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670U - 자동 열 검진 및 입체 소독이 가능한 방역 샤워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열 검진 및 입체 소독이 가능한 방역 샤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670U
KR20210002670U KR2020200001765U KR20200001765U KR20210002670U KR 20210002670 U KR20210002670 U KR 20210002670U KR 2020200001765 U KR2020200001765 U KR 2020200001765U KR 20200001765 U KR20200001765 U KR 20200001765U KR 20210002670 U KR20210002670 U KR 202100026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e
preliminary
entrant
entrance
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7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5261Y1 (ko
Inventor
한관영
서승구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지티하이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지티하이테크(주)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2000017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261Y1/ko
Publication of KR202100026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6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2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2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0088Liqui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0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77Shelters for decontamin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07C9/25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electron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rchitectur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 열 검진 및 입체 소독이 가능한 방역 샤워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인원이 몰리는 장소를 방호구역으로 하여 그 출입구에 간단히 설치되도록 하며 다수의 인원이 한꺼번에 몰리더라도 신속하게 순차적으로 개별 검진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바이러스 감염이 의심되는 예비 진입자는 걸러내고 그렇지 않은 예비 진입자는 입실을 허용하되 철저한 개인별 소독을 통하여 감염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예비 진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입구와 출구를 별도로 구비한 하우스; 상기 하우스 외부에 설치되어 하우스 입구로 입실하려는 예비 진입자를 촬영하는 촬영용 카메라; 상기 하우스 외부에 설치되어 하우스 입구로 입실하려는 예비 진입자를 촬영하는 적외선 카메라; 상기 하우스 외부의 입구 인근에 설치되어 상기 적외선 카메라에서 촬영된 열 영상을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스 외부의 입구 인근에 설치되어 상기 적외선 카메라가 촬영한 열 영상을 근거로 예비 진입자의 체온이 기설정된 일정 온도 이상인 경우 예비 진입자가 하우스 내부로 입실하지 못하도록 경고해주는 경고 표시장치; 및 상기 하우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스 내부로 입실한 예비 진입자를 향해 안개상의 소독액을 분무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열 검진 및 입체 소독이 가능한 방역 샤워장치{Quarantine shower device capable of automatic thermal examination and 3D sterilization}
본 고안은 방역 샤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인원이 몰리는 장소를 방호구역으로 하여 그 출입구에 간단히 설치되도록 하며 다수의 인원이 한꺼번에 몰리더라도 신속하게 순차적으로 개별 검진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바이러스 감염이 의심되는 예비 진입자는 걸러내고 그렇지 않은 예비 진입자는 입실을 허용하되 철저한 개인별 소독을 통하여 감염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 열 검진 및 입체 소독이 가능한 방역 샤워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하여 수많은 사람이 사회적 경제적으로 피해를 보고 있다.
따라서 바이러스 감염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중요해졌으며, 무엇보다도 다수의 인원이 몰리는 장소에서 예비 진입자들에 대상으로 하여 감염 의심자를 신속하게 선별하여 걸러냄으로써 대량의 감염 확산을 방지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사항이 되었다.
최근 바이러스 감염을 차단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측정기구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열 감지용 적외선 카메라(10)와 열 감지 영상을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20)를 단순 조합한 형태이며, 예비 진입자들에 대한 소독을 위해서 간이식 분무기를 사용하여 소독액을 간단히 분사하는 정도로만 제한적으로 방역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이미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으로부터 기침이나 호흡을 통해 순간적으로 퍼진 바이러스가 인근 사람들의 옷이나 물건에 달라붙은 상태를 그대로 방치하면서 결국에는 일부 사람들이 바이러스의 감염되고 마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더욱이 출입구에 갑자기 많은 사람이 몰리게 되면 개인별로 검진하고 소독을 실시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소독의 정확성까지 떨어지면서 오히려 바이러스 감염을 가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113324호(2012.10.15.)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수의 인원이 몰리는 장소를 방호구역으로 하여 그 출입구에 간단히 설치되도록 하며 다수의 인원이 한꺼번에 몰리더라도 신속하게 순차적으로 개별 검진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바이러스 감염이 의심되는 예비 진입자는 걸러내고 그렇지 않은 예비 진입자는 입실을 허용하되 철저한 개인별 소독을 통하여 감염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 열 검진 및 입체 소독이 가능한 방역 샤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방역 샤워장치는, 바이러스 감염 확산을 차단하고자 하는 방호구역으로 진입하려는 예비 진입자에 대하여 열 검진과 소독을 할 수 있도록 한 방역 샤워장치로서, 예비 진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입구와 출구를 별도로 구비한 하우스; 상기 하우스 외부에 설치되어 하우스 입구로 입실하려는 예비 진입자를 촬영하는 촬영용 카메라; 상기 하우스 외부에 설치되어 하우스 입구로 입실하려는 예비 진입자를 촬영하는 적외선 카메라; 상기 하우스 외부의 입구 인근에 설치되어 상기 적외선 카메라에서 촬영된 열 영상을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스 외부의 입구 인근에 설치되어 상기 적외선 카메라가 촬영한 열 영상을 근거로 예비 진입자의 체온이 기설정된 일정 온도 이상인 경우 예비 진입자가 하우스 내부로 입실하지 못하도록 경고해주는 경고 표시장치; 상기 하우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스 내부로 입실한 예비 진입자를 향해 안개상의 소독액을 분무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스 입구에 설치되어 하우스 입구로 입실하는 예비 진입자를 감지하는 입구용 감지센서와, 상기 하우스 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스 내부에서 퇴실하는 예비 진입자를 감지하는 출구용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하우스 내부에 예비 진입자가 중복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구용 감지센서와, 출구용 감지센서는 각각 입구와 출구 양편에서 쌍을 이루어 설치된 근적외선 발광부와 근적외선 수광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스의 입구와 출구는 일직선상에 배치된 상기 하우스의 전면벽과 후면벽에 형성되어 예비 진입자가 일직선의 동선을 따라 하우스로 입실한 후 퇴실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경고 표시장치는 점멸등과 스피커로 구비되어 점멸과 경보음을 통해 복합적으로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멸등은 상기 하우스 입구의 상측에서 좌우방향을 따라 일렬로 설치된 다수의 LED로 구비되어 예비 진입자의 시선에 강하게 각인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멸등은 상기 적외선 카메라가 촬영한 열 영상을 근거로 예비 진입자의 체온이 기설정된 일정 온도 이상인 경우 예비 진입자가 하우스 내부로 입실하지 못하도록 적색 점멸하는 것에 더해, 예비 진입자의 체온이 기설정된 일정 온도 미만이고 하우스 내부도 비어 있어서 예비 진입자의 하우스 내부 입실이 가능함을 표시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청색 점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하우스 내부에서 좌측벽 및 우측벽에 각각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 설치되어 하우스 내부에 입실한 예비 진입자의 신체를 향하여 안개상의 소독액을 분무할 수 있도록 한 메인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하우스 내부의 천정 중앙에서 하우스 내부에 입실한 예비 진입자의 상측에서 예비 진입자를 향하여 안개상의 소독액을 분무할 수 있도록 한 헤드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 분사노즐은 천정 중앙 정가운데에 하나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 분사노즐은 천정 중앙 정가운데를 중심으로 다수개가 원형을 그리면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스 내부 천정 중앙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증가하는 깔때기 형상의 분사가이드가 설치되어 상기 헤드 분사노즐에서 분무되는 소독액이 하우스 내부에 입실한 예비 진입자의 머리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그 주변을 향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스 내부에는 손 소독을 위한 전용의 공간에 소독액을 분사하는 핸드 분사노즐이 설치되어 하우스 내부에 입실한 예비 진입자가 스스로 손 소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손 소독 전용부스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 소독 전용부스에는 하우스 내부에 입실한 예비 진입자를 대향하는 대향면에 돌출된 형태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손 소독 전용부스 내부로 진입한 손을 감지한 후 액상의 소독액을 분사해주는 제1핸드 분사노즐과, 상기 손 소독 전용부스 상면에 요입된 형태로 은폐되게 설치되어 손 소독 전용부스 내부로 진입한 손을 감지한 후 안개상의 소독액을 분사해주는 제2핸드 분사노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스의 출구에는 출구용 개폐도어가 설치되어 하우스 내부에 입실한 예비 진입자가 스스로 손 소독까지 완료한 후에만 제한적으로 퇴실 가능하도록 출구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스의 입구에는 입구용 개폐도어가 설치되어 상기 적외선 카메라가 촬영한 열 영상을 근거로 예비 진입자의 체온이 기설정된 일정 온도 미만인 경우에만 하우스 내부로 입실 가능하도록 입구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구용 감지센서와 출구용 감지센서는 성인과 어린이 모두에 대해 감지 가능하도록 바닥에서 50~60cm 높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스 외부의 입구 바닥에는 예비 진입자가 올라서는 받침대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에 올라선 예비 진입자를 제한하여 상기 적외선 카메라가 촬영하도록 하며, 상기 예비 진입자와 적외선 카메라의 촬영거리는 3m 미만이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방역 샤워장치는, 다수의 인원이 몰리는 장소를 방호구역으로 하여 그 출입구에 간단히 설치 가능하며, 다수의 인원이 한꺼번에 몰리더라도 신속하게 순차적으로 개별 검진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바이러스 감염이 의심되는 예비 진입자는 걸러내고 그렇지 않은 예비 진입자는 입실을 허용하되 철저한 개인별 소독을 통하여 감염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방역 샤워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방역 샤워장치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방역 샤워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방역 샤워장치의 작용 및 동작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한 방역 샤워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방역 샤워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방역 샤워장치의 정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방역 샤워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방역 샤워장치는 하우스(110), 촬영용 카메라(120a), 적외선 카메라(120b), 디스플레이(130), 입구용 감지센서(140a,140b), 출구용 감지센서(140c,140d), 경고 표시장치(160,170), 분사노즐(120a~120d)을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같은 주요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방역 샤워장치는 다수의 인원이 몰리는 장소를 방호구역으로 설정하여 그 출입구에 간단히 설치할 수 있으며 다수의 인원이 한꺼번에 몰리더라도 신속하게 순차적으로 개별 검진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바이러스 감염이 의심되는 예비 진입자는 걸러내고 그렇지 않은 예비 진입자에 대해서는 입실을 허용하되 철저한 입체 소독을 통하여 감염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방역 샤워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하우스(110)는 바이러스 감염 확산을 차단하고자 하는 방호구역의 출입구에 간단히 설치될 수 있도록 가건물 혹은 경량의 부스로 설치되며, 예비 진입자에 대한 소독을 실시할 수 있는 내부공간과 출입을 위한 하우스 입구(111a)와 하우스 출구(111b)를 별도로 구비한다. 상기 하우스(110)의 내부는 소독을 실시할 수 있는 공간이 되고 입구(111a)와 출구(111b)는 일직선상에 배치된 전면벽과 후면벽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예비 진입자가 일직선의 동선을 따라 하우스(110)로 입실한 후 퇴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소한의 동선을 갖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같은 직선상의 동선은 예비 진입자에 대한 감지와 소독 및 진입과 퇴실에 이르는 전체 과정을 명확하고 간결하게 실시하는데 도움이 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스(110)의 출구에는 출구용 개폐도어(미도시됨)가 설치되어 하우스(110) 내부 진입자가 스스로 손 소독까지 온전히 마친 다음에라야 퇴실 가능하도록 출구 개방을 제한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우스(110)의 입구에는 입구용 개폐도어(미도시됨)가 설치되어 상기 적외선 카메라(120b)가 촬영한 열 영상을 근거로 예비 진입자의 체온이 기설정된 일정 온도 미만인 경우에만 하우스(110) 내부로 입실 가능하도록 입구(111a)를 개방한다.
상기 촬영용 카메라(120a)는 하우스(110) 외부에서 전면벽에 설치되어 하우스 입구(111a)로 입실하려는 예비 진입자를 촬영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촬영된 영상은 데이터베이스에 별도로 저장되어 차후에 필요한 경우 촬영된 영상을 근거로 신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적외선 카메라(120b)는 하우스(110) 외부에서 전면벽에 설치되어 하우스 입구(111a)로 입실하려는 예비 진입자를 촬영하고 이로부터 열 영상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생성된 영상은 예비 진입자의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판단하는 가장 우선적인 기초 자료가 된다. 촬영된 열 영상을 근거로 예비 진입자의 체온이 37.5도 미만인 경우 바이러스에 감영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여 하우스 입구(111a)를 통한 입실이 허용되지만, 예비 진입자의 체온이 37.5도 이상인 경우 바이러스 감염 의심자로 간주하여 하우스 입구(111a)를 통한 입실을 금지하고 선별진료소에서 보다 정밀한 검진을 받도록 유도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130)는 하우스(110) 외부의 입구(111a) 인근에 설치되어 적외선 카메라(120b)가 예비 진입자를 대상으로 촬영한 열 영상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입구 받침대(113)에 올라선 예비 진입자는 자신의 열 영상을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인근에서 예비 진입자의 출입을 안내하는 안내인 역시 디스플레이(130)에서 표시되는 열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입구용 감지센서(140a,140b)와 출구용 감지센서(140c,140d)는 하우스 입구(111a)와 출구(111b)에 각각 설치되어 하우스 입구(111a)를 통해 하우스(110) 내부로 입실하는 예비 진입자와 하우스 출구(111b)를 통해 하우스(110) 내부로부터 퇴실하는 예비 진입자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위해 입구용 감지센서(140a,140b)는 입구(111a) 양편에 설치되는 근적외선 발광부(140a)와 근적외선 수광부(140b)로 이루어지며, 출구용 감지센서(140c,140d)는 출구(111b) 양편에 설치되는 근적외선 발광부(140c)와 근적외선 수광부(140d)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근적외선 발광부와 근적외선 수광부의 설치높이는 성인의 무릎 높이인 바닥으로부터 50~60cm가 바람직하다. 이같은 설치높이는 반복적인 실험을 가장 정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입구용 감지센서(140a,140b)와 출구용 감지센서(140c,140d)가 근적외선 발광부와 근적외선 수광부로 구비되는 경우 하우스(110)를 출입하는 예비 진입자를 놓치지 않고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하우스(110) 내부에 예비 진입자가 중복하여 위치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경고 표시장치(160,170)는 상기 하우스(110) 외부의 입구 인근에 설치되어 상기 적외선 카메라(120b)가 촬영한 열 영상을 근거로 예비 진입자의 체온이 기설정된 일정 온도(37.5℃) 이상인 경우 예비 진입자가 하우스(110) 내부로 입실하지 못하도록 경고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경고 표시장치(160,170)는, 스피커(160)와 점멸등(170)으로 구비되어 청각적 경보음과 깜빡거리는 시각적 점멸을 통해 복합적으로 경고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점멸등(170)은 하우스 입구(111a)의 상측에서 좌우방향을 따라 일렬로 설치된 다수의 LED로 이루어진 LED 어레이로 구비되어 예비 진입자의 시선에 강하게 각인되도록 한다. 상기 점멸등(170)은 적외선 카메라(120b)가 촬영한 열 영상을 근거로 예비 진입자의 체온이 기설정된 일정 온도(37.5℃) 이상인 경우 예비 진입자가 하우스(110) 내부로 입실하지 못하도록 적색으로 점멸하는 것에 더해, 예비 진입자의 체온이 기설정된 일정 온도 미만이고 하우스(110) 내부도 비어 있어서 예비 진입자의 하우스(110) 내부 입실이 가능함을 표시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청색으로 점멸하도록 한다. 여기서 하우스(110) 내부가 비어 있는지 여부는 앞서 설명된 입구용 감지센서(140a,140b)와 출구용 감지센서(140c,140d)에 의해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분사노즐(150a~150d)은 하우스(110) 내부에 설치되어 하우스(110) 내부로 입실한 예비 진입자를 향해 안개상의 소독액을 분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분사노즐(150a~150d)은 우선적으로 하우스(110) 내부에서 좌측벽 및 우측벽에서 하우스(110) 내부에 입실한 예비 진입자의 신체를 향하여 안개상의 소독액을 고압으로 분무할 수 있도록 한 메인 분사노즐(150a)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분사노즐(150a)은 하우스(110) 내부에서 좌측벽 및 우측벽에 각각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 설치되어 예비 진입자의 신체에 대하여 충분한 분무 영역을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150a~150d)에는 헤드 분사노즐(150b)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헤드 분사노즐(150b)은 상기 하우스(110) 내부의 천정 중앙에서 하우스(110) 내부에 입실한 예비 진입자의 상측에서 예비 진입자를 향하여 안개상의 소독액을 분무하게 된다. 상기 헤드 분사노즐(150b)은 천정 중앙 정가운데에 하나 설치되거나 천정 중앙 정가운데를 중심으로 다수개가 원형을 그리면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스(110) 내부 천정 중앙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증가하는 원추형 깔때기 형상의 분사가이드(152)가 설치되어 헤드 분사노즐(150b)에서 분무되는 소독액이 하우스(110) 내부에 입실한 예비 진입자의 머리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으면서도 소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분사노즐(150a~150d)에는 상기 하우스(110) 내부에 마련된 손 소독 전용부스(151) 내에 설치된 핸드 분사노즐(150c,150d)이 포함된다. 상기 핸드 분사노즐은 하우스(110) 내부에 입실한 예비 진입자가 스스로 손 소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핸드 분사노즐(150c,150d)은 상기 손 소독 전용부스(151)에서 하우스(110) 내부에 입실한 예비 진입자를 대향하는 대향면에 돌출된 형태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손 소독 전용부스(151) 내부로 입실한 손을 감지한 후 액상의 소독액을 분사해주는 제1핸드 분사노즐(150c)과, 상기 손 소독 전용부스(151) 상면에 요입된 형태로 은폐되게 설치되어 손 소독 전용부스(151) 내부로 진입한 손을 감지한 후 안개상의 소독액을 분사해주는 제2핸드 분사노즐(150d)로 구비된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액상의 소독액을 분사해주는 제1핸드 분사노즐(150c)만 설치된 경우를 고려해보면 예비 진입자가 자신의 손을 직접 비비면서 소독액으로 균일하게 도포하여 소독할 수 있겠지만 예비 진입자의 급한 성격이나 수준으로 인해 충분한 정도로 손 소독이 이루어지지 못한다면 문제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핸드 분사노즐(150d)은 이같은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예비 진입자의 의지와 관계없이 안개상의 소독액을 손 소독 전용부스(151) 내부로 고르게 분사함으로써 충분하지 못할 수 있는 예비 진입자의 손 소독을 어느 정도 보완할 수 있게 된다.
전술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방역 샤워장치의 작용 및 동작 순서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방역 샤워장치가 출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방호구역으로 진입하고자 하는 예비 진입자가 하우스 입구(111a)로 접근하면 촬영용 카메라(120a)와 적외선 카메라(120b)가 동시에 촬영하기 시작하며 예비 진입자가 입구 받침대(113)에 올라섰을 때 적외선 카메라(120b)의 열 영상의 촬영이 가장 정확하게 이루어지면서 디스플레이(130) 화면에 열 영상이 표시된다.
이때 촬영된 열 영상을 근거로 하여 예비 진입자의 체온이 37.5℃ 이상이면 바이러스 감염 의심자로 판단하며, 하우스 입구(111a) 상측에 설치된 점멸등(170)이 적색으로 점멸됨과 동시에 스피커(160)를 통해서는 분명한 경보음을 발생시켜 예비 진입자가 하우스 입구(111a)를 통해 입실하지 않도록 금지한다. 이후 안내인이 해당 예비 진입자를 검역소로 안내하여 보다 정밀한 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마련한다.
하지만 예비 진입자의 체온이 37.5℃ 미만이면 하우스 입구(111a) 상측에 설치된 점멸등(170)이 청색으로 점멸되면서 하우스 입구(111a)를 통한 하우스(110) 내부 입실을 허용하게 된다. 다만 이때 하우스(110) 내부에 있던 앞선 예비 진입자가 하우스 출구(111b)를 통해 퇴실하였는지 출구용 감지센서(140c,140d)에 의해 확인이 완료된 후에만 점멸등(170)이 청색으로 점멸되어 해당 예비 진입자의 입실로 인해 하우스 내부에서 중복되는 일이 없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하우스 입구(111a)에 입구용 개폐도어(미도시됨)가 설치되었다면 입구용 개폐도어에 의해 하우스 입구(111a)를 개방한다.
이후 해당 예비 진입자가 하우스 입구(111a)를 통해 하우스(110) 내부로 입실하면 입구용 감지센서(140a,140b)가 감지한 후 설정된 시간 후(예컨대 3초 후)에 메인 분사노즐(150a)과 헤드 분사노즐(150b)에서 5~10초간 안개상의 소독액을 고압으로 분무한다. 이때 헤드 분사노즐(150b)에서 분무되는 소독액은 분사가이드(152)에 의해 예비 진입자의 머리에 직접적으로 도달하지 않고 주변으로 확산하여 예비 진입자의 머리 인근과 상체를 소독하게 된다.
이처럼 메인 분사노즐(150a)과 헤드 분사노즐(150b)에서 5~10초간 소독액이 분무되는 동안 예비 진입자는 안내방송에 따라 하우스(110) 내부 측벽에 설치된 손소독 전용부스(151)로 향하여 그 내부에 손을 집어넣어 센서와 연동된 제1핸드 분사노즐(150c)로부터 액상의 소독액이 분사되도록 유도한다. 제1핸드 분사노즐(150c)로부터 액상의 소독액이 예비 진입자의 손에 분사되면 예비 진입자는 손을 비벼 소독액이 손 전체에 고르게 도포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핸드 분사노즐(150d)에서는 안개상의 소독액을 손 소독 전용부스(151) 내부로 분사함으로써 충분치 않을 수 있는 예비 진입자 스스로의 손 소독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후 손 소독 전용부스(151)에 설치된 센서가 예비 진입자의 손을 최초 감지한 후 일정 시간 경과하면 소독이 완료된 것으로 간주하여 안내방송을 통해 예비 진입자가 퇴실하도록 안내한다. 이와 동시에 하우스 출구(111b)에 출구용 개폐도어가 설치되었다면 출구용 개폐도어에 의해 하우스 출구(111b)를 개방한다. 이때 하우스(110) 내부에 입실해 있던 예비 진입자가 하우스 출구(111b)를 통해 퇴실하였는지 출구용 감지센서(140c,140d)에 의해 확인이 완료되면 새로운 예비 진입자를 하우스(110) 내부로 입실하도록 허용하게 된다.
<실험예>
본 실험은 하우스 입구(111a) 인근 상측에 설치된 적외선 카메라(120b)의 촬영거리 및 각도를 비롯하여 입구용 감지센서(140a,140b)와 출구용 감지센서(140c,140d)가 가장 높은 판별 효과를 가질 때를 파악하고자 진행되었다.
적외선 카메라(120b)의 경우 피실험자와의 촬영거리를 2~3m 두었을 때 판별 효과가 가장 높았다. 적외선 카메라(120b)와 피실험자 간의 촬영거리를 3m 이상으로 하면 적외선 카메라(120b) 촬영에 의한 열 영상에 측정오차가 생기면서 사람이 붐비는 경우에는 여러 화상을 가지고 판독해야 하는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실험결과는 적외선 카메라(120b)의 촬영거리가 2.5m 내외일 때 열 영상의 품질이 가장 높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입구용 감지센서(140a,140b)와 출구용 감지센서(140c,140d)의 경우 바닥으로부터 50~60cm 높이로 떨어져 있을 때 가장 뛰어난 감지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입구용 감지센서(140a,140b)와 출구용 감지센서(140c,140d)가 어린이로부터 어른에 이르기까지 출입하는 모두를 카운팅하기 위해 50~60cm 높이가 가장 적당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애완견의 경우는 보호자와 같이 동시에 입구와 출구를 지나치도록 하면 감지에 별다른 문제가 없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하우스 113: 입구 받침대
120a: 촬영용 카메라 120b: 적외선 카메라
130: 디스플레이 140a, 140b: 입구용 감지센서
140c, 140d: 출구용 감지센서 150a: 메인 분사노즐
150b: 헤드 분사노즐 150c, 150d: 핸드 분사노즐
151: 손 소독 전용부스 152: 분사가이드
160: 스피커 170: 점멸등

Claims (18)

  1. 바이러스 감염 확산을 차단하고자 하는 방호구역으로 진입하려는 예비 진입자에 대하여 열 검진과 소독이 가능하도록 한 방역 샤워장치로서,
    예비 진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입구와 출구를 별도로 구비한 하우스;
    상기 하우스 외부에 설치되어 하우스 입구로 입실하려는 예비 진입자를 촬영하는 촬영용 카메라;
    상기 하우스 외부에 설치되어 하우스 입구로 입실하려는 예비 진입자를 촬영하는 적외선 카메라;
    상기 하우스 외부의 입구 인근에 설치되어 상기 적외선 카메라에서 촬영된 열 영상을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스 외부의 입구 인근에 설치되어 상기 적외선 카메라가 촬영한 열 영상을 근거로 예비 진입자의 체온이 기설정된 일정 온도 이상인 경우 예비 진입자가 하우스 내부로 입실하지 못하도록 경고해주는 경고 표시장치; 및
    상기 하우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스 내부로 입실한 예비 진입자를 향해 안개상의 소독액을 분무하는 분사노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 샤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스 입구에 설치되어 하우스 입구로 입실하는 예비 진입자를 감지하는 입구용 감지센서와, 상기 하우스 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스 내부에서 퇴실하는 예비 진입자를 감지하는 출구용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하우스 내부에 예비 진입자가 중복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 샤워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용 감지센서와, 출구용 감지센서는 각각 입구와 출구 양편에서 쌍을 이루어 설치된 근적외선 발광부와 근적외선 수광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 샤워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스의 입구와 출구는 일직선상에 배치된 상기 하우스의 전면벽과 후면벽에 형성되어 예비 진입자가 일직선의 동선을 따라 하우스로 입실한 후 퇴실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 샤워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표시장치는 점멸등과 스피커로 구비되어 점멸과 경보음을 통해 복합적으로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 샤워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점멸등은 상기 하우스 입구의 상측에서 좌우방향을 따라 일렬로 설치된 다수의 LED로 구비되어 예비 진입자의 시선에 강하게 각인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 샤워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점멸등은 상기 적외선 카메라가 촬영한 열 영상을 근거로 예비 진입자의 체온이 기설정된 일정 온도 이상인 경우 예비 진입자가 하우스 내부로 입실하지 못하도록 적색 점멸하는 것에 더해, 예비 진입자의 체온이 기설정된 일정 온도 미만이고 하우스 내부도 비어 있어서 예비 진입자의 하우스 내부 입실이 가능함을 표시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청색 점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 샤워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하우스 내부에서 좌측벽 및 우측벽에 각각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 설치되어 하우스 내부에 입실한 예비 진입자의 신체를 향하여 안개상의 소독액을 분무할 수 있도록 한 메인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 샤워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하우스 내부의 천정 중앙에서 하우스 내부에 입실한 예비 진입자의 상측에서 예비 진입자를 향하여 안개상의 소독액을 분무할 수 있도록 한 헤드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 샤워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분사노즐은 천정 중앙 정가운데에 하나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 샤워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분사노즐은 천정 중앙 정가운데를 중심으로 다수개가 원형을 그리면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 샤워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스 내부 천정 중앙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증가하는 깔때기 형상의 분사가이드가 설치되어 상기 헤드 분사노즐에서 분무되는 소독액이 하우스 내부에 입실한 예비 진입자의 머리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그 주변을 향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 샤워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스 내부에는 손 소독을 위한 전용의 공간에 소독액을 분사하는 핸드 분사노즐이 설치되어 하우스 내부에 입실한 예비 진입자가 스스로 손 소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손 소독 전용부스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 샤워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손 소독 전용부스에는 하우스 내부에 입실한 예비 진입자를 대향하는 대향면에 돌출된 형태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손 소독 전용부스 내부로 진입한 손을 감지한 후 액상의 소독액을 분사해주는 제1핸드 분사노즐과,
    상기 손 소독 전용부스 상면에 요입된 형태로 은폐되게 설치되어 손 소독 전용부스 내부로 진입한 손을 감지한 후 안개상의 소독액을 분사해주는 제2핸드 분사노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 샤워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스의 출구에는 출구용 개폐도어가 설치되어 하우스 내부에 입실한 예비 진입자가 스스로 손 소독까지 완료한 후에만 제한적으로 퇴실 가능하도록 출구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 샤워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스의 입구에는 입구용 개폐도어가 설치되어 상기 적외선 카메라가 촬영한 열 영상을 근거로 예비 진입자의 체온이 기설정된 일정 온도 미만인 경우에만 하우스 내부로 입실 가능하도록 입구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 샤워장치.
  1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용 감지센서와 출구용 감지센서는 성인과 어린이 모두에 대해 감지 가능하도록 바닥에서 50~60cm 높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 샤워장치.
  1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스 외부의 입구 바닥에는 예비 진입자가 올라서는 받침대(113)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113)에 올라선 예비 진입자를 제한하여 상기 적외선 카메라가 촬영하도록 하며, 상기 예비 진입자와 적외선 카메라의 촬영거리는 3m 미만이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 샤워장치.
KR2020200001765U 2020-05-26 2020-05-26 자동 열 검진 및 입체 소독이 가능한 방역 샤워장치 KR2004952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765U KR200495261Y1 (ko) 2020-05-26 2020-05-26 자동 열 검진 및 입체 소독이 가능한 방역 샤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765U KR200495261Y1 (ko) 2020-05-26 2020-05-26 자동 열 검진 및 입체 소독이 가능한 방역 샤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670U true KR20210002670U (ko) 2021-12-06
KR200495261Y1 KR200495261Y1 (ko) 2022-04-15

Family

ID=78891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765U KR200495261Y1 (ko) 2020-05-26 2020-05-26 자동 열 검진 및 입체 소독이 가능한 방역 샤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261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3691A (ko) * 2005-07-27 2007-01-31 박병성 사람 소독 장치
KR20120113324A (ko) 2011-04-05 2012-10-15 에너바이오텍(주) 이동형 방역 소독장치
KR101676007B1 (ko) * 2016-05-18 2016-11-14 (주)아성온 출입구 방역장치
KR20170024833A (ko) * 2015-08-26 2017-03-08 이경직 손 세정 장치
KR101988486B1 (ko) * 2018-10-29 2019-06-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감염병 확산방지를 위한 상시 검역 및 방역 기능의 스마트 터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3691A (ko) * 2005-07-27 2007-01-31 박병성 사람 소독 장치
KR20120113324A (ko) 2011-04-05 2012-10-15 에너바이오텍(주) 이동형 방역 소독장치
KR20170024833A (ko) * 2015-08-26 2017-03-08 이경직 손 세정 장치
KR101676007B1 (ko) * 2016-05-18 2016-11-14 (주)아성온 출입구 방역장치
KR101988486B1 (ko) * 2018-10-29 2019-06-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감염병 확산방지를 위한 상시 검역 및 방역 기능의 스마트 터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261Y1 (ko) 2022-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5204B1 (ko) 체온 감지 및 방역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2147505B1 (ko) 이동형 출입통제 부스
JP6882359B2 (ja) アミューズメントパーク要素の自動化のための光学追跡システム
CN105374093B (zh) 一种atm机防护舱舱门电子系统及控制方法
CN111265683A (zh) 一种具备检测消毒功能的通道及检测消毒方法
KR102207248B1 (ko) 로커의 이용상태 확인장치
CN111568387A (zh) 一种带有体温检测和人脸识别功能的消毒通道及其控制方法
CN105967038A (zh) 基于图像识别算法保护小孩安全的扶梯防护系统
KR102182543B1 (ko) 인공지능 방역 시스템
KR20120079219A (ko) 화재 감시 및 소방용 자동 물대포
US9793990B2 (en) Worker management device, worker management system, and workwear
GB254234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thogen testing
KR200495261Y1 (ko) 자동 열 검진 및 입체 소독이 가능한 방역 샤워장치
KR102216197B1 (ko) 방역게이트장치
KR20180052794A (ko) 에어 워시 장치
CN211452610U (zh) 集成式测温消毒系统
CN111486963A (zh) 智能型测温消毒舱及检疫方法
KR102260407B1 (ko) 게이트형 방역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TWM621661U (zh) 移動式防疫檢測裝置及門禁設備
KR20220019332A (ko) 클린게이트 자동 출입통제시스템
KR20220084964A (ko)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JP2010250462A (ja) 防犯システム
JP2001023057A (ja) 入浴者転倒検知器
TR202011094U5 (tr) Duş teknesi̇ olabi̇len çok amaçli dezenfekte kabi̇ni̇
JP2022053458A (ja) 簡易設置型体温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