으며, 이 때, 음향파워
Figure pat00041
는 식 (6)에 의거 산출하였다.
Figure pat00042
(6)
여기서, 는 자유음장 조건 하에서 음원으로부터
Figure pat00043
(=1m)만큼 떨어진 지점에서의 평균제곱음압(root-mean-squared sound pressure)을 의미하며, 단극음원과 쌍극음원에 대해 식 (7)로부터 산정하였다.
Figure pat00044
(7)
여기서,
Figure pat00045
는 음원강도(source strength,
Figure pat00046
)이며,
Figure pat00047
는 파수(wavenumber,
Figure pat00048
),
Figure pat00049
는 주파수(
Figure pat00050
),
Figure pat00051
는 쌍극음원을 구성하는 두 개의 단극음원간 이격거리(
Figure pat00052
)이다. 본 시뮬레이션에서는 음원강도와 주파수, 단극음원 간 거리를 각각 0.001
Figure pat00053
, 20
Figure pat00054
, 0.001
Figure pat00055
로 설정하였다.
Fig. 5와 Fig. 6은 수치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도출한 단극음원 및 쌍극음원의 지향성지수들 중에서 Case 1, Case 2, Case 4, Case 11 등 4개 Case에 대해 극좌표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이 때, ‘Reference’는 무지향성(DI = 0)을, ‘Exact’는 입력된 음향파워와 잔향수조도법에 의해 산정된 잔향음향파워의 비에 따른 결과(
Figure pat00056
)를, ‘Estimated’는 본 발명의 간이추정기법에 의한 결과(
Figure pat00057
)를 의미한다.
우선 단극음원에 대한 수치시뮬레이션 결과를 살펴보면, Case 1의 경우, 지향성 지수가 180도에서 270도 방향으로 왜곡되어 나타나며, Case 2 경우, 180도 방향으로 왜곡되어 나타난다. 이는 벽면과의 폭 또는 길이방향 이격거리영향으로 판단된다. Case 4 및 Case 11의 경우, Case 1과 Case 2에서 나타난 왜곡현상이 완화되어 나타나며, 이는 음원이 벽면으로부터 충분히 이격되어 있어 그 영향이 적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뿐만 아니라 ‘Exact’결과에 대해서도 ‘Reference’대비 동일한 추이를 보이며, 이 또한 음원과 벽면간의 이격거리 영향으로 판단된다. 한편, 쌍극음원에 대해서도 음원 위치에 따른 왜곡현상이 타나나며, 단극음원에서와 유사하게 벽면으로부터의 이격거리가 증가할수록 정도 높은 결과를 보인다.
한편, Fig. 7은 Case 2에서 Case 10까지의 지향성 지수 산정결과의 오차를 식 (8)에 의거 Case 11의 결과에 대한 평균제곱근 오차(root mean square error: RMSE, dB)로 계산하고 그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음원의 벽면으로부터의 이격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지향성 산정 정확도가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본 수치시뮬레이션 기준으로 0.5 dB MSE 오차범위 정확도를 갖기 위해서는 단극음원과 쌍극음원에 대해 각각 0.5m 이상, 1.0m이상의 이격거리를 확보해야 함을 알 수 있다.
Figure pat00058
(8)
여기서,
Figure pat00059
Figure pat00060
번째 원주각에 대한 지향성지수이며,
Figure pat00061
는 기준값에 해당하는 Case 11의
Figure pat00062
번째 원주각에 대한 지향성지수이다.
Figure pat00063
는 지향성 산정용 수음점 개수이며, 본 발명에서는 0도에서 350도까지 총 36개 이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제시된 지향성 간이추정기법이 보다 신뢰성 높은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음원의 위치가 벽면으로부터 충분히 이격될수록 시험계획을 수립하여야 함도 알 수 있다. 또한 사전 수치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적의 음원위치를 선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잔향수조와 같은 확산음향장에서의 음원 지향성 산정에 실무적으로 적용 가능한 간이추정기법을 개발하였다. 음원 지향성 간이추정기법은 수중청음기를 이용한 신호 계측, 신호증폭, 음압 데이터 획득(data acquisition, DaQ), 광대역 필터(1/3 Oct. band filter) 적용, 전체 음압 및 잔향수조도 기반의 잔향음압 산정, 직접음압 산정, 지향성 지수 산정 등의 절차를 포함한다.
정립된 지향성 간이추정기법의 실무 적용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가상 잔향수조 내 단극음원과 쌍극음원에 대한 수치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수중음원에 대한 정도 높은 지향성 산정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음원과 경계면의 이격거리가 가까운 경우 지향성 지수 패턴이 왜곡되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음원 지향성 간이추정기법의 실무 적용 시 수치시뮬레이션을 통해 이에 대한 영향검토와 최적의 음원 위치 선정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음향시험 기반의 개선발명을 통해 음원 지향성 간이추정기법의 신뢰도 향상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발명은 가상 잔향수조 내 단극음원과 쌍극음원에 대한 수치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수중음원에 대한 정도 높은 지향성 산정이 가능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음압 데이터 획득을 위한 수중청음기로서, 지향성용(hydrophones for directivity) 배열과 잔향수조도용(hydrophones for reverberant tank plot) 배열로 구분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압 데이터 획득을 위한 수중청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용 배열은 음원의 음향중심(acoustic center)로부터 일정 반경의 원주방향으로 배치하며, 잔향수조도용 수중청음기는 음원의 음향중심을 지나는 일직선 상에 거리 제곱의 역수값이 등간격이 되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압 데이터 획득을 위한 수중청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청음기는 이동시키면서 음압 측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압 데이터 획득을 위한 수중청음기
KR1020190085780A 2019-07-16 2019-07-16 음압 데이터 획득을 위한 수중청음기 KR102288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780A KR102288131B1 (ko) 2019-07-16 2019-07-16 음압 데이터 획득을 위한 수중청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780A KR102288131B1 (ko) 2019-07-16 2019-07-16 음압 데이터 획득을 위한 수중청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149A true KR20210009149A (ko) 2021-01-26
KR102288131B1 KR102288131B1 (ko) 2021-08-09

Family

ID=74310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780A KR102288131B1 (ko) 2019-07-16 2019-07-16 음압 데이터 획득을 위한 수중청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813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003A (ja) * 1994-06-27 1996-01-19 Kawasaki Heavy Ind Ltd 移動体の発生音測定方法および測定装置
JPH08160116A (ja) * 1994-11-30 1996-06-21 Tech Res & Dev Inst Of Japan Def Agency 配列型受波装置
JP2002098746A (ja) * 2000-09-26 2002-04-05 Oki Electric Ind Co Ltd アーム展開方式配列型受波装置
JP2007127561A (ja) * 2005-11-05 2007-05-24 Furuno Electric Co Ltd 超音波送受波器
US20090207697A1 (en) * 2005-10-14 2009-08-20 Kitchin David A Water Inflatable Volumetric Hydrophone Array
US20110013484A1 (en) * 2009-07-14 2011-01-20 Navico, Inc. Linear and circular downscan imaging sonar
KR20120003326A (ko) * 2010-07-02 2012-01-10 국방과학연구소 수중 음향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배열 음향센서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003A (ja) * 1994-06-27 1996-01-19 Kawasaki Heavy Ind Ltd 移動体の発生音測定方法および測定装置
JPH08160116A (ja) * 1994-11-30 1996-06-21 Tech Res & Dev Inst Of Japan Def Agency 配列型受波装置
JP2002098746A (ja) * 2000-09-26 2002-04-05 Oki Electric Ind Co Ltd アーム展開方式配列型受波装置
US20090207697A1 (en) * 2005-10-14 2009-08-20 Kitchin David A Water Inflatable Volumetric Hydrophone Array
JP2007127561A (ja) * 2005-11-05 2007-05-24 Furuno Electric Co Ltd 超音波送受波器
US20110013484A1 (en) * 2009-07-14 2011-01-20 Navico, Inc. Linear and circular downscan imaging sonar
KR20120003326A (ko) * 2010-07-02 2012-01-10 국방과학연구소 수중 음향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배열 음향센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8131B1 (ko) 2021-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309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filtered audio signal realizing elevation rendering
CN101217830B (zh) 定向扬声器系统及其自动设置方法
CN102893175B (zh) 使用声音信号的距离估计
KR100930835B1 (ko) 음향 재생 장치
EP2572516A1 (en) Circular loudspeaker array with controllable directivity
CN101194535B (zh) 修正电声转换器声学参数的方法及实现该方法的装置
CN109238436B (zh) 混响水池中瞬态声源特性的测量方法
CN110186546A (zh) 基于粉红噪声的水听器灵敏度自由场宽带校准方法
KR100930834B1 (ko) 음향 재생 장치
CN113868583B (zh) 一种子阵波束聚焦的声源距离计算方法及系统
KR101081752B1 (ko) 인공귀 및 이를 이용한 음원 방향 검지 방법
KR20090038307A (ko) 어레이 스피커 시스템에서 근접장 효과를 보상하는 방법 및장치
KR20060121807A (ko) 음장의 표현을 결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207070B1 (ko) 잔향수조에서의 음원 지향성 산정에 적용하는 간이추정방법
CN111964776B (zh) 一种基于声学传递函数的整车状态泵体声功率级测试方法
TW201323838A (zh) 迴響環境之聲源能量分佈可視化的方法
KR102288131B1 (ko) 음압 데이터 획득을 위한 수중청음기
Handzel et al. A biomimetic apparatus for sound-source localization
RU2591030C1 (ru) Гидроакуст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движущегося источника звука, измерения азимутального угла на источник и горизонта источника звука в мелком море
CN113624330A (zh) 一种水下目标辐射噪声测量组合体积阵及测量方法
CN113465729A (zh) 一种矩形管道内噪声源识别与声场重建方法
Swanson et al. Small-aperture array processing for passive multi-target angle of arrival estimation
Vidal et al. HRTF measurements of five dummy heads at two distances
Chang et al. Shift of the acoustic center of a closed-box loudspeaker in a linear array: Investigation using the beamforming technique
CN112146744B (zh) 一种混响水池互易常数的精确测量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