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5988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5988A
KR20210005988A KR1020210002231A KR20210002231A KR20210005988A KR 20210005988 A KR20210005988 A KR 20210005988A KR 1020210002231 A KR1020210002231 A KR 1020210002231A KR 20210002231 A KR20210002231 A KR 20210002231A KR 20210005988 A KR20210005988 A KR 20210005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binet
auxiliary
washing machine
auxiliary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2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8716B1 (ko
Inventor
김동영
아담 위슨니
류두영
이인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02685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02721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2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716B1/ko
Publication of KR20210005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5988A/ko
Priority to KR1020220023939A priority patent/KR1025050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716B1/ko
Priority to KR1020230024650A priority patent/KR102627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8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고 전방에 투입구가 형성되는 캐비닛과,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고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와, 회전 가능하도록 터브 내부에 마련되는 드럼과,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캐비닛에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도어에는 도어와 별개로 세탁 과정 중 자유롭게 개폐 가능한 보조 도어가 마련되어, 세탁 행정 중에도 추가로 세탁물을 추가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기{WAC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세탁 행정 중에 메인 도어를 열지 않고 세탁물 투입이 가능하도록 보조 도어를 갖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전력을 이용하여 의류를 세탁하는 가전 기기로서, 세탁기의 종류에는 회전조가 회전하면서 세탁물을 상향으로 올렸다가 낙하시킴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하는 드럼 세탁기와, 회전조가 회전할 때 펄세이터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전동식 세탁기가 있다.
드럼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캐비닛 내부에 설치되며 세탁수가 담겨지는 원통 형상의 터브와,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을 세탁하는 드럼과, 터브의 후방에 배치되어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와, 캐비닛의 전면에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한다. 캐비닛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드럼으로 연통되는 투입구가 마련되며, 도어는 투입구를 개폐한다.
드럼 세탁기의 투입구와 도어는 캐비닛의 전면에 마련되므로 터브에 세탁수가 급수되고 세탁 행정이 시작되면 도어를 개방할 수 없다. 따라서, 터브에 세탁수가 급수되고 세탁 행정이 진행 중에는 세탁물을 추가로 투입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세탁 행정 중에도 세탁물의 투입이 가능한 세탁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종래의 드럼 내부에 마련되는 세탁 공간 이외에 추가적인 세탁 공간이 마련된 세탁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보조 도어를 락킹할 수 있는 보조 도어 락킹 구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보조 도어의 개폐 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키고 보조 도어의 개폐가 완료되면 보조 도어를 고정시키는 보조 도어 힌지 구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고, 전방에 투입구가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고,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터브 내부에 마련되는 드럼 및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에는 상기 도어와 별개로 세탁 과정 중 자유롭게 개폐 가능한 보조 도어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도어는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도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도어는 상방을 향하여 개폐 가능하다.
상기 도어의 내부에는 상기 보조 도어에 의해 개폐 가능한 보조 투입구 및 상기 드럼을 연결하는 연결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도어의 내측방향을 따라 하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보조 도어가 마련되는 전방 하우징 및 내부에 상기 연결부가 마련되도록 상기 전방 하우징과 결합하고, 후방에 상기 드럼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후방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 하우징은 상기 도어의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후방 하우징의 돌출 정도는 상방을 향할수록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 도어 및 상기 보조 투입구 중 적어도 하나에는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다이아프램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도어는 세탁 과정 중 락킹(locking)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보조 도어의 락킹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드럼은 회전을 멈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고, 전방에 투입구가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고,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터브 내부에 마련되고, 세탁물이 세탁되는 메인 세탁 공간이 형성되는 드럼 및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내부에는 상기 메인 세탁 공간과 별개로 세탁이 수행되는 보조 세탁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의 전방에는 상기 보조 세탁 공간을 개폐하는 보조 도어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보조 도어가 마련되는 전방 하우징 및 내부에 상기 보조 세탁 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전방 하우징과 결합하고, 후방에 상기 드럼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후방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도어는 상방을 향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전방 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보조 세탁 공간은 상기 도어의 내측방향을 따라 하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는 상기 개구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 세탁 공간과 구분되는 상기 보조 세탁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에는 상기 보조 세탁 공간에 저수되는 세탁수의 유동을 형성하도록 펄세이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 및 상기 커버 중 적어도 하나에는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다이아프램이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세탁기는 투입구를 갖는 캐비닛;과,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힌지 부재에 의해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 도어;와, 상기 메인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하도록 상기 메인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도어;와, 상기 캐비닛에 마련되는 전원;과, 상기 보조 도어를 잠그도록 상기 메인 도어에 마련되고 상기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락킹 장치; 및 상기 힌지 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전원과 상기 락킹 장치를 연결하는 전선; 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 도어는 잠금홀이 형성된 래치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 장치는 상기 잠금홀에 삽입되어 상기 보조 도어를 잠그는 잠금바와, 상기 잠금바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는, 도어 커버;와, 도어 홀더; 및 상기 도어 커버와 상기 도어 홀더의 사이에 결합되는 글라스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도어는 상기 도어 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락킹 장치는 상기 도어 홀더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커버에는 상기 래치가 통과하여 상기 락킹 장치에 접근하도록 래치 통과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 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 부재는,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는 캐비닛 결합부;와, 상기 캐비닛 결합부에서 돌출되는 힌지암; 및 싱기 메인 도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힌지암에서 돌출되는 힌지축;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선 통로는 상기 캐비닛 결합부의 내부를 관통하는 제 1 전선 통로;와, 상기 힌지암에 일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제 2 전선 통로; 및 상기 힌지축의 내부를 관통하는 제 3 전선 통로;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선 통로의 개방된 일면에는 전선 커버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세탁기는 상기 전원에 연결되는 제 1 전선과, 상기 락킹 장치에 연결되는 제 2 전선을 연결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부재는 상기 커넥터를 수용하도록 상기 캐비닛 결합부의 배면에 형성되는 커넥터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부재는 상기 커넥터를 고정하도록 상기 커넥터 수용홈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는 고정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부재는 상기 커넥터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커넥터 수용홈의 상측에 형성되는 수분 침투 방지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세탁기는 투입구를 갖는 캐비닛;과,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 도어;와, 상기 메인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하도록 상기 메인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도어;와, 상기 캐비닛에 마련되는 전원;과, 상기 보조 도어를 잠그도록 상기 메인 도어에 마련되고 상기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락킹 장치; 및 상기 캐비닛과 상기 메인 도어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플러그와, 나머지 하나에 장착되는 소켓을 갖고, 상기 플러그와 상기 소켓은 상기 메인 도어의 개폐에 따라 연결되는 장착 커넥터; 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플러그와 상기 소켓이 분리되고, 상기 메인 도어가 폐쇄되면 상기 플러그와 상기 소켓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장착 커넥터는 상기 플러그와 상기 소켓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와 상기 소켓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기는 상기 플러그와 상기 소켓의 연결 여부에 따라 상기 메인 도어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와 상기 소켓은 각각 상기 플러그와 상기 소켓의 연결 시에 상호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접속 단자 중에 적어도 하나는 상기 메인 도어의 개폐 여부를 전달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세탁기는 투입구가 형성된 캐비닛 전면판을 갖는 캐비닛;과,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 도어;와, 상기 메인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하도록 상기 메인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도어; 및 상기 보조 도어를 잠그도록 상기 캐비닛 전면판에 마련되는 락킹 장치; 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 도어는 잠금홀이 형성된 래치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 장치는 상기 잠금홀에 삽입되어 상기 보조 도어를 잠그는 잠금바와, 상기 잠금바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는, 도어 커버;와, 도어 홀더; 및 상기 도어 커버와 상기 도어 홀더의 사이에 결합되는 글라스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도어는 상기 도어 커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커버와 상기 도어 홀더에는 각각 상기 래치가 통과하여 상기 락킹 장치에 접근하도록 래치 통과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락킹 장치는 상기 캐비닛 전면판의 배면에 장착되고, 상기 캐비닛 전면판에는 상기 래치가 통과하여 상기 락킹 장치에 접근하도록 래치 통과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도어는 푸시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도어는 보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푸시 로드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고 구속홀이 형성된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 장치는 상기 구속홀에 삽입되어 상기 레버를 구속함으로써 상기 보조 도어를 잠그는 잠금바와, 상기 잠금바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는, 회전축부;와, 상기 회전축부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푸시 로드에 의해 가압되는 입력부;와, 상기 회전축부에서 다른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구속홀이 형성된 구속부; 및 상기 회전축부에서 또 다른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레버가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푸시 로드를 구속함으로써 상기 보조 도어를 잠그는 락킹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시 로드는 상기 입력부를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락킹부에 의해 간섭되는 간섭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캐비닛에 형성된 투입구를 개폐하는 세탁기의 도어는 보조 투입구를 갖는 도어 커버;와, 상기 도어 커버의 후방에 결합되고 상기 보조 투입구에 대응되는 후방 개구를 갖는 도어 홀더;와, 상기 도어 커버와 상기 도어 홀더의 사이에 결합되는 글라스 부재;와, 상기 글라스 부재의 상측에 마련되고 상기 보조 투입구와 상기 후방 개구를 연결하는 통로를 갖는 슈트;와, 상기 보조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도어 커버에 결합되는 보조 도어; 및 상기 보조 도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유닛; 을 포함한다.
상기 힌지 유닛은 상기 보조 도어의 개방 및 폐쇄 시에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 유닛은, 상기 보조 도어와 함께 회전하고 중공부를 갖는 회전축;과,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고 상기 메인 도어에 결합되는 고정축;과, 상기 회전축과 상기 고정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에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완충 스프링;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유닛은 상기 보조 도어가 소정 각도로 개폐되면 상기 보조 도어를 고정시키는 고정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보조 도어와 함께 회전하고 중공부를 가지며 원주면에 걸림홀이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고 상기 메인 도어에 결합되는 고정축;과, 상기 보조 도어가 소정 각도로 회전하면 상기 걸림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보조 도어를 고정시키는 걸림 부재; 및 상기 걸림 부재에 상기 걸림홀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걸림 스프링;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사용자는 세탁 행정 중 임의의 시점에 보조 도어를 개폐하여 자유롭게 세탁물 내지 세제 등을 투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세탁기에는 메인 세탁 공간과 구분되는 보조 세탁 공간이 마련됨으로써, 세탁물의 종류에 따른 분리 세탁이 가능하고 그에 따라 세탁물의 손상 정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의도치 않는 상황에서 보조 도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조 도어를 락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보조 도어의 개폐 시에 발생하는 충격이 완충되고 보조 도어의 개폐가 완료되면 보조 도어가 고정되므로 사용 편의성 및 감성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세탁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 및 도어의 후방에 장착되는 커버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 세탁 공간에 세탁물을 투입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 행정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메인 도어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 도어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3의 점선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래치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락킹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 도어의 잠금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11의 점선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전원과 락킹 장치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전선이 힌지 부재를 통과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힌지 부재의 배면에 커넥터가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캐비닛과 메인 도어에 장착 커넥터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장착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장착 커넥터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캐비닛 전면판의 전방을 도시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캐비닛 전면판의 배면에 락킹 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 도어의 잠금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8 내지 도 3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 도어의 잠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2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 도어의 힌지 유닛의 완충 유닛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33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 도어의 힌지 유닛의 고정 유닛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세탁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그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 세탁 행정 또는 헹굼 행정에 사용될 세탁수 또는 헹굼수를 수용하는 터브(20),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30) 및 드럼(30)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7)를 포함한다.
캐비닛(10)에는 사용자로부터 세탁기(1)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81a,81b) 및 세탁기(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83)를 포함하는 컨트롤 패널(80)이 마련된다.
입력부(81a,81b)는 세탁시간, 헹굼 횟수, 탈수시간, 건조시간, 동작 및 일시정지 등 세탁기(1)의 동작과 관련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으며, 가압식 버튼(81a) 또는 회전식 버튼(81b)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83)는 세탁수의 양, 세탁기(1)가 수행 중인 행정, 세탁 종료까지 남은 시간 등 세탁기(1)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며,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 LED)패널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1)는 입력부(81a,81b)와 표시부(83)를 별도로 마련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를 채용하여 입력부와 표시부를 일체로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캐비닛(10)은 프레임(10a,10b,10c,10d)들을 포함하며, 프레임(10a,10b,10c,10d)은 각각 캐비닛의 상면을 이루는 상면 프레임(10a), 캐비닛(10)의 전, 후면을 이루는 전면 프레임(10b) 및 후면 프레임(10c), 전면 프레임(10b)과 후면 프레임(10c)을 연결하며 캐비닛(10)의 측면과 하면을 이루는 측면 프레임(미도시) 및 하면 프레임(10d)으로 구성된다.
캐비닛(10)의 전면 프레임(10b)에는 드럼(3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2a)가 형성된다. 투입구(2a)는 캐비닛(10)의 전면 프레임(10b)에 설치된 도어(70)에 의해 개폐된다.
다이아프램(90)은 캐비닛(10) 및 터브(20)를 연결할 수 있다.다이아프램(90)은 전면 프레임(10a)의 투입구(2a)와 터브(20)의 개구(21) 사이에 배치되어 전면 프레임(10a)의 투입구(2a)로부터 드럼(30)의 개구(21)에 이르는 통로를 형성하고, 드럼(30)의 회전 시에 전면 프레임(10a) 쪽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한다. 또한 다이아프램(90)의 일부분은 도어(70)와 전면 프레임(10a) 사이에 배치되어 터브(20)의 세탁수가 캐비닛(10)의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이아프램(90)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로 성형된 사출물로 구성될 수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상온에서는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가지므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된 다이아프램은 터브(20)에서 캐비닛(10)의 전면 프레임(10a)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다.
터브(20)와 캐비닛(10)의 사이에는 터브(20)를 상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17)이 마련될 수 있다. 스프링(17)은 탄성력으로 인해 터브(20)가 유동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터브(20)의 상부에는 터브(20)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13)이 설치된다. 급수관(13)의 일측에는 급수 밸브(14)가 설치된다.
세제 공급 장치(40)는 연결관(16)을 통해 터브(20)와 연결된다. 급수관(13)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 공급 장치(40)를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터브(20)의 내부로 공급된다.
터브(20)는 댐퍼(41)에 의해 지지된다. 댐퍼(41)는 캐비닛(10)의 내측 바닥면과 터브(20)의 외면을 연결한다. 또한, 댐퍼(41)는 캐비닛(10)의 내측 바닥면 외에도 상측, 좌우측에 위치하여 터브(20)를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댐퍼(41) 또는 스프링(17)은 터브(20)의 상하에서 터브(20)의 상하 유동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터브(20)는 적어도 하나의 댐퍼(4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드럼(30)의 후면에는 구동 모터(7)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축(11)이 연결된다. 드럼(30)의 둘레에는 세탁수의 유통을 위한 다수의 통공(27)이 형성된다. 드럼(30)의 내주면에는 드럼(30)이 회전할 때 세탁물의 상승 및 낙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리프터(26)가 설치된다.
드럼(30)과 구동 모터(7) 사이에는 구동축(11)이 배치된다. 구동축(11)의 일단은 드럼(30)의 후면판에 연결되고, 구동축(11)의 타단은 터브(20)의 후벽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구동 모터(7)가 구동축(11)을 구동하면, 구동축(11)에 연결된 드럼(30)이 구동축(1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터브(20)의 후벽에는 구동축(1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베어링 하우징(8)이 설치된다. 베어링 하우징(8)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터브(20)를 사출 성형할 때 터브(20)의 후벽에 인서트 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8)과 구동축(11) 사이에는 구동축(11)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9)들이 설치된다.
터브(20)의 하부에는 터브(20) 내부의 물을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 펌프(4)와, 터브(20) 내부의 물이 배수 펌프(4)로 유입될 수 있도록 터브(20)와 배수 펌프(4)를 연결하는 연결호스(3)와, 배수 펌프(4)에 의해 펌핑된 물을 캐비닛(10)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호스(미도시)가 마련된다.
세탁기(1)는 도어(70)와 별개로 세탁 과정 중 자유롭게 개폐 가능한 보조 도어(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도어(52)는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도어(70)에 마련될 수 있다.
보조 도어(52)는 상면 프레임(10a)과 인접하도록 도어(70)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탁 행정 중 보조 도어(52)를 개폐할 경우, 메인 세탁 공간(50) 내지 보조 세탁 공간(51)에 존재하는 세탁수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조 도어(52)는 세탁수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보조 도어(52)는 회동 가능하도록 도어(70)에 설치될 수 있다.
보조 도어(52)의 일 측은 도어(7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보조 도어(52)의 좌측 또는 우측이 도어(70)에 힌지 결합되는 경우, 보조 도어(52)는 좌우로 개폐 가능하다. 보조 도어(52)의 상측 또는 하측이 도어(70)에 힌지 결합되는 경우, 보조 도어(52)는 상하로 개폐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보조 도어(52)가 상방을 향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보조 도어(52)의 상측이 도어(7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보조 도어(52)의 다른 일 측에는 락킹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도어(52)의 락킹부는 도어(70)에 형성되는 고정홀(미도시)에 분리 가능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즉, 보조 도어(52)의 락킹부가 도어(70)의 고정홀에 삽입되는 경우, 보조 도어(52)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보조 도어(52)의 락킹부가 도어(70)의 고정홀에서 분리되는 경우, 보조 도어(52)는 열린 상태를 유지한다.
도어(70)에 힌지 결합된 보조 도어(52)의 일 측은 락킹부가 형성된 보조 도어(52)의 다른 일 측과 마주할 수 있다. 즉, 보조 도어(52)의 좌측이 도어(70)에 힌지 결합되는 경우, 락킹부는 보조 도어(52)의 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도어(52)의 우측이 도어(70)에 힌지 결합되는 경우, 락킹부는 보조 도어(52)의 좌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도어(52)의 상측이 도어(70)에 힌지 결합되는 경우, 락킹부는 보조 도어(52)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도어(52)의 하측이 도어(70)에 힌지 결합되는 경우, 락킹부는 보조 도어(52)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도어(52)는 세탁 과정 중 락킹(locking) 상태를 유지하고, 보조 도어(52)의 락킹상태가 해제되면 드럼(30)은 회전을 멈춘다.
보조 도어(52)의 락킹상태 여부, 즉, 보조 도어(52)의 개폐여부는 센서(미도시)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보조 도어(52)의 개폐여부는 광센서(미도시)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광센서는 보조 도어(52)의 움직임에 따라 광을 조사하는 방향이 달라지는 발광부(미도시) 및 발광부에서 조사된 광을 수광하여 그 수광한 광량에 대응되는 크기의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수광부에서 출력한 신호를 분석하여 보조 도어(52)의 개폐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드럼(30)의 동작을 제어한다.
보조 도어(52)의 개폐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도어(70)의 내부에는 보조 투입구(54) 및 연결부(53)가 마련될 수 있다.
보조 투입구(54)는 보조 도어(52)에 의해 개폐 가능하다. 연결부(53)는 보조 투입구(54) 및 드럼(30)을 연결할 수 있다.
도어(70)는 전방 하우징(71) 및 후방 하우징(72)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 하우징(71)에는 보조 도어(52)가 마련될 수 있다.
후방 하우징(72)은 내부에 연결부(53)가 마련되도록 전방 하우징(71)과 결합하고, 후방에 드럼(30)과 연통되는 개구부(55)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55)는 후방을 향하는 연결부(53)의 일 단부에 형성될 수 있고, 보조 투입구(54)는 전방을 향하는 연결부(53)의 다른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53)는 도어(70)의 내측방향을 따라 하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즉, 연결부(53)는 개구부(55)를 향할수록 하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보조 투입구(54)는 개구부(55)보다 상방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보조 투입구(54)로 투입된 세탁물 내지 세제가 연결부(53)를 따라 중력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드럼(30)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후방 하우징(72)은 도어(70)의 후방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후방 하우징(72)의 도어(70)의 후방을 향한 돌출 정도는 상방을 향할수록 작아질 수 있다. 이는, 보조 투입구(54)로 투입된 세탁물이 캐비닛(10) 및 터브(20)를 연결하는 다이아프램(90)에 걸려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보조 도어(52) 및 보조 투입구(54) 중 적어도 하나에는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다이아프램(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다이아프램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로 성형된 사출물로 구성될 수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상온에서는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가지므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된 다이아프램은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어(70) 및 보조 도어(52)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가 세탁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도어(70) 및 보조 도어(52)의 재질은 강화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 및 도어의 후방에 장착되는 커버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 세탁 공간에 세탁물을 투입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의 연결부(53)는 보조 세탁 공간(51)에 포함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메인 세탁 공간(50) 및 보조 세탁 공간(51)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세탁 공간(50)에서의 세탁과 보조 세탁 공간(51)에서의 세탁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보조 세탁 공간(51)은 메인 세탁 공간(50)과 구분될 수 있다.
메인 세탁 공간(50)은 드럼(3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세탁 공간(51)은 도어(7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어(70)는 전방 하우징(71) 및 후방 하우징(72)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 하우징(71)에는 보조 세탁 공간(51)을 개폐하는 보조 도어(52)가 마련될 수 있다.
후방 하우징(72)은 내부에 보조 세탁 공간(51)이 마련되도록 전방 하우징(71)과 결합하고, 후방에 드럼(30)과 연통되는 개구부(55)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70)는 커버(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73)는 개구부(55)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전방 하우징(71), 후방 하우징(72) 및 커버(73)는 서로 결합하여 메인 세탁 공간(50)과 구분되는 보조 세탁 공간(51)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73)는 투명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커버(73)에는 보조 세탁 공간(51)에 저수되는 세탁수의 유동을 형성하도록 펄세이터(75)가 설치될 수 있다. 펄세이터(75)는 메인 세탁 공간(50)에서 발생하는 세탁수의 유동에 의해 회전 가능하다. 따라서, 펄세이터(75)는 드럼(3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개구부(55) 및 커버(73) 중 적어도 하나에는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다이아프램(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커버(73)에는 세탁수 유입홀(74)이 마련될 수 있다.
보조 세탁 공간(51)에는 메인 세탁 공간(50)과 별개로 세탁수가 분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 세탁 공간(51)에는 세탁수 유입홀(74)을 통해 세탁수가 분사될 수 있다.
보조 세탁 공간(51)에 저수된 세탁수는 메인 세탁 공간(50)에 저수된 세탁수와 별개로 배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 행정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의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메인 세탁 공간(50) 및 보조 세탁 공간(51)에 세탁물 내지 세제를 투입하면 메인 세탁 공간(50) 및 보조 세탁 공간(51)에 적당량의 세탁수가 공급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조 세탁 공간(51)에는 세탁수 유입홀(74)을 통해 메인 세탁 공간(50)과 별개로 세탁수가 공급될 수 있다.
메인 세탁 공간(50)의 경우, 구동 모터(7)의 작동에 따라 드럼(30)이 회전하고, 리프터(26)가 세탁물을 일정 높이까지 끌어올린 후 낙하시켜 세탁물을 세탁한다.
보조 세탁 공간(51)의 경우, 펄세이터(75)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한다. 보조 세탁 공간(51)에서의 세탁은 메인 세탁 공간(50)에서의 세탁에 비해 젠틀(gentle)하게 진행될 수 있으므로, 손상되기 쉬운 세탁물을 효과적으로 세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세탁 행정이 완료되면, 메인 세탁 공간(50) 및 보조 세탁 공간(51)의 세탁수가 배수되고, 간헐 탈수가 진행된다. 그 후, 급수밸브(14)가 개방되어 메인 세탁 공간(50) 및 보조 세탁 공간(51)에 세탁수가 급수되는 동시에 헹굼 행정이 진행된다.
이와 같이, 헹굼 행정 및 간헐 탈수가 반복적으로 진행된 후, 탈수 행정이 진행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메인 도어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 도어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점선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래치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세탁기(10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0)과, 세탁 행정 또는 헹굼 행정에 사용될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120)와,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130)과, 드럼(130)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107)를 포함한다.
캐비닛(110)은 대략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캐비닛(110)은 캐비닛 전면판(111)과, 캐비닛 후면판과, 캐비닛 상면판과, 캐비닛 바닥판과, 캐비닛 측면판을 가질 수 있다.
캐비닛 전면판(111)에는 사용자로부터 세탁기(101)의 동작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411)와 세탁기(10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412)를 갖는 컨트롤 패널(410)이 마련될 수 있다.
캐비닛 전면판(111)에는 드럼(13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112)가 형성된다. 또한, 터브(120)에도 드럼(13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개구(121)가 형성된다.
캐비닛 전면판(111)의 투입구(112)와 터브(120)의 개구(121)의 사이에는 다이아프램(135,도 11)이 마련될 수 있다. 다이아프램(135)은 캐비닛 전면판(111)의 투입구(112)와 터브(13)의 개구(121) 사이의 통로를 형성하고, 드럼(130)의 회전 시에 발생하는 진동이 캐비닛 전면판(111)으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한다.
터브(120)의 상부에는 터브(120)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 장치(113)가 마련될 수 있다. 급수 장치(113)는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세탁수가 공급되는 급수관(115)과, 급수관(115)을 개폐하는 급수 밸브(114)로 구성될 수 있다.
캐비닛(110)의 전방 상부에는 터브(120)에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 공급 장치(105)가 마련될 수 있다. 세제 공급 장치(105)는 연결관(116)을 통해 터브(120)와 연결될 수 있다. 급수관(115)을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는 세제 공급 장치(105)를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터브(12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터브(120)의 후면에는 드럼(130)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107)가 마련될 수 있다. 구동 모터(107)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구동축(106)을 통해 드럼(130)에 전달될 수 있다. 구동축(106)은 터브(120)의 후벽을 관통하여 드럼(130)과 구동 모터(107)를 연결한다.
터브(120)의 하부에는 터브(120) 내부의 세탁수를 캐비닛(1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 장치(102)가 마련될 수 있다. 배수 장치(102)는 터브(120) 의 세탁수를 캐비닛(110)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관(103)과, 터브(120)의 세탁수를 펌핑하는 배수 펌프(104)로 구성될 수 있다.
드럼(130)은 터브(120)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세탁물을 상승 및 낙하시킴으로써 세탁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드럼(130)의 둘레에는 세탁수의 유통을 위한 다수의 통공(132)이 형성되고, 드럼(130)의 내주면에는 드럼(130)이 회전할 때 세탁물을 상승시키는 복수의 리프터(131)가 마련될 수 있다.
투입구(112)는 캐비닛 전면판(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140,18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140,180)는 메인 도어(140)와, 세탁기(101)의 세탁 행정 중에 메인 도어(140)를 열지 않고 세탁물을 추가 투입할 수 있도록 메인 도어(140)에 결합되는 보조 도어(180)를 포함한다.
메인 도어(140)는 힌지 부재(170)에 의해 캐비닛 전면판(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조 도어(180)는 힌지 유닛(400,도 12)에 의해 메인 도어(1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메인 도어(140)와, 보조 도어(180)는 상호 독립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도어(140)만 개방될 수도 있으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도어(180)만 개방될 수도 있다.
메인 도어(140)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보조 도어(180)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메인 도어(140)의 회전축과 보조 도어(180)의 회전축은 서로 직교될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메인 도어(140)와 보조 도어(180)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즉, 메인 도어(140)의 회전축과 보조 도어(180)의 회전축이 서로 평행할 수 있다. 나아가, 메인 도어(140)의 회전축과 보조 도어(180)의 회전축이 서로 동일선상에 마련될 수도 있다.
보조 도어(180)는 메인 도어(140)의 대략 상부에 마련된다. 즉, 보조 도어(180)는 세탁 행정 중에 터브(120)에 저수되는 세탁수의 수위 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메인 도어(140)와 보조 도어(180)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상술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도어(140)는 보조 투입구(142)를 갖는 도어 커버(141)와, 도어 커버(141)의 후방에 마련되고 보조 투입구(142)에 대응되는 후방 개구(152)를 갖는 도어 홀더(151)와, 도어 커버(141)와 도어 홀더(151)의 사이에 결합되는 글라스 부재(161)를 포함한다.
도어 커버(141)는 메인 도어(140)의 전방 외관을 형성하고 도어 홀더(151)와 함께 글라스 부재(161)를 지지한다. 도어 커버(141)의 보조 투입구(142)의 아래에는 글라스 부재(161)가 배치되도록 글라스 부재 장착구(143)가 마련된다. 도어 커버(141)는 보조 투입구(142)와 글라스 부재 장착구(143)를 갖는 대략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어 커버(141)에는 보조 도어(180)가 결합될 수 있다. 도어 커버(141)에는 힌지 유닛 홀더 결합부(145)가 마련되고, 힌지 유닛 홀더 결합부(145)에는 힌지 유닛 홀더(147)가 결합될 수 있다. 힌지 유닛 홀더(147)는 보조 도어(18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유닛(400)을 지지할 수 있다. 힌지 유닛 홀더(147)에는 힌지 유닛(400)이 삽입되는 삽입홀(148)이 형성될 수 있다.
도어 커버(141)의 상단에는 보조 도어(180)의 래치(181,도 13)가 통과하는 래치 통과홀(144)이 형성된다. 보조 도어(180)의 래치(181)는 보조 도어(180)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 커버(141)의 래치 통과홀(144)을 통과하여 후술할 보조 도어 락킹 장치(190)에 접근할 수 있다.
도어 홀더(151)는 메인 도어(140)의 후방 외관을 형성하고 도어 커버(141)와 함께 글라스 부재(161)를 지지한다. 도어 홀더(151)의 후방 개구(152)의 아래에는 글라스 부재(161)가 배치되도록 글라스 부재 장착구(153)가 마련된다. 도어 홀더(151)는 후방 개구(152)와 글라스 부재 장착구(153)를 갖는 대략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어 홀더(151)에는 힌지 결합 부재(157)가 결합될 수 있다. 힌지 결합 부재(157)에는 메인 도어(1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부재(170,도 9)가 결합될 수 있다.
도어 홀더(151)에는 메인 도어 걸림 장치(158)가 결합될 수 있다. 메인 도어 걸림 장치(158)는 메인 도어(140)를 닫힌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메인 도어 걸림 장치(158)는 캐비닛(110)에 마련되는 걸림 스위치(미도시)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걸림 후크(159)를 포함한다.
다만, 메인 도어(140)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소정 이상의 힘으로 메인 도어(140)를 밀면 걸림 후크(159)의 걸림이 해제되어 메인 도어(140)가 열릴 수 있다. 이는 유아 등이 캐비닛(110)의 내부에 갇힌 상태에서 자력으로 탈출하지 못하게 되는 사고 등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세탁기(101)는 메인 도어 걸림 장치(158) 이외에 메인 도어(140)를 락킹하는 메인 도어 락킹 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메인 도어 락킹 장치(미도시)는 메인 도어(140)가 사용자의 통상적인 힘으로는 열리지 않도록 한다.
즉, 메인 도어 락킹 장치가 메인 도어(140)를 락킹하게 되면 통상적인 사람의 힘으로 메인 도어(140)를 열 수 없으며, 메인 도어 락킹 장치를 통해 락을 해제하여야 메인 도어(140)를 열 수 있게 된다.
세탁기(101)가 세탁 행정 수행 중에 메인 도어(140)가 열리면 고온의 세탁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등의 위험이 발생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메인 도어 락킹 장치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어 홀더(151)에는 메인 도어 걸림 장치(158)의 걸림 후크(159)가 관통하는 관통홀(155)이 형성된다.
도어 홀더(151)에는 보조 도어(180)를 락킹하는 보조 도어 락킹 장치(190)가 장착될 수 있다.
보조 도어 락킹 장치(190)는 도어 홀더(151)의 전면(154)에 장착될 수 있다. 즉, 보조 도어 락킹 장치(190)는 도어 커버(141)와 도어 홀더(15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 도어 락킹 장치(190)는 보조 도어(180)를 락킹한다. 보조 도어(180) 역시 메인 도어(140)와 동일한 이유로 락킹이 요구된다. 특히, 보조 도어(180)는 메인 도어(140)에 비해 크기가 작고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캐비닛(110) 내부의 압력에 의해 쉽게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 행정 중에 불의의 보조 도어(180)의 개방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 도어 락킹이 필수적이다. 보조 도어 락킹 장치(18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글라스 부재(161)는 도어 커버(141)와 도어 홀더(15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글라스 부재(161)는 유리 재질 또는 기타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글라스 부재(161)를 통해 사용자는 메인 도어(140)가 닫힌 상태에서도 캐비닛(110) 내부를 투시할 수 있다.
글라스 부재(161)는 도어 커버(141) 및 도어 홀더(161)와의 결합을 위해 테두리에 형성되는 플랜지부(163)와, 후방으로 돌출되는 볼록부(162)를 가질 수 있다.
볼록부(162)는 드럼(130) 내부의 세탁물이 메인 도어(140) 측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세탁물이 메인 도어(140)와 충돌하여 손상되거나 세탁물이 다이아프램(135)을 가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메인 도어(140)는 보조 투입구(142)로 투입된 세탁물을 드럼(130)의 내부로 안내하는 슈트(1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슈트(165)는 도어 커버(141)의 보조 투입구(142)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통로(166)를 가질 수 있다. 통로(166)는 도어 커버(141)의 보조 투입구(142)에서 도어 홀더(151)의 후방 개구(152)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슈트(165)의 전단부는 도어 커버(141)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슈트(165)는 본 실시예와 같이 도어 커버(141) 및 도어 홀더(151)와는 별개의 부품으로 마련되어 도어 커버(141) 및 도어 홀더(151)에 결합될 수도 있으나, 이와는 달리 도어 커버(141) 또는 도어 홀더(15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슈트(165)의 상단에는 도어 커버(141)의 래치 통과홀(144)에 대응되도록 보조 도어(180)의 래치(181)가 통과하는 래치 통과홀(167)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슈트(165)는 래치(181)의 경로에서 벗어나도록 마련되고 따라서 슈트(165)에는 래치 통과홀이 마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보조 도어(180)와 슈트(165)의 사이에는 밀폐를 위한 실링 부재(168)가 마련될 수 있다.
보조 도어(180)는 도어 커버(141)의 보조 투입구(142)를 개폐하도록 도어 커버(1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보조 도어(180)는 힌지 유닛(400,410,45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보조 도어(180)는 힌지 유닛(400,410,450)을 수용하는 힌지 유닛 커버(185)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 유닛(400,410,45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보조 도어(180)는 보조 투입구(142)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도어(180)는 락킹을 위한 래치(181)를 갖는다. 래치(181)는 보조 도어(180)의 상단에서 보조 도어(180)의 후방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래치(181)에는 잠금홀(181)이 형성된다. 잠금홀(181)에는 보조 도어(180)를 락킹하도록 후술하는 보조 도어 락킹 장치(190)의 잠금바(195)가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잠금홀(181)은 원형의 홀 형상을 갖고 있으나, 잠금홀(18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 래치(181)는 단순한 막대 형상을 갖고 잠금홀(181)은 닫힌 개구 형상이나, 이와는 달리 래치(181a,도 15)는 후크 형상을 갖고 잠금홀(182a,도 15)은 열린 개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락킹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 도어의 잠금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11의 점선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전원과 락킹 장치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전선이 힌지 부재를 통과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힌지 부재의 배면에 커넥터가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 도어 락킹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 단순히 락킹 장치라고 하면 보조 도어 락킹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락킹 장치(190)는 하우징(191)과, 래치(181)의 잠금홀(182)에 삽입되도록 진퇴 가능한 잠금바(195)와, 잠금바(195)를 구동시키도록 하우징(191)의 내부에 마련되는 구동부(192)와, 구동부(192)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단자(195)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92)는 전력이 인가되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93)와, 모터(193)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잠금바(195)의 직선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기어 어셈블리(194)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 어셈블리(194)는 볼 스크류나, 랙 피니언 등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할 수 있는 각종 기계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구동부(192)는 잠금바(195)를 구동시키기 위해 모터(193)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모터(193) 이외에 유압식 액추에이터, 바이메탈식 액추에이터 등 다양한 종류의 액추에이터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력 단자(195)는 락킹 장치(190)의 외부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아 구동부(192)에 공급한다. 전력 단자(195)는 캐비닛(110)에 마련된 전원(117)과 전선(17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전력 단자(195)와 전원(117)의 연결 구조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도어(180)가 닫히면 보조 도어(180)의 래치(181)는 도어 커버(141)의 래치 통과홀(144)을 통과하여 도어 커버(141)와 도어 홀더(151)의 사이에 배치된 락킹 장치(190)에 접근한다.
다음으로 락킹 장치(190)에 전원이 인가되면 잠금바(195)가 이동하여 래치(181)의 잠금홀(182)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보조 도어(180)가 락킹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01)의 캐비닛(110)에는 락킹 장치(19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117)이 마련될 수 있다. 전원(117)은 세탁기(101) 외부의 상용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출력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전원(117)은 전압 제어형 반도체 소자 또는 전류 제어형 반도체 소자 등 각종 전자 소자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락킹 장치(190)는 전선(118)에 의해 전원(117)과 연결되어 전원(117)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전선(118)은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일체의 선 종류를 포함한다. 전선(118)은 구리, 알루미늄, 강(鋼), 은(銀) 등의 재질로 된 전도체에 절연물이 피복된 것일 수 있다.
전선(118)은 캐비닛(110)에 마련된 전원(117)과 메인 도어(140)에 마련된 락킹 장치(190)를 연결하도록 힌지 부재(170)를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부재(170)는 캐비닛(110)에 결합되는 캐비닛 결합부(171)와, 캐비닛 결합부(171)에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72)과, 메인 도어(1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힌지암(172)에서 돌출되는 힌지축(173)을 포함한다.
캐비닛 결합부(171)는 캐비닛 전면판(111)에 형성되는 힌지 결합부(111c,도 25 참고)에 결합될 수 있다. 캐비닛 결합부(171)는 나사 등의 체결 부재를 통해 캐비닛 전면판(111)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캐비닛 결합부(171)의 배면(176)은 캐비닛 전면판(111)에 밀착될 수 있다.
힌지암(172)은 캐비닛 결합부(171)에서 메인 도어(140)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힌지암(172)은 캐비닛(110)의 중심에서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힌지축(173)은 힌지암(172)의 단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힌지축(173)은 메인 도어(140)의 축삽입공(157a,도 12)에 삽입되어 메인 도어(1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힌지 부재(170)는 전선(118)이 통과하는 전선 통로(174)를 포함할 수 있다. 전선 통로(174)는 전선(118)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힌지 부재(17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전선 통로(174)는 캐비닛 결합부(171)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 1 전선 통로(174a)와, 힌지암(172)에 일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제 2 전선 통로(174b)와, 힌지축(173)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 3 전선 통로(174c)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선 통로(174a)와, 제 2 전선 통로(174b)와, 제 3 전선 통로(174c)는 서로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힌지암(172)에 마련된 제 2 전선 통로(174b)의 개방된 일면에는 제 2 전선 통로(174b)를 밀폐하기 위한 전선 커버(175)가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제 2 전선 통로(174b)가 개방된 면이 없이 힌지암(172)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선(118)은 일단은 전원(117)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제 1 커넥터(119a)가 마련되는 제 1 전선(118a)과, 일단은 락킹 장치(190)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제 2 커넥터(119b)가 연결되는 제 2 전선(118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선(118a)과 제 2 전선(118b)은 제 1 커넥터(119a)와 제 2 커넥터(119b)가 연결됨으로써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힌지 부재의 캐비닛 결합부(171)의 배면(176)에는 커넥터(119)가 밀폐 수용되는 커넥터 수용홈(177)이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 수용홈(177)에는 커넥터(119)를 고정하도록 돌출되는 고정 리브(178)가 형성될 수 있다.
힌지 부재의 캐비닛 결합부(171)에는 커넥터(119)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분 침투 방지 리브(179)가 형성될 수 있다. 수분 침투 방지 리브(179)는 힌지 부재의 캐비닛 결합부(171)의 배면(176)을 따라 낙하하는 수분이 커넥터(119)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커넥터 수용홈(177)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캐비닛과 메인 도어에 장착 커넥터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장착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장착 커넥터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장착 커넥터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캐비닛(110)에 마련된 전원(117)으로부터 메인 도어(140)에 마련된 락킹 장치(19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세탁기는 장착 커넥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 커넥터(200)는 캐비닛(110)과 메인 도어(140)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플러그(230)와, 나머지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플러그(230)가 삽입되는 소켓(2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도어(140)에 플러그(230)가 장착되고, 캐비닛(110)에 소켓(240)이 장착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반대로 장착되어도 무관하다.
플러그(230)와 소켓(240)은 메인 도어(140)의 개폐에 따라 상호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즉, 메인 도어(140)가 개방되면 플러그(230)와 소켓(240)이 분리되고, 메인 도어(140)가 폐쇄되면 플러그(230)와 소켓(240)이 연결될 수 있다.
플러그(230)는 전선(204)에 의해 락킹 장치(190)에 연결되고, 소켓(240)은 전선(204)에 의해 전원(117)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도어(140)가 폐쇄되어 플러그(230)와 소켓(240)이 연결되면 결과적으로 전원(117)과 락킹 장치(190)가 연결되어 락킹 장치(19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플러그(230)에는 삽입 돌기부(231)가 마련되고, 소켓(240)에는 삽입홈부(241)가 마련되어 플러그(230)는 소켓(240)에 삽입될 수 있다.
플러그(230)와 소켓(240)은 각각 전선(204)을 수용하는 전선 수용부(232,242)와, 전선 수용부(232,242)를 형성하도록 전선(204)의 양측에 위치하는 격벽(233,243)을 가질 수 있다.
소켓(240)의 격벽(243)에는 삽입홈부(241)를 형성하도록 돌출되는 돌출핀(244)이 형성되고, 플러그(230)에는 돌출핀(244)이 삽입되는 그루브(234)가 마련될 수 있다.
장착 커넥터(200)는 장착 커넥터(200)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 부재(260)를 가질 수 있다. 실링 부재(260)는 전선 수용부(232,242)의 내부에서 전선(204)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제 1 실링 부재(261)와, 플러그(230)와 소켓(240)의 사이를 밀폐하는 제 2 실링 부재(2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실링 부재(262)는 플러그(230)의 외측에 플러그(230)를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장착 커넥터(200)는 결합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235,245)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부(235,245)는 가이드 돌기(235)와, 가이드 돌기(235)를 수용하는 가이드 홈(245)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235)의 끝단에는 직경이 좁아지는 경사부(236)가 형성되어 가이드 돌기(235)가 가이드 홈(235)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장착 커넥터(200)는 상호 접촉되는 접속 단자들(205)을 포함하고, 접속 단자들(205) 중에 일부는 락킹 장치(19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수송용 접속 단자이며, 일부는 메인 도어(140)의 개폐를 감지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용 접속 단자일 수 있다.
즉, 세탁기(101)는 메인 도어(140)의 개폐를 감지하기 위해 신호를 주고 받는 도어 개폐 감지 회로부와, 도어 개폐 감지 회로부로부터 신호를 전달 받아 메인 도어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갖고, 데이터 전송용 접속 단자는 도어 개폐 감지 회로부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플러그(230)와 소켓(240)이 연결되면 전력 수송용 접속 단자뿐만 아니라 데이터 전송용 접속 단자도 연결되고, 플러그(230)와 소켓(240)이 분리되면 전력 수송용 접속 단자뿐만 아니라 데이터 전송용 접속 단자도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개폐 감지 회로부는 플러그(230)와 소켓(240)의 연결 및 분리 상태에 따라 다른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제어부는 메인 도어(140)의 개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착 커넥터(200)는 락킹 장치(190)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 이외에 메인 도어(14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캐비닛 전면판의 전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캐비닛 전면판의 배면에 락킹 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 도어의 잠금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5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 도어 락킹 구조를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전술한 제 2 실시예와 제 3 실시예에서 보조 도어(180)를 락킹하는 락킹 장치(190)는 메인 도어(140)에 마련되므로, 캐비닛(110)에 마련된 전원(117)으로부터 메인 도어(140)에 마련된 락킹 장치(190)에 전력을 송전하는 구조가 필요하였다.
이와는 달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락킹 장치(190)는 메인 도어(140)가 아닌 캐비닛(110)에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락킹 장치(190)는 캐비닛 전면판(111)의 배면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도어(180)의 래치(181)가 락킹 장치(190)에 접근하려면 메인 도어(140)와 캐비닛 전면판(111)을 관통하여야 한다.
따라서, 메인 도어(140)의 슈트(165)와, 메인 도어(140)의 도어 커버(141)와, 메인 도어(140)의 도어 홀더(151)와, 캐비닛 전면판(111)에는 각각 래치 통과홀(167,144,151a,111a)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슈트(165)는 래치(181)의 이동 경로에서 벗어나도록 마련될 수 있으므로 슈트(165)에는 래치 통과홀(167)이 마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25의 미설명 부호 111b는 메인 도어 걸림 장치(158,도 12)의 후크(159,도 12)가 통과하는 통과홀이다.
도 28 내지 도 3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 도어의 잠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보조 도어가 락킹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 내지 도 3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 도어의 락킹 구조를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 5 실시예의 세탁기는 제 4 실시예의 세탁기와 마찬가지로 락킹 장치(190)가 캐비닛 전면판(111)의 배면에 마련된다. 다만, 제 4 실시예와 다른 점은 보조 도어(180)의 래치(181)가 직접 락킹 장치(190)에 접근하지 않고 메인 도어(140)에 마련된 레버(310)를 가압하고 레버(310)가 락킹 장치(190)에 접근한다는 점이다.
보조 도어(180)는 푸시 로드(300)를 포함하고, 메인 도어(140)에는 푸시 로드(300)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는 레버(310)가 마련된다.
레버(310)는 회전축부(311)와, 회전축부(311)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푸시 로드(300)에 의해 가압되는 입력부(312)와, 회전축부(311)에서 다른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구속홀(314)이 형성된 구속부(313)와, 회전축부(311)에서 또 다른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푸시 로드(300)를 구속함으로써 보조 도어(180)를 락킹하는 락킹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구속부(313)의 구속홀(314)에는 락킹 장치(190)의 잠금바(195)가 삽입되어 레버(310)를 구속할 수 있다.
푸시 로드(300)는 보조 도어(18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줄기부(301)와, 보조 도어(180)가 닫히는 과정에서 레버(310)의 입력부(312)를 가압하여 레버(310)를 회전시키는 가압부(302)와, 푸시 로드(300)의 락킹부(315)에 간섭되는 간섭부(30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8 내지 도3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보조 도어(180)가 닫히는 과정에서 푸시 로드(300)가 레버(310)를 가압하여 레버(310)를 회전시키면, 레버(310)의 구속홀(314)이 락킹 장치(190)의 잠금바(195)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도 3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락킹 장치(190)가 작동하여 잠금바(195)가 구속홀(314)의 내부로 이동하면 레버(310)는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속된다.
이와 같이, 레버(310)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속된 상태에서, 푸시 로드(300)의 간섭부(303)가 락킹부(315)에 의해 간섭되므로 보조 도어(180) 역시 락킹되게 된다.
보조 도어(180)의 락킹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락킹 장치(190)가 작동하여 잠금바(195)가 구속홀(314)에서 이탈되어야 한다. 보조 도어(180)의 락킹이 해제되고 보조 도어(180)가 개방되면 레버(310)는 탄성 부재(320)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 도어의 힌지 유닛의 완충 유닛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 도어의 힌지 유닛의 고정 유닛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 내지 도 3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 도어의 힌지 유닛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힌지 유닛은 다른 실시예의 세탁기의 보조 도어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힌지 유닛(400)은 보조 도어(18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힌지 유닛(400)은 보조 도어(180)의 개방 및 폐쇄 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 유닛(410)을 포함할 수 있다.
완충 유닛(410)은 보조 도어(180)와 함께 회전하고 중공부(431)를 갖는 회전축(430)과, 중공부(431)에 삽입되고 메인 도어(140)에 결합되는 고정축(420)과, 회전축(430)과 고정축(420)에 연결되어 회전축(430)에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완충 스프링(440)을 포함한다.
회전축(430)은 중공부(431)를 갖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회전축(430)은 보조 도어(180)와의 결합을 위한 보조 도어 결합부(432)와, 완충 스프링(440)의 일단(441)이 결합되는 스프링 지지부(433)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회전축(430)은 보조 도어(18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홈(434)과, 스토퍼면(435,436)을 가질 수 있다.
고정축(420)은 회전축(430) 보다 작은 직경의 원통 형상을 갖고, 회전축(43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축(420)은 메인 도어(140)와의 결합을 위한 메인 도어 결합부(421)와, 완충 스프링(440)의 타단(442)이 결합되는 스프링 지지부(422)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고정축(420)은 보조 도어(18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 돌기(423)를 가질 수 있다. 스토퍼 돌기(423)는 회전축(430)의 회전 시에 스토퍼홈(434)의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스토퍼 돌기(423)는 보조 도어(180)가 최대 각도로 개방되거나 폐쇄되면 스토퍼면(435,436)에 간섭되어 보조 도어(180)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완충 스프링(440)으로 코일 스프링이 사용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탄성력을 작용시킬 수 있는 토션 스프링, 판 스프링 등의 일체의 탄성 부재가 모두 사용 가능하다.
완충 스프링(440)은 보조 도어(180)가 최대 개방 각도와 최대 폐쇄 각도의 대략 중간 각도일 때 탄성력이 0인 초기 상태가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완충 스프링(440)은 보조 도어(180)가 중간 각도에서 각도가 커지거나 작아질 때 중간 각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즉, 완충 스프링(440)은 보조 도어(180) 개방 및 폐쇄 시에 모두 댐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완충 스프링(440)은 보조 도어(180)가 최대 개방 각도일 때 초기 상태가 되도록 배치되거나 보조 도어(180)가 최대 폐쇄 각도일 때 초기 상태가 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완충 스프링(440)이 보조 도어(180)가 최대 개방 각도일 때 초기 상태가 되도록 배치되는 경우 완충 스프링(440)은 항상 보조 도어(180)를 개방하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므로 보조 도어(180)의 폐쇄 시에 댐핑 기능을 수행하고 반대로 보조 도어(180)의 개방 시에는 오토 오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완충 스프링(440)이 보조 도어(180)가 최대 폐쇄 각도일 때 초기 상태가 되도록 배치되는 경우 완충 스프링(440)은 항상 보조 도어(180)를 폐쇄하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므로 보조 도어(180)의 개방 시에 댐핑 기능을 수행하고 반대로 보조 도어(180)의 폐쇄 시에는 오토 클로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힌지 유닛(400)은 보조 도어(180)가 최대 각도로 개폐되면 보조 도어(180)를 고정시키는 고정 유닛(45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유닛(450)은 보조 도어(180)와 함께 회전하고 중공부(461)를 가지며 원주면에 걸림홀(466,467)이 형성된 회전축(460)과, 중공부(461)에 삽입되고 메인 도어(140)에 결합되는 고정축(470)과, 보조 도어(180)가 소정 각도로 개방되거나 폐쇄되면 걸림홀(466,467)의 내부에 삽입되어 보조 도어(180)를 고정시키는 걸림 부재(480)와, 걸림 부재(480)에 걸림홀(466,467)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걸림 스프링(49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460)은 중공부(461)를 갖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회전축(460)은 보조 도어(180)와의 결합을 위한 보조 도어 결합부(462)와, 보조 도어(18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홈(463)과, 스토퍼면(464,465)을 가질 수 있다.
고정축(470)은 회전축(460) 보다 작은 직경의 원통 형상을 갖고, 회전축(46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축(470)은 메인 도어(140)와의 결합을 위한 메인 도어 결합부(471)와, 보조 도어(18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 돌기(473)를 가질 수 있다. 스토퍼 돌기(473)는 회전축(460)의 회전 시에 스토퍼홈(463)의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스토퍼 돌기(473)는 보조 도어(180)가 최대 각도로 개방되거나 폐쇄되면 스토퍼면(464,465)에 간섭되어 보조 도어(180)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걸림 부재(480)는 걸림홀(466,467)에 삽입된 후에도 사용자가 보조 도어(180)를 당기거나 밀면 걸림홀(466,467)에서 용이하게 이탈할 수 있도록 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걸림 부재(480)가 걸림홀(466,467)에 삽입될 때 딸깍하는 소리가 발생하여 사용자가 보조 도어(180)의 개폐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써 보조 도어(180)의 개폐 시에 충격 발생이 완화되고 보조 도어(180)의 사용 편의성 및 감성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세탁기 2a : 투입구
3 : 연결호스 4: 배수 펌프
7: 구동 모터 8 : 베어링 하우징
9 : 베어링 10 : 캐비닛
10a : 상면 프레임 10b : 전면 프레임
10c : 후면 프레임 10d : 하면 프레임
11 : 구동축 13 : 급수관
14 : 급수밸브 16 : 연결관
17 : 스프링 20 : 터브
21 : 개구(터브의 개구) 26 : 리프터
27 : 통공 30 : 드럼
40 : 세제 공급 장치 41 : 댐퍼
50 : 메인 세탁 공간 51 : 보조 세탁 공간
52 : 보조 도어 53 : 연결부
54 : 보조 투입구 55 : 개구부
70 : 도어 71 : 전방 하우징
72 : 후방 하우징 73 : 커버
74 : 세탁수 유입홀 75 : 펄세이터
80 : 컨트롤 패널 81a : 가압식 버튼
81b : 회전식 버튼 83 : 표시부
90 : 다이아프램 101 : 세탁기
110 : 캐비닛 117 : 전원
140 : 메인 도어 170 : 힌지 부재
180 : 보조 도어 190 : 락킹 장치

Claims (11)

  1. 투입구를 갖는 캐비닛;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메인 도어;
    상기 메인 도어를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 부재; 및
    상기 캐비닛에서 상기 메인 도어로 연장되는 전선; 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 부재는,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는 캐비닛 결합부;
    상기 캐비닛 결합부에 결합된 힌지암;
    상기 메인 도어의 회전축을 형성하도록 상기 힌지암에서 돌출되는 힌지축;
    상기 전선을 수용하도록 상기 힌지암을 따라 상기 힌지암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전선 통로; 및
    상기 전선 통로에 수용된 전선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전선 통로를 덮는 전선 커버; 를 포함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암은 제 1 힌지암과, 상기 제 1 힌지암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 2 힌지암을 포함하고,
    상기 전선 통로는 상기 제1힌지암에 형성된 세탁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에 세탁물을 투입하도록 상기 메인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도어;
    상기 캐비닛에 마련된 전원; 및
    상기 보조 도어를 잠그도록 상기 메인 도어에 마련되고, 상기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락킹 장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선은 상기 힌지 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전원과 상기 락킹 장치를 연결하는 세탁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통로는 상기 캐비닛 결합부를 관통하는 제 1 전선 통로를 포함하는 세탁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통로는 상기 힌지암에 일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제 2 전선 통로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통로는 상기 힌지축을 관통하는 제 3 전선 통로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커버는 상기 제 2 전선 통로의 개방된 일면에 결합되는 세탁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에 연결되는 제 1 전선과, 상기 락킹 장치에 연결되는 제 2 전선을 연결시키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부재는 상기 커넥터를 수용하도록 상기 캐비닛 결합부의 배면에 형성되는 커넥터 수용홈을 포함하는 세탁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부재는 상기 커넥터를 고정하도록 상기 커넥터 수용홈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는 고정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부재는 상기 커넥터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커넥터 수용홈의 상측에 형성되는 수분 침투 방지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210002231A 2015-02-25 2021-01-07 세탁기 KR102368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231A KR102368716B1 (ko) 2015-02-25 2021-01-07 세탁기
KR1020220023939A KR102505098B1 (ko) 2021-01-07 2022-02-23 세탁기
KR1020230024650A KR102627715B1 (ko) 2021-01-07 2023-02-23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854A KR102202721B1 (ko) 2015-02-25 2015-02-25 세탁기
KR1020210002231A KR102368716B1 (ko) 2015-02-25 2021-01-07 세탁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854A Division KR102202721B1 (ko) 2015-02-25 2015-02-25 세탁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3939A Division KR102505098B1 (ko) 2021-01-07 2022-02-23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5988A true KR20210005988A (ko) 2021-01-15
KR102368716B1 KR102368716B1 (ko) 2022-02-28

Family

ID=80497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2231A KR102368716B1 (ko) 2015-02-25 2021-01-07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71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6264A (ko) * 2013-07-08 2015-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6264A (ko) * 2013-07-08 2015-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8716B1 (ko) 202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2721B1 (ko) 세탁기
KR102073314B1 (ko) 세탁기
US11162205B2 (en) Washing machine
US10851488B2 (en) Door locking devic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US20080072630A1 (en) Washing machine
KR102368505B1 (ko) 벽걸이형 세탁기
KR20210005988A (ko) 세탁기
KR102627715B1 (ko) 세탁기
KR20200058351A (ko) 세탁기
KR102071890B1 (ko) 세탁기
KR102002424B1 (ko) 세탁기
KR102274509B1 (ko) 드럼세탁기 이중도어
KR20060039182A (ko) 드럼세탁기의 도어떨림 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