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7545A - Apparatus for drying film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rying fil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7545A
KR20210007545A KR1020190084211A KR20190084211A KR20210007545A KR 20210007545 A KR20210007545 A KR 20210007545A KR 1020190084211 A KR1020190084211 A KR 1020190084211A KR 20190084211 A KR20190084211 A KR 20190084211A KR 20210007545 A KR20210007545 A KR 20210007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olvent
recovery unit
collecting pl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42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진오
최용준
박원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90084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7545A/en
Publication of KR20210007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54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001Drying and oxidising yarns, ribbons or the like
    • F26B13/002Drying coated, e.g. enamelled, varnished, wi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ying apparatus for a film that prevents condensation in the form of droplets on a plate for condensation even if the solvent is conden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drying apparatus for a film comprising: a heating uni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traveling film to heat the film; and a recovery unit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lm to recover the vaporized solvent. The recovery unit, as a plate-shaped member disposed to face the other surface of the film, comprises a porous collecting plate having a plurality of pores so that the vaporized solvent can be collected therein.

Description

필름의 건조 장치{APPARATUS FOR DRYING FILM}Film drying device {APPARATUS FOR DRYING FILM}

본 발명은 필름의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상 조성물이 도포된 필름을 건조하는 동안 발생하는 용매를 제거하기 위한 필름의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drying a fil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drying a film for removing a solvent generated while drying a film to which a liquid composition is applied.

액상 조성물이 도포된 필름은 건조 공정을 통해 도포막이 형성된다. 필름 건조 공정은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1)이 주행하는 동안 필름의 일면(1a) 측에 배치된 판상 히터(2)를 통해 필름(1)을 가열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The film on which the liquid composition is applied is formed through a drying process. In the film drying proces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a method of heating the film 1 through a plate heater 2 disposed on one side 1a side of the film while the film 1 is running Can be used.

필름(1)이 건조되는 동안 용매는 기화되는데, 이러한 용매는 응축시켜 제거할 필요가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1)의 타면(1b) 측에 응축용 판(3)을 배치하여 응축용 판(3)에 용매가 응축되도록 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용매는 응축되어 방울(4_a, 4_b, 4_c)로 맺힐 수 있다.While the film 1 is drying, the solvent is evaporated, and this solvent needs to be removed by condensation. As shown in Fig. 1, a condensation plate 3 is placed on the other side 1b of the film 1 Thus, a method of allowing the solvent to condense on the condensing plate 3 may be used. The solvent can be condensed and formed into droplets 4_a, 4_b, 4_c.

한편, 방울(4_a, 4_b, 4_c)로 맺힌 응축 용매를 회수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다음의 두가지 방식이 주로 이용되었다. Meanwhile, in order to recover the condensed solvent formed as droplets (4_a, 4_b, 4_c), the following two methods were mainly used.

첫번째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1)의 주행 경로, 판상 히터(2), 응축용 판(3) 모두 지면에 수직 또는 경사지지도록 함으로써, 방울(4_a, 4_b, 4_c)로 맺힌 응축 용매가 하부로 이동하도록 하여 회수 용기(5)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있다.First, as shown in FIG. 1, the traveling path of the film 1, the plate heater 2, and the condensation plate 3 are all vertically or inclined to the ground, thereby forming droplets 4_a, 4_b, 4_c. There is a method of allowing the condensed solvent to move downward so that it can be accommodated in the recovery container 5.

두번째로는, 응축용 판에 요철을 형성하여 응축 용매가 응축용 판의 면 상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고, 응축용 판의 일측에 회수용기를 배치하여 이동해오는 응축 용매를 회수용기를 통해 회수하는 방식이 있다.Second, the condensing solvent is formed on the condensing plate to move along the surface of the condensing plate, and a recovery container is placed on one side of the condensing plate to recover the moving condensed solvent through the recovery container. There is this.

한편, 건조 공정 중 발생하는 기류의 영향을 최소화하거나 용매의 응축 정도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필름과 응축용 판 사이의 거리는 짧은 것이 유리하다. 다만, 위와 같은 두가지 용매 회수 방식에 있어, 필름과 응축용 판 사이의 거리를 단축시키는 정도는 응축된 용매의 방울 크기에 따른 제약이 있을 수 있다. 방울 형태로 응축된 응축 용매가 응축용 판의 면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필름과 접촉하는 경우에는, 필름 표면에 결함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the airflow generated during the drying process or to control the degree of condensation of the solvent, it is advantageous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lm and the condensation plate is short. However, in the above two solvent recovery methods, the degree of shorte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lm and the condensation plate may be limited depending on the droplet size of the condensed solvent. This is because if the condensing solvent condensed in a droplet form contacts the film while moving along the surface of the condensing plate, it may cause defects on the film surface.

따라서, 응축용 판과 필름 사이의 거리를 좁히더라도 응축 용매가 필름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필름의 건조 장치 및/또는 방법이 요구된다.Therefore, eve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condensing plate and the film is narrowed, there is a need for a film drying apparatus and/or method capable of preventing the condensing solvent from contacting the film.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The above-described background technology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deriv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during the derivation process, and is not necessarily known to the public before fil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non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용매가 응축하더라도 응축용 판 상에 방울 형태로 맺히지 않도록 하는 필름의 건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is intended to provide an apparatus for drying a film that prevents condensation of a solvent in the form of drops on a condensation plate.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하기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주행하는 필름의 일면 측에 배치되어 필름을 가열하는 가열 유닛;및 상기 필름의 타면 측에 배치되어 기화하는 용매를 회수하는 회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회수 유닛은, 상기 필름의 타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판형 부재로서, 내부에 상기 기화된 용매가 포집될 수 있도록 다수의 포어를 갖는 다공성 포집판을 포함하는, 필름의 건조 장치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ting unit disposed on one side of a traveling film to heat the film; and a recovery unit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lm to recover a vaporized solvent, wherein the recovery unit includes , As a plate-shaped member disposed to face the other surface of the film, it provides a film drying apparatus comprising a porous collecting plate having a plurality of pores so that the vaporized solvent can be collected therein.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수 유닛은, 상기 다공성 포집판에 의해 포집되어 응축된 용매를 흡입하여 회수하기 위한 흡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recovery unit may include a suction unit for sucking and recovering the solvent collected and condensed by the porous collecting plat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수 유닛은, 일단부가 상기 다공성 포집판의 상기 필름 측 대향면과 반대되는 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모세유관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recovery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capillary tubes whose one end is located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film-side facing surface of the porous collecting plat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세유관의 직경은 상기 다공성 포집판의 포어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diameter of the capillary tube is smaller than the pore diameter of the porous collecting plat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수 유닛은, 상기 복수의 모세유관 타단부 측에 상기 모세유관을 따라 이동하는 응축 용매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recovery unit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a condensed solvent moving along the capillary tube at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capillary tubes.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수 유닛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용매를 흡인하여 회수하기 위한 흡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recovery unit may include a suction unit for suctioning and recovering the solvent contained in the receiving unit.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내부에는 수용되는 응축 용매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회수 유닛은, 상기 수위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위 정보를 기초로 상기 흡인부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water level sensor for sensing the level of the condensed solvent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art is provided, and the recovery unit determines whether the suction part is operated based on the water level information sensed by the water level sensor. 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to contro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건조 장치는 필름 건조 중에 기화되는 용매를 다공성 포집판을 통해 포집하여 그 내부에 용매가 응축될 수 있도록 하므로, 용매의 응축을 위한 판 상에 방울 형태로 용매가 맺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ilm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the solvent vaporized during film drying through a porous collecting plate so that the solvent can be condensed therein, so that the solvent is in the form of drops on the plate for condensation of the solvent Condensation can be prevented.

이에 따라, 방울 형태의 용매가 필름에 다시 떨어져 발생할 수 있는 필름의 표면 결함을 유발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of causing surface defects of the film that may occur when the droplet-shaped solvent falls back onto the film.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필름 건조 장치의 일 예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건조 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a) 내지 (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수 유닛의 작동 순서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film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lm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E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on sequence of a recover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who have i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Meanwhil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explain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actions and/or elements, and/or elements, steps, actions and/or elements mentioned. Or does not preclude addition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erms. Th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건조 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lm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건조 장치(100)는 액상 조성물이 도포된 필름(F)을 건조하되 건조하는 동안 기화되는 용매를 회수하기 장치로서, 가열 유닛(10) 및 회수 유닛(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필름 건조 장치(100)는 필름(F)을 주행시키는 동안 작동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film dry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recovering a solvent vaporized during drying while drying the film F to which the liquid composition is applied, and the heating unit 10 And it may include a recovery unit (20). The film drying apparatus 100 may operate while running the film F.

필름(F)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TAC(triacetylcellulose,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등의 수지 필름, 종이, 금속박 등 형태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The film F may be, for example, a resin film such as polyethylene,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TAC (triacetylcellulose), paper, or metal foil,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필름(F)에는 액상 조성물의 도포액이 도포될 수 있으며, 도포액의 용매는 예를 들어, 필름 제품에 주로 사용되는 속건성 및 지건성 유기 용매(MEK, Acetone, MIBK, EA, NMP, THF, DMSO, EG 등), 그리고 물 및 기타 유기 용매(극성 용매의 경우, Methanol 및 Ethanol 등 Alcohol 계열일 수 있음; 무극성 용매의 경우, Benzene 및 Hexane 계열 등일 수 있음)와 이 중 두 가지 이상으로 조합으로 혼합된 혼합 용매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film (F) may be coated with a coating liquid of a liquid composition, and the solvent of the coating liquid is, for example, a quick-drying and oil-drying organic solvent mainly used in film products (MEK, Acetone, MIBK, EA, NMP, THF, DMSO, EG, etc.), and water and other organic solvents (for polar solvents, it may be Alcohol-based such as Methanol and Ethanol; in the case of non-polar solvents, it may be Benzene and Hexane-based, etc.), and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them. A mixed mixed solvent or the like may be used.

가열 유닛(10)은 주행하는 필름(F)의 일면(F_a) 측에 배치되어 필름(F)을 가열할 수 있다. 가열 유닛(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 히터가 이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가열 유닛(10)은 예를 들어, 발열 가능한 가열 롤, 적외선 히터, 마이크로웨이브 히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가열 유닛(10)에 의해 필름(F)이 가열되면 필름(F) 상에 도포된 도포액의 용매는 기화될 수 있다.The heating unit 1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F_a of the traveling film F to heat the film F. As for the heating unit 10, as shown in FIG. 2, a plate heater may be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heating unit 10 may be, for example, a heating roll capable of generating heat, an infrared heater, a microwave heater, or the like. When the film F is heated by the heating unit 10, the solvent of the coating liquid applied on the film F may be vaporized.

회수 유닛(20)은 필름(F)의 타면(F_b) 측에 배치되어 기화하는 용매를 회수할 수 있다. 이러한 회수 유닛(20)은 다공성 포집판(21), 흡인부(22), 복수의 모세유관(23) 및 수용부(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overy unit 20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other surface F_b of the film F to recover the vaporized solvent. The recovery unit 20 may include a porous collecting plate 21, a suction part 22, a plurality of capillary tubes 23, and a receiving part 24.

다공성 포집판(21)은 필름(F)의 타면(F_b)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판형 부재로서, 내부에 기화된 용매가 포집될 수 있도록 다수의 포어(211)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다공성 포집판(21)은 기화된 용매가 포집되어 응축될 수 있도록 냉각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포어(211)는 직경 2 mm 이내로 형성될 있으며, 각 포어(211)들은 1 mm 이내의 간격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포어(211)가 구비된 다공성 포집판(21)은 충분한 양의 응축 용매를 머금을 수 있도록 5 mm 이상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The porous collecting plate 21 is a plate-shaped member disposed to face the other surface F_b of the film F, and may have a plurality of pores 211 so that the vaporized solvent may be collected therein. The porous collecting plate 21 needs to be cooled so that the vaporized solvent can be collected and condensed. In this embodiment, the pores 211 may be formed within 2 mm in diameter, and each of the pores 211 may be formed at intervals within 1 mm, and the porous collecting plate 21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ores 211 Silver can be formed to a thickness of 5 mm or more to contain a sufficient amount of condensing solvent.

다공성 포집판(21)의 소재로는, 효과적인 열전달 및 온도 제어를 위한 금속 소재 (알루미늄, SUS 등)가 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용매에 의한 부식 방지를 위해 기타 금속, 세라믹 및 고분자(예를 들어, Teflon 등)의 물질로 표면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기화된 용매를 효과적인 응축시키기 위해 각 공정 조건 및 용매의 종류 별 다공성 포집판(21)의 온도 조절이 필요하며, 예를 들어 -10~150 ℃ 수준에서의 온도 범위의 제어가 진행될 수 있다.As the material of the porous collecting plate 21, a metal material (aluminum, SUS, etc.) for effective heat transfer and temperature control may be mainly used, and other metals, ceramics, and polymers (for example, to prevent corrosion by a solvent) Teflon, etc.) can be used for surface treatment. In addition, in order to effectively condense the vaporized solvent,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porous collecting plate 21 according to each process condition and type of solvent, and, for example, the temperature range at a level of -10 to 150 °C can be controlled. .

흡인부(22)는 다공성 포집판(21)에 의해 포집되어 응축된 용매를 흡입하여 회수할 수 있다. 이러한 흡인부(22)는 다공성 포집판(21)의 일측에 흡입관(221)이 배치될 수 있다. 흡입펌프(미도시)에 의해 다공성 포집판(21) 측에 흡입력이 가해지면 흡입관(221)을 통해 응축된 용매가 흡입되어 외부로 회수될 수 있다.The suction unit 22 may be collected by the porous collecting plate 21 and collected by suctioning the condensed solvent. In the suction part 22, a suction pipe 221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orous collecting plate 21. When a suction force is applied to the porous collecting plate 21 by a suction pump (not shown), the condensed solvent may be sucked through the suction pipe 221 and recovered to the outside.

복수의 모세유관(23)은 일단부(23a)가 다공성 포집판(21)의 필름 측 대향면(21a)과 반대되는 면(21b)에 위치할 수 있다. 다공성 포집판(21)에 의해 포집되어 응축된 용매는 모세유관(23)을 통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일단부(23a)로부터 타단부(23b)로 이동하여 다공성 포집판(21)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모세유관(23)은 모세관 현상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도록 그 직경이 다공성 포집판(21)의 포어(211)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The plurality of capillary tubes 23 may have one end 23a located on a surface 21b opposite to the film-side facing surface 21a of the porous collecting plate 21. The solvent collected and condensed by the porous collecting plate 21 may be discharged from the porous collecting plate 21 by moving from one end 23a to the other end 23b by a capillary phenomenon through the capillary tube 23. . The diameter of the capillary tube 23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pores 211 of the porous collecting plate 21 so that the capillary phenomenon can be sufficiently exhibited.

수용부(24)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복수의 모세유관(23) 타단부(23b) 측에 모세유관(23)을 따라 이동하는 응축 용매를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수용부(24)는 복수의 모세유관(23)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receiving portion 24 has a space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the condensed solvent moving along the capillary tube 23 at the other end 23b of the plurality of capillary tubes 23. The receiving portion 24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a plurality of capillary tubes 23.

한편, 흡인부(22)는 수용부(24)에 수용된 응축 용매를 흡인하여 회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용부(24) 내부에는 수용되는 응축 용매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회수 유닛(20)은 수위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위 정보를 기초로 흡인부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실시예에 따라 흡인부(22) 및/또는 흡입펌프를 제어하는 회로기판, 집적회로칩, 하드웨어에 탑재된 일련의 컴퓨터 프로그램, 펌웨어, 소트웨어 등의 다양한 모습으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suction unit 22 may be configured to suck and recover the condensed solvent contained in the receiving unit 24. In this embodiment, a water level sensor (not shown) for detecting the level of the condensed solvent accommodated may be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part 24, and the recovery unit 20 is based on the water level information detected by the water level sensor.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not shown) that controls whether or not the suction unit is operated. The control uni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circuit board for controlling the suction unit 22 and/or the suction pump, an integrated circuit chip, a series of computer programs mounted on hardware, firmware, software, and the like according to embodiments.

복수의 모세유관(23), 수용부(24) 및 흡인부(22)는 하나의 흡인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흡인 유닛은 필름(F)의 주행 방향 및 다공성 포집판(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나열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apillary tubes 23, the accommodation part 24, and the suction part 22 may be configured as one suction unit. A plurality of suction units may be arranged along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film F and the length direction of the porous collecting plate 21.

한편, 필름 건조 장치가 사용되는 작업 공간에는 급기 및/또는 배기를 위해 공조부에 의한 기류 및/또는 필름 건조 장치가 수용되는 오븐 입구에서의 읍압 및/또는 양압 분위기에 의한 기류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기류는 주행하는 필름 표면에 접촉하여 필름의 표면 상태 및 건조 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work space where the film drying device is used, there may be an airflow by the air conditioner for supply air and/or exhaust and/or an airflow due to an up-pressure and/or positive-pressure atmosphere at the entrance of the oven in which the film drying device is accommodated. These airflows can contact the surface of the film on which it travels and affect the surface condition and drying speed of the fil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건조 장치(100)는 필름(F)에 대한 기류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기류 차단부(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lm dry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ir flow blocking unit 30 in order to minimize the effect of air flow on the film F.

기류 차단부(30)는 필름(F)의 일면(F_a), 타면(F_b) 및 폭 방향 기준 양 측부를 둘러싸는 복수의 판상의 결합 구조물 또는 박스 구조물일 수 있다. 가열 유닛(10) 및 회수 유닛(20)의 적어도 일부는 기류 차단부(3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기류 차단부(30)에는 필름이 투입되는 투입구(30a)와 필름이 배출되는 배출구(30b)가 제공될 수 있다.The airflow blocking part 30 may be a plurality of plate-shaped coupling structures or box structures surrounding one side F_a, the other side F_b of the film F, and both sides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heating unit 10 and the recovery unit 20 may be disposed within the airflow blocking unit 30. The airflow blocking unit 30 may be provided with an inlet 30a into which the film is injected and an outlet 30b through which the film is discharged.

가열 유닛(10)과 회수 유닛(20)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하나에 대해 이격되는 방향과 인접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필름(F)에 대한 가열 유닛(10) 및/또는 회수 유닛(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heating unit 10 and the recovery unit 20 is configured to reciprocate in a direction spaced apart from the other and in a direction adjacent to the heating unit 10 and/or the recovery unit for the film (F). (20) You can adjust the distance between.

예를 들어, 필름(F)에 대한 기류의 적절한 차단 효과를 위해 회수 유닛(20) 중 일부 구성인 다공성 포집판(21)이 상하로 이동하여, 필름(F)과 다공성 포집판(21)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orous collecting plate 21, which is a part of the recovery unit 20, is moved up and down for an appropriate blocking effect of airflow to the film F, and between the film F and the porous collecting plate 21 The distance of can be adjusted.

또 다른 예를 들어, 필름(F)에 대한 가열 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가열 유닛(10)이 상하로 이동하여, 필름(F)과 가열 유닛(10)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For another example, the heating unit 10 moves up and down to adjust the degree of heating for the film F,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lm F and the heating unit 10 may be adjus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건조 장치(1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of the film dry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의 (a) 내지 (e)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수 유닛의 작동 순서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3A to 3E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on sequence of a recover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액상 조성물의 도포액이 도포된 필름(F)을 가열 유닛(10)과 회수 유닛(20) 사이로 주행시킨다.First, the film F to which the application liquid of the liquid composition is applied is driven between the heating unit 10 and the recovery unit 20.

이 때, 가열 유닛(10)은 필름(F) 상에 도포된 도포액의 용매를 기화시키기에 충분한 정도로 필름(F)의 일면(F_a) 측에서 가열시킨다. 이에 따라,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화된 용매(V)가 다공성 포집판(21)에 포어(211)를 통해 포집된다.At this time, the heating unit 10 heats on one side F_a of the film F to a sufficient degree to vaporize the solvent of the coating liquid applied on the film F. Accordingly, as shown in FIG. 3B, the vaporized solvent V is collected through the pores 211 on the porous collecting plate 21.

다공성 포집판(21)은 기화된 용매가 응축될 수 있도록 충분히 냉각되며, 이에 따라 도 3c 및 도 3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 용매가 다공공 포집판(21)의 포어(211)를 채우게 된다.The porous collecting plate 21 is sufficiently cooled so that the vaporized solvent can be condensed, and thus, the condensing solvent fills the pores 211 of the porous collecting plate 21 as shown in FIGS. 3C and 3D. .

다공성 포집판(21)의 포어(211)에 채워진 응축 용매(C)는 복수의 모세유관(23)을 통한 모세관 현상에 의해 다공성 포집판(21)으로부터 배출되어, 도 3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24)에 수용된다.The condensed solvent C filled in the pores 211 of the porous collecting plate 21 is discharged from the porous collecting plate 21 by a capillary phenomenon through the plurality of capillary tubes 23, as shown in FIG. 3D, It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part 24.

수용부(24) 내에서 수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용매의 수위가 기설정한 수위 범위에 도달하면, 제어부는 흡인부(22) 및/또는 흡입펌프를 가동하여 수용부(24) 내에 수용된 용매를 흡입관(221)을 통해 외부로 회수한다. When the water level of the solvent detected by the water level sensor in the receiving part 24 reaches a preset water level range,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suction part 22 and/or the suction pump to remove the solvent contained in the receiving part 24. It is recover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uction pipe 22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건조 장치(100)는 필름 건조 중에 기화되는 용매를 다공성 포집판(21)을 통해 포집하여 그 내부에 용매가 응축될 수 있도록 하므로, 용매의 응축을 위한 판 상에 방울 형태로 용매가 맺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울 형태의 용매가 필름에 다시 떨어져 발생할 수 있는 필름의 표면 결함을 유발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The film dry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the solvent vaporized during film drying through the porous collecting plate 21 so that the solvent can be condensed therei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solvent condensation in the form of droplet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of causing surface defects of the film that may occur when the droplet-shaped solvent falls back onto the film.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will includ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s long as they fall within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필름의 건조 장치
10 : 가열 유닛
20 : 회수 유닛
21 : 다공성 포집판
211 : 포어
22 : 흡인부
221 : 흡입관
23 : 모세유관
24 : 수용부
30 : 기류 차단부
100: film drying device
10: heating unit
20: recovery unit
21: porous collecting plate
211: Pore
22: suction part
221: suction pipe
23: capillary tube
24: receiving part
30: air flow blocking part

Claims (7)

주행하는 필름의 일면 측에 배치되어 필름을 가열하는 가열 유닛;및
상기 필름의 타면 측에 배치되어 기화하는 용매를 회수하는 회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회수 유닛은,
상기 필름의 타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판형 부재로서, 내부에 상기 기화된 용매가 포집될 수 있도록 다수의 포어를 갖는 다공성 포집판을 포함하는, 필름의 건조 장치.
A heating uni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traveling film to heat the film; And
Includes; a recovery unit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lm to recover the vaporized solvent,
The recovery unit,
A plate-shaped member disposed to face the other surface of the film, comprising a porous collecting plate having a plurality of pores so that the vaporized solvent may be collected there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유닛은,
상기 다공성 포집판에 의해 포집되어 응축된 용매를 흡입하여 회수하기 위한 흡인부를 포함하는, 필름의 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ecovery unit,
A film drying apparatus comprising a suction unit for suctioning and recovering the solvent collected and condensed by the porous collecting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유닛은,
일단부가 상기 다공성 포집판의 상기 필름 측 대향면과 반대되는 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모세유관을 포함하는, 필름의 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ecovery unit,
An apparatus for drying a film, including a plurality of capillary tubes, one end of which is located on a surface of the porous collecting plate opposite to the surface opposite to the film sid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세유관의 직경은 상기 다공성 포집판의 포어 직경보다 작은, 필름의 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diameter of the capillary tube is smaller than the pore diameter of the porous collecting plate, the film drying apparatu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유닛은,
상기 복수의 모세유관 타단부 측에 상기 모세유관을 따라 이동하는 응축 용매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포함하는, 필름의 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recovery unit,
A film drying apparatus comprising a receiving part for receiving a condensed solvent moving along the capillary tube at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capillary tub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유닛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응축 용매를 흡인하여 회수하기 위한 흡인부를 포함하는, 필름의 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recovery unit,
A film drying apparatus comprising a suction part for suctioning and recovering the condensed solvent contained in the receiving par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내부에는 수용되는 응축 용매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회수 유닛은, 상기 수위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위 정보를 기초로 상기 흡인부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필름의 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 water level sensor for sensing the level of the condensed solvent accommodated is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part,
The recovery un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whether or not the suction unit is operated based on water level information sensed by the water level sensor.
KR1020190084211A 2019-07-12 2019-07-12 Apparatus for drying film KR2021000754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211A KR20210007545A (en) 2019-07-12 2019-07-12 Apparatus for drying fil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211A KR20210007545A (en) 2019-07-12 2019-07-12 Apparatus for drying fil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545A true KR20210007545A (en) 2021-01-20

Family

ID=74304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211A KR20210007545A (en) 2019-07-12 2019-07-12 Apparatus for drying fil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754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1905A (en) Coated substrate drying system
EP1191295B1 (en) Method for drying a substrate
RU2567963C2 (en) Method and device for reflow soldering
KR19990045736A (en) Component Separation System with Condensation Mechanism
CN105405798B (en) A kind of etching apparatus
KR20210007545A (en) Apparatus for drying film
EP1620688B1 (en) Vapor collec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2146530B1 (en) Dryer
US10000076B2 (en) Drying device and inkjet printer system including drying device
JP2019166828A (en) Printer and dryer for drying images on coated substrates in aqueous ink printers
CN103814266B (en) Drying is applied to the method and apparatus of the fluid film of substrate
KR20150021579A (en) Method and device for drying a fluid film applied to a substrate
US11040553B2 (en) Method and device for drying a printed recording medium
TW201134964A (en) Apparatus of vacuum evaporating
SE433572B (en) DEVICE FOR Wetting, soaking or refining a web of paper, cardboard, foil, etc.
JP6346579B2 (en) Solution casting method
JP2010125828A (en) Recording apparatus
JP2005134892A (en) Thermal developing method and thermal developing apparatus
JP5870106B2 (en) Recording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EP1337799B1 (en) Vapor collection method and apparatus
JP2014180800A (en) Recording apparatus
CN209756491U (en) Drying system
TW200904546A (en) Web coating applicator with cooling and material recovery
TWM496016U (en) Front stage pressure deduction distiller
RU2792348C2 (en) Air-conditioning system for woodworking and method of its impleme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