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832A - 환자 모니터링이 가능한 억제대 - Google Patents

환자 모니터링이 가능한 억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832A
KR20210002832A KR1020190078601A KR20190078601A KR20210002832A KR 20210002832 A KR20210002832 A KR 20210002832A KR 1020190078601 A KR1020190078601 A KR 1020190078601A KR 20190078601 A KR20190078601 A KR 20190078601A KR 20210002832 A KR20210002832 A KR 20210002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integrated sensing
body part
sensing unit
restra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2317B1 (ko
Inventor
윤병길
Original Assignee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78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317B1/ko
Publication of KR20210002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37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3Local tracking of patients, e.g. in a hospital or private home
    • A61B5/1114Tracking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3Local tracking of patients, e.g. in a hospital or private home
    • A61B5/1115Monitoring leaving of a patient support, e.g. a bed or a wheelchair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신체부위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에 수용된 신체부위가 수용공간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와 신체부위를 결속시키는 결속부재; 외부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환자의 신체부위와 맞닿도록 설치되어 환자의 움직임 및 생체특성 변화에 따른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통합센싱부; 및 상기 통신부와 통합센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모니터링이 가능한 억제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환자 모니터링이 가능한 억제대 {RESTRAINT WITH PATIENT MONITORING FUNCTION}
본 발명은 환자 모니터링이 가능한 억제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부위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동안 환자의 상태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억제대에 관련된 기술이다.
억제대(restraint)는 낙상이나 환자 자신의 유해, 환자의 치료안전 등을 위해 환자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경우에 적용된다. 이러한 억제대는 주로 끈과 같은 형태로 마련되어 환자의 신체 일부를 침상 구조물에 묶는 방식으로 적용되었다.
이때, 상술한 방식은 환자의 자발적 또는 비자발적 움직임에 의해 억제대로 묶인 부위가 쓸리며 해당 부위에 상처나 멍이 생길 수 있었다. 또한, 실시자에 따라 고정방식이 표준화되지 않아 묶는 강도에 따라 환자의 불편함을 유발하거나, 쉽게 억제대가 풀리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밖에도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1495호(출원일 : 2003. 10. 22., 등록일 : 2004. 01. 3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50377호(출원일 : 2017. 11. 03., 공개일 : 2019. 05. 13.) 등에 다양한 형태의 억제대가 제시된 바 있다.
한편, 억제대의 사용은 환자의 움직임을 완전히 통제하기에 인권침해 우려가 있다. 이에, 의료진은 억제대를 착용한 환자를 일정 시간간격으로 반복 체크하여 환자의 상태를 살펴봄으로써, 최소한의 기간 동안 억제대 착용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여러 환자를 살피는 의료진의 수는 한정되어 있어, 의료진이 상주하며 환자를 관찰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이에, 의료진은 환자의 전반적인 상태를 체크하는 시간이 되기 전에 환자가 억제대를 착용하지 않아도 되는 상태가 되더라도 이를 알아차리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일 예로, 생명 유지 장치를 장착하고 있는 중환자의 경우, 의식이 돌아오게 되면 본인이 장착한 장치가 어떤 장치인지 인지한지 못한 채 해당 장치를 임의로 제거하며 상처 입게 되건, 위급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에 억제대를 적용함으로써 환자의 움직임을 제한하곤 한다.
이때, 환자가 의식이 돌아오더라도 의료진이 실시간 살피지 않는다면 해당 환자의 상태를 체크하는 시간이 되기 전에 이를 바로 알아차리기 무리가 있다. 이에, 의료진이 환자의 의식회복을 바로 알아차리지 못할 경우, 의식이 돌아온 환자는 억제대를 하고 있는 연유도 모른 채 의료진이 환자를 살피기 전까지 방치될 수밖에 없었다.
게다가, 억제대에 관한 선행기술들은 단순히 환자의 움직임을 억제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기에, 의료진이 억제대를 착용한 환자의 상태변화를 즉각적으로 알아차리고, 이에 맞게 대응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신체부위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동안 환자의 상태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이 가능한 억제대는 환자의 신체부위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에 수용된 신체부위가 수용공간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와 신체부위를 결속시키는 결속부재; 외부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환자의 신체부위와 맞닿도록 설치되어 환자의 움직임 및 생체특성 변화에 따른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통합센싱부; 및 상기 통신부와 통합센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합센싱부에서 생성한 환자의 상태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합센싱부는 환자의 체온, 맥박, 혈압, 심전도, 움직임 중 적어도 둘 이상을 감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환자의 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환자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상기 통합센싱부는 환자의 의식 상태를 판단하고, 이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억제대 착용이 이루어진 환자의 움직임 및 생체특성 변화를 감지하여 환자의 의식정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외부단말기에 실시간 제공하기에, 의료진은 환자 옆에 상주하지 않더라도 외부단말기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이에, 의료진은 환자 상태에 맞춰 억제대 착용을 해지하거나, 생체특성의 이상변화를 정상수준으로 회복시키는 등의 즉각적인 대응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이 가능한 억제대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이 가능한 억제대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이 가능한 억제대를 환자의 신체 부위에 적용한 것을 예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이 가능한 억제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1 내지 도2,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이 가능한 억제대를 도시한 것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이 가능한 억제대를 환자의 신체 부위에 적용한 것을 예시한 것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이 가능한 억제대(100,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억제대’라 칭함)는 본체(110), 결속부재(120), 통신부(130), 통합센싱부(140),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10)는 환자의 신체부위가 수용되는 수용공간(SA)이 구비된다. 이때, 본체(110)는 팔, 다리 등의 환자의 신체부위의 전체 또는 일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신체부위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예로, 본체(110)는 상부가 개방된 반원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본체(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디로 구성될 수 있으며, 두개의 바디(111,112)로 구성된 경우에 억제대(100)는 제2 바디(112)의 내부면에 제1 바디(111)의 외부면이 접하는 구조로 마련되어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며, 환자의 신체 구조에 적합한 길이를 가지도록 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바디(111) 및 제2 바디(112)의 양 측면에는 후술할 결속부재(120)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제1 체결공(111a, 112a)이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며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때, 억제대(100)를 환자의 신체 구조의 적합한 길이로 조정한 뒤 연통되는 제1 바디(111)의 제1 체결공(111a)과 제2 바디(112)의 제1 체결공(112a)을 별도의 결합부재(C)로 고정 결합하여 신축된 길이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연통된 제1 바디(111)와 제2 바디(112)의 제1 체결공(111a, 112a)에 결속부재(120)를 체결시킴으로써 신축된 길이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바디(111) 및 제2 바디(112)의 하부에는 침대와 같은 외부구조물(S)에 억제대(1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F)가 체결되는 제2 체결공(111b, 112b)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고정부재(F)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체결공(111b, 112b)을 통과하며 본체(110)와 외부구조물(S)을 결속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110)는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 또는 금속 등의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신체부위를 지지할 수 있는 정도의 경도를 가지는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결속부재(120)는 본체(110)에 수용된 신체부위가 수용공간(SA)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본체(110)와 신체부위를 결속시킨다. 이때, 결속부재(120)는 양단이 제1 체결공(111a, 112a)에 각각 결합되어 수용공간(SA)에 수용된 신체부위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결속부재(120)의 양 단부에는 제1 체결공(111a, 112a)에 결합되는 결합부분(121)이 구비되며, 결합부분(121)은 제1 체결공(111a, 112a)이 가지는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걸림단(121a)이 제1 체결공(111a, 112a)을 기준으로 양 측면에 위치하며, 결속부재(120)가 환자의 움직임에 의해 본체(110)에서 쉽게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결속부재(120)는 탈착부분(122)을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이때, 탈착부분(122)은 버튼, 단추 등의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결속부재(120)가 본체(110)에 설치된 상태에서 탈착부분(122)의 잠그거나 잠금을 해지함으로써, 환자의 신체부위를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탈착부분(122)의 잠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억제대(100)의 장착 및 해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결속부재(120)는 길이조절부분(미도시)를 구비하여 환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적합한 길이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결속부재(120)는 환자의 신체조건에 관계없이 신체부위의 일부가 본체(110)의 내측면에 맞닿도록 길이 조절되어 본체(110)와 신체부위를 결속시킬 수 있기에, 후술할 통합센싱부(140)의 감지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통신부(130)는 외부단말기(M)와 통신한다. 이때, 외부단말기(M)는 의료진 스테이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단말기이거나, 의료진 개인이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다. 이에, 의료진이 환자 옆에 상주하지 않더라도 실시간 환자의 상태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130)는 근거리 통신기술(WPAN, WLAN 등), 이동통신기술(3G, 4G, 5G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억제대(100)는 사물끼리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받는 사물인터넷 기술(Internet of Things ; IoT)이 적용될 수 있다.
통합센싱부(140)는 환자의 신체부위와 맞닿도록 설치되어 환자의 움직임 및 생체특성 변화에 따른 상태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통합센싱부(140)는 환자의 체온, 맥박, 혈압, 심전도, 움직임 중 적어도 둘 이상을 감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환자의 상태정보를 생성한다. 참고로, 통합센싱부(140)가 적어도 둘 이상의 감지 값을 기반으로 환자의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상태정보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통합센싱부(140)는 환자의 체온에 관한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체온 측정센서(141), 환자의 맥박에 관한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맥박 측정센서(142), 환자의 혈압에 관한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혈압 측정센서(143), 환자의 심전도에 관한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심전도 측정센서(144), 환자의 산소포화도에 관한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산소포화도 측정센서(145), 환자의 움직임에 관한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압력 감지센서(146)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통합센싱부(140)는 상술한 생체특성만을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억제대(100)가 착용되는 환자의 신체부위에서 측정 가능한 모든 생체특성을 감지하도록 추가적인 측정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근전도 측정 센서(미도시)가 추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측정센서로 복수개의 생체특성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으며, 상술한 측정센서보다 적은 수의 측정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통합센싱부(140)가 구비하는 측정센서는 열 센서, 초음파 센서, 정전용량 센서, 광학 센서, 전계 센서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측정하고자 하는 신호에 따라 적합한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통합센싱부(140)는 본체(110)의 내측면에 위치하여 환자의 신체부위와 맞닿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10)가 두 개의 바디(111,112)로 구성된 경우, 제2 바디(112)의 내측면은 제1 바디(111)의 외측면에 접하며 길이 방향으로 신축되므로, 측정센서가 제2 바디(112)의 내측면에 설치되면 본체(110)의 길이 조정 시 마모될 수 있다. 그렇기에, 통합센싱부(140)는 제1 바디(111)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환자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통합센싱부(140)는 환자의 의식상태를 판단하고, 이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생명 유지 장치를 달고 있는 의식 소실환자, 진정제 등의 약물 투여에 의해 수면상태인 환자 등이 본 발명의 억제대를 착용하고 있을 경우에, 억제대(100)는 압력 감지센서(146)을 통해 환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이에 대한 의식정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통합센싱부(140)는 압력 감지센서(146)가 감지한 움직임의 빈도 및 세기를 파악하고 이를 또 다른 측정센서(141~145)들의 생체특성 감지결과와 종합함으로써, 해당 움직임이 의식을 회복하며 발생한 움직임인지를 판단하여 이를 환자의 상태정보로 생성한다.
즉, 의료진이 환자 옆에 상주하지 않더라도 외부단말기(M)를 통해 실시간 환자의 의식정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그에 맞게 즉각 대응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중환자의 경우, 생명 유지 장치 외에도 환자의 활력징후(vital sign)을 특정하기 위한 장비가 연결되어 일정 시간간격을 두고 환자의 생체특성을 측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본 발명의 억제대(100)는 활력징후를 측정하는 장비로부터 측정된 값의 신뢰도를 확보하면서도 상술한 장비가 오작동할 경우에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보조 장비로써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압력 감지센서(146)는 환자의 움직임 외에도 본체(110)에 환자의 신체부위가 수용된 순간부터 환자의 억제대(100) 착용시간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참고로, 의료진과 보호자 또는 환자 본인에게 위해를 가할 수 있는 환자의 경우, 의사 처방에 따라 일정시간 억제대 착용이 처방될 수 있으며,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는 억제대 착용이 필요한지 여부를 재평가해야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억제대(100)는 환자의 착용시간을 감지하여 의료진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므로, 의료진은 의사로부터 처방된 억제대 착용시간을 정확히 준수하며 환자의 이후 처치를 진행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통신부(130), 통합센싱부(140)를 제어한다. 참고로, 제어부(150)는 상술한 구성 외에도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50)는 통합센싱부(140)에서 생성한 환자의 상태정보를 통신부(130)를 통해 외부단말기(M)에 제공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통신부(130)를 통해 환자의 상태정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억제대(100)별 식별번호를 함께 외부단말기(M)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료진은 억제대(100)를 착용한 환자에게 응급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해당 환자를 신속하게 찾아가 즉각 대응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3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억제대(100)는 입력부(160), 저장부(170) 및 출력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의료진에 의해 기 설정된 환자의 신상정보 및 억제대 착용 설정값을 감지한다. 이때, 입력부(160)는 본체(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의료진이 직접 입력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거나, 외부단말기(M)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환자의 신상정보는 이름, 나이, 성별, 병력 등일 수 있으며, 억제대(100) 착용 중 해당 환자의 상태변화가 급격하게 이루어질 경우에 의료진이 대응하는데 있어 참고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억제대 착용 설정값은 억제대 착용시간, 환자의 움직임 및 생체특성(맥박, 혈압 등)의 정상수치범위, 환자의 의식불명, 의식회복, 수면상태 등의 의식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움직임의 빈도와 세기, 생체특성의 수치범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저장부(170)는 입력부(160)를 통해 입력된 환자의 신상정보 및 억제대 착용 설정값이 저장된다.
이때, 저장부(170)에 저장된 억제대 착용관련 설정값은 통합센싱부(140)에서 감지된 환자의 움직임 및 생체특성을 토대로 환자의 상태정보를 생성하는데 기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센싱부(140)에서 감지한 환자의 움직임과 생체특성이 정상범위를 벗어난 경우, 제어부(150)는 해당 결과를 통신부(130)를 통해 외부단말기(M)에 제공함과 동시에 후술할 출력부(180)를 통해 환자 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80)는 환자 근방의 의료진 또는 보호자가 환자의 상태를 쉽게 알아차릴 수 있도록 환자의 상태정보를 출력한다. 이때, 출력부(180)는 LED광을 출력하는 발광모듈,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모듈, 디스플레이 모듈 등으로 마련되거나, 이 모두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알아차린 의료진은 환자의 억제대 착용을 해지하거나, 생체특성의 이상변화를 정상수준으로 회복시키는 등의 대응을 즉각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환자 모니터링이 가능한 억제대
110 : 본체
111 : 제1 바디
111a :제1 체결공
111b :제2 체결공
112 : 제2 바디
112a :제1 체결공
112b :제2 체결공
120 : 결속부재
121 : 결합부분
121a : 걸림단
122 : 탈착부분
130 : 통신부
140 : 통합센싱부
141 : 체온 측정센서
142 : 맥박 측정센서
143 : 혈압 측정센서
144 : 심전도 측정센서
145 : 산소포화도 측정센서
146 : 압력 감지센서
150 : 제어부
160 : 입력부
170 : 저장부
180 : 출력부
SA : 수용공간
C : 결합부재
F : 고정부재
M : 외부단말기
S : 구조물

Claims (3)

  1. 환자의 신체부위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에 수용된 신체부위가 수용공간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와 신체부위를 결속시키는 결속부재;
    외부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환자의 신체부위와 맞닿도록 설치되어 환자의 움직임 및 생체특성 변화에 따른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통합센싱부; 및
    상기 통신부와 통합센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합센싱부에서 생성한 환자의 상태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모니터링이 가능한 억제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센싱부는 환자의 체온, 맥박, 혈압, 심전도, 움직임 중 적어도 둘 이상을 감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환자의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모니터링이 가능한 억제대.
  3. 제2항에 있어서,
    환자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상기 통합센싱부는 환자의 의식상태를 판단하고, 이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모니터링이 가능한 억제대.
KR1020190078601A 2019-07-01 2019-07-01 환자 모니터링이 가능한 억제대 KR102292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601A KR102292317B1 (ko) 2019-07-01 2019-07-01 환자 모니터링이 가능한 억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601A KR102292317B1 (ko) 2019-07-01 2019-07-01 환자 모니터링이 가능한 억제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832A true KR20210002832A (ko) 2021-01-11
KR102292317B1 KR102292317B1 (ko) 2021-08-24

Family

ID=74129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601A KR102292317B1 (ko) 2019-07-01 2019-07-01 환자 모니터링이 가능한 억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31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7626A (ko) * 2014-09-29 2016-04-06 이승재 관절구조를 갖고 관절통증을 완화시키는 발열 관절보호대
KR101774147B1 (ko) * 2016-03-15 2017-09-0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손목 보호대
CN207400839U (zh) * 2017-03-14 2018-05-25 刘小翠 一种精神病患者上肢固定器
KR101937956B1 (ko) * 2018-03-14 2019-01-14 박성용 자해방지용 압박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7626A (ko) * 2014-09-29 2016-04-06 이승재 관절구조를 갖고 관절통증을 완화시키는 발열 관절보호대
KR101774147B1 (ko) * 2016-03-15 2017-09-0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손목 보호대
CN207400839U (zh) * 2017-03-14 2018-05-25 刘小翠 一种精神病患者上肢固定器
KR101937956B1 (ko) * 2018-03-14 2019-01-14 박성용 자해방지용 압박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2317B1 (ko) 202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94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restraint device
US77641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tactile stimulation in response to a predetermined alarm condition
US8529448B2 (en) Computerized systems and methods for stability—theoretic prediction and prevention of falls
RU2669744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улучшения надежности измерений физиологических параметров
EP2473107B1 (en) Consciousness monitoring
US20090048500A1 (en) Method for using a non-invasive cardiac and respiratory monitoring system
KR101970481B1 (ko)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JP2009528141A (ja) ネックカラー部に配される電子機器を有するバイオメトリックモニタ
US20110040204A1 (en) Neurological stimulation and analysis
KR102156703B1 (ko)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포함하는 산업안전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US20140364771A1 (en) Pressure sensitive assemblies for limiting movements adverse to health or surgical recovery
KR101803291B1 (ko) Eeg 및 emg 신호에 기반한 자궁 수축도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TWM521450U (zh) 睡眠檢測系統
JP2007135862A (ja) 被検者の状態を監視する監視装置及び監視システム
KR101754576B1 (ko) 탈착 디바이스를 이용한 생체 신호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02832A (ko) 환자 모니터링이 가능한 억제대
KR102127001B1 (ko) 폭력 예방 시스템
JP2024502206A (ja) バイタルサインモニタリングデバイス
KR102319770B1 (ko) 장력을 이용한 호흡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흡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JPWO2019031527A1 (ja) Crt測定装置
US20210236045A1 (en) Detection of an epileptic seizure
KR20230087162A (ko) 독거노인의 응급상황 알림 시스템
KR101950818B1 (ko) 환자 이송 시스템
JP2005160984A (ja) 被検査者の異常発生を早期に発見することを可能にする生体情報監視方法
KR20180005878A (ko) 착용형 심박수 원격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