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9004A - 핫스탬핑용 전도 가열 장치 및 전도 가열 방법 - Google Patents

핫스탬핑용 전도 가열 장치 및 전도 가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9004A
KR20210009004A KR1020190085454A KR20190085454A KR20210009004A KR 20210009004 A KR20210009004 A KR 20210009004A KR 1020190085454 A KR1020190085454 A KR 1020190085454A KR 20190085454 A KR20190085454 A KR 20190085454A KR 20210009004 A KR20210009004 A KR 20210009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nk
heating
heating elements
conduction
hot st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2200B1 (ko
Inventor
서종덕
조재동
임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영
Priority to KR1020190085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200B1/ko
Publication of KR20210009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21D9/60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with induction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 B21D22/02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by heating the blank or stamping associated with 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10Stamping using yieldable or resilient p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5Process effici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핫스탬핑용 전도 가열 장치 및 전도 가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핫스탬핑용 전도 가열 장치는 제1,2 가열체와, 발열체 이동유닛, 및 전류 공급유닛을 포함한다. 제1,2 발열체는 목표 온도로 가열된 상태로 블랭크의 양쪽 면에 각각 접촉되어 블랭크를 전도 가열한다. 발열체 이동유닛은 제1,2 발열체를 상호 간에 근접시키거나 이격시킨다. 전류 공급유닛은 제1,2 발열체에 전류를 공급하여 제1,2 발열체를 통전 가열한다.

Description

핫스탬핑용 전도 가열 장치 및 전도 가열 방법{Contact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hot stamping}
본 발명은 핫스탬핑 공정에서 블랭크(blank) 등의 소재를 가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 업계에서는 차량 경량화와 안정성 향상에 부합되는 중량 대비 강도가 높은 초고강도 강재가 확대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초고강도 강재는 낮은 성형성을 지니고 과도한 스프링백을 일으키기 때문에, 초고강도 강재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을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성형 기술로서 핫스탬핑 공정이 사용될 수 있다. 핫스탬핑은 초고강도 강재의 성형성을 향상시키며 스프링백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다는 장점이 있다.
핫스탬핑은 소재를 900℃ 이상 가열한 후 금형 내에서 성형과 동시에 급속 냉각시켜 성형품을 제조하는 공정으로서, 소재 가열 및 냉각 기술이 핵심 기술이다. 현재 핫스탬핑 공정에서 고온의 분위기 가스를 이용하여 소재를 가열하는 구성의 가열 장치는 대형화로 인한 설치 면적이 과다하며, 소재의 가열 시간이 상당히 길기 때문에 에너지의 비효율적 사용이 문제되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에너지 효율 증대 및 생산 사이클 타임 감소를 도모할 수 있고, 블랭크 형상과 무관하게 블랭크의 균일 가열이 가능할 수 있는 핫스탬핑용 전도 가열 장치 및 전도 가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핫스탬핑용 전도 가열 장치는 제1,2 가열체와, 발열체 이동유닛, 및 전류 공급유닛을 포함한다. 제1,2 발열체는 목표 온도로 가열된 상태로 블랭크의 양쪽 면에 각각 접촉되어 블랭크를 전도 가열한다. 발열체 이동유닛은 제1,2 발열체를 상호 간에 근접시키거나 이격시킨다. 전류 공급유닛은 제1,2 발열체에 전류를 공급하여 제1,2 발열체를 통전 가열한다.
여기서, 발열체 이동유닛은, 제1,2 발열체가 블랭크를 전도 가열하는 동안 블랭크에 가해지는 제1,2 발열체의 접촉 가압력을 조정하여 접촉 가압력에 따른 블랭크의 표면 손상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추가 양상으로, 핫스탬핑용 전도 가열 장치는 제1,2 발열체가 블랭크를 전도 가열하는 동안 제1,2 발열체의 각 텐션을 보상하여 블랭크에 균일한 상태로 접촉되도록 하는 텐션 보상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양상으로, 핫스탬핑용 전도 가열 장치는 제1,2 발열체의 각 블랭크 접촉 부위를 제외한 부위를 감싸서 단열시키는 제1,2 단열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핫스탬핑용 전도 가열 방법은, 상호 이격된 제1,2 발열체에 전류를 공급하여 제1,2 발열체를 목표 온도까지 통전 가열하는 단계와, 제1,2 발열체에 전류 공급을 차단한 상태로 제1,2 발열체의 이격된 사이에 블랭크를 투입하는 단계와, 제1,2 발열체를 상호 근접시켜 블랭크의 양쪽 면에 접촉시킨 상태로 설정 시간 동안 블랭크를 전도 가열하는 단계, 및 제1,2 발열체를 상호 이격시킨 후 블랭크를 취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블랭크를 전도 가열하는 단계는, 제1,2 발열체의 각 텐션을 보상하여 제1,2 발열체를 블랭크에 균일한 상태로 접촉시키도록 하는 과정과, 블랭크에 가해지는 제1,2 발열체의 접촉 가압력을 조정하여 접촉 가압력에 따른 블랭크의 표면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핫스탬핑 전도 가열 장치는 고온의 분위기 가스에 의해 대류 방식으로 블랭크를 가열하는 분위기 가열 장치보다 블랭크의 가열 시간을 단축시켜 에너지 효율 증대 및 생산 사이클 타임 감소를 도모할 수 있고, 공간 활용 효율 증가에 따른 설치 면적 축소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핫스탬핑 전도 가열 장치는 블랭크를 직접적으로 통전 가열하는 것보다 블랭크 형상과 무관하게 블랭크를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으므로, 적용 범위 확대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스탬핑용 전도 가열 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블랭크가 제1,2 발열체에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 제1,2 발열체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스탬핑용 전도 가열 장치에 의해 블랭크를 전도 가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스탬핑용 전도 가열 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블랭크가 제1,2 발열체에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 제1,2 발열체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스탬핑용 전도 가열 장치에 의해 블랭크를 전도 가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스탬핑용 전도 가열 장치(100)는 제1 발열체(110)와, 제2 발열체(120)와, 발열체 이동유닛(130), 및 전류 공급유닛(140)을 포함한다.
제1,2 발열체(110, 120)는 목표 온도로 가열된 상태로 블랭크(10)의 양쪽 면에 각각 접촉되어 블랭크(10)를 전도 가열한다. 여기서, 블랭크(10)는 초고강도 강재 등으로 설정 크기로 재단된 것일 수 있다.
제1,2 발열체(110, 120)는 각각 판상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2 발열체(110, 120)는 각각 넓은 양쪽 면이 상하를 향하여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1,2 발열체(110, 120)는 각각 블랭크(10)보다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2 발열체(110, 120)는 최대한 넓은 면적으로 블랭크(10)의 상,하면에 접촉되어 블랭크(10)를 열전도 원리로 전도 가열시킬 수 있다. 제1,2 발열체(110, 120)는 각각 복수의 분할편(110a, 120a)들이 일렬로 배열되어 조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2 발열체(110, 120)는 쌍을 이룰 수 있다.
제1,2 발열체(110, 120)는 각각 칸탈(Kanthal)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칸탈은 철을 주체로 하고 크로뮴, 알루미늄 등이 합해진 합금의 상품명이다. 칸탈은 높은 온도에 잘 견디고 전기저항력이 큰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제1,2 발열체(110, 120)는 통전 가열에 의한 블랭크(10)의 전도 가열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제1 발열체(110)는 한쪽으로부터 투입되는 블랭크(10)를 상면에 얹어서 적재할 수 있다. 제2 발열체(120)는 하면이 제1 발열체(110)의 상면과 마주한 상태로 제1 발열체(1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발열체(120)는 제1 발열체(110)의 상면에 적재된 블랭크(10)로 하강하여 블랭크(10)를 가압함으로써, 제1 발열체(110)와 함께 블랭크(10)의 상,하면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제1,2 발열체(110, 120)는 제1,2 단열 하우징(111, 121)에 의해 각각 단열될 수 있다. 제1,2 단열 하우징(111, 121)은 제1,2 발열체(110, 120)의 각 블랭크 접촉 부위를 제외한 부위를 감싸서 단열시킨다. 따라서, 제1,2 발열체(110, 120)는 열손실이 최소화된 상태로 각 블랭크 접촉 부위를 통해 블랭크(10)를 더욱 효과적으로 전도 가열시킬 수 있다. 제1,2 단열 하우징(111, 121)은 전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주에서 세라믹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2 발열체(110, 120) 중 어느 하나가 생략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생략된 발열체 대신 지지체에 의해 블랭크(10)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지지체는 단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체는 발열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열체 이동유닛(130)은 제1,2 발열체(110, 120)를 상호 간에 근접시키거나 이격시킨다. 발열체 이동유닛(130)은 제2 발열체(120)가 제1 발열체(110)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제2 발열체(120)를 하강시켜 제1 발열체(110)에 근접시키고, 제2 발열체(120)가 제1 발열체(110)에 근접된 상태에서 제2 발열체(120)를 상승시켜 제1 발열체(110)로부터 상방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블랭크(10)는 제1,2 발열체(110, 120)의 이격된 사이로 투입되어 제1 발열체(110)에 얹어져 적재된 상태에서 제2 발열체(120)의 하강에 따라 제1 발열체(110)에 의해 가압되므로, 블랭크(10)의 상하면이 제1,2 발열체(110, 120)에 의해 가압되어 접촉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블랭크(10)는 가열 상태의 제1,2 발열체(110, 120)에 의해 전도 가열된다.
발열체 이동유닛(130)은 유압 실린더나 공압 실린더 등과 같은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발열체 이동유닛(130)은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가동자가 연결 프레임을 매개로 제2 발열체(120)에 연결됨으로써, 제2 발열체(120)를 승강시킬 수 있다. 발열체 이동유닛(130)은 핫스탬핑용 전도 가열 장치(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발열체 이동유닛(130)은 제2 발열체(120)가 제1 발열체(110)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제1 발열체(110)를 상승시켜 제2 발열체(120)에 근접시키고, 제1 발열체(110)가 제2 발열체(120)에 근접된 상태에서 제1 발열체(110)를 하강시켜 제2 발열체(120)로부터 하방으로 이격시킬 수도 있다.
물론, 발열체 이동유닛(130)은 제1 발열체(110)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제2 발열체(120)를 하강시켜 제1,2 발열체(110, 120)를 상호 근접시키고, 제1 발열체(110)를 하강시킴과 동시에 제2 발열체(120)를 상승시켜 제1,2 발열체(110, 120)를 상호 이격시킬 수도 있다.
한편, 발열체 이동유닛(130)은 제1,2 발열체(110, 120)가 블랭크(10)를 전도 가열하는 동안 블랭크(10)에 가해지는 제1,2 발열체(110, 120)의 접촉 가압력을 조정하여, 접촉 가압력에 따른 블랭크(10)의 표면 손상, 예컨대 블랭크(10)의 코팅층 파괴 등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블랭크(10)는 전도 가열되어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열팽창하는데, 블랭크(10)의 열팽창으로 인해 블랭크(10)에 가해지는 접촉 가압력이 증가함으로써, 블랭크(10)의 표면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발열체 이동유닛(130)은 제1,2 발열체(110, 120)가 블랭크(10)를 전도 가열하는 동안 블랭크(10)의 열팽창량에 따른 제1,2 발열체(110, 120)의 접촉 가압력을 조정하여, 블랭크(10)의 표면 손상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발열체 이동유닛(130)은 가동자의 스트로크를 변화시킴에 따라 제1,2 발열체(110, 120)의 접촉 가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블랭크(10)의 열팽창량과 접촉 가압력 조정값 간의 상관 관계는 실험이나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미리 구해질 수 있으며, 발열체 이동유닛(130)은 미리 구해진 상관 관계를 기반으로 블랭크(10)의 열팽창량에 따라 접촉 가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발열체 이동유닛(130)은 블랭크(10)의 열팽창량 증가에 반비례하여 접촉 가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전류 공급유닛(140)은 제1,2 발열체(110, 120)에 전류를 공급하여 제1,2 발열체(110, 120)를 통전 가열한다. 즉, 전류 공급유닛(140)은 전기저항력을 갖는 제1,2 발열체(110, 120)에 전류를 흘렸을 때 발생하는 줄(joule) 열에 의해 제1,2 발열체(110, 120)를 가열한다.
전류 공급유닛(140)은 제1 전극(141)들과, 제2 전극(142)들과, 전원 공급기(1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141)들은 제1 발열체(110)의 양쪽 단에 각각 장착된다. 제1 전극(141)들은 전원 공급기(143)에 의해 전압이 인가된다. 제2 전극(142)들은 제2 발열체(120)의 양쪽 단에 각각 장착된다. 제2 전극(142)들은 전원 공급기(143)에 의해 전압이 인가된다. 제1,2 전극(141, 142)은 도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제1,2 전극(141, 142)은 구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2 전극(141, 142)은 전원 공급기(143)에 결선하기 위한 단자들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전원 공급기(143)는 제1 전극(141)들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제1 발열체(110)에 전류를 흘림에 따라 줄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제1 발열체(110)를 통전 가열시킬 수 있게 한다. 전원 공급기(143)는 제2 전극(142)들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제2 발열체(120)에 전류를 흘림에 따라 줄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제2 발열체(120)를 통전 가열시킬 수 있게 한다.
전원 공급기(143)는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전원 공급기(143)는 30분 이내에 제1,2 발열체(110, 120)를 목표 온도 1,200℃로 가열시키도록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기(143)는 공정 조건, 블랭크(10) 종류 등의 조건에 따라 설정된 전류를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핫스탬핑용 전도 가열 장치(100)는 텐션 보상 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 텐션 보상 유닛(150)은 제1,2 발열체(110, 120)의 각 텐션(tension)을 보상하여, 제1,2 발열체(110, 120)가 블랭크(10)를 전도 가열하는 동안 블랭크(10)에 균일한 상태로 접촉되도록 한다.
블랭크(10)는 전도 가열되어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열팽창하는데, 블랭크(10)의 열팽창으로 인해 제1,2 발열체(110, 120)의 텐션이 낮아짐으로써, 제1,2 발열체(110, 120)가 블랭크(10)에 균일하게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텐션 보상 유닛(150)은 제1,2 발열체(110, 120)가 블랭크를 전도 가열하는 동안 블랭크의 열팽창량에 따른 제1,2 발열체의 텐션을 보상하여 블랭크에 균일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텐션 보상 유닛(150)은 유압 실린더나 공압 실린더 등과 같은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다수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토크 모터의 회전운동을 운동변환기에 의해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리니어 엑추에이터를 다수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텐션 보상 유닛(150)은 리니어 액추에이터들에 의해 제1,2 발열체(110, 120)의 각 양단을 수평 방향으로 당김에 따라 제1,2 발열체(110, 120)에 텐션을 가할 수 있다. 텐션 보상 유닛(150)은 리니어 엑추에이터의 가동자의 스트로크를 변화시킴에 따라 제1,2 발열체(110, 120)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다. 텐션 보상 유닛(150)은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블랭크(10)의 열팽창량과 텐션 보상값 간의 상관 관계는 실험이나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미리 구해질 수 있으며, 텐션 보상 유닛(150)은 미리 구해진 상관 관계를 기반으로 블랭크(10)의 열팽창량에 따라 텐션을 보상할 수 있다. 일 예로, 텐션 보상 유닛(150)은 블랭크(10)의 열팽창량 증가에 비례하여 텐션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텐션 보상 유닛(150)은 제1,2 발열체(110, 120)에 텐션이 가해지도록 제1,2 발열체(110, 120)의 각 양단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핫스탬핑 전도 가열 장치(100)는 제1,2 발열체(110, 120)를 통전 가열을 통해 목표 온도까지 승온시킨 후, 제1,2 발열체(110, 120)의 열을 블랭크(10)에 전도시키는 방식으로 블랭크(10)를 가열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핫스탬핑 전도 가열 장치(100)는 고온의 분위기 가스에 의해 대류 방식으로 블랭크(10)를 가열하는 분위기 가열 장치보다 블랭크(10)의 가열 시간을 단축시켜 에너지 효율 증대 및 생산 사이클 타임 감소를 도모할 수 있고, 공간 활용 효율 증가에 따른 설치 면적 축소에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핫스탬핑 전도 가열 장치(100)는 블랭크(110)를 직접적으로 통전 가열하는 것보다 블랭크(10) 형상과 무관하게 블랭크(10)를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으므로, 적용 범위 확대에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스탬핑 전도 가열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호 이격된 제1,2 발열체(110, 120)에 전류를 공급하여 제1,2 발열체(110, 120)를 목표 온도까지 통전 가열한다. 이때, 전류 공급유닛(140)에 의해 30분 내로 제1,2 발열체(110, 120)를 1,200℃까지 통전 가열할 수 있다.
그 다음, 제1,2 발열체(110, 120)에 전류 공급을 차단한 상태로 제1,2 발열체(110, 120)의 이격된 사이에 블랭크(10)를 투입한다. 그 다음, 제1,2 발열체(110, 120)를 상호 근접시켜 블랭크(10)의 양쪽 면에 접촉시킨 상태로 설정 시간 동안, 예컨대 12~15초 동안 블랭크(10)를 전도 가열한다. 그러면, 블랭크(10)는 900℃까지 승온되도록 가열될 수 있다.
블랭크(10)를 전도 가열하는 동안, 제1,2 발열체(110, 120)의 각 텐션을 보상하여 제1,2 발열체(110, 120)를 블랭크(10)에 균일한 상태로 접촉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블랭크(10)를 전도 가열하는 동안, 블랭크(10)에 가해지는 제1,2 발열체(110, 120)의 접촉 가압력을 조정하여 접촉 가압력에 따른 블랭크(10)의 표면 손상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 다음, 제1,2 발열체(110, 120)를 상호 이격시킨 후 블랭크(10)를 취출한다. 그 다음, 제1,2 발열체(110, 120)에 전류를 공급하여 제1,2 발열체(110, 120)를 목표 온도까지 재가열한다. 이와 같이, 목표 온도까지 가열 시간이 짧고 블랭크(10) 취출 후 재가열만 필요하므로, 에너지 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제1 발열체 111..제1 단열 하우징
120..제2 발열체 121..제2 단열 하우징
130..발열체 이동유닛 140..전류 공급유닛
141..제1 전극 142..제2 전극
143..전원 공급기 150..텐션 보상 유닛

Claims (7)

  1. 목표 온도로 가열된 상태로 블랭크의 양쪽 면에 각각 접촉되어 블랭크를 전도 가열하는 제1,2 발열체;
    상기 제1,2 발열체를 상호 간에 근접시키거나 이격시키는 발열체 이동유닛; 및
    상기 제1,2 발열체에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제1,2 발열체를 통전 가열하는 전류 공급유닛;
    을 포함하는 핫스탬핑용 전도 가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발열체가 블랭크를 전도 가열하는 동안 상기 제1,2 발열체의 각 텐션을 보상하여 블랭크에 균일한 상태로 접촉되도록 하는 텐션 보상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스탬핑용 전도 가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 이동유닛은,
    상기 제1,2 발열체가 블랭크를 전도 가열하는 동안 블랭크에 가해지는 상기 제1,2 발열체의 접촉 가압력을 조정하여 접촉 가압력에 따른 블랭크의 표면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스탬핑용 전도 가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발열체의 각 블랭크 접촉 부위를 제외한 부위를 감싸서 단열시키는 제1,2 단열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스탬핑용 전도 가열 장치.
  5. 상호 이격된 제1,2 발열체에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제1,2 발열체를 목표 온도까지 통전 가열하는 단계;
    상기 제1,2 발열체에 전류 공급을 차단한 상태로 상기 제1,2 발열체의 이격된 사이에 블랭크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제1,2 발열체를 상호 근접시켜 블랭크의 양쪽 면에 접촉시킨 상태로 설정 시간 동안 블랭크를 전도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2 발열체를 상호 이격시킨 후 블랭크를 취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핫스탬핑용 전도 가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를 전도 가열하는 단계는,
    상기 제1,2 발열체의 각 텐션을 보상하여 상기 제1,2 발열체를 블랭크에 균일한 상태로 접촉시키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스탬핑용 전도 가열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를 전도 가열하는 단계는,
    블랭크에 가해지는 상기 제1,2 발열체의 접촉 가압력을 조정하여 접촉 가압력에 따른 블랭크의 표면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스탬핑용 전도 가열 방법.
KR1020190085454A 2019-07-16 2019-07-16 핫스탬핑용 전도 가열 장치 및 전도 가열 방법 KR102272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454A KR102272200B1 (ko) 2019-07-16 2019-07-16 핫스탬핑용 전도 가열 장치 및 전도 가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454A KR102272200B1 (ko) 2019-07-16 2019-07-16 핫스탬핑용 전도 가열 장치 및 전도 가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004A true KR20210009004A (ko) 2021-01-26
KR102272200B1 KR102272200B1 (ko) 2021-07-02

Family

ID=74310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454A KR102272200B1 (ko) 2019-07-16 2019-07-16 핫스탬핑용 전도 가열 장치 및 전도 가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20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9201A (ko) * 2011-12-16 2013-06-26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핫 스탬핑용 예열 장치
KR20130074814A (ko) * 2011-12-19 2013-07-05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핫 스탬핑 소재의 가열장치
KR20180034084A (ko) * 2016-09-27 2018-04-0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열로 내부배치형 부 가열로에 의한 핫스탬핑 블랭크 국부가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9201A (ko) * 2011-12-16 2013-06-26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핫 스탬핑용 예열 장치
KR20130074814A (ko) * 2011-12-19 2013-07-05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핫 스탬핑 소재의 가열장치
KR20180034084A (ko) * 2016-09-27 2018-04-0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열로 내부배치형 부 가열로에 의한 핫스탬핑 블랭크 국부가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2200B1 (ko) 202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94352B (zh) 用于制造热压成形的板材产品的热成形生产线和方法
JP4812785B2 (ja) 被加熱材の加熱装置及び加熱方法
KR102388526B1 (ko) 가열 방법, 가열 장치 및 프레스 성형된 물품에 대한 제조 방법
JP2008030097A (ja) 高加圧拡散接合装置
CN110802155B (zh) 用于板材成型成性一体化的电磁气化成形装置及方法
KR102272200B1 (ko) 핫스탬핑용 전도 가열 장치 및 전도 가열 방법
KR102052174B1 (ko) 금속 판재의 프레스 장치 및 프레스 성형 방법
KR102052173B1 (ko) 금속 판재의 프레스 장치 및 프레스 성형 방법
KR102390969B1 (ko) 핫스탬핑용 하이브리드 가열 장치
KR102052172B1 (ko) 금속 판재의 프레스 장치 및 프레스 성형 방법
CN113000667B (zh) 铝锂合金薄壁构件电辅助超塑成形与时效处理全流程制造方法
KR102285728B1 (ko) 소재 열처리용 전도 가열 장치
KR101669815B1 (ko) 온간 성형 프레스 장치
KR20220088292A (ko) 열간 성형 공정용 전도 가열 장치
US10369606B2 (en) Temperature adjustment st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temperature adjustment station
JP2015094023A (ja) 加熱装置
JP2011034690A (ja) 鋼材加熱装置の電極構造及び鋼材加熱方法
KR102191450B1 (ko) 특히 자동차용 열 교환기를 열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5692126B2 (ja) 通電加熱装置及び通電加熱方法
JP5790473B2 (ja) 通電加熱方法および通電加熱装置
JP2009226778A (ja) 金型用面状カーボンヒ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金型装置
JP5751386B2 (ja) ガラス製品の製造方法およびガラス製品製造装置
KR102395284B1 (ko) 통전 가열 장치 및 방법
KR101783600B1 (ko) 핫스탬핑 방법
JP2013123752A (ja) 均一通電加熱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