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956A - Flower pot having high airing efficiency - Google Patents

Flower pot having high airing efficienc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956A
KR20210002956A KR1020190078870A KR20190078870A KR20210002956A KR 20210002956 A KR20210002956 A KR 20210002956A KR 1020190078870 A KR1020190078870 A KR 1020190078870A KR 20190078870 A KR20190078870 A KR 20190078870A KR 20210002956 A KR20210002956 A KR 20210002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flower pot
tube
hole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8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00711B1 (en
Inventor
김혁중
Original Assignee
김혁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혁중 filed Critical 김혁중
Priority to KR1020190078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711B1/en
Publication of KR20210002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9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7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wer pot having high ventilation efficiency comprising: a main body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soil and plants are accommodated; and a plurality of vent holes formed in the side wall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vent holes pass through the side wall of the main body, and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Description

통기효율이 높은 화분{FLOWER POT HAVING HIGH AIRING EFFICIENCY}Flowerpot with high ventilation efficiency{FLOWER POT HAVING HIGH AIRING EFFICIENCY}

본 발명은 통기효율이 높은 화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tted plant having high ventilation efficiency.

일반적인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물을 키우고 있다. 식물, 특히 많은 사람들이 키우고 있는 난과 같은 식물들은 나무에 뿌리가 형성되어 공기 중에 뿌리가 접촉을 하면서 뿌리호흡을 통해 수분과 영양분을 흡수하는 식물이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 토양에 식물이 자리잡게 되면서 이러한 식물은 호기성, 즉 뿌리호흡을 통해 성장할 수 있는 식물이다.At least one plant is grown in a general home or office. Plants, especially those grown by many people, such as orchids, were plants that absorb moisture and nutrients through root respiration when roots are formed on trees and the roots come into contact with the air. However, as plants settle in the soil over time, these plants are aerobic, that is, plants that can grow through root respiration.

이러한 식물은 주로 화분에 심어져서 판매되고, 특히 이러한 경우 화분은 흙이나 자기,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반적인 화분에 대한 선행문헌은 아래와 같다. These plants are mainly planted and sold in pots, and in particular, pots are made of soil, porcelain, or plastic. Prior literature on general pollen is as follows.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30538호 '인삼을 화분에서 재배하는 방법'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30538'How to grow ginseng in pots'

그러나 종래의 흙을 이용한 토분의 경우, 통기성이 뛰어나 뿌리호흡을 통한 뿌리의 공기공급에는 이로운 점이 있으나, 공급된 수분이 토분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내부의 수분상태가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특히 날씨가 더운 여름에는 내부의 수분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속도가 빨라져서 자주 수분을 공급해줘야 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conventional soil-based soil, it has excellent ventilation and is advantageous in supplying air to the roots through root respiration, bu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internal moisture state is not good because the supplied moistur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oil. In particular, in the summer when the weather is hot, there is a problem that moisture must be supplied frequently because the rate at which moisture from the inside escapes to the outside is accelerated.

또한, 종래의 자기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일반 화분의 경우에는 내부의 통기성이 낮기 때문에 식물의 뿌리호흡을 통한 뿌리의 공기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외부에 몇몇 통기구가 설치되는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수분을 공급하면 수분이나 토양이 통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conventional pots made of porcelain or plastic, there is a problem in that air supply to the roots through the root respiration of the plant is not smoothly performed because the internal ventilation is low.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some vents may be installed outside, but in this case, when moisture is supplied, there is a problem that moisture or soil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vents.

즉, 종래의 화분은 호기성 식물의 뿌리호흡을 방해하기 때문에 식물이 제대로 생장할 수 없는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이 때문에 사용자가 날씨나 외부환경에 따라 식물에 수분을 공급하는 시간 간격이 달라지거나 자주 수분을 식물에 공급해줘야 되는 문제가 있다.In other words, because conventional pollen interferes with the root respiration of aerobic plants, there is a problem that plants cannot grow properly, and for this reason, the time interval for supplying moisture to plants varies depending on the weather or external environment, or There is a problem of having to moisturize the plant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통기공과 통기관을 사용하여 공기를 식물의 뿌리 근처 토양에 접촉시킴으로써, 통기효율을 높여 식물의 뿌리호흡 효율을 높이는 화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len that increases the ventilation efficiency and increases the root respiration efficiency of the plant by contacting the air with the soil near the root of the plant using a ventilation hole and a ventilation pip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d another technical problem may be deriv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은, 상기 본체의 측벽에 형성된 다 수의 통기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통기공은 상기 본체의 측벽을 관통하고,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flower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vent holes formed on the sidewall of the body, and the vent holes penetrate the sidewall of the body, and ar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I can.

또한, 상기 통기공의 외측 하단은 상기 통기공의 내측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lower end of the vent hole may be dispos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inner upper end of the vent hole.

또한, 상기 통기공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통기공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까지 연장될 수 있는 통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vent pipe that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vent hole, and extends from the vent hole to the receiving space.

또한, 상기 통기관은 외부에 다 수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상기 통기관은 플렉서블한 그물망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ntilation pipe may have a plurality of openings formed outside, or the ventilation pipe may be formed as a flexible mesh.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은 상기 본체의 내측면을 따라 튜브형상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통기공간이 형성된 통기튜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기관은 상기 통기튜브를 관통하여 일단이 상기 통기공간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ower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ventilation tube extending in a tube shape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ventilation space therein, wherein the ventilation pipe passes through the ventilation tube and has one end of the ventilation tube. It may be formed to be disposed in space.

또한, 상기 통기튜브는 플렉서블한 그물망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ntilation tube may be formed as a flexible mesh.

또한, 상기 본체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 수의 통기공 중 일부는 상기 손잡이부를 관통할 수 있다.In addition, a handle portion dispos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side of the body may be further included, and some of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may pass through the handle portion.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기효율이 높은 화분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flower pot having high ventilation efficienc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ing the above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호기성 식물의 뿌리에 공기의 공급이 원활하여 식물의 뿌리호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적은 수분으로도 식물의 생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First, the supply of air to the roots of aerobic plants is smooth, so that the root respiration of the plant is made smoothly, so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lant grows smoothly with little moisture.

둘째, 외부환경이나 날씨와 상관없이 사용자가 일정 시간간격으로 수분을 식물에 공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잦은 수분공급이 필요없어 사용자가 편하게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econd, irrespective of the external environment or weather, not only the user can supply moisture to the plants at regular intervals, but also the user does not need frequent moisture supply, so that the user can grow plants comfortably.

셋째, 통기공을 통해 화분 내부의 수분이나 토양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기 때문에 토양과 수분을 오래도록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ird, since moisture or soil inside the pot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there is an effect of maintaining soil and moisture for a long time.

넷째, 통기관의 탈부착이 수월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필요한 경우에 따라 통기관의 사용여부를 결정할 수 있어, 화분의 활용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Fourth, since it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the ventilation pipe, the user can determine whether to use the ventilation pipe according to the case where necessary, and thus, there is an advantage of high utility of the pollen.

다섯째, 화분 내부의 토질의 크기, 즉 토양입자의 크기가 크던지 작던지 이와 무관하게 식물의 뿌리호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토양종류에 상관없이 식물의 생장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fth,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soil inside the pot, that is, whether the size of the soil particles is large or small, the root respiration of the plant is efficiently performed, 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plants can be effectively grown regardless of the type of soi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구성 중 통기관 구성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에 통기튜브가 결합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에 통기튜브가 결합된 측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wer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ventilation pip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lower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flower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ntilation tube coupled to a flower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n which a ventilation tube is coupled to a flower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조나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number of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or method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식물의 뿌리가 흙 내부에서 효율적으로 공기와 접촉하여 호흡할 수 있는 통기성이 높은 화분(100)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이러한 화분(100)을 간략하게 “화분(100)”으로 호칭하기로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ly breathable pollen 100 in which the roots of plants can efficiently contact air and breathe inside the soil. Hereinafter, the pollen 100 will be briefly referred to as “flower pot 100”. It will be called a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100)의 구성 중 통기관(140) 구성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100)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에 통기튜브가 결합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에 통기튜브가 결합된 측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wer po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ventilation pipe 140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lower po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flower po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ntilation tube coupled to a flower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entilation tube coupled to the flower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100)은 식물 및 토분이 수용될 수 있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측벽에 형성된 다 수의 통기공(120), 상기 통기공(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통기관(140), 상기 본체(110)의 측면에 형성된 손잡이부(130) 및 상기 본체(110) 내벽을 따라 튜브형상으로 결합된 메쉬형태의 통기튜브(16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5, the flower po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10 that can accommodate plants and soil, and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120 formed on the sidewalls of the body 110. ), the ventilation pipe 140 detachably coupled to the ventilation hole 120, the handle portion 130 form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mesh-shaped coupled in a tube shape along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110 It may include a ventilation tube 160.

상기 본체(110)는 내부에 식물 및 토분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111)을 제공하고, 본 발명의 화분(10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본체(110)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본체(110)가 형성하는 내부 수용공간(111)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음을 알려둔다. The main body 110 provides an accommodation space 111 in which plants and soil powder can be accommodated, and is a part that can form the outer shape of the flower po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110 may have a shape whose diameter decreases toward the lower side,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it is noted that there is no limit to the shape of the inner receiving space 111 formed by the main body 110.

상기 본체(110)는 재질은 마블과 같은 경화플라스틱이나 자기로 이루어질 수 있고, 토분과 같이 통기성이 높은 화분(100)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ain body 110 may be made of a hard plastic such as marble or porcelain,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of the flower pot 100 having high ventilation, such as earthen powder.

상기 본체(110)는 하단, 즉 바닥부분에 하나 이상의 배출구(1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본체(110)의 상기 수용공간(111)에 배치된 식물에 수분이 공급되는 경우, 내부의 토분이 흡수할 수 있는 물의 수용범위를 넘어서면 상기 배출구(150)를 통해 나머지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main body 110 may have one or more outlets 150 formed at a lower end, that is, a bottom portion. In detail, when moisture is supplied to the plants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111 of the main body 110, the remaining water through the discharge port 150 is outside the receiving range of water that can be absorb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ischarged into.

상기 통기공(120)은 상기 본체(110)의 측벽에 형성되어 식물이 수용된 경우, 식물의 뿌리가 흙을 통해 공기와 간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아래에서는 상기 통기공(120)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The ventilation hole 120 is a means for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roots of the plant can indirectly contact air through soil when the plant is accommodated by being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main body 110.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ventilation hole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통기공(120)은 상기 본체(110)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통기공(120)은 상기 본체(110)의 외측벽에서 내측벽을 관통하여 공기가 상기 본체(110)의 수용공간(111)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The ventilation hole 120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sidewall of the main body 110. That is, the ventilation hole 120 may pass through the inner wall from the outer wall of the main body 110 to allow air to flow into the receiving space 111 of the main body 110.

상세히, 상기 통기공(120)은 상기 외측벽에서 상기 내측벽을 관통하는 경우,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화분(100)에 심겨진 식물에 수분을 공급하는 경우, 화분(100) 내부의 토양이나 수분이 상기 통기공(1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In detail, when the ventilation hole 120 passes through the inner wall from the outer wall, the ventilation hole 12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outer to the inner side. This is to prevent the soil or moisture inside the pot 100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120 when supplying moisture to the plant planted in the pot 100.

더욱 상세히, 상기 통기공(120)은 외측벽에 형성된 외측 하단(P)이 내측벽에 형성된 내측 상단(P')보다 지면을 기준으로 더 상측에, 즉 더 높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통기공(120)의 외측 하단(P)이 상기 통기공(120)의 내측 상단(P')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단순하게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아니라, 상기 본체(110)의 두께와 상기 통기공(120)의 크기를 고려했을 때, 상기 통기공(120)의 외측의 가장 아래부분보다 내측의 가장 윗부분이 더 높게 있음에 따라 내부의 흙이나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more detail, the vent hole 120 may be disposed at a higher side, that is, higher with respect to the ground, than the inner upper end P′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outer lower end P formed on the outer wall. Referring to FIG. 3, it can be seen that the outer lower end P of the vent hole 120 is dispos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inner upper end P′ of the vent hole 120. That is, it is not simply inclined downwar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but when considering the thickness of the body 110 and the size of the ventilation hole 120,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ventilation hole 120 As the uppermost part of the inside is higher, there is an effect of completely blocking the discharge of soil or moisture inside.

상기 통기관(140)은 상기 통기공(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수단으로, 상기 통기관(140)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111)에 배치된 식물의 뿌리 근처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상기 통기관(140)은 관본체(141)와, 상기 관본체(141)로부터 연장된 걸림부(142)와, 상기 걸림부(142)에 연결된 고리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ntilation pipe 140 is a means that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ventilation hole 120, and through the ventilation pipe 140, air can be introduced near the root of the plant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111 It is a means of providing space. The ventilation pipe 140 may include a tube body 141, a locking part 142 extending from the tube body 141, and a ring part 143 connected to the locking part 142.

상기 관본체(141)는 상기 통기공(120)에 삽입될 수 있는 상기 통기관(140)의 본체(110) 부분이다. 상세히, 상기 관본체(141)는 원통 형상의 관일 수 있다. 다만, 원통형상은 일 예이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관본체(141)의 재질은 한정이 없으니 수분에 오래 유지되어도 녹이 생기지 않는 합금이나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ube body 141 is a portion of the body 110 of the ventilation pipe 140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ventilation hole 120. In detail, the tube body 141 may be a cylindrical tube.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since the cylindrical shape is an example, i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since the material of the tube body 141 is not limited, it is preferable to be made of an alloy or plastic that does not rust even if it is kept in moisture for a long time.

또한, 상기 관본체(141)의 재질은 유연한, 즉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져 구부러지거나 펴지는 것이 자유로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tube body 141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at is, a flexible material, 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is free to bend or expand.

또한, 상기 관본체(141)는 상기 통기공(120)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111)으로 설정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설정길이는 상기 본체(11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상기 수용공간(111)에서 토양은 관통하되 식물의 뿌리에는 직접 접촉이 되지 않는 수준의 길이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tube body 141 may extend from the ventilation hole 120 to the accommodation space 111 by a set length. In detail, the set length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main body 110, but may be a length that penetrates the soil in the receiving space 111 but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roots of plants.

또한, 상기 관본체(141)에는 다 수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관본체(141)는 메쉬(Mesh)가 형성된 그물망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관본체(141)에 형성된 메쉬, 다 수의 개구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111)의 식물 뿌리 근처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식물의 뿌리호흡 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 number of openings may be formed in the tube body 141. In detail, the pipe body 141 may be formed in a mesh shape in which a mesh is formed. That is, air can be introduced near the plant roots of the receiving space 111 through the mesh formed in the tube body 141 and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openings, thereby increasing the root respiration efficiency of the plant. have.

상기 걸림부(142)는 상기 관본체(141)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통기관(140)이 상기 통기공(120)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통기공(120)을 통해 완전히 삽입되지 않도록 걸림이 되는 부분이다. 상세히, 상기 걸림부(142)는 상기 통기공(12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통기공(120)의 외측에 접촉하여 걸림으로써, 상기 관본체(141)만 상기 통기공(12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The locking part 142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tube body 141 so that when the ventilation pipe 140 is inserted into the ventilation hole 120, it is locked so that it is not completely inserted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120. Part. In detail, the locking portion 142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ventilation hole 120 and is caught in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ventilation hole 120, so that only the tube body 141 is the ventilation hole ( 120).

상기 걸림부(142)는 상기 관본체(141)와 일체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관본체(141)와 별도 재질로 제작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부(142)의 재질이나 상기 관본체(141)와의 연결방식은 제한이 없다. The locking part 142 may be formed to extend integrally with the tube body 141 or may be made of a material separate from the tube body 141 and be coupled to each other. That is,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material of the locking portion 142 or the connection method with the tube body 141.

상기 고리부(143)는 상기 걸림부(142)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을 걸거나 잡을 수 있는 수단이다. 상기 고리부(143)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통기관(140)을 상기 통기공(120)으로 삽입 또는 배출할 수 있다.The ring portion 143 is a means that extends from the locking portion 142 and allows a user to hook or hold a finger. Through the ring part 143, the user can insert or discharge the ventilation pipe 140 into the ventilation hole 120.

즉, 상기 통기관(140)을 사용자는 상기 통기공(12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뿌리호흡이 필수적인 식물의 경우는 상기 통기관(140)을 상기 통기공(120)에 결합한 상태로 화분(100)을 사용할 수 있고, 반대로 선인장과 같이 뿌리호흡이 크게 중요하지 않은 식물의 경우에는 상기 통기관(140)을 상기 통기공(120)에서 분리한 상태로 화분(100)을 사용할 수 있어, 화분(100)의 활용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That is, since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the vent pipe 140 from the vent hole 120, in the case of a plant in which root respiration is essential, the vent pipe 140 is connected to the vent hole 120 (100) can be used, and,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a plant whose root respiration is not very important, such as a cactus, the pollen 100 can be used while the ventilation pipe 140 is separated from the ventilation hole 120, There is an advantage of high utilization of (100).

상기 손잡이부(130)는 상기 본체(110)의 측벽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화분(100)을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이다. 상세히, 상기 손잡이부(130)는 상기 본체(110)의 양 측벽에 각각 하나씩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130)의 중앙부 하단은 오목하게 파일 수 있고, 사용자는 파인 부분을 통해 상기 화분(1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The handle 130 is a means that is disposed on the sidewall of the main body 110 so that the user can lift or move the flower pot 100 by hand. In detail, the handle part 130 may be disposed to protrude outward, one on each side wall of the main body 110.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handle 130 may be concavely filed, and the user may move the flower pot 100 through the fine portion.

상기 손잡이부(130)가 배치된 경우, 상기 통기공(120)은 상기 손잡이부(13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손잡이부(130)가 상기 측벽에서 외부로 돌출된 경우에는 상기 통기공(120)은 상기 손잡이부(130)와 상기 본체(110)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손잡이 부분에도 통기공(120)이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handle portion 130 is disposed, the ventilation hole 120 may be formed through the handle portion 130. In detail, when the handle portion 130 protrudes outward from the side wall, the ventilation hole 120 is formed to penetrate the handle portion 130 and the side wall of the main body 110, so that the handle portion also has a ventilation hole ( 120) can be formed.

또한, 이 경우에도 상기 통기공(120)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130)에서 상기 본체(110)의 내측벽 방향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외부로 수분이나 토분이 배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even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ventilation hole 12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handle 130 toward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110, through which moisture or soil powder is transferred to the outside. It has the effect of not being discharged.

상기 통기튜브(160)는 메쉬가 형성된 그물로 이루어진 튜브형상의 통기성 소재로, 상기 본체(1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통기튜브(160)는 내부에 통기공간(161)이 형성되어 공기가 효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즉, 상기 통기튜브(160)는 상기 통기관(140)의 관본체(141)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ventilation tube 160 is a tube-shaped ventilation material made of a mesh formed with a mesh, and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body 110. In detail, the ventilation tube 160 has a ventilation space 161 formed therein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air can efficiently move. That is, the ventilation tube 16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tube body 141 of the ventilation pipe 140.

또한, 상기 통기튜브(160)가 결합된 경우, 상기 통기관(140)은 상기 통기공(120)을 관통함과 더불어 상기 통기튜브(160)에 형성된 통기튜브공을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통기관(140)의 관본체(141)는 상기 통기공(120) 및 상기 통기튜브(160)를 관통하여, 상기 관본체(141)의 타단이 상기 통기튜브(160)에 의해 형성된 통기공간(161)에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ventilation tube 160 is coupled, the ventilation pipe 140 may be coupled by passing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120 and passing through the ventilation tube hole formed in the ventilation tube 160. In detail, the pipe body 141 of the ventilation pipe 140 passes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120 and the ventilation tube 160, and the other end of the pipe body 141 is formed by the ventilation tube 160 It may be disposed in the space 161.

이에 따라, 상기 통기관(140)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통기튜브(160)의 내부 통기공간(161)을 순환하면서 식물의 뿌리에 더욱 효율적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ventilation pipe 140 is effective in supplying air to the roots of the plant more efficiently while circulating through the internal ventilation space 161 of the ventilation tube 160.

아래에서는 상기 통기공(120)의 여부나 상기 통기관(140)의 삽입여부, 상기 통기관(140)의 구조에 따라 화분(100) 내부의 식물이 얼마나 오래 생장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실험 데이터를 기재한다. 실험은 아래와 같은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Below, experimental data on how long the plant inside the pot 100 can grow depending on whether the ventilation hole 120 is present, whether the ventilation pipe 140 is inserted, and the structure of the ventilation pipe 140 are described. .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제1 실험군은 상기 화분(100)에 통기공(120)이 없는 경우의 화분(100)이고, 제2 실험군은 상기 화분(100)에 통기공(120)이 형성된 경우의 화분(100)이다. 또한, 제3 실험군의 경우는 상기 통기튜브(160) 없이 상기 통기공(120)에 상기 통기관(140)이 결합된 경우이고, 제4 실험군의 경우는 상기 통기관(140)이 상기 통기공(120) 및 상기 통기튜브(160)가 결합된 경우로 나누었다. The first experiment group is a flower pot 100 when the flower pot 100 does not have a ventilation hole 120, and the second experiment group is a flower pot 100 when the flower pot 100 has a ventilation hole 120.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third experimental group, the ventilation pipe 140 is coupled to the ventilation hole 120 without the ventilation tube 160, and in the fourth experimental group, the ventilation pipe 140 is the ventilation hole 120 ) And the ventilation tube 160 are combined.

또한, 상기 화분(100)의 크기 및 통기공(120)의 크기와 숫자는 모두 동일하게 진행하였고, 상기 화분(100)에 들어가는 토양 역시 동일한 종류와 동일한 용량으로 사용하였고, 특히, 토양의 초반 수분함유도 역시 동일하게 조절한 상태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식물은 모두 동일한 종류와 크기이고, 생장기간 역시 동일한 종류의 추란을 사용하였다.In addition, the size of the flower pot 100 and the size and number of the vents 120 were all the same, and the soil entering the flower pot 100 was also used in the same type and in the same capacity, and in particular, the initial moisture of the soil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with the content also adjusted in the same manner. In addition, all of the plants were of the same type and size, and the same type of fallow was used for the growing period.

이 상태에서 1L의 수분을 화분(100)에 공급한 뒤, 식물의 생장이 멈추는 시점까지 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In this state, after supplying 1L of moisture to the pollen 100, the time until the plant growth stopped was measured. The result is as follows.

구분division 제1 실험군1st experimental group 제2 실험군2nd experimental group 제3 실험군3rd experimental group 제4 실험군Experiment 4 생장시간(H)Growth time (H) 267267 325325 424424 512512

실험 결과, 일반적인 화분(100)에서는 약 11일 후 생장을 멈추던 식물이, 화분(100)에 상기 통기공(120)이 형성되고 그물망 형상의 상기 통기관(140)이 형성된 경우는 약 21일간 생장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a plant that stopped growing after about 11 days in a general flowerpot 100 grows for about 21 days when the ventilation hole 120 is formed in the flowerpot 100 and the ventilation pipe 140 in a mesh shape is formed. It can be seen that this has been accomplished.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100)을 사용할 경우, 뿌리 호흡에 의해 식물이 더 오래도록 생장할 수 있고, 이는 수분의 공급이 일반적인 화분(100)에 비해 작은 경우에도 식물이 효과적으로 생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the pollen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plant can grow longer by root respiration, which means that the plant can grow effectively even when the supply of moisture is smaller than that of the general pollen 100. You can see tha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one.

Claims (8)

내부에 토분과 식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측벽에 형성된 다 수의 통기공을 포함하고,
상기 통기공은 상기 본체의 측벽을 관통하고,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A body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soil and plants are accommodated;
It includes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formed in the side wall of the body,
The vent hole penetrates the side wall of the main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wer pot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의 외측 하단은 상기 통기공의 내측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The method of claim 1,
A flower pot,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lower end of the vent hole is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inner upper end of the vent ho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통기공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까지 연장되는 통기관을 더 포함하는 화분
The method of claim 1,
A flower pot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ventilation hole and further comprising a ventilation pipe extending from the ventilation hole to the accommodation spa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관은 외부에 다 수의 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The method of claim 3,
The ventilation pipe is a flowerpot, characterized in that a number of openings are formed outsid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관은 플렉서블한 그물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The method of claim 3,
The ventilation pipe is a potted plan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flexible ne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측면을 따라 튜브형상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통기공간이 형성된 통기튜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기관은 상기 통기튜브를 관통하여 일단이 상기 통기공간에 배치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ventilation tube extending in the shape of a tube along the inner side of the body, the ventilation space formed therein,
The ventilation pipe is a flower pot,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end is formed to be disposed in the ventilation space through the ventilation tub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튜브는 플렉서블한 그물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The method of claim 6,
The ventilation tube is a flower po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flexible mes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 수의 통기공 중 일부는 상기 손잡이부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andle dispos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side of the body,
A flower pot, characterized in that some of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pass through the handle


KR1020190078870A 2019-07-01 2019-07-01 Flower pot having high airing efficiency KR1023007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870A KR102300711B1 (en) 2019-07-01 2019-07-01 Flower pot having high airing efficienc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870A KR102300711B1 (en) 2019-07-01 2019-07-01 Flower pot having high airing efficienc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956A true KR20210002956A (en) 2021-01-11
KR102300711B1 KR102300711B1 (en) 2021-09-09

Family

ID=74129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870A KR102300711B1 (en) 2019-07-01 2019-07-01 Flower pot having high airing efficienc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71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2120U (en) 2022-04-28 2023-11-06 박병석 Flowerpo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41U (en) * 1993-06-09 1995-01-13 高雄 嶺岸 Flowerpot with air holes on the side
KR20080004675U (en) * 2007-04-12 2008-10-16 박신현 Pot for the culture orchid of porous great
KR101881268B1 (en) * 2018-06-01 2018-08-16 김사라 flowerpot for orchid cultivation with ventilation bod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41U (en) * 1993-06-09 1995-01-13 高雄 嶺岸 Flowerpot with air holes on the side
KR20080004675U (en) * 2007-04-12 2008-10-16 박신현 Pot for the culture orchid of porous great
KR101881268B1 (en) * 2018-06-01 2018-08-16 김사라 flowerpot for orchid cultivation with ventilation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0711B1 (en) 2021-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08274B2 (en) Flowerpot with water distribution device
KR20130134662A (en) Continuous water supply available flowerbeds
CN108064597B (en) Planting system for optimizing plant growth
KR102300711B1 (en) Flower pot having high airing efficiency
CN205491888U (en) Water storage flowerpot
KR20180078992A (en) Hydroponics flower port
CN105613094A (en) Flower planting flowerpot beneficial to flower growth
KR20120129724A (en) Dual-structure water dispencer for hydroponic cultivating device
KR20180079237A (en) Hydroponics flower port
CN205408796U (en) Do benefit to flowerpot for flower planting that flowers grow
CN104686302A (en) Ventilating, water-storing and auto-feed system of flowerpot
US11363762B2 (en) Fabric pot
KR102320508B1 (en) stackable structure flowerpot
CN208724491U (en) A kind of agricultural seedlings nursing plate
KR20170001235U (en) Potting basin and double pots for supplying liquid with air passage
CN2414614Y (en) Wall hole nested pot
CN211406963U (en) Flowerpot structure
CN208590307U (en) A kind of growing dendrobium basin
CN214385229U (en) Cultivation device for quick fruit hanging of radix tetrastigme
CN2086047U (en) Flowerpot with water-retained function
CN214338886U (en) Novel flowerpot
CN204031927U (en) Evenly water moisturizing and prevent rotten flowerpot
CN210042838U (en) Do benefit to flowerpot for flower planting of flowers growth
CN211378946U (en) One arrow cultivation device
KR200359219Y1 (en) Port for seedling cultivation of broad-leaved tre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