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4207A - Module for Draining the Piping and System for Draining the Piping - Google Patents
Module for Draining the Piping and System for Draining the Pip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04207A KR20210004207A KR1020190080256A KR20190080256A KR20210004207A KR 20210004207 A KR20210004207 A KR 20210004207A KR 1020190080256 A KR1020190080256 A KR 1020190080256A KR 20190080256 A KR20190080256 A KR 20190080256A KR 20210004207 A KR20210004207 A KR 2021000420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drain
- water
- unit
- water outl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47—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liq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1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upplied from water ma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B67D1/0884—Means for controlling the parameters of the state of the liquid to be dispensed, e.g. temperature, press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0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for ratio control purposes
- B67D1/1222—Pressure gauges
Landscapes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관 잔수 드레인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잔수 드레인시스템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파우셋부에 구비된 출수밸브의 개방 직후 또는 폐쇄 직후에 고압차단스위치(HPS)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배관에 구비된 밸브를 특정하게 동작시킴으로써, 배관 내의 잔수를 드레인하고, 배관 내의 오염을 방지하는 기술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pipe residual water drain module and a pipe residual water drain system includ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by specifically operating the valve provided in the pipe by using the output signal of the high-pressure cut-off switch (HPS) immediately after opening or immediately after the outlet valve provided in the faucet part, drains residual water in the pipe, and It is a technology that prevents contamination inside.
정수기는, 일반 상수도의 물을 다단의 필터로 통과시켜 음용수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정수된 음용수가 냉수탱크 및 온수 탱크로 자동으로 유입되게 하여, 각 탱크에 저장된 물을 가열 또는 냉각시켜 대기 상태로 있게 하며, 사용자가 냉수 배출구 또는 온수 배출구를 조작하면 대기 상태에 있던 냉수 또는 온수가 배출되도록 한다. A water purifier allows drinking water to be consumed by passing water from a general tap water through a multi-stage filter. Generally, purified drinking water automatically flows into cold water tanks and hot water tanks to heat or cool the water stored in each tank.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cold water outlet or hot water outlet, the cold water or hot water in the standby state is discharged.
최근에는 음용수를 냉수/온수 탱크 등에 별도로 저장하지 않고, 정수기 사용 시 음용수가 바로 정수되면서 배출되는 형태의 직수형 정수기에 관한 수요가 늘고 있다. In recent years,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direct water purifiers in which drinking water is not stored separately in cold/hot water tanks, but is discharged as drinking water is immediately purified when using a water purifier.
이러한 직수형 정수기는 냉온수 저장을 위한 별도의 탱크를 사용하지 않아 정수기의 소형화에 유리하고, 정수된 깨끗한 물이 바로 배출되기 때문에 안전성이 높은 장점이 있는데, 이러한 직수형 정수기에 냉온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음용수를 순간적으로 냉각 또는 가열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These direct water purifiers do not use a separate tank for storing cold and hot water, which is advantageous for miniaturization of the water purifier, and since purified clean water is immediately discharged, there is an advantage of high safety. A technology for instantaneously cooling or heating drinking water is required.
특히, 최근에는 싱크대 하부의 수납공간에 각종 필터를 설치하고, 일방 상수도를 필터에 연결한 상태에서, 싱크대 상부에 필터와 연결된 노즐(파우셋)을 설치하여, 정수된 물이 노즐을 통해 수도꼭지와 같은 형태로 바로 토출되는 방식의 언더 싱크(UNDER SINK)형 정수기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In particular, recently, various filters have been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under the sink, and a nozzle (faucet) connected to the filter has been installed at the top of the sink while one-sided water supply is connected to the filter. Under-sink type water purifier products that are directly discharged in the same form are on the market.
이러한 언더싱크형 정수기는, 싱크대 하부의 수납공간을 활용함에 따라 주방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일반 파우셋 및 이와 별도로 연결된 조리수용 파우셋의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The undersink type water purifier can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kitchen by utilizing the storage space under the sink, and it is easy to install a general faucet and a faucet for cooking water separately connected thereto.
그러나, 이러한 정수기는 언더싱크형으로 설치하기 위해, 다소 긴 유로를 사용하는 바, 파우셋을 개방하였다가 다시 폐쇄할 경우, 긴 유로 상에 필터를 통과한 물이 가득차게 되고, 다음번 사용시 유로에 가득찬 물이 출수되는 구조이다. 만약, 사용 간격이 꽤 긴 경우에는, 유로 내부의 물이 장시간 정체됨으로써,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배관을 오염시킬 수 있는 바, 사용자의 위생에 치명적인 위협이 될 수 있다. However, in order to install this water purifier in an undersink type, a rather long flow path is used. When the faucet is opened and closed again,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is filled on the long flow path. It is a structure in which full water flows out. If the interval of use is quite long, the water inside the flow path is stagnated for a long time, which may contaminate the pipe due to various causes, which may pose a fatal threat to user hygiene.
종래기술로는 본 출원인의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06103호가 개시된다. 잔수의 배출방지가 가능한 출수구조로서, 물에 포함된 공기가 한 곳에 모아질 수 있으며, 물에 포함된 공기가 기포의 형태로 유동하여 물의 표면장력을 깨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잔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다. As a prior ar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06103 of the present applicant is disclosed. As a water outlet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the discharge of residual water, the air contained in the water can be collected in one place, and the air contained in the water can flow in the form of bubbles so that the surface tension of the water is not broken, and the residual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t is a technology that prevents it.
다만, 상기 종래기술 역시 전술한 문제점인 긴 유로에서의 오랜 시간 잔수가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However, the prior art also does not disclose a technique for preventing stagnation of residual water for a long time in a long flow path, which is the aforementioned problem.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06103호(Patent Document 1) Korean Laid-Open Patent No. 10-2012-0006103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파우셋부를 사용하는 빈도에 관계없이, 유로에 정체된 물을 드레인함으로써, 유로의 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깨끗한 물을 제공할 수 있는 배관 잔수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irrespective of the frequency of use of the faucet part by the user, by draining stagnant water in the flow path, it prevents contamination of the flow path and cleans the user. I would like to propose a technology for residual water piping that can provide water.
특히, 정수기가 언더싱커형인 경우, 유로가 상대적으로 길어질 수 있고, 유로 상에 정체될 수 있는 물의 양도 많은 바, 유로 상의 정체된 물을 제거할 수 있는 배관 잔수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In particular, when the water purifier is of an undersinker type, the flow path may be relatively long, and the amount of water that may stagnate in the flow path is large, and thus, a pipe residual water technology capable of removing stagnant water in the flow path is proposed.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관 잔수 드레인모듈로서, 출수를 수행하는 파우셋부(30)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출수연결부(140); 상기 출수연결부(140)와 연결되되, 입수연결부(110) 및 드레인연결부(170)와 연통된 메인관(130)으로서, 상기 입수연결부(110)를 통해 원수가 공급되고, 상기 드레인연결부(170)는 드레인관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출수연결부(140)와 함께 출수유로를 형성하는 메인관(130); 상기 출수유로의 압력변화를 감지하며, 압력변화시 전기적신호를 출력하는 압력센싱부(150); 및 상기 압력센싱부(150)로부터 출력된 전기적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160);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입수연결부(110)가 상기 출수유로 또는 드레인연결부(170)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배관 잔수 드레인모듈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s a pipe residual water drain module, the water
또한, 상기 파우셋부(30)에는 출수를 제어하는 출수밸브(32)가 구비되며, 상기 출수밸브(32)가 개방될 때, 상기 압력센싱부(150)에 의해 상기 출수유로의 압력변화가 감지되고, 상기 제어부(160)에 의해, 상기 입수연결부(110 및 상기 드레인연결부(170)가 연통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입수연결부(110)의 단부측에는 2방향밸브(120)가 결합되되, 상기 2방향밸브(120)에는 상기 출수연결부(140) 및 드레인연결부(170)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160)는 전기적신호를 통해 상기 2방향밸브(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a two-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타이머를 포함하며, 상기 타이머에 의해, 상기 2방향밸브(12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만 상기 입수연결부(110) 및 드레인연결부(170)를 연통시키고,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입수연결부(110) 및 출수연결부(140)를 연통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압력센싱부(150)에 의해 감지된 압력변화값을 통해 상기 2방향밸브(120)의 개폐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압력센싱부(150)는 고압차단스위치(High Pressure Switch, HPS)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메인관(130) 측에는 출수유로밸브(132)가 구비되고, 상기 드레인연결부(170) 측에는 드레인연결밸브(172)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출수유로밸브(132) 및 드레인연결밸브(17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 water
또한, 본 발명은 배관 잔수 드레인모듈을 사용하여 배관 내의 잔수를 드레인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배관 잔수 드레인모듈은, 출수연결부(140); 및 상기 출수연결부(140)와 함께 출수유로를 형성하는 메인관(130); 을 포함하고, (a) 출수가 수행되는 파우셋부(30)에 구비된 출수밸브(32)가 개방되어 상기 출수유로의 압력이 변화되는 단계(S110); (b) 압력센싱부(150)에 의해 상기 출수유로의 압력변화가 감지되고, 상기 압력센싱부(150)로부터 출력된 전기적신호가 제어부(160)로 전송되는 단계(S120); (c) 상기 제어부(160)에 의해 2방향밸브(120)가 조절되는 단계로서, 상기 2방향밸브(120)는, 원수가 공급되는 입수연결부(110)를 상기 출수연결부(140); 및 드레인관과 연결된 드레인연결부(170); 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며, 상기 2방향밸브(120)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입수연결부(110) 및 드레인연결부(170)를 연통시켜 상기 드레인관을 통해 출수되는 단계(S130); 및 (d)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상기 제어부(160)에 의해, 상기 2방향밸브(120)가 상기 입수연결부(110) 및 출수연결부(140)를 연통시켜 상기 파우셋부(30)를 통해 출수되는 단계(S140); 를 포함하는 배관 내의 잔수를 드레인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draining residual water in a pipe using a pipe residual water drain module, wherein the pipe residual water drain module includes: a water
또한, 본 발명은 배관 잔수 드레인모듈을 포함하는 배관 잔수 드레인시스템으로서, 원수공급부(10); 정화필터부(20); 배관 잔수 드레인모듈(200); 상기 정화필터부(20) 및 상기 배관 잔수 드레인모듈(200)을 연결시키는 메인배관; 상기 메인배관으로부터 분기되는 드레인배관; 및 상기 정화필터부(20) 및 상기 드레인배관의 분기점 사이에 구비된 제1밸브(22)와 상기 드레인배관에 구비된 제2밸브(24); 를 포함하며, 상기 배관 잔수 드레인모듈(200)은, 출수를 수행하는 파우셋부(30)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출수연결부(240); 상기 메인배관과 연결되어 원수가 공급되는 입수연결부(210); 일측은 상기 입수연결부(210)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출수연결부(240)와 연결되며, 상기 입수연결부(210) 및 출수연결부(240)와 함께 출수유로를 형성하는 메인관; 상기 출수유로의 압력변화를 감지하며, 압력변화시 전기적신호를 출력하는 압력센싱부(250);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ipe residual water drain system including a pipe residual water drain module, the raw
상기 출수유로 및 외기와의 연통을 제어하는 체크피팅부(280); 및 A
상기 압력센싱부(250)로부터 출력된 전기적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체크피팅부(280)를 조절하는 제어부(260);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체크피팅부(280), 제1밸브(22) 및 제2밸브(24)를 제어하여 잔수를 상기 드레인배관으로 배출시키는, 배관 잔수 드레인시스템을 제공한다. A
또한,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압력센싱부(250)로부터 전기적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1밸브(22)는 폐쇄되고, 상기 제2밸브(24)는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체크피팅부(280)를 동작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또한, 상기 체크피팅부(280)는 에어펌프이며, 상기 제어부(260)에 의해 상기 에어펌프가 동작되면, 상기 에어펌프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메인배관 내의 잔수가 상기 드레인배관으로 배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체크피팅부(280)는 필터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배관 잔수 드레인시스템을 이용하여 배관 내의 잔수를 드레인하는 방법으로서, (a) 파우셋부(30)에 구비된 출수밸브(32)가 폐쇄되어 상기 출수유로의 압력이 변화되는 단계(S210); (b) 상기 압력센싱부(250)에 의해 상기 출수유로의 압력변화가 감지되고, 상기 제어부(260)로 전기적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220); 및 (c) 상기 제어부(260)에 의해, 상기 제1밸브(22)는 폐쇄되고, 상기 제2밸브(24)는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체크피팅부(280)가 미리 결정된 조건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메인배관내의 잔수가 상기 드레인배관으로 배출되는 단계(S230); 를 포함하는 배관 내의 잔수를 드레인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draining residual water in a pipe using the above-described pipe residual water drain system, wherein (a) the
또한, 상기 (c) 단계의 미리 결정된 조건은 미리 설정된 시간이며, 상기 체크피팅부(280)는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만 동작되고, 상기 (c) 단계 이후, (d) 상기 압력센싱부(250)가 비활성화되고, 상기 제1밸브(22)는 개방되면서 상기 제2밸브(24)는 폐쇄되는 단계(S24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condition of step (c) is a preset time, th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은 압력센서부를 통해 배관 잔수 드레인모듈 내부의 압력변화를 감지하고, 전기적신호 송신을 통해 유로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배관 내부의 잔수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고, 파우셋부의 사용 직후 및 사용종료의 직후에 바로 잔수를 제거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깨끗한 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the pressure change inside the pipe residual water drain module through the pressure sensor unit, and changes the flow path direction through transmission of an electrical signal, so that the remaining water inside the pipe can be efficiently discharged, and immediately after use of the faucet unit and the end of use. By removing the residual water immediately after the operation,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clean water to the user.
또한, 본 발명은 모듈화된 상태로 사용되는 바, 각각의 구성들을 개별적으로 언더싱커형 정수기에 설치할 필요가 없고, 원수가 공급되는 튜빙, 드레인수를 배출시키는 튜빙 및 파우셋부와 연결되는 튜빙을 본 발명에 체결시키기만 하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바,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된다.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modularized state, it is not necessary to individually install each of the components in an undersinker type water purifier, and see tubing to which raw water is supplied, tubing to discharge drain water, and tubing connected to the faucet unit. As long as it is fastened to the invention, it can be easily used, and user convenience is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인 배관 잔수 드레인모듈이 적용된 예인 전기레인지의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배관 잔수 드레인모듈의 제1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파우셋부로 출수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상태에서, 드레인관으로 배수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배관 잔수 드레인모듈의 제1실시예를 사용하여 배관 내의 잔수를 드레인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배관 잔수 드레인모듈의 제1실시예의 변형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배관 잔수 드레인모듈의 제2실시예가 적용된 배관 잔수 드레인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파우셋부로 출수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7의 상태에서, 드레인관으로 배수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인 배관 잔수 드레인모듈 제2실시예가 적용된 배관 잔수 드레인시스템을 사용하여 배관 내의 잔수를 드레인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1 is a schematic schematic diagram of an electric range that is an example to which the present inventors pipe residual water drain module is applied.
2 is a block diagram of a first embodiment of a pipe residual water drai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water is discharged to a faucet portion in the state of FIG. 2.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water is drained to a drain pipe in the state of FIG. 2.
5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draining residual water in a pipe us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ipe residual water drai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of a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ipe residual water drai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of a piping residual water drain system to which a second embodiment of the piping residual water drai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water is discharged to a faucet portion in the state of FIG. 7.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ain pipe is drained in the state of FIG. 7.
10 is a flow chart of a method of draining residual water in a pipe using a pipe residual water drain system to which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ipe residual water drai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배관 잔수 드레인모듈 및 배관 잔수 드레인시스템을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정수기에 적용됨을 전제로 설명하나, 정화필터부 없이 수전구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분야에 사용될 수 있음을 명시하는 바이다. Hereinafter, a pipe residual water drain module and a pipe residual water drai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on the premise that it is applied to a water purifier, but it is stated that it may be connected to a water bulb without a purification filter unit, and can be used in all field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도 1은 본 발명인 배관 잔수 드레인모듈이 적용된 예인 전기레인지의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1의 경우는 언더싱커타입을 의미하며, 파우셋부(30)가 구비된 전기레인지를 도시하고 있다. 전기레인지는 화구(H1, H2, H3) 및 파우셋부(30)가 결합된 구조이며, 터치감응식의 입력부(50)가 구비됨으로써, 파우셋부(30)로부터의 출수시간 또는 출수량 등을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파우셋부(30)에는 출수밸브(32)가 구비되는 바, 사용자가 수동으로 출수를 제어할 수 있다. 평상시에는 출수밸브(32)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출수밸브가 개방될 때, 파우셋부(30)를 통해 물이 출수된다. 1 is a schematic schematic diagram of an electric range that is an example to which the present inventors pipe residual water drain module is applied. In the case of FIG. 1, it means an under-sinker type, and shows an electric range in which the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본 발명인 배관 잔수 드레인모듈은 입수연결부(110), 2방향밸브(120), 메인관(130), 출수연결부(140), 압력센싱부(150), 제어부(160) 및 드레인연결부(1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연결부'들은 피팅이 되는 부분을 의미하는 바, 연결부들에서는 튜빙 등으로 구성된 유로가 끼워져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inventors' piping residual water drain module includes an
입수연결부(110)는 정화필터부(20)로부터 출수되는 배관과 결합을 위한 구성이다. 정화필터부(20)로부터 출수되는 배관은 튜빙일 수 있는 바, 입수연결부(110)에는 튜빙의 단부 측이 긴밀하게 체결된다. 이 때, 튜빙과의 긴밀성을 더욱 증대시키기 위해, 입수연결부(110)는 누수 방지를 위한 고무패킹이 더 구비될 수 있다. The receiving
2방향밸브(120)는 제어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제어부(160)에 의해 2방향밸브(120)의 개폐동작이 조절된다. 이 때, 2방향밸브(120)는 입수연결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출수유로로 유동시키거나 또는 드레인연결부(170) 측으로 유동시켜 배수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원수를 선택적으로 유동시킨다. 또한, 2방향밸브(120)는 전자식밸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고, 공지된 모든 종류의 밸브가 적용될 수 있다. The two-
메인관(130)은 출수연결부(140)와 연결되되, 입수연결부(110) 및 드레인연결부(170)와 연통된 배관이다. 입수연결부(110)를 통해 원수가 공급되고, 드레인연결부(170)는 드레인관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 때, 메인관(130)은 출수연결부(140)와 함께 출수유로를 형성한다. 도 2에서는 입수연결부(110), 출수연결부(140) 및 드레인연결부(170) 사이에 2방향밸브(120)가 구비되는 바, 즉, 2방향밸브(120)는 메인관(130) 상에 구비된다고 볼 수 있다. The
출수연결부(140)는 파우셋부(30)와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부분이다. 파우셋부(30) 및 출수연결부(140) 사이에는 출수밸브(32)가 구비된다. The water
압력센싱부(150)는 출수유로의 압력변화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며, 압력변화시 전기적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압력센싱부(150)는 고압차단스위치(High Pressure Switch, HPS)일 수 있다. 도 2에서는 압력센싱부(150)가 출수연결부(140)에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압력센싱부(150)의 결합위치는 출수유로 내의 압력변화 감지가 가능한 위치라면, 그 위치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제어부(160)는 압력센싱부(150)로부터 출력된 전기적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2방향밸브(120)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이다. 제어부(160)는 배관 잔수 드레인모듈(100)에 PBA로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압력센싱부(150)로부터 전기적신호를 무선으로 송신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타이머(미도시)를 포함하며, 타이머에 의해, 2방향밸브(12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만 상기 입수연결부(110) 및 드레인연결부(170)를 연통시키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입수연결부(110) 및 출수연결부(140)를 연통시킬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시간은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배관의 길이, 직경 등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튜빙의 직경이 일반적으로 3mm 이하인 점을 고려할 때, 미리 설정된 시간은 2 내지 4초일 수 있다. The
드레인밸브(170)는 드레인배관과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부분이다. 제어부(160)가 2방향밸브(120)에 특정한 전기적신호를 송신하면, 드레인연결부(170)를 통해 배관에 정체한 물이 모두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The
도 5는 본 발명인 배관 잔수 드레인모듈의 제1실시예를 사용하여 배관 내의 잔수를 드레인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3 및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5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draining residual water in a pipe us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ipe residual water drai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together.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내의 잔수를 드레인하는 방법은, 단계(S110) 내지 단계(S140)를 포함한다. A method of draining residual water in a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teps S110 to S140.
단계(S110)은 파우셋부(30)에 구비된 출수밸브(32)가 개방되어 상기 출수유로의 압력이 변화되는 단계이다. 사용자가 출수밸브(32)를 개방하기 직전까지는 모든 배관 내부는 일정한 압력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이다. 사용자가 출수밸브(32)를 개방하는 순간 출수유로에는 일시적으로 압력 강하가 발생된다. Step (S110) is a step in which the
단계(S120)은 압력센싱부(150)에 의해 출수유로의 압력변화가 감지되고, 상기 제어부(160)로 전기적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이다. Step S120 is a step of detecting a pressure change in the water outlet passage by the
단계(S130)은 제어부(160)에 의해, 입수연결부(110)를 상기 출수연결부(140) 및 드레인연결부(170)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2방향밸브(120)가 조절되되, 2방향밸브(120)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입수연결부(110) 및 드레인연결부(170)를 연통시켜 드레인관을 통해 출수되는 단계이다. 원수는 수전구를 통해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되므로, 2방향밸브(120)를 통해 입수연결부(110)가 드레인연결부(170)와 연통된 경우, 공급되는 원수에 의해 배관에 정체하던 물은 모두 드레인연결부(170)를 통해 배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드레인연결부(170)는 드레인관과 결합되어 있다. 드레인관은 건물의 배수관과 연결될 수도 있으며, 배수관과 연결이 힘들 경우, 임시로 배출된 물을 저류할 수 있는 저장탱크와 연결될 수 있다. 저장탱크가 사용될 경우, 사용자는 주기적으로 이를 비워줘야한다. Step (S130) is controlled by the
단계(S140)은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160)에 의해, 2방향밸브(120)가 입수연결부(110) 및 출수연결부(140)를 연통시켜 파우셋부(30)를 통해 출수되는 단계이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출수밸브(32)를 조작할 경우, 사용자는 출수명령을 한 것으로 간주되며, 사용자의 이러한 출수명령으로부터 실제로 출수되기까지는 소정의 시간 경과가 필요하다. 배관의 잔수를 배출시키는데 소정의 시간이 소요되는 바, 파우셋부(30)로부터의 지연출수가 발생된다. Step (S140) is a step in which, by the
도 6은 본 발명인 배관 잔수 드레인모듈의 제1실시예의 변형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배관 잔수 드레인모듈(100')은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2방향밸브를 사용한 구성과는 달리, 메인관(130) 측에는 출수유로밸브(132)가 구비되고, 드레인연결부(170) 측에는 드레인연결밸브(172)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제어부(160)는 출수유로밸브(132) 및 드레인연결밸브(17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킴으로써, 파우셋부(30)로부터의 출수와 드레인관으로의 배수를 수행할 수 있다. 6 is a block diagram of a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ipe residual water drai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figuration using a two-way valve in the first embodiment, the pipe residual
도 7은 본 발명인 배관 잔수 드레인모듈의 제2실시예가 적용된 배관 잔수 드레인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전술한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7 is a block diagram of a piping residual water drain system to which a second embodiment of the piping residual water drai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본 발명인 배관 잔수 드레인시스템은 원수공급부(10), 정화필터부(20), 배관 잔수 드레인모듈(200), 메인배관, 드레인배관, 제1밸브(22) 및 제2밸브(24)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or's pipe residual water drain system includes a raw
메인배관은 정화필터부(20)와 입수연결부(210)를 연결시키는 배관이며, 드레인배관은 메인배관으로부터 분기되는 배관이다. 드레인배관이 메인배관으로부터 분기되는 분기점 이전에 제1밸브(22)가 구비되며, 제2밸브(24)는 드레인배관 상에 구비된다. 제1밸브(22)는 수전구로부터 공급되는 원수가 배관 잔수 드레인모듈(200) 내로 공급되는 것을 조절하고, 제2밸브(24)는 드레인관으로 배수되는 것을 조절한다. 제1밸브(22) 및 제2밸브(24)는 전자식밸브로 형성되어 제어부(260)에 의해 개폐가 제어될 수 있다. The main pipe is a pipe connecting the
배관 잔수 드레인모듈의 제2실시예에서, 입수연결부(210) 및 출수연결부(240) 사이에는 메인관이 구비된다. 여기서 메인관은 입수연결부(210) 및 출수연결부(240)와 함께 출수유로를 형성한다. 도 7 내지 9에서는 압력센싱부(250)가 입수연결부(201)와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출수유로의 압력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라면 모두 가능하다. 여기서 압력센싱부(250)는 저압차단스위치(Low Pressure Switch, LPS)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제1실시예에서는 압력의 강하를 감지하는 구성인데 반해, 제2실시예에서는 출수밸브(32)의 폐쇄에 따른 압력의 증가를 감지하는 구성이기 때문이다.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ipe residual water drain module, a main pipe is provided between the
체크피팅부(280)는 출수유로 및 외기와의 연통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공기가 일방향으로만 유동하도록 구성된다. 출수밸브(32)가 폐쇄되는 순간, 드레인관을 포함한 배관에는 차압이 인가되는 바, 배관 내에 잔류하는 물을 배출하기 위해서는 차압을 해제시켜야 되며, 공기와의 연통을 통해 배관 내의 차압을 해제함으로써, 드레인관으로 잔류하는 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체크피팅부(28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눌러서 강제로 외기로 개방시킬 수 있으나, 좀 더 효율적으로 잔수를 배출하기 위해 체크피팅부(280)가 에어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60)에 의해 에어펌프가 동작되면, 에어펌프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메인배관 내의 잔수가 드레인배관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에어펌프에는 필터부재가 더 구비되어 빈 공간을 통해 이물질이 배관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The check
도 10은 본 발명인 배관 잔수 드레인모듈 제2실시예가 적용된 배관 잔수 드레인시스템을 사용하여 배관 내의 잔수를 드레인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8 및 9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10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draining residual water in a pipe using a pipe residual water drain system to which a second embodiment of the pipe residual water drai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배관 내의 잔수를 드레인하는 방법은 단계(S210) 내지 단계(S240)를 포함한다. A method of draining the residual water in the pipe includes steps S210 to S240.
단계(S210)는 파우셋부(30)에 구비된 출수밸브(32)가 폐쇄되어 출수유로의 압력이 변화되는 단계이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출수밸브(32)가 폐쇄된 직후에는 일시적으로 출수유로의 압력이 크게 증가한다. Step (S210) is a step in which the
단계(S220)는 압력센싱부(250)에 의해 출수유로의 압력변화가 감지되고, 제어부(260)로 전기적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이다. 압력센싱부(250)에 의해 출수유로의 압력이 일시적으로 증가됨이 감지되어 제어부(260)에 전기적신호를 송신한다. In step S220, a pressure change in the water outlet passage is sens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250, and an electrica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단계(S230)은 제어부(260)에 의해, 제1밸브(22)는 폐쇄되고, 제2밸브(24)는 개방된 상태에서, 체크피팅부(280)가 미리 결정된 조건에 의해 동작되어 메인배관내의 잔수가 드레인배관으로 배출되는 단계이다. 여기서 체크피팅부(28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일시적으로 배관이 외기에 노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이와는 달리, 에어펌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체크피팅부(280)에 의해 배관 내에 인가된 차압을 해제함으로써, 잔수를 배출시킬 수 있다. 물론, 그 전제로 제1밸브(22)는 폐쇄되고, 제2밸브(24)는 개방되어야 한다. 제1밸브(22)가 개방되더라도 현재 출수밸브(32)가 폐쇄된 상태인 바, 실제로는 큰 영향이 없을 수도 있으나, 에어펌프에 의한 토출압력에 의해 잔수가 정화필터부(20)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In step S230, the
단계(S240)는 압력센싱부(250)가 비활성화되고, 제1밸브(22)는 개방되면서 제2밸브(24)는 폐쇄되는 단계(S240)이다. 이 때, 체크피팅부(280)는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만 동작된다.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압력센싱부(250)는 비활성되어야 한다. 제1밸브(22)가 개방되고, 제2밸브(24)는 폐쇄되면서 수전구로부터 원수가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되는 바, 배관 잔수 드레인모듈(200)의 출수유로에 압력변화가 다시 발생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압력센싱부(250)는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다시 활성화 상태로 변경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The step S240 is a step S240 in which the pressure sensing unit 250 is deactivated, the
한편, 단계(S230)에서는, 제1밸브(22)는 폐쇄되고, 제2밸브(24)는 개방된 상태에서, 체크피팅부(280)가 간헐적으로 반복하여 동작할 수 있다. 체크피팅부(280)가 일시적으로 정지한 상태에서 파우셋부(30) 측 배관에 정체된 잔수를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유동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조건들은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될 수 있고, 설계자는 본 발명의 설치 위치, 수전구로부터의 수압 등을 고려하여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step S230, with the
상기에서는 사용자가 물을 사용했는지 여부를 압력변화로만 판단하였으나, 유량센서를 더 포함하여 압력 및 유속을 모두 고려하여 감지할 수도 있다. In the above, whether or not the user has used water is determined only as a pressure change, it may be detected by further including a flow sensor in consideration of both pressure and flow rate.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In the above,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s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from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10: 원수공급부
20: 정화필터부
22: 제1밸브
24: 제2밸브
30: 파우셋부
32: 출수밸브
110, 210: 입수연결부
120: 2방향밸브
130: 메인관
140, 240: 출수연결부
150, 250: 압력센싱부
160, 260: 제어부
170, 270: 드레인연결부10: raw water supply unit
20: purification filter unit
22: first valve
24: second valve
30: Faucet part
32: water outlet valve
110, 210: inlet connection
120: 2-way valve
130: main building
140, 240: water outlet connection
150, 250: pressure sensing unit
160, 260: control unit
170, 270: drain connection
Claims (14)
출수를 수행하는 파우셋부(30)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출수연결부(140);
상기 출수연결부(140)와 연결되되, 입수연결부(110) 및 드레인연결부(170)와 연통된 메인관(130)으로서, 상기 입수연결부(110)를 통해 원수가 공급되고, 상기 드레인연결부(170)는 드레인관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출수연결부(140)와 함께 출수유로를 형성하는 메인관(130);
상기 출수유로의 압력변화를 감지하며, 압력변화시 전기적신호를 출력하는 압력센싱부(150); 및
상기 압력센싱부(150)로부터 출력된 전기적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160);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입수연결부(110)가 상기 출수유로 또는 드레인연결부(170)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배관 잔수 드레인모듈.
As a pipe residual water drain module,
A water outlet connection portion 140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faucet portion 30 for performing water outlet;
As the main pipe 130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connection part 140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water inlet connection part 110 and the drain connection part 170, raw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inlet connection part 110, and the drain connection part 170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drain pipe, the main pipe 130 forming a water outlet channel together with the water outlet connection part 140;
A pressure sensing unit 150 that senses a pressure change in the water outlet passage and outputs an electrical signal when the pressure changes; And
A control unit 160 for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pressure sensing unit 150; Including,
The control unit 160 allows the inlet connection unit 110 to selectively communicate with the water outlet passage or the drain connection unit 170,
Pipe residual water drain module.
상기 파우셋부(30)에는 출수를 제어하는 출수밸브(32)가 구비되며,
상기 출수밸브(32)가 개방될 때, 상기 압력센싱부(150)에 의해 상기 출수유로의 압력변화가 감지되고,
상기 제어부(160)에 의해, 상기 입수연결부(110) 및 상기 드레인연결부(170)가 연통되는,
배관 잔수 드레인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faucet portion 30 is provided with a water outlet valve 32 for controlling water outlet,
When the water outlet valve 32 is opened, a pressure change in the water outlet passage is sens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150,
By the control unit 160, the receiving connection unit 110 and the drain connection unit 170 are in communication,
Pipe residual water drain module.
상기 입수연결부(110)의 후단부에는 2방향밸브(120)가 결합되되, 상기 2방향밸브(120)에는 상기 출수연결부(140) 및 드레인연결부(170)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160)는 전기적신호를 통해 상기 2방향밸브(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배관 잔수 드레인모듈.
The method of claim 2,
A two-way valve 120 is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inlet connection part 110, and the water outlet connection part 140 and the drain connection part 170 are connected to the two-way valve 120,
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wo-way valve 120 through an electrical signal,
Pipe residual water drain module.
상기 제어부(160)는,
타이머를 포함하며, 상기 타이머에 의해, 상기 2방향밸브(12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만 상기 입수연결부(110) 및 드레인연결부(170)를 연통시키고,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입수연결부(110) 및 출수연결부(140)를 연통시키는,
배관 잔수 드레인모듈.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160,
Includes a timer, and by the timer, the two-way valve 120 communicates the inlet connection part 110 and the drain connection part 170 only for a preset time, and when the preset time elapses, the inlet connection part (110) and to communicate the water outlet connection (140),
Pipe residual water drain module.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압력센싱부(150)에 의해 감지된 압력변화값을 통해 상기 2방향밸브(120)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배관 잔수 드레인모듈.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160,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two-way valve 120 through the pressure change value sens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150,
Pipe residual water drain module.
상기 압력센싱부(150)는 고압차단스위치(High Pressure Switch, HPS)인,
배관 잔수 드레인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pressure sensing unit 150 is a high pressure switch (HPS),
Pipe residual water drain module.
상기 메인관(130) 측에는 출수유로밸브(132)가 구비되고, 상기 드레인연결부(170) 측에는 드레인연결밸브(172)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출수유로밸브(132) 및 드레인연결밸브(17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배관 잔수 드레인모듈.
The method of claim 2,
A water outlet flow channel valve 132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main pipe 130, and a drain connection valve 172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drain connection part 170,
The control unit 160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water outlet flow channel valve 132 and the drain connection valve 170,
Pipe residual water drain module.
상기 배관 잔수 드레인모듈은,
출수연결부(140); 및 상기 출수연결부(140)와 함께 출수유로를 형성하는 메인관(130); 을 포함하고,
(a) 출수가 수행되는 파우셋부(30)에 구비된 출수밸브(32)가 개방되어 상기 출수유로의 압력이 변화되는 단계(S110);
(b) 압력센싱부(150)에 의해 상기 출수유로의 압력변화가 감지되고, 상기 압력센싱부(150)로부터 출력된 전기적신호가 제어부(160)로 전송되는 단계(S120);
(c) 상기 제어부(160)에 의해 2방향밸브(120)가 조절되는 단계로서,
상기 2방향밸브(120)는, 원수가 공급되는 입수연결부(110)를 상기 출수연결부(140); 및 드레인관과 연결된 드레인연결부(170); 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며,
상기 2방향밸브(120)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입수연결부(110) 및 드레인연결부(170)를 연통시켜 상기 드레인관을 통해 출수되는 단계(S130); 및
(d)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상기 제어부(160)에 의해, 상기 2방향밸브(120)가 상기 입수연결부(110) 및 출수연결부(140)를 연통시켜 상기 파우셋부(30)를 통해 출수되는 단계(S140); 를 포함하는,
배관 내의 잔수를 드레인하는 방법.
As a method of draining residual water in a pipe using a pipe residual water drain module,
The pipe residual water drain module,
Water outlet connection 140; And a main pipe 130 forming a water outlet passage together with the water outlet connection part 140; Including,
(a) opening the water outlet valve 32 provided in the faucet part 30 in which water outlet is performed to change the pressure of the water outlet passage (S110);
(b) a step in which a pressure change in the outlet passage is sens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150, and an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pressure sensing unit 15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60 (S120);
(c) a step in which the two-way valve 12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60,
The two-way valve 120 includes an inlet connection unit 110 to which raw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outlet connection unit 140; And a drain connection part 170 connected to the drain pipe. Selectively communicate with,
The two-way valve 120 communicates with the water intake connection part 110 and the drain connection part 170 for a preset time, and discharges water through the drain pipe (S130); And
(d) After the preset time has elapsed, by the control unit 160, the two-way valve 120 communicates the inlet connection unit 110 and the water outlet connection unit 140 to the faucet unit 30 Step (S140) to be discharged through; Containing,
How to drain residual water in the pipe.
원수공급부(10);
정화필터부(20);
배관 잔수 드레인모듈(200);
상기 정화필터부(20) 및 상기 배관 잔수 드레인모듈(200)을 연결시키는 메인배관;
상기 메인배관으로부터 분기되는 드레인배관; 및
상기 정화필터부(20) 및 상기 드레인배관의 분기점 사이에 구비된 제1밸브(22)와 상기 드레인배관에 구비된 제2밸브(24); 를 포함하며,
상기 배관 잔수 드레인모듈(200)은,
출수를 수행하는 파우셋부(30)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출수연결부(240);
상기 메인배관과 연결되어 원수가 공급되는 입수연결부(210);
전단부는 상기 입수연결부(210)와 연결되고, 후단부는 상기 출수연결부(240)와 연결되며, 상기 입수연결부(210) 및 출수연결부(240)와 함께 출수유로를 형성하는 메인관(230);
상기 출수유로의 압력변화를 감지하며, 압력변화시 전기적신호를 출력하는 압력센싱부(250);
상기 출수유로 및 외기와의 연통을 제어하는 체크피팅부(280); 및
상기 압력센싱부(250)로부터 출력된 전기적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체크피팅부(280)를 조절하는 제어부(260);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체크피팅부(280), 제1밸브(22) 및 제2밸브(24)를 제어하여 잔수를 상기 드레인배관으로 배출시키는,
배관 잔수 드레인시스템.
As a piping residual water drain system including a piping residual water drain module,
Raw water supply unit 10;
A purification filter unit 20;
Pipe residual water drain module 200;
A main pipe connecting the purification filter unit 20 and the pipe residual water drain module 200;
A drain pipe branching from the main pipe; And
A first valve (22) provided between the purification filter unit 20 and a branch point of the drain pipe and a second valve (24) provided in the drain pipe; Including,
The piping residual water drain module 200,
A water outlet connection unit 240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faucet unit 30 for performing water extraction;
An inlet connection part 210 connected to the main pipe to supply raw water;
The front end is connected to the inlet connection part 210, the rear end is connected to the outlet connection part 240, and the main pipe 230 forming a water outlet channel together with the inlet connection part 210 and the outlet connection part 240;
A pressure sensing unit 250 that senses a pressure change in the water outlet passage and outputs an electrical signal when the pressure changes;
A check fitting unit 280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with the water outlet passage and outside air; And
A control unit 260 for receiving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pressure sensing unit 250 and adjusting the check fitting unit 280; Including,
The control unit 260,
Controlling the check fitting part 280, the first valve 22, and the second valve 24 to discharge residual water to the drain pipe,
Pipe residual water drain system.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압력센싱부(250)로부터 전기적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1밸브(22)는 폐쇄되고, 상기 제2밸브(24)는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체크피팅부(280)를 동작시키는,
배관 잔수 드레인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rol unit 260,
When an electrica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pressure sensing unit 250,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valve 22 is closed and the second valve 24 is open, operating the check fitting 280,
Pipe residual water drain system.
상기 체크피팅부(280)는 에어펌프이며, 상기 제어부(260)에 의해 상기 에어펌프가 동작되면, 상기 에어펌프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메인배관 내의 잔수가 상기 드레인배관으로 배출되는,
배관 잔수 드레인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check fitting part 280 is an air pump, and when the air pump is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260, residual water in the main pipe is discharged to the drain pipe by air discharged from the air pump,
Pipe residual water drain system.
상기 체크피팅부(280)는 필터부재가 더 구비되는,
배관 잔수 드레인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The check fitting part 280 is further provided with a filter member,
Pipe residual water drain system.
(a) 파우셋부(30)에 구비된 출수밸브(32)가 폐쇄되어 상기 출수유로의 압력이 변화되는 단계(S210);
(b) 상기 압력센싱부(250)에 의해 상기 출수유로의 압력변화가 감지되고, 상기 제어부(260)로 전기적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220); 및
(c) 상기 제어부(260)에 의해, 상기 제1밸브(22)는 폐쇄되고, 상기 제2밸브(24)는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체크피팅부(280)가 미리 결정된 조건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메인배관내의 잔수가 상기 드레인배관으로 배출되는 단계(S230); 를 포함하는,
배관 내의 잔수를 드레인하는 방법.
A method of draining residual water in a pipe using the pipe residual water drain system according to claim 9,
(a) the step of changing the pressure of the outlet passage by closing the outlet valve 32 provided in the faucet part 30 (S210);
(b) detecting a pressure change in the water outlet passage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250 and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to the control unit 260 (S220); And
(c) By the control unit 260, the first valve 22 is closed and the second valve 24 is opened, and the check fitting unit 280 is opera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dition. Discharging the residual water in the main pipe to the drain pipe (S230); Containing,
How to drain residual water in the pipe.
상기 (c) 단계의 미리 결정된 조건은 미리 설정된 시간이며, 상기 체크피팅부(280)는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만 동작되고,
상기 (c) 단계 이후,
(d) 상기 압력센싱부(250)가 비활성화되고, 상기 제1밸브(22)는 개방되면서 상기 제2밸브(24)는 폐쇄되는 단계(S240); 를 더 포함하는,
배관 내의 잔수를 드레인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The predetermined condition of step (c) is a preset time, and the check fitting unit 280 is operated only for the preset time,
After step (c),
(d) the pressure sensing unit 250 is deactivated, the first valve 22 is opened, and the second valve 24 is closed (S240); Further comprising,
How to drain residual water in the pip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0256A KR20210004207A (en) | 2019-07-03 | 2019-07-03 | Module for Draining the Piping and System for Draining the Pip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0256A KR20210004207A (en) | 2019-07-03 | 2019-07-03 | Module for Draining the Piping and System for Draining the Pip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4207A true KR20210004207A (en) | 2021-01-13 |
Family
ID=74142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0256A KR20210004207A (en) | 2019-07-03 | 2019-07-03 | Module for Draining the Piping and System for Draining the Pip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04207A (en) |
-
2019
- 2019-07-03 KR KR1020190080256A patent/KR20210004207A/en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21295B2 (en) | System for controlling fluid flow to an appliance | |
CN107923160B (en)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flushing with a multi-way valve | |
CN106830396A (en) | Water purifying drinking machine | |
KR20210004207A (en) | Module for Draining the Piping and System for Draining the Piping | |
CN206666246U (en) | Water purifying drinking machine | |
US20200080289A1 (en) | Drinking water economizer | |
JP6176586B2 (en) | Instant hot water system | |
JP2001263819A (en) | Electric water heater with water purifier | |
GB2437175A (en) | Water heating system control | |
JP2000328611A (en) | Water supply control unit | |
JPH08121867A (en) | Hot water supply device | |
JP5430461B2 (en) | Hot water supply device | |
JP5322021B2 (en) | Hot water storage type hot water supply device and channel opening / closing device for hot water storage type hot water heater | |
JP2005156053A (en) | Hot water supply apparatus | |
JP6484411B2 (en) | Hot water storage system | |
JP2005509770A (en) | Sanitary faucet block | |
JP7292621B2 (en) | Wash tank and tray system | |
JP2001263817A (en) | Water heater | |
CN212269484U (en) | Water purifier branch controller | |
JP2003172549A (en) | Draining hopper and electric water heater | |
JPH11229451A (en) | Antifreeze structure in hot water supply device | |
US20240308837A1 (en) | Cold and hot drinking water dispenser with disinfecting circuit | |
KR100620579B1 (en) | Control method of purifier | |
JP5067080B2 (en) | Backflow prevention valve, backflow prevention device having the same, hot water supply device and hot water supply system | |
JP2002031411A (en) | Electric water-heating applian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