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5818A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5818A
KR20210005818A KR1020200175025A KR20200175025A KR20210005818A KR 20210005818 A KR20210005818 A KR 20210005818A KR 1020200175025 A KR1020200175025 A KR 1020200175025A KR 20200175025 A KR20200175025 A KR 20200175025A KR 20210005818 A KR20210005818 A KR 20210005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anes
electronic device
image
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0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99499B1 (en
Inventor
이한우
Original Assignee
팅크웨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37762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50113589A/en
Application filed by 팅크웨어(주) filed Critical 팅크웨어(주)
Priority to KR1020200175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499B1/en
Publication of KR20210005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58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4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3Head-up displays [HU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G06K9/0079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06V20/588Recognition of the road, e.g. of lane markings; Recognition of the vehicle driving pattern in relation to the r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21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using cameras
    • B60K2370/11
    • B60K2370/1529
    • B60K2370/176
    • B60K2370/2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02Automatic control, details of type of controller or control system architecture
    • B60W2050/0004In digital systems, e.g. discrete-time systems involving sampling
    • B60W2050/0005Processor details or data handling, e.g. memory registers or chip archite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43Signal treatments, identification of variables or parameters, parameter estimation or state estimation
    • B60W2050/0057Frequency analysis, spectral techniques or trans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60W2420/4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nic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interface output and various information processing,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nic apparatus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image data including a driving image of a vehicle; a driving lan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for identifying a lane area from the image data and generating driving lan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lane on which the vehicle is traveling in the driving image from the image data of the identified lane area; and a control unit which performs necessary processing according to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Electronic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TECHNICAL FIEL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구비되어 차선 인식 및 알림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nic device provided in a vehicle and capable of performing lane recognition and notifica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차량의 주행 시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주행 및 교통사고의 예방이며, 이를 위해 차량의 자세제어, 차량 구성장치들의 기능제어 등을 수행하는 다양한 보조장치 및 안전벨트, 에어백 등의 안전장치가 차량에 장착되어 있다.The most important thing when driving a vehicle is safe driving and prevention of traffic accidents, and for this purpose, various auxiliary devices that perform the vehicle's attitude control and function control of vehicle components, and safety devices such as seat belts and airbags are installed on the vehicle. have.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블랙박스 등과 같이 차량에 위치하여 차량의 주행 영상 및 각종 센서들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차량이 사고 발생시 차량의 사고 원인을 규명하는 장치들도 차량에 구비되는 추세이다. 스마트폰, 태블릿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들도 블랙박스 또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등이 탑재 가능하여 이와 같은 차량용 장치로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recently, devices such as a black box that are located in a vehicle and store driving images of the vehicle and data transmitted from various sensors are being provided in vehicles to identify the cause of an accident in the vehicle when an accident occurs. Portable terminal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s can also be equipped with a black box or a navigation application, and thus are used as such a vehicle device.

그러나, 현재 이와 같은 차량용 장치들에서의 주행 영상 활용도는 낮은 실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현재 차량에 장착된 카메라와 같은 비젼 센서를 통해 차량의 주행 영상을 획득하더라도 차량의 전자 장치는 이를 단순히 표시, 전송하거나, 차선 이탈 여부 등과 같은 간단한 주변 알림 정보만을 생성하는데 그치고 있다.However, currently, the utilization of driving images in such vehicle devices is low. More specifically, even if a driving image of the vehicle is acquired through a vision sensor such as a camera currently mounted on the vehicle,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vehicle simply displays and transmits the driving image, or only generates simple surrounding not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whether or not a lane is departed.

또한, 현재 새로이 대두되는 차량의 전자 장치로서 HUD(Head Up Display)나,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도 제안되고 있으나 여기에서도 차량의 주행 영상의 활용도는 단순 디스플레이 또는 간단한 알림 정보 생성에 그치고 있다.In addition, a HUD (Head Up Display) or an augmented reality interface has also been proposed as an emerging electronic device of a vehicle, but the utilization of the driving image of the vehicle is limited to simple display or simple no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주행 영상에 기반하여 주행 차선 정보를 생성하고, 이에 따른 인터페이스 출력 및 다양한 정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wa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driving lane information based on a driving image of a vehicle, and performing interface output and various information processing. It is to provide a method of operation.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 영상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차선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차선 영역 부분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차량이 상기 주행 영상에서 주행하고 있는 차선에 대응하는 주행 차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주행 차선 정보에 따라 필요한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receiving image data including a driving image of a vehicle in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Identifying a lane area from the image data; Generating driving lan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lane on which the vehicle is traveling in the driving image from the image data of the identified lane area portion; And performing necessary processing according to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증강 현실 기반의 차량 정보 알림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 영상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차선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차선 영역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차량의 주행 차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주행 차선 정보에 따라 상기 증강 현실에 오버레이되는 차선 정보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차선 정보 인터페이스를 상기 증강 현실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a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 the control method of a vehicle information notification device based on an augmented reality, receiving image data including a driving image of the vehicle; Identifying a lane area from the image data; Generating driving lane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image data of the identified lane area; Generating a lane information interface overlaid on the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And outputting the lane information interface through the augmented reality.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차량의 주행 영상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차선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차선 영역 부분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차량이 상기 주행 영상에서 주행하고 있는 차선에 대응하는 주행 차선 정보를 생성하는 주행 차선 정보 생성 모듈; 및 상기 주행 차선 정보에 따라 필요한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an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image data including a driving image of a vehicle; A driving lan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for identifying a lane area from the image data and generating driving lan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lane on which the vehicle is traveling in the driving image from the image data of the identified lane area portion; And a controller that performs necessary processing according to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증강 현실 기반의 차량 정보 알림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 영상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차선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차선 영역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차량의 주행 차선 정보를 생성하는 주행 차선 정보 생성 모듈; 상기 주행 차선 정보에 따라 상기 증강 현실에 오버레이되는 차선 정보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차선 정보 인터페이스를 상기 증강 현실을 통해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a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is an augmented reality-based vehicle information notification device,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image data including a driving image of a vehicle; A driving lan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that identifies a lane area from the image data and generates driving lane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image data of the identified lane area;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lane information interface overlaid on the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lane information interface through the augmented reality.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The meth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on on a computer is record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차선 영역 부분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차량이 주행 영상에서 주행하고 있는 차선에 대응하는 주행 차선 정보를 생성하고, 필요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riving lan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lane on which a vehicle is traveling in a driving image may be generated from image data of a portion of a lane area, and necessary processing may be performed.

이에 따라, 주행 차선 정보를 이용한 차선 인터페이스 출력 및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 생성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various information processing including outputting a lane interface using driving lane information and generating an augmented reality interface may be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주행 차선 정보를 바탕으로 현재 주행 차로를 판단하여 운전자에게 안내함으로써 운전자 보조역할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a driver assistance role by determining a current driving lane based on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and guiding the driver to the driving lan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내비게이션의 경로 정보와 주행 차선 정보를 이용한 정확한 차로 변경 알림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r convenience may be promoted by performing an accurate lane change notification using the route information of the navigation and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뿐만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주행 차선 정보를 이용하여 주행 중인 차로의 양측 차선 종류에 따라 적절한 차로 변경 알림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차로 변경 알림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풍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잇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ropriate lane change notification can be selective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types of lanes on both sides of the driving lane using driving lane information, thereby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lane change notification and providing rich information. Can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연결된 시스템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른 영상 처리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생성하는 주행 차선 정보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 내지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주행 차선 정보에 따른 차로 변경 안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주행 차선 정보에 따른 차선 이탈 알림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network connected to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5 to 7 are diagrams showing step-by-step an image processing process according to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driving lane information generated by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o 10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guiding a lane change according to driving lane inform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lane departure not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driving lane inform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following content merely illustrates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implement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vent various devices included in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not clearly described or illustrated herein. In addition, all conditional terms and examples list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n principle, intended to be clearly intended only for the purpose of making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understood, and should be understood as not limiting to the embodiments and states specifically listed as described above. do.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detailed descriptions listing specific embodiments as well as principles, aspects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nclude structural and functional equivalents of these matters.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these equivalents include not only currently known equivalents, but also equivalent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that is, all devices invented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regardless of structure.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us, for example, the block diagrams herein are to be understood as representing a conceptual perspective of exemplary circuits embodying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Similarly, all flowcharts, state transition diagrams, pseudocodes, etc. are understood to represent various processes performed by a computer or processor, whether or not the computer or processor is clearly depicted and that can be represented substantially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Should be.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The functions of the various elements shown in the figures, including a processor or functional block represented by a similar concept, may be provided by the use of dedicated hardware as well as hardware having the ability to execute software in association with appropriate software. When provided by a processor, the function may be provided by a single dedicated processor, a single shared processor, or a plurality of individual processors, some of which may be shared.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plicit use of terms presented as processor, control, or similar concepts should not be interpreted exclusively by referring to hardware capable of executing software, and without limitation,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hardware, ROM for storing software. It should be understood to implicitly include (ROM), RAM, and non-volatile memory. Other commonly used hardware may also be included.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claims of this specification, components expressed as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nclude all types of software including, for example, a combination of circuit elements or firmware/microcode that perform the above functions. It is intended to include all methods of performing a function to perform the function, and is combined with suitable circuitry for executing the software to perform the function. Since the invention defined by these claims is combined with the functions provided by the various enumerated means and combined with the manner required by the claims, any means capable of providing the above functions are equivalent to those conceived from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as.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conne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will be.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설명되는 전자 장치(100)는 차량에 구비되거나 장착되는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특정 지점까지의 경로 안내를 수행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 차량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저장하거나 전송하는 블랙 박스,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described below may be implemented as various devices provided or mounted on a vehicle.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includes a navigation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route guidance to a specific point, a black box that stores or transmits image information by photographing the surroundings of a vehicle, a smart phone, a tablet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nd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Digital assistant),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etc. can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evices.

이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예를 들어, 차량용 내비게이션이거나 차량용 블랙박스 또는 증강 현실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pable of performing such an operation may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a vehicle navigation system, a vehicle black box, or an augmented reality system.

전자 장치(100)가 차량용 내비게이션이나 증강 현실 시스템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차량의 운행, 유지 등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차량의 운전자 및 동승자에게 알려주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좁은 의미로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그 자체일 수 있으며, 넓은 의미로는 전자 장치(100)과 유무선으로 연동되어 작동하는 각종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a vehicle navigation system or an augmented reality system,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fer to a system that informs the driver and passengers of the vehicle of various data related to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the vehicle. In this case, in a narrow sens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a vehicle navigation itself, and in a broad sens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regarded as a concept including various electronic devices that operate in connec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0 by wired or wirelessly.

이는 전자 장치(100)가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기능을 보완, 증대할 수 있는 각종 전자 디바이스를 연결함으로써 통합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전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는 이동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다른 이동 단말기, 리모컨 등일 수 있다.This may mean tha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figure an integrated system by connecting various electronic devices capable of supplementing and increasing the function of the vehicle navigation system.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configuring the entire system may be another mobile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remote control, or the like.

전자 장치(100)는 차량용 블랙박스로 구현되는 경우, 그 자체 혹은 내비게이션과 일체로 구현될 수 있다.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implemented as a vehicle black box, it may be implemented by itself or integrally with a navigation system.

전자 장치(100)가 차량용 블랙박스로 구현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또는 이동 단말 등과 신호를 교환하여 차량의 사고 처리 과정 등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운행 중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전자 장치(100)에서 저장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고의 경위 및 과실의 정도를 판단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내비게이션 또는 다른 이동 단말과 연결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차량용 내비게이션이나 다른 이동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에서 획득한 영상을 이동 단말에 저장된 맵 (map) 데이터에 매칭시켜 전자 장치(100)의 효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implemented as a vehicle black box,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store data necessary for a vehicle accident processing process by exchanging signals with a vehicle navigation system or a mobile terminal. For example, when an accident occurs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analyzed and used to determine the status of the accident and the degree of negligence. In addition, when connected to a vehicle navigation system or other mobile terminal,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utilize various data stored in the vehicle navigation system or other mobile terminal. For example, this means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be increased by matching the image acquired by the electronic device 100 with map data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전자 장치(100)가 차량용 블랙박스로 구현된 경우에는 주행 중 및 정차 중에 차량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차량의 주행 중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음은 물론, 차량이 정차하여 있는 경우에도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를 통하여 획득된 영상의 화질은, 일정하거나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고의 발생을 전후하여서는 영상의 화질을 높게 하고, 통상적인 경우에는 영상의 화질을 낮게 함으로써 요구되는 저장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핵심적인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implemented as a vehicle black box, vehicle data may be obtained while driving and while stopping.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capture an image while the vehicle is driving, as well as to capture an image even when the vehicle is stopped. The quality of the image acquired through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constant or may be changed. For example, by increasing the image quality before and after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and lowering the image quality in a normal case, it is possible to store essential images while minimizing the required storage spac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 네트워크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The entire system network includ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and Ultra WideBand (UWB). , ZigBee, etc. can communicat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촬영된 주행 영상을 분석하여 주행 차선 정보를 생성하고, 주행 차로를 판단하여, 차선 정보 인터페이스를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nalyze the captured driving image to generate driving lane information, determine a driving lane, and provide it to a user through a lane information interface.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전자 장치(100)의 구성 및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30), 출력부(140), 저장부(150), 전원부(160), 제어부(170), 주행 차선 정보 생성 모듈(180), 주행 차로 판단 모듈(185) 및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 모듈(19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n input unit 120, a sensing unit 130, an output unit 140, a storage unit 150, and a power supply unit ( 160), a control unit 170, a driving lan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80, a driving lane determination module 185, and an augmented reality interface module 190.

통신부(110)는 전자 장치(100)가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하여 마련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위치 데이터 모듈과, 무선 인터넷 모듈과, 방송 송수신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차량의 주행 영상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다른 디바이스 또는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카메라 모듈 등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provided for the electronic device 100 to communicate with other devices.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ll or part of a location data module, a wireless Internet module, a broadcast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and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receive image data including a driving image of a vehicle from another device or a camera modul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위치 데이터 모듈은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를 통하여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는 장치이다. GNSS는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전파신호를 이용하여 수신 단말기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는 항법 시스템을 의미한다. GNSS의 구체적인 예로는, 그 운영 주체에 따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alileo, GLONASS(Global Orbiting Navigational Satellite System), COMPASS, IRNSS(Indian Regional Navigational Satellite System), QZSS(Quasi-Zenith Satellite System) 등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위치 데이터 모듈은, 전자 장치(100)가 사용되는 지역에서 서비스하는 GNSS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The location data module is a device that acquires location data through the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GNSS refers to a navigation system capable of calculating the location of a receiving terminal using radio signals received from satellites. Specific examples of GNSS include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alileo,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al Satellite System), COMPASS, IRNSS (Indian Regional Navigational Satellite System), QZSS (Quasi-Zenith Satellite System), etc. I can. The location data modul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btain location data by receiving a GNSS signal serving in an area where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used.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획득하거나 송신하는 장치이다. 무선 인터넷 모듈을 통하여 접속할 수 있는 무선 인터넷은, WLAN(Wireless LAN),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 일 수 있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is a device that acquires or transmits data by accessing the wireless Internet. The wireless Internet accessible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may be a wireless LAN (WLAN), a wireless broadband (Wibro), a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and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장치이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전술한 바와 같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is a devic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s described abov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may communicate through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유선 통신 모듈은 전자 장치(100)를 다른 디바이스와 유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장치이다. 유선 통신 모듈은, USB Port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는 USB 모듈이거나, 기타 데이터 신호 전송을 위한 케이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is an interface device capable of connect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to other devices by wire.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may be a USB module capable of communicating through a USB port or a cable interface for transmitting other data signals.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필요에 따라서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을 통하여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나아가, 복수의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경우에, 어느 하나는 근거리 통신 모듈로 통신하고, 다른 하나는 유선 통신 모듈을 통하여 통신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기능을 포함하지 않는 전자 장치의 경우, 통신부(110)를 통하여 블랙 박스에서 촬영된 주행 영상을 수신하거나, 차량의 전방을 향하여 설치된 별도의 카메라로부터 주행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other embodiment may communicate with other devices through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or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as necessary. Furthermore, when communicating with a plurality of devices, one of the devices communicates through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other communicates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ly, in the case of an electronic device that does not include a camera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riving image photographed from a black box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or a separate camera installed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is driven. You can receive video.

입력부(120)는 전자 장치(100)의 외부로부터의 물리적 입력을 특정한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입력부(120)는 사용자 입력 모듈과, 마이크 모듈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20 is a device that converts a physical input from the out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into a specific electrical signal. The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user input module and all or part of a microphone module.

사용자 입력 모듈은 사용자가 터치, 푸쉬동작 등을 통하여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장치이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 모듈은 다양한 버튼의 형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센서, 접근하는 모션을 수신하는 근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The user input module is an input device that a user can input through a touch or a push operation. Here, the user input module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various button types, a touch sensor receiving a touch input, and a proximity sensor receiving an approaching motion.

마이크 모듈은 사용자의 음성 및 차량의 내외부에서 발생한 음향을 수신하는 장치이다. The microphone module is a device that receives a user's voice and sound generated inside and outside the vehicle.

센싱부(130)는 전자 장치(100)의 현재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장치이다. 센싱부(130)는 모션 센싱 모듈과, 광 센싱 모듈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30 is a device capable of detecting the current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sensing unit 130 may include a motion sensing module and all or part of a light sensing module.

모션 센싱 모듈은 전자 장치(100)의 3차원 공간 상에서의 운동을 감지할 수 있다. 모션 센싱 모듈은, 3축 지자기 센서 및 3축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싱 모듈을 통하여 획득한 운동 데이터를 위치 데이터 모듈을 통하여 획득한 위치 데이터와 결합하여, 전자 장치(100)를 부착한 차량의 보다 정확한 궤적을 산출할 수 있다.The motion sensing module may detect mo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in a 3D space. The motion sensing module may include a 3-axis geomagnetic sensor and a 3-axis acceleration sensor. By combining the motion data acquired through the motion sensing module with the location data acquired through the location data module, a more accurate trajectory of the vehicle to which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attached may be calculated.

광 센싱 모듈은 전자 장치(100)의 주변 조도(illuminance)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광 센싱 모듈을 통하여 획득한 조도데이터를 이용하여, 출력부(14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밝기를 주변 밝기에 대응되도록 변화시킬 수 있다.The light sensing module is a device that measures ambient illumin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module included in the output unit 140 may be changed to correspond to the ambient brightness using the illumination data acquired through the light sensing module.

출력부(140)는 전자 장치(100)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출력부(140)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오디오 출력 모듈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40 is a device that outputs data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output unit 140 may include all or part of a display module and an audio output module.

디스플레이 모듈은 전자 장치(100)이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 전면(前面)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부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모듈은 전자 장치(100)와 일체로 형성되어 시각적 인식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고, HUD(Head Up Display)와 같이 전자 장치(100)와 별개로 설치되어 증강 현실 등을 통한 시각적 인식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The display module is a device that outputs data that can be visually recognized by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display module may be implemented as a display unit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housing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Here, the display modul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0 to output visual recognition data, and is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0 such as a head up display (HUD) to receive visual recognition data through augmented reality, etc. You can also print it out.

오디오 출력 모듈은 전자 장치(100)가 청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오디오 출력 모듈은,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에게 알려야 할 데이터를 소리를 표현하는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module is a device that outputs data that can be audibly recognized by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audio output module may be implemented as a speaker that expresses sound data to be informed to the user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저장부(15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및 동작에 의하여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저장부(150)는 전자 장치(100)의 내부에 내장된 메모리이거나, 탈착 가능한 메모리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는, OS, 지역 정보 테이블, 주행 차로 정보, 경로 탐색 어플리케이션, 맵(map) 등을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의 동작에 의하여 생성된 데이터는, 주행 차선 정보 테이블, 차선 정보 인터페이스 등일 수 있다.The storage unit 150 is a device that stores data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data generated by the operation. The storage unit 150 may be a memory built into the electronic device 100 or a removable memory.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nclude an OS, an area information table, driving lane information, a route search application, a map, and the like. In addition, data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a driving lane information table, a lane information interface, or the like.

전원부(16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또는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의 동작을 위하여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전원부(160)는, 전자 장치(100)에 내장된 배터리 또는 차량 등의 외부전원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전원부(160)는, 전원을 공급받는 형태에 따라서 유선 통신 모듈로 구현되거나, 무선으로 공급받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60 is a device that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or for the operation of another devic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power supply unit 160 may be a device that receives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such as a battery or a vehicle built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160 may be implemented as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or a device that is supplied wirelessly according to a type of receiving power.

제어부(170)는 전자 장치(100)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나아가, 제어부(170)는 전자 장치(100)에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70 is a device that outputs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various operations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Furthermore, the controller 170 may outpu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nother devic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주행 차선 정보 생성 모듈(180) 및 주행 차로 판단 모듈(185)를 제어하여, 수신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차선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차선 영역 부분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차량이 상기 주행 영상에서 주행하고 있는 차선에 대응하는 주행 차선 정보를 생성하고, 주행 차선 정보에 따라 필요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80 and the driving lane determination module 185 to identify a lane area from the received image data, and Driving lan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lane on which the vehicle is traveling in the driving image may be generated from the image data of the region portion, and necessary processing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보다 구체적으로, 주행 차선 정보 생성 모듈(180)은 제어부(170)에서 수신한 주행 영상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로부터 차선 영역을 식별하고, 차선 영역으로부터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차로를 기준으로 양측에 위치한 각 차선에 대응되는 주행 차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주행 차선 정보는 상기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차로를 기준으로 양측에 위치한 각 차선에 대응되는 차선 종류 정보 및 차선 색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80 identifies the lane area from the image data including the driving image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170, and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lane on which the vehicle is traveling from the lane area. Driving lan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ane may be generated.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lane type information and lane col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lan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lane on which the vehicle is driving.

또한, 주행 차선 정보 생성 모듈(180)은 주행 차선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차선 영역 부분의 영상 데이터에 대해 이진화를 수행하고, 상기 이진화된 부분 영상 데이터로부터 차선 종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80 may perform binarization on the image data of the lane area portion to generate driving lane information, and obtain lane type information from the binarized partial image data.

또한, 주행 차선 정보 생성 모듈(180)은 상기 이진화된 부분 영상 데이터를, 차선의 시간 연속성 정보 및 차선 속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차로의 양 차선 종류가 실선인지 점선인지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주행 차선 정보 생성 모듈(180)은 종류가 식별된 각 차선에 대응되는 색상 정보를 영상 데이터로부터 추출하여 주행 차선 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generating module 180 analyzes the binary partial image data using at least one of the time continuity information and the lane speed information of the lane to determine whether the types of both lanes of the lane the vehicle is driving are solid lines. You can identify if it is a dotted line. In addition,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80 may extract col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lane whose type is identified from the image data and generate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한편, 주행 차로 판단 모듈(185)은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주행 차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주행 영상에서 주행하고 있는 차로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Meanwhile, the driving lane determination module 185 may identify a location of a lane in which the vehicle is driving in the driving image based on driving lane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0.

여기서, 주행 차선 정보는 차량이 주행 중인 차로(lane)를 형성하는 양측 선(line) 각각을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주행 차로는 주행 차선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Here,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indicating each of the lines on both sides forming a lane in which the vehicle is driving, and the driving lan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또한, 주행 차로는 1차로, 중앙 차로 또는 끝차로 등과 같은 중앙선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 차로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같은 주행 차선 정보로 판단하더라도, 국가별 교통법규 등에 따라 주행 차로 판단 모듈(185)이 결정하는 주행 차로는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주행 차로 판단 모듈(185)은 미리 설정된 국가 정보 또는 차로 결정 테이블 등에 기초하여 현재 주행 차로를 결정할 수 있다.Further, the driving lane may mean a position of a relative lane based on a center line such as a first lane, a central lane, or an end lane. Further, even if it is determined based on the same driving lane information, the driving lane determined by the driving lane determination module 185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national traffic laws and the like. Accordingly, the driving lane determination module 185 may determine the current driving lane based on preset country information or a lane determination table.

그리고, 주행 차로 판단 모듈(185)은 판단된 주행 차로 정보를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lane determination module 185 may transmit the determined driving lane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70.

제어부(170)는 주행 차선 정보에 기초하여 필요한 처리를 수행하고,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한다.The control unit 170 performs necessary processing based on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and outputs it through the output unit 140.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주행 차로 판단 모듈(185)에서 판단된 차로 위치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차로 안내 정보를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전자 기기(100)가 차량의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목적지까지의 경로와 상기 판단된 차로 위치에 따라 차로 변경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좌회전 또는 우회전 안내 지점까지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하인 경우, 현재 차로가 좌회전 또는 우회전 가능한지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차로 변경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70 may output lane guidanc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lane determined by the driving lane determination module 185 through the output unit 140.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provides a vehicle navigation function, the controller 170 may output a lane change notification according to a route to a destination and the determined lane position. When the distance to the left or right turn guidance point is less than a certain distance, the controller 170 may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lane is capable of turning left or right and output a lane change notification to the user.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상기 주행 차선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상기 차량의 주행 차로 양측 차선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차선 이탈 경고를 선택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전자 기기(100)가 차선 이탈 경고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이탈한 차선 종류 및 색상에 따라 서로 다른 경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차량이 중앙선을 침범한 경우, 백색 실선을 침범한 경우, 백색 점선을 침범한 경우 또는 청색 선을 침범한 경우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경고 이미지 또는 경고 음성을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for example, the controller 170 may select an appropriate lane departure warning according to the type of lanes on both sides of the driving lane of the vehicle identified based on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and output this to the user.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provides a lane departure warning function, the controller 170 may provide different warnings according to the type and color of the lane departure.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70 selects different warning images or warning voices according to the case where the vehicle invades the center line, the white solid line, the white dotted line, or the blue line. Can be printed.

그리고,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전자 기기(100)가 증강 현실을 기반으로 의 차량 정보 알림을 수행하는 경우,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 모듈(190)과 연동하여 차선 정보 인테페이스를 생성하고,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증강 현실은 차량 앞유리를 이용한 HUD 또는 별도의 영상 출력 장치를 이용한 영상 오버레이 등을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 모듈(190)은 이와 같이 현실 영상 또는 유리에 오버레이되는 인터페이스 이미지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증강 현실 네비게이션 또는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등이 구현될 수 있다.And, for example,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performs vehicle information notific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the control unit 170 generates a lane information interface in connection with th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module 190, and the output unit ( 140). Augmented reality may be provided through a HUD using a vehicle windshield or an image overlay using a separate image output device, and th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module 190 may generate a reality image or an interface image overlaid on the glass. I can. Through this, an augmented reality navigation or vehicle infotainment system may be implemented.

그리고,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 모듈(190)은 주행 차선 생성 모듈(180)에서 생성되는 주행 차선 정보 또는 주행 차로 판단 모듈(185)에서 판단되는 차로 정보에 따라, 증강 현실에 오버레이되는 차선 정보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module 190 may generate a lane information interface overlaid on the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riving lane generating module 180 or the lane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driving lane determining module 185. I can.

그리고, 제어부(170)는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 모듈(190)을 통해 차선 정보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위치 또는 영역을 설정하고, 증강 현실에 오버레이되어 출력되도록 출력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증강 현실에 오버레이되는 차선 정보 인터페이스를 통해 앞서 설명한 차로 변경 알림 또는 차선 이탈 경고 등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output unit 140 to set a position or region where the lane information interface is displayed through th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module 190 and to be overlaid on the augmented reality and output. The controller 170 may perform a lane change notification or a lane departure warning, as described above, through the lane information interface overlaid on the augmented reality.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연결된 시스템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network connected to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네비게이션, 블랙 박스 또는 기타 차량용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등과 같은 차량에 구비되는 각종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다양한 통신망 및 다른 전자 디바이스(61 내지 64)와 접속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devices provided in a vehicle such as a navigation system, a black box, or other vehicl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providing device, and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s.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61 to 64.

또한, 전자 장치(100)는 인공위성(20)으로부터 수신한 전파신호에 따라 GPS모듈을 연동하여 현재의 위치 및 현재 시간대를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alculate a current location and a current time zone by interworking with the GPS module according to the radio signal received from the satellite 20.

각각의 인공위성(20)은 주파수 대역이 상이한 L밴드 주파수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각각의 인공위성(20)에서 송신된 L밴드 주파수가 전자 장치(100)에 도달하는데 까지 소요된 시간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Each satellite 20 may transmit an L-band frequency having a different frequency b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alculate a current location based on a time taken for the L-band frequency transmitted from each satellite 20 to reach the electronic device 100.

한편, 전자 장치(100)는, 통신부(110)을 통하여 제어국(40, ACR), 기지국(50, RAS) 등을 통하여 네트워크(30)에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다. 네트워크(30)에 전자 장치(100)가 접속하면, 네트워크(30)에 접속한 다른 전자 디바이스(61, 62)와도 간접적으로 접속하여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Meanwhi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wirelessly access the network 30 through the control station 40 (ACR), the base station 50 (RAS), etc.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network 30, data can be exchanged by indirectly connecting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61 and 62 connected to the network 30.

한편, 전자 장치(100)는, 통신 기능을 가진 다른 디바이스(63)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네트워크(30)에 접속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30)에 접속할 수 있는 모듈이 전자 장치(100)에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을 통하여 통신 기능을 가진 다른 디바이스(63)와 통신할 수 있다.Meanwhi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ndirectly access the network 30 through another device 63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For example, when a module capable of accessing the network 30 is not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communication with another device 63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or the lik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전자 장치(100)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S101).Referring to FIG. 3, first, the electronic device 100 receives image data (S101).

영상 데이터는 특정 차량의 주행 영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의 주행 영상은 전자 장치(100)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한 영상을 포함할 수도 있고, 다른 디바이스에서 촬영한 영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통신부(110)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별도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입력받을 수 있다The image data may include a driving image of a specific vehicle, and the driving image of the vehicle may include an image captured by a camera module install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or an image captured by another device. The control unit 170 may receive image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or directly input through a separate interface.

예를 들어, 촬영된 주행 영상은 RGB(Red Green Blue)(칼라)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주행 영상은 차량의 앞 유리를 바라보는 위치에 장착된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차량의 전방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hotographed driving image may mean an RGB (Red Green Blue) (color) image. In addition, the driving image may include a front image of the vehicle obtained from a camera mounted at a position facing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영상 데이터로부터 차선 영역을 식별한다(S103).T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identifies a lane area from the image data (S103).

주행 차선 정보 생성 모듈(180)은 영상 데이터의 주행 영상으로부터 차선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행 차선 정보 생성 모듈(180)은 주행 영상을 그레이 영상으로 변환하고, 차선 검출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주행 차량의 양 측에 위치한 각 차선을 식별할 수 있는 영역을 차선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The driving lan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80 may identify a lane area from a driving image of the image data. To this end,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80 converts the driving image into a gray image and performs a lane detection algorithm to determine an area where each lan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driving vehicle can be identified as the lane area.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식별된 차선 영역의 부분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주행 차선 정보를 생성한다(S103).T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generates driving lane information by analyzing partial image data of the identified lane area (S103).

주행 차선 정보 생성 모듈(180)은 검출된 차선 영역에 대해 차선의 패턴 정보 및 색상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각 차선에 대응되는 주행 차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주행 차선 정보는 주행 차량 양 측에 위치한 각 차선에 대응되는 선 종류 정보 및 선 색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lan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80 may generate driving lan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lane by analyzing lane pattern information and color information for the detected lane area.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line type information and line col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lan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driving vehicle.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주행 차선 정보에 따라 필요한 처리를 수행한다(S107).T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performs necessary processing according to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S107).

제어부(170)는 생성된 주행 차선 정보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의 차로 변경 알림, 차선 이탈 경고 또는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통한 차선 정보 알림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행 차로 판단부(185)는 주행 차선 정보로부터 식별되는 주행 차로를 판단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70 may perform a lane change notification, a lane departure warning, or a lane information notification through an augmented reality interface using the generated driving lane information. To this end, the driving lane determination unit 185 may determine a driving lane identified from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170.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주행 차선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in the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a process of acquiring driving lane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컬러 영상 데이터를 그레이 영상으로 변환하고(S201), 변환된 그레이 영상으로부터 차선 영역 검출을 수행한다(S203).Referring to FIG. 4,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received color image data into a gray image (S201), and detects a lane area from the converted gray image (S203).

주행 차선 정보 생성 모듈(180)은 촬영된 주행 영상으로부터 차선을 검출하기 위한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주행 차선 정보 생성 모듈(180)은 도로의 일부분이 그림자 영향을 받으면 차선 검출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그림자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원 주행 영상에 대한 광원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The driving lan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80 may extract a region for detecting a lane from the photographed driving image. In addition,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80 may perform light source correction on the original driving image in order to minimize the shadow influence because it is difficult to detect lanes when a part of the road is affected by a shadow.

그리고, 주행 차선 정보 생성 모듈(180)은 미리 결정된 카메라 위치 또는 카메라 설치 각도에 따라 차선이 존재 가능한 영역을 차선 영역으로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행 차선 정보 생성 모듈(180)은 차선이 시작 가능한 위치를 기점으로 차선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주행 차선 정보 생성 모듈(180)은 차선 영역이 시작되는 위치와 차선 영역의 길이를 주행 영상 내 차로 폭(좌측 차선 영역과 우측 차선 영역 사이의 최대 너비)과 카메라의 시야각으로 추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generating module 180 may detect an area in which a lane can exist as a lane are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amera position or a camera installation angle. For example,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80 may determine a lane area based on a position at which a lane can start. In addition,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80 may estimate the position where the lane area starts and the length of the lane area as the width of the lane in the driving image (the maximum width between the left and right lane areas) and the viewing angle of the camera. .

또한, 주행 차선 정보 생성 모듈(180)은 차선 검출 영역에 해당되는 그레이 영상을 에지 영상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에지 영상에서 추출되는 직선 위치에 기초하여 차선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행 영상은 알려진 다양한 알고리즘을 통해 에지 영상으로 변환될 수 있으며, 에지 영상은 다수의 직선을 나타내는 에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주행 차선 정보 생성 모듈(180)은 검출된 직선의 위치를 차선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주행 차선 정보 생성 모듈(180)은 다수의 직선 후보 중에서 차량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차선의 폭을 가지는 직선의 위치에 기초하여 차선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80 may convert a gray image corresponding to the lane detection region into an edge image, and detect the lane region based on a straight line position extracted from the converted edge image. More specifically, the driving image may be converted into an edge image through various known algorithms, and the edge image may include edges representing a plurality of straight lines. In this case,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generating module 180 may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detected straight line as a lane. In addition,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generating module 180 may determine a lane area based on a position of a straight line having a predetermined lane width with respect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mong a plurality of straight line candidates.

도 5에서는 이와 같은 그레이 영상 변환 및 차선 영역 검출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5 shows a process of converting a gray image and detecting a lane area.

도 5를 참조하면, 최초 입력된 주행 영상은 그레이 영상(200)으로 변환될 수 있으며, 에지 검출 등의 차선 검출 알고리즘을 통해 직선의 차선 영역(201, 202)이 검출될 수 있다. 차선 영역은 차량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차선 영역(201) 및 우측 차선 영역(202)으로 구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first input driving image may be converted into a gray image 200, and straight lane areas 201 and 202 may be detected through a lane detection algorithm such as edge detection. The lane area may be divided into a left lane area 201 and a right lane area 202 based on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다시 도 4를 설명한다.4 will be described again.

이후, 차선 영역이 검출되면, 전자 장치(100)는 차선 영역에 기반하여 차선 종류 관심 영역을 설정한다(S205).Thereafter, when a lane area is detected, the electronic device 100 sets a lane type ROI based on the lane area (S205).

주행 차선 정보 생성 모듈(180)은 차선 영역이 검출되면, 검출된 차선 영역을 기준으로 하는 차선 종류 관심 영역(ROI, Region Of interest)을 설정할 수 있다. 차선 종류 관심 영역은, 차선의 선 종류 및 색상을 판단하기 위한 차선 및 그 주변 일정 영역을 포함하는 주행 영상의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When a lane area is detected,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80 may set a lane type region of interest (ROI) based on the detected lane area. The lane type interest area may mean a portion of a driving image including a lane for determining the line type and color of the lane and a predetermined area around the lane.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서는 그레이 영상에서의 차선 종류 관심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More specifically, FIG. 6 shows a lane type interest area in a gray imag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선 종류 관심 영역(210, 220)은 앞서 검출된 차선 영역 및 그 주변 영역을 일부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선 종류 관심 영역은 차량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차선 종류 관심 영역(210) 및 우측 차선 종류 관심 영역(220)으로 구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lane type ROI 210 and 220 may partially include a previously detected lane area and a peripheral area thereof. Further, the lane type ROI may be divided into a left lane type ROI 210 and a right lane type ROI 220 based on the vehicle traveling direction.

예를 들어, 앞서 검출된 차선 영역은 일반적으로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고, y = a * x + b 와 같은 수식으로 표현되는 경우, 차선 종류 관심 영역은 y = a * x + b + m 및 y = a * x + b - m 을 모두 포함하는 영역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는 기존의 단순 차선 검출 방식과 달리, 구체적이고 다양한 주행 차선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방식으로서, 주행 차선 정보 생성 모듈(180)은 검출된 직선의 차선 영역을 확장하여 그 주변 영역까지 관심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eviously detected lane area may be generally formed as a straight line, and when expressed by an equation such as y = a * x + b, the lane type region of interest is y = a * x + b + m and y = a * x + b-m can be represented as a region including all. Unlike the existing simple lane detection method, this is a method for generating detailed and various driving lane information.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80 can expand the detected line lane area and set the surrounding area as a region of interest. have.

다시 도 4를 설명한다.4 will be described again.

이후, 전자 장치(100)는 차선 종류 관심 영역에 대해 이진화를 수행하고(S207), 이진화된 부분 그레이 영상을 1차원 영역으로 매핑하며(S209), 시각 연속성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선 종류를 식별한다(S211).Thereafter, the electronic device 100 performs binarization on the lane type ROI (S207), maps the binarized partial gray image to a one-dimensional region (S209), and uses at least one of visual continuity and speed To identify (S211).

주행 차선 정보 생성 모듈(180)은 변환된 그레이 영상으로부터 차선 종류 관심 영역의 부분 그레이 영상을 추출하고, 부분 그레이 영상에 대해 이진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진화를 위한 기준값은 관심 영역의 부분 그레이 영상의 평균 휘도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행 차선 정보 생성 모듈(180)은 부분 그레이 영상으로부터 차선으로 판단되는 부분만을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The driving lan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80 may extract a partial gray image of a lane type ROI from the converted gray image and perform binarization on the partial gray image. The reference value for binarization may be determined as an average luminance value of the partial gray image of the ROI. Accordingly,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80 can clearly distinguish only a portion determined as a lane from the partial gray image.

그리고, 주행 차선 정보 생성 모듈(180)은 이진화된 부분 그레이 영상에서 식별되는 각 선을(좌측 및 우측) 1차원 영역으로 매핑할 수 있다. 그리고, 1차원 영역으로 매핑된 각 선의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선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80 may map each line (left and right) identified in the binary partial gray image to a one-dimensional area. And, by analyzing the pattern of each line mapped to the one-dimensional area, the line type can be identified.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에서는 그레이 영상에서의 차선 종류 관심 영역 이진화 및 1차원 매핑을 나타내고 있다.More specifically, FIG. 7 shows the binarization and one-dimensional mapping of a lane type ROI in a gray imag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선 종류 관심 영역에 대한 이진화가 수행되면, 이진화된 영상(300)이 획득될 수 있다. 이진화된 영상(300)에서, 흰색으로 나타나는 부분을 차선으로 식별할 수 있으며, 그 외의 부분은 흑색으로 식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when binarization is performed on a lane-type ROI, a binarized image 300 may be obtained. In the binarized image 300, a portion indicated by white may be identified as a lane, and other portions may be identified as black.

그리고, 이진화된 영상(300)에서 식별되는 각 선은 1차원 영역으로 매핑될 수 있다. 주행 차선 정보 생성 모듈(180)은 1차원 영역으로 매핑된 영상(310)을 이용하여 선 종류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line identified in the binarized image 300 may be mapped to a one-dimensional region.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80 may easily determine a line type by using the image 310 mapped to the 1D area.

예를 들어, 주행 차선 정보 생성 모듈(180)은 1차원으로 매핑된 각 선의 시작점 및 길이 특징에 기초하여 점선 또는 실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주행 차선 정보 생성 모듈(180)은 1차원으로 매핑된 각 선의 시간에 대한 연속성 및 속도를 이용하여 점선 또는 실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주행 차선 정보 생성 모듈(180)은 1차적으로 상기 시작점 및 길이 특징에 따라 점선 또는 실선을 결정한 후, 2차적으로 시간 연속성 및 속도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점선 또는 실선을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80 may determine whether a dotted line or a solid line is based on a starting point and a length feature of each line mapped in one dimension. In addition,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generating module 180 may determine whether a dotted line or a solid line is made using the continuity and speed of each line mapped in one dimension. Further,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80 may first determine a dotted line or a solid line according to the starting point and length characteristics, and then secondly determine a dotted line or a solid line using time continuity and speed.

보다 구체적으로, 주행 차선 정보 생성 모듈(180)은 먼저 각 선의 시작점 위치에 따른 선 길이를 비교 판별하여 점선 또는 실선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주행 차선 정보 생성 모듈(180)은 하나의 영상 프레임만으로도 점선 또는 실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80 may first determine whether a dotted line or a solid line by comparing and determining a line length according to a starting point position of each line. In this case,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80 ma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dotted line or a solid line with only one image frame.

또한, 주행 차선 정보 생성 모듈(180)은 각 선이 시간에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지 여부에 따라 점선인지 실선인지를 보다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행 차선 정보 생성 모듈(180)은 영상 내에서의 선 이동 속도에 따른 연속성 정도를 미리 설정하고, 각 선의 연속성이 미리 설정된 연속성 정도 값보다 낮은 경우 점선으로 판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80 may more clearly determine whether each line is a dotted line or a solid line depending on whether each line is continuously formed over time. For example,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80 may preset a degree of continuity according to a line movement speed in an image, and may determine a continuity degree as a dotted line when the continuity of each line is lower than a preset continuity degree valu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의 프레임을 통해 점선 또는 실선 여부를 미리 구별하고, 연속되는 프레임을 통해 이를 검증함으로써 최종적인 선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Accordingl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 final line type by pre-distinguishing whether a dotted line or a solid line is performed through one frame and verifying it through successive frames.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컬러인 원본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종류가 식별된 선 부분의 색상을 검출한다(S213).Referring back to FIG. 4, the electronic device 100 detects a color of a line portion whose type is identified from original image data that is color (S213).

주행 차선 정보 생성 모듈(180)은 컬러 영상을 분석하여, 앞서 종류가 식별된 선에 해당하는 부분의 색상을 검출하고, 이를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행 차선 정보 생성 모듈(180)은 검출된 색상을 백색, 황색 또는 청색으로 분류할 수 있다.The driving lan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80 may analyze a color image, detect a color of a portion corresponding to a line whose type has been previously identified, and classify it. For example,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80 may classify the detected color into white, yellow, or blue.

이후, 전자 장치(100)는 식별된 선 종류 및 분류된 색상에 기초하여 주행 차선 정보를 생성하고(S215), 생성된 주행 차선 정보에 따라 필요한 처리를 수행한다(S217).Thereafter, the electronic device 100 generates driving lane information based on the identified line type and the classified color (S215), and performs necessary processing according to the generated driving lane information (S217).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생성하는 주행 차선 정보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8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driving lane information generated by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 차선 정보는 선 위치, 선 종류 또는 선 색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테이블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주행 차선 정보를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다른 정보가 부가되거나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As shown in FIG. 8,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line position, line type, or line color information, and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table. This is for exemplifying driving lane information, and it is obvious that other information may be added or changed.

도 8의 예시와 같이, 선 위치는 좌측선 또는 우측선일 수 있으며, 선 종류는 그 패턴에 따라 점선 또는 실선일 수 있다. 또한, 선 색상은 황색, 백색 또는 청색 중 어느 하나로 분류될 수 있다. 그러나, 각 국가별 통행 법규에 따라 선 종류와 색상 등은 다른 값으로 지정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8, the line position may be a left line or a right line, and the line type may be a dotted line or a solid line according to the pattern. In addition, the line color may be classified as yellow, white, or blue. However, the line type and color may be assigned different values according to the traffic laws of each country.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주행 차선 정보에 따른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9 to 11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driving lane inform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주행 차로 변경 안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guiding a change in a driving lan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전자 장치(100)는 주행 차선 정보를 생성한다(S303). 주행 차선 정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first, the electronic device 100 generates driving lane information (S303).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y a method as shown in FIG. 4.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주행 차선 정보에 따라 현재 차로 위치를 식별하고(S305), 차로 위치에 따라 주행 차로 변경 안내를 수행한다(S307).T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identifies the current lane loca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S305), and performs a driving lane change guide according to the lane location (S307).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주행 차로 판단 모듈(185)로부터 판단되는 주행 차로에 따라 현재 차로 위치를 식별하고, 차로 위치에 따라 주행 차로 변경 안내가 필요한 경우 차로 변경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7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identifies the current lane loca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lane determined by the driving lane determination module 185, and changes the lane when guidance on changing the driving lane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lane location. Guidance can be followed.

도 10에서는 이와 같은 주행 차로 판단을 위한 차로 정보 테이블을 나타낸다. 주행 차로 판단 모듈(185)은 차로 정보 테이블과 주행 차선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중앙선을 기준으로 하는 상대적 차로 위치를 판단하고, 제어부(170)로 출력할 수 있다. 10 shows a lane information table for determining such a driving lane. The driving lane determination module 185 may determine a location of a relative lane based on the center line by comparing the lane information table with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and may output it to the control unit 170.

여기서 상대적 차로 위치는 1차선, 중앙차선, 끝차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국가 별 교통법에 따라 상이하게 지정될 수 있다. 따라서, 차로 정보 테이블에는 국가, 좌측선 종류 및 색상, 우측선 종류 및 색상에 따라 결정되는 주행 차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Here, the position of the relative lane may be any one of a first lane, a center lane, and an end lane, and may be differently designated according to traffic laws for each country. Accordingly, the lane information table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driving lane determined according to a country, a left line type and color, and a right line type and color.

따라서, 주행 차로 판단 모듈(185)은 현재 차량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생성된 주행 차선 정보에 기초하여 차로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가가 대한민국으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 좌측선이 황색 실선이고 우측선이 백색 점선인 경우 주행 차로 판단 모듈(185)은 중앙선을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1차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좌측선이 백색 점선이고 우측선이 백색 실선인 경우 주행 차로 판단 모듈(185)은 끝차로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도 10과 같은 테이블은 예시일 수 있으며, 설정에 따라 국가별 또는 상황별로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driving lane determination module 185 ma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lane based on driving lan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current vehicle. For example, when the country is designated as Korea, when the left line is a solid yellow line and the right line is a white dotted line, the driving lane determination module 185 may determine as the closest primary lane based on the center line. In addition, when the left line is a white dotted line and the right line is a white solid line, the driving lane determination module 185 may determine the end lane. However, the table shown in FIG. 10 may be an example, and may be set to different values for each country or situation according to the setting.

제어부(170)는 이와 같이 판단된 차로 위치에 기초하여 차로 변경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네비게이션 안내를 수행하는 경우, 경로상 턴 지점에 도달하기 전에 미리, 차로 위치에 따라 차로 변경 필요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에게 차로 변경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70 may perform a lane change guide based on the determined lane position. For example, when performing a navigation guide, the controller 170 may determine whether a lane change is necessary according to a position of a lane in advance before reaching a turn point on a path, and may notify the user of a lane chang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기존의 단순한 차선 인식을 보완하여 상대적 차로 위치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차로 변경 알림에 있어서, 턴 가능한 차로까지 변경할 수 있도록 차로 변경을 지속적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su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cation of a relative lane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by supplementing the existing simple lane recognition. Accordingly, in the lane change notification, the control unit 170 can continuously induce a lane change so as to change to a turnable lane.

도 11은 전자 장치(100)의 주행 차선 정보에 따른 차선이탈 경보 방법을 설명한다.11 illustrates a lane departure warning method according to driving lan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전자 장치(100)는 주행 차선 정보를 생성한다(S303). 주행 차선 정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first, the electronic device 100 generates driving lane information (S303).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y a method as shown in FIG. 4.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주행 차선 정보에 따라 주행 중인 방향을 기준으로 차량 양측 차선의 선 종류 및 선 색상을 각각 식별한다(S305). Further, the electronic device 100 identifies a line type and a line color of both lanes of the vehicle based on the driving direc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S305).

이후, 전자 장치(100)는 차선을 이탈한 경우, 이탈한 차선의 선 종류 및 선 색상에 따라 적절한 차선이탈 경보를 선택하여 출력한다(S307).Thereafter,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leaves a lane, the electronic device 100 selects and outputs an appropriate lane departure warning according to the line type and color of the lane (S307).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주행 차선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상기 차량의 주행 차로 양측 차선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차선 이탈 경고를 선택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전자 기기(100)가 차선 이탈 경고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이탈한 차선 종류 및 색상에 따라 서로 다른 경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차량이 중앙선을 침범한 경우, 백색 실선을 침범한 경우, 백색 점선을 침범한 경우 또는 청색 선을 침범한 경우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경고 이미지 또는 경고 음성을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7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select an appropriate lane departure warning according to the type of lanes on both sides of the driving lane of the vehicle identified based on driving lane information, and output this to the user. have.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provides a lane departure warning function, the controller 170 may provide different warnings according to the type and color of the lane departure.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70 selects different warning images or warning voices according to the case where the vehicle invades the center line, the white solid line, the white dotted line, or the blue line. Can be printed.

그리고, 도 9 내지 11에서 설명되는 차로 변경 알림 또는 차선 이탈 경고의 경우, 앞서 설명한 증강 현실을 기반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 모듈(190)과 연동하여 차선 정보 인테페이스를 생성하고,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ane change notification or lane departure warning described in FIGS. 9 to 11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augmented reality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70 may generate a lane information interface in conjunction with th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module 190 and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40.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자 기기(100)에 주행 차선 정보 생성 모듈(180) 및 주행 차로 판단 모듈(185)이 포함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각 모듈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외부 별도 서버에 위치하여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주행 영상을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외부 서버는 주행 차선 정보를 생성하거나 주행 차로를 판단하여 제어부(170)로 응답 전송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llustrated that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generating module 180 and the driving lane determining module 185 are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but each module is located in an external device or an external separate server. It can also be operated independently. For example, the controller 170 may transmit a driving image to an external server, and the external server may generate driving lane information or determine a driving lane and transmit a response to the controller 170.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각 서버 또는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Meanwhile, the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code and provided to each server or devices while being stored in various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 have.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The 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refers to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and can be read by a device, not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moment, such as a register, cache, or memory. Specifically, the above-described various applications or programs may be provided by being stored in a 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such as a CD, DVD, hard disk, Blu-ray disk, USB, memory card, and ROM.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n addition,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1)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카메라 및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시,
이동되고 있는 차량의 경로를 가이드하는 동안, 이동되고 있는 차량(vehicle)의 전방에 대한 복수의 이미지들을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경로를 따라(along) 이동되기 위해 상기 차량의 주행 차선에서 턴(turn)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차량이 상기 주행 차선에서 턴을 수행할 수 없음을 식별하는 동안, 상기 차량의 상기 턴이 요구되는 상기 경로 상의 위치와 상기 차량 사이의 거리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거리가 지정된 거리 이하임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차선의 변경이 상기 턴을 위해 요구됨을 가이드하기 위한 알림(notification)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도록,
상기 전자 장치를 야기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In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one or more programs,
The one or more programs,
When executed by at least one processor of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amera and a display,
While guiding the path of the vehicle being moved, a plurality of images of the front of the vehicle being moved are acquired through the camera,
Based on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images, identify whether the vehicle can perform a turn in a driving lane of the vehicle in order to move along the path,
While identifying that the vehicle is unable to perform a turn in the driving lane, identifying a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a position on the path for which the turn of the vehicle is required,
Based on identifying that the identified distance is less than or equal to a specified distance, to display a notification through the display for guiding that a change in the driving lane of the vehicle is required for the turn,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ontaining instructions that cause the electronic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은,
제1 프레임에서의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1 프레임 다음의 제2 프레임에서의 제2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시,
상기 제1 이미지로부터 상기 차량에 인접한 차선들을 식별하고,
상기 제1 이미지로부터 식별된 상기 차선들 각각의 유형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이미지 내에서의 상기 차선들과 상기 제2 이미지 내에서의 상기 차선들 사이의 위치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결정의 결과를 검증하도록,
상기 전자 장치를 더(further) 야기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images,
A first image in a first frame and a second image in a second frame following the first frame,
When the one or more programs are executed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of the electronic device,
Identify lanes adjacent to the vehicle from the first image,
Determining a type of each of the lanes identified from the first image,
To verify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ased on a change in position between the lanes in the first image and the lanes in the second image,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ontaining instructions that further cause the electronic devic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시,
상기 차선들 각각의 유형에 기반하여, 상기 경로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차선들 중 상기 주행 차선과 상기 복수의 차선들 중 남은 차선들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식별하도록,
상기 전자 장치를 더(further) 야기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one or more programs are executed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of the electronic device,
Based on the type of each of the lanes, to identify a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driving lane among the plurality of lanes arranged along the route and the remaining lanes of the plurality of lanes,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ontaining instructions that further cause the electronic devic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시,
이동되고 있는 상기 차량이 상기 주행 차선을 이탈함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경로의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위에 중첩으로, 상기 차량이 상기 주행 차선을 이탈함을 가이드하기 위한 알림을 표시하도록,
상기 전자 장치를 더(further) 야기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one or more programs are executed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of the electronic device,
Based on identifying that the vehicle being moved deviates from the driving lane, superimposing on the user interfac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to provide a guide of the route, guiding that the vehicle leaves the driving lane To display a notification for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ontaining instructions that further cause the electronic devic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위에 중첩된 상기 알림은,
HUD(heap-up display)인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notification superimposed on the user interface,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that is a heap-up display (HU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시,
상기 제1 이미지로부터 변환된 바이너리 이미지(binary image)를 획득하고,
상기 바이너리 이미지로부터 상기 차선들을 식별하도록,
상기 전자 장치를 더(further) 야기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one or more programs are executed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of the electronic device,
Acquiring a binary image converted from the first image,
To identify the lanes from the binary image,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ontaining instructions that further cause the electronic devic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시,
상기 바이너리 이미지로부터 식별된 상기 차선들을 포함하는 영역들을 관심 영역(region of interest)들로 식별하고,
상기 관심 영역들로 식별된 상기 영역들에 대한 이진화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차선들 각각의 유형을 결정하도록,
상기 전자 장치를 야기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one or more programs are executed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of the electronic device,
Identify regions including the lanes identified from the binary image as regions of interest,
To determine a type of each of the lanes by performing binarization on the regions identified as the regions of interest,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ontaining instructions that cause the electronic device.
카메라 및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를 동작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이동되고 있는 차량의 경로를 가이드하는 동안, 이동되고 있는 차량(vehicle)의 전방에 대한 복수의 이미지들을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하는 동작과,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경로를 따라(along) 이동되기 위해 상기 차량의 주행 차선에서 턴(turn)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과,
상기 차량이 상기 주행 차선에서 턴을 수행할 수 없음을 식별하는 동안, 상기 차량의 상기 턴이 요구되는 상기 경로 상의 위치와 상기 차량 사이의 거리를 식별하는 동작과,
상기 식별된 거리가 지정된 거리 이하임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차선의 변경이 상기 턴을 위해 요구됨을 가이드하기 위한 알림(notification)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In the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amera and a display,
An operation of acquiring through the camera a plurality of images of the front of the vehicle being moved while guiding the path of the vehicle being moved;
An operation of identifying whether a turn can be performed in a driving lane of the vehicle in order to move the vehicle along the path, ba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images; and
An operation of identifying a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a position on the route for which the turn of the vehicle is required while identifying that the vehicle cannot perform a turn in the driving lane; and
And displaying, on the display, a notification for guiding that a change in the driving lane of the vehicle is required for the turn, based on identifying that the identified distance is less than or equal to a specified distanc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은,
제1 프레임에서의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1 프레임 다음의 제2 프레임에서의 제2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이미지로부터 상기 차량에 인접한 차선들을 식별하는 동작과,
상기 제1 이미지로부터 식별된 상기 차선들 각각의 유형을 결정하는 동작과,
상기 제1 이미지 내에서의 상기 차선들과 상기 제2 이미지 내에서의 상기 차선들 사이의 위치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결정의 결과를 검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lurality of images,
A first image in a first frame and a second image in a second frame following the first frame,
The above method,
Identifying lanes adjacent to the vehicle from the first image;
Determining a type of each of the lanes identified from the first image; and
And verifying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ased on a change in position between the lanes in the first image and the lanes in the second imag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차선들 각각의 유형에 기반하여, 상기 경로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차선들 중 상기 주행 차선과 상기 복수의 차선들 중 남은 차선들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식별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identifying a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driving lane among the plurality of lanes arranged along the route and the remaining lanes among the plurality of lanes, based on the type of each of the lanes.
청구항 10에 있어서,
이동되고 있는 상기 차량이 상기 주행 차선을 이탈함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경로의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위에 중첩으로, 상기 차량이 상기 주행 차선을 이탈함을 가이드하기 위한 알림을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Based on identifying that the vehicle being moved deviates from the driving lane, superimposing on the user interfac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to provide a guide of the route, guiding that the vehicle leaves the driving lane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displaying a notification for.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위에 중첩된 상기 알림은,
HUD(heap-up display)인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notification superimposed on the user interface,
A method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which is a heap-up display (HUD).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차선들을 식별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이미지로부터 변환된 바이너리 이미지(binary image)를 획득하는 동작과,
상기 바이너리 이미지로부터 상기 차선들을 식별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operation of identifying the lanes,
Obtaining a binary image converted from the first image, and
And identifying the lanes from the binary image.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차선들 각각의 유형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바이너리 이미지로부터 식별된 상기 차선들을 포함하는 영역들을 관심 영역(region of interest)들로 식별하는 동작과,
상기 관심 영역들로 식별된 상기 영역들에 대한 이진화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차선들 각각의 유형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determining the type of each of the lanes,
An operation of identifying regions including the lanes identified from the binary image as regions of interest,
And determining a type of each of the lanes by performing binarization on the regions identified as the regions of interest.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카메라;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할 시,
이동되고 있는 차량의 경로를 가이드하는 동안, 이동되고 있는 차량(vehicle)의 전방에 대한 복수의 이미지들을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경로를 따라(along) 이동되기 위해 상기 차량의 주행 차선에서 턴(turn)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차량이 상기 주행 차선에서 턴을 수행할 수 없음을 식별하는 동안, 상기 차량의 상기 턴이 요구되는 상기 경로 상의 위치와 상기 차량 사이의 거리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거리가 지정된 거리 이하임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차선의 변경이 상기 턴을 위해 요구됨을 가이드하기 위한 알림(notification)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In the electronic device,
display;
camera;
A memory configured to store instructions; And
A processor, wherein the processor, when executing the instructions,
While guiding the path of the vehicle being moved, a plurality of images of the front of the vehicle being moved are acquired through the camera,
Based on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images, identify whether the vehicle can perform a turn in a driving lane of the vehicle in order to move along the path,
While identifying that the vehicle is unable to perform a turn in the driving lane, identifying a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a position on the path for which the turn of the vehicle is required,
Based on identifying that the identified distance is less than or equal to a specified distance, to display a notification through the display for guiding that a change in the driving lane of the vehicle is required for the turn,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은,
제1 프레임에서의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1 프레임 다음의 제2 프레임에서의 제2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할 시,
상기 제1 이미지로부터 상기 차량에 인접한 차선들을 식별하고,
상기 제1 이미지로부터 식별된 상기 차선들 각각의 유형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이미지 내에서의 상기 차선들과 상기 제2 이미지 내에서의 상기 차선들 사이의 위치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결정의 결과를 검증하도록,
더 구성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plurality of images,
A first image in a first frame and a second image in a second frame following the first frame,
The processor, when executing the instructions,
Identify lanes adjacent to the vehicle from the first image,
Determining a type of each of the lanes identified from the first image,
To verify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ased on a change in position between the lanes in the first image and the lanes in the second image,
Electronic device further configured.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할 시,
상기 차선들 각각의 유형에 기반하여, 상기 경로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차선들 중 상기 주행 차선과 상기 복수의 차선들 중 남은 차선들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식별하도록,
더 구성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processor, when executing the instructions,
Based on the type of each of the lanes, to identify a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driving lane among the plurality of lanes arranged along the route and the remaining lanes of the plurality of lanes,
Electronic device further configured.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할 시,
이동되고 있는 상기 차량이 상기 주행 차선을 이탈함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경로의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위에 중첩으로, 상기 차량이 상기 주행 차선을 이탈함을 가이드하기 위한 알림을 표시하도록,
더 구성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processor, when executing the instructions,
Based on identifying that the vehicle being moved deviates from the driving lane, superimposing on the user interfac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to provide a guide of the route, guiding that the vehicle leaves the driving lane To display a notification for
Electronic device further configured.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HUD(head-up display)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display,
An electronic device further comprising a head-up display (HUD).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할 시,
상기 제1 이미지로부터 변환된 바이너리 이미지(binary image)를 획득하고,
상기 바이너리 이미지로부터 상기 차선들을 식별하도록,
더 구성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processor, when executing the instructions,
Acquiring a binary image converted from the first image,
To identify the lanes from the binary image,
Electronic device further configured.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할 시,
상기 바이너리 이미지로부터 식별된 상기 차선들을 포함하는 영역들을 관심 영역(region of interest)들로 식별하고,
상기 관심 영역들로 식별된 상기 영역들에 대한 이진화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차선들 각각의 유형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processor, when executing the instructions,
Identify regions including the lanes identified from the binary image as regions of interest,
To determine a type of each of the lanes by performing binarization on the regions identified as the regions of interest,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KR1020200175025A 2014-03-31 2020-12-15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994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025A KR102299499B1 (en) 2014-03-31 2020-12-15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762A KR20150113589A (en) 2014-03-31 2014-03-31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200175025A KR102299499B1 (en) 2014-03-31 2020-12-15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7762A Division KR20150113589A (en) 2014-03-31 2014-03-31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5818A true KR20210005818A (en) 2021-01-15
KR102299499B1 KR102299499B1 (en) 2021-09-08

Family

ID=74126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025A KR102299499B1 (en) 2014-03-31 2020-12-15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499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5746A (en) * 2011-08-04 2013-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detecting lane and method thereof
KR101252015B1 (en) * 2012-08-16 2013-04-09 주식회사 피엘케이 테크놀로지 Navigation system for judging route change of vehicle
KR20130095578A (en) * 2012-02-20 2013-08-28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road lane recognition by surface region and geometry information
KR20130095967A (en) * 2012-02-21 2013-08-29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Lane detec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JP2014048141A (en) * 2012-08-31 2014-03-17 Aisin Aw Co Ltd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intersection guid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5746A (en) * 2011-08-04 2013-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detecting lane and method thereof
KR20130095578A (en) * 2012-02-20 2013-08-28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road lane recognition by surface region and geometry information
KR20130095967A (en) * 2012-02-21 2013-08-29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Lane detec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KR101252015B1 (en) * 2012-08-16 2013-04-09 주식회사 피엘케이 테크놀로지 Navigation system for judging route change of vehicle
JP2014048141A (en) * 2012-08-31 2014-03-17 Aisin Aw Co Ltd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intersection gui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499B1 (en) 2021-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3256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8944454B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10147001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55432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0091798B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11030816B2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233391B1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170011709A1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device, display control program, display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160065723A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299499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99500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99501B1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371620B1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