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4894A - 피부당화 정보에 기반한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부당화 정보에 기반한 추천 시스템 - Google Patents
피부당화 정보에 기반한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부당화 정보에 기반한 추천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04894A KR20210004894A KR1020200083056A KR20200083056A KR20210004894A KR 20210004894 A KR20210004894 A KR 20210004894A KR 1020200083056 A KR1020200083056 A KR 1020200083056A KR 20200083056 A KR20200083056 A KR 20200083056A KR 20210004894 A KR20210004894 A KR 202100048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kin
- saccharification
- information
- extract
- us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1—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by measuring fluorescence emis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피부당화 정보에 기반한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1000)은 측정부(1100), 분석부(1200) 및 표시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데이터 베이스(1400), 예를 들어 성분 데이터 베이스와 화장품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비침습적 자발형광 피부 당화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부 상태와 피부당화 측정값의 상관관계를 연구할 수 있으며,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측정된 피부당화 수치에 따른 피부노화 지수 분석 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비침습적 자발형광 피부 당화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부 상태와 피부당화 측정값의 상관관계를 연구할 수 있으며,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측정된 피부당화 수치에 따른 피부노화 지수 분석 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시예는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 및 추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당화 정보에 기반한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부당화 정보에 기반한 추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실시예는 사용자의 피부당화 정보에 기초하여 비 침습적으로 피부노화 지수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최적 또는 맞춤형 화장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추천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피부에 누적된 최종 당화산물(AGEs)은 주름증가, 탄력감소, 피부건조 등 다양한 피부 노화 현상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피부의 누적 최종 당화산물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피부조직검사(Skin biopsy)와 같은 침습적인 방법이 필요하기 때문에, 화장품 관련하여 인체시험 연구 분야에 적용하는데 제한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 선행기술에는 인체 피부의 당화산물(AGEs)을 자가형광으로 측정하여 당뇨 등과 관련된 다양한 인체 질환들에 대한 진단 가능성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있었다(하기 선행기술문헌 참조).
예를 들어, 선행 특허문헌 1 내지 선행 특허문헌 발명4와 선행 특허문헌 7은 당화측정의 정확도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발명이며, 선행 특허문헌 5와 선행 특허문헌 7은 건강문제를 조기 진단하고자 하는 발명이며, 선행 특허문헌 8은 혈당 바이오센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런데 종래 선행기술들은 자가형광으로 인체 피부의 당화산물(AGEs)을 측정하여 당뇨 등과 관련된 전반적인 건강 진단 가능성을 향상시키는 점에 초점을 두는 것인데, 안면의 각 영역 부위별 당화 누적정도를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각 영역 부위별 당화 누적 정도를 효과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점이 있다.
이에 따라 비침습적으로 피부 최종 당화산물을 평가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면 다양한 최종 당화산물 억제 효능을 손쉽게 평가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좀더 적합한 제품군을 추천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할 수 있다.
실시예는 비침습적으로 사용자의 피부 최종 당화산물을 평가함으로써 피부당화 정보에 기반한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부당화 정보에 기반한 추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실시예는 사용자 안면의 각 영역 부위별 당화 누적정도를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각 영역 부위별 당화 누적 정도를 효과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 및 피부당화 정보에 기반한 추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는 비침습적 자발형광 피부 당화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부 상태와 피부당화 측정값의 상관관계를 연구할 수 있으며,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측정된 피부당화 수치에 따른 피부노화 지수 분석 방안을 제공이 가능한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 및 피부당화 정보에 기반한 추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는 피부당화 산물 억제 및 분해 기능을 가지는 제품들의 당화 생성물 분해 효능을 분석하여 추천 제품 목록을 만들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 및 피부당화 정보에 기반한 추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피부당화 정보에 기반한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1000)은 측정부(1100), 분석부(1200) 및 표시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데이터 베이스(1400), 예를 들어 성분 데이터 베이스와 화장품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비침습적 자발형광 피부 당화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부 상태와 피부당화 측정값의 상관관계를 연구할 수 있으며,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측정된 피부당화 수치에 따른 피부노화 지수 분석 방안을 개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피부당화 산물 억제 및 분해 기능을 가지는 제품들의 당화 생성물 분해 효능을 분석하여 추천 제품 목록을 만들고 이를 사용자에게 시스템을 통해 추천할 수 있다.
또한 피부당화 정보에 기반한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은, 사용자 피부에 대한 비침습적인 자발 형광 검출을 진행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피부의 피부 당화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된 피부 당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 당화 정보는, 상기 사용자 피부의 각 영역 부위별 당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각 영역 부위별 당화 정보를 색상변화로 환산하고 오버레이하여 색상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는, 일반광 피부 영상 측정단계, 형광 피부 영상측정 단계 및 개인정보 수집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분석부는, 상기 일반광 피부 영상과 상기 형광 피부 영상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피부 당화 등급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당화 등급에 기반하여 피부 노화를 예측 단계, 및 성분,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주름 생성 위험도 등급 표시부, 탄력 감소 위험도 등급 표시부, 수분 감소 위험도 등급 표시부 및 설문 등급 표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는, 상기 사용자 피부 중 제1 피부 영역이 가시광선 영역의 반사광을 방출하도록 상기 제1 피부 영역을 제1 노출 광에 노출시키는 제1 단계를 진행하며, 상기 제1 노출 광은 백색광을 방사하는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가시광선 영역의 반사광을 촬영하는 제2 단계를 진행하며, 상기 사용자 피부가 형광을 방출하도록 상기 제1 피부 영역을 제2 광원인 여기광에 노출시키는 제3 단계를 진행하며, 상기 제2 광원은 340nm 내지 400㎚의 UV 파장을 포함하며, 스위칭 제어부의 형광 제어 필터를 통해 430~450 ㎚을 방출광을 선택하여 카메라로 촬영하는 제4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분석부는, 연산부에서 상기 제2 단계 및 상기 제4 단계 측정 이미지의 동일 부위 ROI(Region of Image)를 선정하고, 상기 제2 단계 피부 반사광 측정 강도(IV)와 상기 제4 단계 형광 방출광 강도(IUV)를 계산하는 제5 단계를 진행하며, 상기 연산부에서 상기 제4 단계 형광 방출광 강도(IUV)를 보정하여 형광 방출광 강도(AF)를 계산하는 제6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에서 상기 제4 단계 형광 방출광 강도(IUV)를 보정하여 형광 방출광 강도(AF)를 계산하는 상기 제6 단계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진행될 수 있다.
[수학식 1]
(α, β값은 상기 제2 단계 및 상기 제4 단계 피부 측정 데이터의 상관관계를 선형회귀(linear regression)한 계산 값임)
실시예는 상기 제6 단계에서 보정된 형광 방출광 강도(AF)를 사용자 개인 연령에 대한 표준 곡선에 플로팅(plotting)하여 피부 노화 위험도를 계산하는 제7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비침습적 자발형광 피부 당화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부 상태와 피부당화 측정값의 상관관계를 연구할 수 있으며,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측정된 피부당화 수치에 따른 피부노화 지수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부당화 정보에 기반한 추천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는 사용자 안면의 각 영역 부위별 당화 누적정도를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각 영역 부위별 당화 누적 정도를 효과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 및 피부당화 정보에 기반한 추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의하면, 비침습적 자발형광 피부 당화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고객의 주름, 탄력, 수분과 피부당화 측정값의 상관관계를 연구하고,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피부 당화 수치에 따른 피부 노화 지수 분석 알고리즘을 개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피부당화 산물 억제 및 분해 기능을 가지는 제품들의 당화 생성물 분해 효능을 분석하여 추천 제품 목록을 만들고 이를 사용자에게 시스템을 통해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의하면 피부당화 산물 억제 및 분해 기능을 소구하는 제품의 인체효능 평가시스템을 구축하여 당화산물(AGEs) 분해, 억제 효능을 가지는 제품 목록을 소비자에게 추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피부에 축적된 최종 당화산물(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을 비침습적인 자발 형광(Autofluorescence) 검출방법을 통해 측정하고, 사용자의 피부당화 수준을 바탕으로 피부의 노화 수준을 진단하고, 피부 당화와 노화를 억제할 수 있는 화장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추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피부당화 정보에 기반한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피부당화 정보에 기반한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에서 표시부의 상세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에서 표시부에서 피부 당화 수치 이미지 표시 예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피부당화 정보에 기반한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부당화 정보에 기반한 추천 시스템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제품군을 추천하는 알고리즘 예시도.
도 5는 보정된 형광 방출광 강도(AF)를 관계와 피험자의 연령(AGE)에 대한 연관성(correlation)에 대한 데이터 사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피부당화 정보에 기반한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에서 표시부의 상세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에서 표시부에서 피부 당화 수치 이미지 표시 예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피부당화 정보에 기반한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부당화 정보에 기반한 추천 시스템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제품군을 추천하는 알고리즘 예시도.
도 5는 보정된 형광 방출광 강도(AF)를 관계와 피험자의 연령(AGE)에 대한 연관성(correlation)에 대한 데이터 사진.
맞춤형 화장품이란 매장에서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완제품 간 또는 완제품+원료로 즉석으로 혼합 및 판매하여 제공하는 화장품을 의미할 수 있다.
맞춤형 화장품은 제조/수입된 화장품의 내용물에 다른 화장품의 내용물이나 식약처장이 정하는 원료를 추가하여 혼합한 화장품, 제조/수입한 화장품의 내용물을 소분한 화장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피부타입 및 고민을 객관적으로 진단하고, 정확히 케어할 수 있는 제품 추천 및 혼합하여, 맞춤형 화장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럼 3가지 중 1개, 앰플 5가지 중 2개 선택하여 총 30가지의 레시피를 제공할 수 있다.
맞춤형 화장품 제공 프로세스는 아래와 같을 수 있다.
Step 1: 인터뷰
- 인터뷰를 통해 라이프스타일 및 피부고민 확인
Step 2: 정밀분석
- 안면검사기로 피부상태 및 피부고민을 정밀하게 분석
Step 3: 카운셀링
- 피부 분석 및 카운셀링을 통해 1:1 맞춤 레시피 추천
Step 4: 제품 혼합
- 최종 레시피로 안전하게 혼합, 고유의 라벨링으로 제품 완성
실시예는 피부당화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피부특성을 연구하고, 사용자의 피부당화 정보를 기반으로 최적 또는 맞춤형 화장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우선,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피부당화 정보에 기반한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1000)의 구성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피부당화 정보에 기반한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1000)은 측정부(1100), 분석부(1200) 및 표시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데이터 베이스(1400), 예를 들어 성분 데이터 베이스와 화장품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비침습적 자발형광 피부 당화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부 상태와 피부당화 측정값의 상관관계를 연구할 수 있으며,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측정된 피부당화 수치에 따른 피부노화 지수 분석 방안을 개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의하면, 비침습적 자발형광 피부 당화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고객의 주름, 탄력, 수분과 피부당화 측정값의 상관관계를 연구하고,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피부 당화 수치에 따른 피부 노화 지수 분석 알고리즘을 개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피부당화 산물 억제 및 분해 기능을 가지는 제품들의 당화 생성물 분해 효능을 분석하여 추천 제품 목록을 만들고 이를 사용자에게 시스템을 통해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의하면 피부당화 산물 억제 및 분해 기능을 소구하는 제품의 인체효능 평가시스템을 구축하여 당화산물(AGEs) 분해, 억제 효능을 가지는 제품 목록을 소비자에게 추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피부에 축적된 최종 당화산물(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을 비침습적인 자발 형광(Autofluorescence) 검출방법을 통해 측정하고, 사용자의 피부당화 수준을 바탕으로 피부의 노화 수준을 진단하고, 피부 당화와 노화를 억제할 수 있는 화장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추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측정부(1100)는 일반광 피부 영상 측정단계, 형광 피부 영상측정 단계 및 개인정보 수집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측정부(1100)는 비침습적인 자발 형광(Autofluorescence) 검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분석부(1200)는 일반광 피부 영상과, 형광 피부 영상 결합하는 단계, 피부 당화 (AGEs) 등급 분석단계(좋음,보통,관리 필요 등), 당화 산물 기반하여 피부 노화 예측 단계, 성분 데이터 베이스 및 화장품 데이터 베이스를 기초로 추천 성분 및 화장품 도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표시부(1300)는 피부 부위별 최종 당화 산물의 누적 이미지 표시 기능, 피부 노화(주름, 탄력, 보습) 예상치 표시 기능, 생활습관 제안 및 추천 제품, 성분 리스트 제공 기능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피부당화 정보에 기반한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에서 표시부(1300)의 상세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표시부(1300)는 측정 이력 조회 및 표시부와, 피부 당화 수치 및 이미지 표시부와, 주름 생성 위험도 등급 표시부와, 탄력 감소 위험도 등급 표시부와, 수분 감소 위험도 등급 표시부와, 설문 등급 표시부 및 제품추천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표시부(1300)에서 '주름 생성 위험도 등급 표시부'는 이마, 눈가, 눈밑, 팔자주름 영역의 피부 당화 누적 수치를 연령대 및 성별을 고려하여 3등급(낮음/보통/높음)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표시부(1300)에서 '탄력 감소 위험도 등급 표시부'는 볼 영역의 피부 당화 누적 수치를 연령대 및 성별을 고려하여 3등급(낮음/보통/높음)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표시부(1300)에서 '수분 감소 위험도 등급 표시부'는 안면전체 평균 피부 당화 누적 수치를 연령대 및 성별을 고려하여 3등급(낮음/보통/높음)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표시부(1300)에서 '설문 등급 표시부'는 자외선 노출 습관 및 당 섭취 습관 등급(좋음/보통/관리필요)이 제공되며, 등급이 보통 혹은 관리 필요일 경우 생활습관 개선방안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의 표시부(1300)는 기 측정된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는 버튼을 제공하여 기존 측정정보와 비교를 통해 피부 당화 산물의 변화를 사용자가 비교할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앞서 기술한 대로 종래 선행기술들은 자가형광으로 인체 피부의 당화산물(AGEs)을 측정하여 당뇨 등과 관련된 전반적인 건강 진단 가능성을 향상시키는 점에 초점을 두는 것인데, 안면의 각 영역 부위별 당화 누적정도를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각 영역 부위별 당화 누적 정도를 효과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점이 있다.
이에 실시예는 사용자 안면의 각 영역 부위별 당화 누적정도를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각 영역 부위별 당화 누적 정도를 효과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을 제공함을 기술적 과제 중의 하나로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에서 표시부(1300)에서 피부 당화 수치 이미지 표시 예시도이다.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부(1300)상의 피부 당화의 수치는 일반광 피부영상에 부위별 당화 누적 정도를 색상변화로 환산하여 오버레이하며 당화수치가 높아질수록 붉은색에서 녹색으로 색상을 조절하여 표시하여 소비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당화도 측정을 위한 이미지는 UV LED를 on/off 하면서 비침습적인 자발 형광(Autofluorescence) 검출방법으로 센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는 사용자 안면의 각 영역 부위별 당화 누적정도를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각 영역 부위별 당화 누적 정도를 효과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신체 중에 안면(face)의 각 영역별 당화 누적정도를 세부 분석하고 각 영역별 피부상태 진단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사용자의 신체 중 팔 등 다른 신체 부위에 대한 각 영역별 당화 누적정도를 세부 분석 및 피부상태 진단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사용자의 안면 피부(HF)에서 볼 영역(R1)은 당화수치가 높은 반면, 이마 영역(R2)과 턱 영역(R3) 등은 당화수치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실시예에서 피부 당화 수준은 측정된 형광 세기를 기준으로 안면 부위별(이마, 코, 좌측 눈가, 좌측 눈밑, 우측 눈가, 우측 눈밑, 좌측 볼, 우측 볼, 좌측 팔자 주름, 우측 팔자주름, 미간, 턱) 점수와 전체 평균 점수로 구분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안면 피부 당화 전체 평균 점수는 부위별 측정 점수의 평균을 통해 계산하며 측정 부위의 면적 및 중요도를 고려하여 가중치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따른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에서 피부 당화 측정 및 분석방법을 보다 상술하기로 한다.
우선 실시예는 사용자 개인의 안면 피부 중 제1 피부 영역이 가시광선 영역의 반사광을 방출하도록 상기 제1 피부 영역을 제1 노출 광에 노출시키는 제1 단계를 진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노출 광은 백색광을 방사하는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시광선 영역의 반사광을 검출부의 카메라, 예를 들어 DSLR 카메라로 촬영하는 제2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개인의 안면 피부가 형광을 방출하도록 상기 제1 피부 영역을 제2 광원에 노출시키는 여기광에 노출시키는 제3 단계를 진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광원은 340nm 내지 400㎚의 UV 파장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위칭 제어부의 형광 제어 필터를 통해 약 430 ㎚ 내지 450 nm의 방출광을 선택하여 상기 검출부의 카메라로 촬영하는 제4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연산부에서 상기 제2 단계 및 상기 제4 단계 측정 이미지의 동일 부위 ROI(Region of Image)를 선정하고, 상기 제2 단계 피부 반사광 측정 강도(IV)와 상기 제4 단계 형광 방출광 강도(IUV)를 계산하는 제5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연산부에서 피부색에 대한 형광 방출광 강도를 보정하기 위해 상기 제4 단계 형광 방출광 강도(IUV)와 제5 단계 피부반사광 측정 강도(IV)를 이용하여 형광 방출광 강도(AF)를 계산(수학식 1 참조)하는 제6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α, β 값은 상기 제2 단계 및 상기 제4 단계 피부 측정 데이터의 상관관계를 선형회귀(linear regression)한 계산 값으로 사용자 안면의 이마, 볼, 눈가, 눈밑 및 팔 등 측정 위치에 따라 0≤α≤22, 0≤β≤255, 바람직하게는 0≤α≤10, 0≤β≤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α≤2, 0≤β≤150 범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상기 제6 단계에서 보정된 형광 방출광 강도(AF)를 개인 연령에 대한 표준 곡선에 플로팅(plotting)하여 피부 노화 위험도를 계산하는 제7 단계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도는 상위 기준 미만은 좋음, 상위 기준 이상 평균 미만은 보통, 평균 이상 하위 기준 미만은 관리 필요로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는 제6 단계에서 보정된 형광 방출광 강도(AF)를 관계와 피험자의 연령(AGE)에 대한 연관성(correlation)에 대한 데이터 자료이다. 이러한 연령과 형광방출광 강도 데이터를 기초로 피험자의 측정 AF값으로 통해 역산된 나이와 피험자 자신의 나이를 비교함으로써 나이에 비해 당화가 어느정도 진행되었는지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3과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안면 피부(HF) 중 볼 영역(R1), 이마 영역(R2)과 턱 영역(R3) 등에 대해 위에서 설명된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에서 피부 당화 측정 및 분석방법을 통해 각 영역부위별 형광 방출광 강도(AF)가 효과적으로 도출되고 이러한 정보가 실시예의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에서 표시부(1300)에서 각 영역 부위별 당화 누적 정도를 색상변화로 환산하고 오버레이하여 색상 이미지로 표시함으로써 각 영역 부위별 당화 누적 정도를 효과적으로 분석 및 표시할 수 있는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특별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연산부에서 상기 제4 단계 형광 방출광 강도(IUV)를 보정하여 형광 방출광 강도(AF)를 계산(수학식 1 참조)하는 제6 단계를 진행하는데, 이때 피부의 각 영역 부위별 특성을 고려하여 형광 방출광 강도(AF)가 보정되어 정확하게 산출되고 오버레이하여 색상 이미지로 표시함으로써 각 영역 부위별 당화 누적 정도를 매우 정확하게 효과적으로 분석 및 표시할 수 있는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특별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반면 종래 선행기술들은 자가형광으로 인체 피부의 당화산물(AGEs)을 측정하여 당뇨 등과 관련된 전반적인 건강 진단 가능성을 향상시키는 점에 초점을 두는 것이며, 인체 피부의 각 영역 부위별 당화 누적정도를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각 영역 부위별 당화 누적 정도를 효과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점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피부당화 정보에 기반한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부당화 정보에 기반한 추천 시스템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제품군을 추천하는 알고리즘 예시도이다.
우선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생활습관에 대한 설문조사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야외 활동량, 주간 활동량과, 당류 섭취 빈도, 하루에 섭취하는 당분의 총량 등을 설문조사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자외선 노출 습관 및 당 섭취 습관은 설문 응답을 기준으로 3등급(좋음/보통/관리필요)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서 제품의 추천방식은 설문을 통해 획득한 사용자 개인정보(나이, 성별, 사용하는 제품의 종류, 당 섭취 습관, 자외선 노출 습관)와 안면 피부 당화 전체 평균 점수를 종합하여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의하면, 피부 당화 지수와 연관된 운동, 흡연, 음주, 수면시간, 스트레스, 식습관 등에 대한 생활 습관 설문을 하기 표 1과 같이 진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운동은 30분 이상 걷기 혹은 동등 수준을 의미할 수 있다).
항목 | 점수 | ||||
1 | 2 | 3 | 4 | 5 | |
얼마나 자주 운동을 하십니까? | 전혀 하지 않는다 |
집 혹은 사무실에서의 일상적인 운동 | 일주일에 한번 | 일주일에 2-3번 | 일주일에 4번이상 |
흡연을 하십니까? | 10년이상 매일 흡연 | 1년이상 흡연 | 비흡연 | ||
음주를 하십니까? | 1주일에 4번이상 | 1주일에 2~3번 | 1주일에 1번 | 1주일에 1번 미만 | 음주 안함. |
하루에 몇시간 수면을 취합니까? | 4시간 미만 | 4~5 시간 | 5~7시간 | 7~8시간 | 8시간 이상 |
정신적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습니까? |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잘 모르겠다 | 그렇지 않다 | 매우 그렇지 않다 |
야채를 많이 드십니까? | 매우 그렇지 않다 | 그렇지 않다. | 잘 모르겠다. | 그렇다 | 매우 그렇다 |
매일 아침식사를 합니까? | 매우 그렇지 않다 | 그렇지 않다. | 잘 모르겠다. | 그렇다 | 매우 그렇다 |
배부르지 않게 적당히 먹는 편입니까? (80% 배부를 때까지) | 매우 그렇지 않다 | 그렇지 않다. | 잘 모르겠다. | 그렇다 | 매우 그렇다 |
기름진 음식 섭취를 적게 하려고 노력합니까? | 매우 그렇지 않다 | 그렇지 않다. | 잘 모르겠다. | 그렇다 | 매우 그렇다 |
가공식품 섭취를 적게 하려고 노력합니까? | 매우 그렇지 않다 | 그렇지 않다. | 잘 모르겠다. | 그렇다 | 매우 그렇다 |
케익이나 사탕처럼 단 음식을 먹지 않으려고 노력합니까? | 매우 그렇지 않다 | 그렇지 않다. | 잘 모르겠다. | 그렇다 | 매우 그렇다 |
다음으로 실시예는 사용자의 피부 당화를 측정 및 피부 당화 분석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피부 당화 측정정보는 연령대 및 성별을 고려하여 3 등급(좋음/보통/관리필요)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실시예는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한 솔루션 제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는 당화를 기반으로 분석된 현재 피부 상태에 대한 맞춤형 화장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제안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안면 피부(HF) 중 볼 영역(R1), 이마 영역(R2)과 턱 영역(R3) 등에 대해 위에서 설명된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에서 피부 당화 측정 및 분석방법을 통해 각 영역부위별 형광 방출광 강도(AF)가 효과적으로 도출되고 이러한 정보가 실시예의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에서 표시부(1300)에서 각 영역 부위별 당화 누적 정도를 색상변화로 환산하고 오버레이하여 색상 이미지로 표시함으로써 각 영역 부위별 당화 누적 정도를 효과적으로 분석 및 표시할 수 있는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각 영역별 효과적 분석 및 효과적 표시 기술에 기초하여 각 영역 부위별 피부 상태에 대한 맞춤형 화장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제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부 당화의 측정 정보가 보통 및 관리 필요함에 해당할 경우 화장품 DB를 참조하여 피부 당화산물 분해/억제에 적합한 화장품을 추천하고 자외선 노출 습관과 당 섭취 습관이 보통 및 관리필요에 해당할 경우 생활습관 개선을 위한 가이드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피부 당화의 측정 정보가 좋음에 해당할 경우, 피부 당화산물 분해/억제 효능을 미 포함한 화장품을 추천하고, 이때 자외선 노출 습관과 당 섭취 습관이 보통 및 관리필요에 해당할 경우 생활습관 개선을 위한 가이드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당화와 생활 습관을 종합하여 예측된 미래 피부 상태에 대한 맞춤형 화장품 제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는 피부 당화 등급과 생활 습관을 종합하여 피부 노화 예측 (1년 후/5년후/10년후)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추천 성분/화장품/건강기능식품 도출 (주름/탄력/보습의 예상 수치 변화 기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는 피부 당화 등급과 생활 습관을 종합하여 화장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는 (2-(1-에톡시에톡시)에틸)벤젠((2-(1-ethoxyethoxy)ethyl)benzene), 1,2,4트리하이드록시안트라퀴논(1,2,4-trihydroxyanthraquinone), 4-(4-하이드록시페닐)-2-부타논(4-(4-Hydroxyphenyl)-2-butanone), 6-하이드록시-7-메톡시-4-페닐쿠마린(6-hydroxy-7-methoxy-4-phenylcoumarin), 8-진저롤(8-Gingerol), L-아사리닌(L-Asarinin), 가구자 추출물, 가와 추출물, 가울테린(Gaultherin), 갈근 추출물, 감국 추출물, 감국화 추출물, 감초 추출물, 강활 추출물, 강황 추출물, 갱미 추출물, 건지황 추출물, 검은콩 추출물, 계혈등 추출물, 고경 추출물, 고삼 추출물, 곡정초 추출물, 과루인 추출물, 곽향엽 추출물, 괄루근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 국화 추출물, 금은화 추출물, 길경 추출물, 꿀 추출물, 나르시소사이드(narcissoside), 남유향 추출물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네오바바아이소플라본(Neobavaisoflavone), 네페틴(nepetin), 네포딘(nepodin), 노근 추출물, 노톱테롤(notopterol), 노톱테롤(notopterol), 녹각 추출물, 녹용 추출물, 단국 추출물, 단삼 추출물, 담두시 추출물, 당귀 추출물, 당삼 추출물, 대조 추출물, 대추 추출물, 대황 추출물, 데메틸벨리디폴린(Demethylbellidifolin), 데메틸웨델로락톤(demethylwedelolactone), 데몹소사이드(Thermopsoside), 데하이드로투물로식 엑시드(Dehydrotumulosic acid), 도인 추출물, 도화 추출물, 독활 추출물, 두중 추출물, 드라코로딘 페로클로레이트(dracorhodin perochlorate), 디메틸제일아스테럴(demethylzeylasteral), 디오스불빈 비(diosbulbin B), 디하이드로탄시논 아이(Dihydrotanshinone I), 딕탐닌(dictamnine), 레마피크로사이드(Rehmapicroside), 레바우디오사이드 A(Rebaudioside A), 레바우디오사이드 C(Rebaudioside C), 루부소사이드(Rubusoside), 리쏘스퍼믹 엑시드(Lithospermic acid), 리퀴댐버릭 락톤(liquidambaric lactone), 릴리오페사이드 비(liriopeseides B), 만형자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맥아 추출물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메틸로피오포고나논 에이(Methylophiopogonanone A), 모르티에렐라 이사벨리나(Mortierella isabellina) 추출물, 목단피 추출물, 목통 추출물, 목향 추출물, 몰식자 추출물, 민들레 추출물, 바바찰콘(Bavachalcone), 바바치닌 에이(bavachinin A), 바요게닌(bayogenin), 박하 추출물, 박하엽 추출물, 반하 추출물, 발레클로린(valechlorine), 방풍 추출물, 백강잠 추출물, 백과자인 추출물, 백급 추출물, 백단향 추출물, 백복령 추출물, 백선피 추출물, 백자인 추출물, 백작약 추출물, 백질려 추출물, 백출 추출물, 백합 추출물, 백화사설초 추출물, 보미신(vomicine), 복령 추출물, 부평 추출물, 분갈 추출물, 분갈화 추출물, 브라시놀라이드(brassinolide), 브루세인 디(bruceine D), 브루신(brucine), 비노렐빈(vinorelbine)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비파엽 추출물, 비해 추출물, 사삼 추출물, 사상자 추출물, 사이클렌(cyclen), 사인 추출물, 산사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산약 추출물, 산조인 추출물, 산치자 추출물, 살리니비브리오 속(Salinivibrio sp.) 추출물, 살비아놀산 C(Salvianolic acid C), 삼칠 추출물, 상엽 추출물, 생감초 추출물, 생강 추출물, 생쇄삼(인삼) 추출물, 생지황 추출물, 석곡 추출물, 선노근 추출물, 소맥 추출물, 소목 추출물, 숙지황 추출물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쉬잔데린 A(schisantherin A), 슈도라릭 엑시드 에이(Pseudolaric acid A), 슈도프로토디오신(pseudoprotodioscin), 스웨르티신(swertisin), 스트리크닌(strychnine), 스펙누에제나이드(Specnuezhenide), 승마 추출물, 시나로사이드(cynaroside), 시니그린(sinigrin), 시린가레즈놀-4-O-β아피오푸라노시(Syringaresnol-4-O-β, 시호 추출물, 신이 추출물, 아네모시드 A3(anemoside A3), 아리스토락탐 I(Aristolactam I), 아마인 추출물, 아브신틴(absinthiin), 아세틸시미게놀 아라비노사이드(Acetylcimigenol arabinoside), 아이소바바친(isobavachin), 아이소샤프토사이드(Isoschaftoside), 아이소스테비올(Isosteviol), 아이소커큐메놀(isocurcumenol), 아주골(Ajugol)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아출 추출물, 알칸닌(Alkannin), 야교등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에스큘렌토사이드 에이(esculentoside A), 에틸 페룰레이트(Ethyl ferulate), 여정자 추출물, 연교 추출물, 연실 추출물, 연심 추출물, 연육 추출물, 연화심 추출물, 영릉향 추출물, 오매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오바쿠논(Obacunone), 오수유 추출물, 오필초 추출물, 옥시페우세다닌 수화물,(Oxypeucedanin hydrate), 옥죽 추출물, 올레안드린(Oleandrin), 우방자 추출물, 우슬 추출물, 우유 추출물, 욱리인 추출물, 운령 추출물, 원지 추출물, 위근 추출물, 유팔리놀라이드 에이(eupalinolide A), 유향 추출물, 육계 추출물, 육종용 추출물, 은이 추출물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이소디메틸웨델로락톤(isodemethylwedelolactone), 이소사쿠라네틴(isosakuranetin), 인삼 추출물, 인진 추출물, 자완 추출물, 자질려 추출물, 자초 추출물, 자황기 추출물, 작약 추출물, 적작약 추출물, 정향 추출물, 제니핀-1-베타-D-젠티오비오사이드(genipin-1-b-D-gentiobioside), 제라닌(geraniin), 조각자 추출물, 종용 추출물, 죽엽 추출물, 지각 추출물, 지골피 추출물, 지모 추출물, 지부자 추출물, 지실 추출물, 지치 추출물, 지황 추출물, 진피 추출물, 차전자 추출물, 창이자 추출물, 창출 추출물, 천궁 추출물, 천마 추출물, 천마 추출물, 모과 추출물, 천문동 추출물, 천화분 추출물, 첨과자 추출물, 초결명 추출물, 치자 추출물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카우다틴(caudatin), 카코울(kakoul), 칼세올라리오사이드 비(Calceolarioside B), 코리투베린(corytuberine), 쿠린(curine), 퀘르세틴-3-O-소포로사이드(protosappanin B), 택사 추출물, 테누이폴린(tenuifolin), 테뉴폴리사이드 에이(tenuifoliside A), 테르몹신(thermopsine), 텍토리게닌 7-O-자일로실글루코사이드(tectorigenin 7-O-xylosylglucoside), 텍토리게닌(tectorigenin), 텍토리딘(tectoridin), 토복령 추출물, 토사자 추출물, 투베이모사이드 B(Tubeimoside B), 투실라곤(tussilagone)
트라첼로사이드(tracheloside), 티모사포닌 에이-쓰리(Timosaponin A-Ⅲ, 패모 추출물, 퍼릴라틴(Perillartine), 페리플로게닌(Periplogenin), 폴리갈라사포닌 F(Polygalasaponin F), 폴리갈라신 디(polygalacin D), 폴리갈락산톤 쓰리(Polygalaxanthone Ⅲ, 프레이럽토린 에이(Praeruptorin A), 프로토사파닌 비(protosappanin B), 필리게닌(phillygenin), 하고초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하스타토사이드(hastatoside), 한련초 추출물, 할로모나스 속(Halomonas sp.) 추출물, 할로바실러스 속(Halobacillus sp.) 추출물, 할로아르쿨라 속(Haloarcula sp.) 추출물, 행인 추출물,
향부자 추출물, 향춘자 추출물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헤데라코사이드 C(Hederacoside C), 헤마톡실린(hematoxylin), 현삼 추출물, 형개 추출물, 호도인 추출물, 호로파 추출물, 호모플란타지닌(homoplantaginin), 호모해링토닌(Homoharringtonin), 홍화 추출물, 황금 추출물, 황기 추출물, 황련 추출물, 황백 추출물, 황정 추출물, 황진피 추출물, 휴페헤닌(hupehenine)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당화와 생활 습관을 종합하여 분석된 현재 생활 습관 중 개선점 제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실시예는 제안된 솔루션의 실행 여부와 재측정된 피부 당화 결과값을 AI에게 학습시켜 솔루션 보정단계를 진행할 수 있으며, 솔류션 실행시 종료된다.
실시예에 의하면, 비침습적 자발형광 피부 당화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부 상태와 피부당화 측정값의 상관관계를 연구할 수 있으며,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측정된 피부당화 수치에 따른 피부노화 지수 분석 방안을 개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의하면, 비침습적 자발형광 피부 당화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고객의 주름, 탄력, 수분과 피부당화 측정값의 상관관계를 연구하고,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피부 당화 수치에 따른 피부 노화 지수 분석 알고리즘을 개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피부당화 산물 억제 및 분해 기능을 가지는 제품들의 당화 생성물 분해 효능을 분석하여 추천 제품 목록을 만들고 이를 사용자에게 시스템을 통해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의하면 피부당화 산물 억제 및 분해 기능을 소구하는 제품의 인체효능 평가시스템을 구축하여 당화산물(AGEs) 분해, 억제 효능을 가지는 제품 목록을 소비자에게 추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피부에 축적된 최종 당화산물(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을 비침습적인 자발 형광(Autofluorescence) 검출방법을 통해 측정하고, 사용자의 피부당화 수준을 바탕으로 피부의 노화 수준을 진단하고, 피부 당화와 노화를 억제할 수 있는 화장품을 추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설정하는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 사용자 피부에 대한 비침습적인 자발 형광 검출을 진행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피부의 피부 당화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된 피부 당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부 당화 정보는, 상기 사용자 피부의 각 영역 부위별 당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각 영역 부위별 당화 정보를 색상변화로 환산하고 오버레이하여 색상 이미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당화 정보에 기반한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일반광 피부 영상 측정단계, 형광 피부 영상측정 단계 및 개인정보 수집단계를 진행하는 피부당화 정보에 기반한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일반광 피부 영상과 상기 형광 피부 영상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피부 당화 등급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당화 등급에 기반하여 피부 노화를 예측 단계, 및 성분,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당화 정보에 기반한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주름 생성 위험도 등급 표시부, 탄력 감소 위험도 등급 표시부, 수분 감소 위험도 등급 표시부 및 설문 등급 표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피부당화 정보에 기반한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사용자 피부 중 제1 피부 영역이 가시광선 영역의 반사광을 방출하도록 상기 제1 피부 영역을 제1 노출 광에 노출시키는 제1 단계를 진행하며, 상기 제1 노출 광은 백색광을 방사하는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가시광선 영역의 반사광을 촬영하는 제2 단계를 진행하며,
상기 사용자 피부가 형광을 방출하도록 상기 제1 피부 영역을 제2 광원인 여기광에 노출시키는 제3 단계를 진행하며, 상기 제2 광원은 340nm 내지 400㎚의 UV 파장을 포함하며,
스위칭 제어부의 형광 제어 필터를 통해 430~450 ㎚을 방출광을 선택하여 카메라로 촬영하는 제4 단계를 진행하는 피부당화 정보에 기반한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연산부에서 상기 제2 단계 및 상기 제4 단계 측정 이미지의 동일 부위 ROI(Region of Image)를 선정하고, 상기 제2 단계 피부 반사광 측정 강도(IV)와 상기 제4 단계 형광 방출광 강도(IUV)를 계산하는 제5 단계를 진행하며,
상기 연산부에서 상기 제4 단계 형광 방출광 강도(IUV)를 보정하여 형광 방출광 강도(AF)를 계산하는 제6 단계를 진행하는 피부당화 정보에 기반한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에서 보정된 형광 방출광 강도(AF)를 사용자 개인 연령에 대한 표준 곡선에 플로팅(plotting)하여 피부 노화 위험도를 계산하는 제7 단계를 진행하는 피부당화 정보에 기반한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피부당화 정보에 기반한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피부의 각 영역 부위별 당화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피부의 각 영역 부위에 적합한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당화 정보에 기반한 추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0081491 | 2019-07-05 | ||
KR1020190081491 | 2019-07-05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4894A true KR20210004894A (ko) | 2021-01-13 |
Family
ID=74142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3056A KR20210004894A (ko) | 2019-07-05 | 2020-07-06 | 피부당화 정보에 기반한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부당화 정보에 기반한 추천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04894A (ko)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97399B1 (ko) | 2010-09-02 | 2011-12-23 | 한국전기연구원 | 피부 자가형광을 이용한 최종 당화 산물 양의 평가에 의한 질병 진단 장치 |
KR101170039B1 (ko) | 2003-12-12 | 2012-08-01 | 죤슨 앤드 죤슨 컨써머 캄파니스 인코포레이티드 | 개인의 피부 및 전반적인 건강을 평가하는 방법 |
KR101243183B1 (ko) | 2011-04-08 | 2013-03-14 | 한국전기연구원 | 최종당화산물의 자가형광 측정 장치 |
KR101268428B1 (ko) | 2003-10-28 | 2013-06-04 | 베라라이트, 인코오포레이티드 | 조직 형광을 이용한, 당화 최종산물 또는 질병 상태 측정의판정방법 |
KR101385980B1 (ko) | 2012-06-20 | 2014-04-29 | 한국전기연구원 | 피부 형광 측정 장치 |
KR101444730B1 (ko) | 2012-03-21 | 2014-09-26 | 한국전기연구원 | 투과광 검출형 피부 형광 측정 장치 |
KR101483087B1 (ko) | 2012-03-21 | 2015-01-16 | 한국전기연구원 | 반사광 검출형 피부 형광 측정 장치 |
KR20190093442A (ko) | 2018-02-01 | 2019-08-09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비침습 혈당 바이오센서 및 그 측정 방법 |
-
2020
- 2020-07-06 KR KR1020200083056A patent/KR20210004894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8428B1 (ko) | 2003-10-28 | 2013-06-04 | 베라라이트, 인코오포레이티드 | 조직 형광을 이용한, 당화 최종산물 또는 질병 상태 측정의판정방법 |
KR101170039B1 (ko) | 2003-12-12 | 2012-08-01 | 죤슨 앤드 죤슨 컨써머 캄파니스 인코포레이티드 | 개인의 피부 및 전반적인 건강을 평가하는 방법 |
KR101097399B1 (ko) | 2010-09-02 | 2011-12-23 | 한국전기연구원 | 피부 자가형광을 이용한 최종 당화 산물 양의 평가에 의한 질병 진단 장치 |
KR101243183B1 (ko) | 2011-04-08 | 2013-03-14 | 한국전기연구원 | 최종당화산물의 자가형광 측정 장치 |
KR101444730B1 (ko) | 2012-03-21 | 2014-09-26 | 한국전기연구원 | 투과광 검출형 피부 형광 측정 장치 |
KR101483087B1 (ko) | 2012-03-21 | 2015-01-16 | 한국전기연구원 | 반사광 검출형 피부 형광 측정 장치 |
KR101385980B1 (ko) | 2012-06-20 | 2014-04-29 | 한국전기연구원 | 피부 형광 측정 장치 |
KR20190093442A (ko) | 2018-02-01 | 2019-08-09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비침습 혈당 바이오센서 및 그 측정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Zhang et al. | Risk predictors of dental root caries: A systematic review | |
US7349857B2 (en) | Process for formulating a customized skin care product | |
Siervo et al. | Accuracy of predictive equations for the measurement of resting energy expenditure in older subjects | |
Corrêa et al. | Can the Glittre ADL test differentiate the functional capacity of COPD patients from that of healthy subjects? | |
US20140018634A1 (en) | Method of determining skin type, choosing skin care products and procedures and promoting skin care products | |
Conway et al. | Socioeconomic factors associated with risk of upper aerodigestive tract cancer in Europe | |
US8489539B2 (en) | Computer-aided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skin compositions based on traditional chinese medicinal (TCM) principles | |
Brennan et al. | Dietary, self-reported oral health and socio-demographic predictors of general health status among older adults | |
Giovannelli et al. | The measurement of body-image dissatisfaction–satisfaction: Is rating importance important? | |
JP5738720B2 (ja) | メラニン合成能力評価方法及び美容アドバイス方法並びにそれらを用いるメラニン合成能力評価システム及び美容アドバイスシステム | |
JP2010526646A (ja) | 生理学的パラメータの非侵襲的特徴決定 | |
JP7082347B2 (ja) | 健康度測定方法、健康度判定装置及び毛髪健康診断システム | |
Machado et al. | Does the Sense of Coherence modifies the relationship of oral clinical conditions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 |
Matsui et al. | Physiological and lifestyle factors contributing to risk and severity of peri-orbital dark circles in the Brazilian population | |
Wright et al. | Foodservice satisfaction domains in geriatrics, rehabilitation and aged care | |
Gualdi-Russo et al. | Stature estimation from tibia percutaneous length: new equations derived from a Mediterranean population | |
KR20200006781A (ko) | 사용자 피부분석 정보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화장품 레시피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맞춤형 화장품 레시피 제공 시스템 | |
Goh | Diversity of Asian skin: A review on skin biophysical properties | |
US20230046151A1 (en) |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cosmetics | |
KR20210004894A (ko) | 피부당화 정보에 기반한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부당화 정보에 기반한 추천 시스템 | |
Harrison et al. | Do all fair-skinned Caucasians consider themselves fair? | |
Chattopadhyay et al. | A study on prevalence of hypertension and its related risk factors among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in Kolkata | |
MH et al. | A study on effect of life style risk factors on prevalence of hypertension among white collar job people of Surat | |
Lee et al. | Baumann skin type in the Korean male population | |
Gonzalez-Estanol et al. | In vivo aroma release and perception of composite foods using nose space PTR–ToF–MS analysis with Temporal-Check-All-That-App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