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8956A - Larynx mask apparatus - Google Patents
Larynx mask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08956A KR20210008956A KR1020190084844A KR20190084844A KR20210008956A KR 20210008956 A KR20210008956 A KR 20210008956A KR 1020190084844 A KR1020190084844 A KR 1020190084844A KR 20190084844 A KR20190084844 A KR 20190084844A KR 20210008956 A KR20210008956 A KR 202100089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tient
- pressure
- sensing
- laryngeal mask
- temperat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10000000867 larynx Anatomy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08000021760 high fever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631 hypothe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95 der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5908 Body temperature condition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1985 Decubitus ul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NNJVILVZKWQKPM-UHFFFAOYSA-N Lidocaine Chemical compound CCN(CC)CC(=O)NC1=C(C)C=CC=C1C NNJVILVZKWQKP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39897 Sed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13 impla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194 lidoca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89 local anesthet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5363 muscle relaxant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58 myorelax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345 respiratory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280 se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9 spontaneou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627 tracheal intub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Measur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7—Measuring breath flow
- A61B5/0878—Measuring breath flow using temperature sens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21—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operated by electrical means
- A61M16/022—Control mean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02—Special features for tracheal tub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M16/0409—Special features for tracheal tub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 for closing the oesophagu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02—Special features for tracheal tub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M16/0431—Special features for tracheal tub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 cross-sectional shape other than circula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34—Cuffs
- A61M16/0445—Special cuff forms, e.g. undulate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27—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pressure met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44—Measuring or controlling pressure at the body treatment sit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68—Temperatur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40—Respiratory characteristic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50—Tempera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두 마스크 장치는 환자의 후두에 배치가능한 후두 마스크편이 구비된 후두 마스크부; 상기 후두 마스크부에 연결되어 환자의 들숨 및 날숨 시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가 형성된 관체부; 환자의 호흡에 따라 상기 관체부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한 압력센싱신호와 온도센싱신호를 출력하는 센싱부; 및 상기 압력센싱신호와 상기 온도센싱신호에 따라 환자의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관체부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는 제1 센싱홀 및 제2 센싱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센싱홀 및 상기 제2 센싱홀 사이에서 공기가 통과하는 상기 통로의 단면적이 줄어드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제1 센싱홀을 통한 제1 압력과 상기 제2 센싱홀을 통한 제2 압력에 따라 상기 압력센싱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laryngeal mas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ryngeal mask portion provided with a laryngeal mask piece that can be disposed on the larynx of a patient; A tubular body connected to the laryngeal mask and having a passage through which air passes when the patient inhales and exhales; A sensing unit for outputting a pressure sensing signal and a temperature sensing signal for air passing through the tubular body according to the patient's breathing; And a controller for outputting patient stat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sure sensing signal and the temperature sensing signal, wherein a first sensing hole and a second sensing hole penetrating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tubular part are formed, and the first sensing hole is forme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assage through which air passes between the 1 sensing hole and the second sensing hole is reduced, and the sensing unit is applied according to the first pressure through the first sensing hole and the second pressure through the second sensing ho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outputs a pressure sensing signal.
Description
본 발명은 후두 마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ryngeal mask device.
일반적인 후두 마스크 장치는 기도 삽관과 달리 특별한 기술이 필요하지 않고 사용이 간편하며 내시경 자세(left decubitus)에서도 쉽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삽입 시 자극이 적어 국소마취제인 리도카인 스프레이(lidocaine spray)를 후두에 뿌려 깊은 진정 상태의 환자에게 근육이완제의 투여 없이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후두 마스크 장치는 자발 호흡을 유지하며 시술진행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Unlike airway intubation, a general laryngeal mask device does not require special techniques, is simple to use, and can be easily inserted even in a left decubitus. In addition, since the implantation is less irritating, a local anesthetic lidocaine spray can be sprayed onto the larynx and applied to patients in deep sedation without administration of muscle relaxants. Therefore, the general laryngeal mask device has the advantage of maintaining spontaneous breathing and allowing the procedure to proceed.
그러나 일반적인 후두 마스크 기도장치는 환자가 자기호흡을 하는 지의 여부를 사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어서,호흡기에 손을 대어 보거나 혹은 환자의 코에 귀를 근저시키는 것 등으로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환자의 호흡이나 체온 상태에 따라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general laryngeal mask airway device cannot confirm whether the patient is self-breathing or not, there is a cumbersome problem that must be checked by putting a hand on the respirator or putting an ear on the patient's nose.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difficult to check the patient's condition according to the patient's breathing or body temperature condi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두 마스크 장치는 환자의 자가 호흡과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The laryngeal mas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checking the patient's self-breathing and the patient's condition.
본 출원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su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subject mentioned above, and another subject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환자의 후두에 배치가능한 후두 마스크편이 구비된 후두 마스크부; 상기 후두 마스크부에 연결되어 환자의 들숨 및 날숨 시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가 형성된 관체부; 환자의 호흡에 따라 상기 관체부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한 압력센싱신호와 온도센싱신호를 출력하는 센싱부; 및 상기 압력센싱신호와 상기 온도센싱신호에 따라 환자의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관체부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는 제1 센싱홀 및 제2 센싱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센싱홀 및 상기 제2 센싱홀 사이에서 공기가 통과하는 상기 통로의 단면적이 줄어드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제1 센싱홀을 통한 제1 압력과 상기 제2 센싱홀을 통한 제2 압력에 따라 상기 압력센싱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 마스크 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aryngeal mask portion provided with a laryngeal mask piece that can be disposed on the larynx of a patient; A tubular body connected to the laryngeal mask and having a passage through which air passes when the patient inhales and exhales; A sensing unit for outputting a pressure sensing signal and a temperature sensing signal for air passing through the tubular body according to the patient's breathing; And a controller for outputting patient stat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sure sensing signal and the temperature sensing signal, wherein a first sensing hole and a second sensing hole penetrating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tubular part are formed, and the first sensing hole is forme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assage through which air passes between the 1 sensing hole and the second sensing hole is reduced, and the sensing unit is applied according to the first pressure through the first sensing hole and the second pressure through the second sensing hole. There is provided a laryngeal mas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outputs a pressure sensing sig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두 마스크 장치는 환자의 호흡에 따른 압력과 온도로 환자의 자가 호흡과 환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The laryngeal mask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heck the patient's self-breathing and the patient's state with pressure and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patient's breathing.
본 출원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 도 2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두 마스크 장치를 나타낸다.
도 3은 날숨 호흡량과 들숨 호흡량을 도출하기 위한 관계식을 나타낸다.
도 5는 하우징에 착탈가능한 관체부를 나타낸다.
도 6은 관체부의 얼라인을 위한 얼라인부를 나타낸다.
도 7 내지 도 9는 센싱부에 의한 압력센싱신호의 파형 및 파형의 팩터들을 나타낸다.1, 2, and 4 show a laryngeal mas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 relational expression for deriving the expiratory respiration volume and the inhalation respiration volume.
5 shows a tubular part detachable to the housing.
6 shows an alignment unit for alignment of the tube body.
7 to 9 show waveforms of a pressure sensing signal by a sensing unit and factors of waveform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described in order to more easily disclose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cope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You will know.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두 마스크 장치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두 마스크 장치는 후두 마스크부(110), 관체부(130), 센싱부(150), 및 컨트롤러(170)를 포함한다. 1 shows a laryngeal mas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laryngeal mas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후두 마스크부(110)는 환자의 후두에 배치가능한 후두 마스크편(111)을 구비한다. The
관체부(130)는 후두 마스크부(110)에 연결되며, 관체부(130)에는 환자의 들숨 및 날숨 시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가 형성된다. 관체부(130)는 후두 마스크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착탈가능하게 구현될 수도 있다. 관체부(130)가 후두 마스크부(110)와 착탈가능하게 구현될 경우, 특정 환자의 호흡기의 감염이 다른 환자로 전염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The
센싱부(150)는 환자의 호흡에 따라 관체부(130)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한 압력센싱신호와 온도센싱신호를 출력한다. The
컨트롤러(170)는 압력센싱신호와 온도센싱신호에 따라 환자의 상태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컨트롤러(17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두 마스크 장치의 동작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The
이를 위하여 컨트롤러(170)는 메모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두 마스크 장치의 제어 및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및 정보나, 센싱부(150)를 통하여 센싱된 환자의 호흡 관련 정보, 체온 관련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밖에 다른 정보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이 때 관체부(130)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는 제1 센싱홀(131) 및 제2 센싱홀(133)이 형성된다. 또한 센싱부(150)는 제1 센싱홀(131)을 통한 제1 압력과 제2 센싱홀(133)을 통한 제2 압력에 따라 압력센싱신호를 출력한다. 제1 센싱홀(131) 및 제2 센싱홀(133) 사이에서 공기가 통과하는 관체부(130)의 통로의 단면적이 줄어든다. At this time, a
이와 같이 제1 센싱홀(131)과 제2 센싱호 사이의 관체부(130) 단면적의 축소는 오리피스의 기능을 하게 되고, 오리피스에 의한 압력차로 인하여 환자의 들숨과 날숨에 따른 관체부(130)의 내부 압력 차이를 제1 센싱홀(131)과 제2 센싱홀(133)에 연결된 센싱부(150)를 통해 측정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reduction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이를 위하여 센싱부(150)는 제1 센싱홀(131)의 제1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와 제2 센싱홀(133)의 제2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압력과 제2 압력의 차이를 도출한다면 센싱부(150)는 차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두 마스크 장치의 표시부(230)는 환자의 호흡, 체온 및 상태 정보와 이밖의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230)는 LCD 또는 OLED와 같은 표시모듈이나 다양한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통신부(250)는 환자의 호흡, 체온 및 상태 정보를 환자 관리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환자 관리 서버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두 마스크 장치의 동작이나 제어에 필요한 정보나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통신부(25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아울러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두 마스크 장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나 유선 케이블을 통하여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laryngeal mask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attery unit for supplying power or a power supply unit for receiving external power through a wired cable.
컨트롤러(170)는, 환자의 날숨에 해당되는 압력센싱신호를 입력받을 때 환자의 체온에 해당되는 온도센싱신호에 따라 환자의 상태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When receiving a pressure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atient's exhalation, the
환자가 치료받는 병실의 온도는 24도에서 25도로 일정하게 유지되며, 앨뷸런스의 차내 온도 역시 체온보다 낮다. 환자가 들숨을 쉴 때에는 병실이나 앰뷸런스의 내부 온도의 공기가 환자에 들어가고, 날숨에서는 환자의 체온과 유사한 온도의 날숨이 환자로부터 배출된다. The temperature in the ward where the patient is treated is kept constant from 24 to 25 degrees, and the temperature in the car of the ambulance is also lower than the body temperature. When the patient inhales, air a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hospital room or ambulance enters the patient, and in exhalation, exhalation at a temperature similar to that of the patient's body temperature is discharged from the patient.
따라서 환자의 체온과 환자의 호흡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환자가 날숨을 쉴 때 환자의 체온이 측정되어야 한다. 환자가 날숨 및 들숨을 쉴 때 제1 센싱홀(131)에서의 압력과 제2 센싱홀(133)에서의 압력이 다르다.Therefore, in order to check the patient's body temperature and the patient's breathing status, the patient's body temperature must be measured when the patient exhales. When the patient exhales and inhales, the pressure in the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두 마스크 장치가 환자의 입을 통하여 삽입될 때 하우징(190) 및 관체부(130)는 환자의 외부에 위치하며, 이에 따라 제1 센싱홀(131)은 제2 센싱홀(133)에 비하여 환자의 입에 가깝다. That is, when the laryngeal mas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through the patient's mouth, the
환자가 날숨을 쉴 때는 환자의 입에 가까운 제1 센싱홀(131)의 제1 압력이 제2 센싱홀(133)의 제2 압력보다 크고, 환자가 들숨을 쉴 때는 환자의 입에서 멀리 있는 제2 센싱홀(133)의 제2 압력이 제1 센싱홀(131)의 제1 압력보다 크다.When the patient exhales, the first pressure in the
이에 따라 센싱부(150)는 환자의 날숨 및 들숨시 제1 센싱홀(131) 및 제2 센싱홀(133)의 압력 차이를 도출하는데, 환자가 날숨 상태라면 압력 차이가 양의 값이 되고 환자가 들숨 상태라면 압력 차이가 음의 값이 된다. Accordingly, the
물론 센싱부(150)의 센싱 포트(sensing port)와 제1 센싱홀(131) 및 제2 센싱홀(133)의 연결 상태에 따라 양의 값이 들숨 상태이고 음의 값이 날숨 상태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압력 차이가 양의 값일 때 환자의 날숨 상태로 설정된 것으로 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된다. Of course, depending on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sensing port of the
또한 센싱부(150)의 구조에 따라 제1 압력과 제2 압력의 차이값의 도출없이 제1 압력과 제2 압력의 차이가 양의 값인지 음의 값인지에 대한 압력센싱신호만을 센싱부(150)가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이상에서 설명된 것을 구현하기 위하여 센싱부(150)는 하나의 차압식 압력센서를 포함하거나 두 개의 압력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implement 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컨트롤러(170)는 압력 차이가 양의 값일 때 센싱부(150)로부터 입력받은 온도센싱신호를 통하여 컨트롤러(170)는 환자의 체온을 도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두 마스크 장치는 환자의 날숨 시의 체온을 도출함으로써 후두 마스크부(110)가 삽입된 환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When the pressure difference is a positive value, the
한편, 오리피스를 구현하기 위한 관체부(130)의 단면적 축소는 여러 방법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센싱홀(131) 및 제2 센싱홀(133) 사이에 관체부(130)의 내측면에서 돌출된 단턱부(135)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센싱홀(131) 및 제2 센싱홀(133)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통로의 단면적이 줄어들 수 있다. Meanwhile, reduction 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한편, 컨트롤러(170)는, 환자의 날숨 시의 제1 압력과 제2 압력의 차이와 관체부(130)의 내경을 통하여 환자의 날숨 호흡량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는 환자의 들숨 시의 제1 압력과 제2 압력의 차이와 관체부(130)의 내경을 통하여 환자의 들숨 호흡량을 도출할 수 있다. Meanwhile, the
날숨 호흡량과 들숨 호흡량은 도 3의 상측에 도시된 유량 도출식을 통하여 도출되거나 도 3의 하측에 도시된 관계식을 통하여 도출될 수 있다. 도 3의 하측에 도시된 관계식은 상기 유량 도출식의 간이 계산식이다. The expiratory respiration volume and the inhalation respiration volume may be derived through the flow rate derivation formula shown in the upper side of FIG. 3 or through the relational formula shown in the lower side of FIG. 3. The relational expression shown on the lower side of Fig. 3 is a simplified calculation formula of the flow rate derivation formula.
도 3에서 개구비는 단턱부(135)에 따라 좁아진 관체부(130)의 내경(d)과 제1 센싱홀(131)과 제2 센싱홀(133) 사이의 영역 이외의 관체부(130) 영역의 내경(D)의 비를 나타낸다. 유량 계수와 팽창계수는 사람의 날숨과 들숨 시의 공기에 해당되는 계수이다. 오리피스 전후 차압은 제1 센싱홀(131)의 제1 압력과 제2 센싱홀(133)의 제2 압력의 차이이다. 유체 밀도는 사람의 날숨과 들숨 시의 공기에 해당의 밀도이다.In FIG. 3, the aperture ratio is the inner diameter (d) of the
이와같은 관계식에 따라 도출된 날숨 호흡량 및 들숨 호흡량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범위를 벗어날 경우, 컨트롤러(170)는 환자 상태에 대한 경고가 담긴 환자의 상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When at least one of the expiratory respiration volume and the inhalation respiration volume derived according to such a relational expression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the
예를 들어, 앞서 설명된 환자의 날숨시의 체온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고 호흡량 역시 기준 범위를 벗어날 경우, 컨트롤러(170)는 환자의 비정상 체온 및 호흡량에 따른 환자의 상태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above-described body temperature at the time of exhalation of the patient is outside the reference range and the respiration volume is also outside the reference range, the
한편, 컨트롤러(170)는 환자의 호흡에 따른 공기의 날숨 온도와 들숨 온도를 도출할 수 있다. 날숨 온도는 환자의 날숨 시에 출력되는 압력센싱신호를 컨트롤러(170)가 입력받을 경우에서의 온도센싱신호에 따라 도출될 수 있다. 들숨 온도는 환자의 들숨 시에 출력되는 압력센싱신호를 컨트롤러(170)가 입력받을 경우에서의 온도센싱신호에 따라 도출될 수 있다. 날숨인지 들숨인지의 구분은 앞서 설명된 제1 압력과 제2 압력의 차이가 양의 값인지 음의 값인지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Meanwhile, the
컨트롤러(170)는 공기의 날숨 온도와 들숨 온도 사이의 차이가 기준 범위를 벗어날 경우, 환자 상태에 대한 경고가 담긴 환자의 상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들숨의 온도는 환자가 있는 공간의 내부 온도에 영향을 받고 날숨의 온도는 환자의 체온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halation temperature and the inhalation temperature of the air exceeds the reference range, the
이에 따라 정상적인 환자의 들숨 온도와 날숨 온도의 차이는 기준 범위 이내에서 변하지만 저체온증이나 고열인 환자의 들숨 온도와 날숨 온도의 차이는 기준 범위를 벗어날 것이다.According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halation temperature and the exhalation temperature of a normal patient will change within the standard range,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halation temperature and the exhalation temperature of a patient with hypothermia or high fever will be out of the reference range.
컨트롤러(170)는 들숨 온도와 날숨 온도의 차이가 기준 범위의 하한치를 벗어날 경우 환자가 저체온증이라는 상태 정보를 도출할 수 있고, 들숨 온도와 날숨 온도의 차이가 기준 범위의 상한치를 벗어날 경우 환자가 고열이라는 상태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The
이를 위하여 센싱부(15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온도 센서(151)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센싱부(150)의 압력센싱정보에 따라 들숨인지 날숨인지가 구별될 수 있는데, 컨트롤러(170)는 들숨일 때의 공기 온도와 날숨일 때의 공기 온도를 센싱하여 환자의 상태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이와 같은 기능은 응급환자의 이송시 응급요원들이 환자 스스로 호흡을 하고 있는지, 그리고 체온이 상승하거나 체온이 하강하는 지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Such a function allows emergency personnel to quickly check whether the patient is breathing on their own when transporting an emergency patient, and whether the body temperature rises or the body temperature drops.
체온에 따른 환자의 상태를 도출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70)는, 환자의 날숨 시에 출력되는 압력센싱신호를 입력받을 경우 온도센싱신호에 따른 공기의 날숨 온도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면, 환자 상태에 대한 경고가 담긴 환자의 상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A method of deriving a patient's condition according to body temperature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when the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부(150)가 하나의 온도 센서(151)를 포함할 경우, 센싱부(150)의 압력센싱신호에 따라 들숨인지 날숨인지가 구별되고, 환자의 체온에 영향을 많이 받는 들숨일 때의 온도와 기준 범위를 비교함으로써 환자의 상태를 도출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1 and 2, when the
본 발명과 다르게 인공 호흡기의 경우 공기를 환자에게 공급할 때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위적으로 공기를 환자에게 공급하기 위하여 공기의 온도를 높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들숨과 날숨 시의 온도차가 명확하게 발생할 수 있다. Unlik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 ventilator, when air is supplied to a patient,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can be increased. Sinc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ncrease the temperature of air to artificially supply air to the patient,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inhalation and exhalation may clearly occur.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하나의 온도 센서(151)는 제2 센싱홀(133)에 비하여 제1 센싱홀(131)에 가깝도록 관체부(130) 또는 하우징(190)에 설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센싱홀(131)은 제2 센싱홀(133)에 비하여 환자의 입에 가깝도록 구비되므로 온도 센서(151)가 제1 센싱홀(131)에 가깝게 구비되어 환자의 입에 가까울 경우 환자의 체온이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다. One
이상에서는 센싱부(150)가 하나의 온도 센서(151)를 포함할 경우에 대해 설명되었으나, 이와 다르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부(150)는 제1 온도 센서(151a)와 제2 온도 센서(151b)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above, the case where the
센싱부(150)는 제1 온도 센서(151a)와 제2 온도 센서(15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도센싱신호는 제1 온도 센서(151a)로부터 출력된 제1 센싱 신호와 제2 온도 센서(151b)로부터 출력된 제2 센싱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The
후두 마스크부(110)가 환자의 후두에 배치될 때, 제1 온도 센서(151a)는 제2 온도 센서(151b)에 비하여 환자의 입에 가깝게 구비될 수 있다. When the
이 때 컨트롤러(170)는, 환자의 날숨 시에 출력되는 압력센싱신호를 입력받을 경우, 제1 센싱 신호에 따른 공기의 온도와 제2 센싱 신호에 따른 온도 사이의 차이가 기준 범위를 벗어날 경우, 환자 상태에 대한 경고가 담긴 환자의 상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압력센싱신호를 통하여 구별되는 환자의 날숨 시의 공기의 온도를 이용하는 것은 환자의 체온은 환자의 날숨 시의 공기 온도를 측정하기 것이 들숨 시에 측정하는 것보다 정확하기 때문이다. The reason for us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at the time of exhalation of the patient, which is distinguished through the pressure sensing signal, is because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at the time of exhalation of the patient is more accurate than that at the time of inhalation.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하나의 온도 센서(151)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제1 온도 센서(151a) 및 제2 온도 센서(151b)를 이용하면 보다 정확하게 환자의 체온을 파악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use one
제1 온도 센서(151a)가 제2 온도 센서(151b)에 비하여 환자의 입에 가깝게 설치되기 때문에 제1 온도 센서(151a)의 제1 온도와 제2 온도 센서(151b)의 제2 온도의 차이가 기준 범위 이내일 때 환자의 상태가 정상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mperature of the
제1 온도와 제2 온도의 차이가 기준 범위의 상한치를 벗어나고, 제1 온도가 제2 온도보다 높으면 환자가 고열인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고, 기준 범위의 하한치를 벗어나면 환자가 저체온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mperature and the second temperature is outside the upper limit of the reference range, and the first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second temperatur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patient is in high fever, and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lower limit of the reference range is outside the lower limit of the reference range, the patient is determined to be in hypothermia can do.
한편, 도 1,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부(130)는 후두 마스크편(111)의 맞은 편에 있는 후두 마스크부(110)의 끝단부(113)와 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될 수 있다. 이 때 후두 마스크의 끝단부(113)는 테이퍼 형상을 지닐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관체부(130)가 상기 끝단부(113)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끝단부(113)와 관체부(130) 결합시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끝단부(113)의 외측면과 관체부(130)의 내측면에 서로 치합되는 나사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나사산이 없을 경우, 관체부(130)의 내측면과 끝단부(113)의 외측면 사이에 있는 오링(O-ring)이 구비됨으로써 공기의 누출이 방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1, 2, 4 and 5, th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두 마스크 장치는 센싱부(150)와 컨트롤러(170)가 설치되는 하우징(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하우징(190)은 관체부(130)의 착탈을 위한 착탈 구조를 지닐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90)은 관체부(130)가 삽입되는 홀 구조를 지닐 수 있다. 도 5의 홀 구조는 관체부(130)의 착탈 구조의 일례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홀 구조가 아닌 체결 구조를 지닐 수도 있다. Meanwhile, the laryngeal mas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관체부(130)는 환자의 들숨 및 날숨에 따라 공기가 통과하기 때문에 세균이나 여타의 이물질에 의하여 오염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관체부(130)는 환자마다 새로운 것으로 교체되어야 한다. Since air passes through the
그런데 관체부(130)의 교체를 위하여 하우징(190) 전체를 교체한다면 이 또한 낭비가 될 수 있으므로 하우징(190)은 반복해서 사용하는 대신 관체부(130)만을 교체함으로써 불필요한 낭비를 막고 특정 환자에 따른 관체부(130)의 오염이 다른 환자에 영향을 주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하우징(190)은 재활용이 가능한 반면 관체부(130)는 교체되므로 관체부(130)의 재질은 스플라스틱과 같은 저가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However, if the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90)의 표면에 관체부(130)의 제1 센싱홀(131) 및 제2 센싱홀(133)과 센싱부(150)의 얼라인(align)을 위한 얼라인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센싱부(150)가 제1 센싱홀(131)과 제2 센싱홀(133)을 통하여 환자의 호흡에 따른 공기의 압력을 센싱하려면, 제1 센싱홀(131) 및 제2 센싱홀(133)과, 센싱부(150)의 센싱 포트의 정렬이 이루어져야 한다. 제1 및 제2 센싱홀(133)과 센싱부(150)의 센싱 포트의 정렬이 불완전하게 이루어질 경우 센싱부(150)가 안정적인 동작을 하지 못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6, alignment of the
따라서 하우징(190)의 표면에는 관체부(130)의 제1 센싱홀(131) 및 제2 센싱홀(133)과 하우징(190)에 내장된 센싱부(150)의 센싱 포트를 얼라인하기 위한 얼라인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Therefore, the surface of the
도 6의 얼라인부(210)의 경우, 관체부(130)가 삽입되는 하우징(190)의 홀 내측면에 걸림턱 구조가 형성된 것이다. 관체부(130)의 외측면에는 하우징(190)의 걸림턱이 삽입될 수 있는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과 걸림홈 구조로 인하여 관체부(130)의 삽입방향과 삽입 깊이가 동시에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센싱부(150)의 센싱 포트와 제1 센싱홀(131) 및 제2 센싱홀(133)의 얼라인이 쉽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이와 같은 걸림턱과 걸림홈의 구조는 얼라인부(210) 구조의 일례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하우징(190)의 표면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관체부(130)의 표면에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얼라인 마크가 하우징(190)과 관체부(130)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The structure of the locking jaw and the locking groove is only a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the
한편, 컨트롤러(170)는, 환자의 들숨 및 날숨 시의 제1 압력과 제2 압력의 차가 호흡 기준값을 넘어갈 경우, 후두 마스크부(110)가 환자의 후두에 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센싱부(150)가 차압센서를 포함할 경우, 차압센서는 제1 센싱홀(131)을 통한 제1 압력과 제2 센싱홀(133)을 통한 제2 압력의 차이를 도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차압센서는 예민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두 마스크 장치가 환자에게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미세한 압력센싱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두 마스크 장치가 환자에게 삽입된 상태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Since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is sensitive, it is possible to output a fine pressure sensing signal even when the laryngeal mas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serted into the patient. Accordingly, it may be necessary to check whether the laryngeal mas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patient.
도 9에 도시된 표는 도 7 및 도 8의 압력센싱신호의 팩터들을 보기쉽게 정리한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정상 호흡, 짧은 호흡, 적은 호흡 및 많은 호흡에 따라 압력센싱신호의 최대 검출값이 서로 다름을 알 수 있다. The table shown in FIG. 9 summarizes the factors of the pressure sensing signals of FIGS. 7 and 8 for easy viewing. As shown in FIG. 9, it can be seen that the maximum detection value of the pressure sensing signal differs according to the patient's normal breathing, short breathing, little breathing, and many breathing.
최대 검출값이 가장 작은 경우는 환자가 적은 호흡을 할 때이고, 그 때의 최대 검출값이 500 mV이다. 따라서 앞서 언급된 호흡 기준값이 500 mV로 설정되면, 컨트롤러(170)는 압력센싱신호의 최대 검출값과 호흡 기준값을 비교하여 최대 검출값이 500 mV보다 크면 후두 마스크 장치가 환자에게 삽입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smallest maximum detection value is when the patient breathes less, and the maximum detection value at that time is 500 mV. Therefore, if the aforementioned breathing reference value is set to 500 mV, the
이상에서 설명된 호흡 기준값은 환자의 적은 호흡일 때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호흡 기준값이 500 mV 역시 일례일 뿐 이에 한정된느 것은 아니다. The breathing reference value described above is when the patient's breathing is small,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breathing reference value of 500 mV is also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컨트롤러(170)는, 호흡 기준값 보다 작은 미사용시 기준값보다 제1 압력과 제2 압력의 차가 작을 경우, 후두 마스크부(110)가 환자의 후두에 배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흡 기준값이 500 mV이고 미사용시 기준값이 400 mV인 경우, 컨트롤러(170)는 압력센싱신호의 최대 검출값과 미사용시 기준값을 비교하여 최대 검출값이 400 mV보다 작으면 후두 마스크 장치가 환자에게 삽입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가 호흡을 할 때마다 파형이 주기적으로 변함을 알 수 있다. 즉, 컨트롤러(170)는, 환자가 들숨과 날숨을 반복함에 따라 발생하는 제1 압력과 제2 압력의 차이의 변화 주기를 통하여 환자의 호흡 횟수를 도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7 and 8, it can be seen that the waveform changes periodically every time the patient breathes. That is, the
제1 압력과 제2 압력의 차가 상기 호흡 기준값 및 상기 미사용시 기준값 사이에 있고 호흡 횟수가 정상 범위에 있을 경우, 환자의 호흡에 따른 공기가 후두 마스크부(110) 및 관체부(130) 중 적어도 하나에서 누출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호흡 횟수가 정상 범위인데 호흡 기준값을 넘어서지 못하면서도 미사용시 기준값을 넘어선다면 공기가 새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ressure and the second pressure is between the breathing reference value and the reference value when not in use, and the number of breaths is in the normal range, the air according to the patient's breathing is at least one of the
한편, 컨트롤러(170)는, 환자가 들숨과 날숨을 반복함에 따라 발생하는 제1 압력과 제2 압력의 차이의 변화 주기를 통하여 환자의 호흡 횟수를 도출할 수 있다.Meanwhile, the
이 때 제1 압력과 제2 압력의 차가 상기 호흡 기준값 및 상기 미사용시 기준값 사이에 있고, 호흡 횟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날 경우, 환자 상태에 대한 경고가 담긴 환자의 상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미사용시 기준값보다 크기 때문에 후두 마스크부(110)가 환자에 삽입된 상태이지만 호흡 횟수 및 호흡 강도가 약한 상태이기 때문에 환자의 상태가 안좋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ressure and the second pressure is between the breathing reference value and the reference value when not in use, and the number of breaths is out of the normal range, the patient status information containing a warning about the patient status may be output. When not in use, since it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looked at,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its spirit or scope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s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self-evident to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후두 마스크부(110)
후두 마스크편(111)
끝단부(113)
관체부(130)
제1 센싱홀(131)
제2 센싱홀(133)
단턱부(135)
센싱부(150)
온도 센서(151)
제1 온도 센서(151a)
제2 온도 센서(151b)
컨트롤러(170)
하우징(190)
얼라인부(210)
표시부(230)
통신부(250)
Laryngeal mask piece (111)
End (113)
Tube body (130)
First sensing hole (131)
Second sensing hole (133)
Stepped part (135)
Temperature sensor(151)
Second temperature sensor 151b
Controller(170)
Housing(190)
Communication unit (250)
Claims (14)
상기 후두 마스크부에 연결되어 환자의 들숨 및 날숨 시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가 형성된 관체부;
환자의 호흡에 따라 상기 관체부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한 압력센싱신호와 온도센싱신호를 출력하는 센싱부; 및
상기 압력센싱신호와 상기 온도센싱신호에 따라 환자의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관체부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는 제1 센싱홀 및 제2 센싱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센싱홀 및 상기 제2 센싱홀 사이에서 공기가 통과하는 상기 통로의 단면적이 줄어드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제1 센싱홀을 통한 제1 압력과 상기 제2 센싱홀을 통한 제2 압력에 따라 상기 압력센싱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 마스크 장치.
A laryngeal mask part provided with a laryngeal mask piece that can be disposed on the larynx of the patient;
A tubular body connected to the laryngeal mask and having a passage through which air passes when the patient inhales and exhales;
A sensing unit for outputting a pressure sensing signal and a temperature sensing signal for air passing through the tubular body according to the patient's breathing; And
And a controller for outputting patient stat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sure sensing signal and the temperature sensing signal,
A first sensing hole and a second sensing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tubular part are forme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assage through which air passes between the first sensing hole and the second sensing hole is reduced,
The laryngeal mask apparatus, wherein the sensing unit outputs the pressure sensing signal according to a first pressure through the first sensing hole and a second pressure through the second sensing hole.
상기 컨트롤러는,
환자의 날숨에 해당되는 상기 압력센싱신호를 입력받을 때 상기 환자의 체온에 해당되는 상기 온도센싱신호에 따라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 마스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ler,
When receiving the pressure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atient's exhalation, the laryngeal mas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output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patien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body temperature of the patient.
상기 제1 센싱홀 및 상기 제2 센싱홀 사이에 상기 관체부의 내측면에서 돌출된 단턱부가 형성되거나,
상기 제1 센싱홀 및 상기 제2 센싱홀 사이에 상기 공기가 통과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상기 통로의 단면적이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 마스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stepped port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tubular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ensing hole and the second sensing hole,
A laryngeal mas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holes through which the air passes are formed between the first sensing hole and the second sensing hole to reduce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passage.
상기 후두 마스크부가 상기 환자의 후두에 배치될 때,
상기 제1 센싱홀은 환자의 입에 가깝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센싱홀은 상기 제1 센싱홀에 비하여 환자의 입에서 멀리 형성되며,
환자의 날숨 시에 상기 제1 센싱홀을 통한 제1 압력이 상기 제2 센싱홀을 통한 제2 압력보다 높고,
환자의 들숨 시에 상기 제1 센싱홀을 통한 제1 압력이 상기 제2 센싱홀을 통한 제2 압력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 마스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laryngeal mask portion is disposed on the larynx of the patient,
The first sensing hole is formed close to the patient's mouth, and the second sensing hole is formed farther from the patient's mouth than the first sensing hole,
When the patient exhales, the first pressure through the first sensing hole is higher than the second pressure through the second sensing hole,
A laryngeal mask device, wherein the first pressure through the first sensing hole is lower than the second pressure through the second sensing hole when the patient inhales.
상기 컨트롤러는,
환자의 날숨 시의 상기 제1 압력과 상기 제2 압력의 차이와 상기 관체부의 내경을 통하여 환자의 날숨 호흡량을 도출하고,
상기 환자의 들숨 시의 상기 제1 압력과 상기 제2 압력의 차이와 상기 관체부의 내경을 통하여 환자의 들숨 호흡량을 도출하고,
상기 날숨 호흡량 및 상기 들숨 호흡량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환자 상태에 대한 경고가 담긴 상기 환자의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 마스크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ler,
The patient's exhalation volume is derived through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ressure and the second pressure during the patient's exhalation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tube part,
The inhalation volume of the patient is derived through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ressure and the second pressure during inhalation of the patient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tubular part,
When at least one of the expiratory respiration volume and the inhalation respiration volume is out of a reference range, the controller outputs state information of the patient containing a warning about the patient's state.
상기 컨트롤러는,
환자의 날숨 시에 출력되는 상기 압력센싱신호를 입력받을 경우에서의 상기 온도센싱신호에 따른 공기의 날숨 온도와, 환자의 들숨 시에 출력되는 상기 압력센싱신호를 입력받을 경우에서의 상기 온도센싱신호에 따른 공기의 들숨 온도 사이의 차이가 기준 범위를 벗어날 경우,
환자 상태에 대한 경고가 담긴 상기 환자의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 마스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ler,
The exhalation temperature of the ai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sensing signal when the pressure sensing signal output when the patient exhales is received, and the temperature sensing signal when the pressure sensing signal output when the patient inhales is received.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halation temperature of the air according to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Laryngeal mas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output the patient status information containing a warning about the patient status.
상기 컨트롤러는,
환자의 날숨 시에 출력되는 상기 압력센싱신호를 입력받을 경우 상기 온도센싱신호에 따른 공기의 날숨 온도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면, 환자 상태에 대한 경고가 담긴 상기 환자의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 마스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ler,
When the pressure sensing signal outputted when the patient exhales is received, when the exhalation temperature of the ai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sensing signal exceeds a reference range, the patient's condition information containing a warning about the patient's condition is output. Laryngeal mask device.
상기 센싱부는 제1 온도 센서와 제2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센싱신호는 상기 제1 온도 센서로부터 출력된 제1 센싱 신호와 상기 제2 온도 센서로부터 출력된 제2 센싱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후두 마스크부가 상기 환자의 후두에 배치될 때, 상기 제1 온도 센서는 제2 온도 센서에 비하여 환자의 입에 가깝게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환자의 날숨 시에 출력되는 상기 압력센싱신호를 입력받을 경우, 상기 제1 센싱 신호에 따른 공기의 온도와 상기 제2 센싱 신호에 따른 온도 사이의 차이가 기준 범위를 벗어날 경우,
환자 상태에 대한 경고가 담긴 상기 환자의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 마스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ing unit includes a first temperature sensor and a second temperature sensor, and the temperature sensing signal includes a first sensing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and a second sensing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When the laryngeal mask part is disposed on the larynx of the patient,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is provided closer to the patient's mouth compared to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The controller,
When receiving the pressure sensing signal output when the patient exhales,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air according to the first sensing signal and the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second sensing signal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Laryngeal mas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output the patient status information containing a warning about the patient status.
상기 관체부는 상기 후두 마스크편의 맞은 편에 있는 상기 후두 마스크부의 끝단부와 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 마스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The laryngeal mas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ubular portion is coupled to or disengaged from an end portion of the laryngeal mask portion opposite the laryngeal mask piece.
상기 센싱부와 상기 컨트롤러가 설치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관체부의 착탈을 위한 착탈 구조를 지니며,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 상기 관체부의 제1 센싱홀 및 제2 센싱홀과 상기 센싱부의 얼라인(align)을 위한 얼라인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 마스크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housing in which the sensing unit and the controller are installed,
The housing has a detachable structure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tubular part,
A laryngeal mas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 alignment part for aligning the first sensing hole and the second sensing hole of the tube body with the sensing part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housing.
상기 컨트롤러는,
환자의 들숨 및 날숨 시의 상기 제1 압력과 상기 제2 압력의 차가 호흡 기준값을 넘어갈 경우, 상기 후두 마스크부가 환자의 후두에 배치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 마스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ler,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ressure and the second pressure during inhalation and exhalation of the patient exceeds a breathing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laryngeal mask is disposed in the larynx of the patient.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호흡 기준값 보다 작은 미사용시 기준값보다 상기 제1 압력과 상기 제2 압력의 차가 작을 경우, 상기 후두 마스크부가 환자의 후두에 배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 마스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ler,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ressure and the second pressur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when not in use, which is less than the respiration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laryngeal mask unit is not disposed in the patient's larynx.
상기 컨트롤러는,
환자가 들숨과 날숨을 반복함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제1 압력과 상기 제2 압력의 차이의 변화 주기를 통하여 환자의 호흡 횟수를 도출하고,
상기 제1 압력과 상기 제2 압력의 차가 상기 호흡 기준값 및 상기 미사용시 기준값 사이에 있고 상기 호흡 횟수가 정상 범위에 있을 경우, 환자의 호흡에 따른 공기가 상기 후두 마스크부 및 상기 관체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누출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 마스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ntroller,
Derive the number of breaths of the patient through the change period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ressure and the second pressure generated as the patient repeats inhalation and exhalation,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ressure and the second pressure is between the breathing reference value and the reference value when not in use, and the number of breaths is within a normal range, air according to the patient's breathing is at least one of the laryngeal mask part and the tube part Laryngeal mas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o leak from.
상기 컨트롤러는,
환자가 들숨과 날숨을 반복함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제1 압력과 상기 제2 압력의 차이의 변화 주기를 통하여 환자의 호흡 횟수를 도출하고,
상기 제1 압력과 상기 제2 압력의 차가 상기 호흡 기준값 및 상기 미사용시 기준값 사이에 있고, 상기 호흡 횟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날 경우, 환자 상태에 대한 경고가 담긴 상기 환자의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 마스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ntroller,
Derive the number of breaths of the patient through the change period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ressure and the second pressure generated as the patient repeats inhalation and exhalation,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ressure and the second pressure is between the breathing reference value and the reference value when not in use, and the number of breathing is out of the normal range, the patient's condition information containing a warning about the patient condition is output. Laryngeal mask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84844A KR102282071B1 (en) | 2019-07-15 | 2019-07-15 | Larynx mask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84844A KR102282071B1 (en) | 2019-07-15 | 2019-07-15 | Larynx mask apparatus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008956A true KR20210008956A (en) | 2021-01-26 |
| KR102282071B1 KR102282071B1 (en) | 2021-07-28 |
Family
ID=7431016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084844A Active KR102282071B1 (en) | 2019-07-15 | 2019-07-15 | Larynx mask apparatu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282071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3588487A (en) * | 2021-07-26 | 2021-11-02 | 南京湃睿半导体有限公司 | System, device and method suitable for evaluating service life of disposable mask |
Citations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4532681A (en) * | 2001-05-11 | 2004-10-28 | アドバンスド サーキュレートリー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Shock treatment system and method |
| KR20050098256A (en) | 2003-01-22 | 2005-10-11 | 더 라린질 마스크 컴퍼니 리미티드 | Laryngeal mask airway device |
| KR100773512B1 (en) * | 2006-04-20 | 2007-11-06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Continuous airway positive pressure breathing apparatus with face mask pressure control |
| KR101658782B1 (en) * | 2015-05-29 | 2016-09-22 | 손창배 |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respiration rate and dustproof mask measuring respiration rate |
| KR101703971B1 (en) * | 2015-12-11 | 2017-02-07 |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Portable bidirectional spirometer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 KR101864515B1 (en) * | 2016-12-28 | 2018-06-04 |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 Laryngeal Mask airway for Endoscopy under sedation |
| KR20200025776A (en) * | 2018-08-31 | 2020-03-10 | 주식회사 한유메딕스 | Apparatus for monitoring self respiration |
-
2019
- 2019-07-15 KR KR1020190084844A patent/KR10228207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4532681A (en) * | 2001-05-11 | 2004-10-28 | アドバンスド サーキュレートリー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Shock treatment system and method |
| KR20050098256A (en) | 2003-01-22 | 2005-10-11 | 더 라린질 마스크 컴퍼니 리미티드 | Laryngeal mask airway device |
| KR100773512B1 (en) * | 2006-04-20 | 2007-11-06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Continuous airway positive pressure breathing apparatus with face mask pressure control |
| KR101658782B1 (en) * | 2015-05-29 | 2016-09-22 | 손창배 |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respiration rate and dustproof mask measuring respiration rate |
| KR101703971B1 (en) * | 2015-12-11 | 2017-02-07 |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Portable bidirectional spirometer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 KR101864515B1 (en) * | 2016-12-28 | 2018-06-04 |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 Laryngeal Mask airway for Endoscopy under sedation |
| KR20200025776A (en) * | 2018-08-31 | 2020-03-10 | 주식회사 한유메딕스 | Apparatus for monitoring self respiratio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3588487A (en) * | 2021-07-26 | 2021-11-02 | 南京湃睿半导体有限公司 | System, device and method suitable for evaluating service life of disposable mask |
| CN113588487B (en) * | 2021-07-26 | 2025-05-16 | 南京湃睿半导体有限公司 | Evaluatio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service life of disposable mask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282071B1 (en) | 2021-07-2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2403276B2 (en) | Breath indicator | |
| US6668828B1 (en) | System and elements for managing therapeutic gas administration to a spontaneously breathing non-ventilated patient | |
| US7305988B2 (en) | Integrated ventilator nasal trigger and gas monitoring system | |
| US7422015B2 (en) | Arrangement and method for detecting spontaneous respiratory effort of a patient | |
| US7946288B2 (en) | Bite block system and method | |
| US20050217668A1 (en) | System and elements for managing therapeutic gas administration to a spontaneously breathing non-ventilated patient | |
| US20090253995A1 (en) | Clinical monitoring in open respiratory airways | |
| US10828439B2 (en) | Gas flow indicator | |
| BRPI0721799A2 (en) | patient ventilation system with gas identification means | |
| US8905019B2 (en) | Patient circuit integrity alarm using exhaled CO2 | |
| US8925549B2 (en) | Flow control adapter for performing spirometry and pulmonary function testing | |
| CN103391793A (en) | Apparatus for tracking compliance with a treatment for obstructive sleep apnea | |
| KR102282071B1 (en) | Larynx mask apparatus | |
| KR20200025776A (en) | Apparatus for monitoring self respiration | |
| KR102641547B1 (en) | Apparatus for extracting patient's flow ina high flow theraphy device using cannula | |
| KR20250041892A (en) | apparatus for determining abnormality of patient through exhaled gas temperature analysi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15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006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14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7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7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