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8458A - Case for smart phone - Google Patents

Case for smart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8458A
KR20210008458A KR1020190084829A KR20190084829A KR20210008458A KR 20210008458 A KR20210008458 A KR 20210008458A KR 1020190084829 A KR1020190084829 A KR 1020190084829A KR 20190084829 A KR20190084829 A KR 20190084829A KR 20210008458 A KR20210008458 A KR 20210008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bar
fitting groove
main body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48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소진
김성훈
박란
Original Assignee
김소진
박란
김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소진, 박란, 김성훈 filed Critical 김소진
Priority to KR1020190084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8458A/en
Publication of KR20210008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845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phone case which comprises: a main body provided to face the rear surface of a smartphone; a fixing member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smartphone; and a rotating member having a lower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having an upper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to move the fixing member and the smartphone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lower portion. When the smartphone is moved upwar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a rear camera of the smartphone is exposed from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Accordingly, a user can easily expose a rear camera by a motion of pushing up a smartphone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rear camera, it is possible to block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through the exposure hole since there is no exposure hole, where the rear camera is exposed, in the main body, and the smartphone case can be continuously used even if the position of the rear camera is changed when the user changes the smartphone.

Description

스마트폰 케이스{Case for smart phone}Smartphone case {Case for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phone case.

스마트폰은 이용자가 휴대하면서 손안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전화통신 단말기로서 현대인은 거의 필수품으로 휴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A smartphone is a telephon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users can carry and use easily in their hands, and it is a reality that modern people carry it as a necessity.

이와 같은 스마트폰은 다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수의 기술의 집합체이기도 하다. 이로 인해, 스마트폰은 고가로 판매되고 있으며, 스마트폰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케이스가 개발되었다. Such a smartphone is also a collection of a number of technologies so that it can perform a number of functions. For this reason, smartphones are sold at high prices, and various cases have been developed to prevent damage to the smartphone.

특히, 스마트폰의 전면과 후면을 동시에 보호할 수 있는 플립케이스가 있다.In particular, there is a flip case that can protect the front and back of a smartphone at the same time.

플립케이스는, 중앙에 절첩부를 기준으로 스마트폰의 후면을 보호하는 본체와 전면을 보호하는 덮개로 이루어진다. The flip case consists of a main body that protects the rear side of the smartphone and a cover that protects the front side based on the folded portion in the center.

덮개에는 카드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는 스마트폰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케이스가 추가 구비되어 있다. 더불어, 본체의 후면에는 동전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부가 더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본체에는 스마트폰의 후면카메라가 노출될 수 있도록 노출공이 형성되어 있다. The cover is provided with a storage unit capable of storing a card or the like, and the main body is additionally provided with a fixing case for fixing a smartphone. In addition, a storage unit is further form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to accommodate coins or the like. In addition, an exposure hole is formed in the body so that the rear camera of the smartphone can be exposed.

그러한, 종래의 플립케이스는 스마트폰의 기종에 맞게 제작되어, 기종이 다른 스마트폰을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Such, the conventional flip case is manufactured to suit the model of the smart phon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use a smart phone of a different model.

또한, 종래의 플립케이스는 가죽과 플라스틱 사출물이 함께 제작되기 때문에 두께가 두꺼워 무선충전하기 어려운 불편함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flip case is made of both leather and plastic injection products, the thickness is thick and it is difficult to charge wirelessly.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36668Korean Patent Registration 10-1636668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후면카메라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 스마트폰을 밀어 올리는 동작으로 용이하게 후면카메라를 노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에 후면카메라가 노출되는 노출공이 없기 때문에 노출공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변경하여 후면카메라 위치가 달라지더라도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is that when a user wants to use a rear camera, it is possible to easily expose the rear camera by pushing up the smartphone, as well as the rear camera on the main body. Because there is no exposed hole,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can be blocked through the exposed hole, and it is to provide a smart phone case that can be used continuously even if the position of the rear camera changes by changing the user's smartphon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이 제2회전바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스마트폰의 하단이 삽입홈을 통과하며 뒤집어져 스마트폰의 후면이 외부로 노출되고 스마트폰의 전면이 본체의 일측면에 마주함으로써, 사용자는 노출된 스마트폰의 후면과 무선충전기를 맞대어 무선충전할 수 있어 스마트폰을 케이스로부터 분리과정 없이간단한 조작으로 스마트폰의 후면을 노출시켜 무선충전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smartphone is rotated based on the second rotation bar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smartphone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and is turned over, so that the rear of the smartphone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front of the smartphone is on one side of the body. By facing each other, the user can wirelessly charge the exposed rear of the smartphone with the wireless charger, so that the rear of the smartphone is exposed through a simple operation without removing the smartphone from the case to facilitate wireless charging. It is to provid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 케이스에 따르면, 일측면이 스마트폰의 후면과 마주하도록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상기 스마트폰을 구비시키는 고정부재; 상기 본체에 하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고정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부를 기준으로 상기 고정부재와 스마트폰을 상기 본체의 상부방향과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카메라가 상기 본체의 상단으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smartphon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a main body provided with one side facing the rear of the smartphone; A fixing member having the smartphone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 rotation member having a lower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n upper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and moving the fixing member and the smartphone in an upper direction and a lower direction of the main body based on a lower portion; And, when the smartphone is moved upwar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the rear camera of the smartphone is exposed from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회전부재의 하부가 결합되는 제1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의 상부가 결합되는 제2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제1끼움홈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회전바와, 상기 제2끼움홈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회전바 및 상기 제1회전바와 제2회전바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연결바의 연장길이만큼 상기 본체의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has a first fitting groove to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member is coupled, the fixing member has a second fitting groove to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member is coupled, and the rotating member A first rotation bar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fitting groove, a second rotation bar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fitting groove, and a connection bar connecting the first rotation bar and the second rotation bar, the smartphone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ved in an upper direction or a lower direction of the main body by an extended length of the connection bar.

또한, 상기 본체는, 양측에 돌출되되 상기 스마트폰의 외측에 돌출부가 돌출되고, 상기 돌출부에 상기 회전부재의 하부가 결합되는 제1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의 상부가 결합되는 제2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제1끼움홈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회전바와, 상기 제2끼움홈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회전바 및 상기 제1회전바와 제2회전바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연결바의 연장길이만큼 상기 본체의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is protruding from both sides, the protrusion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smartphone, the protrusion has a first fitting groove to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member is coupled, and the fixing member includes an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member A second fitting groove is formed, and the rotating member includes a first rotating bar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fitting groove, a second rotating bar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fitting groove, and the second rotating member. And a connection bar connecting the first rotation bar and the second rotation bar, and the smartphon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moves in an upper direction or a lower direction of the body by an extended length of the connection bar.

또한, 상기 연결바는, 상기 제1회전바에서 제2회전바로 갈수록 상기 본체의 중심부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2회전바가 상기 고정부재를 가압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가압하는 제2회전바에 의해 상기 스마트폰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bar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center of the main body from the first rotation bar to the second rotation bar, so that the second rotation bar presses the fixing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presses the second rot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by pressing the side of the smartphone by a bar to fix the smartphone.

또한, 상기 제2회전바는, 상기 고정부재의 외측면으로 돌출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외측면에 상기 제2끼움홈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상기 연결바가 기 설정된 각도에서 삽입되도록 내입된 고정홈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제1회전바와 제2회전바는, 상기 연결바가 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면,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연결바가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이탈될 때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rotation bar is coupled to protrude to an out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outer surface so that the connection bar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fitting groove is inserted at a preset angle.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are formed, and the first rotation bar and the second rotation bar are rotated when the connection bar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fixing groove, and when the connection bar is inserted and fixed, the connection bar is rotated when the connection bar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groove. do.

또한,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본체의 일측면이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이 보호되도록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되, 상기 고정부재의 제2끼움홈이 상기 본체의 하단과 제1끼움홈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부재의 하측면이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맞닿는 상태에서 결합되고, 상기 연결바의 길이는, 상기 스마트폰에 고정된 고정부재의 제2끼움홈과 상기 스마트폰의 하단 사이 폭보다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제2회전바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하단이 제1끼움홈을 통과하며 뒤집어져 스마트폰의 후면이 외부로 노출되고 스마트폰의 전면이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mart phone, one side of the main body is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so that the rear surface of the smart phone is protected, the second fitting groove of the fixing member is locat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body and the first fitting groove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member is coupled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body, and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bar is longer than the width between the second fitting groove of the fixing member fixed to the smartphone and the lower end of the smartphone. It is formed to have a length, and the smartphone is rotated based on the second rotation bar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smartphone passes through the first fitting groove and is turned over to expose the rear of the smartphone to the outside and the front of the smartphon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aces one side of the main body.

또한, 상기 제1끼움홈과 제2끼움홈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으로 상부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후면카메라가 상기 본체의 상단보다 더 높은 위치에 이동되도록 다수 형성된 제1끼움홈과 제2끼움홈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선택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fitting groove and the second fitting groove is formed in a plurality of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rotating member, when the smartphone is moved upwar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the rear surfa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mera is selected and coupled to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first fitting grooves and second fitting grooves formed to move to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body.

또한, 상기 제1끼움홈과 제2끼움홈 및 회전부재는,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상기 회전부재의 제1회전바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제2회전바를 기준으로 회전될 때, 상기 다각형의 내각만큼씩 이동 또는 회전되며, 다각형의 면이 또 다른 다각형의 면에 접할 때는 이동 또는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fitting groove, the second fitting groove, and the rotating member ar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and the smartphone is mov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first rotating bar of the rotating member, or based on the second rotating bar. When rotated to, it is moved or rotated by the inner angle of the polygon, and when the surface of the polygon is in contact with another polygonal surface, the movement or rotation is restricted.

또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otating member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member,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pair.

또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한 쌍의 제1회전바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otating member is provided in each of both sides of the fixing member is made of a p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pair of first rotating ba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made integrally.

또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한 쌍의 제2회전바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otating member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member to be formed in a pair, and a pair of second rotating ba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be formed integrally.

또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한 쌍의 제1회전바와 한 쌍의 제2회전바가 각각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otating member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member and is formed in a pair, and a pair of first rotating bars and a pair of second rotating ba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be integrally formed.

또한, 상기 제1회전바는, 상기 본체 또는 돌출부의 외측면으로 돌출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 또는 돌출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끼움홈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상기 연결바가 기 설정된 각도에서 삽입되도록 내입된 고정홈이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rotation bar is coupled to protrud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or the protrusion, and the connection bar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fitting groove is inserte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or the protrus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internal fixing grooves are formed.

또한, 상기 제2회전바는, 상기 스마트폰의 하단과 제2끼움홈 사이 폭보다 상기 연결바의 길이가 더 길어질 수 있도록 다수의 제2끼움홈 중 어느 하나에 선택되어 결합되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제2회전바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하단이 제1끼움홈을 통과하며 뒤집어져 스마트폰의 후면이 외부로 노출되고 스마트폰의 전면이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rotating bar is selected and coupled to any one of a plurality of second fitting grooves so that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bar is longer than the width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smartphone and the second fitting groove, and the smartphone Is rotated based on the second rotation bar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smartphone passes through the first fitting groove and is turned over to expose the rear of the smartphone to the outside, and the front of the smartphone faces one side of the body. To do.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사용자가 후면카메라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 스마트폰을 밀어 올리는 동작으로 용이하게 후면카메라를 노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에 후면카메라가 노출되는 노출공이 없기 때문에 노출공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변경하여 후면카메라 위치가 달라지더라도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that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rear camera, not only can the rear camera be easily exposed by pushing up the smartphone, but also because there is no exposure hole through which the rear camera is exposed.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can be blocked through the exposed hole, and a smartphone case can be provided that can be used continuously even if the rear camera position is changed by changing the user's smartphone.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스마트폰이 제2회전바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스마트폰의 하단이 삽입홈을 통과하며 뒤집어져 스마트폰의 후면이 외부로 노출되고 스마트폰의 전면이 본체의 일측면에 마주함으로써, 사용자는 노출된 스마트폰의 후면과 무선충전기를 맞대어 무선충전할 수 있어 스마트폰을 케이스로부터 분리과정 없이간단한 조작으로 스마트폰의 후면을 노출시켜 무선충전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smartphone is rotated based on the second rotation bar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smartphone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and is turned over, so that the rear of the smartphone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front of the smartphone is on one side of the body. By facing each other, the user can wirelessly charge the exposed rear of the smartphone with the wireless charger, so that the rear of the smartphone is exposed through a simple operation without removing the smartphone from the case to facilitate wireless charging. Can provid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에 고정된 스마트폰을 밀어 올리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스마트폰 후면카메라가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스마트폰 후면이 노출되도록 뒤집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스마트폰이 뒤집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회전부재에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회전부재 및 끼움홈이 다각형으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끼움홈이 다수개 형성되어 스마트폰의 고정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 phon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phone c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pushing up a smartphone fixed to a smartphone c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ar camera of a smartphone is exposed of a smartphone c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ar of the smartphone is turned over to expose the rear of the smartphone c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martphone is turned upside down of the smartphone c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mart phone c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a rotating member of a smart phone c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otating member and a fitting groove of a smart phone case ar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arti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of a smart phone case is form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a fixed position of the smart phone can be adjusted.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are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who have,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에 고정된 스마트폰을 밀어 올리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스마트폰 후면카메라가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스마트폰 후면이 노출되도록 뒤집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스마트폰이 뒤집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회전부재에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회전부재 및 끼움홈이 다각형으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끼움홈이 다수개 형성되어 스마트폰의 고정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 phon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phone c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pushing up a smartphone fixed to a smartphone c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ar camera of a smartphone is exposed of a smartphone c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ar of the smartphone is turned over to expose the rear of the smartphone c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martphone is turned upside down of the smartphone c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mart phone c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a rotating member of a smart phone c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otating member and a fitting groove of a smart phone case ar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arti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of a smart phone case is form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a fixed position of the smart phone can be adjust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스마트폰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smart phone cas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는, 본체(10), 회전부재(20) 및 고정부재(30)를 포함한다. 1 to 10, a smart phon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a rotating member 20, and a fixing member 30.

먼저, 본체(10)는, 일측면이 스마트폰(1)의 후면과 마주하도록 구비된다. First,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so that one side faces the rear side of the smartphone 1.

그리고, 본체(10)는, 일단이 연장형성되어 스마트폰(1)의 전면을 덮을 수 있도록 덮개(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의 일측면과 연장된 덮개(11)의 일측면에 카드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카드보관함(12)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10 may be formed with a cover 11 such that one end is extended to cover the front surface of the smartphone 1. In addition, a card storage box 12 capable of storing a card or the like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one side of the extended cover 11.

또한, 본체(10)는, 일측면 또는 측면에 제1끼움홈(13)이 형성된다. 이때, 가죽으로 이루어진 본체(10)의 내부에 본체(10)의 강도를 부여할 수 있는 플레이트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0, a first fitting groove 13 is formed on one side or side. In this case, a plate capable of imparting strength of the main body 10 may be further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made of leather.

고정부재(30)는, 본체(10)의 일측면에 스마트폰(1)을 구비시킨다. 이때, 고정부재(30)는, 스마트폰(1)의 상하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내입홈(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양 측면(=좌우측면)만 또는 상하부와 양 측면을 모두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의 양 측면을 감싸고, 후면을 지지하는 'ㄷ'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fixing member 30 is provided with a smartphone 1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At this time, the fixing member 30 may have an inner groove 31 formed in a form surrounding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martphone 1, and in a form that covers only both sides (= left and right sides) or both the upper and lower parts and both sides. It can also be formed. Preferably, it may be formed in a'c' shape that surrounds both sides of the smartphone and supports the rear surfa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상기 스마트폰을 구비시키는 고정부재;A fixing member having the smartphone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또한, 고정부재(30)는, 스마트폰(1)의 양 측면을 감쌀 때, 전체적이거나 일부분만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ixing member 30, when wrapping both sides of the smartphone 1, may be formed in a form that surrounds the whole or only a part.

회전부재(20)는, 본체(10)에 하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가 고정부재(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부를 기준으로 고정부재(30)와 스마트폰(1)을 본체(10)의 상부방향과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킨다. Rotating member 20, the lower port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 the upper port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30, the fixing member 30 and the smartphone 1 It moves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of the main body 10.

이에 따라, 도 3 및 4와 같이, 스마트폰(1)은, 회전부재(20)의 회전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이동될 때, 스마트폰(1)의 후면카메라(2)가 본체(10)의 상단으로부터 노출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S. 3 and 4, when the smartphone 1 is moved upwar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20, the rear camera 2 of the smartphone 1 is Exposed from the top.

즉, 사용자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1) 케이스를 사용함에 있어서, 후면카메라(2)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 스마트폰(1)을 밀어 올리는 동작으로 용이하게 후면카메라(2)를 노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10)에 후면카메라(2)가 노출되는 노출공이 없기 때문에 노출공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스마트폰(1)을 변경하여 후면카메라(2) 위치가 달라지더라도 기존 사용하는 스마트폰(1) 케이스를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rear camera 2 in using the case of the smartphone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camera 2 can be easily exposed by pushing up the smartphone 1.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exposed hole through which the rear camera 2 is exposed in the main body 10,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into the exposed hole can be blocked, and the position of the rear camera 2 is different by changing the user's smartphone (1). Even if you lose, you can continue to use the existing smartphone (1) case.

이하, 회전부재(20)의 결합관계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rotating member 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체(10)는, 회전부재(20)의 하부가 결합되는 제1끼움홈(13)이 형성된다. 이때, 제1끼움홈(13)은 본체(10)의 일측면에 형성될 경우, 본체(10)의 양 측면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끼움홈(13)은 본체(10)의 양 측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할 회전부재(20)의 제1회전바(21)가 본체(10)의 양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된다. The body 10 is formed with a first fitting groove 13 to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member 20 is coupled. At this time, when the first fitting groove 1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it is formed to open to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 In addition, the first fitting groove 13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10. Accordingly, the first rotating bar 21 of the rotating member 20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to protrude to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

한편, 본체(10)는, 또 다른 실시예로 도 7과 같이, 양측에 돌출되되 스마트폰(1)의 외측에 돌출부(14)가 돌출형성된다. 또한, 돌출부(14)에 회전부재(20)의 하부가 결합되는 제1끼움홈(13)이 형성된다. 이때도, 제1끼움홈(13)은 돌출부(14)의 양 측면이 개구되도록 상측면에 형성되거나, 양 측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body 10, as shown in Fig. 7 in another embodiment, protruding from both sides, the protrusions 14 ar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smart phone (1). In addition, a first fitting groove 13 to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member 20 is coupled is formed in the protrusion 14. Also in this case, the first fitting groove 13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so that both sides of the protrusion 14 are opened, or may be formed only on both sides.

고정부재(30)는, 회전부재(20)의 상부가 결합되는 제2끼움홈(32)이 형성된다. 이때, 제2끼움홈(32)은 고정부재(30)의 하측면에 형성될 경우, 고정부재(30)의 양 측면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끼움홈(32)은 고정부재(30)의 양 측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할 회전부재(20)의 제2회전바(23)가 고정부재(30)의 양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된다. The fixing member 30 is formed with a second fitting groove 32 to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member 20 is coupled. At this time, when the second fitting groove 32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member 30, it is formed to open to both sides of the fixing member 30. In addition, the second fitting groove 32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member 30. Accordingly, the second rotating bar 23 of the rotating member 20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to protrude to both sides of the fixing member 30.

회전부재(20)는, 제1끼움홈(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회전바(21)와, 제2끼움홈(3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회전바(23) 및 제1회전바(21)와 제2회전바(23)를 연결하는 연결바(22)를 포함한다.The rotating member 20 includes a first rotating bar 21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fitting groove 13, a second rotating bar 23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fitting groove 32, and It includes a connection bar 22 connecting the first rotation bar 21 and the second rotation bar 23.

즉, 스마트폰(1)은, 연결바(22)의 연장길이만큼 본체(10)의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That is, the smartphone 1 may be moved in the upper direction or the lower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by the extension length of the connection bar 22.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폰(1)을 상부로 밀어 올리면 고정부재(30)가 제1회전바(21)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부방향으로 이동되고, 고정부재(30)는 제2회전바(23)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스마트폰(1)이 회전되지 않고 상부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렇게 스마트폰(1)이 회전부재(20)의 끝단이 상부방향으로 회전될 때, 고정부재(30)와 함께 상부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스마트폰(1)의 후면카메라(2)를 본체(10)의 상단으로부터 노출시킬 수 있으며, 노출된 후면카메라(2)를 이용하여 촬영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user pushes the smartphone 1 upward, the fixing member 30 is rotated based on the first rotation bar 21 and moves upward, and the fixing member 30 is a second rotation bar ( It is rotated based on 23) so that the smartphone 1 is not rotated and moves upward. In this way, when the end of the rotating member 20 of the smartphone 1 is rotated in the upper direction, the rear camera 2 of the smartphone 1 is moved in the upper direction together with the fixing member 30. It can be exposed from the top of 10), and can be photographed using the exposed rear camera (2).

또한, 사용자는, 후면카메라(2)를 통해 촬영하지 않을 경우에는, 스마트폰(1)을 하부방향으로 밀어 스마트폰(1)의 후면이 본체(10)에 보호되도록 원위치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is not photographing through the rear camera 2, the user can push the smartphone 1 in the downward direction so that the rear of the smartphone 1 is protected by the main body 10.

또한, 도 8과 같이, 회전부재(20)가 다양한 실시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실시형태에 따라 상술한 제1끼움홈(13)과 제2끼움홈(32)의 형성이 양 측면이 개구되도록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양 측면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rotating member 20 may be formed in various embodiments, and the formation of the first fitting groove 13 and the second fitting groove 32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It may be formed on one side to be opened, and only both sides may be formed.

도 8의 (a)와 같이, 회전부재(20)는, 고정부재(3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shown in (a) of FIG. 8, the rotating member 2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member 30 to form a pair.

도 8의 (b)와 같이, 회전부재(20)는, 고정부재(3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한 쌍의 제1회전바(21)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shown in (b) of FIG. 8, the rotating member 2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member 30 to be formed as a pair, but the first rotating bar 21 is connected to each other to be integrated. I can.

도 8의 (c)와 같이, 회전부재(20)는, 고정부재(3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한 쌍의 제2회전바(23)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c) of FIG. 8, the rotating member 2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member 30 to be formed in a pair, but the second rotating bar 23 is connected to each other to be integrated. I can.

도 8의 (d)와 같이, 회전부재(20)는, 고정부재(3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한 쌍의 제1회전바(21)와 한 쌍의 제2회전바(23)가 각각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shown in (d) of FIG. 8, the rotating member 2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member 30 to be formed in a pair, but a pair of first rotating bars 21 and a pair of second rotating Each of the bars 23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be formed integrally.

또한, 연결바(22)는, 제1회전바(21)에서 제2회전바(23)로 갈수록 본체(10)의 중심부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제2회전바(23)의 이격 폭은 스마트폰(1)의 양 측면 폭보다 좁게 이격되어 제2회전바(23)는 스마트폰(1)이 고정된 고정부재(30)를 가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bar 22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center of the body 10 as it goes from the first rotation bar 21 to the second rotation bar 23. At this time, the separation width of the pair of second rotation bars 23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both sides of the smartphone 1, so that the second rotation bar 23 is a fixing member 30 to which the smart phone 1 is fixed. Can pressurize.

이에 따라, 고정부재(30)는, 가압하는 제2회전바(23)에 의해 스마트폰(1)의 측면을 가압하여 스마트폰(1)을 고정시키는 것이다.Accordingly, the fixing member 30 is to fix the smart phone 1 by pressing the side of the smart phone 1 by the second rotating bar 23 for pressing.

또한, 제2회전바(23)는, 고정부재(30)의 외측면으로 돌출되게 결합된다. In addition, the second rotation bar 23 is coupled to protrud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30.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30)는, 외측면에 제2끼움홈(32)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연결바(22)가 기 설정된 각도에서 삽입되도록 내입된 고정홈(33)이 다수 형성된다. And, as shown in Figure 3, the fixing member 30, the connection bar 22 rotated based on the second fitting groove 32 on the outer surface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33 so that it is inserted at a preset angle. ) Is formed.

이때, 제1회전바(21)와 제2회전바(23)는, 연결바(22)가 고정홈(33)에 삽입되어 고정되면,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고, 연결바(22)가 고정홈(33)으로부터 이탈될 때 회전된다.At this time, the first rotation bar 21 and the second rotation bar 23, when the connection bar 22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33 and fixed, the rotation is not made, and the connection bar 22 is the fixing groove It rotates when it deviates from (33).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바(21)는, 본체(10) 또는 돌출부(14)의 외측면으로 돌출되게 결합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the first rotation bar 21 is coupled to protrud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or the protrusion 14.

이때, 본체(10) 또는 돌출부(14)의 외측면에는 제1끼움홈(13)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연결바(22)가 기 설정된 각도에서 삽입되도록 내입된 고정홈(33)이 다수 형성된다. At this tim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or the protrusion 14, a plurality of internal fixing grooves 33 are formed so that the connecting bar 22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fitting groove 13 is inserted at a preset angle. .

즉, 고정홈(33)은, 고정부재(30), 본체(10), 돌출부(14)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fixing groove 33 may b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fixing member 30, the main body 10, and the protrusion 14.

또한, 제1끼움홈(13)과 제2끼움홈(32) 및 회전부재(20)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fitting groove 13, the second fitting groove 32 and the rotating member 20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이때, 스마트폰(1)은, 회전부재(20)의 제1회전바(21)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제2회전바(23)를 기준으로 회전될 때, 다각형의 내각만큼씩 이동 또는 회전되며, 다각형의 면이 또 다른 다각형의 면에 접할 때는 이동 또는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martphone 1 is mov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first rotating bar 21 of the rotating member 20, or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rotating bar 23, by the inner angle of the polygon. It is moved or rotated, and movement or rotation may be restricted when a polygonal surface contacts another polygonal surface.

또한, 스마트폰(1)은, 본체(10)의 일측면이 스마트폰(1)의 후면이 보호되도록 고정부재(30)에 결합되되, 고정부재(30)의 제2끼움홈(32)이 본체(10)의 하단과 제1끼움홈(13) 사이에 위치하며 고정부재(30)의 하측면이 본체(10)의 일측면에 맞닿는 상태에서 결합된다. In addition, the smartphone 1 is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30 so that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protects the rear surface of the smartphone 1, and the second fitting groove 32 of the fixing member 30 is It is locat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body 10 and the first fitting groove 13 and is coupled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member 30 abuts against one side of the body 10.

이때, 연결바(22)의 길이는, 스마트폰(1)에 고정된 고정부재(30)의 제2끼움홈(32)과 스마트폰(1)의 하단 사이 폭보다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bar 22 is formed to have a length longer than the width between the second fitting groove 32 of the fixing member 30 fixed to the smartphone (1) and the lower end of the smartphone (1). I can.

즉, 도 5 및 6과 같이, 스마트폰(1)은, 제2회전바(23)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스마트폰(1)의 하단이 제1끼움홈(13)을 통과하며 뒤집어져 스마트폰(1)의 후면이 외부로 노출되고 스마트폰(1)의 전면이 본체(10)의 일측면에 마주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smartphone 1 is rotated based on the second rotating bar 23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smartphone 1 passes through the first fitting groove 13 and is turned over. The rear of (1)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front of the smartphone 1 may face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이때, 사용자는 노출된 스마트폰(1)의 후면과 무선충전기를 맞대어 무선충전할 수 있다. 또한, 무선충전이 완료된 후에는, 다시 스마트폰(1)을 제2회전바(23)를 기준으로 회전시켜 스마트폰(1)의 후면이 본체(10)의 일측면에 보호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er can wirelessly charge the exposed rear surface of the smartphone 1 and the wireless charger. In addition, after the wireless charging is completed, the smartphone 1 can be rotated based on the second rotating bar 23 again, so that the rear of the smartphone 1 can be positioned to be protect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

이와 같이, 사용자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1) 케이스를 이용함에 있어, 스마트폰(1)을 별도로 분리하지 않고 회전을 통해서 스마트폰(1)의 후면을 노출시켜 무선충전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In this way, in using the case of the smartphone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easily perform wireless charging by exposing the rear side of the smartphone 1 through rotation without separating the smartphone 1 separately. .

도 10을 참조하면, 제1끼움홈(13)과 제2끼움홈(32)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10, at least one of the first fitting groove 13 and the second fitting groove 32 is formed in a plurality by being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때, 회전부재(20)는, 스마트폰(1)이 회전부재(20)의 회전으로 상부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후면카메라(2)가 본체(10)의 상단보다 더 높은 위치에 이동되도록 다수 형성된 제1끼움홈(13)과 제2끼움홈(32)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선택되어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otating member 20, when the smartphone 1 is moved upwar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20, the rear camera 2 is moved to a higher position than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0. Any one or more of the formed first fitting groove 13 and the second fitting groove 32 may be selected and coupled.

또한, 제2회전바(23)는, 스마트폰(1)의 하단과 제2끼움홈(32) 사이 폭보다 연결바(22)의 길이가 더 길어질 수 있도록 다수의 제2끼움홈(32) 중 어느 하나에 선택되어 결합된다.In addition, the second rotating bar 23, a plurality of second fitting grooves 32 so that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bar 22 is longer than the width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smartphone 1 and the second fitting groove 32 It is selected and combined in any one of them.

그에 따라, 스마트폰(1)은, 제2회전바(23)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스마트폰(1)의 하단이 제1끼움홈(13)을 통과하며 뒤집어져 스마트폰(1)의 후면이 외부로 노출되고 스마트폰(1)의 전면이 본체(10)의 일측면에 마주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martphone (1) is rotated based on the second rotation bar (23), the lower end of the smartphone (1) passes through the first fitting groove (13) and is turned over, so that the rear of the smartphone (1) is It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front of the smartphone 1 may face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그러므로, 스마트폰(1)을 변경하였을 때, 기존 스마트폰(1)의 크기와 달라져도 기존 사용하던 본 발명의 스마트폰 케이스에 변경된 스마트폰(1)을 장착하여 후면카메라(2)의 노출과 무선충전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smartphone (1) is changed, even if the size of the existing smartphone (1) is different, by attaching the changed smartphone (1) to the existing smartphon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exposure of the rear camera (2) and wireless You can use the same charg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술하는 과정에서 기술된 구성의 작동순서는 반드시 시계열적인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각 구성 및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충족한다면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concept of equivalen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ust be interpreted. In addition, the order of operation of the configuration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process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performed in a time-series order, and even if the execution order of each configuration and step is changed, if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atisfied, such a proces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you can.

1 : 스마트폰 2 : 후면카메라
10 : 본체 11 : 덮개
12 : 카드보관함 13 : 제1끼움홈
14 : 돌출부 20 : 회전부재
21 : 제1회전바 22 : 연결바
23 : 제2회전바 30 : 고정부재
31 : 내입홈 32 : 제2끼움홈
33 : 고정홈
1: Smartphone 2: Rear camera
10: main body 11: cover
12: card storage box 13: first insertion groove
14: protrusion 20: rotating member
21: first rotating bar 22: connecting bar
23: second rotating bar 30: fixing member
31: internal groove 32: second fitting groove
33: fixing groove

Claims (14)

일측면이 스마트폰의 후면과 마주하도록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상기 스마트폰을 구비시키는 고정부재;
상기 본체에 하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고정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부를 기준으로 상기 고정부재와 스마트폰을 상기 본체의 상부방향과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카메라가 상기 본체의 상단으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A main body provided with one side facing the rear side of the smartphone;
A fixing member having the smartphone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 rotation member having a lower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n upper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and moving the fixing member and the smartphone in an upper direction and a lower direction of the main body based on a lower portion; and,
When the smartphone is moved upwar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the rear camera of the smartphone is exposed from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회전부재의 하부가 결합되는 제1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의 상부가 결합되는 제2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제1끼움홈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회전바와, 상기 제2끼움홈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회전바 및 상기 제1회전바와 제2회전바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연결바의 연장길이만큼 상기 본체의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has a first fitting groove to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member is coupled,
The fixing member has a second fitting groove to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member is coupled,
The rotating member includes a first rotating bar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fitting groove, a second rotating bar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fitting groove, and a connecting bar connecting the first rotating bar and the second rotating bar. Including,
The smart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smartphone is moved in an upper direction or a lower direction of the main body by an extended length of the connection b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양측에 돌출되되 상기 스마트폰의 외측에 돌출부가 돌출되고, 상기 돌출부에 상기 회전부재의 하부가 결합되는 제1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의 상부가 결합되는 제2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제1끼움홈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회전바와, 상기 제2끼움홈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회전바 및 상기 제1회전바와 제2회전바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연결바의 연장길이만큼 상기 본체의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is protruding from both sides, the protrusion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smartphone, and the protrusion has a first fitting groove to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member is coupled,
The fixing member has a second fitting groove to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member is coupled,
The rotating member includes a first rotating bar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fitting groove, a second rotating bar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fitting groove, and a connecting bar connecting the first rotating bar and the second rotating bar. Including,
The smart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smartphone is moved in an upper direction or a lower direction of the main body by an extended length of the connection bar.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는, 상기 제1회전바에서 제2회전바로 갈수록 상기 본체의 중심부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2회전바가 상기 고정부재를 가압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가압하는 제2회전바에 의해 상기 스마트폰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connecting bar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center of the main body from the first rotation bar to the second rotation bar, and the second rotation bar presses the fixing member,
The fixing member is a smart 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fixing the smart phone by pressing the side of the smart phone by a pressing second rotation bar.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바는, 상기 고정부재의 외측면으로 돌출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외측면에 상기 제2끼움홈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상기 연결바가 기 설정된 각도에서 삽입되도록 내입된 고정홈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제1회전바와 제2회전바는, 상기 연결바가 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면,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연결바가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이탈될 때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second rotation bar is coupled to protrud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The fixing member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internally inserted fixing grooves so that the connection bar rotated based on the second fitting groove is inserte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outer surface,
The first rotation bar and the second rotation bar, when the connection bar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and fixed, does not rotate, the smart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rotated when the connection bar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groove.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본체의 일측면이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이 보호되도록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되, 상기 고정부재의 제2끼움홈이 상기 본체의 하단과 제1끼움홈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부재의 하측면이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맞닿는 상태에서 결합되고,
상기 연결바의 길이는, 상기 스마트폰에 고정된 고정부재의 제2끼움홈과 상기 스마트폰의 하단 사이 폭보다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제2회전바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하단이 제1끼움홈을 통과하며 뒤집어져 스마트폰의 후면이 외부로 노출되고 스마트폰의 전면이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smartphone is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so that one side of the main body protects the rear of the smartphone, and the second fitting groove of the fixing member is locat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and the first fitting groove, and the fixing It is coupled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side of the member i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body,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bar is formed to have a length longer than a width between the second fitting groove of the fixing member fixed to the smartphone and the lower end of the smartphone,
The smartphone is rotated based on the second rotation bar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smartphone passes through the first fitting groove and is turned over, so that the rear of the smartphone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front of the smartphone faces one side of the main body. Smart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끼움홈과 제2끼움홈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으로 상부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후면카메라가 상기 본체의 상단보다 더 높은 위치에 이동되도록 다수 형성된 제1끼움홈과 제2끼움홈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선택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Any one or more of the first fitting groove and the second fitting groove is formed a plurality of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rotating member is any one of a first fitting groove and a second fitting groove formed to move the rear camera to a higher position than the upper end of the body when the smartphone is moved upwar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Smart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bination is selected above.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끼움홈과 제2끼움홈 및 회전부재는,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상기 회전부재의 제1회전바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제2회전바를 기준으로 회전될 때, 상기 다각형의 내각만큼씩 이동 또는 회전되며, 다각형의 면이 또 다른 다각형의 면에 접할 때는 이동 또는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first fitting groove and the second fitting groove and the rotating member ar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When the smartphone is mov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first rotating bar of the rotating member or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rotating bar, the smartphone is moved or rotated by the inner angle of the polygon, and the surface of the polygon is another Smart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or rotation is restricted when in contact with the polygonal surface.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rotating member is a smart 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pair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member.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한 쌍의 제1회전바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rotating member, each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member is made of a pair, a pair of first rotating ba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smart 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made integrally.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한 쌍의 제2회전바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rotating member, each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member is made of a pair, a pair of second rotary ba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smart 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made integrally.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한 쌍의 제1회전바와 한 쌍의 제2회전바가 각각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rotating member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member and is formed in a pair, a pair of first rotating bars and a pair of second rotating bars are each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n integral smart phone cas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바는, 상기 본체 또는 돌출부의 외측면으로 돌출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 또는 돌출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끼움홈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상기 연결바가 기 설정된 각도에서 삽입되도록 내입된 고정홈이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rotation bar is coupled to protrud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or the protrusion,
A smart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fixed groove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or the protrusion so that the connection bar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fitting groove is inserted at a preset ang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바는, 상기 스마트폰의 하단과 제2끼움홈 사이 폭보다 상기 연결바의 길이가 더 길어질 수 있도록 다수의 제2끼움홈 중 어느 하나에 선택되어 결합되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제2회전바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하단이 제1끼움홈을 통과하며 뒤집어져 스마트폰의 후면이 외부로 노출되고 스마트폰의 전면이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 rotating bar is selected and coupled to any one of a plurality of second fitting grooves so that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bar is longer than the width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smartphone and the second fitting groove,
The smartphone is rotated based on the second rotation bar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smartphone passes through the first fitting groove and is turned over, so that the rear of the smartphone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front of the smartphone faces one side of the main body. Smart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KR1020190084829A 2019-07-14 2019-07-14 Case for smart phone KR2021000845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829A KR20210008458A (en) 2019-07-14 2019-07-14 Case for smart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829A KR20210008458A (en) 2019-07-14 2019-07-14 Case for smart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458A true KR20210008458A (en) 2021-01-22

Family

ID=74307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829A KR20210008458A (en) 2019-07-14 2019-07-14 Case for smart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845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0572A1 (en) * 2022-10-14 2024-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Case including structure for supporting electronic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668B1 (en) 2016-01-05 2016-07-05 신도순 Case for protecting mobile pho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668B1 (en) 2016-01-05 2016-07-05 신도순 Case for protecting mobile pho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0572A1 (en) * 2022-10-14 2024-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Case including structure for supporting electronic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5556B1 (en) Pocketbook type mobile phone case
KR101196608B1 (en) smart-phone case with camera lens
CN204408434U (en) Mobile phone
KR20130020817A (en) Pocketbook type mobile phone case
FR3047094B1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 EMBODYING AN ORDIPHONE, KEYBOARD AND TABLET CAPABLE OF TAKING 3D SHOTS OF VIEWS
KR100663486B1 (en) Interface connector cover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KR20210008458A (en) Case for smart phone
KR200469127Y1 (en) case for mobile phone
KR100575746B1 (en) Folder type mobile terminal
KR20090045675A (en) Stand hinge for electronic device
KR200470099Y1 (en) portable terminal case
KR101513356B1 (en) Multi-shot camera lens that is equipped with a Cell Phone Case
KR20160010778A (en) Mobile Terminal Protection Case With Wallet
KR102343800B1 (en) Phone case
KR20210016873A (en) Case for smart phone
CN110584290B (en) Bluetooth earphone box and Bluetooth earphone
KR100979249B1 (en) Elastic module using integrate-type spring wound on both directions by spiral form, and slide apparatus of sliding type cellular phone having the elastic module
CN109076185A (en) Display device
CN105933472A (en) Mobile phone casing convenient for shooting
CN105762566B (en) A kind of connection structure, card connector protective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CN208782853U (en) A kind of turnover concealed mobile phone camera
KR200474127Y1 (en)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90090649A (en) Protective case for mobile phones
KR102092455B1 (en) cas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2015548B1 (en) Cover of electric charger for holding mobile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