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8235A - System for fin tech based on block chain - Google Patents
System for fin tech based on block chai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08235A KR20210008235A KR1020190083980A KR20190083980A KR20210008235A KR 20210008235 A KR20210008235 A KR 20210008235A KR 1020190083980 A KR1020190083980 A KR 1020190083980A KR 20190083980 A KR20190083980 A KR 20190083980A KR 20210008235 A KR20210008235 A KR 202100082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nagement server
- blockchain
- token
- user terminal
- transa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9—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involving key manag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핀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단말기가 토큰 관리 서버에 가입하여 판매자단말기가 진행하는 특정 프로젝트의 토큰 발행을 요청할 경우 토큰 관리 서버가 상기 판매자단말기에 트랜잭션을 전송하여 토큰을 발행하도록 하고 상기 판매자단말기가 진행하는 특정 프로젝트를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의 핀테크 시스템에 의하여 크레디트 블록체인 플랫폼을 사용하여 금융 시스템이 중개자 없이 직접 지불 할 수 있고, 고유 한 유형의 합의 dPoS + BFT로 인해 플랫폼은 고속( 트랜잭션 당 01 초)으로 작동 할 수 있으며 초당 많은 트랜잭션을 처리 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chain-based fintech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when a user terminal subscribes to a token management server and requests the issuance of a token for a specific project conducted by a seller terminal, the token management server makes a transaction to the merchant terminal. It relates to a blockchain-based token transaction system that transmits and issues tokens and overall manages specific projects conducted by the seller terminal.
By using the credit blockchain platform by the blockchain-based fintec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ancial system can pay directly without an intermediary, and the platform is fast (01 seconds per transaction ) due to the unique type of consensus dPoS + BFT. It can be operated with and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process many transactions per second.
Description
본 발명은 핀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크레디트 블록체인 플랫폼을 사용하여 금융 시스템이 중개자없이 직접 지불 할 수 있고, 또한 대출이 필요한 경우에는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허용하는 분산 원장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식별 시스템의 생성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핀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tech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by using a credit blockchain platform, the financial system can directly pay without an intermediary, and if a loan is required, it is based on a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that is allowed by the blockchain platform. It relates to a blockchain-based fintech system that creates a client identification system.
또한, 사용자단말기가 토큰 관리 서버에 가입하여 판매자단말기가 진행하는 특정 프로젝트의 토큰 발행을 요청할 경우 토큰 관리 서버가 상기 판매자단말기에 트랜잭션을 전송하여 토큰을 발행하도록 하고 상기 판매자단말기가 진행하는 특정 프로젝트를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핀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user terminal subscribes to the token management server and requests the issuance of a token for a specific project conducted by the seller terminal, the token management server transmits a transaction to the merchant terminal to issue a token, and executes a specific project conducted by the seller terminal. It is about a blockchain-based fintech system that is managed overall.
일반적으로 송금은 대규모 은행 계좌 개설과 국경 간 송금은 범죄 활동에 대한 두려움과 보안 수표에 대한 필요성 때문에 거래 시간이 지연되고 있다.In general, remittances are delayed by opening large bank accounts and cross-border transfers due to fear of criminal activity and the need for security checks.
그리고 필요 자금을 마련하고자 개인 신용 대출을 신청하는 방법은 고객이 직접 은행을 내방하여 신청하는 방법과, 전화로 신청하는 방법, 인터넷을 통한 방법,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대출 신청 방법 등이 있다.In addition, methods of applying for a personal credit loan to raise the necessary funds include a method for a customer to visit a bank and apply by phone, a method through the Internet, and a mobile loan application method using a portable terminal.
이처럼, 제 1 금융권 및 제 2 금융권 등에서 다양한 종류의 고객 대출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으나, 대출 방식의 대부분은 대출을 원하는 사람이 직접 금융 회사를 방문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었다.As such, the first financial sector and the second financial sector have implemented various types of customer loan services, but most of the loan methods are performed by a person who wants a loan directly visiting a financial company.
물론, 근래에는 스마트 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전화 대출이나 인터넷을 이용한 대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 시행되고 있으나, 이 과정에서 개인의 신용 상태 확인 및 본인 확인 절차가 매우 번거롭다.Of course, in recent years, a method of providing a phone loan using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or a loan service using the Internet has been implemented, but in this process, a procedure for confirming an individual's credit status and identity is very cumbersome.
특히 인터넷 웹서비스를 이용한 대출 서비스의 경우, 신청 고객에 따라 신규 또는 기존 고객의 대출 가능 금액을 즉시 표시해 주는 방안이 전혀 없어서, 신규 고객은 물론 기존 대출 고객들은 대출 신청을 할 때마다 신용조회를 반복적으로 실행하기 때문에 개인 신용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loan service using Internet web service, there is no method to immediately display the available loan amount of new or existing customers depending on the applying customer, so new customers as well as existing loan customers repeat credit inquiries every time they apply for a loan. There is a problem that personal creditworthiness is lowered because it is executed as.
또한, 홈페이지를 통한 대출 신청은 고객의 신용 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신규 고객의 경우, 대출심사에 요구되는 각종 서류를 매번 반복하여 제공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개인 정보와 서류 등이 누출되어 불법 대출 관련 범죄로 이어지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된다.In addition, since the loan application through the homepage is based on the customer's credit information data, there is a cumbersome problem in that new customers have to repeatedly provide various documents required for loan examination each time, and in this process, personal information and documents, etc. This leak continues, leading to illegal loan-related crimes.
또한, 전화 대출은 기존 고객이 신청하는 경우, 신용 정보 회사의 데이터를 비교한 후, 대출 한도가 결정되므로 비교적 대출 심사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복수 회의 신용 조회에 따라 신용 등급이 낮아지는 요인이 되므로 대출 신청을 기피하여 많이 애용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In addition, if an existing customer applies for a telephone loan, the loan limit is determined after comparing the data of the credit information company, so the loan review is relatively easy, but it is a factor that lowers the credit rating due to multiple credit inquiries. It is a situation where he avoids applying for a loan and is not using it much.
그리고, 기존 고객이 전화상으로 대출 신청을 한 이후에도 개인 신용도에 따라 신규 대출 심사에 준하는 대출 심사를 거치게 됨으로써, 추가적으로 대출 관련 서류를 제공해야 하며, 대출 심사에 고객의 녹취 데이터를 확보해야 하는 등의 별도의 개인 인증 절차가 수반되는 번거로움이 내재되어 있다.In addition, even after the existing customer applies for a loan over the phone, it undergoes a loan review equivalent to the new loan review according to personal creditworthiness, so additional loan-related documents must be provided, and the customer's recording data must be secured during the loan review. There is inherent hassle with a separate personal authentication procedure.
이와 같이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전화 대출의 불편함과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선행 기술로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551552호(공고일 2006년 2월 13일)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대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이 공개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as a prior art for the inconvenience of phone loans using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and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mobile loans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551552 (announced on February 13, 2006) Service systems and methods' have been disclosed.
이 선행 기술의 모바일 대출 서비스 시스템은, 이동 통신 시스템과 각 대출 기관의 제휴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를 기존의 론 카드 등의 대출 수단을 대신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사용자가 현재 필수품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대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이동 통신 시스템이 보유하고 있는 고객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차별화된 마케팅을 통한 대출의 유도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This prior art mobile loan service system allows the user to u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place of the existing loan card or the like through a partnership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each lending institution, so that the user can obta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currently a necessit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receive a loan service by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at it is possible to induce a loan through differentiated marketing using a database of customers possessed by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또한, 이 선행 기술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대출이 이루어짐에 따라, 해당 대출 상품을 제공하는 대출 기관으로부터 수수료의 이득을 취할 수 있으며, 각 대출 기관은 카드 발급 비용 및 별도의 마케팅 비용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미리 가지고 있는 사용자의 정보를 공유하여 별도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지 않고 효율적인 마케팅 및 수익 창출의 효과가 기대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is prior art can take advantage of the fee from the lender that provides the loan product as the loan is made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each lender has the cost of issuing a card and In addition to saving marketing cost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effective marketing and profit generation are expected without separately collecting user information by sharing user information previously hel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하지만 이 선행 기술은 이동 통신사와 대출 기관의 제휴가 요구되므로 현실적으로 이동 통신사와 대출 기관의 업무 제휴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는 한계가 있으며, 설령 업무 제휴가 이루어지더라도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보유하고 있는 고객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개인 정보 누출로 인한 대출 사기와 명의도용의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높은 문제가 있어 실제로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However, since this prior art requires a partnership between a mobile operator and a lending institution, in reality,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business alliance between the mobile operator and the lending institution cannot be properly established. Even if a business alliance is established, the database of the customer hel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re is a high concern about loan fraud and identity theft problems caused by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in the process of using, so it is not being applied in practice.
그리고 비탈릭뷰테린이 제안한 이더리움은 스마트계약을 쉽게 코드로 구현할 수 있고 튜링 완전하다. 비탈릭뷰테린이 제안한 이더리움은 비트코인 거래에서 에스크로 계약 등에 쓰이던 비트코인 스크립트 언어가 가진 튜링 불완전함을 극복하고자 제안되었다. 비트코인의 트랜잭션이란 오직 계정의 밸런스 항목의 변화로만 사용되고, 트랜잭션에 사용된 스크립트언어는 에스크로 계약 등 제한적으로만 활용될 뿐이다. 이더리움은 이 계정의 상태를 밸런스뿐 아니라 데이터, 코드까지 확장하고, 트랜잭션을 통해 계정에 기록된 일련의 코드가 실행되게 함으로써, 계정의 상태변환조건을 튜링 완전에 가깝도록 만들어 대규모의 분산 어플리케이션(Decentralized Application; DApp) 제작을 위한 손쉬운 툴을 제공했다. 따라서 쉽게 구현 가능한 스마트 계약으로 이더리움 블록체인을 이용한 분산 어플리케이션(Decentralized Application; DApp)들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And Ethereum proposed by Vitalik Buterin can easily implement smart contracts in code and is Turing complete. Ethereum, proposed by Vitalik Buterin, was proposed to overcome the Turing imperfections of the bitcoin script language used for escrow contracts in bitcoin transactions. Bitcoin transactions are only used for changes in account balance items, and the script language used for transactions is only used in a limited way, such as escrow contracts. Ethereum expands the state of this account not only to balance, but also to data and code, and allows a series of codes recorded in the account to be executed through transactions, making the state transition condition of the account close to Turing perfection, making it a large-scale distributed application ( We provided an easy tool for creating Decentralized Application (DApp). Therefore, decentralized applications (DApps) using the Ethereum blockchain are being actively developed as smart contracts that can be easily implemented.
분산 어플리케이션 프로젝트들이 초기 자금을 모으기 위해 코인을 발행하여 크라우드 펀딩을 받는 형식, ICO(Initial Coin Offering)이 보편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ICO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블록체인이 갖는 익명성으로 투자를 진행하게 되어, 법적 보호 장치가 없어 미국, 중국 등 주요나라에서 금지되었다.ICO (Initial Coin Offering), a format in which decentralized application projects receive crowdfunding by issuing coins to raise initial funds, has been commonly used. With the widespread ICO, investments were made with the anonymity of the blockchain, and it was banned in major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China due to lack of legal protection.
따라서, 일반적인 금융거래와 마찬가지로 거래, 투자하는 사람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고 ICO를 악용할 수 없도록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한 상황이다.Therefore, as in general financial transactions, there is a need for a system that can verify the identity of the person making the transaction and invest and prevent the ICO from being abused.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단말기가 토큰 관리 서버에 가입하여 판매자단말기가 진행하는 특정 프로젝트의 토큰 발행을 요청할 경우 토큰 관리 서버가 상기 판매자단말기에 트랜잭션을 전송하여 토큰을 발행하도록 하고 상기 판매자단말기가 진행하는 특정 프로젝트를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핀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such a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when a user terminal subscribes to a token management server and requests the issuance of a token for a specific project conducted by the seller terminal, the token management server makes a transaction to the merchant terminal. It is to provide a blockchain-based fintech system that transmits tokens to issue tokens and overall manages specific projects conducted by the seller terminal.
또한, 현재 Bitcoin 및 Ethereum과 같은 인기있는 크립토크 통화는 낮은 거래 속도와 높은 비용으로 운영되므로, 크레디트 블록체인 플랫폼을 사용하여 금융 시스템이 중개자없이 직접 지불 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핀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currently popular cryptocurrencies such as Bitcoin and Ethereum operate with low transaction speed and high cost, so using the Credit Blockchain platform, the financial system provides a blockchain-based fintech system that allows direct payment without intermediaries. There is.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핀테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가, 공인인증기관 서버로부터 발급되는 개인키와 공개키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인증키 및 공개키 생성 과정과; 사용자 단말기, 인증키 관리 서버, 및 금융기관 계좌 관리 서버간에 서로 통신하여, 복호화된 공개키를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의 개인인증서인 블록체인 인증서를 이용한 금융기관 계좌를 개설하는 금융기관 계좌 개설 과정과; 상기 인증키 관리 서버가, 상기 공인인증기관 서버에서 제공되는 공개키 기반의 공인인증서를 이용하여 금융기관 계좌의 거래 대금 이체가 이루어지는 공인인증서 인증 모드, 상기 금융기관 계좌 관리 서버에서 제공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의 개인인증서인 블록체인 인증서를 이용하여 금융기관 계좌의 거래 대금 거래이체가 이루어지는 블록체인 인증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인증 모드를 결정하는 인증 모드 결정 과정; 및 SNS 플랫폼 서버가, 송금 또는 대출 거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인증 모드 결정 과정에서 결정된 인증 모드의 인증을 거친 후, 대금 이체를 요청하는 인증 이체 요청 과정;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lockchain-based fintech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 of generating an authentication key and a public key in which a user terminal generates and stores a private key and a public key issued from an accredited certification authority server; Financial institution account opening process in which a user terminal, authentication key management server, and financial institution account management server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open a financial institution account using a blockchain certificate, which is a blockchain-based user's personal certificate using the decrypted public key and; The authentication key management server is an accredited certificate authentication mode in which transaction payments of a financial institution account are transferred using a public key-based public certificate provided from the accredited certificate authority server, and a block chain-based provided by the financial institution account management server An authentication mode determination process of determining any one of the blockchain authentication modes in which the transaction price transaction transfer of the financial institution account is performed using the blockchain certificate, which is the user's personal certificate; And when a remittance or loan transaction occurs, the SNS platform server performs authentication of the authentication mode determined in the authentication mode determination process, and then an authentication transfer request process of requesting a payment.
또한, 상기 인증 모드 결정 과정은, 거래 대금 이체에 대한 공인인증서 수수료가 무료 여부 기준, 사용자 단말기 위치 기준 또는 상기 금융기관을 통해 거래되는 거래 대금 기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준에 따라서 인증 모드가 결정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 위치 기준에 따라 인증 모드가 결정되는 것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공인인증기관 서버가 위치한 국가와 동일 국가에 위치한 경우 상기 공인인증서 인증 모드로 결정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공인인 증기관 서버가 위치한 국가와 동일 국가에 위치하지 않고 다른 국가에 위치한 경우 상기 블록체인 인증 모드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authentication mode, the authentication mode is determined according to any one or more of a criterion for whether or not an accredited certificate fee for a transaction price transfer is free, a user terminal location criterion, or a transaction price criterion transacted through the financial institution, The authentication mod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user terminal location criterion, when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in the same country as the country where the accredited certification authority server is located, the accredited certificate authentication mode is determined, and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in the accredited steam pipe server. If it is not located in the same country as the country but in a different countr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lock chain authentication mode is determined.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서로 송금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CS ( cryptocurrency Credits)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terminal and the user terminal transfer money to each other, CS (cryptocurrency credits) is us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금융기관 계좌 관리 서버에서 대출을 신청하는 경우에는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허용하는 분산 원장 기술을 기반으로하는 클라이언트 식별 시스템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terminal applies for a loan from the financial institution account management serv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by a client identification system based on a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allowed by a blockchain platform.
또한, 상기 금융기관 계좌 관리 서버는 블록체인에 의하여 관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nancial institution account management server is characterized by being managed by a block chain.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공인인증기관 서버로부터 발급되는 개인키와 공개키를 생성하여 저장하며, 상기 공개키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인증서인 블록체인 인증서 기반의 증권계좌 개설을 인증키 관리 서버로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And the user terminal generates and stores a private key and a public key issued from the accredited certification authority server, and uses the public key to open a block-chain certificate-based security account, which is a block-chain-based personal certificat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requested by.
또한, 상기 인증키 관리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개인키와 공개키를 저장 관리하며, 상기 블록체인 인증서 기반의 금융기관 계좌 개설 요청 또는 이체 요청이 있는 경우 공개키를 상기 금융기관 계좌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금융기관 계좌 개설을 요청하며, 상기 공인인증기관 서버에서 제공되는 공개키 기반의 공인인증서를 이용하여 금융기관 계좌의 거래 대금 이체가 이루어지는 공인인증서 인증 모드, 상기 금융기관 계좌 관리 서버에서 제공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의 개인인증서인 블록체인 인증서를 이용하여 금융기관 계좌의 거래 대금 거래 이체가 이루어지는 블록체인 인증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인증 모드를 결정하며, 결정된 인증 모드에 따른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uthentication key management server stores and manages the user's private key and public key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manages the public key to the financial institution account when there is a request to open a financial institution account or transfer request based on the blockchain certificate. An accredited certificate authentication mode in which a transaction amount is transferred to a financial institution account using a public key-based public certificate provided from the accredited certificate authority server by sending it to the server, and in the financial institution account management server Using the blockchain certificate, which is the provided blockchain-based user's personal certificate, it determines which one of the blockchain authentication modes in which the transaction price of the financial institution account is transferred, and performs authentic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authentication mode. It features.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토큰 관리 서버에 회원가입 또는 로그인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 특정 프로젝트의 토큰 발행을 요청하는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요청된 프로젝트에 사용되는 토큰을 발행하기 위한 트랜잭션을 판매자단말기에 요청하는 토큰 관리 서버; 및 상기 토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트랜잭션을 수신하는 경우, 블록체인에 기반한 이더리움 상태 변환 함수를 통해 상기 트랜잭션의 구조를 체크하여 오류가 반환 처리되지 않고 사용자 식별 인증이 성공된 경우에만 토큰을 발행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판매자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terminal for requesting a token issuance of a specific project after user authentication through membership registration or login to a token management server; A token management server for requesting a transaction for issuing a token used for a project requested from the user terminal to a seller terminal; And when the transaction is received from the token management server, the structure of the transaction is checked through an Ethereum state conversion function based on a block chain, and an error is not returned and a token is issued only when user identification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ller terminal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그리고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토큰 관리 서버에 회원가입 하는 경우 상기 토큰 관리 서버에 로그인 정보, 이더리움 주소, 이메일, 사용자 이름 및 생년월일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terminal subscribes to the token management serv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transmits login information, Ethereum address, email, user name, and date of birth to the token management serv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토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회원가입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로그인 정보, 이더리움 주소, 이메일, 사용자 이름 및 생년원일을 전송받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oken management server is characterized by receiving and storing login information, Ethereum address, e-mail, user name and date of birth from the user terminal when the user terminal signs up for membership.
그리고 상기 토큰 관리 서버가 상기 판매자단말기에 요청하는 트랜잭션은 요청된 프로젝트를 식별할 수 있는 밸런스 크기만큼의 토큰 발행량 및 사용자의 이더리움 주소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ransaction requested by the token management server to the seller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mount of token issuance equal to the balance size capable of identifying the requested project and the user's Ethereum address are included.
또한, 상기 토큰 관리 서버는, 상기 판매자단말기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요청한 토큰 발행량 만큼 토큰을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발행할 경우 발생하는 수수료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oken management server is characterized in that collecting a fee generated when the seller terminal issues a token to the user terminal as much as the amount of token issuance requested by the user terminal.
그리고 상기 토큰 관리 서버는, 상기 판매자단말기가 진행하는 특정 프로젝트의 하드캡(HARD CARP)이 달성될 경우 프로젝트 기간이 남았어도 프로젝트를 마감하고, 상기 판매자단말기가 진행한 특정 프로젝트의 코인을 가상화폐 거래소에 상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token management server, if the hard cap (HARD CARP) of a specific project conducted by the seller terminal is achieved, closes the project even if the project period remains, and transfers the coins of the specific project conducted by the seller terminal to a virtual currency exchange. It is characterized by listing on.
또한, 상기 토큰 관리 서버는, 상기 판매자단말기가 진행하는 특정 프로젝트가 프로젝트 기간 동안 소프트캡(SOFT CAP)을 달성하지 못할 경우, 상기 판매자단말기가 사용자단말기에 토큰을 발행하면서 획득한 투자 이더를 사용자단말기로 모두 상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oken management server, when a specific project conducted by the seller terminal fails to achieve a soft cap (SOFT CAP) during the project period, the seller terminal issues the token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investment Ether acquired by the user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trolled to repay all of them.
그리고 상기 토큰 관리 서버는, 상기 판매자단말기가 진행하는 특정 프로젝트가 프로젝트 기간 동안 소프트캡(SOFT CAP)을 달성하지 못하였지만 프로젝트에 투자한 사용자단말기의 수가 미리 설정한 수를 넘었을 경우 상기 판매자단말기가 진행한 특정 프로젝트의 코인을 가상화폐 거래소에 상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token management server, if the specific project the seller terminal does not achieve a soft cap (SOFT CAP) during the project period, but the number of user terminals invested in the project exceeds a preset number, the seller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by listing the coins of a specific project undertaken on a virtual currency exchang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토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판매자단말기가 진행하는 특정 프로젝트의 토큰을 발행 받은 후 프로젝트 기간이 끝나기 전에 토큰 발행에 투자한 투자 이더의 반환을 요청할 경우, 상기 판매자단말기가 토큰에 대한 투자 이더의 일정량 만을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상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oken management server, when the user terminal requests the return of the investment Ether invested in the token issuance before the end of the project period after the user terminal has issued a token for a specific project conducted by the seller terminal, the seller terminal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repay only a certain amount of investment Ether for the token to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핀테크 시스템은, 크레디트 블록체인 플랫폼을 사용하면 금융 시스템이 중개자 없이 직접 지불 할 수 있고, 고유 한 유형의 합의 dPoS + BFT로 인해 플랫폼은 고속( 트랜잭션 당 01 초)으로 작동 할 수 있으며 초당 많은 트랜잭션을 처리 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In the blockchain-based fintec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credit blockchain platform is used, the financial system can pay directly without an intermediary, and due to the unique type of consensus dPoS + BFT, the platform is high-speed (01 seconds per transaction ). It can be operated with and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process many transactions per second.
또한, 사용자단말기가 토큰 관리 서버에 가입하여 판매자단말기가 진행하는 특정 프로젝트의 토큰 발행을 요청할 경우 토큰 관리 서버가 상기 판매자단말기에 트랜잭션을 전송하여 토큰을 발행하도록 하여 투자하는 사람의 신원을 확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terminal subscribes to the token management server and requests the issuance of a token for a specific project conducted by the seller terminal, the token management server sends a transaction to the merchant terminal to issue a token, so that the identity of the investor can be assured. There is an effect.
그리고 토큰 관리 서버가 판매자단말기가 진행하는 특정 프로젝트를 전반적으로 관리하여 판매자단말기가 특정 프로젝트 완료 후 이를 악용하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oken management server can overall manage a specific project conducted by the seller terminal to prevent the seller terminal from exploiting it after completing a specific proj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테크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테크 시스템을 통한 토큰 거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큰 관리 서버의 특정 프로젝트 관리 실시예시도1.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큰 관리 서버의 특정 프로젝트 관리 실시예시도2.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핀테크 시스템의 구성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핀테크 시스템을 통한 순서도.1 is a block diagram of a fintech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token transaction flow chart through the fintech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ecific project management example of a token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ecific project management embodiment of a token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 fintech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 chart through the fintech system shown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for the same parts.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더리움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더리움 주소, 메시지와 트랜잭션, 콘트랙트(이더리움 상태 변환 함수)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In order to help understand Ethereum 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thereum address, message and transaction, and contract (Ethereum state conversion function) will be described first.
먼저 이더리움 주소에 관해 설명하면, 이더리움에서 상태는 계정이라 불리우는 객체들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계정은 이더리움 잔고, 20 바이트의 주소와 데이터값과 정보를 직접적으로 전달해주는 상태 변환 코드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인 항목은 아래와 같다.First, let's talk about Ethereum addresses. In Ethereum, states are made up of objects called accounts. Each account has an Ethereum balance, a 20-byte address, and a state conversion code that directly passes data values and information. The specific items are as follows.
(1)넌스(nonce): 개별 트랜잭션이 한 번만 처리되게 하는 카운터(1) nonce: a counter that allows an individual transaction to be processed only once
(2)계정의 현재 이더(ether) 잔고(2) Current ether balance of the account
(3)계정의 계약코드(선택적)(3) Account contract code (optional)
(4)계정의 저장 공간(초기에는 비어있음)(4) Account storage space (initially empty)
이더리움은 비트코인과 같은 원리의 암호화 화폐로써 트랜잭션 수수료를 지불하는데 사용된다. 두 가지의 계정이 존재하는데, 개인키가 통제하는 외부 소유 계정(Externally Owned Accounts)과 콘트랙트 코드에 의해 통제되는 콘트랙트 계정(Contract Accounts)이 있다.Ethereum is a cryptocurrency with the same principle as Bitcoin and is used to pay transaction fees. There are two accounts: Externally Owned Accounts controlled by private key and Contract Accounts controlled by contract code.
외부 소유 계정은 코드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이 계정에서 메시지를 전송하려면 새로운 트랜잭션을 하나 만들고 서명(signing)을 하는데, 이는 비트코인과 동일하다. 콘트랙트 계정은 메시지를 받을 때마다 자신의 코드를 활성화시키고 이에 따라 메시지를 읽거나 내부 저장 공간에 기록하고 다른 메시지들 보내거나 콘트랙트를 차례로 생성한다. 이더리움에서 콘트랙트는 이더리움의 실행 환경안에 존재하는 자율 에이전트(actonomous agents)로 파악할 수 있고, 콘트랙트의 잔고와 블록체인에 기록되 변수 추적을 위해 자신의 키값 저장소를 직접적으로 통제하는 역할을 한다.The externally owned account does not have a code, and to send a message from this account, you create and sign a new transaction, which is the same as Bitcoin. Whenever a contract account receives a message, it activates its own code, reads the message, writes it to its internal storage, sends other messages, or creates a contract accordingly. In Ethereum, contracts can be identified as actonomous agents that exist in the execution environment of Ethereum, and they directly control their key value storage for tracking the balance of the contract and variables recorded in the blockchain.
다음으로 메시지와 트랜잭션에 관해 설명하면, 이더리움에서 쓰이는 트랜잭션(transaction)이란 용어는, 외부 소유 계정이 네트워크에 보낼 메시지를 만들어 서명한 데이터를 말한다. 트랜잭션은 아래와 같은 항목을 포함한다.Next, when explaining messages and transactions, the term transaction used in Ethereum refers to data that an externally owned account creates and signs a message to be sent to the network. The transaction includes the following items.
(1) 메시지 수신처(1) Message destination
(2) 발신처를 확인할 수 있는 서명(2) Signature confirming the sender
(3) 발신처에서 수신처로 보내는 이더의 양(3) Amount of Ether sent from sender to destination
(4) 데이터 필드(선택적)(4) Data field (optional)
(5) STARTGAS, 트랜잭션에 허용된 최대 계산 단계(5) STARTGAS, the maximum calculation step allowed for a transaction
(6) GASPRICE, 매단계에서 발신처가 지불하는 수수료(6) GASPRICE, a fee paid by the sender at every step
처음 세 항목은 암호 화폐에서는 거의 표준처럼 사용되는 값이다. 데이터필드에 초기함수가 정의되어 있지는 않지만, 가상머신(virtual machine)은 콘트랙트가 데이터필드에 접근할 때 사용할 코드(opcode)를 가지고 있다.The first three items are values that are used almost as standard in cryptocurrency. Although the initial function is not defined in the data field, the virtual machine has the code (opcode) that the contract will use to access the data field.
예를 들어, 블록체인 위에 도메인 등록 서비스 기능이 있는 콘트랙트가 있을 경우, 이 콘트랙트로 보내지는 데이터는 하나의 키-값쌍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키는 등록하고자 하는 도메인이고, 값은 IP주소다. 콘트랙트는 메시지 데이터로부터 이 값들을 읽은 후 저장소에 저장한다. STARTGAS와 GASPRICE 필드는 이더리움의 서비스 거부공격을 막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For example, if there is a contract with a domain registration service function on the blockchain, the data sent to this contract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one key-value pair. The key is the domain you want to register, and the value is the IP address. The contract reads these values from the message data and stores them in storage. The STARTGAS and GASPRICE fields play an important role in preventing Ethereum's denial of service attack.
코드 안에서 악의전인 무한루프나 과도한 연산을 막기 위해 개별 트랜잭션은 코드의 수를 제한한다. 계산의 단위는 gas이고 한 단계는 1 gas의 비용시 소요되며 저장되어야 하는데, 데이터의 양이 많으면 더 큰 gas비용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트랜잭션 데이터 실행을 위해서는 바이트당 5gas의 수수료를 내야 한다. 이러한 수수료 시스템의 의도는 어떤 공격자가 계산, 대역, 저장소 등을 포함하여 공격자들이 소비하는 모든 자원에 비례하여 강제로 수수료를 지불하게 만들어 공격자가 공격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In order to prevent malicious infinite loops or excessive operations within the code, individual transactions limit the number of codes. The unit of calculation is gas, and one step is required at the cost of 1 gas and must be stored. If the amount of data is large, a higher gas cost is required. In addition, a fee of 5 gas per byte is required to execute transaction data. The intention of this fee system is to prevent an attacker from attacking by forcing an attacker to pay a fee in proportion to all the resources consumed by the attacker, including calculations, bandwidth, and storage.
마지막으로 콘트랙트(이더리움 상태 변환 함수)에 대해 설명하면, 이더리움 내에서 트랜잭션이 블록에 포함되기 위해서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여기서 gas란 이더리움 트랜잭션이 블록에 포함되기 위해 지불하는 수수료 단위로서 1gas는 1/(10^18) 이더리움이다. 상기 이더리움 상태 변환 함수는 다음과 같은 작업을 수행한다.Finally, explaining the contract (the Ethereum state conversion function), the following conditions must be satisfied in order for a transaction to be included in a block within Ethereum. Here, gas is a unit of fees paid to include Ethereum transactions in a block, and 1 gas is 1/(10^18) Ethereum. The Ethereum state conversion function performs the following tasks.
(1) 트랜잭션의 구조를 체크하고, 서명이 유효한지, 전달된 넌스(nonce)와 발신처의 넌스(nonce)의 일치여부를 확인한다. 일치하지 않으면 오류를 반환한다.(1) Check the structure of the transaction, check whether the signature is valid, and whether the transmitted nonce matches the nonce of the sender. If not, an error is returned.
(2) STARTGAS * GASPRICE로 트랜잭션 수수료를 계산하고, 서명으로부터 발신처주소를 결정한다. 발신처 계정잔액에서 수수료를 제하고 발신자 넌스값을 증가시킨다. 잔고가 부족하면 오류를 리턴한다.(2) Calculate the transaction fee with STARTGAS * GASPRICE, and determine the sender address from the signature. Subtract the fee from the balance of the sender account and increase the sender nonce value. If the balance is insufficient, an error is returned.
(3) GAS = STARTGAS로 초기화 한 후, 포함된 바이트에 비례하여 gas를 차감한다.(3) After initializing with GAS = STARTGAS, deduct gas in proportion to the included bytes.
발신 계정에서 수신계정으로 트랜잭션을 보내고 수신계정의 상태를 변화시키고, 만약 수신계정이 콘트랙트이면 콘트랙트가 더 이상 나타나지 않거나 gas가 모두 소모될 때까지 트랜잭션이 수행된다. 발신처의 이더리움이 부족하면 자금 이전에 실패하거나, 코드 수행과정에 gas가 모두 소모되면, 모든 상태변경내역은 원상태로 돌아간다. 단, 이미 지불된 수수료는 제외된 후 채굴자의 계정으로 더해진다. 남아있는 gas에 대한 수수료는 발신처에게 돌려주고, 소모된 gas와 지불한 수수료는 채굴자에게 보낸다. 메시지 실행시 gas가 부족하면, 그 메시지에 관련된 모든 상태변화는 원래대로 되돌아가지만, 그 부모실행은 돌아갈 필요가 업다. 이것은 콘트랙트가 다른 콘트랙트를 호출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A계정이 G만큼의 gas를 가지고 B계정을 호출할 경우 A 계정의 실행은 최대 G만큼의 gas를 소비하게 된다.A transaction is sent from the sending account to the receiving account, and the status of the receiving account is changed. If the receiving account is a contract, the transaction is executed until the contract no longer appears or gas is exhausted. If the source's Ethereum is insufficient, the transfer of funds fails, or if gas is exhausted in the code execution process, all state change details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state. However, the fees already paid are excluded and added to the miner's account. The remaining gas fee is returned to the sender, and the spent gas and the paid fee are sent to the miner. If gas is insufficient when executing a message, all state changes related to the message are reverted, but the parent execution does not need to return. This means that there is no problem when a contract calls other contracts. If account A calls account B with as much gas as G, the execution of account A consumes gas as much as G.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설명한 이더리움을 활용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거래 시스템에 대해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following, a block chain-based token transa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Ethereum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큰 거래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token transa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큰 거래 시스템은 토큰 관리 서버(200)에 회원가입 또는 로그인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 특정 프로젝트의 토큰 발행을 요청하는 사용자단말기(10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요청된 프로젝트에 사용되는 토큰을 발행하기 위한 트랜잭션을 판매자단말기(300)에 요청하는 토큰 관리 서버(200) 및 상기 토큰 관리 서버(200)로부터 상기 트랜잭션을 수신하는 경우, 블록체인에 기반한 이더리움 상태 변환 함수를 통해 상기 트랜잭션의 구조를 체크하여 오류가 반환 처리되지 않고 사용자 식별 인증이 성공된 경우에만 토큰을 발행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제공하는 판매자단말기(300)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token transa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는, 프로젝트에 참가하려는 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스마트폰(smart phone), 데스크탑 PC(desktop PC),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면 무관하다.The
상기 사용자단말기(100)가 토큰의 발행을 요청하는 특정 프로젝트라 함은 분산 어플리케이션 프로젝트들이 코인을 발행하여 크라우드 펀딩을 받는 형식, 즉 ICO(Initial Coin Offering) 프로젝트를 의미한다.The specific project in which the
토큰 관리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요청된 프로젝트에 사용되는 토큰을 발행하기 위한 트랜잭션을 판매자단말기(300)에 요청하는데, 상기 트랜잭션에는 메시지 수신처 및 발신처를 확인할 수 있는 서명, 발신처에서 수신처로 보내는 투자 이더의 양, 데이터 필드(선택적), 트랜잭션에 허용된 최대 계산 단계인 STARTGAS 및 매단계에서 발신처가 지불하는 수수료인 GASPRICE가 포함될 수 있다.The
상기 판매자단말기(300)는 특정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스마트폰(smart phone), 데스크탑 PC(desktop PC),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면 무관하다.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큰 거래 시스템을 통한 토큰 거래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큰 거래 시스템을 통한 토큰 거래 방법은 토큰 발행 요청 과정(S100), 트랜잭션 요청 과정(S200) 및 토큰 발행 과정(S300)으로 이루어진다.2 is a flowchart of a token transaction through a token transa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token transaction method through the token transa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ken issuance request process (S100), a transaction request process (S200), and a token issuance process (S300).
토큰 발행 요청 과정(S100)은 사용자단말기(100)가 토큰 관리 서버(200)에 회원가입 또는 로그인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 특정 프로젝트에 대한 토큰의 발행을 요청하는 과정이다. 이를 위해 사용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실직적으로 정보와 요청을 입력할 수 있는 UI(User Interface)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The token issuance request process (S100) is a process in which the
이 때 사용자단말기(100)는 회원가입을 할 경우 로그인 정보, 이더리움 주소, 이메일주소, 사용자 이름 및 생년월일과 같은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입력하여 인증을 받고, 인증 받은 정보를 토큰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여 회원가입을 완료한 후 상기 토큰 관리 서버(200)에 특정 프로젝트의 토큰 발행을 요청한다.At this time, when registering as a member, the
트랜잭션 요청 과정(S200)은 토큰 관리 서버(200)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요청된 프로젝트에 사용되는 토큰을 발행하기 위한 트랜잭션을 상기 판매자단말기(300)에 요청하는 과정이다. 상기 트랜잭션에는 요청된 프로젝트를 식별할 수 있는 밸런스 크기만큼의 토큰 발행량 및 사용자의 이더리움 주소가 포함된다.The transaction request process (S200) is a process in which the
이 때 상기 토큰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단말기(100)가 회원가입을 할 경우, 회원가입이 완료된 사용자의 정보를 안전하게 저장한다. 즉,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은 로그인 정보, 사용자의 이더리움 주소, 이메일주소, 사용자 이름 및 생년월일을 저장한다.At this time, the
토큰 발행 과정(S300)은 판매자단말기(300)가 상기 토큰 관리 서버(200)로부터 상기 트랜잭션을 수신하는 경우, 블록체인에 기반한 이더리움 상태 변환 함수를 통해 상기 트랜잭션의 구조를 체크하여 오류가 반환 처리되지 않고 사용자 식별 인증이 성공된 경우에만 토큰을 발행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제공하는 과정이다.In the token issuance process (S300), when the
즉, 상기 사용자단말기(100)가 토큰 관리 서버(200)에 회원가입 하는 과정과 상기 판매자단말기(300)가 이더리움 상태 변환 함수를 통해 트랜잭션의 구조를 체크하는 과정을 통해 사용자단말기(100)의 신원을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또한 상기 토큰 관리 서버(200)는 상기 과정(S300)에서 상기 판매자단말기(300)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 요청한 토큰 발행량 만큼 토큰을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 발행할 경우 발생하는 수수료를 수집한다.In addition, the
상기 판매자단말기(300)가 진행하는 특정 프로젝트, 즉 ICO 프로젝트의 경우 하드캡(HARD CAP), 소프트캡(SOFT CAP)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는데, 상기 하드캡이라 함은 판매자단말기(300)가 ICO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투자 이더를 투자 받기로 한 최대금액을 정해 놓은 것을 의미하며, 소프트캡이라 함은 판매자단말기(300)가 ICO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투자 이더를 투자 받기로 한 최소금액을 정해 놓은 것을 의미한다.In the case of a specific project conducted by the
하지만 종래의 경우, ICO 프로젝트를 진행하여 투자자로부터 투자 이더를 투자 받아 소프트캡 또는 하드캡이 달성되어도 코인을 가상화폐 거래소에 상장하지 않고 투자 이더만 챙기는 ICO 프로젝트를 악용하는 경우가 있어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ase, even if the soft cap or hard cap is achieved by carrying out an ICO project and receiving investment Ether from an investo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are cases where the ICO project that collects only investment Ether without listing the coin on the cryptocurrency exchange was abused.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토큰 관리 서버(200)가 ICO 프로젝트를 전반적으로 관리하는데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큰 관리 서버의 특정 프로젝트 관리 실시예시도1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매자단말기(300)는 특정 프로젝트를 일정기간 동안 진행하여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투자 이더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토큰을 발행한다(S400). 이 때 특정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미리 정해 놓은 하드캡이 기간 내에 달성될 수 있는데(S500) 상기 토큰 관리 서버(200)는 이런 경우 상기 판매자단말기(300)가 진행하는 특정 프로젝트를 마감하고, 상기 판매자단말기(300)가 진행한 특정 프로젝트의 코인을 가상화폐 거래소에 상장시킨다(S600).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ecific project management example 1 of a token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큰 관리 서버의 특정 프로젝트 관리 실시예시도2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매자단말기(300)는 특정 프로젝트를 일정기간 동안 진행하여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투자 이더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토큰을 발행한다(S700). 이 때 특정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미리 정해 놓은 기간이 종료될 수 있는데(S800) 상기 토큰 관리 서버(200)는 이럴 경우 소프트캡 달성 여부를 확인하고, 소프트캡 미달성시에는 상기 판매자단말기(300)가 사용자단말기(100)에 토큰을 발행하면서 획득한 투자 이더를 사용자단말기(100)로 모두 상환하도록 제어한다(S900).4 is a schematic diagram 2 of a specific project management example of a token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상기 과정(S900)에서 상기 토큰 관리 서버(200)는 소프트캡(SOFT CAP)을 달성하지 못하였지만 프로젝트에 투자한 사용자단말기(100)의 수가 미리 설정한 수를 넘었을 경우 상기 판매자단말기(300)가 진행한 특정 프로젝트의 코인을 가상화폐 거래소에 상장시킨다.In the process (S900), the
또한 상기 과정(S400, S700)에서 상기 사용자단말기(100)가 상기 판매자단말기(300)가 진행하는 특정 프로젝트의 토큰을 발행 받은 후 프로젝트 기간이 끝나기 전에 토큰 발행에 투자한 투자 이더의 반환을 요청할 경우, 상기 판매자단말기(300)가 토큰에 대한 투자 이더의 일정량 만을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 상환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in the above process (S400, S700), when the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거래 시스템은 투자자의 신원을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고, ICO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자가 ICO 프로젝트를 악용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blockchain-based token transa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liably verify the identity of the investor and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person who proceeds the ICO project from misusing the ICO projec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핀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핀테크 시스템을 통한 순서도이다.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ntech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flow chart through the fintech system shown in FIG. 6.
본 발명의 다른 설명에 앞서 공인인증서 기반의 인증 절차와 블록체인 기반의 인증 절차를 간략하게 설명한다.Prior to another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uthentication procedure based on a public certificate and a blockchain based authentication procedure will be briefly described.
공개키 기반 구조하에서의 공인인증서를 이용한 인증 절차는, 먼저 사용자는 인증서의 발급 신청을 위해 등록기관(RA; registration authority)에 방문하여 인증서 발급 신청을 한다. 그 다음에 등록기관은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사용자에게 토큰을 발행한 후 스마트카드 또는 디스켓에 저장하여 사용자에게 교부하거나 종이 문서에 인쇄 또는 필사하여 사용자에게 교부한다.In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using a public key-based structure, the user first visits a registration authority (RA) to apply for issuance of a certificate and apply for a certificate issuance. Then, the registrar verifies the user's identity, issues a token to the user, stores it on a smart card or diskette and delivers it to the user, or prints or transcribed it on a paper document and handed it to the user.
이 오프라인(off-line)으로 사용자에게 전달된 토큰에는 사용자가 자신의 공개키/개인키 쌍을 생성하고 인증서 발급을 요청하기 위한 ID와 비밀번호나 암호화된 코드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는 인증서를 사용하고자 하는 집 또는 사무실에 위치하는 자신의 단말기에 인증서 관리 프로그램은 미리 다운로드받아 설치한 후 인증서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개키와 개인키를 생성한다. 사용자는 등록기관에서 교부받은 토큰과 자신의 공개키를 포함한 인증서 요구 메시지(PKCS#10)를 인증기관의 서버로 보내면서 인증서를 요구하면, 인증기관(CA; certificate authority)의 서버는 인증서 요구 메시지의 유효성을 확인한 다음, 인증서 요구에 대한 응답 메시지, 즉 인증서를 발급하여 이를 인증서 보관소(X500 디렉토리 또는 LDAP 서버)에게 저장하고, 인증서를 사용자에게도 전송한다.The token delivered to the user offline contains information such as ID, password, and encrypted code for the user to generate his or her own public/private key pair and request certificate issuance. A user downloads and installs a certificate management program in his/her terminal located in a home or office where he/she intends to use a certificate, and then generates a public key and a private key using the certificate management program. When a user requests a certificate while sending a certificate request message (PKCS#10) including the token issued by the registration authority and his/her public key to the server of the certificate authority, the server of the certificate authority (CA) sends a certificate request message. After checking the validity of the certificate, it issues a response message to the certificate request, that is, a certificate, stores it in the certificate store (X500 directory or LDAP server), and sends the certificate to the user as well.
사용자는 인증기관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은 인증서와 키를 하드디스크나 디스켓, IC 카드, 스마트 카드 등의 매체에 보관하여 자신의 전자서명과 메시지 암호화및 보안 통신에 이용하게 된다.The user stores the certificate and key downloaded from the server of the certification authority in a medium such as a hard disk, diskette, IC card, and smart card, and uses it for his/her electronic signature, message encryption, and secure communication.
따라서 신뢰받은 공인인증기관이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한 다음 공개키 인증서를 발급해 주고, 사용자는 안전하게 보관된 자신의 개인키와 공개키 인증서를 사용하여 전자서명(digital signature), 암호화를 수행함으로써 인증, 무결성, 기밀성, 부인 방지의 문제를 완전하게 해결하는 공개키 기반구조(public-keyinfrastructure)가 표준으로 제시되었다.Therefore, a trusted accredited certification authority verifies the user's identity and issues a public key certificate, and the user authenticates by performing digital signature and encryption using their private key and public key certificate stored securely. A public-key infrastructure that completely solves the problems of integrity, confidentiality, and non-repudiation has been proposed as a standard.
한편, 블록체인은, 중앙집중기관 없이 신뢰 기반의 당사자간의 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즉, 기존 전자 금융 거래는 중앙 집중형 구조로서 중앙 서버가 거래 공증 및 관리를 하여, 중앙집중 기관의 장부의 기록을 통해 관리한다.Meanwhile, blockchain is a technology that enables trust-based transactions between parties without a centralized institution. That is, the existing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 is a centralized structure, and the central server notarizes and manages the transaction, and manages it through the record of the ledger of the centralized institution.
이에 반해 비트코인과 같은 블록체인 기반의 전자 금융 거래는, 분산형 구조로서 거래내역이 모든 네트워크 참여자에게 공유되며, 모든 거래 참여자가 컨센서스를 통해 데이터의 공증 및 관리가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for blockchain-based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s such as Bitcoin, as a decentralized structure, transaction details are shared with all network participants, and all participants in the transaction can notarize and manage data through consensus.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의 핀테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 공인인증기관 서버, 인증키 관리 서버, 금융기관 계좌관리 서버 및 SNS 플랫폼 서버(50) 등이 서로 연결된다.As shown in Figure 5, the blockchain-based fintec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er terminal. The accredited certification authority server, the authentication key management server, the financial institution account management server, and th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의 블록체인 기반의 핀테크 시스템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operation of the blockchain-based fintech system in the manner shown in FIG. 6 is as follows.
먼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가 상기 공인인증기관 서버(20)로부터 발급되는 개인키와 공개키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인증키 및 공개키 생성 과정(S10)이 진행된다.First, an authentication key and public key generation process (S10) in which the
그 후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 상기 인증키 관리 서버(20), 및 금융기관 계좌 관리 서버(30)간에 서로 통신하여, 복호화된 공개키를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의 개인인증서인 블록체인 인증서를 이용한 금융기관 계좌를 개설하는 금융기관 계좌 개설 과정(S20)이 진행된다.After that, the
상기 금융기관 계좌 개설 과정(S20) 후에는 상기 인증키 관리 서버(30)가, 상기 공인인증기관 서버(20)에서 제공되는 공개키 기반의 공인인증서를 이용하여 금융기관 계좌의 거래 대금 이체가 이루어지는 공인인증서 인증 모드, 상기 금융기관 계좌 관리 서버(40)에서 제공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의 개인인증서인 블록체인 인증서를 이용하여 금융기관 계좌의 거래 대금 거래이체가 이루어지는 블록체인 인증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인증 모드를 결정하는 인증 모드 결정 과정(S30)이 진행된다.After the financial institution account opening process (S20), the authentication
상기 인증 모드 결정 과정(S30)이 진행된 후에는 상기 SNS 플랫폼 서버(50)가, 송금 또는 대출 거래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인증 모드 결정 과정(S30)에서 결정된 인증 모드의 인증을 거친 후, 대금 이체를 요청하는 인증 이체 요청 과정(S40)을 진행하게 된다.After the authentication mode determination process (S30) is in progress, the
상기 인증 모드 결정 과정(S30)은, 거래 대금 이체에 대한 공인인증서 수수료가 무료 여부 기준, 사용자 단말기 위치 기준 또는 상기 금융기관을 통해 거래되는 거래 대금 기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준에 따라서 인증 모드가 결정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 위치 기준에 따라 인증 모드가 결정되는 것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가 상기 공인인증기관 서버(20)가 위치한 국가와 동일 국가에 위치한 경우 상기 공인인증서 인증 모드로 결정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10)가 상기 공인인증기관 서버(20)가 위치한 국가와 동일 국가에 위치하지 않고 다른 국가에 위치한 경우 상기 블록체인 인증 모드로 결정되게 된다. In the authentication mode determination process (S30), an authentication mode is determined according to any one or more of a criterion for whether the accredited certificate fee for the transaction price transfer is free, a user terminal location criterion, or a transaction price criterion transacted through the financial institution. , The authentication mod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user terminal location criterion, when the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10)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가 서로 송금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CS( cryptocurrency Credits)를 이용하게 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10)에서 상기 금융기관 계좌 관리 서버(40)에서 대출을 신청하는 경우에는 상기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허용하는 분산 원장 기술을 기반으로하는 클라이언트 식별 시스템에 의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when the
또한, 상기 금융기관 계좌 관리 서버(40)는 블록체인에 의하여 관리가 이루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는 상기 공인인증기관 서버(20)로부터 발급되는 개인키와 공개키를 생성하여 저장하며, 상기 공개키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인증서인 블록체인 인증서 기반의 증권계좌 개설을 상기 인증키 관리 서버(30)로 요청하게 된다.In addition, the financial institution
그리고 상기 인증키 관리 서버(3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개인키와 공개키를 저장 관리하며, 블록체인 인증서 기반의 금융기관 계좌 개설 요청 또는 이체 요청이 있는 경우 공개키를 상기 금융기관 계좌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금융기관 계좌 개설을 요청하며, 상기 공인인증기관 서버(20)에서 제공되는 공개키 기반의 공인인증서를 이용하여 금융기관 계좌의 거래 대금 이체가 이루어지는 공인인증서 인증 모드, 상기 금융기관 계좌 관리 서버(40)에서 제공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의 개인인증서인 블록체인 인증서를 이용하여 금융기관 계좌의 거래 대금 거래 이체가 이루어지는 블록체인 인증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인증 모드를 결정하며, 결정된 인증 모드에 따른 인증을 수행하게 된다.And the authentication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 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from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 It will be appreciated that all or some of these) may be optionally combined and configure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 100: 사용자 단말기,
20: 공인인증기관 서버,
30: 인증키 관리 서버,
40: 금융기관 계좌관리 서버,
50: SNS 플랫폼 서버,
200: 토큰 관리 서버,
300: 판매자 단말기10, 100: user terminal, 20: accredited certification authority server,
30: authentication key management server, 40: financial institution account management server,
50: SNS platform server, 200: token management server,
300: seller terminal
Claims (16)
사용자 단말기, 인증키 관리 서버, 및 금융기관 계좌 관리 서버간에 서로 통신하여, 복호화된 공개키를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의 개인인증서인 블록체인 인증서를 이용한 금융기관 계좌를 개설하는 금융기관 계좌 개설 과정;
상기 인증키 관리 서버가, 상기 공인인증기관 서버에서 제공되는 공개키 기반의 공인인증서를 이용하여 금융기관 계좌의 거래 대금 이체가 이루어지는 공인인증서 인증 모드, 상기 금융기관 계좌 관리 서버에서 제공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의 개인인증서인 블록체인 인증서를 이용하여 금융기관 계좌의 거래 대금 거래이체가 이루어지는 블록체인 인증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인증 모드를 결정하는 인증 모드 결정 과정; 및 SNS 플랫폼 서버가, 송금 또는 대출 거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인증 모드 결정 과정에서 결정된 인증 모드의 인증을 거친 후, 대금 이체를 요청하는 인증 이체 요청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핀테크 시스템.An authentication key and public key generation process in which a user terminal generates and stores a private key and a public key issued from a server of an accredited certification authority;
Financial institution account opening process in which a user terminal, authentication key management server, and financial institution account management server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open a financial institution account using a blockchain certificate, which is a blockchain-based user's personal certificate using the decrypted public key ;
The authentication key management server is an accredited certificate authentication mode in which transaction payments of a financial institution account are transferred using a public key-based public certificate provided from the accredited certificate authority server, and a block chain-based provided by the financial institution account management server An authentication mode determination process of determining any one of the blockchain authentication modes in which the transaction price transaction transfer of the financial institution account is performed using the blockchain certificate, which is the user's personal certificate; And an authentication transfer request process of requesting a payment after the SNS platform server undergoes authentication of the authentication mode determined in the authentication mode determination process when a remittance or loan transaction occurs; a blockchain-based pin comprising: Tech system.
반의 개인인증서인 블록체인 인증서 기반의 증권계좌 개설을 인증키 관리 서버로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핀테크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ser terminal generates and stores a private key and a public key issued from the accredited certification authority server, and uses the public key to
Blockchain-based fintech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request to open a security account based on a block chain certificate, which is a personal certificate of class, to an authentication key management server.
토큰 관리 서버에 회원가입 또는 로그인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 특정 프로젝트의 토큰 발행을 요청하는 사용자단말기;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요청된 프로젝트에 사용되는 토큰을 발행하기 위한 트랜잭션을 판매자단말기에 요청하는 토큰 관리 서버; 및 상기 토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트랜잭션을 수신하는 경우, 블록체인에 기반한 이더리움 상태 변환 함수를 통해 상기 트랜잭션의 구조를 체크하여 오류가 반환 처리되지 않고 사용자 식별 인증이 성공된 경우에만 토큰을 발행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판매자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핀테크 거래 시스템.In a blockchain-based fintech transaction system,
A user terminal that requests a token issuance of a specific project after user authentication through membership registration or login to the token management server;
A token management server for requesting a transaction for issuing a token used for a project requested from the user terminal to a seller terminal; And when the transaction is received from the token management server, the structure of the transaction is checked through an Ethereum state conversion function based on a block chain, and an error is not returned and a token is issued only when user identification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Blockchain-based fintech transaction system comprising; a seller terminal provided to a user terminal.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token management server, when the user terminal requests the return of the investment Ether invested in the token issuance before the end of the project period after the user terminal is issued a token for a specific project conducted by the seller terminal, the seller Blockchain-based fintech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trolling the terminal to redeem only a certain amount of investment Ether for the token to the user terminal.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83980A KR20210008235A (en) | 2019-07-11 | 2019-07-11 | System for fin tech based on block chai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83980A KR20210008235A (en) | 2019-07-11 | 2019-07-11 | System for fin tech based on block chain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008235A true KR20210008235A (en) | 2021-01-21 |
Family
ID=7423769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083980A Withdrawn KR20210008235A (en) | 2019-07-11 | 2019-07-11 | System for fin tech based on block chain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10008235A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30107422A (en) * | 2022-01-07 | 2023-07-17 | 이광석 | Blockchain-based financial liquidity smart system |
| KR102836206B1 (en) | 2024-10-26 | 2025-07-22 | 주식회사 보난자팩토리 |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token management service based on block-chain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551552B1 (en) | 2003-04-30 | 2006-02-13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Mobile loan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100131785A (en) | 2009-06-08 | 2010-12-16 | 임명수 | Credit diagnosis and loan diagnosis method and system using wired /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device |
| KR20110041929A (en) | 2009-10-16 | 2011-04-22 | (주)현대스위스상호저축은행 | Simple financial loan and repayment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
| KR20110129735A (en) | 2010-05-26 | 2011-12-02 | 에이앤피파이낸셜 주식회사 | Internet loan method with fast loan |
-
2019
- 2019-07-11 KR KR1020190083980A patent/KR20210008235A/en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551552B1 (en) | 2003-04-30 | 2006-02-13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Mobile loan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100131785A (en) | 2009-06-08 | 2010-12-16 | 임명수 | Credit diagnosis and loan diagnosis method and system using wired /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device |
| KR20110041929A (en) | 2009-10-16 | 2011-04-22 | (주)현대스위스상호저축은행 | Simple financial loan and repayment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
| KR20110129735A (en) | 2010-05-26 | 2011-12-02 | 에이앤피파이낸셜 주식회사 | Internet loan method with fast loa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30107422A (en) * | 2022-01-07 | 2023-07-17 | 이광석 | Blockchain-based financial liquidity smart system |
| KR102836206B1 (en) | 2024-10-26 | 2025-07-22 | 주식회사 보난자팩토리 |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token management service based on block-chain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6642920B2 (en) | Network token system | |
| US6938019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ecure electronic payments | |
| US10637644B1 (en) |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zing transactions in an authorized member network | |
| US5883810A (en) | Electronic online commerce card with transactionproxy number for online transactions | |
| JP4880171B2 (en) | Authenticated payment | |
| JP3390016B2 (en) | Trust agent for open distribution of electronic money | |
| JP6297851B2 (en) |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ally exchanging value between distributed users | |
| US12373858B2 (en) | Decentralized computer systems and methods for loyalty points payments using distributed ledgers | |
| CN109716373A (en) | Cipher authentication and tokenized transaction | |
| JP5536775B2 (en) | Method and system for offline account repayment | |
| US20240257243A1 (en) | A system and method for trading cryptocurrencies, tokenized assets and/or fiat currencies on a single distributed ledger system with multiple issuing institutions | |
| JPH10171887A (en) | Online shopping system | |
| US20210133701A1 (en) | Proxied cross-ledger authentication | |
| US20170243202A1 (en) | Transferable value or rights token | |
| KR20200116042A (en) | A payment agent system that supports providing the service based on the second payment means based on non-virtual asset in connection with a service providing system that provides a service to the user based on the first payment means based on the virtual asset and a payment agency method using the same | |
| KR20210008235A (en) | System for fin tech based on block chain | |
| US20220078611A1 (en) | Secure offline mobile interactions | |
| KR20200080462A (en) | System for token transaction based on block chain | |
| KR101941625B1 (en) | System for SNS finetech using authentication based selecting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 KR101171798B1 (en) |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payment in electronic commerce, and recording medium used thereto | |
| Yang et al. | DOPS: A Practical Dual Offline Payment Scheme of CBDC for Mobile Devices | |
| EP4632651A1 (en) | Secure transaction scheme and digital wallet for consecutive offline digital payments | |
| Carbonell et al. | Security analysis of a new multi-party payment protocol with intermediary service. | |
| de Jong | Cash: The once and future king | |
| CN119477538A (en) | A method and system for property rights transaction based on blockchain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N-1-6-B10-B12-nap-PC1203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